KR101295457B1 - 액체 세정제 - Google Patents

액체 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457B1
KR101295457B1 KR1020087013074A KR20087013074A KR101295457B1 KR 101295457 B1 KR101295457 B1 KR 101295457B1 KR 1020087013074 A KR1020087013074 A KR 1020087013074A KR 20087013074 A KR20087013074 A KR 20087013074A KR 101295457 B1 KR101295457 B1 KR 10129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roup
mass
hydrogen peroxid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293A (ko
Inventor
마사타카 마키
유이치로 다세
히토시 이시즈카
노부요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79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732166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7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17Multi-phase 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47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pH reg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2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1Mono, di- or tri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07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0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1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using agents which develop oxygen
    • D06L4/12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using agents which develop oxygen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과산화 수소 또는 수중에서 과산화 수소를 생성하는 화합물, (b) 표백 활성화제 0.1 ∼ 10 질량%, (c) 비이온 계면 활성제 45 ∼ 80 질량%, (d) 물, (e) 붕산, 붕사, 및 붕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및 (f) 폴리올 화합물을 함유하고, 20℃ 에서의 pH 가 4 ∼ 7 인 액체 세정제이다. 또는 과산화 수소를 함유하는 액체 산소계 표백제 조성물로서, 수성 액적이,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연속상 중에 분산된 유중수형 에멀션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액체 세정제 {LIQUID DETERGENT}
본 발명은 액체 세정제 및 이것을 사용한 의류의 세정 방법, 그리고 그 액체 세정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산화 수소를 함유하는 액체 산소계 표백제는, 색무늬 있는 것에도 사용할 수 있고, 오염에 직접 도포할 수 있는 점 등에서 소비자로부터 높은 지지를 얻고 있는 상품이다. 그러나, 액체 산소계 표백제는, 염소계 표백제에 비하면 산화력이 낮다는 점에서, 표백력이 약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최근, 산소계 표백제의 표백력을 높이는 목적에서, 과산화 수소보다 산화력이 높은 유기 과산 전구체 타입의 표백 활성화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산소계 표백제가, 의료용 분야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 유기 과산 전구체 타입의 표백 활성화제는, 약알칼리성 하의 세탁욕 중에서 과산화 수소와 반응함으로써 유기 과산을 생성한다. 이 생성된 유기 과산의 산화력에 의해 표백 효과가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표백 활성화제는 활성 에스테르기 등을 갖기 때문에 제품 형태에서의 저장 안정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분말 산소계 표백제는 과산화 수소 근원이 되는 과탄산 나트륨과 표백 활성화제의 조립물을 다른 입자로서 격리함으로써 안정화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액체의 산소계 표백제는, 액체 중에서 과산화 수소와 표백 활성화제를 격리할 수 없기 때문에, 과산화 수소에 의한 표백 활성화제의 가수 분해를 억제하는 것이 어렵고, 표백 활성화제를 안정 배합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과산화 수소 및 표백 활성화제는, 산성보다 중성 내지 알칼리성에서 보다 높은 표백 효과를 발휘하는데, 반대로 중성 내지 알칼리성에서는 과산화 수소 및 표백 활성화제의 저장 안정성이 낮다. 따라서, 과산화 수소 및 표백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액체 산소계 표백제를, 보다 높은 pH 로 안정화시켜, 우수한 표백 성능을 얻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이들 과제를 만족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표백기제를 함유하는 저 pH 의 조성물과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고 pH 의 조성물의 2 제로 별개 구성되는 2 제형 형태로 해두고, 사용시에 2 제를 혼합하여 표백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양태를 생각할 수 있는데, 용기의 간소화, 사용 용이성 등의 면에서는 1 제형 (1 액형) 의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JP-B2669590 에는, 표백 활성화제와 상호 작용성이 높은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여 혼합 미셀을 형성시킴으로써, 안정 배합된 액체 표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JP-A10-72595 에는, 붕소 화합물과 폴리올 화합물을 병용한 pH 점프 기술 (희석했을 경우에 pH 가 중성 (pH 7) 을 초과하여 상승하는 계를 사용한 기술) 을 응용하여, 장기간에서도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고, 단독 사용에서도 표백 성능을 발휘하는 액체 표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과산화 수소를 주기제로 하는 산소계 액체 표백제는, 염료ㆍ기재 손상성이 낮고, 또 오염에 직접 도포할 수 있는 등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점에서, 최근 보급 화되고 있다. 과산화 수소는 약알칼리성에서는 자기 분해가 진행되어 산소 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는 산소계 액체 표백제는, 액성이 산성측으로 조정되어 있다. 그러나, 과산화 수소의 표백 효과는 산성보다 중성 내지 알칼리성측 쪽이 높다는 점에서, 과산화 수소를 보다 높은 pH 로 안정화시키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JP-Al1-181491 및 JP-Al1-181492 에는, 페놀 유도체에 의해, 높은 pH 영역 (pH 4 ∼ 7) 에서 과산화 수소를 안정화시킨 액체 표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부터 이 과산화 수소 배합 제품 중에, 표백 성능이나 기호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표백 활성화제, 향료 및 염료 등의 기능성 기제를 배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들 기제는 에스테르기나 불포화 결합 등의 구조를 갖고, 과산화 수소에 의해 용이하게 변성 실활되기 쉽다는 점에서, 안정화는 곤란하고, 종래 기술에서는 장기간의 저장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표백 활성화제는, 세탁욕 중에서 과산화 수소와 반응하여 보다 산화력이 높은 유기 과산을 생성하고, 이것이 얼룩 오염을 강력하게 분해함으로써, 산소계 표백제의 과제인 표백력의 향상이 실현되는 것이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표백 활성화제로는,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TAED), 노나노일옥시벤젠술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분자 중에, 불안정한 에스테르기나 아미드기 등의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pH 3 이상의 과산화 수소 수용액 중에서는 가수 분해나 가 과산화 수소 분해가 진행되고, 실활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JP-A6-207196 에는, 계면 활성제 미셀 중에서 에스테르 결합의 가수 분해가 억제되는 것을 응용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JP-Al1-5994 에는, 소수성의 표백 활성화제를 사용하여 지방산 또는 그 염을 배합함으로써, 보존 안정성과 표백 성능이 우수한 표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 향료에 있어서는, 최근, 세제, 유연제 등의 분야에 있어서, 향 등의 기호성이나 정서성을 부여한 상품 개발이 주목되는 가운데, 표백제의 향에 대한 관심도, 이전과 비교하여 커지고 있다. 그러나, 향료도 분자 중에 불포화 결합이나 알데히드기 등 산화 감수성이 높은 구조를 갖고, 과산화 수소에 대해 매우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향료의 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는, JP-A11l-50099 에, 특정한 향조 향료와 특정한 방향족 화합물을 배합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A2002-338997 에는, 페놀계 화합물과 킬레이트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노광 하에서의 향료 안정성을 향상시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염료는, 액체 조성물을 착색화시킴으로써 기호성을 높이는 것에 추가로, 계량시의 액량이나, 오염된 부분을 보이기 쉽게 하고,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표백제를 착색화하는 검토는 오래 전부터 이루어졌으나, 염료는 공액 구조나 발색단 등, 산화 감수성이 높은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과산화 수소 중에서의 염료의 퇴색 억제 효과는 충분하지 않았다.
JP-B2688844 에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와 산성 염료를 함유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JP-A2003-268398 에는, 페놀계 라디칼 트랩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노광 하까지도 고려한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JP-A5- 271691 에는, 염료의 하나인 형광증백제를 표백제 중에 분산시켜, 저장 안정화가 우수한 액체 표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1] 본 발명은, (a) 과산화 수소 또는 수중에서 과산화 수소를 생성하는 화합물〔이하, (a) 성분이라고 한다〕, (b) 표백 활성화제〔이하, (b) 성분이라고 한다〕0.1 ∼ 10 질량%, (c) 비이온 계면 활성제〔이하, (c) 성분이라고 한다〕45 ∼ 80 질량%, (d) 물〔이하, (d) 성분이라고 한다〕, (e) 붕산, 붕사 및 붕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이하, (e) 성분이라고 한다〕, 및 (f) 폴리올 화합물〔이하, (f) 성분이라고 한다〕을 함유하고, 20℃ 에서의 pH 가 4 ∼ 7 인, 액체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를 50 ∼ 1500 용적배의 물로 희석하고, 20℃ ∼ 60℃ 로 가온하여 표백, 세정, 제균 (除菌) 및 냄새 제거라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의류의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c) 성분, (d) 성분, (e) 성분 및 (f)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pH 가 3 ∼ 7 인 모액을 조제하는 공정, 그리고 그 모액에 (a) 성분 및 (b) 성분을 동시 또는 별개로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본 발명은, 과산화 수소를 함유하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로서, 수성 액적이,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연속상 중에 분산된 유중수형 에멀션 (W/0 형 에멀션) 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그러나, JP-B2669590 이나 JP-A10-72595 에는, 표백 활성화제가 산성 영역보다도 약산성 내지 중성 영역에 있어서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표백 활성화제 안정성에 대한 pH 의 영향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고, 현행 기술에서는 곤란했던 pH 3 이상에서의 표백 활성화제의 안정화 방법에 대해 전혀 시사하는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산성 영역에서도 과산화 수소 및 표백 활성화제의 안정성에 관하여 문제가 없고, 물에 의한 희석 후에 만족할 수 있는 영역까지 pH 를 상승시킬 수 있고, 표백 활성화제로부터 유기 과산을 충분히 생성할 수 있는, 액체 세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약산성 영역에서도 과산화 수소 및 표백 활성화제의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는 우수한 효과가 발현된다. 즉,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놀랍게도,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특이적인 함유량으로 배합함으로써, 약산성 영역 (pH 약 4 ∼ 약 7) 에서도 과산화 수소 및 표백 활성화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물희석 전의 pH 를 약산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는 점에서, 물희석 후의 pH 를 높은 영역 (pH 약 8 이상) 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결과, 표백 활성화제로부터 유기 과산을 충분히 생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약산성 영역에서도 과산화 수소 및 표백 활성화제의 안정성에 관하여 문제가 없고, 물에 의한 희석 후에 만족할 수 있는 영역까지 pH 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결과, 표백 활성화제로부터 유기 과산을 충분히 생성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표백 성능을 갖는 액체 세정제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JP-A11-181491 또는 JP-A11-181492 에 기재된 과산화 수소 안정화 기술에서는, 장기에 대한 보존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고, 추가로 표백 활성화제를 병용했을 경우에 저장 후 황색의 착색을 발생시켜 상품 가치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JP-A6-207196 등에서는, 표백 활성화제, 향료, 염료 (형광증백제를 함유한다) 에 관하여, 모두 종래 기술에 비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그 기제 자체를 안정성의 관점에서 한정하고 있는 점에서, 조성물의 설계에 큰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성이 약산성 영역에 있는 경우에서도, 장기 보존 하에서의 과산화 수소의 분해에 의한 가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킨 높은 안정성을 갖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과산화 수소에 대해 불안정한 표백 활성화제, 향료, 염료 등의 성분을 배합해도, 장기 보존에 있어서 실활이나 열화를 일으키지 않고, 높은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 활성제에 의한 W/0 형 구조체 (에멀션) 형성을 이용함으로써, 과산화 수소의 분해에 의한 가스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과산화 수소 중에서 불안정한 표백 활성화제, 향료, 염료 등의 성분의 안정화도 실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성이 약산성 영역에 있는 경우에도, 장기 보존 하에서의 과산화 수소의 분해에 의한 가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킨 높은 안정성을 갖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과산화 수소에 대해 불안정한 표백 활성화제, 향료, 염료 등의 성분을 배합해도, 장기 보존에 있어서 실활이나 열화를 일으키지 않고, 높은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의 본 발명 [1] 과 [2] 에는, 각각 액체 세정제의 양태 (양태 A) 와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의 양태 (양태 B) 를 포함한다. 이하, 각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양태 A 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a) 과산화 수소 또는 수중에서 과산화 수소를 생성하는 화합물〔이하, (a) 성분이라고 한다〕, (b) 표백 활성화제〔이하, (b) 성분이라고 한다〕0.1 ∼ 10 질량%, (c) 비이온 계면 활성제〔이하, (c) 성분이라고 한다〕45 ∼ 80 질량%, (d) 물〔이하, (d) 성분이라고 한다〕, (e) 붕산, 붕사, 및 붕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이하, (e) 성분이라고 한다〕, 및 (f) 폴리올 화합물〔이하, (f) 성분이라고 한다〕을 함유하고, 20℃ 에서의 pH 가 4 ∼ 7 이다.
[(a)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a) 성분으로서 과산화 수소 또는 수중에서 과산화 수소를 생성하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수중에서 과산화 수소를 생성하는 화합물로는, 과탄산염, 과붕산염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의 과산화 수소로서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중에 바람직하게는 0.1 ∼ 6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4.5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질량% 이다. 이와 같은 범위에 있어서 우수한 표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b) 성분으로서 표백 활성화제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표백 활성화제란, 무기 과산화물과 반응함으로써 유기 과산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표백 활성화제로는, 이하의 일반식으로 나타내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1
식 중, R 은, 탄소수 약 6 ∼ 약 13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킬기 치환 아릴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약 6 ∼ 약 13 의 분기사슬의 알킬기이다. LG 는 탈리기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2
-O-R1-(O)p-SO3- 및 -O-R1-(O)p-SO3M (여기서 R1 은 알킬렌기, p 는 0 또는 1,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나타낸다.) 을 들 수 있다. 또한, R1 의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5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b) 성분으로서 카르보닐 탄소에 대해 α 위치 또는 β 위치에 측사슬을 갖는 총 탄소수 6 ∼ 13 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표백 활성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백 활성화제는, 알카노일기가 직사슬인 표백 활성화제와 비교하여, 약산성 영역에서의 저장 안정성의 향상을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높은 표백 효과 및 높은 세정 효과를 액체 세정제에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 (2) 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3
〔식 중, R2a-CO 는, 카르보닐 탄소에 대해 α 위치 및 β 위치의 적어도 일방에 측사슬을 갖는 총 탄소수 6 ∼ 13, 바람직하게는 7 ∼ 13 의 알카노일기이며, R2a- 는 하기의 α 위치 분기형 또는 β 위치 분기형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4
여기서, R2b 는 탄소수 4 ∼ 10 의 알킬기이며, R2c 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부틸기에서 선택되는 기이다. X 는 -COOM, 및 -SO3M 에서 선택되는 기이며,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다.〕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일반식 (2) 에 있어서 α 위치 분기형 화합물은, 탄소수 3 ∼ 6 의 지방 알데히드 화합물을 알돌 축합시킨 후, 알데히드기를 산화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α 분기형 지방산 (또는 이들의 산할로겐화물) 과 p-히드록시벤조산, 살리실산, 또는 p-히드록시벤젠술폰산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α 위치 분기형 지방산의 구체적 예로는, 2-메틸펜탄산, 2-에틸헥산산, 2-프로필헵탄산, 2-메틸헥산산, 2-에틸펜탄산, 2-에틸헵탄산, 3-프로필헥산산, 2-부틸옥탄산 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반식 (2) 에 있어서 β 위치 분기형 화합물은, 1-알켄을 히드로포르밀화함으로써 얻어진 알데히드를 산화하고, 이어서 얻어진 β 분기형 지방산 (또는 이들의 산할로겐화물) 과 p-히드록시벤조산, 살리실산, 또는 p-히드록시벤젠술폰산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직사슬 1-알켄을 원료로 했을 경우, 히드로포르밀화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지방산은 β 위치에 메틸기가 분기된 β 분기형 지방산 및 직사슬형의 지방산의 혼합물이 얻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β 분기형 지방산/직사슬 지방산이 20/80 ∼ 80/20 의 질량비의 지방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기사슬 1-알겐으로서 이소부텐의 2 량체 및 3 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고, 이소부텐의 2 량체, 3 량체 각각을 히드로포르밀화하여 얻어지는 β 분기형 지방산인, 3,5,5-트리메틸헥산산, 3,6,8,8-테트라메틸노난산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b) 성분은, 상기 α 분기형 지방산, β 분기형 지방산 또는 이들 지방산의 산무수물 혹은 산할로겐화물과 p-히드록시벤조산, 살리실산, 또는 p-히드록시벤젠술폰산염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얻을 수 있다. 지방산의 산무수물 또는 산할로겐화물을 사용하여 p-히드록시벤조산 또는 살리실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p-히드록시벤조산 또는 살리실산이 더욱 축합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다부가체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5
〔식 중, R3a 는 전술하는 R2a 와 동일한 의미이며,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며, n 은 2 ∼ 5 의 수를 나타낸다〕
일반식 (3) 의 화합물은, 표백욕 중 또는 세정욕 중에서 과산화 수소와 반응하여 R3a-COOOH 로 나타내는 유기 과산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6
로 나타내는 히드록시벤젠 과카르복실산도 생성하여, 매우 높은 표백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세정제 중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3) 의 화합물의 양은, 일반식 (2) 의 화합물에 대해 0.1 ∼ 50 질량%, 바람직하게는 0.1 ∼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b) 성분으로는 일반식 (2) 에 있어서 R2a-CO 가 2-에틸헥사노일기, 3,5,5-트리메틸헥사노일기, 2-에틸펜타노일기, 또는 3,6,8,8-테트라메틸노나노일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3,5,5-트리메틸헥사노일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X 가 -COOH 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p 위치에 -COOH 를 갖는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중에서의 (b) 성분의 함유량은, 0.1 ∼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2 ∼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2 질량% 이다.
[(c)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c) 성분으로서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하기 일반식 (4) 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7
〔식 중, R4a 는 탄소수 10 ∼ 18, 바람직하게는 12 ∼ 14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a 는 수 평균 부가 몰수 0 ∼ 20 의 수, b 는 수 평균 부가 몰수 0 ∼ 20 의 수를 나타내고, a 및 b 의 양자가 0 인 경우를 제외한다. 바람직하게는 a 의 수 평균 부가 몰수는 6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12 가 양호하고, b 의 수 평균 부가 몰수는 0 ∼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3 의 수이다.〕
또한, 일반식 (4) 에 있어서는, EO 와 PO 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특히 옥시에틸렌기 및 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로는, 하기 일반식 (5)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8
〔식 중, R5a 는 탄소수 10 ∼ 18, 바람직하게는 12 ∼ 14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a 는 수 평균 부가 몰수 1 ∼ 20 의 수, b 는 수 평균 부가 몰수 1 ∼ 20 의 수, c 는 수 평균 부가 몰수 1 ∼ 20 의 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a 의 수 평균 부가 몰수는 6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12 가 양호하고, b 의 수 평균 부가 몰수는 1 ∼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3 의 수가 양호하고, c 의 수 평균 부가 몰수는 6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12 이다.〕
(c) 성분의 액체 세정제 중의 함유량은, 표백 활성화제의 안정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5 ∼ 8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7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 70 질량% 가 바람직하다.
[(e)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e) 성분으로서 붕산, 붕사 및 붕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붕산염으로는, 붕산 나트륨, 붕산 칼륨, 붕산 암모늄, 4 붕산 나트륨, 4 붕산 칼륨, 4 붕산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f)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f) 성분으로서 폴리올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이란, 액체 세정제 중에서 (e) 성분과 모노체 또는 디체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며 (하기 일반식을 참조), 서로 이웃하는 탄소 원자의 양방에 각각 1 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부위가 1 개 이상 존재하는 화합물, 및/또는 3 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3 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탄소 원자의 양방에 각각 1 개 히드록시기를 갖는 부위가 1 개 이상 존재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f) 성분의 구체적 예로는 하기 (1) ∼ (4) 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이들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1)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알킬 (탄소수 1 ∼ 10) 폴리글리세릴에테르 (예를 들어, 알킬 (탄소수 1 ∼ 10) 디글리세릴에테르, 알킬 (탄소수 1 ∼ 10) 트리글리세릴에테르)
(2) 소르비톨, 만니톨, 말토오스, 이노시톨, 및 피틴산에서 선택되는 당알코올류 ;
(3) 글루코오스, 아피오스,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릭소오스, 만노오스, 갈로스, 알도오스, 이도오스, 탈로오스, 자일로오스, 및 프룩토오스에서 선택되는 환원당류, 및 이들 유도체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등) ; 그리고
(4) 전분, 덱스트란, 잔탄검, 구아검, 커드란, 풀루란, 아밀로오스, 및 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다당류.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2) 의 당알코올류가 바람직하고, 단독 또는 복수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소르비톨이 안정성 및 표백/세정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e) 성분으로서 붕산, 붕사 및 붕산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그리고 (f) 성분으로서 폴리올 화합물로 구성되는 pH 점프계를 특정한 조성 및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이와 같은 특정한 조성 및 비율을 추가로 가짐으로써, 우수한 pH 점프 효과 및 우수한 과산화 수소의 안정성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 세정제에 대해 1000 용적배의 물에 의해 희석했을 경우의 희석액의 20℃ 에서의 pH 가 8.5 이상 10.5 미만, 바람직하게는 9 이상 9.5 미만이 되는 것이 표백/세정 효과를 얻는 목적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e) 성분과 (f) 성분 (α,β-디히드록시 화합물) 사이에는 하기의 식 (6) 과 같은 평균 반응이 존재한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09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체가 pH 점프계의 주요 성분인 것이 희석 용액의 pH 를 8.5 이상 10.5 미만으로 하기 위해 바람직하고, 액체 세정제 중에 존재하는 전체 붕소 화합물에 대해, 디체의 함유량이 70 ∼ 100 몰% 이며, 모노체의 함유량이 0 ∼ 5 몰% 미만이며, 그리고 단독으로 존재하는 붕산, 붕사 및/또는 붕산염의 함유량이 0 ∼ 25 몰%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f) 성분/(e) 성분의 몰비 (단, 붕사 및 4 붕산 나트륨의 경우에는 붕소 원자를 4 개 함유하기 때문에, 4 등량이라고 생각한다) 를, 바람직하게는 1.5 ∼ 4,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2.7,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2.7, 특히 바람직하고, 2.2 ∼ 2.7 로 조정함으로써, 우수한 pH 점프 효과, 그리고 과산화 수소 및 표백 활성화제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e) 성분 및 (f) 성분을 액체 세정제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액체 세정제 중에서는 상기 모노체, 및 디체의 화합물로 변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e) 성분의 함유량이란, 단독, 모노체 및 디체로서 존재하는 (e) 성분의 전체 함유량을 의미한다. (f) 성분의 함유량이란, 단독, 모노체 및 디체로서 존재하는 (f) 성분의 전체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e) 성분의 함유량은, 우수한 pH 점프 효과를 달성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액체 세정제 중에 있어서 붕소 원자로서 0.05 ∼ 1 질량%, 바람직하게는 0.15 ∼ 0.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0.4 질량% 이다. (f) 성분의 함유량은, 우수한 pH 점프 효과를 달성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액체 세정제 중에 있어서 3 ∼ 35 질량%, 바람직하게는 5 ∼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 질량% 이다.
또한, 변환된 모노체 및 디체의 함유량은, 붕소 (11B) 의 NMR 분광법과 ICP 발광 분석법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기타 성분]
또, 본 발명에서는 세정력 향상 및 용액 안정성 향상의 관점에서 용제〔이하 (g) 성분이라고 한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 성분으로는, (g1) 탄소수 1 ∼ 5 의 1 가 (價) 알코올, (g2) 2 ∼ 12 의 다가 알코올, (g3) 하기의 일반식 (7) 로 나타내는 화합물, (g4) 하기의 일반식 (8)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0
〔식 중, R7a 및 R7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는데, R7a 및 R7b 의 쌍방이 수소 원자가 되는 경우를 제외한다. j 는 0 ∼ 10 의 수를, k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내는데, j 및 k 의 쌍방이 0 인 경우를 제외한다. R8a 및 R8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g1) 의 탄소수 1 ∼ 5 의 1 가 알코올로는, 일반적으로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저급 알코올을 배합함으로써 저온에서의 계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g2) 의 탄소수 2 ∼ 12 의 다가 알코올로는, 이소프렌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 가의 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g3) 의 화합물은, 일반식 (7) 에 있어서, R7a 및 R7b 가, 각각 알킬기인 경우의 탄소수는 1 ∼ 4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일반식 (7) 중,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의 j 및 k 는, 각각 0 ∼ 10 의 수 (j 및 k 의 쌍방이 0 인 경우를 제외한다) 인데, 이들 부가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랜덤 부가된 것이어도 된다. (g3) 의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p = 2 ∼ 3) 폴리옥시프로필렌 (p = 2 ∼ 3) 글리콜디메틸에테르 (p 는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폴리옥시에틸렌 (p = 3) 글리콜페닐에테르(페닐트리글리콜), 페닐카르비톨, 페닐셀로솔브, 벤질카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세정력 면에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부틸디글리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p = 1 ∼ 4) 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또, (g4) 의 화합물로는,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1,3-디에틸-2-이미다졸리디논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성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g1), (g2), 및 (g3) 의 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평균 부가 몰수 1 ∼ 3) 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평균 부가 몰수 1 ∼ 4) 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되는 용제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평균 부가 몰수 1 ∼ 3) 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평균 부가 몰수 1 ∼ 4) 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g) 성분을 바람직하게는 0.01 ∼ 40 질량%, 바람직하게는 0.1 ∼ 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고 1 ∼ 20 질량% 함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과산화 수소의 안정성 면에서 금속 봉쇄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포스폰산기 또는 포스폰산염기를 갖는 화합물〔이하 (h) 성분이라고 한다〕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포스폰산기 또는 포스폰산염기를 갖는 금속 봉쇄제로는, 에탄-1,1-디포스폰산, 에탄-1,1,2-트리포스폰산, 에탄-1-히드록시-1,1-디포스폰산, 에탄히드록시-1,1,2-트리포스폰산, 에탄-1,2-디카르복시-1,2-디포스폰산, 및 메탄히드록시포스폰산에서 선택되는 포스폰산 또는 이들 알칼리 금속염 혹은 알칸올아민염, 2-포스포노부탄-1,2-디카르복실산, 1-포스포노부탄-2,3,4-트리카르복실산 및 α-메틸포스포노숙신산에서 선택되는 포스포노카르복실산 또는 이들 알칼리 금속염 혹은 알칸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폰산 또는 이들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탄-1-히드록시-1,1-디포스폰산 또는 이들 알칼리 금속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h) 성분의 함유량으로는, 보다 바람직한 pH 점프 효과를 얻는 관점 및 과산화 수소의 안정성을 얻는 관점에서, 0.05 질량% 이상 0.3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 0.2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 ∼ 0.2 질량%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포스폰산계 금속 봉쇄제 이외에,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지방산 혹은 그 염,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 및/또는 고분자계 킬레이트제〔이하 (h') 성분이라고 한다〕를 병용해도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지방산 또는 그 염이란, 탄소수 1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그 염을 의미하고, 폴리카르복실산이란 시트르산, 숙신산 등의 분자 중에 2 개 이상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분자량 1000 미만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은 에틸렌디아민 4 아세트산 또는 그 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또는 그 염, 디에틸렌트리아민 5 아세트산 또는 그 염 등의, 아미노기에 아세트산기 또는 숙신산기가 결합된 화합물이다. 또, 고분자 킬레이트제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크로톤산 등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중합시킨 분자량이 1000 이상 100000 이하인 화합물이다. 이들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GP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법이나 광산란법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류 중, 지방산 혹은 그 염,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 및/또는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 액체 세정제 중에서의 그들의 합계량으로는, 0.2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i) 성분으로서, (c) 성분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 이외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및/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직사슬 혹은 분기사슬의 알킬 (탄소수 8 ∼ 18) 벤젠술폰산염, 알킬 (탄소수 8 ∼ 18) 황산 에스테르염 또는 알케닐 (탄소수 8 ∼ 18) 황산 에스테르염, α-올레핀 (탄소수 8 ∼ 18) 술폰산염, 알킬렌옥사이드 수 평균 부가 몰수 1 ∼ 6 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황산염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 황산염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 8 ∼ 18), 알칸 (탄소수 8 ∼ 18) 술폰산염, α-술포 지방산염 (탄소수 8 ∼ 18), α-술포 지방산 에스테르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 18 의 α-술포 지방산과 탄소수 1 ∼ 2 의 알코올의 에스테르염), 알킬 (탄소수 8 ∼ 18) 글리세릴에테르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음이온 계면 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칸올아민염, 암모늄염 등이 바람직하고, 세정 효과 면에서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마그네슘염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기 중, 1 개 또는 2 개가 에스테르기 또는 아미드기로 분단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0 ∼ 18 의 탄화 수소기이며, 나머지가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인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이 4 급 암모늄염은, 탄소수 1 ∼ 3 의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이 바람직하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하기 일반식 (9) 및 일반식 (10) 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세정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1
〔식 중, R9a 는 탄소수 8 ∼ 16, 바람직하게는 10 ∼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14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R9c 및 R9d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히드록시에틸기이다. R9b 는 탄소수 1 ∼ 5,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의 알킬렌기이다. A 는 -COO-, -CONH-, -OCO-, -NHCO- 및 -O- 에서 선택되는 기이며, c 는 0 또는 1 의 수이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2
〔식 중, R10a 는 탄소수 9 ∼ 23, 바람직하게는 9 ∼ l7, 특히 바람직하게는 9 ∼ 15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R10b 는 탄소수 1 ∼ 6,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의 알킬렌기이다. b 는 -COO-, -CONH-, -OCO-, -NHCO- 및 -O- 에서 선택되는 기이며, d 는 0 또는 1 의 수이다. R10c 및 R1Od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10e 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5, 바람직하게는 1 ∼ 3 의 알킬렌기이다. D 는 -COO-, -SO3 -, -OSO3 - 에서 선택되는 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i) 성분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중에, 바람직하게는 0 ∼ 10 질량%, 저장시의 용액 안정성 및 표백 활성화제 안정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 3 질량% 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a), (b), (c), (e) 및 (f) 성분, 필요하면 (g), (h), (i) 성분 등을 (d) 성분의 물과 혼합하여 얻을 수 있고, 사용하는 물은, 미량으로 물에 용해되어 있는 금속을 제거한 이온 교환수 또는 증류수가 저장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 성분, (d) 성분, (e) 성분 및 (f) 성분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의 pH 가 3 ∼ 7, 바람직하게는 3.5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4 ∼ 6 의 모액을 조제하는 공정, 그 모액에 (a) 성분 및 (b) 성분을 동시 또는 별개로 첨가하는 공정에 의해, 액체 세정제를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모액에 별개로 첨가하려면, (a) 성분을 먼저 첨가해도 되고, (b) 성분을 먼저 첨가해도 된다. 또한, 동시에 첨가하려면 (a) 성분과 (b) 성분을 미리 혼합하고, 이어서 모액에 첨가해도 되는데, 표백 활성화제의 안정성 면에서 (a) 성분 및 (b) 성분을 별개로 동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모액에 (b) 성분을 첨가할 때에, (c) 성분의 일부와 (b) 성분을 미리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모액에 첨가해도 된다. 또한 (g)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액의 조제시에 다른 성분과 함께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그 사용 방법으로서 그 액체 세정제를 50 ∼ 1500 용적배의 물로 희석하고, 20℃ ∼ 60℃, 바람직하게는 25℃ ∼ 40℃ 로 가온하여 표백, 세정, 제균 및 소취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높은 표백, 세정, 제균 및 소취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효과를 얻기 위해, 100 ∼ 1000 용적배의 물로 희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20℃ 에서의 pH 는, 4 ∼ 7, 바람직하게는 4.3 ∼ 6.5, 더욱 바람직하게는 4.6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6 이다. 이와 같은 pH 로 조정하기 위한 pH 조정제로는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 혹은 시트르산, 숙신산, 말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말론산, 말레산 등의 유기산 등의 산제, 또는 수산화 나트륨이나 수산화 칼륨, 암모니아 및 그 유도체, 아민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등의 알칼리제를, 단독 혹은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염산 및 황산에서 선택되는 무기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이나 수산화 칼륨에서 선택되는 무기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액체 세정제란, 투명 상태 혹은 반투명 상태, 또는 유탁 상태의 액체 세정제를 의미하고, 투명 혹은 반투명 상태인 경우에는, 1 상계이어도 되고 2 상 이상의 다상계 (바람직하게는 2 상 또는 3 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상) 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가 다상계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 전에 진탕 또는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의료 (衣料) 등의 섬유 제품의 세탁, 특히 세탁기용 액체 세정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양태 B 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은, 과산화 수소를 함유하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로서, 수성 액적이,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연속상 중에 분산된 유중수형 에멀션 (W/0 형 에멀션) 으로 이루어진다.
[과산화 수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백기제로서 과산화 수소 (이하, (A) 성분이라고 한다)를 함유한다. 과산화 수소의 형상은, 용액 안정성의 관점에서 과탄산 나트륨 등의 분말 타입보다 액상인 과산화 수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 과산화 수소의 함유량은,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0.1 ∼ 2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6 질량% 이며, 이와 같은 범위에 있어서 우수한 표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면 활성제에 의한 W/0 형 구조체 형성을 이용하고, 과산화 수소의 분해에 의한 가스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기 위해, 계면 활성제 (이하, (B) 성분이라고 한다) 를 함유한다. 사용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 활성제 (이하 (B1) 성분이라고 한다) 로는, 탄소수 8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α-올레핀술폰산염, α-술포 지방산염 또는 α-술포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염 등이다.
알킬벤젠술폰산염으로는, 세제용 계면 활성제 시장에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 중에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8 ∼ 16 의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오 (주) 제조의 네오페렉스 F 25, Shell 사 제조의 Dobs 10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공업적으로는, 세제용 원료로서 널리 유통되고 있는 알킬벤젠을 클로르술폰산, 아황산 가스 등의 산화제를 사용하여 술폰화하여 얻을 수도 있다.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10 ∼ 14 가 바람직하다. 또,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황산염으로는, 평균 탄소수 10 ∼ 18 의 직사슬 혹은 분기사슬 1 급 알코올 또는 직사슬 2 급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이하 EO) 를 1 분자당 평균 0.5 ∼ 5 몰 부가시키고, 이것을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37188호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황산화하여 얻을 수 있다.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10 ∼ 16 이 바람직하다.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으로는 탄소수 10 ∼ 16, 바람직하게는 10 ∼ 14 의 직사슬 혹은 분기사슬 1 급 알코올 또는 직사슬 2 급 알코올을 SO3 또는 클로르술폰산으로 술폰화하고, 중화하여 얻을 수 있다. α-올레핀술폰산염으로는, 탄소수 8 ∼ 18 의 1-알켄을 SO3 으로 술폰화하고, 수화 및 중화를 거쳐 생성할 수 있고, 탄화 수소기 중에 히드록시기가 존재하는 화합물과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는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또, α-술포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염으로는 지방산 잔기의 탄소수는 10 ∼ 16 이 바람직하고, 메틸에스테르 또는 에틸에스테르가 세정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B1) 성분의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칸올아민염, 암모늄염이 바람직하고, 세정 효과 면에서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세정 효과 면에서 탄소수 10 ∼ 14 의 알킬기를 갖고,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1 ∼ 3 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및 탄소수 11 ∼ 15 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벤젠술폰산염이 특히 양호하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 (이하 (B2) 성분이라고 한다) 로는 하기 일반식 (11) 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3
〔식 중, R11a 는 탄소수 10 ∼ 18, 바람직하게는 12 ∼ 14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E0 는 에틸렌옥시기, P0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낸다. a 는 평균 부가 몰수 0 ∼ 20 의 수, b 는 평균 부가 몰수 0 ∼ 20 의 수를 나타내고, a 및 b 의 양자가 함께 0 인 경우를 제외한다. 바람직하게는 a 의 평균 부가 몰수는 6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12 가 양호하고, b 의 평균 부가 몰수는 0 ∼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3 의 수이다.〕
또한, 일반식 (11) 에 있어서는, EO 와 PO 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또, 탄소수 5 ∼ 13 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분기사슬 알킬기를 갖는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 (이하 (B3) 성분이라고 한다) 로는,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4 개의 기 중, 1 개 또는 2 개가 에스테르기, 아미드기로 분단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0 ∼ 18 의 탄화 수소기이며, 나머지가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혹은 히드록시알킬기인 4 급 암모늄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3 의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이 바람직하다. 단, 표백 활성화제를 병용할 때에는, 안정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B3) 성분은 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 (이하 (B4) 성분이라고 한다) 로는 하기 일반식 (9) 또는 일반식 (10) 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세정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4
〔식 중, R9a 는 탄소수 8 ∼ 16, 바람직하게는 10 ∼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14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R9c 및 R9d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히드록시에틸기이다. R9b 는 탄소수 1 ∼ 5,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의 알킬렌기이다. A 는 -COO-, -CONH-, -OCO-, - NHCO- 및 -O- 에서 선택되는 기이며, c 는 0 또는 1 의 수이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5
〔식 중, R10a 는 탄소수 9 ∼ 23, 바람직하게는 9 ∼ 17, 특히 바람직하게는 9 ∼ 15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R10b 는 탄소수 1 ∼ 6,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의 알킬렌기이다. B 는 -COO-, -CONH-, -OCO-, -NHCO- 및 -O- 에서 선택되는 기이며, d 는 0 또는 1 의 수이다. R10c 및 R10d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10e 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5, 바람직하게는 1 ∼ 3 의 알킬렌기이다. D 는 -COO-, -SO3 -, -OSO3 - 에서 선택되는 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B1) 성분 및 (B2) 성분에서 선택되는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과산화 수소로부터의 분해 가스 억제를 위해 W/0 형 에멀션을 효율적으로 형성시키는 목적에서, (B2) 성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후술하는 표백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안정성의 관점에서 (B2)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전체 계면 활성제 중에서의 (B2) 성분의 비율이 60 질량% 이상, 70 질량% 이상인 것이 가스 발생 억제 효과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B) 성분의 함유량은,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중에 30 ∼ 80 질량% 가 바람직하고, 저장시의 용액 안정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8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7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 70 질량% 이다.
또, (B4) 의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표백 활성화제를 병용할 때에는, 안정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b4) 성분의 함유량은 0.5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하, 특히 0.1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B2) 성분이 세정 효과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고, 특히 옥시에틸렌기 및 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일반식 (11) 에 있어서 a 가 8 ∼ 12, b 가 0 ∼ 3 인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B2) 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30 ∼ 80 질량%, 더욱 45 ∼ 80 질량%, 특히 50 ∼ 75 질량%, 더욱 특히 55 ∼ 70 질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W/0 형 에멀션을 형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으로는, 전도도 측정에 의한 연속상의 특정과, 광산란법에 의한 구조체의 입경 측정을 조합시킴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은, 과산화 수소의 안정성 향상 면에서, 수성 킬레이트제 및/또는 산화 방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수성 킬레이트제]
본 발명의 수성 킬레이트제〔이하 (C1) 성분이라고 한다〕로는, 포스폰산기 또는 포스폰산염기를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포스폰산기 또는 포스폰산염기를 갖는 수성 킬레이트제로는, 에탄-1,1-디포스폰산, 에탄-1,1,2-트리포스폰산, 에탄-1-히드록시-1,1-디포스폰산, 에탄히드록시-1,1,2-트리포스폰산, 에탄-1,2-디카르복시-1,2-디포스폰산, 및 메탄히드록시포스폰산에서 선택되는 포스폰산 또는 이들 알칼리 금속염 혹은 알칸올아민염, 2-포스포노부탄-1,2-디카르복실산, 1-포스포노부탄-2,3,4-트리카르복실산 및 α-메틸포스포노숙신산에서 선택되는 포스포노카르복실산 또는 이들 알칼리 금속염 혹은 알칸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폰산 또는 이들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탄-1-히드록시-1,1-디포스폰산 또는 이들 알칼리 금속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C1) 성분의 함유량으로는, 과산화 수소 안정성과 용액 안정성의 관점에서, 0.05 질량% 이상 2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 1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 ∼ 0.2 질량%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포스폰산계 금속 봉쇄제 이외에,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지방산 혹은 그 염,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 및/또는 고분자계 킬레이트제〔이하 (C1') 성분이라고 한다〕를 병용해도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지방산 또는 그 염이란, 탄소수 1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그 염을 의미하고, 폴리카르복실산이란 시트르산, 숙신산 등의 분자 중에 2 개 이상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분자량 1000 미만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이란 에틸렌디아민 4 아세트산 또는 그 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또는 그 염, 디에틸렌트리아민 5 아세트산 또는 그 염 등의, 아미노기에 아세트산기 또는 숙신산기가 결합된 화합물이다. 또, 고분자 킬레이트제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크로톤산 등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중합시킨 분자량이 1000 이상 100000 이하인 화합물이다. 이들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GP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법이나 광산란법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르복실산 화합물류 중, 지방산 혹은 그 염,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 및/또는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 중에서의 그들의 합계량으로는, 3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2 질량%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화 방지제〔이하 (C2) 성분이라고 한다〕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 (BHA), 토코페롤 (비타민 E), L-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브산, 카테킨, 페놀카르복실산 (염), 페놀술폰산 (염) 등을 들 수 있고, 토코페롤, 카테킨, 페놀술폰산 (염), 페놀카르복실산 (염) 이 용액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 0.1 ∼ 3 질량% 가 바람직하다.
[과산화 수소 불안정 화합물]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은, 추가로 표백 활성화제, 향료, 및 염료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과산화 수소 불안정 화합물〔이하, (D) 성분이라고 한다〕을 함유하는 것이, 세정제로서의 상품 가치를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과산화 수소 불안정 화합물이란, 분자 중에 에스테르기, 알데히드기, 아세탈기, 불포화 결합 등의, 과산화 수소에 의해 결합이 절단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들 과산화 수소 불안정 화합물은, 과산화 수소 중에서 용이하게 변성ㆍ실활되기 쉽다는 과제가 있지만, 본 발명의 과산화 수소 안정화 효과에 의해, 그들 불안정 화합물의 안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표백 활성화제)
본 명세서의 B 양태에서의 표백 활성화제는, A 양태의 것과 동일하다.
(향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향료로는, I) 알데히드계 화합물, II) 에스테르계 화합물, III) 아세탈계 화합물, IV) 락톤계 화합물, 및 V)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산화되기 쉬운 구조를 가짐으로써, 일반적으로 변성되기 쉬운 향료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향료 성분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I) 알데히드계 화합물
헥실알데히드, 헵틸알데히드, 옥틸알데히드, 노닐알데히드, 데실알데히드, 운데실알데히드, 도데실알데히드, 트리데실알데히드, 트리메틸헥실알데히드, 메틸 옥틸아세트알데히드, 메틸노닐아세트알데히드, 트랜스-2-헥세날, 시스-4-헵테날, 2,6-노나디에날, 시스-4-데세날, 운데실렌알데히드, 트랜스-2-도데세날, 트리메틸운데세날, 2,6,10-트리메틸-5,9-운데카디에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히드록시시트로넬랄, 페릴라알데히드, 메톡시디히드록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2,4-디메틸-3-시클로헥세닐카르복시알데히드, 이소시클로시트랄, 센테날 (centenal), 마이락알데히드 (myrac Aldehyde), 리랄 (lyral), 베른알데히드 (berne aldehyde), 듀피칼 (dupical), 마시알 (maceal), 보로날 (boronal), 세토날 (cetonal), 벤즈알데히드,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페닐프로필알데히드, 신나믹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히드라트로픽알데히드, 아니스알데히드, p-메틸페닐아세트알데히드, 쿠민알데히드, 시클라멘알데히드, 3-(p-t-부틸페닐)-프로필알데히드, p-에틸-2,2-디메틸히드로신나믹알데히드, 2-메틸-3-(p-메톡시페닐)-프로필알데히드, p-t-α-부틸-메틸히드로신나믹알데히드, 살리실알데히드, 헤리오트로핀, 헤리오날, 바닐린, 에틸바닐린, 메틸바닐린 등.
II) 에스테르계 화합물
포름산 에스테르, 포름산 시스-3-헥세닐, 포름산 리날릴, 포름산 시트로넬릴, 포름산 게라닐, 포름산 벤질, 포름산 페닐에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이소아밀, 시클로펜틸리덴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헥실, 아세트산 시스-3-헥세닐, 아세트산 트랜스-2-헥세닐, 아세트산 이소노닐, 아세트산 시트로넬릴, 아세트산 라반둘릴, 아세트산 게라닐, 아세트산 리날릴, 아세트산 미르세닐, 아세트산 터피닐, 아세트산 멘틸, 아세트산 멘타닐, 아세트산 노필, 아세트산 n-보르닐, 아세트산 이소보르닐, 아세트산 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 o-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 트리시클로데세닐, 아세트산 2,4-디메틸-3-시클로헥센-1-메타닐, 아세트산 벤질, 아세트산 페닐에틸, 아세트산 스티랄릴, 아세트산 신나밀, 아세트산 아니실, 아세트산 파라크레질, 아세트산 헬리오트로필, 아세틸오이게놀, 아세틸이소오이게놀, 아세트산 구아일, 아세트산 세드릴, 아세트산 베티베릴, 아세트산 데카히드로β나프틸,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프로피온산 이소아밀, 프로피온산 시트로넬릴, 프로피온산 게라닐, 프로피온산 리날릴, 프로피온산 터피닐, 프로피온산 벤질, 프로피온산 신나밀, 시클로헥실프로피온산 알릴, 프로피온산 트리시클로데세닐, 아세트산 에틸, 2-메틸부티르산 에틸, 부티르산 부틸, 부티르산 이소아밀, 부티르산 헥실, 부티르산 리날릴, 부티르산 게라닐, 부티르산 시트로넬릴, 부티르산 벤질, 이소부티르산 시스-3-헥세닐, 이소부티르산 시트로넬릴, 이소부티르산 게라닐, 이소부티르산 리날릴, 이소부티르산 벤질, 이소부티르산 페닐에틸, 이소부티르산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르산 트리시클로데세닐, 이소발레르산 에틸, 발레르산 프로필, 이소부티르산 시트로넬릴, 이소발레르산 게라닐, 이소발레르산 벤질, 이소발레르산 신나밀, 이소발레르산 페닐에틸, 카프로산 에틸, 카프로산 알릴, 에난트산 에틸, 에난트산 알릴, 카프린산 에틸, 티글린산 시트로넬릴, 옥틴산 카르복실산 메틸, 2-펜틸옥시글리콜산 알릴, 시스-3-헥세닐메틸카보네이트, 피르브산 에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레불린산 에틸, 벤조산 메틸, 벤조산 에틸, 벤조산 이소부틸, 벤조산 이소아밀, 벤조산 게라닐, 벤조산 리날릴, 벤조산 벤질, 벤조산 페닐에틸, 디히드록시디메틸 벤조산 메틸, 페닐아세트산 메틸, 페닐아세트산 에틸, 페닐아세트산 이소아밀, 페닐아세트산 게라닐, 페닐아세트산 벤질, 페닐아세트산 페닐에틸, 페닐아세트산 p-크레질, 계피산 메틸, 계피산 에틸, 계피산 벤질, 계피산 신나밀, 계피산 페닐에틸,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에틸, 살리실산 이소프틸, 살리실산 이소아밀, 살리실산 헥실, 살리실산 시스-3-헥세닐, 살리실산 벤질, 살리실산 페닐에틸, 아니스산 메틸, 아니스산 에틸, 안트라닐산 메틸, 안트라닐산 에틸, 메틸안트라닐산 메틸, 쟈스몬산 메틸, 디히드로쟈스몬산 메틸, 메틸페닐글리시드산 에틸, 페닐글리시드산 에틸, 글리코멜 (glycomel), 프락톤 (fracton), 프레이스톤 (freistone), 프레테이트 (fretate), 디베스콘 (dibescone), 에틸-2-메틸-6-펜틸-4-옥사-2-시클로헥센카보네이트 등.
III) 아세탈계 화합물
옥틸알데히드글리콜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에틸시스-3-헥세닐아세탈, 시트랄디메틸아세탈, 시트랄디에틸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에틸리날릴아세탈, 페닐아세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 히드라트로픽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 페닐아세트알데히드글리세릴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에틸페닐에틸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페닐에틸프로필아세탈, 페닐프로필알데히드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4,4,6-트리메틸-2-벤질-1,3-디옥산, 2-부틸-4,4,6-트리메틸-1,3-디옥산, 테트라히드로인데노-m-디옥산, 디메틸테트라히드로인데노-m-디옥산, 카라날 등.
IV) 락톤 화합물
γ-옥타락톤, γ-노나락톤, γ-데카락톤, γ-운데카락톤, δ-데카락톤, 쿠마린, 디히드로쿠마린, 쟈스모락톤, 쟈스민락톤 등.
V)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
α-피넨, p-피넨, 캄펜, 미르센, 리모넨, 터피놀렌, 오시멘, γ-터피넨, α-펠란드렌, p-사이멘, β-카리오피렌, β-파르네센, 1,3,5-운데카트리엔, 디페닐메탄, 트랜스-2-헥세놀, 시스-3-헥세놀, 1-옥텐-3-올, 9-데세놀, 4-메틸-3-데센-5-올, 10-운데세놀, 트랜스-2-시스-6-노나디에놀, 리날롤, 게라니올, 네롤, 시트로네롤, 미르세놀, 라반둘롤, 디히드로미르세놀, 알로시메놀 (allocimenol), 터피네올, 이소프레골, 노폴, 파네솔, 네롤리돌, 비사볼롤, 베티베롤, 2,4-디메틸-3-시클로헥센-1-메탄올, 2,2-디메틸-3-(3-메틸페닐)-프로판올, 암브리놀 (ambrinol), 신나믹알코올, 오이게놀, 이소오이게놀, 프로페닐구아에톨, 산탈롤, 박다놀, 산달마이소르 코어 (Sandalmysor core), 에바놀, 폴리산톨 네롤옥사이드, 미록사이드, 로즈옥사이드, 리메톨 (rimetol), 멘토푸란, 리날롤옥사이드, 트리시클로데세닐메틸에테르, 세드록사이드, 보이지리스 (boisiris), 에스트라골, 메틸오이게놀, 메틸이소오이게놀 등.
향료는, 알데히드기, 에스테르기, 아세탈기, 또는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전체 향료 성분 중의 50 질량% 이상, 60 ∼ 9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향료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호성과 용액 안정성 면에서, 조성물 중에 0 ∼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 질량% 가 바람직하다.
(염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염료는, 일반적으로 염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액의 착색화제로서의 염료는 물론, 형광 염료도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염료로는, 법정 색소 핸드북 (일본 화장품 공업 연락 회편), 염료 편람 (유기 합성 편람) 에 기재되어 있는 것, 및 일반적으로 세제에 배합되는 형광 염료 (형광증백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i) 유용 염료, (ii) 분산 염료, (iii) 염기성 염료, (iv) 산성 염료, (v) 직접 염료, (vi) 아조 화합물계 염료, 및 (vii) 형광 염료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염료 성분이 사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모두 산화되기 쉬운 구조를 가짐으로써, 과산화 수소의 존재 하에서는, 일반적으로 변성ㆍ무색화되기 쉬운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염료 성분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i) 유용 염료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6
(ii) 분산 염료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7
(iii) 염기성 염료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8
(iv) 산성 염료
Figure 112008038871267-pct00019
(v) 직접 염료
Figure 112008038871267-pct00020
(vi) 아조 화합물계 염료
Figure 112008038871267-pct00021
(vii) 형광 염료
4,4'-비스-(2-술포스티릴)-비페닐염, 4,4'-비스-(4-클로로-3-술포스티릴)-비페닐염, 2-(스티릴페닐)나프토티아졸 유도체, 4,4'-비스-(트리아졸-2-일)-스틸벤 유도체, 비스(트리아지닐아미노)스틸벤디술폰산 유도체 등.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형광 염료는, 의료에 대한 얼룩 형성 억제 면에서, 4,4'-비스(2-술포스티릴)-비페닐염, 및 비스(트리아지닐아미노)스틸벤디술폰산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염료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염료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데, 액색의 기호성이나 의료에 대한 섬착성 (纖着性) 의 관점에서, 액색 착색화목의 염료로 0.00001 ∼ 0.01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 0.005 질량% 이다.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히 발색되지 않고, 지나치게 많으면 의료에 섬착되어 잔존될 우려가 있다. 또, 형광 염료로는 세탁 후의 효과감과 의료에 대한 불균일 부착 억제의 관점에서 0.01 ∼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 질량% 가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은, 유기 용제〔이하 (E) 성분이라고 한다〕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과산화 수소 안정성과 용액 안정성의 관점에서, 용해도 파라미터 (δ) 가 7 이상이고 2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18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도 파라미터 (δ) 란, 유기 용제의 1 몰당의 증발열을 ΔH (cal/mol), 몰 체적을 V (㎤ㆍmol) 로 할 때, δ = (ΔH/V)1/2 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다.
용해도 파라미터 (δ) 가 7 이상 20 미만인 유기 용제의 구체예로는, 일반식 (12) 로 나타내는 화합물,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 (예를 들어,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프로피온산 메틸 등), 케톤계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톤, 디에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디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등), 에테르계 유기 용제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 다가 알코올계 유기 용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38871267-pct00022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직사슬 혹은 분기사슬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 A 는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 개의 A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n 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0 ∼ 5 의 수이다.〕
일반식 (1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 중에서는, 일반식 (12) 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사슬 함유 화합물 및 다가 알코올계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평균 EO 사슬 길이 : 1 ∼ 4),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평균 EO 사슬 길이 : 1 ∼ 4),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평균 EO 사슬 길이 : 1 ∼ 4),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용액 안정성의 관점에서, (E) 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0 ∼ 4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 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질량% 가 바람직하다.
[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과 물을 사용하여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연속상에 수성 액적을 분산, 및/또는 유화시킨 유중수형 에멀션형 조성물이며, 사용하는 물은, 미량으로 물에 용해되어 있는 금속을 제거한 이온 교환수 또는 증류수 저장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은 5 ∼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 활성제와 물에 의해 구성되는 W/0 형 구조체 (에멀션) 형성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통상적으로, 과산화 수소는 pH 가 높아지면 분해가 촉진되고, 급격하게 산소 가스가 발생하지만, W/O 형 조성물 중에 과산화 수소를 함유시킴으로써, 중성 전후의 pH 영역에서도 가스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 메커니즘은 확실하지 않지만, 미세하게 분산시킨 수상 중에 과산화 수소를 분산시킴으로써, 과산화 수소의 안정화가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표백 활성화제, 향료, 염료 등의 유기 화합물은, 과산화 수소와 접촉하면 간단하게 분해되어 버리지만, W/0 형으로 함으로써 의외로 과산화 수소 공존 하에서 높은 안정성을 실현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특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W/0 형 조성물에 있어서, 방향환을 갖는 과산화 수소 불안정 화합물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점에서,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연속층 중에 이들 불안정 화합물이 고농도로 분배되고, 수상 중의 과산화 수소와 격리함으로써, 높은 안정성이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pH]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의 20 에서의 pH 는, 3 ∼ 7,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 6 이다. 이와 같은 pH 로 조정하기 위한 pH 조정제로는 염산이나 황산 등의 무기산이나, 시트르산, 숙신산, 말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말론산, 말레산 등의 유기산의 산제나, 수산화 나트륨이나 수산화 칼륨, 암모니아나 그 유도체, 모노에탄올아민이나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염 등,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등의 알칼리제를, 단독 혹은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염산, 황산에서 선택되는 산제와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에서 선택되는 알칼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 는, 주식회사 호리바 제작소 제조의 pH METER (F-52)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준액으로서 시그마알도리치 쟈판사 제조의 프탈산염 (pH 4), 중성 인산염 (pH 7) 및 붕산염 (pH 9) 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A) 및 (B) 성분, 필요하면 (C), (D), (E) 성분 등을 물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입경]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의 수성 액적의 입경은, 1 ∼ 1000nm, 바람직하게는, 10 ∼ 100nm 인 것이, 과산화 수소의 저장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점도]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은, 20℃ 에서의 점도가 3 ∼ 1000mPaㆍs, 바람직하게는 10 ∼ 500mPaㆍs 의 범위에 있는 것이, 사용성 및 용액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의 세정 대상물로는, 의료와 같은 섬유 제품이 바람직하고, 세탁기를 사용하여 표백, 세정하는 의료 등의 섬유 제품에 응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 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가스 발생량의 측정에 사용한 장치이 다.
도 2 는 전기 전도도 측정에 의한 상(相) 상태 확인을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 유리 용기
2 눈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해 서술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대해 서술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는 아니다.
시험예 A
하기의 배합 성분을 사용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액체 세정제 (본 발명품 1 ∼ 5 및 비교품 1 ∼ 4) 를 조제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원액의 pH (20℃), 및 20℃ 의 물로 1000 용적배 희석한 후의 액체 세정제의 pH 도 표 1 에 나타낸다.
(1) 저장 후의 표백력
액체 세정제를, 30℃ 에서 1 주일 저장한 후, 3˚DH 경수를 사용하여 0.1 용량%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고, 하기에서 조제한 포도 쥬스 오염포 4 장을 세척력 시험기로 세정하였다 (80rpm × 10 분). 그 후, 포도 쥬스 오염포를 수도물로 헹굼 건조시켜, 하기 식에 의해 표백률을 구하였다.
표백률 (%) = (표백 후의 반사율-표백 전의 반사율)/(백포의 반사율 - 표백 전의 반사율) × 100
반사율은, 닛폰 전색 공업 (주) 제조 NDR - 10DP 로 460nm 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포도 쥬스 오염포의 조제)
칼피스 (주) 제조 포도 쥬스 (월치 포도 100 (유효 기한 060915)/내용량 800g의 병) 의 액에 목면금포 #2003 을 반나절 담근 후, 천을 꺼내어 자연 건조시켰다. 그 후 6cm × 6cm 의 시험포로서 재단하여 실험에 제공하였다.
(2) 저장 안정성
(2-1) 과산화 수소 안정성
저장 전 및 40℃ 1 개월 후의 액체 세정제를 1/10N 과망간산 칼륨 용액에 의해 적정하고, 유효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과산화 수소의 안정성은 다음 식으로 구하였다.
과산화 수소 안정성 (%) = (저장 후의 유효 산소 농도)/(저장 전의 유효 산소 농도) × 100
(2-2) 표백 활성화제 잔존율
저장 전 및 30℃ 1 주일 후의 액체 세정제 중의 표백 활성화제 함유량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표백 활성화제 잔존율을 구하였다.
표백 활성화제 잔존율 (%) = (저장 후의 표백 활성화제 함유량)/(저장 전의 표백 활성화제 함유량) × 100
<배합 성분>
표 중의 각 성분으로는,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a-1 ; 과산화 수소
b-1 ; 데카노일옥시-p-벤젠카르복실산
b-2 ; 이소노나노일옥시-p-벤젠술폰산 나트륨 (3,5,5-트리메틸헥사노일옥시-p-벤젠술폰산 나트륨)
b-3 ; 노나노일옥시-p-벤젠술폰산 나트륨
c-1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12)
c-2 ; C12H25O-(C2H4O)7-(C3H6O)2-(C2H4O)5-H
c'-1 ; 라우릴벤젠술폰산 나트륨
c'-2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황산 나트륨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3)
c'-3 ; N-도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메틸 황산 에스테르염
d-1 ; 이온 교환수
e-1 ; 붕산
e-2 ; 4 붕산 나트륨
f-1 ; 소르비톨
f-2 ; 글루코오스
f-3 ; 글리세린
f-4 ; 폴리알킬글루코시드, 알킬기의 탄소수 12, 평균 당 축합도 1.5)
g-1 ; 부틸디글리콜
g-2 ; 페닐트리글리콜
g-3 ; 프로필렌글리콜
h-1 ; 포스폰산계 금속 봉쇄제, 데이퀘스트 2010 (소루시아사 제조)
Figure 112008038871267-pct00023
표 중, pH 는, 48 질량% 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과 20 질량% 의 황산 수용액에 의해 조정하였다.
표 1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품 1 ∼ 5 는, 모두 비교품 1 ∼ 4 에 비해, 희석 후의 pH 가 8 을 초과하고, 매우 우수한 표백 활성화제 안정성을 갖고, 또한 현저하게 높은 저장 후의 표백률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품은, 비교품과 동등 이상의 과산화 수소 안정성을 갖는 것도 알 수 있다.
시험예 B
<평가 방법>
하기 성분을 사용하여, 표 2 에 나타내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고온 저장시의 가스 발생량, 표백 활성화제 안정성, 향 안정성, 그리고 염료 안정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용액 상태가 W/0 형을 형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으로는, 용액의 전도도 측정에 의한 연속상의 특정과, 동적 광산란법 (DLS) 에 의한 구조체의 입경 측정을 조합시킴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를 각각 표 2 에 나타낸다.
<배합 성분>
ㆍa-1 ; 과산화 수소
ㆍb-1 ; 라우릴벤젠술폰산 나트륨
ㆍb-2 ; 알파술포 지방산 에스테르염
ㆍb-3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EO 평균 부가 몰수 12)
ㆍb-4 ; C12H25O-(C2H4O)6-(C3H6O)2-(C2H4O)5-H
ㆍb-5 ; 폴리알킬글루코시드 (알킬기의 탄소수 12, 평균 당 축합도 1.5)
ㆍb-6 ;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43551 의 단락 0064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한 것.)
ㆍc-1 ; 1-히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 (소루시아사 제조, 디퀘스트 2010)
ㆍc-2 ; 4-메톡시페놀
ㆍd-1 ; 표 3 의 향료 A
ㆍd-2 ; 표 3 의 향료 B
ㆍd-3 ; 염료 (등색 403호)
ㆍd-4 ; 형광 염료 (FWA-8 : 치바ㆍ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TinopalCBS-X)
ㆍe-1 ; 프로필렌글리콜
ㆍe-2 ; 에탄올
ㆍe-3 ;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평균 EO 사슬 길이 : 2)
ㆍf-1 ; 이온 교환수
(1) 가스 발생량의 측정법
도 1 에 나타내는 유리 용기 1 (내용물 1000㎖) 에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을 충전하고, 40℃ 의 항온실에 1 개월간 정치 (靜置) 하고, 발생된 가스량 (㎖) 을 눈금 2 (100㎖ 까지 측정 가능) 에 의해 측정하였다.
(2) 향 안정성 (관능 평가)
저장 전과 비교하여, 40℃ 1 개월 보존 후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의 향 변화를,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고, 평균점으로 나타내었다.
5 ; 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다
4 ; 약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3 ;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2 ; 상당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1 ; 현저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3) 액색의 안정성 (시각 판정)
저장 전과 비교하여, 40℃ 1 개월 보존 후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의 액색의 변화를,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고, 평균점으로 나타내었다.
5 ; 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다
4 ; 약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3 ;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2 ; 상당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1 ; 현저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4) 형광 염료의 안정성 (저장 안정성)
저장 전 및 40℃ 1 개월 보존 후의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중의 형광 염료 함유량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잔존율을 구하였다.
형광 염료 잔존율 (%) = (저장 후의 형광 염료 함유량)/(저장 전의 형광 염료 함유량) × 100
<W/0 형 조성물의 확인 방법>
용액 상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확인된다. 실시예 1-1 또는 비교예 1-5 의 계면 활성제 및 용제를 사용한 용액 상태의 확인 방법을, 이하에 예시한다.
실시예 1-1 의 계면 활성제 및 용제를 사용하여 그 합계량 (질량%) 이 상이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1). 마찬가지로, 비교예 1-5 의 계면 활성제 및 용제를 사용하여 그 합계량이 상이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2-1)(표 4). 각 농도의 조성물에, 0.1M KCl 수용액을 첨가하여 전기 전도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표 4 및 도 2). 실시예 2-1 과 같이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를 고배합하면, 계면 활성제에 의한 구조체 형성이 발생하고, 연속상이 수상 (0/W) 에서부터 계면 활성제상 (W/0) 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불연속적인 굴곡점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1 과 같이 에탄올을 고배합해도, 굴곡점이 나타나지 않고, 구조체의 형성 및 변화는 확인할 수 없다.
또한, 동적 광산란법 (DLS) 을 사용하여 활성제에 의한 구조체의 입경을 추정하였다. 실시예 1-1 의 모델 조성 ((b-3) 성분/(b-4) 성분 = 35/35 및 37/37에서 측정한 결과, Is (산란광 강도)/ Io (입사광 강도) 치는 각각 0.18, 0.12 가 되고, 입경이 수 nm ∼ 수십 nm 의 역미셀의 형성이 추찰되었다.
(전기 전도도의 측정 기기)
호리바 제작소사 제조 본체 pH/COND METER (형식 : D-54) COND 전극 (형식 : 3551-10D)
(광 산란의 측정 기기)
오오츠카 전자사 제조 다이나믹 광 산란 광도계 DLS-7000H
(광 산란의 측정 조건)
입사광 ; 아르곤 레이저 (파장 (λ)) = 488nm), 산란 각도 (θ) : 90˚,
온도 ; 30℃, 5 회 측정의 평균치.
Figure 112008038871267-pct00024
향료 A 향료 B








알데히드계
화합물
옥틸알데히드 0.003 0.002
노닐알데히드 0.04 0.05
데실알데히드 0.03 0.05
운데실알코올 0.1 0.05
도데실알코올 0.1 0.001
트랜스-2-헥세날 0.3 0.05
시트랄 0.02
시트로넬랄 0.005
히드록시시트로넬랄 1.5 0.002
페릴라알데히드 0.002
마이락알데히드 0.1 0.05
리랄 4 1
벤즈알데히드 0.005 0.01
페닐아세트알데히드 0.02 0.1
신나믹알데히드 0.05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0.2 0.1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3 1
아니스알데히드 2
시클라멘알데히드 2 0.5
헤리오트로핀 1 0.2
헤리오날 0.1
바닐린 0.5 0.2
에틸바닐린 0.04







에스테르계
화합물
포름산리날린 0.5
포름산시트로넬릴 1
아세트산헥실 0.02
아세트산cis-3-헥세닐 0.1 0.02
아세트산에틸 0.05
아세트산시트로넬릴 1 0.01
아세트산라반둘릴 0.1
아세트산게라닐 0.5 0.05
아세트산리날릴 2 0.05
아세트산터피닐 0.1 0.3
아세트산이소보르닐 0.1 0.05
아세트산트리시클로데세닐 2 0.1
아세트산벤질 3 0.5
아세트산페닐에틸 0.6
아세트산스티랄릴 0.6 0.2
아세트산구아야크 0.6
아세트산세드릴 1 0.01
프로피온산시트로넬릴 0.6 0.2
프로피온산벤질 0.3 0.04
신남산에틸 0.2 0.02
살리실산메틸 0.3
살리실산벤질 10 5

아세탈계
화합물
시트랄디메틸아세탈 0.1 0.05
시트랄디에틸아세탈 0.01 0.1
아세트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 0.01
카라날 0.2 0.01


락톤
화합물
γ-노나락톤 0.2
γ-데카락톤 0.1 0.01
γ-운데카락톤 1 0.04
δ-데카락톤 0.1
쿠마린 3 0.5
쟈스모락톤 0.3
쟈스민락톤 0.02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
(방향고리 제외)
α-피넨 0.05
β-피넨 0.04
리모넨 15 25
터피놀렌 0.05
리나로롤 5 4
게라니올 5 0.2
네롤 0.15
시트로네롤 1 0.5
디히드로미르세놀 0.1 0.5
터피네올 5 0.2
신나믹알코올 0.2
산탈롤 0.1
박다놀 0.5
에바놀 0.5 0.1
폴리산톨 1 0.05
로즈옥사이드 2
멘토푸란 0.03
리나롤옥사이드 0.02



그 외
(상기 성분 이외의
화합물)
페놀에틸알코올 10 15
테트라히드로리나롤 0.5 5
히드록시트로네롤 0.4 5
벤질알코올 0.2 2
디메틸벤질칼비놀 0.5 5
디메틸페닐에틸칼비놀 1 1
페녹시에틸알코올 2 5
아세트산 0.1 0.1
헥산 0.01 0.05
벤조산 0.5 0.5
6-아세틸헥사테트랄린 0.2 8
헥사메틸헥사히드록시클로펜타벤조피란 0.2 6
세드롤 5 5
전체량 (%) 100 100
Figure 112008038871267-pct00025

Claims (17)

  1. 과산화 수소를 함유하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로서, 수성 액적이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연속상 중에 분산된 유중수형 에멀션으로 이루어지고,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조성물 중에 45 ∼ 80 질량% 이고,
    또한, 계면 활성제가, 하기 일반식 (1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13009993110-pct00029
    (식 중, R11a 는 탄소수 10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 의 평균 부가 몰수는 0 ∼ 20 의 수를 나타내고, b 의 평균 부가 몰수는 1 ∼ 5 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EO 와 PO 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표백 활성화제, 향료, 및 염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과산화 수소 불안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수성 킬레이트제 및/또는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 중,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비율이 60 질량% 이상인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용해도 파라미터 (δ) 가 7 이상 20 미만인 유기 용제를 0.5 ∼ 40 질량% 함유하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백 활성화제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11033044572-pct00026
    (식 중, R 은, 탄소수 2 ∼ 13 의 직사슬 혹은 분기사슬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킬기 (탄소수 1 ∼ 8) 치환 아릴기이다. LG 는 탈리기이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가 알데히드기, 에스테르기, 아세탈기, 또는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전체 향료 성분 중의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가 4,4'-비스-(2-술포스티릴)-비페닐염인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킬레이트제가 포스폰산계 킬레이트제, 및/또는 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제인 액체 표백성 세정제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87013074A 2005-12-28 2006-12-26 액체 세정제 KR101295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79146A JP4732166B2 (ja) 2005-12-28 2005-12-28 液体洗浄剤
JPJP-P-2005-00379146 2005-12-28
JPJP-P-2006-00139116 2006-05-18
JP2006139116 2006-05-18
PCT/JP2006/326350 WO2007077953A1 (ja) 2005-12-28 2006-12-26 液体洗浄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293A KR20080080293A (ko) 2008-09-03
KR101295457B1 true KR101295457B1 (ko) 2013-08-09

Family

ID=3822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074A KR101295457B1 (ko) 2005-12-28 2006-12-26 액체 세정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63234B2 (ko)
EP (1) EP1967579B1 (ko)
KR (1) KR101295457B1 (ko)
AU (1) AU2006334048B2 (ko)
DE (1) DE602006020181D1 (ko)
TW (1) TWI400330B (ko)
WO (1) WO2007077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9788B2 (ja) * 2007-11-12 2013-11-20 花王株式会社 衣料用液体漂白剤組成物
JP5412040B2 (ja) 2008-02-08 2014-02-12 花王株式会社 液体漂白剤組成物
JP5535452B2 (ja) * 2008-06-09 2014-07-0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洗濯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洗濯用洗剤
GB0813813D0 (en) * 2008-07-29 2008-09-03 Reckitt Benckiser Uk Ltd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JP5495663B2 (ja) * 2009-08-07 2014-05-21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636566B1 (ko) * 2009-08-21 2016-07-05 애경산업(주) 액체 세정제 조성물
WO2011047059A1 (en) * 2009-10-13 2011-04-21 Verutek Technologies, Inc. Stabilized surfactant-oxidant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PT2611310T (pt) * 2010-08-27 2017-10-02 Anitox Corp Formulação antimicrobiana
WO2012090124A2 (en) 2010-12-29 2012-07-05 Ecolab Usa Inc. IN SITU GENERATION OF PEROXYCARBOXYLIC ACIDS AT ALKALINE pH,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357337A1 (en) 2010-12-29 2018-08-08 Ecolab USA Inc. Generation of peroxycarboxylic acids at alkaline ph, and their use as textile bleaching and antimicrobial agents
DE102011016955A1 (de) 2011-04-13 2012-10-18 Clariant International Ltd. Antimikrobielle Wirkmittelzubereitung
JP4897933B1 (ja) * 2011-04-22 2012-03-14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5725961B2 (ja) * 2011-04-26 2015-05-27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5661546B2 (ja) * 2011-04-26 2015-01-28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5725986B2 (ja) * 2011-06-13 2015-05-27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FR2978166B1 (fr) * 2011-07-18 2019-06-21 Safran Landing Systems Bain de nettoyage pour pieces en alliage de metaux
WO2013025287A1 (en) * 2011-08-17 2013-02-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egradable detergents
US10736343B2 (en) 2011-10-20 2020-08-11 Anitox Corporation Antimicrobial formulations with pelargonic acid
US9321664B2 (en) 2011-12-20 2016-04-26 Ecolab Usa Inc. Stable percarboxylic aci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9242879B2 (en) 2012-03-30 2016-01-26 Ecolab Usa Inc. Use of peracetic acid/hydrogen peroxide and peroxide-reducing agents for treatment of drilling fluids, frac fluids, flowback water and disposal water
CN103173991B (zh) * 2013-02-14 2015-06-17 上海秋橙新材料科技有限公司 桑蚕紬丝织物用漂白液及桑蚕紬丝织物的漂白方法
CN103173990B (zh) * 2013-02-14 2015-06-17 上海秋橙新材料科技有限公司 腈棉混纺织物用漂白液及腈棉混纺织物的漂白方法
US20140256811A1 (en) 2013-03-05 2014-09-11 Ecolab Usa Inc. Efficient stabilizer in controlling self accelerated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peroxycarboxylic acid compositions with mineral acids
US8822719B1 (en) 2013-03-05 2014-09-02 Ecolab Usa Inc. Peroxycarboxylic acid compositions suitable for inline optical or conductivity monitoring
US10165774B2 (en) 2013-03-05 2019-01-01 Ecolab Usa Inc. Defoamer useful in a peracid composition with anionic surfactants
WO2014144091A1 (en) 2013-03-15 2014-09-18 Klear Solutions Multi-purpose, hard surface cleaner
JP6178609B2 (ja) * 2013-04-26 2017-08-09 花王株式会社 液体賦香剤組成物
US9816055B2 (en) * 2015-03-24 2017-11-14 Gestalt Scientific Corporation Composition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photo- and thermal-oxidative bleaching of pink-stains
AU2016335680B2 (en) 2015-10-07 2020-03-05 Elementis Specialties, Inc. Wetting and anti-foaming agent
EP3472295B1 (en) 2016-06-16 2021-07-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s with spot prevention surfactant
GB2557343A (en) * 2016-12-08 2018-06-20 Reckitt Benckiser Vanish Bv Composition
US10828245B2 (en) * 2017-03-16 2020-11-10 G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whitening teeth
US11932833B2 (en) 2021-02-18 2024-03-19 The Clorox Company Stable activated peroxide sanitizing liquid compositions without added phosphorous compounds or cationic surfactants
CN115261159A (zh) * 2022-07-15 2022-11-01 武汉诚载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滤布清洗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595A (ja) * 1996-07-01 1998-03-17 Lion Corp 液体酸素系漂白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962A (en) 1986-09-02 1990-03-20 Colgate-Palmolive Co. Laundry pre-spotter comp. providing improved oily soil removal
CA1283511C (en) 1986-09-02 1991-04-30 Colgate-Palmolive Laundry pre-spotter composition providing improved oily soil removal
JP2688844B2 (ja) 1989-06-15 1997-12-10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漂白剤組成物
US5827447A (en) 1991-05-15 1998-10-27 Kao Corporation Liquid bleaching agent composition
MX9207050A (es) 1991-12-19 1993-06-01 Ciba Geigy Ag Dispersion de blanqueador estable durante el almacenamiento
JP2669590B2 (ja) * 1992-11-18 1997-10-29 花王株式会社 液体漂白剤組成物及びその製法
PT687726E (pt) 1994-06-17 2000-09-29 Procter & Gamble Composicoes de branqueamento
US5880079A (en) 1994-06-17 1999-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eaching compositions
DE69525526T2 (de) 1995-03-27 2002-10-31 Procter & Gamble Flüssige aktivierte Bleichmittelzusammensetzungen
US5776877A (en) * 1995-05-25 1998-07-07 The Clorox Company Liquid peracid precursor colloidal dispersions: macroemulsions
BR9612283A (pt) 1995-11-27 1999-07-13 Procter & Gamble Composição para o tratamento de manchas em peças de roupa e métodos de tratamento
JPH1072597A (ja) * 1996-07-01 1998-03-17 Lion Corp 液体酸素系漂白性組成物
US6020300A (en) * 1996-09-16 2000-0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treating stains on laundry items and methods of treatment
JPH1150099A (ja) 1997-08-06 1999-02-23 Lion Corp 液体酸素系漂白剤組成物
JP3766746B2 (ja) 1997-12-24 2006-04-19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漂白剤組成物
JPH11181491A (ja) 1997-12-24 1999-07-06 Lion Corp 液体漂白剤組成物
GB9901957D0 (en) * 1999-01-29 1999-03-17 Yplon S A Cleaning formulation
JP2003503582A (ja) 1999-06-28 2003-01-2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発泡系を含んでなる水性液体洗剤組成物
JP2002338997A (ja) 2001-05-18 2002-11-27 Lion Corp 液体漂白性組成物
JP2003268398A (ja) 2002-03-15 2003-09-25 Lion Corp 液体漂白性組成物
JP4476659B2 (ja) 2004-03-24 2010-06-09 花王株式会社 繊維製品の洗浄方法
JP4732144B2 (ja) 2004-11-19 2011-07-27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4785124B2 (ja) 2004-11-19 2011-10-05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4785123B2 (ja) 2004-11-19 2011-10-05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CN101061210B (zh) 2004-11-19 2012-02-29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涤剂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595A (ja) * 1996-07-01 1998-03-17 Lion Corp 液体酸素系漂白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34048B2 (en) 2011-10-20
EP1967579A4 (en) 2009-12-23
KR20080080293A (ko) 2008-09-03
EP1967579A1 (en) 2008-09-10
DE602006020181D1 (de) 2011-03-31
WO2007077953A1 (ja) 2007-07-12
TW200728451A (en) 2007-08-01
EP1967579B1 (en) 2011-02-16
TWI400330B (zh) 2013-07-01
AU2006334048A1 (en) 2007-07-12
US7863234B2 (en) 2011-01-04
US20090249557A1 (en)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457B1 (ko) 액체 세정제
CA1156404A (en) Aqueous bleach compositions
JP4732166B2 (ja) 液体洗浄剤
JP473214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4996970B2 (ja) 液体漂白性洗浄剤組成物
AU2005307532B2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3766746B2 (ja) 液体漂白剤組成物
JPH10501296A (ja) 疎水性ブライトナー、親水性界面活性剤および疎水性界面活性剤を含む水性エマルション
JP5618605B2 (ja) 衣料用液体漂白剤組成物
JP4141947B2 (ja) 液体漂白性組成物
JP5234557B2 (ja) 液体漂白剤組成物
JP2009263466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3874832B2 (ja) 液体漂白剤組成物
JP4186037B2 (ja) 漂白性組成物
JP5567255B2 (ja) 衣料用液体漂白剤組成物
JP4123361B2 (ja) 漂白性組成物
JP5079235B2 (ja) 液体漂白剤組成物
JP6031371B2 (ja) 衣類用の液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85424A (ja) 繊維製品の洗浄方法
JPH0734094A (ja) 液体漂白剤組成物
JP2011122071A (ja) 液体漂白剤組成物
JP2000144187A (ja) 液体酸素系漂白性組成物
JP2014159546A (ja) 脱色剤、漂白剤組成物、および脱色方法
JP2006169370A (ja) 液体酸素系漂白剤組成物および刺激低減方法
JP2000144200A (ja) 液体酸素系漂白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