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880B1 - 금속 패키지 - Google Patents

금속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880B1
KR101271880B1 KR1020070096953A KR20070096953A KR101271880B1 KR 101271880 B1 KR101271880 B1 KR 101271880B1 KR 1020070096953 A KR1020070096953 A KR 1020070096953A KR 20070096953 A KR20070096953 A KR 20070096953A KR 101271880 B1 KR101271880 B1 KR 10127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mouth
container
cap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209A (ko
Inventor
히사시 나카지마
히로시 사토
미츠오 쿠마타
기요히사 가이토
가츠히토 이치무라
신야 마츠모토
고지 기타노
Original Assignee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마우스부를 갖는 금속 용기와, 상기 마우스부에 체결되는 라이너를 갖는 금속 캡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캡의 라이너(17)는 그 원주방향 외부 단부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외부 링(20)과, 외부 링(20)의 내측에서 하향 현수되는 내부 링(21)을 구비하고, 외부 링(20)의 내면은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하며,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캡을 상측 방향으로부터 압박하면서 상부 패널로부터 스커트에 이르는 코너부를 드로우-성형하여, 외부 링의 내면이 용기의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에 형성된 측벽부의 외면과 긴밀하게 접촉하고, 상기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내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 돌출부는 용기의 마우스부의 하측 컬부의 외측부와 긴밀하게 접촉한다. 패키지는 TE 밴드에 연결되는 브릿지의 파괴 이전에 밀봉이 파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유리하게 재밀봉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패키지{METALLIC PACKAGE}
본 발명은 금속 용기와 이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에 체결되는 금속 캡을 포함하는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에 체결된 금속 캡은 일반적으로 상부 패널과, 상부 패널의 원주방향 에지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스커트와, 상부 패널의 내면에 부착 고정되는 플라스틱 라이너를 포함한다. 스커트의 하단에는, 파열 가능한 브릿지를 통하여 TE 밴드(Tamper evident band)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 캡으로 용기의 마우스부를 둘러싸서 결합(wrap-seaming)할 때에, 용기의 마우스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대응하도록 스커트에 형성된 나사부가 용기의 마우스부에 체결된다. 캡에 있어서, 상부 패널의 내면에는 라이너가 부착 고정된다. 라이너는 용기의 마우스부의 상단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용기를 밀봉한다.
금속 캡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캡을 개방되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기의 마우스부로부터 나사 결합이 해제되어, 캡을 용기의 마우스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에, TE 밴드는 용기의 마우스부의 하부와 결합하므로, 상승이 제한된다. 따라서 TE 밴드를 스커트에 연결하는 브릿지가 파괴되고, TE 밴드가 스커트로부터 분리된다. 즉, TE 밴드는 개방된 후에 캡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결과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캡이 개방된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개봉 증거(TE: tamper evidence)로 지칭되며, 용기가 함부로 개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의 품질을 보장하는 관점에서 캡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그러나 금속 용기에 있어서는, TE 밴드로 둘러싸여 결합되는 용기의 마우스부에서의 플랜지의 형상을 예각으로 형성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방 시에, TE 밴드는 상향으로 약간 이동한 후에, 용기의 마우스부에 고정된다. 그 후, 브릿지가 파괴된다. 따라서 캡이 개방되면, TE 밴드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파괴되기 전에 라이너에 의한 밀봉이 파괴된다(밀봉의 파괴). 즉, 브릿지가 파괴되기 전에 캡이 큰 각도에 걸쳐 회전하여, 브릿지 파괴에 앞서 밀봉이 파괴된다.
브릿지가 파괴되기 전에 밀봉이 파괴되면, 브릿지가 파괴된 사실(즉, TE 밴드가 분리된 사실)에 의해 밀봉이 파괴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없으며, 개봉 증거는 만족스럽지 않게 된다.
전술한 불편을 피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1은,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의 상단 외측에 컬부(curled portion)가 형성되어 있고, 금속 캡의 라이너의 원주방향 외부 에지부에 원형 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링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내측을 향해 만곡되는(내측으로 돌출하는) 내면을 갖는 것인 패키지를 개시하고 있다.
캡의 스커트를 회전시킴으로써 패키지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 라이너의 원형 링에 있는 내면의 하단이 상승하여 용기의 마우스부의 상단의 컬부와 긴밀하게 접 촉한다. 따라서 회전 각도는 밀봉이 파괴되기 전에 크게 되며, 그 결과 TE 밴드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파괴되기 전에는 밀봉의 파괴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특허 문헌 1 : JP-A-2006-188279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기 패키지에 있어서는, 재밀봉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일단 용기의 마우스부로부터 제거된 (TE 밴드가 떨어져 분리되어 있는) 캡을 용기의 마우스부에 다시 체결할 때에는,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이 용기의 마우스부의 상단의 컬부에 의해 걸려서 캡을 통상의 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라이너가 외부 링과 내부 링을 구비하며, 외부 링의 내면으로부터 내부 링의 외면에 이르는 전체 표면이 용기의 마우스부의 상단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어 밀봉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개봉에 큰 토크가 필요한데, 즉 개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E 밴드를 연결하는 브릿지의 파괴 이전에 밀봉이 파괴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재밀봉이 유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기와 이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에 체결되는 금속 캡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에 작은 토크가 요구되어 금속 캡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부를 갖는 금속 용기와, 이 마우스부에 체결되는 금속 캡을 포함하는 패키지가 제공되며,
상기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는 그 상단에 형성된 상측 컬부(curled portion)와, 이 상측 컬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현수되는 측벽부와, 이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측 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캡은 상부 패널과, 이 상부 패널의 원주방향 에지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스커트와, 상부 패널의 내면에 부착 고정되는 플라스틱 라이너를 구비하며, 스커트의 하단에는 파열 가능한 브릿지를 매개로 TE 밴드(tamper evident ban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캡의 라이너는 원주방향 외부 단부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외부 링과 이 외부 링의 내측에서 하향 현수되는 내부 링을 구비하며,
외부 링의 내면은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 상에 금속 캡이 배치되어 있고,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가 외부 링과 내부 링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외부 링의 내면이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에 형성된 측벽부의 외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캡을 상측 방향으로부터 압박하는 중에 상부 패널로부터 스커트에 이르기까지 코너부가 드로우-성형되고(draw-formed), 상기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내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 돌출부는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의 하측 컬부의 외측부와 긴밀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패키지에 있어서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라이너의 원주방향 외부 에지부에는, 상부 패널의 내면에 부착되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2) 상기 내부 돌출부는 측벽부의 외면을 지나서 0.03 내지 0.65 mm의 길이에 걸쳐 내측으로 돌출한다.
(3) 상기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과 외부 링의 외면의 하단 사이의 표면은 그 내면측으로부터 그 외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한다.
(4)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가 캡으로 둘러싸여 결합(wrap-seam)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의 외부 링과 내부 링 사이에 위치한 표면에 있어서 내부 링 측에 위치한 부분 또는 외부 링 측에 위치한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5) 상기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과 외부 링의 외면의 하단 사이의 테이퍼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10 내지 70도의 각도(θ)로 경사져 있다.
(6)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측벽부의 하부 외측의 위치에서 상기 외부 링의 원주방향 외면과 스커트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패키지의 캡을 개방할 때에, 라이너의 외부 링에 있는 내면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 돌출부가 상승하여 용기의 마우스부의 상단의 측벽부 및 상부 컬부와 긴밀한 접촉을 유지한다. 따라서 밀봉이 파괴되기 전에 증가된 각도에 걸쳐 캡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TE 밴드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파괴되기 전에 밀봉이 파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마우스부에 체결되기 전의 상태에서, 캡의 외부 링의 내면은 수 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한다. 게다가, 코너부는 드로우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의 마우스부로부터 제거된 캡을 용기의 마우스부에 다시 체결할 때(재밀봉할 때), 외부 링의 내부 돌출부로 인하여, 라이너의 외부 링은 용기의 마우스부에 있는 개방 단부의 외면(상측 컬부와 측벽부의 외면)을 따라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재밀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패널의 내면에 부착되지 않은 영역이 라이너의 반경방향 외부 에지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재밀봉할 때에, 라이너의 외부 링에 증가된 자유도가 부여되어, 라이너의 외부 링이 용기의 마우스부에 있는 개방 단부의 외면(상측 컬부와 측벽부의 외면)을 따라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재밀봉을 용이하게 달성한다.
또한, 라이너의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과 외부 링의 외면의 하단 사이의 표면은 그 내면측으로부터 그 외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테이퍼진다. 따라서 재밀봉할 때에, 테이퍼면은 가이드로서 작용하며, 라이너의 외부 링이 용기의 마우스부에 있는 개방 단부의 외면(상측 컬부와 측벽부의 외면)을 따라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게 하여, 재밀봉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키지에 있어서, 용기의 마우스부가 캡으로 둘러싸여 결합(wrap-seam)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의 외부 링과 내부 링 사이에 위치한 표면에 있어서 내부 링 측에 위치한 부분 또는 외부 링 측에 위치한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이 용기의 마우스부에 체결되는 상태에서, 라이너의 표면 압력은 용기의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에 대하여 감소한다. 그 결과, 개방하는 데에 작은 토크가 필요하며, 금속 캡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측벽부의 하부 외측의 위치에서 상기 외부 링의 원주방향 외면과 스커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을 때, 재밀봉할 때에 라이너의 외부 링에 증가된 자유도가 부여되어, 라이너의 외부 링이 용기의 마우스부에 있는 개방 단부의 외면(상측 컬부와 측벽부의 외면)을 따라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재밀봉을 용이하게 달성한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키지는 대략 1로 지시된 마우스부를 갖는 금속 용기와 대략 3으로 지시된 캡으로 구성된다.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는 그 상단에 형성된 상측 컬부(1a; curled portion)와, 이 상측 컬부(1a)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현수되는 측벽부(1b)와, 이 측벽부(1b)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측 컬부(1c)를 구비한다(도 2 참조). 또한,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의 하측에는 쇼울더부(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쇼울더부(5)는 하향 연장하고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쇼울더부(5)의 하측에는 나사부(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부(7)의 하측에는 플랜지부(9)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금속 캡(3)은 상부 패널(10)과, 이 상부 패널(10)의 원주방향 에지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스커트(11)를 포함한다. 스커트(11)의 상부에는 배 기를 위한 수평 슬릿(12)이 형성되어 적절한 간극을 유지하고, 스커트(11)의 하단에는 파열 가능한 브릿지(13)를 매개로 TE 밴드(15)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상부 패널(10)의 내면에는 플라스틱 라이너(17)가 부착 고정된다.
도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스커트(11)에는 용기의 마우스부(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7)와 결합하도록 나사부(19)가 형성되어 있고, 캡(3)은 나사부의 결합에 의해 용기의 마우스부(1)에 강하게 고정된다. 또한, TE 밴드(15)의 하부는 용기의 마우스부(1)의 플랜지부(9)와 결합하도록 드로우-성형되어 있다.
하향 현수되는 외부 링(20)이 라이너(17)의 원주방향 외부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하향 현수되는 내부 링(21)이 외부 링(20)에 대하여 간극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가 외부 링(20)과 내부 링(2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예정된 밀봉을 달성한다.
전술한 구조의 패키지에 있어서, 금속 캡(3)이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부의 결합이 해제되고, 스커트(11)가 상승하여 캡(3)을 용기의 마우스부(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TE 밴드(15)는 용기의 마우스부(1)의 플랜지부(9)와 결합 상태로 남아 있어서, 상승이 제한된다. 따라서 캡(3)이 개방되면, TE 밴드(15)를 연결하는 브릿지(13)가 파괴된다. 그 결과, TE 밴드(15)는, 용기의 마우스부(1)로부터 제거되는 캡(3)으로부터 절단되고, 캡(3)이 개방된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 시에, TE 밴드(15)를 연결하는 브릿지(13)가 파괴되기 전에 라이너(17)에 의한 밀봉이 파괴될 경우에는, 개봉 증거가 불만족스럽게 된다. 따라 서 브릿지(13)가 파괴된 후에 밀봉이 파괴되도록 할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일단 개방되어 용기의 마우스부(1)로부터 제거되고, TE 밴드(15)가 분리되어 있는 캡(3)을 사용하여 용기의 마우스부(1)에 다시 체결할 수 있다(즉, 재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라이너(17)는 이하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라이너(17)의 원주방향 외부 에지부를 따라 상부 패널(10)의 내면에 부착되지 않는 영역(X)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너(17)는 영역 X를 제외한 부분에서 상부 패널(10)의 내면에 부착 고정된다. 부착되지 않는 영역(X)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드로우 가공에 의해 유리한 밀봉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라이너(17)의 외부 링(20)의 내면(20a)은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한다. 외부 링(20)의 내면(20a)의 하단과 외면(20b)의 하단 사이의 표면은 내면(20a)측으로부터 외면(20b)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테이퍼면(20c)을 형성한다.
또한, 예정된 양으로 채워져 있는 용기의 마우스부(1) 상에 캡(3)이 배치되어 있고,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가 외부 링(20)과 내부 링(2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캡(3)을 상측 방향으로부터 압박하면서 상부 패널(10)로부터 스커트(11)에 이르는 코너부를 드로우-성형함으로써 밀봉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예정된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스커트(11)와 TE 밴드(15)는 용기의 마우스부(1)의 외면과 합치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부(19)는 용기의 마우스부(1)의 나사부(7)와 결합하도록 스커트(11)에 형성되어 있고, TE 밴드(15)의 하단에는 용기의 마우스부(1)에 형성된 플랜지부(9)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착되지 않은 영역(X)이 라이너(17)의 원주방향 외부 에지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우-성형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라이너(17)의 외부 링(20)과 내부 링(21) 사이의 표면은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의 상측 컬부(1a)와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고, 외부 링(20)의 내면(수직면)(20a)은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에 형성된 측벽부(1b)의 외면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며, 내측으로 돌출하는 내부 돌출부(23)가 외부 링(20)의 내면(20a)의 하단에 형성되어 용기의 마우스부(1)의 하측 컬부(1c)의 외부와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어, 밀봉 구조를 형성한다.
내부 링(21)은, 캡(3)이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을 때 센터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링(21)의 외면은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의 내면과 약간 접촉하지만, 밀봉 구조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너(17)를 형성하는 캡(3)이 개방되어 있을 때, 외부 링(20)의 내면(20a)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 돌출부(23)가 상승하여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에 있는 측벽부(1b)의 외면과 긴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도 4의 (a) 참조]. 캡(3)이 더욱 개방됨에 따라, 내부 돌출부(23)는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의 상측 컬부(1a)와 긴밀하게 접촉하게 된다[도 4의 (b) 참조]. 결국, 내부 돌출부(23)는 상측 컬부(1a)로부터 분리되어, 밀봉이 파괴되고, 캡(3)이 용기의 마우스부(1)로부터 제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캡(3)이 개방될 때에, 밀봉 구조는 외부 링(20)에 형성된 내부 돌출부(23)가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의 측벽부(1b)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유지되며, 개방 개시 후에 짧은 시간 내에 밀봉이 파괴된다. 따라서 밀봉이 파괴되기 전에 TE 밴드(15)를 연결하는 브릿지(13)가 파괴되며, 캡(3)의 브릿지(13)가 파괴되지 않았다는 것은 밀봉 구조가 파괴되지 않았음을 확실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유리한 개봉 증거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에 있는 측벽부(1b)의 길이(L)(도 2 참조)는 0.5 내지 2.3 m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길이가 너무 짧으면, 개방의 개시부터 밀봉의 파괴까지의 시간이 짧게 되며, 브릿지(13)는 밀봉이 파괴된 후에 용이하게 파괴되기 쉽다.
일단 용기의 마우스부(1)로부터 제거되고 TE 밴드(15)가 분리되어 있는 캡(3)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밀봉할 수 있다. 즉, 캡(3)은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 상에 배치되고, 밀봉 방향으로 회전된다. 마지막으로, 캡(3)은 도 4의 (b)의 상태로부터 도 4의 (a)의 상태를 거쳐 도 2에 도시된 최하측 상태로 하강하여 밀봉 구조를 다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링(20)의 내면(20a)의 하단과 외면(20b)의 하단 사이의 표면은 하향 경사지는 테이퍼면(20c)을 형성한다. 따라서 테이퍼면(20c)은 라이너(17)를 도 4의 (b)에 도시된 위치 관계로 용이하게 안내하도록 작용하여 전술한 재밀봉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상기 테이퍼면(20c)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외부 링(20)의 내면(20a)의 하단과 외면(20b)의 하단 사이의 표면이 수평면을 형성하면, 이 표면은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에 있는 상측 컬부(1a)에 의해 걸리게 되므로, 재밀봉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없고, 밀봉에 매우 큰 토크를 필요로 하게 된다. 테이퍼면(20c)이 외부 링(20)의 내면(20a)의 하단으로부터 외면(20b)의 하단까지 반드시 계속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내면(20a)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재밀봉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외부 링(20)의 내면(20a)의 하단을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테이퍼면(20c)은 수평면에 대하여 10 내지 70도 범위의 테이퍼각(θ)(도 2 참조)을 갖는다. 테이퍼각(θ)이 상기 범위 밖의 값을 가지면, 테이퍼면(20c)은 안내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재밀봉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캡(3)이 용기의 마우스부(1)에 체결되기 전의 상태에서, 라이너(17)의 외부 링(20)에 있는 내면(20a)의 하단과 외면(20b)의 하단 사이의 표면은 적절한 각도(예컨대, 도 3에 있어서 수평면에 대하여 약 5도 내지 약 50의 각도 θ')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테이퍼각(θ)은 외부 링(20)이 드로우-성형으로 인해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상태로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측벽부(1b)의 외면을 넘어서 돌출하는 내부 돌출부(23)의 돌출 길이가 0.03 내지 0.65 mm의 범위로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그 길이가 너무 짧으면, 개방 시에 밀봉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와 달리, 그 길이가 너무 길면, 재밀봉을 달성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도 4의 (a) 및 (b)로부터 명확하듯이, 스커트(11)와 외부 링(20)의 외부 원주면 사이에 간극(26)을 형성할 때에, 외부 링(20)은 재밀봉 시에 외측으로 확대되는데, 즉 재밀봉이 원활하게 달성된다.
라이너(17)의 원주방향 외부 에지부를 따라 형성된, 상부 패널(10)의 내면에 부착되지 않은 영역(X)을 참고하면, 그 내측 단부(X')가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에 있는 상측 컬부(1a)의 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 mm의 범위로 위치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부착되지 않은 영역(X)의 내부 단부(X')가 내측으로 과도하게 연장되면, 외부 링(20)이 너무 휘어진다. 따라서, 캡이 개방될 경우, 내부 돌출부(23)는 측벽부(1b) 또는 상측 컬부(1a)와 충분히 긴밀하게 접촉하지 않고, 브릿지(13)가 파괴되기 전에 밀봉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부착되지 않은 영역(X)에 대응하는 라이너의 외부 원주부가 하향 현수될 수 있고, 캡이 용기의 마우스부에 잘 체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부착되지 않는 영역(X)의 내부 단부(X')가 과도하게 외측에 위치하면, 부착되지 않은 영역(X')의 길이가 너무 짧게 되고, 드로우-성형 시에 외부 링(20)이 소량으로만 변형되어, 예컨대 내부 돌출부(23)를 형성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상기 라이너(17)는, 예컨대 상부 패널과 스커트를 포함하는 쉘을 형성하고, 이 쉘에 접착제와 이형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에서 라이너 성형 재료인 용융 수지를 상부 패널의 예정된 부분에 떨어트리고, 용융 수지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에 필요한 토크를 줄이면서 개방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라이너(17)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즉, 도 5 및 도 6은, 캡(3)이 둘러싸는 결합(wrap-seaming)에 의해 용기의 마우스부(1)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에서의 라이너(17)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의 예에서, 외부 링(20)과 내부 링(21) 사이에서 내부 링(21)측에 위치한 부분에 위치한 표면에 오목부(25)가 형성된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외부 링(20)과 내부 링(21) 사이에서 외부 링(20)측에 위치한 부분에 위치한 표면에 오목부(25)가 형성된다. 이들 예에서, 캡(3)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마우스부(1)에 체결될 때에, 오목부(25)는 찌그러지며, 외부 링(20)과 내부 링(21) 사이에 위치한 표면은 용기의 마우스부(1)의 개방 단부에 있는 상측 컬부(1a)에 프레스 접촉하는 상태로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어느 경우에든, 상기 표면과 상측 컬부(1a) 사이의 긴밀한 접촉력은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개방을 방해하는 마찰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개방에 필요한 토크가 감소하여 개방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도 6의 예에서는, 라이너(17)를 프레스-성형할 때에, 부착되지 않은 영역(X)의 하측에 형성된 외부 링(20)은 성형 후에 금속 몰드를 제거할 때에 금속 몰드에 의해 끌려갈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링(20)이 오목부(25)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하향 현수될 수 있어, 체결 시에 용기의 마우스부에 잘 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형의 관점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링(21)측에 위치한 부분에 오목부(25)를 형성하여 개방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키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절반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패키지에서 캡의 라이너와 용기의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가 서로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패키지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캡을 도시하는 절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패키지를 개방함으로써 용기의 마우스부로부터 캡을 제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용기의 마우스부와 함께 본 발명의 패키지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캡의 주요 부분을, 용기의 마우스부가 캡으로 둘러싸여 결합되기 전의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용기의 마우스부와 함께 본 발명의 패키지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캡의 주요 부분을, 용기의 마우스부가 캡으로 둘러싸여 결합되기 전의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Claims (7)

  1. 마우스부를 갖는 금속 용기와, 이 마우스부에 체결되는 금속 캡을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상기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는 그 상단에 형성된 상측 컬부(curled portion)와, 이 상측 컬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현수되는 측벽부와, 이 측벽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측 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캡은 상부 패널과, 이 상부 패널의 원주방향 에지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스커트와, 상부 패널의 내면에 부착 고정되는 플라스틱 라이너를 구비하며, 스커트의 하단에는 파열 가능한 브릿지를 매개로 TE 밴드(tamper evident ban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캡의 라이너는 원주방향 외부 단부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외부 링과 이 외부 링의 내측에서 하향 현수되는 내부 링을 구비하며,
    외부 링의 내면은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 상에 금속 캡이 배치되어 있고,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가 외부 링과 내부 링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외부 링의 내면이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의 개방 단부에 형성된 측벽부의 외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캡을 상측 방향으로부터 압박하는 중에 상부 패널로부터 스커트에 이르기까지 코너부가 드로우-성형되고(draw-formed), 상기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내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 돌출부는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의 하측 컬부의 외측부와 긴밀하게 접촉하는 것인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원주방향 외부 에지부에는, 상부 패널의 내면에 부착되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부는 측벽부의 외면을 지나서 0.03 내지 0.65 mm의 길이에 걸쳐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과 외부 링의 외면의 하단 사이의 표면은 그 내면측으로부터 그 외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것인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용기의 마우스부가 캡으로 둘러싸여 결합(wrap-seam)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의 외부 링과 내부 링 사이에 위치한 표면에 있어서 내부 링 측에 위치한 부분 또는 외부 링 측에 위치한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인 패키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링의 내면의 하단과 외부 링의 외면의 하단 사이의 테이퍼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10 내지 70도의 각도(θ)로 경사져 있는 것인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측벽부의 하부 외측의 위치에서 상기 외부 링의 원주방향 외면과 스커트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인 패키지.
KR1020070096953A 2006-09-21 2007-09-21 금속 패키지 KR101271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5283A JP5046320B2 (ja) 2006-09-21 2006-09-21 金属製包装体
JPJP-P-2006-00255283 2006-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209A KR20080027209A (ko) 2008-03-26
KR101271880B1 true KR101271880B1 (ko) 2013-06-05

Family

ID=3922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953A KR101271880B1 (ko) 2006-09-21 2007-09-21 금속 패키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73309A1 (ko)
EP (1) EP1939104B1 (ko)
JP (1) JP5046320B2 (ko)
KR (1) KR101271880B1 (ko)
CN (1) CN101148208B (ko)
DE (1) DE60200700456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1435A (ja) * 2007-02-19 2008-09-04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JP5038934B2 (ja) * 2008-02-22 2012-10-0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と容器蓋との組合せ
JP4911792B2 (ja) * 2009-05-23 2012-04-04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ライナー付き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
JP5349916B2 (ja) * 2008-11-14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JP5414616B2 (ja) * 2010-05-14 2014-02-12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金属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
WO2013146116A1 (ja) * 2012-03-30 2013-10-03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キャップの製造方法
US9291784B2 (en) * 2013-03-05 2016-03-2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ealing component, optical device sealing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sealing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device sealing structure
EP4023565A1 (en) * 2014-01-28 2022-07-06 G3 Enterprises, Inc. Cap liner for carbonated and oxygen sensitive beverages
CN106232494A (zh) * 2014-04-15 2016-12-14 日本克乐嘉制盖株式会社 加压饮料用的密闭容器及其制造方法
JP6626622B2 (ja) * 2014-06-27 2019-12-25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金属製キャップとその製造方法
AT516972B1 (de) * 2015-04-02 2019-02-15 Red Bull Gmbh Flasche mit einer Verschlusskappe
MX2015008677A (es) * 2015-07-03 2017-01-02 Fabricas Monterrey Sa De Cv Tapa-casquillo con junta adaptada para obturar una botella metálica.
US20180044155A1 (en) 2016-08-12 2018-02-15 Bal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Capping Metallic Bottles
MX2019009745A (es) * 2017-02-16 2020-02-07 Ball Corp Aparato y metodo para formar y aplicar tapas a prueba de robo giratorias en cuellos roscados de contenedores de metal.
JP6515952B2 (ja) * 2017-05-19 2019-05-22 東洋製罐株式会社 ボトル缶、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及びボトル缶の製造方法
CN107161514A (zh) * 2017-06-28 2017-09-15 山东丽鹏股份有限公司 密封金属制容器盖
US11185909B2 (en) 2017-09-15 2021-11-30 Bal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metallic closure for a threaded container
CN110027789B (zh) * 2018-01-12 2020-10-30 义乌市易开盖实业公司 一种防漏扭开盖
CN110027790B (zh) * 2018-01-12 2021-05-28 义乌市易开盖实业公司 防盗金属包装容器
CN110254942B (zh) * 2018-03-12 2021-07-16 义乌市易开盖实业公司 带有容料槽的防漏金属包装容器
CN110615174B (zh) * 2018-06-19 2022-05-06 义乌市易开盖实业公司 具有安全提醒结构的包装容器
JP2020015548A (ja) * 2018-07-27 2020-01-30 大和製罐株式会社 キャップ
CN110902128A (zh) * 2018-09-18 2020-03-24 义乌市易开盖实业公司 安全易开启的金属包装容器
JP7447443B2 (ja) * 2018-12-04 2024-03-12 アルテミラ製缶株式会社 缶体
KR102443711B1 (ko) * 2022-02-07 2022-09-16 세왕금속공업(주)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775A (en) 1976-03-11 1978-09-19 Japan Crown Cork Co., Ltd. Cap with sealing liner
US4463863A (en) 1979-12-19 1984-08-07 Toyo Seikan Kaisha, Ltd. Closure including an improved liner
JP2001213417A (ja) 1999-11-26 2001-08-07 Takeuchi Press Ind Co Ltd 高い密閉性を保持できるねじ付金属缶
JP2006188279A (ja) 2005-01-07 2006-07-20 Daiwa Can Co Ltd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付き缶容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2872B1 (en) * 1999-10-01 2001-03-20 Alcoa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Composite closure with enhanced sealing
JP4301534B2 (ja) * 1999-11-11 2009-07-22 大和製罐株式会社 ネジ付き缶用キャップの密封ライナー構造
CN1209269C (zh) * 2000-05-05 2005-07-06 戈菲特公开有限公司 带衬垫的塑料盖
JP4041357B2 (ja) * 2002-06-25 2008-01-30 北海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ボトル
JP4368657B2 (ja) * 2003-10-29 2009-11-18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キャップ、キャップ付ボトル缶
JP4503308B2 (ja) * 2004-02-13 2010-07-1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金属薄板製容器のための容器蓋
JP2005297981A (ja) * 2004-04-07 2005-10-27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蓋
JP4716490B2 (ja) * 2005-03-29 2011-07-06 大和製罐株式会社 ネジ付き缶用キャップの密封ライナー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775A (en) 1976-03-11 1978-09-19 Japan Crown Cork Co., Ltd. Cap with sealing liner
US4463863A (en) 1979-12-19 1984-08-07 Toyo Seikan Kaisha, Ltd. Closure including an improved liner
JP2001213417A (ja) 1999-11-26 2001-08-07 Takeuchi Press Ind Co Ltd 高い密閉性を保持できるねじ付金属缶
JP2006188279A (ja) 2005-01-07 2006-07-20 Daiwa Can Co Ltd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付き缶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9104A1 (en) 2008-07-02
DE602007004563D1 (de) 2010-03-18
EP1939104B1 (en) 2010-01-27
JP5046320B2 (ja) 2012-10-10
KR20080027209A (ko) 2008-03-26
CN101148208A (zh) 2008-03-26
US20080073309A1 (en) 2008-03-27
JP2008074440A (ja) 2008-04-03
CN101148208B (zh)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880B1 (ko) 금속 패키지
JP5804847B2 (ja) キャップ
US6260721B1 (en) Plastic cap
US6016931A (en) Cap separable from bottle at the time of disposal
EP0679584A1 (en) Plastic cap
CA2427582C (en) Opening device
JP5669597B2 (ja) 分別廃棄用ヒンジキャップ
WO2019003940A1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6068151A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having pilfer band
JP4745648B2 (ja) 中栓付複合容器蓋
WO2001087725A1 (fr) Capuchon en resine synthetique, et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correspondants
JP5317387B2 (ja) 中栓、中栓付複合容器蓋及びワンピースキャップ
JP4947268B2 (ja) 容器蓋及び蓋付き密封容器
JP4349680B2 (ja) 樹脂製キャップ
JP2013082488A (ja) 金属製キャップ付き容器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4560298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性を有する上蓋を備えたヒンジキャップ
JP2019210054A (ja) 封緘部付きキャップ
JP7220950B2 (ja) キャップのシール構造
JPH09142506A (ja) 分別廃棄性を有するキャップ
JP2004331190A (ja) 内圧開放特性を有する容器蓋
JP2006062690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4369549B2 (ja) 樹脂製キャップ
WO2020039851A1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H10245052A (ja) 樹脂製キャップ
JP2024041700A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