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711B1 -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 Google Patents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711B1
KR102443711B1 KR1020220015797A KR20220015797A KR102443711B1 KR 102443711 B1 KR102443711 B1 KR 102443711B1 KR 1020220015797 A KR1020220015797 A KR 1020220015797A KR 20220015797 A KR20220015797 A KR 20220015797A KR 102443711 B1 KR102443711 B1 KR 10244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
seal liner
bottle
cont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찬
Original Assignee
세왕금속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왕금속공업(주) filed Critical 세왕금속공업(주)
Priority to KR102022001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4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 B65D51/145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connected directly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씰 라이너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구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병구 상단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씰 라이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와 상기 씰 라이너는 분리 형성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병목의 배출을 위한 오프닝 토크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병구와 병마개와 결합 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씰 라이너가 몸체와 분리 형성되어 병마개의 오픈 시, 개전힘 즉 오프닝 토크를 저감시켜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병마개를 쉽게 개전할 수 있는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Seal liner removable bottle cap}
본 발명은 병구와 병마개와 결합 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씰 라이너가 몸체와 분리 형성되어 병마개의 오픈 시, 개전힘 즉 오프닝 토크를 저감시켜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병마개를 쉽게 개전할 수 있는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병마개의 성형공정과 병 내지 용기에 체결공정은 라이너 재료를 용융하여 병마개 몸체 하단에 몰딩 성형하여 몸체와 라이너가 일체형으로 체결된다.
또한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 후 캡핑 기계로 용기와 병마개를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잠그거나(Plastic cap, Lug Cap), 또는 롤링(Rolling)하거나(Ropp Cap), 또는 압착(Crown Twist Off Cap)하는 방식으로 체결하여 내용물의 기밀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병마개의 몸체와 라이너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용기와의 체결을 위해 캡핑(Capping) 기계로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때 체결되는 힘은 대표적으로 몸체가 가지고 있는 것과 라이너가 병구와 체결된 힘이 있다.
이 힘은 토크단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소비자가 음용을 위해 제품 개봉 시, 일정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냉장 보관 시에는 몸체와 라이너의 수축에 따른 토크 상승으로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 개전하는 것이 쉽지 않아 타인에게 요청하여야 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64065호(2010.06.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병구와 병마개와 결합 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씰 라이너가 몸체와 분리 형성되어 병마개의 오픈 시, 개전 힘 즉 오프닝 토크를 저감시켜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병마개를 쉽게 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씰 라이너에 부착되어 몸체의 상측 내면과 접하는 접촉필름을 구비하고, 접촉필름과 몸체 간의 접촉면에 다수의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접촉필름과 몸체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씰 라이너와 몸체 간의 분리는 물론이고, 몸체의 오프닝 동작과 무관하게 씰 라이너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는 병구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병목의 상단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씰 라이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와 상기 씰 라이너는 분리 형성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병목의 배출을 위한 오프닝 토크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씰 라이너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의 상측 내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접촉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촉필름에는 상기 몸체의 상측 내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접촉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는 병구와 병마개와 결합 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씰 라이너가 몸체와 분리 형성되어 병마개의 오픈 시, 개전힘 즉 오프닝 토크를 저감시켜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병마개를 쉽게 개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씰 라이너에 부착되어 몸체의 상측 내면과 접하는 접촉필름을 구비하고, 접촉필름과 몸체 간의 접촉면에 다수의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접촉필름과 몸체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씰 라이너와 몸체 간의 분리는 물론이고, 몸체의 오프닝 동작과 무관하게 씰 라이너가 동작할 수 있어 제품의 기능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구와 결합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씰 라이너와 접촉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씰 라이너(20) 분리형 병마개(BC)는 몸체(10)와, 씰 라이너(20) 및 접촉필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기존의 병마개의 성형공정과 병 내지 용기에 체결공정은 라이너 재료를 용융하여 병마개 몸체 하단에 몰딩 성형하여 몸체와 라이너가 일체형으로 체결된다.
또한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 후 캡핑 기계로 용기와 병마개를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잠그거나(Plastic cap, Lug Cap), 또는 롤링(Rolling)하거나(Ropp Cap), 또는 압착(Crown Twist Off Cap)하는 방식으로 체결하여 내용물의 기밀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병마개의 몸체와 라이너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용기와의 체결을 위해 캡핑(Capping) 기계로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때 체결되는 힘은 대표적으로 몸체가 가지고 있는 것과 라이너가 병구와 체결된 힘이 있다.
이 힘은 토크단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소비자가 음용을 위해 제품 개봉 시, 일정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냉장 보관 시에는 몸체와 라이너의 수축에 따른 토크 상승으로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 개전하는 것이 쉽지 않아 타인에게 요청하여야 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병마개(BC)의 몸체(10)와 씰 라이너(20)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씰 라이너(20) 분리형 병마개(BC)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는 병구(BE)와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병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몸체(10)는 다양한 병 내지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병의 종류에 따라서는 몸체(10)의 원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또는 병마개(BC) 외측을 스커트 형태의 주름을 접어 병과 체결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하단에는 오픈 전에 병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라인 형성되는 목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씰 라이너(20)는 몸체(1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병구(BE) 상단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씰 라이너(20)는 기존 병마개(BC)의 라이너와 달리 몸체(10)와 분리되어 병마개(BC)의 오픈 시, 몸체(10)의 회전동작과 별도로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 병마개(BC)처럼 병마개(BC)의 오픈 시, 라이너와 병구(BE)의 체결된 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아주 작은 힘으로도 병마개(BC)를 개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몸체(10)와 분리된 씰 라이너(20)는 몸체(10)에 종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병마개(BC)의 오픈 시, 몸체(10)는 회전하여도 씰 라이너(20)는 회전하지 않고 병구(BE)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씰 라이너(20)는 병구(BE) 상단에 밀착을 통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환형의 테두리에 홈 형상으로 구성되는 밀폐부(21)가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몸체(10)와 분리된 씰 라이너(20)에는 씰 라이너(20) 상면에 부착되어 몸체(10)의 상측 내면에 접하는 접촉필름(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접촉필름(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접촉을 통해 몸체(10)로부터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씰 라이너(20)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된다. 즉 씰 라이너(20)의 경우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소재 특성 상, 몸체(10)의 내면과 접촉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하여 병마개(BC)의 오픈 시, 개전 힘 즉 오프닝 토크가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촉필름(30)이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필름(30)은 마찰력을 최소활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소재로서 PP, PE 기타 다양한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접촉필름(30)과 몸체(10)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촉필름(30) 상면에는 다수의 접촉돌기(31)(도 4 (b) 도시 참조)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촉돌기(31)는 몸체(10)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병마개(BC)의 오픈 시, 개전 힘에 대한 반력을 최소화하여 몸체(10)의 동작으로부터 씰 라이너(20)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씰 라이너(20) 분리형 병마개(BC)는 병마개(BC)의 오픈 시, 개전 힘 즉 오프닝 토크를 저감시켜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병마개(BC)를 쉽게 개전할 수 있다.
또한 씰 라이너(20)에 부착되어 몸체(10)의 상측 내면과 접하는 접촉필름(30)을 구비하고, 접촉필름(30)과 몸체(10) 간의 접촉면에 다수의 접촉돌기(31)를 형성하여 접촉필름(30)과 몸체(10)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씰 라이너(20)와 몸체(10) 간의 분리는 물론이고, 몸체(10)의 오프닝 동작과 무관하게 씰 라이너(20)가 작동될 수 있어 기능성을 담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BE : 병구
BC : 병마개
10 : 몸체
20 : 씰 라이너
21 : 밀폐부
30 : 접촉필름
31 : 접촉돌기

Claims (3)

  1. 병구(BE)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병구(BE) 상단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씰 라이너(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0)와 상기 씰 라이너(20)는 분리 형성되어 상기 몸체(10)로부터 상기 병구(BE)의 분리를 위한 오프닝 토크를 감소시키고,
    상기 씰 라이너(20)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10)의 상측 내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접촉필름(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접촉필름(30)에는 상기 몸체(10)의 상측 내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접촉돌기(3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15797A 2022-02-07 2022-02-07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KR10244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797A KR102443711B1 (ko) 2022-02-07 2022-02-07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797A KR102443711B1 (ko) 2022-02-07 2022-02-07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711B1 true KR102443711B1 (ko) 2022-09-16

Family

ID=8344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797A KR102443711B1 (ko) 2022-02-07 2022-02-07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7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209A (ko) * 2006-09-21 2008-03-26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패키지
KR20100064065A (ko) 2008-12-04 2010-06-14 문삼주 병뚜껑
CN101891031A (zh) * 2009-05-23 2010-11-24 环宇制罐株式会社 带衬垫的瓶盖以及带瓶盖的带螺纹容器
KR20130033453A (ko) * 2010-07-14 2013-04-03 스레들리스 클로져스 리미티드 용기용 폐쇄체
KR20170028354A (ko) * 2014-06-27 2017-03-13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제 캡과 그 제조방법
KR20170002178U (ko) * 2015-12-11 2017-06-21 윤선희 용기 밀폐용 보조마개
KR20190118550A (ko) * 2017-02-15 2019-10-18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제 본체 및 합성 수지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덮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209A (ko) * 2006-09-21 2008-03-26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패키지
KR20100064065A (ko) 2008-12-04 2010-06-14 문삼주 병뚜껑
CN101891031A (zh) * 2009-05-23 2010-11-24 环宇制罐株式会社 带衬垫的瓶盖以及带瓶盖的带螺纹容器
KR20130033453A (ko) * 2010-07-14 2013-04-03 스레들리스 클로져스 리미티드 용기용 폐쇄체
KR20170028354A (ko) * 2014-06-27 2017-03-13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제 캡과 그 제조방법
KR20170002178U (ko) * 2015-12-11 2017-06-21 윤선희 용기 밀폐용 보조마개
KR20190118550A (ko) * 2017-02-15 2019-10-18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제 본체 및 합성 수지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6159B2 (en) Twist open closure having inclined frangible membrane
US4401227A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cap
US4487326A (en) Carbonated beverage package
EP0208413A2 (en) Closure with snap type hinge cap
AU2011278174A1 (en) Closure for a container
MXPA06004751A (es) Cierre de apertura por torsion que tiene membrana frangible inclinada.
JP2014508693A (ja) 容器用分配キャップ
US6102227A (en) Snap-on cap with twist on/off reclosure lid
EP3950528A1 (en) Capping device intended to be fixed on the neck of a container
US5772076A (en) Hot fill dispensing closure
CN109562869B (zh) 盖子
US3820678A (en) Tamper-proof closure
CA2492900A1 (en) Beverage closure with open/close spout
BR0115517A (pt) Conjunto de fecho de recipiente, e, recipiente de bebida
US20100140268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removable membrane
US5678735A (en) Rupturable stopper for a pouring spout
US11273959B2 (en) Container with lid and detachable lid collar
US3830392A (en) Plastic self-reclosing safety cap with elastic spring
US5503282A (en) Closure for pressurized container
CN109153479B (zh) 包括显窃启装置的容器盖
KR102443711B1 (ko)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US3120908A (en) One-piece plastic resealing spout
RU2272765C2 (ru) Вы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блокировкой и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вы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2587327A (en) Resilient cap and container closed thereby
US20040188375A1 (en) Linerless plastic closure with a sealing 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