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789B1 -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789B1
KR101268789B1 KR1020100137575A KR20100137575A KR101268789B1 KR 101268789 B1 KR101268789 B1 KR 101268789B1 KR 1020100137575 A KR1020100137575 A KR 1020100137575A KR 20100137575 A KR20100137575 A KR 20100137575A KR 101268789 B1 KR101268789 B1 KR 10126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mold
lower mold
insert sheet
textur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755A (ko
Inventor
김형곤
이민호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137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789B1/ko
Priority to US13/993,538 priority patent/US20130256956A1/en
Priority to JP2013547299A priority patent/JP2014501646A/ja
Priority to CN2011800638676A priority patent/CN103282179A/zh
Priority to PCT/KR2011/009425 priority patent/WO2012091314A2/ko
Priority to EP11854222.4A priority patent/EP2660029A4/en
Publication of KR20120075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6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thermoforming operation
    • B29C51/268Cutting, rearranging and joining the cu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7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B29C45/372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e.g. number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인서트 시트를 진공 성형함과 동시에 인서트 시트에 텍스처링 패턴을 전사시킬 수 있는 진공 금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금형은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이격 배치되는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에 형성되는 텍스처링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서트 시트가 진공압을 통하여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텍스처링 패턴이 상기 인서트 시트에 전사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 시트는 위로부터 표면 보호층, 장식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시트의 표면 보호층 및 장식층이 하부 금형의 텍스처링 패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텍스처링 패턴은 상기 홈의 바닥면 및 측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금형.

Description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VACUUM MOLD AND VACUUM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서트 시트를 진공 성형함과 동시에 인서트 시트에 텍스처링 패턴을 전사시킬 수 있는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서트 시트를 이용한 사출품에 형성되는 인쇄 무늬는 사출품에 도장을 하거나 점착시트를 붙임으로써 만들어내는 인쇄 무늬에 비하여 시트 위에 인쇄 무늬를 구현하기 때문에 구현할 수 있는 인쇄 무늬가 다양하다.
특히, 상기 인서트 시트를 이용한 사출품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발생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장식층이 표면 보호층에 의해 보호되므로 손상이 적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인서트 시트를 이용한 사출품은 자동차의 내장재 및 외장재, 가전제품의 케이스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반면, 인서트 시트는 입체감을 가지는 장식 효과를 나타내기가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인서트 시트의 성형 방법의 경우, 진공 성형 단계에서 입체 무늬 효과가 드러나는 장식층을 윗면으로 하여 기재층 방향에 놓여진 진공 금형을 주형으로 하여 성형을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인서트 시트 표면의 형상은 평면을 유지하게 되고, 입체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엠보싱 공정을 통해 인서트 시트의 표면에 질감을 부여하더라도, 고온의 진공 성형 공정으로 인하여 입체 효과가 사라지거나, 또는 둔화되어 원하는 입체적인 무늬를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인서트 시트의 성형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표면에 통상적으로 UV 경화형의 잉크층을 이용하여 입체 무늬를 시트에 부여하고, 이러한 시트를 상기와 같은 진공 성형 공정을 통해 성형하여 입체 무늬를 구현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공법도 UV 경화형 잉크의 고온 성형성의 한계로 도트 타입의 불연속적인 입체 무늬 만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UV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인서트 시트를 진공 성형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인서트 시트에 입체감 및 심미감을 갖는 텍스처링 패턴을 구현시킬 수 있는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은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이격 배치되는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에 형성되는 텍스처링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서트 시트가 진공압을 통하여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텍스처링 패턴이 상기 인서트 시트에 전사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 시트는 위로부터 표면 보호층, 장식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시트의 표면 보호층 및 장식층이 하부 금형의 텍스처링 패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텍스처링 패턴은 상기 홈의 바닥면 및 측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은 롤 형태로 권취된 인서트 시트를 예열하는 단계; 상기 예열된 인서트 시트를 표면에 텍스처링 패턴을 구비한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상부에서 합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금형을 갖는 진공 금형의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합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예열된 인서트 시트를 진공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성형에 의하여,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된 텍스처링 패턴이 상기 예열된 인서트 시트에 전사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 시트는 위로부터 표면 보호층, 장식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시트를 진공 금형 내에 투입시, 상기 인서트 시트의 표면 보호층 및 장식층이 상기 하부 금형의 텍스처링 패턴과 마주보도록 배치하며,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텍스처링 패턴은 상기 홈의 바닥면 및 측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공으로 텍스처링 패턴을 구비한 하부 금형을 눌러주면서 진공압을 이용하여 인서트 시트를 얇게 늘려 원하는 형태로 진공 성형함과 동시에 인서트 시트의 장식층에 하부 금형에 구비된 텍스처링 패턴을 전사시키는 것을 통해 입체 무늬의 질감이 심미적으로 살아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시트의 진공 형성과 동시에 인서트 시트에 텍스처링 패턴을 전사시키는 연속 공정으로 진행되므로 공정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시트가 적층된 사출 성형품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100)은 상부 금형(120) 및 하부 금형(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공 금형(100)은 공압 펌프(130) 및 진공 펌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금형(120)은 뼈대를 이루는 몸체(122) 및 상기 몸체(12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공압 홀(12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120)은 후술할 하부 금형(140)을 이용하여 인서트 시트(미도시)를 진공 성형할 시, 상기 인서트 시트가 하부 금형(140)에 보다 용이하게 흡착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만약, 상부 금형(120)의 진공압만으로 진공 성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상부 금형(120)은 생략하는 것도 무방하다.
하부 금형(140)은 상부 금형(120)과 이격된 하부에 배치되는 몸체(142) 및 상기 몸체(14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진공 홀(14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120)과 마주보는 하부 금형(140)의 표면에는 텍스처링 패턴(16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금형(120)과 하부 금형(140)은 서로에 대하여 수직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120)과 하부 금형(140)이 수직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금형(120)과 하부 금형(140)은 수평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바,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 금형 몸체(142)는 하부 금형 몸체(142)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H)을 구비하며, 상기 텍스처링 패턴(160)은 홈(H)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텍스처링 패턴(160)은 홈(H)의 바닥면과 더불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금형(140)의 표면에 형성된 텍스처링 패턴(160)은 후술할 인서트 시트(도 3의 200)에 그 문양을 전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텍스처링 패턴(160)은 하부 금형 몸체(140)의 홈(H) 바닥면을 원하는 문양을 갖도록 레이저 절삭 가공을 수행하거나, 에칭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120) 및 하부 금형(140)은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 구체적으로는 탄소강, 합금강,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재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공압 펌프(130)는 상부 금형(12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 금형(12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압 펌프(130)는 상부 금형 몸체(12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공압 홀(124)과 연결되는 공압 공급관(126)을 통하여 공압 홀(124)에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진공 펌프(150)는 하부 금형(1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 금형(140)에 진공압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진공 펌프(150)는 하부 금형 몸체(14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진공 홀(144)과 연결되는 진공 공급관(146)을 통하여 진공 홀(144)에 진공압을 공급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진공 금형(100)은 하부 금형(140)의 상부에 투입되는 인서트 시트(미도시)가 진공압을 통하여 하부 금형(140)의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텍스처링 패턴(160)이 인서트 시트에 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 금형(120) 및 하부 금형(140)의 사이 공간으로 이송된 인서트 시트는 진공 성형을 위하여 텍스처링 패턴(160)을 구비한 하부 금형(14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데, 이때 하부 금형(140)을 상승시켜 인서트 시트의 모양을 성형함과 동시에 하부 금형(140)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인서트 시트가 하부 금형(140)의 모양에 맞게 흡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하부 금형(140)이 인서트 시트의 바닥면보다 약간 상승한 상태에서 진공압을 제공하여 인서트 시트를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하부 금형(140)의 모양이 복잡하거나 성형성이 부족할 경우에는 상부 금형(120)의 일측과 연결되는 공압 펌프(130)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공압 공급관(126) 및 공압 홀(124)을 매개로 인서트 시트에 가하는 압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인서트 시트 및 하부 금형(140) 간의 밀착성이 좋아지도록 하여 진공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은 인서트 시트 예열 단계(S110) 및 인서트 시트 진공 성형 단계(S120)를 포함한다.
인서트 시트 예열 단계
인서트 시트 예열 단계(S110)에서는 롤 형태로 권취된 인서트 시트(200)를 히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적정한 온도로 예열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서트 시트 예열 단계(S110)를 수행한 후, 표면에 텍스처링 패턴(160)을 포함하는 하부 금형(140)과 상기 하부 금형(140) 상부에서 합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금형(120)을 포함한 진공 금형(100)의 내부로 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인서트 시트 예열 단계(S110)는 인서트 시트(200)의 앞 부분이 진공 금형(100) 내에 투입되는 동안 진공 금형(110) 내에 투입되지 않는 뒷 부분에 대하여 히터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연속 공정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120)은 뼈대를 이루는 몸체(122) 및 상기 몸체(12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공압 홀(124)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금형(140)은 상부 금형(120)과 이격된 하부에 배치되는 몸체(142) 및 상기 몸체(14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진공 홀(14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텍스처링 패턴(160)은 상부 금형(120)과 마주보는 하부 금형(140)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진공 금형(100)은 공압 펌프(130) 및 진공 펌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압 펌프(130)는 상부 금형 몸체(122)의 내부를 관통하는 공압 홀(124)과 연결되는 공압 공급관(126)을 통하여 진공 금형(10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진공 펌프(150)는 하부 금형 몸체(122)의 내부를 관통하는 진공 홀(144)과 연결되는 진공 공급관(146)을 통하여 진공 금형(100)에 진공압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인서트 시트(200)는,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부터 표면 보호층(210), 장식층(220) 및 기재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210)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고급스러운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인서트 시트(200)의 가공과정 및 사용환경으로부터 내부의 장식층(2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표면 보호층(210)은 투명하고 내후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층(220)은 표면 보호층(210)의 하면에 배치되며, 우레탄계, 아크릴계 및 비닐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층(220)은 그라비아 인쇄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장식층(220)은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금속 박막코팅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기재층(230)은 인서트 시트(200)의 기계적 물성에 크게 관여하는 층으로 우수한 성형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기재층(230)의 재질로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C(Polycarbonate) 및 PVC(Polyvinyl chlorid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인서트 시트 예열 단계(S110)시, 상부 금형(120) 및 하부 금형(140) 사이에 투입되는 인서트 시트(200)는 장식층(220) 및 표면 보호층(210)이 하부 금형(140)의 텍스처링 패턴(160)과 마주보는 역방향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 시트 진공 성형 단계
도 4를 참조하면, 인서트 시트 진공 성형 단계(S120)에서는 상부 금형(120) 및 하부 금형(140)이 서로 맞닿도록 승강 및 하강시켜 상기 상부 금형(120)과 하부 금형(140)의 사이 공간에 투입된 예열된 인서트 시트(200)를 진공 성형한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120)의 가장자리는 인서트 시트(200) 및 하부 금형(140)과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부 금형(140)의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설계되고 내부에 빈 공간인 캐비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인서트 시트(200)는 하부 금형(140)과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인서트 시트 진공 성형 단계(S120)시, 상기 하부 금형(140)은 인서트 시트(200)와의 직접적인 접촉 및 진공압을 통하여 인서트 시트(200)를 텍스처링 패턴(160)을 구비한 하부 금형(140)에 흡착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하부 금형(140)에 흡착된 인서트 시트(200)를 진공 성형하는 과정에서 하부 금형(140)의 모양이 복잡하거나 성형성이 부족할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 내에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압공으로 인서트 시트(200)와 입체무늬패턴(160)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인서트 시트(200)의 성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 금형(120)에 연결된 공압 펌프(130)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공압 공급관(126) 및 공압 홀(124)을 통하여 진공 금형(100)의 내부에 제공하고, 상기 하부 금형(140)에 연결된 진공 펌프(150)로부터의 진공압을 진공 공급관(146) 및 진공 홀(144)을 통하여 진공 금형(100)의 내부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압 펌프(130)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압공으로 하부 금형(140)을 눌러주면서, 상기 진공 펌프(150)로부터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인서트 시트(200)를 얇게 늘려 원하는 형태로 진공 성형을 수행할 경우, 상기 진공 금형(100)의 하부 금형(140)에 형성된 텍스처링 패턴(160)이 예열된 인서트 시트(200)의 인쇄층(도 6의 220)에 입체적 및 심미적으로 전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 시트(200)의 진공 성형과 동시에 인서트 시트(200)에 텍스처링 패턴(160)이 전사되는 연속 공정으로 진행되므로 공정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 시트(200)의 진공 성형과 동시에 인서트 시트(200)에 텍스처링 패턴(160)으로부터의 입체 무늬가 전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압공 및 진공압을 이용하여 인서트 시트(200)에 텍스처링 패턴(160)을 전사하고 나서, 상기 인서트 시트(200)를 진공압을 이용하여 진공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인서트 시트(200)를 진공압을 이용하여 진공 성형하고 나서, 압공 및 진공압을 이용하여 인서트 시트(200)에 텍스처링 패턴(160)을 전사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서트 시트 진공 성형 단계(S120)를 수행한 후, 진공 성형된 인서트 시트(도 4의 200)를 트리밍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리밍하는 단계에서는 진공 성형된 인서트 시트를 제외한 불필요한 성형 부분을 트리밍하여 제거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시트가 적층된 사출 성형품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트리밍 단계 후에는 진공 성형된 인서트 시트(도 4의 200)를 사출 금형(250) 내에 삽입시킨 후 열 및 압력을 이용하여 용융된 수지를 사출기(260)로부터 사출 금형(250) 내에 사출하여 사출 성형품(300)에 인서트 시트를 적층하는 사출품 형성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 시트의 장식층에 전사된 인쇄 무늬는 사출 과정에의 열 및 압력에도 그 무늬가 사라지거나 둔화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입체적 및 심미적인 무늬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공으로 텍스처링 패턴을 구비한 하부 금형을 눌러주면서 진공압을 이용하여 인서트 시트를 얇게 늘려 원하는 형태로 진공 성형함과 동시에 인서트 시트의 장식층에 텍스처링 패턴을 전사시키는 것을 통해 입체 무늬의 질감이 입체적 및 심미적으로 살아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시트 진공 형성과 동시에 인서트 시트에 텍스처링 패턴을 전사시키는 연속 공정으로 진행되므로 공정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진공 금형 120 : 상부 금형
122 : 상부 금형 몸체 124 : 압공 홀
126 : 압공 공급관 130 : 압공 펌프
140 : 하부 금형 142 : 하부 금형 몸체
144 : 진공 홀 146 : 진공 공급관
150 : 진공 펌프 160 : 텍스처링 패턴
H : 홀

Claims (12)

  1.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과 이격 배치되는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에 형성되는 텍스처링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서트 시트가 진공압을 통하여 상기 하부 금형의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텍스처링 패턴이 상기 인서트 시트에 전사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 시트는 위로부터 표면 보호층, 장식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시트의 표면 보호층 및 장식층이 하부 금형의 텍스처링 패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텍스처링 패턴은 상기 홈의 바닥면 및 측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진공 홀; 및
    상기 진공 홀과 연결되는 진공 공급관을 통해 상기 진공 홀에 진공압을 공급하는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금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금형은
    상기 상부 금형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공압 홀; 및
    상기 공압 홀과 연결되는 공압 공급관을 통해 상기 공압 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금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롤 형태로 권취된 인서트 시트를 예열하는 단계;
    상기 예열된 인서트 시트를 표면에 텍스처링 패턴을 구비한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상부에서 합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금형을 갖는 진공 금형의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합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예열된 인서트 시트를 진공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성형에 의하여,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된 텍스처링 패턴이 상기 예열된 인서트 시트에 전사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 시트는 위로부터 표면 보호층, 장식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시트를 진공 금형 내에 투입시, 상기 인서트 시트의 표면 보호층 및 장식층이 상기 하부 금형의 텍스처링 패턴과 마주보도록 배치하며,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텍스처링 패턴은 상기 홈의 바닥면 및 측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시트 진공 성형 단계 후,
    상기 진공 성형된 인서트 시트를 제외한 성형 부분을 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성형 단계시,
    상기 상부 금형에 연결된 공압 펌프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상기 진공 금형에 제공하고, 상기 하부 금형에 연결된 진공 펌프로부터의 진공압을 상기 진공 금형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금형을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KR1020100137575A 2010-12-29 2010-12-29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KR101268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75A KR101268789B1 (ko) 2010-12-29 2010-12-29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US13/993,538 US20130256956A1 (en) 2010-12-29 2011-12-07 Vacuum mold having reverse solid pattern, and vacuum-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3547299A JP2014501646A (ja) 2010-12-29 2011-12-07 逆方向立体模様パターンを備えた真空金型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成形方法
CN2011800638676A CN103282179A (zh) 2010-12-29 2011-12-07 具有反向立体图案的真空模具和使用该模具的真空成型方法
PCT/KR2011/009425 WO2012091314A2 (ko) 2010-12-29 2011-12-07 역방향 입체무늬패턴을 구비한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EP11854222.4A EP2660029A4 (en) 2010-12-29 2011-12-07 VACUUM FORM WITH INVERTED SOLID PATTERN AND VACUUM FORMING PROCESS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75A KR101268789B1 (ko) 2010-12-29 2010-12-29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755A KR20120075755A (ko) 2012-07-09
KR101268789B1 true KR101268789B1 (ko) 2013-05-29

Family

ID=4638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575A KR101268789B1 (ko) 2010-12-29 2010-12-29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56956A1 (ko)
EP (1) EP2660029A4 (ko)
JP (1) JP2014501646A (ko)
KR (1) KR101268789B1 (ko)
CN (1) CN103282179A (ko)
WO (1) WO20120913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119A (zh) * 2013-06-13 2013-12-11 李建勇 超薄浮雕保护壳套制造方法
DE102015104902B4 (de) * 2015-03-30 2019-09-05 Webasto SE Vorrichtung zum Anformen eines Formabschnitts an ein plattenartiges Werkstück mit Vakuumkammer
CN105666890A (zh) * 2016-02-04 2016-06-15 叶志杰 一种模内标异形/曲面成型方法及装置
KR102045494B1 (ko) 2016-03-17 2019-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전지케이스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102224362B1 (ko) * 2018-08-24 2021-03-08 주식회사 크레파머티리얼즈 고경도 코팅막이 형성된 플라스틱 시트 성형 장치
CN110856984A (zh) * 2018-08-24 2020-03-03 深圳市美好创亿医疗科技有限公司 热压加工模具及纺织层热压包覆螺纹软管
KR102224363B1 (ko) * 2018-08-24 2021-03-08 주식회사 크레파머티리얼즈 고경도 코팅막이 형성된 플라스틱 시트 성형 방법
WO2021038944A1 (ja) * 2019-08-29 2021-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積層ワーク成形装置
CN113024092B (zh) * 2019-12-25 2023-03-28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一种锻吸复合成型玻璃表面纹理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2325A (en) * 1962-04-19 1964-10-14 Shelley M L & Partners Ltd An improved pressure forming process for thermoplastic sheet material
US4423000A (en) * 1980-10-17 1983-12-27 Syoichi Teraoka Method for molding hollow plastic articles
JPS6036214U (ja) * 1983-08-20 1985-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熱成形装置
JPH04282224A (ja) * 1991-03-12 1992-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空成形装置
US5295804A (en) * 1992-07-27 1994-03-22 Dinnan Timothy P Female mold including decorating insert for differential pressure forming
JP3132925B2 (ja) * 1992-11-04 2001-02-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H07108596A (ja) * 1993-10-12 1995-04-25 Himeji Takiron Kako Kk アンダーカット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採光部材
JP2954535B2 (ja) * 1996-07-31 1999-09-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US6029962A (en) * 1997-10-24 2000-02-29 Retama Technology Corporation Shock absorbing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JP3830658B2 (ja) * 1998-04-22 2006-10-04 しげる工業株式会社 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切離工具
JP4249323B2 (ja) * 1999-04-27 2009-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US6749794B2 (en) * 2001-08-13 2004-06-15 R + S Technik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components with molded-in surface texture
WO2003033234A1 (fr) * 2001-10-10 2003-04-24 Sakaeriken Kogyo Co.,Ltd. Procede de production de moulages en plastique avec motifs textures
JP4088958B2 (ja) * 2002-11-29 2008-05-21 日本精機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シート
JP4578128B2 (ja) * 2004-03-16 2010-11-10 十条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成形品
KR20060033598A (ko) * 2004-10-15 2006-04-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하중센서 어셈블리
JP2008023882A (ja) * 2006-07-24 2008-02-07 Kimoto & Co Ltd 表面に印刷層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80033598A (ko) * 2006-10-12 2008-04-17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WO2008065946A1 (fr) * 2006-12-01 2008-06-05 Tanazawa Hakkosha Co., Ltd. Moule pour moulage de résine, procédé de fabrication de moule pour moulage de résine, et produit moulé à base de résine
KR20090072864A (ko) * 2007-12-29 2009-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과성 및 광확산성을 가지는 기재시트를 포함하는 인서트성형용 시트
KR20090103827A (ko) * 2008-03-28 2009-10-0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장식 필름
JP2009234159A (ja) * 2008-03-28 2009-10-15 Dainippon Printing Co Ltd 成形用加飾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01646A (ja) 2014-01-23
CN103282179A (zh) 2013-09-04
WO2012091314A2 (ko) 2012-07-05
EP2660029A2 (en) 2013-11-06
EP2660029A4 (en) 2016-11-02
US20130256956A1 (en) 2013-10-03
WO2012091314A3 (ko) 2012-09-13
KR20120075755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89B1 (ko)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성형방법
KR101423799B1 (ko) 엠보싱 장식 사출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3189181B (zh) 成膜装置和成膜方法
WO2008036690A3 (en) In-mold lamination of decorative products
CN101850591A (zh) 模内装饰成型方法及模制品
JP5115918B2 (ja) 樹脂成形品の表面加飾方法
KR20120012564A (ko) 입체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AU2017208280A1 (en) Decorated thermoplastic film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332533B1 (ko) 인몰드 장식 필름을 이용한 인서트 사출방법
US20090179342A1 (en) Process for In-molding Labels onto Plastic During a Hybrid Thermoforming-injection Molding Process
JP5194681B2 (ja) エンボス加飾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CN116814173A (zh) 一种膜片、具有可触摸纹理的塑胶件及其制作工艺
JP4028337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JP4357804B2 (ja) 成形加飾用シート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US20030077420A1 (en) Vacuum assisted thermolamination of three-dimensional inherently non-porous substrates and laminated articles therefrom
JP2016210012A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4313282B2 (ja) 金属調装飾部品の製造方法、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金属調装飾部品成形金型
JP2019162745A (ja) 樹脂成形品
JP5061975B2 (ja) 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5240358B2 (ja) 凹凸加飾射出成形品
TW201507839A (zh) 模內成型浮雕結構與製法
JP2001310414A (ja) 光輝性加飾シートと光輝性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4189008A (ja) 金属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64746A (ko) 입체 효과를 갖는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9317B1 (ko) 천연소재 질감을 갖는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