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507B1 - 곤로용 버너 - Google Patents
곤로용 버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5507B1 KR101225507B1 KR1020110086931A KR20110086931A KR101225507B1 KR 101225507 B1 KR101225507 B1 KR 101225507B1 KR 1020110086931 A KR1020110086931 A KR 1020110086931A KR 20110086931 A KR20110086931 A KR 20110086931A KR 101225507 B1 KR101225507 B1 KR 1012255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ner
- annular wall
- flame
- head
-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과제]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헤드(3)와 버너캡(4) 사이의 외주부분에, 오덕의 오덕폴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오덕 합치부분(5)의 사이에 위치시킨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6)를 형성한 곤로용 버너로서, 주조한 후나 단조한 후의 절삭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상하방향 길이가 충분한 슬릿 화염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화염전이성도 양호한 것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버너헤드(3)의 상면 외주부에 세워져 설치하는 헤드측 환상벽(32)에,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슬릿 화염구(6)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화염구홈(6a)을 성형하고, 버너캡(4)의 하면 외주부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캡측 환상벽(42)에,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슬릿 화염구(6)의 상반부를 구성하는 화염구홈(6b)을 성형한다. 또한 오덕 합치부분(5)에서는, 헤드측 환상벽(32)의 단면과 캡측 환상벽(42)의 단면 사이에 화염전이 화염구(8)가 구비된다.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헤드(3)와 버너캡(4) 사이의 외주부분에, 오덕의 오덕폴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오덕 합치부분(5)의 사이에 위치시킨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6)를 형성한 곤로용 버너로서, 주조한 후나 단조한 후의 절삭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상하방향 길이가 충분한 슬릿 화염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화염전이성도 양호한 것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버너헤드(3)의 상면 외주부에 세워져 설치하는 헤드측 환상벽(32)에,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슬릿 화염구(6)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화염구홈(6a)을 성형하고, 버너캡(4)의 하면 외주부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캡측 환상벽(42)에,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슬릿 화염구(6)의 상반부를 구성하는 화염구홈(6b)을 성형한다. 또한 오덕 합치부분(5)에서는, 헤드측 환상벽(32)의 단면과 캡측 환상벽(42)의 단면 사이에 화염전이 화염구(8)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곤로에 설치되는 곤로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료가스와 1차공기와의 혼합기체(混合氣體)가 공급되는 버너바디(burner body)와, 버너바디 상에 설치되고 주조품(鑄造品) 또는 단조품(鍛造品)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버너헤드(burner head)와, 버너헤드 상에 설치되고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버너캡(burner cap)을 구비하는 곤로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곤로용 버너로서 버너캡을 판금제(板金製)로 하고, 곤로의 상판 위에 재치(載置)하는 오덕(五德; '냄비 등의 피가열물체를 얹는 쇠살대 등'을 의미한다)의 복수의 오덕폴(五德 pole)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덕 합치부분(五德 合致部分)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혼합기체가 분출되는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slit 火炎口)를 버너캡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여기에서 화염구를 슬릿 화염구로 하면, 혼합기체의 분출속도가 저하되는 약한불일 때에 발생하기 쉬운 역화(逆火)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에 있어서 오덕 합치부분은 오덕폴에 화염이 접촉해서 불완전 연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염구를 형성하지 않는 무화염구부(無火炎口部)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점화시에 오덕 합치부분의 원주방향 일측의 슬릿 화염구로부터 원주방향 타측의 슬릿 화염구로 화염이 제대로 전이(轉移)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오덕 합치부분에 그 원주방향 양측의 슬릿 화염구를 연결하는 원주방향으로 기다란 화염전이 화염구(火炎轉移 火炎口)를 형성해서, 점화시의 화염전이성(火炎轉移性)을 양호하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판금제의 버너캡에 이러한 화염전이 화염구를 형성하면, 오덕 합치부분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혀모양(舌片狀)으로 분리되어서, 연소시의 열에 의하여 오덕 합치부분이 젖혀지는 식으로 열변형 되기 때문에 실현 불가능하다.
그런데 곤로용 버너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버너헤드와 버너캡은 모두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버너에서는 버너헤드의 상면 외주부(上面外周部)와 버너캡의 하면 외주부(下面外周部)의 어느 한쪽에, 다른 한쪽에 접하는 환상벽(環狀壁)을 설치하고, 이 환상벽에 형성한 화염구홈(火炎口溝)에 의하여 화염구를 구성하고 있어, 이 화염구를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로 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다.
여기에서 주조할 때나 단조할 때에 성형가능한 화염구홈의 깊이는, 홈의 폭이 좁아지는 만큼 얕아지게 된다. 그리고 홈의 깊이가 얕으면 약한불일 때의 역화는 방지할 수 있어도, 화염구홈에 의하여 구성되는 슬릿 화염구의 상하방향 길이가 부족하여, 강한불일 때에 필요로 하는 많은 유량(流量)의 혼합기체를 분출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슬릿 화염구의 상하방향 길이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조한 후나 단조한 후의 절삭가공(切削加工)에 의하여 홈의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화염구홈을 형성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절삭가공에 수고가 들고 비용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버너헤드 및 버너캡을 주조한 후나 단조한 후의 절삭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상하방향 길이가 충분한 슬릿 화염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화염전이성도 양호한 곤로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곤로에 설치되는 곤로용 버너에 있어서, 연료가스와 1차공기와의 혼합기체가 공급되는 버너바디와, 버너바디 상에 설치되고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헤드와, 버너헤드 상에 설치되고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캡을 구비하고, 버너헤드와 버너캡 사이의 외주부분에, 곤로의 상판 위에 재치하는 오덕의 복수의 오덕폴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덕 합치부분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혼합기체가 분출되는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가 형성되는 곤로용 버너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버너헤드의 상면 외주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헤드측 환상벽이 세워져 설치되고, 버너캡의 하면 외주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캡측 환상벽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헤드측 환상벽은 버너헤드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성형된 슬릿 화염구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화염구홈을 구비하고, 캡측 환상벽은 버너캡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성형된 슬릿 화염구의 상반부를 구성하는 화염구홈을 구비하고, 또한 각 오덕 합치부분에서는, 헤드측 환상벽의 단면과 캡측 환상벽의 단면과의 사이에, 각 오덕 합치부분의 원주방향 일측의 슬릿 화염구로부터 원주방향 타측의 슬릿 화염구로 화염전이 시키는 화염전이 화염구가 구비되거나, 또는 헤드측 환상벽과 캡측 환상벽 중 일방의 환상벽을 노치하고, 이 노치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타방의 환상벽을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타방의 환상벽의 연장한 부분의 단면과 일방의 환상벽의 노치된 부분의 저면과의 사이에, 각 오덕 합치부분의 원주방향 일측의 슬릿 화염구로부터 원주방향 타측의 슬릿 화염구로 화염전이 시키는 화염전이 화염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측과 캡측의 각 환상벽의 화염구홈은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성형되기 때문에 개개의 화염구홈의 홈의 깊이는 충분히 깊게 할 수 없지만, 헤드부측과 캡측의 양측 환상벽의 화염구홈으로 슬릿 화염구가 구성되기 때문에 슬릿 화염구의 상하방향 길이는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약한불일 때의 역화를 방지하고, 또한 강한불일 때에 필요로 하는 많은 유량의 혼합기체를 분출할 수 있고, 그 결과 버너의 연소량 조정폭(TDR)이 넓어지고, 콤팩트하면서 뛰어난 기능의 버너가 얻어진다. 그리고 주조한 후나 단조한 후의 화염구홈의 절삭가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덕 합치부분에 화염전이 화염구가 구비되기 때문에, 점화시에 오덕 합치부분의 원주방향 일측의 슬릿 화염구로부터 원주방향 타측의 슬릿 화염구로 화염전이 화염구를 사이에 두고 확실하게 화염전이 함으로써 화염전이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오덕 합치부분에 있어서 헤드측 환상벽과 캡측 환상벽 중에 일방의 환상벽을 노치하고, 이 노치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타방의 환상벽을 상하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도 있다. 즉 일방의 환상벽의 노치된 부분에 타방의 환상벽의 연장한 부분이 삽입되는 위상(位相)이 아니면, 버너캡이 버너헤드로부터 들뜨기 때문에 버너캡의 잘못된 세트(set)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방의 환상벽이 헤드측 환상벽이고 상기 타방의 환상벽이 캡측 환상벽인 경우에는, 화염전이 화염구의 위치가 가급적 낮아지게 되어, 화염전이 화염구의 화염이 오덕폴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너바디와 버너헤드 사이의 외주부분에 혼합기체가 분출되는 하부 화염구가 형성될 경우, 버너헤드와 버너캡 사이의 외주부분에 형성되는 화염구(상부 화염구)가 하부 화염구의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상부 화염구에서의 역화가 쉽게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부 화염구가 슬릿 화염구에 의하여 구성됨으로써 역화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를 구비하는 곤로의 단면도.
도2는 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사시도.
도3은 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측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5는 도3의 Ⅴ-Ⅴ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6은 (a)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캡의 요부(要部)를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b)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헤드의 요부를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도7은 제2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측면도.
도8은 도7의 Ⅷ-Ⅷ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9는 (a)제2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캡의 요부를 비스듬하게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b)제2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요부의 단면도.
도2는 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사시도.
도3은 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측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5는 도3의 Ⅴ-Ⅴ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6은 (a)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캡의 요부(要部)를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b)제1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헤드의 요부를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도7은 제2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측면도.
도8은 도7의 Ⅷ-Ⅷ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9는 (a)제2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캡의 요부를 비스듬하게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b)제2실시예의 곤로용 버너의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요부의 단면도.
도1을 참조하면, A는 곤로 본체, B는 곤로 본체(A)의 상면(上面)을 덮는 상판이며, 상판(B)에 형성된 버너용 개구(burner用 開口)(B1)를 통하여 곤로용 버너(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판(B) 상에는 버너용 개구(B1)를 둘러싸도록 오덕(五德)(C)이 재치(載置)된다. 그리고 오덕(C)에 놓여지는 조리 용기가 버너(1)에 의하여 가열된다. 또한 오덕(C)은 환상(環狀)의 오덕 프레임(五德 frame)(C1)과, 오덕 프레임(C1)에 방사상으로 설치한 복수의 오덕폴(五德 pole)(C2)에 의하여 구성된다.
버너(1)는 버너용 개구(B1)에 삽입되는 판금제의 버너바디(burner body)(2)와, 버너바디(2) 상에 설치되고 놋쇠 등의 금속의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헤드(burner head)(3)와, 버너헤드(3) 상에 설치되고 놋쇠 등의 금속의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캡(burner cap)(4)을 구비하고 있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버너헤드(3)와 버너캡(4) 사이의 외주부분에는, 오덕(C)의 복수의 오덕폴(C2)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덕 합치부분(五德 合致部分)(5)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 화염구(上部 火炎口)로서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slit 火炎口)(6)가 원주방향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되고, 버너바디(2)와 버너헤드(3) 사이의 외주부분에는 하부 화염구(下部 火炎口)(7)가 원주방향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버너바디(2)는, 외측의 통체(筒體)(21)와 중간의 통체(22)와 내측의 통체(23)의 내외 3겹의 통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버너헤드(3)는 평면에서 볼 때 환상(環狀)이며, 내주(內周)에 버너바디(2)의 중간통체(22)에 결합하는 통부(筒部)(31)가 수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면 외주부(上面外周部)에 상방(上方)으로 연장된 헤드측 환상벽(head側 環狀壁)(32)이 세워져 설치되고, 또한 하면 외주부(下面外周部)에 하방(下方)으로 연장되어서 버너바디(2)의 외측통체(21)의 상단부(上端部)에 착석(着席)하는 하측 환상벽(下側 環狀壁)(33)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버너캡(4)은 평면에서 볼 때 원판모양이고, 하면중앙측(下面中央側) 부분에 버너바디(2)의 내측통체(23)에 결합하는 통부(41)가 수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하면 외주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캡측 환상벽(cap側 環狀壁)(4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3, 도4를 참조하면, 오덕 합치부분(5) 이외의 부분에서는 헤드측 환상벽(32)의 단면(端面)과 캡측 환상벽(42)의 단면이 접하고 있다. 그리고 헤드측 환상벽(32)에 버너헤드(3)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슬릿 화염구(6)의 하반부(下半部)를 구성하는 화염구홈(6a)을 성형함과 아울러, 캡측 환상벽(42)에 버너캡(4)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슬릿 화염구(6)의 상반부(上半部)를 구성하는 화염구홈(6b)을 성형하고 있다. 한편 각 오덕 합치부분(5)에서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헤드측 환상벽(32)의 단면과 캡측 환상벽(42)의 단면이 상하방향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이 간격에 의하여 오덕 합치부분(5)의 원주방향 양측의 슬릿 화염구(6, 6)를 연결하는 원주방향으로 기다란 화염전이 화염구(火炎轉移 火炎口)(8)가 구성된다. 또한 버너헤드(3)의 하측 환상벽(33)에는, 버너헤드(3)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하부 화염구(7)를 구성하는 화염구홈이 성형된다.
또한 버너캡(4)은, 헤드측 환상벽(32)의 화염구홈(6a)과 캡측 환상벽(42)의 화염구홈(6b)이 상하로 연속하는 정규위상(正規位相)으로 버너헤드(3)에 세트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캡측 환상벽(42)에, 도6(a)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이 하나의 오덕 합치부분(5)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돌출하는 볼록부(42a)를 형성함과 아울러, 헤드측 환상벽(32)에, 도6(b)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이 상기 하나의 오덕 합치부분(5)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32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볼록부(42a)를 오목부(32a)에 결합 시킴으로써, 버너헤드(3)에 대하여 버너캡(4)이 정규위상으로 위상결정 되도록 하고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버너(1)은 또한 버너바디(2)의 중간통체(22)와 내측통체(23) 사이의 공간에 연통(連通)하는 제1혼합관(91)과, 버너바디(2)의 외측통체(21)와 중간통체(22)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는 제2혼합관(92)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과 제2 각 혼합관(91, 92)의 상류단(上流端)에 접하여 배치한 각각의 노즐(nozzle)(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로부터 분출되는 연료가스와 1차공기가 각 혼합관(91, 92)내로 혼합되어, 제1혼합관(91)으로부터의 혼합기체가 버너바디(2)의 중간통체(22)와 내측통체(23) 사이의 공간 및 버너헤드(3)와 버너캡(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슬릿 화염구(6) 및 화염전이 화염구(8)로부터 분출하고, 제2혼합관(92)으로부터의 혼합기체가 버너바디(2)의 외측통체(21)와 중간통체(22) 사이의 공간 및 외측통체(21)와 버너헤드(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하부 화염구(7)로부터 분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버너바디(2)의 외측통체(21)에는, 그 상단부의 외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스커트부(skirt 部)(2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커트부(21a)에 상판(B)의 버너용 개구(B1)를 덮는 커버링(covering)(D)을 삽입하여, 끓어 넘치는 국물이 버너용 개구(B1)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커버링(D)에 의해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덕(C)에서 오덕 프레임(C1)의 내주(內周)의 원주방향의 한 군데 또는 복수장소에 돌기(C3)를 형성함과 아울러, 커버링(D)의 외주(外周)에 돌기(C3)가 결합하는 노치(notch)(D1)를 형성하여, 오덕(C)을 위상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하부 화염구(7)와 상부 화염구를 구비하는 버너에서는, 하부 화염구(7)의 화염에 의해 상부 화염구가 가열되고, 상부 화염구로부터의 혼합기체의 분출속도가 저하되는 약한불일 때에 역화(逆火)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화염구를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6)로 하면, 슬릿 화염구(6)가 발휘하는 소염(消炎) 작용에 의해 역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헤드부측과 캡측의 각 환상벽(32, 42)의 화염구홈(6a, 6b)은 홈의 폭이 좁기 때문에, 주조시나 단조시에 성형가능한 화염구홈(6a, 6b)의 홈의 깊이가 제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부측과 캡측의 양측 환상벽(32, 42)의 화염구홈(6a, 6b)에 의하여 슬릿 화염구(6)가 구성되기 때문에 슬릿 화염구(6)의 상하방향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약한불일 때의 역화를 방지하며, 또한 강한불일 때에 필요로 하는 많은 유량의 혼합기체를 분출할 수 있고, 그 결과 버너(1)의 연소량 조정폭(TDR)이 넓어지고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뛰어난 기능의 버너(1)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주조한 후나 단조한 후에 화염구홈(6a, 6b)의 절삭가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덕 합치부분(5)에 화염전이 화염구(8)가 형성되기 때문에, 점화시에 오덕 합치부분(5)의 원주방향 일측의 슬릿 화염구(6)로부터 원주방향 타측의 슬릿 화염구(6)로, 화염전이 화염구(8)를 사이에 두고 확실하게 화염전이 하여 화염전이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화염전이 화염구(8)는 버너헤드(3)와 버너캡(4) 사이의 상하방향 중간에 위치하여 오덕폴(C2)로부터 하방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화염전이 화염구(8)의 화염이 오덕폴(C2)에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7 내지 도9에 나타내는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특히 다르게 되지 않아,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및 부위에 상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각 오덕 합치부분(5)에 있어서 헤드측 환상벽(32)을 노치(notch)하고, 이 노치한 부분(노치부분)(32b)에 삽입되도록 캡측 환상벽(42)을 하향으로 연장하고, 캡측 환상벽(42)의 연장한 부분(연장부분)(42b)의 단면(端面)이 헤드측 환상벽(32)의 노치부분(32b)의 저면(底面)에 상하방향의 간격을 두어서 대향하고, 이 간격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기다란 화염전이 화염구(8)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각 오덕 합치부분(5)에 있어서 캡측 환상벽(42)을 노치하고, 이 노치부분에 삽입되도록 헤드측 환상벽(32)을 상방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부분의 단면과 노치부분의 저면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화염전이 화염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화염전이 화염구의 위치가 제1실시예의 것보다 높아져서, 화염전이 화염구의 화염이 오덕폴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화염전이 화염구(8)의 위치가 제1실시예의 것보다 낮아져서, 강한불일 때에도 화염전이 화염구(8)의 화염이 오덕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헤드측 환상벽(32)의 노치부분(32b)에 캡측 환상벽(42)의 연장부분(42b)이 삽입되는 위상이 아니면 버너캡(4)이 버너헤드(3)로부터 들뜨기 때문에, 버너캡(4)의 잘못된 세트(set)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헤드측 환상벽(32)의 노치부분(32b)은, 오덕 합치부분(5)의 원주방향 양측의 화염구홈(6a)에 도달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이 화염구홈(6a)의 폭내에서 캡측 환상벽(42)의 연장부분(42b)이 원주방향으로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2실시예에서는 캡측 환상벽(42)에, 도9(a)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이 하나의 화염구홈(6b)의 내주측(內周側)의 부분을 메워서 그 곳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볼록부(42c)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42c)를 도9(b)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이 헤드측 환상벽(32)의 화염구홈(6a)에 결합시켜서, 버너헤드(3)에 대하여 버너캡(4)을 정확하게 위상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42c)를 결합시키는 화염구홈(6a)이 막히지 않도록, 볼록부(42c)는 그 하단과 화염구홈(6a)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격(틈)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버너캡(4)을 버너헤드(3)에 세트할 때, 위상결정용의 볼록부(42c)가 헤드측 환상벽(32)에서의 대응하는 화염구홈(6a)에 결합하기 전에, 캡측 환상벽(42)의 연장부분(42b)이 헤드측 환상벽(32)의 노치부분(32b)에 삽입되기 시작하여 버너캡(4)이 대략(rough)이라도 위상결정 된다. 그리고 헤드측 환상벽(32)의 노치부분(32b)과 캡측 환상벽(42)의 연장부분(42b)은 외관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하면서 연장부분(42b)을 노치부분(32b)에 삽입할 수 있어, 버너캡(4)의 세트시의 위상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오덕 합치부분(5)에 헤드부측과 캡측의 양측 환상벽(32, 42) 간의 틈 사이에서 구성되는 원주방향으로 기다란 화염전이 화염구(8)를 형성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오덕 합치부분(5)에서도 헤드부측과 캡측의 양측 환상벽(32, 42)의 단면(端面)들 상호간에 접하도록 하고,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오덕 합치부분(5)에 위치하는 양측 환상벽(32, 42)의 일방의 환상벽의 단면에 원주방향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작은 홈을 성형하거나, 또는 양측 환상벽(32, 42)의 단면에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복수의 작은 홈을 성형하여, 이들 작은 홈에 의하여 화염전이 화염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화염전이 화염구를 오덕폴로부터 가능한 한 거리를 두려면, 헤드측 환상벽(32)의 단면에 작은 홈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오덕 합치부분(5)에, 캡측 환상벽(42)의 연장부분(42b)의 단면과 헤드측 환상벽(32)의 노치부분(32b)의 저면간의 틈 사이에서 구성되는 원주방향으로 기다란 화염전이 화염구(8)를 형성하고 있지만, 연장부분(42b)의 단면이 노치부분(32b)의 저면에 접하도록 하고,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연장부분(42b)의 단면과 노치부분(32b)의 저면 중 적어도 일방에 원주방향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작은 홈을 성형하고, 이들 작은 홈에 의하여 화염전이 화염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하부 화염구(7)를 구비하는 곤로용 버너(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하부 화염구를 구비하지 않는 곤로용 버너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A: 곤로 본체
B: 상판
C: 오덕
C2: 오덕폴
1: 곤로용 버너
2: 버너바디
3: 버너헤드
32: 헤드측 환상벽
32b: 노치부분
4: 버너캡
42: 캡측 환상벽
42b: 연장부분
5: 오덕 합치부분
6: 슬릿 화염구
6a, 6b: 화염구홈
7: 하부 화염구
8: 화염전이 화염구
B: 상판
C: 오덕
C2: 오덕폴
1: 곤로용 버너
2: 버너바디
3: 버너헤드
32: 헤드측 환상벽
32b: 노치부분
4: 버너캡
42: 캡측 환상벽
42b: 연장부분
5: 오덕 합치부분
6: 슬릿 화염구
6a, 6b: 화염구홈
7: 하부 화염구
8: 화염전이 화염구
Claims (4)
- 곤로에 설치되는 곤로용 버너에 있어서,
연료가스와 1차공기와의 혼합기체(混合氣體)가 공급되는 버너바디(burner body)와,
버너바디 상에 설치되고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헤드(burner head)와,
버너헤드 상에 설치되고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캡(burner cap)을
구비하고,
버너헤드와 버너캡 사이의 외주부분에, 곤로의 상판 위에 재치(載置)하는 오덕(五德)의 복수의 오덕폴(五德 pole)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덕 합치부분(五德 合致部分)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혼합기체가 분출되는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slit 火炎口)가 형성되는 곤로용 버너로서,
버너헤드의 상면 외주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헤드측 환상벽(head側 環狀壁)이 세워져 설치되고, 버너캡의 하면 외주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캡측 환상벽(cap側 環狀壁)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헤드측 환상벽은 버너헤드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성형된 슬릿 화염구의 하반부(下半部)를 구성하는 화염구홈(火炎口溝)을 구비하고, 캡측 환상벽은 버너캡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성형된 슬릿 화염구의 상반부(上半部)를 구성하는 화염구홈을 구비하고,
각 오덕 합치부분에서는 헤드측 환상벽의 단면과 캡측 환상벽의 단면과의 사이에, 각 오덕 합치부분의 원주방향 일측(一側)의 슬릿 화염구로부터 원주방향 타측(他側)의 슬릿 화염구로 화염전이 시키는 화염전이 화염구(火炎轉移 火炎口)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 곤로에 설치되는 곤로용 버너에 있어서,
연료가스와 1차공기와의 혼합기체가 공급되는 버너바디와,
버너바디 상에 설치되고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헤드와,
버너헤드 상에 설치되고 주조품 또는 단조품으로부터 이루어진 버너캡을
구비하고,
버너헤드와 버너캡 사이의 외주부분에, 곤로의 상판 위에 재치하는 오덕의 복수의 오덕폴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덕 합치부분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혼합기체가 분출되는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화염구가 형성되는 곤로용 버너로서,
버너헤드의 상면 외주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헤드측 환상벽이 세워져 설치되고, 버너캡의 하면 외주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캡측 환상벽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헤드측 환상벽은 버너헤드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성형된 슬릿 화염구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화염구홈을 구비하고, 캡측 환상벽은 버너캡의 주조시 또는 단조시에 성형된 슬릿 화염구의 상반부를 구성하는 화염구홈을 구비하고,
각 오덕 합치부분에서는, 헤드측 환상벽과 캡측 환상벽 중 일방(一方)의 환상벽을 노치(notch)하고, 이 노치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타방(他方)의 환상벽을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타방의 환상벽의 연장한 부분의 단면(端面)과 일방의 환상벽의 노치된 부분의 저면(底面)과의 사이에, 각 오덕 합치부분의 원주방향 일측의 슬릿 화염구로부터 원주방향 타측의 슬릿 화염구로 화염전이 시키는 화염전이 화염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환상벽은 상기 헤드측 환상벽이며, 상기 타방의 환상벽은 상기 캡측 환상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헤드 사이의 외주부분에, 혼합기체가 분출되는 하부 화염구(下部 火炎口)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219211 | 2010-09-29 | ||
JP2010219211A JP5214697B2 (ja) | 2010-09-29 | 2010-09-29 | コンロ用バーナ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3236A KR20120033236A (ko) | 2012-04-06 |
KR101225507B1 true KR101225507B1 (ko) | 2013-01-23 |
Family
ID=4598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6931A KR101225507B1 (ko) | 2010-09-29 | 2011-08-30 | 곤로용 버너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214697B2 (ko) |
KR (1) | KR101225507B1 (ko) |
CN (1) | CN102434883B (ko) |
TW (1) | TWI42145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44789B2 (ja) * | 2013-10-29 | 2016-01-20 | リンナイ株式会社 | ガスコンロ |
CN106152129A (zh) * | 2016-08-03 | 2016-11-23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一种灶具燃烧器 |
CN107655005B (zh) * | 2017-11-13 | 2024-03-22 |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 小火盖组合结构及灶具 |
CN110173688B (zh) * | 2018-02-20 | 2023-02-24 | 林内株式会社 | 炉具用燃烧器 |
JP7145016B2 (ja) * | 2018-02-20 | 2022-09-30 | リンナイ株式会社 | コンロ用バーナ |
TWI691681B (zh) * | 2019-01-30 | 2020-04-21 | 喜特麗國際股份有限公司 | 瓦斯爐及其爐蓋 |
CN112344331B (zh) * | 2019-08-06 | 2022-02-08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一种用于燃气灶的火盖 |
EP4226087A4 (en) * | 2020-10-07 | 2024-07-24 | Mamur Teknoloji Sistemleri San A S | HOB WITH GRID WITH FLAT FR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3248Y1 (ko) * | 1995-12-29 | 1999-08-02 | 전주범 | 가스기기의 버너 |
JP2008202865A (ja) * | 2007-02-21 | 2008-09-04 | Rinnai Corp | コンロ用バーナ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74542U (ko) * | 1972-10-13 | 1974-06-27 | ||
JPS51130134U (ko) * | 1975-04-10 | 1976-10-20 | ||
JPS54109673U (ko) * | 1978-01-20 | 1979-08-02 | ||
JPS5821724U (ja) * | 1981-07-30 | 1983-02-10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バ−ナ |
JPS5866222U (ja) * | 1981-10-22 | 1983-05-06 | 株式会社ターダ | ガスバ−ナ |
JPS6252308A (ja) * | 1985-09-02 | 1987-03-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ガスバ−ナ |
JP3398604B2 (ja) * | 1998-09-04 | 2003-04-21 | 株式会社ナリタテクノ | ブンゼン式ガスバーナー |
JP2000304213A (ja) * | 1999-04-19 | 2000-11-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バー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ロ |
JP3730127B2 (ja) * | 2001-01-09 | 2005-12-21 | リンナイ株式会社 | コンロバーナ |
JP2005172278A (ja) * | 2003-12-09 | 2005-06-30 | Paloma Ind Ltd | こんろバーナ |
JP3898701B2 (ja) * | 2004-03-11 | 2007-03-28 | リンナイ株式会社 | コンロ用バーナ |
JP3984238B2 (ja) * | 2004-04-23 | 2007-10-03 | リンナイ株式会社 | コンロ用バーナ |
JP4408923B2 (ja) * | 2007-09-19 | 2010-02-03 | リンナイ株式会社 | コンロ用バーナ |
-
2010
- 2010-09-29 JP JP2010219211A patent/JP5214697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8-29 CN CN201110251671.1A patent/CN102434883B/zh active Active
- 2011-08-30 KR KR1020110086931A patent/KR1012255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28 TW TW100135052A patent/TWI421454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3248Y1 (ko) * | 1995-12-29 | 1999-08-02 | 전주범 | 가스기기의 버너 |
JP2008202865A (ja) * | 2007-02-21 | 2008-09-04 | Rinnai Corp | コンロ用バー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214697B2 (ja) | 2013-06-19 |
TW201213744A (en) | 2012-04-01 |
CN102434883B (zh) | 2014-09-24 |
CN102434883A (zh) | 2012-05-02 |
KR20120033236A (ko) | 2012-04-06 |
JP2012072986A (ja) | 2012-04-12 |
TWI421454B (zh) | 2014-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5507B1 (ko) | 곤로용 버너 | |
JP5491476B2 (ja) | コンロ用バーナ | |
JP5172740B2 (ja) | ガスコンロ | |
JP4782040B2 (ja) | コンロ用バーナ | |
JP5319616B2 (ja) | コンロ用バーナ | |
JP5491431B2 (ja) | コンロ用バーナ | |
JP4942715B2 (ja) | ガスコンロ | |
CN109140445B (zh) | 火盖组件、燃烧器及燃气灶 | |
JP2015230144A (ja) | コンロバーナ | |
JP4675918B2 (ja) | コンロ用バーナ | |
JP6671233B2 (ja) | コンロバーナー | |
JP2016099076A (ja) | バーナキャップ | |
CN109140444B (zh) | 火盖组件、燃烧器及燃气灶 | |
KR100576036B1 (ko) | 복합 버너 | |
JP5980255B2 (ja) | コンロ用バーナ | |
JP2003194310A (ja) | ガスコンロ用バーナ | |
JP6555997B2 (ja) | コンロバーナ | |
JP5449833B2 (ja) | コンロ用バーナ | |
JP3782589B2 (ja) | ガスバーナ | |
CN201259219Y (zh) | 冲压成型金属燃烧器的燃烧头 | |
CN109140447B (zh) | 火盖组件、燃烧器及燃气灶 | |
JP4188961B2 (ja) | コンロ用バーナ | |
JP2013108676A (ja) | ガスコンロ | |
CN210123155U (zh) | 火盖和燃烧器 | |
JP4762730B2 (ja) | コンロバー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