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092B1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092B1
KR101224092B1 KR1020060111567A KR20060111567A KR101224092B1 KR 101224092 B1 KR101224092 B1 KR 101224092B1 KR 1020060111567 A KR1020060111567 A KR 1020060111567A KR 20060111567 A KR20060111567 A KR 20060111567A KR 101224092 B1 KR101224092 B1 KR 10122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raking
reel
cas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699A (ko
Inventor
다케시 이쿠타
겐이치 가와사키
쇼지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05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 릴의 스풀(spool) 제동 기구에 있어서, 간단한 조작으로 최적의 캐스팅 조건을 즉시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기구(25)는, 스풀 제동 유닛(40)과, 설정 손잡이(44)와, 조정 손잡이(43)와, 스풀 제어 유닛(42)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은, 스풀(12)과 릴 본체에 설치되고, 스풀의 제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손잡이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제1 조작 위치로 조작할 수 있다. 조정 손잡이(43)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제2 조작 위치로 조작할 수 있다. 스풀 제동 유닛(42)은, 설정 손잡이의 조작 위치 및 조정 손잡이의 조작 위치에 따라 스풀 제동 유닛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베어링 릴, 스풀 제동 기구, 스풀 제동 유닛, 설정 손잡이, 스풀 제어 유닛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 BEAR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측 커버를 연 상태의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풀 제동 기구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측 커버를 연 상태의 듀얼 베어링 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스풀 제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풀 제동 기구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제동 모드 L의 제동 패턴의 듀티비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제동 모드 M의 제동 패턴의 듀티비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동 모드 A의 제동 패턴의 듀티비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동 모드 W의 제동 패턴의 듀티비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스풀 제어 유닛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또다른 실시예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12) 스풀
(25) 스풀 제동 기구
(40) 스풀 제동 유닛
(41) 회전 속도 센서
(42) 스풀 제어 유닛
(43, 143, 243) 조정 손잡이
(44, 144, 244) 설정 손잡이
(55) 제어부
(59) 마이크로 컴퓨터
(60) 회전자
(61) 자석
(62) 코일
(63) 스위치 소자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11-332436호 공보
본 발명은, 제동(制動) 장치, 특히, 캐스팅(casting)에 사용되고,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이 장착되는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 특히 캐스팅으로 낚싯줄을 송출하는 베이트(bait) 캐스팅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한 스풀 제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는, 종래,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 제동 장치나,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渦電流)를 이용한 마그넷 제동 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또, 최근에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제동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전자 제어 제동 장치는, 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마이크로 컴퓨터나 스풀의 회전 속도 등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회로 기판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기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또, 스풀축에는,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자석이 장착되어 있고, 회로 기판에는, 자석의 외주에 배치된 코일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의 회전에 의해 코일에 발생하는 전력을 스위칭하여 스풀을 제동하고 있다.
또, 종래의 전기 제어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력의 강약을 다이얼에 의해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과 자석과의 축 방향의 중복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캐스팅을 행하는 경우, 캐스팅 조건은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 예를 들면, 낚싯줄의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제의 낚싯줄과, 플루오르카본제의 낚싯줄과, 폴리에틸렌제의 낚싯줄은 비중이 상이하므로,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했을 때, 낚싯줄에 의해 스풀의 질량이 변화되어, 스풀의 관성 모멘트가 변화한다. 또, 낚싯줄의 선단에 장착되는 루어(lure;인조미끼) 등의 장치의 질량도 장치에 따라 변화한다. 이와 같은 관성 모멘트의 변화나 장치의 질량의 변화에 따라 캐스팅 시의 스풀 회전 속도가 변화한다. 또, 풀(full) 캐스팅이나 라이트(light) 캐스팅 등의 캐스팅 방법에 따라 캐스팅 시의 스풀 속도가 변화한다. 또한, 낚시터의 상황, 예를 들면, 역풍이나 순풍에 따라서는, 장치의 작용하는 저항이 변화되어 캐스팅 시의 장치의 비행(飛行) 속도가 변화한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다이얼에 의해 제동력의 강약을 조정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장치의 질량의 변화에 대하여는 다이얼의 조정에 의해 대응할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강약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것 밖에 할 수 없으므로, 설정된 낚싯줄과 질량이 상이한 낚싯줄을 사용한 경우나 역풍의 경우나 풀 캐스팅의 경우 등의 캐스팅 조건이 변화하면, 백래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질량이 작은 낚싯줄을 사용한 경우나 순풍의 경우나 라이트 캐스팅의 경우에, 장치가 멀리 날지 않기도 하고 너무 날거나 하는 문제가 생겨 장치가 목표 위치로부터 어긋나, 캐스팅 성능을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캐스팅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작도구에 의해 정밀한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캐스팅 조건에 따른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조작도구로 정밀한 조정을 행하려고 하면, 미소한 이동 거리의 세밀한 조작을 행해야만 하므로 조작이 번잡하게 되는 동시에, 캐스팅 조건에 따른 최적의 설정을 즉시 찾아내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조작으로 최적의 캐스팅 조건을 즉시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캐스팅에 사용되고,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이 장착되는 스풀을 제동하는 장치로서, 스풀 제동 수단과, 제1 조작도구와, 제2 조작도구와, 스풀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수단은, 스풀과 릴 본체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제어 기능하게 스풀을 제동하는 수단이다. 제1 조작도구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제1 조작 위치로 조작 가능한 것이다. 제2 조작도구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제2 조작 위치로 조작 가능한 것이다. 스풀 제어 수단은, 제1 조작도구의 제1 조작 위치 및 제2 조작도구의 제2 조작 위치에 따라 스풀 제동 수단의 제동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스풀 제어 수단은 시간적인 제동력 변화의 정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기본 제동 패턴의 강약을 각각 변화시킨 강약 제동 패턴을 이용하여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한다. 스풀 제어 수단은 제1 조작도구의 제1 조작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기본 제동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제1 선택 수단과, 제2 조작도구의 제2 조작 위치에 따라 선택된 제동 모드의 복수개의 강약 제동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는 제2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선택된 강약 제동 패턴에 따라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한다.
이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제1 조작도구와 제2 조작도구의 2개의 조작도구를 설치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제1 조작도구에서는, 캐스팅 조건에 따른 복수 개의 제동 모드로부터 1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조작도구에서는, 선택한 제동 모드의 강약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조작도구의 조작 위치의 조합에 따라, 제동 모드와 제동력의 강약과의 조합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제동력을 설정하기 위해 2개의 조작도구를 설치하였으므로, 2개의 조작도구의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도구의 질량의 변화나 낚싯줄의 종류나 캐스팅 방법이나 낚시터의 상황 등의 복수 개의 캐스팅 조건에 따라 제동 특성을 조작도구의 이동 거리를 세세하게 하지 않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2개의 조작도구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최적의 캐스팅 조건을 즉시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캐스팅 조건에 따라서 기본 제동 패턴 및 그 강약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각종 캐스팅 조건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도구와 제2 조작도구의 역할이 명확하므로, 제동 모드의 선택이 용이하다.
본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1 조작도구의 조작을 규제하는 조작 규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도구의 조작을, 예를 들면, 커버를 열지 않으면 제1 조작도구를 조작할 수 없게 하거나, 제1 조작도구를 제2 조작도구보다 이동 저항을 크게 하여 쉽게 이동할 수 없게 하거나, 제1 조작도구의 이동을 록·록 해제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여, 규제함으로써,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 제1 조작도구가 잘못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동작에 의한 최적의 설정 변경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본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또는 본 발명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 제동 수단은,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고 극성이 교호적으로 상이한 복수 개의 자극을 가지고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자와, 회전자의 주위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릴 본체에 장착되고 직렬 접속된 복수 개의 코일과, 직렬 접속된 복수 개의 코일의 양단에 접속된 스위치 수단을 가지고, 스풀 제어 수단은, 스위치 수단을 온 오프 제어함으로써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캐스팅 시 등의 스풀 회전 중에 스위치 수단을 온 오프 제어함으로써, 코일을 흐르는 전류에 대한 부하를 변경하여, 스풀 제동 수단을 임의의 제동력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 제어 수단은, 소정 주기의 펄스폭 변조(PWM)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함으로써 스위치 수단의 온 오프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에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함으로써 제동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기본 제동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캐스팅 개시로부터 제1 시간 경과 후에 최대 제동력의 20~100%의 일정한 듀티비로 제2 시간 동안 스풀을 제동한 후, 그보다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화하는 듀티비로 제3 시간 동안 스풀을 제동하도록 설정된 패턴이다. 이 경우에는, 캐스팅 직후의 비교적 회전 속도가 빠른 기간에 비교적 강하게 스풀을 제동함으로써 장력이 급격하게 커져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도구가 안정적으로 비행한다. 그러므로, 백래시를 방지하면서 도구의 자세를 안정시켜 보다 멀리 도구를 캐스팅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후의 회전이 떨어진 상태에서는, 제동력을 서서히 약하게 함으로써 도구의 비행거리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력을 설정하기 위해 2개의 조작도구를 설치하였으므로, 2개의 조작도구의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질량의 변화나 낚싯줄의 종류나 캐스팅 방법이나 낚시터의 상황 등의 복수개의 캐스팅 조건에 따라 제동 특성을 조작도구의 이동 거리를 세밀하게 하지 않고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2개의 조작도구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최적의 캐스팅 조건을 즉시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릴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은, 베이트 캐스팅용의 로프 프로파일의 듀얼 베어링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spool)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판형의 암부(2a)와, 암부(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암부(2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너트(28)에 의해 핸들축(30) 에 체결되어 있다.
릴 본체(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며,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 및 제2 측 커버(7)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이 스풀축(20)(도 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맞닿게 되는 레버(17)(도 1 참조)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7)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8)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기구(19)와,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와,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와, 스풀(12)의 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전기 제어식의 스풀 제동 기구(스풀 제동 장치의 일례)(25)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8, 9)과, 이들 측판(8, 9)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측판(8)의 중심부보다 약간 상부에는, 단차를 가지는 원형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8a)에는,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스풀 지지부(13)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 프레임(5)의 하부에는,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다리 부(4)(도 4 참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8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평평한 대략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다.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중심부에는, 내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통형의 베어링 수납부(1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부(13b)의 내주면에는, 스풀축(2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6b)이 장착되어 있다. 또, 베어링 수납부(13b)의 저부(도 3 좌단부)에는, 캡부재(1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캡부재(14)에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4)의 마찰 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캡부재(14)는, 베어링 수납부(13b)의 내주면에 나사삽입되어 고정된다. 베어링 수납부(13b)의 내주면과 캡부재(14) 사이는, O링(15)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베어링(26b)은, 금속제재를 다각형(예를 들면 5각형)으로 절곡한 선재제(線材製)의 이탈 방지 부재(26c)에 의해 베어링 수납부(13b)에 대하여 이탈 방지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26c)의 코너부는, 베어링 수납부(13b)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 홈에 걸려져 있다. 이와 같은 캡부재(14)를 베어링 수납부(13b)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캡부재(14)를 제외하면 베어링(26b)을 베어링 수납부(13b)의 외측(도 4 좌측)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어, 베어링(26b)을 착탈하기 쉬워진다. 또, 베어링(26b)으로의 주유도 용이하게 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6)는, 측판(9)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5)의 뒤쪽 하부에 있어서, 양 측판(8, 9)에 회동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축(90)에 의해 제1 측 커버(6)는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축(90)은, 스프링 부재(91)에 의해 축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 요동축(90)의 선단에 제1 측 커버(6)는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5)의 후부에는, 요동축(90) 주위를 회동하는 개폐 조작용의 조작 레버(92)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92)의 중심에는, 요동축(90)이 관통해 있고, 조작 레버(92)의 일방향의 회동 조작에 의해 제1 측 커버(6)를 열 수 있다. 또, 제1 측 커버(6)를 닫은 상태에서 다른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제1 측 커버(6)를 닫힌 상태로 록할 수 있다. 제1 측 커버(6)에는, 후술하는 설정 손잡이(제1 조작도구의 일례)(44)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측 커버(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 측에 배치되고, 프레임(5)에,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부에 접시형의 플랜지부(12a, 12b)를 가지고 있고, 양 플랜지부(12a, 12b) 사이에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c)를 가지고 있다. 도 2 좌측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은, 와이어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8a)의 내주측에 근소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12c)의 내주측을 관통하는 스풀축(20)에 예를 들면, 톱니형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방법은 톱니형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각종의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좌측의 플랜지부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회전 속도 센서(41)의 검출자로서 기능하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도시하지 않은 슬릿을 가지는 슬릿 링(12d)(도 3 참조)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20)은, 예를 들면, SUS304 등의 비자성 금속제이며,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7)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 커버(7)에 설치된 보스부(7b)의 내주면에 장착된 베어링(2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26a)는, 이탈 방지 부재(26c)와 같은 구성의 이탈 방지 부재(26d)에 의해 이탈 방지되어 있다(도 6 참조). 또 스풀축(20)의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0)의 중심에는, 대경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베어링(26a, 26b)에 지지되는 소경부(20b, 2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26a, 26b)는, 예를 들면, SUS440C에 특수 내식성 피막을 코팅 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소경부(20c)와 대경부(20a) 사이에는 양자의 중간의 외경을 가지는, 후술하는 자석(61)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장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장착부(20d)에는, 예를 들면, SUM(압출·절삭)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해 니켈 도금을 행한 자성체제의 자석 유지부(27)가 예를 들면, 톱니형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자석 유지부(2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정사각형이며 중심에 자석 장착부(20d)가 관통하는 관통공(27a)이 형성된 사각기둥형의 부재이다. 자석 유지부(27)의 고정 방법은 톱니형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각종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20)의 대경부(20a)의 우측단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9)의 관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클러치 기구(21)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29) 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29)은, 직경에 따라 대경부(20a)를 관통해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1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8, 9) 사이의 후부에서 스풀(12)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17)는 측판(8, 9)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클러치 레버(17)의 핸들 장착 측에는, 걸어맞춤 축(도시하지 않음)이 측판(9)을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축은,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1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의 전방에서 양 측판(8, 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형 홈(46a)이 형성된 나사축(46)과, 나사축에 의해 스풀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47)를 가지고 있다. 나사축(46)은, 기어 기구(19)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나사축(46)의 회전에 의해 낚싯줄 안내부(47)가 도 2의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낚싯줄을 스풀(12)에 균등하게 안내한다.
기어 기구(19)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장착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와 서로 맞물리는 통형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30)은, 측판(9) 및 제2 측 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원웨이 클러치(88)에 의해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역전)이 금지되어 있다. 메인 기어(31)는,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들축(30)과 드래그 기구(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측판(9)의 바깥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스풀축(20)이 관통하는 통형 부재이며, 스풀축(20)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피니언 기어(32)의 도 2의 좌측단 측은, 베어링(33)에 의해 측판(9)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의 도 2의 좌단부에는 걸어맞춤핀(29)과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홈(32a)과 걸어맞춤핀(29)에 의해 클러치 기구(21)가 구성된다. 또한, 중간부에는 축소부(32b)가, 우측단부에는 메인 기어(31)와 맞물림 기어부(32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피니언 기어(32)의 축소부(32b)에 걸어맞추어져 피니언 기어(32)를 스풀축(20)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클러치 요크(35)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요크(35)는, 클러치 레버(17)의 이동에 따라 스풀축(20)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스풀(12)의 와이어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시키는 클러치 리턴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20)의 양단을 협지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20)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캡(52)과, 제동 캡(52)의 회전에 의해 발음(發音)하는 발음 기구(53)를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캡부재(14)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우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제동 캡(5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51a)에 의해 내측(도 6의 좌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제동 캡(52)은, 보스부(7b)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제동 캡(52)과 보스부(7b)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동 캡(52)을 돌아멈추는 동시에, 내부로의 액체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O링(54)이 장착되어 있다.
발음 기구(53)는, 제동 캡(52)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 음 송출핀(53a)과 음 송출핀(53a)이 충돌하는 음 송출 요부(53b)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음 송출 부재(53c)를 가지고 있다. 음 송출핀(53a)은, 코일 스프링(53d)에 의해 음 송출 요부(53b)를 향해 가압되어 있다. 음 송출 부재(53c)는, 제동 캡(5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보스부(7b)에 형성된 걸림 돌기(7c)에 회전 불가능하게 걸려져 있다. 따라서, 음 송출 부재(53c)는, 음 송출핀(53a)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회전한다. 제동 캡(52)의 내주면에는, 환형의 이탈방지홈(52b)이 형성되어 있고, 음 송출 부재(53c)는, 이탈 방지 부재(26c)와 같은 구성의 다각형(예를 들면 6각형)의 선재제의 이탈 방지 부재에 의해 제동 캡(52)에 대하여 이탈방지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39)는, 제동 캡(52)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의 이탈방지홈(52b)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제동 캡(52)을 보스부(7b)로부터 제외해도 음 송출핀(53a)이 탈락하지 않게 되어, 음 송출핀(53a)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음 송출 부재(53c)의 내주부는, 우측의 마찰 플레이트(51)의 외주부로부터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51a)에 의해 가압된 우측의 마찰 플레이트(51)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동 캡(52)에는, 스풀축(20)과 평행으로 관통하는 외측이 소경의 계단식 구멍(52a)이 형성되어 있고, 계단식 구멍(52a)에는, 회동 위치에 따라 캐스팅 컨트롤 기구(24)의 컨트롤 정도를 나타내는 지침(指針) 부재(37)가 장착되어 있다. 지침 부재(37)는 적색으로 투광성(透光性)을 가지는 루비(ruby)제의 계단식 원기둥형의 부재이며, 선단측의 소경부(37a)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기단 측의 대경부(37b)의 저면에는, 링 형상의 반사 부재(38)가 배치되어 있다. 반사 부재(38)는, 제동 캡(52)에 형성된 환형 요부(52c)에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루비제의 지침 부재(37)의 저면에 반사 부재(38)를 배치함으로써, 지침 부재(37)를 투과한 외부로부터의 광이 반사되고, 지침 부재(37)가 빛난다. 그러므로, 지침 부재(37)의 회동 위치를 용이하게 볼 수 있어 캐스팅 컨트롤 기구(24)의 컨트롤 정도를 순간에 인식할 수 있다.
〔스풀 제동 기구의 구성〕
스풀 제동 기구(25)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릴 본체(1)에 설치된 스풀 제동 유닛(스풀 제동 수단의 일례)(40)과, 복수개(예를 들면, 8개)의 조작 위치(제2 조작 위치의 일례)에 조작 가능한 조정 손잡이(제2 조작도구의 일례)(43)와,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조작 위치(제1 조작 위치의 일례)에 조작 가능한 설정 손잡이(제1 조작도구의 일례)(44)와, 조정 손잡이(43) 및 설정 손잡이(44)의 조작 위치에 따라 스풀 제동 유닛(40)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유닛(스풀 제어 수단의 일례)(42)을 가지고 있다. 또, 스풀 제동 기구(25)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張力)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 속도 센서(41)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12)을 발전에 의해 제동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이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축(20)에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 4개의 자석(61)을 포함하는 회전자(60)와, 회전자(60)의 외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직렬 접속된 예를 들면, 4개의 코일(62)과, 직렬 접속된 복수개의 코일(62)의 양단이 접속된 스위치 소자(6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자석(61)과 코일(62)의 상대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스위치 소자(63)에 의해 온 오프함으로써 스풀(12)을 제동한다. 스풀 제동 유닛(40)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은 스위치 소자(63)의 온 시간의 길이에 따라 커지게 된다.
회전자(60)의 4개의 자석(61)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극성이 교대로 상이하게 되어 있다. 자석(6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 유지부(27)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부재이며, 그 외측면(61a)은 단면 원호형의 면이며, 내측면(61b)은 평면이다. 이 내측면(61b)이 스풀축(20)의 자석 유지부(27)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자석(61)의 양 단부는, 예를 들면, SUS304 등의 비자성체제(非磁性體製)의 원형 접시형의 캡부재(65a, 65b)에 의해 협지되어 스풀축(2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자석 유지부(27)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부재(65a, 65b)에 의해 자석(61)을 지지함으로써, 캡부재(65a, 65b)가 비자성체제이므로, 자력이 약해지는 일 없이 스풀축(20) 상에서의 자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후의 자석의 비강도(比强度)를 높일 수 있다.
자석(61)의 도 3 좌측단 면과 베어링(26b)의 거리는 2.5mm 이상 이격되어 있다. 도 3 우측의 캡부재(65a)는, 스풀축(20)의 대경부(20a)와 자석 장착부(20d)와의 단차와 자석 유지부(27)에 끼워져 그보다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베어링(26b) 사이에 배치된 좌측의 캡부재(65b)에는, 예를 들면, SPCC(판재)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해 니켈 도금을 행한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가 장착되어 있다. 와셔 부재(66)는, 스풀축(20)에 장착된 예를 들면, E형 스냅링(67)에 의해 이탈 방지되어 있다. 이 와셔 부재(66)의 두께는 0.5mm 이상 2mm 이하이며, 외경은 베어링(26b)의 외경의 60% 이상 120% 이하이다. 이와 같은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를 형성함으로써, 자석(61)의 가까이에 배치되는 베어링(26b)이 자화(磁化)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자석(61)의 가까이에 베어링(26b)을 배치해도 스풀(12)의 자유 회전시의 회전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 자석(61)과 베어링(26b)의 거리를 2.5mm 이상 떼어 놓은 것도 베어링(26b)이 자화되지 않게 하고 있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12c)의 내주면의 자석(6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예를 들면, SUM(압출·절삭재)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계 니켈 도금을 행한 자성체제의 슬리브(68)가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68)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12c)의 내주면에 압입(壓入) 또는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성체제의 슬리브(68)를 자석(61)에 대향하여 배치하면, 자석(61)으로부터의 자속이 코일(62)을 집중하여 통과하므로, 발전 및 브레이크 효율이 향상된다.
코일(62)은, 코깅(cogging)을 방지하여 스풀(12)의 회전을 스무스하게 하기 위해 코어레스 타입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요크도 설치하고 있지 않다. 코일(62)은, 권취된 심선(芯線)(61)에 대향하여 자석(61)의 자장 내에 배치되도록 대략 직사각형으로 권취되어 있다. 4개의 코일(62)은 직렬 접속되어 있고, 그 양 단이 스위치 소자(63)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62)은, 자석(61)의 외측면(61a)와의 거리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스풀축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심(同芯)의 원호형으로 스풀(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만곡되어 성형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일(62)과 회전 중인 자석(61)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4개의 코일(62)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링형의 코일 홀더(69)(도 3 참조)에 의해 모으고 있고, 표면은 니스 등의 절연 피막에 의해 덮혀져 있다. 코일 홀더(69)는, 스풀 제어 유닛(42)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회로 기판(7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코일(62)을 주로 도시하기 위해서 코일 홀더(69)는,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코일(62)이 합성 수지제의 코일 홀더(69)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코일(62)을 회로 기판(70)에 장착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코일 홀더(69)가 합성 수지제이므로, 자석(61)에 의한 자속(磁束)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스위치 소자(63)는, 예를 들면, 고속으로 온 오프 제어할 수 있는 병렬 접속된 2개의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있다. FET의 각 드레인 단자에, 직렬 접속된 코일(6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 소자(63)는 회로 기판(70)의 배면(플랜지부(12a)과 대향하는 표면과 반대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속도 센서(41)는, 예를 들면, 투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여 배치된 측면 에서 볼 때 C자형의 투수광형(透受光型)의 광전 센서를 사용하고 있고, 회로 기판(70)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 속도 센서(41)의 투수광부의 사이에 슬릿 링(12d)이 배치된다. 이 회전 속도 센서(4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스풀(1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한다.
조정 손잡이(43)는,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제동 패턴으로 동작하는 각 제동 모드의 강약을 8단계로 조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로부터 도 10에 나타낸 제동 패턴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기본적으로 나일론제의 낚싯줄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조정 손잡이(43)는,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스풀 지지부(1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정 손잡이(43)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원반형의 손잡이 본체(73)와, 본체(73)의 중심에 위치하여 스풀 지지부(13)를 관통하는 회동축(74)을 가지고 있다. 회동축(74)은, 손잡이 본체(73)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볼트 부재(78b)에 의해 후술하는 제2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b)와 함께 스풀 지지부(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73)의 개구부(6a)에 면해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한 손잡이부(73a)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73a)의 주위는 오목하게 되어 있고 조정 손잡이(43)를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손잡이부(73a)의 일단에는 약간 오목하게 지침(73b)이 설치되어 있다. 지침(73b)과 대향하는 제1 측 커버(6)의 개구부(6a)의 주위에는, 제동력 강약의 단계를 나타내는 8개의 마크(75)가 등간격으로 인쇄나 밀봉 등의 적당한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조정 손잡이(43)를 돌려 지침(73b)을 마크(75) 중 어느 하나에 맞춤으로써: 제동 패턴의 강약, 또는 제동 패턴 및 제동력의 강약을 8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에는, 조정 손잡이(43)의 8단계의 조작 위치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제2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b)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b)는, 회로 기판(70)에 형성된 8개의 식별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여 식별 패턴을 단락하는 도전체제의 브러시 부재(45d)를 가지고 있고, 제어부(55)는, 어느 식별 패턴이 단락되었는지에 따라 조정 손잡이(43)의 회동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스풀 지지부(13)의 내측 벽부에는, 제2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b)를 수납하는 원기둥형의 제2 수납 공간(13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수납 공간(13e)과 회로 기판(70) 사이에는, 밀봉 부재(79a)가 장착되어 있어, 내부로의 액체의 침수를 방지하고 있다. 또, 회동축(74)과 스풀 지지부(13)의 관통 부분 사이에도 O링(79b)이 장착되어 있어, 내부로의 액체의 침수를 방지하고 있다.
손잡이 본체(73)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외측면 사이에는 위치 결정 기구(77)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77)는, 조정 손잡이(43)를 8단계의 조작 위치에서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회동 조작시에 발음하는 기구이다. 위치 결정 기구(7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에 형성된 요부(73c)에 장착된 위치결정핀(77a)과, 위치결정핀(77a)의 선단이 걸어맞추어지는 8개의 위치 결정공(77b)과, 위치결정핀(77a)의 위치 결정공(77b)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77c)를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핀(77a)은, 소경의 헤드부와 그보다 대경의 콜러부와 소경의 축부를 가지는 축형(軸形)의 부재이며, 헤드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핀(77a)은, 요부(73c)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8개의 위치 결정공(77b)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외측면에 관통공의 주 위에 고정된 부채형의 보조 부재(13f)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공(77b)은, 지침(73b)이 8개의 마크(75)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설정 손잡이(44)는, 캐스팅 조건에 따른 제동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설정 손잡이(44)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손잡이(43)와 이반(離反)된 위치에서 스풀 지지부(1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단, 설정 손잡이(44)는, 그다지 자주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이 규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정 손잡이(44)의 조작을 규제하기 위해서, 설정 손잡이(44)는, 제1 측 커버(6)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측 커버(6)는 조작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설정 손잡이(44)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제1 측 커버(6)를 열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 설정 손잡이(44)가 잘못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오동작에 의한 최적의 제동 모드의 설정 변경이 생기지 않게 된다.
설정 손잡이(44)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원반형의 손잡이 본체(83)와, 손잡이 본체(83)의 중심에 위치하여 스풀 지지부(13)를 관통하는 회동축(84)을 가지고 있다. 회동축(84)은, 손잡이 본체(8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볼트 부재(78a)에 의해 후술하는 제1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a)와 함께 스풀 지지부(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73)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한 손잡이부(83a)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83a)의 일단에는 약간 오목하게 지침(83b)이 설치되어 있다. 지 침(83b)의 주위에 있어서 측판(8)에는, 설정된 제동 패턴에 따른 후술하는 제동 모드를 나타내는 4개의 문자(L, M, A, W)(85)가 등간격으로 인쇄나 밀봉 등의 적당한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설정 손잡이(44)를 돌려 지침(83b)을 문자(85) 중 어느 하나에 맞춤으로써 캐스팅 조건에 따른 4개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손잡이 본체(83)의 배면에는, 설정 손잡이(44)의 4개의 조작 위치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a)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a)는, 회로 기판(70)에 형성된 4개의 식별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여 식별 패턴을 단락하는 도전체제(導電體製)의 브러시 부재(45c)를 가지고 있고, 제어부(55)는, 어느 식별 패턴이 단락되었는지에 따라 설정 손잡이(44)의 회동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스풀 지지부(13)의 내측 벽부에는, 제1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a)를 수납하는 원기둥형의 제1 수납 공간(13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납 공간(13d)과 회로 기판(70)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밀봉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내부로의 액체의 침수를 방지하고 있다. 또, 회동축(84)과 스풀 지지부(13)의 관통 부분 사이에도 도시하지 않은 O링이 장착되어 있어, 내부로의 액체의 침수를 방지하고 있다.
손잡이 본체(83)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외측면 사이에는 위치 결정 기구(87)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87)는, 설정 손잡이(44)를 4단계의 조작 위치에서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회동 조작시에 발음하는 기구이다. 위치 결정 기구(8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83)의 배면에 형성된 요부(83c)에 장착된 위치결정핀(87a)과, 위치결정핀(87a)의 선단이 걸어맞추어지는 8 개의 위치 결정공과, 위치결정핀(87a)의 위치 결정공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87c)를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핀(87a)은, 소경의 헤드부와 그보다 대경의 콜러부와 소경의 축부를 가지는 축형의 부재이며, 헤드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핀(87a)은, 요부(83c)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4개의 위치 결정공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외측면에 관통공의 주위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공은, 지침(83b)이 4개의 문자(85)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풀 제어 유닛(42)은, 스풀 지지부(13)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에 대향하는 외벽면에 장착된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70)에 탑재된 제어부(55)를 가지고 있다.
회로 기판(70)은, 중심이 원형으로 개구된 와셔형상의 링형의 기판이며, 베어링 수납부(13b)의 외주측에 스풀축(20)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내측면에 3개의 나사(9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70)을 나사(93)에 의해 고정할 때는, 예를 들면, 베어링 수납부(13b)에 임시 설치된 지그를 이용하여 심출(芯出)하고, 회로 기판(70)이 스풀축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회로 기판(70)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하면, 회로 기판(70)에 고정된 코일(62)이 스풀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회로 기판(70)이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스풀 지지부(13)의 개방된 외벽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 측 커버(6) 사이의 공간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릴 본체(1)의 스풀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릴 본체(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회로 기판(70)이 스풀 지지부(13)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회전자(60)의 주위에 배치된 코일(62)을 회로 기판(70)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일(62)과 회로 기판(70)을 접속하는 리드선이 불필요하게 되어, 코일(62)과 회로 기판(70)의 절연 불량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코일(62)이 스풀 지지부(13)에 장착된 회로 기판(7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회로 기판(70)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코일(62)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스풀 제동 기구(25)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어부(55)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CPU(55a), RAM(55b), ROM(55c) 및 I/O 인터페이스(55d) 등이 탑재되어 회로 기판(70)에 배치된 마이크로 컴퓨터(59)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5)의 ROM(55c)에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동시에, 4종류 이상의 기본으로 되는 기본 제동 패턴이나 캐스팅 조건에 따른 각 제동 모드에 있어서의, 사용할 기본 제동 패턴의 종류나 기본 제동 패턴의 8단계의 강약의 정도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 각 제동 모드에 있어서의 장력의 설정값이나 회전 속도의 설정값이나 타이밍을 규정하는 시간 데이터 등도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같은 제동 모드에서도, 강약의 단계에 따라 상이한 기본 제동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제어부(55)에는, 스풀(1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센서(41)와, 설정 손잡이(44)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a)와, 조정 손잡이(43)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2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b)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부(55)에는, 스위치 소자(63)의 각 FET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5)는, 각 센서(41, 45a, 45b)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따라 스풀 제동 유닛(40)의 스위치 소자(63)를 후술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예를 들면, 주기 1/1000초의 PWM(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 온 오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5)는, 설정 손잡이(44)의 4개의 조작 위치와 조정 손잡이(43)의 8개의 조작 위치와의 조합에 따라 캐스팅의 경과 시간과 함께 듀티비 D를 변화시킨 4종류의 제동 패턴 및 8종류의 강약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위치 소자(63)를 온 오프 제어한다.
제1 및 제2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a, 45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70)에 형성된 식별 패턴을 단락하는 브러시 부재(45c, 45d)를 가지고 있다.
정류 회로(58)는 스위치 소자(63)에 접속되어 있고, 회전자(60)와 코일(62)을 가지고,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스풀 제동 유닛(40)으로부터의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또한 전압을 안정화하여 제어부(55)나 회전 속도 센서(41)에 출력한다. 그리고, 정류 회로(58)도 회로 기판(70)에 탑재되어 있다.
〔실제 낚시 시의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을 행할 때는, 클러치 레버(17)를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12)이 자유 회전 상태로 되어, 캐스팅을 행하면 장치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12)로부터 힘차게 계속 내보내진다. 이 캐스팅에 의해 스풀(12)이 회전하면, 자석(61)이 코일(62)의 내주측을 회전하여, 스위치 소자(63)를 온 하면 코일(62)에 전류가 흐르고 스풀(12)이 제동된다. 캐스팅 시에는 스풀(12)의 회전 속도는 서서히 빨라지므로, 피크를 넘으면 서서히 감속한다.
여기서는, 자석(61)을 베어링(26b)의 가까이에 배치해도, 그 사이에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를 배치하고, 또한 베어링(26b)과의 간격을 2.5mm 이상 이격시켰으므로, 베어링(26b)이 자화되지 않으므로 스풀(12)의 자유 회전 성능이 향상된다. 또, 코일(62)을 코어레스 코일로 하였으므로, 코깅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고, 또한 자유 회전 성능이 향상된다.
장치가 물에 던져지면, 핸들(2)을 와이어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리턴 기구에 의해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 상태로 하고, 릴 본체(1)는 입질을 대기하여 기다린다.
〔제어부의 제어 동작〕
다음에, 캐스팅 시의 제어부(55)의 대략의 브레이크 제어에 대하여, 각 제동 모드의 제동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제동 패턴은, 캐스팅 개시로부터의 제동 시간에 제동력(스위치 소자(63)의 듀티비)이 변화하는 패턴이다. 본 발명자 등은, 장력이 소정 이하로 되었을 때 큰 제동력을 작용시키면, 회전 속도의 피크의 바로 앞에서 장치(루어(인조미끼)) 자세가 반전하여 안정적으로 비행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회전 속도의 피크의 바로 앞에서 제동하여 안정된 자세로 장치를 비행시키기 위해 이하의 제어를 행한다. 즉, 캐스팅 당초에, 가장 높은 수수료 듀티비로 단시간 강한 제동력을 작용시켜 장치를 반전시킨다. 그 후, 듀티비를 서서히 내려 제동력을 약하게 한다.
이 스풀 제동 기구(25)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4종류의 제동 모드에 있어서, 8단계의 강약 조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세로축은 듀티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캐스팅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제동 모드는, 먼거리 투척용의 제동 모드 L이며, 도 9에 나타낸 제동 모드는, 표준적인 제동 모드 M이다. 또, 도 10에 나타낸 제동 모드는, 근거리에 정확하게 캐스팅하기 위해 급격하고 강한 제동을 행하는 제동 모드 A이며, 도 11에 나타낸 제동 모드는, 나일론제의 낚싯줄에 비해 고(高)비중의 플루오로(fluoro) 라인이나 역풍의 경우에 사용할 때 사용하는 제동 모드 W이다.
각 제동 모드에 공통되는 제어로서는, 캐스팅 시의 스풀(12)의 회전 개시 시에는 제동을 행하지 않고, 장력이 소정 이하로 되었을 때 제동을 개시한다. 또, 제동 개시로부터 회전 속도의 피크를 지난 제1 소정 시간 T1(예를 들면, 0.2초~ 0.5초 정도) 사이는 각 제동 모드의 최대값으로 제동한다.
도 8에 나타낸 제동 모드 L에서는, 약한 쪽의 제1 내지 제3 단계의 제동 패턴(DL1~DL3)은, 예를 들면, 멀리 던지기 경기 등의 특수한 용도에 대응한 패턴이며, 이 3단계에서는, 제동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 T1(예를 들면, 0.2~ 0.5초) 동안 각 단계에서 최대 듀티비를 부여하고, 제1 소정 시간 T1 경과 후에 서서히 듀티비를 내리고, 그 도중에 서밍(thumbing)에 상당하는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동 개시로부터 제2 소정 시간 T2(예를 들면, 1초) 경과 후에 각 제동 패턴에서의 최대 듀티비에 가까운 듀티비를 순간적으로 부여하고, 그 후 듀티비를 서서히 내려 간다. 이로써, 낚싯줄의 투입 속도가 스풀의 회전 속도를 웃돌아 와이어가 느슨해지는 백래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4 내지 제8 단계까지의 제동 패턴(DL4~DL8)은, 예를 들면, 메탈 지그 등의 멀리 던지기에 대응한 패턴이며, 여기서는, 제동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 T1(예를 들면, 0.2~ 0.5초) 경과 후에 서서히 듀티비를 내린다. 그리고, 제동 모드 L에서는, 최대의 제동 패턴 DL8에서도 최대 듀티비는 50% 이하이다. 따라서, 제동 모드 L에서는, 제1 내지 제3 단계와 제4 내지 제8 단계로, 기본 제동 패턴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제동 모드 M에서는, 약한 쪽의 제1 및 제2 단계의 제동 패턴(DM1 및 DM2)에서는, 제동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 T1(예를 들면, 0.2~ 0.5초) 경과 후에 듀티비를 서서히 내린다. 이 듀티비의 하강 패턴(듀티비의 시간 목표 변화 상태)은, 제동 모드 L과 같고, 제동 모드 L의 제9 및 제10 단계에 상당한다. 제3 내지 제5 단계까지의 제동 패턴(DM3~DM5)은, 예를 들면, 잘 나는 무거운 미노(minnow) 등에 대응한 패턴이며, 여기서는, 제1 소정 시간 T1(예를 들면, 0.2~ 0.5초) 경과 후에, 듀티비를 서서히 내린다. 이 때의 듀티비의 하강 패턴은, 제동 모드 L로부터 제1 소정 시간 T1(예를 들면, 0.2~ 0.5초) 경과 후의 하강 정도가 크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3 단계의 제동 패턴 DM3는, 제2 단계의 제동 패턴 DM2와 최대 듀티비는 같으며, 하강 정도가 상이하였다. 또, 제6 내지 제8 단계의 제동 패턴(DM6~DM8)은, 날기 어려운 미노 등에 대응한 패턴이며, 여기서는, 제동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 T1(예를 들면, 0.2~ 0.3초) 경과 후에 듀티비를 서서히 내린다. 즉, 각 단계에 있어서의 최대 듀티비를 부여하는 제1 소정 시간 T1을 짧게 한다. 그리고, 제동 모드 M에서는, 최대의 제동 패턴 DM8로 최대 듀티비는 90% 이하이다. 따라서, 제동 모드 M에서는, 제1 및 제2 단계와, 제3 내지 제5 단계와, 제6 내지 제8 단계로, 기본 제동 패턴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제동 모드 A에서는, 각 단계(DA1~DA8)에서 각각 강하고 대략 일정한 제동력을 주기 위하여, 일정한 듀티비를 부여한다. 이로써, 근거리를 빠른 초기 속도로 던지는 캐스팅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계의 최대 듀티비는, 제동 모드 L과 같다. 따라서, 제동 모드 A에서는, 각 단계에서 같은 기본 제동 패턴을 사용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제동 모드 W에서는, 제동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 T1(예를 들면, 0.2~ 0.3초) 경과 후에 제동 모드 M의 제6 내지 제8 단계(DM6~DM8)와 같은 하강 정도로 듀티비를 서서히 내린다. 그리고, 각 단계의 최대 듀티비는, 제동 모드 L과 같다. 이로써, 역풍이나 고비중의 플로로 라인에 대응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동 모드 W에서는, 각 단계에서 같은 기본 제동 패턴을 사용하고 있다.
다음에, 제어부(55)의 구체적인 브레이크 제어 동작에 대하여, 도 12의 제어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캐스팅 시에는, 스풀(12)이 회전하여 코일(62)로부터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1에서 초기설정을 한다. 여기서는, 각종의 플래그나 변수가 리셋된다. 스텝 S2에서는, 제1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a)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설정 손잡이(44)에 의해 어느 제동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S3에서는, 제2 회전 위치 식별 센서(45b)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조정 손잡이(43)에 의해 어느 쪽의 단계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S4에서는, ROM(55c)로부터 선택된 제동 모드 및 그 단계에 따른 제동 패턴을 판독하고, 판독한 제동 패턴을 RAM(55b)에 세팅한다. 이후는, 다음에, 손잡이(43, 44)가 변경 조작되기까지 이 변경된 제동 패턴으로 제동 동작이 행해진다. 또, 이후의 제어로 제어부(55) 내의 RAM(55b)로부터 제동 패턴에 따른 듀티비 D가 판독된다. 스텝 S5에서는, 회전 속도 센서(41)로부터의 펄스에 의해 캐스팅 당초의 스풀(12)의 회전 속도 V를 검출한다. 스텝 S7에서는, 스풀(12)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 F를 산출한다.
여기서, 장력 F는, 스풀(12)의 회전 속도의 변화율(Δω/Δt)과 스풀(12)의 관성 모멘트 J로 구할 수 있다. 어떤 시점에 스풀(12)의 회전 속도가 변화하면, 이 때, 만약 스풀(12)이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을 받지 않고 단독으로 자유 회전하고 있던 경우의 회전 속도와의 차이는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에 의해 발생한 회전 구동력(토크)에 의한 것이다. 이 때의 회전 속도의 변화율을(Δω/Δt)로 하면, 구동 토크 T는, 하기(1)식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T=J×Δω/Δt)·····(1)
(1)식으로부터 구동 토크 T가 구해지고, 낚싯줄의 작용점의 반경(통상은 15~ 20mm로부터 장력을 구할 수 있다.
스텝 S8에서는, 회전 속도의 변화율(Δω/Δt)과 관성 모멘트 J에 의해 산출된 장력 F가 소정값 Fs(예를 들면, 0.5~ 1.5N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값 Fs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로 진행하여 듀티비 D를 10에, 즉 주기의 10%만큼 스위치 소자(63)를 온하도록 제어하고, 스텝 S2로 돌 아온다. 이로써,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12)을 약간 제동하지만, 스풀 제동 유닛(40)이 발전(發電)하므로, 스풀 제어 유닛(42)이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장력 F가 소정값 Fs 이하로 되면 스텝 S11로 이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RAM(55b)로부터 제동 패턴에 따른 듀티비 D가 판독되고, 스위치 소자(63)를 PWM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동력이 최대시, 즉 각 단계의 듀티비 D가 가장 클 때로부터 서서히 듀티비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장치에 맞추어 강한 제동력을 단시간 작용시키면 장치의 자세가 낚싯줄 걸림 부분으로부터 반전하여 낚싯줄 걸림 부분이 바로 앞으로 되어 장치가 비행한다. 이로써, 장치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장치가 보다 멀리 날게 된다.
스텝 S12에서는, 속도 V가 제동 종료 속도 Ve 이하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 V가 제동 종료 속도 Ve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S2로 복귀하고, 일련의 캐스팅에 있어서의 제동 처리를 종료하고, 제동 종료 속도 Ve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텝 S11로 돌아온다.
여기서는, 제동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2개의 조작도구인 조정 손잡이(43) 및 설정 손잡이(44)를 설치하였으므로, 2개의 손잡이(43, 44)의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질량의 변화나 낚싯줄의 종류나 캐스팅 방법이나 낚시터의 상황 등의 복수개의 캐스팅 조건에 따라 제동 특성을 손잡이(43, 44)의 이동 거리를 정밀하게 하지 않고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2개의 손잡이(43, 44)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최적의 캐스팅 조건을 즉시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축에 자석을 배치하고, 릴 본체에 코일을 배치하였으나, 스풀이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듀얼 베어링 릴의 경우, 스풀축에 코일을 배치하고, 스풀에 자석을 배치해도 된다. 또, 스풀의 플랜지부에 자석을 설치하고, 회로 기판의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코일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코일을 평평한 박형으로 해도 된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패턴의 단계를 8단계로하여, 모드를 4종류로 하고 있지만, 이들은 예시이며, 이들 단계나 종류는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ROM(55c)에, 기본 제동 패턴과 그 강약을 기억하고 있지만, 모든 제동 패턴을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제동 모드에 있어서 복수개의 기본 제동 패턴을 사용하고 있지만, 각 제동 모드에서 1개의 기본 제동 패턴을 사용하고, 그것을 조정 손잡이의 조작 위치에 따라 시프트하도록 해도 된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프 프로파일의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의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조정 손잡이(143)와 함께 설정 손잡이(144)도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01)는, 프레임(105)과, 프레임(10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 커버(106) 및 제2 측 커버(10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측 커버(106)에는, 원형의 개구부(106a, 10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06b)는, 설정 손잡이(144)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설정 손잡이(144)에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낚싯줄의 종류나 캐스팅의 종류나 풍향 등에 의해 각종의 제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정 손잡이(143)는, 제동력을, 예를 들면, 강약 8단계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이며, 설정 손잡이(144)는, 제동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동 패턴은, 각 제동 모드에서 상이한 패턴이며, 조정 손잡이(143)로 그 강약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손잡이(143)의 조작 위치에 따라 기본 제동 패턴을 시프트한다.
(f) 상기 다른 실시예(e)에서는, 2개의 손잡이(143, 144)가 이반(離反)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손잡이(243)와 설정 손잡이(244)를 동심(同芯)으로 내외주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하는 빈도가 높은 조정 손잡이(243)를 내주측의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역이라도 된다. 또한, 내주측에 조정 손잡이(243)를 배치한 경우, 외주측의 설정 손잡이(244)를 제1 측 커버(206)의 내측에 숨겨 조작을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상기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손잡이(243, 244)가 동심 상에 배치되므로, 제동 모드의 변경이나 제동력의 강약의 조정을 행하기가 보다 쉬워진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정 손잡이(44)의 조작 규제 수단으로서, 개폐 가능한 제1 측 커버를 예시했지만, 조작 규제 수단은, 제1 조작 커버에 한정되지 않 는다. 예를 들면, 설정 손잡이의 움직임에 저항을 부여하여 조정 손잡이로부터 돌지 않도록 하거나, 설정 손잡이를 록·록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록 기구를 설치하거나 하여 설정 손잡이를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
(h)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회전 속도가 최대로 되기 전에 제동하도록 제어 했지만, 스풀 회전 속도가 최대로 되고 나서 스풀을 제동하는 기술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i)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제동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이 정류 회로(58)를 통하여 제어부(55)나 회전 속도 센서(41)에 직접 공급되고 있지만, 정류된 전력을 저축하여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2차 전지나 컨덴서 등의 축전 소자에 축전하여 제어부(55)의 전원으로 해도 된다. 또, 전원으로서의 전지를 별도 설치해도 되고, 그에 따라 구동하는 표시부를 설치하여 스풀의 속도나 브레이크력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조작도구를 사용하여, 다단계의 제동력을 조작도구의 이동 거리를 세밀하게 하지 않고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최적의 캐스팅 조건을 즉시 찾아낼 수가 있다.
또, 제동력을 설정하기 위해 2개의 조작도구를 설치하였으므로, 2개의 조작도구의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질량의 변화나 낚싯줄의 종류나 캐스팅 방법이나 낚시터의 상황 등의 복수개의 캐스팅 조건에 따라 제동 특성을 조작도구의 이동 거리를 세밀하게 하지 않고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2개의 조작도구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최적의 캐스팅 조건을 즉시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캐스팅(casting)에 사용되고,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이 장착되는 스풀(spool)을 제동(制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상기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제어 기능하게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수단과,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제1 조작 위치로 조작 가능한 제1 조작도구와,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제2 조작 위치로 조작 가능한 제2 조작도구와,
    상기 제1 조작도구의 상기 제1 조작 위치 및 상기 제2 조작도구의 상기 제2 조작 위치에 따라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의 제동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스풀 제어 수단은, 시간적인 제동력 변화의 정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기본 제동 패턴의 강약을 각각 변화시킨 강약 제동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조작도구의 제1 조작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기본 제동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제1 선택 수단과,
    제2 조작도구의 상기 제2 조작 위치에 따라 선택된 상기 제동 모드의 상기 복수개의 강약 제동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는 제2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선택된 상기 강약 제동 패턴에 따라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도구의 조작을 규제하는 조작 규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은,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극성이 교대로 상이한 복수개의 자극을 가지고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주위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되고 직렬 접속된 복수개의 코일과,
    직렬 접속된 상기 복수개의 코일의 양단에 접속된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풀 제어 수단은 상기 스위치 수단을 온 오프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어 수단은, 소정 주기의 펄스 폭 변조(PWM)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수단의 온 오프 제어를 행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본 제동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캐스팅 개시로부터 제1 시간 경과 후에 최대 제동력의 20~100%의 일정한 상기 듀티비로 제2 시간 동안 상기 스풀을 제동한 후, 그보다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화하는 상기 듀티비로 제3 시간 동안 상기 스풀을 제동하도록 설정된 패턴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111567A 2005-11-15 2006-11-13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1224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0248A JP4785499B2 (ja) 2005-11-15 2005-11-15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JP-P-2005-00330248 2005-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699A KR20070051699A (ko) 2007-05-18
KR101224092B1 true KR101224092B1 (ko) 2013-01-18

Family

ID=3773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567A KR101224092B1 (ko) 2005-11-15 2006-11-13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03517B2 (ko)
EP (1) EP1785030B1 (ko)
JP (1) JP4785499B2 (ko)
KR (1) KR101224092B1 (ko)
CN (1) CN1965645B (ko)
AT (1) ATE394924T1 (ko)
DE (1) DE602006001188D1 (ko)
MY (1) MY138788A (ko)
SG (1) SG132597A1 (ko)
TW (1) TWI3770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4724B2 (en) * 2005-01-26 2010-08-31 Beckham James P Zero-backlash baitcast fishing reel with non-contact backlash sensing
JP4785499B2 (ja) * 2005-11-15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EP1787832A1 (en) * 2005-11-18 2007-05-23 Emrah Bozkurt Tightening means for anti-skid and traction enhancement devices
JP5315175B2 (ja) * 2009-08-31 2013-10-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11072266A (ja) * 2009-09-30 2011-04-14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KR200464020Y1 (ko) * 2010-09-16 2012-12-06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브러쉬 브레이크장치
JP5767526B2 (ja) * 2011-08-08 2015-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878718B2 (ja) * 2011-09-27 2016-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993705B2 (ja) * 2012-10-19 2016-09-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085447B2 (ja) * 2012-10-19 2017-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166558B2 (ja) * 2013-03-13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03734105B (zh) * 2013-12-31 2016-04-06 宁波中源欧佳渔具股份有限公司 防转主体盖的渔线轮
JP6389669B2 (ja) * 2014-07-16 2018-09-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制動ユニットの制動部
JP6457212B2 (ja) * 2014-07-16 2019-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6395623B2 (ja) * 2015-01-28 2018-09-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543041B2 (ja) * 2015-02-12 2019-07-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および魚釣用リール
JP6615462B2 (ja) * 2015-02-12 2019-12-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402086B2 (ja) * 2015-10-30 2018-10-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6093844B1 (ja) * 2015-12-18 2017-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6688679B2 (ja) * 2016-05-24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36404B2 (ja) * 2017-01-19 2021-03-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JP6795990B2 (ja) * 2017-01-19 2020-12-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CN106818658A (zh) * 2017-02-13 2017-06-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具有理线功能的鱿鱼钓机网托架
JP6941560B2 (ja) * 2017-12-28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軸受収容構造および両軸受リール
JP7098408B2 (ja) * 2018-05-02 2022-07-1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10717634B2 (en) * 2018-07-12 2020-07-21 Hall Labs Llc Releasable line guide
JP7121569B2 (ja) * 2018-07-13 2022-08-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208639380U (zh) * 2018-08-01 2019-03-26 宁波海伯集团有限公司 鱼线轮的磁阻尼结构
JP7166895B2 (ja) * 2018-11-28 2022-11-08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制動調整装置及びリール制動調整プログラム
JP7164450B2 (ja) * 2019-01-29 2022-11-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KR102599486B1 (ko) 2020-08-27 2023-11-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JP2022038629A (ja) 2020-08-27 2022-03-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その制動装置及び制動システム
JP7330931B2 (ja) 2020-08-27 2023-08-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11864543B2 (en) 2021-01-25 2024-01-09 Cary Hogan JONES Fly fishing reel with brake assembly and methods
JP2023032403A (ja) * 2021-08-27 2023-03-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スプールを制動する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2024040659A (ja) 2022-09-13 2024-03-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り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9489U (ko) * 1975-07-30 1977-02-10
JPS6248330A (ja) * 1985-08-28 1987-03-03 株式会社パシフィック・プロダクツ 釣用リ−ル
JPH11332436A (ja) * 1998-05-13 1999-12-07 Johnson Worldwide Assoc Inc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制御魚釣りリ―ル
JP2005211054A (ja) * 2004-02-02 2005-08-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4111A (en) 1982-03-09 1985-10-0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Brake for a fishing reel
US4593866A (en) * 1983-06-01 1986-06-10 Abu Aktiebolag Magnetic brake for braking the line spool of a fishing reel
US4585183A (en) * 1984-11-02 1986-04-29 Brunswick Corporation Backlash control device for magnetic bait cast reel
US4714208A (en) * 1985-09-16 1987-12-22 Ryobi American Corporation Magnetic brake control for fishing reel
US4940194A (en) 1987-10-16 1990-07-10 Pacific Products Electronic casting brake
US5248113A (en) * 1991-10-08 1993-09-28 Daniels John J Tension responsive fishing apparatus
US6045076A (en) * 1995-08-03 2000-04-04 Daniels; John J. Fishing reel with electronic antibacklashing features dependent on a sensed line condition
JP3403621B2 (ja) * 1997-09-25 2003-05-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SG121857A1 (en) * 2003-01-06 2006-05-26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TWI298621B (en) * 2003-01-06 2008-07-11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SG125114A1 (en) 2003-05-13 2006-09-29 Shimano Kk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fishing equipment
US7165737B2 (en) * 2005-01-18 2007-01-23 Shimano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JP4785499B2 (ja) * 2005-11-15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9489U (ko) * 1975-07-30 1977-02-10
JPS6248330A (ja) * 1985-08-28 1987-03-03 株式会社パシフィック・プロダクツ 釣用リ−ル
JPH11332436A (ja) * 1998-05-13 1999-12-07 Johnson Worldwide Assoc Inc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制御魚釣りリ―ル
JP2005211054A (ja) * 2004-02-02 2005-08-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5645A (zh) 2007-05-23
EP1785030B1 (en) 2008-05-14
CN1965645B (zh) 2012-01-25
US20070108330A1 (en) 2007-05-17
KR20070051699A (ko) 2007-05-18
JP4785499B2 (ja) 2011-10-05
MY138788A (en) 2009-07-31
TWI377015B (en) 2012-11-21
TW200727782A (en) 2007-08-01
SG132597A1 (en) 2007-06-28
EP1785030A1 (en) 2007-05-16
ATE394924T1 (de) 2008-05-15
DE602006001188D1 (de) 2008-06-26
JP2007135417A (ja) 2007-06-07
US7503517B2 (en)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09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JP2007135417A5 (ko)
KR101007837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KR101403929B1 (ko) 양 베어링 릴
JP4901500B2 (ja)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KR101178773B1 (ko)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
US7165737B2 (en)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JP4039951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9159849A5 (ko)
KR20090072982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TW201422151A (zh) 雙軸承捲線器的捲筒制動裝置
JP2013188140A (ja) 両軸受リール
TW201422150A (zh) 雙軸承捲線器的捲筒制動裝置
JP2006230359A (ja) 両軸受リール
JP4926036B2 (ja)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2009159848A5 (ko)
JP2009159850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04357601A (ja)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4266707B2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JP3977748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3977746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6230358A (ja) 両軸受リール
JP3977747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4266708B2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JP2004350635A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