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929B1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929B1
KR101403929B1 KR1020080113223A KR20080113223A KR101403929B1 KR 101403929 B1 KR101403929 B1 KR 101403929B1 KR 1020080113223 A KR1020080113223 A KR 1020080113223A KR 20080113223 A KR20080113223 A KR 20080113223A KR 101403929 B1 KR101403929 B1 KR 10140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ubstrate assembly
rotation
reel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950A (ko
Inventor
아키라 니이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9007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기판 조립체의 착탈(着脫)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스풀 제동 기구(25)에서는, 기판 조립체(80)를 지지 부재(81) 에 장착하고, C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3)를 기판 조립체(80)와 지지 부재(81)의 사이에 개장(介裝, 부재 간에 설치함)하는 것으로, 기판 조립체(80)와 지지 부재(81)를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기판 조립체(80)와 지지 부재(81)는, C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3)에 의하여 일체적인 유닛으로 되어 있으므로, 지지 부재(81)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지지 부재(81)와 일체로 된 기판 조립체(80)도 동시에 떼어낼 수 있다.
양 베어링 릴, 스풀 제동 수단, 회전 멈춤 부재, 회전 멈춤 돌기, 회전 멈춤 오목부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 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 특히 낚싯대에 취부되고, 낚싯줄의 방출 및 감기를 행하는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 특히 낚싯줄의 선단(先端)에 채비 등을 장착하여 캐스팅하는 베이트 캐스팅 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종래는,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식의 것이나 자석에서 생기는 와전류를 이용한 자석식의 것 등의 기계적인 스풀 제동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계식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캐스팅 도중의 제동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이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전기 제어 가능한 양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는, 스풀과 릴 본체의 사이에 자석과 코일로 이루어지는 발전 기구를 설치하고, 그것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캐스팅 도중의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동 장치에서는, 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복수의 전기 부품을 가지는 전자 회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에는,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자석이 장착되어 있고, 회로 기판에는, 자석의 내주(內周)에 배치된 코일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 회로 장치는, 스풀이 회전하면, 자석과 코일의 작용에 의하여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를 마이크로컴퓨터 내의 메모리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여 스풀을 제동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스풀 제동 장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조립체는 릴 본체의 측판(側板)의 개구(開口)에 복수의 나사 부재에 의하여 직접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판 조립체를 착탈하려면, 릴 본체의 측판으로부터 측 커버를 열어, 기판 조립체에 장착된 복수의 나사 부재를 측판으로부터 착탈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08630호
상기 종래의 스풀 제동 장치는, 기판 조립체는 릴 본체의 측판의 개구에 복수의 나사 부재에 의하여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판 조립체에 장착된 복수의 나사 부재를 측판으로부터 착탈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나사 부재를 착탈하기 위한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거나, 떼어낸 나사 부재나 기판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 뿔뿔이 흩어져 버리는 일이 있으므로, 기판 조립체를 착탈하는 작업에 시간이 들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기판 조립체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낚싯대에 취부되고 낚싯줄의 방출 및 감기를 행하는 양 베어링 릴이고, 낚싯대에 장착되고 측부에 개구를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낚싯줄을 외주(外周)에 감는 스풀과,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수단과, 릴 본체의 개구에 장착되는 통상부와 통상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스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가지는 지지 부재와, 통상부의 내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하는 전기 회로가 재치(載置, 물건의 위에 다른 물건을 올리는 것)된 기판 조립체와, 통상부의 내측과 기판 조립체의 외측의 사이에 장착되고 기판 조립체를 지지 부재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지지 부재(받이 부재)와 기판 조립체는, C링이나 O링 등의 빠짐 방지 부재에 의하여 일체적인 유닛이 되어 있으므로, 지지 부재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지지 부재와 일체로 된 기판 조립체도 동시에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복수의 나사 부재를 기판 조립체로부터 착탈하는 것 없이, 기판 조립체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발명 1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스풀 제동 수단은, 스풀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에 의하여 스풀을 제동한다. 이 경우,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세밀하고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발명 1 또는 2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기판 조립체를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멈춤하는 회전 멈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기판 조립체를 판상(板狀)의 회전 멈춤 부재(기판 고정판)에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고, 회전 멈춤 부재를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기판 조립체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 릴 본체로부터 착탈하는 구성일 때에는,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도, 기판 조립체가 릴 본체의 측판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된다. 따라서, 기판 조립체를 릴 본체의 측판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릴 본체의 측판에 대하여 개폐하는 측 커버에 설치된 모드 손잡이에 연동(連動)하는 자석과, 모드 손잡이에 연동하는 자석에 대응하는 기판 조립체에 설치된 홀 소자의 위치 맞춤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발명 3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릴 본체는, 개구에 형성된 회전 멈춤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회전 멈춤 부재는, 회전 멈춤 오목부에 계합(係合, 걸어 맞추는 것)하는 회전 멈춤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릴 본체의 회전 멈춤 오목부에 회전 멈춤 부재의 회전 멈춤 돌기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 멈춤 부재의 릴 본체에 대한 회전 멈춤을 간소한 구성으로 행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발명 3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릴 본체는, 개구에 형성된 회전 멈춤 돌기를 가지고 있다. 회전 멈춤 부재는, 회전 멈춤 돌기가 계합하는 회전 멈춤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릴 본체의 회전 멈춤 돌기를 회전 멈춤 부재의 회전 멈춤 오목부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 멈춤 부재의 릴 본체에 대한 회전 멈춤을 간소한 구성으로 행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발명 3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회전 멈춤 부재는 기판 조립체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기판 조립체의 외형(外形)보다 큰 외형을 가지는 판상의 회전 멈춤 부재(기판 고정판)를 기판 조립체의 지지 부재 장착 측과 역측의 면에 나사 멈춤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기판 조립체가 지지 부재 장착 측과 역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발명 1 또는 2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통상부의 내주부에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있다. 빠짐 방지 부재는, 기판 조립체의 외주부 및 홈부에 장착되는 링 부재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C링이나 O링 등의 링 부재를 통상부의 내주부의 홈부와 기판 조립체의 외주부의 사이의 간극(間隙)에 탄성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기판 조립체와 지지 부재가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기판 조립체를 지지 부재에 짜넣을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발명 1 또는 2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릴 본체는, 개구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지지 부재는, 통상부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암나사부에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하는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릴 본체의 암나사부에 지지 부재의 수나사부를 나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지 부재의 릴 본체에 대한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9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발명 8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릴 본체는, 개구의 내주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주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환상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측판의 개구에 별체의 환상 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측판과 환상 부재를 다른 재질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지지 부재와 기판 조립체는, 빠짐 방지 부재에 의하여 일체적인 유닛이 되어 있으므로, 지지 부재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지지 부재와 일체로 된 기판 조립체도 동시에 떼어낼 수 있고, 이 때문에, 기판 조립체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릴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트용의 로우 프로파일(low-profile)형의 양 베어링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랙 조정용의 스타 드랙(3)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암부(2a)와, 암부(2a)의 양단(兩端)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고, 암부(2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축(30)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너트(28)에 의하여 핸들 축(30)에 체결(締結)되어 있다.
릴 본체(1)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고,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 및 제2 측 커버(7)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권사(卷絲)용의 스풀(12)이 스풀축(20, 도 2 참조)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2)과,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 손가락의 닿는 곳으로 되는 클러치 레버(17, 도 1 참조)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7)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8)에 전하기 위한 기어 기구(19)와, 스풀(12)과 핸들(2)의 연결·차단하는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22)와,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랙 기구(23)와,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의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전기 제어식의 스풀 제동 기구(25)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1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과, 이들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0a)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8)에는, 원형(圓形)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8a)에는, 릴 본체(1)를 구성하는 환상 부재(13)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환상 부재(13)의 외주부(外周部)에는, 일부가 노치(notch)된 위치 결정 오목부(13c)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제1 측판(8)의 위치 결정 돌기에 계지(係止)하는 것으로, 환상 부재(13)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환상 부재(13)는,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그 표면에는,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한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부재(13)의 내주부에는, 후술하는 지지 부재(8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지지 부재(81)의 내주 측에는, 스풀(12)의 일단(一端)을 지지하는 베어링(26a)이 수납되는 베어링 수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측부에 접시 형상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고, 양 플랜지부(12a)의 사이에 통상의 권사 몸통부(12b)를 가지고 있다. 도 2 좌측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은, 줄 씹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8a)의 내주 측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 측을 관통하는 스풀축(20)에 예를 들어 세레이션(serration) 결합 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20)은, 예를 들어 SUS304 등의 비자성 금속제이고, 제2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7)의 외방(外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 커버(7)에 장착된 보스부에 베어링(26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스풀축(20)의 타단(他端)은 베어링(26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0)의 중심에는, 대경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베어링(26a, 26b)에 지지되는 소경부(小徑部, 20b, 20c)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베어링(26a, 26b)은 구름(rolling) 부재와 내륜 및 외륜이 SUS404C제로 그 표면을 개질(改質)하여 내식성(耐蝕性)을 향상시킨 구름 베어링이다.
나아가, 도 2 좌측의 소경부(20b)와 대경부(20a)의 사이에는 양자의 중간의 외경을 가지는, 후술하는 자석(61)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장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장착부(20d)에는, 예를 들어 SUM(압출·절삭)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계 니켈 도금을 시공한 자성체제의 자석 보지부(27)가, 예를 들어 세레이션 결합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자석 보지부(27)는,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중심에 자석 장착부(20d)가 관통하는 관통공(27a)이 형성된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자석 보지부(保持部)(27)의 고정 방법은 세레이션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여러 가지의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20)의 대경부(20a)의 우단(右端)은, 제2 측판(9)의 관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클러치 기구(21)를 구성하는 계합 핀(29)이 고정되어 있다. 계합 핀(29)은 직경을 따라 대경부(20a)를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 로 돌출하고 있다.
클러치 레버(1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의 후부(後部)에서 스풀(12) 후방(後方)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17)는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클러치 기구(21)를 연결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기어 기구(19)는 핸들 축(30)과, 핸들 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통상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핸들 축(30)은, 제2 측판(9) 및 제2 측 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86) 및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87)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역전)이 금지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86)는, 제2 측 커버(7)와 핸들 축(30)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메인 기어(31)는, 핸들 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들 축(30)과 드랙 기구(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제2 측판(9)의 외방으로부터 내방(內方)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스풀축(20)이 관통하는 통상 부재이며, 스풀축(2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단 측은, 베어링(33)에 의하여 제2 측판(9)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단부에는 계합 핀(29)에 맞물리는 맞물림 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홈(32a)과 계합 핀(29)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가 구성된다. 또 중간부에는 잘록부(32b)가, 우단부에는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부(32c)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스풀축(20)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클러치 요크(yoke)(35)를 가지고 있다. 또,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스풀(12)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를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축(20)의 양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20)의 협지력(挾持力)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베어링 수납부(14) 내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 제동 기구의 구성〕
스풀 제동 기구(25)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2)과 릴 본체(1)에 설치된 스풀 제동 유닛(40)과,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 속도 센서(41)와, 스풀 제동 유닛(40)을 4개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유닛(42)과, 4개의 제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손잡이(43)를 가지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12)을 발전에 의하여 제동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이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축(20)에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자석(61)을 포함하는 회전자(60)와, 회전자(60)의 외주 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직렬 접속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코일(62)과,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62)의 양단이 접속된 스위치 소자(6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자석(61)과 코일(62)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스위치 소자(63)에 의하여 온 오프하는 것에 의하여 듀티비를 변경하여 스풀(12)을 제동한다. 스풀 제동 유닛(40)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은 스위치 소자(63)의 온 시간이 길수록(듀티비가 클수록) 강해진다.
회전자(60)의 4개의 자석(61)은,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극성이 번갈아 다르게 되어 있다. 자석(61)은, 자석 보지부(27)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부재이고, 그 외측면은 단면 원호 형상의 면이며, 내측면은 평면이다. 이 내측면이 스풀축(20)의 자석 보지부(27)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면의 자석(6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SUM(압출·절삭)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계 니켈 도금을 시공한 자성체제의 슬리브(68)가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68)는,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면에 압입 또는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성체제의 슬리브(68)를 자석(61)에 대향하여 배치하면, 자석(61)으로부터의 자속이 코일(62)을 집중하여 통과하므로 발전 및 브레이크 효율이 향상한다.
코일(62)은, 코깅(cogging)을 방지하여 스풀(1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코어레스 타입(coreless type)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나아가 요크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코일(62)은, 권회(卷回)된 심선(芯線)이 자석(61)에 대향하여 자석(61)의 자장 내에 배치되도록 대략 직사각형으로 권회되어 있다. 4개의 코일(62)은 직렬 접속되어 있고, 그 양단이 스위치 소자(63)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62)은, 자석(61)의 외측면과의 거리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스풀축심에 대하여 실질적으 로 동심의 원호 형상으로 스풀(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만곡(灣曲)하여 성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62)과 회전 중의 자석(61)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코일(62)은 후술하는 회로 기판(70)에 취부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63)는, 예를 들어 고속으로 온 오프 제어할 수 있는 병렬 접속된 2개의 FET(field effect transis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있다. FET의 각 드레인 단자에 직렬 접속된 코일(6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 소자(63)도 회로 기판(70)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속도 센서(41)는, 예를 들어 투광부와 수광부(受光部)를 가지는 투수광 형의 광전 스위치를 이용하고 있다. 회로 기판(70)에 대향하는 스풀(12)의 플랜지부(12a)의 외측면에는,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는 검출 통부(12c)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회전 속도 센서(41)는, 검출 통부(12c)를 사이에 두고 투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슬릿을 통과하는 빛에 의하여 스풀(1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있다.
모드 손잡이(43)는, 4개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제동 모드는, 제1 제동력 및 제2 제동력이 다른 제동 모드이며, L 모드(멀리 던지기 모드)와, M 모드(중거리 모드)와, A 모드(올 라운드 모드)와, W 모드(윈드 모드)의 4개의 모드이다.
여기서, L 모드는 비중이 가벼운 낚싯줄을 사용하고, 순풍이라는 좋은 환경 조건에 있어서, 스푼, 메탈 지그(jig), 바이브레이션 등의 공기 저항이 적고 무거운 채비(루어(lure, 인조미끼))를 매우 멀리 던지기 위한 롱 디스턴스 모드이다. 캐스팅 직후의 에너지를 극한까지 이용하여, 최대 회전수를 가능한 한 높이고, 나아가 중반 이후를 거의 프리로 하여 비거리(飛距離)를 늘릴 수 있도록 고려된 제동 모드이며, 제1 제동력이 가장 작게 설정되어 있다.
M 모드는, 중심 이동식 플러그나 펜실베이트, 바이브레이션 등 공기 저항이 적은 채비(플러그)로 쾌적하게 멀리 던질 수 있도록 설정된 제동 모드이다. 캐스팅 직후의 오버 런을 억제하면서, 중반 이후를 능숙하게 보정하여 빠듯한 시점에서 백래시시키지 않고 비거리를 늘릴 수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비중이 작은 폴리아미드 수지계의 낚싯줄을 사용하는 경우, 이 모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모드는, 캐스팅 직후의 에너지를 극한까지 이용하면서, 후반의 늘어남을 중시한 브레이크 설정이다. 낚싯줄이나 채비의 종류, 풍향을 불문하고, 대부분의 상황에서 만능으로 사용 가능하다. 특히, 비중이 무거운 플로로카본계의 낚싯줄을 사용하는 경우, 이 모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 모드는, 완전한 역풍 속에서 채비의 비행 거리가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백래시를 가급적으로 억제하여 비행 거리를 늘리는 모드이고, 제2 제동력이 가장 크게 설정되어 있다. 비행 중에 회전하여 감속하기 쉬운 중심 고정 미노우(minnow)나 플랫 사이드 크랭크를 역풍을 향하여 던지는 경우에 최적의 용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피칭(pitching)이나 스키핑(skipping) 등의 라이트 캐스팅이어도 저회전으로부터 확실하게 백래시를 방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모드 손잡이(4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6)에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가능하고 또한 제동 모드에 따른 4개의 회전 위 상에 위치 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모드 손잡이(43)에는, 도시하지 않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석이 회동하는 영역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홀 소자로 이루어지는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는, 자석의 통과에 의한 2개의 홀 소자의 온 오프의 변화, 구체적으로는, 양방 온, 일방 온 타방 오프, 일방 오프 타방 온, 양방 오프에 의하여, 후술하는 제어부(55)는, 모드 손잡이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고, 4개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회전 위상에 따라 설정한다.
모드 손잡이(43)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제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회동 조작하기 위한 다이얼인 손잡이부(43a)와, 손잡이부(43a)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손잡이 본체(43b)와, 손잡이부(43a)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도시하지 않는 자석을 취부하기 위한 자석 취부대(43c)와, 손잡이 본체(43b)의 이면 측에 형성되고 손잡이부(43a)의 회동에 연동하여 요동하는 자석 취부대(43c)의 요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자석 취부대(43c)의 측단부가 닿는 단차인 벽부(43d)와, 손잡이 본체(43b)의 손잡이부(43a)와 역측에 배치되고 4개의 오목부를 가지는 원판 형상의 발음 원판(43e)과, 발음 원판(43e)의 오목부에 당접하여 발음하는 핀 부재와 용수철 부재로 이루어지는 발음 부재(43f)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자석 취부대(43c)의 요동을 규제하는 벽부(43d)를 손잡이 본체(43b)에 설치하였으므로, 종래와 같이 손잡이부(43a)의 선단부에 벽부를 설치하고 한층 더 이 부분에 발음 기구를 짜넣었을 때에 발생한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스풀 제어 유닛(42)은, 지지 부재(81)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에 대향하 는 면에 장착된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70)에 탑재된 제어부(55)를 가지고 있다.
회로 기판(70)은, 중심이 원형으로 개구하는 와셔(washer) 형상의 링 형상의 기판이고, 베어링 수납부(14)의 외주 측에서 스풀축(20)과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은 지지 부재(81)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70)은 개구(8a)에 대하여 소정의 위상으로 배치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 부재(81)를 개구(8a)에 고정된 환상 부재(13)에 대하여 돌려 착탈하여도 회로 기판(70)이 일정한 위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회로 기판(70)이 지지 부재(81)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회전자(60)의 주위에 배치된 코일(62)을 회로 기판(70)에 직접 취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일(62)과 회로 기판(70)을 접속하는 리드 선이 불필요하게 되고, 코일(62)과 회로 기판(70)의 절연 불량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코일(62)이 지지 부재(81)에 취부된 회로 기판(7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회로 기판(70)을 지지 부재(81)에 취부하는 것만으로 코일(62)도 지지 부재(81)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스풀 제동 기구(25)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나아가, 회로 기판(70)이 스풀축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개구(8a)에 대하여 소정의 위상에 위치 결정되므로, 회로 기판(70)과 릴 본체(1)의 위상이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개폐하는 제1 측 커버(6)에 장착된 모드 손잡이(43)에 자석을 설치하고, 회로 기판(70)에 홀 소자를 설치하여도, 홀 소자가 자석을 항상 같은 위치 관계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55)는, 예를 들어 CPU(55a), RAM(55b), ROM(55c) 및 I/O 인터페이스(55d) 등이 탑재된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5)의 ROM(55c)에는,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되는 것과 함께, 2개의 제동 처리에 미치는 기본 제동력이나 보정 제동력이나 타이머 등의 데이터가 각각 4개의 제어 모드에 따라 격납되어 있다. 또, 각 제어 모드 시의 장력의 참조 장력이나, 개시 장력 등의 설정값 등도 격납되어 있다. 제어부(55)에는, 회전 속도 센서(41)와, 모드 손잡이(43)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부(55)에는 스위치 소자(63)의 각 FET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5)는 각 센서(41, 45)로부터의 입력과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스풀 제동 유닛(40)의 스위치 소자(63)를 예를 들어 주기 1/1000초의 PWM(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의하여 온 오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5)는 선택된 제동 모드에 있어서, 회전 속도에 따라 감소하는 듀티비(D)로 스위치 소자(63)를 온 오프 제어한다. 제어부(55)에는 전원으로서의 축전 소자(57)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 전력은 회전 속도 센서(41)와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에도 공급된다.
전원으로서의 축전 소자(57)는, 예를 들어 전해 콘덴서를 이용하고 있고, 정류 회로(58)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 회로(58)는 스위치 소자(63)에 접속되어 있고, 회전자(60)와 코일(62)을 가지고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스풀 제동 유닛(40)으로부터의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또한 전압을 안정화하여 축전 소자(57)로 공급한다.
덧붙여, 이들의 정류 회로(58) 및 축전 소자(57)도 회로 기판(70)에 탑재되 어 있다. 이 회로 기판(70)에 탑재된 코일(62)을 포함하는 각 부는, 핫멜트 몰딩법에 의하여 형성된 합성 수지 절연체제의 절연 피막(90)에 의하여 덮여 있다. 절연 피막(90)은 테두리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일(62)과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70)에 장착된 전기 부품을 덮고 있다. 다만, 회전 속도 센서(41)의 투수광 부분은 절연 피막(90)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풀 제동 기구(25)를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취부하기 위해 필요한 양 베어링 릴의 구성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풀 제동 기구(25)가 취부되는 양 베어링 릴은,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8)의 개구(8a)에 고정된 환상 부재(13)의 내주부에 장착되는 통상부(81a)와 통상부(81a)의 내측에 설치되고 스풀축(20)의 단부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81b)를 가지는 지지 부재(81)와, 통상부(81a)의 내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70)에 장착된 전기 부품과 코일(62)과 인서트 부재(84)와 절연 피막(90)이 일체적인 유닛으로 된 기판 조립체(80)와, 통상부(81a)의 내측과 기판 조립체(80)의 외측의 사이에 장착되고 기판 조립체(80)를 지지 부재(81)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빠짐 방지하는 C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3)와, 제1 측판(8)의 개구(8a)의 내주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주부에 암나사부(13a) 및 회전 멈춤 오목부(13b)가 형성된 릴 본체(1)의 구성의 하나인 환상 부재(13)와, 회전 멈춤 오목부(13b)에 계합하는 회전 멈춤 돌기(82c)를 가지고 기판 조립체(80)를 환상 부재(13)에 대하여 회전 멈춤하는 회전 멈춤 부재인 기판 고정판(82)을 더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기판 조립체(80)의 지지 부재(81)와 대향하는 면에는, 기판 조립체(80)의 인쇄면을 은폐하기 위한 시트 부재가 첨부되어 있다.
지지 부재(81)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8)의 개구(8a)에 고정된 환상 부재(13)의 내주부에 장착되는 통상부(81a)와, 통상부(81a)의 내측에 설치되고 스풀축(20)의 단부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81b)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81a)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환상으로 형성된 홈부(81d)가 형성되어 있고, 기판 조립체(80)의 외주에 장착된 C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3)가 홈부(81d)에 압접된 상태로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C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3)가, 기판 조립체(80)의 외주부 및 홈부(81d)에 압접된 상태로 장착되므로, 기판 조립체(80)가 지지 부재(81)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것과 함께, 기판 조립체(80)가 지지 부재(8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 통상부(81a)의 외주부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8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81c)를 환상 부재(13)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3a)(도 4, 도 6 및 도 9 참조)에 나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지 부재(81)를 환상 부재(13)에 고정할 수 있다. 환상 부재(13)는, 제1 측판(8)의 개구(8a)의 내주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도시하지 않는 3개의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결과, 지지 부재(81)는 제1 측판(8)의 개구(8a)의 내주 측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기판 고정판(82)은,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62)을 삽통하도록 기판 조립체(80)에 고정되는 판 형상 부재이고, 판면 측에 간격을 두고 3개소에 형성된 제2 관통공(82a)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3개의 제2 관통공(82a)에 3개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85)를 기판 조립체(80)의 인서트 부재(84)에 나사 멈춤하는 것에 의하여, 기판 조립체(80)에 기판 고정판(82)을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기판 고정판(82)의 외형은, 기판 조립체(80)의 외형보다 큰 외형을 가지고 있고, 기판 조립체(80)를 지지 부재(81)에 장착하였을 때에, 외형이 큰 기판 고정판(82)에 의하여, 기판 조립체(80)가 지지 부재(81) 장착 측과 역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판 고정판(82)은, 기판 조립체(80)를 환상 부재(13)에 대하여 회전 멈춤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고, 환상 부재(13)의 회전 멈춤 오목부(13b)에 계합하는 회전 멈춤 돌기(82c)를 가지고 있다. 회전 멈춤 돌기(82c)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의 일부가 환상 부재(13) 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돌출한 계지편(係止片)이다. 회전 멈춤 오목부(13b)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부재(13)의 내주부의 암나사부(13a)의 일부를 노치하여 형성된 계지 홈이다. 여기에서는, 기판 고정판(82)의 회전 멈춤 돌기(82c)를 환상 부재(13)의 회전 멈춤 오목부(13b)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기판 고정판(82)과 환상 부재(13)가 회전 멈춤되고, 즉 기판 고정판(82)이 고정된 기판 조립체(80)와, 환상 부재(13)가 고정된 제1 측판(8)이 회전 멈춤된다.
〔스풀 제동 기구의 착탈 동작〕
이와 같은 스풀 제동 기구(25)를 릴 본체(1)에 취부하려면, 우선, 환상 부재(13)를 제1 측판(8)의 개구(8a)에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나사 멈춤 고정한다. 다 음으로, 기판 조립체(80)에 기판 고정판(82)을 고정 부재(85)에 의하여 나사 멈춤하고, 기판 고정판(82)이 고정된 기판 조립체(80)를 지지 부재(81)에 장착하고, C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3)를 기판 조립체(80)와 지지 부재(81)의 사이에 개장하는 것으로, 기판 조립체(80)와 지지 부재(81)를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기판 조립체(80), 지지 부재(81), 기판 고정판(82) 및 빠짐 방지 부재(83)가 일체로 된 유닛의 상태로, 기판 고정판(82)의 회전 멈춤 돌기(82c)를 환상 부재(13)의 회전 멈춤 오목부(13b)에 계지하고, 지지 부재(81) 외주부의 수나사부(81c)를 환상 부재(13) 내주부의 암나사부(13a)에 나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기판 조립체(80), 지지 부재(81), 기판 고정판(82) 및 빠짐 방지 부재(83)가 일체로 된 유닛을 환상 부재(13), 즉 제1 측판(8)의 개구(8a)의 내주 측에 취부한다.
여기에서는, 기판 조립체(80), 지지 부재(81), 기판 고정판(82) 및 빠짐 방지 부재(83)가 일체로 된 유닛을 릴 본체(1)의 환상 부재(13)에 나합시키는 것으로, 스풀 제동 기구(25)를 릴 본체(1)에 취부할 수 있다. 또, 기판 조립체(80), 지지 부재(81), 기판 고정판(82) 및 빠짐 방지 부재(83)가 일체로 된 유닛을 반대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 제동 기구(25)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실제 낚시 시의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을 행할 때에는, 클러치 레버(17)를 하방(下方)으로 압압(押壓)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12)이 자유 회전 상태가 되고, 캐스팅을 행하면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12)로부터 힘차게 방출된다. 이 캐스팅에 의하여 스풀(12)이 회전하면, 자석(61)이 코일(62)의 내주 측을 회전하고, 스위치 소자(63)를 온하면 코일(62)에 전류가 흐르고 스풀(12)이 제동된다. 캐스팅 시에는 스풀(12)의 회전 속도는 서서히 빨라지고, 피크를 넘으면 서서히 감속한다.
채비가 착수(着水)하면, 핸들(2)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 상태로 하고, 릴 본체(1)를 파밍(palming)하여 입질을 기다린다.
이와 같은 스풀 제동 기구(25)에서는, 기판 조립체(80)를 지지 부재(81)에 장착하고, C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3)를 기판 조립체(80)와 지지 부재(81)의 사이에 개장하는 것으로, 기판 조립체(80)와 지지 부재(81)를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기판 조립체(80)와 지지 부재(81)는, C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3)에 의하여 일체적인 유닛으로 되어 있으므로, 지지 부재(81)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지지 부재(81)와 일체로 된 기판 조립체(80)도 동시에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복수의 나사 부재를 기판 조립체(80)로부터 착탈하는 것 없이, 기판 조립체(80)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이트 캐스트용의 로우 프로파일형의 양 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환형(丸形)의 양 베어링 릴이어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전에 의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유닛을 개시했지만, 스풀 제동 유닛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브레이크슈(brakeshoe)나 브레이크 패드를 드럼이나 디스크에 접촉시키는 것과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로서 2개의 홀 소자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홀 소자를 대신하여 리드 스위치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측판(8)의 개구(8a)에 환상 부재(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었지만, 환상 부재(13)를 설치하지 않고, 지지 부재(81)를 제1 측판(8)의 개구(8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지만, 제1 측판(8)의 개구(8a)의 내주부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암나사부에 지지 부재(81)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81c)를 나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환상 부재(13)의 하나의 회전 멈춤 오목부(13b)에 기판 고정판(82)의 하나의 회전 멈춤 돌기(82c)를 계합시키고 있었지만,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부재(13)의 복수(도 13에서는 2개)의 회전 멈춤 오목부(13b)에 기판 고정판(82)의 복수(도 12에서는 2개)의 회전 멈춤 돌기(82c)를 계합시켜도 무방하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환상 부재(13)의 회전 멈춤 오목부(13b)에 기판 고정판(82)의 회전 멈춤 돌기(82c)를 계합시키고 있었지만,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환상 부재(13)의 회전 멈춤 돌기(13d, 도 15 참조)를 기판 고정판(82)의 회전 멈춤 오목부(82d, 도 14 참조)에 계합시켜도 무방하다. 덧붙여, 환상 부재(13)의 회전 멈춤 돌기(13d)는, 암나사부(13a)의 나합을 저해하지 않도록, 암나사부(13a)의 종단(終端) 부분에만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83)로서 C링을 이용했지만,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 부재(88)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풀 제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스풀 제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6은 상기 스풀 제동 장치의 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상기 스풀 제동 장치의 기판 고정판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상기 기판 고정판의 확대 측면도.
도 9는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되는 환상 부재의 확대 정면도.
도 10은 상기 스풀 제동 장치의 회로 기판의 확대 정면도.
도 11은 상기 스풀 제동 장치의 모드 손잡이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도 9에 상당하는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도 9에 상당하는 도면.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5: 프레임
6: 제1 측 커버 7: 제2 측 커버
8: 제1 측판 9: 제2 측판
12: 스풀 13: 환상 부재
13a: 암나사부 13b: 회전 멈춤 오목부
13c: 위치 결정 오목부 13d: 회전 멈춤 돌기
20: 스풀축 25: 스풀 제동 기구
27: 자석 보지부 40: 스풀 제동 유닛
42: 스풀 제어 유닛 43: 모드 손잡이
43a: 손잡이부 43b: 손잡이 본체
43c: 자석 취부대 43d: 벽부
43e: 발음 원판 43f: 발음 부재
45: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 55: 제어부
60: 회전자 61: 자석
62: 코일 63: 스위치 소자
70: 회로 기판 70a: 제1 관통공
80: 기판 조립체 81: 지지 부재
81a: 통상부 81b: 회전 지지부
81c: 수나사부 81d: 홈부
82: 기판 고정판 82a: 제2 관통공
82c: 회전 멈춤 돌기 82d: 회전 멈춤 오목부
83: 빠짐 방지 부재 84: 인서트 부재
85: 고정 부재 86: 원웨이 클러치
88: 빠짐 방지 부재 90: 절연 피막

Claims (9)

  1. 낚싯대에 취부되고, 낚싯줄의 방출 및 감기를 행하는 양 베어링 릴이고,
    상기 낚싯대에 장착되고, 측부(側部)에 개구(開口)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낚싯줄을 외주(外周)에 감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수단과,
    상기 릴 본체의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통상부(筒狀部)와, 상기 통상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가지는 지지 부재와,
    상기 통상부의 내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하는 전기 회로가 재치(載置)된 기판 조립체와,
    상기 통상부의 내측과 상기 기판 조립체의 외측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 조립체를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
    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은,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에 의하여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조립체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멈춤하는 회전 멈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양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상기 개구에 형성된 회전 멈춤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회전 멈춤 부재는, 상기 회전 멈춤 오목부에 계합(係合)하는 회전 멈춤 돌기를 가지고 있는, 양 베어링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상기 개구에 형성된 회전 멈춤 돌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회전 멈춤 부재는, 상기 회전 멈춤 돌기가 계합하는 회전 멈춤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양 베어링 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 부재는, 상기 기판 조립체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통상부의 내주부(內周部)에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기판 조립체의 외주부(外周部) 및 상기 홈부에 장착되는 링 부재인, 양 베어링 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상기 개구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통상부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에 나합(螺合)하는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는, 양 베어링 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상기 개구의 내주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주부에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환상 부재를 가지고 있는, 양 베어링 릴.
KR1020080113223A 2007-12-28 2008-11-14 양 베어링 릴 KR101403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40401A JP4926037B2 (ja) 2007-12-28 2007-12-28 両軸受リール
JPJP-P-2007-340401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950A KR20090072950A (ko) 2009-07-02
KR101403929B1 true KR101403929B1 (ko) 2014-06-09

Family

ID=4082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223A KR101403929B1 (ko) 2007-12-28 2008-11-14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26037B2 (ko)
KR (1) KR101403929B1 (ko)
CN (1) CN101467522B (ko)
TW (1) TWI4367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8244B2 (ja) 2010-07-26 2014-06-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6166558B2 (ja) * 2013-03-13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6559036B2 (ja) * 2015-10-06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08454B2 (ja) * 2017-09-28 202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64316B2 (ja) * 2017-11-10 2022-05-1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64323B2 (ja) * 2017-12-06 2022-05-10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軸受保持構造および魚釣用リール
JP7015690B2 (ja) * 2017-12-27 2022-02-0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スイッチ
JP7122167B2 (ja) * 2018-06-11 2022-08-19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7121569B2 (ja) * 2018-07-13 2022-08-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11642473B (zh) * 2020-06-15 2022-05-03 威海良美精密机械有限公司 带液力式刹车结构的渔轮
JP7374056B2 (ja) * 2020-08-27 2023-11-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N113207825B (zh) * 2021-04-30 2022-03-15 北京邮电大学 一种鱼竿用导环的自动化安装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64U (ja) * 1993-09-14 1995-03-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2004208630A (ja) 2003-01-06 2004-07-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6197810A (ja) 2005-01-18 2006-08-0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08182915A (ja) 2007-01-29 2008-08-1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804A (en) * 1993-10-05 1997-06-10 Bando Leports, Ltd. Double-bearing fishing reel
JP3495252B2 (ja) * 1998-03-30 2004-02-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4173244B2 (ja) * 1999-03-30 2008-10-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3955725B2 (ja) * 2000-11-10 2007-08-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CN1454468A (zh) * 2002-05-01 2003-11-12 株式会社岛野 双轴承渔线轮
JP2004215531A (ja) * 2003-01-10 2004-08-0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4916696B2 (ja) * 2005-10-13 2012-04-1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64U (ja) * 1993-09-14 1995-03-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2004208630A (ja) 2003-01-06 2004-07-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6197810A (ja) 2005-01-18 2006-08-0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08182915A (ja) 2007-01-29 2008-08-1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4382A (en) 2009-08-16
CN101467522A (zh) 2009-07-01
TWI436734B (zh) 2014-05-11
JP2009159849A (ja) 2009-07-23
JP4926037B2 (ja) 2012-05-09
KR20090072950A (ko) 2009-07-02
CN101467522B (zh)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929B1 (ko) 양 베어링 릴
TWI604788B (zh) 雙軸承捲線器
US7503517B2 (en)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 bearing reel
KR101396774B1 (ko) 양 베어링 릴의 핸들축 지지 구조
JP2009159849A5 (ko)
US9101121B2 (en)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US6983907B2 (en) Bre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US9095129B2 (en)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US20110180647A1 (en) Dual-bearing reel drag sound producing device
JP2006197810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06197810A5 (ko)
JP4039951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KR101467156B1 (ko) 낚시 용품의 전자 회로 장치
JP2009159848A5 (ko)
TWI465194B (zh) Roller brake device for double bearing reel
JP2004208631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4208633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4208632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