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982A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982A
KR20090072982A KR1020080131341A KR20080131341A KR20090072982A KR 20090072982 A KR20090072982 A KR 20090072982A KR 1020080131341 A KR1020080131341 A KR 1020080131341A KR 20080131341 A KR20080131341 A KR 20080131341A KR 20090072982 A KR20090072982 A KR 20090072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raking
braking force
ten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584B1 (ko
Inventor
아키라 니이쓰마
겐이치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9007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낚시의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되어도, 제동력의 강약 설정을 다시 행할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 스풀 제동 기구(25)는, 스풀을 제동하는 장치로서, 스풀 제동 유닛(40)과, 제어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55)는, 제1 제동력으로 스풀 제동부를 제어하고, 그 후 장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제2 제동력으로 제동부를 제어한다.
낚시, 제동력, 스풀 제동 기구, 스풀 제동 유닛, 스풀 제동부, 검출 장력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SPOOL BRAKE DEVICE OF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제동 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 특히, 낚시줄의 선단에 낚시 기어(예를 들면, 터미널 태클(terminal tackle) 등의 도구를 장착하여 캐스팅(casting)하는 베이트(bait) 캐스팅 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해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식의 것이나 자석에 의해 생기는 와전류(渦電流)를 사용한 자석식의 것 등의 기계적인 스풀 제동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계식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강약을, 릴 본체의 핸들 장착 측과 반대 측의 측면에 설치된 조정 다이얼로 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기계식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력의 캐스팅 도중의 제동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없다. 그래서, 최근에는,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전기적으 로 제어 가능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종래의 전기 제어 가능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스풀과 릴 본체 사이에 자석과 코일로 이루어지는 발전 기구를 설치하고, 이것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캐스팅 도중의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다.
종래의 스풀 제동 장치는, 스풀에 설치된 자석과, 릴 본체에 설치된 코일과,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과, 검출 장력으로부터 제동 개시 시기를 결정하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캐스팅 개시로부터의 장력의 변화를 검출하고, 장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서서히 제동력이 작아지는 제동 패턴으로 제동력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강약을 복수단층으로 제어하기 위해, 릴 본체의 핸들 장착 측과 반대 측의 측면에 제동력의 강약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용의 조정 다이얼을 설치하고 있다. 조정 다이얼에서는, 예를 들면, 제동력의 강약을 8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8단계의 제동 패턴은, 기준으로 되는 제동 패턴을 강약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설정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0954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208630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기계식 및 전기 제어식의 스풀 제동 장치의 어딘가 에 있어서도, 도구의 질량이나 낚시터의 풍향 등의 낚시의 조건에 따라, 조정 다이얼을 조작하여 제동력의 강약을 제어한다. 그리고, 조정 다이얼을 조작하여 도구의 비행거리가 최대가 되는 설정을 찾아내고 있다. 그러나, 도구의 질량이 변하거나, 풍향이 변하거나 하여 낚시의 조건이 변화하면, 비행거리가 변화한다. 따라서, 종래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낚시의 조건이 변화할 때마다, 조정 다이얼을 조작하여 제동력의 강약 설정을 다시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의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되어도, 제동력의 강약 설정을 다시 행할 필요가 없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시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장치로서, 스풀 제동부와, 제1 제동력 설정부와, 장력 설정부와, 장력 검출부와, 제2 제동력 설정부와, 스풀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부는,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동하는 것이다. 제1 제동력 설정부는, 시간 경과와 함께 감소하는 제1 제동력을 설정하는 것이다. 장력 설정부는, 참조 장력을 설정하는 것이다. 장력 검출부는,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것이다. 제2 제동력 설정부는, 제1 제동력을 기준으로 하여 제동력을 증가시킨 제2 제동력을 설정하는 것이다. 스풀 제어부는, 제1 제동력으로 스풀 제동부를 제어하고, 그 후 장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제2 제동력으로 제동부를 제어한다.
이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낚시줄이 스풀로부터 송출되면,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한다. 그리고, 먼저 제1 제동력에 의해 스풀을 제동한다. 제1 제동력에 의한 제동을 개시한 후,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제2 제동력으로 스풀을 제동한다. 이 제2 제동력은, 제1 제동력을 기준으로 하여 제동력을 증가시킨 제동력이다.
이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검출 장력이 미리 설정된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제1 제동력을 기준으로 제동력을 증가시킨 제2 제동력으로 스풀을 제동한다. 그러므로, 비교적 강한 장력이 항상 작용하는 경우에는,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을 초과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제동력이 비교적 약한 제1 제동력만으로 제동되는 비율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무거운 도구를 사용한 경우나 순풍의 경우에는, 약한 제동력으로 스풀이 제동된다. 또한, 약한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는,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제동력이 비교적 강한 제2 제동력으로 제동되는 비율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가벼운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나 역풍의 경우에는, 강한 제동력으로 스풀이 제동된다.
여기서는,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을 넘고 있으면, 약한 제1 제동력으로 제동하고,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제1 제동력을 기준으로 하여 제동력을 증가시킨 강한 제2 제동력으로 스풀을 제동한다. 따라서, 낚시의 조건에 따라 제동력의 강약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낚시의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되어도, 제동력의 강약 설정을 다시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개시하는 타이머부를 구비하 고, 스풀 제어부는, 타이머부가 타임업하면, 제2 제동력으로 제동부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타이머부가 개시하여 타임업할 때까지의 장력 상태를 감시한다. 그리고, 타이머부가 타임업하기까지,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을 넘으면 그대로 제1 제동력으로 제동한다.
여기서는,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즉시 제동력이 강한 제2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것이 아니라, 타이머부가 타임업할 때까지 기다리므로, 제2 제동력에 의한 제동의 빈도가 감소하여, 자주 강한 제동력으로 제동되는 현상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도구를 보다 멀리 비행하게 할 수 있다 .
본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타이머부는, 캐스팅 후의 1회째에 동작하는 타이머값이 2회째 이후에 동작하는 타이머값보다 작다. 이 경우에는, 2회째 이후에 제2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경우에는, 1회째보다 대기 시간이 길어지므로, 강한 제2 제동력으로 제동되는 현상이 자주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도구를 보다 멀리 비행하게 할 수 있다 .
본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스풀 제어부는, 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 속도의 감소에 따라 제1 제동력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에는, 제1 제동력이 회전 속도에 따라 감소하므로, 감소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자석식의 제동 장치나 원심식의 제동 장치 등의 제동 특성에 맞출 수가 있다.
본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5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 제어부는, 검출된 회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제1 제동력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에는, 스풀의 회전 속도의 제곱으로 제1 제동력이 감소하므로, 원심식의 제동 장치의 특성에 맞춘 제1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6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 제동부는, 검출 장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면 제동 제어를 개시한다. 이 경우에는, 캐스팅 당초부터 서서히 스풀의 회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검출 장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면, 제동을 개시하므로, 검출 장력이 0에 가깝게 되는 스풀의 최대 회전수 전에 제동할 수 있어, 낚시줄이 가라앉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구를 안정적으로 비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 7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 제어부는, 검출된 회전 속도의 감소에 따라 참조 장력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에는, 캐스팅 후에 감소하는 회전 속도에 따라 참조 장력이 감소하므로, 캐스팅의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검출 장력에 따라 참조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 8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1 제동력 설정부 및 제2 제동력 설정부는, 제동력이 상이한 복수개의 제1 제동력 및 제2 제동력을 각각 설정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제동력 및 복수개의 제2 제동력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제동력 선택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낚시줄의 종류 등의 조건에 따라 제1 제동력 및 제2 제동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낚시줄의 종류 등의 조건에 따른 최적의 조건으로 도구의 비행거리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 9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8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참조 장력 설정부는, 복수개의 제1 제동력에 따른 복수개의 참조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참조 장력을, 예를 들면, 낚시줄의 종류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낚시줄의 종류 등의 조건에 따른 최적의 조건으로 도구의 비행거리를 보다 증가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 10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2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2 제동력의 시간적인 감쇠율을 설정하는 감쇠율 설정부를 구비하고, 스풀 제어부는, 타이머부가 타임업한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설정된 감쇠율로 감쇠하도록 제2 제동력을 감쇠시킨다. 이 경우에는, 제2 제동력이 감쇠하므로, 그 감쇠율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강한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시간을 감소시켜 도구의 비행거리를 보다 증가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 1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시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장치로서, 제1 스풀 제동부와, 제2 스풀 제동부와, 장력 설정부와, 장력 검출부와, 제2 제동력 설정부와, 스풀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풀 제동부는, 스풀을 회전수에 따른 제1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것이다. 제2 스풀 제동부는,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2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것이다. 장력 설정부는, 참조 장력을 설정하는 것이다. 장력 검출부는,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것이다. 제2 제동력 설정부 는, 제1 제동력보다 제동력을 증가시킨 제2 제동력을 설정하는 것이다. 스풀 제어부는, 장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제2 제동력으로 제2 스풀 제동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검출 장력이 미리 설정된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제1 스풀 제동부에 의한 제1 제동력에 더하여 제2 스풀 제동부에 의한 제2 제동력으로 스풀을 제동한다. 그러므로, 비교적 강한 장력이 항상 작용하는 경우에는,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을 초과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제1 제동력만으로 제동되는 비율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무거운 도구를 사용한 경우나 순풍의 경우에는, 약한 제동력으로 스풀이 제동된다. 또한, 약한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는,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제1 제동력과 제2 제동력으로 제동되는 비율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가벼운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나 역풍의 경우에는, 강한 제동력으로 스풀이 제동된다.
여기서는,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을 넘고 있으면 약한 제1 제동력으로 제동하고,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제1 제동력과 제2 제동력으로 스풀을 제동한다. 따라서, 낚시의 조건에 따라 제동력의 강약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낚시의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되어도, 제동력의 강약 설정을 다시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 1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1에 관한 장치에 있어서, 제1 스풀 제동부는,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풀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동 슈(shoe) 와, 릴 본체에 제동 슈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제동 슈가 접촉 가능한 제동 드럼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제동력이 작용하면,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 제동력으로 스풀을 제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 장력이 설정 장력을 넘으면, 약한 제1 제동력으로 제동되고, 검출 장력이 설정 장력 이하로 되면 제1 제동력을 기준으로 하여 제동력을 증가시킨 강한 제2 제동력으로 스풀을 제동하므로, 낚시의 조건에 따라 제동력의 강약이 제어된다. 그러므로, 낚시의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되어도, 제동력의 강약 설정을 다시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릴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은, 베이트 캐스팅용의 로프 프로파일 형태의 듀얼 베어링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암부(2a)와, 암부(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며, 암부(2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너트(28)에 의해 핸들축(30)에 체결되어 있다.
릴 본체(1)는, 예를 들면,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며, 프레 임(5)과, 프레임(5)의 양측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 및 제2 측 커버(7)을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이 스풀축(20)(도 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써밍(thumbing) 조작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의 패드로 되는 클러치 레버(17)(도 1)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시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7)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8)에 전하기 위한 기어 기구(19)와, 스풀(12)과 핸들(2)의 연결·차단을 행하는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22)와,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와, 스풀(12)의 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전기 제어식의 브레이크 기구(스풀 제동 장치의 일례)(25)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8, 9)과, 이들 측판(8, 9)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10a)를 가지고 있다. 측판(8)에는, 원형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8a)에는,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스풀 지지부(13)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에는 스풀(12)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어링(26a)이 수납되는 베어링 수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는 개구(8a)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고, 개구(8a)에 나사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스풀(12)은, 양 측부에 접시형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고, 양 플랜지부(12a) 사이에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본체부(12b)를 가지고 있다. 도 2 좌측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은, 낚시줄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8a)의 내주측에 근소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와이어 권취 본체부(12b)의 내주측을 관통하는 스풀축(20)에 예를 들면, 톱니형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20)은, 예를 들면, SUS304 등의 비자성 금속제이며,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7)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 커버(7)에 장착된 보스부(7b)에 베어링(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20)의 타단은 베어링(2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0)의 중심에는, 대경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베어링(26a, 26b)에 지지되는 소경부(20b, 2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26a, 26b)은 롤링 부재와 내륜 및 외륜이 SUS404C제로 그 표면을 개질(改質)하여 내식성(耐蝕性)을 향상시킨 롤링 베어링이다.
또한, 도 2 좌측의 소경부(20b)와 대경부(20a) 사이에는 양자의 중간의 외경을 가지는, 후술하는 자석(61)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장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장착부(20d)에는, 예를 들면, SUM(압출·절삭)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계 니켈 도금을 행한 자성체제의 자석 유지부(27)가 예를 들면, 톱니형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자석 유지부(27)는, 단면이 정사각형이며 중 심에 자석 장착부(20d)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7a)이 형성된 사각기둥형의 부재이다. 자석 유지부(27)의 고정 방법은 톱니형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각종의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20)의 대경부(20a)의 우측단은, 측판(9)의 관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클러치 기구(21)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29)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29)은, 직경에 따라 대경부(20a)를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1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8, 9) 사이의 후부에서 스풀(12)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17)는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연결되어 있고, 측판(8, 9)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클러치 기구(21)를 연결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기어 기구(19)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와 서로 맞물리는 통형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30)은, 측판(9) 및 제2 측 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86) 및 클릭식의 원웨이 클러치(87)에 의해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역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86)는, 제2 측 커버(7)와 핸들축(3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메인 기어(31)는,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들축(30)과 드래그 기구(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측판(9)의 바깥쪽으로부터 내측으로 뻗어, 중심에 스풀축(20)이 관통하는 통형 부재이며, 스풀축(20)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 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측단 측은, 베어링(33)에 의해 측판(9)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단부에는 걸어맞춤핀(29)과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홈(32a)과 걸어맞춤핀(29)에 의해 클러치 기구(21)가 구성된다. 또한, 중간부에는 축소부(32b)가, 우측 단부에는 메인 기어(31)와 맞물림 기어부(3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스풀축(20)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클러치 요크(35)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스풀(12)의 와이어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시키는 클러치 리턴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축(20)의 양단을 협지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20)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스풀 지지부(13) 내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 제동 기구의 구성〕
스풀 제동 기구(스풀 제동 장치의 일례)(2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릴 본체(1)에 설치된 스풀 제동 유닛(스풀 제동부의 일례)(40)과,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 속도 센서(속도 검출부의 일례)(41)와, 스풀 제동 유닛(40)을 후술하는 4가지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유닛(42)과, 4가지의 제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손잡이(제 동력 선택부의 일례)(43)를 가지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12)을 발전에 의해 제동하기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이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축(20)에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자석(61)을 포함하는 회전자(60)와, 회전자(60)의 외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직렬 접속된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코일(62)과, 직렬 접속된 복수개의 코일(62)의 양단이 접속된 스위치 소자(6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자석(61)과 코일(62)의 상대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스위치 소자(63)에 의해 온 오프함으로써 듀티비를 변경하여 스풀(12)을 제동한다. 스풀 제동 유닛(40)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은 스위치 소자(63)의 온 시간이 길수록(듀티비가 클 수록)에 강해진다.
회전자(60)의 4개의 자석(61)은, 주위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고 극성이 교대로 상이하게 되어 있다. 자석(61)은, 자석 유지부(27)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부재이며, 그 외측면은 단면 원호형의 면이며, 내측면은 평면이다. 이 내측면이 스풀축(20)의 자석 유지부(27)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 본체부(12b)의 내주면의 자석(6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예를 들면, SUM(압출·절삭)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계 니켈 도금을 행한 자성체제의 슬리브(68)가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68)는, 와이어 권취 본체부(12b)의 내주면에 압입 또는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성체제의 슬리브(68)를 자석(61)과 대향하여 배치하면, 자석(61)으로부터의 자속이 코일(62)을 집중하여 통과하므로, 발전 및 브레이크 효율 이 향상된다.
코일(62)은, 코깅(cogging)을 방지하여 스풀(12)의 회전을 스무스하게 하기 위해 코어레스 타입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요크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코일(62)은, 권취된 심선(芯線)이 자석(61)과 대향하여 자석(61)의 자장 내에 배치되도록 대략 직사각형으로 권취되어 있다. 4개의 코일(62)은 직렬 접속되어 있고, 그 양단이 스위치 소자(63)와 접속되어 있다. 코일(62)은, 자석(61)의 외측면과의 거리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스풀축 심(芯)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같은 심의 원호형으로 스풀(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만곡되어 성형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일(62)과 회전 중인 자석(61)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코일(62)은, 후술하는 회로 기판(70)에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63)는, 예를 들면, 고속으로 온 오프 제어할 수 있는 병렬 접속된 2개의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63a)를 가지고 있다. FET(63a)의 각 드레인 단자에 직렬 접속된 코일(6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 소자(63)도 회로 기판(70)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속도 센서(41)는, 예를 들면, 투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투수광형(投受光形)의 광전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회로 기판(70)과 대향하는 스풀(12)의 플랜지부(12a)의 외측면에는,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슬릿을 가지는 검출통부(12c)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회전 속도 센서(41)는, 검출통부(12c)를 협지하여 투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슬릿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스풀(1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있다.
모드 손잡이(43)는, 4가지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4가지의 제동 모드는, 후술하는 제1 제동력 및 제2 제동력이 상이한 제동 모드이며, L모드(원투(遠投) 모드)와, M모드(중거리 모드)와, A모드(올 라운드(all-round) 모드)와, W모드(윈드(wind) 모드)의 4가지의 모드이다.
여기서, L모드는, 비중이 낮은 낚시줄을 사용하고, 순풍의 양호한 조건에 있어서 스푼(spoon), 메탈 지그(jig), 바이브레이션 등의 공기 저항이 적고 무거운 도구(루어(lure; 인조미끼)를 초원투(超遠投)하기 위한 롱 디스턴스 모드이다. 캐스팅 직후의 에너지를 극한까지 이용하고, 최대 회전수를 가능한 한 높이고, 또한 캐스팅 중반 이후에 있어서, 스풀을 대략 프리로 회전시켜 비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고려된 제동 모드이며, 제1 제동력이 가장 작게 설정되어 있다.
M모드는, 중심 이동식 플러그나 펜슬(pencil) 베이트, 바이브레이션 등 공기 저항이 적은 도구(플러그)로 쾌적하게 원투 가능하도록 설정된 제동 모드이다. 캐스팅 직후의 오버런(overrun)을 억제하면서, 캐스팅 중반 이후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를 능숙하게 보정함으로써, 가까스로 백래시시키지 않고 비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비중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계의 낚시줄을 사용하는 경우, 이 모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모드는, 캐스팅 직후의 에너지를 극한까지 이용하면서, 캐스팅 후반에 있어서의 도구의 비행거리의 연장을 중시한 브레이크 설정이다. 낚시줄이나 도구의 종류, 풍향을 불문하고, 대부분의 상황에서 만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중이 높은 플루오로카본계의 낚시줄을 사용하는 경우, 이 모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W모드는, 완전한 역풍 중 도구의 비행 거리가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백래시를 가급적으로 억제하여 비행 거리를 늘리는 모드이며, 제2 제동력이 가장 크게 설정되어 있다. 비행 중에 회전하여 감속하기 쉬운 중심 고정 미노(Minnow)나 플랫사이드(flatside) 크랭크를 역풍으로 향해 던지는 경우에 최적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피칭(pitching)이나 스킵핑(skipping) 등의 라이트 캐스팅이라도, 저회전에서도, 백래시를 방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모드 손잡이(43)는, 제1 측 커버(6)에 회동 가능하고, 또한 제동 모드에 따른 4가지의 회전 위상으로 위치 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모드 손잡이(43)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에는 자석이 회동하는 영역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홀 소자로 이루어지는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는, 자석의 통과에 의한 2개의 홀 소자의 온 오프의 변화, 구체적으로는, 양쪽 온, 한쪽 온 다른 쪽 오프, 한쪽 오프 다른 쪽 온, 양쪽 오프에 의해, 모드 손잡이(43)의 회전 위상을 검출한다. 후술하는 제어부(55)는, 4가지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검출된 회전 위상에 따라 설정한다.
스풀 제어 유닛(42)은, 스풀 지지부(13)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된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70)에 탑재된 제어부(스풀 제어부의 일례)(55)를 가지고 있다.
회로 기판(70)은, 중심이 원형으로 개구되는 와셔형상의 링형의 기판이며, 베어링 수납부(14)의 외주측으로 스풀축(20)과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은, 스풀 지지부(13)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70)은, 개구(8a)에 대하여 소정의 위상으로 배치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로써, 스풀 지지부(13)를 개구(8a)에 대하여 돌려서 장착 및 분리해도 회로 기판(70)이 일정한 위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는, 회로 기판(70)이 스풀 지지부(13)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회전자(60)의 주위에 배치된 코일(62)을 회로 기판(70)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일(62)과 회로 기판(70)을 접속하는 리드선이 불필요하게 되어, 코일(62)과 회로 기판(70)의 절연 불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62)이 스풀 지지부(13)에 장착된 회로 기판(7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회로 기판(70)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코일(62)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스풀 제동 기구(25)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70)이 스풀 지지부(1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개구(8a)에 대하여 소정의 위상으로 위치결정되므로, 회로 기판(70)과 릴 본체(1)의 위상이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개폐하는 제1 측 커버(6)에 장착된 모드 손잡이(43)에 자석을 설치하고, 회로 기판(70)에 홀 소자를 설치해도, 홀 소자가 자석을 항상 같은 위치 관계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55)는, 예를 들면, CPU(55a), RAM(55b), ROM(55c) 및 I/O 인터페이스(55d) 등이 탑재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5)의 ROM(55c)(제1 제동력, 제2 제동력 설정부 및 장력 설정부의 일례)에는, 제어 프로 그램이 저장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2개의 제동 처리에 걸친 제1 제동력이나 제2 제동력이나 타이머 등의 데이터가 각각 4가지의 제동 모드에 따라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제동 모드시의 장력의 참조 장력이나 개시 장력 등의 설정값 등도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55)에는, 회전 속도 센서(41)와 모드 손잡이(43)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5)에는, 스위치 소자(63)의 각 FET(63a)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5)는, 각 센서(41, 45)로부터의 입력과 후술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스풀 제동 유닛(40)의 스위치 소자(63)를 예를 들면, 주기 1/1000초의 PWM(펄스폭 변조) 신호에 의해 온 오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5)는, 선택된 제동 모드에 있어서, 회전 속도에 따라 감소하는 듀티비 D로 스위치 소자(63)를 온 오프 제어한다. 제어부(55)에는 전원으로서의 축전 소자(57)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 전력은 회전 속도 센서(41)와 모드 손잡이 위치 검출 센서(45)에도 공급된다.
전원으로서의 축전 소자(57)는, 예를 들면, 전해 컨덴서를 사용하고 있고, 정류 회로(58)와 접속되어 있다. 정류 회로(58)는 스위치 소자(63)와 접속되어 있고, 회전자(60)와 코일(62)을 가지고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스풀 제동 유닛(40)으로부터의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또한 전압을 안정화하여 축전 소자(57)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들 정류 회로(58) 및 축전 소자(57)도 회로 기판(70)에 탑재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70)에 탑재된 코일(62)을 포함하는 각 부는, 합성 수지 절연체제의 절연 피막(90)에 의해 덮혀져 있다. 절연 피막(90)은 칼라를 가지는 원통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일(62)과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70)에 장착된 전기 부품을 덮고 있다. 단, 회전 속도 센서(41)의 투수광 부분은 절연 피막(9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실제 낚시 시의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을 행할 때는, 클러치 레버(17)를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12)이 자유 회전 상태로 되어, 캐스팅을 행하면 도구의 무게에 의해 낚시줄이 스풀(12)로부터 힘차게 내보내진다. 이 캐스팅에 의해 스풀(12)이 회전하면, 자석(61)이 코일(62)의 내주측을 회전하여, 스위치 소자(63)를 온 하면 코일(62)에 전류가 흐르고 스풀(12)이 제동된다. 캐스팅 시에는 스풀(12)의 회전 속도는 서서히 빨라지고, 피크를 넘으면 서서히 감속한다.
도구가 착수(着水)하면, 핸들(2)을 와이어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리턴 기구에 의해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 상태로 하고, 릴 본체(1)를 홀딩하여 입질을 기다린다.
〔제어부의 제어 동작〕
다음에, 캐스팅 시의 제어부(55)의 개략의 브레이크 제어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세로축에 제동력의 강도를 나타낸 듀티비와 장력과 회전 속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에 캐스팅으로부터의 시간 경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굵은 실선으로 실제로 제어되는 듀티비, 즉 제동력이 그려져 있다.
캐스팅이 개시되고, 제어부(55)에 전원이 투입되면, 모드 손잡이(43)의 위치에 따라 제동 모드에 따른 후술하는 제1 제동 처리의 제1 초기 제동력(듀티비 D1S)과, 제2 제동 처리의 제2 초기 제동력(듀티비 D2S)과, 제2 제동력의 배율(예를 들면, 1.2배로부터 2.5배의 범위 MP)과, 제2 제동력의 감쇠율 RA(예를 들면, 0.2~ 0.6)와, 보정 제동시의 타이머 TN의 타이머값(예를 들면, 0.05초부터 0.5초의 범위)이 제어부(55)에 세팅된다. 또한, 검출된 장력 F에 대한 비교 대조로서의 참조 장력 Fr이나 제동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 개시 장력 Fs도 세팅된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제2 제동력 AD1의 배율 MP는, 예를 들면, 1.5로 설명하고 있다.
이어서, 회전 속도 센서(41)로부터의 회전 속도ω를 입력하고, 회전 속도ω를 기초로 장력 F를 산출한다.
여기서, 장력 F는, 스풀(12)의 회전 속도의 변화율(Δω/Δt)과 스풀(12)의 관성 모멘트 J로 구할 수 있고, 캐스팅하고 있을 때 스풀(12)의 회전 속도가 변화하면, 이 때, 만약 스풀(12)이 낚시줄로부터의 장력을 받지 않고 단독으로 자유 회전하고 있던 경우의 회전 속도와의 차이는 낚시줄로부터의 장력에 의해 발생한 회전 구동력(토크)에 의한 것이다. 이 때의 회전 속도의 변화율을(Δω/Δt)로 하면, 구동 토크 T는, 하기 (1)식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T = J×(Δω/Δt) ‥‥ (1)
(1)식으로부터 구동 토크 T가 구해지고, 낚시줄의 작용점의 반경(통상은 15~ 20mm로부터 장력을 구할 수 있다.
캐스팅 개시로부터 서서히 하강하는 장력이 소정값(개시 장력 Fs) 이하로 되 었을 때 큰 제동력을 작용시키면, 회전 속도의 피크의 바로 앞에서 도구의 자세가 반전하여 안정적으로 비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회전 속도의 피크의 바로 앞에서 제동하여 안정된 자세로 도구를 비행시키기 위해 이하의 제어를 행한다. 즉, 캐스팅 당초에 단시간 강한 제동력 D1S를 작용시켜 도구를 반전시키는 제1 제동 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서서히 약해지는 제1 제동력과 제2 제동력을 조합시켜 서서히 제동하여 가고, 소정 회전 속도ωe까지 내릴 때까지 스풀(12)을 제동한다. 여기서, 제1 제동력 D2는 제동 개시 시의 제동력으로부터 회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또한, 제2 제동력은, 제1 제동력으로 소정의 배율 MP를 건 초기값으로부터 세팅된 감쇠율 RA로 감소한다.
이 제1 제동 처리와 제2 제동 처리의 2가지 제동 처리를 제어부(55)는 행한다. 제2 제동 처리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시간과 동시에 감소하도록 설정된 참조 장력 Fr와 검출된 검출 장력 F를 비교하고,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 이하로 되면, 제2 제동력으로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제2 제동력은, 제1 제동력을 기준으로 하여 증가시킨 것이며, 감쇠율 RA에 따라 감쇠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타이머 TN(N: 1, 2, 3 ‥‥)이 그 때마다 작동하고, 타이머 TN이 타임업하면, 그 때의 제1 제동력 D2를 기준으로 하여 증가한 제2 제동력 AD1에 의해 제동한다. 그리고, 타임업 전에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을 넘으면 타이머 TN은 리셋되어, 제2 제동력 AD1에 의한 제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시간 ta1에서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 이하로 되면, 타이머 T1이 개시하고, 타임업할 때까지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 이하였 으므로, 타이머 T1가 타임업한 시점에서 그 때의 제1 제동력 D21을 기준으로 증가시킨 제2 제동력 AD1에 의해 스풀(12)을 제동한다. 또한, 시간 ta2에서도 또한,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이하로 되었지만, 도 4에 파선의 원 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머 T2가 타임업하기 전의 시간 tb에서,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을 넘었으므로, 제2 제동력에 의한 제동은 캔슬되어 있다. 또한, 시간 ta3에서 재차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 이하로 되고, 또한 타이머 T2가 타임업할 때까지 그 상태가 계속되고 있었으므로, 타이머 T2가 타임업한 시점에서, 제2 제동력 AD1(= 2.5×D21)로 제동된다. 제2 제동력이 시간 경과와 함께 감쇠율 RA에 따라 감쇠한다. 또한, 제2 제동력 AD1은, 제1 제동력 D2 이하로 되지는 않는다.
다음에, 구체적인 제어 처리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의 제어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캐스팅에 의해 스풀(12)이 회전하여 축전 소자(57)에 전력이 저장되어 제어부(55)에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1에서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 여기서는, 각종의 플래그나 변수가 리셋된다. 예를 들면, 타이머 TN의 횟수를 나타내는 변수 N을 1로 세팅한다. 스텝 S2에서는, 후술하는 제어 처리가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CF가 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아직 제어 처리가 시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에서는, 모드 손잡이 위치 센서(45)에 의해 어느 쪽의 제동 모드 BMn(n은 1~4의 정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4에서는, 제동 모드를 선택된 제동 모드 BMn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5) 내의 ROM(55c)으로부터 제동 모드 BMn에 따른 제1 제동 처리의 초기 제동력 D1S, 제2 제동 처리의 제1 제동력의 초기값 D2S, 제2 제동력의 증가율 MP, 타이머 TN의 각각의 타이머값, 제2 제동력의 감쇠율 RA 및 제2 제동력으로 제동할 때 사용하는 참조 장력 Fr 등의 제동 모드 BMn마다의 값이 판독되어 RAM(55b)에 세팅된다. 그리고, 초기 제동력 D1S는, 캐스팅 초기의 회전 속도가 10000rpm일 때의 듀티비이다. 따라서, 캐스팅 초기의 회전 속도에 따라 초기 제동력 D1S는 보정된다. 타이머값은, 타이머 TN(N: 플러스의 정수)는 제2 제동 처리에 있어서 제2 제동력으로 제동할 때 이 순서로 사용되는 것이며, 차례로 타이머값이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 T1의 타이머값은 0.05초이며, 타이머 T2의 타이머값은 0.1초이다.
스텝 S5에서는, 회전 속도 센서(41)로부터의 펄스에 의해 스풀(12)의 회전 속도ω를 검출한다. 스텝 S6에서는, 스풀(12)로부터 내보내지는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 F를 전술한 바와 같은 식에 따라 회전 속도ω로부터 산출한다.
스텝 S7에서는, 산출된 장력 F가 개시 장력 Fs(예를 들면, 0.5~ 1.5N)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값) 이하인지 여부 판단한다. 개시 장력 Fs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로 돌아온다.
장력 F가 소정값 Fs 이하로 되면 스텝 S8로 이행한다. 스텝 S8에서는, 플래그 CF를 온한다. 스텝 S9에서는, 스텝 S5에서 최근에 검출한 회전 속도ω를 캐스팅 초기의 회전 속도ω1로 세팅한다. 스텝 S10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제동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검출한 회전 속도ω가 제어 종료로 되는 극저속의 종료 속도ωe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회전 속도ω가 종료 속도ωe에 달하면, 스텝 S12에서는 모든 플래그를 오프하고, 스텝 S13에서 모든 타이머 TN을 리셋하여 스텝 S2로 돌아온다. 그러나, 캐스팅이 끝나고 스풀(12)의 회전이 정지하면, 전원 전압이 내려가 축전 소자(57)가 방전하므로 제어부(55)의 CPU(55a)는 리셋된다.
스텝 S2에서, 플래그 CF가 온하고 있고, 이미 제동 처리가 시작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10으로 스킵한다.
스텝 S10의 제어 처리에서는, 도 6의 스텝 S20에서, 검출 장력 F가 소정값 Fs 이하로 되고 나서 시간 ts2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간 ts2가 경과할 때까지는 스텝 S21로 이행하여, 제1 제동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 S11로 돌아온다. 스텝 S21의 제1 제동 처리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4에서 세팅된 초기 제동력 D1S를 캐스팅 초기의 회전 속도ω1에 따라 보정하고, 일정한 제동력으로 시간 ts2 간 스풀(12)을 제동한다.
제동을 개시하고 나서 시간 ts2가 경과하면 스텝 S20로부터 스텝 S22로 이행하여 제2 제동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회전 속도ω를 검출한다. 스텝 S23에서는, 장력 F를 산출한다. 스텝 S24에서는, 플래그 SF가 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플래그 SF는, 제2 제동 처리를 이미 개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이다. 플래그 SF가 온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스텝 S25로 이행하여 플래그 SF를 온한다. 스텝 S26에서는, 스텝 S22에서 검출한 회전 속도ω를 제2 제동 처리에 있어서의 초기 회전 속도ω2로 세팅한다. 스텝 S24에서 플래그 SF가 이미 온하고 있는, 즉 제2 제동 처리가 이미 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7로 이행한다.
스텝 S27에서는,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 이하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 이하로 되면 제2 제동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스텝 S28로 이행한다. 스텝 S28은, 타이머 TN(최초는 타이머 T1)가 이미 타임업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임업하지 않을 때는, 스텝 S29로 이행하여, 타이머 TN이 개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이머 TN이 개시하지 않을 때는, 스텝 S30으로 이행하여 타이머 TN을 개시하게 하고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타이머 TN이 이미 개시하고 있을 때는, 스텝 S30을 스킵하여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타이머 TN이 타임업하고 있을 때는, 스텝 S28로부터 스텝 S31로 이행한다. 스텝 S31에서는, 처음으로 검출 장력 F가 참조 Fr 이하로 된 보정 제동 처리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F가 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플래그 TF가 온 하지 않을 때는 처음의 경우이므로 스텝 S32로 이행하여 다음의 타이머 TN(예를 들면, 타이머 T2)을 준비하기 위해 변수 N를 1인크리먼트한다. 스텝 S33에서는, 플래그 TF를 온한다. 스텝 S34에서는, 제2 제동력 AD1을 세팅하여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제2 제동력 AD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머 TN이 타임업했을 때의 제1 제동력 D2에 배율 MP(예를 들면, 1.5)를 건 것을 제1 제동력에 더하여 세팅된다.
또한, 플래그 TF가 이미 온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1로부터 스텝 S35로 이행하여 제2 제동력 AD1의 감쇠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때의 제2 제동력 AD1으로부터 제2 제동력 AD1에 소정의 감쇠율 RA를 건 것을 제한 값을 새로운 제2 제동력 AD1으로 세팅한다. 스텝 S36에서는, 제1 제동력 D2보다 제2 제동력 AD1이 약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감쇄된 제2 제동력 AD1이 제1 제동력 D2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제동력 AD1이 제1 제동력 D2l 이하인 경우는 스텝 S40으로 이행하여 제1 제동력 D2에 의한 제동 처리를 행한다.
한편,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을 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27로부터 스텝 S37로 이행한다. 스텝 S37에서는, 플래그 TF가 온하고 있는지 여부, 즉 보정 제동 처리가 이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정 제동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는 스텝 S38로 이행하여 플래그 TF를 오프한다. 보정 제동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8을 스킵한다. 스텝 S39에서는, 타이머 TN을 리셋하고, 타이머 TN을 초기화한다. 이로써, 타이머 TN이 리셋하기 전에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을 넘었을 경우에, 타이머 TN이 타임업하지 않도록 하여 제2 제동력에 의한 제동 처리를 캔슬하고 있다.
스텝 S40에서는, 제1 제동력에 의한 제동 처리를 행하여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제1 제동력에 의한 제동 처리에서는, 제2 초기 제동력 D2S를 회전 속도의 제곱으로 감소시킨 듀티비(D2= D2S (ω/ω2)2)로 스풀(12)을 제동한다.
여기서는,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을 넘고 있으면 약한 제1 제동력 D2로 제동하고, 검출 장력 F가 참조 장력 Fr 이하로 되면 제1 제동력 D2를 기준으로 하여 제동력을 증가시킨 강한 제2 제동력 AD1로 스풀(12)을 제동하고 있다. 따라서, 낚시의 조건에 따라 제동력의 강약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낚시의 조건이 어느 정도 변화되어도, 제동력의 강약 설정을 다시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스풀의 회전 속도로부터 산출하였으나, 스풀축에 변형 게이지를 장착하는 등에 의해 장력을 직접 검출해도 된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전에 의해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유닛을 개시했지만, 스풀 제동 유닛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브레이크 슈나 브레이크 패드를 드럼이나 디스크에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제동 처리로 시간과 함께 서서히 감쇠하는 제2 제동력으로 제동하였지만, 일정한 제2 제동력으로 소정 시간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제동력을 회전 속도의 제곱에 따라 감쇠시켜도 된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제1 제동 처리와 변화하는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제2 제동 처리로 제동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제동 처리만으로 스풀을 제동해도 된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기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 기구(25)와 제1 제동력과 제2 제동력을 조합시켜 제동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12)의 핸들(2) 장착 측의 플랜지부(112a)와 측판에, 원심력을 이용한 기계식의 원심 제동 타입의 스풀 제동 유닛(제2 스풀 제동부의 일례)(140)을 설치하고, 스풀 제동 유닛(제1 스풀 제동부의 일례)(40)으로 스풀(112)을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 스풀 제동 유닛(140)은, 스 풀(112)과 일체 회전 가능한 복수개(예를 들면, 6개)의 제동 슈(161)와, 측판(109)에 복수개의 제동 슈(161)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제동 슈(161)가 접촉 가능한 제동 드럼(162)을 가지고 있다. 제동 슈(161)는, 계단식의 복수개(예를 들면, 6개)의 가이드축(140b)에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축(140b)은, 스풀축(120)의 외주면에, 예를 들면, 톱니형 결합에 의해 고정된 장착통부(140a)에 방사상으로 세워설치되어 있다. 제동 슈(161), 스풀(112)이 회전하여 원심력이 생기면 제동 드럼(162)에 접촉하고, 스풀 제동 유닛(140)은, 스풀(112)의 회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제1 제동력으로 스풀(112)을 제동한다.
또한, 스풀 제동 유닛(40) 및 스풀 제어 유닛(42)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그러나, 스풀 제어 유닛(42)은,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보다 낮아졌을 때만, 스풀 제동 유닛(40)을 제어하여 제2 제동력으로 스풀(112)을 제동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캐스팅 중에는, 스풀 제동 유닛(140)으로 스풀을 항상 제동하고, 검출 장력이 참조 장력 이하로 되었을 때만, 제2 제동력을 더하여 스풀(112)을 제동한다. 그리고, 스풀 제동 유닛(42)에서의 제어에 의한 제2 제동력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라도 되고, 또한 예를 들면, 제2 제동력을 소정 시간만 작용시키도록 하여 상기 실시예와 상이하게 해도 된다.
(f)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제동력에 따른 복수개의 참조 장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릴 본체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그 스풀 제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그 제동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그 메인 루틴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은 그 제동 처리 루틴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스풀 제동 기구(스풀 제동 장치의 일례)
(40) 스풀 제동 유닛(스풀 제동부 및 제1 스풀 제동부의 일례)
(41) 회전 속도 센서(속도 검출부의 일례)
(42) 스풀 제어 유닛
(43) 모드 손잡이(제동력 선택부의 일례)
(55) 제어부(스풀 제어부의 일례)
(55c) ROM(제1 제동력, 제2 제동력 설정부 및 장력 설정부의 일례)
(140) 스풀 제동 유닛(제2 스풀 제동부의 일례)
(161) 제동 슈
(162) 제동 드럼

Claims (12)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시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상기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와,
    제1 제동력을 설정하는 제1 제동력 설정부와,
    참조 장력을 설정하는 장력 설정부와,
    상기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부와,
    상기 제1 제동력을 기준으로 하여 제동력을 증가시킨 제2 제동력을 설정하는 제2 제동력 설정부와,
    제동 개시 시에는 상기 제1 제동력으로 상기 스풀 제동부를 제어하고, 그 후 상기 장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장력이 상기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상기 제2 제동력으로 상기 스풀 제동부를 제어하는 스풀 제어부
    를 구비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력이 상기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개시하는 타이머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부가 타임업하면 상기 제2 제동력으로 상기 스풀 제동부를 제어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부는 캐스팅 후의 1회째에 동작하는 타이머값이 2회째 이후에 동작하는 타이머값보다 작은,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 제어부는, 상기 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 속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제1 제동력을 감소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상기 제1 제동력을 감소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어부는 상기 검출 장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면 상기 스풀 제동부의 제어를 개시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참조 장력을 감소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력 설정부 및 제2 제동력 설정부는, 제동력이 상이한 복수개의 상기 제1 제동력 및 제2 제동력을 각각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제동력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제동력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제동력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장력 설정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1 제동력에 따른 복수개의 상기 참조 장력을 설정 가능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동력의 시간적인 감쇠율을 설정하는 감쇠율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풀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부가 타임업한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감쇠율로 감쇠하도록 상기 제2 제동력을 감소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1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시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상기 스풀을 회전수에 따른 제1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제1 스풀 제동부와,
    상기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2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제2 스풀 제동부와,
    참조 장력을 설정하는 장력 설정부와,
    상기 낚시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부와,
    상기 제1 제동력보다 제동력을 증가시킨 제2 제동력을 설정하는 제2 제동력 설정부와,
    상기 장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장력이 상기 참조 장력 이하로 되면 상기 제2 제동력으로 제동하도록 상기 제2 스풀 제동부를 제어하는 스풀 제어부
    를 구비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 제동부는,
    상기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제동 슈(shoe)와,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제동 슈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 슈가 접촉 가능한 제동 드럼을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20080131341A 2007-12-28 2008-12-22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1449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40399A JP5122273B2 (ja) 2007-12-28 2007-12-28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JP-P-2007-340399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982A true KR20090072982A (ko) 2009-07-02
KR101449584B1 KR101449584B1 (ko) 2014-10-13

Family

ID=4079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341A KR101449584B1 (ko) 2007-12-28 2008-12-22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48096B2 (ko)
JP (1) JP5122273B2 (ko)
KR (1) KR101449584B1 (ko)
CN (1) CN101467524B (ko)
MY (1) MY142529A (ko)
SG (1) SG153745A1 (ko)
TW (1) TWI4307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7795B2 (en) * 2004-10-13 2009-11-17 Embrex,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jecting and sampling material through avian egg membranes
KR100704919B1 (ko) * 2005-10-14 2007-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어층이 없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NZ575464A (en) 2009-03-10 2010-07-30 Holmes Solution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king mechanisms
KR100969227B1 (ko) * 2009-09-28 2010-07-14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브레이크 시스템
MY164166A (en) * 2010-09-02 2017-11-30 Shimano Kk Dual-bearing reel
JP5616247B2 (ja) * 2011-01-31 2014-10-2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5723167B2 (ja) * 2011-01-31 2015-05-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FR2973021B1 (fr) * 2011-03-23 2013-04-05 Fixator Treuil a adherence pour la manutention de charges
JP5767526B2 (ja) * 2011-08-08 2015-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764014B2 (ja) * 2011-08-31 2015-08-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張力表示装置
JP5805516B2 (ja) * 2011-12-21 2015-11-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284306B2 (ja) * 2013-05-10 2018-0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295033B2 (ja) * 2013-06-25 2018-03-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US9532558B2 (en) * 2013-08-01 2017-01-03 II David Lee Hamilton Power generating fishing reel and remote control lure system
NZ619034A (en) 2013-12-16 2015-03-27 Eddy Current Ltd Partnership An assembly to control relative speed of movement between parts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WO2016028168A1 (en) 2014-08-18 2016-02-25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Tuning of a kinematic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BR112017003080B1 (pt) 2014-08-18 2022-10-25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Dispositivos de travamento
KR102533550B1 (ko) 2014-08-18 2023-05-16 에디 커런트 리미티드 파트너쉽 부재들 사이의 운동학적 관계의 조정
WO2016029060A1 (en) 2014-08-20 2016-02-25 Mcgowan John Lewis Eddy current braking device for rotary systems
SG11201704352UA (en) 2014-12-04 2017-06-29 Eddy Current Ltd Partnership Transmissions incorporating eddy current braking
CA2969435A1 (en) 2014-12-04 2016-06-09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Eddy current brake configurations
CA3162149C (en) 2014-12-04 2024-02-27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Latch activation between elements
BR112017010643B1 (pt) 2014-12-04 2022-03-03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Aparelho de absorção de energia
WO2016089226A1 (en) 2014-12-04 2016-06-09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Methods of altering eddy current interactions
JP6395623B2 (ja) 2015-01-28 2018-09-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851671B1 (ja) * 2015-06-25 2016-02-03 株式会社ニレコ ウェブ蛇行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6527043B2 (ja) * 2015-07-13 2019-06-05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102537418B1 (ko) 2015-12-18 2023-05-25 에디 커런트 리미티드 파트너쉽 기동 시스템을 위한 가변 거동 제어 메커니즘
JP6093844B1 (ja) * 2015-12-18 2017-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6653582B2 (ja) * 2016-01-19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55402B2 (ja) * 2016-01-22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688679B2 (ja) * 2016-05-24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36404B2 (ja) * 2017-01-19 2021-03-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JP6795990B2 (ja) 2017-01-19 2020-12-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US10602730B2 (en) * 2017-06-23 2020-03-31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CN108392030B (zh) * 2018-01-16 2020-10-09 中国航空规划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用于鱼线固定的摇臂式成套工具及其固定方法
JP7011945B2 (ja) 2018-01-23 2022-0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7098408B2 (ja) * 2018-05-02 2022-07-1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KR102280541B1 (ko) * 2019-03-28 2021-07-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이동식 관성력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 릴
JP7320479B2 (ja) * 2020-08-27 2023-08-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及びバックラッシュ修正作業状態判定装置
JP7481958B2 (ja) * 2020-08-27 2024-05-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制動力制御システム及び制動力設定装置
JP7374056B2 (ja) * 2020-08-27 2023-11-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5477U (ja) * 1981-10-14 1983-04-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JPS6387927A (ja) * 1986-09-30 1988-04-19 コパル電子株式会社 自動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JP3100216B2 (ja) * 1991-07-18 2000-10-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JP2929517B2 (ja) * 1994-04-01 1999-08-0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3481097B2 (ja) * 1997-10-08 2003-12-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3747431B2 (ja) * 1999-07-26 2006-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SG121857A1 (en) * 2003-01-06 2006-05-26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TWI298621B (en) * 2003-01-06 2008-07-11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JP4039951B2 (ja) * 2003-01-06 2008-01-3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SE0300372L (sv) * 2003-02-12 2003-11-25 Pure Fishing Inc Fiskerulle av multiplikatortyp
JP2003219774A (ja) * 2003-02-25 2003-08-0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SG125114A1 (en) * 2003-05-13 2006-09-29 Shimano Kk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fishing equipment
JP4362384B2 (ja) * 2004-02-02 2009-11-1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JP2006197810A (ja) * 2005-01-18 2006-08-0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7165737B2 (en) * 2005-01-18 2007-01-23 Shimano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48096B2 (en) 2010-01-19
US20090166459A1 (en) 2009-07-02
SG153745A1 (en) 2009-07-29
TWI430746B (zh) 2014-03-21
CN101467524A (zh) 2009-07-01
MY142529A (en) 2010-12-15
CN101467524B (zh) 2012-05-30
TW200939954A (en) 2009-10-01
JP5122273B2 (ja) 2013-01-16
JP2009159847A (ja) 2009-07-23
KR101449584B1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2982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2123954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JP2009159847A5 (ko)
KR102074899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JP5767526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4082938A5 (ko)
JP2013034429A5 (ko)
KR20170073469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1007837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JP4926037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4082937A5 (ko)
CN105815289B (zh) 双轴承绕线轮的卷筒制动装置
JP2009159849A5 (ko)
JP4039951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4208631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4208632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