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463B1 - 작업기 - Google Patents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463B1
KR101196463B1 KR1020100057286A KR20100057286A KR101196463B1 KR 101196463 B1 KR101196463 B1 KR 101196463B1 KR 1020100057286 A KR1020100057286 A KR 1020100057286A KR 20100057286 A KR20100057286 A KR 20100057286A KR 101196463 B1 KR101196463 B1 KR 101196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transmission
stop
shaft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425A (ko
Inventor
히사미 후쿠시마
타쿠야 오카다
야스히토 나카니시
카즈히로 이시야마
켄타로 미우라
히토시 오쿠무라
야스후미 다마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3개의 정지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동계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배치로 한 정지 장치를 갖춘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좌우 중앙의 정지로터(27b)와 좌우 한 쌍의 정지로터(27a)를 가지는 정지 장치를 설치하고, 주행 차체 측으로부터 한 측의 정지로터(27a)의 구동축으로 전동하는 자유자재 이음새(72)와, 상기 한 측의 정지로터(27a)의 구동축으로부터 중앙의 정지로터(27b)의 구동축으로 전동하는 제 1 전동축(73a)과, 정지로터(27b)의 구동축으로부터 다른 측의 정지로터(27a)의 구동축으로 전동하는 제 2 전동 기구(73b)를 갖추고, 제 1 전동 기구(73a)의 좌우 방향의 어느 쪽이든 외측에 자유자재 이음새(72)를 배치하고, 제 1 전동 기구(73a)와 제 2 전동 기구(73b) 중 적어도 제1 전동축(73a)을 후측에서 전측일수록 좌우 방향 안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했다.

Description

작업기{Working mobile}
본 발명은, 정지 장치를 가지는 모 이식기 등의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플로트가 부착된 모 이식장치를 갖춘 작업기(모 이식기라고 하는 일이 있다)에 있어서, 모 이식장치에 의한 모 이식의 직전에 밭을 균평화하는 정지로터를 갖춘 구성이 알려져 있다. 아래와 같이 특허 문헌 1에는 모 이식기의 전체 폭을 3분할하여 중앙과 그 좌우에 3개의 정지로터를 각각 배치하고, 중앙의 정지로터를 좌우의 정지로터보다 전방에 배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개 2008-5739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된 모 이식기에서는, 모 이식기의 차륜의 전동장치로부터 꺼낸 동력으로 3개의 정지로터를 구동시키고 있다.
상기 3개의 정지로터는, 중앙의 정지로터와 좌우 한 쌍의 정지로터로 이루어지지만, 중앙의 정지로터의 직후에 센터 플로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앙의 정지로터는 좌우 한 쌍의 정지로터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륜 구동용의 동력 전달계로부터 3개의 정지로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계는 복잡한 구성이 되어, 차륜 구동용의 동력 전달계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왼쪽의 정지로터의 전동축으로의 전동계와 왼쪽의 정지로터의 전동축으로부터 중앙의 정지로터의 전동축으로의 전동계가 근접 위치에 있으므로 로터의 승강 등에 의해 서로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정지로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동계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배치로 한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음의 해결 수단으로 해결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좌우의 전륜(10) 및 좌우의 후륜(11)을 갖춘 주행 차체(2)와, 상기 주행 차체(2)에 하강한 작업상태와 상승한 비 작업상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작업부(4)와, 좌우 중앙의 중앙 정지로터(27b)와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 보다 뒤쪽에 있는 좌우 한 쌍의 측부 정지로터(27a)를 가지는 정지 장치(A)를 갖추고, 작업부(4)에는, 상기 정지 장치(A)가 상기 주행 차체(2) 측으로부터 한 측의 상기 측부 정지로터(27a)의 구동축(70a)으로 전동하는 로터 전동축(72)과, 한 측의 상기 측부 정지로터(27a)의 구동축(70a)으로부터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의 구동축(70b)으로 전동하는 제 1 전동 기구(73a)와,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의 구동축(70b)으로부터 다른 측의 측부 정지로터(27a)의 구동축(70a)으로 전동하는 제 2 전동 기구(73b)를 갖추고, 제 1 전동 기구(73a, 88)와 제 2 전동 기구(73b, 94)가 상기 측부 정지로터(27a)의 구동축(70a) 주변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전동 기구(73a, 88)의 회동을 규제하는 상하이동 규제기구에 의해,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의 상하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 전동 기구(73a)의 죄우 방향 반대측에 상기 로터 전동축(72)을 배치하며, 상기 제 1 전동 기구(73a)를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측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작업부(4)의 후단부 측에서 전단부 측일수록 평면시(視)로 좌우 폭이 좁은 플로트(55)를 제 1 전동 기구(73a)와 제 2 전동 기구(73b)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작업기이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제 1 전동 기구(73a)를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는 제 1 전동 축으로 하고, 제 2 전동 기구(73b)를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는제 2 전동 축으로 하고, 제 1 전동축 및 제 2 전동축을 각각 내부에 가지는 전동축 케이스(73)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축 케이스(73)를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작업기이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후륜(11) 구동용의 기어 케이스(18)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측부 정지로터(27a)로 출력하는 로터 변속 장치(B)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 변속 장치(B)를 후륜(11)의 차축보다 전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로터 변속 장치(B)를 변속 조작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연계 기구를 덮는 커버(19)를, 상기 기어 케이스(18) 및 로터 변속 장치(B)의 전방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작업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후륜(11) 구동용의 기어 케이스(18)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측부 정지로터(27a)로 출력하는 로터 변속 장치(B)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 변속 장치(B)를 후륜(11)의 차축보다 전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로터 변속 장치(B)를 변속 조작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연계 기구를 덮는 커버(19)를, 상기 기어 케이스(18) 및 로터 변속 장치(B)의 전방 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항에 기재한 작업기이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상하규제기구에 의해 규제되는 범위내에서 중앙 정지로터(27b)를 상하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 1 전동 기구(73a) 및 제 2 전동 기구(73b) 중 적어도 제 1 전동 기구(73a)를 경사 배치함으로써, 주행 차체(2) 측에서 한 측의 측부 정지로터(27a)로의 전동을 행하는 로터 전동축(72)과 제 1 전동 기구(73a)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 정지로터(27b) 및 측부 정지로터(27a)가 승강 조작에 장해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또, 중앙 정지로터(27b) 및 측부 정지로터(27a)로의 후륜 전동계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체인이 아니라, 전동축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이 간이화되어, 코스트의 삭감도 도모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작업부(4)의 후단부 측에서 전단부 측일수록 평면시로 좌우 폭이 좁게한 플로트(55)를 제 1 전동 기구(73a)와 제 2 전동 기구(73b)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으로, 플로트(55)의 전단부에서의 진흙 밀기를 억제하는 동시에 밭에 추종하여 플로트(55)가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서, 플로트(55)를 제 1 전동 기구(73a)의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측으로 합리적으로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분할되는 케이스체를 맞추는 맞춤부의 케이스체의 외연(外緣)을, 좌우에 돌출시키지 않고 상하에 돌출시키게 되므로, 전동축 케이스(73)의 기체의 좌우 방향의 폭을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정지로터(27b) 및 측부 정지로터(27a)로의 후륜 전동계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체인이 아니라, 전동축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이 간이화되어, 코스트의 삭감도 도모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조작 연계 기구의 조정을 행할 때, 전측으로 향해 용이하게 커버(19)를 벗겨 유지보수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항에 기재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청구항 4항의 기재의 발명의 효과를 나타낸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용형 모내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용형 모내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 이식부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묘재대의 지지 구조의 주요부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모 이식부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로터로의 동력 전달계를 중심으로 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중앙의 로터와 한 쌍의 전동축 케이스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중앙의 로터의 상하 이동 규제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일실시 예의 모 이식부의 로터의 2단 전환 클러치 기구의 구성도(도 9(a))와 도 9(a)의 S방향에서의 시시도(矢視圖)(도 9(b))이다.
도 10은, 도 1의 일실시 예의 모 이식부의 승강 장치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로터 변속 장치의 변형예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중앙의 로터와 좌측의 로터 간의 제 1 전동축을 경사 배치하고, 우측의 로터(27) 간의 제 2 전동축을 전후방향에 일직선으로 배치한 구성의 평면도(도 12(a))와 그 변형 예의 평면도(도 12(b), 도 12(c), 도 12(d))이다.
도 13은, 도 1의 모 이식부의 변형예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모 이식기의 전형예인 분립체 조출 장치로서 시비 장치를 장착한 승용형 모내기기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이 시비 장치 부착 승용형 모내기기(1)는, 주행 차체(2)의 뒤측에 승강 링크 장치(3)를 통하여 모 이식부(4)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행 차체(2)의 후부 위쪽에 시비 장치(5)의 본체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탑승 오퍼레이터가 모 이식기의 전진 방향을 향해 좌우 방향을 각각 왼쪽, 오른쪽이라고 하고, 전진 방향과 후진 방향을 각각 전, 후라고 한다.
주행 차체(2)는, 구동륜인 좌우 한 쌍의 전륜(10, 10) 및 좌우 한 쌍의 후륜(11, 11)을 갖춘 4륜 구동차량이며, 기체의 앞 부분에 미션 케이스(12)가 배치되며, 그 미션 케이스(12)의 좌우 측방에 전륜 파이널 케이스(13, 13)가 설치되며, 상기 좌우 전륜 파이널 케이스(13, 13)의 조향 방향을 변경 가능한 각각의 전륜 지지부로부터 밖을 향해 돌출하는 좌우 전륜 차축에 좌우 전륜(10, 1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 미션 케이스(12)의 배면부에 메인프레임(15)의 전단부가 고착되어 있고, 그 메인프레임(15)의 후단 좌우 중앙부에 전후 수평으로 설치한 후륜 롤링 축을 지점으로 하여 후륜 기어 케이스(18, 18)가 롤링 자유자재로 지지되며, 그 후륜 기어 케이스(18, 18)로부터 밖을 향해 돌출하는 후륜 차축에 후륜(11, 11)이 장착되어 있다.
엔진(20)은 메인프레임(15) 위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엔진(20)의 회전 이동력이, 벨트 전동장치(21) 및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23)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12)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2)에 전달된 회전 이동력은, 상기 케이스(12) 내의 트랜스미션에 의해 변속된 후, 주행 동력과 외부 취출 동력으로 분리하여 꺼내진다. 그리고, 주행 동력은, 일부가 전륜 파이널 케이스(13, 13)에 전달되어 전륜(10, 10)을 구동하는 동시에, 나머지가 후륜 기어 케이스(18, 18)에 전달되어 후륜(11, 11)을 구동한다. 또, 외부 취출 동력은, 주행 차체(2)의 후부에 설치한 이식 클러치 케이스(25)에 전달되며, 그리고 이식 전동축(26)에 의해서 모 이식부(4)로 전동되는 동시에, 시비 전동 기구(28)에 의해서 시비 장치(5)로 전동된다.
엔진(20)의 상부는 엔진 커버(30)로 덮여 있고, 그 위에 좌석(31)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31)의 전방에는 각종 조작 기구를 내장하는 프런트 커버(32)가 있고, 그 위쪽에 전륜(10, 10)을 조향 조작하는 핸들(34)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 커버(30) 및 프런트 커버(32)의 하단 좌우 양측은 수평 길이의 플로어 스텝(35)으로 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35)은 일부 격자모양으로 되어 있고(도 2 참조), 상기 스텝(35)을 걷는 작업자의 구두에 붙은 진흙이 밭으로 낙하한다. 플로어 스텝(35) 상의 후부는, 후륜 펜더를 겸하는 리어 스텝(36)으로 되어 있다.
또, 주행 차체(2)의 앞 부분 좌우 양측에는, 보급용의 모를 실어두는 예비 묘재대(38, 38)가 기체보다 측방으로 튀어나온 위치와 안쪽에 수납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옆의 예비 묘재대(38)는 각각 경사 지지 부재로 삼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상단의 제 1 예비 묘재대(38a)의 중앙부 측면과 제 2 예비 묘재대(38b)의 맨 앞 측면이 각각 회동 자유자재로 제 1 이동 링크 부재(39a)의 양단으로 지지되며, 또 최상단의 제 1 예비 묘재대(38a)의 최후부 측면과 제 2 예비 묘재대(38b)의 중앙부 측면과 제 3 예비 묘재대(38c)의 맨 앞 측면이 각각 회동 자유자재로 제 2 이동 링크 부재(39b)의 양단과 중앙부에 지지되며, 또 제 2 예비 묘재대(38b)의 후부 측면과 최하단의 제 3 예비 묘재대(38c)의 맨 앞 측면이 각각 회동 자유자재로 제 3 이동 링크 부재(39c)의 양단에 지지되어 있다.
승강 링크 장치(3)는 평행 링크 구성이며, 1개의 상 링크(40)와 좌우 한 쌍의 하 링크(41, 41)를 갖추고 있다. 이것들 링크(40, 41, 41)는, 그 기초부 측이 메인프레임(15)의 후단부에 입설한 배면시문형(背面視門形)의 링크 베이스 프레임(42)에 회동 자유자재로 장착되며, 그 첨단측에 세로 링크(4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링크(43)의 하단부에 모 이식부(4)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승(支承) 된 연결축(44)이 삽입 연결되며, 연결축(44)을 중심으로서 모 이식부(4)가 롤링 자유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5)에 고착한 지지 부재와 상 링크(40)에 일체 형성한 스윙 암(도시하지 않음)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승강 유압 실린더(4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46)를 유압으로 신축시킴으로써, 상 링크(40)가 상하로 회동하고, 모 이식부(4)가 거의 일정 자세인 채 승강한다.
모 이식부(4)는 6조식의 구성으로, 프레임을 겸하는 전동 케이스(50), 매트묘를 실어 좌우 왕복 움직여 모를 1주분씩 각 조의 모 취출구(51a)에 공급하는 동시에 가로 일렬 분의 모를 모두 모 취출구(51a)에 공급하면 모 전송벨트(51b)에 의해 모를 하부로 이송하는 묘재대(51), 모 취출구(51a)에 공급된 모를 밭에 이식하는 모 이식장치(52), 다음 행정도에 있어서의 기체 진로를 표토면에 선긋기하는 좌우 한 쌍의 선긋기 마커(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추고 있다. 모 이식부(4)의 하부에는 중앙에 센터 플로트(55), 그 좌우 양측에 사이드 플로트(56, 5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플로트(55, 56, 56)를 밭의 진흙면에 접지시킨 상태로 기체를 진행시키면, 플로트(55, 56, 56)가 진흙면을 정지하면서 활주하고, 그 정지 자국에 모 이식장치(52)에 의해 모가 이식된다. 각 플로트(55, 56, 56)는 밭 표토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전단측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 자유자재로 장착되어 있고, 이식 작업시에는 센터 플로트(55)의 앞 부분의 상하이동이 영각 제어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승강 유압 실린더(46)를 제어하는 유압 밸브를 바꾸어 모 이식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모의 이식 깊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시비 장치(5)는, 비료 호퍼(60)에 저장되어 있는 알갱이 모양의 비료를 조출부(61)에 의해서 일정량씩 조출하고, 그 비료를 시비 호스(62)로 플로트(55, 56, 56)의 좌우 양측에 장착한 시비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까지 이끌어, 시비 가이드의 전측에 설치한 작구체(作構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모 이식조의 측부 근방에 형성되는 시비 홈 내로 떨어뜨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블로어용 전동 모터(53)로 구동하는 블로어(58)에서 발생시킨 에어가, 좌우 방향으로 긴 에어 챔버(59)를 경유하여 시비 호스(62)로 불어 넣어지며, 시비 호스(62) 안의 비료를 풍압으로 강제적으로 반송한다.
모 이식부(4)에는 정지 장치의 일례인 로터(27)(측부 정지로터인 제 1 로터(27a)와 중앙 정지로터인 제 2 로터(27b)를 총칭하여 로터(27)라고 한다)가 장착되어 있다. 또, 묘재대(51)는 모 이식부(4)의 전체를 지지하는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폭이 깊은 직사각형의 지지 틀(65)의 지지 롤러(65a)를 레일로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성이다.
도 3의 측면도와 도 4의 배면도에 로터 지지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5에 로터(27)와 플로트(55, 56)와 모 이식장치(52) 부분의 주요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6에는 도 5의 로터(27)로의 동력 전달계를 중심으로 하는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7에는 도 6의 로터(27)로의 동력 전달계의 새로운 확대도를 나타낸다.
로터 지지 구조에는, 묘재대(51)의 상기 지지 틀(65)의 양측변 부재(65b)에 상단이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된 대들보 부재(66)와 상기 대들보 부재(66)의 양단에 고착한 지지 암(67)과 상기 지지 암(67)에 회동 자유자재로 장착된 로터 지지 프레임(6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 지지 프레임(68)의 하단에는 로터(27)(27a, 27b)의 구동축(70)(70a, 70b)이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로터 지지 프레임(68)의 하단부 근처는 전동 케이스(50)에 회동 자유자재로 장착된 연결 부재(71)에 연결되어 있다.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55, 56)와의 배치 위치의 관계로 센터 플로트(55)의 전방에 있는 제 2 로터(27b)는 사이드 플로트(56)의 전방에 있는 제 1 로터(27a)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륜(11)의 기어 케이스(18) 내의 기어로부터 로터 전동축(72)을 통하여 좌측의 제 1 로터(27a)를 구동하는 제 1 구동축(70a)에 동력이 전달되며, 또한 제 1 구동축(70a)에 안쪽의 단부에 설치된 베벨 기어(도 7 참조)로부터, 상기 베벨 기어에 서로 맞물리는 베벨 기어를 단부에 가지며, 좌측의 전동 케이스(73) 내에 배치되는 제 1 전동축(73a)에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 1 전동축(73a)으로부터 베벨 기어를 통하여 제 2 로터(27b)를 고착한 제 2 구동축(70b)에 동력이 전달된다. 또 제 2 구동축(70b)의 우측 단부에 설치된 베벨 기어를 사이에 두고, 우측의 전동 케이스(73) 내에 배치되는 제 2 전동축(73b)에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 2 전동축(73b)으로부터 베벨 기어를 통하여 우측의 제 1 로터(27a)를 고착한 제 1 구동축(70a)에 동력이 전달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제 1 로터(27a, 27a)와 중앙의 제 2 로터(27b)를 서로 전후에 편위(便位)시켜 배치하고, 제 1 로터(27a, 27a)와 중앙의 제 2 로터(27b) 간의 전후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1 전동축(73a)과 제 2 전동축(73b)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동축을 각각 내부에 가지는 전동축 케이스(73, 73)가 배치되며, 상기 전동축 케이스(73, 73)는 기체 평면시로 전후 경사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체 평면시로 한 쌍의 전동축 케이스(73, 73)의 서로의 전측 간격이 후측의 간격보다 작아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앙의 제 2 로터(27b)와 제 1 로터(27a) 간의 전동축을 비스듬하게 배치함으로써, 롤러 변속 장치 B(도 9 참조)로부터 제 1 로터(27a)의 제 1 전동축(70a)으로의 동력 전동계인 로터 전동축(72)과 제 1 로터(27a)의 제 1 전동축(70a)으로부터 중앙의 제 2 로터(27b)의 제 2 구동축(70b)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전동축(73a)의 케이스(73)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로터(27)가 승강 조작에 장해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로터(27)로의 후륜 전동계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체인이 아니고, 전동축을 사용하는 것으로 전동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되며, 구성이 간이화되어 코스트도 삭감된다.
또, 모 이식부(작업부)(4)의 후단부 측에서 전단부 측일수록 평면시로 좌우 폭을 좁게한 플로트(55)를 제 1 전동축(73a)과 제 2 전동축(73b)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으로, 플로트(55)의 전단부에서 진흙 밀기를 억제하는 동시에 밭에 추종하여 플로트(55)가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중앙의 제 2 로터(27b)와 한 쌍의 전동축 케이스(73, 73) 부분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대로 제 2 로터(27b)와 제 1 로터(27a) 간의 전동축 케이스(73)를 좌우 방향에 가상선(L)으로 나누는 것보다, 분할되는 케이스체를 맞춰 고착할 경우에 고착 볼트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되는 케이스 체 외연의 맞춤부를, 좌우로 돌출시키지 않고 상하로 돌출시키게 되므로, 케이스(73)의 좌우 방향의 폭을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전동축 케이스(73) 부분에는 로터(27)를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전동축 케이스(73)가 굵어질수록, 그만큼 로터(27)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이 넓어지며, 전체적으로 로터(27)의 좌우 폭이 좁아지지만, 상기 구성에 의해 전동축 케이스(73)를 가늘게 할 수 있고, 로터(27)의 좌우 폭을 길게 확보함으로써, 전동축 케이스(73)가 가늘어진 만큼만, 전동축 케이스(73)에 의한 진흙 밀기나 물 밀기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로터(27)의 정지 폭이 넓어지므로, 정지 효과를 업 시킬 수 있다.
또, 한 쌍의 전동축 케이스(73, 73)를 좌우 방향에 가상선(L)으로 나누는 것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케이스용의 부품(73x, 73y, 73z)을 제작하는 것만으로 5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동축 케이스(73, 73)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형비(型費)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 2 로터(27b)는 대들보 부재(66)에 상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링크 부재(76, 77)에 의해 스프링(78)을 통하여 매달려 있다.
상기 한 쌍의 링크 부재(76, 77)는 대들보 부재(66)에 일단부가 고착하여 지지된 제 1 링크 부재(76)와 상기 제 1 링크(76)의 타단부에 일단이 회동 자유자재로 연결한 제 2 링크 부재(7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링크 부재(77)의 타단부와 보강 부재(74)에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된 부착판(74a)과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78)이 접속하고 있다.
또 로터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의 하단부에는 절곡판(82)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절곡판(82)은 지지 틀(65)에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81)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지지 틀(65)의 양측변 부재(65b)에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된 대들보 부재(66)에 고착 지지된 돌출부(66a)의 근처를 절곡판(82)이 상하로 회동한다. 절곡판(82)은 상기 돌출부(66a)의 아래쪽을 받아들이고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66a)가 레버(81)의 기체 우측방향(도 4의 화살표 S방향)의 회동으로, 위쪽 방향으로 대들보 부재(66)를 중심으로서 회동하면, 돌출부(66a)의 상기 회동에 의해 제 1 링크 부재(76)의 대들보 부재(66)와의 연결부와 반대측의 단부도 대들보 부재(66)를 중심으로서 위쪽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제 1 링크 부재(76)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 2 링크 부재(77)와 스프링(78)을 통하여 제 2 로터(27b)를 위쪽으로 올릴 수 있다. 제 2 로터(27b)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제 2 구동축(70b)과 제 1 구동축(70a)을 통하여 제 1 로터(27a)도 동시에 위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로터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는 차체(2)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로터(27a, 27b)의 상하 이동을 행할 때, 좌우의 밸런스를 취하기 쉽다.
또, 대들보 부재(66)에는 클러치 레버를 겸하는 로터 수납용 레버(84)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레버(84)를 화살표 T방향(도 3)으로 회동하면 대들보 부재(66)의 회동에 연동하여 지지 암(67)이 같이 화살표 T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지지 암(67)의 화살표 T방향으로의 회동으로 상기 로터 지지 프레임(68)이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제 1 로터(27a, 27b)를 수납 위치, 즉 묘재대(51)의 뒤편에 수납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로터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의 저속 위치에서 밭 면보다 40mm의 높이에 있는 제 1 로터(27a), 제 2 로터(27b)를 도 4의 화살표 S방향으로의 회동으로 저속 위치보다 최대 15mm 높게 할 수 있고, 도 4의 화살표 S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으로 저속 위치보다 최대 15mm 낮게 할 수 있는 설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대들보 부재(66)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로터(27)를 상하시키는 구성으로서 돌출부(66a), 절곡판(82), 로터 상하 위치조절 레버(81) 및 로터 수납용 레버(84) 대신에 대들보 부재(66)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한 전동 모터(113)(도 4)로 대들보 부재(66)를 회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27)의 뒤 위쪽에는 로터 커버(37)(제 1 로터 커버(37a), 제 2 로터 커버(37b))를 설치하여 플로트(55, 56) 상에 진흙이 걸리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 쌍의 전동축 케이스(73, 73)의 앞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73, 73)보다 좌우 안쪽에 제 2 로터(27b)가 배치되며, 또 한 쌍의 전동축 케이스(73, 73)의 후부에는, 상기 케이스(73, 73)의 외측에 제 1 로터(27a, 27a)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27)가 모내기기(1) 나아가서는 모내기기(1)의 이식위치의 좌우 방향 전체 폭에 걸쳐, 고르게 배치됨으로써, 밭의 정지 폭이 넓어지며, 정지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8에 제 2 로터(27b)의 상하 이동규제 기구의 측면도를 나타내지만, 제 2 로터(27b)의 상하 이동규제 기구는 제 1 플레이트(47)로 하동(下動)규제되며, 제 2 플레이트(48)로 상동(上動) 규제된다.
제 1 플레이트(47)는 전동축 케이스(73) 내의 제 1 전동축(73a)과, 제 1 로터(27a)의 제 1 구동축(70a)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플레이트(47)에 설치한 원호상의 긴 구멍(47a)에 제 2 플레이트(48)에 설치한 돌기(48a)가 장착되어 있고, 또 제 2 플레이트(48)는 제 1 로터(27a)의 로터 커버(37a)(도 1)에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기(48a)가 제 2 로터(27b)의 하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제 1 플레이트(47)의 단부에 설치한 제 1 플레이트(47)에 용접 접속된 접속판(47b)에는 제 2 플레이트(48)에 장착된 볼트(48b)가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볼트(48b)를 통하여 제 1 플레이트(47)와 제 2 플레이트(48)를 연결하고, 또한 연결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볼트(48b)에 의한 2개의 플레이트(47, 48)의 연결 위치의 조정으로 제 2 로터(27b)의 상동규제가 이루어진다.
또 제 2 로터(27b)의 상기 상하 이동규제 기구에 의해 제 1 로터(27a)의 제 1 구동축(70a)과 제 1 로터(27a)의 로터 커버(37a)의 가로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므로, 제 1 로터(27a)의 가로 이동의 규제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 2 로터(27b)의 상하 이동규제를 좌우 폭이 좁은 간결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로터(27)에 의한 정지 폭을 증가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로터(27b)의 최하부 위치를 스프링(78)의 내부를 통한 와이어(78')로 규제할 수 있다. 이 와이어(78')의 상단은 기체 측에 접속해 두고, 통상시는 느슨해지는 길이로 해 두고, 제 2 로터(27b)의 설정 최하부 위치 이하에는 하강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와이어(78')가 스프링(78)의 방향을 규제하는 동시에, 제 2 로터(27b)가 토양 내에 깊게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제 2 로터(27b)가 다른 부재 아래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2 로터(27b)에 각도 센서(98)(도 4)를 장착해 주고, 상기 각도 센서(98)로부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전동축 케이스(73) 및 제 1 전동축(73a) 및 제 2 전동축(73b)의 전후의 경사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 1 로터(27a)에 대한 제 2 로터(27b)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대들보 부재(66)를 상하하는 것이 가능한 전동 모터(113)(도 4) 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동 모터(113)를 사용하여 로터(27)를 승강시키는 경우는, 대들보 부재(66)를 회동시켜 로터(27)를 상하시키지만, 이 경우는 돌출부(66a), 절곡판(82), 로터 상하 위치조절 레버(81) 및 로터 수납용 레버(84)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 제 2 로터(27b)가 토양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센서(98)로부터의 정보로 제 2 로터(27b)의 잠입 유무를 판단하고, 각도 센서(98)의 검출 각도가 소정치가 되면 로터(27)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어장치(200)가 전동 모터(113)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HST23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변속 액츄에이터(모터) 등을 제어하여 작업기의 차속을 낮춰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로터 변속 장치(B)를 내장한 로터 변속 장치 케이스(19)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11)의 차축보다 전 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 한층 더 로터 변속 장치(B)를 조작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덮는 커버(19)를 후륜(11)의 기어 케이스(18)의 전방 측에서 로터 변속 장치(B)의 전 측에 배치하면, 조정을 행할 때, 용이하게 커버(19)를 벗겨 기어 케이스(18)까지 유지보수하기 쉬워진다.
또한, 로터 변속 장치(B) 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후륜(11) 구동용의 기어 케이스(18)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2단으로 변속하여 로터(27)에 출력하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구성에서는 로터(27)(제 1 로터(27a)와 제 2 로터(27b)의 편성)의 회전 속도를 저속과 고속의 2단계로 새로 바꾸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후륜 기어 케이스(18)에 접하고 있는 로터 변속 장치 케이스(19) 내에 제 1 로터(27a), 제 2 로터(27b)의 회전 속도를 저속과 고속의 2단계로 전환 가능하게 한 로터 변속 장치(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27)의 2단 전환 클러치 기구의 구성도는 평면 전개 단면도(도 9(a))와 도 9(a)의 화살표 S방향에서 본 정면도(도 9(b))에 나타낸다.
로터 변속 장치 케이스(19) 내에는 후륜 기어 케이스(18)로부터의 동력 입력축(64)과 상기 입력축(64)과 평행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축(69)과, 입력축(64)과 로터축(69)에 각각 한 쌍 고착된 저속용 스프로킷(83, 85)과 고속용 스프로킷(86, 87)과, 상기 저속용 스프로킷(83, 85)에 같은 종류, 상기 고속용 스프로킷(86, 87)끼리에 각각 걸치는 체인(89, 90), 로터축(69)에 고착된 저속용 스프로킷(85)과 고속용 스프로킷(87)의 사이의 로터축(69)의 축 상에 유전(遊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용 클러치체(91)와 상기 클러치체(91)에 상시 계지하고 있는 시프터(92)가 장착되어 있다. 또 클러치체(91)의 양측면에 보습(91a, 91b)이 설치되며, 로터축(69) 상의 저속용 스프로킷(85)과 고속용 스프로킷(87)의 클러치체(91)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각각 보습(85, 87a)이 설치되며, 클러치체(91)의 양측의 각 보습(91a, 91b)은 저속용 스프로킷(85)과 고속용 스프로킷(87)의 각 보습(85a, 87a)이 각각 서로 맞물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터축(69)에는 로터 전동축(72)(도 8)에 접속하고 있고, 상기 로터 전동축(72)을 경유하여 로터(27)를 구동시킨다.
시프터(92)는, 로터축(69)의 인접 위치에서 로터축(69)과 평행 위치에 배치되며, 시프터(92) 상에 감겨진 압축 스프링(93)에 의해 상시 시프터(92)의 저속용 스프로킷(85)과 고속용 스프로킷(87)과 서로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로터 변속 장치 케이스(19)의 외측에 돌출하는 시프터(92)에 대향하는 위치에 로터 변속 장치 케이스(19)에 고착한 커버(102)에 설치되는 회동 지점에 회동 자유자재로 지지된 시프터 조작 암(9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프터 조작 암(95)의 일단은 로터 변속 장치 케이스(19)의 외부로 연출(延出)된 시프터(92)에 계지되어 있다. 시프터 조작 암(95)은 상기 시프터(92)에 장착된 스프링(93)의 장압력에 저항하여 시프터(92)를 접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시프터(92)를 조작하는 조작 암(95)의 회동 지점(95a)의 한 측에는 고속용 조작 케이블(96)의 이너 와이어(96a)가 연결되며, 상기 회동 지점(95a)의 타측에는 저속용 조작 케이블(97)의 이너 와이어(97b)가 연결되어 있다. 고속용 조작 케이블(96)의 아우터(96b) 및 저속용 조작 케이블(97)의 아우터(97b)를 장착용 회동 지점(99a)의 주위의 회동으로 이동 가능한 장착용 암(99)에 장착한다. 장착용 암(99)에는 로터의 구동을 작동중단하는 구동 작동중단용 조작 케이블(100)의 아우터(100b)를 장착하고, 구동 작동중단용 조작 케이블(100)의 이너 와이어(100a)를 기체측의 고정 부재(101)에 연결하여 이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동 작동중단용 조작 케이블(100)의 작동은 로터 높이 조절 레버(106)의 작동으로 기체에 일단이 고정된 이너 와이어(100a)의 타단이 아우터(100b)로부터 당겨져 구동 작동중단용 조작 케이블(100)의 아우터 와이어(100b)가 화살표 C방향(도 9(a))으로 움직이고, 이 움직임에 연동하는 장착용 암(99)이 도 9(b)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고속용 조작 케이블(96)의 이너 와이어(96a) 및 저속용 조작 케이블(97)의 이너 와이어(97b)가 느슨해지며, 시프터 조작 암(95)의 스프링(93)으로 클러치체(91)가 로터를 구동시키지 않는 중립 위치에 움직인다.
도 10에는 모 이식부(4)의 승강 링크(40, 41)와 후륜 기어 케이스(18) 부근의 측면도를 나타내지만, 승강 링크 연동 암(108)을 모 이식부(4)의 상승 동작시키는 상 링크(40)와 하 링크(41)의 어느 한 쪽(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하 링크(4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 이식부(4)의 승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상승 조작되면 승강 링크(40, 41)가 상승하고, 이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로터 높이 조절 레버(106)의 작동시와 마찬가지로, 승강 링크 연동 암(108)이 작동하여 구동 작동중단용 조작 케이블(100)이 당겨지며, 구동 작동중단용 조작 케이블(100)의 아우터 와이어(100b)가 화살표 C방향(도 9(a))으로 움직이고, 이 움직임에 연동하는 장착용 암(99)이 도 9(b)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고속용 조작 케이블(96)의 이너 와이어(96a) 및 저속용 조작 케이블(97)의 이너 와이어(97b)가 느슨해지며, 시프터 조작 암(95)의 스프링(93)으로 클러치체(91)가 로터를 구동시키지 않는 중립 위치로 움직인다. 이렇게 하여 모 이식부(4)를 상승시켰을 때에는, 로터(27)가 고속 또는 저속 포지션으로 설정한 채로 오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작동중단용 조작 케이블(100)은 로터 높이조절 레버(106) 및 승강 링크 연동 암(108)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중의 분기부(116)에서 2개로 분기하고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속용 조작 케이블(96) 및 저속용 조작 케이블(97)을 조작하는 로터 변속 조작 장치인 로터 변속 레버(105)를 조종 좌석(31)의 근처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로터 변속 레버(105)를 고속측 또는 저속측으로 전환 조작하면, 상기 레버(105)에 접속한 고속용 조작 케이블(96) 또는 저속용 조작 케이블(97)의 이너(96a) 또는 이너(97a)가 당겨져 시프터 조작 암(95)이 움직이고, 상기 시프터 조작 암(95)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시프터(92)가 고속측의 스프로킷(87) 또는 저속측의 스프로킷(85)를 작동시켜 로터축을 고속 또는 저속 회전시켜, 제 1 로터(27a)와 제 2 로터(27b)가 고속 또는 저속 회전하게 된다.
로터 변속 장치(B)의 시프터(92)의 부분에 진흙이 부착하는 것에 의한 작동 불량을 해소할 수 있도록, 시프터 조작 암(95), 케이블(96, 97, 100)의 이너 와이어(96a, 97a, 100a)와 부착용 암(99) 및 고정 부재(101)를 덮는 커버(102)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102)로 시프터(92)의 조작 암(95)의 회동 지점(95a)의 축 및 장착용 암(99)의 축의 베어링과 겸용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모 이식부(4)가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로터(27)가 자동적으로 회전 정지 위치(중립 위치)로 돌아오는 구성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 이식부(4)가 상승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변속 레버(105)가 로터 변속 장치(B)를 자동적으로 고속측부터 저속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모 이식부(4)의 상승시에 로터 변속 레버(105)가 상기 저속 위치로 이동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작동중단용 조작 케이블(100)의 작동에 연동하는 장착용 암(99)에 의해 고속용 조작 케이블(96)의 이너 와이어(96a) 및 저속용 조작 케이블(97)의 이너 와이어(97b)가 느슨해져 있으므로, 시프터 조작 암(95)의 스프링(93)으로 클러치체(91)가 로터(27)를 구동시키지 않는 중립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또, 모 이식부(4)가 상승 중에 휴 클러치(130)를 「작동」으로 하는 것으로, 다음의 조 분의 모를 이식할 때 휴 클러치(130)를 「작동」으로 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밭에서의 작업기가 1조 분의 모를 이식하여 휴제에 오면 휴 클러치(130)를 「중단」으로 하여 밭을 선회한다. 그리고 선회를 종료한 시점에서 모 이식부(4)를 밭에 내려놓고 다음의 조 분의 모를 이식할 때 휴 클러치(130)를 「작동」으로 하는 것을 잊어버리기 쉬워, 그대로 모를 밭에 이식하지 않도록 작업기를 전진시킬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모 이식부(4)가 상승하면 휴 클러치(130)를 「작동」으로 해 둔다.
그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 이식부(4)가 상승하면 승강 링크 연동 암(108)에 당겨진 케이블(110)이 휴 클러치(이식 유닛 클러치) 레버(14)를 조작하여 휴 클러치(130)를 「작동」상태로 한다.
또한, 모 이식부(4)의 상승시에 휴 클러치(130)를 「작동」으로 해 두어도, 모 이식부(4)의 상승시에는 모 이식 기어 케이스(25)로부터 모 이식부에 동력 전달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 이식부(4)가 작동할 일은 없다.
상기 로터 변속 장치(B)는, 로터(27)의 회전 속도를 고속 상태와 저속 상태로 전환 가능하지만, 로터 변속 장치(B)의 클러치체(91)를 고속용 스프로킷과 저속용 스프로킷에 서로 맞물리지 않는 중립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가능해지며, 별도 클러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종래의 로터(27)는, 로터(27)의 회전 속도가 후륜(11)의 주속의 약 1.7배 전후와 일정하고, 이 회전비는 모의 이식 속도가 최대가 되는 상태로 작업을 행해도, 인접조로의 물 밀기나 진흙 밀기의 영향이 발생하지 않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침지에서 로터(27)의 밭의 균평화 처리로 요철이 많은 밭 면을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균평을 얻을 수 없었다.
그래서, 도 9에 나타내는 로터(27) 회전 속도의 고속과 저속의 전환이 가능하게 하여 밭의 균평화 처리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지만, 도 11에는 로터(27) 변속 장치의 로터(27)의 회전 속도의 고속과 저속의 변경을 전동 모터(113)에 의해 행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은 도 9에 나타내는 케이블(96, 97, 100)을 대신해 전동 모터(113)를 이용하여 시프터 조작 암(95)를 작동시키는 구성이며, 전동 모터(113)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축에 고착한 회동 암(118)과 그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측에 각각 일단을 계지시킨 스프링(1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117)의 타단을 시프터 조작 암(95)에 건 구성이다.
이 경우는 휴 클러치 레버 센서(159)로 휴 클러치(130)가 「중단」이라고 검지되면 침지 처리중이라고 판단하고, 휴 클러치(130)의 「중단」시에는 제어장치(200)는 모터(113)를 작동시켜 로터 변속 장치(B)에 의해 로터(27)를 고속 회전으로 하여 밭의 황폐함을 재빠르게 고치고, 휴 클러치 「작동」시에는 전동 모터(113)에 의해 재빠르게 저속 회전으로 전환한다.
또 이하에 말하는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 로터 전동축(72)과 왼쪽 또는 오른쪽의 전동축 케이스(73)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로터(27)를 승강 조작에 장해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의 제 2 로터(27b)와 좌측의 제 1 로터(27a) 간의 제 1 전동축(73a)을 경사 배치하고, 제 2 로터(27b)와 우측의 제 1 로터(27a) 간의 제 2 전동축(73b)을 기체의 전후 방향에 일직선으로 배치함으로써, 로터(27)로의 동력 전달을 체인이 아닌 제 1, 제 2 전동축(73a, 73b)을 사용할 수 있어, 구성이 간이화되며 코스트도 삭감된다.
제 2 로터(27b)와 좌측의 제 1 로터(27a) 간의 제 1 전동축(73a)을 경사 배치하는 것으로, 제 2 로터(27b)의 좌측에 배치한 로터 변속 장치(B)로부터 로터(27)로의 동력 전달계(로터 전동축(72))와 제 1 전동축(73a)과 그 수납 케이스인 전동 케이스(73)가 로터 상승시 등에, 부주의하게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이 없다.
또, 제 2 로터(27b)와 우측의 제 1 로터(27a) 간의 제 2 전동축(73b)을 전후방향에 일직선으로 배치함으로써 로터 정지 장치(A)의 전체의 가로 폭을 보다 길게 취할 수 있어 침지 등의 땅 고르기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우측에 로터 변속 장치(B)를 배치하는 경우는 중앙의 제 2 로터(27b)와 우측의 제 1 로터(27a) 간의 제 2 전동축(73b)을 경사 배치하고, 제 2 로터(27b)와 좌측의 제 1 로터(27a) 간의 제 1 전동축(73a)을 전후방향에 일직선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마찬가지의 작용이 있다.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의 제 2 로터(27b)와 좌측의 제 1 로터(27a) 간은 2단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기구(88)를 배치하고, 제 2 로터(27b)와 우측의 제 1 로터(27a)의 간에는 일단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기구(94)를 전후방향에 일직선으로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는 코스트적으로 전동축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불리하지만, 로터 정지 장치(A)의 전체의 가로 폭을 보다 길게 취할 수 있는 이점은 있다.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의 제 2 로터(27b)와 좌측의 제 1 로터(27a) 간의 제 1 전동축(73a)을 경사 배치하고, 제 2 로터(27b)와 우측의 제 1 로터(27a) 간에는 전후방향에 일직선으로 체인 전동 기구(94)를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는 코스트적으로 전동축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불리하지만, 로터 정지 장치(A)의 전체의 가로폭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는 이점은 있다.
도 12(d)의 주요부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의 제 2 로터(27b)와 좌측의 제 2 로터(27b) 간의 제 2 전동축(73b)을 전후방향에 일직선으로 배치하고, 제 2 로터(27b)에서 제 2 로터(27b)로의 동력 전달을 하는 제 1 전동축(73a)은 경사 배치해도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로터 전동축(72)이 배치되는 측의 제 1 로터(27a)에서 제 2 로터(27b)로의 전동 기구를, 전측이 좌우 안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좌우 반대측의 제 2 로터(27b)에서 제 1 로터(27a)로의 전동 기구를, 좌우 방향으로 비스듬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똑바르게 배치하면 좋다.
또 도 13의 주요부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의 제 2 로터(27b)의 설치 위치를 기체 전후방향의 중앙선(C)보다 우측(로터 전동축(7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오프셋 시킨 구성을 채용하고, 로터 전동축(72)과 제 1 전동축(73a)의 간섭을 방지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모내기기의 모 이식부를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이용 가능성이 크다.
1. 시비 장치 부착 승용형 모내기기 2. 주행 차체
4. 모 이식부 10. 전륜
11. 후륜 18. 후륜 기어케이스
19. 커버 27a. 제 1 로터
27b. 제 2 로터 55. 센터 플로트
70a. 제 1 구동축 70b. 제 2 구동축
72. 로터 전동축 73. 전동축 케이스
73a. 제 1 전동축 73b. 제 2 전동축
88, 94. 체인 전동 기구 A. 로터 정지 장치
B. 로터 변속 장치

Claims (5)

  1. 좌우의 전륜(10) 및 좌우의 후륜(11)을 갖춘 주행 차체(2)와, 상기 주행 차체(2)에 하강한 작업상태와 상승한 비 작업상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작업부(4)와,
    좌우 중앙의 중앙 정지로터(27b)와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 보다 뒤쪽에 있는 좌우 한 쌍의 측부 정지로터(27a)를 가지는 정지 장치(A)를 갖추고,
    작업부(4)에는, 상기 정지 장치(A)가 상기 주행 차체(2) 측으로부터 한 측의 상기 측부 정지로터(27a)의 구동축(70a)으로 전동하는 로터 전동축(72)과, 한 측의 상기 측부 정지로터(27a)의 구동축(70a)으로부터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의 구동축(70b)으로 전동하는 제 1 전동 기구(73a)와,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의 구동축(70b)으로부터 다른 측의 측부 정지로터(27a)의 구동축(70a)으로 전동하는 제 2 전동 기구(73b)를 갖추고,
    제 1 전동 기구(73a, 88)와 제 2 전동 기구(73b, 94)가 상기 측부 정지로터(27a)의 구동축(70a) 주변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전동 기구(73a, 88)의 회동을 규제하는 상하이동 규제기구에 의해,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의 상하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 전동 기구(73a)의 죄우 방향 반대측에 상기 로터 전동축(72)을 배치하며, 상기 제 1 전동 기구(73a)를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중앙 정지로터(27b)측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작업부(4)의 후단부 측에서 전단부 측으로 갈수록 평면시로 좌우폭이 좁은 플로트(55)를 제 1 전동 기구(73a)와 제 2 전동 기구(73b)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동 기구(73a)를 상기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는 제 1 전동 축으로 하고,
    상기 제 2 전동 기구(73b)를 상기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전동 축으로 하며,
    상기 제 1 전동축 및 제 2 전동축을 각각 내부에 가지는 전동축 케이스(73)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축 케이스(73)를 상기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후륜(11) 구동용의 기어 케이스(18)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측부 정지로터(27a)로 출력하는 로터 변속 장치(B)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 변속 장치(B)를 후륜(11)의 차축보다 전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로터 변속 장치(B)를 변속 조작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연계 기구를 덮는 커버(19)를, 상기 기어 케이스(18) 및 로터 변속 장치(B)의 전방 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5. 제 3항에 있어서,
    후륜(11) 구동용의 기어 케이스(18)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측부 정지로터(27a)로 출력하는 로터 변속 장치(B)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 변속 장치(B)를 후륜(11)의 차축보다 전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로터 변속 장치(B)를 변속 조작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연계 기구를 덮는 커버(19)를, 상기 기어 케이스(18) 및 로터 변속 장치(B)의 전방 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KR1020100057286A 2009-06-18 2010-06-16 작업기 KR101196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5256A JP5600892B2 (ja) 2009-06-18 2009-06-18 作業機
JPJP-P-2009-145256 2009-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425A KR20100136425A (ko) 2010-12-28
KR101196463B1 true KR101196463B1 (ko) 2012-11-01

Family

ID=4336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286A KR101196463B1 (ko) 2009-06-18 2010-06-16 작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00892B2 (ko)
KR (1) KR101196463B1 (ko)
CN (1) CN101926248B (ko)
TW (1) TWI411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4480B2 (ja) * 2011-12-28 2016-08-2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2014138566A (ja) * 2013-01-21 2014-07-31 Kubota Corp 水田作業機
KR101654094B1 (ko) * 2013-06-04 2016-09-0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JP5888352B2 (ja) * 2014-02-10 2016-03-22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6467897B2 (ja) * 2014-12-10 2019-02-13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JP6465010B2 (ja) * 2015-12-11 2019-02-06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726125B2 (ja) * 2016-03-28 2020-07-2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水田作業機
JP7055011B2 (ja) * 2017-12-21 2022-04-15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29B1 (ko) * 2006-02-27 2007-06-18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이식기
JP2007159418A (ja) * 2005-12-09 2007-06-2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KR100781413B1 (ko) 2005-09-16 2007-12-0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논 작업기
JP2008005739A (ja) 2006-06-28 2008-01-17 Iseki & Co Ltd 整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97Y2 (ja) * 1987-09-30 1995-05-31 株式会社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用トランスミョッション
JP2523133Y2 (ja) * 1990-01-19 1997-01-22 三菱農機株式会社 農用トラクタの前輸駆動装置
JP2972038B2 (ja) * 1992-10-15 1999-11-08 三菱農機株式会社 代掻同時植付機における代掻装置
JP2003102219A (ja) * 2001-09-27 2003-04-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03304717A (ja) * 2002-04-12 2003-10-2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における整地部材
JP4835248B2 (ja) * 2006-04-24 2011-12-1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2008005744A (ja) * 2006-06-28 2008-01-17 Iseki & Co Ltd 苗植機
JP2008005743A (ja) * 2006-06-28 2008-01-17 Iseki & Co Ltd 苗植機
JP3129872U (ja) * 2006-12-18 2007-03-08 株式会社 イダ 複合耕耘装置
JP2008271880A (ja) * 2007-04-27 2008-11-13 Iseki & Co Ltd 対地作業機
JP4867816B2 (ja) * 2007-06-25 2012-02-01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4893701B2 (ja) * 2008-06-27 2012-03-07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413B1 (ko) 2005-09-16 2007-12-0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논 작업기
JP2007159418A (ja) * 2005-12-09 2007-06-2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KR100729829B1 (ko) * 2006-02-27 2007-06-18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이식기
JP2008005739A (ja) 2006-06-28 2008-01-17 Iseki & Co Ltd 整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1391B (zh) 2013-10-11
JP5600892B2 (ja) 2014-10-08
CN101926248B (zh) 2012-10-24
TW201114360A (en) 2011-05-01
KR20100136425A (ko) 2010-12-28
JP2011000044A (ja) 2011-01-06
CN101926248A (zh)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463B1 (ko) 작업기
JP2011244792A (ja) 農作業機
JP5504687B2 (ja) 苗移植機
JP2014083044A (ja) 苗移植機
JP4872271B2 (ja) 苗移植機
JP6458369B2 (ja) 苗移植機
JP2008253231A (ja) 走行車体
JP2007053939A5 (ko)
JP5439731B2 (ja) 水田作業機
JP2009000083A (ja) 対地作業装置付きの苗移植機
JP5782670B2 (ja) 作業機
JP6299893B2 (ja) 苗移植機
JP4775106B2 (ja) 苗移植機
JP2015204804A (ja) 苗移植機
JP5532694B2 (ja) 苗移植機
JP2013201972A (ja) 苗移植機
JP2022073052A (ja) 田植機
CN212910751U (zh) 移植机
JP6900879B2 (ja) 作業車両
JP2024046944A (ja) 乗用苗移植機の安全装置
JP2014087272A (ja) 苗移植機
JP2022098695A (ja) 苗移植機
JP2015208276A5 (ko)
JP2012249535A5 (ko)
JP2020080725A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