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088B1 - 약품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품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088B1
KR101182088B1 KR1020067024108A KR20067024108A KR101182088B1 KR 101182088 B1 KR101182088 B1 KR 101182088B1 KR 1020067024108 A KR1020067024108 A KR 1020067024108A KR 20067024108 A KR20067024108 A KR 20067024108A KR 101182088 B1 KR101182088 B1 KR 10118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shelf member
cassette
guide
medic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528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히로유끼 간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17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약품 불출 장치는 장치 본체(1)와, 상기 장치 본체(1) 내에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선반 부재(2)와, 상기 선반 부재(2)에 수용된 약품(D)을 상기 장치 본체(1)의 전방면측으로부터 1개씩 반송하는 약품 반송 부재(3)를 구비한다. 상기 선반 부재(2)는 약품(D)이 정렬된 상태에서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26)와, 상기 카세트(26) 내의 약품을 상기 장치 본체(1)의 전방면측을 향해 압박하는 푸셔(31)와, 상기 푸셔(31)를 거쳐서 카세트(26)에 수용한 약품(D)에 일정 하중을 부여하는 정하중 탄성체(32)를 갖는다. 또한, 선반 부재(2)는 상기 카세트(26) 내에 약품(D)을 보충하는 경우, 상기 장치 본체(1)의 전방면측으로 인출하여, 일단부가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위치 결정 가능하게 한다.
선반 부재, 약품, 카세트, 약품 반송 부재, 약품 불출 장치

Description

약품 불출 장치{MEDICIN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약품 불출 장치, 특히 수지제 용기에 수용된 주사약 등의 약품을 적절하게 불출할 수 있는 약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품 불출 장치로서 약품이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와, 원하는 약품이 수용된 카세트로부터 약제를 취출하여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는 불출 반송 기구를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08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약품 불출 장치에서는 카세트는 수평 방향으로만 인출 가능한 선반판에 적재된 구성이다. 이로 인해, 카세트 내의 약품이 결품이 된 경우에는 선반판을 수평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만 개방하는 카세트 내에 약품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작업은 선반판의 위치가 상방에 있을수록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약품 불출 장치에서는 약품을 보충하는 위치와, 불출 반송 기구에 의해 약품을 반송하는 위치가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약품 압출 장치의 전후 어디에도 충분한 공간이 필요해져 대형화를 피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약품의 보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점유 공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약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품 불출 장치를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선반 부재와, 상기 선반 부재에 수용된 약품을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측으로부터 1개씩 반송하는 약품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선반 부재는 약품이 정렬된 상태에서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를 갖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측으로 인출하여 일단부가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위치 결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구성, 즉 약품 반송 부재의 배치 위치와, 선반 부재를 인출하여 카세트 내에 약품을 보충하는 위치를 모두 장치 본체의 전방면측에 배치한 구성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한 선반 부재를 경사시킬 수 있으므로, 상방에 위치하는 선반 부재라도 카세트 내부로의 약품의 보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카세트는 수용한 약품을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측을 향해 압박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거쳐서 카세트에 수용한 약품에 일정 하중을 부여하는 정하중 탄성체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장치 본체는, 선반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선반 부재를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선반 부재를 회전시킬 때에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선반 부재는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본체의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구름 이동하여 선반 부재를 수평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면과, 선반 부재를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상기 가이드 롤러가 구름 이동하여 선반 부재를 경사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원호 형상의 제2 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선반 부재의 인출 동작 및 회전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 본체의 가이드부 또는 선반 부재는, 장치 본체로부터 선반 부재를 인출하여 회전시킨 상태에서, 선반 부재를 경사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품 반송 부재의 배치 위치와 선반 부재를 인출하여 카세트 내에 약품을 보충하는 위치를 모두 장치 본체의 전방면측에 배치하였으므로, 매우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선반 부재를 인출한 상태에서 경사시킬 수 있으므로, 상방에 위치하는 선반 부재라도 카세트 내부로의 약품의 보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품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3의 (a)는 도2의 선반 부재의 인출 구조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3의 (b)는 그 부분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도4의 (a)는 도3에 도시한 선반 부재 내에 배치되는 카세트의 단면도, 도4의 (b)는 그 측면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한 끼움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6은 도5의 배면도이다.
도7은 도5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7로부터 선회판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선회판의 선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에 도시한 수평 안내 바아의 구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품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품 공급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품 공급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5의 카세트로부터의 약품의 취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8의 (a)는 도17의 카세트에 수용하는 약품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8의 (b)는 그 측면도이다.
도19는 도17의 카세트에 사용하는 보조 푸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1의 (a)는 도20에 도시한 카세트의 정면 단면도, 도21의 (b)는 그 A부의 확대도이다.
도22는 도20에 도시한 카세트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0에 도시한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24는 도15의 카세트에 도시한 가이드 플레이트의 응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5의 (a)는 도17의 카세트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장착한 응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5의 (b)는 그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장치 본체
2 : 선반 부재
2a : 제1 선반 부재
2b : 제2 선반 부재
3 : 약품 반송 부재
4 : 트레이 반송 라인
5 : 트레이
6 : 가이드 부재
6a : 제1 가이드 부재
6b : 제2 가이드 부재
7 : 가이드 벽
7a : 중간 레일부
8 : 가이드 레일
9 : 제1 가이드면
10 : 제2 가이드면
11 : 지지 롤러
12 : 스토퍼
13 : 제1 레일부
14 : 제2 레일부
15 : 지지벽
15a : 접촉 받침부
16 : 지축
16a : 스프링
17 : 계지 받침부
18 : 지지 레일부
19 : 선반용 위치 어긋남 검출 센서
20 : 상자체
21 : 약품 수용부
22 : 손잡이
23 : 로크 부재
24 : 계지부
25 : 가이드 롤러
26 : 카세트
27 : 홈부
28 : 지지판
29 : 계지 구멍
30 : 약품 압출 부재
30a : 케이싱
31 : 푸셔
31a : 돌기
32 : 정하중 탄성체
33 : 계지 레버
34 : 드럼
35 : 탄성부
36 : 조작부
37 : 계지 갈고리
38 : 수평 안내 바아(수평 안내부)
39 : 수직 안내 바아(수직 안내부)
40 : 약품 파지 부재
41 : 구동 모터
41a, 48a, 59a, 72 : 풀리
41b, 48b, 59b : 벨트
42 : 지지 부재
43 : 전후 이동 부재
44 : 끼움 지지 부재
45 : 가이드 받침부
46 : 제1 가이드 축
47 : 제1 스크류 나사
48 : 제1 모터
49 : 슬라이드대
49a, 56a : 롤러
50 : 측판부
51 : 선회판
52 : 제2 가이드 축
53 : 제2 스크류 나사
54 : 끼움 지지편
54a : 외부 프레임
54b : 탄성 가이드부
55 : 압박 받침편(압박 받침부)
56 : 제1 로크 플레이트(제1 로크부)
56b : 로크 핀
57 : 제2 로크 플레이트(제2 로크부)
58 : 로크 구멍
58a : 원호부
58b : 제1 로크 오목부
58c : 제2 로크 오목부
59 : 제2 모터
60 : 반송 롤러
61 : 제어 장치
62 : 서버
63 : 입력 장치
64 : 기억 장치
65 : 구동 장치
66 : 쓰러짐 방지 막대
67 : 가이드 플레이트
68 : 보조 푸셔
68a : 돌출부
69 : 용기
70 : 주머니
71 : 이동식 지지부
73 : 무단 벨트
74 : 보조 가이드판
75 : 힌지
75a : 압박부
75b : 고정부
D : 약품
d1 : 몸통부
d2 : 다리부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품 불출 장치의 정면도, 도2는 그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약품 불출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1) 내에 상하 방향을 향해 복수의 선반 부재(2)를 병설하고, 각 선반 부재(2)에 수용한 약품(D)을 장치 본체(1)의 전방면측에 설치한 약품 반송 부재(3)에 의해 하방측으로 반송하여 트레이(5)에 수용한다. 트레이(5)는 트레이 반송 라인(4)의 상부에 탑재하여 반송한다.
장치 본체(1)는, 정면이 도시하지 않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고, 측벽 내면에 복수의 가이드 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6)는, 2종류의 기능을 구비하고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부재(6a)와 그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부재(6b)로 이루어지고, 제1 가이드 부재(6a)는 선반 부재(2)를 인출한 후에 지축(16)을 중심으로 선반 부재(2)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지만, 제2 가이드 부재(6b)는 그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1 가이드 부재(6a)는 가이드 벽(7)과, 이 가이드 벽(7)의 내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8)을 구비하고, 선반 부재(2)는 도2에 나타낸 화살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가이드 벽(7)은,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반부 하연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9)이 형성되고, 상반부의 전방 단부면(정면측)에 원호 형상의 제2 가이드면(1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벽(7)의 하반부의 전방측에는 지지 롤러(1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가이드면(10)에는, 후술하는 선반 부재(2)의 가이드 롤러(25)의 근방에 설치한 돌편(25a)이 접촉하여 그 이상의 선반 부재(2)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12)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5)는 상기 장치 본체(1)의 가이드 부재(6a)에 형성한 제1 가이드면(9) 및 제2 가이드면(10)을 구름 이동한다.
가이드 레일(8)은 가이드 벽(7)에 일체화되는 제1 레일부(13)에 중간 레일부(7a)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중간 레일부(7a)에 제2 레일부(14)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2 레일부(14)를 장치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제2 레일부(14)의 상방에는 지지벽(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벽(15)의 중앙부에는 지축(16)이 설치되고, 선반 부재(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선반 부재(2a)를 구성한다. 지축(16)의 주위에는 스프링(16a)이 설치되고, 그 일단부가 지지벽(1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선반 부재(2)에 형성한 접촉 받침부(15a)에 접촉함으로써 선반 부재(2)를 수평 상태로 가압한다. 또한,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벽(15) 의 전방면측에는 계지 받침부(17)가 형성되고, 선반 부재(2)에 설치한 로크 부재(23)의 계지부(24)가 계지됨으로써 선반 부재(2)의 회전이 저지되어 경사 상태가 된다.
제2 선반 부재(2b)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부재(6b)에 의해 지지되고, 장치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레일부(18)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 부재(6b)는 제2 선반 부재(2b)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뿐이며, 제1 선반 부재(2a)와 같이 제2 선반 부재(2b)는 경사지지 않는다.
장치 본체(1)의 양측벽 상하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용 위치 어긋남 검출 센서(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2군데에,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각각 설치한 것을 1세트로 하는 2세트로 구성되어 있음). 선반용 위치 어긋남 검출 센서(19)는 선반 부재(2)가 인출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즉, 선반 부재(2)에는, 장치 본체(1)의 적절한 위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발광 소자로부터 수광 소자로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선반 부재(2a)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축(16)을 중심으로 하여 장치 본체(1)의 가이드 벽(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16a)에 의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한쪽측 손잡이(22)의 근방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23)가 설치되고, 그 계지부(24)가 상기 지지벽(15)의 계지 받침부(17)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지부(24)가 계지 받침부(17)에 계 지됨으로써 제1 선반 부재(2a)는 도3에 도시한 경사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제1 선반 부재(2a)의 배면측에는 가이드 롤러(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5)는 상기 장치 본체(1)의 가이드 부재(6)에 형성한 제1 가이드면(9) 및 제2 가이드면(10)을 구름 이동한다. 약품 수용부(21)는 카세트(26) 내에 약품 압출 부재(30)를 설치한 것이다.
선반 부재(2)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전방면측이 절결된 상자체(20) 내에, 장치 본체(1)의 정면에서 본 폭 방향에 복수열로 약품 수용부(21)를 형성한 것으로, 상자체(20)의 전방면 양단부에는 손잡이(2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26)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는 상자 형상이며, 약품(D)을 그 상방측의 일부(예를 들어, 상반부)가 노출되도록 1열로 정렬하여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26)의 바닥면에는, 수용하는 약제(D)의 송출 방향을 따라 홈부(27)가 형성되도록 양측에 긴 지지판(28)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세트(26) 내에 수용하는 약품(D)과의 접촉 면적을 억제하고, 홈부(27)에는 정하중 탄성체(32)의 탄성부(35)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세트(26)의 후방 단부에는 후술하는 계지 레버(33)의 계지부(37)가 계지되는 계지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카세트(26)는 동일 상자체(20)에서는 전부 동일한 사이즈로서 동일 형태의 약품(D)을 수용해도 좋지만, 사이즈(예를 들어, 측벽간의 거리나 측벽의 높이)를 다르게 하면, 다른 형태의 약품(D)을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품 압출 부재(30)는, 도4의 (a) 및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30a)에 푸셔(31), 정하중 탄성체(32) 및 계지 레버(33)를 설치한 구성이다.
케이싱(30a)은, 카세트(26)의 바닥면에 상기 송출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푸셔(31)는 케이싱(30a)의 단부면에 고정되고, 약품(D)의 측면을 압박 가능한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4의 (a) 및 도10의 (a)에 도시한 형태의 약품(D)의 몸통부(d1)와, 이 몸통부(d1)보다도 가는 다리부(d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면에 돌기(31a)가 설치되고 단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약품(D)에는 도10의 (b) 및 도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있고, 그 형태의 차이에 따라서 푸셔(31)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송출 방향으로 원활하게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하중 탄성체(32)는,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30a) 내에 배치되는 드럼(34)과, 이 드럼(34)에 긴 띠판을 권취한 탄성부(35)로 이루어진다. 정하중 탄성체(32)에서는 케이싱(30a)으로부터 인출한 탄성부(35)가, 인출 치수에 상관없이 일정력으로 케이싱(30a) 내에 인입된다. 탄성부(35)는 카세트(26)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홈부(27)에 위치하고, 탄성부(35)의 선단부(A)는 카세트(26)의 전방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하중 탄성체(32)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콘스톤(등록 상표) 등이 사용되어 있다.
계지 레버(33)는 축부(33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손가락으로 직접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36)이고, 타단부가 카세트(26)의 후방 단부측에 형성한 계지 구멍(29)에 걸림 이탈되는 계지 갈고리(37)이다.
약품 반송 부재(3)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안내 바아(38), 수직 안내 바아(39) 및 도5 및 도6에 도시한 약품 파지 부재(40)를 구비한다.
수평 안내 바아(38)는 장치 본체(1)의 전방면측 상하에 각각 배치되고, 도1 중 수평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양 수평 안내 바아(38)는 도11에 도시한 풀리(38a) 및 벨트(38b, 38c)를 거쳐서 동기하여 회전한다. 각 수평 안내 바아(38)는 스크류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 안내 바아(39)는 상하 단부에 수평 안내 바아(38)가 나사 결합되고, 이 수평 안내 바아(38)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구동하여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수평 안내 바아(38)를 따라, 수직 안내 바아(39) 및 약품 파지 부재(40)를 왕복 이동시킨다. 수직 안내 바아(39)에는, 도1에 도시한 상부에 구동 모터(41)가 설치되고, 풀리(41a) 및 벨트(41b)를 거쳐서 벨트(41b)의 도중에 연결한 약품 파지 부재(40)를 승강시킨다.
약품 파지 부재(40)는, 도5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2)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전후 이동 부재(43)를 설치하고, 이 전후 이동 부재(43)에 선회 가능하게 끼움 지지 부재(44)를 설치한 구성이다.
지지 부재(42)는 상방부가 연결된 양 측벽부(42a, 42b)를 구비하고, 한쪽 측벽부(42a)의 내면에는 가이드 받침부(45)가, 다른 쪽 측벽부(42b)와 평행하게 제1 가이드 축(46) 및 제1 스크류 나사(4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스크류 나사(47)는 제1 모터(48)의 구동에 의해 풀리(48a) 및 벨트(48b)를 거쳐서 회전한다.
전후 이동 부재(43)는 슬라이드대(49)의 양측에 대향하도록 측판부(50)를 설 치한 것으로, 슬라이드대(49)에는 상기 지지 부재(42)의 가이드 받침부(45)를 구름 이동하는 롤러(49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대(49)에는 상기 제1 가이드 축(46)이 관통하는 동시에 제1 스크류 나사(4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모터(48)를 정역회전 구동하여 제1 스크류 나사(47)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드대(49)에서의 나사 결합 위치가 변화하고, 슬라이드대(49) 즉 전후 이동 부재(43)는 제1 가이드 축(46)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끼움 지지 부재(44)는 한 쌍의 선회판(51)과, 이들 선회판(51) 사이에 설치한 제2 가이드 축(52) 및 제2 스크류 나사(53)와, 제2 가이드 축(52)이 관통하는 동시에 제2 스크류 나사(53)가 나사 결합하는 한 쌍의 끼움 지지편(54)을 구비한다. 선회판(51)은 상기 전후 이동 부재(43)의 측판부(50)에 설치한 회전축(5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51a)의 양단부측에는 스프링(51b)이 각각 배치되고, 선회판(51)은 도7에 도시한 수직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한쪽 선회판(51)의 하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압박 받침편(55)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압박 받침편(5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품 반송 부재(3)를 불출 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 상기 장치 본체(1)에 설치한 압박편(본 발명에 관한 압박부에 상당함. 단,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박된다. 이에 의해, 선회판(51) 즉 끼움 지지 부재(44)가 회전하고, 끼움 지지편(54)에 끼움 지지한 약품(D)을 횡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쪽 선회판(51)의 하단부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로크 플레이트(56)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수평 방향[도9의 (a) 중, 우측]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로크 플레이트(56)에는 롤러(56a)와 로크 핀(56b)이 설치되어 있다. 롤러(56a)는 장치 본체(1)에 형성한 돌출부(1a)에 의해 압박되고, 이 돌출부(1a)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 핀(56b)은 선회판(51)의 하단부에 일체화한 제2 로크 플레이트(57)의 로크 구멍(58)을 이동한다. 로크 구멍(58)은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호부(58a)의 각 단부에는 제1 로크 오목부(58b) 및 제2 로크 오목부(58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로크 핀(56b)은 끼움 지지 부재(44)가 강하할 때, 롤러(56a)가 돌출부(1a)에 의해 압박되어 스프링(51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왕복 이동함으로써 제1 로크 오목부(58b)로부터 탈락하고, 원호부(58a)를 거쳐서 제2 로크 오목부(58c)로 이동하여 결합한다. 또한, 로크 핀(56b)은 끼움 지지 부재(44)가 상승할 때, 롤러(56a)가 돌출부(1a)에 의해 압박되어 스프링(51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왕복 이동함으로써 제2 로크 오목부(58c)로부터 탈락하고, 원호부(58a)를 거쳐서 제1 로크 오목부(58b)로 이동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제2 가이드 축(52)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크류 나사(53)를 중심으로 양측에 2개 배치하고 있다. 제2 스크류 나사(53)에는 한 쌍의 끼움 지지편(54)을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고, 또한 2개의 제2 가이드 축(52)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베어링하고 있다. 또한, 제2 스크류 나사(53)는 축 길이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나사산의 형성을 서로 역의 관계(예를 들어, 좌측 절반으로 우측 나사, 우측 절반으로 좌측 나사)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스 크류 나사(53)를 회전하면 각 끼움 지지편(54)의 나사 결합 위치가 변화하고, 2개의 제2 가이드 축(52)을 따라 끼움 지지편(54)이 접근 또는 이격된다. 제2 스크류 나사(53)의 구동은 제2 모터(59)의 정역회전에 의해 풀리(59a) 및 벨트(59b)를 거쳐서 정역회전한다.
끼움 지지편(54)은, 도5 중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외부 프레임(54a)과, 그 내부에 일체화되고 약품(D)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탄성 가이드부(54b)로 이루어진다. 탄성 가이드부는 약품(D)과의 접촉면에서의 표면 단면 형상이 톱니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약품(D)의 보유 지지 상태를 안정시킨다.
트레이 반송 라인(4)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반송 롤러(60)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 롤러(60)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해 회전하고, 상방에 적재되는 트레이(5)를 반송한다. 트레이 반송 라인(4)의 일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가 설치되어, 반송된 트레이(5)를 불출 위치에 일단 정지시키고, 상기 약품 반송 부재(3)에 의해 반송된 약품(D)을 불출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성의 약품 불출 장치에서는, 도12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61)는 서버(62)나 입력 장치(63)로부터 입력되는 처방 데이터나, 선반용 위치 어긋남 검출 센서(19)에서의 검출 신호 등을 기초로 하여 기억 장치(64)에 기억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모터 등의 각 구동 장치(65)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기억 장치(64)에는 선반 부재(2) 내의 카세트(26)의 위치 등의 위치 데이터나, 각 선반 부 재(2)에 수용한 약품(D)의 종류, 잔량, 형상을 포함하는 약품 데이터 등, 다양한 약품 불출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품 불출 장치의 동작을 도13 및 도14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서버(62)나 입력 장치(63)로부터 처방 데이터가 입력되면(스텝 S1), 입력된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억 장치(64)에 기억한 약품 불출용 데이터를 판독한다(스텝 S2). 그리고, 판독한 약품 불출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품(D)을 취출하는 선반 부재(2)의 카세트(26)를 결정한다(스텝 S3). 또한, 상기 약품 불출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품(D)의 형상을 기초로 하여 미리 끼움 지지편(54)의 간격을 약품(D)의 폭 치수보다도 약간 큰 값으로 결정한다(스텝 S4). 이에 의해, 약품 파지 부재(40)를 약품(D)의 직전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필요 최소한의 동작으로 약품(D)을 끼움 지지할 수 있어 그 동작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약품(D)의 폭 치수에 대한 끼움 지지편(54)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각 선반 부재(2)에서의 카세트(26)의 배치를 끼움 지지편(54)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접근시킬 수 있다.
이어서, 약품 반송 부재(3)를 구동하여, 약품 파지 부재(40)를 해당하는 약품(D)이 수용된 선반 부재(2)로 이동시킨다(스텝 S5). 그리고, 약품 파지 부재(40)가 해당하는 약품(D)이 수용된 선반 부재(2)의 직전 위치까지 이동하면(스텝 S6), 제1 모터(48)를 정회전하여 전후 이동 부재(43)를 전진시킨다(스텝 S7). 그리고, 제2 모터(59)를 구동하여 끼움 지지편(54)으로 약품(D)을 끼움 지지한다(스 텝 S8).
여기서, 끼움 지지편(54)에 의해 약품(D)이 적절하게 끼움 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 이 판단은 제2 모터(59)에의 통전 상태를 검출하고, 과전류가 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행한다. 과전류가 되어 예를 들어, 검출 전압치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으면 끼움 지지편(54)으로 약품(D)을 끼움 지지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검출 전압치가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끼움 지지편(54)에 의해 아무것도 끼움 지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끼움 지지편(54)에 의해 약품(D)이 적절하게 끼움 지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하는 카세트(26)에 약품(D)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결품인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0).
여기서, 연속 처리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 연속 처리의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동작을 정지하고(스텝 S12),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 S1로 복귀하여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끼움 지지편(54)에 의해 약품(D)이 적절하게 끼움 지지되었다고 판단하면, 약품 반송 부재(3)의 구동 모터(41)를 정회전하고, 약품 파지 부재(40)를 상승시켜 끼움 지지편(54)에 끼움 지지한 약품(D)을 카세트(26)로부터 인발한다(스텝 S13). 그리고, 제1 모터(48)를 역회전하여, 약품 파지 부재(40)를 상기 카세트(26)의 직전 위치로 복귀시킨다(스텝 S14). 이 때, 카세트(26) 내에서는 약품(D)은 정하중 탄성체(32)에 의해 가압된 푸셔(31)로 압박되어 전진한다. 이로 인해, 약품(D)은 카세트(26)의 전방 단부 내면에 접촉하고, 자동적으로 다음 불출을 위해 준비된다.
계속해서, 약품 파지 부재(40)를 트레이 반송 라인(4)의 불출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 S15). 이 때, 트레이 반송 라인(4)으로 트레이(5)를 반송하고, 불출 위치에 대기시켜 둔다(스텝 S16).
약품 파지 부재(40)는 불출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압박 받침편(55)에 압박편이 접촉함으로써 선회판(51)이 선회한다. 선회판(51)의 선회 위치는 최하위에 위치하는 선반 부재(2)의 하방측이며, 선반 부재(2)와의 간섭이 회피되어 있다. 이로 인해, 끼움 지지편(54)에 끼움 지지한 약품(D)은 횡방향이 되어 전방으로 돌출한다. 이 결과, 장치 본체(1) 내의 선반 부재(2)의 전방면측에 형성되는 공간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억제하면서, 트레이(5)에는 약품(D)을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품(D)에 대해 트레이(5)에의 불출 작업이 완료하면(스텝 S17), 트레이 반송 라인(4)의 불출 위치에서의 스토퍼에 의한 트레이(5)의 정지 상태를 해제하고, 트레이(5)를 장치 본체(1)로부터 외부로 반송한다(스텝 S18).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약품 불출 장치에 따르면, 약품 반송 부재(3)의 배치 위치와 선반 부재(2)를 인출하여 카세트(26) 내에 약품(D)을 보충하는 위치를 장치 본체(1)의 전방면측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동일 공간을 공유할 수 있어 장치 자체를 콤팩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약품 반송 부재(3)에서, 최하위에 위치하는 선반 부재(2)의 하방측에서 끼움 지지편(54)을 선회시켜 끼움 지지한 약품(D)을 트레이(5)로 불출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선반 부 재(2)와 장치 본체(1)의 전방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선반 부재(2)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가령 최상위에 위치하는 제1 선반 부재(2a)라도 카세트(26) 내로의 약품(D)의 충전을 용이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반 부재(2) 내에 약품(D)이 없어지면, 그 선반 부재(2)를 인출하여 약품(D)을 보충하면 된다. 즉, 로크 부재(23)를 인장함으로써 그 계지부(24)를 장치 본체(1)의 계지 받침부(17)로부터 이탈 분리시키고, 손잡이(22)를 파지하여 선반 부재(2)를 인출한다. 이 경우, 최상위의 선반 부재(2)이면 도2 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로부터 인출한 후, 선단부의 인출측을 하방을 향해 경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손잡이(22)를 파지하여 선반 부재(2)를 인장하면, 측벽에서 제1 레일부(13) 및 제2 레일부(14)가 차례로 신장하는 동시에 가이드 롤러(25)가 제1 가이드면(9)을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선반 부재(2)는 전방면측으로 수평 이동한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25)가 제2 가이드면(10)에 이르면, 제1 가이드면(9)에 의한 가이드를 잃게 되므로, 선반 부재(2)는 지축(1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스프링(16a)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선반 부재(2)를 회전시키면, 가이드 롤러(25)가 제2 가이드면(10)을 따라 구름 이동하여, 인출측(선단부측)이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진다. 그리고, 선반 부재(2)는 소정 위치까지 경사짐으로써 로크 부재(23)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므로, 카세트(26)에 약품(D)을 충전한다.
카세트(26)로의 약품(D)의 수용에서는, 약품 압출 부재(30)의 푸셔(31)를 정 하중 탄성체(32)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후방 단부측으로 압박하여 이동시키고, 계지 레버(33)의 계지 갈고리(37)를 카세트(26)의 배면측에 형성한 계지 구멍(29)에 계지시킨다. 카세트(26) 내로의 약품(D)의 보충이 완료되면, 계지 레버(33)를 조작하여 계지 갈고리(37)를 계지 구멍(29)로부터 이탈시키고, 정하중 탄성체(32)의 압박력에 의해 약품(D)을 카세트(26)의 전방면측으로 이동시켜 정렬시킨다.
도15 및 도16은 상기 카세트(26)의 약품 취출측의 단부에 쓰러짐 방지 막대(66)를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다. 쓰러짐 방지 막대(66)는 카세트(26)의 단부에 형성한 대략 V자 형상의 절결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특수 형상의 약품(D)의 쓰러짐을 방지한다. 즉, 약품(D)은 점적용 주사약을 특수 형상의 병에 수용한 것으로, 몸통부(d1)의 상하에 돌출 부분이 있고, 하방측에는 몸통부(d1)보다도 가는 다리부(d2)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카세트(26) 내에서의 배치가 불안정해져, 특히 카세트(26)로부터 취출할 때에 쓰러지기 쉽다. 그래서, 상기 쓰러짐 방지 막대(66)를 설치하여 약품(D)의 몸통부(d1)의 상단부 근방까지 지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약품(D)의 수용 상태 및 취출 상태를 안정시키고 있다.
또한, 카세트(26)에는 가이드 플레이트(67)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67)는 카세트(26)의 한쪽 측벽으로부터 기립 설치하고, 약제(D)의 상방 위치에서 카세트 바닥면에 대략 평행해지도록 구부린 형상을 하고 있고, 상면부가 다음 약품(D)의 상면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약품(D)을 취출할 때 인접하는 약품(D)이 마찰에 의해 함께 이동하려고 해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7)의 상면부에 접촉하여 그 배출이 적절하게 방지된다.
도24는 도15의 카세트에 나타내는 가이드 플레이트(67)의 응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약제(D)를 카세트(26) 내에 수납하고 도15에 도시한 가이드 플레이트(67)를 장착하면, 약품 압출 부재(30)에 의해 반송되는 과정에서 약제(D)에 구비된 네크 링(Da)의 방향이 가이드 플레이트(67)측을 향하고 있으면, 도15의 카세트에 나타내는 가이드 플레이트(67)는 네크 링(Da)이 걸려 버려 약품 압출 부재(30)가 약제(D)를 압출할 수 없지만, 응용예에 나타내는 가이드 플레이트(67)는 반송 방향을 향해 오르막 경사지는 제1 경사면(67a)과 가이드 플레이트(67)의 설치 위치로부터 카세트(26)의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는 제2 경사면(67b)을 구비하고 있다. 네크 링이 가이드 플레이트(67)측을 향하고 있으면, 네크 링(Da)은 제1 경사면(67a)에 접촉하고,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네크 링(Da)이 상향으로 회전한다. 네크 링(Da)이 가이드 플레이트(67)의 상단부에 도달하면, 네크 링(Da)의 접촉면이 제2 경사면(67b)으로 바뀌어 가이드 플레이트(67)측을 향하고 있는 네크 링(Da)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응용예의 가이드 플레이트(67)는 약제(D)를 카세트(26) 내에 수납할 때 네크 링(Da)의 방향이 가이드 플레이트(67)측을 향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네크 링(Da)의 방향에 관계없이 약품 압출 부재(30)에 의해 확실하게 약제(D)를 반송할 수 있다.
상기 쓰러짐 방지 막대(66)를 구비한 카세트(26)로부터의 약품(D)의 취출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즉, 끼움 지지 부재(44)의 끼움 지지편(54)으로 약품(D)을 끼움 지지하여, 도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26)의 측벽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 때, 가이드 플레이트(67)에 의해 다음 약품(D)의 배출이 방지된다. 이어서, 끼움 지지 부재(44)를 구비한 약품 파지 부재(40)의 전체를 수평 안내 바아(38)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품(D)의 다리부(d2)가 쓰러짐 방지 막대(66)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제1 모터(48)를 역회전하여 약품 파지 부재(40)를 카세트(26)의 직전 위치로 복귀시킨다. 카세트(26)의 직전 위치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편(54)에 의해 약품(D)을 끼움 지지하여 취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카세트(26)에는 쓰러짐 방지 막대(66)를 설치하였을 뿐이며, 끼움 지지한 약품(D)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를 옮겨 취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약품(D)이 쓰러짐 방지 막대(66)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또한, 취출 시간을 그만큼 증대시키는 일 없이 저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17은 쓰러짐 방지 막대(66)(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에 더하여, 상기 카세트(26)의 푸셔(31)에 보조 푸셔(68)를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다. 카세트(26)에는, 약품(D)으로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약이 수용된 박형의 용기(69)를 주머니(70)에 넣은, 이른바 키트 약품이 수용되어 있다. 키트 약품(D)은 용기(69)가 카세트(26) 내에 배치되어, 대략 상반부의 주머니 부분을 끼움 지지편(54)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취출된다. 보조 푸셔(68)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31)보다도 낮고, 중앙부에 돌출부(68a)를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푸셔(31)에 일체화되어 있다[제거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카세트(26)에 수용하는 약품이 박형으로 변형되는 것인 경우에만 설치하도록 할 수 있음]. 돌출부(68a)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용기(69)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고, 돌출부(68a)의 선단부 부분(양측에 R 형상 의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는 부분)만이 용기(69)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68a)는 끼움 지지편(54)으로 키트 약품(D)의 주머니 부분을 들어올림 가능한 상태로 끼움 지지하였을 때, 끼움 지지편(54)과는 간섭하지 않는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푸셔(68)를 구비한 카세트(26)에서는, 보조 푸셔(68)에 의해 용기(69)만을 적절하게 압박할 수 있어 카세트(26) 내에서 약품(D)을 적절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26)로부터의 약품(D)의 취출에서는 끼움 지지편(54)에 의해 약품(D)을 끼움 지지하면, 주머니 부분이 변형하여 선두의 약품(D)을 취출 가능해진다. 그래서, 상기 도15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약품(D)을 일단 카세트(26)로부터 끌어올린 후 측방으로 이동시키고, 쓰러짐 방지 막대(66)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전방으로 취출한다. 끼움 지지편(54)으로 약품(D)을 끼움 지지할 때, 박형이므로 인접하는 다음 약품(D)의 일부와 간섭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피하고자 하면, 약품 파지 부재(40)의 이동을 고정밀도로 행하게 할 필요가 생겨 비용면으로 현실적이지 않음]. 그러나, 끼움 지지편(54)으로 약품(D)을 끼움 지지해 감에 따라서 주머니 부분이 전후 방향[카세트(26)의 길이 방향]으로 팽창되므로 끼움 지지한 선두의 약품(D)만을 취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카세트(26)로부터 차례로 약품(D)을 취출해 가지만, 마지막 약품(D)을 취출하는 경우 끼움 지지편(54)의 이동 궤적에, 보조 푸셔(68)측에서는 중앙의 돌출부(68a)가 존재할 뿐이며, 끼움 지지편(54)과 간섭하는 일은 없다. 따 라서, 카세트(26) 내에 박형의 약품(D)을 수용하는 경우라도 마지막 1개까지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25의 (a) 및 도25의 (b)는 다음 약품(D)의 주머니 부분이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가이드 플레이트(67)를 설치한 응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26) 내에 주머니 형상의 약품(D)을 정렬시키고, 약품 압출 부재(30)의 푸셔(31)가 주머니 형상의 약품(D)의 후방측으로부터 취출부로 압박한다. 주머니 형상의 약품(D)은 안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카세트(26)의 폭 방향으로는 보조 가이드판(74)을 구비하고 있다. 취출부 부근에는 가이드 플레이트(67)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D)의 상방 위치에서 카세트 바닥면에 반송과정에서 카세트(26)의 바닥면에 압박하도록 구부린 형상으로 경사시켜 설치하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67)의 선단부는 힌지(75)를 구비하고, 약제(D)를 압박하는 압박부(75a)와 가이드 플레이트(67)에 고정하는 고정부(75b)로 구성된다. 이 힌지(75)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체로 카세트(26)의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어, 약제(D)가 카세트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67)를 설치한 응용예도 끼움 지지편(54)으로 약품(D)을 끼움 지지해 감에 따라서 주머니 부분이 전후 방향[카세트(26)의 길이 방향]으로 팽창되므로, 끼움 지지한 선두의 약품(D)만을 취출하면 다음 약제(D)는 가이드 플레이트(67)의 하부에 수납되고, 또한 약품(D)을 끼움 지지한 결과 팽창된 약제(D)의 일부도 가이드 플레이트(67)의 하부에 걸리는 상태로 끼움 지지편(54)이 카세트(26)로부터 취출되는 것이 되어, 고정식 가이드 플레이트(67)에서는 약제(D) 의 주머니를 파손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 지지한 선두의 약품(D)이 팽창된 부분은 취출시, 압박부(75a)에 접촉하여 힌지(75)가 회전하기 때문에 약제(D)의 주머니를 파손하지 않고 다음 약제(D)도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일은 없다.
도20은 상기 카세트(26)의 바닥면에 이동식 지지부(71)를 구비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20의 예에서는, 이동식 지지부(71)로서 풀리(72) 사이에 무단 벨트(73)를 걸친 구성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풀리(72)는 카세트(26)의 양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무단 벨트(73)는 카세트(26)의 바닥면에 2열로 노출하여 배치되도록 양측에 위치하는 각 풀리(72)에 걸쳐진다. 도21의 (a), 상세하게는 도21의(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26)의 바닥면에는 양단부에 절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를 거쳐서 무단 벨트(73)가 카세트(26)의 바닥면에 노출되는 부분과, 카세트(26)의 바닥면측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바뀐다. 각 풀리(72)는 회전축(7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무단 벨트(73)에 힘이 작용하면 이 무단 벨트(73)가 용이하게 순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단 벨트(73)의 표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약품(D)의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도20의 예에서는 카세트(26)에 수용되는 약품(D)은 바닥면 중앙부가 움푹하게 패여 주위만이 접촉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무단 벨트(73)를 전술한 약품(D)의 바닥면에 접촉 가능한 부분에만 2열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무단 벨트(73)를 2열로 설치함으로써 가령 카세트(26)로부터 약품(D)이 취출될 때, 회전해도 한쪽 무단 벨트(73)가 추종하여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도4에 도시한 카세트(26)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의 이동식 지지부(71)를 구비한 카세트(26)에 따르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26) 내에 약품(D)을 정렬시켜 수용하고, 취출측으로부터 차례로 약품을 취출하면 푸셔(31)에 의해 남는 약품(D)이 취출측으로 압출된다. 무단 벨트(73)의 카세트(26)의 바닥면에 노출되는 부분은 2열이고, 게다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약품(D)과의 접촉 면적이 억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약품(D)은 원활하게 미끄러지면서 취출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약품(D)의 바닥면과 무단 벨트(73)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크면, 약품(D)이 쓰러지기 전에 무단 벨트(73)가 순환 이동한다. 게다가, 약품(D)에 도23의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회전 방향의 힘이 작용하였다고 해도 2열로 설치한 무단 벨트(73)에 의해 약품의 회전에 따라서 한쪽 무단 벨트(73)가 추종하여 이동량을 크게 한다. 이로 인해, 약품(D)의 쓰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는 선반 부재와,
    상기 선반 부재에 수용된 약품을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측으로부터 1개씩 반송하는 약품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선반 부재는 약품이 정렬된 상태에서 수용되는 카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선반 부재를 장치 본체보다 전방의 위치에 돌출한 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선반 부재를 수평 이동시킬 때 및 회전시킬 때에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벽은,
    선반 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가 구름 이동하여 선반 부재를 수평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면과,
    선반 부재를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상기 가이드 롤러가 구름 이동하여 선반 부재를 경사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하는 원호 형상의 제2 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수용한 약품을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면측을 향해 압박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거쳐서 카세트에 수용한 약품에 일정 하중을 부여하는 정하중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불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가이드 벽 또는 선반 부재는 장치 본체로부터 선반 부재를 인출하여 회전시킨 상태에서, 선반 부재를 경사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불출 장치.
KR1020067024108A 2004-05-19 2005-05-18 약품 불출 장치 KR101182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9233 2004-05-19
JP2004149233 2004-05-19
PCT/JP2005/009067 WO2005110333A1 (ja) 2004-05-19 2005-05-18 薬品払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528A KR20070017528A (ko) 2007-02-12
KR101182088B1 true KR101182088B1 (ko) 2012-09-11

Family

ID=3539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108A KR101182088B1 (ko) 2004-05-19 2005-05-18 약품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65950B2 (ko)
JP (1) JP4935353B2 (ko)
KR (1) KR101182088B1 (ko)
CN (1) CN1976671B (ko)
TW (1) TW200602020A (ko)
WO (1) WO20051103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5132A1 (en) * 2012-03-15 2014-09-11 Zhonglin Gong Storage an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arrangement whereby largest sides of boxed products are in contact with one anot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0334A1 (ja) * 2004-05-19 2005-11-24 Yuyama Mfg. Co., Ltd. 薬品払出装置
JP4601386B2 (ja) * 2004-10-15 2010-12-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ート
JP4961791B2 (ja) * 2006-03-27 2012-06-2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ート
JP2008029584A (ja) * 2006-07-28 2008-02-14 Takazono Sangyo Co Ltd 薬剤選択供給装置
EP1926059A3 (de) * 2006-10-25 2009-01-07 Sielaff Gmbh & Co. Kg Automatenbau Warenfach, Verkaufsautomat und Verfahren
JP5013978B2 (ja) * 2007-06-11 2012-08-29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
ITTO20080360A1 (it) * 2008-05-14 2009-11-15 N&W Global Vending Spa Distributore automatico di prodotti
JP5564868B2 (ja) * 2008-09-19 2014-08-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IT1392255B1 (it) * 2008-12-04 2012-02-22 N&W Global Vending S P A Distributore automatico per l'erogazione di prodotti
FR2941603B1 (fr) * 2009-02-04 2015-07-17 Millipore Corp Dispositif pour supporter une pluralite de recipients souples pour liquide.
EP2394625A1 (en) * 2009-02-06 2011-12-14 Yuyama Mfg. Co., Ltd. Label dispensing device
CN102173318B (zh) * 2009-03-01 2014-07-02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箱配发装置
ITTO20090241A1 (it) * 2009-03-30 2010-09-30 N&W Global Vending Spa Distributore automatico di prodotti
JP4821938B2 (ja) * 2009-10-21 2011-11-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GB2478794A (en) 2010-03-19 2011-09-21 Supply Point Systems Ltd Storage system for supplying articles
US9737139B1 (en) * 2010-11-23 2017-08-22 Drawers In Motion, LLC Rack and drawer systems
US9833072B1 (en) * 2010-11-23 2017-12-05 Drawers In Motion, LLC Rack and drawer systems and devices
US10376057B2 (en) 2010-11-23 2019-08-13 Drawers In Motion, LLC Rack and drawer systems
CN102785881B (zh) * 2011-12-26 2014-10-29 王合祥 自动发药装置
US8777541B2 (en) * 2012-02-07 2014-07-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onveyor control apparatus of liquid crystal panel substr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24983B1 (en) * 2012-02-10 2013-04-23 Gary Strauss Motorized upper and lower storage shelves
CN102700884B (zh) * 2012-02-13 2015-02-18 江苏迅捷装具科技有限公司 一种带自动推送功能的抽屉式盒装物品储存配发装置
KR101529772B1 (ko) * 2012-04-18 2015-06-17 (주)제이브이엠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3373572B (zh) * 2012-04-27 2015-09-23 路海英 瓶装针剂自动化药房
CN102700883B (zh) * 2012-06-22 2014-12-17 江苏迅捷装具科技有限公司 一种带蜗卷储能推送小车的储物抽屉
CN102700882B (zh) * 2012-06-22 2014-07-16 江苏迅捷装具科技有限公司 一种带制动装置的蜗卷储能推送小车
CN103158970B (zh) * 2012-08-20 2015-12-16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发药机械手
CN103158979A (zh) * 2012-10-11 2013-06-19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出药机
US9511945B2 (en) 2012-10-12 2016-12-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KR102000296B1 (ko) * 2012-10-17 2019-07-15 (주)제이브이엠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US20140155827A1 (en) 2012-12-03 2014-06-05 Mylan, Inc. Medicam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9643770B2 (en) 2012-12-03 2017-05-09 Mylan Inc. System and method for medicament storage, dispensing, and administration
CN103213797B (zh) * 2012-12-17 2015-12-23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针剂分配机
CN103903339B (zh) * 2012-12-26 2016-12-14 重庆市木越机械制造有限公司 自动售货机
CN103903349A (zh) * 2012-12-29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自动售货机的货盘
CN105188638B (zh) * 2013-04-02 2019-06-14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配药系统
US9047616B2 (en) 2013-05-31 2015-06-02 Automotivemastermind, Llc Method of generating a prioritized listing of customers using a purchase behavior prediction score
WO2016050622A1 (fr) * 2014-09-29 2016-04-07 Beldico Integrated Solutions S.A. Dispositif pour la detection automatique et instantanee de mouvement d'un objet
BE1022124B1 (fr) * 2014-09-29 2016-02-17 Beldico Integrated Solutions S.A. Dispositif pour la detection automatique et instantanee de mouvement d'un objet
CN106516526B (zh) * 2015-05-05 2018-09-14 林镜清 采用机器人的针剂药柜及其工作方法
CN105292898B (zh) * 2015-11-27 2017-05-03 北京工业大学 一种抽屉翻转式药罐存储架
US10559157B2 (en) * 2015-12-04 2020-02-11 Signifi Solutions Inc. Automated vending machine with tray transport system
CN106044181B (zh) * 2016-08-04 2019-01-22 浙江诺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传输装置
US10600274B2 (en) 2017-04-07 2020-03-24 Medsecure Solutions Inc. Device for the automatic and instant detection of movement of an object
US10935316B2 (en) * 2017-11-06 2021-03-02 Sam Allen Locker with equipment rack
US11344119B2 (en) * 2017-11-06 2022-05-31 Sam Allen Ventilated locker with equipment rack
US11723460B1 (en) 2017-12-05 2023-08-15 Aim Design, Llc Ventilated locker with equipment rack
CN111285086B (zh) * 2018-12-10 2023-06-30 上海宝群医疗科技有限公司 药瓶存放柜
CN111284975B (zh) * 2018-12-10 2023-06-30 上海宝群医疗科技有限公司 药瓶推进组件
CN109567487A (zh) * 2019-01-29 2019-04-05 黄仕 货架顶层取放装置
CN110313759A (zh) * 2019-07-11 2019-10-11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一种用于自动化仓储中心的货物储存装置
US11229302B2 (en) * 2019-08-29 2022-01-25 James CIESICK Roller rack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204A (ja) * 1998-09-01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注射薬自動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9349A (en) * 1954-06-24 1958-06-17 Leo Lemchen Knife drawer unit
US3761153A (en) * 1971-06-17 1973-09-25 Gen Electric Dish-washing machine rack adjustment assembly
US4023704A (en) 1974-03-25 1977-05-17 Rowe International Inc. Helical feed merchandising machine
US4134520A (en) * 1977-01-24 1979-01-16 Rod Pierce & Associates Article dispensing machine with spring-driven carriages for advancing articles to be dispensed
US4280745A (en) 1979-11-01 1981-07-28 Rowe International, Inc. Merchandising machine shelf supporting structure
ATA112985A (de) * 1985-04-16 1991-05-15 Grass Alfred Metallwaren Beschlag fuer einen schrank mit frontseitig angeordneter tuer
US4757915A (en) 1986-08-25 1988-07-19 Fawn Engineering Corp. Vending machine shelf assembly
JPH0233646A (ja) 1988-07-25 1990-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JPH0446594Y2 (ko) * 1988-08-25 1992-11-02
US5302015A (en) * 1992-03-12 1994-04-12 Microcomputer Accessories, Inc. Adjustable keyboard drawer
JPH06278820A (ja) * 1993-11-12 1994-10-04 Tokyo Shokai:Kk 注射薬調剤機
JP3542166B2 (ja) * 1994-06-14 2004-07-14 東芝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薬品払出し装置及び薬品払出し方法
US5716113A (en) * 1996-10-15 1998-02-10 Plourde; Donald G. Sliding shelf for beverage dispensing machine
US6039422A (en) * 1997-08-01 2000-03-21 Butters; Rex A. Sliding and tilting shelf drawer
US6082844A (en) * 1997-09-29 2000-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gled drive mounting structure for data storage library
US6199720B1 (en) * 1998-03-20 2001-03-13 The Coca-Cola Company Vending machine
JP2000024085A (ja) 1998-07-14 2000-01-25 Tosho:Kk 調剤用薬剤払出装置
JP2000255717A (ja) * 1999-03-10 2000-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製品の残数管理方法および製品取出装置
JP4436581B2 (ja) * 2001-09-14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注射薬自動払出装置
JP3490417B2 (ja) 2001-11-02 2004-01-26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装置
TWI290898B (en) * 2002-08-05 2007-12-11 Yuyama Mfg Co Ltd Feeding device of drug
CA2638305A1 (en) * 2008-07-25 2010-01-25 Vince Morelli Foldable cabin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204A (ja) * 1998-09-01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注射薬自動払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5132A1 (en) * 2012-03-15 2014-09-11 Zhonglin Gong Storage an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arrangement whereby largest sides of boxed products are in contact with one another
US9889989B2 (en) * 2012-03-15 2018-02-13 Jiangsu Xunjie Science And Technology Limited Company Of Equipment And Tools Storage an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6671A (zh) 2007-06-06
WO2005110333A1 (ja) 2005-11-24
JP4935353B2 (ja) 2012-05-23
TW200602020A (en) 2006-01-16
US8365950B2 (en) 2013-02-05
US20070221680A1 (en) 2007-09-27
CN1976671B (zh) 2011-02-09
KR20070017528A (ko) 2007-02-12
JPWO2005110333A1 (ja)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088B1 (ko) 약품 불출 장치
KR101261062B1 (ko) 약품 불출 장치
JP5119593B2 (ja) 物品払出装置、方法及び薬品払出装置
JP6167907B2 (ja) 薬剤カセット
JP5434420B2 (ja) 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払出方法
JP2007302300A (ja) キャップ供給装置
JP4782170B2 (ja) 錠剤充填装置
JP4964199B2 (ja)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JP2003081429A (ja) 注射薬自動払出装置
JP2003267520A (ja) 収納棚装置
JP2559566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7318891B2 (ja) Ptpカセット及びptp払出装置
JP5359205B2 (ja) 商品収納装置
JPH1018810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H1025514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H08190669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方法と商品払出装置
JP2000082179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