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779B1 - 개봉 용이성 포장체 - Google Patents

개봉 용이성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779B1
KR101162779B1 KR1020050114113A KR20050114113A KR101162779B1 KR 101162779 B1 KR101162779 B1 KR 101162779B1 KR 1020050114113 A KR1020050114113 A KR 1020050114113A KR 20050114113 A KR20050114113 A KR 20050114113A KR 101162779 B1 KR101162779 B1 KR 10116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opening
package
peel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672A (ko
Inventor
사치 스기우라
이쿠야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8Weakened closure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4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08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 위치가 다른 횡형 용기와 종형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포장체(100)는 연질 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110)으로 구성되고, 필름(110)에는 제1 절취선(210)과 제2 절취선(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재(200)에는 분할선(230)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재(200)를 제1 박리 개시부(240b)로부터 박리하면, 분할선(230)까지 박리되어 환형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박리 개시부(240a)로부터 박리하면, 제2 절취선(220)으로부터 포장체의 일단부(132)까지 박리되어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개봉 용이성 포장체{A PACKGAE WITH EASY OP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덮개재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1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덮개재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1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덮개재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1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덮개재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변형예에서 도 13의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변형예에서 도 13의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1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서의 덮개재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다른 변형예에서 도 16의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다른 변형예에서 도 16의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1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1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에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제1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에서 개봉 계기부로부터 배면 접합부를 박리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포장체를 외장 용기 내에 수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포장체를 외장 용기 내에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500, 600, 700, 701, 800: 포장체
110, 505, 605, 705, 805: 필름
131, 506, 606, 706, 806: 가로 밀봉부(타단부)
132, 507, 607, 707, 807: 가로 밀봉부(일단부)
150, 550, 750, 850: 개구 영역
150b, 550b, 650b, 650d, 650f, 750a, 850a: 제1 개구부
150a, 150c, 550a, 650a, 650c, 650e, 750b, 750c, 850b: 제2 개구부
160, 560, 660, 661, 662, 663, 664, 665, 760, 761, 860: 파열 유도 수단
170: 웨트 티슈
171: 웨트 티슈편
200, 200a, 200b, 570, 571, 670, 770, 870: 덮개재
570: 제2 덮개재
210, 510, 620, 621, 623, 624, 625, 626, 710, 810: 제1 절취선
220, 520, 620, 622, 627, 780, 781, 809: 제2 절취선
230: 분할선
240a: 제2 박리 개시부
240b, 240c: 제1 박리 개시부
250: 취약부
300: 외장 용기
310: 본체부
320: 바닥 덮개
330: 제2 개구 영역
340: 덮개
350: 버튼
400: 웨트 티슈 포장체
540, 541, 640, 641, 740, 840: 박리 개시부
720: 정지선
808: 배면 접합부
880: 유도선
본 발명은 개봉 용이성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횡형 용기와 종형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웨트 티슈와 같이 수분을 포함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연질 포장체에 있어서는, 휴대하기 편리하고 추출하기 쉬우며 또한 남은 웨트 티슈를 다시 사용할 때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재밀봉을 할 수 있는 연질 포장체가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연질 포장체로서,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주머니 본체에 자름선을 형성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위로부터 접착제를 통해 박리 가능한 덮개 부재를 마련한 화장용 섬유 소재 등의 봉입 주머니가 기재되어,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그 개구부를 재밀봉할 수 있는 필름 연질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연질 포장체와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강성 용기를 조합하는 것도 검토되어,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1장씩 분리된 웨트 티슈를 겹쳐 포개면서 평면형으로 적층한 것을 수용하는 필름형 연질 포장체와, 이 연질 포장체를 웨트 티슈 평면이 수평이 되도록 가로 배치로 수용하는 강성 용기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강성 용기가 소위 팝업식으로 불리는 것이며, 웨트 티슈편을 인출하여 연속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추출구를 용기 상부면에 구비하는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강성 용기는 용기의 상부면 중심에 웨트 티슈의 추출구가 마련되기 때문에 연질 포장체의 개구부도 중심에 마련된다.
한편,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강성 용기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1장씩 분리된 웨트 시트편을 겹쳐 포개어 적층하고, 이것을 웨트 시트편이 수직이 되도록 직접 수용한 용기로서, 용기의 상부면에 배치된 추출구에 의해 시트를 인출하는 구조의 강성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화 제59-9997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7095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104377호 공보
특허문헌 2와 같이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연질 포장체와 이것을 수용하는 강성의 외장 용기를 조합한 경우, 연질 포장체의 개구부의 위치는 각각의 강성 용기의 개구부에 맞는 연질 포장체를 이용해야 한다. 예컨대 통상의 가로 배치 타입이면, 연질 포장체의 웨트 티슈 평면의 대략 중앙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타원형이나 각형 등의 환형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러나 세로 배치 타입의 경우로서 외장 용기의 개구부가 그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연질 포장체의 개구부도 상기한 대략 중앙부로부터 상측의 포장체 단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웨트 티슈 추출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컨대 사용할 목적이 유사하고 내용물이 완전히 동일한 시트(물약이나 부직포, 치수)였다고 해도, 가로 배치 또는 세로 배치라고 하는 외장 용기의 배치 방법에 따라 소비자는 각각의 형상에 맞는 리필용 연질 포장체의 전용품을 구입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은 종래의 연질 포장체에서는 그 배치 방법이 가로 배치 또는 세로 배치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양 쪽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리필 타입의 웨트 티슈용 연질 포장체는 검토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개구부 위치가 다른 횡형 용기와 종형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를 제공한다.
(1) 필름형 연질 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 표면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하는 제1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개구부 형성 수단과, 상기 포장체의 대략 중앙부 또는 그 주변부로부터 상기 포장체의 일단부에 걸쳐서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연질 포장 재료에 마련된 제1 절취선과, 이 제1 절취선을 덮고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덮개재이며,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연질 포장 재료에 마련된 제2 절취선을 포함하는 수단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체에 따르면, 1개의 포장체에, 표면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하는 제1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개구부 형성 수단과, 상기 포장체의 대략 중앙부 또는 그 주변부로부터 상기 포장체의 일단부에 걸쳐서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을 구비했기 때문에, 제1 개구부 또는 제2 개구부의 형성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개구부의 형성을 선택한 경우에는 연질 포장체 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만 환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횡형 외장 용기에 수용하는 연질 포장체로서 적합하다. 또한, 제2 개구부의 형성을 선택한 경우에는 연질 포장체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포장체의 일단부까지의 큰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종형 외장 용기에 수용하는 연질 포장체로서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종류의 연질 포장체이면서 종형 용기 또는 횡형 용기 양쪽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사용 구분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의 리필용 웨트 티슈 포장체로서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개구부」는 제1 개구부를 완전히 포함하는 영역, 또는 제1 개구부와 중복하는 영역에 형성되더라도 좋고, 제1 개구부와는 전혀 중복되지 않는 다른 영역에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덮개재」는 제1 절취선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고 있더라도 좋고, 제1 절취선 및 제2 절취선 양쪽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적어도 제2 절취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수단이면 좋고, 덮개재나 공지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과 병용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장체의 「표면의 대략 중앙부」란, 포장체를 평면에 얹어 놓은 상태에서의 상면측의 중앙부 부근을 의미하며, 예컨대 필로우형 포장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배면 접착 밀봉부를 갖는 면과 반대측인 면의 중앙부 부근이다. 또한, 포장체의 「대략 중앙부」란, 상기한 표면의 대략 중앙부 또는 이면의 대략 중앙부 중 어느 하나이며, 「그 주변부」란, 대략 중앙부 이외의 영역을 의미 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포장체의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쪽의 단부가 「일단부」이며, 제2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쪽의 단부가 「타단부」이다. 그리고 「단부」란, 포장체의 임의의 주연부로서, 바람직하게는 열융착부(밀봉부)이다. 예컨대 배면 접착 밀봉부와 상하 밀봉부를 갖는 필로우형 포장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하 밀봉부의 한쪽(예컨대 위쪽 밀봉부)이 「포장체의 한쪽 단부」이며, 상하 밀봉부의 다른 쪽(예컨대 아래쪽 밀봉부)이 「포장체의 다른 쪽 단부」이다.
(2)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환형이고,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제1 절취선상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선을 포함하는 제2 절취선과, 상기 제1 및 제2 절취선을 동시에 덮는 상기 덮개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재에는 상기 제1 절취선과 상기 제2 절취선을 분할하는 위치에 분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1장의 덮개재에 분할선을 형성함으로써, 덮개재를 2분할하여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분할선으로부터 제1 절취선을 포함하는 측의 덮개재만 박리한 경우에는 환형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분할선으로부터 제2 절취선을 포함하는 측의 덮개재만 박리한 경우에는 제2 절취선으로부터 포장체의 일단부까지 박리되어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 「환형」이란 전체로서 폐쇄된 선인 것을 의미하고, 선 자체는 연속선이라도 좋고, 재봉선형이라도 좋다. 또한, 그 형상도 원, 타원, 사각 등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절취선상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 는 2개의 선」은 덮개재를 박리한 경우에 환형의 제1 절취선으로부터 연속하여 제2 절취선에 의해 연질 포장 재료가 당겨 벗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방향을 의미하며, 직선이나 곡선이라도 좋고, 파선이나 직사각형 선이라도 좋다.
또한,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을 분할하는 위치」란,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자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절취선 및/또는 제2 절취선을 일부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분할편은 제1 절취선 및/또는 제2 절취선을 일부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지만, 제2 절취선은 적어도 한쪽의 분할편에만 존재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제2 절취선은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대략 コ자형이고, 그 일부를 상기 제1 절취선과 공통으로 하는 (2)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을 일부 공유화함으로써 작은 면적 내에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을 마련할 수 있다.
(4) 상기 덮개재 주연부와 상기 분할선이 교차하는 부근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에는 제2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재 주연부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타단부측에는 제1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2) 또는 (3)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덮개재를 제1 박리 개시부로부터 박리하면, 덮개재 중 제1 절취선을 포함하는 분할선까지가 박리되어 환형의 제1 개구부만이 형성된다. 또 한, 제2 박리 개시부로부터 박리하면, 제2 절취선으로부터 포장체의 일단부까지 박리되어 큰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의 「박리 개시부」란, 개봉을 시작하기 위한 계기가 되는 부분이며, 손으로 용이하게 뜯을 수 있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덮개재의 「박리 개시부」로서는 이면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들 수 있고, 포장체의 「박리 개시부」로서는 포장체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형성되는 노치나 공지의 개봉 용이성 수단(예컨대 밀봉부에 미세한 상흔을 면형으로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5) 상기 덮개재 주연부와 상기 분할선이 교차하는 부근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에는 제2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재 주연부와 상기 분할선이 교차하는 부근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상기 포장체의 타단부측에는 제1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2) 또는 (3)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덮개재를 제1 박리 개시부로부터 박리하면, 덮개재 중 제1 절취선을 포함하는 분할선만이 박리되어 환형의 제1 개구부만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박리 개시부로부터 박리하면, 제2 절취선으로부터 포장체의 일단부까지 박리되어 큰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6)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환형이고,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포장체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선과는 별도의 위치에 마련된 제2 절취선과, 이 제2 절취선만을 덮는 제2 덮개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절취선은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선인 (1)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이 별개로 마련되고 각각의 선에 2개의 덮개재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덮개재를 박리하면 되고, 제2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는 제2 덮개재를 박리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다른 박리 개소를 박리하여 잘못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박리 개시선과, 그것에 대향하는 박리 정지선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이고,
상기 박리 정지선의 양 종점은 상기 박리 개시선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박리 정지선은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2 절취선을 겸하고 있는 (1)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박리 정지선은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에서 공통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재를 포장체의 일단부측으로부터 개봉한 경우에는 박리 개시선으로부터 박리 정지선에 걸쳐서 박리되고, 박리 정지선의 양 종점은 박리 개시선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박리 정지선에 걸린 부분에서 박리가 종료하여 환형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덮개재를 포장체의 타단부측으로부터 개봉한 경우에는 파열선은 박리 개시선에 걸리는 일 없이, 그대로 포장체의 일단부까지 도달하여 큰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의 「외측」이란, 포장체의 한쪽 및 다른 쪽의 단부 방향을 말한다. 「한 쌍의 제1 절취선」의 형상으로서는 포장체의 양단측을 향하여 볼록형을 이루고 있는 V자, コ자, U 자 등을 들 수 있다.
(8)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박리 개시선과, 그것에 대향하는 박리 정지선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이고, 상기 박리 정지선의 양 종점은 상기 박리 개시선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박리 개시선은 그 양 종점이 상기 포장체의 타단부를 향하는 선이고,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박리 개시선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선인 (1)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덮개재를 포장체의 일단부측으로부터 개봉하면, 한 쌍의 제1 절취선에 의해 박리 개시선으로부터 박리 정지선에 걸쳐서 환형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덮개재를 포장체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개봉하면, 제2 절취선으로부터 포장체의 한쪽 단부측에 걸쳐서 큰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9)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박리 개시선과, 그것에 대향하는 박리 정지선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이고, 상기 박리 정지선의 양 종점은 상기 박리 개시선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박리 개시선은 그 양 종점이 상기 포장체의 타단부를 향하는 선이고,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박리 개시선보다 더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며,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선인 (1)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덮개재를 포장체의 일단부측으로부터 개봉하면, 한 쌍의 제1 절취선에 의해 박리 개시선으로부터 박리 정지선에 걸쳐서 환형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덮개재를 포장체의 타단부측으로부터 개봉하면, 제2 절취선으로부터 포장체의 일단부측에 걸쳐서 큰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선」이란, 예컨대 포장체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볼록형을 이루고 있는 V자, コ자, U 자 등의 선을 들 수 있다.
(10) 상기 포장체는 그 이면의 대략 중앙부에 배면 접합부를 갖는 필로우형 포장체이고,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환형이며,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배면 접합부의 대략 중앙부 부근에 마련된 제2 절취선인 (1)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노치 등의 제2 절취선을 배면 접합부에 마련하고, 이것을 개봉 계기로 해서 배면 접합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포장체의 일단부측으로 파열하여 그대로 포장체의 일단부측에 따른 큰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포장체의 앞면을 사용하여 제1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포장체의 뒷면을 사용하여 제2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봉하는 사용자가 실수로 다른 박리 개소를 박리하여 잘못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1) 상기 제2 절취선으로부터 상기 배면 접합부를 사이에 두고 대략 대칭으로 마련되는 선으로서,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유도선이 형성되어 있는 (10)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노치 등의 제2 절취선으로부터 연속하여 유도선을 마련함으로써, 배면 접합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깨끗하게 파열하여 임의의 폭으로 큰 제2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2)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환형이고, 상기 덮개재는 상기 일단부측에 박리 개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일단부에는 비융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비융착부에 형성된 한 쌍의 대략 평행한 절취선인 (1)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제2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는 포장체의 일단부의 비융착부에 형성된 한 쌍의 대략 평행한 절취선 사이를 잡아 당겨 올림으로써, 비융착부측으로부터 표면의 거의 중앙부에 걸쳐서 대략 평행한 영역이 절취되어 포장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속한 제2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13) 상기 한 쌍의 절취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12)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비융착부로부터 대략 평행한 영역이 절취되고, 계속해서 제1 절취선에 따라서 제1 개구부의 영역도 절취되기 때문에, 제2 개구부로서 포장체의 단부로부터 제1 개구부까지 연속한 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 개구부의 폭」이란, 제1 개구부에서 포장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따른 방향의 최대 길이를 말한다.
(14) 상기 한 쌍의 절취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폭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1 절취선상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선을 갖고 있는 (12)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비융착부로부터 대략 평행한 영역이 절취되고, 계속해서 상기한 2개의 선에 의해 파열이 일단 정지하며, 또한 이 2개의 선을 경유하여 제1 절취선에 이르러 결국 제1 개구부의 영역도 절취되기 때문에, 제2 개구부로서 포장체의 단부로부터 제1 개구부까지 연속한 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2개의 선에 의해 한 쌍의 대략 평행한 절취선의 간격을 넓힐 수 있어 더 큰 제2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15) 상기 포장체의 일단부는 개봉 용이성의 히트 시일부인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포장체의 일단부를 개봉 용이성의 히트 시일부로 함으로써 제2 개구부의 형성에 있어서 간단히 끝까지 파열하여 필름편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개봉 용이성의 히트 시일부」란, 종래 공지의 히트 시일 강도를 저하시키는 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예컨대 필름의 실란트층으로서 개봉 용이성(easy opening)을 갖는 필름을 이용하면 좋다.
(16) 상기 포장체는 밀봉 포장체이며, 상기 내용물은 웨트 티슈인 청구항(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따르면, 리필용 웨트 티슈는 통상 필로우형 포장체에 수용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간단히 웨트 티슈를 추출해야 하므로, 또한 특히 큰 개구부가 필요하다. 이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체라면, 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외장 용기가 세로 배치, 가로 배치의 어느 쪽으로도 용이하게 웨트 티슈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밀봉 포장체이기 때문에 웨트 티슈 등의 내용물의 건조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덮개재를 박리했을 때, 제2 절취선에 의해 제2 개구부로부터 포장체의 일단부에 걸쳐서 연속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연질 포장 재료의 파열을 가이드하는 파열 유도 수단이 연질 포장 재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연질 포장 재료에 파열 유도 수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절취선의 종점으로부터 포장체의 한쪽 단부에 걸쳐서 용이하게 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선」의 종점을 포함하는 말단부는 덮개재의 박리 방향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으로서 상기 한쪽 박리 단부측의 각도가 90°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제2 절취선의 종점이 박리 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을 파열하는 방향이 유도된다. 이 때문에, 일정한 방향으로 필름이 찢어져 안정하게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 이 형태에서의 「제2 절취선」은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2개 이상의 직선, 곡선과 직선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지만, 종점을 포함하는 부분은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종점을 포함하는 직선 부분이 「제2 절취선의 종점을 포함하는 말단부」이며, 이러한 말단부는 적어도 종점으로부터 1 mm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이다.
또한, 덮개재로 덮여져 있는 연질 포장 재료의 표면상에는 취약 가공 처리에 의해 형성된 취약부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연질 포장 재료의 표면상에 마련된 취약부에 의해 필름의 강성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덮개재를 박리했을 때에 필름이 덮개재측으로 추종하여 쉽게 접착하기 때문에, 파열 유도 수단에 따라 확실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개구부를 확실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 취약 가공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취약부」란, 예컨대 칼집 가공이나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선이나 재봉선과 같은 선형의 절취선이라도 좋다. 또한, 절취선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표면에 다이아몬드편이 부착된 엠보스 가공 처리 등에 의해 형성되어 개구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필름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한 흠집형 요철이라도 좋다.
또한, 덮개재의 박리 개시부는 그 이외의 덮개재의 부분에 비해 점착 강도가 약하거나 또는 점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따르면, 박리 개시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덮개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1 실시형태]
<개봉 용이성 포장체의 전체 구성>
도 1, 2는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체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개봉 용이성 포장체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덮개재(200)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포장체(100)는 연질 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110)으로 구성된 필로우형 포장체이다. 포장체(100)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필름(110)의 상면측에는 덮개재(200)가 점착되어 있다. 포장체(100)의 타단부(131), 일단부(132)는 각각 상하의 가로 밀봉부이며, 배면측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배면 접합부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재(200)가 덮는 부분의 필름(110)에는 일단부(132)를 향하는 コ자형의 제2 절취선(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 절취선(220)상의 2점으로부터 환형으로 제1 절취선(2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절취선(220)과 제1 절취선(210)이 일부 공통하고 있으며, 결과로서 제1 절취선(210)은 환형을 이루고 있다. 이 환형의 절취선(210)에 의해 개구 영역(150)이 형성된다. 또, 「개구 영역」이란, 필름이 박리되기 전의 영역을 의미하고, 「개구부」란, 실제로 필름이 제거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덮개재(200)는 분할선(230)에 의해 200a, 200b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각각 제2 박리 개시부(240a), 제1 박리 개시부(240b)를 가지며 필름(110)에 점착되어 있다. 박리 개시부는 덮개재(200)를 쉽게 박리할 수 있도록 그 이외의 부분에 비해 점착 강도가 낮게 되어 있거나 또는 점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점착」이란, 재박리 및 재밀봉이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필름(110)의 상면에서의 제2 절취선(220)의 양 종점의 연장상에는 그곳으로부터 가로 밀봉부(132)(포장체의 일단부)에 걸쳐서 계속되는 2개의 평행한 파열 유도 수단(160)이 마련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파열 유도 수단(160)은 가상선으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실제로는 필름(110)을 구성하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이 가상선의 방향에 일치하고 있어 이 연신 필름의 배향이 파열 유도 수단(160)으로 되어 있 다.
<필름>
필름(110)은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지만, 가열에 의해 필름이 융착하여 주머니형의 형상을 얻을 수 있고 내부의 웨트 티슈의 건조를 막기 위한 방습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재질은 단체로 접착성과 기밀성을 갖고 있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고, 각각 별도의 특성을 갖는 필름을 여러 종류로 부착시킨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일축 연신 PET 필름과 같이 한 방향성의 파열성을 향상시킨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 이용하면, 슬릿으로부터 필름을 찢으면서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직선적이고 안정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절취선과 개구 영역>
제1 절취선(210)은 환형의 개구 영역(150)이 생기도록 마련되면 좋다. 도 2에서는 반타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사각이나 구 형상이라도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구가 되는 개구 영역(150)의 크기도 포장체(100)의 크기나, 추출하는 내용물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제1 절취선(210)은 처음부터 개구 영역(150)을 형성한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필름(110)이 개구 영역(150)을 덮고 있는 상태라도 좋고, 개구 영역(150)을 덮는 필름(110)이 미리 제거되어 있더라도 좋다. 개구 영역(150)을 필름(110)이 덮고 있는 경우에는 필름(110)을 펀칭하여 완전히 개구한 상태라도 좋고, 라벨을 당겨 벗길 때에 자연스럽게 끊어지는 정도, 소위 재봉선 정도로 일부 혹은 복수부가 포장 체의 필름(1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도 좋다. 또한, 하프 컷트로 불리는 것과 같은, 필름의 두께 방향을 향해서 완전히 펀칭하는 것이 아닌 필름의 최하층까지 절단하지 않는 상태라도 좋다. 이 경우, 덮개재(200b)를 박리했을 때에, 개구 영역을 쉽게 형성하도록 필름(110)에 절취선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떻게 하든지 덮개재(200)를 박리했을 때에 횡형 용기의 개구부에 대응한 포장체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태라면 좋다.
<제2 절취선>
제2 절취선(220)은 제2 절취선(220)으로부터 가로 밀봉부(132)에 걸쳐서 연속하여 개구 영역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면 좋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로 밀봉부(132)에 걸쳐서 연속하여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2 절취선(220)의 종점을 포함하는 말단부와 박리 방향에 평행한 선이 이루는 각의 가로 밀봉부(132)측의 각도가 9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재의 박리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후, 박리 방향에 평행으로 가로 밀봉부(132)를 향하고 있으며 말단부는 L 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2 절취선(220)의 포장체의 일단부측에 V자형의 취약부(250)가 마련되더라도 좋다. 이 취약부(250)에 의해 필름(110)의 강성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110)이 쉽게 절곡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절취선(220)으로부터의 컷업이 용이해져 덮개재(200)로의 점착을 확실하게 한다. 취약부(250)는 필름(110)이 쉽게 절곡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 형상, 길이, 갯수는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취약부(250)는 지그재그형, 파형, R형이라도 좋고, 또한 다른 형상의 것이 조합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1개만으로도 좋고, 연속선이 아닌 재봉선이라도 좋다.
또한, 자름선은 필름(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소위 하프 컷트의 상태라도 좋지만, 필름의 강성을 저하시키고 보다 쉽게 절곡하도록 하는 관점에서는 필름(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프 컷트는 예컨대 레이저 광의 조사나, 기계적인 칼집 가공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의 제2 절취선(220)은 제1 절취선(210)과 일부를 공통으로 하고, 그 말단은 제1 절취선(210)상의 2점으로부터 포장체의 일단부를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2 절취선은 가로 밀봉부(132)에 걸쳐서 연속하여 개구 영역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면 좋고, 그 형상은 コ자형 또는 ハ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 밀봉부(132)에 걸쳐서 연속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2 절취선(220)의 종점을 포함하는 말단부와 박리 방향에 평행한 선이 이루는 각의 가로 밀봉부(132)측의 각도가 9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절취선(220)은 필름을 찢는 방향성을 가능한 안정시키기 위해서 완전히 필름을 펀칭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봉선의 경우에는 필름(110)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절단할 때에 파단 방향이 흐트러져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 하프 컷트의 경우는 끊어져 있지 않은 최하층의 필름의 일부가 남아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파단 방향이 흐트러져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찢어지거나, 탈적층화(delamination)라고 불리는 상층의 필름과 하층의 필름이 파단부에서 박리 하기 시작하여 개구부가 안정하게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파열 유도 수단>
이 실시형태에서는 파열 유도 수단(160)은 가상선으로서 기재되고, 실제로는 필름(110)을 구성하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이 가상선의 방향에 일치하고 있어 이 연신 필름의 배향이 파열 유도 수단(160)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필름(110)의 기재층을 연신 필름으로 하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배향성이 높은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소위 파열 용이성(직선 컷트성)의 일축 연신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연신 필름은 종래 공지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파열 유도 수단(160)은 상기한 연신 배향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자름선을 필름(110)상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자름선은 필름(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소위 하프 컷트의 상태라도 좋지만, 포장체 전체의 밀봉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프 컷트의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프 컷트는 예컨대 레이저 광의 조사나 기계적인 칼집 가공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예컨대 기재층에만 형성할 수 있다.
<덮개재>
덮개재(200)는 박리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분할선(230)에 의해 덮개재(200a, 200b)로 분할하여 박리할 수 있다. 덮개재(200)로서는 유연성을 갖는 가요성 필름형이나 시트형의 것으로 형성되고, 점착층을 형성하는 감압형 접착제는 예컨대 아크릴계 풀제, 가소제를 포함한 폴리염화비닐 조성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염화비닐모노머가 그래프트 중합된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그래프트머를 주체로 한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덮개재(200)의 형상은 도 2에서는 타원형의 형상이지만 그 형상에 제약되지는 않는다. 사각 형상이나 원 형상이라도 좋으며, 제1 절취선(210), 제2 절취선(220) 등을 확실하게 덮을 수 있으면 좋다.
분할선(230)은 덮개재(200)를 2분할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할선(230)의 위치는 각각의 분할편의 덮개재(200a)가 제2 절취선(220)의 전부 및 제1 절취선(210)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고, 덮개재(200b)가 제1 절취선(210)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제2 절취선(220)을 포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분할선(230)의 형상은 직선에 한정되지 않는다. 덮개재(200a)로 제2 절취선(220)을, 덮개재(200b)로 개구 영역(150) 중 웨트 티슈를 추출할 수 있는 영역을 확실하게 덮을 수 있으면 좋다. 분할선(230)은 덮개재(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소위 하프 컷트의 상태라도 좋다. 또한, 덮개재(200)를 당겨 벗길 때에 자연스럽게 끊어지는 정도, 소위 재봉선 정도로 일부 혹은 복수부가 덮개재(20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도 좋다.
덮개재(200a)의 주연부와 분할선(230)의 교차부 부근의 포장체의 타단부측에 제2 박리 개시부(240a)가, 덮개재(200b)의 주연부에서 타단부측에 제1 박리 개시부(240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덮개재(200)의 제1 박리 개시부(240b), 제2 박리 개시부(240a)는 그 이외의 부분에 비해 점착 강도가 약하거나 또는 점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이 포장체(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서 덮개재(200a)를 제2 박리 개시부(240a)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덮개재(200b)를 제1 박리 개시부(240b)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덮개재(200)의 제1 박리 개시부(240b)로부터 덮개재(200b)를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150b)가 나타난다. 이 제1 개구부(150b)는 외장 용기가 횡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100)에서 덮개재(200a)의 제2 박리 개시부(240a)로부터 덮개재(200a)를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덮개재(200a)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제2 절취선(220) 및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160)에 따라서 필름(110)이 찢어지기 시작하고 가로 밀봉부(132)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150a, 150c)가 일체로서 형성된다. 이 일체의 제2 개구부는 외장 용기가 종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외장 용기와의 조합예>
도 28, 29에는 도 3과 같은 포장체(100)를 종형의 외장 용기(300)와 조합한 웨트 티슈용 포장체(4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웨트 티슈용 포장체(400)는 강성의 외장 용기(300)와, 이 외장 용기(300)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웨트 티슈편을 수용한 상기한 포장체(10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체(100)는 복수의 웨트 티슈편이 바로 선 상태, 즉, 소위 세로 배치의 상태에서 외장 용기(300)의 바닥부로부터 삽입 배치된 후 바닥 덮개(320)에 의해 밀봉된다. 이처럼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150a 및 150c)를 일체로 해서 형성한 포장체(100)는 종형의 외장 용기에 이용되는 리필용 웨트 티슈 포장체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외장 용기(300)는 포장체(100)를 수용하는 본체부(310)와, 본체부(310)의 바닥부에 기밀성을 갖도록 끼워 맞출 수 있는 바닥 덮개(320)로 주로 구성되고, 본체부(310)는 중공의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체부(310)의 정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서는 웨트 티슈편을 추출하기 위한 제2 개구 영역(3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개구 영역(330)에는 제2 개구 영역(330)을 기밀 상태로 덮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덮개(340)가 마련되며, 이 덮개(340)는 힌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개구 영역(330)은 외장 용기(300)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웨트 티슈를 상측으로 추출하기 때문에,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와 웨트 티슈편이 서로 문질러져 마찰이 생긴다. 따라서 특별한 갈고리나 슬릿을 형성하지 않고 웨트 티슈편 사이의 분리를 확실하게 행하여 한 장씩 웨트 티슈를 추출할 수 있다.
<덮개재의 다른 예>
덮개재의 다른 예로서는 도 5와 같은 형상을 예시할 수 있다. 도 5의 덮개재에서는 제1 박리 개시부(240c)가 덮개재(200c)의 주연부와 분할선(230)의 교차부 부근의 포장체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해도, 제2 박리 개시부(240a)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형 용기에 알맞은 제2 개구부(150a, 150c)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박리 개시부(240c)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제1 개구부(150b)가 형성되어 횡형 용기에 알맞은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
<전체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500)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포장체(500)는 환형의 제1 절취선(510), 별도의 위치에 마련된 제2 절취선(520) 각각의 절취선에 대하여 덮개재(571), 제2 덮개재(570)가 각각 마련되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르다.
<제1 절취선과 개구 영역>
제1 절취선(510)은 환형의 개구 영역(550)이 생기도록 마련되면 좋다. 도 6에서는 타원형의 제1 절취선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사각이나 구 형상이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구가 되는 개구 영역(550)의 크기도 포장체(500)의 크기나, 추출하는 내용물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제2 절취선>
제2 절취선(520)은 포장체(500) 상면측의 포장체 일단부(507) 부근에 제1 절취선(510)과는 별도의 위치에 포장체(500)의 일단부(507)를 향하여 마련된다. 제2 절취선(520)은 가로 밀봉부(507)에 걸쳐서 연속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면 좋고, 도 6과 같은 コ자형이 바람직하다. 개구부를 가로 밀봉부(507)에 걸쳐서 연속하여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2 절취선(520)의 종점을 포함하는 말단부와 박리 방향에 평행한 선이 이루는 각의 가로 밀봉부(507)측의 각도가 9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재>
제2 덮개재(570)는 제2 절취선(520)을, 덮개재(571)는 제1 절취선(510)을 각각 확실하게 덮을 수 있으면 좋고, 그 형상에는 제약받지 않는다. 제2 절취선(520)을 덮는 제2 덮개재(570)는 가로 밀봉부(507)측의 반대측에 박리 개시부(540)가 마련된다. 한편, 제1 절취선(510)을 덮는 덮개재(571)는 덮개재(571) 주위의 일부에 박리 개시부(541)가 마련되면 좋다.
<작용>
도 7은 도 6에서 제2 덮개재(570)를 박리 개시부(540)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덮개재(571)를 박리 개시부(541)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재(570)의 박리 개시부(540)로부터 제2 덮개재(570)를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제2 덮개재(5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제2 절취선(520),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560)에 따라서 필름(505)이 찢어지기 시작하고 가로 밀봉부(507)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550a)가 형성된다. 이 제2 개구부(550a)는 외장 용기가 종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덮개재(571)의 박리 개시부(541)로부터 덮개재(571)를 박리한다. 그렇 게 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550b)가 나타난다. 이 제1 개구부는 외장 용기가 횡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전체 구성>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600)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의 덮개재(670)의 확대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포장체(600)는 한 쌍의 제1 절취선[621(박리 개시선), 620(박리 정지선)]이 포장체(600)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절취선(621, 620)을 덮도록 덮개재(670)가 마련된다. 도면 중 도면부호(640, 641)는 덮개재(670)의 박리 개시부이다.
제1 절취선(621, 620)이란, 각각 V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의 V자의 개방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절취선(620)의 양 종점은 제1 절취선(621)의 양 종점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 절취선(620) 쪽이 제1 절취선(621)보다 큰 V자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절취선(박리 정지선)(620)은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제2 절취선을 겸하고 있다.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
제1 절취선(621)(박리 개시선)은 양 종점이 포장체의 타단부를 향하여 마련되면 좋고, 형상은 コ자형 또는 V자형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절취선(620)(박리 정지선)의 양 종점의 단부는 포장체의 일단부를 향하여 마련되면 좋고, 형상은 コ자형 또는 V자형이 바람직하다.
<작용>
도 11은 도 9에서 덮개재(670)를 박리 개시부(640)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9에서 덮개재(670)를 박리 개시부(641)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재(670)의 박리 개시부(640)로부터 덮개재(670)를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덮개재(6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제2 절취선(620),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660)에 따라서 필름(605)이 찢어지기 시작하고 가로 밀봉부(607)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650a)가 형성된다. 이 제2 개구부(650a)는 외장 용기가 종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덮개재(670)의 박리 개시부(641)로부터 덮개재(670)를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덮개재(6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제1 절취선(621)(박리 개시선)으로부터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661)에 따라서 필름(605)이 찢어지기 시작하고 제1 절취선(620)(박리 정지선)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650b)가 형성된다. 이 제1 개구부(650b)는 외장 용기가 횡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변형예>
도 13 내지 도 18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13에서는 한 쌍의 제1 절취선[624(박리 개시선), 623(박리 정지선)]이 포장체(600)에 마련된다. 제1 절취선(624)(박리 개시선)은 포장체의 타단부인 가로 밀봉부[도 14에서의 가로 밀봉(606)]를 향하는 コ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절취선(623)(박리 정지선)은 직선으로, 제1 절취선(623)의 양 종점은 제1 절취선(624)의 양 종점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절취선(624)의 コ자의 저변(도 13의 624의 위치)은 제2 절취선과 공통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절취선(622)은 박리 개시부(641)측을 향하는 コ자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절취선(624, 623), 제2 절취선(622)을 덮도록 덮개재(670)가 마련된다. 도면 중 도면부호(640, 641)는 덮개재(670)의 박리 개시부이다.
도 14는 도 13에서의 절취선을 갖는 포장체의 덮개재(670)를 박리 개시부(640)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재(670)의 박리 개시부(640)로부터 덮개재(670)를 박리하면, 제1 절취선(623)(박리 정지선) 및 가상선(663)을 통과한다. 그리고 덮개재(6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제2 절취선(622)으로부터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662)에 따라서 필름(605)이 찢어지기 시작하고 가로 밀봉부(607)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650c)가 형성된다. 이 제2 개구부(650c)는 외장 용기가 종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에서의 절취선을 갖는 포장체의 덮개재(670)를 박리 개시부(641)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재(670)의 박리 개시부(641)로부터 덮개재(670)를 박리하면, 덮개재(6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제1 절취선(624)(박리 개시선)으로부터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663)에 따라서 필름(605)이 찢어지기 시작하고 제1 절취선(623)(박리 정지선)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650d)가 형성된다. 이 제1 개구부 (650d)는 외장 용기가 횡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6은 제3 실시형태의 제2 절취선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제1 절취선(625, 626)과 제2 절취선(627)이 분리되어 있다. 즉, 박리 개시선이 되는 제1 절취선(625)과 제2 절취선(627)이 공유되어 있지 않은 점만이 상기한 도 13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7은 도 16에서의 제2 절취선을 갖는 포장체의 덮개재(670)를 박리 개시부(640)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재(670)의 박리 개시부(640)로부터 덮개재(670)를 박리하면, 덮개재(6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제2 절취선(626),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664)에 따라서 필름(605)이 찢어지기 시작하고 가로 밀봉부(607)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650e)가 형성된다. 이 제2 개구부(650e)는 외장 용기가 종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에서의 제2 절취선을 갖는 포장체의 덮개재(670)를 박리 개시부(641)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재(670)의 박리 개시부(641)로부터 덮개재(670)를 박리하면, 덮개재(6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제1 절취선(625),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665)에 따라서 필름(605)이 찢어지기 시작하고 제1 절취선(626)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650f)가 형성된다. 이 제1 개구부(650f)는 외장 용기가 횡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전체 구성>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700)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포장체(700)의 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환형의 제1 절취선(7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절취선(710)을 덮도록 덮개재(770)가 마련된다. 도면 중 도면부호(740)는 덮개재(770)의 박리 개시부이다.
포장체(700)의 일단부인 가로 밀봉부(707)에는 비융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비융착부에는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으로서 한 쌍의 대략 평행한 제2 절취선(780)이 형성되어 있다.
<작용>
도 20은 도 19에서 제2 절취선(780)으로부터 필름(705)을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 덮개재(770)를 박리 개시부(740)로부터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가로 밀봉부(707)의 제2 절취선(780) 사이의 비융착 상태의 2장의 필름 중 표면측(도 19의 상면측) 필름을 뜯고 이곳을 개봉 계기로서 덮개재(770) 측으로 필름(705)을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760)에 따라서 필름(705)이 찢어져 덮개재(770)가 박리된다. 또한, 덮개재(770) 이면의 점착재에 의해 필름(705)의 개구 영역(750)이 제1 절취선(710)에 따라서 분리되어 들어 올려진다. 이에 따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750a), 제2 개구부(750b)가 형성된다. 이 제1 개구부(750a), 제2 개구부(750b)는 외장 용기가 종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덮개재(770)의 박리 개시부(740)로부터 덮개재(770)를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덮개재(7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필름(705)의 개구 영역(750)이 제1 절취선(710)에 따라서 분리되어 들어 올려진다. 이에 따라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750a)가 형성된다. 이 제1 개구부(750a)는 외장 용기가 횡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변형예>
도 22는 제4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포장체(701)는 제1 절취선(710)상의 2점을 기점으로 해서 제2 절취선(781)으로부터 박리된 필름(705)을 정지하는 정지선(7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정지선(720)을 마련함으로써 제2 개구부(750b)의 폭을 제1 개구부(750a)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절취선(781)으로부터 필름(705)을 박리하면,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761)에 따라서 필름(705)이 찢어진다. 필름(705)은 정지선(720)으로 파열선이 옮겨져 정지선(720), 제1 절취선(710)에 따라서 필름(705)이 찢어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750a) 및 제2 개구부(750c)가 형성된다.
[제5 실시형태]
<전체 구성>
도 24,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체(8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4는 포장체(800)의 표면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5는 포장체(800)의 이면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포장체(800) 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환형의 제1 절취선(810)이 형성되며, 제1 절취선(810)을 덮도록 덮개재(870)가 마련된다. 도면 중 도면부호(840)는 덮개재(870)의 박리 개시부이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포장체(800)의 이면측에는 배면 접합부(808)가 있으며, 그 대략 중앙부에는 제2 절취선(80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개구부를 쉽게 형성하기 위해서 제2 절취선(809)을 기점으로 해서 필름(805)에 걸쳐서 유도선(880)이 포장체의 일단부를 향하여 コ자형으로 마련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유도선(880)은 웨트 티슈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프 컷트로 불리는 것과 같이, 필름의 두께 방향을 향해서 완전히 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필름의 최하층까지 절단하지 않는 상태가 바람직하다.
<작용>
도 26은 도 24에서의 포장체(800)의 표면측 덮개재(870)를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에서의 포장체(800) 이면의 제2 절취선(809)으로부터 필름(805)을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재(870)의 박리 개시부(840)로부터 덮개재(870)를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덮개재(870)의 이면측 점착재에 의해 필름(805)의 개구 영역(850)이 제1 절취선(810)에 따라서 분리되어 들어 올려진다. 이에 따라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 영역(850a)이 형성된다. 이 제1 개구부(850a)는 외장 용기가 횡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800)의 배면 접합부(808)에 형성되는 제2 절취선(809)으로부터 필름(805)을 가로 밀봉부(807)를 향하여 찢으면, 제2 절취선(809)으로부터 유도선(880)에 따라서 배면 접합부(808)가 절취된다. 그리고 가상선인 파열 유도 수단(860)에 따라서 필름(805)이 찢어지고 그대로 가로 밀봉부(807)까지 찢어져 개구부를 형성하여,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850b)가 형성된다. 이 제2 개구부(850b)는 외장 용기가 종형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구부 위치가 다른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의 포장체, 예컨대 리필용 웨트 티슈의 포장체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재가 박리하는 부분에 따라, 혹은 포장체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선으로부터 연질 포장 재료를 당겨 벗김으로써 다른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장 용기의 개구부의 형상 및 위치가 다른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필름형의 연질 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의 표면의 중앙부에 개구하는 제1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개구부 형성 수단과,
    상기 포장체의 중앙부 또는 그 주변부로부터 상기 포장체의 일단부에 걸쳐서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연질 포장 재료에 마련된 제1 절취선과, 이 제1 절취선을 덮고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덮개재이며,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연질 포장 재료에 마련된 제2 절취선을 포함하는 수단인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환형이고,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제1 절취선상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선을 포함하는 제2 절취선과, 상기 제1 및 제2 절취선을 동시에 덮는 상기 덮개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재에는 상기 제1 절취선과 상기 제2 절취선을 분할하는 위치에 분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취선은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コ자형이고, 그 일부를 상기 제1 절취선과 공통으로 하는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 주연부와 상기 분할선이 교차하는 부근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에는 제2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재 주연부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타단부측에는 제1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 주연부와 상기 분할선이 교차하는 부근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에는 제2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재 주연부와 상기 분할선이 교차하는 부근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상기 포장체의 타단부측에는 제1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환형이고,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포장체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선과는 별도의 위치에 마련된 제2 절취선과, 이 제2 절취선만을 덮는 제2 덮개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절취선은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선인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박리 개시선과, 그것에 대향하는 박리 정지선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이고,
    상기 박리 정지선의 양 종점은 상기 박리 개시선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박리 정지선은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2 절취선을 겸하고 있는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박리 개시선과, 그것에 대향하는 박리 정지선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이고,
    상기 박리 정지선의 양 종점은 상기 박리 개시선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박리 개시선은 그 양 종점이 상기 포장체의 타단부를 향하는 선이고,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박리 개시선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선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박리 개시선과, 그것에 대향하는 박리 정지선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이고,
    상기 박리 정지선의 양 종점은 상기 박리 개시선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박리 개시선은 그 양 종점이 상기 포장체의 타단부를 향하는 선이고,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박리 개시선보다 더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며,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선인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그 이면의 중앙부에 배면 접합부를 갖는 필로우형 포장체이고,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환형이며,
    상기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은 상기 배면 접합부의 중앙부 부근에 마련된 제2 절취선인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취선으로부터 상기 배면 접합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마련되는 선으로서, 그 양 종점이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유도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1 절취선은 환형이고,
    상기 덮개재는 상기 일단부측에 박리 개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일단부에는 비융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개구부 형성 수단의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비융착부에 형성된 한 쌍의 평행한 절취선인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취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취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폭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1 절취선상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선을 갖고 있는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상기 일단부는 개봉 용이성의 히트 시일(heat seal)부인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밀봉 포장체이며, 상기 내용물은 웨트 티슈인 것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KR1020050114113A 2004-12-03 2005-11-28 개봉 용이성 포장체 KR101162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1000A JP4671675B2 (ja) 2004-12-03 2004-12-03 易開封性包装体
JPJP-P-2004-00351000 2004-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672A KR20060063672A (ko) 2006-06-12
KR101162779B1 true KR101162779B1 (ko) 2012-07-04

Family

ID=3666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113A KR101162779B1 (ko) 2004-12-03 2005-11-28 개봉 용이성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71675B2 (ko)
KR (1) KR101162779B1 (ko)
CN (1) CN100526171C (ko)
TW (1) TW2006215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342B2 (en) 2003-04-16 2015-10-06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esealable tray container
JP2007091294A (ja) * 2005-09-29 2007-04-12 Taiki:Kk 詰め替え用嵩高ピロー包装袋
US8308363B2 (en) 2006-05-23 2012-11-13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integrity indicator for container closure
US8114451B2 (en) 2006-12-27 2012-02-14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Resealable closure with package integrity feature
US8408792B2 (en) 2007-03-30 2013-04-02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integrity indicating closure
US8231024B2 (en) 2007-08-08 2012-07-31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US20100018974A1 (en) 2008-07-24 2010-01-28 Deborah Lyzenga Package integrity indicating closure
GB0819200D0 (en) 2008-10-20 2008-11-26 Cadbury Holdings Ltd Packaging
JP5469921B2 (ja) * 2009-05-29 2014-04-16 オカモト株式会社 除湿器
WO2011032064A1 (en) 2009-09-11 2011-03-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sealable laminate for heat sealed packaging
US10710773B2 (en) 2009-09-11 2020-07-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sealable laminate for heat sealed packaging
EP2347971B1 (en) 2010-01-26 2012-08-22 Generale Biscuit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2368811B1 (en) 2010-03-23 2012-08-22 Generale Biscuit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2571782B1 (en) * 2010-05-18 2015-09-09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Easy open flexible film packaging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656783B2 (en) 2010-05-18 2017-05-23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CA2799884A1 (en) 2010-05-18 2011-11-24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JP5635355B2 (ja) * 2010-09-30 2014-1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構造
EP2942290B1 (en) 2011-03-17 2016-09-1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eclosable flexible film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AU2012262847A1 (en) * 2011-05-18 2013-11-21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CN102874469A (zh) * 2012-08-24 2013-01-16 铜陵洁雅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重封的半移式硬标包装
CA3129565C (en) 2012-10-26 2024-03-12 Primapak, Llc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207850B2 (en) 2012-10-26 2019-02-19 Primapak, Llc.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6255830B2 (ja) * 2013-09-18 2018-01-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袋及び内容物を収納した包装体
JP6255831B2 (ja) * 2013-09-18 2018-01-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袋及び内容物を収納した包装体
GB201421700D0 (en) * 2014-12-05 2015-01-2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Wrapper for tobacco industry products
KR102336221B1 (ko) 2015-01-28 2021-12-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봉 용이성 패키지
JP6478839B2 (ja) * 2015-06-30 2019-03-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構造体
KR102013916B1 (ko) * 2017-05-08 2019-10-21 주식회사 면사랑 국수 포장지 및 그의 제조 방법
JP7346893B2 (ja) * 2019-04-23 2023-09-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袋及び包装袋の使用方法
JP7336920B2 (ja) * 2019-08-30 2023-09-0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衛生薄葉紙包装体
JP7409908B2 (ja) 2020-02-28 2024-01-09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包装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37A (ja) 1996-07-02 1998-01-20 Uni Charm Corp 包装体の開封機構
JP2001114357A (ja) 1999-10-08 2001-04-24 Fuji Seal Inc 包装体
JP2002104550A (ja) 2000-09-26 2002-04-10 Toa Kiko Kk ウェットシートの収容袋
JP2003026224A (ja) 2001-07-10 2003-01-29 Unitika Ltd 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780U (ko) * 1986-11-18 1988-05-31
CN2202107Y (zh) * 1994-08-08 1995-06-28 康那香企业股份有限公司 湿巾包装袋
JP3108640B2 (ja) * 1996-11-15 2000-11-13 東亜機工株式会社 ウェットシートの収納袋
JP3195305B2 (ja) * 1998-12-10 2001-08-06 憲司 中村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04740B2 (ja) * 1999-03-30 2006-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37A (ja) 1996-07-02 1998-01-20 Uni Charm Corp 包装体の開封機構
JP2001114357A (ja) 1999-10-08 2001-04-24 Fuji Seal Inc 包装体
JP2002104550A (ja) 2000-09-26 2002-04-10 Toa Kiko Kk ウェットシートの収容袋
JP2003026224A (ja) 2001-07-10 2003-01-29 Unitika Ltd 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71675B2 (ja) 2011-04-20
CN100526171C (zh) 2009-08-12
TW200621586A (en) 2006-07-01
CN1781819A (zh) 2006-06-07
JP2006160295A (ja) 2006-06-22
KR20060063672A (ko) 2006-06-12
TWI293933B (ko) 200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779B1 (ko) 개봉 용이성 포장체
JP4456943B2 (ja) 易開封性包装体
US6698928B2 (en) Flexible packages having reusable pull-tab openers
US7703602B2 (en) Easy-open encasement
JP3676808B2 (ja) 可撓性容器の開封装置及び当該装置を具備する容器並びにその接合方法
KR101157257B1 (ko) 개봉 용이성 포장체
JP6421517B2 (ja) 包装体
JP4197061B2 (ja) 包装袋
JP2021054511A (ja) 容器包装体
JP6591796B2 (ja) 包装袋
JPH1120874A (ja) 包装体の開封構造
JP5442879B1 (ja) 易開封性圧着封筒
JPH11505793A (ja) 易開封封筒
JP5787277B2 (ja) 開封機能付包装用袋
JP2004315064A (ja) 包装用袋
JPH0661757U (ja) サンドイッチ等用の包装袋
JP2021116067A (ja) 包装用袋
JPH0661779U (ja) サンドイッチ用包装体
JP2021066483A (ja) 包装袋
JPH0984536A (ja) 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お握り
JP2004136979A (ja) 粘着テープを用いた密封袋
JPH08217098A (ja) 開封禁止機能を有する袋
JPH0561043U (ja) 包装袋
JP2016064864A (ja) 包装体
JPH04128266U (ja) ブリスターパ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