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277B1 - 식품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277B1
KR101160277B1 KR1020097022934A KR20097022934A KR101160277B1 KR 101160277 B1 KR101160277 B1 KR 101160277B1 KR 1020097022934 A KR1020097022934 A KR 1020097022934A KR 20097022934 A KR20097022934 A KR 20097022934A KR 101160277 B1 KR101160277 B1 KR 10116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device
cam
rotating shaft
support memb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869A (ko
Inventor
츠지 시노부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3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21C11/103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utting elements slidably or rotably mounted in a diaphragm-lik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63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65Processes for making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앙기 등의 식품성형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식품재의 절단장치로서의 포피절단장치의 개폐운동과, 포피절단장치와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1개의 구동 모터로 구동제어하도록 한 기구를 구비하는 것과 동시에, 이 구동 모터의 제어 시스템을 간소하게 한 것에 의해 대폭적으로 비용 저감을 실현시킨 포앙기 등의 식품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노즐로부터 토출된 막대 형태의 식품재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절단된 식품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 식품성형장치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지지부재를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와,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절단장치의 복수의 셔터 부재를 개폐하는 절단장치 개폐기구와,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절단장치 개폐기구와 절단장치를 상하 구동시키는 절단장치 상하구동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성형 장치{APPARATUS FOR SHAPING FOOD}
본 발명은, 막대 모양의 식품재를 절단하는 절단장치로서 절단 개폐 가능한 포피절단장치를 상하작동 가능하게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포피절단장치에 의해서 절단되는 식품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상하 작동 가능하게 구비한 포앙기 등의 식품 성형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운동, 상기 포피절단장치의 상하 작동 운동,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 운동을 간소한 기구에 의해 실현시킨 식품 성형 장치에 관련된다.
종래 식품 성형 장치로서의 포앙기(包陷機)에는, 예를 들면 특개2002-45109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포앙기는,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는 「팥소」등의 내포재(內包材)를 공급하는 내포재 공급부와 「빵 생지(生地)」 등의 외피재(外皮材)를 공급하는 외피재 공급부를 구비하고, 더욱이 이러한 각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내포재를 외피재로 덮어 막대 모양의 식품재를 아래 방향으로 도출하는 중합(重合)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합 노즐의 하부에는, 중합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막대 모양의 식품재를 포피(包被) 절단하기 위한 복수의 셔터(shutter) 부재로 구성되는 셔터 조립체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한 포피절단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이 포피절단장치의 하부에는, 포피절단장치에 의해서 포피절단된 포피 식품을 받음과 동시에 이 포피 식품을 다음 공정에 반송하기 위한 지지부재(예를 들면,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있다.
이 포앙기에 대해서는, 포피절단장치 및 지지부재의 포피절단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운동에 동기하여 상하 작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포피절단장치의 개폐는 제1 모터에 의해 구동 제어되며, 포피절단장치 및 지지부재의 포피절단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하 작동은 제2 모터에 의해서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45109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앙기는,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운동과 포피절단장치 및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은 다른 모터에 의해서 구동 제어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2 개의 모터를 개별적으로 동기시키면서 구동 제어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에 있어서의 상사점, 하사점을 조정하는 기구가 많은 링크 부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서 식품재 절단장치로서의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운동과 포피절단장치와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1 개의 구동 모터로 구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기구를 갖춤과 동시에, 이 구동 모터의 제어 시스템을 간소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대폭적인 비용 저감을 실현한 포앙기 등의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조하는 제품마다에 최적인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 위치 조정을 간소한 기구로 가능하게 하는 포앙기 등의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막대 모양의 식품재를 절단하기 위한 복수의 셔터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갖춘 상하 작동 가능한 절단장치와 절단장치에 의해서 절단되는 식품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상하 작동 가능하게 갖춘 식품 성형 장치로서, 식품 성형 장치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지지부재를 상하 작동시키도록 한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와,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절단장치의 복수의 셔터 부재를 개폐하는 절단장치 개폐 기구와,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절단장치 개폐 기구와 절단장치를 상하 구동하도록 한 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의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식품 성형 장치에 대하여, 회전축을 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의 상하 작동에 연동해 일체적으로 상하 구동하는 구성의 식품 성형 장치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식품 성형 장치에 대하여, 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는, 회전축에 축 고정된 제 1 캠(cam)과, 제1 캠과 계합(契合)하고 식품 성형 장치 본체에 고정된 제 1 캠 팔로워(cam follwer)를 구비하는 구성의 식품 성형 장치로 하였다.
더욱이,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식품 성형 장치에 대하여,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는, 회전축에 축 고정된 제 2 캠과 제 2 캠과 계합하고 지지부재에 연결된 제 2 캠 팔로워를 구비하는 구성의 식품 성형 장치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한 식품 성형 장치에 대하여,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는, 회전축에 축 고정된 제 2 캠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 2 캠을 축방향 위치 결정하는 지지 멤버를 더욱 갖추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재가 상하로 움직이는 범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의 식품 성형 장치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식품 성형 장치에 대하여, 절단장치 개폐 기구는, 회전축에 축 고정된 편심 돌기를 구비하는 캠판과, 캠판의 편심 돌기와 계합하는 홈을 구비하고 요동 운동하는 요동판과, 일단은 요동판에 연결하고 타단은 절단장치에 배치된 개폐 레버에 연결한 연결 로드(rod)를 구비하는 구성의 식품 성형 장치로 하였다.
더욱이,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6에 기재한 식품 성형 장치에 대하여, 구동 모터가 회전축과 일체로 되어 상하 작동 가능하게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식품 성형 장치로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동기시키고, 식품재의 절단장치로서의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및 포피절단장치와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구동 제어하고, 또한, 회전축 자신을 포피절단장치와 일체적으로 상하 작동시킨다고 하는 새로운 기술적 사상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도입하는 것으로써,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운동 및 포피절단장치와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1대의 구동 모터로 구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간소한 기구를 실현할 수 있었다.또, 1대의 구동 모터로 상술한 모든 기구부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동 모터의 제어 시스템을 간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대폭적인 비용 저감을 실현한 포앙기 등의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실현될 수 있었다. 또한, 제조하는 제품마다 가장 적합한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실현할 수도 있다.
이 출원은, 일본에서 2007년 4월 16일에 출원된 특원2007-107400호에 근거하고 있어 그 내용은 본 출원의 내용으로서 그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상세한 설명 및 특정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이며, 설명의 목적을 위하야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여러 가지의 변경 및 개변(改變)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기 때문이다.
출원인은 기재된 실시 형태의 어떤 것도 공중에 헌상하려는 의도는 없으며, 개시된 개변, 대체안 가운데 특허청구범위내에 문언상 포함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것도 균등론하에서의 발명의 일부로 한다.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 기재에 대하여 명사 및 동일한 지시어의 사용은 특별히 지시되지 않는 이상, 또는 문맥에 의해서 명료하게 부정되지 않는 이상 단수 및 복수의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해석해야 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제공된 어느 예시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면, 「등 」)의 사용도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쉽게 하려는 의도인 것에 지나지 않고 특히 청구범위에 기재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예로서의 포앙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포앙기의 내부를 좌측에서 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포앙기의 내부를 후방에서 본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포앙기의 포피절단장치와 포피절단장치 개폐 기구를 위쪽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포앙기의 내부를 좌측에서 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예이며, 식품 성형 장치로서의 포앙기(1)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포앙기(1)는 박스 형상의 프레임(3)을 구비하고, 이 프레임(3)의 상부에는 내포재 공급부(5)와 외피재 공급부(7)을 구비하고 있다. 내포재 공급부(5)는, 예를 들면 팥소 등과 같은 식품재로 형성된 내포재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며, 외피재 공급부(7)는, 예를 들면 만두 생기나 빵 생지 등과 같은 식품재로 형성된 외피재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내포재 공급부(5)와 외피재 공급부(7)로부터 토출된 내포재와 외피재는, 내포재 공급부(5)와 외피재 공급부(7)의 전방 하부에 배치된 노즐인 중합 노즐(9)로 공급된다. 이 중합 노즐(9)은 내포재 공급부(5)로부터 공급된 내포재의 주위를 외피재 공급부(7)으로부터 공급된 외피재로 덮는 것에 의해 2중 구조로 된 막대 형상의 식품재를 하부에 토출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막대 모양의 식품재를 내부재 및 외피재로 된 2중 구조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막대 형상의 식품재는, 1종 혹은 3종 이상의 재료로 되는 것이어도 좋고, 더욱은 다중 구조뿐만 아니라 다층 구조로 된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설명한 내포재 공급부(5), 외피재 공급부(7), 및 중합 노즐(9)은, 공지의 구성이 사용되어도 좋다. 따라서 이들 내포재 공급부(5), 외피재 공급부(7), 및 중합 노즐(9)의 구성,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예를 들면, 특개2002-45109 참조).
중합 노즐(9)의 아래쪽에는 중합 노즐(9)로부터 토출되는 막대 모양의 식품재를 포피절단하기 위한 복수의 셔터 부재(11)로 구성된 셔터 조립체(12)를 구비한 포피절단장치(13)가 상하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포피절단장치(13)는 링(ring) 형태의 케이싱(casing)(20)을 구비하고, 이 케이싱(20) 내에는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피봇(21)이 회전 가능하게 설 치되어 있다. 각 피봇(21)에는, 셔터 부재(11)가 연동 연결되어 있고, 각 피봇(21)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각 셔터 부재(11)에 의해서 둘러싸여 그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14)를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각 피봇(21)이 정역회전 하는 것에 의해서 각 셔터 부재(11)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개폐 작동시키는 구성은 공지이며, 여러 가지의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 한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285371참조).
또한, 이 포피절단장치(13)의 하부에는, 포피절단장치(13)에 의해서 포피절단된 포피식품(15)를 받기 위한 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이 지지부재의 1 실시예로서 컨베이어(17)가 사용되고 있다. 이 컨베이어(17)는 무한 회동하는 벨트(16)를 구비하여 포피절단장치(13)에 의해서 포피절단된 포피식품(15)를 다음 공정에 반송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포피절단장치(13)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는 컨베이어(17)의 벨트(16)는 상하 작동 가능한 승강 부재(19)에 의해서 하부로부터 지지를 받아 상하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막대 모양의 식품재로부터 절단된 포피식품(15)은 그 저부를 지지부재로 지지를 받으면서, 절단장치로서의 포피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대략 구 형상의 식품으로 성형된다.
다음으로 포피절단장치(13)의 각 셔터 부재(11)를 개폐 구동하는 기구, 및 포피절단장치(13)와 지지부재(컨베이어(17))의 승강 부재(19)를 상하 구동하는 기구에 대해 도 2, 3에 근거하여 차례차례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포앙기(1)의 내부를 좌측에서 본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포앙기(1)의 내부를 후방에서 본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포피절단장치(13)의 각 셔터 부재(11)를 개폐 구동하는 기구 및 포피절단장치(13)와 승강 부재(19)를 상하 구동하는 기구는 모두 회전축(41)의 운동에 의해서 구동된다. 그리고, 이 회전축(41)은 스스로가 회전운동 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 작동하게 되어 있다.
먼저, 회전축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축(41)에는, 회전축(4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43)가 장착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로서는, 회전축(41)을 회전 구동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면 중공(中空)의 직교 출력축을 가지는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를 직접 회전축(41)에 연결하여도 좋다. 또한, 수직축(49)의 하단부는, 연결판(46)에 의해 회전축(41)과 연결되고, 회전축(41)은 베어링(50) 등을 개입시켜 연결판(4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구동 모터(43)는 가동판(45)에 고정되고, 가동판(45)에는, 예를 들면, 2개의 수직축(49)이 장착된다. 이 2개의 수직축(49)은 포앙기 본체의 프레임(3)에 장착된 고정 블록(47)에 설치된 2개소의 원통형상의 구멍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작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포앙기(1)의 전면에 해당하는 가동판(45)의 측단면에는 포피절단장치(13)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있다.
따라서, 일체적으로 조립되는 포피절단장치(13), 가동판(45), 구동 모 터(43), 및 회전축(41)은 가동판(45)에 고정된 수직축(49)과 고정 블록(47)의 구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전축(41)의 회전운동에 의해 절단장치로서의 포피절단장치(13)을 상하 작동시키도록 한 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로서의 포피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100)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축(41)의 구동 모터(43)가 장착된 위치의 하부에는, 제 1 캠(5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47)에는 제 1 캠 팔로워(53)가 고정되고 있어 이 제 1 캠(51)의 캠 곡면(51A)와 제 1 캠 팔로워(53)가 직접 접촉하게 되어 있다. 도 2, 3에는, 제 1 캠(51)으로서 단면 캠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홈 캠이나 원통 리브캠 등의 캠 요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축(41)이 회전하면 회전축(41)에 축 고정된 제 1 캠(51)도 회전축(41)과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이 때, 제 1 캠 팔로워(53)는 고정 블록(47)에 고정되어 정지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1 캠(51)과 회전축(41)은 제 1 캠(51)의 캠 곡면(51A)을 따라서 일체가 되어 상하 운동을 행하게 된다.
게다가 상술한 것처럼, 포피절단장치(13), 가동판(45), 구동 모터(43), 및 회전축(41)은, 가동판(45)에 고정된 수직축(49)과 고정 블록(47)의 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여기서 설명한 포피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100)의 작용에 의해서, 포피절단장치(13)는 회전축(41)의 회전운동과 동기하면서 일체가 되어 상하 운동을 행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근거하여 회전축(41)의 회전운동에 의해 절단장치로서의 포피절단장치(13)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절단장치 개폐 기구로서의 포피절단장치 개폐 기구(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포앙기의 포피절단장치(13)와 포피절단장치 개폐 기구(110)을 윗쪽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포피절단장치(13)의 각 셔터 부재(11)로 구성되는 셔터 조립체(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14)를 개폐 작동하기 위한 기구의 예로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즉, 포피절단장치(13)의 케이싱(20) 내에는 개폐 레버(23)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개폐축(25)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축(25)과 케이싱(20)의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피봇(21)은, 예를 들면 기어 혹은 상호간을 구속하는 각 셔터 부재(11)을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서 적절히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레버(23)를 요동(搖動)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축(25)을 회동시켜 거기에 따라 각 셔터 부재(11)가 연동하고, 셔터 조립체(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14)가 개폐 작동한다. 이러한, 개폐 레버(23)을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개구부(14)를 개폐 작동시키는 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285371 참조).
따라서, 여기에서는, 포피절단장치 개폐기구(110)는 개폐 레버(23)에 요동 운동을 주기 위한 기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이하에 그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의 상단에는 캠(구동기)으로서 기능하는 원판 형상의 캠판(65)이 축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캠판(65)의 중심, 즉, 회 전축(41)의 축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편심 돌기(6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가동판(45)의 표면에는 고정축(61)이 장착되어 이 고정축(61)에는 요동판(63)이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있다. 이 요동판(63)의 일단 에는 소정의 곡선 형상을 가지는 관통홈(6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홈(69)은, 전술한 편심 돌기(67)가 삽입되어 편심 돌기(67)의 측면과 관통홈(69)의 측면이 직접 접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관통홈(69)은 팔로워(follower)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요동판(63)의 타단에는 연결 로드(71)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연결 로드(71)의 타단은 전술한 개폐 레버(23)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41)이 회전운동을 행하면, 회전축(41)의 상단에 축 고정된 캠판(65)이 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캠판(65)에 장착된 편심 돌기(67)가 회전축(41)의 축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편심한 위치를 회전운동(편심 회전)하게 된다. 이 편심 돌기(67)는 상술한 요동판(63)의 관통홈(69) 내를 직접 접촉하면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홈(69)의 형상은 회전축(41)의 회전운동에 의해, 요동판(63)이 소정의 요동각으로 요동 운동을 행하는 곡선 형상으로 설정시킨다. 따라서, 구동기가 되는 편심 돌기(67)의 편심 회전과 종동기가 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관통홈(69)으로 구성되는 캠 기구에 의해 요동판(63)은 고정축(61)의 축심을 중심으로 소정의 요동각을 가진 요동 운동을 행한다. 이 요동판(63)의 요동 운동에 의해 요동판(63)의 타단 측에 장착된 연결 로드(71)를 통하여 포피절단장치(13)에 장착된 개폐 레버(23)을 요동 운동시켜, 그 결과로서 포피 절단장치(13)의 중앙 개구부(14)가 개폐 운동을 행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축(41)이 1회전 할 때마다 개폐 레버(23)가 1 왕복의 요동 운동을 하고, 그 결과 포피절단장치(13)는 1회의 개폐 동작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포피절단장치(13), 가동판(45), 구동 모터(43)는 회전축(41)과 일체가 되어 상하로 작동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한 포피절단장치 개폐 기구(110)도 이것들과 일체가 되어 상하로 작동하게 되어 있다. 또, 상하 작동하는 상기 각 기구는, 회전축(41)이 1회전 할 때마다 1회의 상하 동작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 3에 근거하여 회전축(41)의 회전운동에 의해 지지부재(컨베이어(17))에 구비되는 승강 부재(19)를 상하 작동시키도록 한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120)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120)의 제 2 캠(81)은 포피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100)의 제 1 캠(51)의 하부 위치에, 회전축(41)에 상하 작동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의 내측 전방으로 고정축(31)이 장착되어 이 고정축(31)에는 요동 레버(32)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요동 레버(32)의 타단에는, 양 다리 형상의 암(33, 34)이 평행하게 돌기되어 있다. 제 2 캠(81)에 대응하는 암(33)에는, 제 2 캠 팔로워(8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 2 캠 팔로워(83)는, 제 2 캠(81)의 캠 곡면(81A)과 직접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 한편의 암(34)에는, 타원형의 관통공(35)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35)내에 승강 부재(19)의 하단부에 장착된 제 3 캠 팔로워(36)가 직접 접촉하면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3 캠 팔로워(36)의 축(36A)에 프레임(3)의 내측 전방의 하부에 장착된 훅킹(hooking) 부재(37)와의 사이에 스프링(38)이 장착되어 승강 부재(19)가 항상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어 있다.
도 2, 3에서는, 제 2 캠(81)으로서 단면 캠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홈 캠이나 원통 리브캠 등의 캠 요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앙기(1) 본체의 프레임(3)의 전방 외측에는 핸들(85)이 설치된다. 이 핸들(85)에는, 스크류 로드(87)의 일단이 연결되고 있다. 이 스크류 로드(87)는, 프레임(3)의 전방 외측에 장착된 케이싱(84)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스크류 로드(87)의 타측에는, 스크류 로드(87)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를 갖춘 스크류 로드 서프트(88)가 전기 케이싱(84)의 안쪽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스크류 로드 서프트(88)의 일단부는, 프레임(3)의 내측에 위치된 L형 레버(89)의 암(89A)에 슬라이드 부재(90)를 통해 연결되고 있다. 이 L형 레버(89)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각부(角部, 89B)는 상기 프레임(3)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L형 레버(89)의 다른 암(89C)은 연결 부재(89D)를 통해 2 개의 지지 멤버(91)가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있다.그리고, 이 2개의 지지 멤버(91)의 선단부(각부(89B)의 반대쪽)의 내측에 각각 제 4 캠 팔로워(9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 4 캠 팔로워(92) 위에 상기 제 2 캠(81)의 저면(81B)이 탑재된다. 따라서, 제 2 캠(81)은, 핸들(85)을 회전하는 것으로써, L형 레버(89)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이 된다.
회전축(41)이 회전운동을 행하면, 회전축(41)에 축 고정된 제 2 캠(81)도 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제 2 캠 팔로워(83)는 제 2 캠(81)의 캠 곡면(81A)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캠 곡면에 따라서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 제 2 캠 팔로워(83)의 상하 작동에 따라 제 2 캠 팔로워(83)가 장착된 요동 레버(32)를 통해 승강 부재(19)도 함께 상하로 작동한다. 따라서 승강 부재(19)의 윗쪽에 배치된 지지부재(컨베이어(17))의, 승강 부재(19)가 배치되어 있는 포피절단장치(13)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벨트(16)는, 승강 부재(19)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더불어, 여기에서는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20)로서 캠과 캠 팔로워를 사용한 기구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120)로서는, 예를 들면 캠과 레버를 사용한 기구나 캠과 링크를 사용한 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지지부재(컨베이어(17))가 상하로 작동하는 범위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핸들(85)을 회전시켜 스크류 로드(87)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 L형 레버(89)가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각부(89B)를 중심으로 해 요동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L형 레버(89)의 암(89C)에 있는 2개의 지지 멤버(91)이 상하로 작동되는 것에 의해서 제 2 캠(81)의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제 2 캠(81)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정해지면 승강 부재(19)가 제 2 캠(81)의 캠 곡면(81A)을 따라서 상하 작동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컨베이어(17))가 상하 작동하는 범위, 즉 지지부재(컨베이어(17))의 상하 운동의 상사점과 하사점의 위치가 각각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 부재(19)가 상하 작동하는 최하 사점은, 승강 부재(19)의 상부 하면(19A)이 승강 부재(19)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18)의 표면(18A)에 바로 접하는 위치가 된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승강 부재(19)를 소정 높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하기 위한 스톱퍼를 프레임(3)에 설치하면 지지부재(컨베이어(17))의 상하 운동에 있어서의 하사점이 소정 위치 이하에로 내려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도 5는,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포앙기(1)의 프레임(3)의 내부를 좌측에서 본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모터(44)를 프레임(3)의 내측 저부에 구비하여 구동 모터(44)의 출력축과 회전축(41)을 커플링(42)에서 연결하는 것에 의해, 회전축(41)을 프레임(3)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구동 모터(44) 자신을 상하로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구동 모터(44)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포피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100)에 구비되는 제 1 캠(51)은, 회전축(41)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캠(51)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캠 곡선(51A)과 고정 블록(47)에 고정된 제 1 캠 팔로워(53)가 직접 접 촉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제 1 캠(51)의 상단부에는, 베어링(48)을 통해 가동판(45)이 장착되어 제 1 실시예와 같은 포피절단장치 개폐 기구(110) 설치된다.
또, 고정 블록(47)의 아래쪽 면에는, 연결판(4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41)은, 베어링(50)을 통해 연결판(46)으로 연결되어 회전축(41)이 연결판(46)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피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100)에 대하고, 회전축(41)을 구동 모터(44)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 1 캠(51)은 회전함과 동시에, 제 1 캠(51)의 캠 곡선(51A)의 형상에 따라서 회전축(41)의 축방향에 따라서 상하 운동을 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캠(51)으로 일체적으로 조립된 포피절단장치 개폐 기구(110) 및 포피절단장치(13)는, 회전축(41)이 1회전 할 때마다 1회의 상하 운동을 한다.
또한, 승강 부재(19)를 상하 작동하는 지지부재 상하작동 기구(120)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기구이며, 회전축(41)이 프레임(3)에 대해서 상하 운동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1대의 구동 모터를 사용해 하나의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고, 이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동기시켜,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및 포피절단장치와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구동 제어하며, 또한, 회전축 자신을 포피절단장치와 일체적으로 상하 작동시킨다는 새로운 기술 사상을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와 포피절단장치 개폐 기구는,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동력원으로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피절단장치 와 포피절단장치 개폐 기구의 상하 방향의 운동은,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동력원으로 하여 상하 운동하는 포피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을 포피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의 제 2 캠과 일체적으로 축고정함으로써 회전축을 상하 작동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로서의 포앙기에서는,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기구와 포피절단장치를 일체적으로 동기시키면서 상하 작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상하 작동에 더불어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1대의 구동 모터로 구동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포피절단장치의 개폐, 및 포피절단장치와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행하게 하는 기구 부분에 캠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기구 부분을 큰폭으로 간소화한다.
더욱이, 1대의 구동 모터로 상술한 모든 기구부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구동 모터를 동기 제어하는 등의 복잡한 제어 시스템을 채용할 필요가 없고, 제어 시스템의 비용 저감도 실현되고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의 위치 조정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고, 회전축의 상하 작동하는 위치에 관계없이, 제조하는 제품마다 최적인 지지부재의 상하 작동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관한 상기 구성은, 포앙기에 한정하지 않고, 막대 모양의 식품재로부터 대략 구 형상의 식품을 절단 성형하는 식품 성형 장치 전반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구성을 포앙기에 구비했을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막대 모양의 식품재를 절단하기 위한 복수의 셔터 부재를 개폐 자재로 갖춘 상하 작동 가능한 절단장치와,
    상기 절단장치에 의해서 절단되는 식품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상하 작동 가능하게 구비한 식품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품 성형 장치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 작동시키는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절단장치의 복수의 셔터 부재를 개폐하는 절단장치 개폐 기구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절단장치 개폐 기구와 상기 절단장치를 상하 구동하도록 하는 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장치 상하구동 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축 고정된 제 1 캠과, 상기 제 1 캠과 맞물리며 식품 성형 장치 본체에 고정된 제 1 캠 팔로워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축 고정된 제 2 캠과, 상기 제 2 캠과 맞물리며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된 제 2 캠 팔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상하구동 기구는, 회전축에 축 고정된 상기 제 2 캠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캠을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지지 멤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상하 작동하는 범위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 개폐 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축 고정된 편심 돌기를 구비하는 캠판과, 상기 캠판의 편심 돌기와 맞물리는 홈을 구비하여 요동 운동하는 요동판과, 일단을 상기 요동판에 연결하고 타단을 상기 절단장치에 구비하도록 된 개폐 레버에 연결한 연결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중공(中空)의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축에 상기 회전축을 직접 연결하여 상기 구동 모터가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되어 상하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KR1020097022934A 2007-04-16 2007-12-20 식품 성형 장치 KR101160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07400 2007-04-16
JP2007107400A JP5193489B2 (ja) 2007-04-16 2007-04-16 包あん機
PCT/JP2007/074548 WO2008129733A1 (ja) 2007-04-16 2007-12-20 食品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69A KR20090130869A (ko) 2009-12-24
KR101160277B1 true KR101160277B1 (ko) 2012-06-28

Family

ID=3987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934A KR101160277B1 (ko) 2007-04-16 2007-12-20 식품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59973B2 (ko)
JP (1) JP5193489B2 (ko)
KR (1) KR101160277B1 (ko)
CN (1) CN101668428B (ko)
BR (1) BRPI0721586B1 (ko)
HK (1) HK1135001A1 (ko)
MX (1) MX2009011171A (ko)
MY (1) MY150043A (ko)
TW (1) TW200847928A (ko)
WO (1) WO20081297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821B1 (ko) 2018-12-26 2019-04-23 (주)아그로시스템즈 포앙식품용 성형 컨베이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619A (zh) * 2010-12-13 2012-07-11 黄连福 双色糕点成型盒自动填充装置
CN102228305B (zh) * 2011-05-11 2013-07-17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圆形食品成型方法
CN102228306B (zh) * 2011-05-11 2013-07-17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圆形食品成型机
CN102224972B (zh) * 2011-05-11 2013-10-30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圆形食品成型机分体式供料系统
JP5916206B2 (ja) * 2012-02-14 2016-05-11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搬送装置および前記搬送装置を備えた食品成形装置
CN102986763A (zh) * 2012-12-18 2013-03-27 苏州麦克食品机械塑胶有限公司 月饼机
CN107047678A (zh) * 2014-08-31 2017-08-18 周惠 可制作饺子、馄饨的多功能面条机
CN104472607B (zh) * 2014-12-22 2017-06-13 广东省机械研究所 一种食品浆液的定量注浆机构
CN104686608B (zh) * 2015-03-12 2016-08-24 苏州市吴中区木渎穗儿食品厂 一种面片机
WO2016199720A1 (ja) * 2015-06-08 2016-12-1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シャッタ片、シャッタセット、シャッタ装置及び成形装置
CN110037068B (zh) * 2019-05-17 2024-04-12 上海玉程机械有限公司 一种多头包馅机
CN110126004B (zh) * 2019-06-18 2024-01-12 南通全洲机械有限公司 一种包馅机用刀盘传动机构及大产品包馅机
CN113883859A (zh) * 2021-10-11 2022-01-04 刘峻 一种具有高效率的新材料色母粒干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675A (ja) * 1993-01-25 1994-08-09 Kobaade:Kk 成形食品製造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JPH10179110A (ja) 1998-02-23 1998-07-07 Kobaade:Kk 棒状食品切断装置
JP2002045109A (ja) * 2000-08-01 2002-02-12 Rheon Autom Mach Co Ltd 包あん機
JP2006101719A (ja) 2004-10-01 2006-04-20 San Plant Kogyo Kk 巻き食品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2799A (en) * 1930-03-28 1931-06-30 Madore Maurice Means for the mechanical preparation of pulverized solid materials
US2087492A (en) * 1932-05-02 1937-07-20 Delbert T Hulse Grinding and mixing hammer mill
US4453458A (en) * 1982-07-07 1984-06-12 Altman James E Food processing apparatus
JPS62118850A (ja) * 1985-11-16 1987-05-30 Towa Seiki Kk いかせんべい製造機における原料充填装置
JPH02207748A (ja) * 1989-02-08 1990-08-17 Masao Kobayashi 団塊状包被食品成形装置
JP2815405B2 (ja) 1989-07-21 1998-10-27 帝人株式会社 紡糸口金及び中空繊維の製造方法
JPH0359105U (ko) * 1989-10-09 1991-06-11
JP3003519U (ja) * 1994-04-26 1994-10-25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製造装置
JP3989499B2 (ja) * 2005-08-01 2007-10-10 晋 夏目 食品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675A (ja) * 1993-01-25 1994-08-09 Kobaade:Kk 成形食品製造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JPH10179110A (ja) 1998-02-23 1998-07-07 Kobaade:Kk 棒状食品切断装置
JP2002045109A (ja) * 2000-08-01 2002-02-12 Rheon Autom Mach Co Ltd 包あん機
JP2006101719A (ja) 2004-10-01 2006-04-20 San Plant Kogyo Kk 巻き食品の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821B1 (ko) 2018-12-26 2019-04-23 (주)아그로시스템즈 포앙식품용 성형 컨베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59973B2 (en) 2013-01-29
TWI347832B (ko) 2011-09-01
JP5193489B2 (ja) 2013-05-08
BRPI0721586A2 (pt) 2014-02-25
MY150043A (en) 2013-11-29
BRPI0721586B1 (pt) 2018-02-06
HK1135001A1 (en) 2010-05-28
CN101668428B (zh) 2012-07-25
WO2008129733A1 (ja) 2008-10-30
MX2009011171A (es) 2009-10-30
JP2008263797A (ja) 2008-11-06
CN101668428A (zh) 2010-03-10
TW200847928A (en) 2008-12-16
KR20090130869A (ko) 2009-12-24
US20100126360A1 (en)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277B1 (ko) 식품 성형 장치
CN103027084B (zh) 一种对面团填充馅料并封口的装置及方法
JP4210779B2 (ja) 食品の包み込み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CN108144843B (zh) 基于弧形偏摆分离的矿砂分选设备
CN1174683C (zh) 外包皮切断装置及方法
KR20020011347A (ko)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JP3421658B2 (ja)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US4078362A (en) Product wrapping and discharge apparatus
JP3811788B2 (ja) 食品成形装置
KR200188637Y1 (ko) 자동팝핑장치
JP3400441B1 (ja)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4316662B1 (ja) 食品加工装置
CN209152138U (zh) 一种包子类食品收合模具
CN109258736A (zh) 一种包子类食品收合模具
JP3688254B2 (ja) 包被切断機
JP3421663B2 (ja)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5550269B2 (ja) 包被切断装置
JP3015000B2 (ja) 半開包皮切断装置
CN105851110A (zh) 一种铰链连杆往复式自动包饺子装置
KR200278527Y1 (ko) 떡 절단장치
JPH06269268A (ja) 食品材料の成形切断装置
JP2003088350A (ja) 食品包み込み成形装置
JP2000210006A (ja) 食品生地の分割丸め成形システム
EP3391749A1 (en) Machine for rounding portions of dough
JPH06245749A (ja) 食品材料の成形切断方法および成形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