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347A -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347A
KR20020011347A KR1020010046501A KR20010046501A KR20020011347A KR 20020011347 A KR20020011347 A KR 20020011347A KR 1020010046501 A KR1020010046501 A KR 1020010046501A KR 20010046501 A KR20010046501 A KR 20010046501A KR 20020011347 A KR20020011347 A KR 2002001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tor
shutter
shutter member
contro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819B1 (ko
Inventor
야스노리 다시로
도라히코 하야시
가즈요시 오노구치
Original Assignee
도라히코 하야시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라히코 하야시,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라히코 하야시
Publication of KR2002001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21C11/103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utting elements slidably or rotably mounted in a diaphragm-lik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85Cutter with timed stroke relative to moving work
    • Y10T83/494Uniform periodic tool actuation
    • Y10T83/501With plural tools on a single tool suppo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Confectione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콩 잼의 외피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절단장치의 셔터 부재의 개폐운동 및 상하운동의 패턴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외피형성 장치는 결합용 노즐(9)로부터 공급되는 봉형 식품재료를 절단하는 다수의 셔터 부재(11)를 갖는 절단장치(13)와, 외피로 둘러싸며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식품 재료를 수령하는 식품수령장치(17)와, 다수의 셔터부재를 개폐하는 제1 제어모터 M1, 및 상기 식품수령장치(17)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제어모터 M2를 포함한다. 제1 제어모터 M1에 대한 기준위치는 셔터부재(11)가 폐쇄되어 그들의 전방단부가 중심에서 만날 때 또는 위치가 180도로 위상이 변할 때 모터 샤프트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Description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An apparatus for encrusting a filling material}
본 발명은 콩 잼과 같은 충전재의 외피를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절단장치의 셔터 부재를 구비하는 셔터 장치의 개폐 타이밍 및 속도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콩 잼과 같은 충전재의 외피를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장치는 일본 특허 제264103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 공개된 장치는 셔터 장치를 개폐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 기구는 절단장치의 셔터 부재로서 구성된다. 셔터 부재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핀 둘레를 왕복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핀은 링크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서 연동된다. 하나의 링크 부재는 크랭크 암에 피봇되어 있다. 이것은 크랭크 암이 왕복운동하도록 제1 제어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제어모터는 캠 기구를 회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캠 기구의 운동에 따라 외피형성된 식품을 수령하는 컨베이어와 절단장치는 둘다 상하로 이동된다.
종래 장치에서 셔터 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셔터 장치의 개폐작동은 절단장치의 상하운동에 관계없이 제어될 수 있다. 이 장치에서, 제품의 생산율을 예를 들어 매일 또는 시간마다 바꾸기 위해서는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컨베이어와 절단장치의 상하운동의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셔터 부재의 개폐작동의 타이밍은 컨베이어 및 절단장치의 상하운동의 속도의 변화에 맞추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종래 장치에서, 제1 제어모터는 셔터 장치를 개폐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 제1 제어모터는 컨베이어 및 절단장치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지는 않는다. 컨베이어 및 절단장치는 제2 제어모터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컨베이어및 절단장치의 운동 타이밍에 맞추기 위해서, 제1 제어모터의 샤프트 회전방향 및 회전각과, 셔터 부재의 왕복운동의 시작 및 정지 타이밍을 변화시킴으로서 개폐작동의 타이밍을 제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개념, 형태 및 기능의 주요 부분의 도면.
도 3의 (a) 내지 (c)는 셔터부재의 개폐운동의 패턴과 절단장치의 상하운동의 패턴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 내지 (c)는 셔터부재의 개폐운동의 패턴과 절단장치의 상하운동의 패턴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콩 잼과 같은 충전재의 외피를 형성하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장치는 결합용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봉형 식품재료를 절단하는 다수의 셔터 부재(11)를 갖는 절단장치를 포함한다. 셔터 부재는 셔터장치가 개폐될 수 있도록 요동 또는 왕복 회전될 수 있다. 절단장치는 상하로 이동된다. 또한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는 절단장치에 의해 외피형성된 식품으로 절단되는 식품재료를 수령하기 위한 식품 수령장치와, 다수의 셔터 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제1 제어모터와, 상기 절단장치 및 식품수령장치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제2 제어모터를 포함한다. 제1 제어모터에 대한 기준위치는 서터 부재의 전방 단부가 셔터장치의 중심위치와 만날 때에는 샤프트의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위상이 180도로 변할 때에는 동일한 샤프트에서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셔터 부재가 개방될 때에는 샤프트의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위상이 180도로 변할 때에는 동일한 샤프트의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된다.
제2 제어모터에 대한 기준위치는 식품수령장치가 최고점까지 상승하거나 또는 최저점까지 하강할 때 샤프트의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된다.
제1 및 제2 제어모터들은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캠기구는 절단장치의 셔터 부재를 개폐하는 셔터 개폐기구와 제1 제어모터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캠기구는 상기 셔터 개폐기구에 의해 셔터 부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2 캠기구는 식품수령장치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와 제2 제어모터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캠기구는 상기 상하운동 기구에 의해 식품수령장치를 상하롤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 제어기는 제1 및 제2 제어모터 양쪽 또는 각각의 일 회전중에 필요한 회전각 범위에서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제어모터는 동기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모터 양쪽 또는 어느 하나는 회전각의 범위에 걸쳐 편리한 대로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 소자는 상기 모터 제어기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제어모터를 제어하는 패턴을 기억하고 있다.
도 1은 충전재의 외피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프레임(3)을 가진다. 장치의 상부에는 콩 잼과 같은 충전재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재 공급부(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부에는 빵과 같은 외피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외피재 공급부(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부에는, 충전재 공급부(5)에서 공급되는 충전재를 외피재 공급부(7)에서 공급되는 외피재로 둘러싸며 봉형 식품재료를 형성하여 아래로 방출하기 위한 결합용 노즐(9)이 배치되어 있다.
충전재 공급부(5), 외피재 공급부(7) 및 결합용 노즐(9)은 공지된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이들은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결합용 노즐(9) 아래에는 절단장치(18)가 배치된다. 절단장치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절단장치는 다수의 셔터 부재(11)로서 구성되는 셔터장치를 포함한다(도 2). 이들은 충전재를 외피로 둘러싸기 위해서 결합용 노즐(9)에 의해 공급되는 봉형 식품재료를 절단하는데 사용된다. 절단장치(13) 아래에 배치되는 컨베이어(17)는 절단되어 외피형성된 식품(15)을 수령한다. 컨베이어는 절단되어 외피형성된 식품(15)을 수령하기 위한 식품수령부재의 한 예이다. 절단장치(13)의 아래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부분은 승강장치(19)에 의해 지탱된다. 승강장치(19)는 상하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컨베이어 부분도 역시 상하이동할 수 있다.
절단장치(13)는 링형 케이싱(20)을 포함한다. 다수의 피봇(21)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케이싱(20)에서 원을 따라 배치된다. 피봇들은 편리하게 회전될 수 있다. 각 피봇은 각각의 셔터 부재(11)에 연결되어 있어서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봇(21)이 회전 및 역회전할 때, 셔터 부재(11)들은 (개방되도록) 서로 멀리 이동되고, (폐쇄되도록) 모여든다. 피봇을 회전 및 역회전시킴으로서 셔터 부재를 개폐하는 구조는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조의 세부는 설명하지 않는다.
셔터 부재(11)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로서 개폐용 샤프트(25)가 케이싱(20)에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25)는 편리하게 회전될 수 있다. 개폐용 레버(23)가 이 샤프트에 일체로 연결된다. 샤프트(25) 및 피봇(21)은 예를 들어 기어, 또는 연동하는 셔터(11)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개폐용 샤프트(25) 및 피봇(21)도 역시 연동된다. 이 기구는 셔터 부재가 개폐되도록 연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 기구 대신에어떤 공지된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개폐용 레버(23)가 왕복운동할 때, 셔터 부재(11)가 개폐된다. 이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연결로드(27)의 한 단부가 개폐용 레버(23)의 한 단부에 피봇된다. 연결로드(27)의 다른 단부는 스윙부재(31)의 한 단부에 피봇된다. 스윙부재(31)는 캠기구의 일부분으로서 작용하고, 핀(29)의 둘레에서 요동될 수 있다. 스윙부재(31)에는 L 모양의 캠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캠종동부(37)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회전기어(35)의 편심 중심에 배치된다. 캠종동부(37)는 캠홈(33)에 결합되어 이 홈(33)에서 편리하게 이동될 수 있다.
서보모터와 같은 제1 제어모터 M1은 회전기어(35)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모터 M1의 샤프트가 일 회 회전할 때, 캠의 일부분인 회전기어(35)도 역시 한 방향으로 일 회 회전한다.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에서 회전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기어(35)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기어(42)가 기어(35)와 맞물린다. 상기 기어(42)는 펄스 인코더(39)로서 사용된다. 펄스 인코더는 회전위치 센서의 일종이다.
따라서, 제1 제어모터 M1이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동시에 기어(35)가 회전되며 이에 부착된 캠종동부(37)가 회전한다. 따라서, 스윙부재(31)가 핀(39) 둘레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레버(23)의 개폐가 연결로드(27)에 의해 스윙된다. 로드(27)는 스윙부재(31)에 연결된다. 그 결과, 셔터부재(11)가 개폐된다. 제1 제어모터 M1가 일회 회전할 때, 회전기어(35)도 역시 일회 회전하므로, 스윙부재(31) 및 개폐용 레버(23)가 한번 왕복한다. 따라서, 셔터부재(11)가 한 세트의 개폐작동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 인코더는 한 번 회전할 때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에서 회전위치를 감지한다. 펄스 인코더(39)는 샤프트의 회전각의 값에 따라 펄스를 발생하고, 샤프트의 각 회전에 대한 기준펄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의 회전위치는 기준펄스가 발생된 후에 발생되는 펄스 수를 계산함으로서 정해질 수 있다.
제1 제어모터 M1에 대한 기준점은 셔터부재(11)의 단부들이 절단장치(13)의 중심위치 O와 만날 때 나타나는 상태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셔터부재는 가장 두꺼운 부분의 중간점에서 중심위치 O를 향하여 돌출하는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셔터부재는 중심위치 O에서 다른 셔터부재의 하단부와 만날 수 있는 하단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셔터부재의 하단부가 중심위치 O와 만날 때, 셔터부재의 바닥면들은 평평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에서의 회전위치는 기준위치로서 설정된다.
제1 제어모터 M1에 대한 기준위치는 그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기준위치는 셔터부재의 상단부가 중심위치 O와 만날 때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에서의 회전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보통, 셔터부재의 하단부가 중심위치 O와 만날 때 동시에 상단부도 그 위치와 만난다. 다른 방법으로서, 기준위치는 셔터부재(11)가 개방될 때의 기준위치에서 180도로 회전되는 샤프트에서의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에서의 기준위치는 셔터부재가 개방될 때(도 2에서와 같이 연결로드(27)가 우측 끝으로 이동될 때), 또는 셔터부재의 개방 위상이 그 위치에서 180도로 시프트되었을 때(즉, 셔터부재(11)가 폐쇄될 때),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재(11)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제1 제어모터 M1에 대한 기준위치는 셔터부재(11)가 일정한 위치로 이동될 때의 기준위치에 따라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모터 M1에 대한 기준위치는 절단장치(13)의 셔터부재들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셔터부재들이 일정한 위치로 이동된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펄스 인코더(39)는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에서의 회전위치가 기준위치에서 정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펄스 인코더(39)는 개폐위치 및 개폐상태가 캠홈(33)과 캠종동부(37) 사이의 관계에서 정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개폐상태, 개폐속도 등은 제1 제어모터 M1를 제어함으로서 유익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2 제어모터 M2는 절단장치(13) 및 승강장치(19)가 모두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2는 장치의 개념 및 기능을 단순하게 보여주는 개략적인 기능 도면이다. 크랭크암(43)은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41)에 연결되어 있어서, 샤트트가 일회 회전할 때 크랭크암(43)도 이에 따라 일회 회전한다. 연결로드(45)의 한 단부는 크랭크암(43)에 연결된다. 다른 단부는 절단장치(13)의 한 위치에 연결된다.
따라서, 절단장치(13)는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41)가 회전할 때 크랭크암(43)과 연결로드(45)에 의해 상하이동된다. 그러므로,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41)가 일회 회전할 때, 절단장치(13)가 각 사이클마다 상하이동될 것이다.
캠(47)은 승강장치(19)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41)의 다른 단부에 부착된다. 스윙레버(51)에 배치되어 있는 캠종동부(53)는 캠(47)의 표면에 항상 접촉한다. 스윙레버(51)는 그 단부에 배치된 피봇(49) 둘레로 상하로 요동된다. 스윙레버(51)의 전방단부는 승강장치(19)에서의 한 위치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41)는 캠(47)을 회전시키도록 회전한다. 다음에 승강장치(19)가 스윙레버(5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41)가 일회 회전할 때, 승강장치(19)는 사이클 마다 상하로 이동될 것이다.
절단장치(13) 및 승강장치(19)가 공통의 제2 제어모터 M2에 의해 상하로 동시에 이동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크랭크암(43)은 절단장치(13)를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절단장치(13)는 제2 제어모터 M2가 일정속도로 회전할 때 사인곡선을 따라 이동될 것이다. 승강장치(19)는 캠(47)의 형상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것이다. 절단장치(13)가 최고 위치로 이동될 때 승강장치(19)는 최하 위치로 이동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절단장치(13)가 최하 위치로 이동될 때, 승강장치(19)도 역시 최하 위치로 이동된다.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에서의 회전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기어(55)가 샤프트(41)에 배치된다. 펄스 인코더(57)는 회전위치 센서의 한 예로서 사용된다. 펄스 인코더(57)는 기어(55)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기어(59)를 구비한다. 기어(59)는 기어(55)와 맞물려 있다. 펄스 인코더(57)는 상기 펄스 인코더(39)와유사하다. 즉, 기준펄스가 펄스 인코더(57)에서 발생되는 위치는 제2 제어모터 M2를 위한 기준위치이다. 이 기준위치는 절단장치(13) 및 승강장치(19)가 그들의 최고 위치로 상승된 위치로 설정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기준위치는 절단장치(13) 및 승강장치(19)가 최하 위치로 하강한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위치는 180도 만큼 그 위치에서 시프트될 것이다.
제2 제어모터 M2에 대한 기준위치가 절단장치(13)가 최고 또는 최하로 이동된 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절단장치(13)가 이동시의 위치는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의 회전위치들을 검출함으로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절단장치(13)의 위치들 및 이동속도들은 제2 제어모터 M2를 제어함으로서 제어될 수 있다.
모터 제어기(61)는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입력장치(63)는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모터 제어기(61)에 연결된다. 모터 제어기(61)는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를 제어하기 위한 패턴들을 기억하기 위해 제1 및 제2 메모리(65, 67)를 포함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61)는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를 동기식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회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회전 제어부(69)를 포함한다.
모터 제어기(61)내에 포함되어 있는 회전 제어부(69)의 제어하에서, 예를 들어 제2 제어모터 M2가 한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장치(13)가 사인곡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것이다. 또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치(19)가 절단장치(13)의 상하운동과 동시에 그리고 캠(47)의 형상에 의해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것이다.
제1 제어모터 M1이 한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 도 3(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셔터부재는 캠홈(33)에 의해 정해진 패턴에 따라 개폐된다. 이 패턴에서 "Q"로 지적된 부분은 셔터부재가 폐쇄되어 있는 기간을 도시한다. "R"은 셔터부재가 폐쇄되고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Q" 및 "R" 기간들은 캠홈(33)의 형상에 의해 정해진다.
패턴의 "Q" 부분은 제1 제어모터 M1의 회전을 임시로 정지시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의 (b) 및 (c)와 같은 곡선들은 제1 제어모터 M1이 입력장치(63)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제2 제어모터 M2에 대하여 위상이 시프트될 때를 가리킨다. 도 4는 제2 제어모터 M2가 제1 제어모터 M1에 대하여 시프트될 때를 가리키는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는 회전 제어부(69)에 의해 동기식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회전각에서 각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는 셔터부재(11)가 개방될 때로부터 폐쇄될 때까지 제1 제어모터 M1의 회전 샤프트의 일회전 중에 각도들의 영역 A를 도시한다. 또한 도 4(a)는 셔터부재(11)가 폐쇄되어 있을 때 각도들의 영역 B를 도시한다. 또한, 도 4(a)는 셔터부재(11)가 폐쇄될 때부터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 주기에서 각도들의 영역 C를 도시한다. 또한, 도 4(a)는 셔터부재(11)가 개방되어 있는 기간중에 각도들의 영역 D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4(a)에서와 같이 영역들 A, B, C, D의 기간중에 제1 제어모터 M1이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영역들 A, B, C, D의 패턴들은 캠기구의 캠홈(33)의 형상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제1 제어모터 M1가 어떤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때 상기 영역들의 어떤 패턴들이 사용된다. 봉형 식품재료의 생산율이 바뀌면,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의 회전들은, 도 3(a) 및 도 3(c)에서와 같이 절단장치(13) 및 컨베이어가 상하로 이동될 때, 도 3(a)에서와 같이 셔터부태(11)가 곡선 (a), (b), 및 (c)를 따라 개폐될 때, 또는 도 4(a)에서와 같이 셔터부재들이 개폐될 때, 그리고 도 4(b) 및 도 4(c)에서와 같이 컨베이어들이 곡선 (a), (b), 및 (c)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때, 동시에 감소된다. 따라서, 봉형 식품재료를 위한 절단 작동이 유익하게 수행된다.
이 경우에, 제1 제어모터 M1의 회전이 변할 때, 셔터부재(11)의 개폐속도가 변한다. 상기 개폐속도는 식품재료(15)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식품재료의 생산율을 변화시킬 수 있는 허용가능한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 장치에서, 식품재료의 생산율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절단장치 및 식품수령부재가 상하로 이동될 때, 동시에 회전방향 및 회전각과, 왕복운동을 시작하고 종료시키는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이 설정되어야 하고 변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 및 변화는 불편하다.
일반적으로, 식품재료의 생산율을 넓게 변화시키기 위해서, 셔터부재들의 폐쇄속도의 변화는 외피형성된 식품재료를 유익하게 절단하도록 상당히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종래 장치에서는 그러한 생산율의 변화에 반응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어, 셔터부재(11)의 폐쇄작동의 속도가 일정속도로 배출되는 봉형 식품재료를 절단하기 위해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각도들의 영역 A에서 제어함으로써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될 때, 상기 영역들 B, C, D의 어떤 영역에서 샤프트이 회전속도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에 의해, 제1 제어모터 M1의 샤프트이 일회전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봉형 식품재료의 몇가지 절단작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캠기구는 셔터부재(11)를 폐쇄하는데 사용되며, 따라서 셔터부재의 작동 패턴들은 항상 동일하다. 또한, 제1 제어모터 M1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2 제어모터 M2에 대해 유사한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장치(13)가 하강할 때의 속도는 셔터부재(11)의 폐쇄작동에 반응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절단장치(13)가 신속히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어모터 M2의 일회전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하에서 절단장치(13) 및 컨베이어(17)는 승강부재(19)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에 대해 기준위치들이 설정되기 때문에,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의 회전각의 어떤 범위가 영역들 A, B, C, D에 일치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들의 각속도들이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고 영역들 A, B, C, D에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의 회전속도들이 식품재료의생산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높아지면, 각도의 영역 A에서 폐쇄작동의 시간이 짧아질 수 있고, 따라서 봉형 식품재료가 양호하게 절단될 수 없다. 이 경우에, 각도들의 영역 A에서 폐쇄작동의 시간이 일정한 시간으로 평상대로 유지되는 반면에 영역들 C 및 D에서의 시간이 짧아지면(즉, 샤프트가 빠르게 회전되면), 보통의 상태하에서 봉형 식품재료의 양호한 절단작동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식품재료의 생산율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제어모터 M1을 위한 영역 A에 해당하는 제2 제어모터 M2의 각도들의 영역은 보통의 상태하에서 정해진 패턴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제어모터 M1을 위한 영역들 C 및 D에 해당하는 영역들에서 제2 제어모터 M2의 샤프트의 회전수는 높게 설정되어 있다.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는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각 영역에서 상기 모터들의 회전이 변하더라도 상기 변화는 갑작스럽게 변하지 않고 서서히 변할 수 있다.
셔터부재들 및 컨베이어 각각의 운동 패턴은 봉형 식품재료를 절단하기 위해 각 샤프트의 회전각의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정해진다. 상기 패턴들은 기억소자로서의 기능을 하는 메모리(65,67)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는 봉형 식품재료가 동일한 상태하에서 절단될 때 그 패턴을 사용함으로서 즉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운동 패턴들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봉형 식품재료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반복적으로 절단하기 위해 메모리(65, 67)에 저장된 패턴을 사용하여 제1 제어모터 M1 및 제2 제어모터 M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모터들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셔터부재들과 절단장치의 상하운동 및 개폐운동의 패턴들은 캠기구에 의해 정해진다. 제1 및 제2 모터들의 기준위치들은 캠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패턴들의 어떤 지점에 일치하게 설정된다. 제1 및 제2 제어모터들의 회전위치들은 상기 패턴들의 각도들의 영역내의 위치들에 일치한다. 따라서, 운동 패턴들에서의 각도들의 속도는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재료의 생산율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제어모터들의 회전속도들이 동시에 변화되거나 또는 특정한 회전각내에서의 회전속도가 변하게 되면, 봉형 식품재료를 유익하게 절단하는 조건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장치의 단점이 극복될 수 있다.

Claims (7)

  1. 결합용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봉형 식품재료를 절단하도록 개폐되는 다수의 셔터 부재를 갖는 상하이동 가능한 절단장치와, 상기 절단장치에 의해 외피형성된 식품으로 절단되는 식품재료를 수령하기 위한 식품 수령장치와, 다수의 셔터 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제1 제어모터와, 상기 절단장치 및 식품수령장치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제2 제어모터를 포함하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준위치는, 서터 부재의 전방 단부가 셔터장치의 중심위치와 만날 때에는 상기 제1 제어모터의 샤프트상의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어떤 지점에서 위상이 180도로 시프트되는 동일한 샤프트에서 다른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셔터 부재가 개방될 때에는 그 샤프트의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어떤 지점에서 위상이 180도로 시프트되는 동일한 샤프트의 다른 어떤 지점에 대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식품수령장치가 최고점까지 상승하거나 또는 최저점까지 하강할 때 제2 제어모터의 샤프트의 어떤 지점에 대한 기준위치가 설정되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제어모터들은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캠기구는 절단장치의 셔터 부재를 개폐하는 셔터 개폐기구와 제1 제어모터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캠기구는 상기 셔터 개폐기구에 의해 셔터 부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주어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캠기구는 식품수령장치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와 제2 제어모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캠기구는 상기 상하운동 기구에 의해 식품수령장치를 상하롤 이동시킬 수 있도록 주어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 제어기는 제1 및 제2 제어모터 양쪽 또는 각각의 일 회전중에 필요한 회전각 범위에서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제어모터는 동기식으로 회전되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제어모터는 동기식으로 회전되고, 제1 및 제2 제어모터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각의 범위에 걸쳐 편리한 대로 제어되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메모리 소자는 상기 모터 제어기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제어모터를 제어하는 패턴을 기억하고 있는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KR10-2001-0046501A 2000-08-01 2001-08-01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KR100445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3287 2000-08-01
JP2000233287A JP3471726B2 (ja) 2000-08-01 2000-08-01 包あん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347A true KR20020011347A (ko) 2002-02-08
KR100445819B1 KR100445819B1 (ko) 2004-08-30

Family

ID=1872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501A KR100445819B1 (ko) 2000-08-01 2001-08-01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709256B2 (ko)
EP (1) EP1177723B1 (ko)
JP (1) JP3471726B2 (ko)
KR (1) KR100445819B1 (ko)
CN (1) CN1192939C (ko)
AT (1) ATE307486T1 (ko)
AU (1) AU762441B2 (ko)
CA (1) CA2354366C (ko)
DE (1) DE60114314T2 (ko)
ES (1) ES2247019T3 (ko)
HK (1) HK1042460A1 (ko)
MY (1) MY130011A (ko)
NZ (1) NZ513295A (ko)
RU (1) RU2223651C2 (ko)
SG (1) SG888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5772B1 (fr) * 2005-05-18 2009-07-31 Mars Inc Procede de fabrication de barres glacees presentant des variations de section
US9247752B2 (en) 2006-08-07 2016-02-02 Kellog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JP5193489B2 (ja) * 2007-04-16 2013-05-0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あん機
JP5140492B2 (ja) * 2008-05-23 2013-02-0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食品製造装置
US8334005B2 (en) * 2008-11-14 2012-12-1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Ribbon cutt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ndwich baked goods
SE533300C2 (sv) * 2008-12-15 2010-08-17 Ecolean Res & Dev As Anordning för avlägsning av en ändförslutning
WO2010085612A2 (en) 2009-01-23 2010-07-29 Mars, Incorporated Product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JP5550269B2 (ja) * 2009-06-30 2014-07-1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切断装置
AU2011235170B8 (en) 2010-04-01 2015-02-05 Columbia Insurance Company Drive system
US9277753B2 (en) * 2010-08-20 2016-03-08 Frito-Lay North America, Inc. Synchronized cutting an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WO2013037741A1 (en) 2011-09-15 2013-03-21 Unilever Plc Process for producing frozen confectionery products
CN102805417A (zh) * 2012-08-13 2012-12-05 广东复兴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多色汤圆机
CN107668110B (zh) * 2017-09-25 2023-06-23 安徽玄同机电科技有限公司 均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9117A5 (fr) * 1978-05-08 1982-04-15 Findus Procede et dispositif de desintegration de matiere.
JPS62278934A (ja) 1986-05-26 1987-12-03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切断装置
JPH02227062A (ja) 1988-08-12 1990-09-10 Masao Kobayashi 団塊状包被食品成形装置
EP0373246B1 (fr) * 1988-12-15 1993-04-21 Frisco-Findus Ag Dispositif de formage de confiserie glacée
US5820890A (en) 1992-01-30 1998-10-13 Kobird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plastic bar-shaped food
DE69328155T2 (de) * 1992-05-26 2000-09-14 Kobir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lastischen nahrungsmitteln
JPH0773488B2 (ja) * 1992-12-15 1995-08-09 株式会社コバード 成形食品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JPH0777539B2 (ja) * 1993-01-25 1995-08-23 株式会社コバード 成形食品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装置
TW339262B (en) * 1993-08-26 1998-09-01 Kenbart Kk Method of cutting strip-shaped food and the device
JP2537751B2 (ja) * 1993-12-14 1996-09-25 株式会社コバード 絞り成形食品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2641033B2 (ja) 1994-10-18 1997-08-13 株式会社コバード 多層包被食品の製造方法
JP3037258B2 (ja) * 1998-02-23 2000-04-24 株式会社コバード 棒状食品切断装置
JP3371092B2 (ja) * 1999-01-08 2003-01-2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の切断搬送システム、及びこの食品生地の切断搬送システムの使用方法
US6511691B1 (en) * 1999-01-15 2003-01-28 Kellogg Company Food products and co-injection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17204A1 (en) 2002-02-14
NZ513295A (en) 2003-04-29
SG88830A1 (en) 2002-05-21
CA2354366C (en) 2004-11-09
US6709256B2 (en) 2004-03-23
AU762441B2 (en) 2003-06-26
DE60114314D1 (de) 2005-12-01
JP3471726B2 (ja) 2003-12-02
MY130011A (en) 2007-05-31
KR100445819B1 (ko) 2004-08-30
ES2247019T3 (es) 2006-03-01
DE60114314T2 (de) 2006-04-20
JP2002045109A (ja) 2002-02-12
CN1338416A (zh) 2002-03-06
RU2223651C2 (ru) 2004-02-20
HK1042460A1 (en) 2002-08-16
CN1192939C (zh) 2005-03-16
EP1177723B1 (en) 2005-10-26
AU5774401A (en) 2002-02-07
CA2354366A1 (en) 2002-02-01
EP1177723A1 (en) 2002-02-06
ATE307486T1 (de)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1347A (ko) 충전재의 외피형성 장치
JP5193489B2 (ja) 包あん機
JPH0241457A (ja) タフテイング機用油圧針棒位置決め装置の制御装置
US8950445B2 (en) Device for filling at least one dosing chamber
US4462952A (en) Mol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US5037466A (en) Pushout for I.S. machine
KR102493180B1 (ko) 스마트 솜사탕 제조기
CN209234789U (zh) 春卷包制机
JP2004000256A (ja) 包あん機
JP2001008607A (ja) 包被切断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装置の開閉駆動方法及び包被切断装置
JP2011010567A (ja) 包被切断方法及び装置
EP2550864A2 (en) Bread dough dividing machine
IT201900005838A1 (it)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e il suo trasferimento ad un'unità atta ad eseguire ulteriori operazioni sul manufatto.
US20230210160A1 (en) Food forming method and food forming device
JPH08332290A (ja) ミシンの中押え機構
CN208470804U (zh) 一种自动排列正方体工件的振动盘
US20030047085A1 (en) Apportioning and kneading device for dough
JPS646064Y2 (ko)
JP2004129524A (ja) 食品生地の包あん方法およびその装置
CA2400670A1 (en) Apportioning and kneading device for dough
EP0547821A1 (en) Glassware making machine
ITMI20010552A1 (it) Dispositivo per l'azionamento delle platine in macchine circolari permaglieria o calzetteria
EP1751070B1 (en) Driving mechanism of a plunger of a molten glass feeder machine
IT9003443A1 (it) Macchina per il dosaggio di prodotti farmaceutici particolarmente in capsule.
CH589741A5 (en) Two component coupling maintained by retractable linkage - esp. sewing machine spool holder and housing, facilitating stitch 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