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661B1 -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661B1
KR101137661B1 KR1020087001057A KR20087001057A KR101137661B1 KR 101137661 B1 KR101137661 B1 KR 101137661B1 KR 1020087001057 A KR1020087001057 A KR 1020087001057A KR 20087001057 A KR20087001057 A KR 20087001057A KR 101137661 B1 KR101137661 B1 KR 101137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sheet
paper sheets
light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266A (ko
Inventor
도요푸미 이와미
미치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1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by photoelectric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 B65H33/02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by moving a blade or like member into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65H83/025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onto and from the same side of the pile or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65H2301/42142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by introducing articles from ben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는, 지엽류를 세움상태로 재치하기 위한 테이블(10)와, 지엽류를 일시적으로 집적할 때에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률을 테이블(10) 상에 수차로 반송함과 더불어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의 조출시에 테이블(10) 상에 최전위의 지엽류의 조출을 행하는 집적 조출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는 압입부재(30)가 테이블(10) 상의 최상위의 지엽류 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누름부재(40)가 테이블(10) 상에 최후위의 지엽류와 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유지지부재(50)가 집적 조출기구(20)와 누름부재(40)와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수납공간(80)을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보유지지부(50)는, 진출시에 테이블(10) 상의 지엽류를 누름부재(40)와의 사이에서 협지되어 이들 지엽류를 일시적으로 보유지지상태로 하고, 퇴거시에 일시적으로 보유지지상태에 있는 지엽류를 해방시킨다.

Description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SHEET CONTAINER/FEEDER}
본 발명은, 외부에서 보내지는 지엽류를 일시적으로 집적한 후에 수납상태로 함과 더불어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를 외부로 조출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외부로부터 1매씩 순차로 보내지는 지엽류(지폐 등)를 세워서 수납상태로 함과 더불어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를 외부로 조출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로는,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류(paper sheet)를 일단 도입공간에 도입하고, 또 도입공간 내의 지엽류를 수납공간 내로 반송하여 수납상태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도입공간 및 수납공간은 칸막이 판 등에 의해 격리되어 있고, 도입공간 내의 지엽류를 수납공간으로 반송할 때에, 두드림 벨트(beating belt)나 강성강화장치(rigidness enhancing apparatus), 또는 집적 레버(stacking lever)가 쓰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도 입된 도입공간 내의 지엽류를 수납공간으로 반송할 때에, 지엽류가 꺾이거나 변형되거나 할 염려가 있어, 도입공간 내의 지엽류를 안정적으로 수납공간으로 반송해서 수납상태로 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 제2000-72311호 공보에는, 외부에서 보내지는 지엽류가 최초로 도입되는 도입공간과 이 도입공간 내의 지엽류가 다시 반송되어 수납상태로 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는,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지엽류와 도입공간에 유보되어 있는 지엽류를 격리하는 칸막이 판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도입공간 내에 유보되어 있는 지엽류를 수납공간에 밀어넣는 푸셔(압입판)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는,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류가 최초로 도입되는 도입공간과, 지엽류의 수납을 실행하는 수납공간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도입공간 내의 지엽류를 푸셔(pusher)로 수납공간 내로 밀어넣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푸셔에 의해 지엽류를 수납공간 내로 밀어넣을 때에 이 지엽류를 크게 만곡시키고 말아, 지엽류가 꺾이거나 변형되거나 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발명한 것으로, 지엽류의 수납(收納) 및 조출(繰出)을 실행할 때, 테이블(table) 상의 지엽류(紙葉類)가 꺾이거나 변형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구동원(驅動源)의 수를 적게 함으로써, 소형화나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류를 일시적으로 집적(集積)한 후에 수납상태로 함과 더불어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를 외부로 조출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
지엽류를 세움 상태로 재치(載置)하기 위한 테이블과,
지엽류를 일시적으로 집적할 때에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류를 상기 테이블 상으로 순차로 반송함과 더불어,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의 조출시에 상기 테이블 상의 최전위(最前位)의 지엽류에 닿아 이 최전위의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는 집적 조출기구와,
상기 테이블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 측에 설치되어, 이 최전위의 지엽류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진출시(進出時)에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를 후방으로 압압해서 이 지엽류의 상기 집적 조출기구와의 접촉을 끊고, 퇴거시에는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로부터 떨어져 이 지엽류를 상기 집적 조출기구에 닿게 하는 압입부재(pushing member)와,
상기 테이블 상의 최후위의 지엽류와 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집적 조출기구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進退)하도록 되어 있는 누름부재(holding member)와,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집적 조출기구와 상기 누름부재와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지엽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에 대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설치되어, 진출시에,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압입부재에 의해 상기 집적 조출기구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 지엽류 중 최전위의 지엽류에 닿아 이들의 지엽류를 상기 누름부재와의 사이에서 협지하여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하고, 퇴거시에는 상기 지엽류를 해방시키는 보유지지부재(retaining member)와,
상기 압입부재, 상기 누름부재 및 상기 보유지지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기구로서,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집적 조출기구로부터 떨어지도록 퇴거함과 더불어 상기 압입부재가 진출하고, 또 상기 보유지지부재가 상기 수납공간에 진출함으로써,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압입부재에 의해 상기 집적 조출기구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 지엽류를 일시적 보유지지상태로 해서 일시적 집적공간을 구획형성하고, 또, 집적 조출기구에 의해 새롭게 상기 일시적 집적공간에 집적된 지엽류를 수납상태로 할 때,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집적 조출기구를 향해 진출해서 상기 테이블 상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지엽류를 당해 집적 조출기구 측으로 압압함과 더불어 상기 보유지지부재가 상기 테이블 상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로부터 퇴거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이다.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집적 조출기구에 의해 새롭게 일시적 집적공간에 집적된 지엽류를 수납상태로 할 때, 누름부재가 집적 조출기구를 향해 진출해서 테이블 상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지엽류를 집적 조출기구 측으로 압압함과 더불어 보유지지부재가 테이블 상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로부터 퇴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집적 조출기구에 의해 새롭게 외부에서 테이블 상에 도입된 지엽류 및 테이블 상에서 이미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지엽류를 각각 변형시키지 않고 일체화시켜 수납상태로 할 수가 있다.
또, 지엽류의 수납동작과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의 인출준비를 하나의 일련동작으로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는, 상기 보유지지부재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배치된 상하 1쌍의 발톱형상부재(爪狀部材)를 갖고,
상기 각 발톱형상부재(claw)는, 상기 테이블에 대해 위치고정된 축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피봇지지(pivot)된 기단(基端)과 선단(先端)을 가진 제1 발톱부분(claw part)과, 상기 제1 발톱부분의 선단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피봇지지된 기단과 선단을 가진 제2 발톱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보유지지부재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퇴거할 때에, 상기 제1 발톱부분의 회전에 연동해서 상기 제2 발톱부분이 상기 제1 발톱부분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발톱부분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테이블 상의 새롭게 일시적 집적공간에 집적된 지엽류의 표면에 따른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유지지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각 발톱형상부재가 지엽류의 수납공간으로부터 퇴거할 때에, 이들의 발톱형상부재의 선단측에 있는 제2 발톱부분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새롭게 테이블 상의 일시적 집적공간에 집적된 지엽류의 표면에 따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 새롭게 테이블 상에 집적된 지엽류의 표면이 당해 발톱형상부재의 선단부분에 걸리거나, 이에 의해 흠집이 나거나 하는 것을 억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는,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보유지지부재를, 상기 압입부재의 진출운동과 연동해서 진출함과 더불어, 상기 누름부재의 진출운동과 연동해서 퇴거하도록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테이블 상에서의 지엽류의 이동상황에 대응해서 보유지지부재의 진퇴운동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압입부재가 진출해서 지엽류를 집적 조출기구로부터 이간시켜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할 때에는 보유지지부재를 자동적으로 진출시키고, 누름부재가 진출해서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지엽류를 수납상태로 할 때는 보유지지부재를 자동적으로 퇴거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는,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압입부재,
상기 누름부재 및 상기 보유지지부재를 연동(連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압입부재, 누름부재 및 보유지지부재의 일련의 동작을 1개의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 실행할 수가 있어, 지엽류 수납 인출장치의 전체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가진 검지 센서가 상기 테이블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은, 지엽류를 재치하기 위한 재치판과, 기단이 이 재치판에 피봇지지(pivot)되어, 상기 검지 센서의 발광부로부터 보내진 광이 당해 검지 센서의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광차단위치와 이 광을 수광부까지 통하는 통광위치(通光位置)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광차단부재를 갖고,
상기 누름부재는, 지엽류의 조출시에서 당해 누름부재가 진출할 때에 상기 테이블 상의 지엽류의 량이 기준량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광차단부재와 닿아 이 광차단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광차단부재 압출부를 갖고,
상기 검지 센서는, 지엽류의 조출시에 상기 테이블 상의 지엽류의 량이 기준량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누름부재의 광차단부재 압출부가 상기 광차단부재를 회전시켜 발광부로부터 수광부까지 보내지는 광의 상태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에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가 기준량까지 감소했을 때 그것을 검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가 있어,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는, 상기 누름부재는, 각각 다른 기준량에 대응해서 형성된 복수의 광차단부재 압출부를 갖고서, 상기 광차단부재를 회전시켜야 할 어느 1개의 광차단부재 압출부를 선택하도록,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광차단부재와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변경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남겨야 할 지엽류의 기준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고, 더구나 설정된 기준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도 1은, 지엽류의 조출가능 상태일 때의 본 발명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지엽류의 일시적 보유지지의 준비개시가 되었을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지엽류의 일시적 보유지지의 준비 중일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지엽류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새로운 지엽류가 일시적으로 집적되었을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새로운 지엽류가 일시적으로 집적된 직후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지엽류의 수납이 개시되었을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지엽류의 수납이 완료되었을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지엽류의 일시적 보유지지의 준비가 개시되었을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구동기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지엽류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구동기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지엽류의 수납량의 검출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
도 12는, 도 1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측면도,
도 13은, 지엽류의 조출될 때의 도 1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전체 구성, 각 부의 구체적 구성, 작용 효과 및 변형예에 대해 순차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는, 복수의 지엽류(지폐 등)를 세움 상태로 재치하기 위한 테이블을 이루는 재치판(載置板; 10)과, 지엽류를 일시적으로 집적할 때에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류를 재치판(10) 상에 순차로 반송함과 더불어,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의 조출시에 재치판(10)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에 닿아 이 최전위의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는 집적 조출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재치판(10) 상에는, 당해 재치판(10) 상에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 측(도 1에서의 지엽류 군의 좌측)에서, 이 최전위의 지엽류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압입판(압입부재; 30)이 집적 조출기구(20)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재치판(10) 상에는, 당해 재치판(10) 상에 있는 최후위의 지엽류 측(도 1에서의 지엽류 군의 오른쪽)에서 집적 조출기구(20)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누름판(누름부재; 4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누름판(40) 보다도 전방(도 1의 왼쪽)에는, 재치판(10) 상에서 집적 조출기구(20)와 누름판(40)과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수납공간(80)에 대해 자유로이 진퇴하도록 되어 있는 보유지지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공간(80)은, 지엽류를 최종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는, 압입판(30), 누름판(40) 및 보유지지부재(50)를 연동시키면서 구동하는 구동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집적 조출기구(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킥커 롤러(kicker roller; 21)와, 킥커 롤러(21)의 하방에 설치되어 지엽류의 조입(繰入) 또는 조출(繰出)을 실행할 때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피드 롤러(22)와, 피드 롤러(22)에 닿도록 위치 고정되어 이 피드 롤러(22)와의 사이에서 게이트부(G)를 형성하는 게이트 롤러(23)로 구성되어 있다. 킥커 롤러(21)의 근방에는, 재치판(10)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집적 레버(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게이트 롤러(23)의 측방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회전식 지폐 두들기용 고무 날개차(rubber vane wheel; 25)가 설치되어 있는바, 지엽류의 조입시에 이 회전식 지폐 두들기용 고무 날개차(25)는 게이트 롤러(23)와 대략 동축으로 되는 위치로 이동하고(도 5 등 참조), 한편 지엽류의 조출시에 이 회전식 지폐 두들기용 고무 날개차(25)는 게이트부(G)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집적 조출기구(20)에서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는, 집적 레버(24)는 킥커 롤러(21)보다 지엽류 군에 대해 후방(도 1의 왼쪽 방향)으로 끌어 들여지고, 이 킥커 롤러(21)는 재치판(10)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에 닿아 당해 최전위의 지엽류의 아래쪽으로의 축출(蹴出)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킥커 롤러(21)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는 게이트부(G)로 보내져, 피드 롤러(22)가 지엽류의 표면에 닿아 이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때, 이 게이트부(G)는 피드 롤러(22)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1매씩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집적 조출기구(20)에서 지엽류의 조입을 실행할 때는, 피드 롤러(22)는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류를 순차로 도입하고, 피드 롤러(22)에 의해 도입된 지엽류는 재치판(10) 상으로 보내져 일시적으로 집적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회전식 지폐 두들기용 고무 날개차(25)에 의해, 피드 롤러(22)에 의해 도입된 지엽류가 채어 올려져 재치판(10) 상에 가지런히 정렬되도록 되어 있다.
압입판(30)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재치판(10)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 측(도 1에서의 지엽류 군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고, 최전위의 지엽류를 향해 도 1의 좌우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압입판(30)은, 진출시에 최전위의 지엽류를 후방(도 1의 오른쪽 방향)으로 압압해서 이 지엽류의 킥커 롤러(21)와의 접촉을 끊고, 퇴거시에는 최전위의 지엽류로부터 떨어져 킥커 롤러(21)의 지엽류 당접부보다 후방(도 1의 왼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판(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전위의 지엽류와의 당접면이 재치판(10)에 대해 수직방향 위쪽으로 뻗어 있다.
누름판(40)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재치판(10) 상의 최후위의 지엽류 측(도 1에서의 지엽류 군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고, 집적 조출기구(20)의 킥커 롤러(21)를 향해 도 1의 좌우방향으로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누름판(4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후위의 지엽류와의 당접면이 재치판(10)에 대해 수직방향 위쪽으로 뻗어 있고, 이 최후위의 지엽류 측을 뒤쪽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재치판(10) 상의 복수의 지엽류를 세움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유지지부재(50)는, 지엽류의 수납공간(80)보다도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배치된 상하 1쌍의 발톱형상부재(51, 52)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발톱형상부재(51) 및 하부 발톱형상부재(52)의 조(組)를 가진 보유지지부재(50)는 지엽류의 폭방향(도 1의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 1쌍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즉, 합계 4개의 발톱형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유지지부재(50)의 진출시에는, 상부 발 톱형상부재(51)가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돌출해서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 상부에 닿고, 동시에 하부 발톱형상부재(52)는 위쪽으로 수직으로 돌출해서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 하부에 닿아, 이에 의해 재치판(10) 상에서, 킥커 롤러(21)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엽류를 누름판(40)과의 사이에서 협지하여 일시적 보유지지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유지지부재(50)의 퇴거시에는, 상부 발톱형상부재(51)가 위쪽으로 퇴거해서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지고, 동시에 하부 발톱형상부재(52)가 하방으로 퇴거해서 이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이에 의해 보유지지부재(50)는 재치판(10) 상의 지엽류로부터 떨어져 이들 지엽류를 해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부 발톱형상부재(51) 및 하부 발톱형상부재(52)는, 각각, 기단 측의 제1 발톱부분(51a, 52a)과, 선단측의 제2 발톱부분(51b, 5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발톱부분(51a, 52a)은, 재치판(10)에 대해 위치고정된 축(51c, 52c)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피봇지지된 기단과 선단을 갖고 있다. 또, 제2 발톱부분(51b, 52b)은, 각각 제1 발톱부분(51a, 52a)의 선단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피봇지지된 기단과 선단을 갖고 있다. 상부 발톱형상부재(51) 및 하부 발톱형상부재(52)의 내부에는, 각각, 제1 발톱부분(51a, 52a)과 제2 발톱부분(51b, 52b)과의 사이에 개재된 비틀림 코일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통상 상태에서 제1 발톱부분(51a, 52a) 및 제2 발톱부분(51b, 52b)은 직선상으로 되어 일체적으로 뻗게 되고(도 1 참조), 또 제2 발톱부 분(51b, 52b)에 외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힘이 가해졌을 때에만, 각각 제2 발톱부분(51b)은 제1 발톱부분(51a)에 대해(도면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제2 발톱부분(52b)은 제1 발톱부분(52a)에 대해(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도 7 참조).
보유지지부재(50)의 진출시에는, 지엽류의 수납공간(80)의 상방으로부터 상부 발톱형상부재(51)의 제1 발톱부분(51a) 및 제2 발톱부분(51b)이 직선상으로 되어 일체적으로 하방으로 뻗음과 더불어, 지엽류의 수납공간(80)의 하방으로부터 하부 발톱형상부재(52)의 제1 발톱부분(52a) 및 제2 발톱부분(52b)이 직선상으로 되어 일체적으로 위쪽으로 뻗어, 이들 발톱부분(51a, 51b, 52a, 52b)에 의해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을 밀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발톱부분(51a, 52a)의 기단에는, 뒤에 설명되듯이 각각의 제1 발톱부분(51a, 52a)을 회전시키는 작동부재(55, 56; 도 9, 10 참조)가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보유지지부재(50)의 퇴거시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발톱형상부재(51)의 제1 발톱부분(51a)이 위치고정된 축(51d)에 대해(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제2 발톱부분(51b)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제1 발톱부분(51a)에 대해(도면의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하부 발톱형상부재(52)의 제1 발톱부분(52a)이 위치고정된 축(52c)에 대해(도면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제2 발톱부분(52b)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제1 발톱부분(52a)에 대해(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발톱부분(51b, 52b)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재치판(10) 상의 새롭게 일시적 집적공간(81)에 집적된 지엽류(뒤에 설명됨)의 표면에 따른 상태를 유지한다.
구동기구(60)의 구성의 상세히 대해 도 9 및 도 10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지엽류의 일시적 보유지지의 준비가 개시될 때의 구동기구(6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지엽류가 일시적으로 보유지지상태에 있을 때 구동기구(6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구동기구(6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원으로서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이 모터에 부착된 축(61)과, 축(6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제1 롤러(62)와, 이 제1 롤러(62)보다도 후방(도 9의 우측)에 설치되어 축(63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제2 롤러(63)와, 제1 롤러(62) 및 제2 롤러(63)에 걸린 제1 무단형상 벨트(64)를 갖고 있다. 제2 롤러(63)의 축(63a)에는 압압부재(76)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제2 롤러(63)의 상방에는 대략 타원형의 링크부재(6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링크부재(65)는 재치판(10)에 대해 위치고정된 축(65a)을 갖고서, 이 축(65a)을 중심으로 해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축(65a)은, 대략 타원형의 링크부재(65)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링크부재(65)의 측면에는 링크부재 롤러(65b)가 부착되어 있다. 링크부재 롤러(65b) 및 제2 롤러(63)에는 제2 무단형상 벨트(69)가 걸쳐져 있다. 즉, 모터에 의해 축(61)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링크부재(65)도 축(65a)을 중심으로 해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 어 있다.
링크부재(65)의 측면 단부 근방에는 봉상 부재(66)의 일단(66a)이 피봇지지되어 있고, 이 봉상 부재(66) 타단(66b)은 압입판(30)에 의해 피봇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링크 부재(65)가 축(65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압입판(30)이 재치판(10) 상에서 도 9의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누름판(40)의 이면(도 9의 오른쪽 면)에는 링크부재(68)가 부착되어 있고, 이 링크부재(68)는 제1 무단형상 벨트(64)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링크부재(68)는 축(61)의 회전에 대응해서 도 9의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부 발톱형상부재(51) 및 하방 발톱형상부재(52)의 제1 발톱부분(51a, 52a)의 기단에는 각각 작동부재(55, 56)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바, 이들 작동부재(55, 56)는 제1 발톱부분(51a, 52a)의 기단축(基端軸; 51c, 52c)을 중심으로 해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킥커 롤러(21)를 향해(도 9의 좌우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브래킷(67)이 제1 롤러(62)의 위쪽으로 설치되어 있고, 작동부재(55, 56)의 타단은 이 브래킷(67)에 대해 연직방향(도 9의 상하방향)으로만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브래킷(67)은, 재치판(10)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를 향하는 압입판(30)의 진출운동과 연동해서 도 9의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음과 더불어, 집적 조출기구(20)의 킥커 롤러(21)를 향한 누름판(40)의 진출운동과 연동해서 도 9의 왼쪽으 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압입판(30)이 킥커 롤러(21)로부터 떨어지도록 움직일 때는 이 브래킷(67)도 킥커 롤러(21)와 떨어지도록 이동하고(도 9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거기에 수반해서 작동부재(55)가 제1 발톱부분(51a)의 기단축(51c)을 중심으로 해서(도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작동부재(56)가 제1 발톱부분(52a)의 기단축(52c)을 중심으로 해서(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작동부재(55, 56)에 고정된 상부 발톱형상부재(51) 및 하방 발톱형상부재(52)도 각각 제1 발톱부분(51a, 52a)의 기단축(51c, 52c)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여, 이들의 상부 발톱형상부재(51) 및 하부 발톱형상부재(52)가 수납공간(80)을 향해 각각 하방 및 위쪽으로 진출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누름판(40)이 킥커 롤러(21)를 향해 움직일 때는, 축(63a)의 회전에 의해 압압부재(76)도 회전하여, 이 압압부재(76)가 브래킷(67)에 부착된 핀(67a)을 도 10의 왼쪽으로 압압한다. 이 때문에, 브래킷(67)도 킥커 롤러(21)를 향해 이동하고(도 10의 왼쪽으로 이동하고), 거기에 수반해서 작동부재(55)가 제1 발톱부분(51a)의 기단축(51c)을 중심으로 해서(도면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작동부재(56)가 제1 발톱부분(52a)의 기단축(52c)을 중심으로 해서(도면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상부 발톱형상부재(51) 및 하부 발톱형상부재(52)도 각각 수납공간(80)으로부터 퇴피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재치판(10) 상에서의 지엽류의 이동상황에 대응해서 수납공간(80)에 대한 보유지지부재(50)의 진퇴운동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압 입판(30)을 진출시켜 지엽류를 집적 조출기구(20)로부터 이간시켜 집적할 때에는 보유지지부재(50)를 자동적으로 진출시키고, 누름판(40)을 진출시켜 지엽류를 재치판(10) 상의 조출위치에 도달시킬 때에는 보유지지부재(50)를 자동적으로 퇴거시킬 수가 있다.
또, 회전식 지폐 두들기용 고무 날개차(25)는 날개차 지지부재(77)에 부착되어 있고, 이 날개차 지지부재(77)는 축(77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킬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의 축(61)의 회전에 대응해서, 압압부재(76)의 하단에 접속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양단 축(79a, 79b)을 가진 링크부재(79)를 매개로 브래킷(78)이 축(78a)을 중심으로서 회전하여, 날개차 지지부재(77)의 핀(77b)에 브래킷(78)에 설치된 돌기가 닿게 됨으로써, 이 브래킷(78)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9,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터에 의해 축(61)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식 지폐 두들기용 고무 날개차(25)는 게이트부(G)로부터 이간된 위치(도 9 참조)로부터 게이트 롤러(23)와 대략 동축의 위치(도 10 참조)까지 이동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동기구(60)에서, 모터에 의해 축(61)을 회전시켜줌으로써, 압입판(30), 누름판(40) 및 보유지지부재(50)를 연동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압입판(30), 누름판(40) 및 보유지지부재(50)의 일련의 동작을 이 모터와 같은 1개의 구동원에 의해 실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전체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가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로, 재치판(10) 상에 있는 지엽류를 일시적 보유지지상태로 하는 조작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재치판(10) 상에서 지엽류를 세움 상태로 유지하고 있던 누름판(40)이 킥커 롤러(20)로부터 떨어지도록 도 2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압입판(30)도 이 누름판(40)과 연동해서 킥커 롤러(21)로부터 떨어지도록 도 2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재치판(10) 상의 지엽류는, 압입판(30)과 누름판(40)과의 사이에서 협지되면서 킥커 롤러(21)로부터 떨어지도록 도 2의 오른쪽 방향에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와 같은 재치판(10) 상의 지엽류의 일시적 보유지지를 개시하는 조작을 실행함에 있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퇴거상태로 되어 있던 보유지지부재(50)도 압입판(30)의 진출운동과 연동해서 수납공간(80)에의 진출을 개시한다.
그리고 보유지지부재(50)의 상부 발톱형상부재(51)가 하방으로 돌출해서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 상부에 닿고, 동시에 하부 발톱형상부재(52)가 위쪽으로 돌출해서 이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 하부에 닿는다. 이에 의해 재치판(10) 상의 지엽류가 보유지지부재(50)와 누름판(40)과의 사이에서 보유지지된다(도 3 참조).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입판(30)이 누름판(4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퇴거한다. 이와 같이 해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는, 집적 조출기구(20)와 보유지지부재(50)와의 사이에 일시적 집적공간(81)을 구획형성함과 더불어 지엽류를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다음에는, 집적 조출기구(20)에 의해 새롭게 외부로부터 순차로 보내지는 지 엽류를 일시적 집적공간(81)에 집적하는 조작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이용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공정에서, 외부로부터 피드 롤러(22)와 게이트 롤러(23)와의 사이의 게이트부(G)에 지엽류가 순차로 보내진다. 여기서, 피드 롤러(22)는 도 5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있다.
외부로부터 보내진 지엽류는 피드 롤러(22)에 의해 내부로 도입되고, 이 도입된 지엽류는 회전식 지폐 두들기용 고무 날개차(25)에 의해 후단이 채어져 들어가 재치판(10) 상에 보내진다. 재치판(10) 상으로 보내져 일시적 집적공간(81)에 집적된 지엽류는 집적 레버(24)와 보유지지부재(50)와의 사이에서 세움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재치판(10) 상에서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되어 있는 지엽류와 일시적 집적공간(81)에 있는 일시적으로 집적된 지엽류를 일체화해서, 수납공간(80)에서 수납상태로 하는 공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압입판(30)은 계속해 퇴거상태로 되어 있다.
이 공정에서, 보유지지부재(50)의 상부 발톱형상부재(51)가 위쪽으로 퇴거해서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지고, 동시에 하부 발톱형상부재(52)가 하방으로 퇴거해서 최전위의 지엽류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해 보유지지부재(50)는 재치판(10) 상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지엽류로부터 떨어져 이들 지엽류를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부터 해방시킨다(도 7 및 도 8 참조). 이때에,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발톱부분(51a, 52a) 의 회전에 연동해서 제2 발톱부분(51b, 52b)이 제1 발톱부분(51a, 52a)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2 발톱부분(51b, 52b)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재치판(10) 상의 일시적집적공간(81) 내에 있는 지엽류의 표면에 따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시적 집적공간(81) 내에 있는 최후위의 지엽류의 표면이 상부 발톱형상부재(51) 또는 하부 발톱형상부재(52)의 선단에 걸리거나, 이에 의해 흠집이 지거나 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누름판(40)이 킥커 롤러(21)를 향해 진출하여, 재치판(10) 상의 지엽류를 킥커 롤러(21) 측으로 압압한다.
그 후, 집적 레버(24)가 킥커 롤러(21)보다 후퇴하고, 이들 동작에 의해 지엽류의 수납조작 및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의 조출준비가 완료된다(도 1 참조). 즉, 수납상태에 있는 재치판(10)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가 킥커 롤러(21)에 닿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지엽류의 외부로의 조출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킥커 롤러(21)는 이 닿은 최전위의 지엽류의 아래쪽으로의 축출을 실행하고, 축출된 지엽류는 게이트부(G)로 보내진다. 피드 롤러(22)는 게이트부(G)로 보내진 지엽류의 표면에 닿아 이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한다. 그때에, 이 게이트부(G)는 피드 롤러(22)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1매씩 분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자유로이 진퇴하는 압입판(압입부재; 30)이 재치판(테이블; 10)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 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누름판(누름부재; 40)가 재치판(테이블; 10) 상의 최후위의 지엽류와 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유지지부재(50)가 집적 조출기구(20)와 누름판(40)과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수납공간(80)을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진출시에 재치판(10) 상의 지엽류를 누름판(40)과의 사이에서 협지해서 일시적 보유지지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집적 조출기구(20)에 의해 새롭게 일시적 집적공간(81)에 집적된 지엽류를 수납상태로 할 때, 누름판(40)이 집적 조출기구(20)를 향해 진출해서 재치판(10) 상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지엽류를 집적 조출기구(20) 측으로 압압함과 더불어 보유지지부재(50)가 재치판(10) 상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로부터 퇴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집적 조출기구(20)에 의해 새롭게 외부로부터 재치판(10) 상에 집적된 지엽류 및 재치판(10) 상에서 이미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지엽류를 각각 변형시키지 않고 일체화시켜 수납상태로 할 수가 있다.
또, 지엽류의 수납동작과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의 인출준비를 한 번의 일련동작으로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는, 상기의 실시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을 가할 수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에 의해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지엽류의 수납량의 검출기구를 구비한 지엽 류 수납 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上面圖)이고, 도 12는, 도 1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지엽류의 조출시에서의 도 1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는,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의 조출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내부에 존재하는 지엽류의 량(이하, 「지엽류 재고」라고도 함)이 기준량까지 감소했을 때 그것을 검지할 수가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치판(10)의 근방에서의 누름판(40)의 폭방향 바깥쪽으로 검지 센서(근접 센서; 7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검지 센서(70)는 발광부(71) 및 수광부(72)를 갖고 있다. 검지 센서(70)는, 발광부(71)로부터 보내진 광을 수광부(72)에서 받음으로써 검지 동작을 실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방으로 뻗은 광차단부재 지지기(支持器; 11)가 재치판(1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광차단부재 지지기(11)의 하단에는, 다시 광차단부재(12)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광차단부재(12)는, 비틀림 코일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발력에 의해 광차단부재 지지기(11)로부터 바로 밑으로 뻗은 상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광차단부재 지지기(11)는 재치판(10)에 대해 누름판(40)의 폭 방향(도 11의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가 있도록 부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광차단부재(12)도 누름판(40)의 폭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2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뻗은 축(12a)에 의해 광차단부재(12)의 기단이 광차단부재 지지기(11)에 피봇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차단부재(12)는 축(12a)을 중심으로 해서 수직면 내에서 회전할 수가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광차단부재(12)에 대해 외부로부터 아무런 힘도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광차단부재(12)는, 비틀림 코일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발력으로 축(12a)으로부터 바로 밑으로 뻗어있게 된다. 이때의 광차단부재(12)의 위치를 「광차단위치」라고 한다. 이 광차단위치의 상세히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또,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치판(10)의 하부면에는, 검지 센서(70)의 발광부(71)로부터 보내진 광을 반사시켜 수광부(72)에 도달시키는 반사기(15)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광차단부재(12)에 대해 외부로부터 아무 힘도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광차단위치에 있는 광차단부재(12)에 의해, 검지 센서(70)의 발광부(71)로부터 반사기(15)까지의 광의 경로, 또는 반사기(15)로부터 검지 센서(70)의 수광부(72)까지의 광의 경로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누름판(40)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누름판(40)의 진출시에 광차단부재(12)와 닿아 당해 광차단부재(12)를 회전시킬 수 있는 복수(예컨대 3개)의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들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는 각각 재치판(10)의 하방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누름판(40)의 진퇴운동과 연동해서 도 11 및 도 12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각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는, 누름판(40)의 진행방향(도 11의 왼쪽방향)에서의 선단의 위치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광차단부 재 압출부(41, 42, 43)의 선단 중 광차단부재 압출부(43)의 선단이 누름판(40)의 진출방향으로 가장 전방에 위치해 있고, 광차단부재 압출부(41)의 선단이 가장 후방에 위치해 있다.
또, 각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의 폭의 크기는 각각 광차단부재(12)의 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 누름판(40)이 전방(도 11의 왼쪽)으로 진출했을 때에,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 중의 어느 1개의 압출부만 광차단부재(12)와 닿아, 이 광차단부재(12)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광차단부재 압출부(41)는 기준량을 예컨대 유통되는 지폐(지엽류) 100매에 상당하는 량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쓰이고, 광차단부재 압출부(42)는 기준량을 유통되는 지폐 200매에 상당하는 량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쓰이고, 광차단부재 압출부(43)는 기준량을 유통되는 지폐 300매에 상당하는 량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쓰인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변형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지엽류의 재고를 검출하는 타이밍은,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가 조출가능상태에 있을 때 또는 지엽류가 조출되고 있는 기간 중이다. 즉, 누름판(40)이 킥커 롤러(21)를 향해 도 12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을 행해지고 있는 사이 또는 이동완료 후에 지엽류 재고를 검출할 수가 있다.
여기서, 누름판(40)과 킥커 롤러(21)와의 사이에 지엽류가 협지되어 있음으로써, 재치판(10) 상의 지엽류 재고에 의해 누름판(40)의 위치가 결정되게 된다. 즉, 재치판(10) 상의 지엽류의 량이 감소함에 따라, 누름판(40)은 킥커 롤러(21) 측(도 11, 도 12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오퍼레이터는 미리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남겨야 할 지엽류의 기준량을, 각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의 구성에 대응해서 설정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300매에 상당하는 량의 지엽류를 남기고 싶은 경우에는, 「기준량 = 300매」의 설정에 대응하는 광차단부재 압출부(43)가 광차단부재(12)를 압출하도록, 광차단부재 지지기(11)를 재치판(10)의 폭 방향을 따라 소망하는 위치로 미리 이동시켜 놓는다.
집적 조출기구(20)가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를 외부로 순차로 조출했을 때에는, 재치판(10) 상의 지엽류 재고가 감소하고, 누름판(40)이 킥커 롤러(21)에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재치판(10) 상의 지엽류 재고가 300매에 상당하는 량으로 되었을 때에,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누름판(40)에 부착된 광차단부재 압출부(43)가 광차단부재(12)를 킥커 롤러(21) 측으로 압출한다.
이에 의해, 광차단부재(12)가 통광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발광부(71)로부터 발해진 광은 광차단부재(12)에 차단되지 않고 반사기(15)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72)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해서, 재치판(10) 상의 지엽류 재고가 기준량(지엽류 300매에 상당하는 량)에 도달한 것을 검지 센서(70)가 검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오퍼레이터가 기준량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기준량을 예컨대 지엽류 200매에 상당하는 량으로 재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기준량 = 지엽류 200매에 상당하는 량」의 설정에 대응하는 광차단부재 압출부(42)가 광차단부재(12)를 압출하도록 광차단부재 지지기(11)의 재치판(10)에 대한 폭방향 위치 를 변경하기만 하여도 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구성 대신, 예컨대 광차단부재 지지기(11)의 위치가 고정됨과 더불어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가 누름판(40)에 대해 폭 방향(도 11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소망하는 기준량의 재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지엽류를 조출할 때, 재치판(10) 상의 지엽류의 량이 기준량으로 되었을 때에 누름판(40)의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가 광차단부재(12)를 광차단위치로부터 통광위치로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발광부(71)로부터 수광부(72)까지 보내지는 광의 상태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검지 센서(70)에 의해 검지된다. 이 때문에,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에 지엽류 재고가 기준량까지 감소했을 때 그것을 검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가 있어,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누름판(40)에는, 각각 다른 기준량에 대응해서 형성된 복수의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가 부착되어 있어, 광차단부재(12)를 회전시켜야 할 어느 1개의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를 선택하도록, 누름판(40)과 광차단부재(12)와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베레이터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내부에 남겨야 할 기준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고, 더구나 설정된 기준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변형예에서는, 광차단부재(12)에 대해 외부로부터 아무런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이 광차단부재(12)가 광차단위치에 있고, 지엽류의 량이 기준량에 이르렀을 때에 광차단부재(12)가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에 압출되어 통광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검지 센서(70)의 부착 위치를 바꾸어, 광차단부재(12)에 대해 외부로부터 아무런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광차단부재(12)가 통광위치에 있고, 지엽류의 량이 기준량에 이르렀을 때에 광차단부재(12)이 광차단부재 압출부(41, 42, 43)에 압출되어 광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류를 일시적으로 집적한 후에 수납상태로 함과 더불어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를 외부로 조출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
    지엽류를 세움 상태로 재치하기 위한 테이블과,
    지엽류를 일시적으로 집적할 때에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지엽류를 상기 테이블 상에 순차로 반송함과 더불어, 수납상태에 있는 지엽류의 조출시에 상기 테이블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에 닿아 이 최전위의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는 집적 조출기구와,
    상기 테이블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 측에 설치되어, 이 최전위의 지엽류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진출시에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를 후방으로 압압해서 이 지엽류의 상기 집적 조출기구와의 접촉을 끊고, 퇴거시에는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로부터 떨어져 이 지엽류를 상기 집적 조출기구에 닿게 하는 압입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의 최후위의 지엽류와 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집적 조출기구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누름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집적 조출기구와 상기 누름부재와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지엽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에 대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설치되어, 진출시에,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압입부재에 의해 상기 집적 조출기구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 지엽류 중 최전위의 지엽류에 닿아 이들의 지엽류를 상기 누름부재와의 사이에 협지해서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하고, 퇴거시에는 상기 지엽류를 해방시키는 보유지지부재와,
    상기 압입부재, 상기 누름부재 및 상기 보유지지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기구로서,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집적 조출기구로부터 떨어지도록 퇴거함과 더불어 상기 압입부재가 진출하고, 또 상기 보유지지부재가 상기 수납공간에 진출함으로써,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압입부재에 의해 상기 집적 조출기구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한 지엽류를 일시적 보유지지상태로서 일시적 집적공간을 구획형성하고, 또한 집적 조출기구에 의해 새롭게 상기 일시적 집적공간에 집적된 지엽류를 수납상태로 할 때,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집적 조출기구를 향해 진출함과 더불어 상기 보유지지부재가 상기 테이블 상의 일시적 보유지지 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으로부터 퇴거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재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배치된 상하 1쌍의 발톱형상부재를 갖고,
    상기 각 발톱형상부재는, 상기 테이블에 대해 위치고정된 축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피봇지지된 기단과, 선단과를 가진 제1 발톱부분과, 상기 제1 발톱부분의 선단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피봇지지된 기단과, 선단과를 가진 제 2 발톱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보유지지부재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퇴거할 때에, 상기 제1 발톱부분의 회전에 연동해서 상기 제2 발톱부분이 상기 제1 발톱부분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발톱부분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테이블 상의 새롭게 일시적 집적공간에 집적된 지엽류의 표면에 따른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유지지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보유지지부재를, 상기 압입부재의 진출운동과 연동해서 진출함과 더불어, 상기 누름부재의 진출운동과 연동해서 퇴거하도록 동작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압입부재, 상기 누름부재 및 상기 보유지지부재를 연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가진 검지 센서가 상기 테이블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은, 지엽류를 재치하기 위한 재치판과, 기단이 이 재치판에 피봇 지지 되어, 상기 검지 센서의 발광부로부터 보내진 광이 당해 검지 센서의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광차단위치와 이 광을 수광부까지 통하는 통광위치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광차단부재를 갖고,
    상기 누름부재는, 지엽류의 조출시에서 당해 누름부재가 진출할 때에 상기 테이블 상의 지엽류의 량이 기준량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광차단부재와 닿아 이 광차단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광차단부재 압출부를 갖고,
    상기 검지 센서는, 지엽류의 조출시에서 상기 테이블 상의 지엽류의 량이 기준량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누름부재의 광차단부재 압출부가 상기 광차단부재를 회전시켜 발광부로부터 수광부까지 보내지는 광의 상태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각각 다른 기준량에 대응해서 형성된 복수의 광차단부재 압출부를 갖고서, 상기 광차단부재를 회전시켜야 할 어느 1개의 광차단부재 압출부를 선택하도록,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광차단부재와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KR1020087001057A 2005-08-05 2005-08-05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KR101137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4430 WO2007017923A1 (ja) 2005-08-05 2005-08-05 紙葉類収納繰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66A KR20080033266A (ko) 2008-04-16
KR101137661B1 true KR101137661B1 (ko) 2012-04-20

Family

ID=3772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057A KR101137661B1 (ko) 2005-08-05 2005-08-05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7545B2 (ko)
EP (1) EP1911711B1 (ko)
JP (1) JP4579296B2 (ko)
KR (1) KR101137661B1 (ko)
CN (1) CN100591601C (ko)
CA (1) CA2617971A1 (ko)
WO (1) WO2007017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4999B2 (ja) * 2007-12-12 2013-08-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945424B2 (ja) * 2007-12-17 2012-06-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分離集積装置
ATE532729T1 (de) * 2008-08-29 2011-11-15 Mueller Martini Holdin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aus druckbogen bestehenden stapeln
IT1392251B1 (it) * 2008-12-02 2012-02-22 Cts Electronics S P A Dispositivo di deposito, o deposito e dispensazione per banconote, assegni e/o documenti
JP5234795B2 (ja) * 2009-02-27 2013-07-10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
JP5469554B2 (ja) * 2009-08-28 2014-04-16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シート集積装置
EP2316767B1 (de) * 2009-11-03 2012-08-29 Müller Martini Holdin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tapeln aus Druckprodukten
JP5416628B2 (ja) * 2010-03-18 2014-02-12 株式会社沖データ 原稿搬送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0445B2 (ja) * 2010-08-26 2014-03-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集積装置
JP5659089B2 (ja) * 2011-06-15 2015-01-28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FR2995591B1 (fr) * 2012-09-19 2015-08-14 Solystic Dispositif d'empilage d'objets plats, dispositif de stockage pour objets plats postaux et machine de tri postal
CN103150810B (zh) * 2013-03-29 2015-11-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设备及其出入钞机构
KR101671572B1 (ko) * 2014-06-20 2016-11-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JP6189797B2 (ja) * 2014-06-27 2017-08-3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CN104355191B (zh) * 2014-09-04 2016-12-0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递钞式纸币输送装置
KR101916576B1 (ko) * 2017-03-31 2018-11-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분리집적부
DE102017004641A1 (de) * 2017-05-15 2018-11-29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Befüllen von Wertdokumentkassetten
WO2019150451A1 (ja) * 2018-01-30 2019-08-0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及び紙葉類集積装置の制御方法
CN110422679A (zh) * 2019-08-26 2019-11-08 常州汉威信科技股份有限公司 双向收纸装置及其工作方法和打印机
CN113928903A (zh) * 2021-10-18 2022-01-14 东莞市浩信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捆书机的不停机分纸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834A (en) 1995-08-02 1996-09-03 Pitney Bowes Inc. Pressure roller mechanism for stacking apparatus
JP2000072311A (ja) 1998-08-28 2000-03-07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JP2002211824A (ja) 2001-01-19 2002-07-31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5432A (en) * 1978-06-30 1980-11-25 Marquip, Inc. Sheet feeding
JPS5960594A (ja) * 1982-09-29 1984-04-06 富士通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S59212333A (ja) * 1983-05-16 1984-12-01 Toshiba Corp 紙葉類の集積・取出し装置
JPS6123037A (ja) * 1984-07-09 1986-01-31 Hitachi Ltd 紙葉類収納装置
JPS628922A (ja) * 1985-07-03 1987-01-16 Nec Corp 紙幣還流金庫
JP2613923B2 (ja) * 1988-08-15 1997-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H0295627A (ja) * 1988-09-30 1990-04-06 Omron Tateisi Electron Co 紙葉類の繰出・集積装置
JP3145146B2 (ja) * 1991-09-05 2001-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5262446A (ja) * 1992-03-18 1993-10-12 Toshiba Corp 紙葉類取引装置
JP2805699B2 (ja) * 1993-11-30 1998-09-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US5709525A (en) * 1995-08-02 1998-01-20 Pitney Bowes Inc. Envelope stacker
DE19545057C1 (de) * 1995-12-02 1996-08-29 Licentia Gmbh Verfahren zum Zuführen von flachen Sendungen zur Saugvereinzelung einer Stoffeingabe
FR2777876B1 (fr) * 1998-04-24 2000-06-30 Realisations Etudes Et Commerc Dispositif d'empilage et de transfert de cahiers imprimes sous forme de cartouches
JP3977982B2 (ja) * 2000-05-19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収納放出庫及び紙幣入出金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834A (en) 1995-08-02 1996-09-03 Pitney Bowes Inc. Pressure roller mechanism for stacking apparatus
JP2000072311A (ja) 1998-08-28 2000-03-07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JP2002211824A (ja) 2001-01-19 2002-07-31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7923A1 (ja) 2007-02-15
EP1911711A1 (en) 2008-04-16
JPWO2007017923A1 (ja) 2009-02-19
US20080230981A1 (en) 2008-09-25
CN101238056A (zh) 2008-08-06
EP1911711A4 (en) 2011-01-19
KR20080033266A (ko) 2008-04-16
JP4579296B2 (ja) 2010-11-10
CA2617971A1 (en) 2007-02-15
US7677545B2 (en) 2010-03-16
EP1911711B1 (en) 2012-06-06
CN100591601C (zh)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661B1 (ko)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
KR100789636B1 (ko) 스택롤러 및 스택가이드의 위치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S586633B2 (ja) 給紙装置
KR20110053966A (ko) 매체 처리 장치
US4739982A (en) Sheet separating apparatus
JP2772171B2 (ja) 現金処理装置の入出金機構
JP4334673B2 (ja)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H06263303A (ja) 紙幣集積装置
WO2001037777A1 (en) Device for feeding hard-gelatin capsules to a capping machine
JP2010198253A (ja) 紙葉類取扱装置
JP6598470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0011233A (ja) 紙葉類集積装置
JP3483682B2 (ja) 処理機械の可動枠装着検知装置
JP3995880B2 (ja) カード発行装置
JP2002060071A (ja) カード繰出装置
JP3258099B2 (ja) 紙幣束収納投出装置
JPH09142717A (ja) 紙葉類処理機における集積紙葉類搬送装置
JP6649140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6153330A (ja) 媒体引渡装置及び媒体集積受渡機構
JP4064619B2 (ja) カード発行装置
JP2546211Y2 (ja) カード自動供給装置
JP3490199B2 (ja) 紙幣出金機
JP2016056020A (ja) カード収容排出モジュール
JPH09142676A (ja) 投出紙葉類補充装置を備えた紙葉類投出処理機
JP6308675B2 (ja) 紙幣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