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572B1 -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572B1
KR101671572B1 KR1020140075952A KR20140075952A KR101671572B1 KR 101671572 B1 KR101671572 B1 KR 101671572B1 KR 1020140075952 A KR1020140075952 A KR 1020140075952A KR 20140075952 A KR20140075952 A KR 20140075952A KR 101671572 B1 KR101671572 B1 KR 101671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ntegrated
media
accumula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622A (ko
Inventor
구건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7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572B1/ko
Priority to US14/742,175 priority patent/US9950890B2/en
Priority to DE102015211217.9A priority patent/DE102015211217A1/de
Priority to CN201510347609.0A priority patent/CN105205940B/zh
Publication of KR2015014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65H2301/42142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by introducing articles from ben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3Press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5Ab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65H2515/34Pressure, e.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집적장치는, 집적공간에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롤러; 상기 집적롤러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놓인 매체가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집적 가이드;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 각각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동장치; 및 상기 다수의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집적 가이드 중 제1집적 가이드에 매체가 지지된 상태에서 집적된 매체를 세우기 위하여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다수의 이동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Medium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금융기기는 지폐 및 수표 등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59139호(공개일 2010.06.04.)에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매체가 세워진 상태로 집적, 즉, 수직 집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시트롤러와 아이들 롤러에 의해서 인입되는 매체가 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상태로 집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적 가이드는 집적된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면,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매체집적장치에 의하면,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집적 가이드가 이동하게 되면, 집적된 매체의 하측은 집적면에 접촉한 상태이므로, 매체는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매체가 쓰러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체가 쓰러지게 되면, 상기 집적공간에 집적될 매체의 양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집적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워진 상태로 집적된 매체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집적 가능한 매체의 매수가 최대화될 수 있는 매체집적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집적장치는, 집적공간에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롤러; 상기 집적롤러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놓인 매체가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집적 가이드;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 각각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동장치; 및 상기 다수의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집적 가이드 중 제1집적 가이드에 매체가 지지된 상태에서 집적된 매체를 세우기 위하여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다수의 이동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 추가로 집적된 매체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에 지지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집적방법은, 집적공간에 매체를 집적하기 위하여 다수의 집적 가이드 중 제1집적 가이드가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되는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어 상기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1집적 가이드가 이동되는 단계; 감지부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가 감지되면, 상기 제1집적 가이드가 정지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 중 제2집적 가이드가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집적 가이드에 지지되는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입금된 매체 또는 출금될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매체집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매체가 세워진 상태로 집적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집적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집적된 매수가 증가되면, 다수의 집적 가이드 각각에 순차적으로 매체가 집적되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 사이에 집적된 매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다수의 집적 가이드가 가까워지도록 하고, 집적된 매체의 압축이 완료되면 다수의 집적 가이드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가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집적공간에 집적되는 매체의 매수가 최대화될 수 있으며, 매체의 집적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매체 보관함에서의 복수의 이송장치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의 압축량 검지기구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매체가 제1집적 가이드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1집적 가이드가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제2집적 가이드가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가 제2집적 가이드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제1집적 가이드의 제2이동부재가 매체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제2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제3집적 가이드가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에서의 매체집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매체가 입출을 위한 매체 입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의 종류에 따라서,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장 입출부(14) 또는 카드 입출부(15)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라 이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객 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을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체 보관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매체 보관함에서의 복수의 이송장치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20)은 매체를 수직 집적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매체가 수직 집적된다는 것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90도로 집적되는 것 뿐만 아니라 수직과 가깝게 집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매체 보관함(20)은,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공간(S)이 형성되는 박스(box: 201)와, 상기 박스(201)를 개폐하는 도어(door: 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도어(202)가 상기 박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매체 보관함(20)은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매체집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집적장치는, 매체를 집적하기 위하여 매체를 이송하는 제1집적롤러(212)와 제2집적롤러(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적롤러(212)가 연결되는 회전축(213)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제2집적롤러(216)는 상기 박스(201)에 아이들(idle)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3)에는 매체를 타격하기 위한 시트 롤러(sheet roller: 21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롤러(214)의 원주 방향으로는 다수의 접촉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매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220)와, 매체가 수직 집적되도록 매체를 측면 또는 상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집적 가이드(231, 233, 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집적롤러(212, 216)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송된 매체는 댐퍼(209)에 부딪힌 후에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다수의 접촉부(215) 중 어느 하나가 매체를 타격하여, 매체가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231, 233, 235)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집적롤러(212)와 상기 제2집적롤러(216)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가 다른 매체와의 간섭 없이 상기 댐퍼(209)에 타격된 후 상기 지지부(220)에 세워진 상태로 집적되도록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231, 233, 235)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에 경사진 가이드면(233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매체를 효과적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231, 233, 235)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부(233b)는 평편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0)에는 다수의 집적 가이드(231, 233, 235) 중 어느 한 집적 가이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231, 233, 235)는 제1집적 가이드(231), 제2집적 가이드(233), 제3집적 가이드(2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집적공간(S)이 클수록 집적 가이드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으며, 집적공간(S)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두 개의 집적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일 예로 세 개의 집적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집적공간(S)의 양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측면 가이드(203, 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의 일부는 두 개의 측면 가이드(203, 204) 사이(집적공간 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두 개의 측면 가이드(203, 204) 중 어느 하나의 집적 가이드를 관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집적 가이드 외측(집적공간 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를 수평 방향(도 2에서는 좌우 방향: 화살표 B 참조)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동장치(240, 250, 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동장치(240, 250, 260)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장치(240)와,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장치(250)와, 상기 제3집적 가이드(235)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3이동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이동장치의 개수는 상기 집적 가이드의 개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는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4)는 상기 집적 공간(S)에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각 이동장치(240, 250, 26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32, 234, 2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의 연결부(232, 234, 236)를 관통하는 가이드 바(guide bar: 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는 상기 가이드 바(270)를 따라서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가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는 두 개의 측면 가이드 중 어느 한 측면 가이드를 관통한 상태에서 이동되어야 하므로, 상기 어느 한 측면 가이드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slot: 20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205)이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바(270)는 생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두 개의 측면 가이드(203, 204)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고, 상기 가이드 바(270)가 측면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이동장치(240)는, 두 개의 풀리(241, 242)와, 상기 두 개의 풀리(241, 242)에 둘러지는 제1벨트(243)와, 상기 두 개의 풀리(241, 242)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부(2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벨트(243)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의 연결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장치(250)는, 두 개의 풀리(251, 252)와, 상기 두 개의 풀리(251, 252)에 둘러지는 제2벨트(253)와, 상기 두 개의 풀리(251, 252)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부(2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벨트(253)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의 연결부(23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이동장치(260)는, 두 개의 풀리(261, 262)와, 상기 두 개의 풀리(261, 262)에 둘러지는 제3벨트(263)와, 상기 두 개의 풀리(261, 262)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부(2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벨트(263)는 상기 제3집적 가이드(235)의 연결부(236)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이동장치(240, 250, 260)의 작동 중에 각 이송장치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 이동장치는 매체 보관함(20)의 폭 방향(도 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의 압축량 검지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압축량 검지기구는, 인접하는 두 집적 가이드 사이에서 압축되는 매체의 압축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압축량 검지기구에서 검지한 압축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집적 가이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량이 기 설정된 압축량 이상일 경우 상기 복수의 집적 가이드에 의해 매체가 압축된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량 검지기구는, 제1이동부재(280), 제2이동부재(290), 상기 제2이동부재(29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280)는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290)는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에는 상기 제2이동부재(290)가 위치되기 위한 수용부(237)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37)에는 상기 제1이동부재(280)를 관통한 핀(pin: 28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guide slot: 2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238)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94)는 일단이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이동부재(29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재(290)는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에서 매체가 접촉되는 접촉면(231A)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부재(290)는 상기 지지부(220)에 집적된 매체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재(290)에는 상기 핀(282)이 수용되기 위한 홈(292)이 형성된다. 상기 홈(292)에는 상기 제2이동부재(290)가 매체에 의해서 가압될 때, 상기 핀(282)을 상승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282)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상기 핀(282)에 의해서 상기 제1이동부재(28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221)는,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21)는, 상기 제1이동부재(280)의 하측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홀(223)을 가지는 센서 서포터(sensor supporter: 222)와, 상기 센서 서포터(222)에 설치되는 발광센서(224)와 수광센서(225)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센서(224, 225)는, 상기 수용홀(223)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집적 가이드(231, 233, 235)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이동부재(280)가 상기 센서 서포터(221)의 수용홀(222)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발광센서(224)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제1이동부재(280)에 의해서 차차단되어 상기 수광센서(225)로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에 매체가 집적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매체가 제1집적 가이드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1집적 가이드가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제2집적 가이드가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가 제2집적 가이드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1집적 가이드의 제2이동부재가 매체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제2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제3집적 가이드가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에서의 매체집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에서 상기 매체집적장치가 세 개의 집적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에서는 두 개의 집적 가이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나머지 집적 가이드의 동작은 제1집적 가이드와 제2집적 가이드의 동작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집적공간(S)에 매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매체가 집적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면, 집적공간(S)에 매체를 집적하기 위하여 제1집적 가이드(231)가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하고, 나머지 집적 가이드가 인입 가이드 위치로 이동되고(S1), 이 상태에서, 매체의 집적이 시작된다(S2).
본 실시 예에서 집적 대기 위치는, 집적 가이드가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하고, 인입 가이드 위치는 매체가 각 집적롤러에 의해서 이송될 때 매체의 상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상기 집적공간(S)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집적롤러(212, 216)와 멀어지는 방향(도면 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3). 즉,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244)를 작동시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221)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221)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의 제1이동부재(280)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에서 판단 결과, 상기 감지부(221)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의 제1이동부재(280)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구동부(24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5).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정지되는 위치를 압축 대기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매체의 집적을 중단시킨다(S6). 그 다음, 도 9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를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S7).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가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구동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는 매체의 집적을 재개시킨다(S8).
그리고, 도 10과 같이,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에 지지된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 측을 향하여 이동한다(S9).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와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 사이의 매체는 세워지면서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에 의해서 압축된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에 의해서 매체가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면, 매체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의 제2이동부재(290)를 좌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2이동부재(290)가 좌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1이동부재(28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이동부재(28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감지부(221)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 즉, 상기 제1이동부재(280)가 미감지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감지부(221)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미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단계 S10에서 판단 결과, 상기 감지부(221)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미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와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 사이의 매체가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와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가 동일한 이동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244) 및 상기 제2구동부(254)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감지부(221)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미감지되는 경우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에 지지된 매체의 압축이 완료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매체의 집적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2), 매체의 집적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와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구동부(244) 및 제2구동부(25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3).
만약, 도 10의 상태에서 제1집적 가이드(231)와 제2집적 가이드(233)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는 중에 상기 감지부(221)가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를 감지하면, 상기 제3집적 가이드(235)가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전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가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집적공간에 집적되는 매체의 매수가 최대화될 수 있으며, 매체의 집적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집적 가이드(233)가 인입 가이드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동하는 중에, 매체의 집적이 종료되면,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를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번의 거래에 의해서 매체의 집적이 시작되면,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정지된 위치에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감지부(221)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가 미감지된 상태에서 매체의 집적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221)가 제1집적 가이드(231)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제1집적 가이드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1집적 가이드(231)를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번의 거래에 의해서 매체의 집적이 시작되면, 상기 제2집적 가이드(233)를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매체의 집적을 시작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매체집적장치가 매체 보관함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매체 입출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매체 보관함 220: 지지부
221: 감지부 231: 제1집적 가이드
233: 제2집적 가이드 235: 제3집적 가이드
240: 제1이동장치 250: 제2이동장치
260: 제3이동장치

Claims (9)

  1. 집적공간에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롤러;
    상기 집적롤러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놓인 매체가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집적 가이드;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 각각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동장치; 및
    상기 다수의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집적 가이드 중 제1집적 가이드에 매체가 지지된 상태에서 집적된 매체를 세우기 위하여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다수의 이동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 추가로 집적된 매체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에 지지되는 매체집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동장치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장치와, 상기 제2집적 가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적공간에 집적되는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집적 가이드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1이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매체집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되는 집적 가이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가 감지되면 상기 제1집적 가이드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이동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이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매체집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정지되도록 상기 제2이동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매체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에 지지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집적 가이드에 지지되는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면,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를 압축하도록 상기 제2이동장치를 제어하는 매체집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는, 매체의 압축량을 감지하는 압축량 검지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집적 가이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량 검지기구에서 기설정된 압축량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와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이동장치 및 제2이동장치를 제어하는 매체집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량 검지기구는,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매체에 의해서 가압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이동부재를 감지하는 매체집적장치.
  7. 집적공간에 매체를 집적하기 위하여 다수의 집적 가이드 중 제1집적 가이드가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되는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어 상기 집적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1집적 가이드가 이동되는 단계;
    감지부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가 감지되면, 상기 제1집적 가이드가 정지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 중 제2집적 가이드가 집적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집적 가이드에 지지되는 매체의 매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상기 제1집적 가이드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 지지된 매체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집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제1집적 가이드에 집적된 매체의 압축 완료가 감지되면, 매체의 압축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집적 가이드와 상기 제2집적 가이드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집적방법.
  9.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입금된 매체 또는 출금될 매체를 집적하기 위한 매체집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매체가 세워진 상태로 집적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집적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집적장치는, 집적된 매수가 증가되면, 다수의 집적 가이드 각각에 순차적으로 매체가 집적되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집적 가이드 사이에 집적된 매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다수의 집적 가이드가 가까워지도록 하고,
    집적된 매체의 압축이 완료되면 다수의 집적 가이드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하는 금융기기.
KR1020140075952A 2014-06-20 2014-06-20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101671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52A KR101671572B1 (ko) 2014-06-20 2014-06-20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US14/742,175 US9950890B2 (en) 2014-06-20 2015-06-17 Medium stacking apparatus, method for stacking a medium, and financial device
DE102015211217.9A DE102015211217A1 (de) 2014-06-20 2015-06-18 Medienstapelvorrichtung, Verfahren zum Stapeln eines Mediums und Finanzgerät
CN201510347609.0A CN105205940B (zh) 2014-06-20 2015-06-19 媒介堆积装置、媒介堆积方法及金融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52A KR101671572B1 (ko) 2014-06-20 2014-06-20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22A KR20150145622A (ko) 2015-12-30
KR101671572B1 true KR101671572B1 (ko) 2016-11-01

Family

ID=5476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952A KR101671572B1 (ko) 2014-06-20 2014-06-20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50890B2 (ko)
KR (1) KR101671572B1 (ko)
CN (1) CN105205940B (ko)
DE (1) DE1020152112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144A (ko) * 2017-02-16 2018-08-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분리집적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0210A4 (en) * 2015-10-28 2018-11-07 Fujitsu Frontech Limited Postcards storing device and storing method of postcards storing device
KR101871438B1 (ko) * 2016-11-17 2018-06-26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카세트, 카세트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JP7338526B2 (ja) * 2020-03-18 2023-09-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取扱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275A2 (ko) 2011-08-08 2013-02-14 엘지엔시스(주)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1480B1 (en) 1980-10-10 1985-08-28 De La Rue Systems Limited Automatic sheet dispensing apparatus
US4678175A (en) 1985-11-18 1987-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eet money feeding machine with improved separation means
JPH01294168A (ja) * 1988-05-20 1989-11-28 Nec Corp 紙幣収納装置
EP2378491A3 (en) 1998-06-26 2016-01-20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KR100330326B1 (ko) 1998-10-12 2002-04-01 가나이 쓰토무 지폐 입출금 장치
JP4579296B2 (ja) * 2005-08-05 2010-11-1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収納繰出装置
KR101055872B1 (ko) 2008-11-26 2011-08-0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JP5234795B2 (ja) 2009-02-27 2013-07-10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
JP5564915B2 (ja) * 2009-11-30 2014-08-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KR101165157B1 (ko) * 2010-08-03 2012-07-11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
JP5342530B2 (ja) 2010-09-29 2013-11-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769622B1 (ko) * 2010-12-31 2017-08-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와 지폐집적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275A2 (ko) 2011-08-08 2013-02-14 엘지엔시스(주)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144A (ko) * 2017-02-16 2018-08-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분리집적부
KR102636805B1 (ko) * 2017-02-16 2024-02-1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분리집적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05940A (zh) 2015-12-30
DE102015211217A1 (de) 2015-12-24
US20150368058A1 (en) 2015-12-24
KR20150145622A (ko) 2015-12-30
US9950890B2 (en) 2018-04-24
CN105205940B (zh)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185B2 (en)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671572B1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JP6052059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150879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KR101732825B1 (ko) 금융기기 및 매체집적장치
KR101762509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KR20190027241A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622833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291837B1 (ko)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457296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1609455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712241B1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20180111212A (ko) 다권종 지폐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승강구조
KR101550129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662901B1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289543B1 (ko) 매체보관함 및 그의 제어방법, 금융기기
KR20100052101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픽업장치
KR101883318B1 (ko) 매체보관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06109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출금기의 출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76147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751645B1 (ko) 매체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KR101549757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44782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