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241A -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241A
KR20190027241A KR1020170114061A KR20170114061A KR20190027241A KR 20190027241 A KR20190027241 A KR 20190027241A KR 1020170114061 A KR1020170114061 A KR 1020170114061A KR 20170114061 A KR20170114061 A KR 20170114061A KR 20190027241 A KR20190027241 A KR 20190027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ower
unit
roller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363B1 (ko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7011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sensing the quantity of valuable papers in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매체보관함은,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와, 상기 이송경로를 통해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과, 상기 집적공간 내부에서 상기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이송경로에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 및 상기 구동기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동력을 상기 구동기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이송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Description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융기기는 지폐 및 수표 등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다.
금융기기는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보관함(또는, 매체집적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은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과, 상기 집적공간 내부에서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적공간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례로, 매체 인입 과정에서, 상기 집적공간의 크기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매체 인출 과정에서 매체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79387호(공개일 2016.0706)의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에 개시된다.
한편, 선행문헌에 경우, 상기 지지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매체보관함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계가 간편한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부를 추가하지 않고 집적공간의 크기를 가변 시킬 수 있는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매체 보관함은,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와, 상기 이송경로를 통해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과, 상기 집적공간 내부에서 상기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이송경로에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 및 상기 구동기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동력을 상기 구동기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이송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금융기기는, 매체의 입출을 위한 매체입출부와, 상기 매체입출부에 매체를 인출하고, 상기 매체입출부에 투입된 매체를 인입하는 매체보관함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며, 입력된 명령에 대응되는 결과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매체의 입금 또는 출금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 보관함은, 집적공간으로 매체를 안내하는 이송경로와,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매체를 이송을 시키는 이송롤러와, 상기 집적공간을 형성하며,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부와, 상기 이송롤러에 연동되어 상기 지지부를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기구의 부하를 측정하고, 측정한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구동기구의 연동을 차단하는 리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미터는 상기 집적공간의 크기가 최소일 때,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구동기의 연동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구동기구의 연동이 차단된 것이 인식되면, 상기 매체 보관함의 출금 거래를 제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동력을 이용하여 지지부의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부의 구동을 위한 구성 즉, 별도의 동력부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가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하가 줄어들게 되므로, 매체처리과정에서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부하 처리속도에 대한 신속성 및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체의 인입 및 인출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면에서 바라본 매체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매체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에 의해 구동기구에 동력부의 이송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및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매체인입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매체인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저장되는 본체(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5)는 매체의 입출을 위한 매체입출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0)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터(shutter) 및/또는 커버(cover)등과 같은 가림 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0)는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 입출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0)에는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매체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입출부(10)에는 번들 단위의 매체가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5)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입출부(2)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입출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장입출부(2) 또는 카드입출부(3)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정보 획득부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5)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 및 정보를 표시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고객이거나, 금융기기의 관리자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는, 일례로,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표시하거나, 계수 완료된 매체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는 상기 금융기기(1)의 전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5)는, 상기 금융기기(1)의 상태 및 내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모듈은, 일례로, 상기 본체(5)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모듈에 의해서, 금융기기의 상태 및 내부정보가 신규로 입력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본체(5)는, 상기 본체(5)의 내부에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폐, 수표 등의 매체를 입금 및 출금처리하기 위하여, 집적, 분리, 이송, 및 인식들의 과정을 처리하는 매체처리장치(도 2의 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상기 매체입출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매체의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하는 감별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1)는 상기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별부(11)는 매체의 상태에 따라 정상 매체와 이상 매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이상매체는 일례로, 상기 감별부(11)에 의해서 미인식되는 매체, 외형적으로 변형이 발생된 매체, 두 장 이상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는 매체, 및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별부(11)는, 상기 감별부(11)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매체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카운트된 매체의 매수에 대한 정보는 후술되는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집적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부(12)는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10)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부(12)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되는 매체보관함으로 이송될 수 있다. 매체 수납에 대한 결정은, 일례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시집적부(12)에는, 인출될 매체가 일시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관함을 포함하는 매체보관부(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부(14)는, 하나 이상의 지폐보관함(141, 142, 143)과, 하나 이상의 수표보관함(1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보관함(141 내지 143) 및 상기 수표보관함(1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지폐보관함(141 내지 143) 및 상기 수표보관함(144) 중 적어도 하나는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에는, 이송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내부에 집적된 매체가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매체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보관함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의 상단에 상기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에는, 외부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나란히 집적되도록 하는 매체집적수단과, 집적된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보관함의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매체분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관함에는, 입금된 매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에 저장된 매체는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매체를 보충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보충회수함(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충회수함(15)은 상기 지폐보관함(141 내지 143) 및 상기 수표보관함(144) 중 적어도 하나에 보충될 매체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충회수함(15)은 매체처리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회수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입금 또는 보충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 1 회수함(16) 및 출금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 2 회수함(1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는, 일례로, 상기 이상매체 중 감별부(11)에 의해서 미 인식되어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매체이거나, 외형적으로 변형이 발생된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상기 매체입출부(10)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미수취한 경우에 미 수취 매체가 회수되는 제 3 회수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융기기(1)에서, 상기 제 2, 3 회수함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3 회수함 및 보충회수함(15)의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서, 금융기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매체입출부, 감별부, 매체보관함, 일시집적부, 회수함 등)은 다수의 이송로(181, 182, 18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이송로(181, 182, 183)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메인동력부(미도시)에 의해, 매체는 일 모듈에서 타 모듈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매체보관부(14)의 보관함, 상기 제 1 회수함(16), 상기 제 2 회수함(17), 및 상기 보충회수함(15)은 매체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매체보관함(30)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매체보관함(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면에서 바라본 매체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고,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매체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보관함(30)은, 매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입출구(301)가 형성된 케이싱(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0)은 상기 매체보관함(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외부의 매체를 상기 매체보관함(30)에 인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매체보관함(30) 내부의 매체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출구(301)는 상기 다수의 이송로(181, 182, 18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0)의 내측에는, 매체가 저장되기 위한 집적공간(3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적공간(302)에는, 상기 입출구(301)를 통해서 인입된 매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적공간(302)에 저장된 매체는, 상기 입출구(301)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집적공간(302)은 도시되지 않은 셔터 및/또는 커버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집적공간(302)은 매체를 분리시키는 픽업롤러(331) 및 상기 케이싱(300) 내측에서 매체가 안착되는 지지부(3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331) 및 상기 지지부(3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입출구(301) 및 상기 집적공간(302) 사이에는,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3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30)은, 상기 집적공간(302)에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0)는 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집적공간(302)의 크기는 가변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31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집적공간(302)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지지부(31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집적공간(302)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30)은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20)는 일례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20)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390)는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부(310)의 최저점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30)은,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330)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피드롤러(322)와, 상기 피드롤러(322)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게이트롤러(333)와, 상기 집적공간(302)에 집적된 매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322) 및 상기 게이트롤러(333)는 상기 이송경로(303)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331)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는 매체는 상기 피드롤러(322) 및 상기 게이트롤러(333)에 의해 한 장씩 낱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상기 집적공간(302)으로 인입되는 매체는 상기 피드롤러(322) 및 상기 게이트롤러(333)에 의해 한 장씩 낱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체보관함(30)으로 매체가 인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310)는 집적되는 매체의 수량 및/또는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매체보관함(30)에서 매체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310)는 후술되는 구동기구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드롤러(332)는 제 1 롤러, 상기 게이트 롤러(333)는 제 2 롤러, 상기 픽업롤러(331)는 제 3 롤러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31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적공간(302)에 있는 매체는 상기 지지부(310)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331)에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33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집적공간(302)에 있는 매체는 픽업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30)은 상기 픽업롤러(331) 및 상기 피드롤러(332) 중 적어도 하나에 매체의 이송을 위한 동력(이하, 이송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340)는 일례로, DC모터, 스텝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부(340)의 이송동력은 후술되는 동력전달부(385)를 통해 상기 구동기구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30)은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피드롤러(332)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3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회전부재(351)에 접촉되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재(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51) 및 상기 이동부재(352)의 관계는 일례로, 랙과 피니언(rack & pinion)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회전부재(35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리미터(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51)가 설정횟수 이상 회전되는 경우, 상기 리미터(370)는 상기 회전부재(351)의 회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리미터(370)는 상기 피드롤러(332)에서 상기 회전부재(35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음부가 미끄러지게 하거나, 떨어지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리미터(370)는 일례로,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 or torque releas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미터(370)는 후술되는 제어부(39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리미터(370)의 동작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30)은 상기 동력부(340)의 동력(또는, 이송동력)을 상기 구동기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도 5의 3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85)는 상기 동력부(340) 및 상기 구동기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동력전달부(385)는 상기 피드롤러(332)의 동력을 상기 회전부재(351)로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85)는 상기 피드롤러(332) 및 상기 회전부재(3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에 의해 구동기구에 동력부의 이송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부(340)는 상기 피드롤러(332)의 제 1 회전축(381)에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340)는 상기 제 1 회전축(381)을 시계 방향(제 1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332)에는 상기 제 1 회전축(381)이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드롤러(332)는 상기 제 1 회전축(381)으로부터 상기 동력부(34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드롤러(332)는 상기 제 1 회전축(38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381)이 회전됨에 따라 매체는 상기 이송경로(381)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52)에는 상기 제 1 회전축(381)과 이격된 제 2 회전축(382)이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381) 및 상기 제 2 회전축(382) 사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38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85)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축(381)의 동력은 상기 제 2 회전축(382)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385)는 상기 제 1 회전축(381) 및 상기 제 2 회전축(382)을 연결하는 벨트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동력전달부(385)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가 상기 제 1 회전축(381) 및 상기 제 2 회전축(382)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기어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축(381)의 동력은 상기 제 2 회전축(382)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351)에는 상기 제 2 회전축(382)이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51)는 상기 제 2 회전축(38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축(381) 및 상기 제 2 회전축(382)의 회전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부(385)가 상기 피드롤러(381) 및 상기 회전부재(352)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리미터(370)는 제 3 회전축(383)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3 회전축(383)은 상기 제 1 회전축(381) 및 상기 제 2 회전축(382) 중 적어도 하나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미터(370)는 상기 회전부재(351)에 접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리미터(370)는 상기 회전부재(35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리미터(370)는 상기 회전부재(351)의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리미터(370)는 일례로, 상기 회전부재(351)의 회전각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리미터(370)는 상기 이동부재(352)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리미터(370)는 상기 제 1 회전축(381) 및 상기 제 2 회전축(38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부(385)의 기능을 일시 제한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51)의 부하가 상기 리미터(370)에 기설정된 설정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리미터(351)는 상기 동력전달부(385)의 기능을 일시 제한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재(3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설정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리미터(351)는 상기 동력전달부(385)의 기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3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리미터(351)는 상기 동력전달부(385)의 기능을 복원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85)가 벨트로 구성된 경우, 상기 리미터(351)는 상기 제 1 회전축(381), 및 상기 제 2 회전축(382) 사이의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동력전달부(385)가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 경우, 상기 리미터(351)는 상기 복수의 기어 사이의 연결을 일시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이동부재(352) 및 상기 지지부(3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55)의 일단은 상기 이동부재(352)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55)의 타단은 상기 지지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이동부재(352) 또는 상기 지지부(310)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355)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 롤러(3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 롤러(357)는 상기 케이싱(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롤러(357)는 상기 지지부(310), 상기 회전부재(351), 및 상기 이동부재(352) 중 적어도 하나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55)는 상기 방향전환 롤러(357)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52)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재(355)에 연결된 지지부(31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부재(352)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352)측에 연결된 연결부재(355)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10) 및 상기 지지부(310)측에 연결된 연결부재(355)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부재(352)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부(310)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55)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55)는 일례로,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매체의 집적 시, 상기 이동부재(35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352)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36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352)는 상기 스토퍼(36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35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310)가 상기 픽업롤러(331)를 필요 이상으로 가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310) 및 상기 픽업롤러(331)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부(310) 및 상기 픽업롤러(331)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매체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고정점 제 1 지점(이하, 제 1 고정점(P1))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재(352)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352)가 상기 스토퍼(360)에 의해 이동 제한될 때,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의 위치를 제 1 고정점(P1)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점(P1)은 상기 집적공간(302)의 크기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지지부(310)의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상기 제 1 고정점(P1)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재(352)가 이동되면, 상기 지지부(310) 상의 매체는 상기 픽업롤러(33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체의 분리 및 인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매체의 인입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고정점 제 2 지점 (이하, 제 2 고정점(P2))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재(352)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점(P2)은 상기 제 1 고정점(P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점(P2)은 상기 이동부재(352)가 상기 회전부재(351)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고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2 고정점(P2)은 상기 이동부재(352)가 상기 리미터(370)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상기 제 2 고정점(P2) 측으로 이동될 수록, 상기 지지부(310)는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집적공간(302)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매체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상기 구동기구에 의한 상기 지지부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및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매체 인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보관함(30)으로의 매체 인입을 위하여, 상기 동력부(340)는 상기 피드롤러(332)를 매체가 인입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부(340)의 이송동력은 상기 제 1 회전축(381), 동력전달부(385) 및 제 2 회전축(382)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351)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51)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51)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352)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상기 제 2 고정점(P2)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부재(352)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집적공간(302)이 점차 증가되므로, 매체의 집적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제 2 고정점(P2)에 도달하면, 상기 리미터(37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51)의 회전은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52)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310) 상에 집적된 매체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연결부재(355)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지지부(310)는 상기 케이싱(300) 내부의 최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320)에 의해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20)는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후술되는 제어부(도 10)로 전달시킬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해당 매체보관함(30)으로의 매체집적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매체인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보관함(30)에서 외부로 매체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력부(340)는 상기 피드롤러(332)를 매체가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부(340)의 이송동력은 상기 제 1 회전축(381), 동력전달부(385) 및 제 2 회전축(382)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351)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51)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352)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상기 제 1 고정점(P1)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352)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집적공간(302)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10) 상에 집적된 매체는 상기 픽업롤러(331)를 가압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10) 상에 집적된 매체는 상기 픽업롤러(331)에 의해 분리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상기 제 1 고정점(P1)에 도달하면, 상기 리미터(37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51)의 회전은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52)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 상기 동력부(340), 및 상기 감지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서 입력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동력부(3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매체 입금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를 매체 보관함(30)으로의 매체 인입을 위한 제 2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매체 출금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를 매체 보관함(30)으로의 매체 인출을 위한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매체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감지부(320)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지지부(310)의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10)가 상기 케이싱(300) 내부의 최저점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집적공간(302) 내부로의 매체 인입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가 케이싱(300) 내부의 최저점에 위치된 것은 상기 집적공간(302) 내에 매체가 최대로 집적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매체의 출금과정에서 리미터(370)를 통해 상기 지지부(310)의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리미터(370)를 통해 상기 지지부(310)가 상기 집적공간(302)을 최소로 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매체의 인출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미터(370)를 통해 상기 지지부(310)가 상기 집적공간(302)을 최소로 하는 위치에 있는 것은 상기 집적공간(302) 내부에 더 이상 인출할 매체가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입금 거래 및 출금 거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S1).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매체의 입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매체 보관함(30)은 인입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S130).
상기 인입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를 매체 인출을 위한 제 2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S150). 이에 따라, 상기 피드롤러(332) 및 상기 회전부재(351)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52)는 상기 회전부재(351)의 제 2 방향 회전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10)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집적공간(302)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상기 제 2 고정점(P2)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이동부재(352)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체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집적공간(302) 내부의 매체가 최대 집적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S190).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매체의 인입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감지부(390)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S200).
상기 지지부(310)의 위치가 상기 케이싱(300)의 최저점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집적공간(302) 내부에 매체가 최대로 집적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210). 그리고 상기 제어부(390)는 다른 매체보관함(30)에서 매체의 인입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 계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계속 거래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에 거래 불가능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매체의 인입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130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매체 출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매체 보관함(30)을 인출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인출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를 매체 인입을 위한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S150).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이송로(181 내지 183)에서 상기 이송경로(303)로 안내된 매체는 상기 집적공간(30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동력부(340)의 제 1 방향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351)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52)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10)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적공간(302)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10) 상에 집적된 매체는 상기 픽업롤러(331)에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10) 상에 집적된 매체의 분리 및 인출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매체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의 제 1 고정점(P1) 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50). 매체 인출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상기 제 1 고정점(P1)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집적공간(302)에는 더 이상 인출될 매체가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210). 그리고 상기 제어부(390)는 다른 매체보관함(30)에서 매체의 인출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계속 거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계속 거래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에 거래 불가능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 고정부(353)가 상기 제 1 고정점(P1)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매체 보관함(30)에서 매체가 정상적으로 인출 완료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동력부(34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270, S21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기기 30: 매체 보관함
300: 케이싱 302: 집적공간
303: 이송경로 310: 지지부
320: 감지부 330: 이송롤러
331: 픽업롤러 332: 피드롤러
340: 동력부 351: 회전부재
352: 이동부재 353: 연결부재 고정부
354: 연결부재 357: 방향전환 롤러
360: 스토퍼 370: 리미터
385: 동력전환부

Claims (15)

  1. 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기 이송경로를 통해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
    상기 집적공간 내부에서 상기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기구;
    상기 이송경로에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 및 상기 구동기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동력을 상기 구동기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이송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매체 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이송롤러에 상기 이송동력을 제공하여 매체를 이송시키는 매체 보관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매체에 이송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롤러와,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상기 제 1 롤러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2 롤러와,
    상기 집적공간에서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이송경로로 픽업시키는 제 3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3 롤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이송 동력이 제공되는 매체 보관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이송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연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방향전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 롤러는 상기 연결부재에 제공되는 상기 이동부재의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매체 보관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매체 보관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스토퍼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집적공간의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매체 보관함.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지지부의 방향은 서로 반대인 매체 보관함.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는 랙과 피니언인 매체 보관함.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이송경로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동력부에서 제공되는 힘의 방향 및 상기 회전부재에 제공되는 힘의 방향은 동일한 매체 보관함.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소재로 형성된 매체 보관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의 부하를 측정하고, 측정한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기구에 전달되는 이송동력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매체 보관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는,
    상기 구동기구의 부하가 설정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의 기능을 일시 제한시키는 매체 보관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의 부하가 상기 설정부하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집적공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매체 보관함.
  14. 매체의 입출을 위한 매체입출부;
    상기 매체입출부에 매체를 인출하고, 상기 매체입출부에 투입된 매체를 인입하는 매체보관함;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며, 입력된 명령에 대응되는 결과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매체의 입금 또는 출금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보관함은, 집적공간으로 매체를 안내하는 이송경로와,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매체를 이송을 시키는 이송롤러와,
    상기 집적공간을 형성하며,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부와,
    상기 이송롤러에 연동되어 상기 지지부를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기구의 부하를 측정하고, 측정한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구동기구의 연동을 차단하는 리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터는 상기 집적공간의 크기가 최소일 때,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구동기의 연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 및 상기 구동기구의 연동이 차단된 것이 인식되면, 상기 매체 보관함의 출금거래를 제한하는 금융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공간의 크기가 최대일 때의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상기 지지부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매체 보관함에 대한 입금거래를 제한하는 금융기기.

KR1020170114061A 2017-09-06 2017-09-06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2009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061A KR102009363B1 (ko) 2017-09-06 2017-09-06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061A KR102009363B1 (ko) 2017-09-06 2017-09-06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241A true KR20190027241A (ko) 2019-03-14
KR102009363B1 KR102009363B1 (ko) 2019-08-12

Family

ID=6575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061A KR102009363B1 (ko) 2017-09-06 2017-09-06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97A1 (ko) * 2021-07-08 2023-01-12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잠금 장치
KR20230012830A (ko) * 2021-07-16 2023-01-2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잠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659A (ja) * 1994-05-24 1995-12-05 Ricoh Co Ltd 排紙装置のトルクリミッタ
JPH08157096A (ja) * 1994-11-30 1996-06-18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シート搬送装置
JP2002114388A (ja) * 2000-10-04 2002-04-16 Oki Joho Systems:Kk 紙葉類収納カセット
KR20130027152A (ko) * 2011-09-07 2013-03-1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659A (ja) * 1994-05-24 1995-12-05 Ricoh Co Ltd 排紙装置のトルクリミッタ
JPH08157096A (ja) * 1994-11-30 1996-06-18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シート搬送装置
JP2002114388A (ja) * 2000-10-04 2002-04-16 Oki Joho Systems:Kk 紙葉類収納カセット
KR20130027152A (ko) * 2011-09-07 2013-03-1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97A1 (ko) * 2021-07-08 2023-01-12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잠금 장치
KR20230008990A (ko) * 2021-07-08 2023-01-1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잠금 장치
KR20230012830A (ko) * 2021-07-16 2023-01-2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363B1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6178B2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
KR10176148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5153530B2 (ja) 紙幣入出金機
KR20190027241A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JP4366434B2 (ja) 自動取引装置
JP4423344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226348B1 (ko) 매체 보관함,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JP2013238945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464868B1 (ko) 매체 픽업 및 이송 장치, 금융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5225621A (ja) 紙幣取扱装置
JP3931165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965858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JP5498549B2 (ja) 紙幣入出金機
KR101864143B1 (ko) 매체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JP5121909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5498516B2 (ja) 紙幣入出金機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JP6584630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883318B1 (ko) 매체보관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871437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76147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20190041174A (ko) 매체보관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20160079387A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