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837B1 -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837B1
KR101291837B1 KR1020110069727A KR20110069727A KR101291837B1 KR 101291837 B1 KR101291837 B1 KR 101291837B1 KR 1020110069727 A KR1020110069727 A KR 1020110069727A KR 20110069727 A KR20110069727 A KR 20110069727A KR 101291837 B1 KR101291837 B1 KR 10129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side guide
medium
protru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984A (ko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069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8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는, 매체를 지지하는 밀판부에 집적된 매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정렬하는 측면 가이드; 상기 측면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A media aligning apparatus, a media sta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유가증권, 상품권 등)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입출금하기 위한 매체 출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체 출입부를 통해 유입된 매체는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다. 이때 매체 보관부는 사용자가 수납한 매체가 임시로 저장되는 임시 집적부,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 이상 매체가 저장되는 회수부 등을 포함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매체 보관부(공개특허공보 2001-0080843호)는, 매체를 장입한 후 매체를 정렬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매체 정렬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출금 시 매체의 틀어짐(Skew) 또는 접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며, 이는 리젝률(Reject rate) 증가 또는 잼(jam) 발생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된 매체를 정렬할 수 있는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는, 매체를 지지하는 밀판부에 집적된 매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정렬하는 측면 가이드; 상기 측면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가이드의 일면에는 상기 밀판부가 상기 매체를 밀어 올릴 경우, 매체의 일 단부를 가압하여 정렬시키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일면은 경사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돌기의 타면은 평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 가이드를 이동시켜서 매체 보관부에 집적된 매체를 좌우 가압함으로써 매체 보관부 내 좌우정렬이 불량한 매체들을 중앙정렬시켜서 매체의 출금 시 잼(jam)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출금 동작 시 한쪽으로 들어 올려져 굽은 매체를 측면 가이드의 돌기를 사용하여 정렬함으로써 매체의 출금 시 틀어지거나 접히는 현상 및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1)와, 수표를 출입금하기 위한 수표 출입부(12)와, 지폐를 출입금하기 위한 지폐 출입부(13)와,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 출입부(14)와, 금융처리를 위한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 출입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표 출입부(12), 지폐 출입부(13), 통장 출입부(14), 카드 출입부(15)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표 출입부(12) 및 지폐 출입부(13)를 통칭하여 매체 출입부(12, 13)라 이름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매체 출입부(12, 13)를 통해 입금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 보관부(16)와, 매체 보관부(16)에 집적된 매체를 정렬하는 매체 정렬 장치(도2의 2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보관부(16)는, 사용자가 수납한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집적부(도시하지 않음), 입금되는 매체를 보관하는 리싸이클 박스(recycle box)(도시하지 않음), 이상매체가 보관되는 회수부(도시하지 않음),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이 금융기기(1) 내에 구비되고 매체가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모든 모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때 매체 보관부(16)는, 매체를 지지하는 밀판부(도 3의 21)를 포함할 수 있다. 밀판부(도 3의 21)는, 매체 보관부(16) 내에서 매체를 지지한다. 상기 밀판부(도 3의 21)는 매체의 출금 시 상기 매체를 상단으로 밀어 올릴 수 있으며, 매체가 평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상단이 평평한 판 형태일 수 있다.
매체 정렬 장치(도 2의 20)는, 상기 매체 보관부(16)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매체 보관부(16)에 집적된 매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매체를 정렬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체 정렬 장치(도 2의 20)는, 상기 매체 보관부(16) 내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앙방향으로 적어도 한 회 이상 왕복 이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집적된 매체의 양쪽 단변을 가압함으로써 매체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매체 정렬 장치(도 2의 20)는 상기 매체 보관부(16)에 집적된 매체의 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가이드(도 2의 22)와, 상기 측면 가이드(도 2의 2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도 2의 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20)는, 측면 가이드(22), 구동부(23),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측면 가이드(22)는, 매체를 지지하는 밀판부(도 3의 21)에 집적된 매체의 측면을 가압한다. 상기 측면 가이드(22)는 매체(2)가 집적되는 매체 보관부(16) 내에서 상기 매체(2)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이드(22)의 형상은 평판 형태 또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구동부(23)는, 측면 가이드(22)를 이동시킨다. 구동부(23)는 상기 측면 가이드(22)에 연결되는 액츄에이터(actuator,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구동부(23)는 상기 측면 가이드(22)에 연결되는 랙 기어(Rack gear, 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구동부(23)의 구조는 예시된 것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측면 가이드(22)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한 상기 구동부(23)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4)는, 상기 구동부(23)를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22)의 이동을 제어한다. 실시간으로 측면 가이드(22)를 이동시킬 경우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24)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구동부(23)를 제어하거나 또는 매체의 인입이 감지된 경우 구동부(23)를 제어하여 측면 가이드(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의 정렬 전 상기 측면 가이드는 상기 밀판부(21)에 집적된 매체와 이격될 수 있다. 밀판부(21)에 집적된 매체는 인입 속도의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좌우의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이 집적된 매체를 그대로 출금한다면, 매체가 접히는 현상 또는 잼(jam) 현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24)가 구동부(23)를 제어함으로써 측면 가이드(22)가 매체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측면 가이드(22)가 매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매체가 나란히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20)는, 측면 가이드(22), 구동부(23),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가이드(22)는, 상기 밀판부(21)에 집적된 매체의 일 측방에 위치되는 제1 측면 가이드(22a)와, 상기 밀판부(21)에 집적된 매체의 타 측방에 위치되는 제2 측면 가이드(2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매체(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측면 가이드(22a, 22b)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측면 가이드(22a, 22b)에 의해서 매체(2)의 양 측면이 가압됨으로써, 매체(2)가 더욱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구동부(23)는, 상기 제1 측면 가이드(22a)와 상기 제2 측면 가이드(22b)가 동시에 좌우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측면 가이드(22a)와 상기 제2 측면 가이드(22b)에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의 정렬 전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가이드(22a, 22b)는 상기 밀판부(21)에 집적된 매체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의 정렬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가이드(22a, 22b)가 상기 구동부(23)에 의해서 상기 밀판부(21)에 집적된 매체(2)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가이드(22a, 22b)의 가압 과정은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에서, 측면 가이드(22)가 매체(2)를 좌우로 가압할 경우, 대부분의 매체(2)는 밀판부(21) 위에 나란히 정렬될 수 있으나, 일부 매체(3)의 경우 가압되는 과정에서 한쪽으로 들어 올려질 뿐 제대로 정렬되지 않고 굽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20)는, 돌기(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25)는, 상기 측면 가이드(22)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밀판부(21)가 상기 매체를 밀어 올릴 경우, 굽어진 매체(3)의 일 단부를 가압하여 정렬시킨다. 여기서, 상기 측면 가이드(22)의 일면은 상기 밀판부에 집적된 매체를 향하는 면이다.
이때 돌기(25)는 제1 측면 가이드(22a)와 제2 측면 가이드(22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5)의 상면(26)은 경사면 형태를 가지며, 하면(27)은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매체(2)가 매체 보관부(16)의 상부로 인입되어 매체 보관부(16) 내의 집적공간에서 하부로 낙하하여 밀판부(21) 위에 집적되는 경우, 매체(2)의 끝단부가 상기 돌기(25)의 상면(26)인 경사면 부분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매체(2)가 상기 돌기(25)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집적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매체(2)가 상기 밀판부(21)에 의해 상승될 경우, 불안정하게 정렬되어 측면 가이드(22)에 기대어 굽어진 매체(3)의 끝단부(4)가 상기 돌기(25)의 하면(27)인 평면 부분에 걸려 매체(3)가 수평방향으로 가압되어, 인접하여 집적된 다른 매체(2)의 사이에 삽입되어 정렬될 수 있다.
이때, 한쪽으로 들어 올려진 매체(3)가 매체 보관부(16)의 상부에 놓여있을 경우를 감안할 때, 돌기(25)는 측면 가이드(22)의 상단에 근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매체 보관부(16)에 최대로 매체(2)를 집적할 시 최상단 매체(2)에서부터 하단으로 10매 이내 범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매체 보관부(16)에 집적된 매체(2) 중 최상단에 놓여 있는 매체(2)는, 집적하는 과정에서 휘어지더라도 측면 가이드(22)의 가압에 의해 문제없이 정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돌기(25)의 돌출 위치를 측면 가이드(22)의 상부 끝단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돌기(25)가 지나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면, 측면 가이드(22)가 매체(2)를 가압할 때 돌기(25)가 매체(2)의 정렬을 방해하게 되므로, 돌기(25)는 매체(2) 5매 내지 10매의 두께, 즉 0.5 내지 1mm의 두께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판부(21)에 의해 매체(2)가 상승될 경우, 측면 가이드(22)에 돌출 형성된 돌기(25)에 의해서 매체(2)의 들어 올려진 부분의 끝단이 가압됨으로써, 굽어진 매체(3)가 수평으로 집적된 다른 매체(2) 사이에 삽입되어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측면 가이드(22)는, 돌기(25)와, 돌기(25)의 후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스프링 등으로서 돌기(25)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측면 가이드(22)가 매체(2)를 가압할 때 돌기(25)가 측면 가이드(22)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고, 반대로 측면 가이드(22)가 매체(2)의 가압을 해제할 경우 돌기(25)가 다시 측면 가이드(22)의 일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밀판부(21)의 승강을 감지하는 감지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밀판부(21)의 승강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돌기(25)를 상기 측면 가이드(22)로부터 돌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22)로 인입시키는 돌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밀판부(21)의 하강을 감지할 경우 상기 돌기(25)를 상기 측면 가이드(22)로 인입시키며, 상기 감지부가 상기 밀판부(21)의 상승을 감지할 경우 상기 돌기(25)를 상기 측면 가이드(22)에서 돌출시킬 수 있다.
돌기 제어부는, 매체(2)가 집적되는 상황일 경우 돌기(25)를 상기 측면 가이드(22) 내부에 인입시켜, 매체(2)가 돌기(25)에 걸리지 않고 원활히 집적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매체(2)가 출금을 위해 밀판부(21)에 의하여 상승될 경우, 굽어진 매체(3)가 뒤틀려 출금됨에 따라 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돌기(25)를 상기 측면 가이드(22)에서 돌출시켜서, 굽어진 매체(3)를 정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돌기(25)는, 일측이 상기 측면 가이드(22)에 고정된 판 스프링으로서, 상기 매체 보관부(16)로 인입되는 상기 매체(2)에 의해 압력을 받아 회동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25)에 의해 매체(2)의 집적이 방해되지 않아야 하므로, 매체(2)가 인입될 때에는 측면 가이드(22)로부터 돌출된 돌기(25)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 스프링 형태의 돌기(25)를 사용하여, 매체(2)가 돌기(25)에 압력을 가할 시, 돌기(25)가 측면 가이드(22)에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거나, 또는 매체(2)가 가한 압력에 의하여 압축되어 매체(2)의 원활한 인입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 가이드(22)를 이용하여 매체(2)를 좌우로 가압하여 정렬함에 따라 매체(2)의 출금 시 매체(2)가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한쪽으로 들어 올려진 매체(3)는 측면 가이드(22)에 돌출 형성된 돌기(25)에 의해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2)의 출금 시 뒤틀림이나 접힘에 의한 잼 현상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돌기(25)는 제2 실시예에서만 언급되었으나, 제2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제1 실시예 및 추후 설명할 제3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20)는, 측면 가이드(22), 구동부(23),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가이드(22)는, 상기 밀판부(21)에 집적된 매체의 일 측방에 위치되는 제1 측면 가이드(22a)와 상기 밀판부(21)에 집적된 매체의 타 측방에 위치되는 제2 측면 가이드(22b)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3)는, 상기 제1 측면 가이드(22a)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23a)와 상기 제2 측면 가이드(22b)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23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20)는, 제2 실시예와 대비할 때 구동부(23)만 상이하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체 정렬 장치(20)는, 각 측면 가이드(22a, 22b)가 구동부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물론 제1 구동부(23a)와 제2 구동부(23b)는, 하나의 제어부(2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매체 보관함(30)은, 밀판부(31), 측면 가이드(32)를 포함한다.
밀판부(31)는, 낙하하여 집적되는 매체(2)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밀판부(31)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1)에 사용되는 밀판부(2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측면 가이드(32)는, 집적되는 매체(2)를 측면에서 지지한다. 매체(2)가 정렬된 상태로 집적될 수 있도록 매체(2)의 측면을 지지한다.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밀판부(3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밀판부(31)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밀판부(3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측면 가이드(32)는, 매체(2)의 집적방향으로는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집적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평면 형태의 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매체(2)가 집적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상기 밀판부(31)에 집적되고, 상기 밀판부(31)가 상기 매체(2)를 밀어 올릴 경우에는 굽어진 매체(3)의 단부가 상기 턱에 걸려 상기 턱이 상기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굽어진 매체(3)를 정렬시키는 돌기(33)를 포함한다.
즉 측면 가이드(32)에 구비된 돌기(33)는, 매체(2)의 인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집적된 매체(2) 중에서 굽어진 매체(3)가 있을 때 굽어진 매체(3)가 밀판부(31)에 의해 상승할 시 굽어진 매체(3)의 끝단을 가압하여 매체(3)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기기 2: 매체
10: 본체 16: 매체 보관부
20: 매체 정렬 장치 21: 밀판부
22: 측면 가이드 23: 구동부
24: 제어부 25: 돌기

Claims (13)

  1. 매체를 지지하는 밀판부에 집적된 매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정렬하는 측면 가이드;
    상기 측면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가이드의 일면에는 상기 밀판부가 상기 매체를 밀어 올릴 경우, 매체의 일 단부를 가압하여 정렬시키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일면은 경사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돌기의 타면은 평면 형태를 갖는 매체 정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는, 제1 측면 가이드와 제2 측면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측면 가이드와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를 동시에 구동하는 매체 정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는, 제1 측면 가이드와 제2 측면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측면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측면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매체 정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매체 정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부의 승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상기 밀판부의 승강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돌기를 상기 측면 가이드에서 돌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로 인입시키는 돌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매체 정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밀판부의 하강을 감지할 경우 상기 돌기를 상기 측면 가이드로 인입시키며, 상기 감지부가 상기 밀판부의 상승을 감지할 경우 상기 돌기를 상기 측면 가이드에서 돌출시키는 매체 정렬 장치.
  9. 삭제
  10. 낙하하여 집적되는 매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밀판부; 및
    집적되는 매체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가이드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매체의 집적방향으로는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집적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평면 형태의 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매체가 집적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상기 밀판부에 집적되고, 상기 밀판부가 상기 매체를 밀어 올릴 경우에는 굽어진 매체의 단부가 상기 턱에 걸려 상기 턱이 상기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굽어진 매체를 정렬시키는 매체 보관함.
  11. 매체를 출입금하기 위한 매체 출입부;
    상기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 및
    상기 매체 보관부의 내부에 집적된 매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매체를 정렬시키는 매체 정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정렬 장치는, 상기 매체 보관부에 집적된 매체의 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측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가이드의 일면에는 매체를 지지하는 밀판부가 상기 매체를 밀어 올릴 경우, 매체의 일 단부를 가압하여 정렬시키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일면은 경사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돌기의 타면은 평면 형태를 갖는 금융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렬 장치는,
    상기 매체 보관부 내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앙방향으로 적어도 한 회 이상 왕복 이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집적된 매체의 양쪽 단변을 가압함으로써 매체를 정렬시키는 금융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렬 장치는,
    상기 측면 가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기기.
KR1020110069727A 2011-07-14 2011-07-14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29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727A KR101291837B1 (ko) 2011-07-14 2011-07-14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727A KR101291837B1 (ko) 2011-07-14 2011-07-14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984A KR20130008984A (ko) 2013-01-23
KR101291837B1 true KR101291837B1 (ko) 2013-07-31

Family

ID=4783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727A KR101291837B1 (ko) 2011-07-14 2011-07-14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774B1 (ko) * 2013-06-04 2014-09-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CN112184987A (zh) * 2020-09-18 2021-01-05 深圳市倍量电子有限公司 钞票自动推中对齐结构及atm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972U (ko) * 1997-12-02 1999-07-05 윤종용 급지 불량 방지장치
KR100267563B1 (ko) * 1997-12-17 2000-10-16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정렬장치
KR200425295Y1 (ko) * 2006-06-07 2006-09-01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정렬 및 화질개선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용 용지 카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972U (ko) * 1997-12-02 1999-07-05 윤종용 급지 불량 방지장치
KR100267563B1 (ko) * 1997-12-17 2000-10-16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정렬장치
KR200425295Y1 (ko) * 2006-06-07 2006-09-01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정렬 및 화질개선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용 용지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984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464B1 (ko) 지폐 입출금 기구
KR20120087077A (ko) 지폐 입출금기
JP6052059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RU2637897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кладки носителей и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закций с носителями
KR10125069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US9950890B2 (en) Medium stacking apparatus, method for stacking a medium, and financial device
KR101291837B1 (ko)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097097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JP2013239075A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6221740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収納カセット
KR101834500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2010002287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KR101281416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기기
JP5190321B2 (ja) 紙葉類取扱い装置
KR101035190B1 (ko) 묶음지폐 입출금기
KR101750932B1 (ko) 지폐류 저장장치
KR101210726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KR200377537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현금방출장치
KR101857183B1 (ko) 매체 보관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550129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0941539B1 (ko) 매체 공급 장치
KR20180034129A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20160081302A (ko) 매체 보관함
KR20060068821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현금방출장치 및 현금방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