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369B1 - 절연 시트 및 적층 구조체 - Google Patents

절연 시트 및 적층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369B1
KR101131369B1 KR1020107003902A KR20107003902A KR101131369B1 KR 101131369 B1 KR101131369 B1 KR 101131369B1 KR 1020107003902 A KR1020107003902 A KR 1020107003902A KR 20107003902 A KR20107003902 A KR 20107003902A KR 101131369 B1 KR101131369 B1 KR 101131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heet
filler
inorganic filler
skeleton
pref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260A (ko
Inventor
히로시 마에나까
다꾸지 아오야마
야스나리 구사까
이사오 히구찌
다까시 와따나베
료우스께 다까하시
?스케 곤도우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3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08G59/245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ar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06Cyclic ethers having no atom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08G65/16Cyclic ethers having four or more ring atoms
    • C08G65/18Oxet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7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22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C08L2666/16 - C08L2666/2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H05K1/056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the metal substrate being covered by an organic insulating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11Of epoxy ether
    • Y10T428/31515As intermediat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11Of epoxy ether
    • Y10T428/31515As intermediate layer
    • Y10T428/31522Next to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Adhesive Tapes (AREA)
  • Epoxy Resin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Insulated Metal Substrate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경화 상태에서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적층 프레스시에 과도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절연 파괴 특성, 열전도성,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절연 시트를 제공한다.
열전도율 10 W/mㆍK 이상의 열전도체를 도전층에 접착시키는 데 이용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 이상의 중합체(A)와,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 600 이하의 에폭시 단량체(B1) 및 옥세탄 단량체(B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와, 경화제(C)와, 제1 무기 충전재(D) 20 내지 60 부피%와, 유기 충전재(E1) 및 제1 무기 충전재(D)와는 다르며 신 모스 경도가 3 이하인 제2 무기 충전재(E2) 중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E) 1 내지 40 부피%를 포함하고, 유기 충전재(E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기 충전재(E1)의 함유량이 3 내지 40 부피%인 절연 시트.

Description

절연 시트 및 적층 구조체{INSULATING SHEET AND MULTI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를 도전층에 접착시키는 데 이용되는 절연 시트, 및 상기 절연 시트를 이용한 적층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기기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전자 부품의 실장 밀도가 높아져 왔고,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산시킬 필요가 높아졌다. 열을 방산시키는 방법으로서, 높은 방열성을 가지며, 열전도율 10 W/mㆍK 이상의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체를 발열원에 접착시키는 방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또한, 이 열전도체를 발열원에 접착시키기 위해서, 절연성을 갖는 절연 접착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절연 접착 재료에는, 열전도율이 높은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상기 절연 접착 재료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에폭시 수지,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경화 촉진제, 엘라스토머 및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유리 클로스(cloth)에 함침시킨 절연 접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유리 클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절연 접착 재료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2의 실시예에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페녹시 수지, 페놀노볼락,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절연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 3급 아민, 산무수물, 이미다졸 화합물, 폴리페놀 수지 및 마스크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22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332696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절연 접착 시트로서는, 취급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리 클로스가 이용되고 있다. 유리 클로스를 포함하는 절연 접착 시트에서는, 박막화가 곤란하고, 또한 레이저 가공, 펀칭 가공 또는 드릴 천공 가공 등의 각종 가공이 곤란하였다. 또한, 유리 클로스를 포함하는 절연 접착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율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충분한 방열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유리 클로스에 접착제 조성물을 함침시키기 위해서, 특수한 함침 설비를 준비해야만 하였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절연 접착제에서는, 유리 클로스가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절연 접착제는 미경화 상태에서는 그 자체가 자립성을 갖는 시트가 아니었다. 이 때문에, 절연 접착제의 취급성이 낮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를 도전층에 접착시키는 데 이용되고, 미경화 상태에서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적층 프레스시에 과도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절연 파괴 특성, 열전도성,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절연 시트, 및 상기 절연 시트를 이용한 적층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를 도전층에 접착시키는 데 이용되는 절연 시트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중합체(A)와,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에폭시 단량체(B1) 및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옥세탄 단량체(B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B)와, 경화제(C)와, 제1 무기 충전재(D)와, 유기 충전재(E1) 및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와는 다르며 신(新) 모스 경도가 3 이하인 제2 무기 충전재(E2) 중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E)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이 20 내지 60 부피%이고, 상기 충전재(E)의 함유량이 1 내지 40 부피%이며, 상기 충전재(E)가 상기 유기 충전재(E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기 충전재(E1)의 함유량이 3 내지 40 부피%인 절연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충전재(E)는 상기 유기 충전재(E1)이고, 상기 유기 충전재(E1)의 함유량이 3 내지 40 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충전재(E1)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어떤 특정 국면에서는,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의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이고, 신 모스 경도가 3.1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상기 충전재(E)는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이고,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의 함유량이 1 내지 40 부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또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 및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는 하기 수학식 X를 만족시킨다.
<수학식 X>
[{(제1 무기 충전재(D)의 신 모스 경도)×(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부피%))}+{(제2 무기 충전재(E2)의 신 모스 경도)×(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제2 무기 충전재(E2)의 함유량(부피%))}] < 6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는 규조토, 질화붕소,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탈크, 카올린, 점토 및 운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별도의 특정 국면에서는, 상기 유기 충전재(E1)은 코어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또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상기 유기 충전재(E1)이 규소 원자에 산소 원자가 직접 결합된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유기물을 포함하는 복합 충전재이다.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는 알루미나, 합성 마그네사이트, 결정성 실리카,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탄화규소, 산화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제1 무기 충전재(D)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상기 중합체(A)는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이상인 중합체이다.
상기 중합체(A)는 페녹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페녹시 수지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녹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9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페녹시 수지의 Tg가 95 ℃ 이상인 경우에는, 수지의 열 열화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상기 경화제(C)는 페놀 수지, 또는 방향족 골격 또는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이다.
상기 경화제(C)는 다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 또는 테르펜계 화합물과 무수 말레산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 얻어진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화제(C)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산무수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경화제(C)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유연성, 내습성 또는 접착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1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2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3
상기 화학식 3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상기 경화제(C)는 멜라민 골격 또는 트리아진 골격을 갖는 페놀 수지, 또는 알릴기를 갖는 페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경화제(C)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유연성 및 난연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구조체는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와, 상기 열전도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적층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상기 열전도체가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도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이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절연 시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구조체에서는, 상기 열전도체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상기 (A) 내지 (E)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 충전재(D)와 상기 충전재(E)와의 함유량이 상기 특정 범위 내이기 때문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 및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을 펀칭 가공 또는 드릴 천공 가공할 때에, 금형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상기 (A) 내지 (E)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적층 프레스시에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과도한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 열전도성 및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구조체에서는,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절연층을 통해 도전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이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절연 시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층측에서의 열이 절연층을 통해 상기 열전도체에 전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상기 열전도체에 의해서 열을 효율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절결 정면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적층 구조체
2… 열전도체
2a… 한쪽면
2b… 다른쪽의 면
3… 절연층
4… 도전층
본원 발명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중합체(A)와,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에폭시 단량체(B1) 및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옥세탄 단량체(B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B)와, 경화제(C)를 포함하며, 제1 무기 충전재(D)와, 유기 충전재(E1) 및 제1 무기 충전재(D)와는 다르며 신 모스 경도가 3 이하인 제2 무기 충전재(E2) 중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E)를 각각 상기 특정 함유량으로 포함하는 조성의 채용에 의해서,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 및 가공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상기 조성의 채용에 의해서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을 높일 수 있고, 적층 프레스시에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과도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 및 내열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중합체(A)와,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에폭시 단량체(B1) 및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옥세탄 단량체(B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B)와, 유기 충전재(E1) 및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와는 다르며 신 모스 경도가 3 이하인 제2 무기 충전재(E2) 중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E)를 포함한다.
(중합체(A))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중합체(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체(A)는 방향족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중합체(A)가 방향족 골격을 갖는 경우에는, 방향족 골격을 중합체 전체 중에 가질 수도 있고, 주쇄 골격 내에 가질 수도 있고, 측쇄 중에 가질 수도 있다. 중합체(A)는 방향족 골격을 주쇄 골격 내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중합체(A)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향족 골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향족 골격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나프탈렌 골격,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안트라센 골격, 피렌 골격, 크산텐 골격, 아다만탄 골격 또는 비스페놀 A형 골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페닐 골격 또는 플루오렌 골격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A)로서,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또는 폴리에테르케톤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벤조옥사진, 또는 폴리벤조옥사졸과 벤조옥사진과의 반응물 등의 수퍼엔프라로 불리는 내열성 수지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각각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도 있고,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가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중합체(A)는 스티렌계 중합체,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페녹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페녹시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페녹시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산화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메타크릴산글리시딜의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p-페닐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p-에틸스티렌, p-n-부틸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p-n-헥실스티렌, p-n-옥틸스티렌, p-n-노닐스티렌, p-n-데실스티렌, p-n-도데실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또는 3,4-디클로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헥실,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글리시딜, β-히드록시아크릴산에틸, γ-아미노아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또는 메타크릴산디에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녹시 수지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에피할로히드린과 2가 페놀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지, 또는 2가의 에폭시 화합물과 2가 페놀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지이다.
상기 페녹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골격, 비스페놀 F형 골격, 비스페놀 A/F 혼합형 골격, 나프탈렌 골격,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안트라센 골격, 피렌 골격, 크산텐 골격, 아다만탄 골격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페녹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골격, 비스페놀 F형 골격, 비스페놀 A/F 혼합형 골격, 나프탈렌 골격, 플루오렌 골격 및 비페닐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플루오렌 골격 및 비페닐 골격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골격을 갖는 페녹시 수지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페녹시 수지는 주쇄 중에 다환식 방향족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녹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9로 표시되는 골격 중 적어도 1개의 골격을 주쇄 중에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4
상기 화학식 4 중, R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X1은 단결합, 탄소수 1 내지 7의 2가 탄화수소기, -O-, -S-, -SO2- 또는 -CO-이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5
상기 화학식 5 중, R1a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m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6
상기 화학식 6 중, R1b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l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7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8
상기 화학식 8 중, R5 및 R6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X2는 -SO2-, -CH2-, -C(CH3)2- 또는 -O-이고, k는 0 또는 1이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09
상기 중합체(A)로서,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0 또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페녹시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0
상기 화학식 10 중, A1은 상기 화학식 4 내지 6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구성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가 0 내지 60 몰%,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가 5 내지 95 몰%, 및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가 5 내지 95 몰%이고, A2는 수소 원자, 또는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기이고, n1은 평균값으로 25 내지 500의 수이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1
상기 화학식 11 중, A3은 상기 화학식 8 또는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고, n2는 적어도 21 이상의 값이다.
상기 중합체(A)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60 내지 20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내지 18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체(A)의 Tg가 너무 낮으면, 수지가 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중합체(A)의 Tg가 너무 높으면, 중합체(A)와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빠진다. 이 결과,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 및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체(A)가 페녹시 수지인 경우에는, 페녹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9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내지 20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 내지 18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페녹시 수지의 Tg가 너무 낮으면, 수지가 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페녹시 수지의 Tg가 너무 높으면, 페녹시 수지와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빠진다. 이 결과,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 및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체(A)는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는, 제1 무기 충전재(D) 또는 충전재(E)와의 친화성이 높다. 따라서, 절연 시트 중에서의 제1 무기 충전재(D) 또는 충전재(E)의 분산성 및 중합체(A)와 제1 무기 충전재(D) 또는 충전재(E)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무기 충전재(D) 또는 충전재(E)와 수지층의 계면에 공극 등이 발생하지 않고,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 및 열전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A)의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기(pKa=16), 인산기(pKa=7), 카르복실기(pKa=4) 또는 술폰산기(pKa=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체(A)의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는 수산기, 인산기, 카르복실기 및 술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인산기, 카르복실기 및 술폰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A)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 및 열전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 및 열전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합체(A)의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는 카르복실기 또는 인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의 pKa는 2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Ka가 2 미만이면, 중합체(A)의 산성도가 너무 높아서 수지 성분 중의 에폭시 성분 및 옥세탄 성분의 반응이 촉진되기 쉽다. 이 때문에, 절연 시트를 미경화 상태로 저장한 경우에, 절연 시트의 저장 안정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pKa가 10을 초과하면, 절연 시트 중에서의 제1 무기 충전재(D) 또는 충전재(E)의 분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 및 열전도성을 충분히 높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A)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기, 술폰산기, 인산기 또는 수산기 등의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하는 방법, 기재가 되는 줄기 중합체에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그래프트 공중합하는 방법, 또는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의 유도기를 갖는 중합체의 상기 유도기를,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로 변환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카르복실산기 함유 스티렌계 중합체, 카르복실산기 함유 페녹시 수지, 카르복실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카르복실산기 함유 폴리에테르, 카르복실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카르복실산기 함유 지방족계 중합체, 카르복실산기 함유 폴리실록산계 중합체, 인산기 함유 스티렌계 중합체, 인산기 함유 페녹시 수지, 인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인산기 함유 폴리에테르, 인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인산기 함유 지방족계 중합체, 인산기 함유 폴리실록산계 중합체, 술폰산기 함유 스티렌계 중합체, 인산기 함유 페녹시 수지, 술폰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술폰산기 함유 폴리에테르, 술폰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술폰산기 함유 지방족계 중합체, 술폰산기 함유 폴리실록산계 중합체, 수산기 함유 스티렌계 중합체, 수산기 함유 페녹시 수지,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수산기 함유 지방족계 중합체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실록산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A)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상이다.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 내지 1,000,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0 내지 250,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절연 시트가 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중합체(A)와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빠진다. 이 결과, 절연 시트의 취급성 및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체(A), 상기 단량체(B) 및 상기 경화제(C)를 포함하는 절연 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수지 성분의 합계 100 중량% 중에, 중합체(A)는 20 내지 6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A)는 상기 범위 내에서, 중합체(A)와 단량체(B)와의 합계 함유량이 100 중량% 미만이 되도록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수지 성분의 합계 100 중량% 중의 중합체(A)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중량%이다. 중합체(A)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중합체(A)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제1 무기 충전재(D) 및 충전재(E)의 분산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체 수지 성분이란, 중합체(A), 에폭시 단량체(B1), 옥세탄 단량체(B2), 경화제(C)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다른 수지 성분의 총합을 말한다. 전체 수지 성분에는, 유기 충전재(E1)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단량체(B))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에폭시 단량체(B1) 및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옥세탄 단량체(B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B)를 포함한다. 단량체(B)로서, 에폭시 단량체(B1)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옥세탄 단량체(B2)만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에폭시 단량체(B1)과 옥세탄 단량체(B2)가 둘다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에폭시 단량체(B1)은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폭시 단량체(B1)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나프탈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아다만텐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비페닐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바이(글리시딜옥시페닐)메탄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크산텐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안트라센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또는 피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단량체(B1)은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또는 비스페놀 S형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로서는,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시드,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갖는 페놀노볼락에폭시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나프탈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로서는, 1-글리시딜나프탈렌, 2-글리시딜나프탈렌, 1,2-디글리시딜나프탈렌, 1,5-디글리시딜나프탈렌, 1,6-디글리시딜나프탈렌, 1,7-디글리시딜나프탈렌, 2,7-디글리시딜나프탈렌, 트리글리시딜나프탈렌 또는 1,2,5,6-테트라글리시딜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다만텐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로서는, 1,3-비스(4-글리시딜옥시페닐)아다만텐 또는 2,2-비스(4-글리시딜옥시페닐)아다만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로서는, 9,9-비스(4-글리시딜옥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글리시딜옥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글리시딜옥시-3-클로로페닐)플루오렌, 9,9-비스(4-글리시딜옥시-3-브로모페닐)플루오렌, 9,9-비스(4-글리시딜옥시-3-플루오로페닐)플루오렌, 9,9-비스(4-글리시딜옥시-3-메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글리시딜옥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글리시딜옥시-3,5-디클로로페닐)플루오렌 또는 9,9-비스(4-글리시딜옥시-3,5-디브로모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페닐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로서는, 4,4'-디글리시딜비페닐 또는 4,4'-디글리시딜-3,3',5,5'-테트라메틸비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이(글리시딜옥시페닐)메탄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로서는, 1,1'-바이(2,7-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1,8'-바이(2,7-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1,1'-바이(3,7-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1,8'-바이(3,7-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1,1'-바이(3,5-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1,8'-바이(3,5-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1,2'-바이(2,7-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1,2'-바이(3,7-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또는 1,2'-바이(3,5-글리시딜옥시나프틸)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크산텐 골격을 갖는 에폭시 단량체로서는, 1,3,4,5,6,8-헥사메틸-2,7-비스-옥시라닐메톡시-9-페닐-9H-크산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세탄 단량체(B2)는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옥세탄 단량체(B2)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4,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비페닐, 1,4-벤젠디카르복실산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틸]에스테르,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또는 옥세탄화페놀노볼락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탄 단량체(B2)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단량체(B)의 수산기 당량은 6,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당량이 6,000 이하인 경우에는,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B)의 수산기 당량은 6,5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00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B)의 수산기 당량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LC-MS) 또는 1H-핵 자기 공명 스펙트럼(1H-NMR)에 의해 단량체(B) 전체에 대한 수산기량을 W 몰%로서 정량하고, 하기 식에 의한 값이다.
수산기 당량=(중량 평균 분자량/W)×100
상기 단량체(B)의 이론 화학 구조 순도는 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7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B)의 이론 화학 구조 순도가 클수록,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이론 화학 구조 순도」는 구체적으로는 수산기를 갖지 않고, 삼원환(에폭시) 또는 사원환(옥세탄)의 환상 에테르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비율을 나타낸다.
상기 단량체(B)는 증류된 에폭시 단량체 및 증류된 옥세탄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증류된 에폭시 단량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단량체(B1) 및 옥세탄 단량체(B2)의 중량 평균 분자량, 즉, 단량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0 이하이다. 단량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200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550이다. 단량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휘발성이 너무 높아서 절연 시트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단량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절연 시트가 단단하며 취약해지거나,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접착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체(A), 상기 단량체(B) 및 상기 경화제(C)를 포함하는 절연 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수지 성분의 합계 100 중량% 중에, 단량체(B)는 10 내지 6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B)는 상기 범위 내에서, 중합체(A)와 단량체(B)와의 합계 함유량이 100 중량% 미만이 되도록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B)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접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단량체(B)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절연 시트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경화제(C))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화제(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화제(C)는 페놀 수지, 또는 방향족 골격 또는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경화제(C)의 사용에 의해 내열성, 내습성 및 전기 물성의 균형이 우수한 절연 시트의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경화제(C)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페놀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페놀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페놀노볼락, o-크레졸노볼락, p-크레졸노볼락, t-부틸페놀노볼락, 디시클로펜타디엔크레졸, 폴리파라비닐페놀, 비스페놀 A형 노볼락, 크실릴렌 변성 노볼락, 데칼린 변성 노볼락, 폴리(디-o-히드록시페닐)메탄, 폴리(디-m-히드록시페닐)메탄 또는 폴리(디-p-히드록시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절연 시트의 유연성 및 난연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멜라민 골격을 갖는 페놀 수지, 트리아진 골격을 갖는 페놀 수지, 또는 알릴기를 갖는 페놀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MEH-8005, MEH-8010 및 NEH-8015(이상 모두 메이와 가세이사 제조), YLH903(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LA-7052, LA-7054, LA-7751, LA-1356 및 LA-3018-50P(이상 모두 다이닛본 잉크사 제조), 및 PS6313 및 PS6492(군에이 가가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방향족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페닐에티닐프탈산 무수물, 글리세롤비스(안히드로트리멜리테이트)모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안히드로트리멜리테이트), 메틸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또는 트리알킬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틸나스산 무수물 또는 트리알킬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이 바람직하다. 메틸나스산 무수물 또는 트리알킬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의 시판품으로서는, SMA 레진 EF30, SMA 레진 EF40, SMA 레진 EF60 및 SMA 레진 EF80(이상 모두 사토머ㆍ재팬사 제조), ODPA-M 및 PEPA(이상 모두 마낙사 제조), 리카지트 MTA-10, 리카지트 MTA-15, 리카지트 TMTA, 리카지트 TMEG-100, 리카지트 TMEG-200, 리카지트 TMEG-300, 리카지트 TMEG-500, 리카지트 TMEG-S, 리카지트 TH, 리카지트 HT-1A, 리카지트 HH, 리카지트 MH-700, 리카지트 MT-500, 리카지트 DSDA 및 리카지트 TDA-100(이상 모두 신닛본 케미컬사 제조), 및 에피클론(EPICLON) B4400, 에피클론 B650 및 에피클론 B570(이상 모두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은, 다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 또는 테르펜계 화합물과 무수 말레산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유연성, 내습성 또는 접착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로서는, 메틸나스산 무수물,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의 시판품으로서는, 리카지트 HNA 및 리카지트 HNA-100(이상 모두 신닛본 케미컬사 제조), 및 에피큐어 YH306, 에피큐어 YH307, 에피큐어 YH308H 및 에피큐어 YH309(이상 모두 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C)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산무수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경화제(C)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유연성, 내습성 또는 접착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2
<화학식 2>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3
<화학식 3>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4
상기 화학식 3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경화 속도 또는 경화물의 물성 등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경화제와 경화 촉진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화 촉진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3급 아민, 이미다졸류, 이미다졸린류, 트리아진류, 유기 인계 화합물, 4급 포스포늄염류 또는 유기산염 등의 디아자비시클로알켄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 촉진제로서는, 유기 금속 화합물류, 4급 암모늄염류 또는 금속 할로겐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류로서는, 옥틸산아연, 옥틸산주석 또는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톤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로서, 고융점의 이미다졸 경화 촉진제, 고융점의 분산형 잠재성 경화 촉진제, 마이크로캡슐형 잠재성 경화 촉진제, 아민염형 잠재성 경화 촉진제, 또는 고온 해리형 및 열 양이온 중합형 잠재성 경화 촉진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융점의 분산형 잠재성 촉진제로서는, 디시안디아미드 또는 아민이 에폭시 단량체 등에 부가된 아민 부가형 촉진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형 잠재성 촉진제로서는, 이미다졸계, 인계 또는 포스핀계 촉진제의 표면이 중합체에 의해 피복된 마이크로캡슐형 잠재성 촉진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온 해리형 및 열 양이온 중합형 잠재성 경화 촉진제로서는, 루이스산염 또는 브뢴스테드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고융점의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융점의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가 이용된 경우에는, 반응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절연 시트의 경화 속도, 및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물성 등을 한층 더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융점 100 ℃ 이상의 고융점의 경화 촉진제는 취급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경화 촉진제의 융점은 1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A), 단량체(B) 및 경화제(C)를 포함하는 절연 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수지 성분의 합계 100 중량% 중에, 경화제(C)는 10 내지 4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수지 성분의 합계 100 중량% 중의 경화제(C)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2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중량%이다. 경화제(C)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절연 시트를 충분히 경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경화제(C)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경화에 관여하지 않는 잉여의 경화제가 발생하거나, 경화물의 가교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 및 접착성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에 제1 무기 충전재(D)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의 열전도율은 10 W/mㆍ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열전도율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W/mㆍK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 W/mㆍK이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열전도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열전도율 300 W/mㆍK 정도의 무기 충전재는 널리 알려져 있고, 또한 열전도율 200 W/mㆍK 정도의 무기 충전재는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의 신 모스 경도는 3.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 모스 경도가 3.1 이상인 무기 충전재가 이용된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이 저하되기 쉽다. 그러나,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은 일정 범위 내로 한정되어 있으며, 제1 무기 충전재(D)가 부족한 것을 보충하기 위해서 제1 무기 충전재(D)와 함께 충전재(E)가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을 희생하지 않고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신 모스 경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4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14이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신 모스 경도가 너무 크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이 높은 열전도성과 높은 가공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무기 충전재(D)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는 알루미나, 합성 마그네사이트, 결정성 실리카,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탄화규소, 산화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나,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탄화규소, 산화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제1 무기 충전재(D)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신 모스 경도가 3.1 이상이기 때문에, 제1 무기 충전재(D)는 알루미나, 합성 마그네사이트, 결정성 실리카,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탄화규소, 산화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제1 무기 충전재(D)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는 구형 알루미나, 파쇄 알루미나 및 구형 질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구형 알루미나 또는 구형 질화알루미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는 구형 충전재일 수도 있고, 파쇄된 충전재일 수도 있다.
상기 파쇄된 충전재로서는, 파쇄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파쇄된 충전재는, 예를 들면 일축 파쇄기, 이축 파쇄기, 해머 파쇄기 또는 볼 밀 등을 이용하여 덩어리상의 무기 물질을 파쇄함으로써 얻어진다. 파쇄된 충전재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 중의 제1 무기 충전재(D)가 가교되거나 또는 효율적으로 근접된 구조가 되기 쉽다. 따라서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파쇄된 충전재는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충전재에 비해 저렴하였다. 이 때문에, 파쇄된 충전재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파쇄된 충전재의 평균 입경은 12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12 μm를 초과하면, 절연 시트 중에 파쇄된 충전재를 고밀도로 분산시킬 수 없고,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파쇄된 충전재의 평균 입경의 바람직한 상한은 10 μm이고, 바람직한 하한은 1 μm이다. 충전재의 평균 입경이 너무 작으면, 파쇄된 충전재를 고밀도로 충전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파쇄된 충전재의 종횡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파쇄된 충전재의 종횡비는 1.5 내지 2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횡비가 1.5 미만인 충전재는 비교적 고가이다. 따라서, 절연 시트의 비용이 높아진다. 상기 종횡비가 20을 초과하면, 파쇄된 충전재의 충전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파쇄된 충전재의 종횡비는, 예를 들면 디지탈 화상 해석 방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상품명 FPA, 닛본 루프트사 제조)를 이용하여 충전재의 파쇄면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가 구형 충전재인 경우에는, 구형 충전재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40 μ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평균 입경이 0.1 μm 미만이면, 구형 충전재를 고밀도로 충전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평균 입경이 40 μm를 초과하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한 부피 평균에서의 입도 분포 측정 결과로부터 구해지는 평균 입경이다.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에, 제1 무기 충전재(D)는 20 내지 60 부피%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 및 가공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는 상기 범위 내에서, 제1 무기 충전재(D)와 충전재(E)와의 합계 함유량이 100 부피% 미만이 되도록 포함되어 있다.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0 부피%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55 부피%이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시에, 금형이 마모되기 쉬워진다.
(충전재(E))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유기 충전재(E1) 및 제1 무기 충전재(D)와는 다르며, 신 모스 경도가 3 이하인 제2 무기 충전재(E2) 중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E)를 포함한다. 충전재(E)로서, 유기 충전재(E1)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제2 무기 충전재(E2)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유기 충전재(E1)과 제2 무기 충전재(E2)가 둘다 이용될 수도 있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을 많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나 등의 무기 충전재의 신 모스 경도는 비교적 높다. 이 때문에,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을 많게 한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을 펀칭 가공 또는 드릴 천공 가공하거나 할 때에, 금형이 마모되기 쉽다. 금형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을 적게 하면 된다. 그러나,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을 적게 하면, 절연 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 성분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기 때문에, 적층 프레스시 등에 절연 시트가 유동하는 경우가 있다. 절연 시트가 유동하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두께가 얇아지고, 절연 파괴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이 20 내지 60 부피%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적층 프레스시에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가 유동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에서는, 제1 무기 충전재(D)와 함께 충전재(E)가 일정 함유량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이 저하되지 않고, 절연 시트의 경화물을 펀칭 가공 또는 드릴 천공 가공하거나 할 때에, 금형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층 프레스시 등에 절연 시트의 과도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가 유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을 높일 수 있다.
충전재(E)는 유기 충전재(E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충전재(E1)은 유연성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상기 유기 충전재(E1)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이 저하되지 않고, 적층 프레스시에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가 과도하게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충전재(E1)은 단량체에 의해 형성된 반복 구조를 포함하는 불용성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는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스티렌계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단량체 및 스티렌계 단량체는 각각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헥실,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글리시딜, β-히드록시아크릴산에틸, γ-아미노아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또는 메타크릴산디에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로서, 예를 들면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p-페닐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p-에틸스티렌, p-n-부틸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p-n-헥실스티렌, p-n-옥틸스티렌, p-n-노닐스티렌, p-n-데실스티렌, p-n-도데실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또는 3,4-디클로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단량체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충전재(E1)은 코어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충전재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충전재는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을 피복하고 있는 쉘층을 갖는다. 상기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을 피복하고 있는 쉘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충전재(E1)은 규소 원자에 산소 원자가 직접 결합된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유기물을 포함하는 복합 충전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코어층이, 규소 원자에 산소 원자가 직접 결합된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쉘층이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충전재(E1)은 상기 규소 원자에 산소 원자가 직접 결합된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어층과, 상기 유기물을 포함하는 쉘층을 갖는 복합 충전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소 원자에 산소 원자가 직접 결합된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실록산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물은 아크릴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충전재(E1)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40 μ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충전재(E1)의 평균 입경의 바람직한 상한은 20 μm이다. 유기 충전재(E1)의 평균 입경이 너무 작으면, 유기 충전재(E1)을 고밀도로 충전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유기 충전재(E1)의 평균 입경이 너무 크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한 부피 평균에서의 입도 분포 측정 결과로부터 구해지는 평균 입경이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이 저하되지 않고, 적층 프레스시에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과도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 및 내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충전재(E)는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E)는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이고,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1)이 규조토, 질화붕소,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탈크, 카올린, 점토 및 운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탈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는 구형 충전재일 수도 있고, 파쇄된 충전재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가 구형 충전재인 경우에는, 구형 충전재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40 μ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0.1 μm 미만이면, 제2 무기 충전재(E2)를 고밀도로 충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평균 입경이 40 μm를 초과하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한 부피 평균에서의 입도 분포 측정 결과로부터 구해지는 평균 입경이다.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에, 충전재(E)는 1 내지 40 부피%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다. 단, 충전재(E)가 상기 유기 충전재(E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에, 유기 충전재(E1)은 3 내지 40 부피%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다. 충전재(E)는 상기 범위 내에서, 제1 무기 충전재(D)와 충전재(E)와의 합계 함유량이 100 부피% 미만이 되도록 포함되어 있다.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충전재(E)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 부피%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 부피%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 부피%이다.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충전재(E)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30 부피%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부피%이다. 충전재(E)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적층 프레스시에 절연 시트의 유동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충전재(E)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제1 무기 충전재(D)와 충전재(E)와의 합계 첨가량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이 저하되거나,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가 단단하며 취약해지고,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 및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접착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절연 시트가 충전재(E)로서 상기 유기 충전재(E1)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상기 유기 충전재(E1) 함유량의 하한은 3 부피%이고, 바람직한 하한은 5 부피%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 부피%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30 부피%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부피%이다.
또한, 절연 시트가 물질(E)로서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 함유량의 하한은 1 부피%이고, 바람직한 하한은 2 부피%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 부피%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30 부피%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부피%이다.
절연 시트 100 부피% 중에,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와 상기 충전재(E)는 합계로 30 내지 90 부피%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기 충전재(D)와 충전재(E)와의 합계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적층 프레스시에 절연 시트가 과도하게 유동하는 경우가 있다. 제1 무기 충전재(D)와 충전재(E)와의 합계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 내열성 또는 구리의 박리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충전재(E)는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이고,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 및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가 하기 수학식 X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가공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수학식 X>
[{(제1 무기 충전재(D)의 신 모스 경도)×(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부피%))}+{(제2 무기 충전재(E2)의 신 모스 경도)×(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제2 무기 충전재(E2)의 함유량(부피%))}] < 6
상기 수학식 X 중의 우변값은 6이고, 상기 수학식 X 중의 우변값은 5.5인 것이 바람직하고,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학식 X 중 「<6」은 「<5.5」인 것이 바람직하고,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제(F))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분산제(F)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F)는,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갖는 분산제(F)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F)의 사용에 의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 및 절연 파괴 특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F)의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pKa=4), 인산기(pKa=7) 또는 페놀기(pKa=1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산제(F)의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의 pKa는, 2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의 pKa가 2 미만이면, 분산제(F)의 산성도가 높아지고, 원료 수지 성분 중의 에폭시 성분 및 옥세탄 성분의 반응이 촉진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가 저장된 경우에, 절연 시트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관능기의 pKa가 10을 초과하면, 분산제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다할 수 없고,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 및 절연 파괴 특성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수소 결합성을 갖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는 카르복실기 또는 인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 및 절연 파괴 특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F)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카르복실산, 폴리에테르계 카르복실산, 폴리아크릴계 카르복실산, 지방족계 카르복실산, 폴리실록산계 카르복실산, 폴리에스테르계 인산, 폴리에테르계 인산, 폴리아크릴계 인산, 지방족계 인산, 폴리실록산계 인산, 폴리에스테르계 페놀, 폴리에테르계 페놀, 폴리아크릴계 페놀, 지방족계 페놀 또는 폴리실록산계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F)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절연 시트 100 중량% 중에, 분산제(F)는 0.01 내지 2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시트 100 중량% 중의 분산제(F)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1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0 중량%이다. 분산제(F)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 및 충전재(E)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 및 절연 파괴 특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다른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취급성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 유리 클로스, 유리 부직포, 아라미드 부직포 등의 기재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 상기 기재 물질을 포함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절연 시트는 실온(23 ℃)에서 미경화 상태이어도 자립성을 가지며, 우수한 취급성을 갖는다. 따라서, 절연 시트는 기재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 클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시트가 상기 기재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가 상기 기재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절연 시트에 레이저 가공 또는 드릴 천공 가공 등의 각종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자립성이란, PET 필름 또는 동박이라고 하는 지지체가 존재하지 않아도, 미경화 상태라도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시트로서 취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연 시트는 필요에 따라서 요변성 부여제, 난연제 또는 착색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절연 시트)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재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제 캐스팅법 또는 압출 성막법 등의 방법으로 시트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절연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시트형으로 성형할 때에, 탈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절연 시트의 두께는 10 내지 300 μ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시트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μm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70 μm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0 μm이고,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20 μm이다. 두께가 너무 얇으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절연 시트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두께가 얇아도, 본 발명의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특성은 충분히 높다.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25 ℃를 초과하면, 실온에서 절연 시트가 단단하며 취약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율은 0.7 W/mㆍ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율은 1.0 W/mㆍK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W/mㆍK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전도율이 너무 낮으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방열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25 ℃에서의 굽힘 탄성률은 10 내지 1,000 MPa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500 MPa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25 ℃에서의 굽힘 탄성률이 10 MPa 미만이면,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실온에서의 자립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25 ℃에서의 굽힘 탄성률이 1,000 MPa를 초과하면, 가열 접착시에 탄성률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기 때문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이 접착 대상물에 충분히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절연 시트의 경화물과 접착 대상물과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절연 시트가 경화되었을 때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25 ℃에서의 굽힘 탄성률은 1,000 내지 50,000 MPa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0 내지 30,000 MPa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25 ℃에서의 굽힘 탄성률이 너무 낮으면, 예를 들면 절연 시트를 이용하여, 두께가 얇은 적층 기판 또는 양면에 구리 회로가 설치된 적층판 등의 적층체를 제조한 경우에, 적층체가 휘기 쉽다. 이 때문에, 꺾임이나 굽힘 등에 의해 적층체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25 ℃에서의 굽힘 탄성률이 너무 높으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이 단단하며 취약해지고, 절연 시트의 경화물에 균열 등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굽힘 탄성률은, 예를 들면 만능 시험기 RTC-1310A(오리엔텍사 제조)를 이용하여 JIS K 7111에 준거하고, 길이 8 cm, 폭 1 cm 및 두께 4 mm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지점간 거리 6 cm 및 속도 1.5 mm/분의 각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굽힘 탄성률을 측정할 때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은 120 ℃에서 1 시간, 다음에 200 ℃에서 1 시간의 2 단계의 온도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회전형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25 ℃에서의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tanδ가 0.1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으며,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25 ℃에서 250 ℃까지 승온시킨 경우의 절연 시트의 tanδ의 최대값이 1.0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시트의 tanδ는 0.1 내지 0.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시트의 tanδ의 최대값은 1.5 내지 4.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25 ℃에서의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tanδ가 0.1 미만이면,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유연성이 낮아지고,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상기 25 ℃에서의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tanδ가 1.0 이상이면,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가 너무 부드럽기 때문에,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25 ℃에서 250 ℃까지 승온시킨 경우의 절연 시트의 tanδ의 최대값이 1.0 미만이면, 가열 접착시에 절연 시트가 접착 대상물에 충분히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절연 시트의 tanδ의 최대값이 5.0을 초과하면, 절연 시트의 유동성이 너무 높아지고, 가열 접착시에 절연 시트의 두께가 얇아져서, 원하는 절연 파괴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25 ℃에서의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tanδ는, 회전형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VAR-100(레올로지카ㆍ인스트루먼트사 제조)을 이용하여 직경 2 cm의 원판형의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이용하여, 직경 2 cm의 병렬형 플레이트에 의해 25 ℃에서 오실레이션 변형 제어 모드, 개시 응력 10 Pa, 주파수 1 Hz 및 변형 1 %의 각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25 ℃에서 250 ℃까지 승온시킨 경우의 절연 시트의 tanδ의 최대값은, 상기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상기 측정 조건에 부가적으로 승온 속도 30 ℃/분으로 25 ℃에서 250 ℃까지 승온시킴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굽힘 탄성률 및 tanδ가 상기 특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제조시 및 사용시에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취급성이 현저히 높아진다. 또한, 절연 시트를 이용하여, 동박이나 알루미늄판 등의 고열전도체를 도전층에 접착시킨 경우에는, 접착 강도가 현저히 높아진다. 또한, 상기 고열전도체의 접착면이 요철을 갖는 경우에, 절연 시트의 상기 요철에 대한 추종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착 계면에 공극이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열전도성이 높아진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전압은 30 kV/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 파괴 전압은 40 kV/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kV/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kV/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kV/mm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절연 파괴 전압이 너무 낮으면, 예를 들면 전력 소자용과 같은 대전류 용도에 이용된 경우에,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절연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반응률은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반응률이 10 %를 초과하면,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가 단단하며 취약해지고,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실온에서의 취급성이 저하되거나,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접착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절연 시트의 반응률은 시차 주사형 열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절연 시트를 120 ℃ 1 시간, 다음에 200 ℃ 1 시간의 2 단계로 경화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열량으로부터 계산함으로써 구해진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부피 저항률은 1014 Ωㆍ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6 Ωㆍc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피 저항률이 너무 낮으면, 도체층과 열전도체 사이의 절연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선 팽창률은 3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선 팽창률이 너무 높으면,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적층 구조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를 도전층에 접착시키는 데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절연층을 통해 도전층이 적층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의 절연층을 구성하는 데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적층 구조체 (1)은 열전도체 (2)와, 열전도체 (2)의 한쪽면 (2a)에 적층된 절연층 (3)과, 절연층 (3)의 열전도체 (2)가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도전층 (4)를 구비한다. 절연층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열전도체 (2)의 열전도율은 10 W/mㆍK 이상이다.
열전도체 (2)의 적어도 한쪽면 (2a)에, 절연층 (3)과 도전층 (4)가 이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고, 열전도체 (2)의 다른쪽의 면 (2b)에도 절연층과 도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될 수도 있다.
적층 구조체 (1)에서는, 절연층 (3)이 높은 열전도율을 갖기 때문에, 도전층 (4)측에서의 열이 절연층 (3)을 통해 열전도체 (2)에 전해지기 쉽다. 적층 구조체 (1)에서는, 열전도체 (2)에 의해서 열을 효율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에 구리 회로가 설치된 적층판 또는 다층 배선판, 동박, 구리판, 반도체 소자 또는 반도체 패키지 등의 각 도전층에, 절연 시트를 통해 금속체를 접착시킨 후, 절연 시트를 경화시킴으로써 적층 구조체 (1)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알루미나, 베릴리아, 탄화규소,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또는 흑연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또는 알루미늄은 방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기판 상에 반도체 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반도체 장치의 도전층에,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를 접착시키는 데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시트는, 반도체 소자 이외의 전자 부품 소자가 기판 상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 부품 장치의 도전층에,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를 접착시키는 것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반도체 소자가 대전류용 전력용 디바이스 소자인 경우에는, 절연 시트의 경화물에는, 절연성 또는 내열성 등에 한층 더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도에, 본 발명의 절연 시트는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분명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중합체(A)]
(1) 비스페놀 A형 페녹시 수지(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상품명: E1256, Mw=51,000, Tg=98 ℃)
(2) 고내열 페녹시 수지(도토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FX-293, Mw=43,700, Tg=163 ℃)
(3) 에폭시기 함유 스티렌 수지(닛본 유시사 제조, 상품명: 마플루프 G-1010 S, Mw=100,000, Tg=93 ℃)
(4)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 수지(신나카무라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PSY-130, Mw=30,000, Tg=109 ℃)
(5) 술폰산기 함유 스티렌 수지(닛본 엔에스씨사 제조, 상품명: 베르사(VERSA)-TL 72, Mw=70,000, Tg=98 ℃)
(6) 인산기 함유 아크릴 수지(합성예 1에서 합성, Mw=12,000, Tg=97 ℃)
(합성예 1)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0.7 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0.3 몰을 첨가한 후, 용매로서의 메틸에틸케톤 및 촉매로서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더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 80 ℃에서 18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냉각시키고, 중합 금지제로서의 메틸히드로퀴논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물 1 몰을 첨가하고, 40 ℃로 유지하며, 교반하면서 무수 인산 0.1 몰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그 후, 3 시간 반응시키고, 인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중합체(A) 이외의 중합체]
(1)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수지(닛본 유시사 제조, 상품명: 마플루프 G-0130S, Mw=9,000, Tg=69 ℃)
[에폭시 단량체(B1)]
(1) 비스페놀 A형 액상 에폭시 수지(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상품명: 에피코트 828US, Mw=370, 수산기 당량 3,0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87 %)
(2) 비스페놀 F형 액상 에폭시 수지(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상품명: 에피코트 806L, Mw=370, 수산기 당량 2,5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87 %)
(3) 3관능 글리시딜디아민형 액상 에폭시 수지(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상품명: 에피코트 630, Mw=300, 수산기 당량 3,7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92 %)
(4) 플루오렌 골격 에폭시 수지(오사까 가스 케미칼사 제조, 상품명: 온코트 EX1011, Mw=486, 수산기 당량 2,3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81 %)
(5) 나프탈렌 골격 액상 에폭시 수지(증류 나프탈렌 골격 액상 에폭시 수지,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에피클론 HP-4032D, Mw=304, 수산기 당량 7,0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98 %)
(6) 증류 비스페놀 A형 액상 에폭시 수지(도토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YD-8125, Mw=350, 수산기 당량 17,0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99 %)
(7) 증류 비스페놀 F형 액상 에폭시 수지(도토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YDF-8170C, Mw=320, 수산기 당량 16,0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99 %)
[옥세탄 단량체(B2)]
(1) 벤젠 골격 함유 옥세탄 수지(우베 고산사 제조, 상품명: 에타나콜 OXTP, Mw=362.4, 수산기 당량 6,5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97 %)
[에폭시 단량체(B1) 및 옥세탄 단량체(B2) 이외의 단량체]
(1) 헥사히드로프탈산 골격 액상 에폭시 수지(닛본 가야꾸사 제조, 상품명: AK-601, Mw=284, 수산기 당량 2,800, 이론 화학 구조 순도 90 %)
(2) 비스페놀 A형 고체상 에폭시 수지(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상품명: 1003, Mw=1300, 수산기 당량 380, 수산기 함유 혼합물, 수산기를 갖기 때문에 이론 화학 구조 순도는 낮음)
[경화제(C)]
(1) 지환식 골격 산무수물(신닛본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MH-700)
(2) 방향족 골격 산무수물(사토머ㆍ재팬사 제조, 상품명: SMA 레진 EF60)
(3) 다지환식 골격 산무수물(신닛본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HNA-100)
(4) 테르펜 골격 산무수물(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상품명: 에피큐어 YH-306)
(5) 비페닐 골격 페놀 수지(메이와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MEH-7851-S)
(6) 알릴 골격 페놀 수지(재팬 에폭시 레진사 제조, 상품명: YLH-903)
(7) 트리아진 골격 페놀 수지(다이닛본 잉크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페놀라이트 KA-7052-L2)
(8) 멜라민 골격 페놀 수지(군에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PS-6492)
(9) 이소시아누르 변성 고체 분산형 이미다졸(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 시코쿠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2MZA-PW)
[제1 무기 충전재(D)]
(1) 5 μm 파쇄 알루미나(파쇄 충전재, 닛본 게이낀조꾸사 제조, 상품명: LT300C, 평균 입경 5 μm, 열전도율 36 W/mㆍK, 신 모스 경도 12)
(2) 2 μm 파쇄 알루미나(파쇄 충전재, 닛본 게이낀조꾸사 제조, 상품명: LS-242C, 평균 입경 2 μm, 열전도율 36 W/mㆍK, 신 모스 경도 12)
(3) 6 μm 파쇄 질화알루미늄(파쇄 충전재, 도요 알루미늄사 제조, 상품명: FLC, 평균 입경 6 μm, 열전도율 200 W/mㆍK, 신 모스 경도 11)
(4) 구형 알루미나(덴까사 제조, 상품명: DAM-10, 평균 입경 10 μm, 열전도율 36 W/mㆍK, 신 모스 경도 12)
(5) 합성 마그네사이트(고노시마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MSL, 평균 입경 6 μm, 열전도율 15 W/mㆍK, 신 모스 경도 3.5)
(6) 질화알루미늄(도요 알루미늄사 제조, 상품명: 도얄나이트(TOYALNITE)-FLX, 평균 입경 14 μm, 열전도율 200 W/mㆍK, 신 모스 경도 11)
(7) 결정 실리카(다쯔모리사 제조, 상품명: 크리스탈라이트 CMC-12, 평균 입경 5 μm, 열전도율 10 W/mㆍK, 신 모스 경도 7)
(8) 탄화규소(시나노 덴끼 세이렌사 제조, 상품명: 시나노랜덤 GP#700, 평균 입경 17 μm, 열전도율 125 W/mㆍK, 신 모스 경도 13)
(9) 산화아연(사까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LPZINC-5, 평균 입경 5 μm, 열전도율 54 W/mㆍK, 신 모스 경도 5)
(10) 산화마그네슘(사까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SM0 라지 파티클(Large Particle), 평균 입경 1.1 μm, 열전도율 35 W/mㆍK, 신 모스 경도 6)
[유기 충전재(E1)]
(1) 0.1 μm 입자(코어쉘형 실리콘-아크릴 입자, 아사히 가세이 와커 실리콘사 제조, 상품명: P22, 평균 입경 0.1 μm, 코어쉘 구조를 갖는, 규소 원자에 산소 원자가 직접 결합된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어층과 유기물을 포함함)
(2) 0.5 μm 입자(코어쉘형 유기 입자, 간쯔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AC-3355, 평균 입경 0.5 μm, 코어쉘 구조를 가짐)
(3) 4 μm 입자(아크릴 입자, 간쯔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GM-0401S, 평균 입경 4 μm)
[제2 무기 충전재(E2)]
(1) 운모(야마구찌 마이카 고교쇼사 제조, 상품명: SJ005, 평균 입경 5 μm, 신 모스 경도 2.8)
(2) 탈크(닛본 탈크사 제조, 상품명: K-1, 평균 입경 8 μm, 신 모스 경도 1)
(3) 질화붕소(쇼와 덴꼬사 제조, 상품명: UHP-1, 평균 입경 8 μm, 신 모스 경도 2)
(4) 점토(시라이시 칼슘사 제조, 상품명: ST-301, 평균 입경 0.7 μm, 신 모스 경도 2)
(5) 카올린(바스프(BASF)사 제조, 상품명: ASP-400P, 평균 입경 4.8 μm, 신 모스 경도 2.8)
(6) 수산화알루미늄(닛본 게이낀조꾸사 제조, 상품명: B-103, 평균 입경 8 μm, 신 모스 경도 3)
(7) 수산화마그네슘(다테호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PZ-1, 평균 입경 1.2 μm, 신 모스 경도 2.5)
(8) 탄산칼슘(시라이시 칼슘사 제조, 상품명: BF-300, 평균 입경 8 μm, 신 모스 경도 3)
(9) 규조토(시라이시 칼슘사 제조, 상품명: ST-C219, 평균 입경 9 μm, 신 모스 경도 1.5)
[분산제(F)]
(1) 아크릴계 분산제(빅케미 재팬사 제조, 상품명: 디스퍼빅(Disperbyk)-2070, pKa가 4인 카르복실기를 가짐)
(2) 폴리에테르계 분산제(구스모또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ED151, pKa가 7인 인산기를 가짐)
[첨가제]
(1) 에폭시실란 커플링제(신에쯔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KBE403)
[용제]
(1) 메틸에틸케톤
(실시예 1)
호모디스퍼형 교반기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배합 단위는 중량부)로 각 원료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절연 재료를 제조하였다.
막 두께 50 μm의 이형 PET 시트에, 상기 절연 재료를 100 μm의 두께가 되 도록 도공하고, 90 ℃의 오븐 내에서 30 분 건조시켜 PET 시트 상에 절연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22 및 비교예 1 내지 5)
사용한 각 원료의 종류 및 배합량을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절연 재료를 제조하고, PET 시트 상에 절연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2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평가)
(1) 취급성
PET 시트와, 상기 PET 시트 상에 형성된 절연 시트를 갖는 적층 시트를 460 mm×610 mm의 평면 형상으로 잘라내어 테스트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테스트 샘플을 이용하여 실온(23 ℃)에서 PET 시트로부터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박리하였을 때의 취급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취급성의 판정 기준]
○: 절연 시트의 변형이 없고, 용이하게 박리 가능
△: 절연 시트를 박리할 수 있지만, 시트 신장이나 파단이 발생함
×: 절연 시트를 박리할 수 없음
(2) 열전도율
절연 시트를 120 ℃의 오븐 내에서 1 시간, 그 후 200 ℃의 오븐 내에서 1 시간 가온 처리하여 절연 시트를 경화시켰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열전도율을, 교오토 덴시 고교사 제조 열전도율계 「신속 열전도율계 QTM-5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절연 파괴 전압
절연 시트를 100 mm×100 mm의 평면 형상으로 잘라내어 테스트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테스트 샘플을 120 ℃의 오븐 내에서 1 시간, 또한 200 ℃의 오븐 내에서 1 시간 경화시켜 절연 시트의 경화물을 얻었다. 내전압 시험기(모델 7473, 엑스텍 일렉트로닉스(EXTECH Electronics)사 제조)를 이용하여 절연 시트의 경화물 사이에, 1 kV/초의 속도로 전압이 상승하도록 교류 전압을 인가하였다. 절연 시트의 경화물이 파괴된 전압을 절연 파괴 전압으로 하였다.
(4) 땜납 내열 시험
절연 시트를 두께 1.5 mm의 알루미늄판과 두께 35 μm의 전해 동박 사이에 끼우고, 진공 프레스기로 4 MPa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120 ℃에서 1 시간, 또한 200 ℃에서 1 시간, 절연 시트를 프레스 경화시켜 구리 피복 적층판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구리 피복 적층판을 50 mm×60 mm의 크기로 잘라내어 테스트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테스트 샘플을 288 ℃의 땜납욕에 동박측을 아래로 향하여 부유시키고, 동박의 팽창 또는 박리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땜납 내열 시험의 판정 기준]
◎: 10 분 경과하여도 팽창 또는 박리의 발생 없음
○: 3 분 경과 후, 또한 10 분 경과하기 전에 팽창 또는 박리가 발생
△: 1 분 경과 후, 또한 3 분 경과하기 전에 팽창 또는 박리가 발생
×: 1 분 경과하기 전에 팽창 또는 박리가 발생
(5-1) 가공성
절연 시트를 두께 1.5 mm의 알루미늄판과 두께 35 μm의 전해 동박 사이에 끼우고, 진공 프레스기로 4 MPa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120 ℃에서 1 시간, 또한 200 ℃에서 1 시간, 절연 시트를 프레스 경화시켜 구리 피복 적층판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구리 피복 적층판을 직경 2.0 mm의 드릴(유니온툴사 제조, RA 시리즈)을 이용하여 회전수 30000 및 테이블 이송 속도 0.5 m/분의 조건에서 루터 가공하였다. 돌출 부분이 발생하기까지의 가공 거리를 측정하고, 가공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가공성의 판정 기준]
○: 돌출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5 m 이상 가공 가능
△: 돌출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1 m 이상, 5 m 미만 가공 가능
×: 1 m 미만의 가공에 의해 돌출 부분이 발생
(6) 적층 프레스시의 돌출량
PET 시트와, 상기 PET 시트 상에 형성된 절연 시트를 갖는 적층 시트를 13 cm×5 cm의 평면 형상으로 잘라낸 후, 절연 시트를 PET 시트로부터 박리하였다. 또한, 13 cm×5 cm의 평면 형상의 알루미늄판(엔지니어링 테스트 서비스사 제조, JIS H4000 A5052P, 최대 높이 거칠기 Rz=1.1)과, 13 cm×5 cm의 평면 형상의 동박(후쿠다 긴조꾸 하꾸훈 고교사 제조, 전해 동박, CT-T8)을 준비하였다.
알루미늄판의 조면과 동박의 조면 사이에 절연 시트를 끼워 적층체를 얻은 후, 온도 120 ℃ 및 압력 4 MPa에서 10 분간 가열 프레스하였다. 프레스 후에 적층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절연 시트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의 식에 의해 절연 시트의 돌출량을 구하였다. 돌출량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돌출량=(프레스 후에 적층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절연 시트의 중량)/(프레스 전의 절연 시트의 중량)×100
[적층 프레스시의 돌출량의 판정 기준]
○: 절연 시트의 돌출량이 7 % 미만
△: 절연 시트의 돌출량이 7 % 초과 10 % 미만
×: 절연 시트의 돌출량이 10 % 이상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5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6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7
(실시예 23 내지 68 및 비교예 6 내지 13)
사용한 각 원료의 종류 및 배합량을 하기 표 4 내지 12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절연 재료를 제조하고, PET 시트 상에 절연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내지 68 및 비교예 6 내지 13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2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절연 시트와 동일하게, 상기 평가 항목(1) 내지 (4)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가공성의 판정 기준을 하기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5-1) 가공성과 동일하게 하여 (5-2) 가공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하기의 평가 항목(6) 내지 (11)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5-2) 가공성
상기 (5-1)의 가공성과 동일하게 하여, 돌출 부분이 발생하기까지의 가공 거리를 측정하고, 가공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가공성의 판정 기준]
◎: 돌출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20 m 이상 가공 가능
○: 돌출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5 m 이상 20 m 미만 가공 가능
△: 돌출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1 m 이상 5 m 미만 가공 가능
×: 1 m 미만의 가공에 의해 돌출 부분이 발생
(6) 유리 전이 온도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DSC220C」(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 제조)를 이용하여 3 ℃/분의 승온 속도로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7) 자립성
상기 (1) 취급성의 평가에 있어서, PET 시트로부터 박리된 후의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4각을 고정시키고, 상기 4각이 수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절연 시트를 공중에 매달아 23 ℃에서 10 분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의 절연 시트의 변형을 관찰하고, 자립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자립성의 판정 기준]
○: 절연 시트가 아래쪽을 향해 휘어져 있고, 절연 시트의 연직 방향에서의 휨 거리(변형 정도)가 5 cm 이내임
△: 절연 시트가 아래쪽을 향해 휘어져 있고, 절연 시트의 연직 방향에서의 휨 거리(변형 정도)가 5 cm를 초과함
×: 절연 시트가 찢어짐
(8) 방열성
두께 1 mm의 알루미늄판과 두께 35 μm의 전해 동박 사이에 절연 시트를 끼우고, 진공 프레스기로 4 MPa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120 ℃에서 1 시간, 또한 200 ℃에서 1 시간 절연 시트를 프레스 경화시켜 구리 피복 적층판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구리 피복 적층판의 동박면을, 동일 크기의 60 ℃로 제어된 표면이 평활한 발열체에 196 N/cm2의 압력으로 압박하였다. 알루미늄판의 표면 온도를 열전대에 의해 측정하고, 방열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방열성의 판정 기준]
◎: 발열체와 알루미늄판의 표면 온도차가 3 ℃ 이하임
○: 발열체와 알루미늄판의 표면 온도차가 3 ℃ 초과 6 ℃ 이하임
△: 발열체와 알루미늄판의 표면 온도차가 6 ℃ 초과 10 ℃ 이하임
×: 발열체를 알루미늄판의 표면 온도차가 10 ℃를 초과함
(9) 굽힘 탄성률
만능 시험기 RTC-1310A(오리엔텍사 제조)를 이용하고, JIS K 7111에 준거하여 길이 8 cm, 폭 1 cm 및 두께 4 mm의 시험편을 지점간 거리 6 cm 및 속도 1.5 mm/분의 각 조건에서 측정함으로써,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25 ℃에서의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절연 시트를 120 ℃에서 1 시간, 그 후 200 ℃에서 1 시간 경화시켜 절연 시트의 경화물을 얻었다.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와 동일하게 만능 시험기(오리엔텍사 제조)를 이용하고, JIS K 7111에 준거하여 길이 8 cm, 폭 1 cm 및 두께 4 mm의 시험편을 지점간 거리 6 cm 및 속도 1.5 mm/분의 각 조건에서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절연 시트의 경화물의 25 ℃에서의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10) 탄성률
회전형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VAR-100(레올로지카ㆍ인스트루먼트사 제조)를 이용하고, 직경 2 cm의 원판형의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 샘플을 사용하여 직경 2 cm의 병렬형 플레이트에 의해 오실레이션 변형 제어 모드, 개시 응력 10 Pa, 주파수 1 Hz 및 변형 1 %의 각 조건에서,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25 ℃에서의 tanδ를 측정하였다. 또한,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25 ℃에서 250 ℃까지 승온시킨 경우의 절연 시트의 tanδ의 최대값은, 상기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 샘플을 상기 측정 조건에 부가적으로 승온 속도 30 ℃/분으로 25 ℃에서 250 ℃까지 승온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
(11) 반응률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 제조의 시차 주사형 열량 측정 장치「DSC220C」를 이용하여 측정 개시 온도 30 ℃ 및 승온 속도 8 ℃/분으로, 얻어진 절연 시트를 120 ℃까지 승온하여 1 시간 유지한 후, 승온 속도 8 ℃/분으로 200 ℃까지 추가로 승온하여 1 시간 유지하였다. 이 2 단계로 절연 시트를 경화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열량(이하, 열량 A라 기재함)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두께 50 μm의 이형 PET 시트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절연 시트의 제조시에 준비한 절연 재료를 두께 100 μm가 되도록 도공하고, 23 ℃ 및 0.01 기압의 상온 진공 조건에서 1 시간 건조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비가열로 건조된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를 준비하였다. 상기 열량 A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2 단계로 경화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열량(이하, 열량 B라 함)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열량 A 및 열량 B로부터, 하기의 식에 의해 미경화 상태의 절연 시트의 반응률을 구하였다.
반응률(%)=[1-(열량 A/열량 B)]×100
결과를 하기 표 4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8
Figure 112010011678053-pct00019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0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1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2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3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4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5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6

Claims (18)

  1.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를 도전층에 접착시키는 데 이용되는 절연 시트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중합체(A)와,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에폭시 단량체(B1) 및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옥세탄 단량체(B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B)와,
    경화제(C)와,
    제1 무기 충전재(D)와,
    유기 충전재(E1) 및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와는 다르며 신(新) 모스 경도가 3 이하인 제2 무기 충전재(E2) 중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E)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이 20 내지 60 부피%이고,
    상기 충전재(E)의 함유량이 1 내지 40 부피%이며, 상기 충전재(E)가 상기 유기 충전재(E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기 충전재(E1)의 함유량이 3 내지 40 부피%인 절연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E)가 상기 유기 충전재(E1)이고, 상기 유기 충전재(E1)의 함유량이 3 내지 40 부피%인 절연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의 열전도율이 10 W/mㆍK이고, 신 모스 경도가 3.1 이상인 절연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E)가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이고,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의 함유량이 1 내지 40 부피%인 절연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 및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가 하기 수학식 X를 만족시키는 절연 시트.
    <수학식 X>
    [{(제1 무기 충전재(D)의 신 모스 경도)×(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제1 무기 충전재(D)의 함유량(부피%))}+{(제2 무기 충전재(E2)의 신 모스 경도)×(절연 시트 100 부피% 중의 제2 무기 충전재(E2)의 함유량(부피%))}] <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기 충전재(E2)가 규조토, 질화붕소,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탈크, 카올린, 점토 및 운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절연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충전재(E1)이 코어쉘 구조를 갖는 절연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충전재(E1)이 규소 원자에 산소 원자가 직접 결합된 골격을 갖는 화합물과 유기물을 포함하는 복합 충전재인 절연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충전재(D)가 알루미나, 합성 마그네사이트, 결정성 실리카,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탄화규소, 산화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절연 시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A)가 방향족 골격을 가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이상인 중합체인 절연 시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A)가 페녹시 수지인 절연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녹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95 ℃ 이상인 절연 시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C)가 페놀 수지, 또는 방향족 골격 또는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인 절연 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C)가 다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 또는 테르펜계 화합물과 무수 말레산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 얻어진 지환식 골격을 갖는 산무수물, 상기 산무수물의 수소 첨가물 또는 상기 산무수물의 변성물인 절연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C)가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산무수물인 절연 시트.
    <화학식 1>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7

    <화학식 2>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8

    <화학식 3>
    Figure 112010011678053-pct00029

    (상기 화학식 3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C)가 멜라민 골격 또는 트리아진 골격을 갖는 페놀 수지, 또는 알릴기를 갖는 페놀 수지인 절연 시트.
  17. 열전도율이 10 W/mㆍK 이상인 열전도체와,
    상기 열전도체의 적어도 한쪽면에 적층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상기 열전도체가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도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이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절연 시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적층 구조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체가 금속인 적층 구조체.
KR1020107003902A 2008-08-18 2009-03-04 절연 시트 및 적층 구조체 KR101131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9914A JP4495768B2 (ja) 2008-08-18 2008-08-18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JP-P-2008-209914 2008-08-18
PCT/JP2009/054069 WO2010021167A1 (ja) 2008-08-18 2009-03-04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260A KR20100043260A (ko) 2010-04-28
KR101131369B1 true KR101131369B1 (ko) 2012-06-13

Family

ID=4170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902A KR101131369B1 (ko) 2008-08-18 2009-03-04 절연 시트 및 적층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59296A1 (ko)
EP (1) EP2316897A4 (ko)
JP (1) JP4495768B2 (ko)
KR (1) KR101131369B1 (ko)
CN (1) CN102124066A (ko)
TW (1) TWI415142B (ko)
WO (1) WO2010021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771B1 (ja) * 2009-02-27 2010-07-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4495772B1 (ja) * 2009-03-02 2010-07-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5375638B2 (ja) * 2010-02-05 2013-12-25 三菱化学株式会社 三次元集積回路用の層間充填材組成物、塗布液、三次元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2011184668A (ja) * 2010-03-11 2011-09-22 Sekisui Chem Co Ltd 熱伝導性熱可塑性接着剤組成物
JP5411774B2 (ja) * 2010-03-30 2014-02-12 ナミックス株式会社 先供給型液状半導体封止樹脂組成物
GB201007793D0 (en) * 2010-05-10 2010-06-23 Zephyros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ructural adhesives
JP2011241245A (ja) * 2010-05-14 2011-12-01 Mitsubishi Chemicals Corp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物
JP5670136B2 (ja) * 2010-09-24 2015-02-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CN102464954B (zh) * 2010-11-19 2013-12-25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复合胶粘片、包括该复合胶粘片的胶片及胶片的制作方法
JP2012119918A (ja) * 2010-11-30 2012-06-21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
JP5871428B2 (ja) * 2011-03-16 2016-03-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高熱伝導性フィルム状接着剤用組成物、高熱伝導性フィルム状接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半導体パッケージとその製造方法
KR101374372B1 (ko) * 2011-05-12 2014-03-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
JP2012253167A (ja) * 2011-06-02 2012-12-20 Denki Kagaku Kogyo Kk 熱伝導性絶縁シート、金属ベース基板及び回路基板
CN102337097B (zh) * 2011-07-01 2015-05-27 哈尔滨理工大学 粉体填充型高导热云母带用粘合剂的制备方法
WO2013100174A1 (ja) * 2011-12-27 2013-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伝導性樹脂組成物
US9313897B2 (en) 2012-09-14 2016-04-12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for electrophoretically depositing a film on an electronic assembly
WO2014065910A1 (en) * 2012-10-26 2014-05-01 Laird Technologies, Inc.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containing magnesium silicate and boron nitride
US10178767B2 (en) 2012-11-28 2019-01-0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n composition, prepreg, laminate, metallic foil clad laminate, and printed circuit board
US9303327B2 (en) * 2013-01-10 2016-04-05 Infineon Technologies Ag Electric component with an electrophoretically deposited film
JP6136330B2 (ja) * 2013-02-13 2017-05-31 味の素株式会社 薄型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薄型フィルム、積層シート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WO2014157132A1 (ja) * 2013-03-28 2014-10-02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フェノ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CN103275629A (zh) * 2013-06-18 2013-09-04 上海第二工业大学 一种高导热胶膜及其制备方法
KR20150024154A (ko) * 2013-08-26 2015-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절연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N103626960B (zh) * 2013-11-21 2016-04-20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产化学工业研究所 萜烯基胺类环氧树脂固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740312B (zh) * 2013-12-03 2015-02-04 赛伦(厦门)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热返修的导热薄膜粘结剂
US20150155070A1 (en) * 2013-12-04 2015-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Insulation for electrical components
JP6264022B2 (ja) * 2013-12-20 2018-01-24 Dic株式会社 熱伝導性粘着シート、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
JP6653795B2 (ja) * 2014-08-27 2020-02-26 Jnc株式会社 放熱部材用組成物、放熱部材、電子機器、放熱部材の製造方法
DE102014221715A1 (de) * 2014-10-24 2016-04-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änkharz, Leiteranordnung, elektrische Spule und elektrische Maschine
EP3273496A4 (en) * 2015-03-16 2018-10-31 Sekisui Chemical Co., Ltd. Solar cell
CN109874344B (zh) * 2015-04-15 2023-03-28 株式会社钟化 离子束用的电荷转换膜
GB2548266B (en) 2015-11-04 2018-06-27 Payton Planar Magnetics Ltd Planar transformer components comprising electrophoretically deposited coating
WO2017145624A1 (ja) * 2016-02-26 2017-08-31 日立化成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ダイシング・ダイボンディングフィルム
JP6693199B2 (ja) * 2016-03-18 2020-05-1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熱伝導性部材及びデバイス
CN109155244A (zh) * 2016-06-10 2019-01-04 日立化成株式会社 粘接膜及切割芯片接合一体型膜
DE102016220092A1 (de) * 2016-10-14 2018-04-19 Robert Bosch Gmbh Halbzeug zur Kontaktierung von Bauteilen
JP7248217B2 (ja) * 2017-12-04 2023-03-29 積水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熱伝導性組成物
JP7119528B2 (ja) * 2018-04-18 2022-08-17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FR3084202B1 (fr) * 2018-07-20 2020-10-23 Inst Supergrid Materiau d'isolation electrique comprenant un melange de charges inorganiques micrometriques et procede de fabrication
JP7182396B2 (ja) * 2018-08-10 2022-12-0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EP3873986A4 (en) * 2018-10-29 2022-06-22 Henkel AG & Co. KGaA THERMOCONDUCTIVE COATING COMPOSITION
CN113272355A (zh) * 2018-12-26 2021-08-17 住友电木株式会社 树脂组合物和金属基覆铜层叠板
CN109735241B (zh) * 2019-01-08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异方性导电结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1675880A (zh) * 2019-11-28 2020-09-1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新型软性绝缘导热垫
JP7473761B2 (ja) * 2020-06-08 2024-04-24 artience株式会社 成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37550A (ja) * 2020-08-25 2022-03-09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接着シート、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7433653B2 (ja) * 2020-11-06 2024-02-20 北川工業株式会社 熱伝導部材
CN116406090B (zh) * 2023-05-15 2024-02-02 台山市科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铝基覆铜铝箔板的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237A (ja) * 2004-10-07 2006-04-2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金属積層体
JP4661594B2 (ja) * 2003-08-13 2011-03-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8072A (ja) * 1982-12-11 1984-06-22 Nitto Electric Ind Co Ltd 常温粘着性を有する熱硬化性接着シ−ト
DE69120006T2 (de) * 1990-09-11 1997-01-30 Hitachi Chemical Co Ltd Epoxyharz-Fil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69606396T2 (de) * 1995-04-04 2000-07-27 Hitachi Chemical Co., Ltd. Klebstoff, klebstofffilm und metallfolie, die auf ihrer rückseite mit klebstoff vorsehen ist
JP3646890B2 (ja) 1995-06-06 2005-05-1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絶縁接着材料付き金属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559137B2 (ja) * 1997-02-27 2004-08-2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熱伝導性接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熱伝導性接着フィルム
EP1369452B1 (en) * 1998-12-09 2010-05-26 Kureha Corporation Synthetic resin composition
JP4642173B2 (ja) * 1999-08-05 2011-03-02 新日鐵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状接着剤用組成物
JP2004231808A (ja) * 2003-01-30 2004-08-19 Nagase Chemtex Corp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04292645A (ja) * 2003-03-27 2004-10-21 Sumitomo Bakelite Co Ltd エポキシ樹脂粉体塗料
JP2006104300A (ja) * 2004-10-04 2006-04-20 Kyocera Chemical Corp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コア接着シート
JP2006342238A (ja) 2005-06-08 2006-12-21 Kyocera Chemical Corp 熱硬化性接着シート、銅張積層板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4379387B2 (ja) * 2005-06-27 2009-12-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無機複合シート及び成形品
JPWO2007129662A1 (ja) * 2006-05-08 2009-09-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絶縁材料、電子部品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装置
US20080063871A1 (en) * 2006-09-11 2008-03-13 Jung Ki S Adhesive film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assembly, associated dicing die bonding film and semiconductor package
US20100148136A1 (en) * 2007-06-28 2010-06-17 Akihito Kawagoshi Light Diffus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ight Diffusion Sheet Thereof
WO2009031536A1 (ja) * 2007-09-05 2009-03-12 Sekisui Chemical Co., Ltd.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WO2010016480A1 (ja) * 2008-08-07 2010-02-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1594B2 (ja) * 2003-08-13 2011-03-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成形体
JP2006103237A (ja) * 2004-10-07 2006-04-2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金属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6897A1 (en) 2011-05-04
TWI415142B (zh) 2013-11-11
WO2010021167A1 (ja) 2010-02-25
JP2010044998A (ja) 2010-02-25
TW201009852A (en) 2010-03-01
CN102124066A (zh) 2011-07-13
US20110159296A1 (en) 2011-06-30
EP2316897A4 (en) 2013-08-21
JP4495768B2 (ja) 2010-07-07
KR20100043260A (ko)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369B1 (ko) 절연 시트 및 적층 구조체
JP4495772B1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4469416B2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KR101174971B1 (ko) 절연 시트 및 적층 구조체
JP4922220B2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2009144072A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2011070930A (ja) 多層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2011168672A (ja) 絶縁シート
KR101612596B1 (ko) 적층체 및 파워 반도체 모듈용 부품의 제조 방법
JP2010218975A (ja) 絶縁シート、積層板及び多層積層板
JP2013098217A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用部品の製造方法
JP2012116146A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5520183B2 (ja) 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2009231249A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2013108027A (ja) 絶縁材料
JP5075149B2 (ja) 絶縁シート、積層板及び多層積層板
JP2010212210A (ja) 絶縁シート、積層板及び多層積層板
JP4495771B1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5346363B2 (ja) 積層体
JP5092050B1 (ja) 積層体
JP2013107353A (ja) 積層構造体
JP2010070653A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2009149770A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2009224110A (ja) 絶縁シート及び積層構造体
JP2012116985A (ja) 絶縁材料及び積層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