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439B1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439B1
KR101116439B1 KR1020097015030A KR20097015030A KR101116439B1 KR 101116439 B1 KR101116439 B1 KR 101116439B1 KR 1020097015030 A KR1020097015030 A KR 1020097015030A KR 20097015030 A KR20097015030 A KR 20097015030A KR 101116439 B1 KR101116439 B1 KR 10111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escue
inspection
closing cov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256A (ko
Inventor
마사아키 야마다
하츠오 야마다
아키히로 가도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에 있어서는, 구출구가 마련된 외부 천장 판보다도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에 내부 천장 판이 배치되어 있다. 내부 천장 판에는, 구출구에 대향하는 점검구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 천장 판에는 구출구 개폐 덮개가 설치되고, 내부 천장 판에는 점검구 개폐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구출구 개폐 덮개는, 구출구를 막는 구출구 막음 위치와, 구출구 막음 위치보다도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위치하고, 구출구를 개방하는 구출구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점검구 개폐 덮개는, 점검구를 막는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천장 판에 보유지지 되는 것과 동시에, 점검구 막음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내부 천장 판에 의한 보유지지가 해제되어서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CEILING DEVICE OF ELEVATOR CAR}
본 발명은, 외부 천장 판보다도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에 내부 천장 판이 배치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상 구출구가 마련된 천장 판과, 천장 판의 아래 쪽에 배치되고 점검용 개구부가 마련된 현수(suspended) 천장 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천장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천장 판에는 비상 구출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설치되고, 현수 천장 판에는 점검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 구출구는, 천장 판에 설치된 덮개가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개방된다. 점검용 개구부는, 현수 천장 판에 설치된 덮개가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으로 회동 되는 것에 의해 개방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1 : 일본국 특개2001-31606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점검용 개구부를 개방할 때에 덮개가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으로 회동되므로, 점검용 개구부를 전부 개방하면, 덮개의 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마루에 가까운 영역에까지 달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칸 안의 이용자는 덮개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긴급정지해 버렸을 경우 등에는, 점검용 개구부 및 비상 구출구를 통해 엘리베이터 칸 안의 승객을 엘리베이터 칸 위로 구출할 수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에 덮개가 매어 달린 채로 점검용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 안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위로 이동할 때나, 구출원이 엘리베이터 칸 위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내부로 이동할 때에 덮개가 방해가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점검구를 개방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방 동작 영역을 축소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안과 엘리베이터 칸 상부와의 사이에서 이용자의 이동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는, 구출구가 마련된 외부 천장 판, 구출구에 대향하는 점검구가 마련되고 외부 천장 판보다도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에 배치된 내부 천장 판, 구출구를 막는 구출구 막음 위치와, 구출구 막음 위치보다도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위치하고, 구출구를 개방하는 구출구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구출구 개폐 덮개, 및 점검구를 막는 점검 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천장 판에 보유지지 되는 것과 동시에,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내부 천장 판에 의한 보유지지가 해제되어서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지는 점검구 개폐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에서는, 점검구 개폐 덮개가 점검구를 막는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천장 판에 보유지지 되는 것과 동시에,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내부 천장 판에 의한 보유지지가 해제되어서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점검구 개폐 덮개를 수평에 가까운 상태에서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점검구를 개방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방 동작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또, 점검구 개폐 덮개를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승객이나 구출원이 점검구 및 구출구를 지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안과 엘리베이터 칸 위와의 사이에서 이용자의 이동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의 점검구 시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의 삼각 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2의 구출구 시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의 구출구 시정장치의 시정이 해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2의 점검구 개폐 덮개가 보유지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의 점검구 개폐 덮개가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의 구출구 개폐 덮개가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2의 구출구 개폐 덮개가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의 점검구 개폐 덮개가 보유지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의 점검구 개폐 덮개가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의 XIV - X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의 점검구 개폐 덮개가 보유지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점검구 개폐 덮개가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의 구출구 개폐 덮개가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은 도 14의 구출구 개폐 덮개가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의 손잡이 나사 및 너트가 점검구 개폐 덮개로부터 떼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점검구 개폐 덮개가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은, 엘리베이터 칸 안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의 상부에는, 외부 천장 판(2)(도 2)과, 외부 천장 판(2)보다도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즉, 외부 천장 판(2)의 하부)에 배치된 내부 천장 판(3)이 설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1) 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 하는 외부 천장 판(2) 및 내부 천장 판(3)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 천장 판(2)과 내부 천장 판(3)과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1) 안쪽을 밝게 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 장치(4)(도 1)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 장치(4)는, 외부 천장 판(2)의 아래쪽 면에 장착되어 있다.
외부 천장 판(2)에는, 각 조명 장치(4)를 피해서 배치된 구출구(5)가 마련되어 있다. 또, 외부 천장 판(2)에는, 구출구(5)를 개폐하는 구출구 개폐 덮개(6)이 장착되어 있다. 구출구 개폐 덮개(6)는, 구출구(5)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힌지(7)를 통하여 외부 천장 판(2)에 장착되어 있다.
구출구 개폐 덮개(6)는, 힌지(7)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구출구(5)를 막는 구출구 막음 위치와, 구출구 막음 위치보다도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에 위치하고, 구출구(5)를 개방하는 구출구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구출구 개폐 덮개(6)의 가장자리는,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즉,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5)를 막고 있을 때)에 외부 천장 판(2)에 걸린다. 즉, 구출구 개폐 덮개(6)의 구출구 막음 위치보다도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의 변위는, 외부 천장 판(2)에 의한 구출구 개폐 덮개(6)의 걸림에 의해서 규제된다.
내부 천장 판(3)에는, 각 조명 장치(4)에 대향 하는 조명용 개구(8)(도 1)와, 구출구(5)에 대향하는 점검구(9)가 마련되어 있다. 또, 내부 천장 판(3)에는, 조명용 개구(8)를 막는 반투명의 조명 커버(10)(도 1)와, 점검구(9)를 개폐하는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점검구 개폐 덮개(11)는, 점검구(9)를 막는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천장 판(3)에 보유지지 된다(도 2). 또, 내부 천장 판(3)에 의한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보유지지는,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도 7). 따라서, 점검구 개폐 덮개(11)는, 점검구 막음 위치로 변위되어 내부 천장 판(3)에 보유지지 되는 것에 의해 내부 천장 판(3)에 장착되고,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되어 내부 천장 판(3)에 의한 보유지지가 해제되는 것에 의해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진다.
또, 점검구 개폐 덮개(11)는, 의장(意匠) 면(面) 및 배면을 갖는 판 모양의 덮개 본체(12)와, 덮개 본체(12)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 덮개틀(13)과, 덮개 본체(12)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 덮개틀(14)을 구비하고 있다. 덮개 본체(12)는, 배면을 외부 천장 판(2)측(윗쪽)으로 향하고 내부 천장 판(3)에 장착된다. 제1 덮개틀(13) 및 제2 덮개틀(14)은, 덮개 본체(12)의 배면에 장착되고 있다.
제1 덮개틀(13)은, 덮개 본체(12)에 고정된 고정부(13a)와, 고정부(13a)로부터 덮개 본체(12)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덮개틀(14)은, 덮개 본체(12)에 고정된 고정부(14a)와, 고정부(14a)로부터 덮개 본체(12)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덮개틀(13) 및 제2 덮개틀(14)의 각 고정부(13a,14a)가 내부 천장 판(3) 상에 각각 놓여져 있다(도 2).
내부 천장 판(3)의 외부 천장 판(2)측의 면(즉, 내부 천장 판(3)의 상면)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점검구(9)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브래킷(제1 규 제체)(15) 및 제2 브래킷(제2 규제체)(16)이 설치되어 있다.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점검구 막음 위치와 보유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의 변위는, 제1 브래킷(15)과 제2 브래킷(16)과의 사이의 범위(브래킷 간 범위) 내에서 행해진다. 점검구 개폐 덮개(11)는,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제1 브래킷(15)에 걸리고(도 2), 보유지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 브래킷(16)에 걸린다(도 7).
제1 브래킷(15)은, 내부 천장 판(3)에 고정된 고정부(15a)와, 고정부(15a)로부터 윗쪽으로 연장하는 세로 판(板)부(수평 방향 규제부)(15b)와, 세로 판부(15b)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가로 판(板)부(상하 방향 규제부)(15c)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브래킷(16)은, 내부 천장 판(3)에 고정된 고정부(16a)와, 고정부(16a)로부터 윗쪽으로 연장하는 세로 판부(수평 방향 규제부)(16b)를 구비하고 있다.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덮개틀(13)의 수직부(13b)가 제1 브래킷(15)의 세로 판부(15b)에 맞닿게 되는 것과 동시에, 제1 덮개틀(13)의 수직부(13b)가 제1 브래킷(15)의 가로 판부(15c)에 상하 방향에 관해 대향 한다(도 2). 이것에 의해,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브래킷 간 범위 외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는 것과 동시에, 제1 덮개틀(13)의 윗쪽으로의 과대한 변위도 규제된다.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보유지지 해제 위치에 있을 때는, 제2 덮개틀(14)의 고정부(14a)가 제2 브래킷(16)의 세로 판부(16b)에 맞닿게 된다(도 7). 이것에 의해,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부터 브래킷 간 범위 외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점검구 개폐 덮개(11)에는, 점검구 시정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점검구 시정장치(17)는,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의 수동에 의한 조작, 및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의 삼각 키(전용열쇠)(18)에 의한 조작의 어느 쪽을 받는 것에 의해,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시정(施錠) 및 해정(解錠)을 행한다.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시정 및 해정은,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행해진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점검구 시정장치(17)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2의 삼각 키(1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점검구 시정장치(17)는, 점검구 개폐 덮개(11)에 고정된 실린더(19)와, 실린더(19)에 회동이 자유롭게 마련된 관통축(20)과, 관통축(20)에 고정된 회동판(점검구 외측 조작부)(21)과, 회동판(21)에 고정된 걸기부재(점검구 록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19)는, 덮개 본체(12)의 의장면 측에 노출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부에는,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시정 및 해정이 행해질 때에 삼각 키(18)가 삽입된다.
관통축(20)은, 덮개 본체(12)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관통축(20)은, 실린더(19)의 개구부 안에 배치된 열쇠 끼워맞춤부(점검구 안쪽 조작부)(20a)와,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배면 측에 실린더(19)로부터 노출된 회동판 고정부(20b)를 구비하고 있다. 열쇠 끼워맞춤부(20a)에는, 삼각 키(18)가 실린더(19)의 개구부 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삼각 키(18)가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열쇠 끼워맞춤부(20a)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동판(21)은, 회동판 고정부(20b)에 고정되어 있다. 또, 회동판(21)은, 덮개 본체(1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회동판(21)은, 관통축(2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관통축(20)과 일체로 회동된다. 이 예에서는, 회동판(21)의 형상이 장방(長方)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동판(21)은, 회동판(21)이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 회동되고, 열쇠 끼워맞춤부(20a)가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에서 삼각 키(18)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도 회동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의 열쇠 끼워맞춤부(20a)의 조작은, 수동으로 실시하지 못하고, 삼각 키(18)로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기부재(22)는, 회동판(21)의 관통축(20)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걸기부재(22)는, 회동판(21)이 회동되면, 관통축(20)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圓弧上)에서 변위된다. 또,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는, 걸기부재(22)는, 회동판(21)의 회동에 의해, 제2 브래킷(16)에 걸리는 시정위치(도 2)와, 제2 브래킷(16)에 의한 걸림이 풀리는 해정(解錠)위치(도 7)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걸기부재(22)는, 제2 브래킷(16)에 걸리는 것에 의해,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의 변위를 저지한다. 또, 걸기부재(22)는, 제2 브래킷(16)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변위 저지를 해제한다.
삼각 키(18)는, 통 모양의 키(key) 본체(23)와, 키 본체(23)에 마련된 막대 모양의 핸들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키 본체(23)의 일단부는, 열쇠 끼워맞춤부(20a)에 끼워 맞춰지는 삽입부(23a)로 되어 있다. 삽입부(23a)의 단면 형상은, 중공(中空)의 대략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열쇠 끼워맞춤부(20a) 및 삽입부(23a)는, 열쇠 끼워맞춤부(20a)가 삽입부(23a)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서로 끼워 맞춰진다. 핸들 부재(24)는, 키 본체(23)의 타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덮개틀(14)의 수직부(14b)에는, 걸기부재(22)를 시정위치 및 해정위치의 어느 쪽인가에 선택현수로 보유지지 하는 판스프링(위치 보유지지 부재)(25)이 고정되어 있다(도 2). 판스프링(25)은, 회동판(21)의 측면에 눌러져 있다, 또, 판스프링(25)은, 회동판(21)이 회동될 때에 회동판(21)에 눌려 탄성변형 된다. 더욱이, 판스프링(25)은, 걸기부재(22)가 시정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에 회동판(21)의 짧은 변에 눌러지고, 걸기부재(22)가 해정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에 회동판(21)의 긴 변 부분에 눌러진다.
한편, 구출구 개폐 덮개(6)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개방된 오목(凹)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26)에는, 구출구 시정장치(27)가 장착되어 있다. 즉, 구출구 개폐 덮개(6)에는, 오목부(26)에 장착된 구출구 시정장치(27)가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구출구 시정장치(27)는,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의 수동에 의한 조작, 및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의 삼각 키(전용열쇠)(18)에 의한 조작의 어느 쪽을 받는 것에 의해, 구출구 개폐 덮개(6)의 시정 및 해정을 실시한다. 구출구 개폐 덮개(6)의 시정 및 해정은,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행해진다.
여기서, 도 5 는, 도 2의 구출구 시정장치(27)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구출구 시정장치(27)의 시정이 해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출구 시정장치(27)는, 오목부(26) 내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28)에 장착되어 있다. 또, 구출구 시정장치(27)는, 지지 브래킷(28)에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관통축(29)과, 관통축(29)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상에서 관통축(29)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30a) 및, 제2 돌출부(30b)를 포함하고 관통축(29)에 고정된 회동 캠(30)과, 회동 캠(30)의 제1 돌출부(30a)에 접속된 레버(구출구 외측 조작부)(31)와, 회동 캠(30)의 제2 돌출부(30b)에 접속된 핀(구출구 록크부)(32)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축(29)은, 구출구 개폐 덮개(6)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관통축(29)은, 구출구 개폐 덮개(6)의 아래쪽 면 측에 노출된 열쇠 끼워 맞춤부(구출구 안쪽 조작부)(29a)를 구비하고 있다. 열쇠 끼워맞춤부(29a) 에는, 삼각 키(18)의 삽입부(23a)가 끼워 맞춰진다. 즉, 열쇠 끼워 맞춤부(29a)의 단면 형상은, 점검구 시정장치(17)에 있어서의 열쇠 끼워 맞춤부(20a)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대략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동 캠(30)은, 관통축(29)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관통축(29)과 일체로 회동된다. 회동 캠(30)의 형상은, 관통축(29), 제1 돌출부(30a) 및, 제2 돌출부(30b)의 각 위치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핀(32)은, 회동 캠(30)의 회동과 연동하여 왕복 변위된다.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는, 핀(32)은, 외부 천장 판(2)의 아래쪽 면에 고정된 고정 부재(33)에 걸리는 시정위치(도 5)와, 고정 부재(33)에 의한 걸림이 풀려지는 해정위치(도 6)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핀(32)의 변위는, 회동 캠(30)의 회동에 의해 행해진다. 핀(32)은, 고정 부재(33)에 걸리는 것에 의해, 구출구 개폐 덮개(6)의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의 변위를 저지한다. 또, 핀(32)은, 고정 부재(33)에 의한 걸림이 풀려지는 것에 의해, 구출구 개폐 덮개(6)의 변위 저지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핀(32)은, 시정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구출구 개폐 덮개(6) 영역으로부터 돌출하고, 해정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구출구 개폐 덮개(6) 영역 안으로 후퇴한다. 핀(32)은, 시정위치로 변위되어 구출구 개폐 덮개(6)로부터 돌출한 때에, 고정부재(33)에 마련된 핀 삽입구(34) 내로 삽입된다. 핀(32)은, 핀 삽입구(34) 내로의 삽입에 의해 고정부재(33)에 대하여 걸린다.
레버(31)는, 회동 캠(30)의 회동과 연동하여 왕복 변위된다. 레버(31)는, 회동 캠(30)의 회동에 의해, 밀어넣기 위치(도 5)와 인출위치(도 6)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는, 레버(31)가 밀어넣기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핀(32)이 시정위치로 변위되고, 레버(31)가 인출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핀(32)이 해정위치로 변위된다.
회동 캠(30)은, 레버(31)가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 회동되고, 열쇠 끼워맞춤부(29a)가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에서 삼각 키(18)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도 회동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 터의 열쇠 끼워맞춤부(29a)의 조작은, 수동으로 실시할 수 없고, 삼각 키(18)로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구출구 시정장치(27)에는, 시정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핀(32)을 부세(付勢)하는 부세 용수철(부세체)(35)이 설치되어 있다. 핀(32)이 시정위치에 있을 때는, 부세 용수철(35)의 부세에 의해, 핀(32)이 시정위치에 보유지지 된다.
또, 구출구 시정장치(27)에는, 핀(32)이 해정 위치에 있을 때 부세 용수철(35)의 부세에 거슬러 회동 캠(30)의 회동을 저지하는 보유지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지지 기구는 레버(31)가 인출 위치에 이르는 것에 의해 회동 캠(30)을 잠근다.
또한, 구출구 시정장치(27)에는,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막음 위치로 변위 되었을 때에 회동 캠(30)의 회동 저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35)가 마련되어 있다. 해제 기구(35)는, 지지 브래킷(28)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변위 마그넷(36)을 구비하고 있다. 또, 고정 부재(33)에는,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막음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에 변위 마그넷(36)과 대향하는 고정 마그넷(37)이 고정되어 있다. 변위 마그넷(36) 및 고정 마그넷(37)은, 서로 대향했을 때에 서로 반발한다. 변위 마그넷(36)은, 레버(31)의 인출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전진 위치로 변위되고(도 6), 고정 마그넷(37)에 대향하여 반발되는 것에 의해 후퇴 위치로 변위된다(도 5). 해제 기구(35)는, 변위 마그넷(36)의 후퇴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회동 캠(30)의 회동 저지를 해제한다.
또한, 구출구 시정장치(27)에는, 핀(32)의 시정위치로의 변위의 유무를 검출 하는 시정상태 검출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 점검구(9) 및 구출구(5)를 개방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보유지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 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에서 삼각 키(18)를 실린더(19)의 개구부에 삽입하고, 삽입부(23a)를 열쇠 끼워맞춤부 (20a)에 끼워 맞춘다. 이 후, 삼각 키(18)를 돌려 걸기부재(22)를 시정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의 변위 저지가 해제된다.
이 후, 점검구 개폐 덮개(11)를 들어 올리면서 수평으로 조금 옮겨 놓고 , 점검구 개폐 덮개(11)를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킨다(도 7). 이것에 의해, 내부 천장 판(3)에 의한 점검구 개폐 덮개(11)의 보유지지가 해제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 점검구 개폐 덮개(11)를 내리고, 점검구 개폐 덮개(11)를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낸다(도 8). 이것에 의해, 점검구(9)가 개방된다.
이 후, 점검구(9) 측으로부터 삼각 키(18)의 삽입부(23a)를 구출구 시정장치(27)의 열쇠 끼워맞춤부(29a)에 끼워 맞추고, 삼각 키(18)를 돌려 핀(32)을 시정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구출구 개폐 덮개(6)의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의 변위 저지가 해제된다.
이 후, 구출구 개폐 덮개(6)를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회동시키고, 구출구 개폐 덮개(6)를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시킨다(도 9). 이것에 의해, 구출구(5)가 개방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 점검구(9) 및 구출구(5)를 개방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2의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보유지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12는 도 11의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 레버(31)를 당겨, 레버(31)를 밀어 넣기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핀(32)이 시정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변위되어 구출구 개폐 덮개(6)의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의 변위 저지가 해제된다. 이 후, 구출구 개폐 덮개(6)를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회동시키고, 구출구 개폐 덮개(6)를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시킨다(도 10). 이것에 의해, 구출구(5)가 개방된다.
이 후, 구출구(5) 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점검구 시정장치(17)의 회동판(21)을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걸기부재(22)가 시정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변위된다. 이 후, 점검구 개폐 덮개(11)를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보유지지 해체 위치로 변위시켜,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점검구 개폐 덮개(11)을 일단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 떼어낸다(도 11).
이 후, 점검구 개폐 덮개(11)를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 점검구(9) 및 구출구(5)를 통해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꺼낸다(도 12).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에서는,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점검구(9)를 막는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내부 천장 판(3)에 보유지지 되는 것과 동시에, 점검구 막음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내부 천장 판(3)에 의한 보유지지가 해제되어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점검구 개폐 덮개(11)를 수평에 가까운 상태에서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점검구(9)를 개방하기 위해 필요한 개방 동작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또, 점검구 개폐 덮개(11)를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승객이나 구출원이 점검구(9) 및 구출구(5)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1) 안과 엘리베이터 칸(1) 위와의 사이에서 이용자의 이동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점검구 시정장치(17)는,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회동판(21)과,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에서 삼각 키(18)로만 조작 가능한 열쇠 끼워 맞춤부(20a)와, 회동판(21) 및 열쇠 끼워 맞춤부(20a)의 어느 것의 조작에 의해, 시정위치와 해정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는 걸기부재(2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 점검구(9)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는 점검구(9)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 구출구 시정장치(27)는,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레버(31)와,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에서 삼각 키(18)로만 조작 가능한 열쇠 끼워 맞춤부(29a)와, 레버(31) 및 열쇠 끼워 맞춤부(29a)의 어느 것의 조작에 의해, 시정위치와 해정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는 핀(3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 구출구(5)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에서는 구출구(5)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예에서는,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졌을 때의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도록 되어 있지만, 점검구 개폐 덮개(11) 및 내부 천장 판(3) 사이를 낙하 방지 끈에 의해 연결되도록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점검구 개폐 덮개(11)가 엘리베이터 칸 마루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낙하 방지 끈으로서는, 예를 들면 체인, 로프 혹은 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 점검구 개폐 덮개(11) 및 내부 천장 판(3) 사이는, 예를 들면 낙하 방지 끈의 일 단부를 제1 브래킷(15)에 접속하고 타 단부를 덮개 본체(12)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3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14는 도 13의 XIV - XIV 선에 따른 단면 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내부 천장 판(3)에는, 점검구(9)를 개폐하는 점검구 개폐 덮개(4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점검구 개폐 덮개(41)는, 서로 체결된 복수(2개)의 부분덮개(42,43)를 구비하고 있다. 각 부분덮개(42,43)의 각각은, 점검구(9)를 부분적으로 막도록 되어 있다.
[0057] 한편의 부분덮개(42)는, 의장(意匠) 면(面) 및 배면(背面)을 갖는 제1 부분덮개 본체(44)와, 제1 부분덮개 본체(44)의 단부에 설치된 제1 덮개틀(13)을 구비하고 있다. 다른 편의 부분덮개(43)는, 의장 면 및 배면을 갖는 제2 부분덮개 본체(45)와, 제2 부분덮개 본체(45)의 단부에 설치된 제2 덮개틀(14)을 구비하고 있다. 점검구 시정장치(17)는, 다른 편의 부분덮개(43)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부분덮개 본체(44) 및 제2 부분덮개 본체(45)의 각각에는, 각 부분덮개(42,43)가 서로 체결될 때 배면 측에서 서로 겹칠 수 있는 덮개 겹침부가 마련되어 있다. 각 덮개 겹침부는, 각 덮개 겹침부로 통과된 손잡이 나사(47)와, 손잡이 나사(47)가 나사 결합된 너트(46)와의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지는 것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또, 각 덮개 겹침부는, 손잡이 나사(47)의 너트(46)로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서로 떨어지게 된다. 손잡이 나사(47)는 수동으로 돌릴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나사(47)와 너트(46)의 사이에서의 체결, 및 손잡이 나사(47)의 너트(46)로부터의 제거가 수동으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각 부분덮개(42,43)는,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에서 수동에 의해 서로 체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부분덮개(42,43) 간의 체결은,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에서, 수동으로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 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 점검구(9) 및 구출구(5)를 개방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도 14의 점검구 개폐 덮개(41)가 보유지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16은, 도 15의 점검구 개폐 덮개(41)가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도 16의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부터 삼각 키(18)에 의해 걸기부재(22)를 시정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변위시켜, 점검구 개폐 덮개(41)의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의 변위 저지를 해제한다.
이 후, 점검구 개폐 덮개(41)를 들어올리면서 수평으로 조금 옮겨 놓고, 점검구 개폐 덮개(41)를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시킨다(도 15). 이것에 의해, 내부 천장 판(3)에 의한 점검구 개폐 덮개(41)의 보유지지가 해제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1)의 안쪽으로 점검구 개폐 덮개(41)를 내리고, 점검구 개폐 덮개(41)를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낸다(도 16). 이것에 의해, 점검구(9)가 개방된다.
이 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점검구(9) 측으로부터 삼각 키(18)에 의해 핀(32)을 시정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변위시켜, 구출구 개폐 덮개(6)의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의 변위 저지를 해제한다. 이 후, 구출구 개폐 덮개(6)를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회동시키고, 구출구 개폐 덮개(6)을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시킨다(도 17). 이것에 의해, 구출구(5)가 개방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 점검구(9) 및 구출구(5)를 개방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도 14의 구출구 개폐 덮개(6)가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19는, 도 18의 손잡이 나사(47) 및, 너트(46)가 점검구 개폐 덮개(41)로부터 떼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더욱이, 도 20은, 도 19의 점검구 개폐 덮개(41)가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실시 형태 1과 같게,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부터 레버(31)를 당겨 핀(32)을 시정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변위시키고, 구출구 개폐 덮개(6)의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의 변위 저지를 해제한다. 이 후, 구출구 개폐 덮개(6)를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회동시키고, 구출구 개폐 덮개(6)를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구출구 개방 위치로 변위시킨다(도 18). 이것에 의해, 구출구(5)가 개방된다.
이 후, 구출구(5) 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점검구 시정장치(17)의 회동판(21)을 회동시켜, 걸기부재(22)를 시정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변위시킨다. 또, 손잡이 나사(47)를 돌려 점검구 개폐 덮개(41)로부터 손잡이 나사(47) 및, 너트(46)를 떼어 낸다(도 19). 이것에 의해, 점검구 개폐 덮개(41)가 각 부분덮개(42,43)로 분리된다. 이 후, 각 부분덮개(42,43)를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떼어내고, 각 부분덮개(42,43)를 점검구(9) 및 구출구(5)를 통해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꺼낸다(도 20).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에서는, 점검구 개폐 덮개(41)가 서로 체결된 복수의 부분덮개(42,43)를 가지고, 각 부분덮개(42,43)의 체결은,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에서 수동으로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내부 천장 판(3)으로부터 떼어낸 점검구 개폐 덮개(41)를 복수의 부분덮개(42,43)로 작게 분할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에 넓은 공간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점검구 개폐 덮개(41)를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서로 분리되었을 때의 각 부분덮개(42,43)가 완전하게 독립하도록 되어 있지만, 각 부분덮개(42,43) 사이를 낙하 방지 끈에 의해 연결되도록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부분덮개(42)가 합쳐 엘리베이터 칸 마루에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낙하 방지 끈으로서는, 예를 들면 체인, 로프 혹은 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 각 부분덮개(42,43) 사이는, 예를 들면 낙하 방지 끈의 일 단부 및 타 단부를 각 덮개 겹침부에 각각 접속하는 것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각 부분덮개(42,43)의 어느 쪽과 내부 천장 판(3)과의 사이도 낙하 방지 끈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예에 있어서, 점검구(9)의 가장자리와 점검구 개폐 덮개(41)와의 틈새를 막는 틈새 폐색판을 내부 천장 판(3)에 장착해도 괜찮다.
즉,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 장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의 점검구 개폐 덮개(41)와 점검구(9)의 가장자리와의 틈새를 막는 복수의 틈새 폐색판(51)을 내부 천장 판(3)에 장착해도 괜찮다. 각 틈새 폐색판(51)은, 힌지(52)를 통하여 내부 천장 판(3)에 장착된다. 각 틈새 폐색판(51)은, 각 힌지(52)에 마련된 부세 용수철에 의해, 점검구(9)의 가장자리와 점검구 개폐 덮개(41)와의 틈새를 막는 방향으로 부세된다. 또, 점검구(9)의 가장자리와 점검구 개폐 덮개와의 틈새를 막는 틈새 폐색판을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적용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조명 장치(4)로부터의 광이 점검구(9)의 가장자리와 점검구 개폐 덮개와의 틈새를 통해 엘리베이터 칸(1) 내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1) 내의 의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천장 판보다도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에 내부 천장 판이 배치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구출구가 마련된 외부 천장 판,
    상기 구출구에 대향하는 점검구가 마련되어 상기 외부 천장 판보다도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에 배치된 내부 천장 판,
    상기 구출구를 막는 구출구 막음 위치와, 상기 구출구 막음 위치보다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출구를 개방하는 구출구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구출구 개폐 덮개, 및
    상기 점검구를 막는 점검구 막음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천장 판에 보유지지 되는것과 동시에, 상기 점검구 막음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내부 천장 판에 의한 보유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내부 천장 판으로부터 떼어지는 점검구 개폐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점검구 개폐 덮개는, 서로 체결된 복수의 부분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부분덮개 간의 체결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점검구 외측 조작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으로부터 전용열쇠로만 조작 가능한 점검구 내측 조작부와, 상기 점검구 외측 조작부 및 상기 점검구 내측 조작부의 어느 것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점검구 개폐 덮개의 상기 점검구 막음 위치로부터 상기 보유지지 해제 위치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시정위치와 상기 점검구 개폐 덮개의 변위 저지 를 해제하는 해정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는 점검구 록크부를 구비한 점검구 시정장치,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구출구 외측 조작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으로부터 전용열쇠로만 조작 가능한 구출구 내측 조작부와, 상기 구출구 외측 조작부 및 상기 구출구 내측 조작부의 어느 것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출구 개폐 덮개의 상기 구출구 막음 위치로부터 상기 구출구 개방 위치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시정위치와 상기 외부 천장 덮개의 변위 저지를 해제하는 해정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는 구출구 록크부를 갖는 구출구 시정장치,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개폐 덮개 및 상기 내부 천장 판 사이는, 낙하 방지 끈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각 부분덮개 사이는, 낙하 방지 끈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KR1020097015030A 2007-01-22 2007-01-22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KR101116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0895 WO2008090593A1 (ja) 2007-01-22 2007-01-22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256A KR20090101256A (ko) 2009-09-24
KR101116439B1 true KR101116439B1 (ko) 2012-03-08

Family

ID=3964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030A KR101116439B1 (ko) 2007-01-22 2007-01-22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23586B1 (ko)
JP (1) JP5188989B2 (ko)
KR (1) KR101116439B1 (ko)
CN (1) CN101588983B (ko)
WO (1) WO20080905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83A (ko) 2017-07-21 2019-01-30 (주)신호테크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의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0368B (zh) * 2010-11-30 2013-09-11 江苏佛斯特电梯有限公司 在同一井道中安装的两台以上电梯的电梯侧面救出口装置
CN102381620A (zh) * 2011-11-28 2012-03-21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活动盖板锁定装置
CN104540764B (zh) * 2012-08-13 2016-08-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轿厢室顶棚装置
JP6110963B1 (ja) * 2016-01-07 2017-04-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天井照明装置
CN105883551B (zh) * 2016-01-27 2018-09-21 浙江巨人控股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逃生结构
WO2018020738A1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9906196B (zh) * 2016-11-29 2020-08-1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轿厢及电梯
JP6359724B1 (ja) * 2017-04-27 2018-07-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かご
EP3546412A1 (en) 2018-03-27 2019-10-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eiling access system
ES2887006T3 (es) * 2018-04-27 2021-12-21 Otis Elevator Co Cabina de ascensor y sistema de ascens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5939A (ja) * 1974-09-20 1976-03-26 Hitachi Ltd Erebeeta
JPS5193039A (en) * 1975-02-14 1976-08-14 Erebeetanorikagono tenjosochi
JPS5718567A (en) * 1980-07-08 1982-01-30 Toyota Motor Corp Vibro-isolating device of spool valve in control valve for power steering mechanism
JPS5718567U (ko) * 1980-07-08 1982-01-30
JPS60183780U (ja) * 1984-05-16 1985-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照明装置
JPS62196288A (ja) * 1986-02-25 1987-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かごの天井救出装置
JPS62176168U (ko) * 1986-04-28 1987-11-09
JPH02255485A (ja) * 1989-03-28 1990-10-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かご室の照明装置
JPH05193878A (ja) * 1992-01-21 1993-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かご室の照明板
JPH079876U (ja) * 1993-07-13 1995-02-1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乗かご
JPH0832255A (ja) * 1994-07-21 199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制御装置ボックス
JPH11222364A (ja) * 1998-02-05 1999-08-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かごの救出扉
JPH11278768A (ja) * 1998-03-24 1999-10-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への浸入雨水処理構造
JP3382567B2 (ja) * 1999-09-20 2003-03-04 ドーエイ外装有限会社 天井用目地装置
JP4481430B2 (ja) 2000-05-10 2010-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の天井装置
JP2002211858A (ja) * 2001-01-19 2002-07-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用天井照明装置
JP2002308540A (ja) * 2001-04-12 2002-10-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3023277A (ja) * 2001-07-09 2003-01-24 Mitsubishi Electric Corp 閉鎖型分割カバー
JP2003073048A (ja) * 2001-09-06 2003-03-1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CN2633847Y (zh) * 2003-01-09 2004-08-18 永大机电工业股份有限公司 电梯车厢顶壁
JPWO2005077804A1 (ja) * 2004-02-13 200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7523809B2 (en) * 2004-04-30 2009-04-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top of car safety
JP2006034685A (ja) * 2004-07-28 2006-02-09 Taiyo Gosei Kk 分割浴槽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83A (ko) 2017-07-21 2019-01-30 (주)신호테크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의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90593A1 (ja) 2010-05-13
KR20090101256A (ko) 2009-09-24
EP2123586B1 (en) 2016-12-14
JP5188989B2 (ja) 2013-04-24
CN101588983B (zh) 2011-11-23
WO2008090593A1 (ja) 2008-07-31
CN101588983A (zh) 2009-11-25
EP2123586A4 (en) 2013-08-14
EP2123586A1 (en)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39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EP1982944B1 (en) Elevator car rescue device
JP2010006572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天井照明装置
KR20100024786A (ko)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JP6780012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2005263008A (ja) コックピットドアのキャッチ装置
ES2923328T3 (es) Cabina de ascensor
CN211871104U (zh) 电梯的轿厢顶棚救出装置
JP553498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照明装置
JP6110963B1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天井照明装置
JP5603178B2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照明カバー装置
JP201704799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914266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KR101709023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천정 장치
JP2007246243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天井照明装置
KR20100081496A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JP2020175973A (ja) エレベーター乗場ドア装置
JP2015134669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5207466B2 (ja) 安全柵
JPH1112428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946477B2 (ja) ウイング車両に置ける中柱の構造
JP4890211B2 (ja) 引戸装置
KR960007737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 추락 방지장치
KR20200131082A (ko) 트럭 적재함 록킹장치
JP2006312509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内操作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