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786A -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786A
KR20100024786A KR1020080083500A KR20080083500A KR20100024786A KR 20100024786 A KR20100024786 A KR 20100024786A KR 1020080083500 A KR1020080083500 A KR 1020080083500A KR 20080083500 A KR20080083500 A KR 20080083500A KR 20100024786 A KR20100024786 A KR 20100024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fting
pad
door handl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건식
Original Assignee
민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건식 filed Critical 민건식
Priority to KR102008008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786A/ko
Publication of KR2010002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2007/202Actuator connected to w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도어 하단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하단 양쪽에 오목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양쪽 가이드레일 사이에 승강 패드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도어 핸들 축에 회전캠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패드와 회전캠 사이에 승강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면 회전캠이 함께 회전하면서 승강기구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승강기구에 연결된 승강 패드가 상하로 이동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승강 패드가 아래쪽으로 내려가 도어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해 주고,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 핸들을 아래로 회전시키면 회전캠이 함께 회전하면서 승강기구가 승강 패드를 위쪽으로 끌어올리게 되므로 도어를 자유롭게 열 수 있게 하는 한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승강기구를 록크시킴으로써 승강 패드가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게 하여 도어의 개폐작동을 저지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도어, 하단 틈새, 링크, 승강 기구, 손잡이, 회전캠

Description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AN APPARATUS FOR SHUTTING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DOOR AND THE FLOOR}
본 발명은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하단에 승강 패드를 설치하고, 이 승강 패드를 손잡이와 연계하여 작동하게 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도어의 하단에 설치된 승강 패드가 승하강하면서 도어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해 주게 한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가정의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에는 문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실내의 인테리어 형태에 따라 거실과 실내의 바닥면을 동일한 재질로 연결하여 설치하면서, 문턱을 제거하는 형태가 많이 근자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문턱을 제거하고 출입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원활한 개폐 작동을 위해 도어의 하단이 바닥면에 밀착하지 않고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새가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불빛이 새 들어오거나 소리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도어의 하단에 형성된 틈새로 인하여 실내의 보안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하단의 틈새를 통하여 좋지 아니한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기유입 방지 부재를 도어의 하단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공기유입 방지 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항상 바닥면과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여닫을 때마다 마찰로 인한 소리가 날뿐만 아니라, 마찰력 때문에 도어의 여닫힘 동작을 방해받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도어에는 통상 까치발이라 칭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열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아래로 내리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토퍼는 아래로 내리는 작업과 도어를 다시 닫을 때 아래로 내려온 스토퍼를 다시 올려야 작업을 수동으로 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퍼가 아래로 내려온 상태에서 도어가 움직이면 스토퍼가 더욱더 젖혀져 끼이게 되므로 스토퍼를 다시 접는 작업이 여의치 않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도 어의 하단에 만들어지는 틈새를 간단하게 차단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열가 열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해 줄 수 있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도 겸할 수 있게 한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하단 틈새 차단장치는, 도어의 하단 양쪽에 오목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양쪽 가이드레일 사이에 승강 패드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도어 핸들축에 회전캠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패트와 회전캠 사이에 승강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기구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구는 승강 패드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 레버와, 한쪽 선단이 상기 레버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도어 핸들 축의 회전캠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 링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면 회전캠이 함께 회전하면서 승강기구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승강기구에 연결된 승강 패드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승강 패드 가 아래쪽으로 내려가 도어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해 주고,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 핸들을 아래로 회전시키면 회전캠이 함께 회전하면서 승강기구가 승강 패드를 위쪽으로 끌어올리게 되므로 도어를 자유롭게 열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승강기구를 록크시킴으로써 승강 패드가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게 하여 도어의 개폐작동을 저지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전면 개략도, 도면 2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도어 핸들축에 설치된 회전캠과 승강기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 4는 도어핸들축에 회전캠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하단 틈새 차단장치는 도어(1)의 하단 양쪽에 오목한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고, 상기 양쪽 가이드레일(2) 사이에 승강 패드(3)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를 개방하는데 사용하는 도어 핸들(4)이 설치된 도어 핸들축(5)에 회전캠(6)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패드(3)와 회전 캠(6) 사이에 승강 패드(3)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기구(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기구(7)는 승강 패드(3)에 직접 고정 부착된 연결 브라켓(7-1)과, 상기 연결 브라켓(7-1)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 레버(7-2), 한쪽 선단이 상기 레버(7-2)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도어 핸들축(5)의 회전캠(6)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 링크(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브라켓(7-1)은 도면 2에 확대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승강 패드(3)의 상단 양쪽에 고정 부착되고, 그 중앙에 힌지축(7-4)을 통하여 레버(7-2)이 한쪽 선단이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상기 레버(7-2)는 중앙에 배치되어 도어(1)에 고정 설치된 지지축(7-5)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7-2)의 다른 한쪽에 링크(7-3)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힌지축(7-6)을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7-2)에 연결된 링크(7-3)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상단이 도어핸들(4)의 회전캠(6)에 회동축(6-1)을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승강기구(7)는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핸들(4)을 아래쪽으로 돌리면 회전캠(6)이 함께 회전하면서 링크(7-3)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게 된다.
상기 링크(7-3)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지지축(7-5)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레버(7-2)의 좌측선단(도면에서)이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레버(7-2)의 우측선단은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7-2)의 우측 선단이 위쪽으로 올라가면, 연결브라켓(7-1)과 함께 승강 패드(3)가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 패드(3)가 가이드레일(2)을 타고 이동하게 함으로써, 승강 패드(3)가 승강할 때 저항을 받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핸들축(5)에는 통상적으로 도어핸들 세트에 설치되어 있는 키뭉치(8)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핸들(4)을 자유로운 상태로 놓으면, 키뭉치(8)에 내장되어 있는 복원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해 도어 핸들(4)이 다시 수평의 상태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도어 핸들(4)을 자유로운 상태로 놓아두면, 승강 패드(3)가 아래쪽으로 내려와 도어(1)의 하단과 바닥면(9)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10)를 차단해 주게 되고, 도어 핸들(4)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통상적인 도어 핸들세트와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에 끼워진 록크핀(도시안됨)이 빠져나오면서 도어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켜 줌과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면(9)에 밀착된 승강 패드(3)가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도어(1)가 자유롭게 열릴 수 있게 해 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의 하단에 설치된 승강 패드(3)가 바닥면(9)에 밀착하여 도어(1)와 바닥면(9)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10)를 차단하여 외부의 빛이나 공기 또는 소음이 소통되지 않게 할 수가 있고, 도어(1)를 열기 위해 도어핸들(4)을 아래로 누르면 회전캠(6)이 회전하면서 승강기구(7)를 움직여 승강 패드(3)가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어, 바닥면(9)과 도 어(10) 사이의 밀착 상태를 해제시킬 수가 있어 도어(1)를 자유롭게 열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승강 패드(3)를 출입문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 도어(1)와 바닥면(9)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찬 공기나 먼지 등이 유입되지 못하게 막아주게 할 수도 있지만, 도어(1)를 열은 상태에서 도어핸들(4)을 놓으면 승강 패드(3)가 바닥면(9)에 밀착하여 도어(1)가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도어(1)가 자의적으로 닫히지 않게 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도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승강기구(7)의 승강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록크기구(11)를 구비할 수가 있는바, 이 록크기구(11)는 도어(1)를 열거나 닫을 때 승강 패드(3)가 아래쪽으로 내려오지 못하게 차단하여, 도어(1)를 자유롭게 열고 닫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커버(11-1)에 관통하여 설치한 고정핀(11-2)과, 상기 회전캠(6)에 형성된 삽입구멍(11-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캠(6)에 형성된 삽입구멍(11-3)은 회전캠(6)이 아래로 회전한 상태에서 핀(11-2)의 위치와 일치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록크기구(11)는 도어핸들(4)을 사용하여 회전캠(6)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핸들커버(11-1)에 끼워진 고정핀(11-2)을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고정핀(11-2)의 선단이 삽입구멍(11-3) 속으로 들어가서 회전캠(6)이 회전하지 못하게 잡아 주게 되므로, 더 이상 승강기구(7)가 아래 위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 패드(3)가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승강기구(7)가 상하 이동 하지 못하게 록크됨에 따라 도어(1)가 자유롭게 열리고 닫힐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1-2)을 밀어 넣은 반대쪽(도면에서 왼쪽)으로 잡아당기면, 고정핀(11-2)의 선단이 회전캠(6)의 구멍(11-3) 속에서 빠져 나와 승강기구(7)의 록크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상기 고정핀(11-2)을 앞쪽으로 잡아당길 때 완전하게 뽑혀져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커버(11-1)의 안쪽에 돌기로 이루어진 스토퍼(11-2)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고정핀(11-2)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내부에 설치된 여러 가지 구조의 보수 및 유지 관리를 위하여 도어(1)의 하단 일부에 개폐문(1-1)을 나사(1-2) 등으로 고정시켜 필요할 때, 나사(1-2)를 풀어서 개폐문(1-1)을 개방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1)의 하단에 승강 패드(3)를 설치하고, 이 승강 패드(3)와 도어핸들(4)를 승강기구(7)로써 연결시킴으로써, 도어(1)를 닫았을 때 승강 패드(3)가 도어(1)의 하단과 바닥면(9)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10)를 차단해 주고, 도어(1)를 열기 위해 도어핸들(4)을 아래쪽으로 돌리면 승강 패드(3)가 위쪽으로 올라가서 도어(1)가 열리는데 방해물로서 작용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간단하게 도어(1)를 열 수가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승강 패드(3)는 도어(1)를 연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닫히지 않게 하기 위해 붙잡아 주기 위한 스토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고, 이러한 스토퍼의 역할은 도어핸들(4)을 아래쪽으로 돌려줌으로써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편리 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전면 개략도,
도 2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도어 핸들축에 설치된 회전캠과 승강기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어핸들축에 회전캠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도어 2 - 가이드 레일
3 - 승강 패드 4 - 도어핸들
5 - 도어 핸들축 6 - 회전캠
7 - 승강기구 8 - 키뭉치
9 - 바닥면 10 - 틈새
11 - 록크기구

Claims (3)

  1. 도어의 하단 양쪽에 오목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양쪽 가이드레일 사이에 승강 패드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도어 핸들축에 회전캠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패트와 회전캠 사이에 승강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면 회전캠이 함께 회전하면서 승강기구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기구의 이동에 따라 승강기구에 연결된 승강 패드가 상하로 이동하게 이루어진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가 승강 패드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과, 상기 연결 브라켓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 레버와, 한쪽 선단이 상기 레버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도어 핸들축의 회전캠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에 승강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록크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록크기구는 도어 핸들에 구비된 핸들커버에 관통하여 설치한 고정핀과, 상기 회전캠에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이 회전캠을 아래로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핀의 위치와 일치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 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KR1020080083500A 2008-08-26 2008-08-26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KR20100024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00A KR20100024786A (ko) 2008-08-26 2008-08-26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00A KR20100024786A (ko) 2008-08-26 2008-08-26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86A true KR20100024786A (ko) 2010-03-08

Family

ID=4217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00A KR20100024786A (ko) 2008-08-26 2008-08-26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78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448B1 (ko) 2010-11-26 2012-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차음도어
WO2013168869A1 (ko) * 2012-05-09 2013-11-14 (주)메티스 도어용 스토퍼 장치
JP2017025542A (ja) * 2015-07-21 2017-02-02 株式会社ベスト 扉用シャッタ装置
CN109296295A (zh) * 2018-08-27 2019-02-01 南京福皇建材有限公司 一种电动折叠门
CN109681106A (zh) * 2018-11-26 2019-04-26 北京闼闼同创工贸有限公司 一种门体、门锁和密封装置
CN110397387A (zh) * 2019-07-25 2019-11-01 北京联合大学 一种隐藏式密封门缝机械装置
CN112012624A (zh) * 2020-09-10 2020-12-01 桂林电子科技大学信息科技学院 一种基于建筑便于安装的门窗
CN113291941A (zh) * 2021-05-25 2021-08-24 叶喜春 一种自动远程呼叫电梯系统
KR102592378B1 (ko) * 2023-03-29 2023-10-25 선진아이앤디 주식회사 회전 차수문
KR102604350B1 (ko) * 2022-11-29 2023-11-23 (주)경성정기 밀폐성이 향상된 무턱 방화문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448B1 (ko) 2010-11-26 2012-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차음도어
WO2013168869A1 (ko) * 2012-05-09 2013-11-14 (주)메티스 도어용 스토퍼 장치
JP2017025542A (ja) * 2015-07-21 2017-02-02 株式会社ベスト 扉用シャッタ装置
CN109296295A (zh) * 2018-08-27 2019-02-01 南京福皇建材有限公司 一种电动折叠门
CN109681106A (zh) * 2018-11-26 2019-04-26 北京闼闼同创工贸有限公司 一种门体、门锁和密封装置
CN109681106B (zh) * 2018-11-26 2020-08-04 北京闼闼同创工贸有限公司 一种门体、门锁和密封装置
CN110397387A (zh) * 2019-07-25 2019-11-01 北京联合大学 一种隐藏式密封门缝机械装置
CN112012624A (zh) * 2020-09-10 2020-12-01 桂林电子科技大学信息科技学院 一种基于建筑便于安装的门窗
CN112012624B (zh) * 2020-09-10 2022-07-12 山东索美特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建筑便于安装的门窗
CN113291941A (zh) * 2021-05-25 2021-08-24 叶喜春 一种自动远程呼叫电梯系统
KR102604350B1 (ko) * 2022-11-29 2023-11-23 (주)경성정기 밀폐성이 향상된 무턱 방화문
KR102592378B1 (ko) * 2023-03-29 2023-10-25 선진아이앤디 주식회사 회전 차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4786A (ko)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JP413002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KR100749894B1 (ko) 올림미닫이 시스템 창호
PT1516847E (pt) Dispositivo para acoplar uma porta de cabina com uma porta de patamar, bem como um dispositivo para destrancar uma porta de cabina em caso de emergência.
JP2010064869A (ja) ピット梯子装置
KR20090099029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20090098943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20080038667A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1539772B1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N109779431A (zh) 用于平开窗的打开控制装置
KR102340129B1 (ko) 턴/틸트 창호시스템
KR20110002241U (ko) 비상 자동문 잠금장치
JP5603178B2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照明カバー装置
JP2017145099A (ja) ストッパー機能付きドアシュー
KR100663944B1 (ko) 미닫이식 창호의 업다운 메카니즘
JP2013119476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200452169Y1 (ko) 창호용 턴첵
KR20090054036A (ko) 미닫이창문의 안전잠금장치
JP4555107B2 (ja) 折れ戸の非常時開放装置
KR200362926Y1 (ko) 여닫이창문용 스테이
JP5300284B2 (ja) 扉装置
KR102076079B1 (ko)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KR20110046898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KR20100100356A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