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079B1 -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 Google Patents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079B1
KR102076079B1 KR1020190079614A KR20190079614A KR102076079B1 KR 102076079 B1 KR102076079 B1 KR 102076079B1 KR 1020190079614 A KR1020190079614 A KR 1020190079614A KR 20190079614 A KR20190079614 A KR 20190079614A KR 102076079 B1 KR102076079 B1 KR 102076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astening member
support frame
sw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귀환
Original Assignee
(주)씨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넷 filed Critical (주)씨넷
Priority to KR1020190079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electro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5Swinging or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될 뿐만 아니라 앞뒤로 스윙 회전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윙 개폐시 문짝의 처짐을 방지하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는 문짝; 상기 문짝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문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 상기 문짝의 일측 상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윙축과, 상기 문짝을 상기 스윙축으로 당겨서 문짝의 처짐을 방지하는 당김볼트를 포함하는 스윙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Sliding and swing Hanger door}
본 발명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될 뿐만 아니라 앞뒤로 스윙 회전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윙 개폐시 문짝의 처짐을 방지하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출입구, 현관, 지하철역의 플랫폼 등에는 도어가 설치되어서 출입을 제한 또는 허용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일반적으로 출입구나 플랫폼 등에 설치되는 도어는 출입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을 위한 무인 경비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자동 개폐되는 행거도어가 주로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스윙 개폐방식을 부가하여 정전 등의 비상상황 시나 소정 목적에 의한 출입구를 최대폭으로 활용하기 위해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의 설치가 늘고 있다.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는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힌지축으로 힌지결합 및 지지되는 고정식 스윙도어와 달리는 상부측에서만 힌지결합되는 구조로서, 힌지축의 반대편이 자중에 의해 처지면서 도어의 하단이 바닥면에 닿게 되어 원활한 개폐동작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참고로,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875802호 "스윙 및 슬라이딩 동작으로 도어를 움직이기 위한 장치", 등록특허 제10-0829964호 "슬라이딩 스윙 도어의 처짐 방지구조" 등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문짝이 스윙되도록 하는 스윙유닛에 문짝을 스윙축으로 당겨서 문짝의 처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문짝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전자정부재의 래치가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아서 오작동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문짝의 하부에 구비되는 방풍유닛이 바닥면의 턱이나 이물질에 걸려 손상되거나 제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는
문짝;
상기 문짝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문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
상기 문짝의 일측 상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윙축과, 상기 문짝을 상기 스윙축으로 당겨서 문짝의 처짐을 방지하는 당김볼트를 포함하는 스윙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을 통한 상기 브라켓의 이동을 단속하는 전자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정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단속막대가 접촉되어 지나가는 래치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인출되어 상기 래치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래치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래치의 회전축에 구비되어서 외력이 소멸되면 래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문짝의 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되는 승하강판과,
상기 승하강판을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문짝의 하부로 노출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와 승하강판을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는 스윙유닛의 당김볼트를 조여 문짝을 스윙축으로 당겨줌으로써 문짝의 처짐을 방지하여 문짝이 원활하게 스윙동작으로 개폐되고, 정전 등과 같은 사고시에 문짝이 잠기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전자정부재의 래치에 비틀림스프링을 구비하여 원위치에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문짝 하부의 브러쉬는 지지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승하강판에 연결되어서 바닥면의 턱이나 이물질에 걸려도 손상되지 않고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과 가스켓의 구조를 요부로 하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유닛을 요부로 하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정부재를 요부로 하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풍유닛을 요부로 하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수단의 결합 및 분리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는 문짝(10), 지지프레임(20), 슬라이드유닛(30), 스윙유닛(40), 방풍유닛(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짝(10)은 평판 구조의 패널(11)과, 상기 패널(11)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11)은 일반적으로 사각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유리판, 철판, 목재판 등이 사용된다. 불특정 다수인 사용하는 건물의 출입구나 지하철역의 플랫폼 등에는 유리판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틀부재는 상기 패널(11)의 가장자리(테두리)에 결합되어서 패널(11)을 보호한다. 상기 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수직프레임(12)과,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양측으로 배치되는 두 수직프레임(12)은 연결바(14)를 통해 연결되어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연결바(14)는 상기 수평프레임(13)을 관통하고, 양단이 각각 수직프레임(12)에 너트로 체결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3)에는 관통되는 상기 연결바(14)의 외면을 감싸잡는 결합편(15)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15)은 단면이 개구부를 갖는 원형모양으로 이루어져서, 삽입관통된 연결바(14)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잡아준다.
상기 수평프레임(13)과 수직프레임(12)의 내면측에는 상기 패널(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6)에 삽입된 패널(11)이 흔들림 없이 수평프레임(13)가 수직프레임(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틈새를 통해 물기나 먼지 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패널(11)의 가장자리에는 'ㄷ'자 모양의 가스켓(60)이 씌어지고, 상기 패널(11)이 결합된 상기 가스켓(60)이 상기 삽입홈(16)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60)의 내부 모퉁이에는 상기 패널(11)의 모서리를 수용하는 수용홈(61)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수용홈(6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가스켓(6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홈(63)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삽입홈(16)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돌기(6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6)의 벽면에는 상기 가스켓(6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문짝(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문짝(10)은 일측에서 스윙축(41)으로 결합되고, 타측에서 탈착수단을 통해 원터식으로 간편하게 결합되고 분리된다.
문짝(10)의 슬라이드 개폐시에는 상기 탈착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문짝(10)을 결합시켜서 문짝(10)과 지지프레임(20)이 함께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고, 문짝(10)의 스윙 개폐시에는 상기 탈착수단이 상기 문짝(10)을 지지프레임(20)에서 해제시켜서 문짝(10)이 스윙축(41)을 축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탈착수단은 원터치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암놈체결부재와 수놈체결부재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스윙유닛(40)은 상기 문짝(10)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서 앞뒤로 스윙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윙유닛(40)은 스윙축(41), 결합블럭(42, 43), 가이드부재(44), 당김볼트(47), 고정볼트(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윙축(4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결합블럭(42, 43)이 결합된다. 상부의 결합블럭(42)은 상기 지지프레임(20) 내부에 고정결합되고, 하부의 결합블럭(43)은 상기 수평프레임(13) 내부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스윙축(41)은 상하 두 결합블럭(42, 43) 중 한 곳 이상에서 볼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4)는 일단이 상기 스윙축(41)의 상부에 결합된다. 볼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44)에는 상기 고정볼트(4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48)는 상기 수평프레임(13)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44)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당김볼트(47)는 상기 가이드부재(44)의 타단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조여지거나 풀림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다.
상기 당김볼트(47)가 가이드부재(44)에서 조여져서 전진하면(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 상기 가이드홈(45)에 배치된 상기 고정볼트(48)를 밀게 되고, 상기 고정볼트(48)가 밀려서 전진하게 되면 고정결합된 수평프레임(13)을 당겨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도면을 기준으로 당김볼트(47)의 조임에 의해서 상부 수평프레임(13)이 스윙축(41)이 위치한 좌측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수평프레임(13)의 우측과, 여기에 연결되는 우측의 수직프레임(12)과, 또 다시 여기에 연결되는 하부 수평프레임(13)의 우측이 함께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살짝 위로 들리게 된다. 즉, 문짝(10)에서 스윙축(41)의 반대편에 위치한 측이 바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당김볼트(47)가 과하게 조여져서 문짝(10)의 우측이 들린 때에는 당김볼트(47)를 풀어서 우측이 내려오도록 하여, 문짝(10)을 수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유닛(30)은 상기 문짝(10)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드유닛(30)은 브라켓(31), 이동수단, 전자정부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31)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상부 양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31)에는 단속막대(32), 롤러(33), 체결블럭(34) 등이 구비된다.
상기 단속막대(32)는 상기 전자정부재(110)의 래치(113)에 접촉되어서 문짝(10)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즉, 이동의 허용 또는 제한)한다.
상기 롤러(33)는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배열된 레일(35)에 올려져 문짝(10)의 하중을 지탱하고, 문짝(1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체결블럭(34)은 상기 이동수단에 체결되어서 문짝(10)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모터(121)와, 상기 모터(12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문짝(10)을 슬라이드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로 스크류봉(123)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봉(123)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블럭(34)이 스크류결합된다. 상기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봉(123)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스크류결합된 상기 체결블럭(34)이 스크류봉(123)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된다. 상기 체결블럭(34)이진 또는 후진을 하면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31), 지지프레임(20)을 통해 문짝(10)이 함께 전진 또는 후진을 한다.
또 다른 이동부재로 두 풀리와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두 풀리는 문짝(10)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어느 한 풀리는 상기 모터(121)에 의해 회전을 하고, 상기 벨트는 양측의 두 풀리를 따라 순환하여 이송을 하고, 상기 벨트에는 상기 체결블럭(34)이 체결된다.
또 다른 이동부재로 두 기어와 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두 기어는 문짝(10)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어느 한 기어는 상기 모터(121)에 의해 회전을 하고, 상기 체인은 양측의 두 기어를 따라 순환하여 이송을 하고, 상기 체인에는 상기 체결블럭(34)이 체결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사람이 출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나,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센서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모터(121)를 구동시켜 문짝(10)이 개방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모터(121)를 구동시켜 문짝(10)이 폐쇄되도록 한다.
문짝이나 근접되어 구비되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휴면 상태에 있던 엔코더 웨이크업 되면서 작동을 하게 되고, 컨트롤러가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문짝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정부재(110)는 정전이나 화재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때에 문짝(10)이 열리지 않도록 잠그거나 문짝(10)을 수동으로 열 수 있도록 잠금을 해제시킨다.
상기 전자장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된 브라켓(31)의 이동을 단속하여 문짝(1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한다.
상기 전자정부재(110)는 몸체(111), 래치(113), 솔레노이드(115), 전자석(117), 비틀림스프링(1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1)는 상기 브라켓(31)의 이송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래치(113)는 상기 몸체(111)에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31)에 구비되는 단속막대(32)가 접촉되어 지나간다.
상기 솔레노이드(115)는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석과 상호작용으로 인출되어 상기 래치(113)의 고정홈(114)에 삽입되어 래치(113)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비틀림스프링(119)은 상기 래치(113)의 회전축에 구비되어서 외력이 소멸되면 래치(113)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문짝(10)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브라켓(31)이 상기 전자정부재(110)를 지나가게 되고, 이때 상기 브라켓(31)에 구비되는 단속막대(32)가 상기 래치(113)의 하부를 접촉하여 밀고 지나가게 된다. 상기 솔레이노이드가 상기 래치(113)의 고정홈(114)에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래치(113)는 단속막대(32)에 밀려 회전하여 단속막대(32)를 통과시키게 되고, 솔레노이드(115)가 고정홈(114)에 삽입되어 있으면 솔레노이드(115)가 래치(113)의 회전을 방해하여 단속막대(32)가 통과되지 않도록 한다. 즉, 브라켓(31)이 이동할 수 없어서 문짝(10)은 열리지 않도록 잠기거나 닫히지 않도록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단속막대(32)가 상기 래치(113)를 접촉하여 지나간 후에는 래치(113)는 원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물질이 끼거나 하는 등의 래치(113)에 부하가 걸려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면 래치(113)의 고정홈(114)에 솔레노이드(115)가 삽입되지 못하거나, 고정홈(114)에 삽입되어 있는 솔레노이드(115)가 분리되지 않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비틀림스프링(119)은 상기 래치(113)의 회전축에 결합되어서 상기 래치(113)에 가해지는 외력이 소멸하면 래치(113)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방풍유닛(50)은 상기 문짝(10)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문짝(10)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막아서 틈새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방풍유닛(50)은 승하강판(51), 지지스프링(53), 브러쉬(55), 연결핀(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판(51)은 상기 문짝(10)의 하부측 수평프레임(13)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 지지스프링(53)은 상기 수평프레임(13)의 내부 바닥과 상기 승하강판(5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하강판(51)이 하강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브러쉬(55)는 상기 수평프레임(13)의 하부로 노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57)을 통해 상기 승하강판(51)에 연결된다.
문짝(10)이 슬라이딩 개폐되거나 스윙 개폐되는 바닥면에는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슬릿돌기, 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럭과 같은 턱이 돌출되거나, 파편과 같은 이물질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돌출 턱이나 이물질이 있는 경우 브러쉬(55)가 걸려 지나가지 못하거나 부딪히는 충격으로 브러쉬(55)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승하강판(51)과 지지스프링(53)을 통해서 문짝(10)이 개폐되는 과정에서 브러쉬(55)가 돌출 턱이나 이물질에 걸리는 경우 승강되어 손상 없이 그 위를 부드럽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도6 및 도7에는 상기 문짝(10)의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지지프레(20)임을 원터치식으로 결합시키고 분리시키는 탈착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문짝(10)에서 스윙축(41)에 반대쪽에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2)의 상부 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겹쳐서, 문짝(10)이 지지프레임(20)의 앞쪽에서 스윙되고 뒤쪽으로는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이 겹치는 부위는 상기 탈착수단을 통해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탈착수단은 암놈체결부재(130)와 수놈체결부재(140)로 구성되고, 수놈체결부재(140)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만으로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에는 각각 체결공(12h, 20h)이 형성되고, 상기 암놈체결부재(130)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체결공(12h, 20h)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놈체결부재(140)는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중공(131)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와 상기 체결공(12h, 20h)의 내부에 걸려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암놈체결부재(130)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12)의 체결공(12h, 20h)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탄성편(132)과, 상기 탄성편(132)들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날개(133)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편(132)들은 원형으로 배열되어 내부에 중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132)들의 상부 내측에는 수용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32)들의 하부는 내측으로 기울어져서 직경이 줄어드는 구조의 고정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32)들의 내면에는 제1안내판(136)과 제2안내판(13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판(136)은 상기 탄성편(132)의 내면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판(137)은 하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판(136)은 상기 탄성편(132)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양쪽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결되는 모양으로 각각 경사진 구조를 가져서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가이드돌기(146)가 제1안내판(136)을 타고 내려오면서 탄성편(132)의 중앙측으로 이동을 하도록 하고, 또한 수놈체결부재(140)의 걸림돌기(145)도 이에 맞춰 고정부(135)의 중앙측으로 이동배치되도록 하여서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고정부(135) 단부가 상기 걸림돌기(145)에 안정적으로 걸림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2안내판(137)은 상기 제1안내판(136)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경사진 구조를 가져서 제2안내판(137)을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46)가 두 탄성편(132) 사이의 이격공간(132h)으로 이송배치되도록 하고, 이에 맞춰 상기 걸림돌기(145)도 두 탄성편(132)의 하부에 구비된 두 고정부(135) 사이의 이격공간(135h)으로 이송배치되어서 걸림돌기(145)와 상기 고정부(135) 단부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수놈체결부재(140)는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중공(131)으로 삽입되는 삽입핀(141)과, 상기 삽입핀(1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직경이 확장된 광폭부(142)와, 상기 삽입핀(1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수용부(134)에 수용되는 헤드(14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핀(141)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46)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광폭부(142)의 외면에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4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헤드(143)에는 스프링(149)의 상부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끼움단턱(144)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암놈체결부재(130)와 수놈체결부재(140)로 구성되는 탈착수단을 이용해 지지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12)를 체결시키는 과정과 해체하는 과정을 도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지프레임(20)에 수직프레임(12)이 겹치도록 하여 지지프레임(20)의 체결공(20h)과 수직프레임(12)의 체결공(12h)을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탄성편(132)들을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수직프레임(12)의 체결공(12h, 20h)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지지날개(133)가 수직프레임(12)의 외면에 지지되어 걸린다.
다음으로,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광폭부(142) 및 삽입핀(141)을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중공(131)으로 밀어 넣는다.
도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149)이 암놈체결부재(130)의 수용부(134)에서 수놈체결부재(140)의 헤드(143)를 탄성지지하여 헤드(143)가 수직프레임 위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다음으로, 손가락으로 수놈체결부재(140)의 헤드(143)를 눌러준다.
도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핀(141)의 상부에 연결된 헤드(143)는 암놈체결부재(130)의 수용부(134)에 수용되고, 삽입핀(141)이 탄성편(132)들의 중공(131)을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돌기(146)가 제1안내판(136)에 접촉되어 제1안내판(136)을 따라 하부로 그리고 탄성편(132)의 중앙으로 이동을 한다.
이때, 삽입핀(141)의 하부에 형성된 광폭부(142)는 탄성편(132)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35)를 밀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부(135)와 탄성편(132)이 외측으로 벌어져 직경이 확장된다. 직경이 확장된 탄성편(132)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체결공(111) 내면에 걸려 지지프레임(20)을 위로 밀게 된다. 즉, 직경이 확장된 탄성편(132)이 지지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12)이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지지프레임(20)을 밀게된다.
상기 광폭부(142)가 하부로 이동하면 광폭부(142)에 형성된 걸림돌기(145)가 상기 고정부(135)의 단부를 지나면서 고정부(135)의 단부가 걸림돌기(145)에 걸림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145)가 제1안내판(136)에 의해 탄성편(132)의 중앙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걸림돌기(145)도 고정부(135)의 중앙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부(135) 단부에 안전하게 걸림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146)가 양측의 제1안내판(136)에 막혀 수놈체결부재(140)가 충격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걸림돌기(145)가 고정부(135)의 단부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직프레임(2)은 지지프레임(20)을 안정적으로 덮으며 결합된다.
지지프레임(20)에서 수직프레임(12)을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헤드(143)를 깊게 눌러준다.
도7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놈체결부재(14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146)는 상기 제2안내판(137)을 타고 이동하며 탄성편(132)의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46)가 탄성편(132)의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그에 맞춰 상기 걸림돌기(145)도 상기 고정부(135)의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서 고정부(135)를 벗어나게 된다.
고정부(135)를 벗어난 걸림돌기(145)는 두 고정부(135) 사이의 이격공간(135h)으로 이동배치되면서 고정부(135)와 걸림결합이 해제된다.
걸림돌기(145)와 고정부(135)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면, 수놈체결부재(140)의 헤드(143)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49)의 복원력과 직경이 확장되어 광폭부(142)의 외면을 가압하는 고정부(135)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수놈체결부재(140)는 상부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되어서 자동으로 상승하게 되어 도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7의 [A] 상태에서는 암놈체결부재(130)가 지지프레임(20)의 체결공(20h) 내면에 걸리지 않기에 수직프레임(12)을 당기면 지지프레임(20)에서 쉽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문짝 11 : 패널
12 : 수직프레임 13 : 수평프레임
14 : 연결바 15 : 결합편
16 : 삽입홈 17 : 가압돌기
20 : 지지프레임 30 : 슬라이드유닛
31 : 브라켓 32 : 단속막대
33 : 롤러 34 : 체결블럭
40 : 스윙유닛 41 : 스윙축
44 : 가이드부재 45 : 가이드홈
47 : 당김볼트 48 : 고정볼트
50 : 방풍유닛 51 : 승하강판
53 : 지지스프링 55 : 브러쉬
57 : 연결핀
110 : 전자정부재 111 :몸체
113 : 래치 115 : 솔레노이드
117 : 전자석 119 : 비틀림스프링
120 : 수놈체결부재 130 : 암놈체결부재

Claims (4)

  1. 문짝;
    상기 문짝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문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
    상기 문짝의 일측 상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윙유닛;
    암놈체결부재와 수놈체결부재로 구성되고, 수놈체결부재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으로 상기 문짝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결합시키고 분리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에는 각각 체결공(12h, 20h)이 형성되고, 상기 암놈체결부재(130)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체결공(12h, 20h)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놈체결부재(140)는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중공(131)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와 상기 체결공(12h, 20h)의 내부에 걸려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암놈체결부재(130)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12)의 체결공(12h, 20h)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탄성편(132)과, 상기 탄성편(132)들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날개(133)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편(132)들은 원형으로 배열되어 내부에 중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132)들의 상부 내측에는 수용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32)들의 하부는 내측으로 기울어져서 직경이 줄어드는 구조의 고정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32)들의 내면에는 제1안내판(136)과 제2안내판(137)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놈체결부재(140)는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중공(131)으로 삽입되는 삽입핀(141)과, 상기 삽입핀(1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직경이 확장된 광폭부(142)와, 상기 삽입핀(1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수용부(134)에 수용되는 헤드(14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핀(141)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46)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광폭부(142)의 외면에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4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헤드(143)에는 스프링(149)의 상부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끼움단턱(14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판(136)은 상기 탄성편(132)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양쪽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결되는 모양으로 각각 경사진 구조를 가져서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가이드돌기(146)가 제1안내판(136)을 타고 내려오면서 탄성편(132)의 중앙측으로 이동을 하도록 하고, 수놈체결부재(140)의 걸림돌기(145)도 이에 맞춰 고정부(135)의 중앙측으로 이동배치되도록 하여서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고정부(135) 단부가 상기 걸림돌기(145)에 걸림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2안내판(137)은 상기 제1안내판(136)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경사진 구조를 가져서 제2안내판(137)을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46)가 두 탄성편(132) 사이의 이격공간(132h)으로 이송배치되도록 하고, 이에 맞춰 상기 걸림돌기(145)도 두 탄성편(132)의 하부에 구비된 두 고정부(135) 사이의 이격공간(135h)으로 이송배치되어서 걸림돌기(145)와 상기 고정부(135) 단부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은
    상기 문짝의 일측 상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윙축과, 상기 문짝을 상기 스윙축으로 당겨서 문짝의 처짐을 방지하는 당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을 통한 상기 브라켓의 이동을 단속하는 전자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정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단속막대가 접촉되어 지나가는 래치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인출되어 상기 래치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래치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래치의 회전축에 구비되어서 외력이 소멸되면 래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의 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되는 승하강판과,
    상기 승하강판을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문짝의 하부로 노출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와 승하강판을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KR1020190079614A 2019-07-02 2019-07-02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KR102076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14A KR102076079B1 (ko) 2019-07-02 2019-07-02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14A KR102076079B1 (ko) 2019-07-02 2019-07-02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079B1 true KR102076079B1 (ko) 2020-02-12

Family

ID=6956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614A KR102076079B1 (ko) 2019-07-02 2019-07-02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0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3469U (ko) * 1986-10-31 1988-05-16
KR20110101652A (ko) * 2010-03-09 2011-09-16 홍기남 여닫이문 하단용 모헤어 프레임
KR101383459B1 (ko) * 2012-06-20 2014-04-08 한국산업은행 철도차량 객실 통로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3469U (ko) * 1986-10-31 1988-05-16
KR20110101652A (ko) * 2010-03-09 2011-09-16 홍기남 여닫이문 하단용 모헤어 프레임
KR101383459B1 (ko) * 2012-06-20 2014-04-08 한국산업은행 철도차량 객실 통로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JP2011088720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20000022574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KR20100024786A (ko)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CN105849345A (zh) 窗或门的至少可提升的但是优选也可移动的翼扇的配件
JP7206067B2 (ja) 機械式昇降路アクセス制御装置
CN101021116B (zh) 安全推杆锁
SK285079B6 (sk) Prestaviteľná stena
TWI275560B (en) Sea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KR102075747B1 (ko) 문짝의 기밀성이 향상된 행거도어
US4437694A (en) Sliding door with security apparatus
KR102076079B1 (ko)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KR20110030258A (ko) 안전문
US7243760B2 (en) Elevator door unit having mechanism to release lock unit manually in emergency
KR102076082B1 (ko)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KR102076080B1 (ko) 슬라이딩 개폐가 안정적인 행거도어
KR102313613B1 (ko)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KR20080004762A (ko) 풀오픈 도어시스템
KR20060126864A (ko) 슬라이딩 창호의 개폐틸트장치
JP2927043B2 (ja)
KR102094885B1 (ko) 방폭형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장치
JP4959126B2 (ja) エレベーターの扉装置
KR20050059424A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20110037613A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2336573B1 (ko) 방화 자동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