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082B1 -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 Google Patents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082B1
KR102076082B1 KR1020190112174A KR20190112174A KR102076082B1 KR 102076082 B1 KR102076082 B1 KR 102076082B1 KR 1020190112174 A KR1020190112174 A KR 1020190112174A KR 20190112174 A KR20190112174 A KR 20190112174A KR 102076082 B1 KR102076082 B1 KR 102076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ng
block
swing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귀환
Original Assignee
(주)씨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넷 filed Critical (주)씨넷
Priority to KR102019011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짝이 앞뒤로 회전하여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스윙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에서 스윙축이 반대편이 타측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는 문짝; 상기 문짝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문짝의 일측 상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윙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윙도어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은 스윙축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상부가 고정결합시키는 상부결합블럭과, 상기 문짝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결합블럭과, 상기 문짝의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문짝이 자중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문짝의 타측이 하방으로 처지려는 힘에 저항하도록, 상기 스윙측의 하단은 타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문짝이 앞뒤로 회전하여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스윙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에서 스윙축이 반대편이 타측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출입구, 현관, 지하철역의 플랫폼 등에는 도어가 설치되어서 출입을 제한 또는 허용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도어는 문짝이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와, 문짝이 스윙축을 축으로 앞뒤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스윙 도어로 구분되고,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도어도 있다.
스윙 도어는 문짝의 일측이 스윙축을 통해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로서, 스윙축의 반대편인 문짝의 타측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힘을 받는다.
그래서 스윙 도어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스윙축의 반대편이 자중에 의해 처지면서 도어의 하단이 바닥면에 닿게 되어 원활한 개폐동작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문짝의 처짐 방지를 위해 등록특허 제10-0829964호 "슬라이딩 스윙 도어의 처짐 방지구조"는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 개의 간격조절공이 천공된 막대형상의 제 1간격조절부재와, 제 1간격조절부재의 나사체결공을 관통하는 체결나사를 통해 상기 제 1간격조절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바(bar)형상의 제 2간격조절부재와, 상기 제 1간격조절부재의 간격조절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면서 그 하단부가 상기 제 2간격조절부재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맞닿음에 따라 상기 제 1간격조절부재 및 제 2간격조절부재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제 2간격조절부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 스윙도어의 처짐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간격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스윙 도어의 처짐 방지구조를 제안하였다.
등록특허 제10-0829964호에 따른 종래기술은 구조적으로 큰 하중을 부담하여 처짐을 방지하기에는 취약하다. 그래서 등록특허 제10-0829964호는 경량의 도어에는 적용 가능하지만 중량의 도어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큰 하중을 부담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고중량 스윙도어의 처짐도 방지할 수 있는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는
문짝;
상기 문짝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문짝의 일측 상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윙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윙도어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은
스윙축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상부가 고정결합시키는 상부결합블럭과,
상기 문짝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결합블럭과,
상기 문짝의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문짝이 자중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문짝의 타측이 하방으로 처지려는 힘에 저항하도록, 상기 스윙측의 하단은 타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윙축의 하단에 고정결합되고, 상부면에 제1경사면이 형성된 고정캠과,
상기 하부결합블럭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스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면에 상기 제1경사면에 접촉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회전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면 또는 제2경사면은 상기 문짝이 개방을 위한 회전시 문짝의 타측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경사각이 2단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캠은 상기 회전캠 보다 무르고, 상기 스윙축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블럭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들홈에는 상기 문짝에 고정결합된 고정볼트가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지블럭이 타단에는 상기 고정볼트를 상기 가이드홈에서 일측으로 밀어서, 상기 문짝의 타측이 당겨져 들리돌고 하는 당김볼트가 스크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는 문짝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윙축의 하단이 타측으로 기울어져 문짝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을 위해 문짝이 회전하는 때에 회전캠이 고정캠을 타고 올라가면서 문짝의 타측을 살짝 들어올려 처짐을 방지하고, 당김볼트가 고정볼트를 밀어 문짝의 타측이 살짝 들어올려지도록 당겨 처짐을 방지하는 3중의 처짐방지 구조를 가져 고중량의 도어의 처침도 확실하게 방지하는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의 정면도.
도 2a,b 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에서 문짝의 상부와 하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에서 스윙유닛을 요부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유닛의 사시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유닛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대용 사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는 문짝(10), 지지프레임(20), 스윙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문짝(10)이 슬라이드방식으로도 개폐되도록하는 슬라이드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짝(10)은 평판 구조의 패널(11)과, 상기 패널(11)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11)은 일반적으로 사각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유리판, 철판, 목재판 등이 사용된다. 불특정 다수인 사용하는 건물의 출입구나 지하철역의 플랫폼 등에는 유리판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틀부재는 상기 패널(11)의 가장자리(테두리)에 결합되어서 패널(11)을 보호한다. 상기 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수직프레임(12)과,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도2a,b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프레임(13)과 수직프레임(12)의 내면측에는 상기 패널(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6)에 삽입된 패널(11)이 흔들림 없이 수평프레임(13)가 수직프레임(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틈새를 통해 물기나 먼지 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패널(11)의 가장자리에는 'ㄷ'자 모양의 가스켓(60)이 씌어지고, 상기 패널(11)이 결합된 상기 가스켓(60)이 상기 삽입홈(16)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60)의 내부 모퉁이에는 상기 패널(11)의 모서리를 수용하는 수용홈(61)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수용홈(6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가스켓(6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홈(63)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삽입홈(16)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돌기(6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6)의 벽면에는 상기 가스켓(6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문짝(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문짝(10)은 일측에서 스윙축(41)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는 문짝(10)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30)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유닛(30)은 상기 문짝(10)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도2a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유닛(30)은 브라켓(31),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31)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상부 양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31)에는 단속막대(32), 롤러(33), 체결블럭(34) 등이 구비된다.
상기 단속막대(32)는 문짝(10)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즉, 이동의 허용 또는 제한)한다.
상기 롤러(33)는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배열된 레일(35)에 올려져 문짝(10)의 하중을 지탱하고, 문짝(1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체결블럭(34)은 상기 이동수단(미도시)에 체결되어서 문짝(10)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윙유닛(40)은 상기 문짝(10)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서 앞뒤로 스윙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스윙유닛(40)은 스윙축(41), 상부결합블럭(42), 하부결합블럭(43), 지지블럭(44), 당김볼트(47), 고정볼트(48), 고정캠(49a), 회전캠(4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윙축(4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상부결합블럭(42)과 하부결합블럭(43)이 결합된다. 상부결합블럭(42)은 상기 지지프레임(20) 내부에 고정결합되고, 하부의 결합블럭(43)은 상기 수직프레임(12) 내부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스윙축(41)은 상기 상부결합블럭(42)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하부결합블럭(43)은 볼베어링을 통해 스윙축(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블럭(44)은 일단이 상기 스윙축(41)의 상부에 볼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문짝(10)의 수평프레임(13)에 고정결합되어서, 문짝(10)이 스윙축(41)에 지지되도록 한다.
개폐를 위해 문짝(10)이 앞뒤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스윙축(41)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블럭(44)과 하부결합블럭(43)이 문짝(10)과 함께 회전을 하게된다.
상기 스윙축(41)은 문짝(10)이 처지려는 힘에 저항하도록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3과 도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윙축(41)은 상부결합블럭(42)에 수직된 가상의 수직선(L)에 대하여 A각도 만큼 내측으로 기울어진다. 그래서 상기 스윙축(41)의 하단은 수직프레임(12) 내에서 타측으로 치우치도록 기울어지고, 기울어진 만큼 스윙축(41)의 반대편인 문짝(10)의 타측을 위로 들어올리려는 힘이 작용하여 문짝(10)의 타측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윙축(41)의 기울어진 각도는 약 3도 정도가 적정하다.
상기 지지블럭(44)에는 상기 고정볼트(4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48)는 상기 수평프레임(13)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지지블럭(44)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당김볼트(47)는 상기 지지블럭(44)의 타단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조여지거나 풀림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다.
상기 당김볼트(47)가 지지블럭(44)에서 조여져서 전진하면(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 상기 가이드홈(45)에 배치된 상기 고정볼트(48)를 밀게 되고, 상기 고정볼트(48)가 밀려서 전진하게 되면 고정결합된 수평프레임(13)을 당겨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도면을 기준으로 당김볼트(47)의 조임에 의해서 상부 수평프레임(13)이 스윙축(41)이 위치한 좌측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수평프레임(13)의 우측과, 여기에 연결되는 우측의 수직프레임(12)과, 또 다시 여기에 연결되는 하부 수평프레임(13)의 우측이 함께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살짝 위로 들리게 된다. 즉, 문짝(10)에서 스윙축(41)의 반대편에 위치한 측이 바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당김볼트(47)가 과하게 조여져서 문짝(10)의 우측이 들린 때에는 당김볼트(47)를 풀어서 우측이 내려오도록 하여, 문짝(10)을 수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캠(49a)과 회전캠(49b)은 상기 스윙축(41)의 하단에 구비되어서, 문짝(10)의 개방을 위해 되전되는 과정에서 문짝(10)의 타측이 위로 쌀짝 들어올려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문짝의 처짐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캠(49a)은 상기 스윙축(41)의하단에 고정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제1경사면(S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캠(49b)은 상기 하부결합블럭(43)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스윙축(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면에 제2경사면(S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S1)과 제2경사면(S2)은 서로 접촉된다. 이때, 제1경사면(S1)과 제2경사면(S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경사면은 경사각이 달라지는 2단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사각이 2단구조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경사각이 변한다는 것을 대표하는 표현으로서, 경사각은 어느 지점에서 단속적으로 변할 수도 있고, 점진적으로 연속하여 변할 수도 있으며, 경사각이 단속적으로 변화는 경우에는 2지점 이상에서 여러번 경사각이 변할 수도 있다.
문짝(10)이 개방을 위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캠(49b)이 문짝(10)과 함께 회전을 하면서 제2경사면(S2)이 제1경사면(S1)을 타고 올라가게 되어서, 상기 회전캠(49b)이 스윙축(41)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49b)의 상승에 따라 하부결합블럭(43)도 상승을 하게되고, 상승하는 하부결합블럭(43)은 문짝(10)을 들어올리게 됨으로써 문짝(10)의 타측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문짝(10)이 반복적으로 개폐되면 상기 제1경사면(S1)과 제2경사면(S2)은 서서히 마모되어 제기능이 상실되어 간다. 이에, 상기 고정캠(49a)은 상기 회전캠(49b) 보다 무른 재질로 하여 마모는 고정캠(49a)의 제1경사면(S1)에서 발생되도록 하고, 고정캠(49a)은 스윙축(41)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마모 정도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7에는 상기 문짝(10)의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지지프레(20)임을 간편하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키는 탄성고정수단(EB)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문짝(10)에서 스윙축(41)에 반대쪽에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2)의 상부 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겹쳐서, 문짝(10)이 지지프레임(20)의 앞쪽에서 스윙되고 뒤쪽으로는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이 겹치는 부위는 상기 탄성고정수단(EB)을 통해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탄성고정수단(EB)는 문짝(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2)의 상단에 구비되는 체결블록(B)과, 상기 체결블록(B)이 수용되도록 지지프레임(20)의 타측에 구비되는 탄성고정편(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체결블록(B)이 상기 탄성고정편(E)과 결합되어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은 상기 탄성고정수단(EB)의 결합동작을 측면에서 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이러한 탄성고정수단(EB)를 정면에서 바라봐 후술하는 돌기가이드홈(BH)을 상세하게 표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체결블록(B)이 탄성고정편(E)에 인입되는 방향을 전진방향 또는 전단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퇴방향 또는 후단이라 하며, 이를 기준으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탄성고정수단(EB)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체결블록(B)은 상기 수직프레임(12)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블록(B1)과, 상기 제1블록(B1)에 인입 가능하도록 일면에 구비되는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2)와 제1블록(B1) 사이에 형성되는 블록받침판(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블록받침판(B3)은 상기 제1블록(B1)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블록(B2)은 상기 제1블록(B1)에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보다는 작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1블록(B1)은 제2블룩(B2)에 회전축(H)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타측에는 탄성고정편(E)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편(E)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날개(E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에 블록수용공간(E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블록(B)이 인입되면,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날개(E1)의 후단에는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에 안착되는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날개(E3)가 더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의 거리는 블록수용공간(E11)에서 상기 체결블록(B)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블록(B), 보다 정확하게는 제1블록(B1)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걸림날개(E3)가 블록수용공간(E11)으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날개(E3) 사이의 거리가 상기 체결블록(B)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블록(B)의 진입이 불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의 폭을 변형시키도록 상기 탄성날개(E1)에는 돌기 또는 볼베어링 또는 휠부재로 이루어지는 폭변형가이드(E15)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받침판(B3)에는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인입되는 돌기가이드홈(BH)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가이드홈(BH)에 폭확장부(BH2)를 구비하여 체결블록(B)이 인입되는 동작 시 자연스럽게 탄성날개(E1)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기가이드홈(BH)은 상기 한 쌍의 폭변형가이드(E1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기진입부(BH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가이드홈(BH)은 상기 돌기진입부(BH1)로부터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점 멀어지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폭확장부(BH2)가 형성된다.
즉, 체결블록(B)이 전진하면,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돌기진입부(BH1)로 인입되어 폭확장부(BH2)를 따라 벌어지게 되고, 이는 곳 한 쌍의 탄성날개(E1)가 벌어지게 되어, 상기 체결블록(B)의 진입을 허용하게 되며, 상기 폭확장부(BH2) 후단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폭복귀부(BH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체결블록(B)의 진입이 완료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폭확장부(BH2)에 의해 오므라지게 됨으로서, 상기 걸림날개(E3)가 상기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날개(E1)는 복귀성이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강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동작에 의해 상기 체결블록(B)은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편(E) 내에서 후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블록받침판(B3)에는 돌출 형성된 제2마그넷(M2)이 더 구비되며, 이 제2마그넷(M2)은 탄성날개(E1)가 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날개(E1)의 단부에는 각각 제1마그넷(M1)이 더 구비되며, 이 제1마그넷(M1)과 제2마그넷(M2)이 자성에 의한 인력을 통하여 2차적으로 탄성날개(E1)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를 벌려야 하는 번거로움 및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날개(E3) 일측에 인출허용부(E1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B)을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으로 구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날개(E3)는 상기 탄성날개(E1) 단부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날개(E1) 단부를 기준으로 절반만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나머지 절반은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의 거리와 동일한 인출허용부(E1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블록(B)이 블록수용공간(E11)에 위치함을 기준으로, 상기 인출허용부(E13)에는 제1블록(B1)이 위치하고, 상기 걸림날개(E3)는 상기 제2블록(B2)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블록(B2)은 상기 제1블록(B1) 내에 인입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1블록(B1)을 제2블록(B2) 방향으로 눌러 제1블록(B1) 내부로 인입시키면, 자연스럽게 인출허용부(E13)를 통하여 체결블록(B)이 블록수용공간(E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는 복수개의 탄성체(BS)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블록(B1)이 제2블록(B2)으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블록수용공간(E11) 내에서 제2블록(B2)이 임의로 제1블록(B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블록(B2)이 임의로 제1블록(B1)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블록(B2)은 힌지축(H)을 기준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블록(B2)이 45도 회전을 하면, 상기 제2블록(B2)의 모서리들이 상기 제1블록(B1)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블록(B2)의 인입을 불허하게 되고, 상기 제2블록(B2)의 모서리들이 돌출되면 일부 모서리는 결합된 탄성날개(E1)에 간섭이 일어나게 되며, 이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탄성날개(E1)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블록이 회전 반경에 따른 곡선부 또는 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블록(B2)이 회전이 가능하면, 상기 제2블록(B2)을 지지하는 탄성체(BS)의 동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상기 제1블록(B1)에는 상기 탄성체(BS)가 지지하는 지지판(H1)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지지판(H1)이 상기 제1블록(B1)을 지지함에 따라 탄성력을 고르게 부여함과 동시에 제1블록(B1)이 회전하는데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문짝 11 : 패널
12 : 수직프레임 13 : 수평프레임
20 : 지지프레임 30 : 슬라이드유닛
31 : 브라켓 32 : 단속막대
33 : 롤러 34 : 체결블럭
40 : 스윙유닛 41 : 스윙축
42 : 상부결합블럭 43 : 하부결합블럭
44 : 지지블럭 45 : 가이드홈
47 : 당김볼트 48 : 고정볼트
49a: 고정캠 49b : 회전캠

Claims (4)

  1. 문짝;
    상기 문짝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문짝의 일측 상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윙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윙도어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은
    스윙축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상부가 고정결합시키는 상부결합블럭과,
    상기 문짝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결합블럭과,
    상기 문짝의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윙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문짝이 자중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문짝의 타측이 하방으로 처지려는 힘에 저항하도록, 상기 스윙축의 하단은 타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블럭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문짝에 고정결합된 고정볼트가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지블럭이 타단에는 상기 고정볼트를 상기 가이드홈에서 일측으로 밀어서, 상기 문짝의 타측이 당겨져 들리도록 하는 당김볼트가 스크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축의 하단에 고정결합되고, 상부면에 제1경사면이 형성된 고정캠과,
    상기 하부결합블럭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스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면에 상기 제1경사면에 접촉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회전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면 또는 제2경사면은 상기 문짝이 개방을 위한 회전시 문짝의 타측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경사각이 2단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은 상기 회전캠 보다 무르고, 상기 스윙축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4. 삭제
KR1020190112174A 2019-09-10 2019-09-10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KR10207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174A KR102076082B1 (ko) 2019-09-10 2019-09-10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174A KR102076082B1 (ko) 2019-09-10 2019-09-10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082B1 true KR102076082B1 (ko) 2020-05-18

Family

ID=7091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174A KR102076082B1 (ko) 2019-09-10 2019-09-10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332B1 (ko) 2021-03-09 2022-03-11 주식회사 씨쓰리 스윙 도어
KR20220067685A (ko) * 2020-11-18 2022-05-25 김희일 현장 시공이 용이한 유리 프레임 도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720A (ja) * 2000-01-25 2001-08-03 Best Oume:Kk グレビテイヒンジ
JP2001295559A (ja) * 2000-04-14 2001-10-26 Nippon Alum Co Ltd 引戸装置および止水構造
KR20060133392A (ko) * 2005-06-20 2006-12-26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KR20110002241U (ko) * 2009-08-28 2011-03-08 김명호 비상 자동문 잠금장치
KR101591733B1 (ko) * 2015-09-10 2016-02-04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슬라이드 자동문용 비상개방문 프레임 처짐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720A (ja) * 2000-01-25 2001-08-03 Best Oume:Kk グレビテイヒンジ
JP2001295559A (ja) * 2000-04-14 2001-10-26 Nippon Alum Co Ltd 引戸装置および止水構造
KR20060133392A (ko) * 2005-06-20 2006-12-26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KR20110002241U (ko) * 2009-08-28 2011-03-08 김명호 비상 자동문 잠금장치
KR101591733B1 (ko) * 2015-09-10 2016-02-04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슬라이드 자동문용 비상개방문 프레임 처짐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685A (ko) * 2020-11-18 2022-05-25 김희일 현장 시공이 용이한 유리 프레임 도어 및 그 시공방법
KR102602663B1 (ko) 2020-11-18 2023-11-15 김희일 현장 시공이 용이한 유리 프레임 도어 및 그 시공방법
KR102373332B1 (ko) 2021-03-09 2022-03-11 주식회사 씨쓰리 스윙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082B1 (ko)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스윙도어
EP2924212A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EP3075938B1 (en) Slide and turn door assembly and support mechanism therefor
EP2885479B1 (en) Sliding window with improved air tightness
KR20110137449A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CA2665981C (en) Roller assembly for sliding door
KR101303105B1 (ko) 출입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및 슬라이드 겸용 출입문
KR10108543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US20230349206A1 (en) Gate latch
KR20170001691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US5927019A (en) Earthquake-resistant door structure and an earthquake-resistant device
CN211115311U (zh) 一种用于围挡活动门的门锁
JPH026205Y2 (ko)
CN204691515U (zh) 滑轮结构及设有该滑轮结构的推拉平移门窗
KR20160139682A (ko) 폴딩도어의 롤러식 힌지장치
KR102075747B1 (ko) 문짝의 기밀성이 향상된 행거도어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KR20090100876A (ko) 창문 개/폐용 베어링 타입의 회전형 롤러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CN216866447U (zh) 一种检修门
KR102076079B1 (ko) 문짝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및 스윙 겸용 행거도어
KR102069182B1 (ko) 슬라이딩 행거 도어
JPH0323505Y2 (ko)
JP4196338B2 (ja) 開き戸機構付き引き戸
KR200495175Y1 (ko)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