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750B1 - 인덕터 및 인덕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덕터 및 인덕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750B1
KR101091750B1 KR1020100017896A KR20100017896A KR101091750B1 KR 101091750 B1 KR101091750 B1 KR 101091750B1 KR 1020100017896 A KR1020100017896 A KR 1020100017896A KR 20100017896 A KR20100017896 A KR 20100017896A KR 101091750 B1 KR101091750 B1 KR 10109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terminal
inductor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330A (ko
Inventor
쥬이치 오키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7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의 단말과 단자를 확실히 접속할수 있고, 접속시의 굵기에 의한 대형화를 억제하여, 생산성이 높은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권축부를 가지는 코어(10A), 코일(30), 코어(20A), 단자(40)을 가지고, 코어(10A,20A)의 적어도 일방의 코어에 단말(32)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요부(28)가 2개 이상 설치되고, 요부(28)의 측면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코일 접속부(44)가 배치되며, 적어도 1개의 코일 접속부(44)에는, 권축부의 축선과 평 행되는 코일 접속부(44)의 말단측(44A)의 방향에 대해서, 그 절흠 방향이 45도∼ 180도의 범위를 이루듯이 절흠부(46)이 설치되고 또한, 단말(32)가, 요부(28)와 절 흠부(46)을 경유하여 제1의 코어(10A)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인출되는 동시에, 단 말(32)의 풀어지는 힘(R1,R2)가 작용하도록 절흠부(46)의 절흠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고 있는 인덕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덕터 및 인덕터의 제조 방법{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덕터(inductor) 및 인덕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의 코어에 감겨지는 코일의 단말과 단자를 접속하는 일반적인 방법으 로서는, 단자의 연출부(延出部)에 코일의 단말을 수회 정도의 권수로 감아서 매는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또, 플레이트(plate)모양 코어와 포트(pot)모양 코어와 코일과 단자로부터 되는 인덕터에서는, 단자의 와이 어(wire) 유지부(保持部)에 코일을 죄서 임시고정(假固定)한 다음, 그 위에 땜납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도 알려지고 있다(특허 문헌 2를 참조).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번호2006-245271호공보(단락번호0025등) 특허문헌2:일본특허공개번호2005-159006호공보(청구항1등)
전술한 것과 같은 코일을 매거나 죄서 임시고정하는 접속 방법은, 단말과 단 자의 접속이 떨어져 버리는 것을 저지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유효하다. 그 이유는, 코어에 감겨진 코일이, 풀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원래의 직선 모양의 형상으로 돌아오려고 하는 복원력이 작용해도, 강제적으로 접속된 단말과 단자의 접속 상태에 아무런 악영향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덕터의 제조에 임하여 이러한 접속 방법을 채용하면 제조 공정이 복잡화해 버린다. 이것에 더하여, 코일을 매어 접속하는 방법에서는, 와이어가 굵은 것에 의해 맬 수가 없게 되는 불구합(不具合)이나, 단말의 굵기에 의해 인덕터의 소형화를 저해해 버리게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해서 된 것이며, 코일의 단말과 단자를 확실히 접 속할수 있고, 접속시의 굵기에 의한 대형화를 억제하는 동시에, 생산성이 높은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인덕터는, 권축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의 코어와 상기 권축부 에 감겨진 코일과 상기 제1의 코어와 조합하는 것으로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의 코어와 상기 코일과 접속되는 코일 접속부를 적어도 1개 가지는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의 코어 및 상기 제2의 코어의 적어도 일방의 코어에, 상기 권축 부의 축선과 약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의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의 단말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요부가 적어도 2개 설치되고, 상기 요부는, 이 저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의 상면 개구부와 이 상면 개구부 및 상기 저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개구면이 상기 상면 개구부의 개구면과 약 직교하는 측면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측면 개구부 및 상기 상면 개구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일방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상기 코일 접속부가 배치되고, 적어도 1개의 코일 접속부에는, 상기축선과 평행되는 상기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의 방향에 대해서, 그 절흠 방향이 45도∼180도의 범위를 이루듯이 절흠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적어도 일방의 단말이, 상기 요부와 상기 절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의 코어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인출되는 동시에, 상기 일방의 단말의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절흠부의 절흠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덕터의 일 실시형태는, 전기 절흠부의 절흠 방향이, 상기 축선과 평행되는 상기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방향에 대해서, 170도∼180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덕터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기 절흠부의 절흠 방향이, 상기 축선과 평행되는 상기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 방향에 대해서, 80도∼100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덕터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기 제1의 코어와 전기 제2의 코어 의 조합이, 드럼형 코어와 링형 코어의 조합 및 T자형 코어와 포트형 코어의 조합 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일방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덕터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기 단자가, 전기 코일 접속부와 인덕 터를 기판에 고정할 때에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실장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덕터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기 절흠부가 U자 모양이며, 또한, 상기 U자 모양 절흠부의 최대 깊이가, 전기 코일의 직경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덕터의 제조 방법은, (1) 금속의 판모양 부재를 형태 뽑기하는 것으로써, 평판 모양의 실장부 및 이 실장부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코일과 접속되는 코일 접속부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단자부와 프레임부와 상기 2개 이상의 단자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2개 이상의 단자부의 1개 이상의 단자부가,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으로부터 코일 접속부와 실장부가 접속된 부분으로 신장하는 방향과 평행되는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 방향에 대해서, 그 절흠 방향이 45도∼180도의 범위를 이루듯이 절흠부가 설치된 코일 접속부를 1개 이상 가지는 플레이트 부재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부재 형성 공정과, (2) 상기 코일 접속부를, 상기 실장부에 대해서 약 수직을 이루듯이 접어 구부리는 코일 접속부 절곡 공정과, (3) 권축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의 코어의 상기 권축부에 코일을 감는 코일권회공정과, (4) 상기 코일이 감겨진 제1의 코어를, 상기 플레이트 부 재의 상기 실장부상에 배치하여 상기 단자부와 접착하는 단자부 접착 공정과, (5) 상기 권축부의 축선과 약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의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권축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코일의 단말을, 상기 절흠부를 가지는 코일 접속부의 절흠부에, 이 절흠부의 절흠면에 대해서 상기 코일의 단말의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접촉시켜 계지시키는 단말 계지 공정과, (6) 상기 코일이 감겨진 제1의 코어에 대해서, 폐자로를 구성하듯이 제2의 코어를 배치하는 제2의 코어 배치 공정과, (7) 상기 접속부를 절단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단자부를 분리하는 단자부 분리 공정을 적어도 걸쳐 인덕터를 제작하고, 상기 코일 권회 공정에서 이용되는 제1의 코어 및 상기 제2의 코어 배치 공정에 이용되는 제 2의 코어의 적어도 일방의 코어에, 상기 권축부의 축선과 약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의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의 단말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요부가 적어도 2개 설치되고, 상기 인덕터의 제작에 임하여, 상기 절흠부를 가지는 코일 접속부가, 상기 요부의 측면 개구부 및 상면 개구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일방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의 단말과 단자를 확실히 접속할 수 있고, 접속시의 굵기에 의한 대형화를 억제하는 동시에, 생산성이 높은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면실장되지 않는 면을 상방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인덕터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코일 접속부로의 단말의 계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우면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요부의 측면 개구부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측면 개구부가 사각형모양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5 (B)는, 측면 개구부가, 도5(A)에 나타내는 측면 개구부가 사각형모양의 요부의 저 면측을 더욱 V자 모양으로 벤 형상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5 (C)는, 측면 개구부가 반원 모양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절흠부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6(A)는, 절흠부가 U자형 모양인 경우에 대해 나타내 보이는 도이고, 도 6(B)은, 절흠부가 절흠 방향의 첨단 부분에서 V자형 모양이 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 보이는 도면이며, 도 6(C)는, 절흠부가 사각형 모양인 경우에 대해 나타내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절흠부의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절흠부(46)의 개구부 양단(48A, 48B)과 요부(28)의 측면 개구부와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9(A)는, 상악부의 직경보다 하악부의 직경이 큰 드럼형 코어와 링형 코어를 조합한 인덕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상악부의 직경과 하악부의 직경이 동일한 드럼형 코어와 링형 코어를 조합한 인덕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C)는, 상악부의 직경보다 하악부의 직경이 작은 드럼형 코어와 링형 코어를 조합한 인덕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10(A)은, 악부의 직경이 포트형 코어의 직경과 동일한 T자형 코어와 포트형 코어를 조합한 인덕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B)은, 악부의 직경이 포트형 코어의 중공부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T자형 코어와 포트형 코어를 조합한 인덕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다른 예를, 인덕터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1의 상단은 인덕터를 구성하는 제 1의 코어에 대해 나타내 보인 도면이며, 도 11의 하단은 인덕터를 구성하는 제2의 코어 및 단자에 대해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인덕터에 있어서의 요부 및 절흠부 근방의 단말의 배치 상태에 대해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인덕터)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면실장되지 않는 면을 상방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인 덕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인덕터(1)는, 드럼(drum)형 코어(제1의 코어)(10A)와 링(ring)형 코어(제2의 코 어) (20A)와 코일(30)과 2개의 단자(40A, 40B)를 가진다.
드럼형 코어(10A)는, 코일(30)이 감겨지는 권축부(도1, 2중,미도시)와 이 권축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원반모양의 상악부(上鍔部)(12A) 및 하악부(下鍔部)(14A)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 하악부(14A)는, 그 직경이 상악부(12A)의 직경보다 크다. 또, 코일(30)은, 상악부(12A)의 직경과 약 일치할 정도로 권축부에 감겨지고 있다.또한,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권축부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하악부(14A)에 대해서 상악부(12A)가 위치하는 측을 「상방향」 또는 「상측」이라 칭하고, 상악부(12A)에 대해서 하악부(14A)가 위치하는 측을 「하방향」 또는 「하측」이라 칭하며, 권축부의 축선방향과 약 직교하는 방향을 「좌 (우)방향」또는 「좌(우)측」이라 칭하고, 상하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 칭하고, 좌우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 1중, 화살표 A는, 권축부의 축선과 평행되며, 하악부(14A) 측으로부터 상악부(12A) 측으로 신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링형 코어(20A)는, 내경이 상악부(12A)보다 약간 크고, 축선과 직교하는 면 이 원형 모양인 중공부(中空部)(22)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형은 하악부(14A)의 직 경과 약 동일한 정도의 약 정방형모양이다. 이 링형 코어(20A)는, 중공부(22)에 상 악부(12A)와 코일(30)이 감겨진 권축부가 위치하도록, 드럼형 코어(10A)의 하악 부(14A)의 상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링형 코어(20A)의 높이는, 드럼형 코어(10A)의 권축부의 높이와 상악부(12A)의 두께를 서로 더한 것과 약 동일하다.
또, 링형 코어(20A)의 외주면은, 그 외주면을 구성하는 평면끼리가 직교하며 서로 대향하는 평면끼리가 평행되는 4개의 평면(2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평면(24)에 의해 구성되는 네구석 부 분은, 이 2개의 평면(24)와 약 45도의 각도로 교차하듯이 컷(cut) 되고 있다 (이 하, 이 컷 된 면을 「우면(隅面)」이라고 칭함). 그리고, 링형 코어(20A)의 하면측에는, 4개의 우면(26)으로부터 중공부(22)로 관통하듯이 4개의 요부(凹部)(28)가 설치되고 있다(단, 도 2중에서는, 4 개중, 1개의 요부(28)은 미도시). 이 요부(28)는, 이 저부(底部)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방향의 상면 개구부(도 2 중에서는, 하측을 향해 개구 하고 있는 부분)와, 상면 개구부 및 저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개구면이 상면 개구부의 개구면과 약 직교하는 측면 개구부(예를 들면, 도 2 중의 요부(28A)에서는, 지면 앞측과 안측(도중 미도시)을 향해 개구하고 있는 부분)를 가지고 있다.
단자(40A, 40B)는, 긴쪽 방향의 길이가 인접하는 2개의 우면(26) 간의 거리와 약 동일한 정도의 띠모양의 평판(平板)으로부터 구성되는 실장부(42)와, 이 실장부(42)의 일방의 단(端)으로부터 실장부(42)에 대해서 수직으로 접어 구부러진 평판 모양의 코일 접속부(4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접속부(44)에는, 말단측(44A)로부터 실장부(42)측으로 베어지듯이 절흠부(46)가 설치되고 있다. 이 절흠부(46)의 너비는, 단말(32A, 32B)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그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치된다.
이 단자(40A, 40B)는, 드럼형 코어(10A)의 하악부(14A)의 하면과 실장부(42) 의 코일 접속부(44)가 돌출하고 있는 측의 면을 붙여 맞추듯이 하여 드럼형 코어 (10A)에 2개 장치된다. 이 때, 요부(28)의 측면 개구부(도 2중에 있어서, 우면 (26)측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코일 접속부(44)가 배치된다. 또, 코일 접속 부(44)는, 그 말단측(44A)가, 요부(28)의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측면 개구 부에 근접해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코일 접속부(44)에 설치된 절흠부(46)와 링 형 코어(20A)의 요부(28)의 측면 개구부가, 권축부의 축선 방향과 약 직교하는 방 향과 평행되는 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실장부(42)의 코일 접속부(44)가 돌 출하고 있는 측의 면과 반대측의 면은, 인덕터(1)를 기판에 실장하여 고정할 때의 접합면으로서 이용된다.
여기서, 드럼형 코어(10A)의 권축부에 감겨진 코일(30)의 양 단말(32A, 32B) 은, 링형 코어(20A)의 요부(28A,28B)와 코일 접속부(44)의 절흠부(46)을 통하여, 권축부측으로부터 인덕터(1)의 외측으로, 권축부의 축선에 대해서 약 직교하는 방 향으로 인출된다. 그러므로, 단말(32A, 32B)는, 그 좌우 방향과 하 방향이 절흠부(46)의 절흠면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방향이 요부(28A, 28B)의 저면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한편, 단말(32A) 및 단말(32B)의 적어도 일방에는, 코일(30)이 권축부에 대해서 감겨지는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도 1, 도 2중의 화살표 R1방향 및/또는 R2방 향)으로 풀어지는 힘이 항상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코일(30)의 긴쪽 방향의 중앙부 근방을 시점으로 하여 권축부에 대해서 단말(32A)측을 시계바늘 방향으로 감는 동시에, 단말(32B)를 반시계 바늘 방향으로 감아, 권축부에 코일(30)을 감은 경우(이른바 「a권(卷)」의 경우), 단말(32A)에는 화살표 R1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고, 단말(32B)에는 화살표 R2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단말(32A, 32B)의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는 R1, R2방향에는, 절흠부 (46)의 절흠면의 측벽측의 부분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단말(32A, 32B)은, 절흠부 (46)의 절흠면의 측벽측의 부분과 접촉한 상태로 안정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것에 더하여, 단말(32A, 32B)의 주위는, 그 3방(좌우 및 하방향)이 절흠부(46)의 절흠 면에 둘러싸이고, 나머지의 일방(상방향)이 요부(28)의 저면에 둘러싸여 있다.
이 때문에, 인덕터(1)에, 단말(32A, 32B)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어 떠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단말(32A, 32B)가 절흠부(46)의 외부로 일탈하여, 코일 접속부(44)와 단말(32A, 32B)의 접속이 항구적으로 단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드럼형 코어(10A)에 코일(30)을 감고, 링형 코 어(20A)를 장치한 후에, 단말(32A, 32B)와 코일 접속부(44)의 용접 또는 땜납접속까지의 사이의 임시고정이 가능해진다. 혹은, 드럼형 코어(10A)에 코일(30)을 감은 후에, 단말(32A, 32B)와 코일 접속부(44)의 용접 또는 땜납 접속까지의 사이의 임시고정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인덕터(1)은, 특허 문헌 1, 2등에 나타내는 종래의 인덕터와 같이 코일의 단말을 매거나 단자의 와이어 유지부에 죄서 임시고정할 필요가 없고, 제조 공정의 공정수를 줄일 수가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인덕터(1)는, 종래의 인덕터보다 생산성이 높다. 또, 접속을 위해서 단말(32A, 32B)을 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속시의 굵기에 의한 인덕터(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 인덕터(1)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단말(32A, 32B)의 풀어지는 힘을 이용하여, 코일 접속부(44)에 대해서 단말(32A, 32B)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코일(30)의 긴쪽 방향의 단말(32A) 근방측을 시점으로 하여 단말(32A) 근방측의 코일(30)부분을 덮듯이, 권축부에 대해서 단말(32B)측을 반시계바늘 방 향으로 감아 권축부에 코일(30)을 감은 경우, 단말(32B)에만 화살표 R2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반대로, 코일(30)의 긴쪽 방향의 단말(32B) 근방측을 시 점으로 하여 단말(32B) 근방측의 코일(30) 부분을 덮듯이,권축부에 대해서 단말 (32A)측을 시계바늘 방향으로 감아 권축부에 코일(30)을 감은 경우, 단말(32A)에 만 화살표 R1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들 2개의 형태 중 어느 일방의 형태로 권축부에 코일(30)을 감은 경우에는, 적어도 풀어지는 힘이 작용 하는 단말측에, 절흠부(46)이 설치된 코일 접속부(44)를 가지는 단자를 이용하면 좋다.
또, 도 3에 예시하듯이, 단말(32A)은, 그 말단 부분이 코일 접속부(44)의 외면(코일 접속부(44)의 실장부(42)측과 반대측의 면)과 접촉하듯이 접어 구부러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코일 접속부(44)와 단말(32A)의 접속을 보다 안정하고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말(32B)에 대해서도 도 3에 예시하는 것과 같이 접어 구부릴수 있다.
또, 우면(26)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수 있어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듯이, 우면(26)은, 이 우면 (26)에 인접하는 일방의 평면(24A)와 평행되는 동시에 타방의 평면(24B)에 직교 하는 제1의 면(26A)와, 양 평면(26A, 24A)에 대해서 예를 들면 45도 정도의 각도 로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제2의 면(26B)로부터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의 면(26A)의 하부에 측면 개구부가 위치하듯이 요부(28)(도중 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또, 단자(40)(도 4중에서는, 단자(40A))은, 그 코일 접속부(44)가, 제1의 면(26A)과 대향하듯이 설치된다.
요부(28)의 수는, 도 2에 나타내듯이 4개래도 좋지만, 적어도 2개 이상이면 좋다. 또한, 요부(28)를 2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권축부의 축선(중공부(22)의 중심축)을 기점으로 하여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예를 들면, 도 2중의 요부(28A, 28B))라도 좋고, 18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예를 들면, 도 2중의 요부(28A, 28C))라도 좋다. 또한, 요부(28)가 권축부의 축선을 기점으로 하여 18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단자(40A)와 단자(40B)를 조합해 사용하지 않고, 단자(40A)를 2개 사용(혹은, 단자(40B)를 2개 사 용)한다. 이 경우, 각각의 단자(40A)(혹은 단자(40B))의 코일 접속부(44)를, 권축 부의 축선을 기점으로 하여 18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요부(28)이 권축부의 축선을 기점으로 하여 18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1 종류의 단자를 준비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 요부(28)의 수를, 도 2에 나타내듯이 권축부의 축선을 기점으로 하여 90도 마다에 4개의 요부(28)를 설치했을 경우, 단말(32A, 32B)을, 권축부측으로부터 인덕터(1)의 외부로 인출하는 위치를, 이것들 4개의 요부(28) 중에서 2개를 선택할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인덕 터(1)의 조립에 임하여, 코일(30)의 권수를, 0.25 회전단위로 미조정할수 있다.
요부(28)의 측면 개구부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나타내듯이, 여러 가지의 형상을 선택할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개구부의 형상은, 도5(A)에 나타내는 요부(28D)와 같이 사각형이어도 좋고, 도 5(B)에 나타내는 요부(28E)와 같이 사각형의 요부의 저면측을 더욱더 V자 모양으로 벤 형상(5 각형)이어도 좋고, 도 5(C)에 나타내는 요부(28F)와 같이 반원형이어도 좋다.
절흠부(46)의 형상은, 항상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단말(32A, 32B)의 외 주면이 절흠면에 접촉한 상태로, 단말(32A, 32B)이 안정되어 같은 위치에 고정 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단자 (40C)와 같이, 절흠부(46A)가 U자형 모양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도 6(B)에 나타 내는 단자(40D)와 같이, 절흠부(46B)가, 절흠 방향의 첨단 부분에서 V자형 모양이 되고 있는 것이라도 좋고, 도 6(C)에 나타내는 단자(40E)와 같이, 절흠부(46C)가 사각형 모양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단말(32A, 32B)의 단면 형상과 동일 형 상 또는 상사(相似)형상의 부분을 가진다고 하는 점에서는, U자형 모양의 절 흠부(46A)가 매우 적합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절흠부(46A, 46B, 46C)의 절흠 방향(도 6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 C)과 권축부(도 6중 미도시)의 축선과 평행되는 코일 접속부(44)의 말단측(44A)의 방향(도 6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 A(도 1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A와 같음))이 이루는 각도θ(이하, 「절흠각 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180도이다. 그렇지만, 절흠부(46A, 46B, 46C)는, 절흠각 θ이 45도∼180도의 범위로 코일 접속부(44)에 설치할수 있다. 또한, 절흠각θ는, 절흠부(46)의 형상 가공의 용이도 등의 실용상의 관점으로부터, 170도∼180도 또는 80도∼100도가 바람직하고, 180도 또는 90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절흠 방향」이란, 보다 정확하게는, 절흠부(46)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저부측으로 최단 거리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절흠각 θ가 45도 이상 135도 미만의 경우는, 절흠 방향 C와 단말(32A, 32B)의 풀어지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내로 되도록, 단자(40)이 장치된 다. 이것에 의해, 단말(32A, 32B)에 작용하는 풀어지는 힘을, 절흠부(46)의 저부 근방측의 절흠면에서 확실히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코일(30)과 단자(40)을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듯이, 절흠각 θ가 90도이고, 도 7중, 우측에서 좌측으로 U자 모양에 베어진 절흠부(46D)를 가지는 단자(40F)이면, 이 단자(40F)는, 도 1 또는 도 2 중의 좌측의 단자(40B) 대신에 장치할수 있다. 이 경우 , U자 모양의 절흠부(46D)의 반원모양을 이루는 저부측의 절흠면에, 도 1중, 우측에서 좌측 방향(화살표 R2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는 단말(32B)이 접촉한 상태로 안정되어 고정된다.
또, 절흠각 θ가 45도 이상 135도 미만의 경우는, 절흠각이 135도 이상 180도 이하의 경우와 비교해서, 절흠 방향 C와 단말(32A, 32B)의 풀어지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도∼45도 정도로 작다. 이 때문에, 인덕터(1)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 해졌을 때에, 만일, 단말(32A, 32B)이 절흠부(46)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단말(32A, 32B)은 확실히 절흠부(46)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효과를 얻을수 있는 이유는 이하의 2개이다. 즉, 제1의 이유로서, 단말(32A, 32B)이, 가로방향으로 나오듯이 절흠부(46)내로부터 점프(jump) 했을 경우, 그 점프 방 향이 풀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점프력이, 풀어지는 방향에 작용하는 힘과 상쇄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제2의 이유로서, 단말(32A, 32B)이, 세로 방향으로 나오려고 했을 경우, 절흠부(46)의 측벽측의 절흠면에 단말(32A, 32B)이 충돌하여, 단말(32A, 32B)의 이동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들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절흠각이 135도 이상 180도 이하의 경우는, 절흠 방향 C와 단말(32A, 32B)의 풀어지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도∼90도 정도로 크다. 이 때 문에, 단말(32A, 32B)이, 세로 방향으로 나오듯이 절흠부(46)내로부터 점프했을 경 우, 그 점프 방향이 풀어지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점프력이, 풀어 지는 방향에 작용하는 힘과 상쇄되기 어렵다. 이것에 더하여, 세로 방향의 일방측은, 절흠부(46)의 개구부측으로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인덕터(1)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이 큰 경우에는, 절흠부(46)의 외부로 단말(32A, 32B)이 나오기 쉬워진다. 이러한 사태를 확실히 막기 위해서는, 코일 접속부(44)는, 그 말단측(44A)가 요부(28)의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요부(28)의 측면 개구부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절흠부(46)외로 단말(32A, 32B)이 일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코일 접속부(44)를, 요부(28)의 측면 개구부가 설치된 면과 평행되는 면에서, 절흠부 (46)의 개구부 양단이 요부(28)의 측면 개구부외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매 우 적합하다. 도 8은, 절흠부(46)의 개구부 양단(48A, 48B)과 요부(28)의 측면 개 구부와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중, 단말(32)에 대해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개구부 양단(48A, 48B)은,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듯이 절흠각 θ가 180도로 되도록 설치된 절흠부(46A)를 가지는 코일 접속 부(44)에서는, 도 8(A)에 나타내듯이, 요부(28)의 측면 개구부의 저면(28X)보다 상방측에 위치시킬수 있다. 또, 개구부 양단(48A, 48B)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듯이 절흠각 θ가 90도로 되도록 설치된 절흠부(46D)를 가지는 코일 접속부(44) 에서는, 도 8(B)에 나타내듯이, 요부(28)의 측면 개구부의 측벽면(28Y)에 대해서, 측면 개구부와 반대 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32)의 주위는, 절 흠부(46)의 절흠면과 측벽면(28Y)에 의해서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 우는, 본래이면 절흠부(46)외로 일탈하듯이 단말(32)가 점프 했을 경우에도, 점프 한 단말(32)는, 절흠부(46)의 절흠면 혹은 측벽면(28Y)와 반드시 충돌하게 되기 때문에, 절흠부(46)외로 나올 수 없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인덕터(1)에서는, 제1의 코어로서 드럼형 코 어(10A)가 이용되고, 제2의 코어로서 링형 코어(20A)가 이용되고 있지만, 제1의 코어 및 제2의 코어의 형상이나 이것들 2개의 코어의 조합은, 폐자로(閉磁路)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의 코어와 제2의 코 어의 조합으로서는, 도 1등에 예시한 드럼형 코어와 링형 코어의 조합 외에, 후술 하는 T자형 코어와 포트형 코어의 조합 등도 일례로서 들수 있다. 또한, 제1의 코 어와 제2의 코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폐자로란, 제1의 코어와 제2의 코어의 사이에 갭(gap)이 없고, 완전하게 폐자로로 되고 있는 상태 뿐만 아니라, 제 1의 코어와 제2의 코어의 사이에 미소한 갭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폐자로로 되고 있는 상태도 의미한다. 이하, 제1의 코어와 제2의 코어의 조합 혹은 형상의 베리에이션(variation)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구체적으 로는, 드럼형 코어(제1의 코어)와 링형 코어(제2의 코어)를 조합한 인덕터의 베리에이션을 나타낸 것이다. 또,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다른 예를 나 타내는 모식도이며, 구체적으로는, T자형 코어(제1의 코어)과 포트형 코어(제2의 코어)를 조합한 인덕터의 베리에이션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9(A)∼도 9(C) 및 도 10(A)∼도 10(B)중, 도면의 왼쪽 반은, 인덕터의 모식 단면도를 나타낸 것 이고, 도면의 오른쪽 반은, 인덕터의 측면 외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도 1 및 도 2에도 사시도 및 분해도로서 나타내 보인 인덕터(1)에 대해 나타내 보인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도 9(B)에 나타내는 인덕터(2) 및 도 9(C)에 나타내는 인덕터(3)은, 인덕터(1)에 이용한 드럼형 코어(10A)의 상악부 또는 하악부의 직경을 변경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인덕터(1)이, 상악부보다 하악부 의 직경이 큰 드럼형 코어(10A)를 이용하고 있는데 대하여, 인덕터(2)에서는, 상악부의 직경과 하악부의 직경이 동일한 드럼형 코어(10B)를 이용하고 있고, 인덕터(3)에서는, 상악부보다 하악부의 직경이 작은 드럼형 코어(10C)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인덕터(2)에서는, 드럼형 코어(10B)는, 이것과 높이가 동일한 링형 코어 (20B)의 중공부에 배치된다. 또, 인덕터(3)에서는, 드럼형 코어(10C)의 하악부의 두께와 권축부의 높이의 총합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링형 코어(20C)의 중공부에, 드럼형 코어(10C) 상악부에 의해 링형 코어(20C)의 상부에 뚜껑을 하 듯이 드럼형 코어(10C)가 배치된다. 또한, 도 9중에 나타내는 링형 코어(20A,20B, 20C)로서는, 예를 들면 이것을 2분할하여 반원 모양으로 한 것을 조합해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인덕터(4)는, 도 9(A)에 나타내는 인덕터(1)와 비교하여, 인덕터(1)의 드럼형 코어(10A)의 상악부를 없앤 형상으로부터 되는 T자형 코어 (10D)와 인덕터(1)의 링형 코어(20A)의 상면에 뚜껑을 한 형상의 포트형 코어 (20D)를 조합한 것에 특징이 있고, 그 외의 구성은 인덕터(1)과 실질적으로 동일 하다. 도 10(B)에 나타내는 인덕터(5)는, T자형 코어(10E)와 포트형 코어(20E)를 조합한 것이며, 기본적인 구성은 도 10(A)에 나타내는 인덕터(4)와 같다. 단, 인덕터(5)는, 인덕터(4)와 비교하여, T자형 코어(10E)의 악부의 직경을 포트형 코어 (20E)의 중공부에 들어가는 정도로 작게 한 동시에, 포트형 코어(20E)의 중공부 내에 T자형 코어(10E)가 그 악부(鍔部)도 포함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인덕터(1)와는 다르게, 요부를 제2의 코어 측이 아니고 제1의 코어 측에 설치한 형태의 인덕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면실장되지 않는 면을 상방으로 하여, 인덕터를 분해해 나타내 보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중, 코일에 대해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인덕터(6)는, 드럼형 코어(제1의 코어)(10F)와 링형 코어(제2의 코어) (20F)와 코일(도 11중 미도시)과 2개의 단자(40G, 40H)를 가진다.
드럼형 코어(10F)는, 미도시의 코일이 감겨지는 권축부(16)와 이 권축부의 양 단에 각각 설치된 원반모양의 상악부(12B) 및 하악부(14 B)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 하악부(14B)는, 그 직경이 상악부(12B)의 직경보다 작다. 또, 코일은, 하악부 (14B)의 직경과 약 일치할 정도로 권축부(16)에 감겨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서는, 권축부(16)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하악부(14B)에 대해서 상악부(12B)가 위 치하는 측을 「상방향」또는 「상측」이라 칭하고, 상악부(12B)에 대해서 하악부 (14B)가 위치하는 측을 「하방향」또는 「하측」이라 칭하며, 축선방향과 직교하 는 방향을 「좌( 우) 방향」또는 「좌(우) 측」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하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 칭하고, 좌우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링형 코어(20F)는, 내경이 하악부(14B)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축선과 직교하는 면의 형상이 원형 모양인 중공부(22)를 가지고 있고, 링형 코어(20F)의 외형은 상악부(12B)의 직경과 약 동일한 정도의 약 정방형 모양이다. 이 링형 코 어(20F)의 중공부(22)에는, 하악부(14B)와 코일이 감겨진 권축부(16)이 위치하고, 중공부(22)를 상방측으로부터 상악부(12B)가 뚜껑을 하듯이, 드럼형 코어(10F)가 배치된다. 그리고, 링형 코어(20F)의 높이는 드럼형 코어(10F)의 권축부(16)의 높 이와 하악부(14B)의 두께를 서로 더한 것과 약 동일하다. 또, 이 링형 코어(20F)는, 요부(28)을 가지지 않는 점을 제외하면, 링형 코어(20A)와 약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인덕터(1)에서는, 요부(28)는, 제2의 코어 (20A)측에 설치되고 있었지만, 도 11에 나타내는 인덕터(6)에서는, 요부(18)는, 제1의 코어(10F)측에 설치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 요부(18)는, 도 11에 나타 내듯이, 측면 개구부(또한, 이 「측면」이란, 상악부(12B)의 상면 및 하면과 일치하는 면을 말한다)의 형상이 U자 모양이 되듯이 상악부(12B)의 측면측으로부터 베어지듯이 설치되고 있다. 요부(18)은, 권축부(16)의 축선을 기점으로 하여 18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도 11중의 요부(18A,18B))에 2개 설치되고 있다. 그리 고, 2 개의 요부(18A,18B)가 링형 코어(20F)의 서로 대향하는 우면(도 11중에 있 어서 부호 26으로 나타나는 우면에 대해서, 링형 코어(20F)의 주위방향에서 90도의 위치에 있는 우면)과 일치하도록, 드럼형 코어(10F)가 링형 코어(20F)의 중공부(22)에 배치된다. 또한, 요부(18)는, 상악부(12B)의 원주 방향에 따라서 등간 격에 4개 설치해도 좋다. 또, 요부(18)의 측면 개구부의 형상은, 도 5에 예시한 것처럼 여러 가지의 형상을 적당히 선택할수 있다.
단자(40G, 40H)는, 평판모양의 실장부(도 11중 미도시)와 이 실장부의 단부로부터 실장부에 대해서 수직으로 접어 구부러진 평판모양의 1개의 코일 접속부(4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접속부(44)의 말단 부분에는, 말단측 (44A)로부터 실장부측으로 베어지듯이 절흠부(46)가 설치되고 있다. 이 절흠부 (46)의 너비는, 코일의 단말(도 11중 미도시)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그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치된다. 또, 코일 접속부의 권축의 축선 방향과 평행되는 방향의 길이는, 링형 코어(20F)의 높이보다 약간 길게 설치되고 있다.
단자(40G) 및 단자(40H)는, 링형 코어(20F)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우면(26) 부분에, 코일 접속부(44)와 우면(26)이 대향 함과 동시에, 절흠부(46)이, 링형 코 어(20F)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 이것들 단자(40G, 40H)의 실 장부는, 링형 코어(20F)의 하면과 붙여 맞추어 고정되고 있다. 이 때, 요부(18)의 상면 개구부(이 「상면」이란, 상악부(12B)의 측면과 일치하는 면을 말한다)에 근접하는 위치에 코일 접속부(44)가 배치된다. 또, 코일 접속부(44)는, 그 말단측 (44A)가, 상악부(12B)의 상면보다 약간 높아지는 위치에, 요부(18)의 상면 개구부 에 근접해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코일 접속부(44)에 설치된 절흠부(46)과 드 럼형 코어(10F)의 요부(18)의 상면 개구부가, 권축부의 축선방향과 약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인덕터(6)에 있어서의 요부(18) 및 절흠부(46)근방 의 단말의 배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인덕터(6)에 있어서의 요부(18) 및 절흠부(46)근방의 단말(32)의 배치 상태에 대해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12(A)가, 도 11에 나타내는 인덕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12(B) 가, 도 12(A) 중,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X1-X2간에서 절단한 면을, 화살표X3 방향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코일(30)의 단말(32)는, 상악부(12B)의 하면을 따라서 권축부(도 12중 미도 시)측으로부터 코일 접속부(44)측으로 인출된 후, 요부(18)의 저면에 따르듯이 상 방에 약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지고(이하, 이 접어 구부러짐을 「제1 절곡」이라고 칭함), 요부(18)의 저면측으로부터 상면 개구부, 절흠부(46)를 통과하여 인덕터(6)의 외부로 인출되듯이 요부(18) 저면의 중앙에서 다시 가로 방향으로 약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지고 있다(이하, 이 접어 구부러짐을 「제2절곡」이라고 칭함). 또한, 도 12중, a1은, 제1절곡에 있어서의 절곡 각도를 나타내고, a2는, 제2절곡에 있어서의 절곡 각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해 인덕터(6)의 외부에 인출된 단말(32)에는, 좌우 방향으로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도 12중에서는, 화살표 R로 나타낸 방향에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풀어지는 힘은 절흠부(46)의 측벽측의 절흠면에서 받아내듯이 단말(32)가 절흠부(46)의 절흠면에 접촉한 상태로 안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인덕터(6)에 대해서 강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으로, 절흠부(46)내에 위치하는 단말(32)에 대해서 상방에 점프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단말(32)이 절흠부(46)외로 일탈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태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말(32)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힘(도 12중의 화살표 D방향)을 작용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절흠부(46)내에 위치하는 단말(32)에 대해서 상방에 점프 하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이 점프력을 상쇄할수 있기 때문에, 단말(32)이 절흠부(46)외로 일탈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32)에 대해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는 힘을 부여하는 방법 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1 절곡에 있어서의 절곡 각도 α1이 90도인 경우에, 제2 절곡에 있어서의 절곡 각도α2를 90도를 넘도록 하는 방법 혹은, 제2 절곡에 있 어서의 절곡 각도α2가 90도인 경우에, 제1 절곡에 있어서의 절곡 각도α1 을 90 도 미만으로 하는 방법을 들수 있다. 또, 이러한 방법으로 단말(32)에 부여된 하 측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는 힘은, 코일(30)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같게 반항구적인 것이다. 이것은, 제1 절곡도 제2 절곡도, 금속을 주재(主材)로 하는 코일(30)이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의 한계를 넘는 절곡 각도인 약 직각에 코일(30)을 접어 구부리기 때문에, 일단 접어 구부린 다음은, 접어 구부린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 절흠부(46)내에 위치하는 단말(32)에 대해서 상방에 점프하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 단말(32)이 절흠부(46)외로 일탈하는 것을 억제하는 그 외의 방법으 로서는, 단자(40G)의 절흠부(46)의 절흠각θ을, 도 7에 일례를 나타낸 것처럼 80 도∼100도로 하는 것도 매우 적합하다. 게다가, 도 3에 예시한 것처럼, 단말(32) 를 하방향에 접어 구부리는 것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가해도 좋다.
이상의 도 1∼도 12에 예를 들어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에 이용되는 코일(30)의 굵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인덕터에 이용되는 코 일의 굵기를 채용할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에 있어서의 코일 접속 부(44)와 단말(32)의 접속 안정성은, 단말(32)의 풀어지는 힘을 이용하는 것으로 실현되는 것을 고려하면, 단말(32)의 풀어지는 힘은 강할수록 바람직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면, 코일(30)의 직경으로서는 0.07 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 mm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인덕터의 제조 방법)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인덕터의 단자로 될수 있는 단자부가 프 레임(frame) 부분에 2개 이상 접속된 플레이트(plate) 부재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이 경우, 적어도 1개의 단자부가, 코일 접속부의 말 단측으로부터 코일 접속부와 실장부가 접속된 부분으로 신장하는 방향과 평행되는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 방향에 대해서, 그 절흠 방향이 45도∼180도의 범위를 이루 도록 절흠부가 설치된 코일 접속부를 1개이상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플레이트 부재를 이용한 인덕터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1)∼(7)에 나타내는 공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금속의 판모양 부재를 형태 뽑기하는 것으로써, 평판 모양의 실장 부 및 이 실장부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코일과 접속되는 코일 접속부를 가지는 2개이상의 단자부와 프레임부와 상기 2개이상의 단자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접속 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2개이상의 단자부의 1개 이상의 단자부가,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으로부터 코일 접속부와 실장부가 접속된 부분으로 신장하는 방향과 평행되는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방향에 대해서, 그 절흠 방향이 45도∼180도의 범 위를 이루도록 절흠부가 설치된 코일 접속부를 1개이상 가지는 플레이트 부재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부재 형성 공정.
또한,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으로부터 코일 접속부와 실장부가 접속된 부분 으로 신장하는 방향과 평행되는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 방향」이란, 후술하는 (2) 코일 접속부 절곡 공정에 있어서, 코일 접속부가 실장부에 대해서 약 수직을 이루 듯이 접어 구부러지고, 단자가, 인덕터 본체에 장치되었을 때에, 도 1이나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2) 상기 코일 접속부를, 상기 실장부에 대해서 약 수직을 이루듯이 접어 구 부리는 코일 접속부 절곡 공정.
(3) 권축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의 코어의 상기 권축부에 코일을 감는 코일 권회 공정.
(4) 상기 코일이 감겨진 제1의 코어를,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실장부 상에 배치해 상기 단자부와 접착하는 단자부 접착 공정.
(5) 상기 권축부의 축선과 약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의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권축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코일의 단말을, 상기 절흠부를 가지는 코일 접속부의 절흠부에, 이 절흠부의 절흠면에 대해서 상기 코일의 단말의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접촉시켜 계지시키는 단말 계지 공정.
(6) 상기 코일이 감겨진 제1의 코어에 대해서, 폐자로를 구성하듯이 제2의 코어를 배치하는 제2의 코어 배치 공정.
(7) 상기 접속부를 절단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단자부를 분리 하는 단자부 분리 공정.
단, (3) 코일 권회 공정에서 이용되는 제1의 코어 및 (6) 제2의 코어 배치 공정 에 이용되는 제2의 코어의 적어도 일방의 코어에, 상기 권축부의 축선과 약 직교 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의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의 단말을 인 출하는 것이 가능한 요부(凹部)가 적어도 2개 설치된다. 또, 상기(1)∼(7)에 나타 내는 공정에 의한 인덕터의 제작에 임하여, 상기 절흠부를 가지는 코일 접속부가, 상기 요부의 측면 개구부 및 상면 개구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일방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상기 (1)∼(7)에 나타내는 각 공정 외에도, 다른 공정을 필요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단말 계지 공정을 실시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timing)에서, 절흠부에 계지된 단말과 코일 접속부를 납땜 하는 납땜 공정을 실시할수 있다. 또, 상기 (1)∼(7)에 나타내는 각 공정은, 이 순서로 차례차례 실시할수도 있지만, 일부의 공정에 대해서는 그 실시순서를 바꿀 수도 있다. 예를 들면, (6) 제2의 코어 배치 공정은, 공정 (7)의 뒤에 실시해도 좋다. 또, (2) 코일 접속부 절곡 공정은, 공정 (1)을 끝낸 후로부터 공정 (4)의 개시전의 어느 타이밍에서 실시해도 좋다. 또, 공정 (1)과 공정 (3)은, 실시순서를 바꿔도 좋고, 동시에 실시해도 좋다.
1, 2, 3, 4, 5, 6: 인덕터
10A, 10B, 10C, 10F: 드럼형 코어(제1의 코어)
10D, 10E: T자형 코어(제1의 코어)
12A, 12B: 상악부
14A, 14B: 하악부
16: 권축부
18, 18A, 18B: 요부
20A, 20B, 20C, 20F: 링형 코어(제2의 코어)
20D, 20E: 포트형 코어(제2의 코어)
22: 중공부
24, 24A, 24B: 평면
26: 우면
26A: 제1의 면
26B: 제2의 면
28, 28A, 28B, 28C, 28D, 28E, 28F: 요부
28X: 저면
28Y: 측벽면
30: 코일
32, 32A, 32B: 단말
40, 40A, 40B, 40C, 40D, 40E, 40F, 40G, 40H: 단자
42: 실장부
44: 코일 접속부
44A: 말단측
46, 46A, 46B, 46C, 46D: 절흠부
48A, 48B: 개구부단

Claims (5)

  1. 권축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의 코어와,
    상기 권축부에 감겨진 코일과,
    상기 제1의 코어와 조합하는 것으로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의 코어와,
    상기 코일과 접속되는 코일 접속부를 적어도 1개 가지는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의 코어 및 상기 제2의 코어의 적어도 일방의 코어에, 상기 권축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의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의 단말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요부가 적어도 2개 설치되고,
    상기 요부는, 이 저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의 상면 개구부와 이 상면 개구부 및 상기 저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개구면이 상기 상면 개구부의 개구면과 직교하는 측면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측면 개구부 및 상기 상면 개구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일방의 개구부 에 근접하는 위치에 상기 코일 접속부가 배치되고,
    적어도 1개의 코일 접속부에는, 상기 축선과 평행되는 상기 코일 접속부의 말 단측의 방향에 대해서, 그 절흠 방향이 45도∼180도의 범위를 이루듯이 절흠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적어도 일방의 단말이, 상기 요부와 상기 절흠부를 경유하여 상 기 제1의 코어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인출되는 동시에, 상기 일방의 단말의 풀어 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절흠부의 절흠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고 있는,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흠부의 절흠 방향이, 상기 축선과 평행되는 상기 코일 접속부의 말단 측방향에 대해서, 170도∼180도의 범위내인, 인덕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흠부의 절흠 방향이, 상기 축선과 평행되는 상기 코일 접속부의 말단 측방향에 대해서, 80도∼100도의 범위내인, 인덕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제1의 코어와 전기 제2의 코어의 조합이, 드럼형 코어와 링형 코어의 조합 및T자형 코어와 포트형 코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일방의 조합인, 인덕터.
  5. (1) 금속의 판모양 부재를 형태 뽑기하는 것으로써,
    평판 모양의 실장부 및 이 실장부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코일과 접속되는 코일 접속부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단자부와 프레임부와 상기 2개 이상의 단자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2개 이상의 단자부의 1개 이상의 단자부가,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으로부터 코일 접속부와 실장부가 접속된 부분으로 신 장하는 방향과 평행되는 코일 접속부의 말단측 방향에 대해서, 그 절흠 방향이 45 도∼180도의 범위를 이루듯이 절흠부가 설치된 코일 접속부를 1개이상 가지는 플 레이트 부재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부재 형성 공정과,
    (2) 상기 코일 접속부를, 상기 실장부에 대해서 수직을 이루듯이 접어 구 부리는 코일 접속부 절곡 공정과,
    (3) 권축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의 코어의 상기 권축부에 코일을 감는 코일 권회 공정과,
    (4) 상기 코일이 감겨진 제1의 코어를,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실장부상에 배치하여 상기 단자부와 접착하는 단자부 접착 공정과,
    (5) 상기 권축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의 코어로부터 멀 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권축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코일의 단말을, 상기 절흠부를 가지는 코일 접속부의 절흠부에, 이 절흠부의 절흠면에 대해서 상기 코일의 단말의 풀어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접촉시켜 계지시키는 단말 계지 공정과,
    (6) 상기 코일이 감겨진 제1의 코어에 대해서, 폐자로를 구성하듯이 제2의 코 어를 배치하는 제2의 코어 배치 공정과,
    (7) 상기 접속부를 절단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단자부를 분리 하는 단자부 분리 공정을 적어도 걸쳐 인덕터를 제작하고,
    상기 코일 권회 공정에서 이용되는 제1의 코어 및 상기 제2의 코어 배치 공정에 이용되는 제2의 코어의 적어도 일방의 코어에, 상기 권축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의 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의 단말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요부가 적어도 2개 설치되며,
    상기 인덕터의 제작에 임하여, 상기 절흠부를 가지는 코일 접속부가, 상기 요 부의 측면 개구부 및 상면 개구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일방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인덕터의 제조 방법.
KR1020100017896A 2009-02-27 2010-02-26 인덕터 및 인덕터의 제조 방법 KR101091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6858 2009-02-27
JP2009046858A JP5161136B2 (ja) 2009-02-27 2009-02-27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330A KR20100098330A (ko) 2010-09-06
KR101091750B1 true KR101091750B1 (ko) 2011-12-08

Family

ID=4265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896A KR101091750B1 (ko) 2009-02-27 2010-02-26 인덕터 및 인덕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61136B2 (ko)
KR (1) KR101091750B1 (ko)
CN (1) CN101819852B (ko)
TW (1) TWI3845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326B1 (ko) 2021-10-19 2022-04-05 금호전자(주) 인덕터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050B2 (en) * 2010-07-23 2015-09-15 Cyntec Co., Ltd. Magne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171315U (ja) 2011-07-25 2011-10-2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素子
KR101244439B1 (ko) * 2011-08-11 2013-03-18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인덕터 및 인덕터 제조 방법
KR101179259B1 (ko) 2011-08-18 2012-09-03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인덕터 제조 장치
CN104078205B (zh) * 2013-03-25 2017-01-04 乾坤科技股份有限公司 电感器
JP6263900B2 (ja) * 2013-08-15 2018-01-24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KR20180087989A (ko) * 2017-01-26 2018-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덕터 및 인덕터 제조 방법
JP6934611B2 (ja) * 2017-02-24 2021-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の製造方法
US11424070B2 (en) * 2018-06-19 2022-08-23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TWI774943B (zh) * 2019-03-19 2022-08-21 群田工業有限公司 繞線磁芯電感
JP7354715B2 (ja) * 2019-09-19 2023-10-03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素子
CN114420447B (zh) * 2022-03-29 2022-08-16 绵阳聚贤自动化设备有限公司 网络滤波器的自动绕脚生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206Y2 (ko) * 1988-06-29 1993-06-25
JP2567186Y2 (ja) * 1992-03-31 1998-03-30 株式会社光輪技研 面実装インダクタ
JP3655517B2 (ja) * 1999-12-09 2005-06-02 東京コイ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ポットリベット型コア表面実装チョークコイル
JP2006041418A (ja) * 2004-07-30 2006-02-09 Toko Inc 面実装コイル部品
JP4343871B2 (ja) * 2005-04-27 2009-10-14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4810167B2 (ja) * 2005-09-12 2011-11-09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
JP4483820B2 (ja) * 2006-03-31 2010-06-16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4837485B2 (ja) * 2006-08-07 2011-12-14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CN201188341Y (zh) * 2008-05-08 2009-01-28 胜美达电机(香港)有限公司 一种面安装型电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326B1 (ko) 2021-10-19 2022-04-05 금호전자(주) 인덕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9852B (zh) 2012-08-22
JP5161136B2 (ja) 2013-03-13
JP2010205783A (ja) 2010-09-16
TW201032248A (en) 2010-09-01
TWI384507B (zh) 2013-02-01
KR20100098330A (ko) 2010-09-06
CN101819852A (zh)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750B1 (ko) 인덕터 및 인덕터의 제조 방법
JP6364906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JP3171315U (ja) 磁性素子
JP4778511B2 (ja) チョークコイルのための保持体及び該保持体を有する誘導的な構成部材
US9774102B2 (en) Connector for magnetic coil
JP5232265B2 (ja)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9035734B2 (en) Coil component
JP2014175353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6465253B2 (ja) コイルアンテナ
JP2007258201A (ja) コイル部品
JP5982895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45258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5408030B2 (ja) コイル部品、リアクトル、コイル部品の成形方法
JP7037868B2 (ja) モータ用ステータ
JP2012164833A (ja) 表面実装型コイル
US9401238B2 (en) Coil terminal and electromagnetic relay
JP2012182103A (ja) ボンダーキャップ
JP5212751B2 (ja) コイル部品及び端子電極の実装構造
KR102123630B1 (ko) 공통모드 필터 및 제작 방법
JP2008172155A (ja) コイル部品
JP5212752B2 (ja) 端子金具の継線構造及び継線方法
JP2013168476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6131666B2 (ja) コイル部品
JP2007294647A (ja) コイルおよびコイルの製造方法
JP2012186238A (ja) ソレノ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