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030B1 -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030B1
KR101076030B1 KR1020057005934A KR20057005934A KR101076030B1 KR 101076030 B1 KR101076030 B1 KR 101076030B1 KR 1020057005934 A KR1020057005934 A KR 1020057005934A KR 20057005934 A KR20057005934 A KR 20057005934A KR 101076030 B1 KR101076030 B1 KR 10107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siloxane
integer
carbon atoms
phosphorylch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724A (ko
Inventor
가즈유키 미야자와
다카시 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5008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3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phosphorus-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3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77/382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or silicon
    • C08G77/395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or silicon containing phosphor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1)
Figure 112005017982758-pct00021
생체적합성 재료나 화장료 원료로서의 이용범위가 큰 폴리실록산을 얻기 위해서 간편하고 또한 높은 범용성을 가지고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제공 하는 것.
포스포릴콜린, 폴리실록산, 생체적합성, 화장료

Description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 방법{POLYSILOXANE HAVING PHOSPHORYLCHOLINE GROUP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스포릴콜린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은 생체적합성, 보습성이 우수하고, 의료용 고분자 재료로서 유용하다. 구체적으로는, 인구장기, 생체막, 의료용구의 코팅제, 드러그 딜리버리, 화장료 배합 성분 등으로서 이용된다.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고분자는 생체적합성 재료로서 개발되고 있다.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고분자의 제조법으로는, 주로 히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2-클로로-1,3,2-디옥사포스포란-2-옥시드를 반응시킨 후, 트리메틸아민에 의해 4차 암모늄으로 함으로써 포스포릴콜린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합성하고, 이것을 중합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왔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을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2-메타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과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가 제조되어 있고, 특허 문헌 2에는 2-메타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의 단독 중합체가 제조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2-메타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로 피복한 분말을 화장료용 분말로서 이용하여 보습성이나 피부밀착성을 개선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수용성 셀룰로스에 2-메타크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을 그라프트 중합한 중합체가 제조되어 혈액적합성을 갖는 고분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9-313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10-29824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평 7-118123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평 5-345802호 공보
한편, 종래 포스포릴콜린기를 주쇄에 갖는 폴리알킬실록산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포스포릴콜린을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는 고분자 제조 방법에서는, 고분자에 소수성기를 도입하고 싶은 경우, 모노머의 용해성 문제때문에 중합 용매로서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등, 연쇄 이동 촉매로서 알려진 유기 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분자량의 폴리머의 제조가 어렵다.
또한, 포스포릴콜린기의 입체 장해때문에 중합 수율이 저하되거나 또는 희망하는 중합체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노머의 합성 반응을 엄밀한 무수 조건 하에서 행할 필요가 있어서 수단이 번잡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생체적합성 재료나 화장료 원료로서의 이용 범위가 큰 폴리실록산을 얻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화합물과, 이 화합물과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반응시키면, 중합체 의 주쇄 또는 측쇄에서의 고분자 반응에 의해 간편하고 또한 높은 범용성을 가지고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1)
Figure 112005017982758-pct00001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식 (2), (3),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a와 b 또는 반복 단위 a와 b와 c를 갖는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의 아미노기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식 (1)의 포스포릴콜린기를 도입하여 얻어지는 하기 식 (5), (6), (7)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2)
Figure 112010056660378-pct00030
(3)
Figure 112005017982758-pct00003
(4)
Figure 112005017982758-pct00004
(5)
Figure 112010056660378-pct00031
(6)
Figure 112010056660378-pct00006
(7)
Figure 112010056660378-pct00032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 1∼22 중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기, 탄소 원자 수 1∼6의 알킬렌기를 사이에 둔 탄소 원자 수 1∼6의 알콕시실릴기, 페닐기, 히드록실기, R5는 수소 또는 탄소 원자 수 1∼22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n은 1∼22의 정수를 나타낸다. n1, n2, n3는 각각 독립적으로 1∼22의 정수를 나타낸다. m은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p는 1∼30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의 산화적 개열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데히드체 함유 화합물을,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에 부가하는 것에 의한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1작용성의 알데히드체를 조제하는 스킴이다.
도 2는 고분자반응에 의한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실록산의 제조 스킴이 다.
도 3은 합성예 1의 구조식 및 NMR 스펙트럼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폴리실록산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폴리실록산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폴리실록산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폴리실록산의 1H NMR 차트이다.
도 8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폴리실록산의 1H NMR 차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은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1: 임의의 폴리실록산에, 공지의 방법 혹은 금후 개발될 방법으로 아미노기를 도입한다. 1차 아민 또는 2차 아민을 갖는 시판의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을 사용해도 좋다.
2: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에 대하여, 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의 산화적 해열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데히드체 또는 하이드레이트체를 환원적 아미노화반응에 의해 부가시킨다.
상기 제조 방법은 포스포릴콜린기의 도입 수율이 높고, 도입률의 컨트롤도 용이하다는 큰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목적에 따라서 포스포릴콜린의 도입률을 제어하고, 폴리머의 친 수성을 자유롭게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폴리실록산의 용도에 따라, 필요하게 되는 생체적합성에 맞추는 폴리머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스포릴콜린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소수기 등을 도입하여 폴리실록산에 필요한 기능을 갖게 한 다음, 그 후에 임의의 양의 포스포릴콜린기를 부가시켜,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고분자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의 산화적 해열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데히드체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공지의 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기를 공지의 방법에 의해 산화적 해열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극히 간단한 스텝이다. 이 반응은 1,2-디올을 과요오드산 또는 과요오드산염을 사용하여 산화함으로써 결합을 개열시켜 2 개의 알데히드체를 얻는 것이으로, 본 방법의 경우, 포스포릴콜린알데히드체와 포름알데히드를 생성한다. 반응은 통상 수중 또는 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 중에서 행해진다. 반응 온도는 0도부터 실온이다. 알데히드체는 수중에서 평형 반응을 거쳐서 하이드레이트가 되는 일도 있지만, 계속되는 아민과의 반응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실록산의 측쇄에, 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의 산화적 해열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데히드체를 반응할 수 있는 아미노기가 있으면 된다. 폴리실록산에는 알킬기나 페닐기 등의 치환기가 있어도 좋고, 이들 치환기에 아미노기가 존재해도 좋다.
아미노기는 1차 또는 2차라도 좋다. 공지 또는 금후 개발될 방법에 의해 폴리실록산에 아미노기를 도입할 수 있다. 공지 또는 금후 개발될 아미노 변성 폴리 실록산을 사용해도 좋다.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의 분자량도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분자량의 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2)
Figure 112010056660378-pct00033
(3)
Figure 112005017982758-pct00009
(4)
Figure 112005017982758-pct00010
상기 식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 1∼22의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기, 탄소 원자 수 1∼6의 알킬렌기를 사이에 둔 탄소 원자 수 1∼6의 알콕시실릴기, 페닐기, 히드록실기, R5는 수소 또는 탄소 원자 수 1∼22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n은 1∼22의 정수를 나타낸다. n1 , n2, n3는 각각 독립적으로 1∼22의 정수를 나타낸다. m은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p는 1∼30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a, b, c는 폴리실록산의 구성 단위를 나타내고, a 단위와 b 단위와 c 단위를 갖는 중합체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a 단위와 b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a 단위와 b 단위와 c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뿐만아니라, 다른 구성 단위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a 단위, b 단위 또는 c 단위의 배열은 랜덤이어도 블록이어도 좋다.
a, b, c를 수로 나타낸 경우에는, 각각의 구성 단위의 폴리머 중의 몰비(폴리머 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은 상기 식중의 아미노기의 전부 또는 일부에 식 (1)의 포스포릴콜린기가 부가된 폴리실록산이다. 폴리머 말단은 임의이지만, 히드록실기, 알킬, 수소, 알콕시 등이다.
바람직한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은 식 (2) 및 (3)에서, R1, R2, R3가 전부 메틸기의 폴리실록산, 식 (4)에서, R1, R2, R3, R4가 전부 메틸기이고, R5가 수소의 폴리실록산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적합한 임의의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상기 식 (1)의 포스포릴콜린기를 아미노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부가하고 있는 폴리실록산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a 및 b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a, b 및 c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이들 폴리실록산에는 아미노기에 포스포릴콜린기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구성 단위 b'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즉,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의 아미노기의 일부에, 포스포릴콜린기가 부가된 폴리실록산이다. 폴리실록산의 포스포릴콜린기의 부가수는 반응시키는 포릴콜린기 함유 알데히드체의 몰수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8)
Figure 112010056660378-pct00011
(9)
Figure 112010056660378-pct00012
(10)
Figure 112010056660378-pct00013
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의 산화적 해열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데히드체(또는 하이드레이트체)를, 폴리실록산의 아미노기에 결합시키는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은 양자를 용매 중에서 교반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양자를 물 또는 알콜중에 용해하고(제3 성분의 유기용매를 혼합해도 좋음), 이민을 형성시킨 후, 이것을 환원제에 의해 환원하여 2차 아민을 얻는 것이다. 환원제로서는 시아노붕소산 나트륨 등 마일드한 환원제가 바람직하지만, 포스포릴콜린이 안정한 한, 다른 환원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은 통상 0도부터 실온에서 행해지지만, 경우에 따라 가열하는 일도 있다.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친수부의 포스포릴콜린기를 임의인 양으로 함유하는 폴리실록산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의 분자량은 임의이다. 용도에 따라 미리 죄적의 평균 분자량의 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임의의 분자량을 갖는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실록산이 제조된다. 예를 들면, GPC 측정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1000∼500000의 폴리실록산이 얻어진다.
도 1에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1작용성의 알데히드체를 조제하는 스킴을 도시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을 제조하는 스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은 포스포릴콜린기 이외의 친수부로서, 용도에 따라 카르복실산기, 히드록실기, 1차∼3차 아미노기, 술폰산기, 인산기, 폴리옥시에틸렌기, 암모늄기, 아미드, 카르복시 베타인, 당류 등을 공지의 방법에 의해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소수부로서 콜레스테롤 등의 환상 알킬, 올레일 등 불포화결합을 포함하는 알킬기, 나프탈렌 고리, 피렌을 비롯한 탄화수소계 방향족, 피리딘 고리, 이미다졸, 티아졸, 인돌 등의 헤테로계 방향족 등을 용도에 따라 도입하여 설계할 수 있다. 소수기의 결합 형태는, 에스테르, 에테르, 아미드, 우레탄, 요소 결합 등에 의해 직접 주쇄와 결합되어 있어도 좋고,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주쇄와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스페이서의 종류로서는, 친수성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직쇄상 알킬(탄소 원자 수 2∼22) 등을 들 수 있다.
친수부 및 소수부의 종류 및 함유량으로 폴리실록산의 기능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은 생체적합성, 보습성이 우수하여, 의료용 고분자 재료로서 유용하다. 구체적으로는, 인구장기, 생체막, 의료용구의 코팅제, 드러그 딜 리버리, 화장료 배합성분 등으로서 유용된다. 특히 피부 유연화 효과, 보습효과, 피부 외용제중의 약제의 경피 흡수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실록산의 각 구성 단위의 조성은 NMR, 원소 분석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효과를 확인한 피부 외용제 처방예의 배합량은 전체량에 대한 질량% 이다.
합성예 1 포스포릴콜린기를 함유하는 알데히드체
L-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450 mg)을 증류수 15 ㎖에 용해하고, 빙수욕중에서 냉각한다. 과요오드산 나트륨(750 mg)을 첨가하고, 2 시간 교반한다. 에틸렌글리콜(150 mg)을 첨가하고 하룻밤 더 교반한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감압 건조하고, 메탄올에 의해 목적물을 추출한다.
구조식 및 NMR 스펙트럼을 도 3에 도시한다.
실시예 1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알킬실록산의 합성
아미노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1 g{식 (2)에서, R1, R2, R3=CH3, n=2∼22, 평균 분자량 50000의 시판품: KF-864,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을 메탄올(50 ㎖)에 용해하고, 합성예 1의 알데히드체 0.5g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한다. 빙냉 후, 수소화 시아노붕소산나트륨 250 mg을 첨가하고, 하룻밤 교반한다. 투석, 동결 건조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물 0.95 g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실록산 을 도 4에 도시한다. a:b=50:1 이다. 얻어진 폴리실록산의 1H NMR 차트를 도 7에 도시한다. 용매:중수, 표준 피크:1,4-디옥산, 피크의 귀속: (1) 1,4-디옥산, (2) 포스포릴콜린(4차 암모늄), (3) 실록산(메틸). 포스포릴콜린기 유래의 피크(2)가 출현해 있다.
실시예 2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1 g{식 (4)에서, R1, R2, R3, R4=CH3, R5는 수소, n1, n2, n3=2∼22, 평균 분자량 50000의 시판품, X-22-3939A,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을 메탄올(50 ㎖)에 용해하고, 합성예 1의 알데히드체 0.5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한다. 빙냉 후, 수소화 시아노붕소산나트륨 250 mg을 첨가하고, 하룻밤 교반한다. 투석, 동결 건조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물 0.9 g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실록산을 도 5에 나타낸다. a:b:c는 불분명하다.
실시예 3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1 g{식 (3)에서, R1, R2, R3=CH3, n1, n2=2∼22, 평균 분자량 3000의 시판품, KF-393,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을 메탄올(50 ㎖)에 용해하고, 합성예 1의 알데히드체 0.5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한다. 빙냉 후, 수소화 시아노붕소산나트륨 250 mg을 첨가하고, 하룻밤 교반한다. 투석, 동결 건조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물 0.95 g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실록산을 도 6에 도시한다.
a:b=5:1 이다. 얻어진 폴리실록산의 1H NMR 차트를 도 8에 도시한다. 용매:중수, 표준 피크:1,4-디옥산, 피크의 귀속: (1) 1,4-디옥산, (2) 포스포릴콜린(4차 암모늄), (3) 실록산(메틸). 포스포릴콜린 유래의 피크(2)가 출현해 있다.
(1) 보수 효과 및 피부 유연화 효과
상기 실시예의 폴리머를 배합하여 보습 에센스를 조제하고, 그 보수 효과의 지속성 및 피부 유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처방 및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가는 전문가 20 명에 의한 관능 평가의 평균점에 의해 하기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보수 효과>
3 점: 도포 후 10 시간 이상 보수 효과가 지속되었다.
2 점: 도포 후 4 시간 이상 10 시간 미만, 보수 효과가 지속되었다.
1 점: 도포 후 1 시간 이상 4 시간 미만 보수 효과가 지속되었다.
0 점: 보수 효과의 지속이 1 시간 미만이었다.
<피부 유연화 효과>
3 점: 1 주간 사용 후 피부가 극히 유연해졌다.
2 점: 1 주간 사용 후 피부가 약간 유연해졌다.
1 점: 1 주간 사용해도 피부의 정도는 변하지 않는다.
0 점: 1 주간 사용 후 피부가 딱딱해졌다.
<판정>
◎: 평균점이 2.5∼3 점.
○: 평균점이 2∼2.5 점 미만.
△: 평균점이 1∼2 점 미만.
×: 평균점이 1 점 미만.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소르비톨 8 8 8 8 8
1,3-부틸렌 글리콜 5 5 5 5 5
에탄올 7 7 7 7 7
POE 올레일 알콜
에테르
1 1 1 1 1
올리브유 0.2 0.2 0.2 0.2 0.2
정제수 78.7 78.7 78.7 78.7 78.7
피부 유연화 성분 없음 엘라스틴
0.1
히알루론산
나트륨
0.1
실시예 1
0.1
실시예 2
0.1
피부 유연화 효과
보수 효과 ×
상기의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은 우수한 보수 효과와 피부 유연성을 갖고, 화장료의 배합성분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경피 흡수 촉진 효과
피부 외용제에 배합되는 약제의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일본 특개 2002-7168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시험은 in vitro의 형태에서 행하였다. 피부 모델로서 미니돼지의 피부를 사용하였다.
약제에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알부틴의 단순 수용액(비교예 4) 및 이것에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미니 돼지 피부에 적용하고, 37℃에서 6 시간 인큐베이션하며, 표피를 용매로 추출하고, 단위 중량당에 포함되는 약제량을 HPLC에 의해 정량하고, 경피 흡수량을 비교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의 약제 경피흡수량비는, (실시예 처방중의 알부틴의 흡수량/비교예 4 처방중의 알부틴의 흡수량)의 값이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2를 배합한 수용액은 알부틴 경피 흡수가 촉진되었고,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은 피부 외용제중의 약제의 경피 흡수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1 0.5
실시예 2 0.5
알부틴 6 6 6
생리식염수 94 93.5 93.5
약제 경피 흡수량비
(실시예의 처방 중의 흡수량/
비교예 4 처방 중의 흡수량)
1 1.6 1.75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은, 생체적합성 및 보습성이 높고, 유용한 고분자 재료이며, 인공 장기, 생체막, 의료용구의 코팅제, 드러그 딜리버리, 화장료 배합 성분 등의 여러 응용 분야가 있다.
고분자반응에 의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생체적합성 재료로서 구체적 용도 에 적합한 폴리실록산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다.
포스포릴콜린기에 영향받지 않고, 주쇄의 폴리실록산의 구조, 분자량을 자유롭게 설계하여 용도에 적합한 재료를 얻고, 그 후에 임의의 양의 포스포릴콜린기를 부가시켜,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폴리실록산 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은, 보수성, 피부유연화, 약제의 경피흡수성이 우수하므로, 이것을 화장료 등의 피부 외용제에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하기 식 (2), (3) 또는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a와 b 또는 반복 단위 a와 b와 c를 갖는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의 아미노기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하기 식 (1)의 포스포릴콜린기를 도입하여 얻어지는, 하기 식 (5), (6) 또는 (7)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1)
    Figure 112011010438013-pct00034
    (2)
    Figure 112011010438013-pct00035
    (3)
    Figure 112011010438013-pct00016
    (4)
    Figure 112011010438013-pct00017
    (5)
    Figure 112011010438013-pct00036
    (6)
    Figure 112011010438013-pct00019
    (7)
    Figure 112011010438013-pct00037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 1∼22 중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기, 탄소 원자 수 1∼6의 알킬렌기를 사이에 둔 탄소 원자 수 1∼6의 알콕시실릴기, 페닐기, 히드록실기, R5는 수소 또는 탄소 원자 수 1∼22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n은 1∼22의 정수를 나타낸다. n1, n2, n3는 각각 독립적으로 1∼22의 정수를 나타낸다. m은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p는 1∼30의 정수를 나타낸다.
  3. 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의 산화적 개열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데히드체 함유 화합물을 하기 식 (2), (3) 또는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a와 b 또는 반복단위 a와 b와 c를 갖는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의 제조방법.
    (2)
    Figure 112010056660378-pct00038
    (3)
    Figure 112010056660378-pct00039
    (4)
    Figure 112010056660378-pct00040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 1∼22 중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기, 탄소 원자 수 1∼6의 알킬렌기를 사이에 둔 탄소 원자 수 1∼6의 알콕시실릴기, 페닐기, 히드록실기, R5는 수소 또는 탄소 원자 수 1∼22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n은 1∼22의 정수를 나타낸다. n1, n2, n3는 각각 독립적으로 1∼22의 정수를 나타낸다. m은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p는 1∼30의 정수를 나타낸다.
KR1020057005934A 2002-11-25 2003-11-20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 방법 KR101076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40319A JP4245336B2 (ja) 2002-11-25 2002-11-25 ホスホリルコリン基を有する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340319 2002-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724A KR20050083724A (ko) 2005-08-26
KR101076030B1 true KR101076030B1 (ko) 2011-10-21

Family

ID=3237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934A KR101076030B1 (ko) 2002-11-25 2003-11-20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75692B2 (ko)
EP (1) EP1568729A4 (ko)
JP (1) JP4245336B2 (ko)
KR (1) KR101076030B1 (ko)
CN (1) CN100393778C (ko)
TW (1) TWI278474B (ko)
WO (1) WO2004048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6305B2 (ja) * 2003-12-02 2008-05-14 株式会社資生堂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化合物及び該化合物からなる表面改質剤
JP3715310B1 (ja) * 2004-05-24 2005-11-09 株式会社資生堂 蛋白質吸着防止眼用レンズ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5309B1 (ja) * 2004-05-24 2005-11-09 株式会社資生堂 眼用レンズ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5308B1 (ja) * 2004-05-24 2005-11-09 株式会社資生堂 眼用レンズ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3738027B2 (ja) * 2004-05-24 2006-01-25 株式会社資生堂 蛋白質吸着防止眼用材料の製造方法
JP2006199749A (ja) * 2005-01-18 2006-08-03 Nof Corp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シロキサ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US20090048423A1 (en) * 2007-08-15 2009-02-19 Tyco Healthcare Group Lp Phospholipid Copolymers
JP5280664B2 (ja) * 2007-10-25 2013-09-04 株式会社 資生堂 表面改質方法及び表面改質材料
EP2261274B1 (en) * 2008-03-31 2016-03-02 Shiseido Company, Ltd. Polysiloxane, acrylic compound, and vinylic compound
JP5448529B2 (ja) * 2008-03-31 2014-03-19 株式会社 資生堂 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2443182A2 (en) 2009-06-15 2012-04-25 DSM IP Assets B.V. Phosphorylcholine-based amphiphilic silicones for medical applications
CN101732766B (zh) * 2009-11-25 2013-09-18 西北大学 一种仿细胞外层膜结构修饰涂层的制备方法
JP6010807B2 (ja) * 2011-02-01 2016-10-19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親水性末端基を持つシリコーン含有モノマー
JP6926463B2 (ja) * 2016-12-15 2021-08-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
CN107868254B (zh) * 2017-12-14 2020-07-14 成都硅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塑料助剂及其制备方法
TWI813663B (zh) * 2018-04-05 2023-09-01 日商日油股份有限公司 含磷醯膽鹼基的聚矽氧烷單體
CN113330079A (zh) * 2018-12-18 2021-08-31 3M创新有限公司 包含聚硅氧烷磷酸酯或膦酸酯的组合物及制备经处理的制品的方法
CN113544176B (zh) * 2019-04-25 2023-04-25 日油株式会社 隐形眼镜用单体组合物、隐形眼镜用聚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隐形眼镜及其制造方法
US20230035695A1 (en) * 2019-12-27 2023-02-02 Nof Corporation Phosphorylcholine group-containing polysiloxane monomer
EP3932973A1 (en) * 2020-07-01 2022-01-05 Henkel AG & Co. KGaA Bi-functionalized polysiloxane brush copolymers
WO2023033013A1 (ja) * 2021-08-31 2023-03-09 日油株式会社 ホスホリルコリン基と水酸基を有するポリジメチルシロキサン含有モノマー
CN117836353A (zh) * 2021-08-31 2024-04-05 日油株式会社 具有磷酰胆碱基和羟基的含聚二甲基硅氧烷单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556A (ja) 1998-09-21 2000-06-16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材料およびその製法
JP2001106749A (ja) 1999-10-04 2001-04-17 Nof Corp 共重合体、その製造法、医療用材料及び眼科用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02664A1 (fr) * 1977-09-07 1979-04-06 Agronomique Inst Nat Rech Produits de couplage phosphorylcholine, composes amines procede d'obtention et applications
JPH085904B2 (ja) * 1986-05-02 1996-01-24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新規ホスホリルコリン誘導体の製造法
US5369012A (en) * 1992-03-26 1994-11-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of making a membrane hav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rfaces for adhering cells or antibodies by using atomic oxygen or hydroxyl radicals
US5415747A (en) * 1993-08-16 1995-05-16 Hewlett-Packard Company Capillary electrophoresis using zwitterion-coated capillary tubes
JP3580022B2 (ja) 1996-05-08 2004-10-20 日本油脂株式会社 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医療用材料
WO1998055533A1 (en) * 1997-06-04 1998-12-10 Biocompatibles Limited Zwitterionic compounds and their use to cross-link collagenous materials
AU750236B2 (en) * 1998-07-17 2002-07-11 Biocompatibles Uk Limited Method for providing coated moulded polymeric articles
ATE266668T1 (de) * 2000-02-07 2004-05-15 Biocompatibles Uk Ltd Silizium enthaltende verbindungen hergestellt durch michael addition als monomere und macromere
DE60113066T2 (de) * 2000-02-07 2006-06-14 Biocompatibles Uk Ltd Silizium enthaltende verbindungen hergestellt durch michael -ähnliche additionsreaktionen als monomere und makromere
JP4010831B2 (ja) * 2001-05-22 2007-11-21 株式会社資生堂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8189B2 (ja) * 2002-04-09 2009-04-02 株式会社資生堂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多糖類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556A (ja) 1998-09-21 2000-06-16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材料およびその製法
JP2001106749A (ja) 1999-10-04 2001-04-17 Nof Corp 共重合体、その製造法、医療用材料及び眼科用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20098A1 (en) 2006-01-26
KR20050083724A (ko) 2005-08-26
US7875692B2 (en) 2011-01-25
CN100393778C (zh) 2008-06-11
EP1568729A1 (en) 2005-08-31
JP2004175830A (ja) 2004-06-24
CN1717433A (zh) 2006-01-04
WO2004048444A1 (ja) 2004-06-10
JP4245336B2 (ja) 2009-03-25
TW200417560A (en) 2004-09-16
TWI278474B (en) 2007-04-11
EP1568729A4 (en)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030B1 (ko)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 방법
CA1106399A (fr) Deodorants ou desodorisants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EP0524612B1 (en) Modified silicone containing hair cosmetic
US7339013B2 (en) Thermosensitive polymers and thermoreversible gels obtained from these polymers
US20110112259A1 (en) Polymeric coupling agents and pharmaceutically-active polymers made therefrom
KR20040094716A (ko)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다당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514610A (ja) フラノ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181060A (zh) 聚乙烯醇-聚肽-聚乙二醇接枝共聚物及其制备方法
FR2915748A1 (fr) Acides polyglutamiques fonctionnalises par des groupes cationiques et des groupements hydrophobes et leurs applications, notamment therapeutiques
KR20150040966A (ko) 히알루론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이의 변형 방법, 및 이의 용도
JP2003532768A (ja) ポリウレタンおよびレオロジー特性変更へのそれの使用
JP4010831B2 (ja)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022669A1 (en) Branched, compact polyethyleneglycol derivatives
US20170313726A1 (en) Biodegradable hybrid polymers usable in medical technology or in biology, starting silanes therefor,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for and uses thereof
EP1771498B1 (fr) Polyaminoacides branches, fonctionnalises par des groupements hydrophobes et leurs applications notamment therapeutiques
Haroon et al. Recent progress in the synthesis of poly (organo) phosphazenes and their applications in tissue engineering and drug delivery
KR101109274B1 (ko) 친수성 실리콘
KR101508421B1 (ko) 생분해성 포스포아미드 링커에 의해 가교된 peg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60328B1 (ko) 디메틸아미노프로필슬폰 및 그 미믹을 브러쉬 말단으로 가지는 자기조립성 고분자의 및 그 제조 방법
JP2004161820A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含有ε−ポリリジ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74755A (ja) ヘテロ二官能性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4547759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ヒアルロン酸もしくはその塩、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KR102478594B1 (ko) 공중합체,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감응형 하이드로겔
JP2005344061A (ja) 増粘、起泡増泡作用を有するポリアミノ酸誘導体組成物
JP2002302511A (ja) 糖グラフト重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