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199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199B1
KR101069199B1 KR1020080052958A KR20080052958A KR101069199B1 KR 101069199 B1 KR101069199 B1 KR 101069199B1 KR 1020080052958 A KR1020080052958 A KR 1020080052958A KR 20080052958 A KR20080052958 A KR 20080052958A KR 101069199 B1 KR101069199 B1 KR 10106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transfer
belt
main body
transfer memb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9977A (ko
Inventor
시로 스즈키
가즈요시 하기와라
마사아키 도쿠나가
요우스케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의 보수성이나 조작성을 개선하고, 또한 장치 본체 프레임의 강성(剛性)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서로 상이한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상방에 걸쳐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와,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는 중간 전사체 유닛과,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을 장치 본체의 한쪽 면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안내하는 부재로서,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을 안내하는 방향이 도중에 변화되도록 설정된 가이드 레일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과제를 해결했다.
Figure R1020080052958
감광체 드럼, 중간 전사 벨트, 중간 전사체 유닛, 가이드 레일 부재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78390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2004-5381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6922호 공보
종래,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개의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을, 이들 4개의 화상 형성부의 상방(上方)에 배치된 중간 전사 벨트 상(上)에 다중(多重)으로 전사한 후, 당해 중간 전사 벨트 상에 다중으로 전사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 상에 일괄적으로 2차 전사하고, 정착함으로써, 풀 컬러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전사 공정이 종료된 후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가 중간 전사 벨트의 둘레 방향의 한쪽 단부(端部)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고, 당해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위해,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는, 중간 전사 벨트의 클리닝 장치가 역시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을 클리닝 장치와 함께 장치 본체의 한쪽 면의 방향으로 탈착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을 클리닝 장치와 함께 장치 본체의 전면(前面)으로 탈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장치 본체에 대하여, 중간 전사 벨트를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고, 당해 중간 전사 벨트의 설치 폭을 작게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중간 전사 벨트를, 장치 본체의 한쪽 면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려면, 당해 중간 전사 벨트를 탈착할 때, 장치 본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이 장치 본체의 한쪽에 배치된 급지 기구나, 장치 본체의 다른 쪽에 배치된 전원 회로 등의 다른 부재와 간섭하게 되고,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을 탈착하기 위해서는, 급지 기구나 전원 회로 등을 일단(一旦) 분리할 필요가 있어, 메인터넌스가 매우 번잡해진다는 기술적 과제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을, 장치 본체의 전면 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려면, 당해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을 탈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장치 본체의 전면을 크게 개구(開口)해야만 하고, 장치 본체 프레임의 강성(剛性)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다른 기술적 과제를 갖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제3783908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2004-53819호 공보나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6922호 공보 등에 개시된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 제3783908호 공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 상에 담지(擔持)된 토너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 유닛을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유닛은 상기 전사 유닛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핀이 장치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삽발(揷拔)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핀은 상기 전사 유닛을 장치 본체에 장착 및 분리를 행할 때, 상기 전사 유닛의 정규 장착 위치 이외에서는, 상기 전사 유닛의 전사 벨트가 상담지체 표면으로부터 이간되고, 정규 장착 위치에서는, 상기 전사 유닛으로의 일 방향의 가압력만으로 상기 전사 유닛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치 본체는 복수의 상담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사 유닛의 전사 벨트는 복수의 전사 벨트용 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전사 유닛의 삽발 방향으로 이간되어 적어도 2쌍 설치되고, 상기 전사 유닛의 정규 장착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핀의 한쪽의 쌍은 상기 상담지체 중 가장 끝의 상담지체와 그것에 가장 가까운 전사 벨트용 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핀의 다른 쪽 쌍은 상기 상담지체와 반대 측의 상담지체와 그것에 가장 가까운 전사 벨트용 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2004-53819호 공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상담지체에 대하여 접촉 이간 가능한 전사면을 갖는 벨트 형상 전사체에 의해 상기 전사면, 또는 상기 벨트 형상 전사체와 상기 상담지체 사이에 삽입된 전사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전사 수단이 상기 상담지체와 이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전사 수단을 상기 벨트 형상 전사체의 반송 방향으로 삽발 가능하게 상기 전사면과 거의 평행한 안내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 수단의 삽입 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해 안내되는 적어도 2개의 피(被)안내부와, 상기 안내 수단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적어도 2개의 피안내부 중, 어느 하나의 피안내부를 안내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피안내부 중 적어도 상기 안내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을 위치 결정하는 제 1 안내 부재와, 다른 하나의 피안내부를 안내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피안내부의 상기 수직 방향 및 상기 안내 방향을 위치 결정하는 제 2 안내 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피안내부를, 상기 전사 수단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피안내부 중 적어도 상기 수직 방향을 위치 결정함과 거의 동시에, 상기 다른 하나의 피안내부의 상기 수직 방향 및 상기 안내 방향을 위치 결정하고, 상기 전사 수단을 상기 상담지체에 접한 상태와 이간한 상태로 전환 가능한 가압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6922호 공보에 따른 개폐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배지(排紙) 반송 경 로를 개폐하는 배출부 커버를 수평축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배출부 커버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 커버의 개방 각도를 다단계로 설정하는 개방 각도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의 보수성이나 조작성을 개선하고, 또한 장치 본체 프레임의 강성(剛性)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서로 상이한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상방(上方)에 걸쳐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와,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는 중간 전사체 유닛과,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을 장치 본체의 한쪽 면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안내하는 부재로서,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을 안내하는 방향이 도중에 변화되도록 설정된 가이드 레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는, 장착 방향 하류측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는, 수평 방향을 향한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장착 방향 상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방향을 향한 제 1 부위와, 상기 제 1 부위에 대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장착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장착 방향 하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제 2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면(前面) 측과 배면(背面)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의 상기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는,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은 장치 본체에 탈착하는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에지(edge)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급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은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화상 형성부로부터 이간한 상태에서만,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한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장치 본체의 한쪽 면에는,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을 장치 본체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 커버는 잼(jam)이 발생한 용지를 제거하는 사용자 조작 위치와,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을 탈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조작 위치보다도 더 개구된 보전 위치에, 적어도 개구 각도를 2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표면을 청소하는 부재로서, 상기 장치 본체의 전면 측에 삽발(揷拔) 가능하게 구성된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청소 수단은 장치 본체에 장착된 중간 전사체 유닛에 대하여 삽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부는 옐로, 마젠타, 시안, 흑색의 각 색에 대응한 4개의 화상 형성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중간 전사체는 주행 방향에 따른 하류 측이 낮고, 상류 측이 높아지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1, 8 및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장치 본체의 옆쪽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의 탈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의 보수성이나 조작성을 개선하며, 또한 장치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을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을 탈착할 때 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의 탈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이 탈착 가능한 것으로서, 또한 중간 전사 벨트 유닛에 확실하게 급전(給電)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간 전사체 유닛을 탈착할 때,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가 다른 부재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측면 커버의 개구 각도를 불필요하게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의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소 부재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복합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복합기는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만,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프린터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있어서, 1은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복합기의 본체를 나타낸 것이고, 이 복합기 본체(1)의 상방에는, 원고(2)를 1매씩 분리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반송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3)와, 당해 자동 원고 반송 장치(3)에 의해 반송되는 원 고(2)의 화상을 판독하는 원고 판독 장치(4)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원고 판독 장치(4)는 플래튼 유리(5) 상에 탑재 배치된 원고(2)를 광원(6)에 의해 조명하고, 원고(2)로부터의 반사광 화상을, 플래튼 미러(7) 및 하프 레이트 미러(8, 9) 및 결상 렌즈(10)로 이루어지는 축소 광학계를 통하여 C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판독 소자(11) 상에 주사 노광함으로써, 이 화상 판독 소자(11)에 의해 원고(2)의 반사광 화상을 소정의 도트 밀도(예를 들어, 16도트/㎜)로 판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고 판독 장치(4)에 의해 판독된 원고(2)의 반사광 화상은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각 8bit)의 3색의 원고 반사율 데이터로서 화상 처리 장치(12)로 보내지고, 이 화상 처리 장치(12)에서는, 원고(2)의 반사율 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 보정, 위치 어긋남 보정, 명도/색 공간 변환, 감마 보정, 프레임 삭제, 색/이동 편집 등의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2)는 퍼스널 컴퓨터(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2)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동일하게 화상 처리 장치(12)에 의해,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각 8비트)의 4색의 계조 데이터로 변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화상 노광 장치(14)로 보내지며, 이 화상 노광 장치(14)에서는, 소정 색의 원고(2)의 계조 데이터에 따라 LED 발광 소자 어레이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화상 노광이 행해진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상이한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상방에 걸쳐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화상 형성부)(13Y, 13M, 13C, 13K)이 제 1 색째인 옐로(Y)의 화상 형성 유닛(13Y)이 높고, 최종색인 흑색(K)의 화상 형성 유닛(13K)이 낮아지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을,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을 수평으로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폭 방향의 거리를 짧게 설정할 수 있고, 장치 본체(1)의 폭을 작게 하여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여, 소정 속도로 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5)과, 이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1차 대전용의 대전 롤러(16)와, 당해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에 소정 색에 대응한 화상을 노광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LED 프린트 헤드로 이루어지는 화상 노광 장치(14)와, 감광체 드럼(15) 상에 형성 된 정전잠상을 소정 색의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기(17)와,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 드럼(15)으로서는, 예를 들어 직경 30㎜의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에 오버코팅층을 갖는 유기 감광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되고,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상기 대전 롤러(16)로서는, 예를 들어 코어 메탈(core metal)의 표면에 합성 수지나 고무로 이루어지고 전기 저항을 조정한 도전층을 피복한 롤러 형상의 대전기가 사용되고, 이 대전 롤러(16)의 코어 메탈에는, 소정의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대전 롤러(16)의 표면에는, 당해 대전 롤러(16)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 등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16a)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화상 노광 장치(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에 설치된 화상 노광 장치(14)로서는, LED 발광 소자를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60Odpi)로 직선 형상으로 배치한 LED 발광 소자 어레이와, 당해 LED 발광 소자 어레이의 각 LED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감광체 드럼 상에 스폿(spot) 형상으로 결상(結像)하는 셀폭 렌즈(상품명) 어레이를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화상 노광 장치(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감광체 드럼(15) 상에 화상을 주사 노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12)로부터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화상 노광 장치(14Y, 14M, 14C, 14K)에, 각 색의 화상 데이터가 차례로 출력되고, 이들 화상 노광 장치(14Y, 14M, 14C, 14K)로부터 화상 데이터에 따라 출사된 광속(光束)은 대응하는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에 주사 노광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체 드럼(15)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기(17Y, 17M, 17C, 17K)에 의해, 각각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감광체 드럼(15) 상에, 차례로 형성된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상은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상방에 걸쳐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20) 상에, 1차 전사 롤러(21)에 의해 다중으로 전사된다.
이 중간 전사 벨트(20)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걸쳐진 벨트 형상 부재로서, 당해 벨트 형상 부재의 하변(下邊) 주행 영역이 그 주행 방향에 따른 하류 측이 낮고, 상류 측이 높아지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중간 전사 벨트(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 롤러(22)와, 백업 롤러(23)와, 텐션 롤러(24)와, 제 1 아이들러 롤러(25)와, 제 2 아이들러 롤러(26) 사이에 일정한 텐션으로 걸쳐져 감겨 있고, 정속성(定速性)이 우수한 전용의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브 롤러(22)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순환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20)로서는,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갖는 PET 등의 합성 수지 필름을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띠 형상으로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의 양단(兩端)을 용착(溶着) 등의 수단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무단(無端) 벨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20)는 그 하변 주행 영역에서,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감광체 드럼(15Y, 15M, 15C, 15K)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벨트(20)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H)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중간 전사 벨트(20)의 저위(低位) 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중간 전사 벨트(20) 상에 1차 전사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 상에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27)가 백업 롤러(23)에 의해 걸쳐진 중간 전사 벨트(20)의 표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20) 상에 다중으로 전사된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상은 백업 롤러(23)에 압접(壓接)하는 2차 전사 롤러(27)에 의해, 압접력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용지(28) 상에 2차 전사되고, 이들 각 색의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28)는 상방에 위치하는 정착기(29)로 반송된다. 상기 2차 전사 롤러(27)는 백업 롤러(23)의 옆쪽에 압접되어 있고,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송되는 기록 용지(28) 상에, 각 색의 토너상을 2차 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색의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28)는 정착기(29)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정착 처리를 받은 후, 정착기(29)의 출구 롤러(30) 및 용지 배출 경로(31)를 통하여 제 1 배출 롤러(32)에 의해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배출 트레이(33) 상에 배출되거나, 또는 제 2 배출 롤러(34)에 의해 본체(1)의 상방에 설치된 제 2 배출 트레이(35) 상에 배출되거 나, 또는 제 3 배출 롤러(36)에 의해 본체(1)의 옆쪽에 설치된 제 3 페이스업 트레이(face-up tray)(37) 상에 배출된다.
상기 기록 용지(2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기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기록 매체 수용 용기로서의 급지 트레이(40), 또는 복합기 본체(1)의 하방에 배열 설치된 급지 트레이(41∼43)로부터 소정 사이즈의 것이 급지 롤러(44) 및 용지 분리 반송용의 롤러 쌍(45, 46)에 의해 반송 롤러(49) 및 용지 반송로(47)를 통하여, 레지스트 롤러(48)까지 일단(一旦) 반송되고, 정지된다. 상기 급지 트레이(40∼43)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된 기록 용지(28)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회전하는 레지스트 롤러(48)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0)의 2차 전사 위치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에서, 풀 컬러 등의 양면 카피를 채용할 경우에는, 한쪽 면에 화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28)를, 제 2 배출 롤러(34)에 의해 제 2 배출 트레이(35) 상에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기록 용지(28)의 후단(後端)을 반전 롤러(32a)에 의해 사이에 끼우고 있는 동안에, 전환 게이트(32b)에 의해 반송 방향을 전환하여, 양면용 반송 유닛(50)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이 양면용 반송 유닛(50)에서는, 반송 경로(51)를 따라 설치된 반송용의 롤러 쌍(52∼54)에 의해, 기록 용지(28)의 표리(表裏)가 반전된 상태에서, 다시 레지스트 롤러(48)로 반송되고, 이번에는, 당해 기록 용지(28)의 이면에 화상이 전사·정착된 후, 제 1 배출 트레이(33)∼제 3 배출 트레이(37) 상에 배출된다.
도 2 중, 55Y, 55M, 55C, 55K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현상기(17)에, 소정 색의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각각 나타내고 있 고, 흑색(K)의 토너를 수용한 토너 카트리지는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다른 컬러의 토너 카트리지와 비교하여 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중, 56은 수동 트레이를 나타낸 것이고, 이 수동 트레이(56)로부터는 원하는 재질 및 소정 사이즈의 기록 매체(28)가 급지 롤러(57) 및 용지 분리 반송용의 롤러 쌍(58, 59)에 의해 반송 롤러(60)를 통하여, 레지스트 롤러(48)로 반송된다.
도 3은 상기 디지털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의 각 화상 형성 유닛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옐로,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옐로,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토너상이 소정의 타이밍에서 차례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5)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은 1차 대전용의 대전 롤러(1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후, 상기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은 화상 노광 장치(14)로부터 화상 데이터에 따라 출사되는 광속이 주사 노광되어, 각 색에 대응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체 드럼(15) 상에 주사 노광되는 광속은 당해 감광체 드럼(15)의 바로 아래보다 약간 우측의 경사 하방으로부터, 소정의 경사 각도로 노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 드럼(15)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현상기(17)의 현상 롤러(17a)에 의해 각각 옐로, 마젠타, 시안, 흑색의 각 색의 토너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 토너상으 로 되고, 이들 가시 토너상은 1차 전사 롤러(21)의 대전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0) 상에 차례로 다중으로 전사된다.
상기 각 현상기(17Y, 17M, 17C, 17K)는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성분의 현상제를 사용한 2성분 현상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현상 롤러(17a)의 표면에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성분 현상제의 자기 브러시를 형성하여, 대응하는 색의 감광체 드럼(15Y, 15M, 15C, 15K)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토너상의 전사 공정이 종료된 이후의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은 클리닝 장치(18)에 의해 잔류 토너나 종이 분말 등이 제거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비한다. 상기 클리닝 장치(18)는 클리닝 블레이드(61)를 구비하고 있고, 이 클리닝 블레이드(61)에 의해, 감광체 드럼(15) 상의 폐 토너나 종이 분말 등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61)에 의해 제거된 폐 토너 등은 클리닝 장치(18)의 내부에 설치된 반송용 오거(auger)(62)에 의해, 소정 타이밍에서 복사기 본체(1)의 프론트 측으로 반송되고, 반송용의 파이프(도시 생략)를 통하여, 후술하는 폐 토너 회수 용기로 반송된다.
또한, 토너상의 전사 공정이 종료된 이후의 중간 전사 벨트(20)의 표면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전사 후, 클리닝 장치(63)에 의해 잔류 토너나 종이 분말 등이 제거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비한다. 상기 클리닝 장치(6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64)를 구비하고 있고, 이 클리닝 블레이드(64)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0) 상의 잔류 토너나 종이 분말 등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64)에 의해 제거된 폐 토너 등은 클리닝 장치(63)의 내부에 설치된 반송용 오거(65)에 의해, 소정 타이밍에서 복사기 본체(1)의 프론트 측으로 반송되고, 반송용의 파이프(도시 생략)를 통하여, 후술하는 폐 토너 회수 용기로 반송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는 중간 전사체 유닛과,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을 장치 본체의 한쪽 면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안내하는 부재로서,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을 안내하는 방향이 도중에 변화되도록 설정된 가이드 레일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20)가 당해 중간 전사 벨트(20)를 걸치는 드라이브 롤러(22), 백업 롤러(23), 텐션 롤러(24), 제 1 아이들러 롤러(25), 제 2 아이들러 롤러(26) 등과 함께 일체로 중간 전사체 유닛(80)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복합기 본체(1)의 한쪽 면(도시예에서는, 좌측 측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에 설치된 리트랙트 핸들(retract handle)(81)을 회동(回動) 조작함으로써, 제 1 아이들러 롤러(25) 및 제 2 아이들러 롤러(26)와, 1차 전사 롤러(21Y, 21M, 21C, 21K)를 상방으로 퇴피(退避)시킴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20)를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감광체 드럼(15)으로부터 이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에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트랙트 핸들(81)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당해 리트랙트 핸들(81)에는, 제 1 아이들러 롤러(25) 및 제 2 아이들러 롤러(26)와, 1차 전사 롤러(21Y, 21M, 21C, 21K)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유지 프레임(82)이 링크 기구(도시 생략)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리트랙트 핸들(81)을 회동 조작함으로써, 유지 프레임(82)이 중간 전사 벨트(20)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중간 전사 벨트(20)를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감광체 드럼(15)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리트랙트 핸들(8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95)를 연 상태에서 전면(前面) 프레임(96)과 전면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을 관통하여,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과 연결되어 있고, 중간 전사 벨트(20)를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감광체 드럼(15)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가 아니면,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으로부터 리트랙트 핸들(81)을 분리할 수 없는 스토퍼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내부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장치 본체(1)의 한쪽 면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안내하는 부재로서,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안내하는 방향이 도중에 변화되도록 설정된 가이드 레일 부재(83, 8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83, 84)는 복합기 본체(1) 내의 프론트 측과 리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83, 8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에 설치된 2개의 가이드 핀(85, 86)과 결합함으로써,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안내하는 안내 홈(87)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은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장치 본체(1)에 탈착할 때 안내하는 방향인, 거의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좌측의 단부가 약간 높아지도록 경사진 방향을 향한 제 1 부위(87a)와,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중간 전사 벨트(20)를 장치 본체(1)의 동작 위치로 안내하는 방향인, 수평 방향에 대하여 우측의 단부가 소정 높이만큼 높아지도록 경사진 방향을 향한 제 2 부위(87b)를 구비하고, 이들 제 1 부위(87a)와 제 2 부위(87b)는 굴곡부(87c)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위(87a)와 제 2 부위(87b)는 매끄럽게 만곡(灣曲)된 만곡부를 통하여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에는, 그 프론트 측과 리어 측의 측면에,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핀(85, 86)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드라이브 롤러 측의 단부 근방과, 당해 드라이브 롤러(22) 측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된 중간 위치에, 각각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에는, 그 프론트 측과 리어 측의 측면에,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88)이 백업 롤러(2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에 장착할 때,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된 측면 커버(90)를 연 상태에서, 중간 전사체 유닛의 2개의 가이드 핀(85, 86)을,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에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후,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내부에 밀어넣어짐으로써,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2개의 가이드 핀(85, 86)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의 제 1 부위(87a)를 따라, 거의 수평 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에는, 그 입구 측의 단부에, 산 형상의 돌기(87d)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가이드 핀(85, 86)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으로부터 본의 아니게 탈락(脫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내부에 깊게 밀어넣어지면,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2개의 가이드 핀(85, 86)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의 제 1 부위(87a)로부터 제 2 부위(87b)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의 제 2 부위(87b)는 제 1 부위(87a)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중간 전사 벨트(20)를 장치 본체(1)의 동작 위치로 안내하는 방향인, 수평 방향에 대하여 우측의 단부가 소정 높이만큼 높아지도록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의 제 2 부위(87b)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안내되고,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중간 전사 벨트(20)가 장치 본체(1)의 동작 위치로 안내된다.
그 때,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의 제 2 부위(87b)를 따라 안내되는 상태에서는,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절반 이상이 장치 본체(1) 내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1)의 외부로 돌출된 중간 전사체 유닛(80)이 커버(90) 등의 부재와 간섭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로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가이드 핀(85)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의 종단부에서 끼워 맞춰지고,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위치 결정 핀(88)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위치 결정 홈(91)에 끼워 맞춰져, 중간 전사체 유닛(80)이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체결 부품(92)을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에 체결함으로써,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장착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분리하는 작업은 상기한 장착 작업과 역(逆)의 공정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에 탈착하는 방향에 거의 평행하고, 또한 중간 전사 벨트(20)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급전부(給電部)(93Y, 93M, 93C, 93K)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급전부(93Y, 93M, 93C, 93K)는 중간 전사체 유닛에 설치된 1차 전사 롤러(21Y, 21M, 21C, 21K)에, 복합기 본체(1) 측으로부터 급전하기 위한 것인다.
상기 복수의 급전부(93Y, 93M, 93C, 93K)는 중간 전사체 유닛(80)이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에 장착될 때,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의 제 2 부위(87b)를 따라 안내되고, 중간 전사체 유닛(80)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복합기 본체(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기 때문에,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복수의 급전부(93Y, 93M, 93C, 93K)는 그 상단면에 전극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 측에 중간 전사체 유닛의 복수의 급전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급전부(94Y, 94M, 94C, 94K)는 그 하단면에 전극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복수의 급전부(93Y, 93M, 93C, 93K)는 그 전극이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 측의 급전부(94Y, 94M, 94C, 94K)와 확실하게 접촉하여 급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컬러 복합기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복합기 본체(1)의 좌측면에, 전사 용지의 반송 경로(47, 5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전사 용지의 반송 경로(47, 51)에서, 용지 걸림 등의 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디지털 컬러 복합기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합기 본체(1)의 좌측면에, 수동 트레이 및 양면 유닛을 포함하여 복합기 본체(1)에 대하여 개폐하고, 전사 용지의 반송 경로(47, 51)를 노출시키기 위한 측면 커버(9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커버(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탈착할 때에도 개폐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측면 커버(90)는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탈착할 때에는,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탈착 조작에 지장이 없도록 크게 개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용지 걸림 등의 잼이 발생하여 용지를 제거할 때에는,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탈착할 때 정도의 큰 각도에 걸쳐 열 필요가 없다.
그래서, 상기 측면 커버(90)는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에 대한 개폐 각도가 잼이 발생한 용지를 제거하는 사용자 조작 위치와,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탈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조작 위치보다도 더 개구한 보전(保全) 위치에, 적어도 개구 각도를 2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측면 커버(9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측면 커버(90)를 유지하는 스트랩(95)의 복합기 본체(1) 측의 걸림 위치(95a)를, 상방의 사용자 조작 위치(95a')와, 하방의 보전 위치(95a")로 변경함으로써, 적어도 개구 각도를 2단계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커버(90)의 개폐 각도는, 통상, 잼이 발생한 용지를 제거하는 사용자 조작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랩의 걸림 위치의 변경은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탈착 작업을 서비스 엔지니어가 행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엔지니어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중간 전사 벨트(20)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63)를, 당해 중간 전사 벨트(20)의 표면에 대하여 정밀하게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클리닝 장치(6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이 복합기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복합기 본체(1)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클리닝 장치(63)를 복합기 본체(1)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만, 당해 복합기 본체(1)로부 터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컬러 복합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 유닛의 보수성이나 조작성을 개선하고, 또한 장치 본체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컬러 복합기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교환하거나, 보수 점검할 때 등,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프론트 커버(95)를 연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컬러 복합기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20)의 클리닝 장치(63)를 앞쪽으로 인출하여, 복합기 본체(1)로부터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디지털 컬러 복합기에서는, 도 6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리트랙트 핸들(81)을 회동 조작하고, 중간 전사 벨트(20)를 각 화상 형성 유닛(13Y, 13M, 13C, 13K)의 감광체 드럼(15)으로부터 이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디지털 컬러 복합기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좌측면에 설치된 측면 커버(90)를 여는 동시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 커버(90)를 유지하는 스트랩(95)의 복합기 본체(1) 측의 걸림 위치를, 하방의 보전 위치로 변경하여, 측면 커버(90)를 큰 개구 각도로 되도록 연 상태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컬러 복합기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체결 부품(92)을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로부터 분리하고,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손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복합기 본체(1)의 측면으로 서서히 인 출한다. 이 때,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 부재(83, 84)의 안내 홈(87)의 제 2 부위(87b)를 따른 경사 각도로부터, 제 1 부위(87a)를 따른 경사 각도로 이동하고,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80)의 좌측의 단부가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컬러 복합기의 측면 커버(90)와 간섭하지 않고, 복합기 본체(1)의 옆쪽으로 인출되어, 용이하게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80)은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측면으로 인출하면 되기 때문에, 중간 전사체 유닛(80)을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전면으로 인출하는 경우와 같이, 복합기 본체(1)의 전면에 큰 개구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복합기 본체(1)의 강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복합기 본체(1)의 강성을 불필요하게 높일 필요가 없어,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풀 컬러 복합기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풀 컬러 복합기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풀 컬러 복합기의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풀 컬러 복합기의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
도 5는 중간 전사 벨트의 장가(張架)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중간 전사 벨트를 리트랙트시키는 기구를 각각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중간 전사체 유닛의 탈착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8은 중간 전사체 유닛의 탈착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풀 컬러 복합기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10은 측면 커버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측면 커버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풀 컬러 복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중간 전사체 유닛의 탈착 조작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중간 전사체 유닛의 탈착 조작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 컬러 복합기 본체
13Y, 13M, 13C, 13K: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화상 형성 유닛
15: 감광체 드럼 20: 중간 전사 벨트
80: 중간 전사체 유닛 83, 84: 가이드 레일 부재
85, 86: 가이드 핀 87: 안내 홈
87a: 제 1 부위 87b: 제 2 부위

Claims (10)

  1. 서로 상이한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상방(上方)에 걸쳐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와,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는 중간 전사체 유닛과,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을 장치 본체의 한쪽 면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안내하는 부재로서, 당해 중간 전사체 유닛을 안내하는 방향이 도중에 변화되도록 설정된 가이드 레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는, 장착 방향 하류측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는, 수평 방향을 향한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장착 방향 상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방향을 향한 제 1 부위와, 상기 제 1 부위에 대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장착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장착 방향 하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제 2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면(前面) 측과 배면(背面)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의 상기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는, 굴곡부 또는 만곡부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은 장치 본체에 탈착하는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에지(edge)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급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은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화상 형성부로부터 이간한 상태에서만,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한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한쪽 면에는,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을 장치 본체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 커버는 잼(jam)이 발생한 용지를 제거하는 사용자 조작 위치와, 상기 중간 전사체 유닛을 탈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조작 위치보다도 더 개구된 보전 위치에,
    적어도 개구 각도를 2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표면을 청소하는 부재로서, 상기 장치 본체의 전면 측에 삽발(揷拔) 가능하게 구성된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청소 수단은 장치 본체에 장착된 중간 전사체 유닛에 대하여 삽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옐로, 마젠타, 시안, 흑색의 각 색에 대응한 4개의 화상 형성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체는 주행 방향에 따른 하류 측이 낮고, 또한 상류 측이 높아지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핀과 제 2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핀 및 제 2 가이드 핀이 상기 제 1 부위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는 수평한 상태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장착 방향 상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핀 및 제 2 가이드 핀이 상기 제 2 부위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장착 방향 하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핀 및 제 2 가이드 핀이 상기 제 1 부위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 상기 제 1 가이드 핀이 상기 제 1 부위에 지지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핀이 상기 제 2 부위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 상기 제 1 가이드 핀 및 제 2 가이드 핀이 상기 제 2 부위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상기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의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052958A 2007-11-14 2008-06-05 화상 형성 장치 KR101069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96027 2007-11-14
JP2007296027A JP4466721B2 (ja) 2007-11-14 2007-11-14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977A KR20090049977A (ko) 2009-05-19
KR101069199B1 true KR101069199B1 (ko) 2011-09-30

Family

ID=4062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958A KR101069199B1 (ko) 2007-11-14 2008-06-05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44199B2 (ko)
JP (1) JP4466721B2 (ko)
KR (1) KR101069199B1 (ko)
CN (1) CN1014360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4263B2 (ja) * 2007-11-05 2010-03-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開閉支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5235396B2 (ja) * 2007-12-14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102858A (ja) * 2009-11-10 2011-05-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081262B2 (ja) * 2010-02-26 2012-11-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21369B2 (ja) * 2011-07-29 2015-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59735B2 (ja) * 2012-07-24 2014-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4017357A1 (ja) * 2012-07-24 2014-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250604B2 (en) * 2012-07-24 2016-02-02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high-and low-frequency working sections
JP2012252367A (ja) * 2012-09-28 2012-12-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6186544A (ja) * 2015-03-27 2016-10-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排出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6403662B2 (ja) * 2015-12-28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20811B2 (ja) * 2016-04-28 2019-05-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ユニット着脱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027068B2 (ja) * 2017-08-30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01292B2 (ja) * 2018-09-13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5987A (ja) 1999-03-29 2000-10-06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325476A (ja) 2003-04-21 2004-11-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163192A (ja) 2004-12-09 2006-06-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22A (ja) 1996-07-10 1998-01-27 Mita Ind Co Ltd 開閉機構
JP2001013800A (ja) 1999-06-28 2001-01-19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070939B2 (ja) * 2000-06-13 2008-04-0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006588A (ja) * 2000-06-27 2002-01-09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848066B2 (ja) * 2000-08-21 2006-11-22 株式会社沖データ ベルトユニットと該ベルトユニットが装着される装置
JP2002304104A (ja) 2001-04-09 2002-10-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715031B2 (en) 2001-12-28 2004-03-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artitioning a storage area network associated data library
JP4310097B2 (ja) 2002-10-21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23264B2 (ja) * 2002-10-30 2009-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離接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03994B2 (ja) * 2004-11-12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171534A (ja) * 2004-12-17 2006-06-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EP1674948B1 (en) * 2004-12-27 2018-08-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4134985B2 (ja) * 2004-12-27 2008-08-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4298669B2 (ja) * 2005-03-16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122388A (ja) * 2007-11-14 2009-06-0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5987A (ja) 1999-03-29 2000-10-06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325476A (ja) 2003-04-21 2004-11-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163192A (ja) 2004-12-09 2006-06-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6030A (zh) 2009-05-20
US20090123178A1 (en) 2009-05-14
US7844199B2 (en) 2010-11-30
KR20090049977A (ko) 2009-05-19
JP2009122387A (ja) 2009-06-04
CN101436030B (zh) 2011-12-07
JP4466721B2 (ja)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199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7060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sin frame and method for molding the resin frame
US76726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486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scattering of toner
JP462322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075869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369739B2 (en) Intermediate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51534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54027A (ja) 位置決め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90049978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08664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5181635B2 (ja) 転写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22324A (ja) 画像形成装置
JP4973464B2 (ja) 画像形成装置
JP515729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6300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36995A (ja) 画像形成装置
JP4665573B2 (ja) 搬送装置
JP3772616B2 (ja) 画像形成装置
JP4793020B2 (ja) 画像形成装置
JP5593974B2 (ja) 画像形成装置
JP5617206B2 (ja) 画像形成装置
JP436829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9115997A (ja) 現像剤搬送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15996A (ja) 保持部材、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