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939B1 -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939B1
KR101060939B1 KR1020067002333A KR20067002333A KR101060939B1 KR 101060939 B1 KR101060939 B1 KR 101060939B1 KR 1020067002333 A KR1020067002333 A KR 1020067002333A KR 20067002333 A KR20067002333 A KR 20067002333A KR 101060939 B1 KR101060939 B1 KR 10106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pipes
swivel joint
main fram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759A (ko
Inventor
준야 가와모또
가즈요시 야마다
야스따까 쯔루가
겐지 이또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06Pivot joint assemb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7Joints with radial fluid passages
    • F16L27/093Joints with radial fluid passages of the "banjo" type, i.e. pivoting right-angl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내먼지성 및 교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위블 조인트(11)의 스핀들(13)은 상측 트랙 프레임(2a)에 부착되고, 몸체(12)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5) 내에서 스토퍼 돌기부(16) 및 스토퍼 플레이트(17)에 의해 선회체 메인 프레임(1)과 일체로 회전한다. 몸체(12)의 상단부면에는 선회체측의 배관(21)이 금구(22)에 의해 집약하여 접속되고, 스핀들(13)의 하측 부분에는 주행체측의 배관(23)이 금구(2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몸체(12)의 측벽은 두께부(31, 32)를 갖고, 이를 두께부에 복수의 원통 홈(41)에 연통하는 복수의 축 방향 통로(33, 34)를 설치하고, 이 복수의 축 방향 통로를 몸체 상단부면에서 개구시켜 선회체측의 배관(21)을 몸체 상단부면에 집약 접속한다.
스위블 조인트, 몸체, 스핀들, 개구부, 선회체 메인 프레임, 두께부, 배관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를 갖는 유압 셔블 및 유압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라 함은, 선회체에 설치된 주행 모터 제어용의 밸브 장치 등의 유압 기기와 주행체에 부착된 주행 모터 등의 유압 기기와의 연락 배관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몸체와, 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을 구비하고 있다. 몸체의 내주면과 스핀들의 외주면 사이에는 복수의 원주 홈이 형성되고, 스핀들 내에는 복수의 축 방향 통로가 형성되고, 그들 원주 홈과 축 방향 통로를 통해 몸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관과 스핀들에 접속되는 복수 배관의 연통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위블 조인트의 구조로서 2 타입이 있고, 하나는 스핀들이 주행체(주행 프레임)에 부착되고, 몸체가 선회체(선회체 메인 프레임)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부착된 타입(스핀들 고정 타입)이며, 다른 하나는 몸체가 주행체(주행 프레임)에 부착되고, 스핀들이 선회체(선회체 메인 프레임)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부착된 타입(몸체 고정 타입)이다. 전자(스핀들 고정 타입)는 예를 들어 실용신안 공개 평5-64243호 공보에 기재되고, 후자(몸체 고정 타입)는 예를 들어 실용신안 공 고 평7-26445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평9-32877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실용신안 공개 평5-642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실용신안 공고 평7-2644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9-32877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스핀들 고정 타입의 스위블 조인트에 있어서, 선회체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회전하는 몸체의 측면에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주행 모터 제어용의 밸브 장치 등의 선회체측 유압 기기로부터 신장하는 복수의 배관이 금구(어댑터)에 의해 접속되고, 그 배관 부분은 선회체 메인 프레임의 개구부(개구단부)와 몸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선회체 메인 프레임 내부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선회체 메인 프레임의 개구부와 몸체 사이에는 배관이 통과하거나, 배관의 접속 및 제거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로 되고, 선회체 메인 프레임의 개구부와 몸체 사이에 비교적 큰 간극이 필요해진다. 그 결과, 그 간극(스페이스)으로부터 토사, 물 등의 먼지가 몸체 하부의 스핀들 부착 부분에 떨어져 저장되고, 몸체 하단부와 스핀들과의 미끄럼 이동 간극에 토사, 물 등의 먼지가 침입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었다.
몸체 하단부와 스핀들과의 미끄럼 이동 간극에는 더스트 시일이 마련되고, 토사, 물 등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더스트 시일은 더스트의 침입을 막는 것이 주이며, 물의 침입을 완전히 막는 것은 어렵다. 또한, 흙탕물 등이 몸체 하단부와 스핀들의 미끄럼 이동 간극으로부터 침입하여 녹에 의해 스위블 조인트의 맞물림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몸체 고정 타입의 스위블 조인트에 있어서도 몸체 상단부와 스핀들 미끄럼 이동 간극은 토사, 물 등의 먼지가 침입하여 저장되기 쉬운 위치에 있고, 마찬가지로 내먼지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핀들 고정 타입의 스위블 조인트에 있어서는 몸체와 배관 접속용의 금구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위블 조인트의 교환시에는 작업원은 선회체 메인 프레임의 개구부와 몸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손을 넣어 몸체측의 배관의 접속 및 제거를 행해야만 하여 교환시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먼지성 및 교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스위블 조인트와 그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스위블 조인트와 선회체 메인 프레임의 개구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몸체부를 도2의 Ⅲ-Ⅲ선으로 절단한 스위블 조인트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스위블 조인트가 부착되는 유압 셔블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하부 주행체의 트랙 프레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종래의 스위블 조인트와 그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종래의 스위블 조인트와 선회체 메인 프레임의 개구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선회체 메인 프레임
2 : 트랙 프레임
2a : 상측 트랙 프레임
2b : 하측 트랙 프레임
3 : 선회륜
3a : 내륜
3b : 외륜
4 : 선회륜 지지부
5 : 내부 기어
6 : 선회 모터
7 : 피니온
8 : 그리스 버스
11 : 스위블 조인트
12 : 몸체
13 : 스핀들
14 : 부착판
15 : 개구부
16 : 스토퍼 돌기부
17 : 스토퍼 플레이트
21, 23 : 배관
22, 24 : 금구(어댑터)
26 : 개구부
27 : 커버
28 : 커버
31, 32 : 두께부
33, 34 : 축 방향 통로
35, 36 : 포트
41 : 원주 홈
43, 44 : 직경 방향 통로
45 : 축 방향 통로
46 : 복수의 직경 방향 통로
47 : 포트
52 : 포트
53 : 축 방향 통로
55 : 더스트 시일
56 : O링 시일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회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몸체와, 주행체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을 구비하고, 상기 선회체에 설치된 좌우의 주행 모터용의 밸브 장치와 블레이드 실린더용의 밸브 장치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복수의 제1 배관을 상기 몸체에 접속하고, 상기 주행체에 설치된 좌우의 주행 모터와 블레이드 실린더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복수의 제2 배관을 상기 스핀들에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2 배관을,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 홈 및 상기 스핀들 내에 형성된 복수의 축 방향 통로를 통해 연통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2 배관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대향하는 측벽 부분의 각각에 다른 측벽 부분보다도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를 갖고, 상기 두께부의 각각에 상기 복수의 원주 홈에 연통하는 복수의 축 방향 통로를 일렬로 설치하고, 이 복수의 축 방향 통로를 상기 몸체의 상단부면에서 개구시켜 복수의 포트를 마련하고, 이 복수의 포트에 상기 복수의 제1 배관을 접속하고, 상기 몸체의 상단부면에 상기 복수의 제1 배관을 집약한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몸체의 상단부면에 제1 배관을 집약하여 접속함으로써, 선회체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의 개구부와 몸체 사이에, 제1 배관이 통과하거나 배관의 접속 및 제거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지고, 메인 프레임의 개구부와 몸체 사이의 간극(스페이스)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간극(스페이스)보다 메인 프레임의 상방으로부터 스위블 조인트의 부착부로 낙하하는 토사는 대폭으로 감소하고, 그 부분에서의 토사의 퇴적량도 줄어 몸체 하단부의 스핀들과의 미끄럼 이동부로의 물, 토사 등의 먼지의 침입을 대폭 저감한다. 이에 의해 스위블 조인트의 내먼지성은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몸체의 상단부면에 제1 배관을 집약 접속하고, 몸체 측부에 배관 접속용의 금구가 없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배관 접속용의 금구의 돌출량도 포함시킨 몸체 부분의 실질적 외경은, 종래 구조에 비해 작아지고, 배관 접속부도 포함한 스 위블 조인트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몸체의 상단부면에 집약 접속한 제1 배관은 몸체의 외경 범위 내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콤팩트한 레이아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몸체의 상단부면에 제1 배관을 집약 접속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위블 조인트의 교환 작업시, 몸체의 상단부면으로부터 상측의 위치에서 제1 배관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배관의 제거 작업이 용이해져 스위블 조인트의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측벽 부분에 두께부를 마련하고, 이 두께부에 상기 복수의 원주 홈에 연통하는 복수의 축 방향 통로를 마련하고, 이 복수의 축 방향 통로를 상기 몸체의 상단부면에서 개구시켜 복수의 포트를 마련하고, 이 복수의 포트에 상기 복수의 제1 배관을 접속한다.
이에 의해 종래 구조에 대해 약간의 변경을 가함으로써 몸체의 상단부면에 제1 배관을 집약하여 접속할 수 있다.
(3) 또한,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상단부면은 상기 선회체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위블 조인트의 교환 작업시, 몸체의 상단부면보다 상방의 위치이며, 메인 프레임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1 배관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배관의 제거 작업이 더 용이해지고, 스위블 조인트의 교환 작업이 더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유압 셔블의 선회체와 주행체 사이에 본 발명의 스위블 조인트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선회체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이며, 2a, 2b는 주행체의 트랙 프레임(2)을 구성하는 상측 트랙 프레임 및 하측 트랙 프레임이다. 메인 프레임(1)과 상측 트랙 프레임(2a) 사이에는 상대 회전 가능한 내륜(3a)과 외륜(3b)으로 이루어지는 선회륜(3)이 위치하고, 내륜(3a)은 상측 트랙 프레임 상에 마련된 링 형상의 선회륜 지지부(4)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외륜(3b)은 메인 프레임(1)의 하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내륜(3a)의 내측에는 내부 기어(5)가 절단되고, 선회 모터(6)의 출력축에 마련된 피니온(7)이 맞물려져 있다. 선회 모터(6)는 볼트에 의해 메인 프레임(1)에 고정되고, 피니온(7) 및 출력축 부분은 메인 프레임(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선회륜 지지부(4)의 상부 내측에는 내륜(3a)의 기어(5)와 선회 모터(6)의 피니온(7)의 맞물림부를 윤활하는 그리스 버스(8)가 형성되어 있다.
선회륜(3)의 중심 부분에는 몸체(12)와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13)로 이루어지는 스위블 조인트(11)가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핀들(13)에는 부착판(14)이 마련되고, 스핀들(13)은 이 부착판(14)을 상측 트랙 프레임(2a)의 개구부(19)에 하측으로부터 볼트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상측 트랙 프레임(2a)에 부착되어 있다. 몸체(12)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1)에 개방된 개구부(15) 내에 위치하고, 그 상단부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상측으로 돌출하고, 몸체(12)의 상부에 마련된 스토퍼 돌기부(16)를 메인 프레임(1)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스토퍼 플레이트(17)에 결합시킴으로써, 선회체 메인 프레임(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몸체(12)의 상단부면(12a)에는 선회체에 설치된 주행 모터 및 블레이드 제어용의 밸브 장치(방향 절환 밸브)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배관(호스)(21)이 금구(어댑터)(22)에 의해 집약하여 접속되고, 스핀들(13)의 부착판(14)의 하측 부분에는 주행체에 설치된 주행 모터 및 블레이드 실린더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배관(호스)(23)이 금구(어댑터)(2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하측 트랙 프레임(2b)의 스위블 조인트(11)의 하측 부분에는 작업용의 개구부(26)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6)는 하측 트랙부 프레임(2b)에 하측으로부터 볼트에 의해 고정된 커버(27)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커버(27)는 외부로부터의 돌, 바위, 토사에 의한 스핀들(13)이나 배관(23)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스위블 조인트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2에 스위블 조인트(11)와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5)를 상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다.
스위블 조인트(11)의 몸체(12)의 상단부면(12a)은 개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그 긴 변측 제1 측면의 중앙부에 스토퍼 플레이트(17)의 홈부(18)에 인입하도록 스토퍼부(1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관 접속용의 금구(22)는 몸체(12)의 상단부면(12a)의 도시 상측과 하측에 3개씩, 스토퍼부(16)와 반대측에 1개, 중앙부의 커버(28)에 1개의 합계 8개, 설치되어 있다.
도1로 복귀하여, 스위블 조인트(11)의 부착부가 위치하는 공간은 하측은 스핀들(13)의 부착판(14) 및 상측 트랙 프레임(2a)에 의해, 외주측은 선회륜 지지부(4) 및 선회륜(3)에 의해 폐쇄되고, 상측은 개구부(15)를 갖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12)의 상단부면(12a)에 배관(호스)(21)의 접속용의 금구(22)를 집약 배치하고, 배관(21)을 집약 접속하였기 때문에,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5)와 몸체(12) 사이에, 배관(21)이 통과하거나 배관(21)의 접속 및 제거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지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5)와 몸체(12) 사이의 간극(스페이스)은 매우 작게 할 수 있다(후술). 그 결과, 스위블 조인트(11)의 부착부가 위치하는 공간은, 상측에 있어서도 간극이 적은 폐쇄 공간이 되고, 스위블 조인트(11)의 부착부로의 토사의 낙하 자체가 대폭 저감하고, 스위블 조인트(11)의 내먼지성이나 그리스 버스(8)의 수명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3에 몸체부를 도2의 Ⅲ-Ⅲ선으로 절단한 스위블 조인트(11)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또, 금구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몸체(12)는 좌우(도2의 상측 및 하측)의 측벽 부분(12b, 12c)에 두께부(31, 32)를 갖고, 두께부(31, 32)에는 도2에 도시한 몸체(12)의 상단부면(12a)의 상측과 하측에 마련된 3개씩의 배관 접속용의 금구(22)에 대응하여 축 방향 통로(33, 34) 가 3개씩 형성되고(도3에서는 1개씩만 도시), 축 방향 통로(33, 34)의 상단부는 두께부(31, 32)의 상단부면(12a)에서 개구하고, 배관 접속용의 금구(22)가 접속되는 포트(35, 36)를 형성하고 있다. 스핀들(13)의 외주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하는 몸체(12)의 내주면에는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7개)의 원주 홈(41)이 형성되고, 복수의 원주 홈(41) 중 6개의 원주 홈은 두께부(31, 32)에 형성된 축 방향 통로(33, 34)에 직경 방향 통로(43, 44)를 통해 각각 연통하고 있다. 또, 스핀들(13) 내에는 직경 방향 통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복수의 원주 홈(41)과 각각 연통하는 복수[원주 홈(41)이 7개인 경우는 7개]의 축 방향 통로(45)가 형성되고, 복수의 축 방향 통로(45)는 스핀들의 하단부측에서 각각 복수의 직경 방향 통로(46)에 연통하고, 복수의 직경 방향 통로(46)는 배관 접속용의 금구(24)가 접속되는 포트(47)에 각각 개구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도2에 도시한 스토퍼부(16)와 반대측의 배관 접속용의 금구(22)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몸체(12)의 단면 위치에 축 방향 통로(33, 34)와 마찬가지인 축 방향 통로가 형성되고, 복수의 원주 홈(41)의 하나는 그 축 방향 통로에 연통하고 있다.
스핀들(13)의 상단부면은 몸체(12)의 상단부면(12a) 부근에 위치하고, 위치 결정 링(51)에 의해 상단부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또한, 몸체(12)의 상단부면(12a) 중앙부에는 커버(28)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스핀들(13)의 상단부면은 커버(28)로 덮여져 있다. 커버(28)의 중앙부에는 배관 접속용의 금구(22)가 접속되는 포트(52)가 형성되고, 스핀들(13)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포트(52)에 연통하는 축 방향 통로(53)가 형성되고, 이 축 방향 통로(53)는 스핀들(13)의 하단부면에서 개구하고, 그 개구부(port)에도 배관 접속용의 금구(24)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 통로 구성에 의해, 스핀들(13)에 대해 몸체(12)가 회전한 경우에 있어도, 항상 몸체(12)측의 포트 구멍과 스핀들(13)측의 포트 구멍과의 연통 상태가 유지되고, 그들 포트 구멍에 접속된 몸체(12)측의 배관(21)과 스핀들(13)측의 배관(23)과의 연통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종래 구조에 대해 약간의 변경으로 몸체(12)의 상단부면(12a)에 배관(21)을 집약하여 접속할 수 있다.
몸체(12)의 내주면 하단부측에는 스핀들(13)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더스트 시일(55)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의 몸체(12)의 내주면과 스핀들(13)의 외주면과의 미끄럼 이동면에 토사 등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몸체(12)의 내주면의 먼지 시일(55)의 상측에는 O링 시일(56)이 장착되고, 미끄럼 이동면으로부터의 오일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먼지에 대해서는 더스트 시일(55)이 밀봉 상태를 보유 지지하고, 내부로부터의 오일 누설에 대해서는 O링 시일(56)이 밀봉 상태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도4는 스위블 조인트(11)가 부착되는 유압 셔블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압 셔블은 하부 주행체(70)와, 상부 선회체(71)와, 전방 작업기(72)를 갖고 있다. 하부 주행체(70)는 좌우의 주행 모터(73, 74)를 구비하고, 이 주행 모터(73, 74)에 의해 크롤러(75, 76)가 회전 구동되고, 전방 또는 후방에 주행한다. 상부 선회체(71)에는 선회 모터(6)(도1 참조)가 탑재되고, 이 선회 모터(6)에 의해 상부 선회체(71)가 하부 주행체(70)에 대해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선회된 다. 전방 작업기(72)는 붐(77), 아암(78), 버킷(79)으로 이루어지고, 붐(77)은 붐 실린더(77a)에 의해 상하 이동되고, 아암(78)은 아암 실린더(78a)에 의해 댐프측(개방측) 또는 클라우드측(긁힘측)에 조작되고, 버킷(79)은 버킷 실린더(79a)에 의해 댐프측(개방측) 또는 클라우드측(긁힘측)에 조작된다. 하부 주행체(70)의 전방부에는 블레이드(80)가 부착되고, 블레이드(80)는 블레이드 실린더(80a)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도5는 하부 주행체(70)의 트랙 프레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하부 주행체(70)는 전술한 트랙 프레임(2)을 갖고 있다. 트랙 프레임(2)은 센터 프레임(메인 프레임)(82)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83, 84)으로 이루어지고, 센터 프레임(82)은 전술한 상측 트랙 프레임(2a), 하측 트랙 프레임(2b)을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프레임(83, 84)에는 도4에 도시한 주행 모터(73, 74)와 크롤러(75, 76)가 장착된다. 상측 트랙 프레임(2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회륜 지지부(4)가 마련되고, 선회륜 지지부(4)에 선회륜(3)이 장착된다. 하측 트랙 프레임(2b)에는 본 발명의 스위블 조인트(11)가 장착된다. 상하 트랙 프레임(2a, 2b)의 전방부 중앙 부분에는 블레이드(8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지지부(8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6 및 도7에 종래의 스위블 조인트와 그 부착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중, 도1에 도시한 부재와 동등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6에 있어서, 스위블 조인트(111)는 몸체(112)와 몸체(1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13)로 이루어지고, 스핀들(13)은 부착판(14)을 상측 트랙 프레임(2a)의 개구부(19)에 하측으로부터 볼트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상측 트랙 프레임(2a)에 부착되고, 몸체(112)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1)에 개방된 개구부(115) 내에 위치하고, 몸체(112)에 마련된 스토퍼 돌기부(116)를 메인 프레임(1)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스토퍼 플레이트(117)에 결합시킴으로써, 선회체 메인 프레임(1)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몸체(112)의 측부에는 선회체에 설치된 주행 모터 및 블레이드 제어용의 밸브 장치(방향 절환 밸브)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배관(121)이 금구(122)에 의해 접속되고, 스핀들(13)의 부착판(14)의 하측 부분에는 주행체에 설치된 주행 모터, 블레이드 실린더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배관(23)이 금구(2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7에 스위블 조인트(111)와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15)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다.
스위블 조인트(111)의 몸체(112)의 상단부면은 개략 원형을 이루고 있고, 그 도시 우측의 측부에 스토퍼 플레이트(117)의 홈부(118)에 인입하도록 스토퍼 돌기부(11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관 접속용의 금구(122)는 몸체(112)의 도시 하측의 측부에 4개, 상측의 측부에 3개(도7에서는 2개만 도시), 정부의 커버(28)에 1개의 합계 8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112)의 측부에 마련된 금구(122)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몸체(112)의 직경 방향에 있는 길이 돌출하기 위해,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15)는 금구(122)의 돌출량에 맞춰 상하로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스위블 조인트(111)의 내부 통로는 몸체(112)에는 도3에 도시한 두께부(31, 32)는 없고, 도3에 도시한 몸체(12)의 직경 방향 통로(43, 44)에 상당하는 통로가 몸체(112)에 마련되고, 그 직경 방향 통로가 몸체(112)의 측면에 직접 개구하여 포트를 형성하고, 그 포트에 배관 접속용의 금구(122)가 접속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3에 도시한 것과 동등하며, 스핀들(13)에 대해 몸체(112)가 회전한 경우에 있어도, 항상 몸체(112)측의 포트 구멍과 스핀들(13)측의 포트 구멍과의 연통 상태가 유지되고, 몸체(112)측의 배관(121)과 스핀들(13)측의 배관(123)과의 연통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몸체(112)의 내주면 하단부측에는, 도3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스핀들(13)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더스트 시일 및 O링 시일이 장착되고, 토사 등 먼지의 침입과 내부로부터의 오일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종래 구조에서는, 배관 접속용의 금구(122)가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바닥면의 하측에서 몸체(112)의 측부에 접속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15)와 몸체(112) 사이에 배관(121)이 통과하거나, 배관(121)의 접속 및 제거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로 되고,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15)와 몸체(112) 사이에 큰 간극(스페이스)이 필요로 된다. 이로 인해 그 간극(스페이스)으로부터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상방으로부터 스위블 조인트(111)의 부착부인 스핀들(13)의 부착판(14) 상으로 토사가 떨어지고, 그 부분에 토사가 퇴적되어 몸체(112) 하단부의 스핀들(13)과의 미끄럼 이동부에 물, 토사 등의 먼지가 침입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몸체(112) 하단부의 스핀들(13)과의 미끄럼 이동부에는 더스트 시일이 마련되고, 물, 토사 등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현실은 완전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더스트 시일은 먼지의 침입을 막는 것이 주이며, 물의 침입을 완전히 막는 것은 어렵다. 흙탕물 등이 몸체(112) 하단부의 스핀들(13)과 미끄럼 이동부로부터 침입하고, 녹에 의해 스위블 조인트의 맞물림을 발생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또한, 선회체 메인 프레임(1)과 상측 트랙 프레임(2a) 사이의 스위블 조인트의 주위에는 그리스 버스(8)가 위치하고, 내륜(3a)의 기어(5)와 선회 모터(6)의 피니온(7)의 맞물림부를 윤활하고 있다. 이 그리스 버스(8)는 그 윤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청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구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15)와 몸체(112) 사이의 간극(스페이스)이 크고, 그 간극으로부터 하방으로 토사가 침입하기 때문에, 그 토사가 그리스 버스(8) 상에도 비산한다. 그로 인해, 장기에 그리스 버스(8)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비교적 짧은 기간에 그리스 버스(8)의 교환을 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12)의 상단부면(12a)에, 선회체에 설치된 주행 모터 및 블레이드 제어용의 밸브 장치(방향 절환 밸브)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배관(호스)(21)의 접속용의 금구(22)를 집약 배치하여 배관(21)을 집약 접속하였기 때문에,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5)와 몸체(12) 사이에, 배관(21)이 통과하거나 배관(21)의 접속 및 제거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지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15)와 몸체(12) 사이의 간극(스페이스)은 도7에 도시한 종래 구조에 비교하여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간극(스페이스)으로부터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상측으로부터 스위블 조인트(11)의 부착부인 스핀들(13)의 부착판(14) 상으로 낙하하는 토사는 대폭 감소하고, 그 부분에서의 토사의 퇴적량도 줄고, 몸체(12) 하단부의 스핀들(13)과의 미끄럼 이동부로의 물, 토사 등의 먼지의 침입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블 조인트(11)의 내먼지성은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 그리스 버스(8) 상으로의 토사의 비산도 대폭 저감하기 때문에, 그리스 버스(8)는 장기간 양호한 윤활 성능을 유지하여 그리스 버스의 수명이 향상된다.
또한, 몸체(12)의 상단부면(12a)에 배관 접속용의 금구(22)를 집약 배치하여 배관(21)을 집약 접속하였기 때문에, 금구(22)의 돌출량도 포함시킨 몸체 부분의 실질적 외경은, 종래 구조에 비해 작아지고, 배관 접속부도 포함시킨 스위블 조인트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금구(22) 및 배관(21)은 몸체(12)의 외경 범위 내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배관(21)의 콤팩트한 레이아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6 및 도7에 도시한 종래 구조에서는 몸체(112)와 배관 접속용의 금구는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위블 조인트(111)의 교환시에는 작업원은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개구부와 몸체(112)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손을 넣어 몸체(112)측의 배관(121)의 접속 및 제거를 행해야만 하여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몸체(12)의 상단부면(12a)으로부터 상측의 위치이며,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몸체(12)의 상단부면(12a)에 배관 접속용의 금구(22)를 부착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위블 조인트(11)의 교환 작업시, 선회체 메인 프레임(1)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몸체(12)측의 배관(21)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배관(21)의 제거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그 후 하측 트랙 프레임(1b)에 부착된 커버(27)를 제거하고, 스핀들(13)측의 배관(23)을 제거 및 부착판(14)의 볼트를 제거하여 스위블 조인트(11)를 하방으로 빼냄으로써, 용이하게 스위블 조인트(11)를 제거할 수 있다. 새로운 스위블 조인트를 부착할 때에는 제거 작업의 역의 순서를 행하면 좋다. 이에 의해 스위블 조인트의 교환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블 조인트의 내먼지성 및 교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관 접속부도 포함시킨 스위블 조인트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배관의 콤팩트한 레이아웃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선회체(71, 1)와 일체로 회전하는 몸체(12)와, 주행체(70, 2)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13)을 구비하고, 상기 선회체에 설치된 좌우의 주행 모터용의 밸브 장치와 블레이드 실린더용의 밸브 장치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복수의 제1 배관(21)을 상기 몸체에 접속하고, 상기 주행체에 설치된 좌우의 주행 모터(73, 74)와 블레이드 실린더(80a)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복수의 제2 배관(23)을 상기 스핀들에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2 배관을,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 홈(41) 및 상기 스핀들 내에 형성된 복수의 축 방향 통로(45)를 통해 연통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2 배관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11)로서,
    상기 몸체(12)는, 대향하는 측벽 부분(12b, 12c)의 각각에 다른 측벽 부분보다도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31, 32)를 갖고,
    상기 두께부의 각각에 상기 복수의 원주 홈(41)에 연통하는 복수의 축 방향 통로(33, 34)를 일렬로 설치하고, 이 복수의 축 방향 통로를 상기 몸체의 상단부면(12a)에서 개구시켜 복수의 포트(35, 36)를 마련하고, 이 복수의 포트에 상기 복수의 제1 배관(21)을 접속하고, 상기 몸체(12)의 상단부면(12a)에 상기 복수의 제1 배관(21)을 집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의 상단부면(12a)은 상기 선회체(71)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21) 은 상기 메인 프레임(1)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포트(35, 36)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
  4.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와, 이 상부 선회체에 설치된 좌우의 주행 모터용의 밸브 장치 및 블레이드 실린더용의 밸브 장치 등의 유압 기기와, 상기 하부 주행체에 설치된 좌우의 주행 모터(73, 74) 및 블레이드 실린더(80a) 등의 유압 기기와, 상기 좌우의 주행 모터용의 밸브 장치 및 블레이드 실린더용의 밸브 장치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복수의 제1 배관(21)과 상기 좌우의 주행 모터(73, 74) 및 블레이드 실린더(80a) 등의 유압 기기에 이르는 복수의 제2 배관(23)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스위블 조인트(11)를 갖는 건설 기계로서,
    상기 스위블 조인트는, 상기 상부 선회체(71, 1)와 일체로 회전하는 몸체(12)와, 상기 하부 주행체(70, 2)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스핀들(13)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21)은 상기 몸체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관(23)은 상기 스핀들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21)과 상기 복수의 제2 배관(23)과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 홈(41) 및 상기 스핀들 내에 형성된 복수의 축 방향 통로(45)를 통해 서로 연통하고,
    상기 몸체(12)는, 대향하는 측벽 부분(12b, 12c)의 각각에 다른 측벽 부분보다도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31, 32)를 갖고,
    상기 두께부의 각각에 상기 복수의 원주 홈(41)에 연통하는 복수의 축 방향 통로(33, 34)를 일렬로 설치하고, 이 복수의 축 방향 통로를 상기 몸체의 상단부면(12a)에서 개구시켜 복수의 포트(35, 36)를 마련하고, 이 복수의 포트에 상기 복수의 제1 배관(21)을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21)을 상기 몸체(12)의 상단부면(12a)에 집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의 상단부면(12a)은 상기 선회체(71)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관(21)은 상기 메인 프레임(1)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포트(35, 36)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067002333A 2003-12-18 2004-12-06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 KR101060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1519 2003-12-18
JP2003421519 2003-12-18
PCT/JP2004/018156 WO2005061805A1 (ja) 2003-12-18 2004-12-06 建設機械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759A KR20070018759A (ko) 2007-02-14
KR101060939B1 true KR101060939B1 (ko) 2011-08-30

Family

ID=3470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333A KR101060939B1 (ko) 2003-12-18 2004-12-06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98738B2 (ko)
EP (1) EP1707689B1 (ko)
JP (1) JP4489705B2 (ko)
KR (1) KR101060939B1 (ko)
CN (1) CN100570079C (ko)
WO (1) WO2005061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3235B2 (ja) * 2007-02-22 2012-07-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
KR100985028B1 (ko) * 2007-11-07 2010-10-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산림장비 및 굴삭기용 하부프레임 장착부 구조
KR100974277B1 (ko) * 2008-03-04 2010-08-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유압배관 고정장치
JP5174090B2 (ja) * 2010-06-30 2013-04-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装置
CN102042450B (zh) * 2010-12-06 2012-06-27 长沙中联消防机械有限公司 用于工程机械的中心回转接头
US20120306195A1 (en) * 2011-05-31 2012-12-06 Caterpillar, Inc. High Rotation Linkage Attachment for Hydraulic Lines
CN102322148B (zh) * 2011-06-20 2012-08-29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中心回转装置及工程机械
JP5403013B2 (ja) * 2011-08-24 2014-01-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における配管取付け構造
JP5902313B2 (ja) * 2011-11-30 2016-04-13 ボルボ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ーベー ブームスウィング型掘削機の油圧配管固定装置
CN102720236A (zh) * 2012-06-27 2012-10-10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挖掘机中心回转接头
US8899371B2 (en) * 2012-08-10 2014-12-02 Komatsu Ltd. Bulldozer
WO2015158602A1 (en) 2014-04-15 2015-10-22 Cnh Industrial Italia S.P.A. Swivel joint with hydraulic position signal
ES2643603T3 (es) * 2014-05-23 2017-11-23 Epsilon Kran Gmbh. Grúa
GB2531765B (en) * 2014-10-29 2017-09-13 Bamford Excavators Ltd An undercarriage for a working machine
KR101764898B1 (ko) * 2015-09-09 2017-08-04 김영길 회전 가능한 암을 구비하는 굴삭기
DE202016100061U1 (de) 2016-01-08 2016-01-26 Robert Schreiber Baumaschine mit Ober- und Unterwagen und antreibbarem Anbaugerät
US10161424B2 (en) * 2016-01-26 2018-12-25 2141632 Ontario Inc. Hydraulic rotary manifold
JP7019522B2 (ja) * 2018-06-29 2022-02-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KR20210112471A (ko) * 2020-03-05 2021-09-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스위블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7903A (ja) * 1997-07-30 1999-04-20 Linde Ag 流体静力学的駆動システムのための回転貫通ガイド
JPH11351472A (ja) 1998-06-12 1999-12-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スイベ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回り止め構造
JP2001271382A (ja) * 2000-03-24 2001-10-05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ロータリジョイント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4494A (en) * 1943-08-05 1946-07-23 Marion Steam Shovel Co Rotary seal
US2873810A (en) * 1958-01-20 1959-02-17 Charles L Orton Multiple fluid coupling for relatively movable vehicle parts
US3477746A (en) * 1967-10-03 1969-11-11 Watson Mfg Co Multiline swivel and mounting system
CH520275A (de) * 1970-08-17 1972-03-15 Heberlein & Co Ag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Steuersignalen mittels flüssiger oder gasförmiger Medien
US3910309A (en) * 1974-04-08 1975-10-07 Heinz W Kaiser Rotatable coupling for fluid and electrical services
FR2413603A1 (fr) * 1977-12-30 1979-07-27 Emh Dispositif formant joint tournant a passage multiple de tuyauterie notamment pour colonne de chargement ou de transfert en site marin
US4186763A (en) * 1978-03-20 1980-02-05 Ferguson George R Irrigation system
US4558890A (en) * 1983-02-28 1985-12-17 Pickle Creek Mfg., Inc. Multi-port hydraulic swivel
US4605096A (en) * 1984-05-31 1986-08-12 Bishop Joseph I Ladder base swivel with a through water channel
US5104154A (en) * 1989-04-25 1992-04-1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Swivel joint
JP3195989B2 (ja) * 1990-12-31 2001-08-06 帝人製機株式会社 クローラ車両走行油圧回路
JP2792750B2 (ja) 1991-03-07 1998-09-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クロスコネクトスイッチ及びクロスコネクトスイッチ回路網
US5188146A (en) * 1991-06-11 1993-02-23 Marco Seattle, Inc. Hydraulic swivel
JPH0551943A (ja) * 1991-08-23 1993-03-02 Iseki & Co Ltd 掘削作業車両
JP3046474B2 (ja) 1993-07-07 2000-05-2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経糸制御装置
JPH07291597A (ja) * 1994-04-26 1995-11-07 Aichi Corp:Kk スイベルジョイン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高所作業装置
US5553405A (en) * 1994-07-21 1996-09-10 Toshihiro Industry Co., Ltd. Power-assisted shovel truck equipped with a water-feeding device and a water-draining device
JPH09328778A (ja) 1996-06-12 1997-12-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
US6266901B1 (en) * 1997-07-11 2001-07-31 Komatsu Ltd. Work machine
JP3529124B2 (ja) * 1997-09-30 2004-05-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上部旋回式作業機械
JP2002022024A (ja) * 2000-07-04 2002-01-23 Saitama Kiki Kk スイベルジョイント
US6742308B1 (en) * 2000-10-13 2004-06-01 Albert E. Johnstone, III Swivel joint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ty supply to a rotatable building
JP4678705B2 (ja) * 2000-11-29 2011-04-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駆動式作業機
JP3607929B2 (ja) * 2001-01-31 2005-01-05 ビー・エル・オートテ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ジョイント
JP3951167B2 (ja) * 2001-12-13 2007-08-01 ニッタ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7903A (ja) * 1997-07-30 1999-04-20 Linde Ag 流体静力学的駆動システムのための回転貫通ガイド
JPH11351472A (ja) 1998-06-12 1999-12-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スイベ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回り止め構造
JP2001271382A (ja) * 2000-03-24 2001-10-05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ロータリジョイント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759A (ko) 2007-02-14
EP1707689A4 (en) 2011-04-06
JP4489705B2 (ja) 2010-06-23
CN1839232A (zh) 2006-09-27
CN100570079C (zh) 2009-12-16
WO2005061805A1 (ja) 2005-07-07
JPWO2005061805A1 (ja) 2007-12-13
US7798738B2 (en) 2010-09-21
US20070024052A1 (en) 2007-02-01
EP1707689B1 (en) 2015-02-25
EP1707689A1 (en)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939B1 (ko)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
US6266901B1 (en) Work machine
US20030150138A1 (en) Construction machine
JPS6212157Y2 (ko)
RU147071U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напорного рычага
JP2017133560A (ja) スイベルジョイント
JP2589637Y2 (ja) 電気式ショベル系掘削機の電気油圧用旋回継手
JP3368421B2 (ja) 作業用車両の給脂構造
US20050126055A1 (en) Crawler type traveling apparatus
JPH09328778A (ja) 建設機械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
CN216554918U (zh) 一种挖机连杆、连杆组件及挖机连杆润滑系统
JPH0724438Y2 (ja) バックホー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潤滑構造
JPH0327091Y2 (ko)
JPH08158402A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機給脂装置
JP4269039B2 (ja) 回転体のロック装置と応用物
JPH0336597Y2 (ko)
JP2590020Y2 (ja) 電気式ショベル系掘削機の電気油圧用旋回継手
CN111492110B (zh) 作业机
JPH0657785A (ja) 建設機械の作業機構連結装置
JP3535962B2 (ja) 旋回作業機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とこれを用いた旋回作業機の油圧回路
CN113915226A (zh) 挖机连杆、连杆组件及挖机连杆润滑系统
JPS5911277Y2 (ja) 旋回装置付建設機械の潤滑装置
JP2022131472A (ja) 建設機械
JPH04166521A (ja) 旋回式車両
JP3667849B2 (ja) 電動式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