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287B1 - 음료 - Google Patents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287B1
KR101057287B1 KR1020047021110A KR20047021110A KR101057287B1 KR 101057287 B1 KR101057287 B1 KR 101057287B1 KR 1020047021110 A KR1020047021110 A KR 1020047021110A KR 20047021110 A KR20047021110 A KR 20047021110A KR 101057287 B1 KR101057287 B1 KR 101057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everage
acid
component
ac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2834A (ko
Inventor
시오야야스시
쿠사우라타츠야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068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255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다음의 성분(a), (b) 및 (c):
(a)이소클로로겐산류를 포함하는 클로로겐산류 혼합물 (여기서, 성분(a)중의 이소클로로겐산류 함유 중량비율은 1/3∼1/20임) 0.05∼10중량%、(b)히드록시카르본산류가 성분(a)에 대하여 5∼30중량배이면서 음료 중에 0.25∼15중량%、 및/또는 야채 혹은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이 성분(a)에 대하여 0.1∼30중량배이면서 음료 중에 0.25∼15중량%、(c)물 30∼99.7중량%을 함유하는 음료.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한 혈압강하 작용을 가지면서 맛이 양호해 장기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음료를 얻을 수 있다.
클로로겐산, 혈압강하, 장기보전 안정성, 음료, 히드록시카르본산

Description

음료{BEVERAGE}
본 발명은 혈압강하용 등의 생리 효과를 가지고, 맛이 양호하면서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음료에 관한 것이다.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등의 심질환(heart disease) 혹은 뇌경색, 뇌출혈, 거미밑출혈등의 뇌혈관 질환은, 고혈압과 대단히 깊은 관계가 있고, 일본인의 사망원인의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한다. 또한, 후생성의 국민생활기초조사(1998년도)에 따르면, 고혈압증으로 통원하는 환자수는 일본에서 1000명당 64명이고, 병 원인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이외의 나라에 있어서도 이들의 심질환과 뇌혈관질환은 사망원인의 상위를 차지하고, 또 고혈압증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
고혈압증의 치료수단으로는 우선 이뇨약, 교감신경 억제약, 혈관확장약, 안지오텐신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 등의 의약품의 투여를 들 수 있고, 이들은 주로 중증 고혈압 환자에게 적용된다. 그것에 대해서 식사요법, 운동요법, 음주·흡연의 제한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목적으로 한 일반요법은 경증자에서 중증자까지의 고혈압자에게 널리 적용되는 것으로써 일반요법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식습관의 개선은 중요하다고 여겨져, 전승되고 이는 혈압강하 작용을 가진다고 일컫는 식품이 많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부터 식품 유래의 혈압강하 소재의 탐색이 활발하게 행해져, 혈압강하 작용을 가지는 유효성분의 분리·동정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음식물 소재 중에서 혈압강하 작용을 가지는 성분을 검토하고,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류에 뛰어난 혈압강하 작용이 있음을 발견하였다(일본국 특허공개 2002-5346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87977호 공보). 그러나, 클로로겐산류는 음식품, 특히 음료에 배합했을 경우, 쓴맛이나 떫은맛을 부여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쓴맛이나 떫은맛은 음료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게 나타나 음료를 연속해서 음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압강하 작용을 가지는 클로로겐산류를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맛이 양호하고, 매일 음용할 수 있으면서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음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클로로겐산류에 대하여 일정량의 히드록시카르본산류 및/또는 야채 혹은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flavor; 향료) 물질을 배합하고, 또한 클로로겐산류 중의 이소클로로겐산(isochlorogenic acid)량을 일정범위로 조정하면, 떫은맛이나 쓴맛이 개선되어 후레쉬한 맛으로 음용하기 쉽고, 또한 장기간 안정한 음료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성분(a), (b) 및 (c):
(a)이소클로로겐산류를 포함하는 클로로겐산류 혼합물(여기서, 성분(a) 중의 이소클로로겐산류 함유 중량비율은 1/3∼1/20이다) 0.05∼10중량%、
(b)히드록시카르본산류가 성분(a)에 대하여 5∼30중량배, 또한 음료 중에 0.25∼10중량%、 및/또는 야채 혹은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이 성분(a)에 대하여 0.1∼30중량배, 또한 음료 중에 0.25∼10중량%、
(c)물 30∼99.7중량%를 함유하는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에 사용되는 클로로겐산류 혼합물(성분(a))에는, 이소클로로겐산, 네오클로로겐산(neochlorogenic acid), 크립토클로로겐산(cryptochlorogenic acid) 등의 클로로겐산류 및 그들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클로로겐산은 퀸산(quinic acid)의 5위치의 수산기에 카페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5-카페오일퀸산(caffeoylquinic acid)이며, 크립토클로로겐산은 퀸산의 4위치의 수산기에 카페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4-카페오일퀸산이며, 네오클로로겐산은 퀸산의 3위치의 수산기에 카페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3-카페오일퀸산이다. 이소클로로겐산은 퀸산의 3위치, 4위치 및 5위치의 수산기 중, 2개의 수산기에 카페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디카페오일퀸산(예를 들면 3,4-디카페오일퀸산, 3,5-디카페오일퀸산, 4,5-디카페오일퀸산)이다. 그 밖의 클로로겐산류로서는 퀸산의 3위치, 4위치 및 5위치의 수산기의 중 1개의 수산기에 페룰산(ferulic acid)이 에스테르 결합한 페룰릴퀸산(ferulylquinic acid) (예를 들면, 5-페룰릴퀸산), 퀸산의 3위치, 4위치 및 5위치의 수산기 중 2개의 수산기에 카페산과 페룰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페룰릴카페오일퀸산 (예를 들면 3-페룰릭-4-카페오일퀸산) 등이다. 또한 이소클로로겐산류, 클로로겐산류 등의 유도체로서는 염, 당에스테르 등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 이소클로로겐산류, 클로로겐산류등의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성분(a)으로서는 식물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성분(a)은 단일식물 또는 식물의 혼합물의 어느 하나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 중, 차조기(beefsteak plant), 해바라기, 쑥, 고구마, 커피생콩, 남천잎, 미숙사과 등의 식물체로부터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커피생콩 추출물, 특히 꼭두서니과(rubiaceae) 커피(Coffea arabica LINNE)의 종자로부터 온기의 아스코르빈산, 구연산 산성수용액 또는 열수에서 추출해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추출물을 이용한 성분(a)의 화학 수식물을 블렌드해 사용해도 좋다.
성분(a) 중의 이소클로로겐산류량, 즉 성분(a) 중의 이소클로로겐산류 함유 중량비율은 1/3∼1/20이지만, 1/4∼1/15가 보다 바람직하고, 1/5∼1/10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함유 중량비율이 1/3을 초과하면 떫은맛이나 쓴맛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고, 한편 1/20미만이면 음료의 안정성이 좋지 않다. 함유 중량비율의 조정은 클로로겐산류의 함유량이 상이한 식물 추출액을 블렌드하는 방법; 컬럼분리, 추출, 화학합성 등에 의한 클로로겐산류를 사용해, 상기 식물 추출물과 블렌드하는 방법; 일본국 특허공개 평9-9603호 공보의 기재와 같이 수지로의 흡착·탈착 처리 등에 의해 클로로겐산류를 선택적으로 용출하고, 이것을 상기 식물 추출물과 블렌드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음료 중의 성분(a)의 함유량은, 0.05∼10중량%이지만, 0.07∼5.0중량%、 특히 0.10∼1.0중량%가 바람직하다. 성분(a)의 함유량이 0.05중량%미만에서 는 충분한 강압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성분(a)에 의한 떫은맛이나 쓴맛이 강해진다.
본 발명 음료에 사용되는 히드록시카르본산(성분(b))으로서는 분자량 60∼300의 히드록시카르본산, 예를 들면, 젖산, 구연산, 글루콘산, 글리콜산, 사과산, 주석산, 아스코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히드록시카르본산에는 화학 합성물의 기타, 천연물, 특히 식물 중에 원래 함유되어 있는 것, 추출 및/또는 분획 시의 화학적 처리에 의해서 변환한 것 및 화학적 수식을 행한 것 등도 포함된다. 이 천연물에 유래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농림규격으로 정해진 양조초(fermented vinegar) 등 혹은 그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말하는 양조초라함은 초산발효에 의해 만들어진 식초를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쌀이나 다른 곡물을 원료로 하는 곡물초, 예를 들면 현미와 누룩을 원료로서 한번 발효에 의한 정치법 양조로 만들어지는 "kurozu"라 불리는 곡물초 등, 사과나 포도 혹은 그 밖의 과실을 원료로 하는 과실초, 곡물초와 과실초 이외의 양조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과즙 혹은 그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오렌지, 귤, 사과, 포도, 파인애플, 복숭아, 그레이프후루츠, 레몬, 배, 서양배, 매실, 네이블, 딸기, 패션프루트, 멜론, 라임, 구아바, 살구, 시크와샤(ashekwasha; 감귤류), 카보스(citrus sphaerocarpa), 뽕깡, 이요칸(감귤류), 핫사쿠(감귤류), 크랜베리, 바나나, 자두, 망고, 키위후르츠, 굴, 아세롤라 등의 과즙, 혹은 이들의 혼합과즙, 농축물, 혹은 이들의 물, 에탄놀, 메타놀, 초산,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 초산 에틸, n-헥산, 아세톤、벤젠, 석유 에테르, 에테르 등에 의한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물, 에탄놀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야채 또는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성분(b)) 중에서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후루츠 플레이버)로서는 종자식물의 식용생식 부분, 특히 종자에 따른 단맛과실을 가지는 부분에서 얻어지는 플레이버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오렌지, 귤, 사과, 포도, 파인애플, 복숭아, 그레이프후루츠, 레몬, 배, 서양배, 매실, 네이블, 딸기, 패션프루트, 멜론, 라임, 구아바, 살구, 시크와샤, 카보스, 뽕깡, 이요칸, 핫사쿠, 크랜베리, 바나나, 자두, 망고, 키위후루츠, 굴, 아세롤라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플레이버를 들 수 있다. 또한 후루츠 플레이버란 용어는 천연원으로부터 얻어지는 후루츠 플레이버를 구성하기 위해서 합성된 플레이버도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후루츠 플레이버는 오렌지, 레몬, 라임 및 그레이프후르츠 플레이버를 포함시킨 시트러스(citrus) 플레이버이다. 사과, 그레이프, 체리, 파인애플, 코코넛 등의 후루츠 플레이버도 사용 가능하다. 이들의 후루츠 플레이버는 후르츠 주스 및 향유와 같은 천연원에서 얻어도 또는 합성해도 좋다. 또한 오렌지, 레몬, 라임, 애플 및 그레이프를 포함시킨 후르츠 주스도 플레이버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들의 플레이버 물질은 농축물을 사용하는 것이 배합상 바람직하다.
또한 야채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로서는 야채의 뿌리, 잎에서 얻어지는 플레이버를 들 수 있다. 야채 플레이버 물질에도 후루츠 플레이버와 같이 합성된 플레이버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당근, 토마토, 제이레드(jeyred; 고구마), 아스파라거스, 모로헤이야(jew's mallow), 파슬리, 시금치, 평지(brassica), 셀러리, 양 배추, 피망, 브로콜리, 무우잎, 레터스, 배추, 무우, 생강, 호박, 아스파라거스, 가지, 비트(beet), 크레송 등에서 얻어지는 플레이버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플레이버 물질도 농축물을 사용하는 것이 배합상 바람직하다.
이들의 히드록시카르본산류 및 야채 또는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은 일종이라도 이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 음료 중의 히드록시카르본산류의 함유량은 성분(a)에 대하여 5∼30중량배이지만, 5∼20중량배, 특히 5∼15중량배가 바람직하다. 또한 히드록시카르본산류의 음료 중의 함유량은 0.25∼15중량%이지만, 0.25∼10중량%、 특히 0.35∼5중량%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카르본산류의 함유량이 성분(a)의 5중량배미만 또는 음료 중에 0.25중량%미만에서는 히드록시카르본산류에 의한 떫은맛, 쓴맛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없고, 30중량배 또는 15중량%을 초과하면 산미가 지나치게 강해져 장기간 음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 음료 중의 상기 플레이버 물질의 함유량은 성분(a)에 대하여 0.1∼30중량배이지만, 0.5∼30중량배, 특히 5∼20중량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버 물질의 음료 중의 함유량은 0.25∼15중량%이지만, 0.25∼10중량%、 특히 0.35∼5중량%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버 물질의 함유량이 성분(a)의 0.1중량배미만 또는 음료 중에 0.25중량%미만에서는 상기 플레이버 물질에 의한 떫은맛, 쓴맛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없고, 30중량배 또는 15중량%을 초과하면 산미가 지나치게 강해져 장기간 음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버 물질의 함유량은 농축물질을 사용할 경우, 당 이외의 가용성 고형물질의 환산이다.
본 발명 음료에는 물(성분(c))을 30∼99.7중량%、바람직하게는 40∼99.7중량%、보다 바람직하게는 50∼99.7중량% 함유한다. 물의 함유량이 30중량%미만에서는 맛이 나쁘고, 배합하는 중에 잘 녹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음료의 pH는 생리효과를 가지는 성분(a)의 장기 안정성의 점에서 2∼5, 더욱 2.5∼5, 특히 3.0∼5.0이 바람직하다. 또 탄산음료로 할 경우의 pH는 2.5∼4.0, 더욱 3.0∼4.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음료의 pH의 조정은 식용산 또는 유기 식용산의 첨가에 의해 행해진다. 사용 가능한 식용 유기산으로서는 상기 히드록시카르본산의 기타, 푸말산, 아지핀산, 초산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산은 그들의 비해리형 또는 각각 그들의 염으로서도 존재할 수 있다.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약학상 허용되는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에는 감미료, 상기 이외의 플레이버 성분, 증량제, 유화제, 에멀션 안정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감미료로서는 단당, 이당 감미료, 당알코올, 무칼로리 감미료 등을 들 수 있다. 단당, 이당류로서는 슈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프락토오스(fructose), 고프락토오스 콘시럽(high fructose corn syrup), 전화시럽(invert syrup), 정제시럽, 콘시럽, 말토오스, 고말토오스 시럽 및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당류는 슈크로오스 및 고프락토오스 콘시럽이다. 당알코올로서는 소르비톨, 만니톨 및 크실리톨을 들 수 있다. 무칼로리 감미료의 예로서는 아스파르테임, 사카린, 사이클라메이트류(cyclamate), 아세토설팜(acetosulpham), 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저급알킬 에스테르 감미료, L-아스파 르틸-D-알라닌아미드류(미국특허 제4,411,925호), L-아스파르틸-D-세린아미드류(미국특허 제4,399,163호), L-아스파르틸히도록시메틸 알칸아미드 감미료(미국특허 제4,338,346호), L-아스파르틸-1-히드록시에틸 알칸아미드 감미료(미국특허 제4,423,029호), 글리세린류, 합성알콕시 방향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감미료는 당도(Brix)가 0.01∼20, 더욱 0.1∼20, 특히 3∼15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rix가 20이상을 초과하면 지나치게 달고 마시기 어렵다.
유화제 및 에멀션 안정제의 예로서는 취소화 식물유, 로진에스테르, 검, 펙틴(pectin)류,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류, 소르비탄 에스테르류 및 프로필렌 글리콜 알긴산(propylene glycol alginate)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는 용기 포장 음료의 형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성분(a), (b), (c) 및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해 용기에 충전하고, 살균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살균수단은 레토르트살균, UHT살균의 어느 것이여도 좋다. 여기서 용기로서는 금속캔, PET병, 종이팩, 튜브팩, 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의 형태로서는 과즙 또는 야채즙 첨가의 주스음료, 탄산 첨가 청량음료, 과즙 등의 첨가가 적은 또는 없는 청량음료, 튜브팩에 들어간 젤리 음료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 히드록시카르본산 및 클로로겐산류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히드록시카르본산의 분석법
일본의 후생성 환경위생국 식품화학과편: "식품 중의 식품첨가물 분석법" Kodansha Scientific(1998.8.1 제6쇄)에 준하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한다.
클로로겐산류의 분석법
ODS-2 역상컬럼을 이용하고, 용리액 A(0.05M초산 3vol% 아세토니트릴 수용액)과 용리액 B(0.05M초산 100vol% 아세토니트릴 용액)로 기울기 용리하였다. 표준품과 RT(머무름 시간)를 비교하고 동정(同定)하였다.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15
표 1∼4의 조성의 용기 포장 음료를 조제하고, 하기 항목을 평가하였다.
1. 맛(쓴맛, 떫은맛, 낯선맛(foreign teste))
전문 패널 10명을 선택해서 관능평가를 행하였다.
이 경우, 대조로서는 클로로겐산류를 첨가하지 않는 플라시보(placebo) 음료를 사용하고, 향기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4와 같다.
한편, 표 1∼4 중의 평가 점수는 하기의 기준으로 채점(1∼4점)한 각 패널의 평균점이다.
(채점 기준)
떫은맛, 쓴맛, 낯선맛을 매우 강하게 느낌: 4점,
떫은맛, 쓴맛, 낯선맛을 강하게 느낌: 3점,
떫은맛, 쓴맛, 낯선맛을 느낌: 2점,
떫은맛, 쓴맛, 낯선맛을 약간 느낌: 1점,
떫은맛, 쓴맛, 낯선맛을 느끼지 않음: 0점
2. 앙금발생 억제
투명의 100mL병에 옮기고, 뚜껑을 꽉 닫은 다음
80도로 가열한 뒤, 25도의 방에서 방치해 서서히 냉각함.
24시간 후에 가볍게 흔들어 앙금의 발생을 평가함.
평점 ○ 앙금은 보이지 않음
△ 약간 보임
× 확실하게 앙금의 발생이 확인됨
Figure 112004061215340-pct00001
Figure 112004061215340-pct00002
Figure 112004061215340-pct00003
Figure 112004061215340-pct00004
표 1∼4에서 명백하듯이 성분(a) 중의 이소클로로겐산량이 1/3보다도 많은 경우(비교예 1, 8)는 맛이 쓰고, 떫은 것이며, 한편 상기 이소클로로겐산량이 1/20보다도 적은 경우(비교예 2, 4, 7, 9, 10, 12∼15)는 앙금이 발생해 음료로서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성분(b)이 성분(a)에 대하여 30중량배를 초과할 경우(비교예 3, 11)는 맛이 지나치게 시큼하여 장기간 음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 히드록시카르본산류(b)가 성분(a)에 대하여 5중량배미만의 경우(비교예 5, 6)는 떫은맛, 쓴맛, 낯선맛을 느낀다. 또한, 플레이버 물질(b)이 성분(a)에 대하여 0.1중량배미만의 경우도 떫은맛, 쓴맛, 낯선맛을 느낀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 음료는 맛도 양호하면서 앙금의 발생도 없고 장기간 안정하였다.
실시예 19 젤리형상 음료
로커스트빈검 0.35중량%、그레이프후루츠의 50% 농축과즙(당도 18) 30.0중량%、구연산 1.4중량%、구연산 Na 1.1중량%、커피원두 추출물(하세가와향료(주) 제품 "Flavor Holder"(클로로겐산류 혼합물 30중량%、이소클로로겐산:클로로겐산류 혼합물=0.16/1)) 1.8중량%을 혼합하고, 과당 포도당 16중량%、나아가 물을 첨가해 100중량%로 조정하고, 65도로 용해하였다. 나아가 소량의 그레이프후르츠 플레이버를 첨가해서 85도로 5분간 보유한채 살균처리한 후, 100mL의 용기에 분배하여 주입하였다. 8시간 정치(靜置)해 서서히 냉각하면서 5도까지 냉각하고, 겔화시켜서 입에 넣었을 때에 입에서는 녹는 느낌이 양호하고, 과실풍미를 가지면서 식감이 양호한 젤리형상의 음료를 얻었다. (당도 17.5)

실시예 20 과즙음료(당도 11)
오렌지 과즙 70중량%
인삼즙 25중량%
커피원두 추출물(하세가와향료(주) 제품 Flavor Holder, (실시예 5와 동일)
0.4중량%
레몬 과즙 1중량%
꿀 1.5중량%
향료 0.1중량%
물 2.0중량%
(클로로겐산, 히드록시카르본산량 (분석값))
클로로겐산총량 120mg 중에서 이소클로로겐산 20mg (1/6)
구연산 및 그 염 700mg
사과산 및 그 염 100mg
수분 82.2g
상기 조성의 음료는 보존 안정성도 높고 또 풍미도 맛도 양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한 혈압강하 작용을 가지면서 맛이 양호해 장기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음료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다음의 성분(a), (b) 및 (c):
    (a)이소클로로겐산류(isochlorogenic acid)를 포함하는 클로로겐산류(chlorogenic acid) 혼합물(여기서, 성분(a) 중의 이소클로로겐산류 함유 중량비율은 1/3∼1/20임) 0.05∼10중량%、
    (b)히드록시카르본산류가 성분 (a)에 대하여 5~30중량배이면서 음료 중에 0.25~15중량%, 야채 또는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이 성분 (a)에 대하여 0.1~30중량배이면서 음료 중에 0.25~15중량% 또는 이들의 혼합물、
    (c)물 30∼99.7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2. 제1항에 있어서, pH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3. 제1항에 있어서, 당도(Brix)가 0.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이 식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이 커피생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용기 내에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7. 다음의 성분(a), (b) 및 (c):
    (a)이소클로로겐산류를 포함하는 클로로겐산류 혼합물(여기서, 성분(a) 중의 이소클로로겐산류 함유 중량비율은 1/3∼1/20임) 0.05∼10중량%、
    (b)히드록시카르본산, 야채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 및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이며, 여기서, 상기 히드록시카르본산량이 성분(a)에 대하여 5∼30중량배이면서 음료 중에 0.25∼15중량%、또한 상기 야채 또는 과일 유래의 플레이버 물질이 성분(a)에 대하여 0.1∼30중량배이면서 음료 중에 0.25∼15중량%、및
    (c)물 30∼99.7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KR1020047021110A 2002-06-28 2003-06-27 음료 KR101057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0689 2002-06-28
JP2002190690 2002-06-28
JPJP-P-2002-00190690 2002-06-28
JP2002190689A JP3662555B2 (ja) 2002-06-28 2002-06-28 飲料
PCT/JP2003/008201 WO2004002242A1 (ja) 2002-06-28 2003-06-27 飲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834A KR20050012834A (ko) 2005-02-02
KR101057287B1 true KR101057287B1 (ko) 2011-08-16

Family

ID=3000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110A KR101057287B1 (ko) 2002-06-28 2003-06-27 음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51717B2 (ko)
EP (1) EP1552756A4 (ko)
KR (1) KR101057287B1 (ko)
CN (1) CN100446685C (ko)
AU (1) AU2003244134A1 (ko)
WO (1) WO20040022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74B1 (ko) 2005-07-29 2013-05-2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용기에 담긴 밀크 커피 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8428B2 (en) * 2005-03-16 2012-01-03 Kao Corporation Packaged coffee drink
US8945655B2 (en) * 2007-07-10 2015-02-03 Conopco, Inc. Stable and consumable compositions
CN101790317B (zh) * 2007-08-30 2012-11-07 花王株式会社 速溶粉末饮料
EP2332425A4 (en) 2008-09-02 2015-07-15 Takasago Perfumery Co Ltd flavoring
MY172574A (en) * 2012-12-28 2019-12-03 Kao Corp Dicaffeoylquinic acid-containing drink
EP3154362A4 (en) * 2014-06-13 2018-02-21 Goel, Pawan Kumar Green coffee bean extract and method thereof
CA3078516A1 (en) 2017-10-06 2019-04-11 Cargill, Incorporated Methods for making yerba mate extract composition
WO2019082548A1 (ja) * 2017-10-25 2019-05-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ピロロキノリンキノン含有酸性飲料及びピロロキノリンキノンの析出抑制方法
US20200305483A1 (en) * 2017-12-22 2020-10-01 Firmenich Sa Sourness enhancers comprising a cyclohexanecarboxylic acid
WO2019180140A2 (en) * 2018-03-22 2019-09-26 Firmenich Sa Flavored articles having a reduced ph
JP7391993B2 (ja) 2019-04-06 2023-12-05 カーギ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植物抽出組成物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WO2020210118A1 (en) 2019-04-06 2020-10-15 Cargill, Incorporated Sensory modifiers
GB2602596A (en) * 2019-08-27 2022-07-06 Non Australia Pty Ltd Natural non-alcoholic beverage products with enhanced natural flavour and taste profil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0339B2 (ja) * 1994-07-14 2003-06-23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飲料の香味劣化防止剤および飲料の香味劣化防止方法
JPH09266767A (ja) * 1996-03-29 1997-10-14 Meiji Seika Kaisha Ltd サンザシ抽出物入り持久力向上飲食品
JP2000063827A (ja) * 1998-08-26 2000-02-29 Dainippon Ink & Chem Inc 抗酸化剤の製造方法
JP4013018B2 (ja) 1999-06-02 2007-11-28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色素退色防止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
AU2001274538A1 (en) 2000-06-20 2002-01-02 Calpis Co., Ltd. Acidic milky drink
US6458392B1 (en) * 2000-07-12 2002-10-01 Kao Corporation Preventive, alleviative or remedy for hypertension
JP3548102B2 (ja) * 2000-08-07 2004-07-28 花王株式会社 高血圧症予防・治療剤
US6991812B2 (en) 2000-09-05 2006-01-31 Kao Corporation Agen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74B1 (ko) 2005-07-29 2013-05-2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용기에 담긴 밀크 커피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1717B2 (en) 2010-01-26
AU2003244134A1 (en) 2004-01-19
WO2004002242A1 (ja) 2004-01-08
EP1552756A1 (en) 2005-07-13
KR20050012834A (ko) 2005-02-02
CN100446685C (zh) 2008-12-31
EP1552756A4 (en) 2005-11-16
US20050147728A1 (en) 2005-07-07
CN1665405A (zh)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83560B2 (ja) 甘味飲料及び甘味組成物
JP6244016B2 (ja) レバウジオシド甘味料組成物及び該レバウジオシド甘味料組成を用いて甘味を付与された食品製品
RU2658988C2 (ru) Получение и включение в напитки сопутствующих продуктов для улучшения обмена веществ и пищеварения
KR101057287B1 (ko) 음료
US20030008057A1 (en) Food products
RU2664311C2 (ru) D-псикоза в замороженных напитках нулевой или низкой калорийности
JP4699562B1 (ja) 粒子含有炭酸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61511A (ja) 風味改善剤、これを用いた風味改善方法及び飲食品
JP2011103783A (ja) 容器詰野菜飲料
US20210084949A1 (en) Flavored articles having a reduced ph
JP3249747B2 (ja) 野菜・果物類の青臭み、酸味等の抑制方法
JP3662555B2 (ja) 飲料
JP2001095541A (ja) ビター系炭酸飲料
RU2672498C1 (ru) Модуляция горечи и вкусовых ощущений посредством синергических смесей длинноцепочечных жирных кислот
JP6931289B2 (ja) 甘味増強剤および甘味増強用香料組成物
JP3769268B2 (ja) 飲料
Cohe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flavour quality of ‘Mineola’tangerines. I. Effects of fruit size and within-tree position
JP6839629B2 (ja) ほうれん草汁含有飲食品
JP6962718B2 (ja) 飲食品用コク味増強剤及び飲食品のコク味増強方法
JP7486814B2 (ja) 酸刺激抑制剤
JP7017663B1 (ja) 酢酸含有飲料
US20230013964A1 (en) Rare Sugars in Food and Beverage Products
Boone The effects of non-nutritive sweeteners in Florence’s Homestyle Cha-Cha
Gowthami et al. Production of Biosweetner from Stevia Rebaudiana and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it in Fruit Juice
JP2024053439A (ja) ステビオール配糖体を含む飲料の製造方法および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211

Effective date: 2011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