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194B1 -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 Google Patents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194B1
KR101044194B1 KR1020087010080A KR20087010080A KR101044194B1 KR 101044194 B1 KR101044194 B1 KR 101044194B1 KR 1020087010080 A KR1020087010080 A KR 1020087010080A KR 20087010080 A KR20087010080 A KR 20087010080A KR 101044194 B1 KR101044194 B1 KR 10104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s barrier
laminate
iii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789A (ko
Inventor
히데키 쿠와타
타카요시 오쿠즈
무네히로 미야케
미츠오 요시다
쥰지 오카모토
쿠니히코 오자키
미유키 카모시타
레이코 우에노
Original Assignee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6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5Next to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09Particulate metal or metal compound-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플라스틱 기재(I);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Ⅱ); 1가의 금속화합물(D) 및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로 형성되는 오버코트층(Ⅲ); 및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로 형성되는 탑코트층(Ⅳ);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리어층(Ⅱ)이 상기 플라스틱 기재(I)에 직접 또는 앵커 코트층을 개재하여 플라스틱 기재(I) 위에 적층되며, 상기 오버코트층(Ⅲ)이 상기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적층되는 동시에, 상기 탑코트층(Ⅳ)이 상기 오버코트층(Ⅲ)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플라스틱 기재, 가스 배리어층, 탑코트층, 오버코트층, 배리어성 적층체

Description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GAS BARRIER MULTILAYER BODY}
본 발명은 고습도하에 장시간 보존되어도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강도, 투명성, 성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포장재료로서 폭넓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산소 등의 가스 투과성이 커서 일반식품, 레토르트 처리식품, 화장품, 의료용품, 농약 등의 포장에 사용했을 경우, 장기간 보존하는 중에 필름을 투과한 산소 등의 가스에 의해 내용물에 변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에 폴리염화비닐리덴(이하 "PVDC"로 약기함)의 에멀젼 등을 코팅하고,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PVDC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이 식품포장 등에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PVDC는 소각시에 산성가스 등의 유기물질을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 환경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타재료에의 이행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PVDC를 대신하는 재료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로 약기함)은 유독가스의 발생도 없고 저습도 분위기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도 높다. 그러나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급격하게 가스 배리어성이 저하하므로, 수분을 포함하는 식품 등의 포장 에는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PVA의 고습도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의 저하를 개선한 폴리머로서, 비닐알코올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하 "EVOH"로 약기함)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습도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을 실용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틸렌의 공중합비를 어느 정도 높게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폴리머는 물에 난용(難溶)이 된다. 그래서 에틸렌의 공중합비가 높은 EVOH를 이용하여 코팅제를 얻기 위해서는, 유기용매 또는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유기용매의 사용은 환경문제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고, 유기용매의 회수공정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수용성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액상 조성물을 필름에 코팅하고, 고습도하에서도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시키는 방법으로서, PVA와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의 부분 중화물로 이루어지는 수용액을 필름에 코팅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양 폴리머를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가교(架橋)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7 참조). 그러나 이들 공보에 제안되는 방법에서는, 고도한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고온에서의 가열처리 또는 장시간의 가열처리가 필요하고, 제조시에 다량의 에너지를 요하기 때문에 환경에의 부하가 적지 않다. 더욱이, 고온으로 열처리하면 가스 배리어층을 구성하는 PVA 등의 변색이나 분해의 우려가 생기는 등,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 등의 기재(基材)에 주름이 생기는 등의 변형이 생겨 포장용 재료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플라스틱 기재의 열화를 막기 위해서는, 고온가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특수한 내열성 필름을 기 재로 할 필요가 있어 범용성, 경제성의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한편, 열처리 온도가 낮으면 매우 장시간 처리할 필요가 있어 생산성이 저하해 버린다.
또한, PVA에 가교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PVA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교밀도의 증가와 함께 PVA 필름의 산소가스 배리어성의 습도 의존성은 작아지지만, 그 반면 PVA 필름이 본래 갖고 있는 건조 조건하에서의 산소가스 배리어성이 저하해버려, 결과로서 고습도하에서의 양호한 산소가스 배리어성을 얻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폴리머 분자를 가교함으로써 내수성은 향상하지만, 가스 배리어성은 산소 등의 비교적 작은 분자의 침입이나 확산을 막는 성질로서 단지 폴리머를 가교해도 가스 배리어성이 얻어진다고는 할 수 없고,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나 페놀 수지 등의 삼차원 가교성 폴리머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있지 않다.
PVA와 같은 수용성의 폴리머를 이용하면서도 고습도하에서도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종래보다도 저온 또는 단시간의 가열처리로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8∼10 참조).
특허문헌 8∼10에 기재되는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는, 수용성의 폴리머를 이용하면서도 특허문헌 1∼7에 기재되는 코팅제보다도 저온 또는 단시간의 가열로 고습도하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8∼10에 기재된 PVA 중의 수산기와 에틸렌-말레인산공중합체 중의 COOH를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혹은 금속 가교구조를 도입한다고 하는 방법에서는,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가스 배리어성의 향상에는 한계 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기술을 개선하여 더욱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1∼14 참조). 이들 문헌에는 PVA 및 에틸렌-말레인산공중합체를 특정한 금속염으로 부분 중화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성 도료를 가열처리함으로써, 특허문헌 8∼10에 기재된 것보다도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 도막이 얻어진다는 것, 및 그렇게 해서 얻어진 가스 배리어성 도막을 물의 존재하, 또는 특정한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물의 존재하에 열처리함으로써, 더욱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 도막이 얻어진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물(또는 특정한 금속을 포함하는 물)의 존재하에 있어서 열처리를 행하는 방법으로서, 온수 침지(浸漬), 온수 분무, 고습도하에서의 보존, 수증기 가열 등의 방법을 들 수 있고, 처리온도 90℃ 이상, 처리시간 1분 이상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가스 배리어층이 도공된 필름을 비교적 장시간 물과 접촉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산공정의 번잡화, 생산성의 저하가 예상된다. 게다가 처리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열이나 흡수(吸水)에 의한 영향이 커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와 같은 흡수성이 높은 필름을 기재로서 이용한 경우 등에는 변형이나 컬링(curling)과 같은 품질에 대한 악영향이 문제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가스 배리어성의 향상이 점점 더 요구되고 있는 오늘날, 종래 기술만으로는 보다 고성능, 고품질의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공업적으로 효율 좋게 얻는 것은 곤란했다. 게다가, 코팅제 중에 금속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조막성(造膜性)이 악화하고, 히트실(heat seal)층과의 라미 네이트 구성체(적층물)를 작성했을 때에 밀착력, 내열성, 내수성의 저하를 불러와 실용성능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06-22022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평07-10208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평07-20537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 평07-266441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 평08-041218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37180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공개특허 2000-000931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공개특허 2001-323204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공개특허 2002-020677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국 공개특허 2002-241671호 공보
특허문헌 11: 일본국 공개특허 2004-115776호 공보
특허문헌 12: 일본국 공개특허 2004-137495호 공보
특허문헌 13: 일본국 공개특허 2004-136281호 공보
특허문헌 14: 일본국 공개특허 2004-322626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고온 고습도하에 장시간 보존되어도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종래보다도 온화한 조건에서 그리고 공업적으로 효율 좋게 생산 가능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수지 조성의 가스 배리어성 도료를 플라스틱 기재 위에 도포, 가열처리하여 형성한 가스 배리어층(gas barrier layer)과, 특정한 금속화합물을 함유하는 오버코트층(overcoat layer)과, 탑코트층(top coat layer)을 순차 적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적층체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은 플라스틱 기재(I);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Ⅱ); 1가의 금속화합물(D) 및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로 형성되는 오버코트층(Ⅲ); 및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로 형성되는 탑코트층(Ⅳ);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리어층(Ⅱ)이 상기 플라스틱 기재(I)에 직접 또는 앵커 코트층(anchor coat layer)을 개재하여 플라스틱 기재(I) 위에 적층되며, 상기 오버코트층(Ⅲ)이 상기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적층되는 동시에, 상기 탑코트층(Ⅳ)이 상기 오버코트층(Ⅲ)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에 관한다.
다른 본 발명은, 플라스틱 기재(I)에 직접 또는 앵커 코트층을 개재하여 플라스틱 기재(I) 위에,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를 이용하여 가스 배리어층(Ⅱ)을 형성하는 것; 상기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1가의 금속화합물(D) 및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이용하여 오버코트층(Ⅲ)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오버코트층(Ⅲ) 위에,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를 이용하여 탑코트층(Ⅳ)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관한다.
다른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 및 히트실층(Ⅵ);을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이 직접 또는 인쇄 잉크층을 개재하여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의 탑코트층(Ⅳ) 위 또는 플라스틱 기재(I) 위에 적층되며, 상기 히트실층(Ⅵ)이 상기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 위에 적층되어 있는 적층물에 관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에 관한다.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이하, 간단히 "적층체"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는, 플라스틱 기재(I);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Ⅱ); 1가의 금속화합물(D) 및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로 형성되는 오버코트층(Ⅲ); 및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로 형성되는 탑코트층(Ⅳ);을 포함하고, 이들 각 층이 (I)(Ⅱ)(Ⅲ)(Ⅳ)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가스 배리어층(Ⅱ)은, 플라스틱 기재(I)에 직접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앵커 코트층을 개재하여 플라스틱 기재(I) 위에 플라스틱 기재/앵커 코트층/가스 배리어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고습도하에 장시간 보존되어도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종래보다도 온화한 조건에서 그리고 공업적으로 효율 좋게 생산 가능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재(I)>
플라스틱 기재(I)는 열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blow molding), 연신 블로우 성형(stretch blow molding) 혹은 드로우 성형(draw molding) 등의 수단으로 제조된 필름형상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보틀(bottle), 컵, 트레이(tray) 등의 각종 용기형상을 나타내는 기재여도 된다. 이 플라스틱 기재(I)는 단일 층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동시 용융 압출이나 그 밖의 라미네이션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플라스틱 기재(I)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올레핀계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스티렌계공중합체, 염화비닐계공중합체, 아크릴계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는데, 올레핀계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올레핀계공중합체로서는, 저-, 중- 혹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線狀)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에틸렌-부텐공중합체, 이오노머(ionomer),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 등;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유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 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로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4,6, 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meta-xylylene adipamide) 등;
스티렌계공중합체로서는,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블록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ABS 수지) 등;
염화비닐계공중합체로서는,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 등;
아크릴계공중합체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46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유산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용융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에는, 소망에 따라 안료,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활제(lubricants), 방부제 등의 첨가제의 1종류 혹은 2종류 이상을 수지 100질량부당 합계량으로 해서 0.001∼5.0질량부의 범위 내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장재료를 형성할 경우, 포장재로서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기재(I)로서 각종 보강재를 넣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유리 섬유,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카본 섬유, 펄프, 코튼·린터(cotton linter) 등의 섬유 보강재, 혹은 카본블랙, 화이트카본 등의 분말 보강재, 혹은 유리 플레이크, 알루미늄 플레이크 등의 플레이크형상 보강재의 1종류 혹은 2종류 이상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당 합계량으로 해서 2∼15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증량의 목적으로, 중질(重質) 내지 연질(軟質)의 탄산칼슘, 운모, 활석, 카올린, 석고, 클레이, 황산바륨, 알루미나분, 실리카분, 탄산마그네슘 등의 1종류 혹은 2종류 이상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당 합계량으로 해서 5∼100질량부의 양으로 그들 자체 공지의 처방에 따라 배합해도 된다.
나아가, 가스 배리어성의 향상을 목표로 하여 비늘조각 형상의 무기 미분말, 예를 들면 수팽윤성 운모, 클레이 등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당 합계량으로 해서 5∼100질량부의 양으로 그들 자체 공지의 처방에 따라 배합해도 된다.
<가스 배리어층(Ⅱ)>
가스 배리어층(Ⅱ)은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로 형성된다. 이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를 플라스틱 기재(I)의 표면에 도포한 후에 열처리함으로써, (A)(B) 양자가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가교하여 치밀한 가교구조를 갖는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한다.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의 배합비율은, OH기와 COOH기의 몰비(OH기/COOH기)가 0.01∼20이 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0이 되도록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2∼5가 되도록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4∼2가 되도록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OH기의 비율이 상기 범위보다도 적으면 피막 형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한편 COOH기의 비율이 상기 범위보다도 적으면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의 사이에 충분한 가교밀도를 갖고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없어 고습도 분위기하에 있어서의 가스 배리어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는 작업성의 면에서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한데, 수용액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폴리알코올계폴리머(A)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도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코올계폴리머(A)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알코올계중합체이고,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과 비닐알코올의 공중합체, 또는 당류 등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과 비닐알코올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도(saponification degree)는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고, 평균중합도가 50∼4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200∼3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류로서는 단당류, 올리고당류 및 다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당류에 는, 당알코올이나 각종 치환체·유도체,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환상(環狀) 올리고당 등도 포함된다. 이들 당류는 물에 가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분류는 상기 다당류에 포함되는데, 예를 들면 밀전분, 옥수수전분, 찰옥수수전분, 감자전분, 타피오카전분, 쌀전분, 고구마전분, 사고(sago)전분 등의 생(生)전분(미변성 전분) 이외에 각종 가공전분을 들 수 있다. 가공전분으로서는, 물리적 변성전분, 효소 변성전분, 화학분해 변성전분, 화학 변성전분, 전분류에 모노머를 그라프트 중합한 그라프트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분류 중에서도, 로스트 덱스트린(roasted dextrin) 등이나 그들의 환원성 말단을 알코올화한 환원전분당화물 등의, 물에 가용성인 가공전분이 바람직하다. 전분류는 함수물(含水物)이어도 된다. 이들 전분류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폴리알코올계폴리머(A)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는 카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모노머(BM)를 중합해서 이루어지는, 카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함유하는 폴리머(BP)이다. 모노머(BM)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으로서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이하, 양자를 합쳐서 (메타)아크릴로일기라고 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2-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푸마르산, 시트라콘산(citraconic acid), 무수시트라콘 산, 이타콘산(itaconic acid), 무수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이타콘산, 및 무수이타콘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이외의 모노머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모노머(BM)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머(BP)로서는, 이들 모노머(BM)를 각각 단독으로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호모폴리머(BPl), 모노머(BM)끼리를 복수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코폴리머(BP2), 모노머(BM)를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코폴리머(BP3)를 들 수 있다.
모노머(BM)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모노머로서는, 카르복실기, 수산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로서 모노머(BM)와 공중합할 수 있는 모노머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로톤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본산의 에스테르화물로서 수산기나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스티렌설폰산, 비닐톨루엔, 에틸렌 등의 탄소수 2∼30의 α-올레핀류, 알킬비닐에테르류, 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른 모노머도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료(C)는 호모폴리머(BPl), BM끼리의 코폴리머(BP2), BM과 다른 모노머와의 코폴리머(BP3)를 임의로 조합해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호모폴리머(BPl)를 2종 이상, 코폴리머(BP2)를 2종 이상, 또는 코폴리머(BP3)를 2종 이상 각각 함유할 수 있다. 혹은, 호모폴리머(BPl)와 코폴리머(BP2), 호모폴리머(BPl)와 코폴리머(BP3), 코폴리머(BP2)와 코폴리머(BP3), 호모폴리머(BPl)와 코폴리머(BP2)와 코 폴리머(BP3)와 같은 조합이어도 된다.
폴리머(BP)의 하나로서 올레핀-말레인산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에틸렌-말레인산공중합체(이하, "EMA"로 약기함)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EMA는 무수말레인산과 에틸렌을 용액 라디칼중합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EMA 중의 말레인산 단위는, 건조상태에서는 인접 카르복실기가 탈수환화(脫水環化)한 무수말레인산 구조가 되기 쉽고, 습윤시나 수용액 중에서는 개환(開環)하여 말레인산 구조가 된다. 따라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말레인산 단위와 무수말레인 단위를 총칭하여 말레인산 단위라고 한다. EMA 중의 말레인산 단위는 5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2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5몰%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EMA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1000∼10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5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00∼3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00∼200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에는,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의 가교반응을 촉진시켜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가교제의 첨가량은,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의 합 계질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1∼3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질량부이다. 가교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미만에서는 가교제를 첨가해도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현저한 가교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30질량부를 넘으면, 반대로 가교제가 가스 배리어성의 발현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자기 가교성을 갖는 가교제여도 되고, 카르복실기 및/또는 수산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분자 내에 복수개 갖는 화합물, 또는 다가의 배위자리를 갖는 금속착체 등이어도 된다. 이 중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요소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지르코늄염 화합물 등이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들 가교제는 복수종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혹은, 가교반응을 촉진시켜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산 등의 촉매를 도료(C)에 첨가할 수도 있다.
가교제 또는 촉매를 첨가하면,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의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에 의한 가교반응이 촉진되어, 얻어지는 가스 배리어층(Ⅱ)의 가스 배리어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에는, 그 특성을 크게 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강화재, 안료, 열화방지제, 내후제(weatherproofing agents), 난연제, 가소제, 이형제(release agents), 활제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열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힌더드페놀류, 인 화합물, 힌더드아민류, 유황 화합물, 구리 화합물, 알칼리 금속의 할로겐화물,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강화재로서는, 예를 들면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탄산아연, 규회석,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규산칼슘, 알루민산나트륨, 알루미노규산나트륨, 규산마그네슘, 유리벌룬(glass balloons), 카본블랙, 산화아연, 제올라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금속섬유, 금속휘스커, 세라믹휘스커, 티탄산칼륨휘스커, 질화붕소, 그라파이트,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에는 가스 배리어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그 특성을 크게 해하지 않는 한에서 무기 층상 화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기 층상 화합물이란, 단위 결정층이 쌓여서 층상구조를 형성하는 무기 화합물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인산지르코늄(인산염계 유도체형 화합물), 칼코겐화물, 리튬알루미늄 복합 수산화물, 그라파이트, 점토광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용매 중에서 팽윤, 벽개(劈開;cleavage)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토광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beidell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 서코나이트(sauc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불소운모, 백운모, 파라고나이트, 금운모, 흑운모, 레피도라이트(lepidolite), 마르가라이트(margarite), 클린토나이트(clintonite), 아난다이트(anandite), 녹니석, 돈버사이트(donbassite), 수도아이트(sudoite), 쿠케아이트(cookeite), 클리노클로어(clinochlore), 샤모사이트(chamosite), 니마이 트(nimite), 테트라실릴릭마이카(tetrasilylic mica), 탈크, 파이로필라이트(pyrophyllite), 나크라이트(nacr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크리소타일(chrysotile), 나트륨테니오라이트(sodium taeniolite), 잔소필라이트(xanthophyllite), 안티고라이트(antigorite), 딕카이트(dickite),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을 들 수 있는데, 팽윤성 불소운모 또는 몬모릴로나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점토광물은 천연으로 산출되는 것이어도, 인공적으로 합성 혹은 변성된 것이어도 되고, 그들을 오늄염(onium salts) 등의 유기물로 처리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점토광물 중에서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은 백색도의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고, 이는 다음 식(1)으로 표현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0046353-pct00001
(식 중, M은 나트륨 또는 리튬을 나타내고, α, β, γ, a 및 b는 각각 계수를 나타내며, 0.1≤α≤2, 2≤β≤3.5, 3≤γ≤4, 0≤a≤1, 0≤b≤1, a+b=1이다.)
이러한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의 제조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규소와 산화마그네슘과 각종 불화물을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전기로 혹은 가스로 중에서 1400∼1500℃의 온도범위로 완전히 용융하고, 그 냉각과정에서 반응용기 내에 불소운모계 광물을 결정성장시키는 소위 용융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탈크를 출발물질로서 이용하고, 이것에 알칼리 금속이온을 인터컬레이션(intercalating)하여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을 얻는 방법이 있다(일 본국 공개특허 평2-149415호 공보). 이 방법에 따르면, 탈크에 규불화알칼리 혹은 불화알칼리를 혼합하고, 자성(磁性) 도가니 내에서 약 700∼1200℃의 온도로 단시간 가열처리함으로써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탈크와 혼합하는 규불화알칼리 혹은 불화알칼리의 양은,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의 생성 수율의 관점에서, 혼합물 전체의 10∼35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을 얻기 위해서는, 규불화알칼리 또는 불화알칼리의 알칼리 금속은 나트륨 혹은 리튬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알칼리 금속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알칼리 금속 중 칼륨의 경우에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이 얻어지지 않지만, 나트륨 혹은 리튬과 병용하면서 칼륨이 한정된 양이라면 팽윤성을 조절할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를 소량 배합하여, 생성할 팽윤성 불소운모계 광물의 팽윤성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토 광물 중에서 몬모릴로나이트는 다음 식(2)으로 표현되며, 천연으로 산출되는 것을 정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8030046353-pct00002
(식 중, M은 나트륨의 양이온을 나타내고, a는 0.25∼0.60이다. 층간의 이온 교환성 양이온과 결합하고 있는 물 분자의 수는 양이온 종류나 습도 등의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이하의 식 중에서는 nH2O로 나타낸다.)
몬모릴로나이트에는 다음 식 군(3)∼(5)으로 표현되는, 마그네시안몬모릴로나이트(3), 철몬모릴로나이트(4), 철마그네시안몬모릴로나이트(5)의 동형(同型) 이온 치환체도 존재하며, 이들을 이용해도 된다.
Figure 112008030046353-pct00003
(식 중, M은 나트륨의 양이온을 나타내고, a는 0.25∼0.60이다.)
통상 몬모릴로나이트는, 그 층간에 나트륨이나 칼슘 등의 이온 교환성 양이온을 갖는데, 그 함유비율은 산지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온 교환처리 등에 의해 층간의 이온 교환성 양이온이 나트륨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물 처리에 의해 정제한 몬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 층상 화합물은, 상기 가교제와 병용해서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에 배합할 수도 있다.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혼합하여 그들을 함유하는 수용액인 도료(C)를 조제할 때에는,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1∼20당량%의 알칼리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는, 거기에 포함되는 카르본산 단위가 많으면 그 자신의 친수성이 높기 때문에 알칼리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아도 수용액으로 할 수 있 지만, 알칼리 화합물을 적정량 첨가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를 도포해서 얻어지는 필름의 가스 배리어성을 더욱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알칼리 화합물로서는,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 중의 카르복실기를 중화할 수 있는 것이면 되는데,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류금속의 수산화물, 수산화암모늄, 유기수산화암모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액의 조제방법으로서는, 교반기를 구비한 용해탱크 등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예를 들면,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별도의 수용액으로 하여 사용 전에 혼합해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알칼리 화합물을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의 수용액에 첨가해 두면 그 수용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동시에 용해탱크 중의 물에 첨가해도 되지만, 알칼리 화합물을 애초에 물에 첨가해 두는 것이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의 용해성을 좋게 할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높일 목적이나 건조공정의 단축, 수용액의 안정성 개선 등의 목적으로 물에 알코올이나 유기용매를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의 농도, 즉 고형분은 도장(塗裝)장치나 건조·가열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지만, 너무 희박한 용액에서는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는데 충분한 두께의 층(Ⅱ)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또한 그 후의 건조공정에 있어서 장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한편, 도료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균일한 도료를 얻기가 어렵고, 도장성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료(C)의 농도(고형분)는 5∼50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로부터 가스 배리어층(Ⅱ)을 형성할 때에는, 우선 도료를 플라스틱 기재(I), 또는 기재(I) 위에 형성된 앵커 코트층 위에 도포한다. 이 도료(C)의 도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라비아롤 코팅, 리버스롤(reverse roll) 코팅, 와이어바 코팅, 에어나이프(air knife) 코팅 등의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료(C)를 도포한 후에는 즉시 가열처리를 행하여 도료(C)의 건조피막의 형성과 가열처리를 동시에 행해도 되고, 또는 도포한 후 드라이어 등에 의한 열풍의 분사나 적외선 조사 등에 의해 수분 등을 증발시켜 건조피막을 형성시킨 후에 가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가스 배리어층(Ⅱ)의 상태나 가스 배리어성 등의 물성에 특별히 장해가 생기지 않는 한, 공정의 단축화 등을 고려하면 도포 후 즉시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처리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븐 등의 건조 분위기하에서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열롤과 접촉시켜서 가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기재(I)가 연신(延伸) 필름인 경우,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로부터 가스 배리어층(Ⅱ)을 형성시킬 때에, 연신된 기재(I)에 도료(C)를 도공해도 되고, 연신 전의 기재(I)에 도료(C)를 도공한 후 필름의 연신을 행해도 된다.
상기의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가 도포된 플라스틱 기재(I)를 100℃ 이상의 가열 분위기 중에서 1분간 이하의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 중에 함유하는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가 가교반응하여 에스테르 결합이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수불용성의 가스 배리어층(Ⅱ)이 형성된다.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의 비나, 그 밖의 첨가성분 함유의 유무, 그리고 첨가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함유량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가스 배리어층 형성의 바람직한 가열처리 온도는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으나, 100∼300℃의 온도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250℃가 보다 바람직하며, 140∼240℃가 더욱 바람직하고, 160∼220℃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너무 낮으면, 상기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의 가교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어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층(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너무 높으면 피막 등이 취화(脆化;brittle)할 우려 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열처리 시간은 5분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1초간∼5분간, 바람직하게는 3초간∼2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초간∼1분간이 적용된다. 열처리 시간이 너무 짧으면 상기 가교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어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가스 배리어층(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고, 한편 너무 길면 생산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비교적 단시간의 열처리에 의해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의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에 의한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가스 배리어층(Ⅱ)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Ⅱ)의 두께는 가스 배리어성을 충분히 높이기 위해서 0.05㎛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스 배리어층(Ⅱ)은, 오버코트층(Ⅲ) 중의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과 반응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고온 고습도하에 있어서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기 때문에, 가스 배리어층(Ⅱ)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가스 배리어층(Ⅱ)의 금속가교율이 저하하여 고온 고습도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이 열화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도공조건에 따라서도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가스 배리어층(Ⅱ)의 두께는 0.05∼3㎛가 바람직하고, 0.05∼2㎛가 보다 바람직하며, 0.08∼1㎛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층(Ⅱ)의 두께가 0.05㎛ 미만에서는 균일한 막두께의 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이 두께가 3㎛를 넘으면 가열처리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앵커 코트층>
앵커 코트층은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데, 플라스틱 기재(I)와 가스 배리어층(Ⅱ)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가스 배리어층(Ⅱ)의 밀착성 향상의 역할을 주로 맡는다.
앵커 코트층에 사용되는 코팅제로서는 공지의 것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이민계, 폴리부타디엔계, 폴리올레핀계, 알킬티타네이트계 등의 앵커 코팅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본 발명의 효과를 감안하면,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 계, 폴리에스테르계의 앵커 코팅제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우레탄 및 우레탄프리폴리머(urethane prepolymers)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및 반응생성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물 및 반응생성물; 또는 이들의 용액 또는 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제도 상기 도료(C)의 도포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I) 위에 도포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Ⅲ)>
오버코트층(Ⅲ)은,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을 함유하는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이용하여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형성되는 수지층이다.
이 오버코트층(Ⅲ)은,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가스 배리어층(Ⅱ)의 표면에 도포한 후에 열처리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Ⅲ) 중의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이, 가스 배리어층(Ⅱ) 중의 폴리알코올계폴리머(A) 또는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 반응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적층체의 가스 배리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또한,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과, 폴리알코올계폴리머(A) 또는 폴리카르본산폴리머(B)와의 반응에 의해 생기는 가교구조는 이온결합, 공유결합인 것은 물론, 배위적인 결합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금속화합물을 수지층에 함유시켜 수지도료로서 도포하 고, 그 후 열처리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금속화합물을 수용액으로서 도포하여 열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공업적으로 보다 효율 좋게, 그리고 용이하게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과 투명성을 적층체에 부여할 수 있다.
1가의 금속화합물(D)에 이용하는 금속종으로서는 Li, Na, K, Rb, Se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중 Li, Na, K이 바람직하고, 특히 그 중에서도 Li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금속화합물의 형태는, 금속 단체(單體)를 포함해 산화물, 수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 황산염 등의 무기염, 카르본산염, 설폰산 등의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화물, 탄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의 금속종으로서는 Mg, Ca, Zn, Cu, Co, Fe, Ni, Al, Zr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Mg, Ca, Zn이 바람직하고, 특히 Mg, Ca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금속화합물의 형태는, 금속 단체를 포함해 산화물, 수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 황산염 등의 무기염, 카르본산염, 설폰산 등의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들 금속화합물((D) 및/또는 (E))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복수종의 (D) 및/또는 복수종의 (E)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 중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E))의 배합비율은, 이용하는 금속종, 화합물의 형태,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구성하는 수지의 고형분(가교제가 포함되는 경우는 수지와 가교제와의 합계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 여 0.1∼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8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0.75∼75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1∼65질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금속화합물의 배합량이 0.1질량부 미만이면 가스 배리어층(Ⅱ) 중의 폴리알코올계폴리머(A) 또는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 반응하여 형성되는 가교구조가 적어져 적층체의 가스 배리어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금속화합물이 100질량부를 넘으면, 형성되는 오버코트층(Ⅲ)의 밀착성, 내열성, 내수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는 유기용제계 도액(용액), 수용액, 수분산액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가스 배리어성이라는 관점에서는, 금속의 이온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라도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물에의 용해성이 비교적 높은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을 이용했을 경우,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로 형성되는 오버코트층(Ⅲ)의 내수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염기성의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을 이용했을 경우,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가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이면,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의 안정성이나 포트라이프(pot life)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는 유기용제계 도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기용제계 도액"이라는 것은, 물 이외의 용매가 도액 중의 용제 전체의 90질량% 이상이라는 것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물 이외의 용매로서는 공지의 유기용제를 이용할 수 있고, 톨루엔, 메틸에틸케톤(MEK), 시클로헥사논, 솔베소(Solvesso), 이소포론, 크실렌,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초산에틸, 초산프로필, 초산부틸, 이소프로필알코올(IPA)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의 유기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은, 도막 형성 후의 투명성이 뛰어나다는 관점에서, 혼합시에 될 수 있는 한 미립자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입자직경 10㎛ 이하가 바람직하며,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아무리 미립자형상이라 해도 현탁액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건조시의 석출이나 외관불량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분산제를 병용한 미립자 분산체로 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에 이용하는 분산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페인트 컨디셔너(paint conditioner)(레드데빌사 제조), 볼밀, 샌드밀(신마루엔터프라이즈사 제조 "다이노밀(Dyno-mill)" 등), 아트라이터(attritor), 펄밀(pearl mill)(아이리히사 제조 "DCP밀" 등), 코볼밀(coball mill), 바스켓밀, 호모믹서, 호모게나이저(M·테크닉사 제조 "클레어믹스(Clearmix)" 등), 습식 제트밀(지너스사 제조 "지너스(Genus)PY", 나노마이저사 제조 "나노마이저(nanomizer)" 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비용, 처리능력 등을 생각했을 경우, 미디어형 분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디어로서는 유리 비즈, 지르코니아 비즈, 알루미나 비즈, 자성 비즈, 스테인리스 비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로서 유효한 Mg 또는 Ca의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은, 분산제(H)를 이용하여 분산함으로써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에 포함되는 수지고형분(및 가교제가 포함되는 경우는 수지와 가교제와의 합계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금속화합물을 65질량부 첨가해도 투명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분산제(H)로서는 기지(旣知)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빅케미(BYK Chemie)사 제품의 Disperbyk 또는 Disperbyk-101, 103, 107, 108, 110, 111, 116, 130, 140, 154, 161, 162, 163, 164, 165, 166, 170, 171, 174, 180, 181, 182, 183, 184, 185, 190, 191, 192, 2000, 2001; 또는 Anti-Terra-U, 203, 204; 또는 BYK-P104, P104S, 220S; 또는 Lactimon, Lactimon-WS 또는 Bykumon 등;
아비시아(Avecia)사 제품의 SOLSPERSE-3000, 9000, 13240, 13650, 13940, 17000, 18000, 20000, 21000, 24000, 26000, 27000, 28000, 31845, 32000, 32500, 32600, 34750, 36600, 38500, 41000, 41090, 43000, 44000, 53095 등;
에후카케미컬즈(Efka Chemicals GmbH)사 제품의 EFKA-46, 47, 48, 452, LP4008, 4009, LP4010, LP4050, LP4055, 400, 401, 402, 403, 450, 451, 453, 4540, 4550, LP4560, 120, 150, 1501, 1502, 1503 등;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유기산모노글리세리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대두다당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소다,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가공전분, 구아검,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크산탄검, 펙틴, 카라기난, 가티검(ghatti gum), 커들란(curdlan), 타마린드시드검(tamarind seed gum), 카라야검(karaya gum), 타라검(tara gum), 젤란검, 트라가칸트검, 아라비아검, 아라비노갈락탄검(arabino galactan gum),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카르본산염 등.
이들 중 위생성, 분산성, 가스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이다.
이들 분산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서는, 분산성의 관점에서 중합도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함되는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22의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이고, 그 구체예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아라키드산, 도코사노산(docosanoic acid) 등의 포화지방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루크산(erucic acid), 아라키돈산 등의 불포화지방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HLB는 수계(水系)로 이용하는 경우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이다. 유기용매계로 이용하는 경우는 2∼15가 바람직하고, 4∼13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화합물(또는 그 미립자 분산체)을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 중에 혼합 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도료(F)를 형성하는 수지와 금속화합물을 혼합시킨 후에 상술한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해도 되고, 미리 금속화합물을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한 다음 도료(F)를 형성하는 수지와 혼합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료(F)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이 유기용매 등의 용매에 용해된 용액에, 금속화합물이 용해 및/또는 분산된 용액을 혼합하는 방법;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이 용매에 분산된 에멀젼에, 금속화합물의 분말 및/또는 금속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혼합하는 방법; 열에 의한 가소화 혼합에 의해 수지와 금속화합물을 혼합한 후 도료로 하는 방법;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이 용매에 용해된 용액 또는 분산된 에멀젼에, 금속화합물의 분말을 혼합하고 분산기를 이용하여 금속화합물을 분산하는 방법; 미리 금속화합물을 임의의 용매 중에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고,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이 용매에 용해된 용액 또는 분산된 에멀젼을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구성하는 수지성분이 용매에 분산된 에멀젼 상태로, 금속화합물의 분말 및/또는 금속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혼합하는 방법, 및 미리 금속화합물을 용매 중에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고,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이 용매에 용해된 용액 또는 분산된 에멀젼을 혼합하는 방법은, 금속화합물의 분산을 비교적 균일하게 하는데 바람직하다.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공지의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멜라민 수지, 아미노 수지 등 각종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내수성, 내용제성, 내열성, 경화온도의 관점에서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고, 우레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면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함유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로서, 구체적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의 수산기함유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 바람직하고, 다가 카르본산, 그들의 디알킬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글리콜류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다가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다가 카르본산; 아디핀산, 아젤라산(azelaic acid), 세바신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등의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을 들 수 있다.
글리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유리전이온도(이하 "Tg"라고 함)가 120℃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수평균분자량은 1000∼1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5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00∼4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형성되는 오버코트층(Ⅲ)의 내수성, 내용제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에 가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자기 가교성을 갖는 가교제여도 되고, 카르복실기 및/또는 수산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분자 내에 복수개 갖는 화합물 또는 다가의 배위자리를 갖는 금속착체 등이어도 된다. 이 중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요소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이소시아누레이트, 뷰렛, 알로파네이트(allophanates) 등의 다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혹은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등의 3관능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의 다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첨가량은, 도료(F)에 포함되는 수지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3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3∼5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첨가량이 0.1질량부 미만에서는 가교제를 첨가해도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현저한 가교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300질량부를 넘으면, 반대로 가교제가 가스 배리어성의 발현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매체로 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F)는 도액 안정성이나 포트라이프, 내수성의 관점에서 유기용제계 도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도료(F)를 구성하는 수지나 가교제는 유기용제에 가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Tg가 7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조합이 도공성, 생산성이나 필요물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에는, 그 특성을 크게 해하지 않는 한에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강화재, 안료, 열화방지제, 내후제, 난연제, 가소제, 이형제, 활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열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힌더드페놀류, 인 화합물, 힌더드아민류, 유황 화합물, 구리 화합물, 알칼리 금속의 할로겐화물,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강화재로서는, 예를 들면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탄산아연, 규회석, 실리 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규산칼슘, 알루민산나트륨, 알루미노규산나트륨, 규산마그네슘, 유리벌룬, 카본블랙, 산화아연, 제올라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 금속섬유, 금속휘스커, 세라믹휘스커, 티탄산칼륨휘스커, 질화붕소, 그라파이트,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의 농도(고형분)는 도장장치나 건조·가열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지만, 너무 희박한 용액에서는 가스 배리어층(Ⅱ)과의 반응으로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는데 충분한 두께의 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또한 그 후의 건조공정에 있어서 장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한편 도료(F)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균일한 도료를 얻기가 어렵고, 도장성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료(F)의 농도(고형분)는 5∼50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로부터 오버코트층(Ⅲ)을 형성할 때에는, 형성된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도료(F)를 도포한 후 즉시 가열처리를 행하여 건조피막의 형성과 가열처리를 동시에 행해도 되고, 혹은 도포한 후 드라이어 등에 의한 열풍의 분사나 적외선 조사 등에 의해 수분 등을 증발시켜 건조피막을 형성시킨 후에 가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가스 배리어층(Ⅱ) 및 오버코트층(Ⅲ)의 상태나 가스 배리어성 등의 물성에 특별히 장해가 생기지 않는 한, 공정의 단축화 등을 고려하면 도포한 후 즉시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처리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븐 등의 건조 분위기하에서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열롤과 접촉시켜 가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형성하는 오버코트층(Ⅲ)의 두께는 가스 배리어층(Ⅱ)의 두께에도 따르지만, 가스 배리어층(Ⅱ)과의 반응으로 가스 배리어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1㎛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산성이나 비용 등의 관점에서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1∼2㎛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1.5㎛가 특히 바람직하다.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도포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라비아롤 코팅, 리버스롤 코팅, 와이어바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등의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화합물((D) 및/또는 (E))과 수지의 배합비율이나, 그 밖의 첨가성분 함유의 유무, 그리고 첨가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함유량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오버코트층(Ⅲ) 형성의 바람직한 가열처리 온도는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50∼300℃의 온도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250℃가 보다 바람직하며, 100∼200℃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너무 낮으면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 중의 수지와 가교제와의 열 가교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어 충분한 밀착성, 내수성, 내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금속화합물과, 가스 배리어층(Ⅱ)의 폴리알코올계폴리머(A) 및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의 작용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어,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적층체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열처리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필름의 수축에 의한 주름의 발생이나 피막의 취화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열처리 시간은, 생산성의 관점에서 5분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통 1초 간∼5분간, 바람직하게는 3초간∼2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초간∼1분간이 적용된다. 열처리 시간이 너무 짧으면 상기 작용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어 밀착성, 내열성, 내수성,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탑코트층(Ⅳ)>
탑코트층(Ⅳ)은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를 이용하여 오버코트층(Ⅲ) 위에 형성되는 수지층이다.
이 탑코트층(Ⅳ)은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를 오버코트층(Ⅲ)의 표면에 도포한 후에 열처리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의 도포와 그 후의 열처리에 의해, 오버코트층(Ⅲ) 내의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의 가스 배리어층(Ⅱ) 중의 폴리알코올계폴리머(A) 또는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에의 반응을 촉진할 수 있고, 가스 배리어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는 유기용제계 도액, 수용액, 수분산액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오버코트층(Ⅲ)에 포함되는 1가의 금속화합물(D) 및/또는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을 이온화시키고 가스 배리어층(Ⅱ) 중의 폴리알코올계폴리머(A) 또는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 반응시켜 가스 배리어층(Ⅱ)에 금속 가교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이 도료(G)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공조건에 따라서도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는 없지만,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의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를 도포하고 그 후 열처리함으로써, 산소가스 투과도를 탑코트층(Ⅳ)이 없는 경우와 비교해 1/2∼1/4 정도로까지 작게 하여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 상대습도 85% RH의 조건하에서 측정한 산소가스 투과도가, 탑코트층(Ⅳ)이 없을 때에는 102∼110㎖/㎡·24h·MPa 정도였던 것을 탑코트층(Ⅳ)을 마련함으로써 50㎖/㎡·24h·MPa 이하 정도로, 그리고 호적한 조건하에서는 25㎖/㎡·24h·MPa 정도로까지 더 내릴 수가 있다.
또한, 탑코트층(Ⅳ)은 오버코트층(Ⅲ) 보호의 역할도 갖고 있다.
탑코트 형성용 도료(G)에 포함되는 수지는 공지의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멜라민 수지, 아미노 수지 등 각종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내수성, 내용제성, 내열성, 경화온도의 관점에서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탑코트 형성용 도료(G)를 구성하는 우레탄 수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함유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로서, 구체적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의 수산기함유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 바람직하고, 다가 카르본 산, 그들의 디알킬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글리콜류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다가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다가 카르본산; 아디핀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의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을 들 수 있다.
글리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형성되는 탑코트층(Ⅳ)의 내수성, 내용제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료(G)에 가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자기 가교성을 갖는 가교제여도 되고, 카르복실기 및/또는 수산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분자 내에 복수개 갖는 화합물 또는 다가의 배위자리를 갖는 금속착체 등이어도 된다. 이 중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요소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이소시 아누레이트, 뷰렛, 알로파네이트 등의 다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혹은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등의 3관능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의 다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첨가량은, 도료(G)에 포함되는 수지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3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3∼5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에도 또한, 상술한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에 첨가 가능한 첨가제를 마찬가지로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의 농도(고형분)는 도장장치나 건조·가열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지만, 5∼50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로부터 탑코트층(Ⅳ)을 형성할 때에는, 도료(G)를 도포 후 즉시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의 단축화나 생산성의 향상 등을 고려하면, 오버코트층 형성과 연속해서 탑코트층 형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버코트층(Ⅲ)의 형성에 이어서 탑코트층(Ⅳ)을 형성한 후, 양 층(Ⅲ)(Ⅳ)을 동시에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코트층(Ⅳ)의 가열처리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븐 등의 건조 분위기하에서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열롤과 접촉시켜 가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탑코트층(Ⅳ) 형성의 바람직한 가열처리 온도는,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 만, 50∼300℃의 온도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250℃가 보다 바람직하며, 100∼200℃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너무 낮으면, 도료(G)를 구성하는 수지와 가교제와의 열 가교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어 충분한 밀착성, 내수성, 내열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너무 높으면, 필름의 수축에 의한 주름의 발생이나 피막의 취화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열처리 시간은 5분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1초간∼5분간, 바람직하게는 3초간∼2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초간∼1분간이 적용된다. 열처리 시간이 너무 짧으면, 상기 작용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어 밀착성, 내열성, 내수성,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고, 한편 너무 길면 생산성이 저하한다.
탑코트층(Ⅳ)의 두께는, 적어도 0.1㎛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산성이나 비용 등의 점에서 3㎛ 이하가 바람직하며, 0.1∼2㎛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1.5㎛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탑코트 형성용 도료(G)를 도포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의 도포방법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Ⅲ)에 포함되는 금속화합물이 가스 배리어층(Ⅱ)에 포함되는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에 유효하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층 (Ⅱ), (Ⅲ) 및 (Ⅳ)가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플라스틱 기재(I), 가스 배리어층(Ⅱ), 오버코트층(Ⅲ), 탑코트층(Ⅳ)은 (I)(Ⅱ)(Ⅲ)(Ⅳ) 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을 것이 필요하다. (I)과 (Ⅱ)의 사이에는 또한 앵커 코트층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적층물>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는, 그 탑코트층(Ⅳ) 위에 직접 또는 인쇄 잉크층을 개재하여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 나아가 그 위에 히트실층(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I)(Ⅱ)(Ⅲ)(Ⅳ)(V)(Ⅵ) 또는 (I)(Ⅱ)(Ⅲ)(Ⅳ)(인쇄 잉크층)(V)(Ⅵ)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적층물; 또는 기재(I) 위에 직접 또는 인쇄 잉크층을 개재하여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 나아가 그 위에 히트실층(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Ⅵ)(V)(I)(Ⅱ)(Ⅲ)(Ⅳ) 또는 (Ⅵ)(V)(인쇄 잉크층)(I)(Ⅱ)(Ⅲ)(Ⅳ)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적층물;을 형성할 수 있다. 단, 적층물의 찰상(擦傷)성, 마모성의 관점에서 (I)(Ⅱ)(Ⅲ)(Ⅳ)(V)(Ⅵ) 또는 (I)(Ⅱ)(Ⅲ)(Ⅳ)(인쇄 잉크층)(V)(Ⅵ)인 적층물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의 탑코트층(Ⅳ)과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의 사이, 또는 플라스틱 기재(I)와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과의 사이에, 프라이머층, 대전방지층 등의 기능성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의 탑코트층(Ⅳ)과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과의 사이(서로 접하는 면), 또는 플라스틱 기재(I)와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과의 사이(서로 접하는 면)에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로나처리, 오존처리 등의 표면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인쇄 잉크층>
인쇄 잉크층은 잉크의 인쇄층이며, 잉크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 무늬 등이 다. 잉크로서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니트로셀룰로오스계, 고무계, 염화비닐계 등의 잉크 바인더 수지에 각종 안료, 체질(體質) 안료, 및 가소제, 건조제, 안정제 등의 첨가제 등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임의의 잉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인쇄 잉크층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실크스크린 인쇄법 등의 주지의 인쇄방식이나, 롤 코팅, 나이프에지(knife edge)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주지의 도포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은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을 개재하여 히트실층과 접하는 층과 히트실층(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층이다.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의 형성에 사용되는 코팅제로서는 공지의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이민계, 폴리부타디엔계, 폴리올레핀계, 알킬티타네이트계 등의 코팅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밀착성, 내열성, 내수성 등의 효과를 감안하면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계, 및 폴리에스테르계의 코팅제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우레탄 및 우레탄프리폴리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및 반응생성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물 및 반응생성물; 또는 이들의 용액 또는 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의 두께는 히트실층의 밀착성을 충분히 높이기 위해서 0.1㎛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산성의 관점에서 1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실층(Ⅵ)>
히트실층(Ⅵ)은 백(bag)형상 패키지 등을 형성할 때에 열접착층으로서 마련되는 것으로, 열 실, 고주파 실 등의 가능한 재료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直鎖)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산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염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두께는 목적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는 15∼200㎛이다.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과 히트실층(Ⅵ)의 형성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웨트 라미네이션법, 무(無)용제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의 라미네이션법; 2 이상의 수지층을 동시에 압출하여 적층하는 공압출법; 코터 등으로 막을 생성하는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밀착성, 내열성, 내수성 등을 감안하면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이 바람직하다.
적층체 또는 적층물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일 목적으로 적층체 또는 적층물을 가습된 분위기하에서 처리할 수도 있다. 가습처리에 의해 금속화합물((D) 및/또는 (E))과, 가스 배리어층(Ⅱ)의 폴리알코올계폴리머(A) 및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와의 작용을 보다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처리로서, 고온, 고습도하의 분위기에 있어서 적층체 또는 적층물을 방치해도 되고, 고온의 물에 직접 적층체 또는 적층물을 접촉시켜도 된다. 가습처리 조건은 목적 등에 따라 다르지만, 고온 고습의 분위기하에서 방치하는 경우에는 온도 30∼130℃, 상대습도 50∼100%가 바람직하 다. 고온의 물에 접촉시키는 경우에도 온도 30∼130℃ 정도(100℃ 이상은 가압하)가 바람직하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가습처리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기재에 열적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가습처리 시간은 처리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초에서 수백 시간의 범위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 또는 적층물은 가스 배리어성이나 보일링(boiling) 처리 후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포장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식품포장용 분야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소가스 배리어성>
산소가스 배리어성은 모콘(Mocon)사 제조 산소 배리어 측정기(OX-TRAN 2/20)를 이용하여 온도 20℃, 상대습도 85%의 분위기하에 있어서의 산소투과도를 측정해서 평가했다.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기재의 각 산소투과도의 측정결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가스 배리어층(Ⅱ), 오버코트층(Ⅲ) 및 탑코트층(Ⅳ)으로 구성되는 형성층의 산소투과도를 산출했다.
1/Ptotal=1/P1+1/PⅡ+Ⅲ+Ⅳ
단,
Ptotal(측정치)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적층 필름)의 산소투과도
P1(측정치) :플라스틱 기재(I)의 산소투과도
PⅡ+Ⅲ+Ⅳ(계산치) :가스 배리어층(Ⅱ), 오버코트층(Ⅲ) 및 탑코트층(Ⅳ)으로 구성되는 형성층의 산소투과도
<적층체 외관>
가스 배리어층 위에 오버코트층 및 탑코트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작성하고, 40℃로 3일간 에이징(aging)한 후의 적층체 외관에 대해서 눈으로 평가를 행했다. 무색 투명한 것을 5점, 백탁(白濁)이 큰 것을 1점으로 하는, 5점 만점 방식으로 평가를 행했다.
<적층물 라미네이트 강력>
얻어진 적층물로부터 길이100㎜×폭15㎜ 크기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T형 박리시험법에 의해 온도 20℃, 상대습도 65%의 분위기하에 있어서 박리속도 300㎜/분으로 라미네이트 강력을 측정했다.
<제조예 1>
PVA(쿠라레이(Kuraray)(주) 제조, 포발(Poval) 105(폴리비닐 비누화도 98∼99%, 평균중합도 약 500))를 뜨거운 물에 용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함으로써, 고형분 15질량%의 PVA 수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2>
EMA(중량 평균분자량 60000, 말레인산 단위 45∼50%)와 수산화나트륨을 이용 하여 뜨거운 물에 용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함으로써, 카르복실기의 10몰%를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중화한, 고형분 15질량%의 EMA 수용액을 조제했다.
<제조예 3>
폴리아크릴산(수평균분자량 200000, 25질량% 수용액, 토아고세이(주) 제조, AlOH)과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카르복실기의 10몰%를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중화한, 고형분 15질량%의 폴리아크릴산(이하, PAA로 약기함) 수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4>
풀루란(Pullulan)((주)하야시바라 제조, PF-20)을 물에 용해하여 고형분 15질량%의 풀루란 수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5>
폴리에스테르(토요보(주) 바일론(Vylon) GK130, 피막신장도 1000%, Tg 15℃, 수평균분자량 7000)를 톨루엔/초산에틸/MEK 혼합용매(질량비 3/2/1)에 용해하여 고형분 15질량%의 바일론 GK130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6>
폴리에스테르(토요보(주) 바일론 600, 피막신장도 4%, Tg 47℃, 수평균분자량 16000)를 톨루엔/초산에틸/MEK 혼합용매(질량비 3/2/1)에 용해하여 고형분 15질량%의 바일론 600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7>
폴리에스테르(토요보(주) 바일론 226, 피막신장도는 너무 낮아 측정불능, Tg 65℃, 수평균분자량 8000)를 초산에틸/MEK 혼합용매(질량비 2/1)에 용해하여 고형 분 15질량%의 바일론 226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8>
산화마그네슘 분체(평균입자직경 3.5㎛, 결정자직경 0.01㎛, BET비(比)표면적 145㎡/g)의 현탁 톨루엔 용액에, 산화마그네슘 100질량부에 대하여 25질량부가 되는 양의 분산제(데카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HLB=7)를 첨가하고, 교반기로 교반한 후 비즈밀을 이용해 분산하여, 고형분 20질량%의 산화마그네슘 분산체 용액(1)을 얻었다.
<제조예 9>
산화마그네슘 분체(평균입자직경 3.5㎛, 결정자직경 0.01㎛, BET비표면적 145㎡/g)의 현탁 수용액에, 산화마그네슘 100질량부에 대하여 35질량부가 되는 양의 분산제(폴리아크릴산나트륨 중화물, 산노프코(San Nopco)(주) 제조, 노프코스퍼스(Nopcosperse) 44C)를 첨가하고, 교반기로 교반한 후 비즈밀을 이용해 분산하여, 고형분 20질량%의 산화마그네슘 분산체 수용액(2)을 얻었다.
<실시예 1>
PVA와 EMA가 질량비(고형분)로 30/70이 되도록 제조예 1의 PVA 수용액과 제조예 2의 EMA 수용액을 혼합하여 고형분 10질량%의 혼합액(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을 얻었다. 2축 연신 나일론 필름(두께 15㎛) 위에 상기 혼합액을 바코터 N0.4를 이용하여 도공하고, 전기오븐으로 80℃ 2분간 건조한 후, 전기오븐으로 200℃ 20초간의 건조 및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0.5㎛의 가스 배리어층(Ⅱ)을 형성했다.
제조예 8의 산화마그네슘 분산체 용액(1)에, 제조예 5의 바일론 GK130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도요잉크세이조(주) 제조, BXX4773)을 산화마그네슘/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가 20/83.3/16.7이 되도록 첨가하고, 또한 촉매로서 디옥틸주석라우레이트(산쿄유키고세이(주) 제조, STAN SNT-1F) 1질량% 초산에틸 용액 및 톨루엔을 혼합하여 고형분 10질량%의 혼합액(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을 얻었다.
얻어진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상기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를 바코터 N0.4로 도공하고, 전기오븐으로 80℃ 30초간의 건조 및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0.7㎛의 오버코트층(Ⅲ)을 형성했다.
수성폴리우레탄(미츠이타케다케미컬(주) 제조, WS5100, 30질량% 수용액)을 조제하여 고형분 7.5질량%의 혼합액(탑코트층 형성용 도료)을 얻었다.
얻어진 오버코트층(Ⅲ) 위에, 상기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를 바코터 N0.6로 도공하고, 전기오븐으로 100℃ 2분간의 건조 및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0.7㎛의 탑코트층(Ⅳ)을 형성했다. 이것에 40℃로 3일간 에이징처리를 행하여 (I)(Ⅱ)(Ⅲ)(Ⅳ)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가스 배리어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의 외관평가 및 산소가스 투과도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의 (Ⅳ) 위에, 토요모튼(Toyo Morton)(주) 제조 TES4644/TCS4645를 건조 막두께 3㎛가 되도록 드라이 라미네이터에 의해 도포하여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을 형성했다. 나아가 이 접착제층(V)과 히트실층(Ⅵ)(토셀로(Tohcello)(주) 제조 LLDPE, TUX-FCD, 두께 50㎛)을 서로 붙이고 40℃로 3일간 양생(養生)해서 접착제층(V)을 경화시켜, (I)(Ⅱ)(Ⅲ)(Ⅳ)(V)(Ⅵ)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적층물을 얻었다. 이 적층물의 라미네이트 강력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산화마그네슘 분산체 용액(1)과 바일론 GK130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를 산화마그네슘/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50/83.3/16.7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산화마그네슘 분산체 용액(1)을 산화마그네슘 분말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4>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를 구성하는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제조예 3의 PAA 수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5>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를 구성하는 폴리알코올계폴리머(A)를 제조예 4의 풀루란 수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6>
제조예 7의 바일론 226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스미토모카가쿠(주) 제조, 스미줄(Sumijule) 3300)를 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가 83.3/16.7이 되도록 조정하고, 또한 촉매로서 디옥틸주석라우레이트(산쿄유키고세이(주) 제조, STANN SNT-1F) 1질량% 초산에틸 용액, 및 톨루엔, 초산에틸, MEK를 혼합하여 고형분 7.5질량%의 혼합액(탑코트층 형성용 도료)을 얻었다.
상기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를 이용한 것과, 탑코트층 형성시의 건조 및 열처리 조건을 80℃ 30초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7>
제조예 9의 산화마그네슘 분산체 수용액(2)에, 수성폴리우레탄(미츠이타케다케미컬(주) 제조, W635)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닛폰카야쿠(주) 제조, 아쿠아네이트(Aquanate) 100)의 수분산 용액을 산화마그네슘/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가 20/83.3/16.7이 되도록 첨가하여 고형분 10질량%의 혼합액(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을 얻었다.
상기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를 이용한 것과, 오버코트층 형성시의 건조 및 열처리 조건을 120℃ 2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8>
탄산칼슘 분산체 수용액(다케하라카가쿠코교(주) 제조, 칼민(Calmin) ML)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9>
산화아연 분산체 수용액(스미토모오사카시멘트사 제조, ZW14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10>
탄산리튬염, 수성폴리우레탄(다이이치코교세이야쿠(주) 제조, 수퍼플렉스 460),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ASF사 제조, HW-100)을 질량비가 15/70/30이 되도록 혼합하여 도료 수지 고형분 10질량%의 혼합액(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을 얻었다.
상기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제조예 9의 산화마그네슘 분산체 수용액(2), 탄산리튬염, 수성폴리우레탄(다이이치코교세이야쿠(주) 제조, 수퍼플렉스 460),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ASF사 제조, HW-100)을 이용해 산화마그네슘/탄산리튬/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질량비가 15/5/70/30이 되도록 혼합하여 도료 수지 고형분 10질량%의 혼합액(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을 얻었다.
상기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구성하는 수지를 폴리우레탄 용액 "UR5537"(토요보(주) 제조, 피막신장도 200%, Tg 34℃, 수평균분자량 200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13>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예 6의 바일론 600 폴리에스테르 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14>
도료의 고형분을 조정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층/오버코트층/탑코트층의 막두께를 0.3㎛/0.4㎛/0.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도료의 고형분을 조정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층/오버코트층/탑코트층의 막두께를 0.3㎛/0.4㎛/0.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얻어진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50℃ 95% RH의 분위기하에 7일간 방치한 후, 적층체의 외관평가와 산소가스 투과도 측정을 행했다.
<실시예 17>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해서 얻어진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50℃ 95% RH의 분 위기하에 7일간 방치한 후, 적층체의 외관평가와 산소가스 투과도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1>
제조예 7의 산화마그네슘 분산체 용액(1)을 포함하지 않고, 바일론 GK130 폴리에스테르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질량비로 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83.3/16.7이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적층물을 얻었다.
<비교예 2>
탑코트층(Ⅳ)을 마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I)(Ⅱ)(Ⅲ)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I)(Ⅱ)(Ⅲ)(V)(Ⅵ)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적층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산화마그네슘의 분산체 용액(1)을 산화마그네슘 분말로 변경한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해서 (I)(Ⅱ)(Ⅲ)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I)(Ⅱ)(Ⅲ)(V)(Ⅵ)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적층물을 얻었다.
<비교예 4>
오버코트층(Ⅲ) 및 탑코트층(Ⅳ)을 마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I)(Ⅱ)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I)(Ⅱ)(V)(Ⅶ)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적층물을 얻었다.
<비교예 5>
오버코트층(Ⅲ)을 마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I)(Ⅱ)(Ⅳ)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I)(Ⅱ)(Ⅳ)(V)(Ⅵ)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적층물을 얻었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외관 목시(目視) 평가와 산소가스 투과도 측정, 및 적층물의 라미네이트 강력 측정을 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30046353-pct0000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얻어진 적층체는 모두 양호한 외관과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있었으며, 또한 얻어진 적층물의 라미네이트 강도도 뛰어났다. 이에 비해 비교예 1∼5에서는, 소정의 오버코트층(Ⅲ) 및/또는 탑코트층(Ⅳ)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Claims (11)

  1. 플라스틱 기재(I);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로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층(Ⅱ);
    1가의 금속화합물(D) 및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로 형성되는 오버코트층(Ⅲ); 및
    유기용제 또는 물을 포함하는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로 형성되는 탑코트층(Ⅳ);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리어층(Ⅱ)이 상기 플라스틱 기재(I)에 직접 또는 앵커 코트층을 개재하여 플라스틱 기재(I) 위에 적층되며, 상기 오버코트층(Ⅲ)이 상기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직접 적층되는 동시에, 상기 탑코트층(Ⅳ)이 상기 오버코트층(Ⅲ) 위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가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가 유기용제계 도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알코올계폴리머(A)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과 비닐알코올과의 공중합체, 및 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가 올레핀-말레인산공중합체 및 폴리(메타)아크릴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버코트층(Ⅲ)이, 유리전이온도가 7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이, Mg 및 Ca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및 탄산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8. 제7항에 있어서,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이 분산제(H)를 이용하여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9.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의 제조방법:
    플라스틱 기재(I)에 직접 또는 앵커 코트층을 개재하여 플라스틱 기재(I) 위에, 폴리알코올계폴리머(A)와 폴리카르본산계폴리머(B)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층 형성용 도료(C)를 이용하여 가스 배리어층(Ⅱ)을 형성하는 것;
    상기 가스 배리어층(Ⅱ) 위에 직접, 1가의 금속화합물(D) 및 2가 이상의 금속화합물(E)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오버코트층 형성용 도료(F)를 이용하여 오버코트층(Ⅲ)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오버코트층(Ⅲ) 위에 직접, 유기용제 또는 물을 포함하는 탑코트층 형성용 도료(G)를 이용하여 탑코트층(Ⅳ)을 형성하는 것.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 및
    히트실층(Ⅵ);을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이 직접 또는 인쇄 잉크층을 개재하여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의 탑코트층(Ⅳ) 위 또는 플라스틱 기재(I) 위에 적층되며, 상기 히트실층(Ⅵ)이 상기 라미네이트 접착제층(V) 위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
KR1020087010080A 2005-09-26 2006-09-25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KR101044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7925 2005-09-26
JPJP-P-2005-00277925 2005-09-26
JPJP-P-2006-00211067 2006-08-02
JP2006211067A JP5081416B2 (ja) 2005-09-26 2006-08-02 ガスバリア性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789A KR20080063789A (ko) 2008-07-07
KR101044194B1 true KR101044194B1 (ko) 2011-06-28

Family

ID=3788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080A KR101044194B1 (ko) 2005-09-26 2006-09-25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14521B2 (ko)
EP (1) EP1930154B1 (ko)
JP (1) JP5081416B2 (ko)
KR (1) KR101044194B1 (ko)
TW (1) TWI410325B (ko)
WO (1) WO20070349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02B1 (ko) 2021-06-03 2021-11-19 주식회사 서일 가스 배리어 코팅조성물,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 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8026672A1 (ja) * 2006-08-30 2010-01-21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スバリア層形成用塗料及びガスバリア性積層体
US8808816B2 (en) * 2006-12-01 2014-08-19 Toppan Printing Co., Ltd. Coating liquid, gas-barrier multilayer structure and gas-barrier shaped article therefrom, and process for producing gas-barrier multilayer structure
JP5115027B2 (ja) * 2007-05-25 2013-01-09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JP5258351B2 (ja) * 2008-03-31 2013-08-07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二軸延伸ポリアミド樹脂フィルム
US8642146B2 (en) * 2008-11-25 2014-02-04 Chisato Fujimura Coating liquid and gas barrier laminate
CA2751547A1 (en) * 2009-03-25 2010-09-30 Unitika Ltd. Easy adhesion polyamide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2098967A1 (ja) * 2011-01-18 2012-07-26 東レ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626587B2 (ja) * 2011-03-25 2014-11-19 Dic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DE102011017403A1 (de) * 2011-04-18 2012-10-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Abscheiden eines transparenten Barriereschichtsystems
US20120301730A1 (en) * 2011-05-23 201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rrier film for an electronic device,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WO2013129515A1 (ja) * 2012-02-28 2013-09-06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JP6176239B2 (ja) * 2012-02-28 2017-08-09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積層体
WO2014034627A1 (ja) * 2012-08-28 2014-03-06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それを有するガスバリア性複合体、およびそれらを含む包装体
JP6287064B2 (ja) 2013-10-28 2018-03-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JP2015178267A (ja) * 2014-02-27 2015-10-08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れを含む包装材料
JP6524702B2 (ja) * 2015-02-26 2019-06-05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EP3366741A4 (en) * 2015-10-20 2019-04-03 Toppan Printing Co., Ltd. COATING SOLUTION AND GAS BARRIER LAMINATE
JP6850559B2 (ja) * 2016-07-25 2021-03-31 阪本薬品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6877057B2 (ja) 2016-12-30 2021-05-26 マイケルマ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酸化アルミニウム中間層を有する被覆フィルム構造体
JP7129783B2 (ja) * 2018-01-30 2022-09-02 Dicグラフィックス株式会社 オーバープリントニス
CN109306174A (zh) * 2018-08-14 2019-02-05 江苏宏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防水透湿聚氨酯薄膜的制备方法
CN114206612A (zh) * 2019-08-27 2022-03-18 Dic株式会社 阻气性层叠体、包装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931A (ja) * 1998-04-15 2000-01-07 Kureha Chem Ind Co Ltd ガスバリヤ性フィルム
JP2001071425A (ja) * 1999-06-24 2001-03-21 Toppa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フィルム
JP2003211578A (ja) * 2002-01-23 2003-07-29 Oji Paper Co Ltd ガスバリアー性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12771B (ko) 1991-09-20 1993-09-11 Ube Reikisen Kk
JP3340780B2 (ja) 1993-01-27 2002-11-05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リヤー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736600B2 (ja) 1993-09-27 1998-04-02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リヤー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203287B2 (ja) 1994-01-26 2001-08-27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リヤー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66441A (ja) 1994-03-30 1995-10-17 Kureha Chem Ind Co Ltd ガスバリヤー性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886457B2 (ja) 1994-07-27 1999-04-26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リヤー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801319B2 (ja) 1996-12-27 2006-07-26 株式会社クレハ 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ガスバリヤー性フィルム
JP2000063751A (ja) * 1998-08-20 2000-02-29 Jsr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JP2000177771A (ja) 1998-12-16 2000-06-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トルト用包装材
JP2000263681A (ja) 1999-03-12 2000-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用容器
JP4511685B2 (ja) 2000-05-18 2010-07-28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コート剤およびフィルム
JP4573959B2 (ja) 2000-07-07 2010-11-04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コート剤、それを用いた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IL140542A0 (en) 2000-12-25 2002-02-10 Syfan Saad 99 Ltd Improved multilayer barrier polymeric films
JP4845272B2 (ja) 2001-02-22 2011-12-28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コート剤およびガスバリア性被膜並びに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6709735B2 (en) * 2001-11-14 2004-03-23 Mitsubishi Polyester Film, Llc Oxygen barrier coating and coated film
JP4114585B2 (ja) * 2002-09-27 2008-07-09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JP4254453B2 (ja) 2002-09-27 2009-04-15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塗料及び該塗料を用いてなるガスバリア性積層体
US20060009561A1 (en) 2002-09-27 2006-01-12 Miyuki Kamoshita Gas barrier coating material and gas barrier laminates made by using the same
JP2004115776A (ja) 2003-04-02 2004-04-15 Toyo Ink Mfg Co Ltd ガスバリア性塗料
JP4225158B2 (ja) 2003-04-09 2009-02-18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CN100411869C (zh) 2003-04-09 2008-08-20 东洋油墨制造株式会社 气体阻隔性层积体的制造方法
JP2004322625A (ja) 2003-04-11 2004-11-18 Toyo Ink Mfg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4315586A (ja) * 2003-04-11 2004-11-11 Toyo Ink Mfg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EP1728622A4 (en) * 2004-03-25 2011-06-29 Mitsubishi Plastics Inc LAMINATES WITH GASPER PROPERTIES
US8658278B2 (en) * 2005-08-31 2014-02-25 Mitsubishi Plastics, Inc. Gas barrier multilayer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931A (ja) * 1998-04-15 2000-01-07 Kureha Chem Ind Co Ltd ガスバリヤ性フィルム
JP2001071425A (ja) * 1999-06-24 2001-03-21 Toppa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フィルム
JP2003211578A (ja) * 2002-01-23 2003-07-29 Oji Paper Co Ltd ガスバリアー性積層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02B1 (ko) 2021-06-03 2021-11-19 주식회사 서일 가스 배리어 코팅조성물,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 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789A (ko) 2008-07-07
TWI410325B (zh) 2013-10-01
WO2007034941A1 (ja) 2007-03-29
JP2007112115A (ja) 2007-05-10
EP1930154A1 (en) 2008-06-11
TW200720080A (en) 2007-06-01
JP5081416B2 (ja) 2012-11-28
EP1930154B1 (en) 2012-11-14
US8114521B2 (en) 2012-02-14
US20090280333A1 (en) 2009-11-12
EP1930154A4 (en)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194B1 (ko)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JP5081417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および積層物
EP1930153B1 (en) Gas barrier laminate
CN101272904B (zh) 阻气性层叠体及层叠物
US8247068B2 (en)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gas-barrier layer and gas-barrier multilayer body
JP5619499B2 (ja) 遮光性に優れたガスバリア性二軸延伸ポリアミド樹脂フィルム
JP2006219518A (ja) ガスバリア性塗料及び該塗料を用いてなる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5155535B2 (ja) ガスバリア性コート剤およびフィルム
JP5258351B2 (ja) ガスバリア性二軸延伸ポリアミド樹脂フィルム
JP6261504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それを有するガスバリア性複合体、およびそれらを含む包装体
JP4621435B2 (ja) ガスバリア性塗料及び該塗料を用いてなる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4388840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JP4351099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4322627A (ja) 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