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850B1 -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850B1
KR100974850B1 KR1020080056193A KR20080056193A KR100974850B1 KR 100974850 B1 KR100974850 B1 KR 100974850B1 KR 1020080056193 A KR1020080056193 A KR 1020080056193A KR 20080056193 A KR20080056193 A KR 20080056193A KR 100974850 B1 KR100974850 B1 KR 10097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mmunication
switch
terminal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972A (ko
Inventor
세이지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오배선이 생긴 경우더라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외기는 전원선 중의 1개와 전원선과는 독립한 1개의 신호선을 통신선으로 해서 통신을 행하는 제1통신 회로(송신 회로(110), 수신 회로(120))를 가지고, 실내기는 제1통신 회로로부터의 통신선이 각각 접속되는 1조의 단자(단자1(SG), 단자2(S1)); 1조의 단자에 접속되어, 제1통신 회로와 통신을 행하는 제2통신 회로(송신 회로(280), 수신 회로(300)); 제1통신 회로와 제2통신 회로를 접속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로 하는 스위치(234); 1조의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포토커플러(233));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의 역치 이상일 경우에는, 오배선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여 스위치를 비접속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하는 제어회로(제어부(310))를 가진다.
공기 조화 장치, 실외기, 실내기, 통신 회로, 검출 회로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INDOOR UNI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시리얼(serial) 통신에 의해서 정보를 교환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 특허 평08-303842호 공보.
그런데, 시리얼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으로서, 실내기와 실외기에서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원선을 이용하는 것이 존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전원선 중의 1개와, 전원선과는 독립한 1개의 신호선을 통신선으로서 이용해서 통신이 행해진다.
그렇지만, 이러한 전원선을 이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통신선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전원선과 그 이외의 전원선을 구별하고, 이들을 착오 없이 배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별을 행하지 않고 배선을 행하여, 오배선(誤配線)이 생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실내기 쪽의 통신 회로에 불량이 생겨버릴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오배선이 생긴 경우더라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실외기와 실내기가 공통의 전원선에 의해서 접속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전원선 중의 1개와, 상기 전원선과는 독립한 1개의 신호선을 통신선으로 해서 통신을 행하는 제1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제1통신 회로로부터의 상기 통신선이 각각 접속되는 1조의 단자; 상기 1조의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1통신 회로와 통신을 행하는 제2통신 회로; 상기 제1통신 회로와 상기 제2통신 회로를 접속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로 하는 스위치; 상기 1조의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의 역치 이상일 경우에는, 오배선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스위치에 의해 비접속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1조의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 회로가 검출하고, 소정의 역치 이상일 경우에는, 제1 및 제2통신 회로를 접속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로 하는 스위치를 제어 회로가 비접속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오배선이 생긴 경우더라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가 접속 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가 접속되었을 경우에는, 실외기와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때문에, 오배선이 생기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통신의 가부가 판정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판정 회로의 판정 결과를 제시하는 제시 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검출 회로의 검출 결과 및 판정 회로의 판정 결과가 제시된다. 이 때문에, 오배선의 유무 및 통신의 가부를 제시 회로에 제시된 정보에 의거해서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접속 상태로 되고, 구동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스위치가 접속 상태로 되어서, 제1 및 제2통신 회로가 접속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한, 제1 및 제2통신 회로가 접속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오배선이 생기고 있을 경우에, 오동작에 의해서 제2통신 회로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실외기와 공통의 전원선에 의해서 접속되는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 중의 1개와, 상기 전원선과는 독립한 1개의 신호선을 통신선으로 해서 통신을 행하는 상기 실외기에 설치된 제1통신 회로로부터의 상기 통신선이 각각 접속되는 1조의 단자; 상기 1조의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1통신 회로와 통신을 행하는 제2통신 회로; 상기 제1통신 회로와 상기 제2통신 회로를 접속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로 하는 스위치; 상기 1조의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서 검출된 전압이 소정의 역치 이상일 경우에는, 오배선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스위치를 비접속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하는 제어 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1조의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 회로가 검출하고, 소정의 역치 이상일 경우에는, 제1 및 제2통신 회로를 접속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로 하는 스위치를 제어 회로가 비접속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오배선이 생긴 경우더라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배선이 생긴 경우더라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를 제공할 수 있다.
(A) 제1실시형태의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1)∼(20-n)는 전원선과는 독립한 1개의 신호선(SG0)과, 전원선1(S2), 전원선2(R2)에 의해서 접속된다. 전원선1(S2)은 통신선으로서도 이용되어, 전원선1(S2)과 신호선(SG0)을 통신선으로 해서 실외기(10)와 실내기(20-1)∼(20-n) 사이에서 시리얼 통신에 의해 정보를 수수할 수 있다. 또, 실외기(10)에는 T상, S상, R상의 3상 교류 전력이 공급되고, 실내기(20-1)∼(20-n)에는 이들 중 S상과 R상이 전원선1(S2), 전원선2(R2)에 의해 공급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외기(10)와 실내기(20-1)의 전기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실내기(20-1)∼(20-n)는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실내기(20-1)를 예로 들어서 설명을 행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기(10)는 제어부(100), 송신 회로(110)(청구항 중의 「제1통신 회로」에 대응), 수신 회로(120)(청구항 중의 「제1통신 회로」에 대응), 저항(130), (140), 단자대(150), 노이즈 필터(170) 및 부하(180)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서 구성되고, 송신 회로(110) 및 수신 회로(120)를 개재해서 실내기(20-1)∼(20-n)와 통신을 행하는 동시에, 통신의 결과 등에 의거해서 부하(180) 등을 제어한다. 송신 회로(110)는 제어부(10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시리얼 신호를 생성하고, 단자대(150)를 개재해서 실내기(20-1)∼(20-n)에 송신한다. 수신 회로(120)는 실내기(20-1)∼(20-n)로부터 송신된 시리얼 신호를 수신하고,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해서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저항(130), (140)은 송신 회로(110)와 수신 회로(120)의 입출력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단자대(150)는 단자1(SG), 단자2(S1), 단자3(R1), 단자(T), 단자(R), 단자(S)를 가지며, 단자1(SG)에는 신호선(SG0)이 접속되고, 단자2(S1), 단자3(R1)에는 전원선1(S2), (Rl)이 각각 접속되며, 단자(T), (R), (S)에는 3상 교류 전원선(도면 중, T상, S상, R상에 대응하는 선)이 각각 접속된다.
노이즈 필터(170)는 3상 교류 전원에 중첩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 또는 감쇠하기 위한 필터이며, 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로서 구성된다. 부하(180)는, 예를 들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송풍 팬 및 실외 팽창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스테핑 모터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기(20-1)는 단자대(200), 정류 회로(220), 오배선 검출 제어 회로(230), 저항(250), (260), 송신 회로(280)(청구항 중의 「제2통신 회로」에 대응), 수신 회로(300)(청구항 중의 「제2통신 회로」에 대응), 제어부(310)(청구항 중의 「제어 회로」 및 「판정 회로」에 대응), 노이즈 필터(320), 부하(330) 및 표시부(340)(청구항 중의 「제시 회로」에 대응)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여기서, 단자대(200)는 단자1(SG), 단자2(S1), 단자3(R1)를 가진다. 단자1(SG)(청구항 중의 「1조의 단자」에 대응)에는 신호선(SG0)이 접속되고, 단자2(S1)(청구항 중의 「1조의 단자」에 대응) 및 단자3(R1)에는 전원선1(S2), 전원선2(R2)이 각각 접속된다. 정류 회로(220)는 신호선(SG0) 및 전원선1(S2)을 개재해서 전송되는 시리얼 신호를 정류한다. 오배선 검출 제어 회로(230)는 오배선을 검출해서 제어부(310)에 전달하는 동시에, 오배선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장되어 있는 스위치(후술함)를 접속 상태로 함으로써,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를 신호선(SG0)과 전원선1(S2)에 접속한다.
저항(250), (260)은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의 입출력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송신 회로(280)는 제어부(31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시리얼 신호로 변환해서 송신한다. 수신 회로(300)는 실외기(10)로부터 송신된 시리얼 신호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데이터로 복원해서 제어부(310)에 공급한다. 제어부(310)는, 예를 들어, CPU, ROM 및 RAM 등에 의해서 구성되고,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를 개재해서 실외기(10)와 통신을 행하는 동시에, 통신의 결과 등에 의거해서 부하(330)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10)는, 오배선 검출 제어 회로(230)에 의해서 오배선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표시부(340)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오배선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위치를 접속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통신가능한 상태로 한다. 또한, 스위치를 접속 상태로 한 후에,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노이즈 필터(320)는 단자대(200)와 부하(330)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선1(S2), 전원선2(R2)을 개재해서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포함되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 또는 감쇠한다. 부하(330)는, 예를 들어, 송풍 팬 및 실내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스테핑 모터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표시부(340)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오배선 또는 통신 에러(error)가 발생한 것을 점등/소등의 상태에 의해 공사 담당자 등에게 통지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실외기(10)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기(10)는 제어부(100), 트랜지스터(111), (113), (118), (122), 저항(112), (114), (116), (117), (121), (123), (125), (130), (140), 포토커플러(115), (124),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126), 단자대(150), 노이즈 필터(170) 및 부하(180)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18)의 이미터(emitter)에는 트랜스(transformer)(191), 브리지 다이오드(192), 콘덴서(193) 및 저항(194)을 가지는 전원회로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압(약 24V)이 공급된다. 또한, 콘덴서(193)의 마이너스 단자는 그라운드로서 전원의 S상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111), (113), (118), 저항(112), (114), (116), (117) 및 포토커플러(115)는 송신 회로(110)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122), 저항(121), (123), (125), 제너 다이오드(126) 및 포토커플러(124)는 수신 회로(120)를 구성한다.
또, 트랜지스터(111), (113) 및 저항(112)은 비반전 증폭 회로를 구성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증폭해서 포토커플러(115)에 공급한다. 포토커플러(115)는 트랜지스터(113)의 콜렉터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내장되어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광을 발생하고, 내장되어 있는 포토다이오드가 이 광을 수광해서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트랜지스터(118) 및 저항(116), (117)은 포토커플러(115)의 출력에 따라서 저항(19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절환하여, 저항(130), (140)의 양단부에 대해서 출력한다.
제너 다이오드(126)는 저항(140)의 양단부에 나타나는 전압을 파형 정형하는 기능을 가진다. 저항(125)은 포토커플러(124)의 입력 쪽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한다. 포토커플러(124)는 저항(125)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대응해서 내장되어 있는 LED가 광을 발생하고, 이 광을 내장되어 있는 포토다이오드가 전기 신호로 변환 해서 출력한다. 저항(123)은 포토커플러(124) 및 트랜지스터(122)에 대해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한다. 트랜지스터(122) 및 저항(121)은 반전 증폭 회로를 구성하고, 포토커플러(124)의 출력 전압을 반전 증폭해서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실내기(20-1)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기(20-1)는, 단자대(200), 다이오드(221), (222), 저항(231), (232), (250), (260), (282), (283), (285), (287), (302), (304), (306), 트랜지스터(281), (286), (288), (305), 포토커플러(233), (284), (303), 스위치(234), 제너 다이오드(301), 제어부(310), 노이즈 필터(320), 부하(330) 및 표시부(340)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다이오드(221), (222)는 정류 회로(220)를 구성한다. 저항(231), (232), 포토커플러(233)(청구항 중의 「검출 회로」에 대응) 및 스위치(234)(청구항 중의 「스위치」에 대응)는 오배선 검출 제어 회로(230)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281), (286), (288), 저항(282), (283), (285), (287) 및 포토커플러(284)는 송신 회로(280)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305), 저항(302), (304), (306), 제너 다이오드(301) 및 포토커플러(303)는 수신 회로(3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저항(231), (232)은 다이오드(221)의 캐소드와 다이오드(222)의 애노드 사이에 생기는 전압을 분압하고, 포토커플러(233)의 입력 쪽에 공급한다. 또한, 분압비로서는, 단자1(SG)와 단자2(S1) 사이에 시리얼 신호의 정상 전압인 DC 24V가 인가된 경우에는 포토커플러(233)가 오프 상태로 되고, 오배선에 의한 이상 전압인 AC 200V가 인가된 경우에는 포토커플러(233)가 온 상태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 이들 저항(231), (232)에는, 오배선이 되었을 경우에는 200V 정도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내압(와트수)이 큰 것(예를 들어, 수 와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234)는, 예를 들어, 전자식의 릴레이에 의해서 구성되어, 제어부(310)로부터 구동 전압이 공급되었을 경우에는 온 상태로 되고, 구동 전압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오프 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288), (286) 및 저항(287)은 비반전 증폭 회로를 구성하고, 제어부(3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해서 포토커플러(284)에 공급한다. 포토커플러(284)는 트랜지스터(286)의 콜렉터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내장되어 있는 LED가 발광하고, 내장되어 있는 포토다이오드가 LED로부터의 광을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트랜지스터(281)는 포토커플러(284)의 출력을 증폭해서 저항(250), (260)에 출력한다.
제너 다이오드(301)는 저항(260)에 나타난 전압의 파형을 정형해서 출력한다. 저항(302)은 포토커플러(303)의 입력 단자에 유입하는 전류를 제한한다. 포토커플러(303)는 저항(302)을 개재해서 유입하는 전류에 따라서 내장되어 있는 LED가 광을 발생하고, 내장되어 있는 포토다이오드가 광의 강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한다. 트랜지스터(305) 및 저항(306)은 반전 증폭 회로를 구성하고, 포토커플러(303)의 출력을 반전해서 제어부(310)에 출력한다.
노이즈 필터(320)는 단자대(200)와 부하(330)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선을 개재해서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포함되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 또는 감쇠한다. 부하(330)는, 예를 들어, 송풍 팬 및 실내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스테핑 모 터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B) 제1실시형태의 동작의 설명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실내기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또, 실내기(20-1)∼(20-n)는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행하므로, 이하에서는 실내기(20-1)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실외기(10) 및 실내기(20-1)∼(20-n)의 설치가 완료하는 동시에, 전원선1(S2), 전원선2(R2) 및 신호선(SG0)의 배선이 종료하고, 공사 담당자가 실외기(10)의 전원을 투입하면, 실외기(10)에 공급되는 3상 교류 전력은 실외기(10)의 각 부에 공급되는 동시에, 전원선1(S2), 전원선2(R2)를 개재해서 실내기(20-1)∼(20-n)의 각각에 공급된다. 단자대(200)의 단자2(S1), 단자3(R1)에 정상 전원 전압이 인가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어부(310)에 대해서 전원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제어부(310)는 동작을 개시한다. 제어부(310)가 동작을 개시하면, 도시하지 않은 ROM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어(즉, 판독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도 5의 순서도에 나타낸 처리가 개시된다. 이 순서도의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제어부(310)는 오배선 검출 제어 회로(230)의 포토커플러(233)의 출력 전압(Vp)을 취득한다(스텝 S10).
여기서, 배선 상태와, 포토커플러(233)에 입력되는 전압의 관계를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표제부를 제외한 1행째로부터 3행째까지는, 단자대(200)의 각 단자와, 전원선 및 신호선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열째의 「No. 1」은 정상 접속 상태를 나타내며, 단자대(200)의 단자1(SG)에는 신호선(SG0)이 접속되고, 단자2(S1)에는 전원선1(S2)이 접속되며, 단자3(R1)에는 전원선2(R2)가 접속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4행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231), (232)의 양단부(다이오드(221)의 캐소드와 다이오드(222)의 애노드와의 사이)에는 정상 시리얼 신호 전압인 DC 24V가 나타난다.
「No. 2」 내지 「No. 6」은 오배선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No. 2」는, 단자대(200)의 단자1(SG)에는 신호선(SG0)이 접속되고, 단자2(S1)에는 전원선2(R2)가 접속되며, 단자3(R1)에는 전원선1(S2)이 접속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저항(231), (232) 사이에는 AC 200V가 나타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선1(S2)과 신호선(SG0)과의 사이의 DC 24V에 대해서, 전원선1(S2)과 전원선2(R2) 사이의 전압인 AC 200V를 가산한 전압(약 200V)이 나타난다. 또한, 「No. 3」은, 단자대(200)의 단자1(SG)에는 전원선1(S2)이 접속되고, 단자2(S1)에는 신호선(SG0)이 접속되며, 단자3(R1)에는 전원선2(R2)가 접속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저항(231), (232) 사이에는 0V가 나타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1(SG)와 단자2(S1)에의 접속 상태가 반대이므로, 신호의 극성이 반전하기 때문에, 다이오드(221), (222)가 역바이어스 상태로 된다. 이것 때문에, 저항(231), (232)의 양단부에 나타나는 전압은 0V로 된다.
또, 「No. 4」는, 단자대(200)의 단자1(SG)에는 전원선1(S2)이 접속되고, 단자2(S1)에는 전원선2(R2)가 접속되며, 단자3(R1)에는 신호선(SG0)이 접속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저항(231), (232)의 사이에는 AC 200V가 나타난다. 「No. 5」는, 단자대(200)의 단자1(SG)에는 전원선2(R2)가 접속되고, 단자2(S1)에는 신호선(SG0)이 접속되며, 단자3(R1)에는 전원선1(S2)이 접속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저항(231), (232) 사이에는 AC 200V가 나타난다. 또한, 「No. 6」은, 단자대(200)의 단자1(SG)에는 전원선2(R2)가 접속되고, 단자2(S1)에는 전원선1(S2)이 접속되며, 단자3(R1)에는 신호선(SG0)이 접속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저항(231), (232) 사이에는 AC 200V가 나타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저항(231), (232)의 소자값(분압비)은, 이들에 인가되는 전압이 AC 200V일 경우에는 포토커플러(233)가 동작 상태로 되고, DC 24 이하인 경우에는 비동작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예에서는, 저항간 전압이 DC 24V로 되는 「No. 1」의 경우와, 0V로 되는 「No. 3」의 경우에, 포토커플러(233)가 비동작 상태로 되고, 그 이외의 경우(「No. 2」 및 「No. 4」∼「No. 6」의 경우)에는 동작 상태로 된다.
그렇지만, 도 6의 5행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 1」∼「No. 4」의 경우에는, 제어부(310)에 대해서 전원 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이들 경우에는 제어부(310)는 동작 상태로 된다. 한편, 「No. 5」 및 「No. 6」의 경우에는, 단자2(S1) 및 단자3(R1) 사이에는 DC 24V가 인가되기 때문에, 제어부(310)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도 5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그 결과, 스텝 S10에서는, 접속 상태가 「No. 2」 및 「No. 4」인 경우에는, 포토커플러(233)로부터 소정의 전압(Vp)이 출력되기 때문에, 이 전압(Vp)이 취득된다. 또한, 「No. 1」 및 「No. 3」의 경우에는, 포토커플러(233)의 출력은, 예를 들어, 0V로 되기 때문에, 0V가 취득된다.
스텝 S11에서는, 제어부(310)는 취득한 전압(Vp)이 소정의 역치(Th) 미만(Vp < Th)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Vp < Th일 경우(스텝 S11; Yes)에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스텝 S11; No)에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제어부(310)는 오배선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상정되기 때문에, 표시부(340)에 대해서 오배선이라는 취지를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Vp ≥ Th인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No. 2」 및 「No. 4」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표시부(340)의 소정의 LED(예를 들면, 적색 LED)를 점등시킨다. 이것에 의해, 공사 담당자는 오배선이 생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텝 S13에서는, 제어부(310)는 스위치(234)를 온 상태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10)는 스위치(234)에 대해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스위치(234)를 온 상태로 한다. 이 결과, 다이오드(221)의 캐소드와 트랜지스터(281)의 이미터가 접속된다. 이때, 저항(231), (232)의 양단부에 인가되고 있는 전압은 정상인 범위(0∼24V)이므로, 트랜지스터(281) 이후의 회로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6의 6행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는 것은, 「No. 1」과 「No. 3」의 경우이며, AC 200V가 인가되고 있는 「No. 2」와 「No. 4」의 경우에는 오프 상태로 된다.
스텝 S14에서는, 제어부(310)는 통신이 정상으로 행해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정상으로 행해지는 경우(스텝 S14; Yes)에는 스텝 S15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스텝 S14; No)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이 투 입되고 나서 소정 시간(적어도 모든 실내기 스위치(234)가 온 상태로 되는데 요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실외기(10)의 제어부(100)는 실내기(20-1)∼(20-n)에 대해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이 정상으로 행해지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가 송신 회로(110)에 대해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공급하면, 송신 회로(110)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111), (113)에 의해서 제어부(10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증폭되어, 포토커플러(115)에 공급된다. 포토커플러(115)는 트랜지스터(113)의 콜렉터 전류에 따라서 내장하는 LED가 발광하고, 발광 강도에 따른 전압이 내장되어 있는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된다. 포토커플러(115)의 출력은 트랜지스터(118)에 공급된다. 트랜지스터(118)에는 트랜스(191)로부터의 전원(DC 24V)이 공급되고 있으며, 트랜지스터(118)는 전원 전압을 포토커플러(115)의 출력에 따라서 절환하여, 저항(130), (140)에 대해서 출력한다.
저항(130), (140)으로부터 출력된 시리얼 신호는, 신호선(SG0)과 전원선1(S2)을 개재해서 실내기(20-1)∼(20-11)에 대해서 공급된다. 이러한 시리얼 신호를 수신한 실내기(20-1)에서는, 다이오드(221), (222)에 의해서 수신 신호를 정류하고, 얻어진 신호를 스텝 S13에서 온 상태로 되어 있는 스위치(234)를 개재해서 저항(250), (260)에 인가한다. 저항(260)에 나타난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301)에 의해서 파형정형된 후, 저항(302)을 개재해서 포토커플러(303)에 공급된다. 포토커플러(303)는 저항(302)을 개재해서 공급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하고, 트랜지스터(305)에 공급한다. 트랜지스터(305)는 포토커플러(303)의 출력 전압을 반전 증폭해서 제어부(310)에 공급한다. 시리얼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10)는, 실외기(1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것을 인식하고, 그 응답인 신호를 트랜지스터(288)에 대해서 출력한다. 트랜지스터(288), (286)는 제어부(310)의 출력을 증폭해서 포토커플러(284)에 공급한다. 포토커플러(284)로부터는 트랜지스터(286)의 콜렉터 전류에 대응한 전압이 출력되어, 트랜지스터(281)에 공급된다. 트랜지스터(281)는 포토커플러(284)의 출력에 따른 출력 전압을 저항(250), (260)에 대해서 출력한다. 저항(250), (260)에 나타난 전압은 신호선(SG0)과 전원선1(S2)을 개재해서 실외기(10)에 송신된다. 또한, 이상의 동작은 각 실내기에 있어서 독립해서 실행되지만, 각 실내기의 제어부는 수신 회로에 의해 신호선(SG0)과 전원선1(S2)의 상태를 감시하고 있어, 신호선(SG0)과 전원선1(S2) 상에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해서, 응답을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신호선(SG0) 및 전원선1(S2)에 있어서의 신호의 콜리죤(collision)(충돌)이 회피된다.
실내기(20-1)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신호선(SG0) 및 전원선1(S2)을 개재해서 실외기(10)에 전송된다. 실외기(10)에서는, 신호선(SG0) 및 전원선1(S2)으로부터 공급된 시리얼 신호의 전압이 저항(130), (140)에 나타난다. 저항(140)에 나타난 전압(수신 신호)은 제너 다이오드(126)에 의해서 파형 정형된 후, 저항(125)을 개재해서 포토커플러(124)에 공급된다. 포토커플러(124)의 출력 쪽에는 저항(140)에 나타나는 전압에 대응하는 출력이 생기고, 트랜지스터(122)는 이 출력 전압을 반전 증폭해서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제어부(100)는 트랜지스터(122)의 출력 전압을 입력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되돌림으로써, 실내기(20-1)로부터 응답이 있었던 것을 인식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서, 실외기(10)와 실내기(20-1)∼(20-n) 사이에서 통신이 확립된다. 통신이 정상으로 확립된 경우에는, 스텝 S14에 있어서 통신이 정상이라고 판정되어(스텝 S14; Yes),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제어부(310)는, 배선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때, 표시부(340)에 대해서 통신이 정상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소정의 LED(예를 들면, 녹색 LED)를 점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스텝 S15로 진행하는 것은, 도 6의 제7행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으로 접속된 「No, 1」의 경우뿐이다.
스텝 S14에 있어서, 통신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4; No)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l6에서는, 제어부(310)는 통신 에러 또는 오배선이라는 취지를 표시부(340)에 대해서 표시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텝 S14에 있어서 통신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는 것은, 도 6에 나타낸 「No. 3」인 경우이거나, 그 이외의 불량이 생기고 있을 경우(예를 들면, 실외기(10)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고 있을 경우)이므로, 제어부(310)는 표시부(340)의 소정의 LED(예를 들면, 황색 LED)를 점등시켜, 통신 에러 또는 오배선이 생기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공사 담당자는 통신 에러 또는 오배선이 생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상의 처리는, 공기 조화 장치의 설치 및 배선이 종료한 후에,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 실내기(20-1)∼(20-n)의 모두에 있어서 실행된다. 그리고, 실내기(20-1)∼(20-n) 모두의 배선이 정상일 경우에는, 각 실내기의 스위치(234)가 모두 온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오배선이 생기고 있을 경우, 오배선이 생기고 있는 실내기 스위치(234)는 오프 상태로 되므로, 해당 실내기는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된다. 이것 때문에, 오배선이 생긴 실내기의 영향이 장치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자대(200)의 단자1(SG) 및 단자2(S1)에 나타나는 전압을 포토커플러(233)에 의해 검출하고, 포토커플러(233)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역치 이상일 경우에는, 스위치(234)를 온 상태로 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오배선에 의해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에 과대한 전압이 인가되어, 이것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234)를 온 상태로 한 후에, 통신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정상이 아닐 경우에는, 표시부(340)에 대해서 그 취지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No. 3」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공사 담당자는 오배선의 가능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234)로서, 제어부(310)로부터 구동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치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310)로부터 정상인 구동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항상 오프 상태이므로,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에 대해서 높은 전압이 잘못해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나타낸 「No. 5」 및 「No. 6」의 경우, 제어부(310)는 동작하지 않지만, 그 경우더라도, 스위치(234)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에 대해서 높은 전압이 잘못해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 제2실시형태의 구성의 설명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기(10)와 실내기(20-1)∼(20-n)는 신호선(SG) 및 전원선(S1), (R1)에 의해서 접속되어, 전원선(S1)과 신호선(SG)을 이용해서 통신을 행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기(11)와 실내기(21-1)∼(21-n)가 전원선(S1), (R1)에 의해서 접속되는 동시에, 전원선과는 독립한 2개의 신호선(SG1), (SG2)에 의해서 접속되어, 신호선(SG1), (SG2)을 통신선으로서 이용해서 통신을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도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제2실시형태에서는, 도 1 또는 도 7의 어느 쪽의 접속 형식에도 대응가능한 실외기(12)와 실내기(22-1)∼(22-n)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접속 방식을 「3선식」이라 칭하고, 도 7에 나타낸 접속 방식을 「4선식」이라 칭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4선식의 배선에 의해 접속한 실외기(12)와, 실내기(22-1)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9는 도 1에 나타낸 3선식의 배선에 의해서 접속한 실외기(12)와, 실내기(22-1)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도 2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2실시형태에서는, 도 2의 경우와 비교하면, 실외기(12)에 대해서는, 스위치(160)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22-1)에 대해서 는, 단자대(200)가 단자대(202)로 치환되고, 또한, 4선 방식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인 정류 회로(210), 저항(235), (240), 송신 회로(270) 및 수신 회로(290)가 추가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실외기(12)의 스위치(160)는 제어부(100)에 의해서 제어되어, 송신 회로(l10) 및 수신 회로(120)의 그라운드와, 전원선의 S상을 접속 또는 비접속의 상태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160)가 온 상태로 되면, 실외기(12)는 3선식의 통신에 대응하고, 오프 상태로 되면 4선식의 통신에 대응하는 상태로 된다.
단자대(202)에는, 4선식의 통신에 대응하는 단자(SG1), (SG2)가 추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대(150)의 단자(SG1)와 단자대(202)의 단자(SG1)를 접속하는 동시에, 단자대(150)의 단자(SG2)와 단자대(202)의 단자(SG2)를 접속함으로써 4선식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대(150)의 단자(SG1)와 단자대(202)의 단자(SG)를 접속함으로써, 3선식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정류 회로(210)는, 예를 들어, 브리지 다이오드 등에 의해 구성되어, 단자(SG1), (SG2)에 나타나는 전압, 또는, 저항(235), (240)의 양단부에 나타나는 전압을 정류한다. 저항(235), (240)은 송신 회로(270) 및 수신 회로(290)의 입출력 저항으로서 동작한다. 송신 회로(270)는 제어부(31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시리얼 신호로 변환하고, 저항(235), (240)에 대해서 출력한다. 수신 회로(290)는 저항(240)에 나타나는 신호 전압을 파형정형 등 해서 제어부(310)에 공급한다. 또한, 송신 회로(270) 및 수신 회로(290)의 상세한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송신 회 로(280) 및 수신 회로(300)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D) 제2실시형태의 동작의 설명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나타낸 배선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4선식의 통신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배선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3선식의 통신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기존의 설비가 4선식인지, 또는, 3선식인지에 따라서 대응하는 배선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실외기(12) 및 실내기(22-1)를 새롭게 증설하고, 또는, 기존의 설비를 이들에 의해서 치환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설비가 4선식일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배선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기존의 설비(실외기 또는 실내기)를 새로운 설비(실외기(12) 또는 실내기(22-1))로 치환하거나, 기존의 설비에 새로운 설비를 추가하거나 할 수 있다.
설비의 설치와 배선이 종료하면, 공사 담당자는, 실외기(12)의 전원을 투입한다. 그 결과, 실외기(12)의 각 부에의 전원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는 동시에, 전원선(S1), (R1)을 개재해서 실내기(22-1)∼(22-n)에 대한 전원 전력의 공급이 개시된다. 실외기(12)에의 전원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면, 제어부(100)는 도시하지 않은 ROM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한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순서도의 처리가 개시된다.
도 10의 처리가 개시되면, 제어부(100)는 스텝 S30에 있어서 스위치(160)를 온 상태로 한다. 이 결과, 송신 회로(110) 및 수신 회로(120)의 그라운드와, 전원선(S1)이 접속되어, 실외기(12)는 3선식의 통신에 대응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어 서, 스텝 S31에서는, 제어부(100)는 오배선 확인 처리 대기 상태가 된다. 즉, 스텝 S30에서는, 실외기(12)가 3선식의 통신에 대응가능한 상태로 된 경우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3선식의 배선이 되어 있을 때에는, 실내기(22-1)∼(22-11)에는 DC 24V가 공급된다. 실내기(22-1)∼(22-n)에서는, 전원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면, 도 5에 나타낸 처리가 실행되어, 오배선의 유무가 확인된다. 스텝 S31의 처리에서는, 모든 실내기(22-1)∼(22-n)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처리가 종료하는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대기 상태로 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00)는 스텝 S32로 진행하고, 스위치(160)를 오프 상태로 한다. 스위치(160)가 오프 상태로 되면, 실외기(12)는 4선식의 통신에 대응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스텝 S33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한다. 즉, 제어부(100)는 송신 회로(110)에 대해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시킨다. 이때, 도 8에 나타낸 배선 방식이 채용되어 있을 경우에는, 신호선(SG1), (SG2)을 개재해서 시리얼 신호가 실내기(22-1)∼(22-n)에 공급된다. 실내기(22-1)에서는, 이 시리얼 신호를 수신 회로(290)에 의해 수신하여, 제어부(310)에 공급한다. 제어부(310)는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인식하고, 응답을 나타내는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회로(270)를 개재해서 실외기(12)에 대해서 송신시킨다. 그 결과, 신호선(SG1), (SG2)을 개재해서 시리얼 신호가 송신되고, 실외기(12)는 이 시리얼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처리는 실내기(22-2)∼(22-n)에 의해서도 실행된다.
스텝 S34에서는, 제어부(100)는 스텝 S33에서의 통신에 대한 응답이 행해졌 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응답이 행해진 경우(스텝 S34; Yes)에는, 스텝 S35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스텝 S34; No)에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배선 방식이 채용되어 있을 경우에는, 실내기(22-1)∼(22-n)로부터 응답이 행해지므로, 그 경우에는 스텝 S35로 진행한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배선 방식이 채용되어 있을 경우, 스위치(160)가 오프 상태이므로, 실내기(22-1)∼(22-n)로부터의 응답은 없기 때문에, 그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서는, 제어부(100)는 4선식의 배선이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위치(160)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 결과, 도 8에 나타낸 배선 방식이 채용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위치(160)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실외기(12)가 4선식에 대응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스텝 S34에 있어서 응답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진행하여, 제어부(100)는 스위치(160)를 온 상태로 한다. 이 결과, 실외기(12)는 3선식의 통신에 대응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텝 S37로 진행하여, 통신을 개시한다. 이때, 도 9에 나타낸 배선 방식이 채용되어 있을 경우에는, 송신 회로(10)로부터 송신된 시리얼 신호는 실내기(22-1)∼(22-n)에 송신된다. 각 실내기에서는, 오배선이 없을 경우에는 도 5의 처리에 의해 스위치(234)가 온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수신 회로가 시리얼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실내기(22-1)에서는 수신 회로(300)가 이 시리얼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310)에 대해서 공급한다. 제어부(310)는 응답하는 신호를 송신 회로(280)를 개재해서 송신한다. 그 결과, 시리얼 신호가 실외기(12)에 송신된다. 실외기(12)에서는 수신 회 로(120)에 의해서 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이 결과, 제어부(100)는 스텝 S38에 있어서 응답이 있었던 것으로 판정하여(스텝 S38; Yes), 스텝 S39로 진행한다. 또한, 응답이 없을 경우(스텝 S38; No)에는, 통신 에러가 생기고 있다고 상정되는 것으로 해서 스텝 S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9에서는, 제어부(100)는 3선식의 배선이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스위치(160)를 온 상태로 유지한다. 이 결과, 스위치(160)가 온 상태로 유지되어, 실외기(12)는 3선식의 통신에 대응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스텝 S40에서는, 3선식과 4선식의 어느 쪽의 방식으로도 통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통신 에러가 생기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에 대해서 에러가 생기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자대(202)의 단자(SG) 및 단자(S1)에 나타나는 전압을, 포토커플러(233)에 의해서 검출하고, 포토커플러(233)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역치 이상일 경우에는, 스위치(234)를 온 상태로 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오배선에 의해서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에 과대한 전압이 인가되어, 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234)를 온 상태로 한 후에, 통신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표시부(340)에 대해서 그 취지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No. 3」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공사 담당자는 오배선의 가능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234)로서, 제어부(310)로부터 구동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치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310)로부터 정상 구동 신호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항상 오프 상태이므로,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에 대해서 높은 전압이 잘못해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나타낸 「No. 5」 및 「No. 6」의 경우, 제어부(310)는 동작하지 않지만, 그 경우더라도, 스위치(234)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에 대해서 높은 전압이 잘못해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 우선, 스텝 S30에서는 스위치(160)를 온 상태로 한 후에, 오배선의 검출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3선식이 채용되어 있을 경우에는, 오배선이 생기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나서, 스위치(234)가 온 상태로 되므로, 3선식이 채용되고 있고, 또한, 오배선이 생기고 있을 경우에는, 송신 회로(280) 및 수신 회로(300)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3선식이 채용되어 있을 경우를 고려하여, 스텝 S30에서 스위치(160)를 온 상태로 하고, 실내기(22-1)∼(22-n)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스텝 S31에 있어서 대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스텝 S30 및 스텝 S31의 처리를 생략하고, 실내기(22-1)∼(22-n)에 있어서, 스위치(160)가 온 상태로 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도 5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의 처리에 대해서는, 스텝 S30 및 스텝 S31을 생략하 고 스텝 S32로부터 실행한다 그 경우, 3선식의 배선이 채용되어 있을 경우에는, 통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스텝 S34에서는 No로 판정되어서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그 결과, 스텝 S36에 있어서 스위치(160)가 온 상태로 되므로, 실내기(22-1)∼(22-n)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실외기(12)는 대기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5의 처리가 실행되면, 오배선이 생기지 않을 경우에는 실내기(22-1)∼(22-n)의 스위치(234)가 온 상태로 된다. 실외기(12)는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스텝 S37의 처리로 이행하여, 통신이 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통신이 정상으로 행해진 경우에는 스텝 S39로 진행하여, 3선식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E) 변형 실시형태의 설명
또, 전술한 각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태양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회로 구성은 일례이므로, 이것 이외의 회로 구성이어도 된다.
또,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자(SG), (S1) 사이에 나타나는 전압을 저항(231), (232)에서 분압하고, 분압 후의 전압을 포토커플러(233)에 의해서 검출하고, 포토커플러(233)의 출력 전압을 제어부(310)에 의해서 판독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저항(231), (232)을 이용하지 않고, 단자(SG), (S1) 사이의 전압을 직접 검출하거나, 포토커플러(233)를 사용하지 않고, 전압을 직접 검출하거나, 혹은, 제어부(310)를 이용하지 않고,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서 포토커플 러(233)의 출력에 따라서 스위치(234)를 직접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위치(234)는 전자식의 릴레이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반도체 스위치 등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160)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어, 스위치(160)를 수동식의 스위치로 해서 공사 담당자가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3선식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수동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4선식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수동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도, 기존의 설비의 상태에 관계없이, 새로운 설비를 증설 또는 치환하는 동시에, 정상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1)∼(20-n)에 의한 구성, 또는, 실외기(12)와 실내기(22-1)∼(22-n)에 의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외에도, 예를 들어, 중앙제어장치 및 인터페이스 장치를 필요에 따라서 부가하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실내기의 대수는, 1대여도 되고, 그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제2실시형태에서는, 실외기(12)로서, 스위치(160)에 의해 자동적으로 통신 방식을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도록 하였지만,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을 지니지 않은 실외기에 대해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실내기(22-1)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실외기가 4선식이면, 도 8에 나타낸 배선 방법을 채용하고, 실외기가 3선식이면 도 9에 나타낸 배선 방법을 채용하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존의 실외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실내기를 증설 또는 치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실외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실내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실내기에 있어서 실행되는 순서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접속 상태와 동작 상태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4선식의 배선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2실시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제2실시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실외기에 있어서 실행되는 순서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12: 실외기
20-1∼20-n, 21-1∼21-n, 22-1∼22-n: 실내기
110: 송신 회로(제1통신 회로의 일부)
120: 수신 회로(제1통신 회로의 일부)
233: 포토커플러(검출 회로)
234: 스위치
280: 송신 회로(제2통신 회로의 일부)
300: 수신 회로(제2통신 회로의 일부)
310: 제어부(제어 회로, 판정 회로)
340: 표시부(제시 회로)
SG: 단자(1조의 단자의 일부)
S1: 단자(1조의 단자의 일부)

Claims (5)

  1. 실외기와 실내기가 공통의 전원선에 의해서 접속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전원선 중의 1개와, 상기 전원선과는 독립한 1개의 신호선을 통신선으로 해서 통신을 행하는 제1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제1통신 회로로부터의 상기 통신선이 접속되는 1조의 단자(단자1(SG), 단자2(S1));
    상기 1조의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1통신 회로와 통신을 행하는 제2통신 회로;
    상기 제1통신 회로와 상기 제2통신 회로를 접속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로 하는 스위치;
    상기 1조의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서 검출된 전압이 역치(threshold value) 이상일 경우에는, 오배선(誤配線)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스위치에 의해 비접속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가 접속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판정 회로의 판정 결과를 제시하는 제시 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접속 상태로 되고, 구동 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실외기와 공통의 전원선에 의해서 접속되는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 중의 1개와, 상기 전원선과는 독립한 1개의 신호선을 통신선으로 해서 통신을 행하는 상기 실외기에 설치된 제1통신 회로로부터의 상기 통신선이 접속되는 1조의 단자(단자1(SG), 단자2(S1));
    상기 1조의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1통신 회로와 통신을 행하는 제2통신 회로;
    상기 제1통신 회로와 상기 제2통신 회로를 접속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로 하는 스위치;
    상기 1조의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서 검출된 전압이 역치(threshold value) 이상일 경우에는, 오배선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스위치에 의해 비접속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접속 상태로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가 접속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
KR1020080056193A 2007-09-26 2008-06-16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 KR100974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48465 2007-09-26
JP2007248465A JP2009079811A (ja) 2007-09-26 2007-09-26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室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972A KR20090031972A (ko) 2009-03-31
KR100974850B1 true KR100974850B1 (ko) 2010-08-11

Family

ID=4012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193A KR100974850B1 (ko) 2007-09-26 2008-06-16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02418B2 (ko)
EP (1) EP2042819A3 (ko)
JP (1) JP2009079811A (ko)
KR (1) KR100974850B1 (ko)
CN (1) CN1013982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1252B2 (ja) * 2009-04-06 2014-01-0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BRPI0901496A2 (pt) * 2009-05-15 2011-01-18 Whirlpool Sa sistema e método de comunicação para equipamentos eletrÈnicos
US9250299B1 (en) 2009-08-28 2016-02-0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Universal industrial analog input interface
JP5571243B2 (ja) * 2011-12-27 2014-08-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ケーブル
JP5772578B2 (ja) * 2011-12-28 2015-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2129294B1 (ko) * 2013-06-28 202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804009B2 (ja) * 2013-09-13 2015-11-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4101064A (zh) * 2014-06-21 2014-10-1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变频空调的室内外机电源接线错误保护装置
CN104633861B (zh) * 2015-01-31 2017-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变频空调及其供电控制电路
CN104979817B (zh) * 2015-06-30 2019-02-2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空调室内外通信防错保护电路
CN107490132A (zh) * 2017-08-07 2017-12-1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多联机空调系统的通讯方法、装置、家居系统及存储介质
CN110687428B (zh) * 2018-07-06 2022-01-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具有无线功能的变频空调器故障检测工装
CN110687364B (zh) * 2018-07-06 2022-01-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变频空调器故障检测工装
CN110868236B (zh) * 2019-11-28 2022-02-1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通信电路和空调器
CN111343065B (zh) * 2020-03-03 2021-07-2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通信电器和空调器
CN113945002B (zh) * 2020-07-17 2023-07-14 海信空调有限公司 一种通讯转换电路和空调器
WO2023188298A1 (ja) * 2022-03-31 2023-10-05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子局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
CN114791157B (zh) * 2022-04-15 2023-09-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外机的通讯装置和空调的通讯系统
CN114963477A (zh) * 2022-06-07 2022-08-30 海信空调有限公司 室外机及其通信控制方法和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616A (ja) * 1992-11-13 199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外通信制御装置
JPH08271022A (ja) * 1995-03-30 1996-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式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JPH11193950A (ja) * 1997-12-29 1999-07-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室内外通信装置
KR20010029016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분리형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609A (ja) * 1993-04-28 1994-11-0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07133950A (ja) * 1993-11-09 1995-05-23 Sharp Corp 空気調和機の信号伝送回路
JP3379226B2 (ja) * 1994-07-25 2003-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8303842A (ja) 1995-05-09 1996-11-22 Sanyo Electric Co Ltd エアコンの制御方法
US6711445B1 (en) * 1998-12-17 2004-03-23 Kysor/Warren Refrig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SG91835A1 (en) * 1999-02-26 2002-10-15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odule and initialization method for multi-air conditioner system
US6647735B2 (en) * 2000-03-14 2003-11-18 Hussmann Corporation Distributed intelligence control for commercial refrigeration
CN1227486C (zh) * 2000-04-24 2005-11-16 三洋电机株式会社 空调机的通信系统
AU753916C (en) * 2000-05-23 2005-12-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circuit for an air conditioner
CN1165011C (zh) * 2000-06-19 2004-09-01 Lg电子株式会社 控制可执行通信的冰箱的系统和方法
JP4110510B2 (ja) * 2002-03-08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誤配線検出装置
JP2004028384A (ja) * 2002-06-24 2004-01-29 Hitachi Ltd 空気調和機システム
JP4129594B2 (ja) * 2003-04-15 2008-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調システム
JP4336142B2 (ja) * 2003-05-23 2009-09-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通信制御装置
EP1681776B1 (en) * 2003-10-21 2013-06-05 Panasonic Corporation Facilities equipment communication circuit
JP3806882B2 (ja) * 2004-11-29 2006-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616A (ja) * 1992-11-13 199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外通信制御装置
JPH08271022A (ja) * 1995-03-30 1996-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式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JPH11193950A (ja) * 1997-12-29 1999-07-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室内外通信装置
KR20010029016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분리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2819A3 (en) 2013-01-02
US8302418B2 (en) 2012-11-06
CN101398203B (zh) 2010-11-17
CN101398203A (zh) 2009-04-01
KR20090031972A (ko) 2009-03-31
EP2042819A2 (en) 2009-04-01
US20090077990A1 (en) 2009-03-26
JP2009079811A (ja)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850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
KR101134914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실외기
KR100973683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 공기 조화 장치 및 실외기
US7979164B2 (en) Low voltage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climate control system
CN110207342B (zh) 室内机、空调机组的控制电路、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KR101458351B1 (ko) 공기조화장치
CN104034998A (zh) 一种定频空调内外机连接线接错的诊断方法及诊断系统
JPWO2005039069A1 (ja) 設備機器用通信回路
KR101075229B1 (ko) 시스템 에어컨의 통신에러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5246324B2 (ja) 空気調和装置
JP5436881B2 (ja) 空気調和装置
JPH07133950A (ja) 空気調和機の信号伝送回路
EP1158253A2 (en) Control circuit for an air conditioner
KR20070072259A (ko) 공기조화기의 오결선 감지장치
KR10018728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JP426057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3319554A (ja) 誤配線保護装置および誤配線保護装置を搭載した機器
JPH03271649A (ja) 空調機の制御装置
JPS63101647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H06303679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のシステムダウン検出装置
JPH05248691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