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351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351B1
KR101458351B1 KR1020147020689A KR20147020689A KR101458351B1 KR 101458351 B1 KR101458351 B1 KR 101458351B1 KR 1020147020689 A KR1020147020689 A KR 1020147020689A KR 20147020689 A KR20147020689 A KR 20147020689A KR 101458351 B1 KR101458351 B1 KR 101458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ircuit
state
outdo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179A (ko
Inventor
신 히가시야마
히로시 도오마에
모토노부 이케다
신야 오오츠키
마사키 오카우치
?이치 우에나카
마리오 하야시
신고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8960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46324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불가능한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이 혼재한 경우에도 원활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여 신뢰성 향상을 도모한다. 공기조화장치(1)는, 운전정지 시에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는 기종에 대응시킬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기구(16)를 구비한다. 선택기구(16)는, 전원배선(la)에 설치되어, 운전정지 시에 전원배선(la)을 차단하여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서스펜드 상태로 하는 릴레이(K13R)와, 전원배선(1a)에 접속되어, 릴레이(K13R)와 병렬로 설치되고,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상시 전력공급을 하기 위한 보조회로(16a)와, 보조회로(16a)에 설치되고, 보조회로(16a)를 개폐하는 개폐부(17)를 구비한다. 그리고, 개폐부(17)는 커넥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하며, 특히, 공기조화장치의 대기전력 저감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기전력을 저감하는 목적으로, 운전대기 시에 실외기 내의 회로로의 급전(power feed)을 중지하여 대기상태로 하고, 기동 시에 실내기로부터 실외기로 급전하여, 실외기의 대기상태를 해제하여 기동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2010-24305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한 실외기와, 대기상태로 이행 불가능한 실내기가 혼재한 경우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실내기가 대기상태로 이행 불가능한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의 경우, 실외기를 대기상태로부터 기동시킬 수 없으며, 장치의 원활한 운전을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장치 내에 대기상태의 이행 불가능한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이 혼재한 경우에 있어서도 원활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여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주(主)전원 라인(1L)으로부터 전력 공급되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구비하고, 운전정지 시에 전력이 상기 실외기(10)에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발명은, 상기 실외기(10)가,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대기상태의 이행에 대응 가능한 실내기(20)와 대기상태의 이행에 대응 불가능한 실내기(2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실외기(10)에 설치되고, 주전원 라인(1L)으로부터 전원배선(1a)을 개재하여 전력 공급되는 실외측 제어회로(13)와, 상기 전원배선(1a)에 설치되고, 운전정지 시에 상기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상기 실외기(10)를 상기 대기상태로 이행하는 기종에 대응시킬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기구(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선택기구(16)에 의해 운전정지 시에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이행하는 기종에 대응시킨다. 한편,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선택기구(16)에 의해 운전정지 시에 실외기(10)를 대기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기종에 대응시킨다. 이 선택기구(16)의 선택에 의해 실외기(10)의 기동 등 원활한 운전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구(16)가, 상기 전원배선(1a)에 설치되고, 운전정지 시에 상기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상기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하는 스위치(K13R)와, 상기 전원배선(1a)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K13R)와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상시 전력공급 하기 위한 보조회로(16a)와, 이 보조회로(16a)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회로(16a)를 개폐하는 개폐부(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발명에서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개폐부(17)가 보조회로(16a)를 차단하고, 상기 스위치(K13R)에 의해 운전정지 시에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이행하도록 설정한다. 한편,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개폐부(17)가 보조회로(16a)를 도통(導通)시켜, 스위치(K13R)의 동작에 상관없이 운전정지 시에 실외기(10)를 대기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 개폐부(17)의 개폐에 의해 실외기(10)의 기동 등 원활한 운전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7)가, 상기 보조회로(16a)를 도통시키는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커넥터의 접속 핀을 뽑아 내어, 보조회로(16a)를 차단한다. 한편,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커넥터의 접속 핀을 끼워 넣은 채로 설정하고, 보조회로(16a)를 도통시킨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7)가, 상기 보조회로(16a)를 도통시키는 래칭 릴레이(latching rela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발명에서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래칭 릴레이에 의해 보조회로(16a)를 차단한다. 한편,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래칭 릴레이에 의해 보조회로(16a)를 도통시킨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구(16)가, 상기 전원배선(1a)에 설치되어, 이 전원배선(1a)을 개폐하고, 운전정지 시에 상기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상기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하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발명에서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래칭 릴레이에 의해 전원배선(1a)을 개폐하고, 운전 시에는 전원배선(1a)을 도통시키고, 운전정지 시에는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도통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이행시킨다. 한편,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래칭 릴레이에 의해 상시 전원배선(1a)을 도통시키고, 운전정지 시에 실외기(10)를 대기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한다.
제 6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구(16)는, 상기 전원배선(1a)에 설치되어, 운전정지 중에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상기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하는 스위치(K13R)와, 상기 전원배선(1a)에 상기 스위치(K13R)를 우회하도록 접속되고,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단락라인(51a, 51b)을 포함한 보조회로(51)와, 상기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 가능한 커넥터(52a)와, 상기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부(53)와, 적어도 상기 실내기(20)의 기종 사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상태로의 이행 가부(可否)를 판정하고,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으로 판정한 때에 상기 단락 검출부(53)에 의해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보조회로(51)의 접속 이상(異常)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커넥터(52a)의 접속 플러그를 뽑아 내어,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을 접속하지 않은 때에는, 스위치(K13R)의 개폐에 의해,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이 행해지는 상태와,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을 커넥터(52a)로 접속하면, 교류전원(40)으로부터 스위치(K13R)를 우회하여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이르는 경로가 형성된다. 이로써, 스위치(K13R)에 의해 전원배선(1a)이 차단되어도, 보조회로(51)를 개재하여 교류전원(40)으로부터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상시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의 실내기(20)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외기(10)가 접속되어도, 실외기(10)가 강제적으로 기동된다. 즉, 제 6 발명에서는, 보조회로(51)와 커넥터(52a)가 강제기동 기구를 구성한다.
또, 이상 검지부(23)에 의해 대기상태로의 이행 가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의 실내기(20)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외기(10)가 조합되어 있을 때에는, 대기상태로 이행 불가로 판정된다. 한편,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으로 판정된 때에, 단락 검출부(53)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상 검지부(23)가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검지한다.
즉, 강제기동 기구의 강제기동 설정은, 공기조화장치의 설치 작업자가 현장에서 판단하여 행하므로, 설치 작업자가 잘못 설정을 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외기(10)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내기(20)를 조합하여 이용할 때에 강제기동 설정을 잘못하면,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임에도 불구하고,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그래서, 제 6 발명에서는, 상기 단락 검출부(53)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상 검지부(23)가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검지하도록 하였다.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락 검출부(53)는,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외부전원단자(53a)와, 이 외부전원단자(53a)에 접속되고, 외부전원단자(53a)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검지하는 검지부(53b)와, 상기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을 접속함과 동시에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단자(53a)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상기 커넥터(52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지 않은 때에는, 그라운드(GND)와 외부 전원단자(53a)가 비(非)접속 상태인 한편,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때에는,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 단자(53a)가 접속상태가 된다. 이로써, 검지부(53b)에는,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지 않은 때에 하이레벨의 전압이 입력되고,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때에 로우레벨의 전압이 입력된다.
제 8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락 검출부(53)는,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외부전원단자(53a)와, 이 외부전원단자(53a)에 접속되고, 외부전원단자(53a)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검지하는 검지부(53b)와, 상기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된 때에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53d)와, 상기 외부전원단자(53a)와 그라운드(GND)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53d)의 빛에 의해 동작하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53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서는, 발광 다이오드(53d)와 포토 트랜지스터(53e)로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구성한다. 그리고,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지 않은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53d)가 발광하지 않고, 포토 트랜지스터(53e)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 단자(53a)가 전기적으로 거의 비접속 상태인 한편,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53d)가 발광하고, 포토 트랜지스터(53e)가 동작하므로,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단자(53a)가 전기적으로 접속상태가 된다. 이로써, 검지부(53b)에는, 상기 제 7 발명과 마찬가지로,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지 않은 때에는 하이레벨의 전압이 입력되고,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때에는 로우레벨의 전압이 입력된다.
제 9 발명은, 제 6∼제 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리모콘(30)과, 상기 이상 검지부(23)가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검지한 경우, 이 접속이상을 리모콘(30)에 통지하는 통지부(23)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은, 이상 검지부(23)가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검지한 경우에는, 통지부(23)에 의해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이 리모콘(30)에 통지된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운전정지 시에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이행하는 기종에 대응시킬지 여부를 선택기구(16)에 의해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장치 내에 대기상태로 이행 불가능한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이 혼재한 경우, 실외기(10)의 대기상태로 이행을 금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이 혼재한 경우에도 원활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여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에 의하면, 보조회로(16a)의 개폐에 의해 대기상태로 이행하는 기종에 대응시킬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원배선(1a)의 스위치(K13R) 동작에 상관없이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에 확실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 의하면, 개폐부(17)를 커넥터로 구성했기 때문에, 간략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이 혼재한 경우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 제 4 발명에 의하면, 개폐부(17)를 래칭 릴레이로 구성했기 때문에, 개폐부(17)의 개폐를 자동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5 발명에 의하면, 전원배선(1a)의 스위치(K13R)를 래칭 릴레이로 구성했기 때문에, 대기상태의 이행 제어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에 대한 대응을 하나의 래칭 릴레이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6 발명에 의하면,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서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이 커넥터(52a)로 접속되는 때에는, 이상 검출부(23)에 의해 보조회로(51)의 접속 이상이 검지되므로, 설치 작업자는,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이 잘못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작업자는, 양 단락라인(51a, 51b)을 비접속 상태로 재설정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한 공기조화장치를 사용한 때에,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없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장치의 원활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7 발명에 의하면, 검지부(53b)는, 로우레벨의 전압이 입력된 때에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 단락 검출부(53)를, 양 단락라인(51a, 51b)을 접속하는 커넥터(52a)를 이용하여 구성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간략한 구성으로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 8 발명에 의하면, 제 7 발명과 마찬가지로, 검지부(53b)는, 로우레벨의 전압이 입력된 때에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 제 9 발명에 의하면, 이상 검지부(23)가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검지한 경우에는, 통지부(23)에 의해 리모콘(30)에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이 통지되므로, 설치 작업자는,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이 잘못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고, 양 단락라인(51a, 51b)을 비접속 상태로 재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한 공기조화장치를 사용한 때에,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없는 사태가 보다 확실하게 회피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전장계통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의 상태 천이(遷移)도이다.
도 3은, 평활 콘덴서에 충전되는 회로가 형성된 시점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충전상태로의 이행이 완료한 후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웨잇(wait)상태로의 이행완료 시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운전상태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선택기구의 개략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래칭 릴레이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릴레이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실외기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내기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리모콘이 접속된 때의 공기조화장치(서스펜드 상태)의 전장계통 블록도이다.
도 12는, 강제기동 기구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접속 플러그가 단락 커넥터에 끼워 넣어진 때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4는, 평활 콘덴서에 충전되는 회로가 형성된 시점의 릴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충전상태로의 이행이 완료된 후의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웨잇상태에서의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운전상태에서의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실외기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의 실내기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의 리모콘이 접속된 때의 공기조화장치의 전장계통 블록도이다.
도 19는, 강제기동 기구의 설정미스를 검지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서스펜드 상태로의 이행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의 단락 검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고,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1)의 전장계통의 블록도이다. 공기조화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실외기(10), 실내기(20), 및 리모트 콘트롤러(30)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나, 실외기(10)는, 전동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실외 팬, 팽창밸브 등의 기종이 설치되고, 실내기(20)에는, 실내 열교환기, 실내 팬 등의 기종이 설치된다.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이들의 기종에 의해,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매회로(도시는 생략)가 구성된다. 또,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30)는, 이하, 리모콘(30)이라 한다.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실외기(10)에서, 상용(商用) 교류전원(40)로부터 교류(이 예에서는 200V의 3상교류)를 수전하여 실외기(10) 내의 회로와 상기 전동 압축기의 동력으로써 이용하는 외에, 이 3상 교류의 2상분을 실내기(20)에 급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실외기(10)와 실내기(20)와의 사이에서는, 실내기(20)측으로부터 실외기(10)를 제어하기 위함 등의 목적으로, 신호의 통신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상용 교류전원(40)(이하, 단지 교류전원이라고도 함)으로부터의 교류전력을 송전하는 전력배선(L)과,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S)과, 상기 교류전력의 송전과 상기 신호의 전송에 공용되는 공통선(N)과의 3선(내외배선)이 실외기(10)와 실내기(20)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전력배선(L)은, 실외기(10)에서 교류전원(40)의 R상에 접속되고, 공통선(N)은, 실외기(10)에서 교류전원(40)의 S상에 접속된다. 즉, 실내기(20)는, 교류전원(40)의 R상 및 S상에 접속되어 단상교류가 공급된다. 신호선(S)은, 상기 신호의 송수신 외에, 후술하듯이, 교류전력의 송전에도 사용한다. 이로써, 신호선(S)은, 송전전력에 따른 전류용량을 갖는 배선부재를 채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력배선(L) 및 공통선(N)과 동일 배선부재를 신호선(S)에 이용한다.
<실외기(10)>
실외기(10)는, 전장계통으로서,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 실외기 전송회로(11), 실외측 제어회로(13), 릴레이(K13R, K14R, K15R)를 구비한다.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는, 교류전원(40)에 접속된 주전원 라인(1L)으로부터 수전(受電)한 3상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이른바 인텔리전트 파워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도면 중에는 IPM으로 약기)과 실외 팬 모터에 공급한다. 그리고, 인텔리전트 파워모듈은, 입력된 직류를 소정의 주파수 및 전압의 교류로 변환하고, 상기 전동 압축기의 모터에 급전(給電)한다. 이 예에서는,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는, 노이즈 필터(14a), 2개의 메인 릴레이(14b), 2개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4c), 리엑터(14d) 및 평활 콘덴서(14e)를 구비한다.
노이즈 필터(14a)는, 콘텐서와 코일로 형성된다. 2개의 메인 릴레이(14b)는, 상기 3상 교류의 R상, T상의 공급라인에 각각 설치된다. 이들의 메인 릴레이(14b)는, 이른바, A접점 릴레이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메인 릴레이(14b)는, 하나의 고정 접점과, 하나의 가동 접점을 가지고, 이 메인 릴레이(14b)의 코일에 통전(通電)하면, 이들의 접점이 접속상태(온)가 된다. 2개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4c) 중, 한쪽은, 상기 3상 교류의 R상 및 S상을 입력으로 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3상 교류의 S상 및 T상을 입력으로 하고, 입력된 교류를 각각 전파 정류한다. 이들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4c)의 출력은, 리엑터(14d)를 개재하여 평활 콘덴서(14e)에 입력되고, 평활 콘덴서(14e)로 평활화된다. 평활 콘덴서(14e)로 평활화된 직류는, 상기 인텔리전트 파워모듈과 실외 팬 모터에 공급된다.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는, 상기 주전원 라인(1L)으로부터 전원배선(1a)을 개재하여 공급되는 상기 3상 교류의 R상 및 S상의 2상을 직류(이 예에서는 5V)로 변환하고, 실외측 제어회로(13)에 공급한다. 이 예에서는,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는,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 평활 콘덴서(12b) 및 스위칭 전원(12c)을 구비한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는, 한쪽의 입력이, 나중에 후술하는 릴레이(K13R)를 개재하여 3상 교류의 R상의 전원배선(1a)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의 입력이, 상기 3상 교류의 S상의 전원배선(1a)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출력은, 평활 콘덴서(12b)로 평활화 된 후에, 스위칭 전원(12c)에 입력된다. 스위칭 전원(12c)은,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로 구성되고, 입력된 직류를 소정의 전압(5V)으로 변환하여 실외측 제어회로(13)로 출력한다.
-실외기 전송회로(11)-
실외기 전송회로(11)는, 실내기 전송회로(21)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통신을 실행한다. 이 통신에서는, 신호선(S)과 공통선(N) 사이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의 2값의 디지털 신호의 통신을 실행한다. 실내기 전송회로(21) 내의 통신회로(도시는 생략)는, 일단(一端)이 공통선(N)에 접속되고, 통신회로의 타단(他端)은 릴레이(K14R)를 개재하여 신호선(S)에 접속된다.
-릴레이(K13R)-
릴레이(K13R)는, 운전정지 시에 상기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서스펜드(suspend) 상태로 하는 스위치이고,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로의 교류공급의 경로를 전환하는 릴레이이다. 릴레이(K13R)는, 이른바, C접점 릴레이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릴레이(K13R)는, 2개의 고정 접점과, 1개의 가동 접점을 가지고, 이 릴레이(K13R)의 코일에 통전되지 않은 경우는, 한쪽의 고정 접점(이하, 노멀 클로즈(Normal Close) 접점이라 부름)과 가동 접점이 접속되고, 이 코일에 통전되면, 다른 한쪽의 고정 접점(이하, 노멀 오픈(Normal Open) 접점이라 부름)과 가동 접점이 접속된다. 릴레이(K13R)의 전환(코일로의 통전의 유무)은, 실외측 제어회로(13)가 제어한다.
이 예에서는, 릴레이(K13R)의 가동 접점은,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입력인 전원배선(1a)에 접속된다. 또, 노멀 클로즈 접점은, 신호선(S)에 접속되고, 노멀 오픈 접점은, 상기 3상 교류의 R상의 전원배선(1a)에 접속된다. 즉, 릴레이(K13R)의 코일에 통전되지 않은 경우는, 노멀 클로즈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속되고,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한쪽의 입력은 신호선(S)에 접속된다. 릴레이(K13R)의 코일에 통전되면, 가동접점과 노멀 오픈 접점이 접속되고,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에 교류가 입력되는 상태가 된다.
-릴레이(K14R)-
릴레이(K14R)는, 신호선(S)과 실외기 전송회로(11)와의 접속 및 비접속을 전환하는 릴레이이다. 릴레이(K14R)는, 이른바 A접점 릴레이로 구성되고, 이 코일에 통전하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온 상태가 된다. 릴레이(K14R)의 온 오프(ON/OFF)는, 실외측 제어회로(13)가 제어한다. 이 예에서는, 릴레이(K14R)는, 가동 접점이 신호선(S)에 접속되고, 고정 접점이 실외기 전송회로(11) 내의 통신회로(도시는 생략)의 일단에 접속된다. 물론, A접점 릴레이에서는, 입력하는 신호 등과 각 접점의 대응관계는 반대로 하여도 된다.
-릴레이(K15R)-
릴레이(K15R)는, 실외기 전송회로(11)로의 전력공급의 유무를 전환하는 릴레이이다. 릴레이(K15R)는, 이른바 A접점 릴레이로 구성된다. 릴레이(K15R)는, 한쪽의 접점이 실외기 전송회로(11)의 전원공급 노드(node)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의 접점이, 상기 3상 교류의 R상에 접속된다. 릴레이(K15R)를 온으로 하면, 실외기 전송회로(11)는 급전되고, 릴레이(K15R)를 오프로 하면, 실외기 전송회로(11)로의 급전이 차단된다. 릴레이(K15R)의 온 오프는, 실외측 제어회로(13)가 제어한다.
-실외측 제어회로(13)-
실외측 제어회로(13)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함)와, 이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메모리를 포함한다(도시는 생략). 실외측 제어회로(10)는, 예를 들어 실외기 전송회로(11)가 실내기 전송회로(21)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 압축기 등의 제어를 행하는 외에, 실외기(10) 기동 시의 제어(후술)을 행한다. 실외측 제어회로(13)는, 공기조화장치(1)가 서스펜드 상태(공기조화장치(1) 전체로서 소비전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 상세한 것은 후술)의 경우에는,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동작을 정지한다.
<실내기(20)>
실내기(20)는, 전장계통으로서, 실내측 전원회로(22), 실내기 전송회로(21), 실내측 제어회로(23), 릴레이(K2R), 제 1 다이오드(D1) 및 제 2 다이오드(D2)를 구비한다.
-실내측 전원회로(22)-
실내측 전원회로(22)는, 노이즈 필터(22a),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22b), 평활 콘덴서(22c) 및 스위칭 전원(22d)을 구비한다. 실내측 전원회로(22)는, 전력배선(L) 및 공통선(N)을 개재하여 주전원 라인(1L)으로부터 공급된 교류를 직류(이 예에서는 5V의 직류)로 변환하고, 실내측 제어회로(23)에 공급한다.
이 예에서는, 노이즈 필터(22a)는, 2개의 코일로 형성된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22b)는, 노이즈 필터(22a)를 개재하여 전력배선(L) 및 공통선(N)으로부터 입력된 교류를 전파 정류한다. 평활 콘덴서(22c)는, 예를 들어 전해 콘덴서로 형성되고,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22b)의 출력을 평활화한다. 스위칭 전원(22d)은, 예를 들어 DC-DC 컨버터 등으로 구성되고, 평활 콘덴서(22c)가 평활화된 직류를 소정의 전압(5V)으로 변환하고 실내측 제어회로(23)에 출력한다.
-실내기 전송회로(21)-
실내기 전송회로(21)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실외기 전송회로(11)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통신을 실행한다. 이 통신에서는, 신호선(S)과 공통선(N)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의 통신을 실행하므로, 실내기 전송회로(21)의 통신회로의 일단(一端)은, 제 2 다이오드(D2)를 개재하여 신호선(S)에 접속되고, 통신회로의 타단(他端)은 공통선(N)에 접속된다.
-릴레이(K2R),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 D2)-
릴레이(K2R)는, 이른바 A접점 릴레이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릴레이(K2R)와 제 1 다이오드(D1)는, 실내기(20) 내에 설치되고, 전력배선(L)과 신호선(S)과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K2R)의 가동 접점은, 전력배선(L)과 접속되고, 릴레이(K2R)의 고정접점은,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cathode)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anode)는 신호선(S)에 접속된다.
릴레이(K2R)는, 전력배선(L)과 신호선(S) 사이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스위치로써 기능한다. 릴레이(K2R)의 온 오프는, 실내측 제어회로(23)가 제어한다. 릴레이(K2R)는, 본 발명의 온 오프 스위치의 일례이다. 또, 제 1 다이오드(D1)는, 실내기 전송회로(21)로 유입하는 방향의 교류전원을 저지한다. 그리고, 제 1 다이오드(D1)와 릴레이(K2R)의 위치관계는 반대로 하여도 된다. 즉,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를 전력배선(L)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를 릴레이(K2R) 한쪽의 접점에 접속하고, 릴레이(K2R) 다른 한쪽의 접점을 신호선(S)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 2 다이오드(D2)의 애노드는, 제 1 다이오드(D1)와 신호선(S)의 접속 노드(ND1)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실내기 전송회로(21)의 신호입력 노드(ND2)에 접속된다. 제 2 다이오드(D2)는, 실내기 전송회로(21)로부터 유출하는 방향의 교류전류를 저지한다.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공통선(N)이 교류전원(40)의 S상에 접속되므로, 실내기 전송회로(21)와 실외기 전송회로(11)와의 통신신호에는, 이 S상의 교류가 제 2 다이오드(D2)로 반파(半波) 정류되어 중첩되게 된다.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 D2)로, 본 실시형태의 보호회로의 일례를 구성한다.
-실내측 제어회로(23)-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함)와, 이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메모리를 포함한다(도시는 생략).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리모콘(30)으로부터의 지령을 받아, 공기조화장치(1)의 운전상태(후술)를 제어한다.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리모콘(30)으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기 위해, 항상 실내측 전원회로(22)에 의해 급전된다.
<리모콘(30)>
리모콘(30)은,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실내측 제어회로(23)에 송신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리모콘(30)의 버튼 조작에 의해, 공기조화장치(1)의 운전개시, 정지, 설정온도 조정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리모콘(30)은, 신호선으로 실내측 제어회로(23)와 결선(結線)된 이른바 와이어드 리모콘(wired remote controller)으로서 구성하여도 되고, 적외선이나 전파를 이용하여 실내측 제어회로(23)와 통신을 실행하는, 이른바 와이어리스 리모콘(wireless remote controller)으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강제기동 기구>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특징 중 하나인 강제기동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서스펜드 상태란, 본원 발명의 대기상태이다.
상기 도 1에 나타내듯이, 상기 실외기(10)에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는 기종에 대응시킬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기구(16)가 상기 전원배선(1a)에 설치된다.
상기 선택기구(16)는, 상기 릴레이(K13R), 보조회로(16a), 개폐부(17) 및 이 개폐부(17)의 검출회로(18)를 구비한다. 상기 릴레이(K13R)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외기(10)를 서스펜드 상태로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상기 보조회로(16a)는, 다이오드(16b)를 구비하고, 상기 릴레이(K13R)와 병렬로 설치되고,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상시 전력공급을 하도록 3상 교류의 R상과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의 입력을 접속한다.
상기 개폐부(17)는, 도 7에 나타내듯이, 보조회로(16a)를 개폐하는 커넥터에 의해 구성되고, 접속 핀(17a)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7)는, 접속 핀(17a)이 끼워 넣어지면 보조회로(16a)를 도통시키고, 접속 핀(17a)이 뽑히면 보조회로(16a)를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10)의 설치 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접속 핀(17a)의 발취작업을 행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실내기(20)가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한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지, 실내기(20)가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불가능한 대기저력 미대응 기종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상기 접속 핀(17a)을 뽑아 내고,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상기 접속 핀(17a)을 끼워 넣은 상태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핀(17a)이 끼워 넣어져 있으면, 상기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를 개재하고 상기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상시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검출회로(18)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전원(18a)과 마이컴(18b)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 핀(17a)에 연동한 연동 핀(18c)을 구비한다. 상기 검출회로(18)는, 상기 접속 핀(17a)이 끼워 넣어지면, 서스펜드 상태의 이행이 행해지지 않는 것을 판정하고, 예를 들어, 서스펜드 상태의 이행 불가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공기조화장치의 동작>
도 2는, 공기조화장치(1)의 상태 천이도이다. 공기조화장치(1)는, 이하에 설명하는 서스펜드 상태, 충전상태, 웨잇상태, 및 운전상태의 4개의 상태를 천이한다. 그리고, 이하에 있어서, 대기전력이란, "기종이 비사용 상태, 또는 어떤 입력(명령지령 등)을 기다릴 시에 정상(定常)적으로 소비하고 있는 전력"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리모콘(30)의 입력을 기다리는 데에 필요한 전력이 대기전력이다.
(1)서스펜드 상태
서스펜드 상태란, 실내기(20)에는 전력이 공급되고, 실외기(10)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의 서스펜드 상태는, 일례로써, 공기조화장치(1) 전체적으로 소비전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서스펜드 상태에서는, 실외기(10)는 전력을 수전(受電)하여 이를 실내기(20)로 공급은 하나, 실외기(10) 내부의 각 회로와 상기 전동 압축기 등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이, 서스펜드 상태에서는, 실외기(10)의 각 회로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대기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20)는, 대기전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이고, 실내측 제어회로(23)에서 리모트 콘트롤러(30)로부터의 신호수신에 관련하는 부분은, 실내측 전원회로(23)로부터 전력을 받아 동작한다. 그리고, 리모트 콘트롤러(30)도, 대기전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이고, 시각표시 등 소정의 표시나 사용자의 버튼 조작의 접수는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실내기(20) 및 리모트 콘트롤러(30)의 소비전력(대기전력)의 정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충전상태
충전상태란, 실외기(10)에서는,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의 평활 콘덴서(12b)에 충전되는 회로가 형성되고, 실외기 전송회로(11)와 실내기 전송회로(21) 사이의 신호전송이 개시되기까지의 기간의 상태를 말한다. 이 때, 실내기(20)의 전력소비는, 서스펜드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3)웨잇상태
웨잇상태란, 운전개시 시에는 상기 충전상태가 끝난 상태이고, 운전정지 시에는 운전상태(후술)로부터 천이하는 상태이고, 모두, 실외기(10)가, 즉시, 운전상태(후술)로 이행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웨잇상태에서는, 실외기 전송회로(11) 및 실외측 제어회로(13)의 동작도 가능하다. 특히, 운전정지 시의 웨잇상태(운전상태로부터 천이하는 웨잇상태)는, 전동 압축기의 냉매압력을 균등시키기 위함과, 운전개시와 운전정지를 반복하는 스케줄 운전이 설정되는 경우 등을 위해 설정되며, 그 시간은 예를 들어 10분이다. 그리고, 실내기(20)의 전력소비는 서스펜드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4)운전상태
운전상태란, 메인 릴레이(14b)를 온으로 하여, 전동 압축기와 실외 팬이 운전 가능한 상태, 또는 운전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른바 결상(open phase)통전과 서모(thermo) 오프상태도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실내기(20)에서는, 실내 팬 등이 운전상태가 되고, 전력소비는, 상기 각 상태보다 증가한다. 또, 리모콘(30)은, 운전 지시상태(예를 들어, 각각의 운전상태를 표시한 상태)이다.
-공기조화장치(1)의 상태 천이-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운전 개시하는 경우에는, 도 2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순서로,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천이하고, 운전정지하는 경우에는, 동일 도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순서로, 운전상태로부터 서스펜드 상태로 천이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써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운전상태까지의 천이를 설명한다.
<서스펜드 상태의 전장계통>
먼저, 서스펜드 상태의 전장계통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서스펜드 상태에서의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낸다. 서스펜드 상태에서는, 실외기(10)는, 메인 릴레이(14b)의 코일에는 통전되지 않으며,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로부터는 인텔리전트 파워모듈과 실외 팬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 다른 릴레이(K13R, K14R, K15R)의 코일에도 통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릴레이(K14R) 및 릴레이(K15R)는 오프 상태이다. 즉, 실외기 전송회로(11)는, 신호선(S)과의 접속이 차단됨과 동시에, 전력의 공급도 차단된다. 또, 릴레이(K13R)는, 노멀 클로즈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 즉,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는, 한쪽의 입력이 신호선(S)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에는 통전되지 않고, 실외측 제어회로(13)로의 급전도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서스펜드 상태에서는, 실외기(10)에서는 대기전력을 없앨 수 있다.
서스펜드 상태의 실내기(20)에서는, 릴레이(K2R)의 코일에는, 통전되지 않고, 오프상태이다. 즉, 신호선(S)과 전력배선(L)은 전기적으로는 비접속 상태이다. 그리고,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20)에서는, 실내측 제어회로(23)에서 리모콘(30)으로부터의 신호 수신에 관련하는 부분은, 실내측 전원회로(22)로부터 전력을 받아 동작하고 있다.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충전상태로의 이행>
도 3은, 평활 콘덴서(12b)에 충전되는 회로가 형성된 시점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4는, 충전상태로의 이행이 완료된 후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30)을 조작하여, 공기조화장치(1)의 운전개시(예를 들어 냉방운전의 개시)를 지시하면,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릴레이(K2R)의 코일에 통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상기 3상 교류의 R상으로부터, 전력배선(L), 릴레이(K2R), 제 1 다이오드(D1), 신호선(S), 및 릴레이(K13R)를 개재하여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한쪽의 입력에 이르는 송전경로(설명의 편의상, 기동 시 송전경로라 부름)가 형성된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다른 쪽의 입력은, 상기 3상 교류의 S상에 접속되므로,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에는, 제 1 다이오드(D1)로 반파 정류된 단상교류가 공급된다. 즉, 평활 콘덴서(12b)에 충전되는 회로가 형성된 상태로 된다(도 3 참조).
이 때, 상기 3상 교류의 R상의 전위가 S상의 전위보다 높은 경우(즉, R상으로부터 S상에 교류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제 1 다이오드(D1)에 의해, 전력배선(L)으로부터 실내기 전송회로(21) 및 실외기(10)로 유입하는 방향의 교류전류가 저지된다. 또, 실내기 전송회로(21)는, 실내측 전원회로(22)를 개재하여 R상과 연결되나, 실내기 전송회로(21)로부터 신호선(S)으로 유출하는 방향의 교류전류는, 제 2 다이오드(D2)에 의해 저지된다.
상기 3상 교류의 S상의 전위가 R상의 전위보다 높은 경우(즉, S상으로부터 R상에 교류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에 전류가 흐른다. 이 경우, 실내기 전송회로(21) 내 통신회로의 일단은 공통선(N)을 개재하여 상기 3상 교류의 S상에 접속되고, 이 통신회로의 타단은, 신호선(S), 릴레이(K13R), 및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를 개재하고, 역시 상기 3상 교류의 S상에 접속된다. 즉, 실내기 전송회로(21)는, 3상 교류 중 1상과만 연결된다. 때문에, 신호선(S)를 교류전력의 송전에 이용하여도, 실내기 전송회로(21) 내의 통신회로에, 그 교류전류가 흐르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실외기 전송회로(11)가 과전압으로부터 보호된다.
평활 콘덴서(12b)가 충전되어 스위칭 전원(12c)으로의 입력이 안정되고, 스위칭 전원(12c)이 규정의 직류전압(이 예에서는 5V)을 출력할 수 있게 되면, 실외측 제어회로(13)가 기동한다. 기동한 실외측 제어회로(13)는, 릴레이(K13R)의 코일에 통전시키고, 노멀 오픈 접점과 가동접점을 접속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한쪽의 입력은, 상기 3상 교류의 R상에, 실외기(10) 내의 송전경로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즉, 실외측 제어회로(13)는, 신호선(S)을 경유하지 않고 교류전원(40)으로부터 전력 공급된 상태로 전환한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상기 충전상태로의 이행이 완료한다.
<충전상태로부터 웨잇상태로의 이행>
도 5는, 웨잇상태로의 이행완료 시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실내기(20)에서는, 릴레이(K2R)를 온으로 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실외측 제어회로(13)가 기동하는 데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릴레이(K2R)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신호선(S)을 신호의 송수신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다.
실외기(10)에서는, 실외측 제어회로(13)는, 릴레이(K2R)가 오프가 된 것을 가늠하여, 릴레이(K15R)를 온으로 하고, 실외기 전송회로(11)에 전력이 공급된 상태로 함과 동시에, 릴레이(K14R)를 온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실외기 전송회로(11) 내의 통신회로가, 신호선(S) 및 공통선(N)을 개재하여 실내기 전송회로(21)와 접속되고, 실내기 전송회로(21)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로써,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충전상태가 종료되고, 즉시 운전상태로 이행 가능한 상태(즉, 웨잇상태)가 된다.
<웨잇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의 이행>
도 6은, 운전상태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웨잇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이행할 시에는, 실외측 제어회로(13)는, 2개의 메인 릴레이(14b)를 온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에 의해, 상기 인텔리전트 파워모듈과 실외 팬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동 압축기 등이 운전상태가 되고, 예를 들어 냉방이 이루어진다.
<강제기동 동작>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특징의 하나인 강제기동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외기(10)의 설치 시에, 작업자는, 상기 실내기(20)가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한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지, 실내기(20)가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불가능한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커넥터로 구성된 개폐부(17)의 접속 핀(17a)을 뽑아 낸다. 그 결과, 상기 보조회로(16a)가 차단되고, 전원배선(1a)의 릴레이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하고, 실외기(10)는, 운전정지 시에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작업자는, 개폐부(17)의 접속 핀(17a)을 끼워 넣은 상태로 설정한다. 이 경우,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보조회로(16a)가 도통하고, 교류전원(40)의 전력이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를 개재하여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상시 전력이 공급된다. 그 결과, 상기 실외기(10)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지 않고, 릴레이(K13R)의 전환상태에 상관없이 리모콘(30)의 운전신호에 기초하여 독자적으로 기동한다.
또, 상기 검출회로(18)는, 상기 접속 핀(17a)이 끼워져 있으면, 서스펜드 상태의 이행이 행해지지 않는 것을 판정하고, 예를 들어, 서스펜드 상태의 이행 불가능을 표시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운전정지 시에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는 기종에 대응시킬지 여부를 선택기구(16)에 의해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공기조화장치(1)에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불가능한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이 혼재한 경우, 실외기(10)의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을 금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이 혼재한 경우에도 원활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여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조회로(16a)의 개폐에 의해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는 기종에 대응시킬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원배선(1a)의 릴레이(K13R)의 동작에 상관없이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에 확실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17)를 커넥터로 구성했기 때문에, 간략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이 혼재한 경우에 대응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
본 변형예 1은, 도 8에 나타내듯이, 상기 제 1 실시형태가 개폐부(17)를 커넥터로 구성한 것 대신에, 개폐부(17)를 래칭 릴레이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개폐부(17)는, 세트코일(17b)과 리세트코일(17c)과 가동편(片)(17d)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7)가 세트코일(17b)에 전압을 인가하면, 가동편(17d)이 보조회로(16a)를 도통시키는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개폐부(17)가 리세트 코일(17c)에 전압을 인가하면, 가동편(17d)이 보조회로(16a)를 차단시키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7)는, 일단 보조회로(16a)를 개폐하면, 세트코일(17b) 및 리세트 코일(17c)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현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10)의 설치 시에, 작업자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리세트 코일(17c)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보조회로(16a)를 차단한다.
한편,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작업자는, 세트코일(17b)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보조회로(16a)를 도통시킨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17)를 래칭 릴레이로 구성했기 때문에, 개폐부(17)의 개폐를 자동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
변형예 2는, 도 9에 나타내듯이, 전원배선(1a)의 릴레이(K13R)를 변형예 1의 래칭 릴레이로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릴레이(K13R)는, 세트코일(17b)과 리세트 코일(17c)과 가동편(17d)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 제 1 실시형태의 릴레이(K13R)의 개폐동작을 래칭 릴레이로 행하는 것이 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 세트코일(17b)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원배선(1a)을 도통시킨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 결과, 상기 실외기(10)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되지 않고, 리모콘(30)의 운전신호에 기초하여 독자적으로 기동한다. 그리고, 이 변형예의 경우, 제 1 실시형태 및 변형예 1의 보조회로(16a)는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원배선(1a)의 릴레이(K13R)를 래칭 릴레이로 구성했기 때문에, 서스펜드 상태의 이행 제어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에 대한 대응을 하나의 래칭 릴레이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
여기서, 릴레이(K2R) 대신에 반도체 스위치(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등)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 상용 교류전원(40)에는 단상교류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선택기구(16)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리모콘 등이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선택기구(16)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전체구성>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1)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공기조화장치(1)는, 기종 사양이 다른 실내기와 실외기를 조합하여 이용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실외기(10), 실내기(20), 및 리모트 콘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 약기함)(30)를 구비한다.
실외기(10)는, 운전정지 중에 전력공급이 차단 가능한 대기전력 대응 기종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20)는, 전력공급이 차단된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외기(10)에 전력공급을 개시하고, 이 실외기(10)를 기동시키는 기동부를 갖는 대기전력 대응 기종 또는 상기 기동부를 갖지 않는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모콘(30)은,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요구 신호를 실내기(20)에 송신하는 대기전력 대응 기종 또는 상기 차단요구 신호를 실내기(20)에 송신하지 않는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실외기(10)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내기(20)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리모콘(20)이 접속된 때의 공기조화장치(1)의 전장계통 블록도이다.
공기조화장치(1)는, 실외기(10)에서, 상용 교류전원(40)으로부터 교류(이 예에서는, 200V의 3상 교류)를 수전하여 실외기(10) 내의 회로와 전동 압축기(도시 않음)의 전력으로서 이용하는 외에, 이 3상 교류의 2상분을 실내기(20)에 급전하도록 된다. 또, 실외기(10)와 실내기(20)와의 사이에서는, 실내기(20)측으로부터 실외기(10)를 제어하기 위함 등의 목적으로, 통신을 실행하도록 된다. 이로써,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상용 교류전원(40)(이하, 단지 교류전원이라고도 함)으로부터의 교류전력을 송전하는 전력배선(L)과,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S)과, 상기 교류전력의 송전과 상기 신호의 전송에 공용되는 공통선(N)과의 3선(내외배선)이 실외기(10)와 실내기(20)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력배선(L)은, 실외기(10)에 있어서 교류전원(40)의 R상에 접속되고, 공통선(N)은, 실외기(10)에서 교류전원(40)의 S상에 접속된다. 즉, 실내기(20)는, 교류전원(40)의 R상 및 S상에 접속되어 단상교류가 공급된다.
<실외기(10)>
실외기(10)는, 전장계통으로서,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 실외기 전송회로(11), 실외측 제어회로(13), 실외 기억부(15), 강제기동 기구(50) 및 릴레이(K13R, K14R, K15R)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나, 실외기(10)에는, 전동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실외 팬, 팽창밸브 등의 기기가 설치된다.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는, 교류전원(40)에 접속된 주전원 라인(1L)으로부터 수전한 3상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이른바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이하, IPM이라 약기함)과 실외 팬 모터에 공급한다. 그리고, IPM은, 입력된 직류를 소정의 주파수 및 전압의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전동 압축기의 모터에 급전한다. 이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는, 노이즈 필터(14a), 2개의 메인 릴레이(14b), 2개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4c), 리엑터(14d), 및 평활 콘덴서(14e)를 갖는다.
노이즈 필터(14a)는, 콘덴서와 코일로 형성된다. 2개의 메인 릴레이(14b)는, 상기 3상 교류의 R상, T상의 공급라인에 각각 설치된다. 2개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4c) 중, 한쪽은, 상기 3상 교류의 R상 및 S상을 입력으로 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3상 교류의 S상 및 T상을 입력으로 하며, 입력된 교류를 각각 전파정류한다. 이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4c)의 출력은 리엑터(14d)를 개재하여 평활 콘덴서(14e)에 입력되고, 평활 콘덴서(14e)로 평활화된다. 평활 콘덴서(14e)로 평활화된 직류는, 상기 IPM과 실외 팬 모터에 공급된다.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는, 상기 주전원 라인(1L)으로부터 전원배선(1a)을 개재하여 공급되는 상기 3상 교류의 R상 및 S상의 2상을 직류(이 예에서는 5V)로 변환하고, 실외측 제어회로(13)에 공급한다. 이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는,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 평활 콘덴서(12b), 및 스위칭 전원(12c)을 구비한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는, 한쪽의 입력이, 릴레이(K13R)를 개재하여 상기 3상 교류의 R상의 전원배선(1a)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의 입력이, 상기 3상 교류의 S상의 전원배선(1a)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출력은, 평활 콘덴서(12b)로 평활화된 후에, 스위칭 전원(12c)에 입력된다. 스위칭 전원(12c)은,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로 구성되고, 입력된 직류를 소정의 전압(5V)으로 변환하여 실외측 제어회로(13)로 출력한다.
-실외기 전송회로(11)-
실외기 전송회로(11)는, 실내기 전송회로(21)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에 의한 통신을 실행한다. 이 통신에서는, 신호기(S)와 공통선(N)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 2값의 디지털 신호의 통신을 실행한다. 실내기 전송회로(21) 내의 통신회로(도시는 생략)는, 일단이 공통선(N)에 접속되고, 통신회로의 타단은 릴레이(K14R)를 개재하여 신호선(S)에 접속된다.
-릴레이(K13R)-
릴레이(K13R)는, 운전정지 중에 상기 3상 교류의 R상의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교류전원(40)으로부터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후술하는 서스펜드 상태로 하는 스위치이고,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로의 교류공급의 경로를 전환하는 릴레이이다. 릴레이(K13R)는, 이른바 C접점 릴레이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릴레이(K13R)는, 2개의 고정접점과, 하나의 가동접점을 가지고, 이 릴레이(K13R)의 코일(도시 않음)에 통전되지 않은 경우는, 한쪽의 고정접점(노멀 클로즈 접점이라 부름)과 가동접점이 접속되고, 이 코일에 통전되면, 다른 한쪽의 고정접점(노멀 오픈 접점이라 부름)과 가동접점이 접속된다. 릴레이(K13R)의 전환(코일로의 통전 유무)은, 실외측 제어회로(13)가 제어한다.
릴레이(K13R)의 가동 접점은,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입력에 접속된다. 또, 노멀 클로즈 접점은, 신호선(S)에 접속되고, 노멀 오픈 접점은, 상기 3상 교류의 R상의 전원배선(1a)에 접속된다. 즉, 릴레이(K13R)의 코일에 통전되지 않은 경우는, 노멀 클로즈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속되고,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한쪽의 입력은 신호선(S)에 접속된다. 릴레이(K13R)의 코일에 통전되면, 가동접점과 노멀 오픈 접점이 접속되고,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에 교류가 입력되는 상태가 된다.
-릴레이(K14R)-
릴레이(K14R)는, 신호선(S)과 실외기 전송회로(11)와의 접속(온) 및 비접속(오프)를 전환하는 릴레이이다. 릴레이(K14R)의 온 오프는, 실외측 제어회로(13)가 제어한다.
-릴레이(K15R)-
릴레이(K15R)는, 실외기 전송회로(11)로의 전력공급의 유무를 전환하는 릴레이이다. 릴레이(K15R)를 온으로 하면, 교류전원(40)으로부터 실외기 전송회로(11)에 전력 공급되고, 릴레이(K15R)를 오프로 하면, 교류전원(40)으로부터의 실외기 전송회로(11)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릴레이(K15R)의 온 오프는, 실외측 제어회로(13)가 제어한다.
-실외측 제어회로(13)-
실외측 제어회로(13)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이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실외측 제어회로(10)는, 예를 들어 실외기 전송회로(11)가 실내기 전송회로(21)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 압축기 등의 제어를 행하는 외에, 실외기(10) 기동 시의 제어도 행한다.
-실외 기억부(15)-
실외 기억부(15)는,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접속된다.
실외 기억부(15)에는, 실외기(1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기종 사양정보("1", "0"의 비트)가 미리 기억된다.
-강제기동 기구(50)-
강제기동 기구(50)는, 실외기(10)에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의 실내기(20)가 접속된 때에, 실외기(10)를 강제적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이 강제기동 기구(50)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상기 3상 교류의 R상의 전원배선(1a)에 릴레이(K13R)를 우회하도록 접속된 보조회로(51)와, 접속부(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강제기동 기구(50)와 후술하는 단락 검출부(53)와 후술하는 실내측 제어회로(23)의 이상 검지부와 상기 릴레이(K13R)는, 제 1 실시형태의 선택기구(16)를 구성한다.
보조회로(51)는, 상기 3상 교류의 R상의 전원배선(1a)에서의 릴레이(K13R)의 노멀 오픈 접점측에 접속된 제 1 단락라인(51a)과, 상기 3상 교류의 R상의 전원배선(1a)에서의 릴레이(K13R)의 가동접점측에 접속된 제 2 단락라인(51b)을 갖는다.
제 2 단락라인(51b)에는, 애노드가 이 제 2 단락라인(51b)과 전원배선(1a)과의 접속노드(ND3)에 접속된 다이오드(D3)가 설치된다.
접속부(52)는,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 가능한 단락 커넥터(52a)와,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부를 가진다.
단락 커넥터(52a)는, 커넥터 본체(52b)와, 4극(極)의 접속 플러그(52c)로 구성된다(도 13 참조).
커넥터 본체(52b)에는, 접속 플러그(52c)에 대응하여 4개의 플러그 삽입공(52d, 52d, …)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플러그 삽입공(52d, 52d, …) 중, 2개의 플러그 삽입공(52d, 52d)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제 2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다.
단락 검출부(53)은,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이 예에서는, 5V)이 공급되는 외부전원 단자(53a)와, 이 외부전원 단자(53a)에 저항을 개재하여 접속된 검지부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53b)(이하, MPU라 약기함)를 구비한다.
그라운드(GND)는, 제 1, 제 2 단락라인(51a, 51b)과 접속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플러그 삽입공(52d, 52d)의 한쪽에 저항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외부전원 단자(53a) 및 MPU(53b)는, 상기 나머지 2개의 플러그 삽입공(52d, 52d)의 다른 쪽에 접속된다.
이 강제기동 기구(50)는, 접속 플러그(52c)가 커넥터 본체(52b)의 플러그 삽입공(52d, 52d, …)에 삽입되면, 제 1, 제 2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어, 보조회로(51)가 도통함과 동시에, 외부전원 단자(53a)와 그라운드(GND)가 접속된다. 한편, 접속 플러그(52c)가 커넥터 본체(52b)의 플러그 삽입공(52d, 52d, …)으로부터 뽑히면, 제 1, 제 2 단락라인(51a, 51b)이 분리되어, 보조회로(51)가 차단됨과 동시에, 외부전원 단자(53a)와 그라운드(GND)가 분리된다. 이로써, MPU(53b)에는, 단락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지 않은 때에 하이레벨의 전압이 입력되고, 단락 커넥터(52a)에 의해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때에 로우레벨의 전압이 입력된다. 따라서, MPU(53b)는, 로우레벨의 전압이 입력된 때에,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는 것을 검지한다.
<실내기(20)>
실내기(20)는, 전장계통으로서, 실내측 전원회로(22), 실내기 전송회로(21) 실내측 제어회로(23), 실외 기억부(24), 릴레이(K2R), 제 1 다이오드(D1), 및 제 2 다이오드(D2)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나, 실내기(20)에는, 실내 열교환기, 실내 팬 등의 기종이 설치된다.
-실내측 전원회로(22)-
실내측 전원회로(22)는, 노이즈 필터(22a),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22b), 평활 콘덴서(22c), 및 스위칭 전원(22d)을 갖는다. 이 실내측 전원회로(22)는, 전력배선(L) 및 공통선(N)을 개재하여 주전원 라인(1L)으로부터 공급된 교류를 직류(이 예에서는 5V의 직류)로 전환하고, 실내측 제어회로(23)에 공급한다.
노이즈 필터(22a)는 2개의 코일로 형성된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22b)는, 노이즈 필터(22a)를 개재하여 전력배선(L) 및 공통선(N)으로부터 입력된 교류를 전파 정류한다. 평활 콘덴서(22c)는, 예를 들어 전해 콘덴서로 형성되고,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22b)의 출력을 평활화한다. 스위칭 전원(22d)은, 예를 들어 DC-DC 컨버터 등으로 구성되고, 평활 콘덴서(22c)가 평활화된 직류를 소정의 전압(5V)으로 변환하여 실내측 제어회로(23)에 출력한다.
-실내기 전송회로(21)-
실내기 전송회로(21)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실외기 전송회로(11)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통신을 실행한다. 이 통신에서는, 신호선(S)과 공통선(N)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통신을 실행하므로, 실내기 전송회로(21)의 통신회로의 일단은 신호선(S)에 접속되고, 통신회로의 타단은 공통선(N)에 접속된다.
-릴레이(K2R)-
릴레이(K2R)는, 전력배선(L)과 신호선(S)을 연결하는 바이패스선(B)에 설치되고, 전력배선(L)과 신호선(S)과의 접속 및 비접속을 전환하는 릴레이이다. 이 릴레이(K2R)는, 전력공급이 차단된 실외기(10)에 대해 전력공급을 개시하는 기동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릴레이(K2R)를 온으로 하면, 전력배선(L)과 신호선(S)이 접속되고, 릴레이(K2R)를 오프로 하면, 전력배선(L)과 신호선(S)이 절단된다. 릴레이(K2R)의 온 오프는, 실내측 제어회로(23)가 제어한다.
-제 1 다이오드(D1)-
제 1 다이오드(D1)는, 애노드가 바이패스선(B)과 신호선(S)과의 접속노드(ND1)에 접속되고, 캐소드가 릴레이(K2R)에 접속된다. 이 제 1 다이오드(D1)는, 실내기 전송회로(21)로 유입하는 방향의 교류전류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2 다이오드(D2)-
제 2 다이오드(D2)는, 애노드가 신호선(S)의 접속노드(ND1)에 접속되고, 캐소드가 실내기 전송회로(21)의 신호입력 노드(ND2)에 접속된다. 이 제 2 다이오드(D2)는, 실내기 전송회로(21)로부터 유출하는 방향의 교류전류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내측 제어회로(23)-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이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리모콘(30)으로부터의 지령을 받아, 공기조화장치(1)의 운전상태를 제어한다. 이 실내측 제어회로(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미스를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로서 기능한다. 또, 실내측 제어회로(23)는,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미스를 검지한 경우에, 이 이상을 리모콘(30)에 통지하는 통지부도 겸한다.
-실내 기억부(24)-
실내 기억부(24)는, 실내측 제어회로(23)에 접속된다. 이 실내 기억부(24)에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기종사양 정보("1", "0"의 비트)가 미리 기억된다.
<리모트 콘트롤러(30)>
리모콘(30)은,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실내측 제어회로(23)에 송신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리모콘(30)의 버튼조작에 의해, 공기조화장치(1)의 운전개시, 정지, 설정온도 조정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리모콘(30)은, 리모콘 기억부(31)를 구비한 와이어 리모콘으로 구성된다.
-리모콘 기억부(31)-
리모콘 기억부(31)에는, 리모콘(30)이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기종사양 정보("1", "0"의 비트)가 미리 기억된다.
<강제기동 기구의 설정>
공기조화장치(1)의 출하 시에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접속 플러그(52c)가 커넥터 본체(52b)에 끼워 넣어진다. 여기서, 공기조화장치(1)의 설치 작업자는, 장치의 설치 시에,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커넥터 본체(52b)로부터 접속 플러그(52c)를 뽑아 내는 작업을 행한다. 여기서는,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이므로, 도 12에 나타내듯이, 커넥터 본체(52b)로부터 접속 플러그(52c)가 뽑힌다. 이로써,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분리되고, 보조회로(51)가 차단된다.
<공기조화장치의 동작>
공기조화장치(1)의 상태 천이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2와 동일하다. 공기조화장치(1)는, 이하에 설명하는 서스펜드 상태, 충전상태, 웨잇상태, 및 운전상태의 4개 상태를 천이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중에서, 대기전력이란 "기종이 비사용 상태, 또는 어떤 입력(명령지시 등)을 기다릴 시에 정상(定常)적을 소비하고 있는 전력"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리모콘(30)의 입력을 기다리는 데에 필요한 전력이 대기전력이다.
(1)서스펜드 상태
서스펜드 상태란, 실내기(20)에는 전력이 공급되고, 실외기(10)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서스펜드 상태가 본 발명에 관한 대기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의 서스펜드 상태는, 일례로써, 공기조화장치(1) 전체적으로 소비전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서스펜드 상태에서는, 실외기(10)는 전력을 수전하여 이를 실내기(20)로 공급은 하나, 실외기(10) 내부의 각 회로와 상기 전동 압축기 등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서스펜드 상태인 때에는, 실외측 제어회로(13)도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동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서스펜드 상태에서는, 실외기(10)의 각 회로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대기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20)에서도, 대기전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이긴 하나, 실외기(10)와는 달리, 실내측 제어회로(23)의 리모콘(30)으로부터의 신호수신에 관련하는 부분은, 실내측 전원회로(22)로부터 전력을 받아 동작한다.
또, 리모콘(30)에서도, 대기전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이긴 하나, 사용자의 버튼 조작의 접수는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실내기(20) 및 리모트 콘트롤러(30)의 소비전력(대기전력)의 정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충전상태
충전상태란, 실외기(10)에서는,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의 평활 콘덴서(12b)에 충전되는 회로가 형성되고, 실외기 전송회로(11)와 실내기 전송회로(21) 사이의 신호전송이 개시되기까지의 기간의 상태를 말한다. 이 때, 실내기(20)의 전력소비는, 서스펜드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3)웨잇상태
웨잇상태란, 운전개시 시에는 상기 충전상태가 끝난 상태이고, 운전정지 시에는 운전상태(후술)로부터 천이하는 상태가 되고, 모두, 실외기(10)가, 즉시, 운전상태로 이행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웨잇상태에서는, 실외기 전송회로(11)도 실외측 제어회로(13)도 동작하고 있다. 특히, 운전정지 시의 웨잇상태(운전상태로부터 천이하는 웨잇상태)는, 전동 압축기에서의 냉매압력을 균등시키기 위함과, 운전개시와 운전정지를 반복하는 스케줄 운전이 설정되는 경우 등을 위해 설정되며, 그 시간은 예를 들어 10분이다. 그리고, 실내기(20)의 전력소비는, 서스펜드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4)운전상태
운전상태란, 메인 릴레이(14b)를 온으로 하여, 전동 압축기와 실외 팬이 운전 가능한 상태, 또는 운전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른바 결상(open phase)통전과 서모(thermo) 오프상태도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 실내기(20)에서는, 실내 팬 등이 운전상태가 되고, 전력소비는, 상기 각 상태보다 증가한다. 그리고, 이 운전상태를 제외한, 서스펜드 상태, 충전상태, 웨잇상태가 본 명세서 중의 "운전중지 중"에 상당한다.
-운전개시 동작-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운전 개시하는 경우에는, 도 13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순서로,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천이한다.
<서스펜드 상태의 전장계통>
먼저, 서스펜드 상태에서의 전장계통의 상태를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외기(10)에서는, 메인 릴레이(14b)가 오프상태이고,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에 전력 공급되지 않으며,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로부터 상기 IPM과 실외 팬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릴레이(K14R) 및 릴레이(K15R)도 오프 상태이다. 이로써, 실외기 전송회로(1)는, 신호선(S)과의 접속이 차단됨과 동시에, 전력의 공급도 차단된다.
릴레이(K13R)는, 노멀 클로즈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속된 상태이고,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한쪽의 입력이 신호선(S)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에 전력 공급되지 않고, 실외측 제어회로(13)로의 급전도 행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서스펜드 상태에서는, 실외기(10)는,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실내기(20)에서는, 릴레이(K2R)가 오프상태이고, 신호선(S)과 전력배선(L)이 전기적으로 비접속 상태이다.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충전상태로의 이행>
도 14는, 평활 콘덴서(12b)에 충전되는 회로가 형성된 시점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15는, 충전상태로의 이행이 완료된 후의 각 릴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30)으로 운전개시 조작을 하면, 리모콘(30)으로부터 실내기(20)에 운전지령 신호가 송신된다.
실내기(20)는, 운전지령 신호를 수신하면, 실내측 제어회로(23)가 릴레이(K2R)를 온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상기 3상 교류의 R상으로부터, 전력배선(L), 릴레이(K2R), 제 1 다이오드(D1), 신호선(S), 및 릴레이(K13R)를 개재하여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한쪽의 입력에 이르는 송전경로가 형성된다.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다른 쪽의 입력은, 상기 3상 교류의 S상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에는, 제 1 다이오드(D1)로 반파정류된 단상교류가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평활 콘덴서(12b)에 충전되는 회로가 형성된 상태가 된다(도 14 참조).
한편, 실외기(10)에서는, 평활 콘덴서(12b)가 충전되어 스위칭 전원(12c)으로의 입력이 안정되고, 스위칭 전원(12c)이 규정의 직류전압(이 예에서는 5V)을 출력할 수 있도록 되면, 실외측 제어회로(13)가 기동한다. 기동한 실외측 제어회로(13)는, 릴레이(K13R)의 코일에 통전시켜, 노멀 오픈 접점과 가동접점을 접속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12a)의 한쪽의 입력은, 상기 3상 교류의 R상에, 실외기(10)의 전원배선(1a)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즉, 실외측 제어회로(13)는, 신호선(S)을 경유하지 않고 교류전원(40)으로부터 전력 공급된 상태로 전환된다(도 15 참조). 이렇게 하여,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충전상태로의 이행이 완료된다.
<충전상태로부터 웨잇상태로의 이행>
도 16은, 웨잇상태로의 이행완료 시의 각 릴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실내기(20)에서는, 릴레이(K2R)를 온으로 하고 나서 소정 시간(실외측 제어회로(13)가 기동하는 데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릴레이(K2R)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신호선(S)을 신호의 송수신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외기(10)에서는, 실외측 제어회로(13)는, 릴레이(K2R)가 오프가 된 것을 가늠하여, 릴레이(K15R)를 온으로 하고, 실외기 전송회로(11)에 전력이 공급된 상태로 함과 동시에, 릴레이(K14R)를 온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실외기 전송회로(11) 내의 통신회로가, 신호선(S) 및 공통선(N)을 개재하여 실내기 전송회로(21)와 접속되고, 실내기 전송회로(21)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충전상태를 빠져 나와, 즉시 운전상태로 이행 가능한 웨잇상태가 된다.
<웨잇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의 이행>
도 17은, 운전상태의 각 릴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웨잇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이행할 시에는, 실외측 제어회로(13)는, 2개의 메인 릴레이(14b)를 온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 1 실외측 전원회로(14)에 의해, 상기 IPM과 실외 팬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동 압축기 등이 운전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가 통신하면서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이 행해진다.
-운전정지 동작-
운전정지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2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순서로, 운전상태로부터 서스펜드 상태로 천이한다.
운전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30)으로 운전정지 조작을 하면, 운전상태, 웨잇상태, 서스펜드 상태의 순서로 천이한다. 이하, 운전상태로부터 서스펜드 상태까지의 동작을 차례로 설명한다.
<운전상태로부터 웨잇상태로의 이행>
사용자가 리모콘(30)으로 운전정지 조작을 하면, 리모콘(30)으로부터 실내기(20)에 운전정지 신호가 송신되고, 실내기(20)로부터 실외기(10)에 운전정지 신호가 송신된다.
실외기(10)에서는, 운전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실외측 제어회로(13)가 메인 릴레이(K14b)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IPM과 실외 팬 모터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전동 압축기 등이 정지한다. 이렇게 하여, 운전상태로부터 웨잇상태로의 이행이 완료한다(도 16 참조).
<웨잇상태에서 서스펜드 상태로의 이행>
사용자가 리모콘(30)으로 운전정지 조작을 하면 리모콘(30)에서는, 소정이 서스펜드 이행 금지조건이 판정된다. 이 서스펜드 이행 금지 조건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30)으로 운전정지 조작을 한 시각이 스케줄링 기능으로 예약된 운전개시 예정 시각에서부터 소정 시간 내인 경우에는, 웨잇상태로부터 서스펜드 상태로의 이행을 금지하는 것이다. 상기 서스펜드 이행 금지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모콘(30)으로부터 실내기(20)에 차단 요구 신호가 송신되고, 실내기(20)로부터 실외기(10)에 차단요구 신호가 송신된다.
실외기(10)에서는, 차단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실외측 제어회로(13)가 릴레이(K14R) 및 릴레이(K15R)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실외기 전송회로(11)와 실내기 전송회로(21)와의 접속이 차단되고, 실외기(10)와 실내기(20)가 통신할 수 없게 된다. 또, 실내측 제어회로(13)는, 릴레이(K13R)를 노멀 오픈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속된 상태로부터 노멀 클로즈 접점과 가동접점이 접속된 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제 2 실외기 전원부(12)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실외기(10)는, 릴레이(K13R, K14R, K15R)를 작동시키기 직전에, 실내기(20)로 차단 실시 신호를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이 완료한다(도 11 참조).
-강제기동 동작-
본 공기조화장치(1)는, 도 18에 나타내듯이, 실외기(10)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의 실내기(20)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의 실내기(20)는, 상기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내기(20)와 달리 릴레이(K2R)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서스펜드 상태인 실외기(10)를 기동시킬 수 없다.
그래서, 공기조화장치(1)의 설치 작업자는,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 시에, 커넥터 본체(52b)로부터 접속 플러그(52c)를 뽑아 내지 않고, 도 13에 나타내듯이, 접속 플러그(52c)를 커넥터 본체(52b)에 끼운 채로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조회로(51)가 도통하고, 교류전원(40)으로부터 릴레이(K13R)를 우회하여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에 이르는 경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교류전원(40)으로부터 제 2 전원회로(12)를 개재하여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상시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실외기(10)를 기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공기조화장치(1)는, 서스펜드 상태로 되지 않고, 웨잇상태와 운전상태의 2개 상태가 된다.
-강제기동 기구의 설정미스의 검지-
본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을 설치 작업자가 현장에서 판단하여 설정한다. 이로써, 설치 작업자가 강제기동 기구(50)를 잘못 설정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실외기(10)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내기(20)를 조합하여 이용할 때에 강제기동 기구(50)를 잘못 설정하는, 즉, 단락 커넥터(52)로부터 접속 플러그(52c)를 뽑아 내는 것을 잊어 버리면, 교류전원(40)으로부터 보조회로(51)를 개재하여 제 2 실외측 전원회로(12)에 이르는 경로가 형성되어 있어,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공기조화장치(1)에서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와 리모콘(30)을 접속하고 처음 기동시킨 때에, 대기전력 대응 기종의 실내기(20)의 실내측 제어회로(23)가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미스를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도 19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기초하여,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미스를 검지한다. 즉, 먼저 단계(S1)에서는, 실내측 제어회로(23)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 여부를 판정한다. 이 서스펜드 상태로의 이행 가부의 판정처리는, 도 20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즉, 단계(S1a)에서는, 실내측 제어회로(23)는, 실외 기억부(15) 및 리모콘 기억부(31)로부터 실외기(10) 및 리모콘(30)의 기종 사양 정보를 취득한다.
계속되는 단계(S1b)에서는, 실내측 제어회로(23)는, 기종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기(10), 실내기(20), 및 리모콘(30)이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지 여부를 판정한다. 실외기(10), 실내기(20), 및 리모콘(30)이 모든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에는, 단계(S1c)로 이행하는 한편, 실외기(10), 실내기(20), 및 리모콘(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S1d)로 이행한다.
단계(S1c)에서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으로 판정된다. 한편, 단계(S1d)에서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불가로 판정된다.
이렇게 하여, 다시 도 19에 나타내는 흐름도로 되돌아가,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2)로 이행하는 한편,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불가로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2)에서는, 단락 검출부(53)에서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되는 것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락 검출부(53)에서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단계(S3)로 이행하는 한편, 단락 검출부(53)에서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지 않은 것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3)에서는,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보조회로(51)의 접속 이상을 검지한다. 이렇게 하여, 실내측 제어회로(23)는,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미스를 검지한다.
실내측 제어회로(23)는,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검지하면, 리모콘(30)에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통지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한 때에, 장치의 설치 작업자가 강제기동 기구(50)를 잘못 설정하는, 즉 커넥터 본체(52b)로부터 접속 플러그(52c)를 뽑아 내는 것을 잊어 버리면, 실내측 제어회로(23)가 보조회로(51)의 접속 이상을 검지한다. 이렇게 하여, 실내측 제어회로(23)로부터 리모콘(3)에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이 통지된다. 이에 따라, 설치 작업자는, 커넥터 본체(52b)로부터 접속 플러그(52c)를 뽑아 내는 것을 잊어 버린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어, 접속 플러그(52c)를 커넥터 본체(52b)로부터 뽑아 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한 공기조화장치(1)를 사용한 때에, 실외기(10)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없는 사태가 회피되고, 장치의 원활한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단락 검출부(53)를 제 1, 제 2 단락라인(51a, 51b)을 접속하는 단락 커넥터(52a)를 이용하여 구성했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간략한 구성으로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변형예는, 도 21에 나타내듯이, 단락 검출부의 구성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따라서, 단락 검출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 21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단락 커넥터(52a)는, 4극이 아닌, 2극의 접속 플러그(52c)를 커넥터 본체(52b)에 끼워 넣음으로써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을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락 검출부(53)는,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이 예에서는, 5V)이 공급되는 외부전원 단자(53a)와, 이 외부전원 단자(53a)에 저항을 개재하여 접속된 검지부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53b)(이하, MPU라 약기한다)와,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53c)를 구비한다.
제 2 단락라인(51b)에는, 일단이 상기 3상 교류의 S상의 전원배선(1a)에 접속된 검출라인(53f)의 타단이 접속된다.
검출라인(53f)에는, 제 2 단락라인(51b)측으로부터 상기 3상 교류의 S상의 전원배선(1a)측을 향해 차례로, 분압(分壓)저항(R1)과 분압저항(R2)이 직렬로 접속된다.
포토 커플러(53c)의 발광 다이오드(53d)는, 분압저항(R2)과 병렬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53d)는,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된 때에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포토 커플러(53c)의 포토 트랜지스터(53e)는, 외부전원 단자(53a)와 그라운드(GND)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락 커넥터(52a)에 의해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되지 않은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53d)가 발광하지 않으며, 포토 트랜지스터(53e)가 동작하지 않는다. 때문에,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 단자(53a)가 전기적으로 거의 비접속 상태이다. 한편, 단락 커넥터(52a)에 의해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된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53d)가 발광하여, 포토 트랜지스터(53e)가 동작하므로,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 단자(53a)가 전기적으로 접속상태가 된다. 이로써, MPU(53b)에는, 단락 커넥터(52a)에 의해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되지 않은 때에는, 하이레벨의 전압이 입력되고, 단락 커넥터(52a)에 의해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된 때에는 로우레벨의 전압이 입력된다. 따라서, MPU(53b)는, 로우레벨의 전압이 입력된 때에, 보조회로(51)의 양 단락라인(51a, 51b)이 접속되는 것을 검지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와 같이 하여도 된다.
즉, 서스펜드 상태로의 이행 가부의 판정처리에 있어서, 실외기(10), 실내기(20), 및 리모콘(30)이 모두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에만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으로 판정하였으나, 강제기동 기구의 설정미스의 검지라는 관점에서는 이렇게 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도 20 중, 단계(S1a)에서 실외기(10) 및 리모콘(30)의 기종 사양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단계(S1b)에서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대응 기종인 경우에,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으로 판정하는 한편, 실내기(20)가 대기전력 미대응 기종인 경우에,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불가로 판정한다.
또, 실내측 제어회로(23)가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미스(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를 검지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실외측 제어회로(13)가 강제기동 기구(50)의 설정미스를 검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로서 유용하다.
1 : 공기조화장치 1L : 주전원 라인
1a : 전원배선 10 : 실외기
12 : 제 2 실외측 전원회로 13 : 실외측 제어회로
16 : 선택기구 16a : 보조회로
17 : 개폐부 20 : 실내기
23 : 실내측 제어회로(이상 검지부, 통지부)
30 : 리모콘 21 : 실내기 전송회로
40 : 상용 교류전원(교류전원) 51 : 보조회로
51a :제 1 단락라인 51b : 제 2 단락라인
52 : 접속부 52a : 커넥터
53 : 단락 검출부(단락 검출부) 53a : 외부전원 단자
53b : 마이크로 프로세서(검지부) 53c : 포토 커플러
53d : 발광 다이오드 53e : 포토 트랜지스터
K2R : 릴레이(기동부) K13R : 릴레이(스위치)
GND : 그라운드

Claims (9)

  1. 주(主)전원 라인(1L)으로부터 전력 공급되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구비하고, 운전정지 시에 상기 실내기(20)에는 전력이 공급되나, 실외기(10)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서스펜드(suspend) 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운전 가능한 운전상태로부터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10)는,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서스펜드 상태의 이행에 대응 가능한 실내기(20)와 서스펜드 상태의 이행에 대응 불가능한 실내기(2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실외기(10)에 설치되고, 주전원 라인(1L)으로부터 전원배선(1a)을 개재하여 전력 공급되는 실외측 제어회로(13)와,
    상기 전원배선(1a)에 설치되고, 운전정지 시에 상기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상기 실외기(10)를 상기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는 실내기(20)에 대응시킬지 여부를 선택하고, 상기 실외기(10)를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는 실내기(20)에 대응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실외기(10)의 서스펜드 이행을 금지하는 선택기구(16)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기구(16)는,
    상기 전원배선(1a)에 설치되고, 운전정지 시에 상기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상기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서스펜드 상태로 하는 스위치(K13R)와,
    상기 전원배선(1a)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K13R)와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실외측 제어회로(13)에 상시 전력 공급하기 위한 보조회로(16a)와,
    이 보조회로(16a)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회로(16a)를 개폐하는 개폐부(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7)는, 상기 보조회로(16a)를 도통(導通)시키는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7)는, 상기 보조회로(16a)를 도통시키는 래칭 릴레이(latching re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삭제
  6. 기종 사양이 다른 실내기(20)와 실외기(10)를 조합하여 이용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10)에 설치되고, 교류전원(40)으로부터 전원배선(1a)을 개재하여 전력 공급되는 실외측 제어회로(13)와,
    상기 전원배선(1a)에 설치되어, 운전정지 중에 전원배선(1a)을 차단하여 상기 실외기(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상태로 하는 스위치(K13R)와,
    상기 전원배선(1a)에 상기 스위치(K13R)를 우회하도록 접속되고,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단락라인(51a, 51b)을 포함한 보조회로(51)와,
    상기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 가능한 커넥터(52a)와,
    상기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부(53)와,
    적어도 상기 실내기(20)의 기종 사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상태로의 이행 가부를 판정하고, 대기상태로 이행 가능으로 판정한 때에 상기 단락 검출부(53)에 의해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락 검출부(53)는,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외부전원단자(53a)와, 이 외부전원단자(53a)에 접속되고, 외부전원단자(53a)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검지하는 검지부(53b)와, 상기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을 접속함과 동시에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단자(53a)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상기 커넥터(52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락 검출부(53)는, 그라운드(GND)와,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외부전원단자(53a)와, 이 외부전원단자(53a)에 접속되어, 외부전원단자(53a)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검지하는 검지부(53b)와, 상기 제 1 단락라인(51a)과 제 2 단락라인(51b)이 접속된 때에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53d)와, 상기 외부전원단자(53a)와 그라운드(GND)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53d)의 빛에 의해 동작하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53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모콘(30)과,
    상기 이상 검지부(23)가 보조회로(51)의 접속이상을 검지한 경우에, 이 접속이상을 리모콘(30)에 통지하는 통지부(23)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47020689A 2011-12-28 2012-12-27 공기조화장치 KR101458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7104 2011-12-28
JPJP-P-2011-287104 2011-12-28
JPJP-P-2011-289602 2011-12-28
JP2011289602A JP5246324B2 (ja) 2011-12-28 2011-12-28 空気調和装置
PCT/JP2012/008415 WO2013099277A1 (ja) 2011-12-28 2012-12-27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179A KR20140096179A (ko) 2014-08-04
KR101458351B1 true KR101458351B1 (ko) 2014-11-04

Family

ID=4869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689A KR101458351B1 (ko) 2011-12-28 2012-12-27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87946B2 (ko)
EP (1) EP2803918B1 (ko)
KR (1) KR101458351B1 (ko)
CN (1) CN104024755B (ko)
AU (1) AU2012359736B2 (ko)
WO (1) WO2013099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2420B (zh) * 2013-05-02 2017-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低功耗待机电路装置和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JP6184391B2 (ja) 2014-11-07 2017-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864564B (zh) * 2015-05-13 2017-10-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及其供电通信控制系统
KR101657228B1 (ko) * 2015-06-18 2016-09-13 주식회사 에이디티 에어컨디셔너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JP2017093190A (ja) * 2015-11-12 2017-05-2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主電源電圧の異常判定機能を有するモータ駆動装置
JP6790662B2 (ja) * 2016-09-26 2020-11-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電子機器
JP2018162902A (ja) * 2017-03-24 2018-10-18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951675B1 (ko) * 2017-03-28 201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공기 조화기
KR102001934B1 (ko) * 2017-06-20 2019-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11486596B2 (en) * 2017-07-26 2022-11-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KR101926186B1 (ko) * 2017-11-15 2019-02-27 신우공조 주식회사 대기 전력 제어 장치가 추가된 팬 코일 유닛 시스템
KR101881422B1 (ko) * 2018-03-30 2018-07-24 신우공조 주식회사 대기전력 제어장치가 추가된 열회수형 환기 유닛 시스템
EP3783272B1 (en) * 2018-04-18 2023-08-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substrate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295972B1 (ko) * 2019-01-02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447A (ja) * 1992-08-18 1994-03-08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2008101895A (ja) * 2006-10-18 200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463A (ja) * 1998-08-27 2000-03-14 Sanyo Electric Co Ltd リモコン受信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3730808B2 (ja) * 1999-06-03 2006-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4529603B2 (ja) * 2004-09-14 2010-08-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
JP3806882B2 (ja) * 2004-11-29 2006-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0054065A (ja) * 2008-08-26 2010-03-1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5241585B2 (ja) * 2009-04-06 2013-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447A (ja) * 1992-08-18 1994-03-08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2008101895A (ja) * 2006-10-18 200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1962A1 (en) 2015-01-01
EP2803918B1 (en) 2017-05-10
EP2803918A4 (en) 2015-11-11
US8987946B2 (en) 2015-03-24
AU2012359736A1 (en) 2014-07-24
KR20140096179A (ko) 2014-08-04
CN104024755B (zh) 2017-07-04
WO2013099277A1 (ja) 2013-07-04
AU2012359736B2 (en) 2014-11-13
EP2803918A1 (en) 2014-11-19
CN104024755A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351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438349B1 (ko) 공기조화장치
JP2013137118A (ja) 空気調和装置
CN202973440U (zh) 空调装置
JP2012117704A (ja) 空気調和機
US9360244B2 (en) Engine driven heat pump
JP5804009B2 (ja) 空気調和装置
WO2013099275A1 (ja) 空気調和装置
JP5246324B2 (ja) 空気調和装置
JP5772588B2 (ja) 空気調和装置
JP5655775B2 (ja) 空気調和装置
JP5772587B2 (ja) 空気調和装置
JP5772578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5055450A (ja) 空気調和装置
JP5403144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9024976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N108027159B (zh) 空气调节机以及空气调节机的控制方法
JP5772577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3137138A (ja) 空気調和装置
JP5772579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