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288B1 -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288B1
KR100187288B1 KR1019960068730A KR19960068730A KR100187288B1 KR 100187288 B1 KR100187288 B1 KR 100187288B1 KR 1019960068730 A KR1019960068730 A KR 1019960068730A KR 19960068730 A KR19960068730 A KR 19960068730A KR 100187288 B1 KR100187288 B1 KR 10018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indoor
state data
controller
oper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978A (ko
Inventor
안상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2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에 따라 제1실내기를 운전 제어하는 한편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제어기(32)와, 상기 제1제어기(32)에서 출력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한편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제어기(32)로 입력하는 제1송수신기(34),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실내기를 운전 제어하는 한편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제어기(42), 상기 제2제어기(42)에서 출력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송수신기(34)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제1송수신기(34)에서 송신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제어기(42)로 입력하는 제2송수신기(44) 및, 상기 제1 및 제2제어기(32,42)와 제1 및 제2송수신기(34,44)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내기간에 현재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안전 장치가 동작한 실내기만 정지시키고 다른 실내기는 정상적인 운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본 발명은 한 대의 실외기에 여러대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각 실내기가 냉난방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실내기간에 현재 운전 상황 및 안전장치 동작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용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한 대의 실외기에 다수대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각 실내기를 서로 다른 모드(예를 들어, 한 대의 실내기는 냉방 모드, 다른 실내기는 난방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실외기에 각 실내기에 대응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 실내기에 대응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사용하게 되면 실외기의 면적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각 실내기간의 냉난방 성능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나의 열교환기만 구비된 실외기를 가지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개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시예 1은 제1도와 같이 도시될 수 있는 바, 제1도는 하나의 실외기 열교환기만 구비된 실외기에 두 대의 실내기가 연결 동작하도록 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 회로도이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는 제1 및 제2압축기(2-1),(2-2), 제1 및 제2사방밸브(3-1),(3-2), 실외 열교환기(4), 실외 팬모터(도시하지 않음), 제1 및 제2체크밸브(5-1),(5-2) 및, 제1 내지 제4모세관(6-1),(6-2),(6-3),(6-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실내기(10)는 제1분배기(11)와, 제1실내 열교환기(12) 및, 실내 팬모터(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실내기(20)는 제2분배기(21)와, 제2실내 열교환기(22) 및 실내 팬모터(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실내기(10) 및 제2실내기(20)가 냉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 방향과 같은 냉매 사이클을 이룬다.
즉, 제1실내기(10)가 냉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압축기(2-1)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제1사방밸브(3-1)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4)로 유입되고, 실외 열교환기(4)에서 냉각되어 상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된 다음, 제1체크밸브(5-1)를 통해 제1모세관(6-1)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모세관(6-1)에서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되어 제1실내기(10)의 제1분배기(11)를 통해 제1실내 열교환기(1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실내기(10)의 제1실내 열교환기(12)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는 제1실내 열교환기(12)에서 증발되어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변환된 다음 다시 실외기(1)의 제1압축기(2-1)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실내기(10)의 제1실내 열교환기(12)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증발되고, 실내 팬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차거워진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실내기(20)가 냉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2압축기(2-2)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제2사방밸브(3-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4)로 유입되고, 실외 열교환기(4)에서 냉각되어 상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된 다음, 제2체크밸브(5-2)를 통해 제3모세관(6-3)으로 유입되고, 상기 모세관(6-3)에서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되어 제2실내기(20)의 제2분배기(21)를 통해 제2실내 열교환기(2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2실내기(20)의 제2실내 열교환기(22)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는 제2실내 열교환기(22)에서 증발되어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변환된 다음 다시 실외기(1)의 제2압축기(2-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실내기(20)의 제2실내 열교환기(22)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증발되고, 실내 팬모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차거운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실내기(10) 및 제2실내기(20)가 난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 방향과 같은 냉매 사이클을 이룬다.
즉, 상기 제1실내기(10)가 난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압축기(2-1)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제1사방밸브(3-1)을 통해 제1실내기(10)의 제1실내 열교환기(12)로 유입되어 상기 제1실내 열교환기(12)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냉각 및 응축되며, 이때 실내 팬모터가 동작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여 열교환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난방시키고, 상기 제1실내 열교환기(12)에서 유출된 냉매는 제1분배기(11)와, 제1 및 제2모세관(6-1),(6-2)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4)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모세관(6-1),(6-2)으로 유입된 고압의 액체 냉매는 제1 및 제2모세관(6-1),(6-2)에서 단열 팽창하여 저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되어 실외 열교환기(4)로 유입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4)에서 증발되면서 열을 얻어 제1압축기(2-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실내기(20)가 난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2압축기(2-2)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제2사방밸브(3-2)을 통해 제2실내기(20)의 제2실내 열교환기(22)로 유입되어 상기 제2실내 열교환기(22)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냉각 및 응축되며, 이때 실내 팬모터가 동작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여 열교환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난방시키고, 상기 제2실내 열교환기(22)에서 유출된 냉매는 제2분배기(21)와, 제3 및 제4모세관(6-3),(6-4)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4)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모세관(6-3),(6-4)으로 유입된 고압의 액체 냉매는 제3 및 제4모세관(6-3),(6-4)에서 단열 팽창하여 저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되어 실외 열교환기(4)로 유입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4)에서 증발되면서 열을 얻어 제2압축기(2-2)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냉매 사이클을 가지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을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제1실내기의 운전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제2실내기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제어 방법에 따라 동작한다.
제1실내기(10)가 냉방 모드로 선택되면 실내 팬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실온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냉방 온도가 감지된 실내 온도보다 낮으면 일정시간 후 제1압축기(2-1)를 동작시킴과 더불어 실외 팬모터를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축기(2-1)와 실외 팬모터를 동작시켜 냉방 운전을 하는 도중에 제1실내기(10)의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에 설치된 배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배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이면(저온 동작이면) 실외 팬모터를 정지시킨다.
즉, 실외 팬모터를 정지시키면 실외기(1)의 실외 열교환기(4)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하이면(저온 동작이면) 제1압축기(2-1)를 정지시킴으로써 냉방 운전을 정지한다.
그 후,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 다시 정상적인 냉방 모드로 동작하고, 배관 온도가 일정 이하이면 동작을 멈춘다.
한편, 제1실내기(10)가 난방 모드로 선택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난방 온도가 현재 실내 온도 보다 높은가를 비교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난방 온도가 현재 실내 온도 보다 높으면 제1사방밸브(3-1)를 동작시켜 냉매의 흐름 방향을 냉방 모드와 반대로 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 후 제1압축기(2-1)를 동작시킴과 더불어 실외 팬모터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사방밸브(3-1)를 동작시켜 난방 운전을 하는 도중에 제1실내기(10)의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에 설치된 배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배관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 실내 팬모터를 구동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실내 팬모터를 배관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동작시키는 이유는 냉풍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난방 모드로 정상 동작하는 중에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 온도를 감지하여 배관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고온 동작) 실외 팬모터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실외 팬모터를 정지시킨 다음 다시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면(고온 동작이면) 제1압축기(2-1)를 정지시킨다.
그 후, 제1실내 열교환기(12)의 배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이면 다시 정상적인 냉방 모드로 동작하고, 배관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고온 동작이면) 동작을 멈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난방 모드로 운전하는 도중에 제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 즉 실외 열교환기(4)에 성에가 끼게 되면 일정 시간 제1압축기(2-1)를 정지시킨 다음 실외 팬모터를 정지시키고, 그 후 제1사방밸브(3-1)을 일정 시간 동안 냉방 모드로 동작시킨 다음 제1압축기(2-1)을 다시 동작시켜 실외 열교환기(4)에 낀 성에를 제거한다.
즉, 난방 운전하는 도중에 실외 열교환기(4)에 성에가 끼게 되면 난방 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4)에 성에가 끼면 일정 시간 동안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제상 모드를 수행하고, 제상 모드가 종료하였으면 정상적으로 난방 모드르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 열교환기를 사용함에 따라 제1실내기(10) 또는 제2실내기(20)가 저온 동작, 고온 동작, 제상 동작등과 같은 안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실외 팬모터를 정지시켜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어느 한 실내기가 안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다른 실내기를 강제로 정지시켜야 하고, 안전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서야 다른 실내기의 운전이 가능하였다.
즉, 2대의 실내기 중 1대의 실내기에서 안전 장치가 동작하면 안전 장치가 동작한 실내기의 안전 장치가 해제될 때까지 다른 실내기를 운전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한 대의 실외기에 연결된 다수대의 실내기간에 현재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 등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기간에 서로의 운전 상태를 판단하여 안전 장치가 동작한 실내기만 정지시키고 다른 실내기는 정상 운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한 대의 실외기에 제1 및 제2실내기가 연결되어 냉난방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에 따라 제1실내기를 운전 제어하는 한편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제어기와, 상기 제1제어기에서 출력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한편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제어기로 입력하는 제1송수신기,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실내기를 운전 제어하는 한편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제어기, 상기 제2제어기에서 출력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송수신기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제1송수신기에서 송신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제어기로 입력하는 제2송수신기 및 상기 제1 및 제2제어기와 제1 및 제2송수신기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실시예 1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32 : 제1제어기 34 : 제1송수신기
40 :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42 : 제2제어기 44 : 제2송수신기
50 : 통신망 60 : 전원장치
91,101 : 제1 및 제2마이콤 92,93,102,103 :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
94,104 : 제1 및 제2필터회로 95,105 : 제1 및 제2콘넥터
111,112 : 제3 및 제4콘넥터 113,114,115 : 와이어
121 : 코일 라인 필터 122 : 다운 트랜스포머
123 : 통신용 전원 공급부 124 : 교류/직류 변환부
125,127 : 제1 및 제2레귤레이터
126,128 : 제1 및 제2전압안정화회로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와,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40), 통신망(50), 전원장치(6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는 제1제어기(32)와 제1송수신기(3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40)는 제2제어기(42)와 제2송수신기(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제어기(32)는 제1실내기 제어용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리모콘 수신부(71)를 통해 입력받아 압축기(72)와, 사방밸브(73), 실외 팬모터(74) 및, 제1실내기의 실내 팬모터(75)를 제어하여 제1실내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는 한편, 제1실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도중에 제1실내기가 설치된 실온 센서(76) 및 배관 센서(77)로 부터 제1실내기가 설치된 실내의 온도 및 제1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의 배관 온도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압축기(72)와, 사방밸브(73), 실외 팬모터(74) 및, 제1실내기의 실내 팬모터(75)를 제어하여 제1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기(32)는 제1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1송수신기(34)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제2제어기(42)에서 출력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제2실외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제어기(42)는 제2실내기 제어용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리모콘 수신부(81)를 통해 입력받아 압축기(85)와, 사방밸브(86), 실외 팬모터(74) 및, 제2실내기의 실내 팬모터(82)를 제어하여 제2실내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는 한편, 제2실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도중에 제2실내기가 설치된 실온 센서(83) 및 배관 센서(84)로부터 제2실내기가 설치된 실내의 온도 및 제2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의 배관 온도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압축기(85)와, 사방밸브(86), 실외 팬모터(74) 및, 제2실내기의 실내 팬모터(82)를 제어하여 제2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제어기(42)는 제2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2송수신기(44)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제1제어기(32)에서 출력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제1실외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2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송수신기(34)는 상기 제1제어기(32)에서 출력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50)을 통해 제2송수신기(42)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제2송수신기(42)로부터 통신망(50)을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제어기(32)로 입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송수신기(44)는 상기 제2제어기(42)에서 출력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50)을 통해 제1송수신기(32)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제1송수신기(32)로부터 통신망(50)을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제어기(42)로 입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장치(60)는 상기 제1 및 제2송수신기(34),(4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제1실내기 또는 제2실내기 중 한 곳에 설치한 다음 전원선을 상기 제1실내기와 제2실내기에 각각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전원선을 배선하는 것이 어려우면 각 실내기마다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회로도로서,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는 제1마이콤(91)과 제1 및 제2포토커플러(92),(93), 제1필터회로(94) 및, 제1콘넥터(95)로 이루어져 있고,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40)는 제2마이콤(101)과 제3 및 제4포토커플러(102),(103), 제2필터회로(104) 및, 제2콘넥터(10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와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40)를 연결하는 통신망(50)은 제3 및 제4콘넥터(111),(112)와 상기 제3 및 제4콘넥터(111),(112)을 연결하는 와이어(113),(114),(11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와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60)는 코일 라인 필터(121)와, 다운 트랜스포머(122), 통신용 전원 공급부(123), 교류/직류 변환부(124), 제1레귤레이터(125), 제1전압안정화회로(126), 제2레귤레이터(127) 및, 제2전압안정화회로(12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마이콤(91)은 제1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기억하고 있다가 출력단자(U0)를 통해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신호를 제1포토커플러(92)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92)는 상기 제1마이콤(91)에서 출력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에 따라 턴온/턴오프되어 '하이' 또는 '로우'신호를 통신망(50)을 통해 제2실내기측으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93)는 통신망(50)을 통해 제2실외기측으로부터 전송된 '하이'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턴오프/턴온되어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를 저항(R2)과 캐패시터(C2),(C3)로 이루어진 제1필터회로(94)를 통해 상기 제1마이콤(91)로 입력한다.
상기 제2마이콤(101)은 제2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기억하고 있다가 출력단자(U0)를 통해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를 제3포토커플러(102)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102)는 상기 제2마이콤(101)에서 출력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에 따라 턴온/턴오프되어 '하이' 또는 '로우'신호를 통신망(50)을 통해 제1실내기측으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03)는 통신망(50)을 통해 상기 제1실내기측으로부터 전송된 '하이'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턴오프/턴온되어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를 저항(R7)과 캐패시터(C5),(C6)로 이루어진 제2필터회로(104)를 통해 상기 제2마이콤(101)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장치(50)의 코일 라인 필터(121)는 입력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다운 트랜스포머(122)는 상기 코일 라인 필터(121)을 통해 입력된 교류 전원의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다운시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신용 전원 공급부(123)는 다이오드(D106)와 캐패시터(C7) 저항(R8) 및 제너다이오드(ZD1)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운 트랜스포머(122)에서 출력된 교류 전원을 일정 전압의 직류로 변환시켜 통신용 전원(Vcc, GND)을 공급하고, 교류/직류 변환부(124)는 브리지다이오드(D101,D102,D103,D104)와 다이오드(D105) 및 캐패시터(C8,C9)로 이루어져, 상기 다운 트랜스포머(122)에서 출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레귤레이터(125)는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24)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의 전압을 +12V의 전원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마이콤(91),(101)에 의해 동작하는 릴레이용 전원(Vcc1)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압안정화회로(126)는 캐패시터(C10),(C11)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레귤레이터(125)에서 출력된 +12V의 전압이 부하량 변동에 따라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압을 안정화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레귤레이터(127)는 상기 제1전압안정화회로(126)를 통해 공급된 +12V의 전원 전압을 +5V의 전원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마이콤(91),(101)과,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92),(93),(102),(103) 등의 구동 전원(Vcc2)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압안정화회로(128)는 캐패시터(C12),(C13)로 이루어져, 상기 제2레귤레이터(127)에서 출력된 +5V의 전원 전압이 부하량 변동에 따라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압을 안정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미설명 부호 C1, C4는 노이즈 제거용 캐패시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의 제1마이콤(91)은 제1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기억하고 있다가 출력단자(U0)를 통해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를 제1포토커플러(9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1실내기의 '하이' 레벨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가 출력되면 제1포토커플러(92)의 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단이 개방되어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지 않게 되고,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어 제1콘넥터(95)와 제3콘넥터(111)를 통해 상기 제1포토커플러(92)와 연결된 통신망(50)의 와이어(113)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제4콘넥터(112)와 제2콘넥터(105)에 의해 상기 통신망(50)의 와이어(113)에 연결된 제2실내기의 송수신장치(40)의 제4포토커플러(103)의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지 않게 되어 제4포토커플러(103)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고 +5V의 전원(VCC2)이 제2필터회로(104)를 통해 제2실내기측의 제2마이콤(101)의 입력단자(U1)을 통해 제2마이콤(101)로 입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로우' 레벨의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가 출력되면(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제1포토커플러(92)의 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단이 접지에 연결되어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게 되고, 제1포토커플러(92)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1포토커플러(92)와 연결된 통신망(50)의 와이어(113)가 그라운드(GND)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원장치(6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VCC)이 제4포토커플러(103)의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통신망(50)의 와이어(113)로 공급되어 상기 제4포토커플러(103)의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게 되고, 제4포토커플러(103)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전원장치(60)으로부터 공급된 +5V의 전원(VCC2)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상기 제4포토커플러(103)로부터 제2필터회로(104)를 통해 제2마이콤(101)로 코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의 제1마이콤(91)에서 출력된 제1실내기의 운전 데이터 코드 신호가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40)의 제2마이콤(101)으로 송신되어, 상기 제2마이콤(101)이 제1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의 동작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40)의 제2마이콤(101)은 제2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의 동작 여부 등과 같은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코드화하여 기억하고 있다가 출력단자(U0)를 통해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를 제3포토커플러(10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이' 레벨의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가 출력되면 제3포토커플러(102)의 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단이 개방되어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지 않게 되고, 제3포토커플러(102)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어 상기 제3포토커플러(102)와 연결된 통신망(50)의 와이어(114)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신망(50)의 와이어(114)에 연결된 제1실내기측의 제2포토커플러(93)의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지 않게 되어 제2포토커플러(93)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고 +5V의 전원(VCC2)이 제1필터회로(94)를 통해 제2실내기측의 제1마이콤(91)의 입력단자(U1)을 통해 제1마이콤(91)로 입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마이콤(101)로부터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 코드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제3포토커플러(102)의 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단이 접지에 연결되어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게 되고, 제3포토커플러(102)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3포토커플러(102)와 연결된 통신망(50)의 와이어(114)가 그라운드(GND)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원(VCC)이 제2포토커플러(93)의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통신망(50)의 와이어(114)로 공급되어 상기 제2포토커플러(93)의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게 되고, 제2포토커플러(93)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전원장치(60)로부터 공급된 +5V의 전원(VCC2)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상기 제2포토커플러(93)로부터 제1마이콤(91)로 코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40)의 제2마이콤(101)에서 출력된 제2실내기의 운전 데이터 코드 신호가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의 제1마이콤(91)으로 송신되어, 상기 제1실내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의 제1마이콤(91)이 제2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의 동작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실내기는 제2실내기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의 동작 여부를 알 수 있고, 제2실내기는 제1실내의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의 동작 여부를 알 수 있게 되므로, 각 실내기가 다른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자신의 운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어 각 실내기가 항상 안전한 동작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 장치가 동작한 실내기만 정지시키고 다른 실내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신망(50)은 와이어(113),(114),(115)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하기가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장치(60)를 사용하여 별도의 통신용 전원(VCC),(GND)을 공급하였고, 상기 제1 및 제2마이콤(91),(101) 및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92),(93),(102),(103)의 구동 전원(VCC)을 상기 전원장치(60)가 공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대의 실외기에 연결된 다수대의 실내기간에 현재 운전 상황 및 안전 장치의 동작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안전 장치가 동작한 실내기만 정지시키고 다른 실내기는 정상적인 운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한 대의 실외기에 제1 및 제2실내기가 연결되어 냉난방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에 따라 제1실내기를 운전 제어하는 한편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제어기와; 상기 제1제어기에서 출력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한편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제어기로 입력하는 제1송수신기;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에 따라 제2실내기를 운전 제어하는 한편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제어기; 상기 제2제어기에서 출력된 제2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송수신기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제1송수신기에서 송신된 제1실내기의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제어기로 입력하는 제2송수신기 및; 상기 제1 및 제2제어기와 제1 및 제2송수신기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19960068730A 1996-12-20 1996-12-20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018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730A KR100187288B1 (ko) 1996-12-20 1996-12-20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730A KR100187288B1 (ko) 1996-12-20 1996-12-20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978A KR19980049978A (ko) 1998-09-15
KR100187288B1 true KR100187288B1 (ko) 1999-05-01

Family

ID=1948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730A KR100187288B1 (ko) 1996-12-20 1996-12-20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2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978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164B2 (en) Low voltage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climate control system
US7334417B2 (en) Air conditioner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KR101858938B1 (ko) 공기 조화기
US7731098B2 (en) Thermostat responsive to inputs from external devices
US8550368B2 (en) Interactive control system for an HVAC system
CN110207342B (zh) 室内机、空调机组的控制电路、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KR100974850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실내기
US5316073A (en) Twinning control
CN102374610A (zh) 空调以及用于该空调的通信方法
US8788102B2 (en) Air conditioner
JP2005241045A (ja) 空気調和装置
KR102068181B1 (ko) 공기조화기
CN113203189B (zh) 空调器基于电力线通讯的配对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018728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EP0857921B1 (en)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US20090101726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unit and other components used therewith
KR20190138059A (ko) 공기조화기
EP3499326B1 (en) Driving system for a thermoregulation system
KR102478858B1 (ko)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JP3459544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0286549B1 (ko) 공기조화기의 통신제어장치
KR20050103636A (ko) 원격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 냉난방장치
CN113218041B (zh) 空调器基于电力线通讯的配对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0344707Y1 (ko) 일체형 냉난방기의 원격 유무선 제어장치
KR20050063868A (ko) 일체형 냉난방기의 원격 유무선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