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063B1 -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063B1
KR100972063B1 KR1020047004810A KR20047004810A KR100972063B1 KR 100972063 B1 KR100972063 B1 KR 100972063B1 KR 1020047004810 A KR1020047004810 A KR 1020047004810A KR 20047004810 A KR20047004810 A KR 20047004810A KR 100972063 B1 KR100972063 B1 KR 10097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eference
information
recording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908A (ko
Inventor
히토시 키무라
켄스케 오오누마
히데토시 이치오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2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2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5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represented by key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10S707/99934Query formulation, input preparation, or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이들의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조작 이력 관리 수단(101)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마다의 계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이들의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기호 정보 관리 수단(102)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컨텐츠 추천 수단(103)을 구비하고, 이 기록 예약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다. 이로써,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유저의 복잡 다양한 기호에 맞추어서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컨텐츠를 기록한다.
컨텐츠, 자동 기록, 기록 매체, 프로그램

Description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RDING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컨텐츠를 유저의 기호에 관한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본격화되고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데이터와 함께, 방송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타이틀 문자열 정보)나 방송프로그램의 상세를 설명하는 정보(상세 문자열 정보)나 방송프로그램의 장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EPG 정보가,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된다. 디지털 방송에 대응한 텔레비전 수신기에서는 이 EPG 정보에 의거하여 화면상에 전자 방송프로그램 가이드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에서도, 이러한 EPG 정보가 송신되고 있는 것이 있다.
종래, 이러한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해서는 유저가 녹화나 녹화 예약의 조작을 행하고 있다. 즉, 유저가, 재핑(채널 전환 조작)을 하면서 녹화하고 싶는 방송프로그램을 찾아서 그 자리에서 녹화 조작을 행하거나, 전자 방송프로그램 가이드로부터 녹화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을 찾아서 녹화 조작이나 녹화 예약 조작을 행하거나 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신기 중에는 유저가 방송프로그램명이나 키워드 등의 기호 정보를 등록하는 조작을 행할 수가 있고, 이 등록한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을 검색하여 녹화 예약하는 기능을 갖는 것도 존재하고 있다. 그러한 텔레비전 수신기의 경우에는 유저는 방송프로그램의 검색 결과 중에서 녹화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을 찾아서 녹화 조작이나 녹화 예약 조작을 행하거나 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다수의 채널을 재핑하는 것이나, 전자 방송프로그램 가이드로 이들의 다수의 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을 확인하는 것은 수고나 시간이 걸림과 함께, 녹화하고 싶는 방송프로그램을 보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근래 하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의 기록 매체에 다수의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는데, 다수의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하려고 할 때에 개개의 방송프로그램마다 녹화 조작이나 녹화 예약 조작을 행하고 있면, 역시 수고나 시간이 걸림과 함께, 조작을 누락하는(녹화를 누락하는) 방송프로그램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또한, 유저가 등록한 방송프로그램명이나 키워드 등의 기호 정보에 의거한 녹화 예약 기능에도, 다음과 같은 (a) 내지 (c)와 같은 부적합함이 있다.
(a) 근래, 유저의 기호는 복잡화·다양화하고 있다. 그 때문에, 모든 기호 정보를 등록하는데 수고나 시간이 걸린다. 또한, 방송프로그램명이나 키워드만으로 는 능숙하게 기호를 표현할 수 없는 경우도 적지 않고, 그러한 경우에는 정확한 기호 정보를 등록할 수가 없다.
(b) 월일의 경과에 수반하여 유저의 기호가 변화한 경우에는 등록 조작을 다시 하여야 한다.
(c)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조작에는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에도 다양한 조작이 있지만, 그들의 조작이 녹화 예약에 반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컨텐츠를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유저의 복잡·다양한 기호에 맞추어서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이들의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기호 정보 관리 수단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컨텐츠 추천 수단을 구비하고, 이 컨텐츠 추천 수단에서 기록 예약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를 제안한다.
이 자동 기록 장치에서는 유저가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을 행하면, 그들의 조작과, 그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EPG 정보)로부터,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에 의해, 그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가 작성된다.
계속해서,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기호 정보 관리 수단에 의해,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가 작성·갱신된다.
계속해서, 컨텐츠 추천 수단에 의해,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가 계산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그 기록 예약된 컨텐츠가 기록됨에 의해, 컨텐츠가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이와 같이,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의하면,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에 의거하여, 컨텐츠가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이력 정보를 작성하기 때문에, 이 기호치 패러미터를 설정·변경함으로써, 컨텐츠의 자동 기록에 대한 각 종류의 조작의 반영도를 임의로 설정·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유저의 복잡·다양한 기호에 맞추어서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있어서, 한 예로서, 조작의 종류로서는 기록 예 약 조작, 소거 프로텍트 조작, 기록 예약의 캔슬 조작, 키워드 등록 조작 등을 포함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또한,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있어서, 한 예로서,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은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키워드를 이력 정보에 포함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로 인해,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으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키워드를 자동적으로 추출하고, 그 키워드를 컨텐츠의 자동 기록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저의 복잡·다양한 기호를 한층 적확하게 판별하여 컨텐츠의 자동 기록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있어서, 한 예로서, 기호 정보 관리 수단은 복수의 요소마다의 계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기호 정보의 작성 및 갱신을 행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로 인해, 이 계수 패러미터를 설정·변경함으로써, 컨텐츠의 자동 기록에 대한 각 요소의 반영도를 임의로 설정·변경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있어서, 한 예로서,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는 키워드, 장르, 컨텐츠의 송신 시간대, 컨텐츠의 송신원을 포함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또한,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있어서, 한 예로서,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중 키워드의 수에는 제한을 마련하고, 제한을 초과한 경우에는 기호치가 일정 이하인 키워드를 갱신 일시가 오래된 순으로 필요한 수만큼 삭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또한,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있어서, 한 예로서, 기호 정보 관리 수단은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중, 소정의 상한치를 초과하는 기호치를 포함하는 요소에 관한 모든 기호치를 균등하게 압축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로 인해, 기호 정보중의 그 상한치를 초과하는 기호치를 포함하는 요소에 대한 기호치는 그 이후의 유저의 조작에 의거한 기호치의 비중이 커진다(그때까지의 유저의 조작에 의거한 기호치의 비중은 역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월일의 경과에 수반하는 유저의 기호의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의 유저의 기호에 맞는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있어서, 한 예로서, 컨텐츠 추천 수단은 기록 장치의 빈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기호도가 큰 순으로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다음에, 본 출원인은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고,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이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키워드를 이 이력 정보에 포함하는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기호 정보 관리 수단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 하는 컨텐츠 추천 수단을 구비하고, 이 컨텐츠 추천 수단에서 기록 예약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를 제안한다.
이 자동 기록 장치에서는 유저가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을 행하면, 그 조작과, 그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에 의해,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가 작성된다.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에는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에 의해,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이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가 추출되고, 그 추출된 키워드가 이 이력 정보에 포함된다.
계속해서,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기호 정보 관리 수단에 의해,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가 작성·갱신된다.
계속해서, 컨텐츠 추천 수단에 의해,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가 계산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그 기록 예약된 컨텐츠가 기록됨에 의해, 컨텐츠가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이와 같이, 이 자동 기록 장치에 의하면,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에 의거하여, 컨텐츠가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에는 설명 정보로부터 추출한 키워드가 이력 정보에 포함되기 때문에,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으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키워드를 자동적으로 추출하고, 그 키워드를 컨텐츠의 자동 기록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 다.
이로써,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유저의 복잡·다양한 기호에 맞추어서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출원인은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이들의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제 1의 스텝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 의 스텝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포함하고, 이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컨텐츠의 자동 기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출원인은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의 자동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고,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이들의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제 1의 스텝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포함하고, 이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또한, 본 출원인은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이들의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제 1의 스텝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실행시키고, 이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또한, 본 출원인은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고,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이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키워드를 이 이력 정보에 포함시키는 제 1의 스텝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포함하고, 이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컨텐츠의 자동 기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출원인은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의 자동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고,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이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한 키워드를 이 이력 정보에 포함시키는 제 1의 스텝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포함하고, 이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또한, 본 출원인은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이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고,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이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키워드를 이 이력 정보에 포함시키는 제 1의 스텝과, 이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이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실행시키고, 이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들의 자동 기록 방법, 기록 매체, 프로그램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기록 장치에 관해 설명한 것과 완전히 같게 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유저의 복잡·다양한 기호에 맞추어서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ROM 내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ROM 내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ROM 내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동 녹화 처리의 프로그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자동 녹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자동 녹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자동 녹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0은 목표 예약량을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용의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프로그램을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가, 안테나(1)에서 수신되고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에 입력한다.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3)에 접속됨과 함께, 인터넷(4)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에서는 튜너(11), 복조기(12), 디스크램블러(13), 다중 분리기(14)가 차례로 접속됨과 함께, 다중 분리기(14)에 대해 영상 디코더(15), 영상 신호 처리 회로(17)와 음성 디코더(16), D/A 변환기(18)가 각각 차례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튜너(11) 내지 D/A 변환기(18), CPU(19), ROM(20), 메인 메모리(RAM)(21), 플래시 메모리(22), 리모트 컨트롤러용의 인터페이스(23),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의 인터페이스(24), 인터넷 접속용의 통신 인터페이스(25)가, 서로 시스템 버스(26)로 연결되어 있다. 인터페이스(24)에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한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가 접속되어 있다.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에 부속한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고 부른다)(28)에는 전원 버튼과, 선국 버튼과, 녹화 예약 버튼과, 녹화한 프 로그램의 소거 프로텍트 버튼과, 녹화 예약 캔슬 버튼과, 재생 버튼과, EPG 화면상에서 선택을 행하기 위한 방향 키와 결정 키와, 키워드 등록 버튼 등이 마련되어 있다.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에는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에 입력한 디지털 방송 신호는 리모콘(28)의 선국 조작에 의거하여 튜너(11)에서 주파수대가 선택된 후, 복조기(12)에서 복조되고, 디스크램블러(13)에서 스크램블이 풀려진 후, 다중 분리기(14)에서, 복수 채널분의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데이터의 패킷이나 EPG 정보의 패킷으로 분리된다.
이 복수 채널분의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음성의 패킷중, 리모콘(28)의 선국 조작에 의거하여 추출한 1채널분의 패킷의 영상, 음성 데이터가, 각각 영상 디코더(15), 음성 디코더(16)에 의해 MPEG-2Video, MPEG-2Audio로 복호된다. 또한, EPG 정보의 패킷은 CPU(19)로 보내진다.
그리고, 영상 디코더(15)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나, EPG 정보를 이용하여 CPU(19)에서 작성된 전자 방송프로그램 가이드 표시용의 영상 신호가, 영상 신호 처리 회로(17)에서 NTSC 방식으로의 변환이나 믹싱 등이 시행되고, 영상 출력 단자(29)로부터 출력하여 도 1의 표시 장치(3)로 보내진다.
또한, 음성 디코더(16)에서 복호된 음성 신호가, D/A 변환기(18)에서 아날로그 변환되고, 음성 출력 단자(30)로부터 출력하여 도 1의 표시 장치(3)로 보내진다.
CPU(19)는 ROM(20)에 격납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의거하여, 메인 메모리(21)를 워킹 메모리로서 이용하여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 전체를 제어한다.
CPU(19)가 행하는 처리에는 통상의 튜너 내장형 비디오 덱에서의 것과 같은 처리(선국 처리, 녹화 예약에 의거한 녹화 처리 등)나, 키워드 등록 처리, 등록된 키워드에 의거한 프로그램 검색 처리 등 외에, 방송프로그램의 자동 녹화 처리가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CPU(19)가 행하는 통상의 처리중, 녹화 예약에 의거한 녹화 처리를 「녹화 예약 매니저」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이 자동 녹화 처리에서 이용하기 위해 ROM(20)에 격납되어 있는 테이블을 도시한다. 이 중, 도 3의 조작 기호치 테이블은 리모콘(28)의 조작중,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조작으로서의 녹화 예약 조작, 소거 프로텍트 조작, 녹화 예약 캔슬 조작, 키워드 등록 조작과, 조작 기호치 패러미터를 각각 대응시킨 테이블이다. 녹화 예약 캔슬 조작은 리모콘(28)의 조작에 의해 행한 녹화 예약의 캔슬과, 이 자동 녹화 처리에 의해 행하여진 녹화 예약의 캔슬의 양쪽을 포함한다.
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기호치 패러미터(도면의 Pref operation(manual rec), Pref operation(autodelete rotect), Pref operation(recreserve cancel), Pref operation(keyword))로서는 출하시에 각각 구체적인 수치(예를 들면 각각 +6, +3, -6, +3, +3)가 설정되어 있다.
도 4의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은 EPG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요소(이하 단지 「기호 요소」라고 부른다)로서의 타이틀 키워드(EPG 정보중의 타이틀 문자열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키워드), 키워드(EPG 정보중의 상세 문자열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평일과 토, 일요를 구별한 것), 방송국과, 계수 패러미터를 각각 대응시킨 테이블이다.
각 기호 요소에 대응하는 계수 패러미터(도면의 Coeff titlekeyword, Coeff keyword, Coeff genre, Coeff timezone, Coeff station)에도, 출하시에 각각 구체적인 수치가 설정되어 있다.
도 5의 기호 상한치 테이블은 도 4의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에 있어서의 각 기호 요소와, 기호치의 상한치 패러미터를 각각 대응시킨 테이블이다.
각 기호 요소에 대응하는 상한치 패러미터(도면의 Upperlim titlekeyword, Upperlim keyword, Upperlim genre, Upperlim timezone, Upperlim station)에도, 출하시에 각각 구체적인 수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ROM(20)에는 이 자동 녹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사전으로서, 타이틀 키워드 사전 및 키워드 사전이 격납되어 있다.
타이틀 키워드 사전은 EPG 정보중의 타이틀 문자열 정보로부터 키워드(타이틀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사전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 야구', '골프', '사커', '온천', '바둑', '장기' 등의 서브 장르(EPG 정보중의 장르 정보에 의한 '스포츠'라는 바와 같은 대략적인 장르보다도 세밀한 장르)를 나타내는 문자열과 같이, 방송프로그램의 타이틀에 포함되는 문자열중 유저의 기호를 나타내는데 적합한 문자열이 타이틀 키워드로서 등록되어 있다.
키워드 사전은 EPG 정보중의 상세 문자열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사전으로서, 상세 문자열 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열중, 유저의 기호를 나타내는데 적합한 문자열(출연자 명, 제작자 명, 제작 장소, 제작 일시 등)이 키워드로서 등록되어 있다.
또한, CPU(19)는 키워드 사전에 관해서는 인터넷 경유로 전용의 사이트로부터 최신의 것을 다운로드하여 플래시 메모리(22)에도 기억시킨다.
또한, CPU(19)는 이 자동 녹화 처리를 행하는 전제로서, 유자의 선국 조작시나 유저의 녹화 예약 조작에 의거한 녹화시에 다중 분리기(14)로부터 보내여진 EPG 정보의 패킷을 플래시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도 6은 이 자동 녹화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프로그램은 조작 이력 관리부(101), 기호 정보 관리부(102), 방송프로그램 추천부(103)의 각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조작 이력 관리부(101)는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리모콘(28)의 조작(도 3의 조작 기호치 테이블에 실려 있는 녹화 예약 조작, 소거 프로텍트 조작, 녹화 예약 캔슬 조작, 키워드 등록 조작)과, 그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EPG 정보로부터, 조작 기호치 테이블(도 3)을 이용하여,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이하 「기호 조작 이력 정보」라고 부른다)를 작성하는 프로세스이다.
기호 정보 관리부(102)는 조작 이력 관리부(101)에서 작성된 기호 조작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도 4), 기호 상한치 테이블(도 5)을 이용 하여, EPG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기호 요소(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에 실려 있는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방송국)에 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프로세스이다.
방송프로그램 추천부(103)는 기호 정보 관리부(102)에서 작성된 기호 정보와, 금후 방송 예정의 프로그램에 관한 EPG 정보로부터, 금후 방송 예정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녹화 예약 매니저(201)(전술한, 녹화 예약에 의거한 CPU(19)의 녹화 처리)에 대해 녹화 예약을 행하는 프로세스이다.
도 7은 이 자동 녹화 처리중의 조작 이력 관리부(101) 부분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처리는 리모콘(28)으로 어떠한 조작이 1회 행하여질 때마다 스타트하고, 최초에, 그 조작이 ROM(20) 내의 조작 기호치 테이블(도 3)에 실려 있는 종류의 것인지의(즉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
예스 이면, 플래시 메모리(22)로부터 EPG 정보를 판독한다(스텝 S2). 그리고, 조작 기호치 테이블(도 3)에서 그 조작에 대응하고 있는 조작 기호치 패러미터의 값(이하 단지 「조작 기호치」라고 부른다)을 취득한다(스텝 S3).
계속해서, 그 조작이 키워드 등록 이외의 조작인 경우, 그 조작의 대상이 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EPG 정보중의 타이틀 문자열 정보, 상세 문자열 정보로부터, 전술한 타이틀 키워드 사전,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각각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를 추출한다(스텝 S4).
그리고, 다음의 각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기호 조작 이력 정보를 작성하고, 그 기호 조작 이력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스텝 S5).
·조작 ID
·스텝 S3로 취득한 조작 기호치
·그 조작의 대상이 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EPG 정보중중, 방송국 ID, 방송프로그램 방송일, 방송프로그램 방송 시작시각, 방송프로그램 방송 종료시각, 장르 ID, 타이틀 문자열 정보 및 상세 문자열 정보
·스텝 S4에서 추출한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를 각각 실은 타이틀 키워드 리스트, 키워드 리스트
단, 키워드 등록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스텝 S5에서는 조작 ID와 스텝 S3에서 취득한 조작 기호치만으로 이루어지는 기호 조작 이력 정보를 작성한다.
스텝 S5를 마치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에서 노 이면, 즉시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은 자동 녹화 처리중의 기호 정보 관리부(102)(도 6) 부분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호 정보 관리부(102)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프로세스인데, 기호 정보는 다음 각 항목으로 구성한다.
·개개의 구체적인 타이틀 키워드마다, 그 타이틀 키워드와, 그 타이틀 키워드에 관한 기호치(Pref titlekeyword)와, 갱신 일시를 조합시킨 정보
·개개의 구체적인 키워드마다, 그 키워드와, 그 키워드에 관한 기호치(Pref keyword)와, 갱신 일시를 조합시킨 정보
·개개의 구체적인 장르마다, 그 장르와, 그 징르에 관한 기호치(Pref genre)와, 갱신 일시를 조합시킨 정보
·개개의 방송 시간대마다, 그 방송 시간대와, 그 방송 시간대에 관한 기호치(Preftimezone)와, 갱신 일시를 조합시킨 정보
·개개의 방송국마다, 그 방송국과, 그 방송국에 관한 기호치(Pref station)와, 갱신 일시를 조합시킨 정보
또한, 이 기호 정보에 포함시키는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의 총수에는 각각 예를 들면 100개라는 제한을 마련한다.
또한, 이 기호 정보에 있어서의 장르의 분류는 EPG 정보에 있어서의 장르의 분류(스포츠, 드라마 등)에 따른다. 단, EPG 정보에서 장르가 「기타」로 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해서는 그 방송프로그램의 타이틀로부터 추출된 타이틀 키워드에 의거하여, EPG 정보에는 없는 새로운 장르를 창설(예를 들면, EPG 정보에는 뉴스라는 장르가 없고, 또한, 타이틀로부터 '뉴스'이나 'NEWS'나 괄호 부착의 N의 문자가 타이틀 키워드로서 추출된 경우에, 뉴스라는 장르를 창설한다)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기호 정보에서는 방송 시간대는 예를 들면, 5시 내지 10시, 10시 내지 17시, 17시 내지 24시, 0시 내지 5시와 같이 분류한다.
도 8의 처리는 도 7의 처리에 의해 1회의 조작분의 기호 조작 이력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22)에 기억될 때마다 스타트하고, 최초로, 플래시 메모리(22)로부터 그 기호 조작 이력 정보와 현재의 기호 정보를 판독한다(스텝 S11).
그리고, 그 기호 조작 이력 정보로부터, ROM(20) 내의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도 4)에 실려 있는 기호 요소인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방송국에 관한 기호 가산치를 계산한다(스텝 S12).
기호 요소중, 타이틀 키워드에 관한 기호 가산치(Increment titlekeyword)의 계산은 기호 조작 이력 정보중의 타이틀 키워드 리스트에 실려 있는 개개의 구체적인 타이틀 키워드마다, 다음 식에 의해 행한다.
Increment titlekeyword
= Pref operation × Coeff titlekeyword / (N titlekeyword) M
또한, 키워드에 관한 기호 가산치(Increment keyword)의 계산은 기호 조작 이력 정보중의 키워드 리스트에 실려 있는 개개의 구체적인 키워드마다, 다음 식에 의해 행한다.
Increment keyword
= Pref operation × Coeff keyword / (N keyword) M
또한, 장르에 관한 기호 가산치(Increment genre)의 계산은 기호 조작 이력 정보중의 장르 ID에 의해 특정되는 구체적인 장르에 관해, 다음 식에 의해 행한다.
Increment genre = Pref operation × Coeff genre
또한, 방송 시간대에 관한 기호 가산치(Increment timezone)의 계산은 기호 조작 이력 정보중의 방송프로그램 방송일, 방송프로그램 방송 시작시각, 방송프로그램 방송 종료시각에 의해 특정되는 구체적인 방송 시간대(5시 내지 10시, 10시 내지 17시, 17시 내지 24시, 0시 내지 5시중의 어느 하나)에 관해, 다음 식에 의해 행한다.
Increment timezone = Pref operation × Coeff timezone
또한, 방송국에 관한 기호 가산치(Increment station)의 계산은 기호 조작 이력 정보중의 방송국 ID에 의해 특정되는 구체적인 방송국에 관해, 다음 식에 의해 행한다.
Increment station = Pref operation × Coeff station
이들의 계산식에 있어서, Pref operation은 기호 조작 이력 정보중의 조작 기호치이다. 또한, Coeff titlekeyword, Coeff keyword, Coeff genre, Coeff timezone, Coeff station은 각각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도 4)에 있어서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방송국에 대응하고 있는 계수 패러미터이다.
또한,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에 관한 기호 가산치의 계산식에 있어서의 N titlekeyword, N keyword는 각각 기호 조작 이력 정보중의 타이틀 키워드 리스트, 키워드 리스트에 실려 있는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의 수이다. 또한, M은 출하시에 O, 0.5, 1중의 어느 하나(예를 들면 O.5)로 설정되어 있다.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에 대한 기호 가산치의 계산식에 있어서 각각 (N titlekeyword) M, (N keyword) M으로의 나눗셈을 행하는 것은 계산 결과를 규격화하기(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의 수의 많고 적음에 의해 계산 결과에 큰 차이가 생기는 것을 억제한다) 위해서이다.
또한, 기호 조작 이력 정보가 조작 ID와 조작 기호치 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즉, 키워드 등록 조작에 의거하여 작성된 기호 조작 이력 정보인 경우)에는 스 텝 S12에서는 장르, 방송 시간대, 방송국에 관한 기호 가산치의 계산은 행하지 않고, 그들의 기호 가산치를 제로로 하여 둔다.
계속해서, 이들의 기호 요소에 관한 현재의 기호치에, 스텝 S12에서 계산한 기호 가산치를 가산한 것을, 새로운 기호치로 한다(스텝 S13).
즉, 타이틀 키워드에 관해서는 개개의 구체적인 타이틀 키워드마다, 다음 식과 같이, 현재의 기호 정보에 있어서의 그 타이틀 키워드에 관한 기호치 Pref titlekeyword(다음 식에서는 Pref titlekeyword(old)라고 표기하고 있다)에, 그 타이틀 키워드에 관해 스텝 S12에서 계산한 기호 가산치 Increment titlekeyword를 가산한 것을 새로운 기호치 Pref titlekeyword로 한다.
Pref titlekeyword = Increment titlekeyword + Pref title key word(old)
또한, 키워드에 관해서는 개개의 구체적인 키워드마다, 다음 식과 같이, 현재의 기호 정보에 있어서의 그 키워드에 관한 기호치 Pref keyword(다음 식에서는 Pref keyword(old)라고 표기하고 있다)에, 그 키워드에 관해 스텝 S12에서 계산한 기호 가산치 Increment keyword를 가산한 것을 새로운 기호치 Pref keyword로 한다.
Pref keyword = Increment keyword + Pref keyword(old)
또한, 장르에 관해서는 개개의 구체적인 장르(뉴스, 드라마 등)마다, 다음 식과 같이, 현재의 기호 정보에 있어서의 그 장르에 관한 기호치 Pref genre(다음 식에서는 Pref genre(old)라고 표기하고 있다)에, 그 장르에 관해 스텝 S12에서 계산한 기호 가산치 Increment genre를 가산한 것을 새로운 기호치 Pref genre로 한 다.
Pref genre= Increment genre + Pref genre(old)
또한, 방송 시간대에 관해서는 개개의 구체적인 방송 시간대(5시 내지 10시, 10시 내지 17시, 17시 내지 24시, 0시 내지 5시)마다, 다음 식과 같이, 현재의 기호 정보에 있어서의 그 방송 시간대에 관한 기호치 Pref timezone(다음 식에서는 Pref timezone(old)라고 표기하고 있다)에, 그 방송 시간대에 관해 스텝 S12에서 계산한 기호 가산치 Increment timezone를 가산한 것을 새로운 기호치 Pref timezone로 한다.
Pref timezone = Increment timezone+ Pref timezone(old)
또한, 방송국에 관해서는 개개의 구체적인 방송국마다, 다음 식과 같이, 현재의 기호 정보에 있어서의 그 방송국에 관한 기호치 Pref station(다음 식에서는 Pref station old)이라고 표기하고 있다)에, 그 방송국에 관해 스텝 S12에서 계산한 기호 가산치 Increment station을 가산한 것을 새로운 기호치 Pref station으로 한다.
Pref station = Increment station+Pref station(old)
또한, 현재의 기호 정보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에 관한 기호 가산치를 스텝 S12에서 계산한 경우에는 스텝 S13에서는 그 기호 가산치를 새로운 기호치로 하여, 그 새로운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와 그 기호치를 기호 정보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 한다.
또한, 그 새로운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를 기호 정보의 새로운 기호 요소로 함에 의해 기호 정보중의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의 총수가 전술한 제한(예를 들면 100개)을 초과하여 버리는 경우에는 우선, 현재의 기호 정보중의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중, 기호치가 일정 이하인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를 갱신 일시가 오래된 순으로 필요한 수만큼 삭제한다. 그 후, 그 새로운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를 기호 정보의 새로운 기호 요소로 한다.
계속해서, 각 기호 요소(타이틀 키워드,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방송국)에 관해, 스텝 S13에서 구한 새로운 기호치중의 최대치를 검출한다(스텝 S14).
그리고, 그 최대치가, 기호 상한치 테이블(도 5)에서 그 기호 요소에 대응하고 있는 상한치 패러미터의 값(이하 단지 「상한치」라고 부른다)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
예스 이면, 현재의 기호 정보에 있어서의 그 기호 요소에 관한 모든 기호치(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에 관해서는 스텝 S13에서 새롭게 기호 정보의 구성 요소로 한 타이틀 키워드나 키워드에 관한 기호치를 포함한다)를 균등하게 압축한 것을, 그 기호 요소에 관한 새로운 기호치로 한다(스텝 S16)
즉, 예를 들면, 장르중의 스포츠에 관한 기호치가 상한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6에서는 현재의 기호 정보에 있어서의 스포츠, 드라마 등의 모든 구체적인 장르에 관한 기호치를 균등하게 압축한다.
이 압축은 다음 식에 의해 행한다(다음 식에서는 압축 전의 기호치를 기호치(old)라고 표기하고 있다).
기호치 = 기호치(old) × 상한치/최대치
스텝 S16을 마치면, 스텝 S17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15에서 노 이였던 경우에는 스텝 S15로부터 그대로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그때까지의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호 정보를 갱신하고(갱신 일시의 변경도 행하고), 그 갱신한 기호 정보를 현재의 기호 정보에 대신하여 플래시 메모리(22)에 기억시킨다. 스텝 S17을 마치면, 처리를 종료한다.
처음으로 이 도 8의 처리를 행하는 때는 아직 기호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기호 정보가 작성되고 플래시 메모리(22)에 기억된다. 그리고, 2회째 이후 이 도 8의 처리를 행할때마다, 그 기호 정보가 갱신되어 간다.
또한, 도 8의 처리는 1회의 조작분의 기호 조작 이력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22)에 기억될 때마다 스타트시키는 대신에, 소정의 복수회의 조작분의 기호 조작 이력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22)에 기억될 때마다 스타트시키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스타트시키거나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직전의 도 8의 처리의 종료 후에 새롭게 플래시 메모리(22)에 기억된 모든 기호 조작 이력 정보에 의거한 기호 정보의 작성·갱신을 종합하여 행하도록 하면 좋다.
도 9는 자동 녹화 처리중의 방송프로그램 추천부(103) 부분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처리는 정기적으로(예를 들면, 1일 1회, 일정한 시각 또는 새로운 EPG 정보의 수신 직후에) 스타트하고, 최초에, 플래시 메모리(22)로부터, 기호 정보와 EPG 정보를 판독한다(스텝 S21).
계속해서, 금회의 처리에서 녹화 예약을 행하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시각의 범위(이하 「녹화 시각 범위」라고 부른다)를 결정한다(스텝 S22). 예를 들면 1일 1회 일정한 시각에 이 처리를 스타트하는 경우에는 스텝 S22에서는 그 시각부터 다음날의 동일한 시각까지의 24시간을 녹화 시각 범위로서 결정한다.
계속해서, 금회의 처리에서 녹화 예약을 행할려고 하는 방송프로그램의 량(이하 「목표 예약량」이라고 부른다)을 결정한다(스텝 S23).
이 결정의 방법으로서는 우선, 24시간당의 목표 예약량을, HDD(27)(도 2)의 빈 용량의 A%, HDD(27)의 비(非)프로텍트 영역(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지만 소거 프로텍트 되어 있지 않는 영역)의 B%중의 많은 쪽으로 한다(A, B의 구체적인 값은 자동 녹화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최대 허용량에 응하여 출하시에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S22에서 결정한 녹화 시각 범위를 C시간으로 하여서, 이 24시간당의 목표 예약량에 C/24를 곱한 것을 목표 예약량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목표 예약량을 결정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의 구입 직후와 같이 HDD(27)의 빈 용량이 많은 때(동 도 A)에는 목표 예정량을 많게 하여 다량의 프로그램을 자동 녹화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한편,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의 사용 초기 단계와 같이 HDD(27)의 빈 용량이 감소하여 온 때(동 도 B)나, HDD(27)의 빈 용량이 없어진 때(동 도 C)에는 목표 예정량에 큰 변동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콘스탄트한 량의 방송프로그램을 자동 녹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하나하나의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에는 편차가 있기 때문에, 목표 예약량에는 ±D시간의 폭을 준다(D의 구체적인 값도 출하시에 설정한다).
계속해서, 스텝 S21에서 판독한 EPG 정보 중에서, 방송 시작시각이 스텝 S22 에서 결정한 녹화 시각 범위 내에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EPG 정보를 선출하고, 그들의 방송프로그램의 각각에 대한 방송프로그램 기호도를 계산한다(스텝 S24).
이 방송프로그램 기호도의 계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행한다. 즉, EPG 정보중의 그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타이틀 문자열 정보, 상세 문자열 정보로부터, 스텝 S21에서 판독한 기호 정보중의 타이틀 키워드 리스트, 키워드 리스트에 실려 있는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를 검색한다. 그 때, 유사어 추출용의 사전인 시소러스 사전(인터넷 경유로 다운로드한 최신의 것)을 이용하여,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에 관련되는 문자열(예를 들면 유명인의 약칭이나 닉네임)을 아울러서 검색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타이틀 키워드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개개의 타이틀 키워드마다, 기호 정보중의 그 타이틀 키워드에 관한 기호치(Pref titlekeyword)를 그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방송프로그램 기호도(Pref program)에 가산한다.
또한, 키워드가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개개의 키워드마다, 기호 정보중의 그 키워드에 관한 기호치(Pref keyword)를 그 방송프로그램 기호도(Pref program)에 가산한다.
또한, EPG 정보중의 그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장르 ID로부터 장르를 판별하고, 기호 정보중의 그 장르에 관한 기호치(Pref genre)를 그 방송프로그램 기호도(Pref program)에 가산한다.
또한, EPG 정보중의 그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방송프로그램 방송일, 방송프로그램 방송 시작시각, 방송프로그램 방송 종료시각의 정보로부터 방송 시간대를 판 별하고, 기호 정보중의 그 방송 시간대에 관한 기호치(Pref timezone)를 그 방송프로그램 기호도(Pref program)에 가산한다.
최후로, EPG 정보중의 그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방송국의 정보로부터 방송국을 판별하고, 기호 정보중의 그 방송국에 관한 기호치(Pref station)를 그 방송프로그램 기호도(Pref program)에 가산한다.
이 계산 방법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식과 같이 된다.
Pref program
= 시그마 Pref titlekeyword
+ 시그마 Pref keyword
+ Pref genre
+ Pref timezone
+ Pref program
(단, Pref titlekeyword, Pref keyword는 각각 검출된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에 대한 것만)
계속해서, 방송 시작시각이 녹화 시각 범위 내에 있는 방송프로그램을, 스텝 S24에서 계산한 방송프로그램 기호도가 큰 순으로 나열한 추천 방송프로그램 리스트를 작성한다(스텝 S25).
그리고, 그 추천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에 실려 있는 상위의 방송프로그램의 순으로, 스텝 S23에서 결정한 목표 예약량분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의 스케줄링을 행한다(스텝 S26).
또한, 스텝 S26에서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시간대가 중복되지 않도록 스케줄링을 행한다. 또한, 추천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에 실려 있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기호도가 서로 동등한 경우에는 스텝 S26에서는 랜덤하게 그들의 방송프로그램의 순위를 결정한다.
계속해서, 이 스케줄링에 따라, 녹화 예약 매니저에 대해 녹화 예약을 행한다(스텝 S27). 스텝 S27을 마치면, 처리를 종료한다.
녹화 예약 매니저에서는 이 자동 녹화 처리에 의해 녹화 예약된 방송프로그램이, 리모콘(28)의 녹화 예약 조작에 의해 녹화 예약한 방송프로그램과 완전히 같게 하여 녹화된다.
또한, 이 자동 녹화 처리에 의해 녹화 예약된 프로그램도, 리모콘(28)의 녹화 예약 조작에 의해 녹화 예약한 프로그램과 완전히 같게 하여, 녹화 예약 매니저에 의해 통상의 녹화 예약 프로그램 리스트로서 표시 장치(3)에 표시되고, 리모콘(28)의 녹화 예약 캔슬 조작에 의해 녹화 예약을 캔슬할 수 있다. 조작 기호치 테이블(도 3)에 있어서의 녹화 예약의 캔슬 조작에는 이 자동 녹화 처리에 의해 녹화 예약된 프로그램에 관한 캔슬 조작도 포함된다.
다음에,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에 있어서 방송프로그램이 녹화되는 양상을 설명한다. 유저가, 리모콘(28)으로 녹화 예약 조작이나 소거 프로텍트 조작이나 녹화 예약 캔슬 조작이나 키워드 등록 조작을 행하면, 그들의 조작과, 그들의 조작의 대상이 된 방송프로그램에 관해 EPG 정보로부터, 도 7의 처리(도 6의 기호 조작 이력 관리부(101))에 의해, 조작 기호치 테이블(도 3)을 이용하여 기호 조작 이력 정보가 작성된다.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에는 이 도 7의 처리에 의해, EPG 정보로부터 키워드가 추출되고, 그 추출한 키워드가 이 기호 조작 이력 정보에 포함된다.
계속해서, 이 기호 조작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도 8의 처리(도 6의 기호 정보 관리부(102))에 의해,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도 4)을 이용하여,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방송국이라는 각 기호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가 작성·갱신된다.
또한, 이들의 기호 요소중의 어느 하나의 기호 요소가, 기호 상한치 테이블(도 5)중의 상한치를 초과한 기호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도 8에 처리에 의해, 그 기호 요소에 관한 모든 기호치가 균등하게 압축된다.
계속해서, 도 9의 처리(도 6의 방송프로그램 추천부(103))에 의해, 이 기호 정보와 EPG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도가 계산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의 기록 예약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그 기록 예약된 컨텐츠가 기록됨에 의해, 컨텐츠가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이와 같이,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에 의하면,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도 3의 조작 기호치 테이블 중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기호 조작 이력 정보를 작성하기 때문에, 이 기호치 패러미터를 설정·변경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자동 기록에 대한 각 종류의 조작(녹 화 예약 조작, 소거 프로텍트 조작, 녹화 예약 캔슬 조작, 키워드 등록 조작)의 반영도를 임의로 설정·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에는 설명 정보로부터 추출한 키워드가 이력 정보에 포함되기 때문에,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으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키워드를 자동적으로 추출하고, 그 키워드를 컨텐츠의 자동 기록에 반영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유저의 복잡·다양한 기호에 맞추어서 방송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호 요소마다의 계수 패러미터(도 4의 조작 요소 계수 테이블 중의 계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기호 정보를 작성·갱신하기 때문에, 이 계수 패러미터를 설정·변경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자동 기록에 대한 각 기호 요소(타이틀 키워드, 키워드,장르, 방송 시간대, 방송국)의 반영도를 임의로 설정·변경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기호치를 포함하는 기호 요소에 관한 모든 기호치를 균등하게 압축하기 때문에, 기호 정보중의 그 상한치를 초과하는 기호치를 포함하는 기호 요소에 대한 기호치는 그 이후의 유저의 조작에 의거한 기호치의 비중이 커진다(그때까지의 유저의 조작에 의거한 기호치의 비중은 역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월일의 경과에 수반하는 유저의 기호의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의 유저의 기호에 맞는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조작으로서, 녹화 예약 조작, 소거 프로텍트 조작, 녹화 예약 캔슬 조작, 키워드 등록 조작의 4종류를 조작 기호치 테이블(도 3)에 싣고 있다. 그러나, 이 이외에도, 녹화 조작, 시청 조작, 시청 예약 조작, 녹화한 방송프로그램의 소거 조작, 녹화한 방송프로그램의 재생 조작, 음량 조절 조작, 시청시의 선국 조작, 재생시의 재생 대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전환 조작 등의 각종의 조작을 조작 기호치 테이블에 싣도록(그들의 조작으로부터도 기호 조작 이력 정보를 작성한다)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기호 요소로서, 타이틀 키워드,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방송국을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도 4)에 싣고 있다. 그러나, 이 이외에도, 방송프로그램 명(타이틀), 카테고리, 채널 등을 기호 요소로서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에 싣도록(그들의 기호 요소에 대한 기호치도 기호 정보에 포함한다)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조작 기호치 테이블(도 3)중의 조작 기호치 패러미터의 값,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도 4)중의 계수 패러미터의 값, 기호 상한치 테이블(도 5)중의 상한치 패러미터의 값을, 각각 출하시에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이들의 패러미터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리모콘(28)에 마련하는 등으로, 유저가 임의로 이들의 패러미터를 설정·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그로 인해, 유저는 자신의 조작의 경향이나 자신이 중시하는 기호 요소 등에 응하여 이들의 패러미터를 설정·변경함으로써, 한층 자신의 기호에 맞는 방송프로그램을 자동 녹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도 8의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기호 정보나, 도 9의 처치에 의해 작성되는 추천 프로그램 리스트는 CPU(19)의 내부 처리를 위한 정보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이 기호 정보나 추천 방송프로그램 리스트를 영상 데이터로서 출력시키기 (표시 장치(3)에 화면 표시시키시)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을 리모콘(28)에 마련하는 등으로, 유저가 이 기호 정보나 추천 프로그램 리스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나아가서는 이 확인한 기호 정보를 소거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리모콘(28)에 마련하거나, 이 확인한 추천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에 실려 있는 방송프로그램을 유저가 리모콘(28)의 조작으로 녹화 예약할 수 있도록(도 3의 조작 기호치 테이블에 있어서의 녹화 예약 조작에는 이 추천 프로그램 리스트에 실려 있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녹화 예약 조작도 포함한다) 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프로그램을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프로그램을 기록·재생하는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용의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안테나(31)에서 수신되고 방송프 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41)에 입력한 아날로그 방송 신호중의 영상·음성 신호는 튜너(42)에서 주파수대가 선택되고, MPEG 인코더(43)에서 부호화된다.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시에는 이 부호화된 영상·음성 데이터는 MPEG 디코더(47)에서 복호되고,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41)로부터 표시 장치(61)로 보내진다.
다른한편,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기록시에는 MPEG 인코더(43)에서 부호화된 영상·음성 데이터는 버스(44)를 통하여 주기억 장치(45)로 보내지고, 주기억 장치(45)에 기록된다.
그리고, 재생시에는 주기억 장치(45)로부터 판독된 영상·음성 데이터가, 버스(44)를 통하여 MPEG 디코더(47)로 보내지고, MPEG 디코더(47)에서 복호되고,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41)로부터 표시 장치(61)로 보내진다.
또한, 튜너(42)에서 주파수대가 선택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부터, EPG 취득 모듈(46)에서 EPG 정보가 취득된다. 이 EPG 정보도, 버스(44)를 통하여 주기억 장치(45)로 보내지고, 주기억 장치(45)에 기억된다.
또한, 인터넷(71)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48), ROM(49), 주기억 장치(50), 보조 기억 장치(51), MPEG 디코더(47)가, 서로 버스(52)로 연결되어 있다.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41)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 기호치 테이블(도 3),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도 4), 기호 상한치 테이블(도 5), 타이틀 키워드 사전, 키워드 사전이 ROM(49)에 격납되어 있음(키워드 사전에 관해서는 인 터넷 경유로 전용의 사이트로부터 최신의 것을 다운로드하여 보조 기억 장치(51)에도 기억시킨다)과 함께,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41) 전체를 제어하는 CPU(53)가, 통상의 튜너 내장형 비디오 덱에서의 것과 같은 처리(도시를 생략한 리모콘 등의 조작에 의한 선국 처리, 녹화 예약에 의거한 녹화 처리 등)나, 키워드 등록 처리, 등록된 키워드에 의거한 방송프로그램 검색 처리 등 외에,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자동 녹화 처리를 행한다.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41)에서도, 도 1, 도 2의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2)에 관해 설명한 것과 완전히 같게 하여,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유저의 복잡·다양한 기호에 맞추어서 방송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음과 함께, 월일의 경과에 수반하는 유저의 기호의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의 유저의 기호에 맞는 방송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표시 장치와는 별체로 이루어진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이 방송프로그램 기록 재생 장치와 표시 장치가 일체로 된 텔레비전 수신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좋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자동 녹화를 위해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이외의 컨텐츠(예를 들면 인터넷 경유로 송신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을 위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인터넷 경유로 송신되는 컨텐츠를 자동 기록하는 경우, 기호 요소 계수 테이블에는 컨텐츠 명(타이틀), 키워드, 장르, 카테고리, 인터넷 사이트에의 등록 일시, 인터넷 사이트의 명칭, 인터넷 사이트의 어드레스 등을 기호 요소로서 실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예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그 밖에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컨텐츠를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유저의 다양한 조작에 의거하여, 유저의 복잡·다양한 기호에 맞추어서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자동 기록에 대한 각 요소(예를 들면 키워드, 장르, 컨텐츠의 송신 시간대, 컨텐츠의 송신원)의 반영도를 임의로 설정·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월일의 경과에 수반하는 유저의 기호의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의 유저의 기호에 맞는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상기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상기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과,
    상기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기호 정보 관리 수단과,
    상기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컨텐츠 추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추천 수단에서 기록 예약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조작은 컨텐츠의 기록 예약 조작, 기록한 컨텐츠의 소거 프로텍트 조작, 컨텐츠의 기록 예약의 캔슬 조작,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의 등록 조작 등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은 상기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 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한 키워드를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정보 관리 수단은 상기 복수의 요소마다의 계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호 정보의 작성 및 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는 키워드, 장르, 컨텐츠의 송신 시간대, 컨텐츠의 송신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중 상기 키워드의 수에는 제한을 마련하고, 제한을 초과한 경우에는 기호치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키워드를 갱신 일시가 오래된 순으로 필요한 수만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정보 관리 수단은 상기 복수의 요소중, 미리 지정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기호치를 포함하는 요소에 관한 모든 기호치를 균등하게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 수단은 기록 장치의 빈 영역에 응하여, 상기 기호도가 큰 순으로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9.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상기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상기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제 1의 스텝과,
    상기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상기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방법.
  10.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의 자동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상기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상기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제 1의 스텝과,
    상기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상기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1. 삭제
  12.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상기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고,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한 키워드를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시키는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과,
    상기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기호 정보 관리 수단과,
    상기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컨텐츠 추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추천 수단에서 기록 예약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조작 이력 관리 수단은 조작의 종류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력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조작은 컨텐츠의 기록 예약 조작, 기록한 컨텐츠의 소거 프로텍트 조작, 컨텐츠의 기록 예약의 캔슬 조작,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의 등록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정보 관리 수단은 상기 복수의 요소마다의 기호치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호 정보의 작성 및 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는 키워드, 장르, 컨텐츠의 송신 시간대, 컨텐츠의 송신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중 상기 키워드의 수에는 제한을 마련하고, 제한을 초과한 경우에는 기호치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키워드를 갱신 일시가 오래된 순으로 필요한 수만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정보 관리 수단은 상기 복수의 요소중, 미리 지정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기호치를 포함하는 요소에 관한 모든 기호치를 균등하게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 수단은 기록 장치의 빈 영역에 응하여, 상기 기호도가 큰 순으로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20.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상기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고,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한 키워드를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시키는 제 1의 스텝과,
    상기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상기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자동 기록 방법.
  21.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의 자동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 종류의 조작과, 상기 조작의 대상이 된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조작의 이력 정보를 작성하고, 또한, 키워드 등록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하여진 때,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한 키워드를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시키는 제 1의 스텝과,
    상기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호에 관한 복수의 요소에 대한 기호치로 이루어지는 기호 정보를 작성 및 갱신하는 제 2의 스텝과,
    상기 기호 정보와 컨텐츠에 관한 설명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기호도를 계산하고, 그 기호도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기록 예약을 행하는 제 3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의 스텝에서 기록 예약한 컨텐츠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22. 삭제
KR1020047004810A 2002-08-07 2003-08-07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KR100972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30366 2002-08-07
JP2002230366A JP3714310B2 (ja) 2002-08-07 2002-08-07 コンテンツの自動記録装置及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908A KR20050026908A (ko) 2005-03-16
KR100972063B1 true KR100972063B1 (ko) 2010-07-22

Family

ID=3171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810A KR100972063B1 (ko) 2002-08-07 2003-08-07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610601B2 (ko)
EP (1) EP1434435B1 (ko)
JP (1) JP3714310B2 (ko)
KR (1) KR100972063B1 (ko)
CN (1) CN1307834C (ko)
WO (1) WO2004015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7725B1 (en) 2000-07-27 2011-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hree-way media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WO2002082808A1 (en) 2001-04-03 2002-10-17 Gemstar Development Limited Gemstar development limited
GB0108355D0 (en) 2001-04-03 2001-05-23 Gemstar Dev Ltd Retrospective electronic program guide
JP4931327B2 (ja) * 2003-07-18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160461A1 (en) * 2004-01-21 2005-07-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support
JP4081099B2 (ja) * 2004-03-25 2008-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選択装置、番組録画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593609B2 (ja) * 2004-03-25 2010-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番組選択装置、番組選択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28494B2 (ja) * 2004-03-25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番組選択装置、番組選択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70037B2 (ja) * 2004-06-16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25036A (ja) * 2004-07-06 2006-01-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6025209A1 (ja) * 2004-08-30 2006-03-09 Pioneer Corporation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6173715A (ja) * 2004-12-13 2006-06-29 Victor Co Of Japan Ltd 番組自動選択装置
JP2008135797A (ja) * 2005-03-11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受信装置
JP2006324982A (ja) * 2005-05-19 2006-11-30 Nhk Engineering Services Inc 番組編成情報生成装置及び番組編成情報生成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番組ガイド配信装置及び電子番組ガイド配信プログラム
WO2007013308A1 (ja) * 2005-07-28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番組録画装置、番組管理サーバ、番組管理方法、番組管理プログラム及び番組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7094738A (ja) * 2005-09-28 2007-04-12 Sony Corp 嗜好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通信方法
JP2007104312A (ja) * 2005-10-04 2007-04-19 Toshiba Corp 電子ガイド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208965A (ja) * 2006-01-04 2007-08-16 Hitachi Ltd 映像システムおよびその映像選択方法
JP5013161B2 (ja) * 2006-02-28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提供装置および提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266827A (ja) * 2006-03-28 2007-10-11 Funai Electric Co Ltd 放送受信装置
JP2007324870A (ja) * 2006-05-31 2007-12-13 Canon Inc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84739B2 (ja) * 2006-08-23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1901187A3 (de) 2006-09-16 2009-02-04 LOEWE OPTA GmbH Verfahren zur Suche nach Nutzdaten in Datenbanken von unterhaltungselektronischen Geräten
JP4482829B2 (ja) 2006-11-08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嗜好抽出装置、嗜好抽出方法及び嗜好抽出プログラム
JP4771922B2 (ja) * 2006-11-22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番組検索用のデータベース取得方法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番組検索処理方法
TW200836564A (en) * 2007-02-16 2008-09-01 Mstar Semiconductor Inc Control circuit of a display with program search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receive program information and select program
JP5092575B2 (ja) * 2007-06-22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処理方法、並びにその処理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9077166A (ja) * 2007-09-20 2009-04-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20090100470A1 (en) * 2007-10-16 2009-04-16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528033B2 (en) 2007-10-22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bscription data
JP4950851B2 (ja) * 2007-11-13 2012-06-13 株式会社東芝 録画番組情報表示装置
JP4568323B2 (ja) * 2007-12-07 2010-10-27 富士通株式会社 放送番組の記録装置
JP4596044B2 (ja) 2008-06-03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4600521B2 (ja) 2008-06-03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596043B2 (ja) 2008-06-03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00006930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서비스 제공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JP5353170B2 (ja) * 2008-10-02 2013-11-27 富士通株式会社 録画予約プログラム、録画予約方法、及び、録画予約装置
JP5473726B2 (ja) * 2010-03-31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記録再生装置
JP5274604B2 (ja) * 2011-03-01 2013-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
CN103139611B (zh) * 2011-11-30 2016-03-30 日立麦克赛尔株式会社 设备协作内容推荐装置
CN103686233A (zh) * 2012-08-31 2014-03-26 珠海扬智电子科技有限公司 数字电视节目的录放方法、数字电视录放装置及服务器
WO2014148844A1 (ko) * 2013-03-21 2014-09-2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JP5920847B2 (ja) * 2014-01-16 2016-05-18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13018A1 (en) * 2014-01-24 2015-07-30 Google Inc. Method for recommending videos to add to a playlist
JP6916145B2 (ja) * 2018-04-20 2021-08-11 Tvs Regza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番組処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764A (ja) 1998-11-20 2000-06-06 Sony Corp 情報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情報検索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0295554A (ja) 1998-11-05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予約装置、及び、番組録画装置
JP2002152618A (ja) 2000-11-15 2002-05-24 Toshiba Corp 放送受信機制御装置および放送受信機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0705B2 (ja) 1994-12-21 2002-12-24 ソニー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US20020016963A1 (en) * 1996-08-08 2002-02-07 Hideki Inou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US7146627B1 (en) * 1998-06-12 2006-12-05 Metabyte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targeted video programming
US8352984B2 (en) * 1998-06-12 2013-01-08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manag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for scheduled and stored television programs
JP3488092B2 (ja) * 1998-08-06 2004-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番組の選定方法
JP4135049B2 (ja) * 1999-03-25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
KR100617662B1 (ko) * 2000-03-14 200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 구성 및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구성 방법
US8028314B1 (en) * 2000-05-26 2011-09-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udiovisu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7937725B1 (en) 2000-07-27 2011-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hree-way media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US8020183B2 (en) * 2000-09-14 2011-09-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udiovisual management system
WO2002043353A2 (en) * 2000-11-16 2002-05-30 Mydtv, Inc.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esirability of video programming events
JP2002171456A (ja) 2000-12-01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
US7721310B2 (en) * 2000-12-05 2010-05-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updating of a user profile
KR100860354B1 (ko) * 2001-04-12 2008-09-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유저 선호도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7380262B2 (en) * 2001-06-12 2008-05-2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ist of suggested scheduled television progra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554A (ja) 1998-11-05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予約装置、及び、番組録画装置
JP2000155764A (ja) 1998-11-20 2000-06-06 Sony Corp 情報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情報検索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2152618A (ja) 2000-11-15 2002-05-24 Toshiba Corp 放送受信機制御装置および放送受信機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72502A (ja) 2004-03-04
US7610601B2 (en) 2009-10-27
US8584168B2 (en) 2013-11-12
CN1586071A (zh) 2005-02-23
EP1434435B1 (en) 2016-04-27
US20090328107A1 (en) 2009-12-31
EP1434435A1 (en) 2004-06-30
WO2004015993A1 (ja) 2004-02-19
KR20050026908A (ko) 2005-03-16
EP1434435A4 (en) 2007-07-11
US20050120371A1 (en) 2005-06-02
CN1307834C (zh) 2007-03-28
JP3714310B2 (ja)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063B1 (ko) 컨텐츠의 자동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JP3844901B2 (ja) 電子番組ガイド受信システム
JP3654349B2 (ja) コンテンツ嗜好度算出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479284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6104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081863B2 (en) Content playback apparatus
US7600244B2 (en) Method for extracting program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program
JP200817803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50034650A1 (en) Ultrahard diamond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4154612B2 (ja) コンテンツ嗜好度算出方法、コンテンツ嗜好度更新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
EP1326437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tv viewing schedule
US7519269B2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program information
WO2005101817A1 (ja) 推奨番組抽出装置、推奨番組抽出方法、この方法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302117A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1275053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録画制御装置
JP4206833B2 (ja) 番組記録装置及び番組記録方法
US201403107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information codes
JP4187722B2 (ja) 推奨番組抽出装置
WO2007043348A1 (ja) 録画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58870A (ja) 嗜好分析装置、嗜好分析方法及び嗜好分析プログラム
JP200800520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31128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한 예약 프로그램 리스트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2756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表示装置、録画装置
JP2003122788A (ja) 番組検索支援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7081464A (ja) 録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