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468B1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468B1
KR100918468B1 KR1020070021848A KR20070021848A KR100918468B1 KR 100918468 B1 KR100918468 B1 KR 100918468B1 KR 1020070021848 A KR1020070021848 A KR 1020070021848A KR 20070021848 A KR20070021848 A KR 20070021848A KR 100918468 B1 KR100918468 B1 KR 100918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ttachment
holding member
holding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569A (ko
Inventor
마사토 이바라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에 대한 부착부의 부착능을 향상시키고 브라켓과 부착부가 서로에 대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부착부(12)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각각이 가압부(26)를 구비하는 홀딩 부재(24)(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며, 가압부(23, 26)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홀딩 부재(24)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브라켓(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된다. 가압부(23, 26) 사이에 브라켓(B)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홀딩 부재(24)는 가압부(23, 26)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확장하도록 탄성 변형되며, 이로 인해 삽입 저항이 과도해지지 않는다. 부착부(12)가 브라켓(B)에 부착된 상태에서 홀딩 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23, 26) 사이에 브라켓(B)이 끼워넣어지기 때문에, 부착부(12)와 브라켓(B)이 서로에 대해 진동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고정구{A FIXTURE}
도 1은 제1 실시예의 수평 단면도.
도 2는 2개의 절반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3은 2개의 절반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2개의 절반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저부도.
도 5는 2개의 절반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부착부의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6의 X-X를 따른 단면도.
도 8은 부착부가 브라켓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9는 부착부가 브라켓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수평 단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의 수평 단면도.
도 11은 2개의 절반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12는 2개의 절반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2개의 절반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저부도.
도 14는 2개의 절반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는 부착부의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16는 도 15의 A-A를 따른 단면도.
도 17은 부착부가 브라켓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18은 부착부가 브라켓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수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a, Tb : 고정구 W : 와이어 하네스(부착 물품)
B : 브라켓 H : 유지 구멍
10 : 제1 절반부(제1 고정구 부품) 12 : 부착부
13 : 체결 리브 18 : 유지 부재(탄성 변형부)
19 : 유지 돌기 19a : 로킹면
20 : 융기부 23 : 고정 가압부
24 : 홀딩 부재(탄성 변형부) 26, 27 : 가동 가압부
30 : 제2 절반부(제2 고정구 부품) 31 : 실질적인 반원형부(튜브 홀딩부)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wiring harness)와 같은 부착 물품을 차량과 같은 부착 베이스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하네스와 같은 부착 물품을 차량과 같은 부착 베이스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구는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제H06-0433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고정구는 부착 물품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2개의 절반부로 구성되며, 하나의 절반부에는 부착 베이스의 판형 브라켓이 삽입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이 하나의 절 반부는 장착 구멍의 내면에 있는 양가압면 사이에 브라켓을 끼워넣음으로써 브라켓에 부착된다.
이러한 타입의 고정구에 있어서, 브라켓의 두께가 가압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보다 큰 경우에는 브라켓이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될 때 형성되는 저항이 커서 조작성이 감소되고, 이와 반대로 브라켓의 두께가 가압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보다 작은 경우에는 삽입 저항은 보다 작지만, 브라켓과 고정구가 부착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진동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에 대한 고정구의 부착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고정구와 브라켓이 서로에 대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하네스와 같은 부착 물품을 차량과 같은 부착 베이스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구가 제공되는데, 이 고정구는 부착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결합 또는 폐쇄되는 2개 이상의 고정구 부품,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절반부를 포함하며, 1개의 고정구 부품, 바람직하게는 절반부는 한쌍 이상의 가압부를 구비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적어도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부착 베이스 상에 설치된 브라켓을 끼워넣거나 클램핑하거나 배치함으로써 부 착 베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부착부는 한쌍의 가압부와, 이 한쌍의 가압부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확장하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탄성 변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가압부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탄성 변형부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의 브라켓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된다.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브라켓을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삽입 저항이 과도하게 커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탄성 변형부가 탄성 변형되어 양가압부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확장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는 부착부와 브라켓이 부착된 상태로 탄성 변형부의 탄성력에 의해 브라켓이 끼워 넣어져, 부착부와 브라켓은 서로에 대해 진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쌍의 탄성 변형부는 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탄성 변형부가 브라켓의 폭방향을 따라 하나의 위치에만 마련되는 경우, 브라켓은 지지점인, 브라켓과 탄성 변형부의 접촉 위치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탄성 변형부가 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기 때문에 브라켓이 폭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부는 브라켓에 대한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이 유지 부재가 브라켓과 맞물림 으로써 부착부가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변형부와 유지 부재는 브라켓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배치된다.
탄성 변형부와 유지 부재가 마련되는 경우,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들)으로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변형부와 유지 부재 양자가 브라켓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양자의 변형 공간이 브라켓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탄성 변형부를 위한 변형 공간과 유지 부재를 위한 변형 공간이 브라켓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부착부가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착부는, 브라켓에 대한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브라켓과 맞물림으로써 부착부가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 부재이다.
부착부가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 부재는 탄성 변형부로서의 역할도 겸하기 때문에, 유지 부재뿐만 아니라 탄성 변형부가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부착부의 구성이 보다 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브라켓에 대한 부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에는 브라켓의 유지 구멍과 맞물릴 수 있는 로킹면을 구비하는 유지 돌기가 형성되고, 이 유지 돌기가 유지 구멍과 맞물림으로써 부착부가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지 돌기에는 로킹면의 일부분을 융기시킴으로써 융기부가 형성되며, 이 융기부는 유지 돌기의 기단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는 거의 외팔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유지 부재는 브라켓과 부착부를 서로 부착하는 과정에서 브라켓에 대한 유지 돌기에 있는 돌출 단부의 간섭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기울어진다. 브라켓과 부착부가 서로 적절히 부착될 때, 유지 부재는 탄성 복원되며, 이에 따라 유지 돌기가 유지 구멍으로 진입하고, 로킹면은 유지 구멍의 엣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유지 구멍의 엣지와 대향한다.
유지 부재가 탄성 복원됨에 따라 유지 돌기는 유지 구멍에 삽입될 시에 유지 구멍의 엣지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유지 구멍의 엣지와 로킹면 사이에 작은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그 결과, 브라켓과 부착부가 서로에 대해 부착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면의 일부분을 융기시킴으로서 유지 돌기에 융기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융기부가 로킹면과 유지 구멍의 엣지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채운다. 따라서, 브라켓과 부착부가 서로에 대해 부착 방향으로 진동할 가능성이 없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융기부는, 브라켓이 전방 정지부와 접촉하고 유지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된 상태에서 로킹면과 유지 구멍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운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삽입 위치로 삽입될 때 전방 정지부와 브라켓에 있는 원위단의 엣지의 접촉에 의해 브라켓이 더 이상 삽입될 수 없도록, 전방 정지부가 마련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면도에서 거의 H형인 장착 구멍이 실질적으로 브라켓의 삽입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부착부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보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하나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예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고정구(Ta)는 와이어 하네스(W)(부착할 바람직한 물품)를 차량, 본체 구조체, 디바이스, 프레임 요소 등과 같은 부착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하네스(W)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와이어(도시하지 않음)가 파형(바람직하게는 거의 둥근 벨로우즈형) 튜브(Wa)에 의해 함께 둘러싸이고,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체결 홈(도시하지 않음)이 파형 튜브(Wa)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거의 판형 브라켓(B)은 부착 베이스로부터 기립 방향(SD)(예컨대,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돌출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굴곡부(Ba)(바람직하게는 거의 1/4 원형)가 실질적으로 브라켓(B)의 기립 방향(SD)을 따라 실질적으로 양측방 엣지에 형성된다(도 9 참조). 또한, 브라켓(B)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유지 구멍(H)이 형성되 어 있다.
고정구(Ta)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거의 관형으로 결합되어 파형 튜브(W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절반부(10) 및 제2 절반부(30)(바람직한 고정구 부품)가 하나 이상의 힌지(29)를 통해 일체형 또는 단일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직 방향에 관하여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30)가 결합되어 브라켓(B)에 부착된 상태(도 1에 도시한 상태)를 참고한다.
제1 절반부(10)(바람직한 제1 고정구 부품)는 실질적인 반원형부(11)(바람직한 튜브 홀딩부)와, 실질적으로 힌지(29) 반대측에 있는 반원형부(11)의 엣지부에 일체형 또는 단일형으로 형성된 부착부(12)를 포함한다. 파형 튜브(Wa)에 있는 각각의 체결 홈과 체결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거의 반원형인 체결 리브(13)(바람직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 리브)가 실질적인 반원형부(11)의 하측, 또는 내측에 있는 곡면[또는 파형 튜브(Wa)의 외측 형상에 거의 상응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폭방향(WD)[즉, 파형 튜브(Wa)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은 결합 상태에서 내주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부착부(12)는 전체가 수직 방향 또는 기립 방향(SD)을 따라 긴 거의 블럭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착부(12)의 저면 또는 베이스면에 위치 설정용 홈(14)이 형성되고, 부착부(12)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외측면(들)의 상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킹 부재(15)가 형성된다. 장착 구멍(16)(평면도에서 바람직하게는 거의 H형)이 부착부(12)를 거의 수직으로 관통하도록[또는 거의 기립 방향(SD) 또는 삽입 방향(ID) 을 따라 관통하도록] 부착부 내부에 형성된다. 브라켓(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래에서부터 삽입 방향(ID)으로 장착 구멍(1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정지부(17)는 바람직하게는 상측의 개구를 좁힘으로써 장착 구멍(16)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바람직하게는 장착 구멍(16)으로의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지 부재(18)(바람직하게는 거의 외팔보형)가 실질적으로 부착부(12)에 있는 장착 구멍(16)의 내벽면을 따라 또는 내벽면에 형성된다. 이 유지 부재(18)는 장착 구멍(16)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유지 부재의 상단(연장단)은 바람직하게는 외측에서 볼 수 있도록 부착부(12)의 상면에 있는 장착 구멍(16)의 개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유지 돌기(19)(바람직하게는 거의 삼각형)가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과 대향하는 유지 부재(18)의 표면에 형성된다. 유지 돌기(19)의 상면은 장착 구멍(16)으로의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에 대해 크게 경사지거나,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에 대해 수직인 로킹면(19a)으로 형성되며, 유지 돌기의 하면은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에 대해 (완만하게) 경사진 안내 경사부(19b)로 형성된다. 또한, 유지 돌기(19)에 있는 로킹면(19a)의 일부분(기단)을 융기시킴으로써 융기부(2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부착부(12)의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 반대쪽에 있는 유지 부재(18)의 측면에 변형 공간(21)이 형성되어, 유지 부재(18)가 경사지고 장착 구멍(16)으로부터 유지 돌기(19)를 후퇴시키면서 탄성 변형되어 상방으로 또는 적어 도 부분적으로 변형 공간(21) 내부로 이동된다. 유지 부재(18)가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유지 돌기(19)가 형성되는 유지 부재(18)의 표면은 장착 구멍(16)의 내벽면과 거의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지 돌기(19)는 장착 구멍(16)[브라켓(B)용 삽입 영역] 내로 돌출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유지 부재(18) 반대측에 있는 장착 구멍(16)의 내벽면에, 유지 돌기(19)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세스(22)가 형성되며, 이 리세스(22)가 형성되는 내벽면은 실질적으로 리세스(22)의 양측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이들 2개의 영역은 폭방향(WD)으로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 가압부(23)로서 기능한다. 이들 고정 가압부(23)로부터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과 대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3a)가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3a)는 장착 구멍(16)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장착 구멍(16)의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직 방향[또는 바람직하게는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과 평행한 방향]으로 거의 직선으로 연장되며, 리브의 돌출 거리는 장착 구멍(16)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더 길다. 전술한 전방 정지부는 폭방향(WD)에 대하여 고정 가압부(23)에 합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홀딩 부재(24)(바람직한 탄성 변형부)가 유지 부재(18)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 측면(들)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폭방향(WD)으로 이격되어 있다. 유지 부재(18)와 유사하게, 홀딩 부재(들)(24)는 장착 구멍(16)의 내벽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지 부재(18)를 위한 변형 공간(21)과 소통하는 변형 공간(25)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홀딩 부재(24)의 연장단(상단 또는 원위단)은 유지 부재(18)의 연장단(상단 또는 원위단) 아래에 배치되고, 홀딩 부재(24)의 기단(바람직한 탄성 변형의 지지점)은 유지 부재(18)의 기단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홀딩 부재(24)는 수직 방향으로 또는 기립 방향(SD) 또는 삽입 방향(SD)을 따라 유지 부재(18)보다 길다.
이들 한쌍의 홀딩 부재(24)는 폭방향(WD)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고정 가압부(23)를 따라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고정 가압부(들)(23)와 대향하는 홀딩 부재(들)(24)의 표면은 가동 고정부(들)(26)로서의 역할을 한다. 고정 가압부(23)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과 대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6a)가 가동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6a)는 장착 구멍(16)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의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직 방향[브라켓(B)의 삽입 방향(ID)과 평행한 방향]으로 거의 직선으로 연장되고, 이 리브의 돌출 거리는 장착 구멍(16)의 상단부[홀딩 부재(24)의 연장단]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더 길다. 홀딩 부재(24)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고정 가압부(23)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3a)와 가동 가압부(26)[유지 부재(24)]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6a)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바람직하게는 상단 영역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클리어런스의 일부분을 따라 브라켓(B)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고, 상단 영역에서는 브라켓(B)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18)와 홀딩 부재(24) 양자가 자유 상태인 경우, 홀딩 부재(24)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6a)는 유지 돌기(19)가 형성되는 유지 부재(18)의 표면보다 장착 구멍(16) 내로 더 돌출한다.
제2 절반부(30)(바람직한 제2 고정구 부품)는 실질적인 반원형부(31)(바람직한 튜브 홀딩부)와, 실질적으로 힌지(29) 반대측에 있는 실질적인 반원형부(31)의 엣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이 엣지부와 일체형 또는 단일형인 실질적인 평탄부(32)와 실질적인 반원형부(31)의 실질적으로 반대측에 있는 실질적인 평탄부(32)의 엣지부에 일체형 또는 단일형으로 형성된 리드(33; lid)를 포함한다. 결합 상태에서 내주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질적인 반원형부(31)와 실질적인 평탄부(32)의 상측 또는 내측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곡면[또는 파형 튜브(Wa)의 외측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표면(들)]에 오프셋 방식으로, 파형 튜브(Wa)의 개별 체결 홈과 체결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실질적인 반원형 체결 리브(13)(바람직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 리브)가 형성되고, 이들 체결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폭방향(WD)[즉, 파형 튜브(Wa)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리드(33)가 실질적인 평탄부(32)와 거의 동일 평면이고, 실질적인 평탄부(32)와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절반부(10)의 장착 구멍(16)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거의 H형 수용 구멍이 리드(33)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위치 설정용 돌기(35)가 리드(33)의 상면에 형성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로킹 돌기(36)가 리드(3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엣지(들)에 형성된다.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위치 설정용 돌기(35)가 위치 설정용 홈(14)과 맞물리고, 이에 따라 리드(33)가 전후 방향 및/또는 횡방 향(수평 방향)에 대해서 부착부(12)에 대해 위치 설정되며, 수용 구멍(34)이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에 합치되게 위치하도록) 장착 구멍(16)과 정렬되고, 및/또는 리드(33)가 실질적으로 부착부(12)의 저면과 면접촉하는 상태로 위치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킹 돌기(36)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킹 부재(15)와 체결됨으로써, 리드(33)와 부착부(12)가 조립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30)가 결합 상태로 로킹된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파형 튜브(Wa)는 반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예컨대, 상하 측면)의 양절반부(10, 30) 사이에 유지되거나 위치 설정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 리브(13)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 홈 각각과 체결되며, 이에 의해 고정구(Ta)가 파형 튜브(W1)에 부착되는 동시에 파형 튜브(W1)[와이어 하네스(W)]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에 부착된 고정구(Ta)는 실질적으로 기립 방향(SD) 또는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돌출하는 브라켓(B)을 장착 구멍(16)에 끼워 넣음으로써 조립된다. 조립시, 브라켓(B)은 리드(33)의 수용 구멍(34)을 통과한 후에 부착부(12)의 장착 구멍(16)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조립이 진행중일 때, 브라켓(B)의 상단은 실질적으로 유지 돌기(19)의 안내 경사부(19B)와 접촉하게 되고, 그 후 브라켓(B)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유지 부재(18)는 실질적으로 변형 공간(21)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브라켓(B)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삽입 위치[바람직하게는 브라켓(B)의 상단 엣지가 전방 정지부(17)와 접촉함으로써 브라켓(B)이 더 이상 삽입될 수 없는 위치)에 삽입될 때, 유지 부재(1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고, 유지 돌기(1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브라켓(B)의 유지 구멍(H)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유지 돌기(19)의 상향 로킹면(19a)이 유지 구멍(H)의 엣지(상부 엣지)와 대향하여 로킹면이 실질적으로 유지 구멍의 엣지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Ta)가 브라켓(B)에 대하여 상방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유지 돌기(19)가 유지 구멍(H)의 엣지와 접촉함으로써 이러한 고정구(Ta)의 상방 이동[즉, 브라켓(B)으로부터의 분리]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유지 부재(18)는 외팔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유지 부재의 자세는 자유 상태의 유지 부재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며, 유지 돌기(19)의 선단은 유지 부재(18)가 브라켓(B)을 간섭함으로써 변형 공간(21)을 향해 탄성 변형될 때 자유 상태의 유지 부재에 대하여 약간 상방으로 변위된다. 유지 부재(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거의 완전히 탄성 복원됨에 따라 유지 돌기(19)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 구멍(H)에 진입할 때, 유지 돌기(19)의 선단은 하방[유지 구멍(H)의 상부 엣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 결과, 유지 구멍(H)의 엣지(상부 엣지)가 유지 돌기(19)의 선단과 로킹면(19a)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면(19a)의 일부분(기단)을 융기시킴으로써 융기부(20)가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 및/또는 기립 방향(SD), 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이 융기부(20)는 브라켓(B)이 전방 정지부(17)와 접촉하고 유지 부재(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된 상태에서 유지 구멍(H)의 엣지와 로킹면(19a)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운다. 이에 따라, 브라켓(B)과 부착부(12)가 부착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진동할 가능성이 없다.
또한, 우선 유지 돌기(19)의 선단이 유지 구멍(H)으로 진입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유지 돌기(19)의 기단에 융기부(20)가 형성되기 때문에, 융기부(20)는 유지 돌기(19)를 유지 구멍(H)으로 삽입시키는 최종 단계 직전 또는 이 최종 단계에서만 유지 구멍(H)의 상부 엣지 또는 전방 엣지와 맞물린다. 따라서, 융기부(20)로 인해 유지 부재(18)의 탄성 복원 이동[유지 돌기(19)가 유지 구멍(H)으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되지 않는다.
브라켓(B)을 고정구(T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 구멍(16)에 진입한 브라켓(B)은 한쌍 또는 그 이상의 가압부[고정 가압부(23) 및 가동 가압부(26)] 사이에 끼워 넣어지거나 또는 클램핑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쌍의 가압부(23, 26) 중 가동 가압부(26)는 고정 가압부(23)에 대해 클리어런스를 확장하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홀딩 부재 상에 마련되며, 한쌍의 가압부(23, 26)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홀딩 부재(24)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브라켓(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 가압부(들)(23)와 가동 가압부(들)(26) 사이에 브라켓(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홀딩 부재(들)(23)는 이들 가압부(23, 26)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확장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며, 이로 인해 삽입 저항이 과도해지지 않는다. 또한, 브라켓(B)에 부착부(12)가 부착된 상태에서, 가압부(23, 26)는 홀딩 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해 이들 가압부 사이에 브라켓(B)이 끼워 넣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착부(12)와 브라켓(B)은 서로에 대해 진동하지 않는다.
홀딩 부재가 브라켓(B)의 폭방향(WD)을 따라 한 위치에만 제공되는 경우, 브라켓(B)은 지지점인 브라켓(B)과 홀딩 부재(24)의 접촉 지점에 대해 폭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나, 폭방향(WD)으로의 브라켓(B)의 기울어짐은 방지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홀딩 부재(24)가 브라켓(B)의 폭방향(WD)[0° 또는 180°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브라켓(B)의 장착 구멍(16)으로의 진입 또는 삽입 방향(ID)에 대해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B)의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유지 부재(18)가 마련되어 브라켓(B)과 체결됨으로써 부착부(12)가 브라켓(B)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홀딩 부재(24)뿐만 아니라 유지 부재(18)가 마련되는 경우, 유지 부재(18)와 홀딩 부재(24)가 브라켓(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21, 25)이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부재(18)와 홀딩 부재(24) 양자가 브라켓(B)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변형 공간(21, 25)이 브라켓(B)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홀딩 부재(24)를 위한 변형 공간과 유지 부재(18)를 위한 변형 공간이 브라켓(B)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의 부착부(12)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에 대한 부착부의 부착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브라켓과 부착부가 서로에 대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부(12)는, 탄성 변형 가능하 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가압부(26)를 구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홀딩 부재(24)(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며, 인접한 가압부 또는 대향하는 가압부(23, 26)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홀딩 부재(24)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브라켓(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된다. 가압부(23, 26) 사이에 브라켓(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홀딩 부재(24)는 가압부(23, 26)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확장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며, 이에 따라 삽입 저항이 과도해지지 않는다. 부착부(12)가 브라켓(B)에 부착된 상태에서 브라켓(B)이 홀딩 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23, 26) 사이에 끼워 넣어지거나 클램핑되거나 배치되기 때문에, 부착부(12)와 브라켓(B)이 서로에 대해 진동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고정구(Tb)는 차량, 본체 구조체, 장치, 프레임 요소 등과 같은 부착 베이스에 와이어 하네스(W)(바람직한 부착 물품)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하네스(W)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와이어(도시하지 않음)가 파형 튜브(Wa)(바람직하게는 실직적으로 라운드 또는 타원형 벨로우즈형)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께 둘러싸이고,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체결 홈(도시하지 않음)이 파형 튜브(Wa)의 외측 원주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브라켓(B)(바람직하게는 거의 판형)은 실질적으로 기립 방향(SD) 또는 부착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굴곡부(Ba)(바람직하게는 거의 1/4 원형)가 실질 적으로 브라켓(B)의 기립 방향(SD)을 따라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엣지에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B)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지 구멍(H)(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이 형성된다.
고정구(Tb)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거의 관형으로 결합되어 파형 튜브(W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절반부(10) 및 제2 절반부(30)(바람직한 고정구 부품)가 하나 이상의 힌지(29)를 통해 일체형 또는 단일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직 방향에 관하여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30)가 결합 또는 폐쇄되어, 브라켓(B)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도 10에 도시한 상태)를 참고한다.
제1 절반부(10)(바람직한 제1 고정구 부품)는 실질적인 반원형부(11)(바람직한 튜브 홀딩부)와, 실질적으로 힌지(29)의 반대측에서 실질적인 반원형부(11)의 엣지부에 일체형 또는 단일형으로 형성된 부착부(12)를 포함한다. 파형 튜브(Wa)에 있는 각각의 체결 홈과 체결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거의 반원형인 체결 리브(13)(바람직한 체결 리브)가 실질적인 반원형부(11)의 하측, 또는 내측에 있는 곡면[또는 파형 튜브(Wa)의 외측 형상에 거의 상응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폭방향(WD)[파형 튜브(Wa)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은 결합 상태에서 내주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부착부(12)는 실질적으로 전체가 수직 방향 또는 기립 방향(SD)을 따라 긴 블럭 형상이며, 부착부(12)의 저면 또는 베이스면에 위치 설정용 홈(14)이 형성되고, 부착부(12)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외측면(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킹 부재(15)가 형성된다. 장착 구 멍(16)(평면도에서 바람직하게는 거의 H형)이 부착부(12)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또는 실질적으로 기립 방향(SD)을 따라 관통하도록 부착부(12) 내부에 형성된다. 브라켓(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래에서부터 삽입 방향(ID)으로 장착 구멍(1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정지부(17)는 바람직하게는 상측의 개구를 좁힘으로써 장착 구멍(16)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상방[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으로의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지 부재(18)(바람직한 탄성 변형부)(바람직하게는 대략 외팔보형)가 부착부(12)에 있는 장착 구멍(16)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 반대측에 있는 유지 부재(18)의 일측면에 변형 공간(21)이 형성된다. 유지 부재(18)는 장착 구멍(16)의 폭방향 중앙 위치(바람직하게는 거의 폭방향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유지 부재의 상단 또는 원위단(연장단)은 바람직하게는 외측에서 볼 수 있도록 부착부(12)의 상면에 있는 장착 구멍(16)의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유지 돌기(19)(바람직하게는 대략 삼각형)가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과 대향하는 유지 부재(18)의 표면에 형성된다. 유지 돌기(19)의 상면은 장착 구멍(16)으로의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에 대해 심하게 기울어지거나 또는 이 삽입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인 로킹면(19a)으로 형성되며, 유지 돌기의 하면은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에 대해 (적당히 또는 약간) 경사진 안내 경사부(19b)로 형성된다. 또한, 유지 돌기(19)의 로킹면(19a)의 일부분(기단)을 융기시킴으로써, 융기부(20)가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 및/또는 기립 방향(SD) 및/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유지 부재(18)는 장착 구멍으로부터 유지 돌기(19)를 후퇴시키도록 경사지는 동시에 변형 공간(21)을 향해 이동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과 대향하는 유지 부재의 표면 상의 유지 돌기(19)(연장단 영역) 위에 있는 영역은 가동 가압부(27)로서의 역할을 한다. 유지 부재(18)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유지 돌기(19)는 장착 구멍(16)[브라켓(B)을 위한 삽입 영역]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유지 부재(18)의 가동 가압부(27)는 장착 구멍(16) 내로 (바람직하게는 약간) 돌출한다. 또한, 유지 돌기(19)가 형성되는 유지 부재(18)의 표면 상에 있는 유지 돌기(19)(베이스측 영역) 아래에 있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의 내벽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있다.
또한, 유지 돌기(19)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리세스(22)는 실질적으로 유지 부재(18) 반대측에 있는 장착 구멍(16)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리세스(22)가 형성되는 내벽면은 실질적으로 리세스(22)의 반대측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들 2개의 영역은 폭방향(WD)으로 이격된 한쌍의 고정 가압부(23)로서의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과 대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3a)가 이들 고정 가압부(23)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3a)는 장착 구멍(16)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장착 구멍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직 방향[실질적으로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과 평행한 방향]으로 거의 직선으 로 연장되며, 슬라이딩 접촉 리브의 돌출 거리는 장착 구멍(16)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더 길다.
유지 부재(18)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 가압부(23)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3a)와 가동 가압부(27) 사이의 클리어런스[브라켓(B)의 두께 방향으로의 클리어런스]는 브라켓(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부(12) 내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지지부(28)가 바람직하게는 폭방향(WD)으로 이격되어 유지 부재(18)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양측면) 측면(들)에 형성된다. 지지부(28)는 폭방향(WD)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고정 가압부(23)에 합치되도록 배치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정 가압부(23)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16)과 대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8a)는 실질적으로 고정 가압부(23)와 대향하는 지지부(28)의 표면에서 돌출한다. 각각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8a)는 장착 구멍(16)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장착 구멍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직 방향[실질적으로 브라켓(B)의 삽입 방향(ID)과 평행한 방향]으로 거의 직선으로 연장된다. 고정 가압부(23)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3a)와 지지부(28)의 슬라이딩 접촉 리브(28a)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브라켓(B)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제2 절반부(30)(바람직한 제2 고정구 부품)는 실질적인 반원형부(31)(바람직한 튜브 홀딩부)와, 실질적으로 힌지(29) 반대측에 있는 실질적인 반원형부(31)의 엣지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이 엣지부와 일체형 또는 단일형인 실질적인 평탄부(32), 그리고 실질적인 반원형부(31)의 거의 반대측에 있는 실질적 인 평탄부(32)의 엣지 또는 이 엣지 근처에 일체형 또는 단일형으로 형성된 리드(22)를 포함한다. 결합 상태에서 표면(들)이 내주면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실질적인 반원형부(31)와 실질적인 평탄부(32)의 상측 또는 내측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곡면[또는 파형 튜브(WA)의 외측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표면(들)]에 (바람직하게는 오프셋 방식으로) 파형 튜브(WA)의 튜브의 개별 체결 홈과 체결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실질적인 반원형 체결 리브(13)가 형성되고, 이들 체결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폭방향(WD)[즉, 파형 튜브(Wa)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리드(33)가 실질적인 평탄부(32)와 거의 동일 평면이고, 실질적인 평탄부(32)와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절반부(10)의 장착 구멍(16)과 유사한 수용 구멍(34)(바람직하게는 거의 H형)이 리드(33)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위치 설정용 돌기(35)가 리드(33)의 상면에 형성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로킹 돌기(36)가 리드(3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엣지(들)에 형성된다.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30)가 결합 또는 결속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위치 설정용 돌기(35)가 위치 설정용 홈(14)과 맞물리고, 이에 따라 리드(33)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 및/또는 횡방향(수평 방향)에 대해서 부착부(12)에 대해 위치 설정되며, 수용 구멍(34)이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에 합치하게 위치하도록) 장착 구멍(16)과 정렬되고, 및/또는 리드(33)가 실질적으로 부착부(12)의 저면과 면접촉하는 상태로 위치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킹 돌기(36)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킹 부재(15)와 체결함으로써, 리드(33)와 부착부(12)가 조립 상태로 유지된 다. 즉,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30)가 결합 또는 폐쇄 상태로 로킹된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파형 튜브(Wa)는 상하 측면의 양절반부(10, 30) 사이에 유지되고, 체결 리브(13)는 체결 홈과 체결되며, 이에 의해 고정구(Tb)가 파형 튜브(W1)[와이어 하네스(W)]에 부착되는 동시에, 파형 튜브(W1)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에 부착된 고정구(Tb)는 장착 구멍(16)에 기립 방향(SD)을 따라 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브라켓(B)을 끼워 넣음으로써 조립된다. 조립시, 브라켓(B)은 리드(33)의 수용 구멍(34)을 통과한 후에 부착부(12)의 장착 구멍(16)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조립이 진행중일 때, 브라켓(B)의 상단은 실질적으로 유지 돌기(19)의 안내 경사부(19B)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후 브라켓(B)이 삽입될 때 유지 부재(18)는 변형 공간(21)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브라켓(B)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삽입 위치[바람직하게는 브라켓(B)의 상단 엣지와 전방 정지부(17)가 접촉함으로써 브라켓(B)이 더 이상 삽입될 수 없는 위치]에 삽입될 때, 유지 부재(1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거의 완전히 탄성 복원되고, 유지 돌기(1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브라켓(B)의 유지 구멍(H)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유지 돌기(19)의 상향 로킹면(19a)이 유지 구멍(H)의 엣지(상부 엣지)와 대향하여 로킹면이 유지 구멍의 엣지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Tb)가 브라켓(B)에 대하여 상방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유지 돌기(19)가 유지 구멍(H)의 엣지와 접촉함으로써 고정구(Tb)의 상방 이동[즉, 브라켓(B)으로부터의 분리]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유지 부재(18)는 외팔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유지 부재의 자세는 자유 상태의 유지 부재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며, 유지 돌기(19)의 선단은 유지 부재(18)가 브라켓(B)을 간섭함으로써 변형 공간(21)을 향해 탄성 변형될 때 자유 상태의 유지 부재에 대하여 약간 상방으로 변위된다. 유지 부재(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유지 돌기(1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 구멍(H)에 진입할 때, 유지 돌기(19)의 선단은 하방[유지 구멍(H)의 상부 엣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 결과, 유지 구멍(H)의 엣지(상부 엣지)가 유지 돌기(19)의 선단과 로킹면(19a)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면(19a)의 일부분(기단)을 융기시킴으로써 융기부(2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 융기부(20)는 바람직하게는 브라켓(B)이 전방 정지부(17)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유지 부재(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된 상태에서 유지 구멍(H)의 엣지와 로킹면(19a)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거나 클리어런스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브라켓(B)과 부착부(12)가 조립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진동할 가능성이 없다.
또한, 우선 유지 돌기(19)의 선단이 유지 구멍(H)으로 진입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유지 돌기(19)의 기단에 융기부(20)가 형성되기 때문에, 융기부(20)는 유지 돌기(19)를 유지 구멍(H)으로 삽입시키는 최종 단계 직전 또는 이 최종 단계에서만 유지 구멍(H)의 상부 엣지와 맞물린다. 따라서, 융기부(20)로 인해 유지 부재(18)의 탄성 복원 이동[유지 돌기(19)가 유지 구멍(H)으로 진입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는다.
브라켓(B)을 고정구(Tb)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 구멍(16)에 진입한 브라켓(B)은 한쌍의 가압부[고정 가압부(23) 및 가동 가압부(26)] 사이에 끼워 넣어지거나 클램핑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쌍의 가압부(23, 27) 중 가동 가압부(27)는 고정 가압부(23)에 대해 클리어런스를 확장하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유지 부재(18) 상에 마련되며 및/또는 한쌍의 가압부(23, 27)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유지 부재(18)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브라켓(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 가압부(23)와 가동 가압부(27) 사이에 브라켓(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유지 부재(18)는 이들 가압부(23, 27)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확장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며, 이로 인해 삽입 저항이 과도해지지 않는다. 또한, 브라켓(B)에 부착된 부착부(12)에 있어서, 가압부(23, 27)는 유지 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브라켓(B)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착부(12)와 브라켓(B)은 서로에 대해 진동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부재(18)와 동일한 측면에 있는 브라켓(B)과 실질적으로 접촉 또는 대향하도록 탄성 변형되지 않는 지지부(28)가 제공되기 때문에, 브라켓(B)의 간섭에 의해 유지 부재(18)의 탄성 한계를 넘어 유지 부재(18)가 소성 변형될 가능성이 없다. 또한, 한쌍의 지지부(28)가 바람직하게는 폭방향(WD)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유지 부재(18)의 양측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브라켓(B)이 폭방향(WD)[0° 또는 180°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브라켓(B)의 장착 구멍(16)으로의 진입 또는 삽입 방향(ID)에 대해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B)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유지 부재(18)가 바람직하게는 브라켓(B)을 탄성적으로 끼워넣기 위한 탄성 변형부로서의 역할도 겸하기 때문에, 유지 부재(18)뿐만 아니라 탄성 변형부가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서 부착부(12)의 구조가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 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가압부 중 하나만이 탄성 변형부(홀딩 부재 또는 유지 부재)에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가압부 모두가 탄성 변형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한쌍의 탄성 변형부는 이들 사이에 브라켓이 끼워넣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2) 제1 실시예에서는 유지 부재와 홀딩 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부재와 홀딩 부재의 연장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3) 유지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끼워넣는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제1 실시예에 추가할 수 있다.
(4) 제1 실시예에서는 홀딩 부재가 유지 부재와 동일한 측면에서 브라켓과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홀딩 부재는 유지 부재의 반대측에서 브라켓과 접촉할 수 있다.
(5) 제1 실시예에서는 가압부가 형성된 홀딩 부재가 이격된 2개의 위치에 마련되지만, 하나의 홀딩 부재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홀딩 부재의 위치는 브라켓의 폭방향 중간 위치이거나, 브라켓의 폭방향 중간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일 수 있다.
(6) 제1 실시예에서는 가압부가 형성된 2개의 홀딩 부재가 유지 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되지만, 가압부가 없는 2개의 유지 부재가, 가압부가 형성된 하나의 홀딩 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7) 제1 실시예에서는 홀딩 부재가 장착 구멍 내로의 브라켓의 삽입 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이지만, 유지 부재의 연장 방향은 장착 구멍 내로의 브라켓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8)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융기부가 유지 돌기의 기단에 돌출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융기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9) 홀딩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끼워넣는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제2 실시예에 추가할 수 있다.
(10) 제2 실시예에서는 가압부가 형성된 유지 부재가 브라켓의 폭방향을 따라 1개의 위치에만 마련되지만, 2개 또는 그 이상의 유지 부재가 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2개의 유지 부재 양자가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11) 제2 실시예에서는 유지 부재가 장착 구멍 내로의 브라켓의 삽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이지만, 유지 부재의 연장 방향 은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 내로의 브라켓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에 대한 고정구의 부착 조작성이 향상되고, 고정구와 브라켓이 서로에 대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와이어 하네스(wiring harness) 등의 부착 물품(W)을 차량 등의 부착 베이스에 부착하는 고정구(Ta; Tb)로서,
    부착 물품(W)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2개 이상의 고정구 부품(10, 30)을 포함하며, 어느 한 고정구 부품(10)은 한쌍 이상의 가압부(23, 26)를 구비하는 부착부(1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Ta; Tb)는 상기 부착 베이스에 마련된 브라켓(B)을 상기 한쌍의 가압부(23, 26)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부착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부(12)는, 상기 한쌍의 가압부(23, 26) 사이의 간극(clearance)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한쌍 이상의 홀딩 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가압부(23, 26) 사이의 간극은, 상기 홀딩 부재(24)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며,
    상기 부착부(12)는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18)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부재(18)는 상기 브라켓(B)에 대한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브라켓(B)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부착부(12)가 상기 브라켓(B)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유지 부재(18)에는 로킹면(19a)을 구비한 유지 돌기(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면(19a)은 상기 브라켓(B)의 유지 구멍(H)과 맞물릴 수 있고 또한 상기 유지 구멍(H)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부착부(12)가 상기 브라켓(B)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유지 돌기(19)에는 상기 로킹면(19a)의 일부분을 융기시킴으로써 융기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20)는 상기 유지 돌기(19)의 기단에 형성되는 것인 고정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20)는, 상기 브라켓(B)이 전방 정지부(17)와 접촉하고 또한 상기 유지 부재(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구멍(H)과 상기 로킹면(19a) 사이의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것인 고정구.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21848A 2006-03-06 2007-03-06 고정구 KR100918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9975A JP4976708B2 (ja) 2006-03-06 2006-03-06 取付具
JPJP-P-2006-00059975 2006-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569A KR20070091569A (ko) 2007-09-11
KR100918468B1 true KR100918468B1 (ko) 2009-09-24

Family

ID=3805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848A KR100918468B1 (ko) 2006-03-06 2007-03-06 고정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1631B2 (ko)
EP (1) EP1832791B1 (ko)
JP (1) JP4976708B2 (ko)
KR (1) KR100918468B1 (ko)
CN (1) CN101033766B (ko)
DE (1) DE60200701413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6708B2 (ja) * 2006-03-06 2012-07-18 住友電装株式会社 取付具
US20080221469A1 (en) * 2007-03-08 2008-09-11 George John Shevchuk Fitting and fluid-conveying device connected thereto
DE202008004596U1 (de) * 2008-04-02 2009-08-1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Markierungsvorrichtung
DE102008032247B4 (de) * 2008-07-01 2012-03-29 Newfrey Llc Befestigungseinrichtung
JP5107283B2 (ja) * 2009-03-02 2012-12-26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DE112010002322T5 (de) * 2009-07-07 2012-06-21 Illinois Tool Works Inc. Selbst zentrierendes Klebeband
JP5729225B2 (ja) * 2011-09-08 2015-06-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クランプ
US8973880B2 (en) 2012-01-30 2015-03-10 Polaris Industries Inc. Clamp
US9022438B2 (en) * 2012-09-14 2015-05-05 Honda Motor Co., Ltd. Cap assembly for vehicle
US8714591B1 (en) 2013-02-06 2014-05-06 Honda Motor Co., Ltd. Vehicles, net assemblies, and clampers therefor
JP6131912B2 (ja) * 2014-05-30 2017-05-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ハーネスクランプ
US9653901B2 (en) * 2014-10-22 2017-05-16 Daiwa Kasei Industry Co., Ltd. Holding component for vehicle
EP3015317B1 (de) * 2014-10-30 2018-12-05 Nexans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s langgestreckten Gegenstands in einem Kraftfahrzeug
US10119631B2 (en) * 2016-02-05 2018-11-06 Hellermanntyton Corporation Adjustable p-clamp
US10903632B2 (en) 2016-02-05 2021-01-26 Hellermanntyton Corporation Adjustable P-clamp with multiple mounting options
JP6680033B2 (ja) * 2016-03-25 2020-04-15 ヤマハ株式会社 回動機構および鍵盤装置
WO2017178398A1 (en) * 2016-04-13 2017-10-19 Abb Limited Conduit clip and conduit clip arrangement with a conduit clip and a conduit
JP6780990B2 (ja) * 2016-09-15 2020-11-04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ブラケット組付け構造
JP6963410B2 (ja) * 2017-05-19 2021-11-10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ハンドル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876A (en) * 1993-11-19 1995-02-21 Sumitomo Denso Kabushiki Kaisha Holder for fixing wiring harness and the like to automobile body
JPH1113942A (ja) * 1997-06-30 1999-01-22 Piolax Inc 防振クランプ
KR20030000701A (ko) * 2001-06-26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선 결속용 스트랩 구조
JP2004166403A (ja) 2002-11-13 2004-06-10 Toyota Motor Corp 配線係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106A (en) * 1909-06-03 1910-01-04 Nathan W Moodey Collar for shafting.
US2884214A (en) * 1955-05-17 1959-04-28 Colson Ets Ring clips and clamps produced by moulding
US3429985A (en) * 1967-11-14 1969-02-25 Robroy Ind Adjustable clamp for elongated articles
CH598528A5 (ko) * 1976-03-15 1978-04-28 Egli Fischer & Co
DE2724903A1 (de) * 1977-06-02 1978-12-07 Zeller Plastik Koehn Graebner Haltevorrichtung
US4470622A (en) * 1978-02-06 1984-09-11 Thyssen-Bornemisza Inc. Flexible conduit system
US4405161A (en) * 1981-06-09 1983-09-20 A. Steven Young Wellhead security apparatus
US4372593A (en) * 1981-06-17 1983-02-08 Kesselman David A Tamper indicator
DE3126488C2 (de) * 1981-07-04 1983-04-21 Fa. A. Raymond, 7850 Lörrach Rohrschelle
US4471982A (en) * 1982-03-22 1984-09-18 Nielsen Jr Anker J Tamper indicating cover for a gas meter
US4624432A (en) * 1983-06-29 1986-11-25 Super Glue Corporation Heavy duty clamping system
US4623102A (en) * 1983-12-14 1986-11-18 Apple Adhesives, Inc. Article clamp
US4564163A (en) * 1984-06-04 1986-01-14 Trw United-Carr Limited Retaining clip
US4653716A (en) * 1984-07-05 1987-03-31 Sakaguchi Plastic Industrial Co., Ltd. Synthetic resin holder
JPH054297Y2 (ko) * 1985-02-07 1993-02-02
DE8622078U1 (de) * 1986-08-16 1986-11-13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6348 Herborn Lösbare Klemmschelle für Schläuche od.dgl.
JPH0519605Y2 (ko) * 1986-09-10 1993-05-24
USD307541S (en) * 1988-01-12 1990-05-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bined clip and mounting stud
FR2642814B1 (fr) * 1989-02-08 1991-05-10 Labinal Bague de fermeture de gaines annelees
USD323106S (en) * 1989-11-27 1992-01-14 Creative Engineering Inc. Conduit support
DE4123430C1 (ko) * 1991-07-15 1992-06-17 Trw United-Carr Gmbh & Co Kg, 6753 Enkenbach-Alsenborn, De
US5230489A (en) * 1992-08-03 1993-07-27 Panduit Corp. Wire retention clip
DE4225742A1 (de) * 1992-08-04 1994-02-10 United Carr Gmbh Trw Halteelement
US5385373A (en) * 1993-03-22 1995-01-31 Cummins Engine Company, Inc. Tamper-evident, self-locking cover for mechanical connections and related objects
JPH0684729U (ja) * 1993-05-13 1994-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ブラケット差し込み式のロック装置
US5494245A (en) * 1994-05-04 1996-02-27 Yazaki Corporation Wiring harness retainer clip
US5572776A (en) * 1994-12-12 1996-11-12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Fastener employing a Bi-stable mechanism
US5590859A (en) * 1995-01-23 1997-01-07 Lord; Paul J. Ratcheting pipe hanger assembly
US5681126A (en) * 1996-02-27 1997-10-28 Lin; Hsia-Sen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US5820048A (en) * 1996-04-09 1998-10-13 Illinois Tool Works Inc. Side latching hinge mechanism
US5775653A (en) * 1996-05-30 1998-07-07 Chrysler Corporation Clamp device for attaching and positively orienting a vehicular component to a tubular member
USD386670S (en) * 1996-07-19 1997-11-25 Speciality Holdings Limited Support device for elongate members
IT1288727B1 (it) * 1996-10-04 1998-09-24 Itw Fastex Italia Spa Rondella distanziale
US6186454B1 (en) * 1996-12-31 2001-02-13 Dane R. Olsen Aesthetically-pleasing, post-mounted sign holder
JP3290917B2 (ja) * 1997-04-03 2002-06-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保持構造
US5873144A (en) * 1997-04-18 1999-02-23 Innovative Research Labs, Inc. Protective roll guard for clearing obstacles from caster wheels
JPH1113941A (ja) * 1997-06-19 1999-01-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ブラケット係止用のクランプ
US6164604A (en) * 1998-02-03 2000-12-26 Oatey Co. Pipe clamps
JPH11266517A (ja) * 1998-03-17 1999-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US6079674A (en) * 1998-04-08 2000-06-27 Snyder; Darryl L. Suspension clamp having flexible retaining arm
USD420569S (en) * 1998-06-18 2000-02-15 Donald Evans Attachment clip
JP2000245032A (ja) * 1999-02-24 2000-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部品のロック構造及び電気接続箱
USD448657S1 (en) * 1999-12-15 2001-10-02 Walkern Victoria Industries Limited Pipe hanger clamp
NL1015823C2 (nl) * 2000-07-27 2002-01-29 Clicquick A G Haaksluiting en pijpbeugel voorzien van een dergelijke haaksluiting.
JP3695354B2 (ja) * 2001-06-08 2005-09-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クランプ
US6809257B2 (en) * 2001-06-22 2004-10-26 Newfrey Llc Capped clip for pipe, electric cable or the like
US6682025B2 (en) * 2001-12-26 2004-01-27 Thomas M. Turner Pipe support
US6604725B1 (en) * 2002-01-24 2003-08-12 Robert Bosch Corporation Device for securing a hydraulic modulator to a vehicle
US6899304B2 (en) * 2002-04-11 2005-05-31 Ligon Brothers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a fastener
JP2004056968A (ja) * 2002-07-23 2004-02-1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のカバーのガタつき防止構造
JP4025710B2 (ja) * 2003-10-31 2007-12-2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ケーブルの取付構造
US7114686B2 (en) * 2004-02-27 2006-10-03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Locking clip
US6978973B1 (en) * 2005-01-04 2005-12-27 Arlington Industries, Inc. Pipe or cable clamp
JP4976708B2 (ja) * 2006-03-06 2012-07-18 住友電装株式会社 取付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876A (en) * 1993-11-19 1995-02-21 Sumitomo Denso Kabushiki Kaisha Holder for fixing wiring harness and the like to automobile body
JPH1113942A (ja) * 1997-06-30 1999-01-22 Piolax Inc 防振クランプ
KR20030000701A (ko) * 2001-06-26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선 결속용 스트랩 구조
JP2004166403A (ja) 2002-11-13 2004-06-10 Toyota Motor Corp 配線係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569A (ko) 2007-09-11
JP4976708B2 (ja) 2012-07-18
DE602007014135D1 (de) 2011-06-09
JP2007244037A (ja) 2007-09-20
CN101033766A (zh) 2007-09-12
US20070215758A1 (en) 2007-09-20
CN101033766B (zh) 2014-09-17
US7661631B2 (en) 2010-02-16
EP1832791A1 (en) 2007-09-12
EP1832791B1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468B1 (ko) 고정구
US6481682B2 (en) Plate member mounting structure
EP1783005B1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JP3682698B2 (ja) 棒状体ホルダー
US20120284974A1 (en) Engaging clip
CN104235125A (zh) 卡子
JPH0828519A (ja) クリップ
US10131291B2 (en) Assembly-type vehicle component
JP5107283B2 (ja) クリップ
US12017536B2 (en) Assembly part for connecting a dashboard to a body part of a vehicle
JP2007043803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5616776B2 (ja) 竪樋支持具
US7008242B2 (en) Conductive clip
CN109555763B (zh) 夹具安装座
JP5085427B2 (ja) クリップ
JPH11287221A (ja) クリップ
JP5138450B2 (ja) 二部材組み付け構造
CN107084177B (zh) 紧固件及部件安装构造
JP3983352B2 (ja) フレ止め装置付金属製角型柱
US11498467B2 (en) Fastening assembly
CN107199952B (zh) 固定构造
JP4071540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19041479A (ja) 配線・配管材保持台座及び配線・配管材保持装置
KR20100017061A (ko)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