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806B1 -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806B1
KR100894806B1 KR1020077019823A KR20077019823A KR100894806B1 KR 100894806 B1 KR100894806 B1 KR 100894806B1 KR 1020077019823 A KR1020077019823 A KR 1020077019823A KR 20077019823 A KR20077019823 A KR 20077019823A KR 100894806 B1 KR100894806 B1 KR 10089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uperconducting
superconducting thin
film materia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0398A (ko
Inventor
슈지 하하쿠라
가즈야 오마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재단법인 국제 초전도 산업기술연구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재단법인 국제 초전도 산업기술연구 센터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26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copper oxide
    • H10N60/0296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 H10N60/0521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by pulsed laser deposition, e.g. laser sputte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20Permanent 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203Permanent superconducting devices comprising high-Tc ceram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이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1a) 및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1a)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제 2 초전도 박막(1b)을 포함하는 초전도 박막 재료(1)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2), 기판(2) 상에 형성된 중간층(3), 및 중간층(3) 상에 형성된 초전도층(4)을 포함하고, 초전도층(4)은 상기한 초전도 박막 재료(1)로 이루어지는 초전도 선재(10)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초전도 박막 재료(1)의 제조 방법 및 초전도 선재(10)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SUPERCONDUCTING THIN FILM MATERIAL, SUPERCONDUCTING WIRE ROD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SUPERCONDUCTING THIN FILM MATERIAL AND SUPERCONDUCTING WIRE ROD}
본 발명은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막화(厚膜化)에 따른 임계 전류의 증가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온 초전도체의 발견 이래, 케이블, 한류기(限流器) 또는 마그네트 등의 전력 기기에의 응용을 목표로 한 초전도 선재의 개발이 세계의 연구 기관에서 정력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초전도 선재로서는, 기판 상에 직접, 초전도 박막을 형성한 초전도 선재(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4-31604호(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4-68727호(특허 문헌 2)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4-68728호(특허 문헌 3) 참조)나, 기판 상에 중간층을 거쳐 초전도 박막을 형성한 초전도 선재(예컨대, 후지노 외 6명, 「ISD법에 의한 고온 초전도 선재의 개발」, SEI 테크니컬 리뷰, 1999년 9월, 제155 호, p.131-135(비특허 문헌 1)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초전도 선재의 제조에 있어서는, 높은 임계 전류를 얻기 위해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연마 처리를 실시한 후에 기판의 표면 상에 초전도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내지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4-31604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4-68727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4-68728호
비특허 문헌 1: 후지노 외 6명, 「ISD법에 의한 고온 초전도 선재의 개발」, SEI 테크니컬 리뷰, 1999년 9월, 제155호, p.131-135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초전도 박막에 있어서 높은 임계 전류를 얻기 위해서는 초전도 박막 표면의 평활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는데, 초전도 박막의 막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서 초전도 박막 표면의 평활성은 악화된다.
따라서, 높은 임계 전류를 얻기 위해 초전도 박막의 후막화를 진행시킨 경우라도 막 두께의 증가에 따른 임계 전류의 증가가 서서히 둔화되어, 높은 임계 전류를 얻을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막화에 따른 임계 전류의 증가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 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표면이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 및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제 2 초전도 박막을 포함하는 초전도 박막 재료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에 있어서, 평활화 처리는, 기계적 연마 및 화학적 연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된 중간층, 및 중간층 상에 형성된 초전도층을 포함하고, 초전도층은 상기한 초전도 박막 재료로 이루어지는 초전도 선재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에 있어서, 기판은 금속 단체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에 있어서, 중간층은 암염형, 형석형,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형 또는 파이로클로어(pyrochlore)형의 결정 구조를 갖는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에 있어서, 초전도층은 RE-123 초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을 평활화 처리하는 공정, 및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 제 2 초전도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초전도 박막 재료의 제조 방법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평활화 처리는, 기계적 연마 및 화학적 연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에 기재된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판 상에 중간층을 형성하는 공정, 중간층 상에 제 1 초전도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을 평활화 처리하는 공정, 및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 제 2 초전도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후막화에 따른 임계 전류의 증가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의 바람직한 일례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례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바람직한 일례의 일부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례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초전도 박막 재료 1a: 제 1 초전도 박막
1b: 제 2 초전도 박막 2: 기판
3: 중간층 4: 초전도층
5: 타겟 6: KrF 엑시머 레이저광
7: 플라즈마 10: 초전도 선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표면이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 및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제 2 초전도 박막을 포함하는 초전도 박막 재료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예컨대 펄스 레이저 증착법에 의한 형성 시간을 길게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후막의 초전도 박막 재료를 한번에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평활성이 나쁜 표면 상에 초전도 박막이 계속해서 형성되어 가기 때문에, 초전도 박막 재료를 후막으로 함에 따라 표면의 평활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초전도 박막 재료의 후막화에 있어서 모든 초전도 박막 재료를 한번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초전도 박막 재료의 형성 도중에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에 대하여 평활화 처리를 하고, 평활화된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에 제 2 초전도 박막을 이어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한 초전도 박막 재료를 얻을 수 있고, 후막화에 따른 임계 전류의 증가량이 둔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임계 전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2 초전도 박막의 표면이 평활화 처리된 후에 새로운 제 3 초전도 박막이 더 형성되어도 좋고, 이러한 초전도 박막 표면의 평활화 처리와 평활화 처리된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의 새로운 초전도 박막의 형성이 반복되어도 좋다.
도 1에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의 바람직한 일례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1)는 기판(2)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초전도 박막(1a)과 제 2 초전도막(1b)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1)를 구성하는 재질(제 1 초전도 박막(1a) 및 제 2 초전도막(1b)을 구성하는 재질)은 초전도의 성질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RE-123 초전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RE-123 초전도체란, REBa2Cu3Ox(x는 6 내지 7이고, RE는, 홀뮴, 가돌리늄 또는 사마륨 등의 희토류 원소, 또는 이트륨을 나타냄)의 식으로 표시되는 초전도체를 의미한다. 또한, 기판(2)을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예컨대 니켈 단체나 니켈 합금 등의 금속 단체 또는 합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례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우선, S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의 표면 상에 제 1 초전도 박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초전도 박막은, 예컨대 펄스 레이저 증착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을 평활화 처리한다. 여기서, 평활화 처리는, 예컨대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법, 습식 에칭법 또는 기계 연마법 등의, 기계적 연마 및 화학적 연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평활화 처리는, 제 1 초전도 박막 표면의 표면 거칠기 Ra(JIS B0601)가 10㎚ 이하로 될 때까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6㎚ 이하로 될 때까지 행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S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 제 2 초전도 박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초전도 박막은 제 1 초전도 박막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펄스 레이저 증착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그리고, S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가 제조된다. 또한, 전술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 2 초전도 박막의 표면이 평활화 처리되고, 평활화 처리된 후의 제 2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 새로운 제 3 초전도 박막이 더 형성되어도 좋고, 이러한 초전도 박막 표면의 평활화 처리와 평활화 처리된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의 새로운 초전도 박막의 형성이 반복되어도 좋다.
도 3에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바람직한 일례의 일부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10)는, 기판(2), 기판(2) 상에 형성된 중간층(3), 및 중간층(3) 상에 형성된 초전도층(4)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10)는, 초전도층(4)으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이 초전도층(4)은 후막화하더라도 표면이 평활하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10)에 있어서도 초전도층(4)의 후막화에 따른 임계 전류의 증가량을 둔화시키는 일 없이 높은 임계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판(2)을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니켈 단체나 니켈 합금 등의 금속 단체 또는 합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3)을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예컨대 암염형, 형석형, 페로브스카이트형 또는 파이로클로어형 중 어느 하나의 결정 구조를 갖는 산화물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결정 구조를 갖는 산화물로서는, 예컨대 YSZ(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또는 CeO2(이산화세륨) 등의 희토류 원소의 산화물, BZO(BaZrO3), STO(SrTiO3), Al2O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간층(3)은 단층뿐만 아니라, 재질이 서로 다른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에 있어서는, 초전도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초전도층을 피복하는, 예컨대 은(銀)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도 4에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례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우선, S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의 표면 상에 중간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중간층은, 예컨대 펄스 레이저 증착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S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층의 표면 상에 제 1 초전도 박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초전도 박막은, 예컨대 펄스 레이저 증착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S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층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을 평활화 처리한다. 평활화 처리는, 예컨대 전술한 CMP법, 습식 에칭법 또는 기계 연마법 등의, 기계적 연마 및 화학적 연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도, 평활화 처리는, 제 1 초전도 박막 표면의 표면 거칠기 Ra(JIS B0601)가 10㎚ 이하로 될 때까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6㎚ 이하로 될 때까지 행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S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활화 처리된 후의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 제 2 초전도 박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초전도 박막은 제 1 초전도 박막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펄스 레이저 증착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S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층의 표면 상에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가 제조된다. 또한, 전술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 2 초전도 박막의 표면이 평활화 처리된 후에 새로운 제 3 초전도 박막이 더 형성되어도 좋고, 이러한 초전도 박막 표면의 평활화 처리와 평활화 처리된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의 새로운 초전도 박막의 형성이 반복되어도 좋다.
(실시예 1)
우선, 도 5의 모식적 단면도에 나타내는 장치 내에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 는 기판(2)을 설치하고, 이 기판(2)의 아래쪽에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지는 타겟(5)을 더 설치하였다. 여기서, 기판(2)의 표면과 타겟(5)의 표면이 서로 마주 향하도록 이들의 표면을 평행이 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리고, 기판(2)의 표면과 타겟(5)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50㎜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는, 산화지르코늄(ZrO2)에 대하여 산화지르코늄의 8질량%의 이트리아(Y2O3)가 첨가된 것이었다.
다음으로, 이 장치 내를 진공 흡인한 후에, 90체적%의 아르곤(Ar)과 10체적%의 산소(O2)로 이루어지는 혼합 가스를 이 장치 내에 도입하여, 장치 내의 압력을 1×107토르(torr)로 하였다.
이어서, 기판(2)을 가열하여 기판(2)의 온도를 700℃로 한 후에, 타겟(5)의 표면에 파장이 248㎚이고, 에너지 조도가 3.5J/㎠인 KrF 엑시머 레이저광(6)을 40㎐의 반복 주파수로 펄스 형상으로 조사하였다. 이에 따라, 타겟(5)의 플라즈마(7)가 생성되어, 기판(2)의 표면 상에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1㎛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타겟(5)의 재질을 HoBa2Cu3Ox(RE-123 초전도체)로 변경하고, 이 장치 내를 재차 진공 흡인한 후, 100체적%의 산소로 이루어지는 가스를 이 장치 내에 도입하여 장치 내의 압력을 2×108토르로 하였다.
그리고, 기판(2)의 온도를 650℃로 한 후에, 타겟(5)의 표면에 파장이 248㎚ 이고 에너지 조도가 3.5J/㎠인 KrF 엑시머 레이저광(6)을 80㎐의 반복 주파수로 펄스 형상으로 조사하였다. 이에 따라, 타겟(5)의 플라즈마(7)가 생성되어, 중간층의 표면 상에 RE-123 초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초전도 박막을 1㎛의 막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초전도 선재를 시료 A라고 하고, 이 시료 A의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거칠기 Ra를 원자간력 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e)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또한 임계 전류값 Ic를 4단자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A의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거칠기 Ra는 55㎚이고, 임계 전류값 Ic는 110A/㎝폭이었다.
이 시료 A의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을 CMP법을 이용하여 0.1㎛의 두께를 연마 제거함으로써 평활화 처리하였다(즉, 연마 제거 후의 제 1 초전도 박막의 막 두께는 0.9㎛로 되었다). 이 평활화 처리 후의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거칠기 Ra를 AFM을 이용하여 측정한 바, 그 표면 거칠기 Ra는 6㎚였다.
그리고, 상기한 평활화 처리 후의 시료 A를 도 5에 나타내는 장치 내의 기판(2)의 위치에 설치하고, 평활화 처리된 시료 A의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 상에 상기 시료 A의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초전도 박막의 형성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RE-123 초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초전도 박막을 1㎛의 막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중간층 상에 제 1 초전도 박막 및 제 2 초전도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초전도층을 형성하였다(초전도층의 두께는 1.9㎛로 되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초전도 선재를 시료 B라고 하고, 이 시료 B의 초전도층 의 표면 거칠기 Ra를 시료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AFM을 이용해 측정하고, 임계 전류값 Ic를 4단자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B의 표면 거칠기 Ra는 6㎚이고, 임계 전류값 Ic는 200A/㎝폭이었다.
(비교예 1)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상에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과 이산화세륨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이 이 순서로 기판측에서부터 형성되어 있는 기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산화세륨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의 표면 상에 RE-123 초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초전도 박막을 2㎛의 막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초전도 선재를 시료 C라고 하고, 이 시료 C의 초전도 박막의 표면 거칠기 Ra를 시료 A 및 시료 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AFM을 이용해 측정하고, 임계 전류값 Ic를 4단자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C의 표면 거칠기 Ra는 80㎚이고, 임계 전류값 Ic는 140A/㎝폭이었다.
Figure 112007063283733-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활화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시료 A와 시료 C를 비교하면, 초전도 박막의 막 두께가 큰 시료 C 쪽이 임계 전류값 Ic가 커져 있었다. 그러나, CMP법에 의해 제 1 초전도 박막의 표면이 평활화 처리된 후에 제 2 초전도 박막이 형성된 시료 B는 시료 C와 막 두께가 거의 다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시료 C보다도 임계 전류값 Ic가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초전도층의 후막화에 따른 임계 전류의 증가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금번 개시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개시되며,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의 초전도 박막 재료 및 초전도 선재는, 케이블, 한류기 또는 마그네트 등의 전력 기기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Claims (9)

  1. 표면 거칠기 Ra(JIS B0601)가 6nm 이하로 되도록 표면이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1a), 및
    상기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1a)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제 2 초전도 박막(1b)
    을 포함하는 초전도 박막 재료(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화 처리는, 기계적 연마 및 화학적 연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박막 재료(1).
  3. 기판(2),
    상기 기판(2) 상에 형성된 중간층(3), 및
    상기 중간층(3) 상에 형성된 초전도층(4)을 포함하고,
    상기 초전도층(4)은 제 1 항에 기재된 초전도 박막 재료(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은 금속 단체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1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3)은 암염형, 형석형, 페로브스카이트형 또는 파이로클로어형의 결정 구조를 갖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10).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층(4)은 RE-123 초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10).
  7. 표면 거칠기 Ra(JIS B0601)가 6nm 이하로 되도록 제 1 초전도 박막(1a)의 표면을 평활화 처리하는 공정, 및
    상기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1a)의 표면 상에 제 2 초전도 박막(1b)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초전도 박막 재료(1)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화 처리는, 기계적 연마 및 화학적 연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박막 재료(1)의 제조 방법.
  9. 제 3 항에 기재된 초전도 선재(1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2) 상에 상기 중간층(3)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중간층(3) 상에 제 1 초전도 박막(1a)을 형성하는 공정,
    표면 거칠기 Ra(JIS B0601)가 6nm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제 1 초전도 박막(1a)의 표면을 평활화 처리하는 공정, 및
    상기 평활화 처리된 제 1 초전도 박막(1a)의 표면 상에 제 2 초전도 박막(1b)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초전도 선재(10)의 제조 방법.
KR1020077019823A 2005-02-03 2006-01-26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0894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7681 2005-02-03
JP2005027681A JP2006216365A (ja) 2005-02-03 2005-02-03 超電導薄膜材料、超電導線材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510A Division KR100979015B1 (ko) 2005-02-03 2006-01-26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398A KR20070100398A (ko) 2007-10-10
KR100894806B1 true KR100894806B1 (ko) 2009-04-24

Family

ID=367771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823A KR100894806B1 (ko) 2005-02-03 2006-01-26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0097000510A KR100979015B1 (ko) 2005-02-03 2006-01-26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510A KR100979015B1 (ko) 2005-02-03 2006-01-26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160169A1 (ko)
EP (1) EP1852877A4 (ko)
JP (1) JP2006216365A (ko)
KR (2) KR100894806B1 (ko)
CN (1) CN101111906B (ko)
CA (1) CA2596546A1 (ko)
NO (1) NO20074426L (ko)
RU (1) RU2338280C1 (ko)
TW (1) TW200637043A (ko)
WO (1) WO2006082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1561B2 (ja) * 2008-08-20 2014-02-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酸化物超電導薄膜の製造方法
EP2302710B1 (en) * 2008-11-29 2013-01-16 Alstom Technology Ltd. Fault current limiter with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elements, at least one of which with an electric contact between its superconducting film and its electrically conducting substrate
KR101455142B1 (ko) * 2010-03-31 2014-10-27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내식성이 우수한 피복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피복 물품
JP2012169062A (ja) * 2011-02-10 2012-09-06 Sumitomo Electric Ind Ltd 酸化物超電導膜の製造方法
JP2012204190A (ja) * 2011-03-25 2012-10-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酸化物超電導薄膜
JP5838596B2 (ja) 2011-05-30 2016-01-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薄膜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58145B (zh) * 2011-12-20 2014-10-21 Ind Tech Res Inst 超導材料的接合方法
RU2477900C1 (ru) * 2012-03-01 2013-03-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общей физики им. А.М. Прохор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ого сверхпроводника
JP5701281B2 (ja) * 2012-12-18 2015-04-15 株式会社フジクラ 酸化物超電導線材
US10158061B2 (en) * 2013-11-12 2018-12-18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Integrated super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9947441B2 (en) 2013-11-12 2018-04-17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Integrated super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563B2 (ja) * 1989-05-29 1998-10-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酸化物超電導膜の製造方法
JP2004349481A (ja) * 2003-05-22 2004-12-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チタン酸ストロンチウム薄膜積層体及びそ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8466B1 (en) * 1990-09-27 1995-11-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 superconduct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4275906A (ja) * 1991-03-01 1992-10-01 Sumitomo Electric Ind Ltd 超電導薄膜の作製方法
JPH05250931A (ja) * 1992-03-02 1993-09-28 Fujikura Ltd 酸化物超電導導体
JP2829221B2 (ja) * 1993-06-30 1998-11-25 財団法人国際超電導産業技術研究センター 熱プラズマ蒸発法による金属基板上への酸化物の成膜方法
JPH07169343A (ja) * 1993-10-21 1995-07-04 Sumitomo Electric Ind Ltd 超電導ケーブル導体
JPH09306256A (ja) * 1996-05-14 1997-11-28 Kokusai Chodendo Sangyo Gijutsu Kenkyu Center バルク酸化物超電導体ならびにその線材及び板の作製方法
US6251835B1 (en) * 1997-05-08 2001-06-26 Epion Corporation Surface planarization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s
US6541136B1 (en) * 1998-09-14 2003-04-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perconducting structure
EP1126971A2 (en) * 1998-09-14 2001-08-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perconducting structure including mixed rare earth barium-copper compositions
US6765151B2 (en) * 1999-07-23 2004-07-20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Enhanced high temperature coated superconductors
KR100683186B1 (ko) * 1999-07-23 2007-02-15 아메리칸 수퍼컨덕터 코포레이션 다층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US6613463B1 (en) * 1999-09-06 2003-09-02 International Superconductivity Technology Center Superconducting laminated oxide substrate and superconducting integrated circuit
US20030036483A1 (en) * 2000-12-06 2003-02-20 Arendt Paul N.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thick films
JP2003347610A (ja) * 2002-05-28 2003-12-05 Nec Corp 酸化物超電導薄膜の熱処理方法
US7642222B1 (en) * 2004-11-30 2010-01-05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s within a magnetic fiel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563B2 (ja) * 1989-05-29 1998-10-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酸化物超電導膜の製造方法
JP2004349481A (ja) * 2003-05-22 2004-12-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チタン酸ストロンチウム薄膜積層体及びそ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2877A4 (en) 2011-03-02
CA2596546A1 (en) 2006-08-10
US20100160169A1 (en) 2010-06-24
RU2338280C1 (ru) 2008-11-10
NO20074426L (no) 2007-08-30
EP1852877A1 (en) 2007-11-07
TW200637043A (en) 2006-10-16
WO2006082747A1 (ja) 2006-08-10
KR100979015B1 (ko) 2010-08-30
CN101111906B (zh) 2013-03-13
CN101111906A (zh) 2008-01-23
JP2006216365A (ja) 2006-08-17
KR20070100398A (ko) 2007-10-10
KR20090009337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806B1 (ko) 초전도 박막 재료, 초전도 선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110936B1 (ko) 초전도 박막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3186B1 (ko) 다층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00216646A1 (en) Method of patterning oxide superconducting films
US20120040100A1 (en) Solution deposition planarization method
JP2009035469A (ja) 制御された電気抵抗率を備えた耐プラズマ性セラミック
RU2395860C1 (ru)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й тонкопленоч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1289999B1 (ko) 초전도 박막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초전도 기기
KR101056227B1 (ko) 초전도체 및 그 제조방법
CN102598155A (zh) 超导线材用的带状基材及超导线材
JP5498019B2 (ja) 超伝導性の物品
US9306147B2 (en) Method of producing substrate and superconducting wire
WO2007094147A1 (ja) 超電導薄膜材料の製造方法、超電導機器、および超電導薄膜材料
JP5690524B2 (ja) Re系酸化物超電導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76209A (ja) 多芯薄膜超伝導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23433A (ja) Re123超電導薄膜線材の製造方法およびre123超電導薄膜線材
WO2013153651A1 (ja) 酸化物超電導薄膜線材とその製造方法
JP2005001935A (ja) 酸化物薄膜の製造方法
JP5688804B2 (ja) 酸化物超電導薄膜層形成用の中間層、酸化物超電導薄膜層および酸化物超電導薄膜線材
JP3017886B2 (ja) 酸化物超電導膜の製造方法
CN108140457A (zh) 氧化物超导线材
EP1557486A1 (en) Single crystal base thin film
JP2012113860A (ja) 酸化物超電導薄膜線材とその製造方法
KR20060036455A (ko) 산화물 초전도 선재의 제조방법
Sathyamurthy Application of solution deposition techniques to coated conductor fabr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