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192B1 - 바닥재용 화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용 화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192B1
KR100889192B1 KR1020070031340A KR20070031340A KR100889192B1 KR 100889192 B1 KR100889192 B1 KR 100889192B1 KR 1020070031340 A KR1020070031340 A KR 1020070031340A KR 20070031340 A KR20070031340 A KR 20070031340A KR 100889192 B1 KR100889192 B1 KR 10088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layer
resin
synthetic resin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700A (ko
Inventor
히로아끼 나까야마
야스히로 마쯔까와
도시나루 가야하라
겐 기무라
유까 스즈끼
히로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6Wood, e.g. woodboard, fibreboard, wood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활성 및 패임 손상 내성이 우수한 바닥재용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 수지층, 기재 시트, 도안 무늬층,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층을, 합성 수지층이 목질 기재와 접촉하도록 목질 기재 상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1) JIS K6734에 준거하는,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하이고,
(2) JIS K6734에 준거하는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상인
바닥재용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바닥재용 화장재, 합성 수지층, 목질 기재

Description

바닥재용 화장재 {MATERIALS FOR DECORATING FLOOR}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바닥재용 화장재의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2는 JIS K6734 "플라스틱-경질 폴리염화비닐 시트- 치수 및 특성- 제2부: 두께 1 mm 미만의 시트"의 규정에 따라서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는 경우의 측정 대상이 되는 시험 샘플의 상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투명성 표면 보호층
2: 투명성 수지층
3: 투명성 접착제층
4: 도안 무늬층
5: 기재 시트
6: 접착제층
7: 합성 수지층
8: 프라이머층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19343호
본 발명은 바닥재용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지제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구성 재료로서 폴리염화비닐 수지 시트가 다용되고 있다. 폴리염화비닐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가소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특허 문헌 1).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소제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폴리염화비닐 수지 시트 경도(경질 내지 연질)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엠보싱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소각시에 유해한 흑연, 염소계 가스를 방출할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대신에 소각시에 염소계 가스를 방출하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바닥재용 화장재에는 주로 평활성 및 패임 손상 내성이 요구된다.
바닥재용 화장재의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종래부터 경도가 높은 화장층이 이용된다.
그러나 경도가 높은 화장층은, 예를 들면 충격을 받음으로써, 금이 가거나 움푹 패이기 쉽고, 즉 패임 손상 내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평활성 및 패임 손상 내성이 우수한 바닥재용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화장층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바닥재용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JIS란, 일본 공업 규격을 말한다.
[1] 합성 수지층, 기재 시트, 도안 무늬층,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층을, 합성 수지층이 목질 기재와 접촉하도록 목질 기재 상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1) JIS K6734에 준거하는,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하이고,
(2) JIS K6734에 준거하는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상인
바닥재용 화장재.
[2] 상기 [1]에 있어서, 합성 수지층,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인 바닥재용 화장재.
[3] 상기 [1]에 있어서, 합성 수지층이 결정화 핵제를 포함하는 것인 바닥재용 화장재.
[4] 상기 [1]에 있어서, 화장층의 두께가 200 내지 300 ㎛인 바닥재용 화장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합성 수지층, 기재 시트, 도안 무늬층,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층을, 합성 수지층이 목질 기재와 접촉하도록 목질 기재 상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1) JIS K6734에 준거하는,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하이고, (2) JIS K6734에 준거하는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이 1500 MPa 이상인 바닥재용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JIS K6734에 준거하는, 화장층 중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하인 경우, 바닥재용 화장재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우수한 패임 손상 내성을 바닥재용 화장재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JIS K6734에 준거하는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의 1종 이상의 인장 탄성률이 600 내지 1000 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질 기재와 기재 시트 사이에 합성 수지층을 설치함으로써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층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해 바닥재용 화장재가 움푹 패인 현상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합성 수지층은 패임 손상 내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을 1000 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평활성 및 패임 손상 내성을 바닥재용 화장재에 부여할 수 있다. JIS K6734에 준거하는 상기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은 1500 MPa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0 내지 2500 MPa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인장 탄성률은 JIS K6734 "플라스틱-경질 폴리염화비닐 시트- 치수 및 특성- 제2부: 두께 1 mm 미만의 시트"의 규정에 따라서 측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시험기(텐시론 만능 시험기 RTC-1250A)를 이용하여, 도 2의 형상에 펀칭된 시험 샘플(합성 수지층,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의 양끝(도 2의 A 및 B)을 50 mm/분의 속도로 인장한 경우, 상기 시험 샘플이 중앙부에서 끊어졌을 때의 인장 탄성률(MPa)을 측정함으로써 구한 값이다.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 및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이 특정한 범위로 설정된 것이다. 이들 층의 인장 탄성률을 상기 범위에 바람직하게 설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는 합성 수지층,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합성 수지층은 결정화 핵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1000 MPa 이상의 인장 탄성률을 구비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결정화 핵제란, 그 자체가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 중에서 균일하게 미분산하고, 결정화의 개시점이 되는 결정핵이 됨으로써, 수지 성분의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첨가제를 말한다. 상기 합성 수지층이 결정화 핵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합성 수지층 중에서 균일하고 미세한 결정이 생성되기 때문 에, 상기 합성 수지층의 결정화도가 높아지고, 인장 탄성률, 열변형 온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나 투명성 등의 광학적 성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에서의 화장층의 두께는 200 내지 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층의 두께를 300 ㎛ 이하로 함으로써, 화장층을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하기 쉬워진다. 즉, 목질 기재 상에 화장층을 연속 라미네이트한 후, 화장층을 목질 기재의 크기에 맞춰 재단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장층의 두께를 2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평활성, 패임 손상 내성에 추가로 우수한 내수성을 바닥재용 화장재에 부여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바닥재용 화장재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합성 수지층
목질 기재와 기재 시트 사이에 합성 수지층을 개재시킴으로써, 바닥재용 화장재의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으로는, 예를 들면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럭 폴리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호모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상기 합성 수지층의 수지 성분으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수지 성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불소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술폰,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릴레이트, 비정질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소위 A-PET)〔미쯔비시 가가꾸(주): 노바클리어(상품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PETG)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A-PET가 바람직하다. 또한, A-PET는 내열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PEN과 함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수지층 중에서의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90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고, 95 내지 10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층은 결정화 핵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 핵제를 포함함으로써,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화 핵제로는, 예를 들면 비스(p-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인산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나트륨, 로진의 금속염, 로진 유도체의 금속염, 벤조산의 금속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로진의 금속염, 로진 유도체의 금속염 및 벤조산의 금속염으로는, 나트륨염, 구리염,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결정화 핵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결정화 핵제로서 비 스(p-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및 인산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화 핵제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JIS K6734에 준거하는 상기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상이 되도록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상기 합성 수지층의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5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중량부이다.
상기 합성 수지층은 상기 수지 성분 등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예를 들면 캘린더법, 인플레이션법, T 다이 압출법 등에 의해 기재 시트 위에 적층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층으로서 기성의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합성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50 내지 21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 정도이다.
기재 시트
기재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JIS K6734에 준거하는 인장 탄성률을 용이하게 1000 MPa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 중에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은 90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고, 95 내지 10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 시트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또는 공중합체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블럭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 부분과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밖에 에틸렌, 부텐-1, 4-메틸펜텐-1, 헥센-1 또는 옥텐-1의 공단량체를 15 몰%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도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하드세그먼트로서 고결정성이며 고융점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소프트세그먼트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70 ℃ 이하인 비정질성 폴리에테르를 갖는 블럭 중합체이다. 특히, 이소택틱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세그먼트와 어택틱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세그먼트를 중량비 80:20으로 혼합하여 얻어지는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서 공지된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클레이 등의 충전제,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발포제, 착색제(하기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배합량에 대해서는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착색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안료, 염료 등의 공지된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티탄 백색, 아연화, 적산화철, 주황, 군청, 코발트 블루, 티탄 황, 황납,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안료; 이소인돌리논, 한자옐로우 (Hanza yellow) A, 퀴나크리돈, 퍼머넌트 레드 4R, 프탈로시아닌 블루, 인단트렌 블루 RS, 아닐린 블랙 등의 유기 안료(염료도 포함함); 알루미늄, 황동 등의 금속 안료;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염기성 탄산납 등의 박분으로 이루어지는 진주 광택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의 착색 양태에는 투명 착색과 불투명 착색(은폐 착색)이 있고, 이들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착재(화장 시트를 접착하는 기재)의 바탕색을 착색 은폐하는 경우에는 불투명 착색을 선택하면 된다. 한편, 피착재의 바닥 무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투명 착색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수지 성분 등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예를 들면 캘린더법, 인플레이션법, T 다이 압출법 등에 의해 필름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기재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5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 정도이다.
기재 시트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 처리, 오존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전리 방사선 처리, 중크롬산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기재 시트 표면의 표면 장력이 35 dyne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dyne 이상이 되도록 하면 된다. 표면 처리는 각 처리의 통상법에 따라서 행하면 된다.
기재 시트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프라이머층(예를 들면, 피착재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면 프라이머층, 도안 무늬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을 설치함으로써, 인접층(예를 들면, 피착재)과의 층간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공지된 프라이머제를 기재 시트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예를 들면, 우레탄과 질화면의 혼합물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내지 10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 정도이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정도이다.
접착제층
합성 수지층의 기재 시트 점착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를 합성 수지층 위에 도포하고,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도공한 후, 건조·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건조 온도·건조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접착제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롤 코팅, 커튼플로우 코팅, 와이어 바 코팅,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그라비아 리버스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키스 코팅, 플레이드 코팅, 스무스 코팅, 코머 코팅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후의 두께가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정도이다.
프라이머층
합성 수지층의 목질 기재 점착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은 공지된 프라이머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예를 들면, 우레탄과 질화면의 혼합물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내지 10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 정도이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0 ㎛, 바람 직하게는 0.1 내지 1 ㎛ 정도이다.
도안 무늬층
기재 시트 위(목질 기재 점착면의 반대면, 이하 각 층에서 동일한 측을 가리킴)에는 도안 무늬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안 무늬층은 화장 시트에 원하는 도안에 의한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고, 도안의 종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나무결 무늬, 돌결 무늬, 모래결 무늬, 타일 점착 무늬, 벽돌 적층 무늬, 옷감결 무늬, 피륙 무늬, 기하학 도형, 문자, 기호, 추상 무늬 등을 들 수 있다.
도안 무늬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공지된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를 결착재 수지와 함께 용제(또는 분산매) 중에 용해(또는 분산)시켜 얻어지는 착색 잉크, 코팅제 등을 이용한 인쇄법 등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착색제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티탄 백색, 아연화, 적산화철, 감청, 카드뮴 레드 등의 무기 안료;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알루미늄 분말, 브론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염화비스무스 등의 진주 광택 안료; 형광 안료; 야광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에는 실리카 등의 충전재, 유기 비드 등의 체질 안료, 중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배합할 수도 있다.
결착재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염소화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석유계 수지, 케톤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섬유소 유도체, 고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제(또는 분산매)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옥탄,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석유계 유기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2-메톡시에틸,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노르말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유기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유기 용제;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유기 용제;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의 염소계 유기 용제; 물 등의 무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또는 분산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안 무늬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인쇄법으로는,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스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도안 무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 게 설정할 수 있지만, 도공시의 층두께는 1 내지 15 ㎛ 정도, 건조 후의 층두께는 0.1 내지 10 ㎛ 정도이다.
착색 은폐층
기재 시트와 도안 무늬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착색 은폐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착색 은폐층은 화장 시트의 앞면에서 피착재의 바탕색을 은폐하고자 하는 경우에 설치된다. 기재 시트가 투명성인 경우에는 물론, 기재 시트가 은폐 착색되어 있는 경우에도 은폐성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착색 은폐층을 형성하는 잉크로는, 도안 무늬층을 형성하는 잉크이며 은폐 착색이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착색 은폐층의 형성 방법은, 기재 시트 전체를 피복(전면 솔리드상)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립 코팅법, 코머 코팅법, 키스 코팅법, 플로우 코팅법, 디프 코팅법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착색 은폐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도공시의 층두께는 0.2 내지 10 ㎛ 정도, 건조 후의 층두께는 0.1 내지 5 ㎛ 정도이다.
투명성 접착제층
도안 무늬층 위에는 투명성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성 접착제층은 투명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무색 투명, 착색 투명, 반투명 등이 모두 포함된다. 투명성 접착제층은 도안 무늬층과 투명성 수지층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 시트의 분야에서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 시트의 분야에서 공지된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우레탄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 하는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도 적용시킬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는 하기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항목에서 설명하는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와 마찬가지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를 도안 무늬층 위에 도포하고, 투명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도공한 후, 건조·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건조 온도·건조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접착제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롤 코팅, 커튼플로우 코팅, 와이어 바 코팅,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그라비아 리버스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키스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무스 코팅, 코머 코팅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후의 두께가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정도이다.
투명성 수지층
투명성 접착제층 위에는 투명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성 수지층은 투명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무색 투명, 착색 투명, 반투명 등이 모두 포함된다.
투명성 수지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JIS K6734에 준거하는 인장 탄성률을 용이하게 1000 MPa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 중에서의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90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고, 95 내지 10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통상 4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 정도이다.
투명성 수지층은 상기 수지 성분 등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예를 들면 캘린더법, 인플레이션법, T 다이 압출법 등에 의해 투명성 접착제층 위에 라미네이트할 수도 있고, 기성의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이며, 후술하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 처리, 오존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전리 방사선 처리, 중크롬산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표면 처리는 각 처리의 통상법에 따라서 행하면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표면에 프라이머층(표면 보호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 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은, 공지된 프라이머제를 투명 수지층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아크릴과 우레탄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계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제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내지 10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 정도이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정도이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형성에 의해 화장 시트 표면이 손상되기 쉬운 것을 커버하고,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에 이용되는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을 주요제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 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이용하는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로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폴리올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지방족 또는 지환 식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IPDI(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로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VOC 감소 등의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는 점에서 수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조성물로는 수성 결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성 결합제는 수지 수용액, 수성 수지 에멀전 등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들에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도안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수성 조성물의 수성 결합제와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우수한 내찰상성, 내후성 등이 얻어진다.
전리 방사성 경화형 수지는 공지된 것 또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자 중에 중합성 불포화 결합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예비 중합체, 올리고머 및 단량체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예비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류,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올아크릴레이트, 멜라민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류 등이 있다.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산메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메톡시에틸, 아크릴산부톡시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페닐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에톡시메틸, 메타아크릴산페닐, 메타아크릴산라우릴 등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가 있다.
불포화산의 치환 아미노알코올에스테르로는 아크릴산-2-(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2-(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2-(N,N-디벤질아미노)메틸, 아크릴산-2-(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등이 있다.
그 밖에 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아미드,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벤질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화합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화합물, 및/또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티올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티오프로피올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티오글리콜 등이 있다. 또한, 3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는, 트리 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형성 방법은 한정적 이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도료)의 도막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은 도료에 포함되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첨가제인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증감제에 작용하여 라디칼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에너지를 갖는 것이면 되고, 자외선, X선, γ선 등의 전자파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도막의 경화 능력, 조사 장치의 간편성의 관점에서는 전자선이 가장 실용성이 높다. 전자선 조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175 keV 및 5 Mrad(50 kGy)의 조건으로 전자선 조사함으로써 피막을 가교 경화시키면 된다. 또한,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리 바탕으로서 프라이머층(특히 우레탄계 수지에 의한 프라이머층)을 투명성 수지층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보호층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1 내지 50 ㎛, 특히 1 내지 2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후제
본 발명의 화장층을 구성하는 층의 1종 이상의 층은 필요에 따라서 내후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내후제로는,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내후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합성 수지층이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우, 내후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상기 합성 수지층에 상기 내후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 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안정제로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예를 들면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층을 구성하는 층 중에서의 상기 내광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합성 수지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상기 합성 수지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지 조성물 중에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농도를 1000 내지 10000 ppm 정도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합성 수지층에 광 안정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상기 합성 수지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지 조성물 중에서의 광 안정제의 농도를 1000 내지 10000 ppm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바닥재용 화장재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는, 예를 들면 롤상의 상기 화장층을 목질 기재 상에 연속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목질 기재 상에 화장층을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목질 기재에 접착제를 도공하고, 그 도공면측에 화장층을 올려 놓고 화장층측으로부터 롤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 둘을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에서, 접착제의 도공에 의해 목질 기재 상에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경우, 이 접착제층은 상기 화장층의 개념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목질 기재로는, 예를 들면 삼나무, 전나무, 떡갈나무, 나왕, 티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판, 합판, 파티클 보드, 섬유판, 집성재 등을 들 수 있다.
라미네이트 후에는, 목질 기재의 크기에 맞춰 화장층을 재단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테노너를 이용한 4변의 실가공, V자 형상의 조구(條溝) 부여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료를 도포한 후, 와이핑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도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계의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착색 도료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한 구성의 화장층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5)(상기 시트 단독의 인장 탄성률은 600 MPa임) 위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을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고형분량이 2 g/㎡가 되도록 도공하여 인쇄용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였다.
인쇄용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 위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을 인쇄 잉크로 한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4 ㎛의 나무결 도안 무늬층 (4)를 형성하였다.
기재 시트 (5)의 도안 무늬층 (4)와 반대측의 면에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 지의 용액을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고형분량이 2 g/㎡가 되도록 도공하여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용액은 메틸에틸케톤과 메틸이소부틸케톤 혼합 용제 중에 우레탄 및 질화면을 첨가하고,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 및 질화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도안 무늬층 (4) 위에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고형분량이 8 g/㎡가 되도록 도공하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T 다이 압출기에 의해 가열 용융 압출하고, 8 ㎛ 두께의 투명성 접착제층 (3) 및 두께 80 ㎛의 투명성 수지층 (2)를 형성하였다. 이 수지층 (2) 단독의 인장 탄성률은 600 MPa였다.
투명성 수지층 (2)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을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고형분량이 1 g/㎡가 되도록 도공하여 투명성 표면 보호층 형성용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였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 형성용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 위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롤 코팅법에 의해 고형분이 15 g/㎡가 되도록 도공·건조시켜 미경화된 전자선 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산소 농도 200 ppm의 환경하에서, 미경화 수지층에 가속 전압 125 KeV, 5 Mrad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켜 15 ㎛ 두께의 전자선 경화형 수지층(투명성 표면 보 호층 1)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 (1) 위에서 엠보싱 가공에 의해 깊이 50 ㎛의 나무결 도관상의 요철 모양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재 시트 (5)의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측에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고형분량이 8 g/㎡가 되도록 도공함으로써 접착제층 (6)을 형성하였다. 접착제층 (6)의 두께는 8 ㎛였다. 계속해서, 접착제층 (6) 상에 120 ㎛ 두께의 합성 수지층 (7)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적층하였다. 상기 합성 수지층 (7)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비스(p-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결정화 핵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및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T 다이 압출기에 의해 가열 용융 압출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또한, 비스(p-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의 사용량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로 하였다. 또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은 수지 조성물 중,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농도가 2000 ppm이 되는 양으로 하였다. 또한,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의 사용량은 수지 조성물 중,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의 농도가 1000 ppm이 되는 양으로 하였다.
합성 수지층 (7) 단독의 인장 탄성률은 1500 MPa였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화장층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화장층의 두께는 300 ㎛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화장층을 합성 수지층 (7)측이 하면(권내측)이 되도록 롤상으로 권취하였다.
이어서, 두께 12 mm의 나왕 합판 상에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에멀전 접착제를 도공함으로써, 두께 10 ㎛의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나왕 합판을 접착제층측을 위로 하여 복수매 배열한 후, 상기 화장층을 상기 접착제층 상에 연속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화장 합판을 제조하였다.
화장 합판의 화장층을 나왕 합판의 크기에 맞춰 재단한 후, 테노너를 이용하여 4변의 실가공을 실시함과 동시에, 투명성 표면 보호층으로부터 나왕 합판에 이르는 깊이의 V자 형상의 조구를 장척 방향 및 단척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라미네이트 합판의 장척 방향 측면부의 모서리 부분을 제거하였다.
V자 형상의 조구부 및 모서리 제거부에 수계의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착색 도료를 도포한 후, 와이핑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바닥재용 화장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바닥재용 화장재의 평활성, 패임 손상 내성 및 내수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합성 수지층 (7)을 적층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화장층을 제조하였다. 화장층의 두께는 180 ㎛였다.
얻어진 화장층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바닥재용 화장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바닥재용 화장재의 평활성, 패임 손상 내성 및 내수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합성 수지층 (7)의 제조에서, 가열 용융 압출하는 조성물이 비스(p-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결정화 핵제)을 포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바닥재용 화장재를 제조하였다.
합성 수지층 (7) 단독의 인장 탄성률은 900 MPa였다.
얻어진 바닥재용 화장재의 평활성, 패임 손상 내성 및 내수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시험예 1 (평활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바닥재용 화장재의 화장층 표면의 평활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재용 화장재 표면에 입사하는 빛이 경사광이 되도록 바닥재용 화장재를 설치하고, 목질 기재 및/또는 투명성 접착제층에 의한 요철이 은폐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목질 기재 및/또는 투명성 접착제층에 의한 요철이 은폐되어 있는 것을 ○, 요철이 은폐되어 있지 않은 것을 ×라 평가하였다.
시험예 2 (패임 손상 내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바닥재용 화장재의 화장층부에 45°로 경사진 직경 20 mm의 철제 원주 지그를 50 N 하중으로 가압했을 때의 화장층부의 오목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오목부가 눈에 띄지 않는 것을 ○, 오목부가 눈에 띄는 것을 ×라 평가하였다.
시험예 3 (내수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바닥재용 화장재의 조구에 폴리에틸렌제 링을 실링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제 링 내부에 수돗물을 넣고, 14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바닥재용 화장재의 외관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외관상 변화가 없는 것을 ○,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에 좁아 보이는 것을 ×라고 평가하였다.
Figure 112007024919219-pat00001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는 평활성 및 패임 손상 내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는 화장층의 두께가 300 ㎛ 이하인 경우에도 우수한 평활성 및 패임 손상 내성을 갖는다. 두께가 300 ㎛ 이하인 화장층은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를 연속 라미네이트에 의해 대량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재로는 화장층의 두께를 2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평활성 및 패임 손상 내성에 추가로 내수성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4)

  1. 합성 수지층, 기재 시트, 도안 무늬층,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층을, 합성 수지층이 목질 기재와 접촉하도록 목질 기재 상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1) JIS K6734에 준거하는,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장 탄성률이 600 MPa 내지 1000 MPa이고,
    (2) JIS K6734에 준거하는 합성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내지 2500 MPa인 바닥재용 화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 수지층,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인 바닥재용 화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합성 수지층이 결정화 핵제를 포함하는 것인 바닥재용 화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화장층의 두께가 200 내지 300 ㎛인 바닥재용 화장재.
KR1020070031340A 2006-03-31 2007-03-30 바닥재용 화장재 KR100889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7949 2006-03-31
JP2006097949 200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700A KR20070098700A (ko) 2007-10-05
KR100889192B1 true KR100889192B1 (ko) 2009-03-16

Family

ID=3877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340A KR100889192B1 (ko) 2006-03-31 2007-03-30 바닥재용 화장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509516B2 (ko)
KR (1) KR100889192B1 (ko)
CN (1) CN1005669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31B1 (ko) 2008-03-21 2012-04-0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5176640B2 (ja) * 2008-03-27 2013-04-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5568932B2 (ja) 2008-09-30 2014-08-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4840461B2 (ja) * 2008-09-30 2011-1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材用化粧シート
JP4810629B2 (ja) * 2009-05-25 2011-11-09 株式会社ニッシンイクス 床材
JP5373586B2 (ja) * 2009-12-21 2013-12-18 住江織物株式会社 床材
JP5589510B2 (ja) * 2010-03-31 2014-09-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及び化粧シート
BE1019331A5 (nl) 2010-05-10 2012-06-05 Flooring Ind Ltd Sarl Vloerpaneel en werkwijzen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JP5699510B2 (ja) * 2010-09-30 2015-04-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材
JP5702107B2 (ja) * 2010-10-15 2015-04-15 住江織物株式会社 接着施工性に優れた床材
JP6069868B2 (ja) * 2011-03-31 2017-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6064421B2 (ja) * 2011-09-26 2017-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材
JP6403937B2 (ja) * 2012-09-07 2018-10-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材
CN105899362B (zh) * 2014-01-10 2018-06-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装饰片和装饰板、以及它们的制造方法
JP6520129B2 (ja) * 2014-01-10 2019-05-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520128B2 (ja) * 2014-01-10 2019-05-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5839066B2 (ja) * 2014-03-19 2016-0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部材
JP2016089379A (ja) * 2014-10-30 2016-05-23 株式会社トッパン・コスモ 床用化粧シート
JP6696726B2 (ja) * 2014-12-10 2020-05-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材
CN105090193A (zh) * 2015-08-12 2015-11-25 天津航天液压装备有限公司 木质件表面橡胶软化工艺
JP6862661B2 (ja) * 2016-03-02 2021-04-21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7163905B2 (ja) * 2017-02-28 2022-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CN115746724A (zh) * 2017-08-21 2023-03-07 琳得科株式会社 剥离检测标签
CN109537847A (zh) * 2019-01-15 2019-03-29 圣象地板(句容)有限公司 一种eb固化的聚丙烯膜饰面多层复合地板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109U (ko) * 1997-08-16 1999-03-15 김충세 목분을 이용한 바닥재
JP2001105534A (ja) 1999-10-14 2001-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板、化粧扉、造作部材および床板
KR20040095136A (ko) * 2003-06-05 2004-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압수지 주입 천연 무늬목을 기재층에 적층한 방음기능강화마루
KR20070076710A (ko) * 2006-01-19 2007-07-25 이성철 나무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935A (ja) * 1999-11-18 2001-05-29 Chuo Kaseihin Kk 再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の射出成形品
JP2003033903A (ja) * 2001-07-25 2003-02-04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材
JP4839541B2 (ja) * 2001-07-25 2011-12-21 凸版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
JP2005096213A (ja) * 2003-09-24 2005-04-14 Sekisui Film Kk 建築材料用表面フィルム
JP4393880B2 (ja) * 2004-01-27 2010-01-06 株式会社カネカ 薄幅溝を有する合成樹脂発泡成形体
JP2006046053A (ja) * 2004-07-08 2006-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材
JP2006068906A (ja) * 2004-08-31 2006-03-16 Kaneka Corp 合成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合成樹脂発泡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109U (ko) * 1997-08-16 1999-03-15 김충세 목분을 이용한 바닥재
JP2001105534A (ja) 1999-10-14 2001-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板、化粧扉、造作部材および床板
KR20040095136A (ko) * 2003-06-05 2004-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압수지 주입 천연 무늬목을 기재층에 적층한 방음기능강화마루
KR20070076710A (ko) * 2006-01-19 2007-07-25 이성철 나무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700A (ko) 2007-10-05
JP2014062452A (ja) 2014-04-10
CN100566995C (zh) 2009-12-09
JP5509516B2 (ja) 2014-06-04
CN101045349A (zh) 2007-10-03
JP2007291836A (ja) 2007-11-08
JP5637290B2 (ja)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192B1 (ko) 바닥재용 화장재
JP4998044B2 (ja) 化粧シート
JP5994830B2 (ja) 床用化粧材の製造方法
JP5045180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520128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05290568A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床用化粧材
KR102636882B1 (ko) 엠보싱 화장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5700100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5499429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
KR20160138146A (ko)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JP5315885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6805692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成型品
JP5287420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7098268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成型品
JP2000238207A (ja) 化粧シート
JP7434823B2 (ja) 化粧シート
JP4450338B2 (ja) 建材用化粧シート
JP5169694B2 (ja) 化粧シート
JP2007185965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化粧シートが表面に積層されている建具・造作部材。
JP6409300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15189223A (ja) 化粧シート、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19158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部材
JP2019119157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部材
JP2000190436A (ja) 化粧シ―ト及び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