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389B1 -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389B1
KR100878389B1 KR1020067027568A KR20067027568A KR100878389B1 KR 100878389 B1 KR100878389 B1 KR 100878389B1 KR 1020067027568 A KR1020067027568 A KR 1020067027568A KR 20067027568 A KR20067027568 A KR 20067027568A KR 100878389 B1 KR100878389 B1 KR 10087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ounting plate
base
liquid crysta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247A (ko
Inventor
요시끼 다까따
히로끼 아즈마
다쯔야 구다리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9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the support means engaging the vessel of the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48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설치판(21)에는 베이스(14)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베이스(14)에 마련된 설치 구멍(14a) 내에 삽입되어 그 이면측의 주연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판(21)에는 베이스(14)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베이스(14)에 대한 착탈 시에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게 되는 핀(24)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22L)는 핀(24)의 이면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핀(24)을 파지하면서 걸림부(22L)를 설치 구멍(14a) 내에 삽입할 때에 양자(22L, 14a)를 위치 맞춤하기 쉬워져 삽입 시에 설치판(21)에 휨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Figure R1020067027568
백라이트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설치판, 베이스, 핀, 걸림부

Description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LAMP HOLDER, BACKLIGHT DEVICE USING THE LAMP HOLDE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BACKLIGHT DEVICE}
본 발명은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액정 패널은 스스로 발광하지 않으므로, 별도로 외부 램프로서 백라이트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백라이트 장치는 액정 패널의 이면측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대략적으로는 금속제이고 액정 패널측의 면이 개방된 베이스와, 램프로서 베이스 내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냉음극관과, 베이스의 개구 부분에 배치되어 냉음극관이 발하는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패널측에 방출시키기 위한 다수매의 광학 부재류(확산 시트 등)를 구비하는 동시에, 가늘고 긴 관형을 이루는 냉음극관을 베이스에 대해 보유 지지하기 위한 램프 클립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램프 클립의 일 예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합성 수지제가 되어 베이스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설치판과, 설치 판으로부터 베이스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의 설치 구멍 내에 삽입되어 그 주연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와, 설치판으로부터 걸림부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냉음극관의 주위면을 둘러싸도록 하여 보유 지지 가능한 램프 보유 지지부와, 설치판으로부터 램프 보유 지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핀은 램프 보유 지지부보다도 크게 돌출되는 형태이므로, 베이스에 대해 램프 클립을 설치할 때에는 작업자가 이 핀을 파지하여 설치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10126호 공보
그런데, 설치 작업을 행할 때에는 핀을 파지하면서 걸림부를 베이스의 설치 구멍 내에 삽입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것에서는 핀이 양걸림부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양자가 서로 이격된 배치로 되어 있으므로, 걸림부를 설치 구멍에 대해 위치 맞춤하기 어렵고, 또한 걸림부가 설치 구멍 내에 삽입될 때에 설치판이 휘기 쉬운 것도 더불어 작업성이 열화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기초로 하여 완성된 것이며,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램프 보유 지지구는 램프 설치 부재에 대해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램프 설치 부재에 대는 설치판과, 램프를 보유하기 위해 설치판의 램프 설치 부재로부터 대향하는 측에 제공된 복수의 램프 보유부와, 설치판으로부터 램프 설치 부재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램프 설치 부재에 마련된 설치 구멍 내에 삽입되어 그 이면측의 주연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와, 설치판의 램프 보유부들 사이에 위치되며, 램프 보유부로부터 보다 설치판으로부터 더 큰 높이 치수를 가지며, 상기 설치판으로부터 램프 설치 부재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램프 설치 부재에 대한 착탈 시에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게 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이 중 상기 걸림부는 상기 파지부의 이면측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걸림부가 파지부의 이면측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양자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한 것과 비교하면, 파지부를 파지하면서 걸림부를 설치 구멍 내에 삽입할 때에 양자를 위치 맞춤하기 쉬워지고, 삽입 시에 설치판에 휨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관한 램프 보유 지지구,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4는 램프 클립의 평면도.
도5는 램프 클립의 바닥면도.
도6은 베이스의 부분 평면도.
도7은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8은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1)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1)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2)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2)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평면도.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
12 : 백라이트 장치
14 : 베이스(램프 설치 부재)
14a : 설치 구멍
15 : 광학 부재
17 : 냉음극관(램프)
20 : 램프 클립(램프 보유 지지구)
21 : 설치판
22 : 걸림부
24 : 핀(파지부)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8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백라이트 장치(12)에 이용되는 램프 클립(20)에 대해 예시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하고, 좌우측 방향에 대해서는 도3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체의 개요를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대략적으로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액정 패널(11)과, 외부 광원인 백라이트 장치(12)를 구비하고, 이들이 베젤(13) 등에 의해 일체로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표시 패널인 액정 패널(11)은 한 쌍의 유리 기판이 소정의 갭을 둔 상태에서 부착되는 동시에, 양 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구성이 된다. 한쪽 유리 기판에는 서로 직교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TFT)가, 다른 쪽 유리 기판에는 R, G, B의 화소 전극이 각각 매트릭스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백라이트 장치(12)에 대해 설명한다. 백라이트 장치(12)는 상면측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대략 상자형을 이루는 금속제의 베이스(14)와, 베이스(14)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재(15)[도시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확산판(15a), 확산 시트(15b), 렌즈 시트(15c), 광학 시트(15d)]와, 이들 광학 부재(15)를 베이스(14)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6)과, 베이스(14) 내에 수용되는 램프인 냉음극관(17)과, 냉음극관(17)의 양단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고무제(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제)의 홀더(18)와, 냉음극관(17)군 및 홀더(18)군을 일괄 하여 덮는 램프 홀더(19)와, 냉음극관(17)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제외한 도중의 부분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램프 클립(20)을 구비한다.
냉음극관(17)은 일 방향에 가늘고 긴 관형을 이루고 있고, 그 길이 방향(축선 방향)을 베이스(14)의 긴 변 방향에 일치시킨 상태이고, 또한 다수개(도1에서는 18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베이스(14)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냉음극관(17)의 외경 치수는, 예를 들어 3, 4 ㎜ 정도가 되지만,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공차 범위 내에서 증감하는 경우가 있다.
램프 클립(20)은 합성 수지제(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제)로 되어 있고, 베이스(14)의 바닥부의 벽면에 대는 설치판(21)을 구비하고, 이 설치판(21)에 걸림부(22), 램프 보유 지지부(23) 및 핀(24) 등을 설치한 구성이 된다. 램프 클립(20)은 각 냉음극관(17)을 길이 방향에 다른 2군데 또는 3군데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14)에 대해 복수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램프 클립(20) 전체의 표면은 냉음극관(17)으로부터 발하는 광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사태가 생기기 어려워지도록, 예를 들어 백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설치판(21)은 베이스(14)의 짧은 변 방향[냉음극관(17)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판(21)의 하면(21a)[베이스(14)와의 대향면, 베이스(14)에 대한 피착면]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22)가 하방[베이스(14)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22)는 설치판(21)에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양 걸림부(22)는,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대해 설치판(21)의 양단부 위치로부터 대략 등거리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서는 모두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부(22)는 설치판(21)의 하면(21a)으로부터 수직 설치된 기부(25)와, 기부(25)의 선단부로부터 경사 상방[기부(25)로부터 이격하면서 설치판(21)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 걸림 부재(26)로 구성된다. 기부(25)는 설치판(21)에 짧은 변 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긴 바닥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도5), 설치판(21)에 연결된 근원 부분에 대해서는 설치판(21)에 근접하는 것에 따라서 굵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탄성 걸림 부재(26)는 기부(25)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양측면에 연결된 외팔보형으로 형성되고, 그 연결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부(25)에 대해 접촉 분리하는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형 가능해진다. 이 걸림부(2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4)에 있어서의 대응 위치에 관통하여 마련된 각 설치 구멍(14a)에 대해 삽입 가능해지고, 탄성 걸림 부재(26)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형성된 단차부가 설치 구멍(14a)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주연에 대해 걸림 가능해지고, 여기가 베이스(14)에 대한 걸림면(26a)으로 되어 있다(도8). 또한, 각 설치 구멍(14a)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걸림 부재(26)의 걸림면(26a)과 설치판(21)의 하면(21a)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양면(21a, 26a) 사이의 거리는 램프 클립(20)의 제조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베이스(14)의 판두께 치수보다도 조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양면(21a, 26a) 사이의 거리는 램프 클립(20)의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공차 범위 내에서 증감된다는 사정이 있 지만, 상기와 같은 설정으로 함으로써 양면(21a, 26a) 사이의 거리가 공차 범위의 최소치였던 경우라도 베이스(14)의 판두께 치수와 동일한 정도가 되어 베이스(14)로의 설치가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설치판(21)의 상면[냉음극관(17)과의 대향면, 베이스(14)의 개구부측의 면]에는 냉음극관(17) 중 길이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도중 부분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램프 보유 지지부(23)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위치로부터 등거리씩 이격된 위치[상세하게는, 걸림부(22)보다도 외측의 위치]와, 대략 중앙 위치에 총 3개 설치되어 있다. 각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서는 모두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냉음극관(17)의 주위면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냉음극관(17)의 착탈을 허용하기 위해 상방으로 개방된 유단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근원 부분이 연결된 한 쌍의 아암부(27)를 구비하고, 양아암부(27)가 설치판(2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설치된 연결부(28)에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냉음극관(17)을 설치판(21)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린 위치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아암부(27)는 근원 부분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외측(서로 역측)으로 돌출된 후, 내향에 경사 상방(서로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외팔보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칭 형상이 된다. 양아암부(27)는 선단부끼리의 간격이 냉음극관(17)에 있어서의 공차 범위의 최소의 외경 치수보다도 더 좁은 간격으로 되어 있고, 이 간극을 통해 냉음극관(17)의 착탈이 허용되는 동시에, 그 착탈에 수반하여 탄성적으로 개방 변형 가능(선단부 사이의 간극을 넓히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양아암부(27)의 선단부의 외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외향 경사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부(2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가이드부(29)의 내면은 모두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면(29a)으로 되어 있고, 양가이드면(29a) 사이의 거리는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고 있다. 즉, 램프 보유 지지부(23)에 있어서의 냉음극관(17)에 대한 수입 개구가 설치 방향 전방측일수록 점증되므로, 냉음극관(17)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양가이드면(29a)은 서로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아암부(27)의 내주면은 근원 부분과, 양선단부 근처에 형성된 3개의 완만한 원호면(30, 31)을 구비하고 있고, 각 원호면(30, 31)의 가상 접선끼리 연결하면 정삼각형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각 원호면(30, 31)은 모두 냉음극관(17)의 주위면보다도 완만하게 형성되고, 다시 말해 각 원호면(30, 31)의 곡률은 모두 냉음극관(17)의 주위면의 곡률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원호면(30, 31) 중 양아암부(27)의 선단부측의 양원호면(30)에 대해서는 그 선단부가 냉음극관(17)에 대해 주위 방향에 대해 점접촉 가능한 점접촉부(32)가 되고, 근원측의 원호면(31)에 대해서는 그 중앙부가 냉음극관(17)에 대해 주위 방향에 대해 점접촉 가능한 점접촉부(33)로 되어 있다. 양아암부(27)의 선단부측의 양점접촉부(32)는 냉음극관(17)을 상방, 즉 냉음극관(17)의 제거 방향으로부터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 다. 양아암부(27)의 근원 부분의 원호면(31)은 그 주위 방향의 중앙 부분이 가장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되는 냉음극관(17)을 중앙 위치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설치 상태에서는 냉음극관(17)의 굵기에 따라서 다르지만, 각 점접촉부(32, 33)가 이등변 삼각형 또는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도8 참조). 또한, 아암부(27)에 있어서의 선단부측의 원호면(30)과 상기한 가이드면(29a)의 이음 부분에 대해서는, 라운딩된 형상이 된다.
또한, 이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설치되는 냉음극관(17)의 굵기가 공차 범위의 최소치였던 경우라도 설치 상태에서는 양아암부(27)가 탄성적으로 조금 개방 변형되는 동시에, 각 점접촉부(32, 33)가 냉음극관(17)의 주위면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하여 덜걱거림 없이 보유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양아암부(27)에 있어서의 내주면[냉음극관(17)과의 대향면]에는 각각 오목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오목부(34)는 아암부(27)의 내주면 중 인접하는 각 원호면(30, 31) 사이[아암부(27) 중 선단부와 근원 부분, 즉 연결부(28)에 대한 연결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각 원호면(30, 31)보다도 급한(곡률이 비교적 큰, 곡률반경이 비교적 작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4)는 아암부(27)의 전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주위 방향의 중앙 부분일수록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7)의 오목부(34)가 마련된 부분에 있어서의 외주면[냉음극관(17)과의 대향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아암부(27)가 오목부(34)에 의해 오목해진 만큼 외측, 즉 냉음극관(17)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팽출하여 형성되고, 이에 의해 아암부(27)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7)는 오목부(34)가 마련된 부분 중 근원측의 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개방 변형, 즉 선단부가 냉음극관(17)의 주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휘어지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령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아암부(27)의 탄발력, 다시 말해 아암부(27)를 개방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조작력이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27)는 오목부(34)를 마련한 부분이 외측으로 팽출되는 만큼 근원 부분으로부터 자유 단부인 선단부까지의 연면 거리(아암 길이)가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판(21)의 상면에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부재(15)[가장 하측의 확산판(15a)]에 접촉 가능한 핀(24)이 상방[램프 보유 지지부(23)와 동일한 방향, 베이스(14)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핀(24)은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근원측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감[냉음극관(17)로부터 이격되는]에 따라서 직경 치수가 점감되는 끝이 가는 형, 즉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24)의 선단부는 라운딩된 형상이 되고, 여기서 광학 부재(15)인 확산판(15a)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확산판(15a)이 아래로 늘어지거나 수평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핀(24)의 높이 치수는 램프 보유 지지부(23)보다도 크고, 예를 들어 3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에 대해 착탈할 때에는, 작업자는 이 핀(24)을 파지하여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핀(24)의 외경 치수는 걸림부(22)의 기부(25)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고, 또한 기부(25)의 짧은 변측의 길이 치수보다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핀(24)은,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대해서는 좌측 단부의 램프 보유 지지부(23)와 중앙의 램프 보유 지지부(23)의 중간 위치에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서는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24)에 대해 설치판(21)의 이면측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좌측의 걸림부(22L)가 배치되어 있다(이하, 좌우 걸림부를 구별할 때에는, 좌측에 대해서는 부호에 첨자 L을, 우측에 대해서는 첨자 R을 붙이는 것으로 함). 이들 핀(24)과 걸림부(22L)는 서로의 중심점(C1, C2)이 약간 어긋나 있지만, 대부분이 설치판(21)의 면방향에 대해 서로 겹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핀(24)의 중심점(C1)과 걸림부(22L)의 중심점(C2)은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가 되지만, 길이 방향에 대해서는 약간 어긋난 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핀(24)의 중심점(C1)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의 면방향에 대해, 걸림부(22L)에 대해 그 외주연보다도 내측[정확하게는 기부(25)의 외주연보다 외측이지만, 우측의 탄성 걸림 부재(26)의 외주 모서리보다는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걸림부(22L)의 중심점(C2)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의 면방향에 대해 핀(24)에 대해, 그 근원 부분의 외주연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핀(24)의 근원 부분의 외주연은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대해 걸림부(22L) 중 기부(25)와 우측의 탄성 걸림 부재(26)의 전체 영역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핀(24)은 그 대략 전체 영역이 설치판(21)의 면방향에 대해 걸림부(22L)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핀(24)과 걸림부(22L)를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설치판(21)의 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힘, 즉 전단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핀(24) 및 걸림부(22L)가 연결된 설치판(21)에 휨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설치판(21)의 하면(21a)[베이스(14)와의 대향면]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시에 베이스(14)의 상면[설치판(21)과의 대향면]에 대해 접촉 가능한 접촉부(35, 36)가 하방[베이스(14)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35, 36)는 설치판(21)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중앙 위치와, 양단부 위치 부근과의 3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각 접촉부(35, 36)는 모두 단면 형상이 활형, 다시 말해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관하여 중앙 부분이 가장 팽창된 원호형의 외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접촉부(35, 36)는 각각 걸림부(22)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중앙의 접촉부(35)와 좌측 단부의 접촉부(36)는 좌측의 걸림부(22)를 사이에 둔 2위치에 배치되고, 중앙의 접촉부(35)와 우측 단부의 접촉부(36)는 우측의 걸림부(22)를 사이에 둔 2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중앙의 접촉부(35)는,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서도 중앙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베이스(14)에 대해 점접촉 가능한 구관(球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35)는 설치판(21)의 하면(21a)에 있어서 좌우로 늘어선 2개의 걸림부(22)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면측의 중앙의 램프 보유 지지부(23)의 이면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 램프 보유 지지부(23)와 동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양단부의 접촉부(36)는 모두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14)에 대해 동일 방향에 대해 선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양접촉부(36)는 모두 설치판(21)의 전폭에 걸치는 길이를 갖고 있다. 양접촉부(36)는 설치판(21)에 있어서 양단부의 램프 보유 지지부(23)보다도 더 단부 근처의 위치이고, 또한 설치판(21)의 양단부 위치로부터 등거리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판(21)의 하면(21a)에 있어서 각 접촉부(35, 36)는 대칭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판(21)으로부터의 각 접촉부(35, 36)의 돌출량은 대략 동일하고, 램프 클립(20)의 제조상 생기는 오차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걸림부(22)에 있어서의 걸림면(26a)과 설치판(21)의 하면(21a)과의 사이의 거리에는 공차 범위 내에서 제품마다 변동이 생기는 것이지만, 각 접촉부(35, 36)의 돌출량은 상기 거리의 공차 범위의 최대치로부터 베이스(14)의 판두께 치수를 뺀 값, 즉 설치판(21)과 베이스(14) 사이에 생기는 클리어런스의 최대치보다도 약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에 설치하였을 때, 걸림부(22)의 걸림면(26a)과 설치판(21)의 하면(21a)과의 사이의 거리가 공차 범위 중 어느 한쪽의 값이었다고 해도, 각 접촉부(35, 36)가 베이스(14)의 상면에 대해 접촉되는 동시에, 설치판(21)은 각 접촉부(35, 36)가 설치된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뒤집히도록 하고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단부의 접촉부(36)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는 베이스(14)에 마련된 위치 결정 구멍(14b)에 대해 끼워 맞춤 가능한 위치 결정 핀(37)이 설치되어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램프 클 립(20)의 이면측[베이스(14)와의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걸림부(22) 및 접촉부(35, 36)는 대칭 배치로 되어 있는 것에 반해, 표면측의 램프 보유 지지부(23) 및 핀(24)은 비대칭 배치로 되어 있으므로, 베이스(14)에 대해 램프 클립(20)을 잘못하여 역배향으로 설치하는 사태가 우려된다. 그런데, 이 위치 결정 핀(37)은,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에 설치할 때에 설치판(21)이 정확한 방향이었을 때에는 위치 결정 구멍(14b) 내에 끼워 맞추어지지만, 역배향이었던 경우에는 위치 결정 구멍(14b)과는 부정합이 되어 설치를 규제할 수 있으므로, 잘못된 설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조이고, 계속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액정 패널(11)을 제조하는 한편, 백라이트 장치(12)의 부착 작업을 행한다. 백라이트 장치(12)의 부착 시에 있어서는, 우선 베이스(14)에 대해 각 램프 클립(20)을 설치하는 작업을 행한다.
도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램프 클립(20)의 핀(24)을 파지하는 동시에, 각 걸림부(22)를 베이스(14)의 각 설치 구멍(14a)에 대해, 또한 위치 결정 핀(37)을 위치 결정 구멍(14b)에 대해 각각 정합시키면서 설치판(21)을 베이스(14)의 상면으로 압박하도록 한다. 여기서,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핀(24)의 이면측에 좌측의 걸림부(22L)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걸림부(22L)를 대응하는 걸림 구멍(14a)에 대해 위치 맞춤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걸림부(22L)를 위치 맞춤하면, 자연히 우측 걸림부(22R), 위치 결정 핀(37)에 대해서도 각각 대응하는 걸림 구멍(14a), 위치 결정 구멍(14b)에 대해 위치 맞춤되므로, 그 후의 삽입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설치판(21)을 베이스(14)측으로 압입하면, 각 걸림부(22)가 대응하는 각 설치 구멍(14a)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위치 결정 핀(37)이 위치 결정 구멍(14b)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걸림부(22)가 설치 구멍(14a)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양탄성 걸림 부재(26)가 설치 구멍(14a)의 표면측 주연에 결합함으로써 일단 기부(25)에 접근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 과정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압입되는 핀(24)과, 설치 구멍(14a)의 표면측 주연에 결합되는 걸림부(22L)에는 상하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역배향의 힘, 즉 전단력이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해, 가령 설치판(21)에 큰 휨이 생기면, 그만큼 핀(24)을 압입하는 조작력을 크게 해야만 하고, 작업성의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핀(24)의 이면측에 걸림부(22L)를 배치하여 설치판(21)에 휨이 생기지 않으므로, 걸림부(22L)를 설치 구멍(14a)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에 대해서도 양호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핀(24)을 파지하여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로부터 제거할 때에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소정 깊이까지 설치판(21)을 압입한 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촉부(35, 36)가 베이스(14)의 상면에 대해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양탄성 걸림 부재(26)는 탄성 변형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설치판(21)은 베이스(14)로부터 조금 뜬 위치가 되어 양자(14, 21) 사이에 접촉부(35, 36)의 돌출량 만큼의 간극이 비워져 있다. 그리고, 또한 설치판(21)을 압입하면, 설치판(21)은 각 접촉부(35, 36)가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는 베이스(14)에 의해 압입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 므로, 그 규제 부위에 끼워진 부분이 규제 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활형으로 뒤집히도록 하여 탄성 변형된다. 양탄성 걸림 부재(26)의 걸림면(26a)이 각각 베이스(14)의 이면측에 도달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걸림 부재(26)가 복원되는 동시에, 그 걸림면(26a)이 설치 구멍(14a)의 이면측의 주연에 대해 걸린다. 이때, 설치판(21)의 하면(21a)과 탄성 걸림 부재(26)의 걸림면(26a) 사이에서 베이스(14)가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설치판(21) 중 각 접촉부(35, 36)를 설치한 부분이 베이스(14)로부터 뜬 위치에서 지지되는 것에 대해, 걸림부(22)를 설치한 부분이 베이스(14)측으로 접근하게 뒤집히도록 하여 탄성 변형되어 있으므로, 양걸림부(22)는 각각 상방, 즉 제거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되어 있다. 따라서, 각 탄성 걸림 부재(26)의 걸림면(26a)은 설치판(21)의 탄발력에 의해 베이스(14)에 있어서의 설치 구멍(14a)의 이면측의 주연에 대해 밀접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게다가 램프 클립(20)이 베이스(14)에 대해 상하로 덜걱거리지 않고 설치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각 접촉부(35, 36)의 돌출량은 램프 클립(20)의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설치판(21)과 베이스(14) 사이에 생기는 클리어런스의 최대치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램프 클립(20)을 제조할 때에 생기는 오차에 의해 탄성 걸림 부재(26)의 걸림면(26a)과 설치판(21)의 하면(21a)과의 사이의 거리가 공차 범위 중 어느 한쪽의 값으로 변동되었다고 해도 설치판(21)의 휨 상태(변형량)가 다소 변화되지만, 각 접촉부(35, 36)는 반드시 베이스(14)의 상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설치판(21)은 뒤집히도록 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조상의 오 차에 상관없이 램프 클립(20)에 덜걱거림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설치 상태에 있어서는, 설치판(21)의 양단부에 배치한 양접촉부(36)는 모두 베이스(14)의 상면에 대해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 선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각 접촉부(35, 36)에 의해 설치판(21)은 베이스(14)로부터 부분적으로 뜬 상태에서 설치되지만, 그 설치판(21)의 뜬 부분이 베이스(14)와의 사이에 생긴 간극에 의해 짧은 변 방향에 대해 기울도록 하여 덜걱거림(변위됨)을 억제할 수 있다.
베이스(14)에 대해 각 램프 클립(20)을 설치하면서, 계속해서 냉음극관(17)을 설치하는 작업을 행한다. 냉음극관(17)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부에 홀더(18)가 장착됨으로써 2개 1세트로 모아진 상태에서 램프 클립(20)에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램프 보유 지지부(23)의 양가이드부(29)에 가이드시키면서 냉음극관(17)을 하방을 향해 압입하면, 양아암부(27)는 오목부(34)가 마련된 부분에 있어서의 근원측 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개방 변형되는 동시에, 양선단부 사이의 간극을 넓힘으로써 냉음극관(17)의 진입이 허용된다. 그리고, 냉음극관(17)이 양아암부(27)의 선단부 사이를 통과하면, 도8의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아암부(27)가 소정 위치까지 폐쇄되는 동시에 각 점접촉부(32, 33)가 냉음극관(17)의 주위면에 접촉함으로써 냉음극관(17)이 3점 지지된다. 이 냉음극관(17)의 굵기는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공차 범위 내에서 증감하지만, 양아암부(27)에 있어서의 냉 음극관(17)과의 대향면에 오목부(34)를 마련하도록 하였으므로, 양아암부(27)에 생기는 탄발력이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가는 냉음극관(17)에 대해서는 덜걱거리지 않고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비교적 굵은 냉음극관(17)에 대해서는 착탈에 필요한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보유 지지 상태에서 아암부(27)의 탄발력에 의해 냉음극관(17)이 어긋남 방향으로 압출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즉 작업성이나 보유 지지 성능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모든 냉음극관(17)을 설치하면, 램프 홀더(19)를 설치하는 동시에, 광학 부재(15), 프레임(16)의 순으로 베이스(14)에 조립 부착함으로써 백라이트 장치(12)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광학 부재(15) 중 가장 하측[냉음극관(17)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확산판(15a)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부가 베이스(14)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주연부보다도 내측의 부분이 각 램프 클립(20)의 핀(24)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확산판(15a)이 아래로 늘어지거나 수평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는 사태가 방지된다. 이 백라이트 장치(12)와 액정 패널(11)을 베젤(13)에 의해 일체적으로 조립 부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10)가 형성된다(도1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설치판(21)에 있어서 걸림부(22L)가 핀(24)의 이면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양자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한 것과 비교하면, 핀(24)을 파지하면서 걸림부(22L)를 설치 구멍(14a) 내에 삽입할 때에 양자(22L, 14a)를 위치 맞춤하기 쉬워지고, 삽입 시에 설치판(21)에 휨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 다.
또한, 걸림부(22L)는 설치판(21)의 면방향에 대해 핀(24)과 일부가 겹치는 배치로 되어 있으므로, 걸림부(22L)를 설치 구멍(14a)에 삽입할 때에 설치판(21)에 휨이 생기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작업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핀(24)은 냉음극관(17)에 대향하여 배치된 광학 부재(15)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착탈 시의 파지 기능에 부가하여 광학 부재(15)의 형상 보유 지지나 위치 보유 지지 등의 기능을 더불어 갖게 할 수 있고, 램프 클립(20)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핀(24)은 냉음극관(17)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따라서 직경 치수가 감소되는 끝이 가는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음극관(17)으로부터 발하는 광이 핀(24)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음극관(17)을 점등시켜 액정 표시 장치(10)를 표시시켰을 때, 핀(24)이 시청자에게 눈으로 확인되기 어려워지므로(휘도 등의 저하가 방지됨), 액정 표시 장치(10)의 표시 성능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램프 클립(20)을 합성 수지제로 하였으므로, 제조가 용이해져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램프 클립(20)의 표면을 백색으로 하였으므로, 가령 램프 클립을 흑색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램프 클립(20) 자신이 냉음극관(17)으로부터 발하는 광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사태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냉음극관(17)을 점등시켜 액정 표시 장치(10)를 표시시켰을 때, 핀(24)이 시청자에게 눈으로 확인되기 어려워지므로(휘도 등의 저하가 방지됨), 액정 표시 장치(10)의 표시 성능이 양호한 것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핀(24)과 걸림부(22L)의 중심점(C1, C2)이 약간 어긋난 배치의 것을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도9A,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24A)과 걸림부(22LA)의 중심점(C1A, C2A)이 설치판(21)의 면방향에 대해 동일 위치, 즉 양자(24A, 22LA)가 동심이 되는 배치로 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에 의해, 걸림부(22LA)를 설치 구멍(14a)에 대해 한층 위치 맞춤하기 쉬워져 작업성의 향상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대해 핀(24)이 걸림부(22L)의 기부(25)와 겹치는 배치의 것을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도10A,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대해 핀(24B)이 걸림부(22LB)의 기부(25B)와 어긋난 배치의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 경우, 걸림부(22LB)를 설치 구멍(14a) 내에 삽입할 때에 설치판(21)에 휨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그 휨은 현저히 작은 것이고, 작업성으로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경미한 것이 된다. 또한, 핀(24B)과 걸림부(22LB)가 도10A, 도10B에 도시한 것보다 더 어긋나 있어도, 다시 말해 양자가 근방 위치에 있고, 설치판의 휨이 작업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허용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3) 핀(24)과 걸림부(22L)가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 위치가 어긋난 배치로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4) 좌측의 걸림부(22L)의 이면측에 대응하는 핀(24)에 부가하여 우측의 걸림부(22R)의 이면측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에 핀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핀의 수에 대해서는 3개 이상으로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걸림부(22)나 램프 보유 지지부(23)의 수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5) 핀(24)의 형상에 대해서는 원추 형상 이외에도, 예를 들어 각추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핀(24)을 반드시 끝이 가는 형으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원기둥 형이나 각기둥형이라도 좋다. 또한, 핀(24)의 굵기나 높이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6)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핀(24)이 광학 부재(15) 중 확산판(15a)에 접촉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다른 광학 부재[확산 시트(15b), 렌즈 시트(15c), 광학 시트(15d)]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7) 핀(24)은 반드시 광학 부재(15)에 접촉하지 않아도 좋고, 착탈 시의 파지 기능만을 구비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8) 또한, 설치판(21)의 형상에 대해 직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이나 원형으로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9)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램프로서 냉음극관(17)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열음극관 등 다른 종류의 램프를 이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0)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상자형의 베이스(14)에 램프 클립(20)을 설치한 백라이트 장치(12)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주위벽을 제거한 판형의 베이스에 대해 램프 클립(20)을 설치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램프 클립(20)을 백색으로 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무색 투명으로 해도 좋고, 또한 반투명이고 또한 유백색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램프 클립(20)이 냉음극관(17)으로부터 발하는 광을 투과하기 쉬워지고, 광이 차단되거나 반사되는 사태가 한층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냉음극관(17)을 점등시켜 액정 표시 장치(10)를 표시시켰을 때, 핀(24)이 시청자에게 눈으로 확인되기 어려워지므로(휘도 등의 저하가 방지됨), 액정 표시 장치(10)의 표시 성능이 한층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램프 클립(20)의 색에 대해 상기 이외의 색으로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램프 클립(20)을 합성 수지 재료로 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그것 이외의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램프 클립(20)의 소재는 합성 수지 재료로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종류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합성 수지 재료나, 합성 수지 재료 이외의 소재를 이용한 경우라도 램프 클립(20)의 색에 관하여 백색, 무색 투명, 또는 반투명이고 또한 유백색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13) TFT 이외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컬러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이외에도, 흑백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냈지만, 액정 이외에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하는 다른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Claims (17)

  1. 기부(14)를 포함하는 램프 설치 부재에 램프(17)를 설치하기 위한 램프 보유 지지구이며,
    제1 표면(21a)에서 상기 램프 설치 부재의 상기 기부(14)에 설치되기 위한 설치판(21)과,
    적어도 하나의 램프(17)를 보유하기 위해 상기 제1 표면(21a)에 대향하는 상기 설치판(21)의 제2 표면에 구비된 복수의 램프 보유부(23)를 포함하는 램프 보유 지지구에 있어서,
    파지부(24)는 상기 설치판의 상기 제2 표면 및 상기 램프 보유부(23)들 사이에 위치되며, 램프 보유부(23)보다 더 큰 상기 설치판(21)으로부터의 측정 높이 치수를 가지며, 설치판(21)을 상기 램프 설치 부재의 기부(14)에 착탈할 때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설치판(21)의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걸림부(22)는 램프 설치 부재에 구비된 설치 구멍(14a) 내로 삽입되어 램프 설치 부재의 이면의 주연에 걸림 가능하며,
    상기 걸림부(22)와 상기 파지부(24)는 서로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22)와 상기 파지부(24) 사이에는 설치판(21)이 배치되고, 또한 상기 걸림부(22)가 상기 램프 보유부(23)의 이면 위치보다도 상기 파지부(24)의 이면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보유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는, 설치판(21)의 면방향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램프 보유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는 상기 파지부(24)와 동심이 되는 램프 보유 지지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17)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광학 부재(15)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램프 보유 지지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4)는 핀 형상을 갖는 램프 보유 지지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4)는 끝이 가는 형상을 갖는 램프 보유 지지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보유 지지구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며 백색 표면을 갖는 램프 보유 지지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램프 보유 지지구(20)와, 적어도 하나의 램프(17)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9. 제8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장치와, 표시 패널(11)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장치와, 액정 패널(11)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기부(14)를 포함하는 램프 설치 부재와,
    램프 보유 지지구(20)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며,
    상기 램프 보유 지지구(20)는,
    제1 표면(21a)에서 상기 램프 설치 부재의 상기 기부(14)에 설치된 설치판(21)과,
    적어도 하나의 램프(17)를 보유하기 위해 상기 제1 표면(21a)에 대향하는 상기 설치판(21)의 제2 표면에 구비된 복수의 램프 보유부(23)와,
    상기 설치판(21)의 상기 제2 표면 및 상기 램프 보유부(23)들의 사이에 위치되며, 램프 보유부(23)보다 더 큰 상기 설치판(21)으로부터의 측정 높이 치수를 가지며, 설치판(21)을 상기 램프 설치 부재의 기부(14)에 착탈할 때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 파지부(24)와,
    상기 설치판(21)의 상기 제1 표면(21a)으로부터 돌출되며, 램프 설치 부재에 구비된 설치 구멍(14a) 내로 삽입되어 램프 설치 부재의 이면의 주연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또한, 복수의 램프 보유부(23)에 보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17)로부터 광을 전송하는 액정 패널(11)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22)와 상기 파지부(24)는 서로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22)와 상기 파지부(24) 사이에는 설치판(21)이 배치되고, 또한 상기 걸림부(22)가 상기 램프 보유부(23)의 이면 위치보다도 상기 파지부(24)의 이면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는, 설치판(21)의 면방향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67027568A 2004-11-30 2005-11-08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KR100878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7325 2004-11-30
JP2004347325 2004-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247A KR20070047247A (ko) 2007-05-04
KR100878389B1 true KR100878389B1 (ko) 2009-01-13

Family

ID=3656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568A KR100878389B1 (ko) 2004-11-30 2005-11-08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461958B2 (ko)
EP (1) EP1818608B1 (ko)
JP (1) JP3927229B2 (ko)
KR (1) KR100878389B1 (ko)
CN (2) CN101644848B (ko)
DE (1) DE602005011851D1 (ko)
WO (1) WO20060594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47U (ko) * 2018-02-13 2019-08-21 민광기 등기구 커버 체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11851D1 (de) 2004-11-30 2009-01-29 Sharp Kk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lampe, hintergrundbeleuchtung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mit der halterungsvorrichtung, anzeigvorrichtung mit halterungsvorrichtung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der hintergrundbeleuchtungs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EP1801493B1 (en) * 2004-11-30 2009-05-06 Sharp Kabushiki Kaisha Lamp holder, illu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using the lamp holder, display device using th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llu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US7850324B2 (en) * 2004-12-28 2010-12-14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chassis, 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KR101306003B1 (ko) * 2006-01-03 2013-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4221440B2 (ja) * 2006-07-06 2009-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
JP4544221B2 (ja) * 2006-09-05 2010-09-15 船井電機株式会社 ランプホルダ及びランプホルダ取付構造
JP4600375B2 (ja) * 2006-09-25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ランプ保持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383998B1 (ko) * 2007-02-22 2014-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고정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JP5076637B2 (ja) * 2007-05-22 2012-11-21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
JP2008304535A (ja) * 2007-06-05 2008-12-1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TWM324219U (en) * 2007-06-13 2007-1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Direct-type backlight module
CN201138410Y (zh) * 2007-10-12 2008-10-22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JP5254591B2 (ja) * 2007-10-25 2013-08-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CN101487944B (zh) * 2008-01-18 2010-12-2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5194033B2 (ja) * 2008-01-22 2013-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RU2453764C2 (ru) * 2008-01-22 2012-06-20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Держатель лампы, монтажный элемент,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телевизионное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946121B (zh) * 2008-02-18 2013-03-06 夏普株式会社 底座组件、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WO2009107512A1 (ja) * 2008-02-27 2009-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282289B1 (ko) * 2008-02-28 201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
WO2009122615A1 (ja) * 2008-04-04 2009-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
CN101952640B (zh) * 2008-04-10 2012-08-22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用背光源
KR101312684B1 (ko) * 2008-04-28 201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가이드와 그 액정표시장치 모듈
JP2010080195A (ja) * 2008-09-25 2010-04-08 Sharp Corp ランプ着脱方法、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US8430554B2 (en) * 2008-11-05 2013-04-30 Sharp Kabushiki Kaisha Support unit,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TWI354747B (en) * 2008-11-18 2011-1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amp holder
BRPI0921364A2 (pt) * 2008-11-28 2015-12-29 Sharp Kk dispositivo de iluminação, dispositivo de exibição e receptor de televisão
KR101312212B1 (ko) * 2009-07-02 2013-09-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US20130027910A1 (en) * 2010-04-14 2013-01-31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30070166A1 (en) * 2010-06-18 2013-03-21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CN101893216B (zh) * 2010-07-14 2012-03-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块的灯管支撑架
CN202631895U (zh) * 2012-05-23 2012-1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的背光固定结构
CN203863300U (zh) * 2014-06-11 2014-10-08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模组对合平台
JP6613574B2 (ja) * 2015-02-12 2019-12-04 岩崎電気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126A (ja) * 2000-01-31 2001-08-03 Sharp Corp ランプホルダ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2268573A (ja) 2001-03-09 2002-09-20 Stanley Electric Co Ltd 面光源用電線の配置構造
JP2003346541A (ja) 2002-05-27 2003-12-05 Sharp Corp 光源支持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0532A (en) 1961-06-12 1965-10-05 Gen Motors Corp Illumination and mounting means
JPS5139095Y2 (ko) 1972-03-06 1976-09-24
JPS5124822B2 (ko) 1972-04-11 1976-07-27
JPS5433944A (en) 1978-08-05 1979-03-13 Kojima Press Kogyo Kk Securing tool
US4870484A (en) 1983-05-13 1989-09-26 Seiko Epson Corporation Color display device using light shutter and color filters
JPS6045481U (ja) 1983-09-05 1985-03-30 北川工業株式会社 電線束クランプ
JPS6068154U (ja) 1983-10-12 1985-05-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ーにおける開閉操作用ロッドの保持具
DE3343080C2 (de) 1983-11-29 1986-06-19 Brökelmann, Jaeger & Busse GmbH & Co, 5760 Arnsberg Stützhalter für einseitig gesockelte Leuchtstofflampen
JPS60167284A (ja) 1984-02-10 1985-08-30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シ−ルド電線用電気コネクタと該電気コネクタにシ−ルド電線を接続する方法
JPH0661734B2 (ja) 1985-08-01 1994-08-17 昭和プレハブ株式会社 窓枠および建築装飾材を備えた建築材の製造方法
JPH0183908U (ko) 1987-11-27 1989-06-05
JPH0695110A (ja) 1991-03-07 1994-04-08 Nec Corp 液晶用バックライ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モジュール
JP2520051Y2 (ja) 1992-02-07 1996-12-1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Ledホルダ装置
JP2548467Y2 (ja) 1992-10-22 1997-09-2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管状ランプのランプホルダ
DE4307604B4 (de) 1993-03-10 2004-12-30 Bjb Gmbh & Co.Kg Halterung für eine Leuchte
JPH08291881A (ja) 1995-04-21 1996-11-05 Mitsubishi Motors Corp 保持クリップ
JPH10326517A (ja) * 1997-05-23 1998-12-08 Tama Electric Co Ltd 背面照光装置
JPH11329040A (ja) 1998-05-12 1999-11-30 Tama Electric Co Ltd 背面照光装置
JP2001041207A (ja) 1999-07-28 2001-02-13 Daiwa Kasei Ind Co Ltd クリップ
US6558024B2 (en) 1999-11-30 2003-05-06 Rohm Co., Ltd. Casing of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339563B1 (en) 2000-02-01 2008-03-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gh performance switchable polarizers for optical projection displays and circuits for driving the polarizers
JP2002311418A (ja) 2001-04-17 2002-10-23 Nec Corp 液晶表示装置
US6641281B2 (en) 2002-04-09 2003-11-04 Teco Image Systems Co., Ltd. Lamp tube support structure
JP4338434B2 (ja) 2002-06-07 2009-10-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過型2次元光変調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露光装置
JP3967968B2 (ja) 2002-06-14 2007-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支持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936895B2 (ja) * 2002-07-04 2007-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I246574B (en) 2002-07-22 2006-01-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Illuminating device and tube-like lamp thereof
JP2004139871A (ja) 2002-10-18 2004-05-13 Sharp Corp 照明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984533B2 (ja) * 2002-11-05 2007-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184760B2 (ja) 2002-11-07 2008-11-19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蛍光灯ホルダ
JP2004207196A (ja) 2002-12-20 2004-07-22 Hitachi Lighting Ltd 蛍光灯器具
KR100937704B1 (ko) 2003-02-12 2010-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JP4222081B2 (ja) 2003-03-31 2009-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TW591300B (en) * 2003-06-19 2004-06-1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KR100959685B1 (ko) * 2003-10-07 2010-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고정 어셈블리
KR100965183B1 (ko) 2003-12-30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US6974221B2 (en) 2003-12-30 2005-12-13 Au Optronics Corporation Support for backlight module
TWI246575B (en) 2004-06-08 2006-01-01 Chi Lin Technology Co Ltd Lamp tube retaining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KR101189265B1 (ko) 2004-06-14 2012-10-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US20050281039A1 (en) 2004-06-22 2005-12-22 Peter Yeh Warning light with a replaceable lamp
JP3653273B2 (ja) 2004-06-29 2005-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ランプホルダ、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I285280B (en) 2004-07-15 2007-08-11 Au Optronics Corp Wire mount and backlight module utilizing the same
KR101041053B1 (ko) 2004-07-21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WO2006059413A1 (ja) 2004-11-30 2006-06-08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EP1801493B1 (en) 2004-11-30 2009-05-06 Sharp Kabushiki Kaisha Lamp holder, illu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using the lamp holder, display device using th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llu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WO2006059463A1 (ja) 2004-11-30 2006-06-08 Sharp Kabushiki Kaisha ランプ保持具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20090154140A1 (en) 2004-11-30 2009-06-18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DE602005011851D1 (de) 2004-11-30 2009-01-29 Sharp Kk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lampe, hintergrundbeleuchtung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mit der halterungsvorrichtung, anzeigvorrichtung mit halterungsvorrichtung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der hintergrundbeleuchtungs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WO2006073033A1 (ja) 2005-01-06 2006-07-13 Sharp Kabushiki Kaisha 光源保持具、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0445841C (zh) 2005-12-16 2008-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126A (ja) * 2000-01-31 2001-08-03 Sharp Corp ランプホルダ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2268573A (ja) 2001-03-09 2002-09-20 Stanley Electric Co Ltd 面光源用電線の配置構造
JP2003346541A (ja) 2002-05-27 2003-12-05 Sharp Corp 光源支持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47U (ko) * 2018-02-13 2019-08-21 민광기 등기구 커버 체결 장치
KR200490724Y1 (ko) 2018-02-13 2019-12-20 민광기 등기구 커버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27229B2 (ja) 2007-06-06
EP1818608B1 (en) 2008-12-17
EP1818608A4 (en) 2007-09-12
CN100549509C (zh) 2009-10-14
USRE43992E1 (en) 2013-02-12
EP1818608A1 (en) 2007-08-15
WO2006059465A1 (ja) 2006-06-08
US7461958B2 (en) 2008-12-09
CN101036023A (zh) 2007-09-12
JPWO2006059465A1 (ja) 2008-06-05
DE602005011851D1 (de) 2009-01-29
US20070070652A1 (en) 2007-03-29
CN101644848B (zh) 2011-05-11
CN101644848A (zh) 2010-02-10
KR20070047247A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389B1 (ko)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KR100796888B1 (ko) 램프 보유 지지구, 램프 보유 지지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7677757B2 (en) Lamp holder,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4206415B2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00208161A1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452723B2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598007B2 (ja) ランプ保持具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194033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00321926A1 (en)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WO2009093394A1 (ja) ランプ保持具、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090231510A1 (en) Lamp holder, and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uch lamp holder
WO2009093392A1 (ja) ランプ保持具、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09206032A (ja) ランプ保持具、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WO2009093390A1 (ja) ランプ保持具、被取付部材、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