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888B1 - 램프 보유 지지구, 램프 보유 지지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보유 지지구, 램프 보유 지지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888B1
KR100796888B1 KR1020067027788A KR20067027788A KR100796888B1 KR 100796888 B1 KR100796888 B1 KR 100796888B1 KR 1020067027788 A KR1020067027788 A KR 1020067027788A KR 20067027788 A KR20067027788 A KR 20067027788A KR 100796888 B1 KR100796888 B1 KR 10079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base
contact
display devic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252A (ko
Inventor
히로끼 아즈마
다쯔야 구다리
요시끼 다까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9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the support means engaging the vessel of the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계지부를 갖는 설치판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에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램프 보유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계지부는 베이스에 제공된 설치 구멍에 삽입되어 그 이면측의 주연에 계지될 수 있다. 설치시 베이스 측으로 돌출하여 베이스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는 베이스와의 대향면인 설치판의 하면에 제공된다. 접촉부는 계지부 중 하나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3부분에 제공된다. 설치시, 각 접촉부가 베이스에 접촉되어 설치판이 휘도록 탄성 변형됨으로써, 계지부의 계지면이 그 탄발력에 의해 설치 구멍의 이면측의 주연 에지에 계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베이스, 설치판, 계지부, 접촉부, 백라이트 장치

Description

램프 보유 지지구, 램프 보유 지지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AMP HOLDING APPARATUS,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램프 보유 지지구, 램프 보유 지지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액정 패널은 자발광하지 않으므로, 별도로 외부 램프로서 백라이트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백라이트 장치는, 액정 패널의 이면측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대략적으로는 금속제로 액정 패널측의 면이 개방된 베이스와, 램프로서 베이스 내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냉음극관과, 베이스의 개구 부분에 배치되어 냉음극관이 발하는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패널측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다수매의 광학 부재류(확산 시트 등)를 구비하는 동시에, 가늘고 긴 관형을 이루는 냉음극관을 베이스에 대해 보유 지지하기 위한 램프 클립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램프 클립의 일 예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1012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램프 클립은 합성 수지제로 제조되고, 베이스의 내면에 따라 배치되는 설치판과, 설치판으로부터 베이스측으로 돌출하여 베이스의 설치 구멍 내에 삽입되어 그 주연에 계지 가능한 계지부와, 설치판으로부터 계지부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여 냉음극관의 주위면을 둘러싸도록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램프 보유 지지부와, 램프 보유 지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판으로부터 돌출하는 핀을 포함한다. 핀은 램프 보유 지지부보다 더 넓은 범위까지 돌출하기 때문에, 랩프 클립이 베이스에 설치될 때 작업자는 핀을 파지하여 설치 작업을 수행한다.
삭제
그런데, 램프 클립은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제품마다 그 크기에 다소 변동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그 오차를 고려하여 설치판에 있어서의 베이스와의 대향면과, 계지 돌기에 있어서의 베이스와의 대향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베이스의 판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간극에 기인하여 설치한 램프 클립이 베이스에 대해 덜걱거리는 것이 우려되고 있었다.
덜걱거림을 줄이기 위한 한 선택 사양은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계지부는 설치판에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베이스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삽입된다. 계지부는 설치판에서 돌출하도록 베이스측에 대향하는 돌기를 추가로 제공하고, 돌기를 탄성 변형시켜 돌기를 압축시킴으로써 탄발력을 보충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돌기의 압축에 의해 얻어지는 탄성 반발력은 매우 작기 때문에, 이러한 돌기가 램프 보유 지지구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베이스 부재에 대한 램프 보유 지지구의 덜걱거림이 충분히 흡수되고 방지될 수 없다.
삭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베이스 부재에 대한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램프 보유 지지구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램프 보유 지지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설치판과, 설치판으로부터 베이스 부재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베이스 부재에 마련된 설치 구멍 내에 삽입되어 그 이면측의 주연에 계지 가능한 계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설치판에 있어서의 상기 베이스 부재와의 대향면 중, 상기 계지부를 끼운 적어도 2군데, 혹은 복수 있는 계지부 사이의 적어도 1군데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설치시에 베이스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램프 보유 지지구를 베이스 부재에 설치하면 계지부가 설치 구멍 내에 삽입되어 그 이면측의 주연에 계지되는 동시에, 설치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촉부가 베이스 부재에 대해 접촉된다. 그런데, 램프 보유 지지구는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제품마다 크기에 변동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고, 그에 기인하여 설치 상태에서는 설치판과 베이스 부재와의 사이에 변동에 따른 간극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접촉부가 베이스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접촉부들 사이의 설치판이 계지부와 설치 구멍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단계, 특성 및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4는 램프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5는 램프 클립의 바닥면도이다.
도6은 베이스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7은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8은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의 다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다.
도11B는 본 발명의 다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12A는 본 발명의 다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다.
도12B는 본 발명의 다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13A는 본 발명의 다른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 클립을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다.
도13B는 본 발명의 다른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 클립을 베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
12 : 백라이트 장치(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4 : 베이스(베이스 부재)
14a : 설치 구멍
17 : 냉음극관(램프)
20 : 램프 클립(램프 보유 지지구)
21 : 설치판
21a : 하면(대향면)
22 : 계지부
35, 36 : 접촉부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8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백라이트 장치(12)에 이용되는 램프 클립(20)에 대해 예시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하고, 좌우 방향 에 대해서는 도3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액정 표시 장치(10)의 전체의 개요를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대략적으로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액정 패널(11)과, 외부 광원인 백라이트 장치(12)를 구비하고, 이들이 베젤(bezel)(13)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표시 패널인 액정 패널(11)은 한 쌍의 유리 기판이 소정의 갭을 둔 상태에서 부착되는 동시에, 양 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구성이 된다. 한쪽 유리 기판에는, 서로 직교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TFT)가, 다른 쪽 유리 기판에는 R, G, B의 화소 전극이 각각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백라이트 장치(12)에 대해 설명한다. 백라이트 장치(12)는 상면측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대략 상자형을 이루는 금속제의 베이스(14)와, 베이스(14)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재(15)(도시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확산판, 확산 시트, 렌즈 시트, 광학 시트)와, 이들 광학 부재(15)를 베이스(14)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6)과, 베이스(14) 내에 수용되는 램프인 냉음극관(17)과, 냉음극관(17)의 양단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고무제(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제)의 홀더(18)와, 냉음극관(17)군 및 홀더(18)군을 일괄하여 덮는 램프 홀더(19)와, 냉음극관(17)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제외한 도중의 부분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램프 클립(20)을 구비한다.
냉음극관(17)은 일방향으로 가늘고 긴 관형을 이루고 있고, 그 길이 방향(축선 방향)을 베이스(14)의 긴 변 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또한 다수개(도1에서는 18개) 서로 평행하게 나열한 상태에서 베이스(14)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냉음극관(17)의 외경 치수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대략 3 mm 내지 대략 4 mm이지만, 제조상의 오차 또는 필요에 따라 공차 범위 내에서 증감하는 경우가 있다.
램프 클립(20)은, 합성 수지제(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제)로 되어 있고, 베이스(14)의 바닥부의 벽면에 부착되는 설치판(21)을 구비하고, 이 설치판(21)에 계지부(22), 램프 보유 지지부(23) 및 핀(24) 등을 설치한 구성이 된다. 램프 클립(20)은 각 냉음극관(17)을 길이 방향으로 다른 2군데 또는 3군데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14)에 대해 복수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램프 클립(20) 전체의 표면은 냉음극관(17)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사태가 생기기 어려워지도록, 예를 들어 백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설치판(21)은, 베이스(14)의 짧은 변 방향[냉음극관(17)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판(21)의 하면(21a)[베이스(14)와의 대향면, 베이스(14)에 대한 피착면]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계지부(22)가 하방[베이스(14)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계지부(22)는 설치판(21)에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양 계지부(22)는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대해 설치판(21)의 양단부 위치로부터 대략 등거리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서는 모두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계지부(22)는 설치판(21)의 하면(21a)으로부터 수직 설치된 베이스부(25)와, 베이스부(25)의 선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상방[베이스부(25)로부터 이격하면서 설치 판(21)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 계지편(26)으로 구성된다. 베이스부(25)는 설치판(21)에 짧은 변 방향에 따라 가늘고 긴 바닥면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도5). 양 탄성 계지편(26)은, 베이스부(25)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양 측면에 연결된 외팔보형으로 형성되고, 그 연결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베이스부(25)에 대해 접촉 분리하는 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해진다. 이 계지부(2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4)에 있어서의 대응 위치에 관통하여 마련된 각 설치 구멍(14a)에 대해 삽입 가능해지고, 탄성 계지편(26)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형성된 단차부가 설치 구멍(14a)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주연에 대해 계지 가능해져, 이곳이 베이스(14)에 대한 계지면(26a)으로 되어 있다(도8).
이 탄성 계지편(26)의 계지면(26a)과 설치판(21)의 하면(21a)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양면(21a, 26a) 사이의 거리는 램프 클립(20)의 제조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베이스(14)의 판 두께 치수보다도 약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양면(21a, 26a) 사이의 거리는 램프 클립(20)의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공차 범위 내에서 증감한다고 하는 사정이 있지만, 상기와 같은 설정으로 함으로써 양면(21a, 26a) 사이의 거리가 공차 범위의 최소치였던 경우라도 베이스(14)의 판 두께 치수와 같은 정도가 되어 베이스(14)에의 설치가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설치판(21)의 상면[냉음극관(17)과의 대향면, 베이스(14)의 개구부측의 면]에는, 냉음극관(17) 중 길이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도중 부분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램프 보유 지지부(23)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총 3개의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위치로부터 등거리씩 떨어진 위치[상세하게는, 계지부(22)보다도 외측 부근의 위치]와, 대략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서는 모두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냉음극관(17)의 주위면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냉음극관(17)의 착탈을 허용하기 위해 상방으로 개방된 유단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근원 부분이 연결된 한 쌍의 아암부(27)를 구비하고, 양 아암부(27)가 설치판(2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설치된 연결부(28)에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냉음극관(17)을 설치판(21)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린 위치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 아암부(27)는 근원 부분이 대개 수평 방향에 따라 외측(서로 반대측)으로 돌출한 후, 내향으로 비스듬히 상방(서로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하는 외팔보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칭 형상이 된다. 양 아암부(27)는 선단부끼리의 간격이 냉음극관(17)에 있어서의 공차 범위의 최소의 외경 치수보다도 더욱 좁은 간격으로 되어 있고, 이 간극을 통해 냉음극관(17)의 착탈이 허용되는 동시에 그 착탈에 수반하여 탄성적으로 개방 변형 가능(선단부 사이의 간극을 넓히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양 아암부(27)의 선단부의 외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외향 경사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가이드부(2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 가이드부(29)의 내면은 모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면(29a)으로 되어 있고, 양 가이드면(29a) 사이의 거리는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고 있다. 즉, 램프 보유 지지부(23)에 있어서의 냉음극관(17)에 대한 수납 폭이 설치 방향 전방측일수록 점차 증가하므로, 냉음극관(17)의 설치가 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양 가이드면(29a)은 서로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 아암부(27)의 내주면은, 근원 부분과 양 선단부 부근에 형성된 3개의 완만한 원호면(30, 31)을 구비하고 있고, 각 원호면(30, 31)의 가상 접선끼리를 연결하면 정삼각형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각 원호면(30, 31)은 모두 냉음극관(17)의 주위면보다도 완만하게 형성되고, 환언하면 각 원호면(30, 31)의 곡률은 모두 냉음극관(17)의 주위면의 곡률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원호면(30, 31) 중 양 아암부(27)의 선단부측의 양 원호면(30)에 대해서는 그 선단부가 냉음극관(17)에 대해 주위 방향에 대해 점 접촉 가능한 점 접촉부(32)가 되고, 근원측의 원호면(31)에 대해서는 그 중앙부가 냉음극관(17)에 대해 주위 방향에 대해 점 접촉 가능한 점 접촉부(33)가 되어 있다. 양 아암부(27)의 선단부측의 양 점 접촉부(32)는 냉음극관(17)을 상방, 즉 냉음극관(17)의 제거 방향으로부터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양 아암부(27)의 근원 부분의 원호면(31)은, 그 주위 방향의 중앙 부분이 가장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되는 냉음극관(17)을 중앙 위치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설치 상태에서는 냉음극관(17)의 굵기에 따라 다르지만, 각 점 접촉부(32, 33)가 이등변 삼각형 또는 정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도8 참조). 또한, 아암부(27)에 있어서의 선단부측의 원호면(30)과 상기한 가이드면(29a)과의 연결 부분에 대해서는 둥근 형상이 된다.
또한, 이 램프 보유 지지부(23)는 설치되는 냉음극관(17)의 굵기가 공차 범위의 최소치였던 경우라도 설치 상태에서는 양 아암부(27)가 탄성적으로 약간 개방 변형하는 동시에, 각 점 접촉부(32, 33)가 냉음극관(17)의 주위면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하여 덜걱거림 없이 보유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양 아암부(27)에 있어서의 내주면[냉음극관(17)과의 대향면]에는, 각각 오목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오목부(34)는 아암부(27)의 내주면 중 인접하는 각 원호면(30, 31)과의 사이[아암부(27) 중 선단부와 근원 부분, 즉 연결부(28)에 대한 연결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각 원호면(30, 31)보다도 급한(곡률이 비교적 큰, 곡률 반경이 비교적 작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4)는 아암부(27)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주위 방향의 중앙 부분일수록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7)의 오목부(34)가 마련된 부분에 있어서의 외주면[냉음극관(17)과의 대향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아암부(27)가 오목부(34)에 의해 움푹 패인만큼 외측, 즉 냉음극관(17)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팽출(膨出)하여 형성되고, 이에 의해 아암부(27)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대개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7)는 오목부(34)가 마련된 부분 중 근원측의 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개방 변형, 즉 선단부가 냉음극관(17)의 주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휘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령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아암부(27)의 탄발력, 환언하면 아암부(27)를 개방 변형시키는 데 필요한 조작력이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27)는, 오목부(34)를 마련한 부분이 외측으로 팽출하는만큼 근원 부분으로부터 자유 단부인 선단부까지의 연면 거리(아암 길이)가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1)의 상면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부재(15)에 접촉 가능한 핀(24)이 상방[램프 보유 지지부(23)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핀(24)은 선단부가 둥글게 된 대략 원뿔 형상(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의해 광학 부재(15)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핀(24)의 높이 치수는 램프 보유 지지부(23)보다도 크고, 예를 들어 3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에 설치할 때에는 작업자는 이 핀(24)을 파지하여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핀(24)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단부의 램프 보유 지지부(23)와 중앙의 램프 보유 지지부(23)의 중간 위치이며, 또한 계지부(22)의 이면측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설치판(21)의 면 방향에 대해 계지부(22)의 일부와 겹쳐지는 듯한 배치로도 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판(21)의 하면(21a)[베이스(14)와의 대향면]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시에 베이스(14)의 상면[설치판(21)과의 대향면]에 대해 접촉 가능한 접촉부(35, 36)가 하방[베이스(14)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35, 36)는 설치판(21)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중앙 위치와, 양단부 위치 부근의 3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각 접촉부(35, 36)는 모두 단면 형상이 궁형, 환언하면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에 관하여 중앙 부분이 가장 팽창된 원호형의 외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접촉부(35, 36)는, 각각 계지부(22)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중앙의 접촉부(35)와 좌측 단부의 접촉부(36)는 좌측의 계지부(22)를 사이에 둔 2위치에 배치되고, 중앙의 접촉부(35)와 우측 단부의 접촉부(36)는 우측의 계지부(22)를 사이에 둔 2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중앙의 접촉부(35)는,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서도 중앙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베이스(14)에 대해 점 접촉 가능한 구관형(球冠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35)는 설치판(21)의 하면(21a)에 있어서 좌우로 나열된 2개의 계지부(22)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면측의 중앙의 램프 보유 지지부(23)의 이면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 램프 보유 지지부(23)와 동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양단부의 접촉부(36)는 모두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14)에 대해 동일 방향에 대해 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양 접촉부(36)는 모두 설치판(21)의 전체 폭에 걸친 길이를 갖고 있다. 양 접촉부(36)는 설치판(21)에 있어서 양단부의 램프 보유 지지부(23)보다도 더욱 단부 부근의 위치이고, 또한 설치판(21)의 양단부 위치로부터 등거리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판(21)의 하면(21a)에 있어서 각 접촉부(35, 36)는 대칭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판(21)으로부터의 각 접촉부(35, 36)의 돌출량은 대략 동일하고, 램프 클립(20)의 제조상 발생되는 오차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계지부(22)에 있어서의 계지면(26a)과 설치판(21)의 하면(21a) 사이의 거리에는 공차 범위 내에서 제품마다 변동이 생기는 것이지만, 각 접촉부(35, 36)의 돌출량은 상기 거리의 공차 범위의 최대치로부터 베이스(14)의 판 두께 치수를 뺀 값, 즉 설치판(21)과 베이스(14)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최대치보다도 약간 커지 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에 설치하였을 때, 계지부(22)의 계지면(26a)과 설치판(21)의 하면(21a) 사이의 거리가 공차 범위의 어떠한 값이었다고 해도 각 접촉부(35, 36)가 베이스(14)의 상면에 대해 접촉되는 동시에, 설치판(21)은 각 접촉부(35, 36)가 설치된 부분을 지지점으로서 휘도록 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단부의 접촉부(36)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는 베이스(14)에 마련된 위치 결정 구멍(14b)에 대해 끼워 맞춤 가능한 위치 결정 핀(37)이 설치되어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램프 클립(20)의 이면측[베이스(14)와의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계지부(22) 및 접촉부(35, 36)는 대칭 배치가 되어 있는 데 반해, 표면측의 램프 보유 지지부(23) 및 핀(24)은 비대칭 배치가 되어 있으므로, 베이스(14)에 대해 램프 클립(20)을 실수로 역방향으로 설치하는 사태가 우려된다. 그런데, 이 위치 결정 핀(37)은 램프 클립(20)을 베이스(14)에 설치할 때에 설치판(21)이 정방향이었을 때에는 위치 결정 구멍(14b) 내에 끼워 맞추어지지만, 역방향이었던 경우에는 위치 결정 구멍(14b)과는 부정합이 되어 설치를 규제할 수 있으므로 잘못된 설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조이며, 계속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액정 패널(11)을 제조하는 한편, 백라이트 장치(12)의 조립 부착 작업을 행한다. 백라이트 장치(12)의 조립 부착에 있어서는, 우선 베이스(14)에 대해 각 램프 클립(20)을 설치하는 작업을 행한다.
도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램프 클립(20)의 핀(24)을 파지하는 동시에, 각 계지부(22)를 베이스(14)의 각 설치 구멍(14a)에 대해 또한 위치 결정 핀(37)을 위치 결정 구멍(14b)에 대해 각각 정합시키면서 설치판(21)을 베이스(14)의 상면에 압박하도록 한다. 그러면, 각 계지부(22)가 대응하는 각 설치 구멍(14a)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위치 결정 핀(37)이 위치 결정 구멍(14b)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계지부(22)가 설치 구멍(14a)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양 탄성 계지편(26)이 설치 구멍(14a)의 표면측 주연에 결합됨으로써 일단 베이스부(25)에 접근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소정 깊이까지 설치판(21)을 압입한 시점에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촉부(35, 36)가 베이스(14)의 상면에 대해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양 탄성 계지편(26)은 탄성 변형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설치판(21)은 베이스(14)로부터 약간 부유한 위치가 되어 양자(14, 21) 사이에 접촉부(35, 36)의 돌출량만큼의 간극이 비워져 있다. 그리고, 또한 설치판(21)을 압입하면, 설치판(21)은 각 접촉부(35, 36)가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는 베이스(14)에 의해 압입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므로, 그 규제 부위에 끼워진 부분이 규제 부위를 지지점으로서 궁형으로 휘도록 하여 탄성 변형된다. 양 탄성 계지편(26)의 계지면(26a)이 각각 베이스(14)의 이면측에 도달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계지편(26)이 복원되는 동시에, 그 계지면(26a)이 설치 구멍(14a)의 이면측의 주연에 대해 계지된다. 이 때, 설치판(21)의 하면(21a)과 탄성 계지편(26)의 계지면(26a) 사이에서 베이스(14)가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설치판(21) 중 각 접촉부(35, 36)를 설치한 부분이 베이스(14)로부터 부유한 위치에서 지지되는 데 반해, 계지부(22)를 설치한 부분이 베이스(14)측으로 접근하도록 휘도록 하여 탄성 변형되어 있으므로, 양 계지부(22)는 각각 상방, 즉 제거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각 탄성 계지편(26)의 계지면(26a)은 설치판(21)의 탄발력에 의해 베이스(14)에 있어서의 설치 구멍(14a)의 이면측의 주연부에 대해 밀접한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따라서 램프 클립(20)이 베이스(14)에 대해 상하로 덜걱거리는 일 없이 설치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각 접촉부(35, 36)의 돌출량은 램프 클립(20)의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설치판(21)과 베이스(14)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최대치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램프 클립(20)을 제조할 때에 생기는 오차에 의해 탄성 계지편(26)의 계지면(26a)과 설치판(21)의 하면(21a) 사이의 거리가 공차 범위의 어떠한 값으로 변동되었다고 해도, 설치판(21)의 휨 상태(변형량)가 다소 변화되지만, 각 접촉부(35, 36)는 반드시 베이스(14)의 상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설치판(21)은 휘도록 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조상의 오차에 상관없이 램프 클립(20)에 덜걱거림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설치 상태에 있어서는, 설치판(21)의 양단부에 배치한 양 접촉부(36)는 모두 베이스(14)의 상면에 대해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 선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각 접촉부(35, 36)에 의해 설치판(21)은 베이스(14)로부터 부분적으로 부유한 상태로 설치되지만, 그 설치판(21)의 부유한 부분이 베이스(14)와의 사이에 생긴 간극에 의해 짧은 변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하여 덜걱거리는(변위되 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베이스(14)에 대해 각 램프 클립(20)을 설치하면, 계속해서 냉음극관(17)을 설치하는 작업을 행한다. 냉음극관(17)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부에 홀더(18)가 장착됨으로써 2개가 1세트로 통합된 상태에서 램프 클립(20)으로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램프 보유 지지부(23)의 양 가이드부(29)에 가이드시키면서 냉음극관(17)을 하방을 향해 압입하면, 양 아암부(27)는 오목부(34)가 마련된 부분에 있어서의 근원측 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개방 변형하는 동시에, 양 선단부 사이의 간극이 확대됨으로써 냉음극관(17)의 진입이 허용된다. 그리고, 냉음극관(17)이 양 아암부(27)의 선단부 사이를 통과하면, 도8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아암부(27)가 소정 위치까지 폐쇄되는 동시에 각 점 접촉부(32, 33)가 냉음극관(17)의 주위면에 접촉함으로써 냉음극관(17)이 3점 지지된다. 이 냉음극관(17)의 굵기는,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공차 범위 내에서 증감하지만, 양 아암부(27)에 있어서의 냉음극관(17)과의 대향면에 오목부(34)을 마련하도록 하였으므로, 양 아암부(27)에 생기는 탄발력이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가는 냉음극관(17)에 대해서는 덜걱거림 없이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비교적 굵은 냉음극관(17)에 대해서는 착탈에 필요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보유 지지 상태에서 아암부(27)의 탄발력에 의해 냉음극관(17)을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출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즉 작업성이나 보유 지지 성능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모든 냉음극관(17)을 설치하면, 램프 홀더(19)를 설 치하는 동시에 광학 부재(15), 프레임(16)의 순으로 베이스(14)에 조립 부착함으로써 백라이트 장치(12)가 형성된다. 이 백라이트 장치(12)와 액정 패널(11)을 베젤(13)에 의해 일체적으로 조립 부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10)가 형성된다(도1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판(21)에 있어서의 베이스(14)와의 대향면인 하면(21a) 중, 각 계지부(22)를 사이에 둔 3군데에 베이스(14)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설치시에 베이스(14)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35, 36)를 설치하고, 그 돌출량에 대해 램프 클립(20)의 제조상의 오차에 의해 설치판(21)과 베이스(14)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도 접촉부(35, 36)가 베이스(14)에 접촉하여 설치판(21)에 휨을 발생시키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설치판(21)에 탄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계지부(22)를 설치 구멍(14a)의 이면측의 주연부에 계지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베이스(14)와의 사이에서 덜걱거림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 접촉부(36)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설치판(21)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양단부 위치에 한 쌍 배치되어 있으므로, 설치판(21)에 덜걱거림을 발생시키는 것을 보다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 접촉부(36)는 베이스(14)에 대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설치판(21)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 선 접촉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령 접촉부를 베이스에 대해 점 접촉시킨 것과 비교하면, 덜걱거림이 생기는 것을 보다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램프 클립(20)을 합성 수지제로 하였으므로, 제조가 용이해지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램프 클립(20)의 표면을 백색으로 하였으므로, 가령 램프 클립을 흑색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램프 클립(20) 자체가 냉음극관(17)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사태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냉음극관(17)을 점등시켜 액정 표시 장치(10)를 표시시켰을 때, 핀(24)이 시청자에게 시인되기 어려워지므로(휘도 등의 저하가 방지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10)의 표시 성능이 양호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기술된 양호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하의 양호한 실시예 및 변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삭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판(21)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접촉부(36)가 베이스(14)에 대해 선 접촉하는 형상으로 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1)의 양단부에 베이스(14)에 대해 점 접촉 가능한 접촉부(36A)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접촉부(36A)는 설치판(21)의 양단부 부분에 있어서,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따라 서로 이격된 2군데씩, 총 4개 배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14)에 대해 설치판(21)이 짧은 변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하여 덜걱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6A)는, 도9에서는 중앙의 접촉부(35)와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판(21)의 중앙의 접촉부(35)가 베이스(14)에 대해 점 접촉하는 형상으로 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35B)를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따라 연장하는 형태로 하여 베이스(14)에 대해 동일 방향에 대해 선 접촉해도 좋다. 또한 접촉부(35B)는, 도10에서는 양단부의 접촉부(36)와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판(21)의 3군데에 접촉부(35, 36)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의 긴 변 방향의 중앙 위치, 즉 2개의 계지부(22) 사이에 접촉부(35C)를 1개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35C)를 지지점으로 하여 설치판(21)에 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11A 및 도11B에서는 베이스(14)에 대해 점 접촉하는 접촉부(35C)를 도시하였지만,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 선 접촉하는 형태의 접촉부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계지부(22)가 2개 구비된 램프 클립(20)을 예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22D)를 1개만 구비한 램프 클립(20)에 있어서 그 계지부(22D)를 사이에 둔 2군데에 각각 접촉부(36D)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접촉부(36D)를 지지점으로 하여 설치판(21)에 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12A 및 도12B에서는 베이스(14)에 대해 점 접촉하는 접촉부(36D)를 도시하였지만,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 선 접촉하는 형태의 접촉부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계지부(22)가 2개 구비된 램프 클립(20)을 예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22E)를 3개 구비한 램프 클립(20)에 있어서 각 계지부(22E)에 끼워진 2군데에 접촉부(35E)를 설치하는 동시에, 설치판(21)의 긴 변 방향의 양단부 위치의 2군데에 접촉부(36E)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촉부(35E, 36E)를 지지점으로 하여 설치판(21)에 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13A 및 도13B에서는 접촉부(35E)가 베이스(14)에 점 접촉하는 형태로 하였지만,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에 대해 선 접촉하는 형태로 해도 좋고, 반대로 접촉부(36E)에 대해 베이스(14)에 대해 점 접촉하는 형태로 해도 좋다. 또한, 설치판(21)에 휨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어느 하나의 접촉부(35E, 36E)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형태 이외에도, 계지부를 4개 이상 구비한 램프 클립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판(21)으로부터의 접촉부(35, 36)의 돌출량에 대해, 설치판(21)과 베이스(14)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최대치보다도 커지는 설정으로 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접촉부의 돌출량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설치판(21)과 베이스(14)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최대치와 같은 정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접촉부가 베이스(14)에 접촉함으로써 설치판(21)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접촉부(35)의 직경 치수나 접촉부(36)의 선 폭·선 길이 등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접촉부(35, 36)의 형상에 대해서는 구관형이나 반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설치판(21)에 있어서의 각 접촉부(35, 36)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설치판의 이면측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비대칭 형상으로 변경해도 상관없다.
계지부(22)의 형태에 대해,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판으로부터 수직 설치된 베이스부의 선단부로부터 계지 돌기를 측방으로 돌출시킨 형태로 해도 좋고, 또한 그 밖에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설치판(21)의 형상에 대해,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이나 원형으로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램프로서 냉음극관(17)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열음극관 등 다른 종류의 램프를 이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대략 상자형의 베이스(14)에 램프 클립(20)을 설치한 백라이트 장치(12)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주위벽을 제거한 판형의 베이스에 대해 램프 클립(20)을 설치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램프 클립(20)이 백색인 경우를 포함하였지만, 램프 클립(20)은 무색 투명 또는 반투명(semitransparent and semi-opaqu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램프 클립(20)이 냉음극관(17)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투과하기 쉬워져, 광이 차단되거나 반사되는 사태가 한층 더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냉음극관(17)을 점등시켜 액정 표시 장치(10)를 표시시켰을 때, 핀(24)이 시청자에게 시인되기 어려워지므로(휘도 등의 저하가 방지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10)의 표시 성능이 한층 더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램프 클립(20)의 색에 대해 상기 이외의 색으로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램프 클립(20)을 합성 수지 재료로 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그 이외의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램프 클립(20)의 소재는, 합성 수지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종류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합성 수지 재료나, 합성 수지 재료 이외의 소재를 이용한 경우에도, 램프 클립(20)의 색은 백색, 무색 투명 및 반투명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FT 이외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컬러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이외에도, 흑백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냈지만, 액정 이외에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하는 다른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상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변형예 및 변경예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Claims (17)

  1. 베이스 부재에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램프 보유 지지구이며,
    제1 표면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설치판(21)과,
    계지부(22)로서, 상기 설치판(21)의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베이스부(25)와, 베이스부(25)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계지부(22)가 상기 설치판(21)에 상기 베이스 부재(14)를 계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14)의 설치 구멍(14a)에 삽입될 때,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형성된 설치 구멍(14a)의 주연에 계지되는 계지면(26a)을 포함하는 탄성 계지편(26)을 포함하는 계지부(22)를 포함하는 램프 보유 지지구에 있어서,
    제2 표면에 대향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대면하는 상기 설치판(21)의 제1 표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35)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35)는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접촉되어 상기 계지부(35)가 상기 설치판(21)에 상기 베이스 부재(14)를 계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제공된 설치 구멍(14a)에 삽입될 때, 상기 베이스 부재(14)와 상기 설치판(21) 사이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보유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상기 제1 및 제2 표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상기 계지부(2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램프 보유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35)는 상기 계지부(22)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인가되는 힘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대해 힘을 인가하는 램프 보유 지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4) 및 상기 설치판(21)의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 결정 핀(3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 핀(37)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22)가 상기 설치판(21)의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거리보다 긴 거리만큼 상기 설치판(21)의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램프 보유 지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22)의 대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부(35)를 더 포함하는 램프 보유 지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길이를 따라 단부 위치에 위치되는 램프 보유 지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을 따라 적어도 2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램프 보유 지지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보유 지지구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백색 표면을 갖는 램프 보유 지지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램프 보유 지지구와,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길이를 따라 단부 위치에 위치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을 따라 적어도 2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2. 제9항에 따른 표시 장치(10)용 조명 장치(12)와, 표시 패널(11)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길이를 따라 단부 위치에 위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을 따라 적어도 2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제9항에 따른 표시 장치(10)용 조명 장치(12)와, 액정 패널(11)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길이를 따라 단부 위치에 위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설치판(21)의 짧은 변 방향을 따라 적어도 2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4)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7027788A 2004-11-30 2005-11-08 램프 보유 지지구, 램프 보유 지지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796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7324 2004-11-30
JP2004347324 2004-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252A KR20070047252A (ko) 2007-05-04
KR100796888B1 true KR100796888B1 (ko) 2008-01-22

Family

ID=3656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788A KR100796888B1 (ko) 2004-11-30 2005-11-08 램프 보유 지지구, 램프 보유 지지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7540650B2 (ko)
EP (1) EP1801493B1 (ko)
JP (2) JPWO2006059464A1 (ko)
KR (1) KR100796888B1 (ko)
CN (1) CN101002051B (ko)
DE (1) DE602005014374D1 (ko)
WO (1) WO2006059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1493B1 (en) * 2004-11-30 2009-05-06 Sharp Kabushiki Kaisha Lamp holder, illu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using the lamp holder, display device using th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llu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DE602005011851D1 (de) 2004-11-30 2009-01-29 Sharp Kk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lampe, hintergrundbeleuchtung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mit der halterungsvorrichtung, anzeigvorrichtung mit halterungsvorrichtung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der hintergrundbeleuchtungs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KR101310374B1 (ko) * 2006-08-18 2013-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JP2008108627A (ja) * 2006-10-26 2008-05-08 Sharp Corp クリップ及び光源装置
JP5254591B2 (ja) * 2007-10-25 2013-08-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1405595B1 (ko) * 2007-12-18 2014-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모듈 접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JP5194033B2 (ja) * 2008-01-22 2013-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1946121B (zh) * 2008-02-18 2013-03-06 夏普株式会社 底座组件、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CN101952640B (zh) * 2008-04-10 2012-08-22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用背光源
KR101312684B1 (ko) * 2008-04-28 201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가이드와 그 액정표시장치 모듈
US20110103040A1 (en) * 2008-05-29 2011-05-05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9295493A (ja) * 2008-06-06 2009-12-17 Sharp Corp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0061676A1 (ja) * 2008-11-27 201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047933B2 (ja) * 2008-12-05 2012-10-10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0073774A1 (ja) * 2008-12-25 2010-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472451B (zh) * 2009-07-29 2014-04-23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US8313213B2 (en) * 2009-08-12 2012-11-20 Cpumate Inc. Assembly structure for LED lamp
JP2011060582A (ja) * 2009-09-10 2011-03-24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のバックライト装置
JP5331214B2 (ja) * 2010-02-02 2013-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TWI396906B (zh) * 2010-03-04 2013-05-2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
WO2011148694A1 (ja) * 2010-05-25 2011-12-0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485685B2 (en) * 2010-06-17 2013-07-1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amp fastener thereof
CN101893216B (zh) * 2010-07-14 2012-03-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块的灯管支撑架
CN102809134B (zh) * 2011-06-03 2014-11-2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灯具及灯具安装结构
CN202631895U (zh) * 2012-05-23 2012-1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的背光固定结构
KR20160006285A (ko) * 2014-07-08 2016-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273156B1 (en) * 2015-03-18 2020-11-18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EP3511617B1 (en) * 2016-09-09 2021-10-27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10914985B2 (en) * 2017-02-09 2021-02-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upport pin
JP6945148B2 (ja) 2017-02-09 2021-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サポートピン
CN110471222B (zh) * 2019-08-27 2022-04-0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曲面显示模组和曲面显示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02466A (ko) 1972-04-11 1973-12-22
KR920002982A (ko) * 1990-07-25 1992-02-28 칼레로 라이팅 피엘씨 램프 조립체
JPH08139158A (ja) * 1994-11-08 1996-05-31 Tokyo Electron Ltd 処理装置
KR970052320A (ko) * 1995-12-21 1997-07-29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JPH10326517A (ja) 1997-05-23 1998-12-08 Tama Electric Co Ltd 背面照光装置
JP2001210126A (ja) 2000-01-31 2001-08-03 Sharp Corp ランプホルダ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2268573A (ja) 2001-03-09 2002-09-20 Stanley Electric Co Ltd 面光源用電線の配置構造
JP2003346541A (ja) 2002-05-27 2003-12-05 Sharp Corp 光源支持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9095Y2 (ko) * 1972-03-06 1976-09-24
JPS6068154U (ja) 1983-10-12 1985-05-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ーにおける開閉操作用ロッドの保持具
DE3343080C2 (de) * 1983-11-29 1986-06-19 Brökelmann, Jaeger & Busse GmbH & Co, 5760 Arnsberg Stützhalter für einseitig gesockelte Leuchtstofflampen
JPS60167284A (ja) 1984-02-10 1985-08-30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シ−ルド電線用電気コネクタと該電気コネクタにシ−ルド電線を接続する方法
JPS623006U (ko) 1985-06-24 1987-01-09
JPH0183908U (ko) 1987-11-27 1989-06-05
JP2520051Y2 (ja) 1992-02-07 1996-12-1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Ledホルダ装置
DE4307604B4 (de) * 1993-03-10 2004-12-30 Bjb Gmbh & Co.Kg Halterung für eine Leuchte
JPH11329040A (ja) 1998-05-12 1999-11-30 Tama Electric Co Ltd 背面照光装置
US6558024B2 (en) * 1999-11-30 2003-05-06 Rohm Co., Ltd. Casing of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936895B2 (ja) 2002-07-04 2007-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984533B2 (ja) 2002-11-05 2007-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184760B2 (ja) 2002-11-07 2008-11-19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蛍光灯ホルダ
TWI315008B (en) * 2003-06-11 2009-09-21 Innolux Display Corp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591300B (en) * 2003-06-19 2004-06-1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US6974221B2 (en) * 2003-12-30 2005-12-13 Au Optronics Corporation Support for backlight module
KR100965183B1 (ko) * 2003-12-30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JP4072519B2 (ja) * 2004-06-18 2008-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用照明装置
TWI290255B (en) * 2004-07-09 2007-11-21 Au Optronics Corp Lamp holder
TWI285280B (en) * 2004-07-15 2007-08-11 Au Optronics Corp Wire mount and backlight module utilizing the same
EP1801493B1 (en) * 2004-11-30 2009-05-06 Sharp Kabushiki Kaisha Lamp holder, illu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using the lamp holder, display device using th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llu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DE602005011851D1 (de) * 2004-11-30 2009-01-29 Sharp Kk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lampe, hintergrundbeleuchtung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mit der halterungsvorrichtung, anzeigvorrichtung mit halterungsvorrichtung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der hintergrundbeleuchtungs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TWI254175B (en) * 2005-01-19 2006-05-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s
CN100437282C (zh) * 2005-10-21 2008-1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其灯管夹持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02466A (ko) 1972-04-11 1973-12-22
KR920002982A (ko) * 1990-07-25 1992-02-28 칼레로 라이팅 피엘씨 램프 조립체
JPH08139158A (ja) * 1994-11-08 1996-05-31 Tokyo Electron Ltd 処理装置
KR970052320A (ko) * 1995-12-21 1997-07-29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JPH10326517A (ja) 1997-05-23 1998-12-08 Tama Electric Co Ltd 背面照光装置
JP2001210126A (ja) 2000-01-31 2001-08-03 Sharp Corp ランプホルダ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2268573A (ja) 2001-03-09 2002-09-20 Stanley Electric Co Ltd 面光源用電線の配置構造
JP2003346541A (ja) 2002-05-27 2003-12-05 Sharp Corp 光源支持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09498B2 (en) 2011-03-22
CN101002051B (zh) 2012-05-30
JP2007207769A (ja) 2007-08-16
US20070070651A1 (en) 2007-03-29
JPWO2006059464A1 (ja) 2008-06-05
DE602005014374D1 (de) 2009-06-18
EP1801493A4 (en) 2008-02-20
US7540650B2 (en) 2009-06-02
EP1801493A1 (en) 2007-06-27
KR20070047252A (ko) 2007-05-04
US8038336B2 (en) 2011-10-18
US20100097787A1 (en) 2010-04-22
US20090207587A1 (en) 2009-08-20
US20120262908A1 (en) 2012-10-18
US8376605B2 (en) 2013-02-19
US20110134357A1 (en) 2011-06-09
US7658534B2 (en) 2010-02-09
EP1801493B1 (en) 2009-05-06
WO2006059464A1 (ja) 2006-06-08
CN101002051A (zh)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888B1 (ko) 램프 보유 지지구, 램프 보유 지지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878389B1 (ko)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US8087813B2 (en) Lamp holder,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841417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659720B2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WO2006049040A1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WO200909336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4598007B2 (ja) ランプ保持具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080316387A1 (en) Liquid crystal module
US20100321927A1 (en) Lamp holder, illumina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09093394A1 (ja) ランプ保持具、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090231510A1 (en) Lamp holder, and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uch lamp holder
WO2009093393A1 (ja) ランプ保持具、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070068117A (ko) 몰드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2008116494A (ja) 液晶表示装置
JP2008059909A (ja) 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