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212B1 -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212B1
KR101312212B1 KR1020117031055A KR20117031055A KR101312212B1 KR 101312212 B1 KR101312212 B1 KR 101312212B1 KR 1020117031055 A KR1020117031055 A KR 1020117031055A KR 20117031055 A KR20117031055 A KR 20117031055A KR 101312212 B1 KR101312212 B1 KR 10131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hassis
led
light source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083A (ko
Inventor
야스모리 구로미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12)는, 광원인 LED(17)와, LED(17)가 실장되는 LED 기판(18)과, LED 기판(18)에 있어서 LED(17)와 동일한 측의 실장면(18a)에 실장되는 실장 부품인 커넥터(25)와,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LED(17) 및 커넥터(25)의 실장면(18a) 측에 배치됨과 함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21)인 섀시용 반사 시트(22)와,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실장면(18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부(2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LIGH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ING EQUIPMENT}
본 발명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액정 패널은, 자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조명 장치로서 백라이트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백라이트 장치는, 액정 패널의 이면측(표시면과는 반대측)에 설치되게 되어 있고, 액정 패널측의 면이 개구된 섀시와, 섀시 내에 수용되는 광원과, 섀시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어 광을 섀시의 개구부 측에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와, 섀시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광원이 발하는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패널측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광학 부재(확산 시트 등)를 구비한다. 상기한 백라이트 장치의 구성부품 중, 광원으로서 예를 들면 LED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섀시 내에 LED를 실장한 LED 기판을 수용하게 된다.
또한, 광원으로서 LED를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1 : 일본 특허 공개 2007-317423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LED 기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대화면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LED 기판을 복수매 직렬 접속해서 이용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각 LED 기판에 커넥터를 실장함과 함께, 인접하는 LED 기판의 커넥터끼리를 접속하도록 한다. 여기서, LED 기판에 있어서 커넥터를 LED와 동일한 실장면에 실장하면, 다음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커넥터는, LED 기판의 실장면 사이에 단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실장면을 따라 섀시 내의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시트를 배치하면, 반사 시트가 커넥터에 올라타거나 해서 반사 시트에 변형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었다. 반사 시트가 변형하면, 반사되는 광에 얼룩이 생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백라이트 장치로부터의 출사광에 휘도 얼룩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에 기초해서 완성된 것으로서, 출사광에 얼룩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실장되는 광원 기판과, 상기 광원 기판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동일한 측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실장 부품과, 상기 광원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광원 및 상기 실장 부품의 실장면 측에 배치됨과 함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광원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반사 부재는, 광원 기판에 있어서의 광원 및 실장 부품의 실장면 측에 배치됨과 함께, 그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실장 부품은, 광원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실장면 사이에 단차를 발생시키고 있지만, 실장면 측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지지부에 의해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고 있으므로, 반사 부재에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반사 부재에서 반사되는 광에 얼룩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광원 기판은, 광원 및 실장 부품이 동일한 측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소위 한쪽 면 실장 타입의 것이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저렴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반사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반사 부재에 실장 부품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그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구멍을 통하여 실장 부품이 노출되게 되기 때문에, 광 반사율의 균일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 점,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 부재에 구멍을 형성하는 일없이, 반사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 반사율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양태로서, 다음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1)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실장 부품에 있어서의 상기 광원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에 의해 실장 부품에 대하여 반사 부재를 비접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장 부품에 기인해서 반사 부재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반사 부재의 평탄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2)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실장 부품에 있어서의 상기 광원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면과 동일 평면(같은 높이의 면)이 되는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에 의해 반사 부재의 평탄성을 유지하면서도, 광원 기판과 반사 부재 사이에 벌어지는 간격을 필요 최소한에 그치게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넓어질수록, 반사 부재에서 광이 반사되고나서 출사할 때까지의 광로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반사 부재에 약간의 변형이 생겨 있어도 그것이 휘도 얼룩으로 되기 쉬워지는 경향으로 된다. 그 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간격이 필요 최소한으로 되므로, 반사 부재에서 광이 반사되고나서 출사할 때까지의 광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반사 부재에 다소의 변형이 생겨 있어도, 그것이 휘도 얼룩으로는 되기 어려워진다.
(3)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광원 기판 및 상기 반사 부재가 수용되는 섀시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섀시 내에 수용되는 광원 기판의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직접적으로, 또는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되거나 해서 간접적으로 개구부로부터 출사된다.
(4)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섀시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섀시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지지부에 의해, 반사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가령, 지지부를 광원 기판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면, 광원 기판과 섀시 사이에 생길 수 있는 조립 오차 등에 의해, 지지부에 있어서의 반사 부재에 대한 지지 위치가 변동될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변동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5)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섀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지지부를 섀시와는 별체로 한 경우와 비교하면,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저코스트로 지지부를 설치할 수 있다.
(6) 상기 지지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 기판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기판 중첩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광원 기판에는, 상기 기판 중첩 지지부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판 중첩 지지부를 관통 구멍에 통과시킴으로써, 광원 기판을 그 판면을 따르는 방향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7) 상기 지지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 기판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기판 비중첩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기판 비중첩 지지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 기판을 사이에 끼운 위치에 적어도 한 쌍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원 기판을 사이에 끼워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기판 비중첩 지지부에 의해 반사 부재를 지지함으로써, 반사 부재의 평탄성을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8) 상기 기판 비중첩 지지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외연부를 따라 복수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원 기판의 외연부를 따라 복수 병렬 배치되는 기판 비중첩 지지부에 의해 반사 부재의 평탄성을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9) 상기 기판 비중첩 지지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외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원 기판의 외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형태의 기판 비중첩 지지부에 의해 반사 부재의 평탄성을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10)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광원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실장면에 겹쳐서 배치되는 기판용 반사 부재와, 상기 섀시의 내면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상기 기판용 반사 부재보다도 상기 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섀시용 반사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섀시용 반사 부재를 상기 기판용 반사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섀시용 반사 부재를 기판용 반사 부재에 있어서의 개구부측의 면에 겹쳐서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면, 실장 부품과 기판용 반사 부재 사이에 생기는 단차에 기인해서 섀시용 반사 부재에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섀시용 반사 부재에서 반사되고나서 개구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얼룩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11) 상기 섀시와의 사이에 상기 광원 기판을 끼워 유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기판 보유 지지 부재와 섀시 사이에 실장 부품이 실장된 광원 기판을 끼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부재에 대한 실장 부품의 위치 관계를 보다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12) 상기 기판 보유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판 보유 지지 부재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지지부에 의해, 반사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13) 상기 반사 부재 중,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과 중첩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구멍부를 통해서 출사 가능하게 된다. 광원 기판에 있어서의 광원의 실장면 측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가 광 출사의 방해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14) 상기 광원 기판 중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과 중첩되는 위치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면서 출사시키는 확산 렌즈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구멍부는, 적어도 상기 확산 렌즈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확산 렌즈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면서 출사시키고, 그 광을 구멍부에 통과시켜 출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휘도 얼룩의 방지에 한층 적합하게 된다.
(15)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확산 렌즈로부터 상기 광원 기판의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에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에 의해 확산 렌즈에 대하여 반사 부재를 확실하게 비접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산 렌즈에 기인해서 반사 부재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반사 부재의 평탄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16) 상기 구멍부는, 상기 확산 렌즈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되는 것에 대해,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멍부 내에 상기 확산 렌즈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반사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반사 부재를 확산 렌즈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한 경우와 비교하면, 광원 기판과 반사 부재 사이에 벌어지는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넓어질수록, 반사 부재에서 광이 반사되고나서 출사할 때까지의 광로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반사 부재에 약간의 변형이 생겨 있어도 그것이 휘도 얼룩으로 되기 쉬워지는 경향으로 된다. 그 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간격을 보다 좁게 할 수 있으므로, 반사 부재에서 광이 반사되고나서 출사할 때까지의 광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반사 부재에 다소의 변형이 생겨 있어도, 그것이 휘도 얼룩으로는 되기 어려워진다.
(17)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반사 부재를 끼워 유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보유 지지 부재와 지지부 사이에 반사 부재를 끼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장 부품에 대한 반사 부재의 위치 관계를 보다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18) 상기 지지부에는, 부착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구멍 설치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대해,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구멍 설치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반사 부재를 끼우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멍 설치 지지부 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부착 구멍을 통해서 그 구멍 가장자리에 계지(係止)되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구멍 설치 지지부의 부착 구멍에 통과시킨 고정부를 구멍 가장자리에 계지시킴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의 고정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 등의 다른 고정 수단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저코스트로 또한 용이하게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19)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구멍 설치 지지부 외에, 상기 부착 구멍을 갖지 않는 구멍 비설치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에는, 부착 구멍을 갖지 않는 구멍 비설치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부재 중 보유 지지 부재가 부착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도 지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부재의 평탄성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20) 상기 광원 기판은,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장 부품은, 인접하는 상기 광원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접속 부품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 부품에 기인해서 반사 부재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1) 상기 광원은, LED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고휘도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의 광을 이용해서 표시를 행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에 대하여 광을 공급하는 조명 장치가, 반사 부재의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그것에 따라 출사광에 휘도 얼룩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표시 품질이 우수한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표시 패널로서는 액정 패널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대형 화면용으로서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사광에 얼룩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가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섀시에 있어서의 LED 기판 및 각 보유 지지 부재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도 3의 v-v선 단면도.
도 6은 LED 기판 및 각 보유 지지 부재의 상세한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LED 기판의 평면도.
도 11은 LED 기판에 기판용 반사 시트 및 확산 렌즈를 부착한 상태(광원 유닛)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 13은 기판 보유 지지 부재의 저면도.
도 14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 15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의 저면도.
도 16은 섀시 내에 광원 유닛을 배치하고, 기판 보유 지지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섀시 내에 광원 유닛을 배치한 상태에서, 기판 보유 지지 부재 및 섀시용 반사 시트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6의 IX-IX선 단면도.
도 18은 섀시 내에 광원 유닛을 배치한 상태에서, 섀시용 반사 시트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6의 VII-VII선 단면도.
도 19는 섀시 내에 기판 보유 지지 부재 및 섀시용 반사 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시트 보유 지지 부재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6의 IX-IX선 단면도.
도 20은 섀시 내에 섀시용 반사 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시트 보유 지지 부재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6의 VII-VII선 단면도.
도 21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에 따른 섀시용 반사 시트의 지지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2에 따른 섀시용 반사 시트의 지지 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섀시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XXIV-XXIV선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기판 보유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도 1 내지 도 20에 의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에 대해서 예시한다. 또한, 각 도면의 일부에는 X축, Y축 및 Z축을 나타내고 있고, 각 축 방향이 각 도면에서 나타낸 방향이 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상측을 표면측으로 하고, 동일 도면 하측을 이면측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 장치 TV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와, 해당 액정 표시 장치(10)를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수용하는 표리 양쪽 캐비닛 Ca, Cb와, 전원 P와, 튜너 T와, 스탠드 S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10)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사각형(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종 배치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인 액정 패널(11)과, 외부 광원인 백라이트 장치(조명 장치)(12)를 구비하고, 이들이 틀 형상의 베젤(13)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면 사이즈가 42인치이고 종횡비가 16:9인 것을 예시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11) 및 백라이트 장치(12)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이 중, 액정 패널(표시 패널)(11)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한 쌍의 글래스 기판이 소정의 갭을 이격한 상태에서 접합됨과 함께, 양쪽 글래스 기판간에 액정이 봉입된 구성으로 된다. 한쪽의 글래스 기판에는, 서로 직교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TFT)와, 그 스위칭 소자에 접속된 화소 전극, 게다가 배향막 등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글래스 기판에는, R(적색), G(녹색), B(청색) 등의 각 착색부가 소정 배열로 배치된 컬러 필터나 대향 전극, 게다가 배향막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쪽 기판의 외측에는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백라이트 장치(12)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백라이트 장치(1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출사면측(액정 패널(11) 측)에 개구부(14b)를 가진 대략 상자형을 이루는 섀시(14)와, 섀시(14)의 개구부(14b)를 덮도록 해서 배치되는 광학 부재(15)군(확산판(광 확산 부재)(15a)과, 확산판(15a)과 액정 패널(1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시트(15b)), 섀시(14)의 외연부를 따라 배치되고 광학 부재(15)군의 외연부를 섀시(14)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프레임(16)을 구비한다. 또한, 섀시(14) 내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인 LED(17)(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와, LED(17)가 실장된 LED 기판(18)과, LED 기판(18)에 있어서 LED(17)에 대응한 위치에 부착되는 확산 렌즈(19)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섀시(14) 내에는, LED 기판(18)을 섀시(14) 사이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와, 섀시(14) 내의 광을 광학 부재(15) 측에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21)와, 반사 시트(21) 중 후술하는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유지 가능한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가 구비된다. 또한, 해당 백라이트 장치(12)에 있어서는, LED(17)보다도 광학 부재(15) 측이 광출사 측으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백라이트 장치(12)의 각 구성부품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섀시(14)는, 금속제로 되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11)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바닥판(14a)과, 바닥판(14a)의 각 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승하는 측판(14c)과, 각 측판(14c)의 상승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받이판(14d)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는 표면측을 향해서 개구된 얕은 대략 상자형(대략 얕은 접시 형상)을 하고 있다. 섀시(14)는, 그 긴 변 방향이 X축 방향(수평 방향)과 일치하고, 짧은 변 방향이 Y축 방향(연직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섀시(14)에 있어서의 각 받이판(14d)에는, 표면측으로부터 프레임(16) 및 다음에 설명하는 광학 부재(15)가 재치 가능하게 된다. 각 받이판(14d)에는, 프레임(16)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섀시(14)의 바닥판(14a)에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14e)가 개구해서 설치되어 있다. 부착 구멍(14e)은, 바닥판(14a)에 있어서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의 부착 위치에 대응해서 복수 분산 배치되어 있다.
광학 부재(1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11) 및 섀시(14)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보아 가로로 긴 사각형(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광학 부재(1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연부가 받이판(14d)에 재치됨으로써, 섀시(14)의 개구부(14b)를 덮음과 함께, 액정 패널(11)과 LED(17) 사이에 개재해서 배치된다. 광학 부재(15)는, 이면측(LED(17) 측, 광출사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확산판(15a)와, 표면측(액정 패널(11) 측, 광출사측)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15b)로 구성된다. 확산판(15a)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대략 투명한 수지제의 기재 내에 확산 입자를 다수 분산해서 설치한 구성으로 되고, 투과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광학 시트(15b)는, 확산판(15a)과 비교하면 판 두께가 얇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있고, 2매가 적층해서 배치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 광학 시트(15b)의 구체적인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확산 시트, 렌즈 시트, 반사형 편광 시트 등이 있고, 이들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1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11) 및 광학 부재(15)의 외주연부를 따르는 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프레임(16)과 각 받이판(14d) 사이에 광학 부재(15)에 있어서의 외연부를 협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4 및 도 5). 또한, 이 프레임(16)은, 액정 패널(11)에 있어서의 외연부를 이면측으로부터 받을 수 있고, 표면측에 배치되는 베젤(13)과의 사이에 액정 패널(11)의 외연부를 협지 가능하게 된다(도 4 및 도 5).
다음으로, LED(17) 및 LED(17)가 실장되는 LED 기판(18)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LED(17)는,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8)에 고착되는 기판부 상에 LED 칩을 수지재에 의해 밀봉한 구성으로 된다. 기판부에 실장되는 LED 칩은, 주 발광 파장이 1종류로 되고, 구체적으로는, 청색을 단색 발광하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그 한편, LED 칩을 밀봉하는 수지재에는, LED 칩으로부터 발하여진 청색의 광을, 백색의 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가 분산 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LED(17)는, 백색 발광이 가능하게 된다. 이 LED(17)는, LED 기판(18)에 대한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발광면(17a)이 되는, 소위 톱형으로 되어 있다. LED(17)에 있어서의 광축 LA는, Z축 방향(액정 패널(11) 및 광학 부재(15)의 주판면과 직교하는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또한, LED(17)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은, 광축 LA를 중심으로 해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삼차원적으로 어느 정도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것이지만, 그 지향성은 냉음극관 등과 비교하면 높게 되어 있다. 즉, LED(17)의 발광 강도는, 광축 LA를 따른 방향이 눈에 띄게 높고, 광축 LA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커짐에 따라 급격하게 저하하는 경향의 각도 분포를 나타낸다.
LED 기판(18)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기재를 갖고 있고, 긴 변 방향이 X축 방향과 일치하고, 짧은 변 방향이 Y축 방향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섀시(14) 내에 있어서 바닥판(14a)을 따라 연장하면서 수용되어 있다(도 3). LED 기판(18)의 기재는, 섀시(14)와 동일한 알루미늄계 재료 등의 금속제로 되고, 그 표면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동박 등의 금속막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또한, LED 기판(18)의 기재에 이용하는 재료로서는, 세라믹 등의 절연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 LED 기판(18)의 기재의 판면 중, 표면측을 향한 면(개구부(14b) 측의 면, 섀시(14)의 바닥판(14a)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의 LED(17)가 표면 실장되고, 여기가 실장면(18a)으로 된다. LED(17)는,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가 직선적으로 병렬해서 배치됨과 함께, LED 기판(18)에 형성된 배선 패턴에 의해 직렬 접속되어 있다. 각 LED(17)의 배열 피치는,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고, 즉 각 LED(17)는,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양단부에는, 커넥터(실장 부품)(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25)는, 상기 배선 패턴에 접속됨과 함께, 외부의 제어 회로에 대한 접속 기능 또는 인접하는 LED 기판(18) 사이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실장 부품으로서, LED(17)나 확산 렌즈(19)와 같이 광학 기능(발광 기능이나 광 확산 기능(도광 기능))을 갖는 광학 부품은 아니다. 즉, 커넥터(25)는, 전기적인 접속 부품의 일종으로서, 비광학 부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25)는, LED 기판(18)에 있어서 LED(17)와 동일한 측의 실장면(18a)에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LED 기판(18)은, 한쪽의 실장면(18a)에만 LED(17) 및 커넥터(25)가 실장된, 소위 한쪽 면 실장 기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쪽 면 실장 기판은, 양면 실장 기판과 비교하면, 특히 제조 코스트의 면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커넥터(25)는, LED(17)보다도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높이를 갖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LED 기판(18)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 내에 있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각각 복수씩, 서로 긴 변 방향 및 짧은 변 방향을 정렬한 상태로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즉, LED 기판(18) 및 거기에 실장된 LED(17)는, 섀시(14) 내에 있어서 모두 X축 방향(섀시(14) 및 LED 기판(18)의 긴 변 방향)을 행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섀시(14) 및 LED 기판(18)의 짧은 변 방향)을 열 방향으로 해서 행렬 배치(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LED 기판(18)은, 섀시(14) 내에 있어서 X축 방향에 3매씩, Y축 방향에 9매씩, 합계 27매가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LED 기판(18)으로서 긴 변 치수 및 실장되는 LED(17)의 수가 상이한 2종류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LED 기판(18)으로서는, 6개의 LED(17)가 실장되고, 긴 변 치수가 상대적으로 긴 6개 실장 타입의 것과, 5개의 LED(17)가 실장되고, 긴 변 치수가 상대적으로 짧은 5개 실장 타입의 것이 이용되고 있으며, 섀시(14)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양단 위치에 6개 실장 타입의 것이 1매씩, 동일 방향의 중앙 위치에 5개 실장 타입의 것이 1매,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따라서 배열해서 1개의 행을 이루는 각 LED 기판(18)은, 인접하는 커넥터(25)끼리가 끼워 맞춤 접속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섀시(14)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양단에 대응한 커넥터(25)가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제어 회로에 대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1개의 행을 이루는 각 LED 기판(18)에 배치된 각 LED(17)가 직렬 접속됨과 함께, 그 1개의 행에 포함되는 다수의 LED(17)의 점등·소등을 1개의 제어 회로에 의해 일괄하여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저코스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긴 변 치수 및 실장되는 LED(17)의 수가 상이한 종류의 LED 기판(18)이어도, 짧은 변 치수 및 LED(17)의 배열 피치는, 대략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긴 변 치수 및 실장되는 LED(17)의 수가 상이한 LED 기판(18)을 복수 종류 준비하고, 그들 서로 다른 종류의 LED 기판(18)을 적절하게 조합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화면 사이즈가 상이한 액정 표시 장치(10)를 다품종 제조하는 경우, 각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각 종류의 LED 기판(18)의 사용의 시비(是非) 및 종류마다의 LED 기판(18)의 사용 매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가령 섀시(14)의 긴 변 치수와 동등한 긴 변 치수를 갖는 전용 설계의 LED 기판을 화면 사이즈마다 준비한 경우와 비교하면, 필요한 LED 기판(18)의 종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따라서 제조 코스트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2종류의 LED 기판(18)(5개 실장 타입의 것 및 6개 실장 타입의 것) 외에, 8개의 LED(17)를 실장한 8개 실장 타입의 것을 추가하고, 그들 3종류의 LED 기판(18)을 적절하게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화면 사이즈가 예를 들면 26인치, 32인치, 37인치, 40인치, 42인치, 46인치, 52인치, 65인치로 되는 각 액정 표시 장치(10)의 제조에, 용이하게 저코스트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확산 렌즈(19)는, 대략 투명하고(높은 투광성을 갖고) 또한 굴절률이 공기보다도 높은 합성 수지 재료(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 등)로 이루어진다. 확산 렌즈(19)는, 도 7, 도 8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짐과 함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LED 기판(18)에 대하여 각 LED(17)를 표면측으로부터 개별로 덮도록, 즉 평면에서 보아 각 LED(17)와 중첩하도록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확산 렌즈(19)는, LED(17)로부터 발하여진 지향성이 강한 광을 확산시키면서 출사시킬 수 있다. 즉, LED(17)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확산 렌즈(19)를 개재하는 것에 의해 지향성이 완화되므로, 인접하는 LED(17) 사이의 간격을 넓게 취하여 그 사이의 영역이 암부로서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LED(17)의 설치 개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확산 렌즈(19)는, LED 기판(18)에 부착된 상태에서 커넥터(25)보다도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높이를 갖고 있다. 이 확산 렌즈(19)는, 평면에서 보아 LED(17)와 대략 동심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확산 렌즈(19)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치수가 모두 LED(17)보다도 충분히 큰 것으로 된다. 한편, 확산 렌즈(19)는, X축 방향의 치수가 LED 기판(18)보다 작지만, Y축 방향의 치수가 LED 기판(18)보다 큰 것으로 된다. 따라서, 확산 렌즈(19)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양단부는, LED 기판(18)보다도 Y축 방향에 대해서 외측으로 소정 치수씩 돌출하게 된다.
이 확산 렌즈(19) 중, 이면측을 향하여, LED 기판(18)과 대향하는 면이 LED(17)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19a)으로 되는 것에 대해, 표면측을 향하여, 광학 부재(15)와 대향하는 면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면(19b)으로 된다. 이 중, 광 입사면(19a)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는 LED 기판(18)의 판면(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병행하는 형태로 되지만, 평면에서 보아 LED(17)와 중첩되는 영역에 광 입사측 오목부(19c)가 형성됨으로써 경사면을 갖고 있다. 광 입사측 오목부(19c)는, 대략 원추형을 이룸과 함께 확산 렌즈(19)에 있어서 대략 동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면측, 즉 LED(17) 측을 향해서 개구하는 형태로 된다. 광 입사측 오목부(19c)는, LED(17) 측을 향한 개구 단부가 가장 직경 치수가 커서 LED(17)의 직경 치수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표면측으로 감에 따라 직경 치수가 연속적으로 점차 작아지고, 표면측의 단부에 있어서 최소로 된다. 광 입사측 오목부(19c)는, 단면이 대략 역 V자형을 이루고 있고, 그 주위면이 Z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된다. 경사면은, 그 표면측의 단부가 LED(17)의 광축 LA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LED(17)로부터 발하여져 광 입사측 오목부(19c) 내에 들어간 광은, 경사면을 거쳐서 확산 렌즈(19) 내에 입사하는 것이지만, 그 때 광축 LA에 대한 경사면의 경사 각도의 분만큼,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광각으로 굴절되어 확산 렌즈(19)에 입사한다.
확산 렌즈(19)에 있어서의 광 입사면(19a) 중, 광 입사측 오목부(19c)보다도 직경 방향의 외곽 근처의 위치에는, LED 기판(18) 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함께, LED 기판(18)에 대한 확산 렌즈(19)의 부착 구조로 되는 부착 다리부(19d)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 다리부(19d)는, 확산 렌즈(19) 중, 광 입사측 오목부(19c)보다도 외주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3개 배치되어 있고, 각 부착부를 연결한 선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삼각형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부착 다리부(19d)는, 그 선단부가 접착제 등에 의해 LED 기판(18)에 고착됨으로써, 확산 렌즈(19)를 LED 기판(18)에 대하여 부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확산 렌즈(19)는, 부착 다리부(19d)를 개재해서 LED 기판(18)에 고정됨으로써, 그 광 입사면(19a)과 LED 기판(18)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간극에는, 평면에서 보아 해당 확산 렌즈(19)보다도 외측의 공간으로부터의 광의 입사가 허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착 상태에서는, 광 입사측 오목부(19c) 내에는, LED(17)에 있어서의 LED 기판(18)으로부터의 돌출 선단부가 진입한 상태로 된다.
확산 렌즈(19)에 있어서의 광출사면(19b)은, 편평한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확산 렌즈(19)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외부의 공기층과의 계면에서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광각으로 굴절시키면서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광출사면(19b) 중 평면에서 보아 LED(17)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광출사측 오목부(19e)가 형성되어 있다. 광출사측 오목부(19e)는, 대략 뇌발 형상을 이룸과 함께, 그 주위면이 중심을 향해서 하행 구배로 되는 편평한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출사측 오목부(19e)에 있어서의 주위면의 접선이 LED(17)의 광축 LA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광 입사측 오목부(19c)의 경사면이 광축 LA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보다도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된다. 광출사면(19b) 중 평면에서 보아 LED(17)와 중첩되는 영역은, 다른 영역과 비교해서 LED(17)로부터의 광량이 극히 많아지는 영역이며, 휘도가 국소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으로 되지만, 거기에 상기한 광출사측 오목부(19e)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LED(17)로부터의 광의 대부분을 광각으로 굴절시키면서 출사시키거나, 혹은 LED(17)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LED 기판(18) 측에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출사면(19b) 중 LED(17)와 중첩되는 영역의 휘도가 국소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휘도 얼룩의 방지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반사 시트(21)에 대해서 설명한다. 반사 시트(21)는, 섀시(14)의 내면을 대략 전역에 걸쳐 덮는 크기의 섀시용 반사 시트(22)와, 각 LED 기판(18)을 개별로 덮는 크기의 기판용 반사 시트(23)로 이루어진다. 양쪽 반사 시트(22, 23)는, 모두 합성 수지제로 되고, 표면이 광의 반사성이 우수한 백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기판용 반사 시트(23)보다도 상대적으로 표면측(개구부(14b) 측, LED 기판(18)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먼저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대해서 설명한다.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내면을 따라 연장하는 것으로 되고, 그 중, 섀시(14)의 바닥판(14a)을 따라 연장하는 중앙측의 대부분이 본체부(22a)로 된다. 본체부(22a)에는, 섀시(14) 내에 배치된 각 확산 렌즈(19)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멍부(22b)가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2b)는, 본체부(22a)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각 확산 렌즈(19)와 중첩되는 위치에 복수 병렬해서 배치되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멍부(22b)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직경 치수는 확산 렌즈(19)보다도 커지는 설정으로 된다. 이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 내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확산 렌즈(19) 사이의 영역 및 외주측 영역을 덮으므로, 그들 각 영역을 향하는 광을 광학 부재(15) 측(개구부(14b) 측)을 향해서 반사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8) 중 평면에서 보아 비광학 부품인 커넥터(25)와 중첩되는 위치에도 배치됨과 함께, 커넥터(25)를 대략 전역에 걸쳐 표면측으로부터 덮고 있으므로, 커넥터(25)가 표면측(개구부(14b) 측)에 노출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25)의 표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있어서의 동광 반사율과 상이해도, 섀시(14) 내의 전체에 있어서의 광 반사율에 불균일이 생기는 일이 없어,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섀시용 반사 시트(22) 중 외주측 부분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측판(14c) 및 받이판(14d)을 피복하도록 상승하고, 받이판(14d)에 재치된 부분이 섀시(14)와 광학 부재(15)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또한, 섀시용 반사 시트(22) 중 본체부(22a)와, 받이판(14d)에 재치된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은, 경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기판용 반사 시트(23)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8)을 따라 연장하는 것으로 되고, LED 기판(18)과 대략 동일한 외형, 즉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용 반사 시트(2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면, 즉 LED(17)의 실장면(18a)에 겹치도록 배치됨과 함께 그 대략 전역을 표면측으로부터 덮도록 해서 배치된다. 그리고, 기판용 반사 시트(2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 렌즈(19)와 LED 기판(18) 사이에 개재하고 있고, 확산 렌즈(19)에 있어서의 광 입사면(19b)(LED(17) 측의 면)과 대향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기판용 반사 시트(23)는, 평면에서 보아, 표면측에 배치되는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형성된 구멍부(22b) 내에 배치되어 있고, 구멍부(22b) 내에 들어가는 광을 확산 렌즈(19) 측에 반사시킬 수 있다.
기판용 반사 시트(23)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변 치수가 LED 기판(18)과 대략 동일하게 되는 것에 대해, 짧은 변 치수가 LED 기판(18)보다도 큰 것으로 된다. 또한, 기판용 반사 시트(23)의 짧은 변 치수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 렌즈(19) 및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구멍부(22b)의 직경 치수보다도 큰 것으로 된다. 즉, 기판용 반사 시트(23)는, 확산 렌즈(19)와 대향하는 대략 전체 영역에 걸쳐 배치됨과 함께, 평면에서 보아 구멍부(22b) 내의 대략 전체 영역(평면에서 보아 확산 렌즈(19)와 구멍부(22b) 사이의 영역을 포함함)에 걸쳐 배치되고, 또한 구멍부(22b)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중첩하게 된다. 따라서, 확산 렌즈(19)에서 반사되어 LED 기판(18) 측으로 복귀되거나, 평면에서 보아 해당 확산 렌즈(19)보다도 외측의 공간으로부터 구멍부(22b) 내를 향하는 광에 대해서, 기판용 반사 시트(23)에 의해 거의 빠짐없이 다시 확산 렌즈(19) 측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휘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LED(17)의 설치 개수를 적게 해서 저코스트화를 도모한 경우라도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판용 반사 시트(23) 중,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각 LED(17)와 중첩되는 위치에는, 각 LED(17)를 통과시키는 LED 삽통 구멍(23a)이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용 반사 시트(23)에는, 각 확산 렌즈(19)에 있어서의 각부착 다리부(19d)를 통과시키는 다리부 삽통 구멍(23b)이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용 반사 시트(23)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양단부에는, 커넥터(25)를 통과시키는 커넥터 삽통 구멍(23d)이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기판용 반사 시트(23)는,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실장면(18a)에 겹쳐지면, LED(18), 확산 렌즈(19)의 부착 다리부(19d) 및 커넥터(25)가 각 구멍(23a, 23b, 23d) 내에 각각 진입함으로써, 상호의 간섭이 회피되고 있다.
계속해서,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 및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섀시(14)에 있어서의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바닥판(14a)의 면 내에 있어서, 복수개씩 병렬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는, 바닥판(14a)에 있어서 X축 방향(섀시(14) 및 LED 기판(18)의 긴 변 방향)을 행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섀시(14) 및 LED 기판(18)의 짧은 변 방향)을 열 방향으로 해서 복수씩 행렬 배치(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는, 각 LED 기판(18)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이고 또한 인접하는 확산 렌즈(19)(LED(17))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는, 이미 설명한 확산 렌즈(19) 및 LED(17)와 마찬가지의 배열로 되어 있다.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는, LED 기판(18)에 있어서 인접하는 확산 렌즈(19)(LED(17)) 사이의 영역에 1개씩 배치되어 있으므로, 확산 렌즈(19)(LED(17))와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는, 대략 X축 방향에 교대로 배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LED 기판(18)에 대하여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는, 4개씩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6개 실장 타입의 LED 기판(18)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확산 렌즈(19)(LED(17)) 사이의 영역 중, 긴 변 방향의 중앙 위치 이외에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가 배치되는 것에 대해, 5개 실장 타입의 LED 기판(18)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확산 렌즈(19)(LED(17)) 사이의 영역의 모두에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섀시(14) 내에 있어서 행렬 배치되는 각 보유 지지 부재(20, 24) 중,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구체적으로는 합계 14개)가 간헐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이외의 위치에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섀시(14) 내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중앙측 영역(5개 실장 타입의 LED 기판(18)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4개의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가 각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중앙 근처의 위치이고 또한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 형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섀시(14) 내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양단측 영역(6개 실장 타입의 LED 기판(18)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5개씩의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가 각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끝의 위치이고 또한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 형상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상에 의해,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가 섀시(14)의 바닥판(14a)의 면 내에 있어서 복수 적당하게 분산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는, 섀시(14) 내의 모든 LED 기판(18)에 부착되는 것에 대해,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는, 특정한 LED 기판(18)에만 대응한 위치에 부착된다.
계속해서, 먼저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용 보유 지지 부재(24)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 수지제로 되어 있고, 표면이 광의 반사성이 우수한 백색을 나타낸다.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는,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바닥판(14a) 및 LED 기판(18)의 판면을 따르는 본체부(20a)와, 본체부(20a)로부터 이면측, 즉 섀시(14) 측을 향해서 돌출해서 섀시(14)에 고정되는 고정부(20b)를 구비한다. 이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는, 전체적으로 Z축 방향을 따른 중심축을 대칭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체부(20a)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이룸과 함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서 대략 곧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20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직경 치수가 LED 기판(18)의 짧은 변 치수(Y축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된다. 그리고, 이 본체부(20a)는, LED 기판(18)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LED 기판(18)을 섀시(14)의 바닥판(14a)과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체부(20a)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8)의 표면측에 미리 기판용 반사 시트(23)를 배치한 상태에서 부착되므로, LED 기판(18)과 함께 기판용 반사 시트(23)를 일괄해서 끼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는, 기판용 반사 시트(23) 및 LED 기판(18)을 서로 적층한 상태에서 섀시(14)와의 사이에 협지(보유 지지) 가능하게 된다. 부착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20a)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면은, 확산 렌즈(19)보다도 이면측(LED 기판(18)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0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심이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방향의 중앙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부(20a)는, LED 기판(18)을 그 짧은 변 방향에 대해서 전체 길이에 걸쳐 섀시(14)와의 사이에 협지 가능하게 된다. 이 본체부(20a)의 직경 치수는, X축 방향에 인접하는 확산 렌즈(19)(LED(17)) 사이의 간격(배열 피치)보다도 작은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본체부(20a)는, LED 기판(18) 중 X축 방향에 인접하는 확산 렌즈(19)(LED(17)) 사이의 영역, 즉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비발광부에 배치되게 되고, LED(17)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일이 없다. 즉, 본체부(20a)가 LED(17)로부터의 발광의 방해로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확산 렌즈(19)를 이용함으로써 LED(17)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넓게 되어 있으므로, 그 공간을 이용해서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를 배치함과 함께 그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에 의해 LED 기판(18)의 고정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고정부(20b)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바닥판(14a)에 있어서의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의 부착 위치에 대응해서 형성된 부착 구멍(14e)를 관통하면서 바닥판(14a)에 대하여 계지 가능하게 된다. 이하, 고정부(20b)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부(20b)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0a)에 있어서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부(20b)는, 본체부(20a)와 대략 동심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20b)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0a)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면(섀시(14)와의 대향면)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함께, 그 선단부에 홈부(20b3)를 오목하게 설치함으로써 탄성 계지편(20b2)을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고정부(20b)는, 본체부(20a)로부터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기초부(20b1)와, 기초부(20b1)의 돌출 선단으로부터 다시 이면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탄성 계지편(20b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기초부(20b1)는,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직경 치수가 섀시(14)의 부착 구멍(14e)보다도 작고, 부착 구멍(14e)에의 삽입 관통이 허용되는 정도로 된다.
탄성 계지편(20b2)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홈부(20b3)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십자형으로 됨으로써, 4개로 나뉘어져 있다. 각 탄성 계지편(20b2)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캔틸레버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초부(20b1)로부터의 돌출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홈부(20b3) 내에 오므라들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즉, 홈부(20b3)가 각 탄성 계지편(20b2)의 휨 공간으로 되어 있다. 탄성 계지편(20b2)은, 도중에서 외측을 향해서(홈부(20b3)와는 반대측) 팽출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그 팽출 부분이 섀시(14)에 있어서의 부착 구멍(14e)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이면측으로부터 계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를 섀시(14)에 대하여 부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구멍(14e)은, 섀시(14)의 바닥판(14a)에 있어서, 각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의 부착 위치에 대응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서 복수씩 매트릭스 형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20b)가 설치된 본체부(20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전역이 LED 기판(18)과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배치로 된다. 따라서, 고정부(2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LED 기판(18)과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배치로 되고, 그 때문에 LED 기판(18)에는, 고정부(20b)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18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8b)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8) 중, 인접하는 LED(17)(확산 렌즈(19)) 사이의 위치, 즉 LED(17)(확산 렌즈(19))와는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0a)와 LED 기판(18) 사이에 끼워지는 기판용 반사 시트(23) 중, LED 기판(18)의 관통 구멍(18b)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8)의 관통 구멍(18b)에 연통함과 함께 고정부(20b)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관통 구멍(2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LED(18) 및 커넥터(25)가 동일한 실장면(18a)에 실장된, 한쪽 면 실장 타입의 LED 기판(18)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LED 기판(18)을 한쪽 면 실장 타입으로 하면, 다음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커넥터(25)는, LED 기판(18)의 실장면(18a) 상에 탑재되어 있어, 실장면(18a) 사이에 단차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가령 실장면(18a)에 겹쳐진 기판용 반사 시트(23)에 다시 겹치도록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배치하면, 섀시용 반사 시트(22)가 커넥터(25)에 재치되거나 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변형이 생기기 쉽게 되어 있었다. 섀시용 반사 시트(22)가 변형하면, 반사되는 광에 얼룩이 생기게 되어, 결과적으로 백라이트 장치(12)로부터의 출사광에 휘도 얼룩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커넥터(25)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이번에는 구멍을 통해서 커넥터(25)가 광출사측에 노출하게 되기 때문에, 구멍의 형성 영역만이 국소적으로 광 반사율이 저하하거나 해서 섀시(14) 내의 광 반사율의 균일성이 손상되고, 역시 백라이트 장치(12)로부터의 출사광에 휘도 얼룩이 생기거나, 혹은 휘도의 저하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섀시(14)에는,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이면측으로부터 소정 위치에 지지 가능한 지지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지지부(26)에 의해 LED 기판(18) 및 기판용 반사 시트(23)에 대한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Z축 방향(LED 기판(18) 및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판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관계를 규제 가능하게 된다. 지지부(26)는, 섀시(14)의 바닥판(14a)에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바닥판(14a)로부터 표면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26)에 있어서의 돌출 단부면이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이면측의 면(22c) (LED 기판(18) 측을 향한 면)에 대하여 접촉됨으로써,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이면측의 면(22c)이 LED 기판(18)의 실장면(18a) 및 거기에 겹쳐진 기판용 반사 시트(23)의 표면측의 면(23e)로부터 표면측에 소정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지지된다. 그것에 따라,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전체의 평탄성을 유지하면서도 기판용 반사 시트(23)의 표면측의 면(23e)(LED 기판(18)의 실장면(18a))으로부터 부유해서 비접촉 상태로 유지됨과 함께, 기판용 반사 시트(23)(LED 기판(18)) 사이에 간극 C가 보유되게 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지지부(26)는, 바닥판(14a)에 예를 들면 교축 가공을 실시하거나 함으로써, 바닥판(14a)을 부분적으로 표면측을 향해서 돌출시켜서 이루어진다. 지지부(26)에 있어서의 바닥판(14a)으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LED 기판(18)의 두께 치수에 확산 렌즈(19)의 높이 치수를 서로 더한 크기보다도 더욱 큰 것으로 된다. 즉, 지지부(26)의 돌출 단부면(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대한 지지면)은, LED 기판(18)의 실장면(18a)의 표면측에 배치된 각 부품(LED(17), 확산 렌즈(19), 기판용 보유 지지 부재(20), 기판용 반사 시트(23) 및 커넥터(25)) 중에서 가장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부품인 확산 렌즈(19)보다도 더욱 표면측으로 돌출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26)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LED 기판(18)의 실장면(18a)의 표면측에 배치된 각 부품(LED(17), 확산 렌즈(19), 기판용 보유 지지 부재(20), 기판용 반사 시트(23) 및 커넥터(25))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면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간극을 두고 떨어진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상기 각 부품에 대하여 재치되도록 해서 국소적으로 변형하는 것이 확실하게 회피되어 있다. 또한, 섀시용 반사 시트(22)와 기판용 반사 시트(23) 사이에 보유되는 간극 C에는, LED 기판(18)의 실장면(18a)의 표면측에 배치된 상기 각 부품이 모두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일없이 수용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확산 렌즈(19)보다도 상대적으로 표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형성되는 구멍부(22b)는, 섀시용 반사 시트(22)보다도 상대적으로 이면측에 배치되는 확산 렌즈(19)로부터의 출사광을 거의 차단하는 일없이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충분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다.
지지부(26)는, 돌출 기단측으로부터 돌출 선단측에 걸쳐서 점차로 직경 치수가 감소하는, 선단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원추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교축 가공에 의해 지지부(26)를 성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지지부(26)는, 바닥판(14a)으로부터 상승하는 주벽(26a)과, 주벽(26a)의 상승단에 배치되는 지지벽(26b)으로 구성된다. 주벽(26a)은 Z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대략 원통형을 이룬다. 지지벽(26b)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판면)을 따라 대략 곧은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대한 지지면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지지부(26)는, 섀시(14) 내에 있어서 복수가 분산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26)에는, 섀시(14) 내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2종류의 것이 있고,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대한 지지 기능만을 갖는 제1 지지부(26A)와, 상기 지지 기능 외에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유지하기 위한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를 부착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도 갖는 제2 지지부(2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지지부(26)를 구별하는 경우에는, 제1 지지부의 부호에 첨자 A를, 제2 지지부의 부호에 첨자 B를 붙이고, 구별하지 않고 총칭하는 경우에는, 부호에 첨자를 붙이지 않는 것으로 된다.
제1 지지부(26A)는, 도 3, 도 6, 도 8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바닥판(14a) 중,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18)과는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부(26A)는, 바닥판(14a)에 있어서, Y축 방향에 대해서 인접하는 LED 기판(18) 사이의 영역에 배치됨과 함께, Y축 방향, 즉 LED 기판(18)의 긴 변 측의 외연부를 따라 복수가 간헐적으로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지지부(26A)는, 바닥판(14a)에 있어서, Y축 방향에 대해서, 각 LED 기판(18)에 재치된 각 기판용 반사 시트(23) 사이의 영역(기판용 반사 시트(23)와는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부(26A)는, 평면에서 보아 각 LED 기판(18)을 그 짧은 변 방향(X축 방향)에 대해서 사이에 끼운 위치에 한 쌍씩 배치되어 있다(섀시(14) 내에 있어서 Y축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LED 기판(18)을 제외함). X축 방향에 대해서 인접하는 각 제1 지지부(26A)간의 간격(배열 피치)은,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각 LED(17)(각 확산 렌즈(19))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각기 제1 지지부(26A)는, 각 LED(17)와 X축 방향에 관한 배치가 대략 동일하게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26A)는, 바닥판(14a)의 면 내에 있어서, LED(17)와 마찬가지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고, 다수가 고르게 분산 배치되어 있으므로,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본체부(22a)를 치우침 없이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제1 지지부(26A)는, 다음에 설명하는 제2 지지부(26B)와 같은 부착 구멍(26c)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의 부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지지부(26A)는, LED 기판(18)과는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기판 비중첩 지지부임과 함께, 부착 구멍(26c)을 갖지 않는 구멍 비설치 지지부라고 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6B)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바닥판(14a) 중,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18)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지지부(26B)는, LED 기판(18) 중, 인접하는 확산 렌즈(19) 사이의 영역(비발광부)과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26B)의 설치 위치에 배치되는 LED 기판(18) 및 기판용 반사 시트(23)에는, 제2 지지부(26B)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18c, 23f)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18c, 23f)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직경 치수는 제2 지지부(26B)의 외경 치수보다도 조금 큰 것으로 된다. 제2 지지부(26B)는, Y축 방향에 대해서, 각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짧은 변 방향의 중앙 위치, 즉 LED(17)(확산 렌즈(19))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18)과 중첩되는 영역에 있어서도 제2 지지부(26)에 의해 이면측으로부터 지지되고 있고, 상기한 LED 기판(18)과는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26A)에 의해 지지되는 것도 어우러져, 높은 평탄성이 유지되게 되어 있다.
이 제2 지지부(26B)는, 도 6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14a)에 있어서의 배치가 이미 설명한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와 동일하게 된다. 즉, 제2 지지부(26B)는, 바닥판(14a)의 면 내에 있어서, 복수(합계 14개)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26B)에 있어서의 지지벽(26b)에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26c)이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고,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와의 사이에서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협지(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지지부(26B)는, LED 기판(18)과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 기판 중첩 지지부임과 함께, 부착 구멍(26c)을 갖는 구멍 설치 지지부라고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 수지제로 되어 있고, 표면이 광의 반사성이 우수한 백색을 나타낸다.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는,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는, 도 7, 도 9,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부(26B)의 지지벽(26b)의 판면을 따르는 본체부(24a)와, 본체부(24a)로부터 이면측, 즉 제2 지지부(26B) 측을 향해서 돌출해서 제2 지지부(26B)에 고정되는 고정부(24b)와, 본체부(24a)로부터 표면측, 즉 개구부(14b) 측을 향해서 돌출해서 확산판(15a)를 지지 가능한 확산판 지지부(24c)로 구성된다. 이 중, 본체부(24a) 및 고정부(24b)의 자세한 구성은, 이미 설명한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에 있어서의 본체부(20a) 및 고정부(20b)와 대략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고정부(24b)는, 고정부(20b)와 마찬가지로, 기초부(24b1), 탄성 계지편(24b2) 및 홈부(24b3)를 구비하고 있고, 탄성 계지편(24b2)이 제2 지지부(26B)에 있어서의 부착 구멍(26c)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계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부(24a)와 제2 지지부(26B) 사이에 섀시용 반사 시트(22)가 협지된다. 이하, 확산판 지지부(24c)에 대해서 설명한다.
확산판 지지부(24c)는, 전체적으로 원추형을 이루고 있다. 상세하게는, 확산판 지지부(24c)는, 본체부(24a)의 판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이 원 형상으로 됨과 함께, 돌출 기단측으로부터 돌출 선단측에 걸쳐서 점차로 직경 치수가 작아지도록 선단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확산판 지지부(24c)는, 광학 부재(15) 중 가장 이면측(LED(17) 측)에 배치된 확산판(15a)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되고, 그것에 따라 확산판(15a)을 소정의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즉, 확산판 지지부(24c)는, 확산판(15a)과 LED(17)의 Z축 방향(확산판(15a)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한 위치 관계를 일정한 상태로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확산판 지지부(24c)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 중 본체부(24a)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유일한 부위이기 때문에,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를 섀시(14)에 대하여 부착하는 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는, 확산판 지지부(24c)를 조작부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것에 따라,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조이며, 계속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액정 패널(11) 및 백라이트 장치(12)를 각각 별도로 제조하고, 그들을 베젤(13) 등을 이용해서 서로 조립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0)가 제조된다. 이 중, 백라이트 장치(12)를 제조할 때의 조립 작업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섀시(14)에 대한 각 구성부품의 조립에 앞서, LED 기판(18)에 대하여 LED(17), 기판용 반사 시트(23) 및 확산 렌즈(19)를 부착하는 작업이 행하여진다. 상세하게는, 우선,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실장면(18a)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17) 및 커넥터(25)가 소정 위치에 실장된 후, 기판용 반사 시트(23)가 표면측에 씌워진다. 이때, 기판용 반사 시트(23)의 각 LED 삽통 구멍(23a)에 각 LED(17)가, 각 커넥터 삽통 구멍(23d)에 각 커넥터(25)가 각각 통과시켜짐과 함께, LED 기판(18) 및 기판용 반사 시트(23)의 각 관통 구멍(18b, 23c)이 정합된다. 또한, 이때, 제2 지지부(26B)에 대응하는 LED 기판(18) 및 기판용 반사 시트(23)에 대해서는, 각 관통 구멍(18c, 23f)이 정합해서 연통된다. 그 후, LED 기판(18)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LED(17)를 덮도록 해서 각각 확산 렌즈(19)가 부착된다. 이때, 확산 렌즈(19)에 있어서의 각 부착 다리부(19d)가 기판용 반사 시트(23)의 다리부 삽통 구멍(23b)을 통해서 LED 기판(18)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해 고착된다. 이상에 의해, LED 기판(18)에 LED(17), 기판용 반사 시트(23) 및 확산 렌즈(19)를 일체화해서 이루어지는, 소위 광원 유닛 U가 제조된다.
계속해서, 섀시(14)에 대한 각 구성부품의 조립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광원 유닛 U를 섀시(14)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4b)를 통해서 내부에 수용하고, 각 광원 유닛 U를 바닥판(14a)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부착 위치에 배치한다. 이때, 각 광원 유닛 U를, 바닥판(14a) 중 X축 방향으로 배열한 제1 지지부(26A) 군에 대하여 Y축 방향에 인접하는 위치에 수용한다. 또한, 제2 지지부(26B)에 대응한 광원 유닛 U에 대해서는, 수용에 수반하여 제2 지지부(26B)가 관통 구멍(18c, 23f) 내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2 지지부(26B)가 각 관통 구멍(18c, 23f)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됨으로써, 도 16∼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유닛 U(LED 기판(18) 및 기판용 반사 시트(23))는, 섀시(14)에 대하여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서 이차원적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광원 유닛 U에 있어서의 각 관통 구멍(18b, 23c)이 바닥판(14a)의 부착 구멍(14e)에 대하여 정합된다. 여기서, X축 방향에 대해서 서로 인접하는 각 LED 기판(18)은, 인접하는 커넥터(25)끼리를 사이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호의 전기적인 접속이 도모된다. 또한, X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LED 기판(18)의 커넥터(25)끼리의 접속 작업은, 반드시 섀시(14) 내에서 행할 필요는 없고, 섀시(14) 밖에서 행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LED 기판(18)을 섀시(14) 내에 수용하면, 계속해서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를 부착하는 작업을 행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섀시(14)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4b)를 통해서 내부에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를 수용함과 함께, 그 고정부(20b)를, 각 구멍(14e, 18b, 23c) 내에 삽입한다. 고정부(20b)를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각 탄성 계지편(20b2)은, 각 구멍(14e, 18b, 23c)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일단 홈부(20b3) 내에 오므라들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각 탄성 계지편(20b2)이 부착 구멍(14e)을 빠져나가서 섀시(14)의 이면측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고정부(20b)가 삽입되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탄성 계지편(20b2)이 탄성 복귀함과 함께 그 팽출 부분이 부착 구멍(14e)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이면측으로부터 계지된다. 이에 의해,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는, 섀시(14)로부터 빠짐 방지되고, 부착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에 있어서의 본체부(20a)와 섀시(14)의 바닥판(14a) 사이에는, LED 기판(18) 및 기판용 반사 시트(23)가 일괄해서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계속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섀시(14) 내에 배치하는 작업을 행한다. 이때,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있어서의 각 구멍부(22b)를 광원 유닛 U에 있어서의 각 확산 렌즈(19)에 대하여 위치 정렬함과 함께, 각 관통 구멍(22d)를 각 제2 지지부(26B)의 부착 구멍(26c)에 대하여 위치 정렬하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섀시(14) 내에 부설한다. 여기서, 섀시(14) 내에는, 제1 지지부(26A) 및 제2 지지부(26B)가 대기하고 있으므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설에 수반하여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있어서의 본체부(22a)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면(22c)에 대하여, 각 지지부(26A, 26B)가 이면측으로부터 접촉된다. 이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섀시(14) 내에 있어서의 Z축 방향에 대해서 소정 위치에 지지된다. 각 지지부(26A, 26B)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바닥판(14a)의 면 내에 있어서 다수가 고르게 분산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본체부(22a)는, 각 지지부(26A, 26B)에 의해 전역에 걸쳐 치우침 없이 지지되고, 전체적으로 휘기나 왜곡이 거의 없는, 높은 평탄성을 유지한 상태로 된다. 이 부설 상태에서는,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LED 기판(18)의 실장면(18a)의 표면측에 배치된 각 부품(LED(17), 확산 렌즈(19), 기판용 보유 지지 부재(20), 기판용 반사 시트(23) 및 커넥터(25))에 대하여 더욱 표면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되고, 각 부품과는 비접촉·비간섭의 상태로 된다. 가령, 섀시용 반사 시트(22)가 LED 기판(18)의 실장면(18a)에 겹쳐진 기판용 반사 시트(23)의 표면측에 겹쳐 배치된 경우에는, 그 표면측의 면(23e)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의 커넥터(25)에 대하여 섀시용 반사 시트(22)가 재치함으로써,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국소적인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 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한 위치에 섀시용 반사 시트(22)가 지지되므로, 커넥터(25) 등에 기인한 국소적인 변형이 생기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있다. 이때, 각 구멍부(22b) 내에 각 확산 렌즈(19)가 배치됨과 함께, 각 관통 구멍(22d)이 각 부착 구멍(26c)에 대하여 정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섀시(14) 내에 수용하면, 계속해서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를 부착하는 작업을 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 중, 확산판 지지부(24c)를 조작부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섀시(14)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4b)를 통해서 내부에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를 수용함과 함께, 그 고정부(24b)를, 각 구멍(22d, 26c) 내에 삽입한다. 고정부(24b)를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각 탄성 계지편(24b2)은, 각 구멍(22d, 26c)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일단 홈부(24b3) 내에 오므라들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각 탄성 계지편(24b2)이 부착 구멍(26c)을 빠져나가서 제2 지지부(26B)의 이면측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고정부(24b)가 삽입되면,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탄성 계지편(24b2)이 탄성 복귀함과 함께 그 팽출 부분이 부착 구멍(26c)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이면측으로부터 계지된다. 이에 의해,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는, 섀시(14)로부터 빠짐 방지되고, 부착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에 있어서의 본체부(24a)와 제2 지지부(26B)의 지지벽(26b) 사이에는,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본체부(22a)가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섀시(14)에 대하여 개구부(14b)를 덮도록 해서 광학 부재(15)를 부착한다. 구체적인 광학 부재(15)의 부착 순서는, 확산판(15a)이 먼저이고 그 후에 광학 시트(15b)로 된다. 광학 부재(1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연부가 섀시(14)의 받이판(14d)에 의해 받아짐과 함께, 중앙측 부분이 각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의 확산판 지지부(24c)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것으로부터, 프레임(16)을 섀시(14)에 부착하면, 프레임(16)과 받이판(14d) 사이에 광학 부재(15)의 외주연부가 협지된다. 이에 의해, 백라이트 장치(12)의 제조가 완료된다. 제조된 백라이트 장치(12)와 액정 패널(11)을 부착할 때에는, 프레임(16)에 대하여 액정 패널(11)을 재치하고나서, 다시 그 표면측에 베젤(13)을 씌움과 함께 나사 고정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16)과 베젤(13) 사이에 액정 패널(11)이 협지됨과 함께, 액정 패널(11)이 백라이트 장치(12)에 대하여 일체화되고,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10)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10)를 사용할 때에는, 백라이트 장치(12)에 구비된 각 LED(17)를 점등시킴과 함께, 액정 패널(11)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고, 그것에 따라 액정 패널(11)의 표시면에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각 LED(17)를 점등시키기 위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전력 공급함으로써, 커넥터(25)에 의해 서로 접속된 X축 방향에 인접하는 LED 기판(18) 상의 각 LED(17)를 일괄해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각 LED(17)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확산 렌즈(19)의 광 입사면(19a)에 입사한다. 이때, 광의 대부분은, 광 입사면(19a) 중 광 입사측 오목부(19c)에 있어서의 경사면에 입사함으로써, 그 경사 각도에 따라서 광각으로 굴절되면서 확산 렌즈(19) 내에 입사한다. 그리고, 입사한 광은, 확산 렌즈(19) 내를 전파한 후, 광출사면(19b)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이지만, 이 광출사면(19b)은, 편평한 대략 구면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외부의 공기층과의 계면에서 광이 더욱 광각으로 굴절되면서 출사된다. 게다가, 광출사면(19b) 중 LED(17)로부터의 광량이 가장 많아지는 영역에는, 대략 뇌발 형상을 이루는 광출사측 오목부(19e)가 형성되고, 또한 그 주위면이 편평한 대략 구면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광출사측 오목부(19e)의 주위면에서 광을 광각으로 굴절시키면서 출사시키거나, 혹은 LED 기판(18) 측에 반사시킬 수 있다. 이 중, LED 기판(18) 측으로 복귀된 광은, 기판용 반사 시트(23)에 의해 확산 렌즈(19) 측에 반사되어 다시 확산 렌즈(19)에 입사됨으로써 유효하게 이용되므로, 높은 휘도가 얻어진다.
LED(17)로부터 발하여진 지향성이 강한 광은, 확산 렌즈(19)를 개재함으로써 광각으로 확산된 상태로 출사된다. 확산 렌즈(19)로부터의 출사광에는, 직접적으로 확산판(15a)에 입사하는 것과, 주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반사되어 간접적으로 확산판(15a)에 입사하는 것이 존재한다. 이 중,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반사되고나서 확산판(15a)에 입사하는 광에 있어서의 분포의 균일성은,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국소적인 변형이 생기고 있어서 평탄성이 손상된 상태이면, 거기에서 반사되는 광에도 얼룩이 생기고, 그 결과 확산판(15a)에 입사하는 광에도 얼룩이 생기게 된다. 그 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섀시(14) 내에 고르게 분산 배치된 각 지지부(26A, 26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LED 기판(18)의 실장면(18a)의 표면측에 배치된 각 부품(LED(17), 확산 렌즈(19), 기판용 보유 지지 부재(20), 기판용 반사 시트(23) 및 커넥터(25))에의 간섭을 피할 수 있음과 함께, 높은 평탄성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반사되는 광에도 얼룩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고, 그 결과 확산판(15a)에 입사하는 광에도 얼룩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확산판(15a)에 입사하는 광의 분포의 균일성이 높게 유지되므로, 백라이트 장치(12) 및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의 출사광에도 휘도 얼룩이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되고, 따라서 높은 표시 품위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백라이트 장치(12)는, 광원인 LED(17)와, LED(17)가 실장되는 LED 기판(18)과, LED 기판(18)에 있어서 LED(17)와 동일한 측의 실장면(18a)에 실장되는 실장 부품인 커넥터(25)와,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LED(17) 및 커넥터(25)의 실장면(18a) 측에 배치됨과 함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21)인 섀시용 반사 시트(22)와,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실장면(18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부(2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LED(17) 및 커넥터(25)의 실장면(18a) 측에 배치됨과 함께, 그 실장면(18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부(26)에 의해 지지된다. 커넥터(25)는, LED 기판(18)의 실장면(18a)에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실장면(18a)과의 사이에 단차를 발생시키고 있지만, 실장면(18a) 측에 배치된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부(26)에 의해 실장면(18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고 있으므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반사되는 광에 얼룩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LED 기판(18)은, LED(17) 및 커넥터(25)가 동일한 측의 실장면(18a)에 실장되는, 소위 한쪽 면 실장 타입의 것이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저렴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커넥터(25)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그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구멍을 통해서 커넥터(25)가 노출되게 되기 때문에, 광 반사율의 균일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 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구멍을 형성하는 일없이,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 반사율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출사광에 얼룩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6)는,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커넥터(25)에 있어서의 LED 기판(18) 측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26)에 의해 커넥터(25)에 대하여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비접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25)에 기인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LED(17)로부터의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개구부(14b)를 가짐과 함께, LED 기판(18) 및 섀시용 반사 시트(22)가 수용되는 섀시(14)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섀시(14) 내에 수용되는 LED 기판(18)의 LED(17)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직접적으로, 또는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의해 반사되거나 해서 간접적으로 개구부(14b)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지지부(26)는, 섀시(14)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섀시(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지지부(26)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할 수 있다. 가령, 지지부를 LED 기판(18)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면, LED 기판(18)과 섀시(14) 사이에 생길 수 있는 조립 오차 등에 의해, 지지부(26)에 있어서의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대한 지지 위치가 변동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러한 변동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지지부(26)는, 섀시(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지지부를 섀시(14)와는 별체로 한 경우와 비교하면,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저코스트로 지지부(26)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6)에는,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18)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기판 중첩 지지부인 제2 지지부(26B)가 포함되어 있고, LED 기판(18)에는, 제2 지지부(26B)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18c)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지지부(26B)를 관통 구멍(18c)에 통과시킴으로써, LED 기판(18)을 그 판면을 따르는 방향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26)에는,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18)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기판 비중첩 지지부인 제1 지지부(26A)가 포함되어 있고, 제1 지지부(26A)는,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18)을 끼운 위치에 적어도 한 쌍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LED 기판(18)을 사이에 끼워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지지부(26A)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함으로써,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26A)는, LED 기판(18)의 외연부를 따라 복수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LED 기판(18)의 외연부를 따라 복수 병렬 배치되는 제1 지지부(26A)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 시트(21)는,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실장면(18a)에 겹쳐서 배치되는 기판용 반사 시트(23)와, 섀시(14)의 내면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기판용 반사 시트(23)보다도 개구부(14b) 측에 배치되는 섀시용 반사 시트(22)로 구성되고, 지지부(26)는,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기판용 반사 시트(23)에 있어서의 개구부(14b) 측의 면(23e)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섀시용 반사 시트를 기판용 반사 시트(23)에 있어서의 개구부(14b) 측의 면(23e)에 겹쳐서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면, 커넥터(25)와 기판용 반사 시트(23) 사이에 생기는 단차에 기인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반사되고나서 개구부(14b)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얼룩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섀시(14)와의 사이에 LED 기판(18)을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기판 보유 지지 부재(20)와 섀시(14) 사이에 커넥터(25)가 실장된 LED 기판(18)을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대한 커넥터(25)의 위치 관계를 보다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섀시용 반사 시트(22) 중, 평면에서 보아 LED(17)와 중첩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LED(17)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부(22b)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LED(17)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구멍부(22b)를 통해서 출사 가능하게 된다.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LED(17)의 실장면(18a) 측에 배치되는 섀시용 반사 시트(22)가 광 출사의 방해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LED 기판(18) 중 평면에서 보아 LED(17)와 중첩되는 위치에는, LED(17)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면서 출사시키는 확산 렌즈(19)가 부착되어 있고, 구멍부(22b)는, 적어도 확산 렌즈(19)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확산 렌즈(19)에 의해 LED(17)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면서 출사시키고, 그 광을 구멍부(22b)에 통과시켜 출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휘도 얼룩의 방지에 한층 적합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26)는,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확산 렌즈(19)로부터 LED 기판(18)의 실장면(18a)과는 반대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26)에 의해 확산 렌즈(19)에 대하여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확실하게 비접촉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산 렌즈(19)에 기인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6)와의 사이에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와 지지부(26) 사이에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25)에 대한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위치 관계를 보다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6)에는, 부착 구멍(26c)이 설치되어 있는 구멍 설치 지지부인 제2 지지부(26B)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대해,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는, 제2 지지부(26B)와의 사이에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끼우는 본체부(24a)와, 본체부(24a)로부터 제2 지지부(26B) 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부착 구멍(26c)을 통해서 그 구멍 가장자리에 계지되는 고정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지지부(26B)의 부착 구멍(26c)에 통과시킨 고정부(24b)를 구멍 가장자리에 계지시킴으로써,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의 고정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 등의 다른 고정 수단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저코스트로 또한 용이하게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6)에는, 구멍 설치 지지부인 제2 지지부(26B) 외에, 부착 구멍(26c)을 갖지 않는 구멍 비설치 지지부인 제1 지지부(26A)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26)에는, 부착 구멍(26c)을 갖지 않는 제1 지지부(26A)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섀시용 반사 시트(22) 중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가 부착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도 지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LED 기판(18)은, 복수 배치되어 있고, 실장 부품으로서 인접하는 LED 기판(18)끼리를 접속하는 접속 부품인 커넥터(25)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 부품인 커넥터(25)에 기인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LED(17)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고휘도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형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각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붙이고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에 대해서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지지부(26-1)에 의한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지지 위치를 변경한 것을 설명한다.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있어서의 구멍부(22b)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확산 렌즈(19)보다도 크게 형성됨과 함께, 확산 렌즈(19)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된다. 게다가, 지지부(26-1)는, 섀시(14)의 바닥판(14a)으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LED 기판(18)의 두께 치수와, 확산 렌즈의 높이 치수를 서로 더한 크기보다도 작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지지부(26-1)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하면, 구멍부(22b) 내에 확산 렌즈(19)가 진입한 상태로 된다. 또한, 지지부(26-1)의 상기 돌출 치수는, LED 기판(18)의 두께 치수와, 커넥터(25)의 높이 치수를 서로 더한 크기보다는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26-1)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이면측의 면(22c)이 커넥터(25)로부터 표면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르면, 구멍부(22b)는, 확산 렌즈(19)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되는 것에 대해, 지지부(26-1)는, 구멍부(22b) 내에 확산 렌즈(19)가 배치되는 위치에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같이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확산 렌즈(19)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한 경우와 비교하면, LED 기판(18)과 섀시용 반사 시트(22) 사이에 벌어지는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넓어질수록,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광이 반사되고나서 출사할 때까지의 광로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약간의 변형이 생겨 있어도 그것이 휘도 얼룩으로 되기 쉬워지는 경향으로 된다. 그 점, 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을 보다 좁게 할 수 있으므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광이 반사되고나서 출사할 때까지의 광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다소의 변형이 생겨 있어도, 그것이 휘도 얼룩으로는 되기 어려워진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2]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2에 대해서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지지부(26-2)에 의한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지지 위치를 더욱 변경한 것을 설명한다.
지지부(26-2)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의 바닥판(14a)으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LED 기판(18)의 두께 치수와, 커넥터(25)의 높이 치수를 서로 더한 크기와 대략 동일한 정도로 된다. 즉,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대한 지지부(26-2)의 지지면(26d)과, 커넥터(25)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면(25a)이 동일 평면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지지부(26-2)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이면측의 면(22c)과, 커넥터(25)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면(25a)이 서로 동일 평면 형상을 이루는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도,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실시 형태 1과 동등한 높은 평탄성을 유지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르면, 지지부(26-2)는,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커넥터(25)에 있어서의 LED 기판(18) 측과는 반대측의 면(25a)과 동일 평면이 되는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26-2)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유지하면서도, LED 기판(18)과 섀시용 반사 시트(22) 사이에 벌어지는 간격을 필요 최소한에 그치게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넓어질수록,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광이 반사되고나서 출사할 때까지의 광로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약간의 변형이 생겨 있어도 그것이 휘도 얼룩으로 되기 쉬워지는 경향으로 된다. 그 점, 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이 필요 최소한으로 되므로, 섀시용 반사 시트(22)에서 광이 반사되고나서 출사할 때까지의 광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다소의 변형이 생겨 있어도, 그것이 휘도 얼룩으로는 되기 어려워진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도 23 또는 도 24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지지부(126A)의 구조를 변경한 것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조,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지지부(126A)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8)에 대하여 Y축 방향에 대해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X축 방향, 즉 LED 기판(18)에 있어서의 긴 변 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하는 형태로 된다. 제1 지지부(126A)는, LED 기판(18)과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14a)으로부터 상승하는 주벽(126a)과, 주벽(126a)의 상승단을 연결하는 지지벽(126b)으로 구성된다. 주벽(126a)은, X축 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짧은 변 측의 벽부와, Y축 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긴 변 측의 벽부를 서로 연결해서 이루어진다. 지지벽(126b)은, X축 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LED 기판(18)보다도 일순 작은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지지벽(126b)은, 그 전역에 걸쳐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면(22c)에 대하여 면 접촉 가능하게 된다. 즉, 섀시용 반사 시트(22)는, 평면에서 보아 Y축 방향에 대해서 LED 기판(18)과 인접하는 영역이, 상기 제1 지지부(126A)에 의해 면 접촉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한층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판 비중첩 지지부인 제1 지지부(126A)는, LED 기판(18)의 외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LED 기판(18)의 외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형태의 제1 지지부(126A)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의 평탄성을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도 25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 3에서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의 구조를 변경한 것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조,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에 있어서의 본체부(220a)에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함께,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하는 지지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7)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7)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24)에 있어서의 확산판 지지부(24c)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선단이 라운딩된 대략 원추형을 이루고 있다. 지지부(27)는, 그 돌출 선단부가 Z축 방향에 대해서 다른 지지부(26)와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는 돌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27)는, 섀시용 반사 시트(22)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면(22c)에 대하여 접촉됨으로써, 다른 지지부(26)와 협동해서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Z축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이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는, 섀시(14)의 바닥판(14a)의 면 내에 있어서 다수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도 3을 참조), 이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에 상기 지지부(27)를 설치함으로써,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한층 높은 평탄성을 담보할 수 있다. 게다가,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를 섀시(14)에 부착하는 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는 지지부(27)를 조작부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의 부착 작업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에는, 지지부(2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판 보유 지지 부재(220)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지지부(27)에 의해,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를 도 26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 4에서는, 지지부(28)를 섀시(14)와는 별도 부품으로 한 것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조,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28)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4)와는 별도 부품으로 되어 있어, 섀시(14)의 바닥판(14a)에 대하여 접착제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28)는, 전체적으로 바닥을 가진 각통 형상을 이루고, 그 바닥부가 섀시용 반사 시트(22)를 지지하는 지지벽(28a)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28)를 섀시(14)와는 별도 부품으로 함으로써, 지지부(28)에 이용하는 재료 및 지지부(28)의 형상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를 도 27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 5에서는, 확산 렌즈(19)를 생략한 것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조,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확산 렌즈(19)를 생략하고 있으므로, 각 LED(17)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광학 부재(15)에 도달하게 되어 있다. 섀시용 반사 시트(422)에 있어서의 각 구멍부(422b)는, 각 LED(17)와 평면에서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각 LED(17)로부터의 출사광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구멍부(422b)의 직경 치수는, 섀시용 반사 시트(422)가 각 LED(17)보다도 상대적으로 표면측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각 LED(17)로부터의 출사광을 거의 차단하는 일이 없는, 충분한 크기로 된다. 섀시용 반사 시트(422)는, 지지부(26)에 의해 LED(17) 및 커넥터(25)보다도 표면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되므로, 구멍부(422b) 내에는 LED(17)가 진입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확산 렌즈(19)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섀시용 반사 시트(422)에 형성되는 구멍부(422b)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확산 렌즈(19)를 생략한 것에 있어서, 기판용 반사 시트(23)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한 각 실시 형태 이외에도, 각 지지부의 구체적인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예를 들면, 지지부를 각뿔대 형상, 바닥을 가진 원통 형상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상기한 각 실시 형태 이외에도, 섀시 내에 있어서의 각 지지부의 배치 및 설치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특히,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설치수의 비율은, 설치수의 절대값 및 배치와 함께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3)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로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2종류를 설치한 것을 설명했지만,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 중 어느 한쪽만을 지지부로서 설치하도록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4)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기판 중첩 지지부)가 부착 구멍을 가짐과 함께, 시트 보유 지지 부재를 부착 가능하게 된 것을 설명했지만, 평면에서 보아 LED 기판과는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기판 비중첩 지지부)에도 부착 구멍을 설치하고, 시트 보유 지지 부재를 부착 가능하게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경우, 제2 지지부의 부착 구멍을 생략하고, 제1 지지부에만 시트 보유 지지 부재를 부착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5)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지지부에 시트 보유 지지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을 설치한 것을 설명했지만, 시트 보유 지지 부재의 부착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부착 구멍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라면, 부착 구멍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시트 보유 지지 부재의 부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트 보유 지지 부재로부터 탄성 계지편을 생략함과 함께, 섀시용 반사 시트의 관통 구멍을 관통한 기초부를 제2 지지부에 대하여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 경우, 접착제 이외에도, 용착, 용접 등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6) 상기한 (5)와 마찬가지로, 섀시에 대한 기판 보유 지지 부재의 부착 방법 에 대해서도 변경할 수 있고, 변경에 수반하여 섀시로부터 부착 구멍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7)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에 인접하는 LED 기판의 커넥터끼리를 직접 끼워 맞춤 접속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LED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끼리를 와이어를 개재해서 접속하는 것이나, 커넥터를 생략해서 LED 기판끼리를 직접 와이어로 접속하도록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경우, 와이어가 LED 기판에 대한 실장 부품이 되므로, 지지부에 의한 섀시용 반사 시트의 지지 위치는, 섀시용 반사 시트가 와이어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와이어와 동일 평면 형상이 되는 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8) 상기한 각 실시 형태 이외에도, 지지부에 의한 섀시용 반사 시트의 지지 위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섀시용 반사 시트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면이, 커넥터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면보다도 LED 기판의 실장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위치에 섀시용 반사 시트를 지지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섀시용 반사 시트의 구멍부 내에 LED가 진입하는 위치에 섀시용 반사 시트를 지지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9) 상기한 실시 형태 2에서는, LED 기판에 대하여 Y축 방향에 인접하는 위치에 1개의 가로로 긴 제1 지지부를 설치한 것을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가로로 긴 제1 지지부의 긴 변 치수를 짧게 함과 함께, 1개의 LED 기판에 대하여 복수의 제1 지지부를 배치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반대로, 제1 지지부가 X축 방향에 대해서 복수의 LED 기판에 걸치는 범위로 형성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0) 상기한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기판 보유 지지 부재의 지지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배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기판 보유 지지 부재와,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기판 보유 지지 부재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1)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LED 기판의 실장면에 기판용 반사 시트를 겹쳐서 배치한 것을 설명했지만, 기판용 반사 시트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LED 기판의 실장면에는, 광 반사성이 우수한 백색 또는 은색 등을 나타내는 광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LED 기판에 있어서의 실장 부품으로서 커넥터(상기 (7)에서는 와이어)를 예시했지만, 커넥터 이외의 실장 부품을 구비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저항, 컨덴서 또는 트랜스포머 등의 비광학 부품을 실장 부품으로서 구비한 LED 기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비광학 부품은, 표면의 광 반사율이 섀시용 반사 시트보다도 낮은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섀시용 반사 시트에 비광학 부품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설치하는 것이 주저(躊躇)된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실장 부품으로서 비광학 부품을 구비한 LED 기판을 이용한 경우에, 본 발명은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3)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를 섀시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 또는 지지부를 기판 보유 지지 부재에 일체에 설치한 것을 설명했지만, 지지부를 LED 기판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4)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LED 기판을 X축 방향에 복수매 병렬함과 함께 커넥터에 의해 상호를 접속한 것을 설명했지만, X축 방향에 대해서 LED 기판이 1매만 배치되는 것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5)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가 확산판 지지부를 갖는 것을 설명했지만, 시트 보유 지지 부재로부터 확산판 지지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기판 보유 지지 부재에 확산판 지지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섀시용 반사 시트에 확산판 지지부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16)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섀시용 반사 시트를 유지하는 시트 보유 지지 부재와, LED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를 별도로 설치한 것을 설명했지만, LED 기판 및 섀시용 반사 시트를 각각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소위 하이브리드형의 보유 지지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17)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섀시에 대한 각 보유 지지 부재의 부착 구조로서 삽입식의 고정부를 채용한 것을 설명했지만, 부착 구조로서 슬라이드식을 채용해도 된다. 이 슬라이드식의 부착 구조란, 고정부를 훅 형상으로 하고, 본체부를 섀시의 바닥판(제2 지지부)을 향해서 압입하고나서, 본체부를 바닥판을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부착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고정부의 훅 형상부를 계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18)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섀시를 금속제로 한 것을 설명했지만, 섀시를 합성 수지제 등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9)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 보유 지지 부재의 표면의 색을 백색으로 한 것을 예시했지만, 각 보유 지지 부재의 표면의 색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유백색이나 은색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각 보유 지지 부재의 표면에 원하는 색의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표면의 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20)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LED 기판으로서 5개 실장 타입, 6개 실장 타입 및 8개 실장 타입의 것을 적절하게 조합해서 이용하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5개, 6개, 8개 이외의 수의 LED를 실장한 LED 기판을 이용하도록 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1)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청색을 단색 발광하는 LED 칩을 내장하고, 형광체에 의해 백색광을 발광하는 타입의 LED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자외광을 단색 발광하는 LED 칩을 내장하고, 형광체에 의해 백색광을 발광하는 타입의 LED를 이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2)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청색을 단색 발광하는 LED 칩을 내장하고, 형광체에 의해 백색광을 발광하는 타입의 LED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R, G, B를 각각 단색 발광하는 3종류의 LED 칩을 내장한 타입의 LED를 이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이외에도, C(시안), M(마젠타), Y(옐로)를 각각 단색 발광하는 3종류의 LED 칩을 내장한 타입의 LED를 이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3)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를 이용한 것을 설명했지만, 적색 발광하는 LED와, 청색 발광하는 LED와, 녹색 발광하는 LED를 적절하게 조합해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24)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LED를 이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LED 이외의 종류의 광원을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25) 상기한 실시 형태 1∼4에서는, 광학 렌즈로서 LED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렌즈를 이용한 것을 설명했지만, 확산 렌즈 이외의 광학 렌즈(예를 들면, 집광 작용을 갖는 집광 렌즈 등)를 이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6) 상기한 각 실시 형태 이외에도,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면 사이즈 및 가로 세로의 비율 등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27)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 및 섀시가 그 짧은 변 방향을 연직 방향과 일치시킨 종 배치 상태로 되는 것을 예시했지만, 액정 패널 및 섀시가 그 긴 변 방향을 연직 방향과 일치시킨 종 배치 상태로 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8)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스위칭 소자로서 TFT를 이용했지만, TFT 이외의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박막 다이오드(TFD))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며, 컬러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이외에도, 흑백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29)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패널로서 액정 패널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했지만,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30)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튜너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예시했지만, 튜너를 구비하지 않는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0 :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
11 : 액정 패널(표시 패널)
12 : 백라이트 장치(조명 장치)
14 : 섀시
14b : 개구부
14e : 부착 구멍
17 : LED(광원)
18 : LED 기판(광원 기판)
18a : 실장면
18c : 관통 구멍
19 : 확산 렌즈
20, 220 : 기판 보유 지지 부재
22, 422 : 섀시용 반사 시트(섀시용 반사 부재)
22b, 422b : 구멍부
22c : 면(광원 기판측의 면)
23 : 기판용 반사 시트(기판용 반사 부재)
23a : LED 삽통 구멍(광원 삽통 구멍)
23e : 면(개구부측의 면)
24 : 시트 보유 지지 부재(보유 지지 부재)
24a : 본체부
24b : 고정부
25 : 커넥터(실장 부품, 접속 부품)
25a : 면(광원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면)
26, 27, 28 : 지지부
26c : 부착 구멍
26A, 126A : 제1 지지부(구멍 비설치 지지부, 기판 비중첩 지지부)
26B : 제2 지지부(구멍 설치 지지부, 기판 중첩 지지부)

Claims (25)

  1. 조명 장치로서,
    광원과,
    상기 광원이 실장되는 광원 기판과,
    상기 광원 기판에서 상기 광원과 동일한 측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실장 부품과,
    상기 광원 기판에서의 상기 광원 및 상기 실장 부품의 실장면 측에 배치됨과 함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광원 기판에서의 상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 기판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기판 중첩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광원 기판에는 상기 기판 중첩 지지부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실장 부품에서의 상기 광원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실장 부품에서의 상기 광원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면과 동일 평면이 되는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광원 기판 및 상기 반사 부재가 수용되는 섀시를 구비하고 있는,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섀시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섀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 기판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기판 비중첩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기판 비중첩 지지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 기판을 사이에 끼운 위치에 적어도 한 쌍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비중첩 지지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외연부를 따라 복수 병렬 배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비중첩 지지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외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조명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광원 기판에서의 상기 실장면에 겹쳐서 배치되는 기판용 반사 부재와, 상기 섀시의 내면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상기 기판용 반사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섀시용 반사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섀시용 반사 부재를 상기 기판용 반사 부재에서의 상기 개구부측의 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와의 사이에 상기 광원 기판을 끼워 유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보유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 중,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과 중첩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 중 평면에서 보아 상기 광원과 중첩되는 위치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면서 출사시키는 확산 렌즈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구멍부는 적어도 상기 확산 렌즈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 조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확산 렌즈로부터 상기 광원 기판의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는 상기 확산 렌즈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되는 것에 대해,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멍부 내에 상기 확산 렌즈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반사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반사 부재를 끼워 유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부착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구멍 설치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대해,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구멍 설치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반사 부재를 끼우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멍 설치 지지부 측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부착 구멍을 통해 상기 구멍 가장자리에 계지되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구멍 설치 지지부 외에, 상기 부착 구멍을 갖지 않는 구멍 비설치 지지부가 포함되어 있는, 조명 장치.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장 부품은 인접하는 상기 광원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접속 부품에 의해 구성되는, 조명 장치.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로 되는, 조명 장치.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의 광을 이용해서 표시를 행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한 쌍의 기판간에 액정을 봉입해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로 되는, 표시 장치.
  25. 제23항의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117031055A 2009-07-02 2010-05-18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312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8185 2009-07-02
JPJP-P-2009-158185 2009-07-02
PCT/JP2010/058354 WO2011001754A1 (ja) 2009-07-02 2010-05-18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083A KR20120034083A (ko) 2012-04-09
KR101312212B1 true KR101312212B1 (ko) 2013-09-27

Family

ID=4341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055A KR101312212B1 (ko) 2009-07-02 2010-05-18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94237B2 (ko)
EP (1) EP2450619A4 (ko)
JP (1) JP4951152B2 (ko)
KR (1) KR101312212B1 (ko)
CN (1) CN102472441A (ko)
BR (1) BRPI1012271A2 (ko)
RU (1) RU2502915C2 (ko)
WO (1) WO2011001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3076B (zh) * 2010-06-02 2014-11-19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JP2012089341A (ja) * 2010-10-19 2012-05-10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2012103420A (ja) * 2010-11-09 2012-05-31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WO2013021933A1 (ja) * 2011-08-09 2013-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020641B2 (en) * 2012-06-07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stacle sensing module and cleaning robot including the same
KR102131274B1 (ko) * 2013-06-28 2020-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유닛
KR102078808B1 (ko) * 2013-07-11 2020-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265055B2 (ja) 2014-01-14 2018-01-24 ソニー株式会社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10698256B2 (en) 2014-11-14 2020-06-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07564422B (zh) * 2016-06-30 2020-02-0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102547734B1 (ko) * 2016-07-04 202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053006B1 (en) * 2017-01-31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assembly
US10761372B2 (en) 2017-02-09 2020-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8147268A1 (ja) * 2017-02-09 2018-08-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10353233B2 (en) * 2017-03-21 2019-07-16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102417731B1 (ko) * 2017-12-19 2022-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49528B1 (ko) 2017-12-20 2022-09-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EP3765896A1 (en) 2018-03-13 2021-01-20 Apple Inc. Displays with direct-lit backlight units
TWI701486B (zh) * 2019-08-29 2020-08-11 瑞軒科技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及具有背光模組之顯示裝置
CN117642577A (zh) * 2022-06-30 2024-03-01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一种灯板及其承载装置以及灯板包装的放置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3176A (ja) 2006-08-28 2008-03-06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076456A (ja) 2007-08-31 2009-04-09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9129706A (ja) 2007-11-22 2009-06-11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5253A (en) * 1995-05-30 1996-05-07 Sjobom; Fritz C. L.E.D. light assembly
RU2178588C1 (ru) * 2000-05-03 2002-01-20 Марков 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Световая панель
RU2202731C2 (ru) * 2000-12-13 2003-04-20 Ооо Нпц "Оптэл" Световой прибор на светодиодах
TW591300B (en) * 2003-06-19 2004-06-1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KR100965183B1 (ko) * 2003-12-30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TWI283321B (en) * 2004-06-18 2007-07-01 Au Optronics Corp Supporter and LED light-source module using the same
JP4543813B2 (ja) * 2004-08-04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のバックライト装置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4590977B2 (ja) 2004-08-18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透過型液晶表示装置
KR101065655B1 (ko) * 2004-09-09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878389B1 (ko) * 2004-11-30 2009-01-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램프 보유 지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US7431475B2 (en) * 2005-07-22 2008-10-07 Sony Corporation Radiator for light emitting unit, and backlight device
CN100437282C (zh) * 2005-10-21 2008-1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其灯管夹持装置
JP2007317423A (ja) * 2006-05-24 2007-12-0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798006B2 (ja) * 2006-06-30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EP2045519B1 (en) 2006-06-30 2014-01-08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board, board connector, ligh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277750B1 (ko) 2006-10-19 2013-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CN101165566A (zh) 2006-10-20 2008-04-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组
JP5050498B2 (ja) * 2006-11-21 2012-10-17 ソニー株式会社 光源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製造方法
RU63905U1 (ru) * 2007-01-16 2007-06-10 Илья Борисович Наличаев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опора
JP4858204B2 (ja) * 2007-02-08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RU64321U1 (ru) * 2007-02-14 2007-06-27 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руглов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295034A (zh) * 2007-04-26 2008-10-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光学板
JP2008300277A (ja) 2007-06-01 2008-12-11 Hitachi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115038B2 (ja) * 2007-06-06 2013-01-09 ソニー株式会社 発光装置、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4968014B2 (ja) * 2007-11-22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3176A (ja) 2006-08-28 2008-03-06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076456A (ja) 2007-08-31 2009-04-09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9129706A (ja) 2007-11-22 2009-06-11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2441A (zh) 2012-05-23
EP2450619A1 (en) 2012-05-09
JPWO2011001754A1 (ja) 2012-12-13
JP4951152B2 (ja) 2012-06-13
WO2011001754A1 (ja) 2011-01-06
RU2011152905A (ru) 2013-08-10
KR20120034083A (ko) 2012-04-09
BRPI1012271A2 (pt) 2016-04-05
EP2450619A4 (en) 2013-10-30
RU2502915C2 (ru) 2013-12-27
US20120327311A1 (en) 2012-12-27
US8894237B2 (en)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212B1 (ko)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US8848131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870401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547499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908122B2 (en) Light source unit,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flection sheet for light source unit
US2012009256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648979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337883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8098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797475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109311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US2012024988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0146917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4888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WO2011055635A1 (ja) 光源ユニット用母材、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308900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8996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WO201003852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657458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308088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3143220A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7441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30071925A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WO2011105147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1345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