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520B1 - 코어비트 - Google Patents

코어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520B1
KR100874520B1 KR1020057002434A KR20057002434A KR100874520B1 KR 100874520 B1 KR100874520 B1 KR 100874520B1 KR 1020057002434 A KR1020057002434 A KR 1020057002434A KR 20057002434 A KR20057002434 A KR 20057002434A KR 100874520 B1 KR100874520 B1 KR 10087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ore bit
mounting portion
coupling membe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970A (ko
Inventor
키겐 아게하라
미치오 야먀시타
나오히데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473Detail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iven shaft and the tubular cutting part;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6/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not comprising a metal
    • B23B2226/75Stone, rock or 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895Having axial, core-receiving central po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7Tool or Tool with support including detailed sh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Drilling Too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일단측에 천공날을 형성한 원통상의 드릴부와, 이 드릴부의 타단측에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에 대해 장착되는 원통상의 장착부가 형성되고, 이 장착부의 외주면에 척부측의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재를 통해 콘크리트 드릴측의 회전을 전달시키도록 한 코어비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보다 천공날측의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에 결합부재의 외경보다도 대경의 턱모양의 플랜지부를 형성했다.

Description

코어비트{CORE BIT}
본 발명은 전력이나 압축공기 등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콘크리트 드릴에 장착하고, 콘크리트 드릴측으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콘크리트벽이나 석재 등에 구멍을 뚫기 위한 코어비트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면 또는 기초 등에 가스나 수도 또는 냉난방용의 배관공사를 행할 때 전력이나 압축공기 등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콘크리트 드릴을 사용하여 이들의 벽면 등에 천공시공이 행해지고 있다. 콘크리트 드릴의 선단에 형성되는 척부 등에 장착한 코어비트에 콘크리트 드릴 측에서 회전과 진동을 부여하여 코어비트의 선단에 형성한 원통상의 천공날에 의해 콘크리트벽 등에 소정 지름의 구멍을 천공시키는 것이다. 코어비트는 천공하는 구멍의 지름이나 깊이에 따라 여러가지가 준비되고 있으며 천공하는 구멍지름이나 벽 두께에 따라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종래의 코어비트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평 11-309710호 공보(제 3페이지, 도 1 및 도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환상의 지지체를 갖는 드릴부분의 선단에 커터링을 마련하고, 반대측에 콘크리트 드릴에 대한 장착부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장착부에는 원통상의 가이드부와 이 가이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킨 결합부가 형성되고 있다. 코어비트는 이 장착부에 의해 공구측의 척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를 통해 공구측에서의 회전과 축방향의 진동이 코어비트측에 전달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코어비트에서는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드릴로부터의 회전력을 코어비트측에 전달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코어비트가 실수로 떨어져 버리는 경우나, 수납·운반시의 진동등에 의해 다른 것과 접촉하여 이 결합부의 외형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결합부의 외형이 손상에 의해 변형되어 버리면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에 장착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불완전한 상태에서 장착되어 버려 천공작업중에 장착상태가 떨어져 버리거나 하여 위험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장착이 불완전하면 커터링부의 냉각을 행하는 냉각수의 씨일이 불완전하게 되어 콘크리트 드릴과 코어비트의 접합면으로부터 누수가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낙하거나 또는 수납·반송시의 진동에 의해 다른 것과 접촉해도 콘크리트 드릴에 대한 장착부와, 회전과 진동을 전달시키는 결합부재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으며 장착불완전에 의한 위험이나 냉각수의 누수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코어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코어비트는 일단측에 천공날을 형성한 원통상의 드릴부와, 이 드릴부의 타단측에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에 대해 장착되는 원통상의 장착부가 형성되고, 이 장착부의 외주면에 척부측의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재를 통해 콘크리트 드릴측의 회전을 코어비트에 전달시키도록 한 코어비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천공날측의 상기 장착부 외주면에 결합부재의 외경보다도 대경의 턱모양의 플랜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코어비트를 장착한 콘크리트 드릴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코어비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와 동일한 코어비트의 장착부와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코어비트에 형성되고 있는 결합부재와 플랜지부의 부분사시도;
도 5는 코어비트의 장착부와 콘크리트 드릴 척부의 장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코어비트가 척부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코어비트의 장착부를 척부에 장착하고 있는 과정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코어비트가 척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코어비트의 다른 실시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드릴 6: 척부
10: 코어비트 11: 천공날
12: 드릴부 13: 장착부
14: 가이드부 15: 플랜지부
16: 결합부재 17: 결합돌기
30: 코어비트 31: 장착부
32: 결합편 34: 드릴부
35: 천공날 36: 플랜지부
이하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어비트를 장착한 콘크리트 드릴(1)이며, 본체의 후단에 형성되고 있는 그립(2)과 본체 앞쪽에 형성되고 있는 서브그립(3)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천공작업이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그립(2)에 형성되고 있는 트리거(4)를 조작함으로써 모터(5)가 회전구동되어 척부(6)가 회전되고, 척부(6)에 장착된 코어비트(10)를 회전구동시킨다. 또 동시에 진동발생기구(7)가 구동되어 콘크리트 드릴(1) 전체를 진동시키고 코어비트(10)에 축방향을 따른 진동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드릴(1)의 척부(6)에 장착된 코어비트(10)의 선단측은 콘크리트 드릴(1)의 앞쪽으로 신축이 자유로운 로드(8)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가이드부재(9)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천공안에 코어비트(10)의 선단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콘크리트 드릴(1)측으로부터 코어비트(10)의 중심에 형성되고 있는 개구를 경유하여 코어비트의 선단부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코어비트(10)의 선단부에 공급된 냉각수는 콘크리트 벽면 등의 천공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재(9)로 수납되어 호스를 통해 여과장치 등을 경유하도록 하여 순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2와 같이 코어비트(10)는 선단부에 원통상의 천공날(11)이 형성된 중공원통상의 드릴부(12)와, 이 드릴부(12)의 타단측에 형성된 중공원통상의 장착부(13)에 의해 구성되고 있으며, 드릴부(12)는 천공하는 구멍의 지름 및 깊이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치수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13)의 단부에는 원통상의 가이드부(14)가 형성되어 이 원통상의 가이드부(14)가 콘크리트 드릴(1)의 척부(6)에 장착됨으로써 콘크리트 드릴(1)의 회전축과 코어비트(10)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안내된다.
상기 장착부(13)의 단부로부터 천공날(11)의 방향으로 떨어진 가이드부(14)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14)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환상의 플랜지부(15)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환상의 플랜지부(15)의 타단측에 면한 측면에 척부(6)의 회전을 코어비트(10)에 전달시키는 결합부재(16)가 형성되고 있다. 결합부재(16)는 플랜지부(15)의 측면에 타단측 방향을 향해 돌출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17)에 의해 형성되고 있고 이 결합돌기(17)가 도 3과 같이 콘 크리트 드릴(1)의 척부(6)에 형성되고 있는 결합오목부(6a)와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드릴(1)측의 회전이 코어비트(10)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도 4와 같이 결합돌기(17)의 원주방향을 향한 측면이 수직인 결합면(17a)을 형성하고 있으며, 도 5와 같이 이 결합돌기(17)가 콘크리트 드릴(1)의 척부(6)에 형성된 결합오목부(6a)내에 수용되고, 결합오목부(6a)를 통해 콘크리트 드릴(1)측의 회전이 코어비트(10)의 결합돌기(17)를 통해 코어비트(10)에 전달된다. 또 콘크리트 드릴(1)의 축방향의 진동은 결합돌기(17)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17b)와 콘크리트 드릴(1)측의 결합오목부(6a)사이에 형성되는 볼록부(6b)가 접촉함으로써 코어비트(10)측에 전달된다. 또한 콘크리트 드릴(1)의 척부(6)에 마련한 락갈고리 부재(18)에 의해 코어비트(10)가 콘크리트 드릴(1)의 척부(6)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한 코어비트(10)를 콘크리트 드릴(1)의 척부(6)에 장착하는 데에는 도 6과 같이 스프링(19)에 의해 뒤쪽으로 가압되고 있는 외통(20)에 의해 락되고 있는 락갈고리 부재(18)를, 외통(20)을 스프링(19)의 가압력에 맞서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락갈고리 부재(18)의 락상태를 해제시킨다. 도 7과 같이 락갈고리 부재(18)의 락상태가 해제된 후 코어비트(10)의 장착부(13)를 척부(6)에 삽입함으로써 대경의 플랜지부(15)의 외주연이 락갈고리 부재(18)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락갈고리 부재(18)가 퍼져 코어비트(10)의 장착부(13)를 척부(6)의 안쪽까지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코어비트(10)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어비트(10)의 결합돌기(17)를 척부(6)의 결합오목부(6a)내로 감합시킴으로써 도 8과 같이 락갈고리부재(18)가 플랜지부(15)의 외주연을 결합하고 또한 외통(20)이 스프링(19)의 가압력에 의해 뒤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락갈고리부재(18)를 락하여 코어비트(10)가 콘크리트 드릴(1)의 척부(6)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코어비트(10)의 원통상의 장착부(13)의 외주면에 대경의 플랜지부(15)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15)의 장착단부측 면에 단부측을 향해 돌출시킨 결합돌기(17)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드릴(1)로부터 회전방향의 구동력을 받는 결합돌기(17)가 플랜지부(15)의 외주연에 의해 보호되게 되어 낙하하거나 또는 수납·반송시의 진동에 의해 다른 것과 접촉하여 결합돌기(17)가 변형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어비트(30)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도시한 코어비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는 코어비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코어비트(30)는 원통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31)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결합편(32)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결합편(32)의 치수 및 배치는 종래의 코어비트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있다. 또한 상기 결합편(32)으로부터 드릴부(34)의 단부에 형성되는 천공날(35)근처에 떨어진 원통상의 장착부(31)의 외주면에 상기 결합편(32)의 돌출높이보다 외경이 큰 턱모양의 플랜지부(36)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와 동일 형상의 결합편(32)을 형성한 장착부(31)에 이 결합편(32)으로부터 천공날(35) 근처에 떨어진 위치에 대경의 플랜지부(36)를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종래의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코어비트(30)를 떨어뜨렸을 때나 수납시에 플랜지부(36)의 외주연에 의해 결합편(32)이 보호되므로 결합편(3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드릴측으로부터의 회전을 전달시키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코어비트 장착부의 외주면에 결합부재의 외경보다도 대경인 플랜지부를 상기 결합부재보다도 천공날(5)측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코어비트를 떨어뜨렸을 때나 또는 수납시의 진동등에 의해 결합부재가 콘크리트면이나 다른 것과 접촉하는 것이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보호되고, 결합부재가 파손되거나 또는 변형하여 콘크리트 드릴의 척부로의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불완전하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원통상의 드릴부와,
    상기 드릴부의 일단측에 형성된 천공날과,
    상기 드릴부의 타단측에 형성된 원통상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보다 천공날측에 위치한 결합부재의 외경보다도 대경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결합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드릴용의 코어비트.
  2. 중공원통상의 드릴부와,
    상기 드릴부의 일단측에 형성된 천공날과,
    상기 드릴부의 타단측에 상기 드릴부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원통상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장착부의 단부에서 천공날의 방향으로 떨어진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천공날측에 위치하여 결합부재의 외경보다도 대경의 환상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의 콘크리트 드릴에 장착된 장착단부측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단부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드릴용의 코어비트.
  3. 삭제
KR1020057002434A 2002-09-20 2003-09-08 코어비트 KR100874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75427A JP4363019B2 (ja) 2002-09-20 2002-09-20 コアビット
JPJP-P-2002-00275427 2002-09-20
PCT/JP2003/011432 WO2004026513A1 (ja) 2002-09-20 2003-09-08 コアビ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970A KR20050056970A (ko) 2005-06-16
KR100874520B1 true KR100874520B1 (ko) 2008-12-16

Family

ID=3202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434A KR100874520B1 (ko) 2002-09-20 2003-09-08 코어비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34076B2 (ko)
EP (1) EP1541267A4 (ko)
JP (1) JP4363019B2 (ko)
KR (1) KR100874520B1 (ko)
CN (1) CN1329151C (ko)
AU (1) AU2003264391A1 (ko)
TW (1) TW200405848A (ko)
WO (1) WO2004026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3721B2 (ja) * 2003-08-07 2010-03-17 マックス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ドリル等のコアビット着脱機構
US7938600B1 (en) * 2006-06-08 2011-05-1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utting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08056399A1 (fr) 2006-11-06 2008-05-15 Kabushiki Kaisha Miyanaga Dispositif de montage de tige
WO2010097223A1 (de) * 2009-02-25 2010-09-02 Loeschky Tim Hohlbohrwerkzeug mit austauschbarer bohrkrone
US9169739B2 (en) 2012-01-04 2015-10-2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Hybrid blade outer air seal for gas turbine engine
DE102012204491A1 (de) * 2012-03-21 2013-09-26 Hilti Aktiengesellschaft Bohrwerkzeug
JP5994346B2 (ja) * 2012-04-06 2016-09-21 マックス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ドリル等のビット着脱機構及びドリル工具
US10088162B2 (en) 2012-10-01 2018-10-02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mbustor with grommet having projecting lip
EP2886230A1 (de) * 2013-12-20 2015-06-24 HILTI Aktiengesellschaft Bohrkrone mit einem austauschbaren Schneidabschnitt
EP3213844A1 (de) 2016-03-03 2017-09-06 HILTI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handkernbohrgerät
JP7102821B2 (ja) * 2018-03-22 2022-07-20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熱源機
EP3834969A1 (de) * 2019-12-11 2021-06-16 Hilti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drehmomentübertragung von einem bohrgerät auf eine bohrkrone
EP3834970A1 (de) * 2019-12-11 2021-06-16 Hilti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drehmomentübertragung von einem bohrgerät auf eine bohrkrone
US11623285B2 (en) * 2021-03-01 2023-04-11 Andrew T. K. Dewberry Coring device for cutting holes through a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710A (ja) * 1998-03-13 1999-11-09 Hilti Ag ドリル工具及び工具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2554A (en) * 1968-08-05 1971-07-13 Akio Takahara Trepan boring tool
JPS4940868Y1 (ko) 1969-12-18 1974-11-09
US3817648A (en) * 1971-09-03 1974-06-18 Super Cut Drill shank and chuck assembly for a drill press
JPS5815076Y2 (ja) 1977-07-18 1983-03-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取付装置
JPS5852040Y2 (ja) 1979-09-10 1983-11-28 聖和精密工機株式会社 ホルダ−
DE3446296A1 (de) * 1984-12-19 1986-06-26 Maschinenfabrik Reinhausen Gebrüder Scheubeck GmbH & Co KG, 8400 Regensburg Hohlbohrer fuer das durchbohren von gfk-schichtstoffen
DE8513328U1 (de) * 1985-05-07 1985-10-31 Geißler & Kuper GmbH Diamantwerkzeug - Wiederaufbereitung, 3100 Celle Diamantbohrkrone mit Schaftrohr und Rohrgewindeanschluß
US5253961A (en) * 1989-04-05 1993-10-19 Geissler & Kuper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Diamantwerkzeuge Maschinen Coupling for drilling machine with dust extractor
JPH03130338U (ko) 1990-04-17 1991-12-27
DE4027820A1 (de) * 1990-09-01 1992-03-05 Hilti Ag Einsteckschaft mit zentraler bohreraufnahme
JPH0747244B2 (ja) * 1991-02-19 1995-05-24 株式会社ミヤナガ コアドリル
JP2653640B2 (ja) * 1994-09-21 1997-09-17 株式会社ハウスビーエム 円筒状孔開け工具の装着構造
DE29503542U1 (de) * 1995-03-02 1995-04-13 Biedron Ralf Bohrsatz mit Hohlbohrer für Bohrungen in Mauerwerken
JP3335604B2 (ja) * 1999-08-05 2002-10-21 株式会社ニコテック 分離型ホールソー
DE10005365A1 (de) * 2000-02-07 2001-08-09 Hilti Ag Bohrkrone
JP2002337133A (ja) * 2001-05-16 2002-11-27 Mitsubishi Materials Corp 穿孔装置及び穿孔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710A (ja) * 1998-03-13 1999-11-09 Hilti Ag ドリル工具及び工具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5848A (en) 2004-04-16
JP4363019B2 (ja) 2009-11-11
US20050260048A1 (en) 2005-11-24
TWI315697B (ko) 2009-10-11
EP1541267A4 (en) 2010-06-02
JP2004106148A (ja) 2004-04-08
CN1681615A (zh) 2005-10-12
US7534076B2 (en) 2009-05-19
KR20050056970A (ko) 2005-06-16
WO2004026513A1 (ja) 2004-04-01
CN1329151C (zh) 2007-08-01
AU2003264391A1 (en) 2004-04-08
EP1541267A1 (en)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520B1 (ko) 코어비트
JP5960367B2 (ja) ドロップインアンカーの取付工具
JP2005224939A (ja) ドライバ装置用のドリルアダプタ
JPH10103317A (ja) アンダーカットアンカーの取付工具
JP2007136643A (ja) コアドリル
US3123370A (en) Anchor chuck and anchor
JP2004106473A (ja) コンクリートドリル等におけるコアビット着脱機構
JPS5919803B2 (ja) バツクカツト部を備えた穿孔部を形成するための打撃穿孔装置
JP2006175593A (ja) 穴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4433721B2 (ja) コンクリートドリル等のコアビット着脱機構
JP5994346B2 (ja) コンクリートドリル等のビット着脱機構及びドリル工具
JP4689360B2 (ja) ドリルホルダ
JP3905537B2 (ja) アンカ打ち込み治具及びアンカ打ち込み治具を用いたアンカ施工方法
JP2005193378A (ja) コアビット
JP3602069B2 (ja) コアドリルのコア体結合構造
JP2598517B2 (ja) ストッパー付き穿孔用ドリル構造
US5076374A (en) Drilling device with an impact-rotation tool
JP2001088120A (ja) 塑造構造物穿孔用ドリルおよび穿孔深さ設定用治具
JP6836784B2 (ja) アンカー打込み工具
JP2005329606A (ja) 穿孔拡開工具
JPH10277965A (ja) 先端工具保持装置の防塵キャップ
JP2007229822A (ja) ドリルビット
JP2003136312A (ja) チャック
JPS63257610A (ja) アンダカツト部を有する穿孔を形成するための穿孔装置
JP2000263471A (ja) アンカ−の打込み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