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322B1 - 감속기 - Google Patents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322B1
KR100872322B1 KR1020070079512A KR20070079512A KR100872322B1 KR 100872322 B1 KR100872322 B1 KR 100872322B1 KR 1020070079512 A KR1020070079512 A KR 1020070079512A KR 20070079512 A KR20070079512 A KR 20070079512A KR 100872322 B1 KR100872322 B1 KR 10087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oil seal
lubricant
reduc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637A (ko
Inventor
쥰 다메나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3Gearings with spur or bevel gears
    • F16H57/0495Gearings with spur or bevel gears with fixed gear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65Control of cooling or lubric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Lubricant storage reservoirs, e.g. reservoirs in addition to a gear sump for collecting lubricant in the upper part of a gear case
    • F16H57/0454Sealings between different partitions of a gearing or to a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Retard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윤활제 누출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한 감속기를 제공한다.
기어에 의하여 입력된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로서, 그 감속기의 내부에, 오일 실(oil seal)을 개재하여 분할되며 또한 각각 윤활제가 봉입(封入)되는 상부공간(170) 및 하부공간(172)을 적어도 구비하고, 이 상부공간(170)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을, 상기 하부공간(172)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보다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상기 하부공간(172)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을, 그 하부공간(172)과 그 감속기의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오일 실로서 가장 하측(下側)에 배치되는 최하부(最下部) 오일 실의 위치 이하로 설정한다.
Figure R1020070079512
감속기, 기어, 윤활제, 오일 실, 편심체축, 유성기어

Description

감속기{Reducer}
본 발명은, 입력된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3에 나타낸 기어드모터(GM1)가 공지(公知)이다(특허문헌 1 참조). 기어드모터(GM1)는, 모터(M1)와 감속기(G1)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모터(M1)는, 모터 장착체(2)에 고정된 다음에, 볼트(21)에 의하여 제1 캐리어체(體)(11)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M1)의 모터축(1)에는, 피니언(4)이 형성된 이음축(3)이 키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피니언(4)은, 기어(5)와 맞물려 있다. 기어(5)는 회전축(6)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회전축(6)에는 편심체(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편심체용 베어링(8)을 통하여 외치(外齒)기어(유성기어)(9)를 요동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치기어(9)는 이와 동시에 내치(內齒)기어(10)와 맞물려 있다. 외치기어(9)의 잇수(齒數)와 내치기어(10)의 잇수는 근소한 차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치기어(10)는, 감속기(G1)의 케이싱으로서도 기능하고 있으며, 볼트(19)에 의하여, 기대(基臺)(16)에 설치고정되어 있다. 제1 캐리어체(11)는, 베어링(13)에 의하여 내치기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캐리어체(11)에는, 캐리어핀(11A)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캐리어핀(11A)이 외치기어(9)의 캐리어핀 구멍(9A)을 여유있게 끼워져(遊嵌) 있다. 또한, 제2 캐리어체(12)가 볼트(15)에 의하여 캐리어핀(11A)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캐리어체(12)는 베어링(14)에 의하여 내치기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1, 제2 캐리어체(11, 12)는, 내치기어(10)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대(16)에는, 내측(內側)을 향하여 뻗도록 플랜지부(16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플랜지부(16A)에 홀로 파이프(17)가 볼트(1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홀로 파이프(17)는, 감속기(G1)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으며, 배선(配線) 등(20)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1-323972호 공보
기어드모터(GM1)에 구비되는 감속기(G1)에 있어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윤활 필요부위는, 피니언(4)과 기어(5)의 맞물림부분이다. 그렇다면, 감속기(G1)를 액체 윤활제를 이용하여 윤활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이 피니언(4)과 기어(5)의 맞물림부분(예컨대 A-A선의 레벨)까지 윤활제가 봉입(封入)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감속기(G1)에서는, 기대(16), 플랜지부(16A), 홀로 파이프(17), 제1 캐리어체(11), 오일 실(22), 내치기어(10)에 의하여 감속기 내부에 구획된 된 하나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공간 내에 윤활제를 봉입 및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윤활 필요부위(A-A선 레벨)까지 윤활제를 봉입하여 버리면, 오일 실(22)로부터의 윤활제 누출의 가능성을 조장(助長)하여 버린다. 즉, 오일 실(22)의 높이위치보다도, 윤활제의 봉입 레벨(A-A선 레벨) 쪽이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그 높이의 「차」만큼, 항상, 오일 실(22)에는 윤활제로부터의 압력(감속기 내부측으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압력)이 걸리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윤활제 누출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한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어에 의하여 입력된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로서, 그 감속기의 내부에, 오일 실(oil seal)을 개재하여 분할되며 또한 각각 윤활제가 봉입(封入)되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적어도 구비하고, 이 제1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이, 상기 제2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보다도 높게 설정되며, 또한, 상기 제2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이, 그 제2 공간과 그 감속기의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오일 실로서 가장 하측(下側)에 배치되는 최하부(最下部) 오일 실의 상면(上面)위치 이하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공간을 구획하지 않고 제1 공간 내의 소정의 레벨까지 윤활제를 봉입한 경우에 비하여,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최하부 오일 실에 큰 압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부분에 필요한 양만큼 윤활제를 봉입하면 족하므로, 장치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윤활제의 양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윤활제 누출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윤활제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기어드모터(GM100)의 측단면도이다.
기어드모터(GM100)는, 동력원이 되는 모터(110)와, 요동내접맞물림형 유성기어 감속기(101)로 구성된다. 그 기어드모터(GM100)는, 자신의 축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설치된, 이른바 「세로형」의 기어드모터이다. 감속기구가 수용되는 케이싱(140)의 상면측에, 모터 장착체(139)를 통하여 모터(110)가 설치되며, 한편, 케 이싱(140)의 하면측에는 기대(142)가 볼트(14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기어드모터(GM100)의 반경방향 중앙부분은, 중공(中空)으로 된 홀로부(H)가 존재하고, 이 홀로부(H)에 케이블 등을 통과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로부(H)는, 제1, 제2 캐리어체(138A, 138B)를 관통하는 원통(圓筒) 플랜지(131)의 내주(內周)에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 플랜지(131)는, 장착볼트(129)에 의하여 기대(142)의 플랜지부(142A)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원통 플랜지(131)는, 동력전달에 직접 기여하지 않으므로, 박육(薄肉; 얇은 두께)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홀로부(H)의 직경을 크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모터(110)의 모터축(112)에는, 모터축(112)과 일체적으로 (등속(等速)으로) 회전하도록 피니언(114)이 구비되어 있다. 이 피니언(114)은, 예컨대 모터축(112)에 직접 절삭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별도 부재로서의 기어가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피니언(114)은, 자신보다 직경이 큰 입력기어(입력부재)(120)와 맞물려 있다. 즉, 피니언(114)보다도 입력기어(120) 쪽이 대(大)기어로서 구성되어, 그 감속기의 초단(初段)감속부(제1 감속부)를 구성하고 있다. 입력기어(120)는 입력축(122)에 고정되어 있다. 입력축(122)은, 제1 캐리어체(138A) 및 외치기어(134)를 관통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입력축용 베어링(152A)을 통하여 제1 캐리어체(138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입력축용 베어링(152B)을 통하여 제2 캐리어체(138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122)의 축방향 중간 정도(입력축(122)를 지지하는 입력축용 베어 링(152A, 152B)의 사이)에는, 입력축 기어(124)가 입력축(12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입력축 기어(124)는 분리 기어(126)와 맞물려 있다. 분리 기어(126)는, 분리 기어용 베어링(127) 및 캐리어 내측 커버(125)를 통하여, 캐리어체(138)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입력축(122)과 다른 위치에, 서로 120°위상을 다르게 하여 3개의 편심체축(130)이 배치되어 있다(도 1에서는 1개밖에 나타나 있지 않음). 각각의 편심체축(130)의 축방향 대략 중앙부분에는, 편심체축 기어(128)가 형성되어 있고, 이 편심체축 기어(128)가, 상술한 분리 기어(126)와 맞물려 있다.
편심체 기어(128)의 바로 상측 및 하측, 즉, 축방향 양측에는, 각각 편심방향이 다른 편심체(132)가 편심체축(13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편심체(132)는 각각 편심체용 베어링(133)을 통하여 외치기어(134)(의 중공부)에 끼워 맞춰져 있다.
외치기어(134)는, 편심체용 베어링(133)을 통하여 편심체(132)를 자신의 중공부에 끼워 맞춤과 동시에, 핀 형상의 내치(內齒)(136)와 맞물려 있다. 핀 형상의 내치(136)의 수(數)는, 외치(外齒)기어(134)의 잇수(齒數)와 근소한 차(1 내지 4 정도)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내치(136)와 케이싱(140)으로 내치기어를 구성하고 있다.
각 편심체축(130)은, 편심체축용 베어링(154A)을 통하여 제1 캐리어체(138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한편, 편심체축용 베어링(154B)을 통하여, 제2 캐리어체(138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리어체(138)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캐리어체(138A)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캐리어체(138B)로 구성되어 있고, 캐리어 핀 및 그 캐리어 핀에 연결되는 캐리어 볼트(미도시)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캐리어체(138A)와 제2 캐리어체(138B)의 내측(원통 플랜지(131)측)에는, 캐리어 내측 커버(125)가 마련되어 있어, 제1, 제2 캐리어체(138A, 138B)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제1 캐리어체(138A)는, 캐리어체용 베어링(150A)을 통하여 케이싱(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2 캐리어체(138B)는, 캐리어체용 베어링(150B)을 통하여 케이싱(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입력축(122)에 있어서의 입력축용 베어링(152A)의 상측(도 1에 있어서 상측)에는, 제1 오일 실(162)이 배치되어 있어, 제1 캐리어체(138A)와 입력축(122) 사이를 실링하고 있다. 이 제1 오일 실(162)을 배치함으로써, 그 제1 오일 실(162), 제1 캐리어체(138A), 모터 장착체(139)에 의하여 구획된 상부공간(제1 공간)(17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공간(170) 내에는, 피니언(114)과 입력기어(120)의 맞물림을 윤활할 수 있을 정도(예컨대 도 1 : A-A선 레벨)의 윤활유(윤활제)가 봉입되어 있다.
또한, 제1 캐리어체(138A)와 원통 플랜지(131) 사이에는, 제2 오일 실(164)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캐리어체(138A)와 케이싱(140) 사이에는 제3 오일 실(166)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제2, 제3 오일 실(164, 166)은, 모두 감속기(101)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고 있다. 또한, 제2 오일 실(164)(의 립 부분) 쪽이, 제3 오일 실(166)(의 립 부분)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제3의 오일 실(165, 166)이 배치됨으로써, 상술한 제1 오일 실(162)의 존재와도 더불어서, 감속기(101)의 상부공간(170) 하측에는, 하부공간(제2 공간)(17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대(基臺)(142), (기대(142)의) 플랜지부(142A), 원통 플랜지(131), 제2 오일 실(164), 제1 캐리어체(138A), 제1 오일 실(162), 제3 오일 실(166), 케이싱(140)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이 하부공간(172)이다. 그 하부공간(172)에도, 윤활제가 봉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부공간(172)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양은, 그 하부공간(172) 내에 있어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윤활 필요부위(예컨대 캐리어체용 베어링(150A) 및 편심체축용 베어링(154A)부 : C-C선 레벨)를 윤활할 수 있으며, 또한, 만일 상술한 제1 공간(170) 내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가 유입되어 온 경우(예컨대 제1 오일 실(162)의 불량에 의하여 새어 나온 경우)이더라도, 제2 공간(172)과 그 감속기(101)의 외부를 구획하는 오일 실로서, 가장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오일 실(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오일 실(164))의 립부의 위치(B-B선 레벨)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축(122)을 제1 캐리어체(138A)로부터 지지하는 입력축용 베어링(152A)에 관해서는, 예컨대 실링 베어링을 사용하면, 자기윤활 가능하다.
다음으로, 기어드모터(GM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100)가 작동하면, 모터축(112)의 회전은 피니언(114)을 통하여 입력기어(120)에 전달된다. 이때, 피니언(114)의 직경보다도 입력기어(120)의 직경 쪽이 대경(大徑; 큰 직경)(대(大)기어)이므로, 모터축(112)의 회전은 감속되어서 입력 축(122)으로 전달된다. 입력축(122)이 회전하면 입력축 기어(124)도 회전하므로, 또한 입력축 기어(124)와 맞물리는 분리 기어(126)도 회전한다.
또한, 분리 기어(126)는, 3개의 편심체축 기어(128)와 맞물림으로써 3개의 편심체축(13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입력축(122)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동시에 각 편심체축(130)으로 분리하여 전달한다. 분리 기어(126)의 회전에 의하여, 각 편심체축(130)이 회전을 개시하는데, 각 편심체축(130)에는 편심체(13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편심체(132)가 편심 회전함으로써 외치기어(134)를 요동 회전시키는 것이 된다. 이때 외치기어(134)는, 근소한 잇수 차이를 가지는 내치(136)와도 맞물려 있으므로, 외치기어(134)는 근소하게 자전(自轉)하면서 거의 요동만을 하게 된다. 이 요동성분은 편심체(132)에 의하여 캔슬되므로, 외치기어(134)의 약간의 자전성분만이, 캐리어체(138)에 전달되어서 출력되어 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대(基臺)(142)에 의하여 케이싱(14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어드모터(GM100)의 동작에 의하여, 모터(110)도 포함시킨 캐리어체(138) 전체가 회전하는 것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속기(101)의 내부가, 제1 오일 실(162)에 의하여 상부공간(170)과 하부공간(172)으로 구획되어 있고, 양 공간 내에는 각각 소정량의 윤활제가 봉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감속기 내부의 공간을 구획한 다음에, 각각의 공간에서 필요한 양의 윤활제만을 봉입하기만 하면 족하므로,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윤활제의 양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간 내에 가장 적합한 성질(점도 등)의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하부공간(172)의 윤활제 양 은, 그 하부공간(172) 내에 있어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윤활 필요부위(예컨대 캐리어체용 베어링(150A) 및 편심체축용 베어링(154A)부 : C-C선 레벨)을 윤활할 수 있으며, 또한, 만일 상술한 제1 공간(170) 내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가 유입되어 온 경우(예컨대 제1 오일 실(162)의 불량에 의하여 새어 나온 경우)이더라도, 제2 공간(172)과 그 감속기(101)의 외부를 구획하는 오일 실로서, 가장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오일 실(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오일 실(164))의 립부의 위치(B-B선 레벨)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부공간(170) 내의 윤활제가 유입되어 온 경우이더라도(유입되지 않은 경우는 당연히), 제2 오일 실(162)에 대하여 압력(유압)이 걸리지 않는다. 즉, 제1 오일 실(162)에 불량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상부공간(170)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는 하부공간(172)에 유입될 뿐이다. 또한, 제2, 제3 오일 실(164, 166)에 불량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제2 공간(172)의 윤활제의 레벨은 이들 오일 실(의 립부)의 높이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으므로 새어 나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그 감속기(101)에 사용되는 오일 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불량이 생긴 경우이더라도,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가 외부에 새어 나오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공간(170)으로부터 하부공간(172)에 윤활제가 유입된 경우이더라도, 하부공간(172)에 있어서의 최하부 오일 실의 립 위치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최하부 오일 실의 하면위치까지 도달하지 않는 레벨)로 하부공간(172) 내의 윤활제의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예컨대, 상부공간(170)으로부터 윤활제가 유입된 경우에는, 하부공간(172) 내의 윤활제의 레벨이, 최하부 오일 실의 립 위치보다 높은 레벨로 되어 버리는 경우)이더라도, 미리 하부공간(172) 내의 윤활제의 레벨이, 최하부 오일 실의 상면위치 이하로 되어 있으면 상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부공간(170)과 하부공간(172)을 구획하는 오일 실에 어떤 불량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상부공간(170) 내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가 한번에 하부공간(172)으로 유입되는 경우는 적으므로, 최하부 오일 실에 큰 압력이 가하여질 때(상부공간(170) 내의 거의 전체량의 윤활제가 하부공간(172)으로 유입될 때)까지의 시간을 벌 수 있어, 예컨대 정기점검 등에 의하여 누출 전에 조기발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 또한, 상부공간(170) 내의 거의 전량의 윤활제가 하부공간(172)으로 유입된 경우에 있어서도, 오일 실에 의한 구획을 마련하지 않고 당초부터 상부공간 상당부분의 규정 레벨까지 윤활제를 봉입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최하부 오일 실에 걸리는 압력을 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일 실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이 2개이었지만, 3개 이상의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기어드모터(GM200)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상술한 기어드모터(GM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숫자 아래 2자리가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그치고, 중복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기어드모터(GM200)에 있어서는, 제2 오일 실(264)이, 감속기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상부공간(270)과 하부공간(272)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즉, 원통 플랜지(231)가, 제2 공간(272)뿐만 아니라 제1 공간(270)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장착체(239), 제4 오일 실(268), 원통 플랜지(231), 제2 오일 실(264), 제1 캐리어체(238A), 제1 오일 실(262)에 의하여 상부공간(270)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원통 플랜지(231), 제2 오일 실(264), 제1 캐리어체(238A), 제1 오일 실(262), 제3 오일 실(266), 케이싱(240), 기대(242), (기대(242)의) 플랜지부(242A)에 의하여 하부공간(2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도, 하부공간(272)의 윤활제량은, 그 하부공간(272) 내에 있어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윤활 필요부위(예컨대 캐리어체용 베어링(250A) 및 편심체축용 베어링(254A)부 : C-C선 레벨)를 윤활할 수 있으며, 또한, 만일 상술한 제1 공간(270) 내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가 유입되어 온 경우(예컨대 제1 오일 실(262) 또는 제2 오일 실(264)의 불량에 의하여 새어 나온 경우)이더라도, 제2 공간(272)과 그 감속기(201)의 외부를 구획하는 오일 실로서, 가장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오일 실(본 실시예에서는 제3 오일 실(266))의 립부의 위치(B-B선 레벨)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부공간(270) 내의 윤활제가 유입되어 온 경우이더라도(유입되지 않은 경우는 당연히), 제3 오일 실(266)에 대하여 압력(유압)이 걸리지 않는다. 즉, 제1, 제2 오일 실(262, 264)에 불량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상부공간(270)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는 하부공간(272)으로 유입될 뿐이다. 또한, 제3 오일 실(266)에 불량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제2 공간(272)의 윤활제의 레벨은 이들 오일 실(의 립부)의 높이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으므로 새어 나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그 감속기(201)에 사용되는 오일 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불량이 생긴 경우이더라도, 봉입되어 있는 윤활제가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는다.
다만,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 기어는 2개의 외치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기어드모터(GM100)에서 말하자면, 제1 캐리어체(138A)와 외치기어(134)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2 캐리어체(138B)와 외치기어(134)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외치기어(134)가 2개의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좋고, 1개이어도 좋다.
또한, 3개의 편심체축(130)은, 서로 위상을 120°다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와 다른 위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배치되는 편심체축(편심체축 기어가 형성된 편심체축)의 개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위상을 바꾸어서 구성 가능하다.
또한, 3개의 편심체축(130) 모두에 편심체축 기어(128)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동하는 외치기어(134)에 종동(從動)하여 편심회전하는 편심체축이 존재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설명한 기어드모터에 있어서의 감속기는, 모두 편심요동형 유성기어 감속기이지만,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는 특히 감속기구 그 자체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단순유성기어형 감속기이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유성기어의 공 전(公轉) 성분이 캐리어체에 출력되게 된다.
예컨대, 산업용 로봇의 선회(旋回)를 담당하는 감속기로서 적용하면, 오일 누출에 의한 그 로봇(더 나아가서는 라인)의 정지를 회피할 수 있어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기어드모터(GM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기어드모터(GM2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어드모터(GM1)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GM100 : 기어드모터
101 : 감속기(요동내접맞물림형 유성기어 감속기)
110 : 모터 112 : 모터축
114 : 피니언 120 : 입력 기어
122 : 입력축 124 : 입력축 기어
126 : 분리 기어 128 : 편심체축 기어
130 : 편심체축 131 : 원통 플랜지
132 : 편심체(偏心體) 133 : 편심체용 베어링
134 : 외치(外齒)기어 136 : 내치(內齒)
138 : 캐리어체(體)
138A : 제1 캐리어체 138B : 제2 캐리어체
139 : 모터 장착체(體) 140 : 케이싱
142 : 기대(基臺) 142A : 플랜지부(기대(基臺))
144 : 볼트 150 : 캐리어체용 베어링
152 : 입력축용 베어링 154 : 편심체축용 베어링
162, 164, 166 : 오일 실
170 : 상부공간(제1 공간) 172 : 하부공간(제2 공간)
H : 홀로부

Claims (6)

  1. 기어에 의하여 입력된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로서,
    그 감속기의 내부에, 오일 실(oil seal; 162)을 개재하여 분할되며 또한 각각 윤활제가 봉입(封入)되는 제1 공간(170) 및 제2 공간(172)을 적어도 구비하고,
    이 제1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이, 상기 제2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보다도 높게 설정되며, 또한,
    상기 제2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이, 그 제2 공간과 그 감속기의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오일 실로서 가장 하측(下側)에 배치되는 최하부(最下部) 오일 실(164)의 상면(上面)위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이, 상기 제1 공간에 봉입되는 윤활제 중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는 오일 실이 없는 경우에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하는 양의 윤활제를 더한 경우이더라도, 상기 최하부 오일 실의 상면위치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이, 상기 최하부 오일 실의 립 위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의 레벨이, 상기 최하부 오일 실의 하면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 내에 제1 감속부가, 상기 제2 공간 내에 제2 감속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감속부에는, 유성기어(134) 및 이 유성기어의 자전(自轉) 성분 또는 공전(公轉) 성분과 동기하는 캐리어체(體)(138)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는 오일 실이, 상기 제1 감속부로부터 상기 제2 감속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캐리어체 사이, 및 그 감속기를 관통하는 홀로(hollow) 부재(H)와 상기 캐리어체 사이 중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과 그 감속기의 외부를 구획하는 오일 실이, 상기 유성기어가 내접맞물림하는 내치(內齒)기어(136, 140)와 상기 캐리어체 사이, 및 상기 홀로 부재와 상기 캐리어체 사이 중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KR1020070079512A 2006-08-10 2007-08-08 감속기 KR100872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18206 2006-08-10
JP2006218206A JP4820713B2 (ja) 2006-08-10 2006-08-10 減速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637A KR20080014637A (ko) 2008-02-14
KR100872322B1 true KR100872322B1 (ko) 2008-12-05

Family

ID=3910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512A KR100872322B1 (ko) 2006-08-10 2007-08-08 감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33940B2 (ko)
JP (1) JP4820713B2 (ko)
KR (1) KR100872322B1 (ko)
DE (1) DE102007037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940B1 (ko) * 2006-03-29 2008-02-12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감속기
DE102008026702B4 (de) * 2007-06-11 2021-04-22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Gelenk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Roboter
JP2009115274A (ja) * 2007-11-09 2009-05-28 Nabtesco Corp 偏心揺動型歯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産業用ロボットの関節構造
CN101981344B (zh) * 2008-03-28 2014-10-29 纳博特斯克株式会社 齿轮装置
JP4908482B2 (ja) * 2008-11-19 2012-04-04 株式会社ツバキエマソン 中空出力軸減速機の油漏れ防止構造
ES2396812B1 (es) * 2011-06-21 2014-01-17 Gamesa Innovation & Technology, S.L. Sistemas de retención.
CN102252087B (zh) * 2011-07-19 2013-04-24 徐州东方传动机械有限公司 一种油田抽油机用减速器润滑装置
JP5941863B2 (ja) * 2013-03-27 2016-06-2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偏心揺動型の減速機構を備えた減速装置
JP6545434B2 (ja) * 2014-02-14 2019-07-1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CN104265843A (zh) * 2014-08-06 2015-01-07 吴小杰 锌基合金轴承支承输出轴之行星减速器
KR102354463B1 (ko) 2015-01-09 2022-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트로그레이드 채널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21139427A (ja) * 2020-03-04 2021-09-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装置、ロボットの関節構造の組立方法
CN112432742B (zh) * 2020-11-19 2021-11-16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姿态与油温校正的矿用减速器漏油故障诊断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899A (ja) * 1993-01-29 1993-10-12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st式走行変速装置
JPH0960711A (ja) * 1995-08-28 1997-03-0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遊星歯車式減速機の潤滑装置
KR970001992Y1 (ko) * 1994-10-04 1997-03-17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중장비의 선회 감속장치
KR970003901Y1 (ko) * 1993-12-27 1997-04-24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중장비의 선회 감속기의 개선된 밀봉장치
KR970004878Y1 (ko) * 1994-09-30 1997-05-2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감속기 오일실 장착 슬리브
KR200161746Y1 (ko) * 1995-12-16 1999-12-01 이구택 기어드 모터 감속기 윤활유의 모터측 유입방지장치
KR20020025020A (ko) * 2000-09-27 2002-04-03 안자키 사토루 건설기계의 선회장치
KR200290272Y1 (ko) * 1997-09-30 2002-12-26 주식회사 포스코 감속기의오일실링장치
KR20030069933A (ko) * 2003-07-25 2003-08-27 주식회사 포엔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2중출력 유성감속기어장치
JP2005098511A (ja) 2004-11-15 2005-04-14 Nabtesco Corp 偏心差動型減速機
KR100648518B1 (ko) * 2005-07-20 2006-11-27 김유학 누유 방지형 싸이크로이드 감속기
KR100656823B1 (ko) * 2005-08-24 2006-12-13 다이모스(주) 감속기의 기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6150C3 (de) 1972-11-16 1979-03-29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Gehäuseanordnung mit zwei Gehäuseräumen
JPH0633792B2 (ja) * 1984-02-03 1994-05-0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低速形水中ポンプ
JP2505754B2 (ja) * 1986-07-11 1996-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H032056A (ja) * 1989-05-31 1991-01-08 Kyocera Corp 光プリンタヘッド
JP2938786B2 (ja) * 1995-07-04 1999-08-25 日立建機株式会社 旋回装置
JP3659707B2 (ja) 1995-08-24 2005-06-1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ロボット等の旋回部構造
JP3594504B2 (ja) * 1998-12-28 2004-12-0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オフセット型ギヤドモータ装置
JP3703685B2 (ja) * 2000-05-15 2005-10-0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減速機及びこれを備えた産業用機械の関節
JP4459382B2 (ja) * 2000-05-24 2010-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ギヤードモータ
JP2002302233A (ja) * 2001-03-30 2002-10-18 Sumitomo Heavy Ind Ltd モータ内蔵タイプのパイプ駆動構造
JP4755357B2 (ja) * 2001-04-18 2011-08-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減速機
JP4004256B2 (ja) * 2001-09-13 2007-11-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減速機
US7357745B2 (en) * 2003-10-01 2008-04-15 Yanmar Co., Ltd. Travel working machine
US6991574B2 (en) * 2004-01-08 2006-01-31 Arvinmeritor Technology, Llc Dual level oil impeller for drive axle assembly
DE102004055121B4 (de) 2004-11-10 2006-12-21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Doppelkupplungsgetriebe
DE102005055567A1 (de) 2005-11-22 2007-06-21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 für ein Flurförderfahrzeug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899A (ja) * 1993-01-29 1993-10-12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st式走行変速装置
KR970003901Y1 (ko) * 1993-12-27 1997-04-24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중장비의 선회 감속기의 개선된 밀봉장치
KR970004878Y1 (ko) * 1994-09-30 1997-05-2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감속기 오일실 장착 슬리브
KR970001992Y1 (ko) * 1994-10-04 1997-03-17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중장비의 선회 감속장치
JPH0960711A (ja) * 1995-08-28 1997-03-0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遊星歯車式減速機の潤滑装置
KR200161746Y1 (ko) * 1995-12-16 1999-12-01 이구택 기어드 모터 감속기 윤활유의 모터측 유입방지장치
KR200290272Y1 (ko) * 1997-09-30 2002-12-26 주식회사 포스코 감속기의오일실링장치
KR20020025020A (ko) * 2000-09-27 2002-04-03 안자키 사토루 건설기계의 선회장치
KR20030069933A (ko) * 2003-07-25 2003-08-27 주식회사 포엔 누유 방지구조를 가지는 2중출력 유성감속기어장치
JP2005098511A (ja) 2004-11-15 2005-04-14 Nabtesco Corp 偏心差動型減速機
KR100648518B1 (ko) * 2005-07-20 2006-11-27 김유학 누유 방지형 싸이크로이드 감속기
KR100656823B1 (ko) * 2005-08-24 2006-12-13 다이모스(주) 감속기의 기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637A (ko) 2008-02-14
JP4820713B2 (ja) 2011-11-24
JP2008039161A (ja) 2008-02-21
US20080045369A1 (en) 2008-02-21
DE102007037651A1 (de) 2008-04-10
US8033940B2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322B1 (ko) 감속기
KR101066234B1 (ko) 편심 요동형 감속기
CN1202362C (zh) 内啮合行星齿轮结构的传动装置
EP1296084B1 (en) Eccentric oscillating-type speed reducer
CN100554723C (zh) 内接啮合行星齿轮减速装置
KR100970900B1 (ko) 수직형 사이클로 감속기
US20110028259A1 (en) Gear transmission
EP2034219A1 (en) Reduction gear
CN103836168A (zh) 行星齿轮装置
CN101981344B (zh) 齿轮装置
KR102149066B1 (ko)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JP5654971B2 (ja) 偏心揺動型の減速装置
KR20120099748A (ko) 요동내접 맞물림형의 유성기어장치
KR100975817B1 (ko) 로봇의 관절구동장치
JP2014190451A (ja) 偏心揺動型の減速機構を備えた減速装置
CN102235485A (zh) 工件旋转装置
CN102782362A (zh) 齿轮装置
CN111043251B (zh) 偏心摆动型减速装置
JPH08319810A (ja) 動力伝達機構の潤滑装置
JP4851826B2 (ja) 内接揺動噛合型遊星歯車減速機
JP2006329269A (ja) 遊星歯車減速機における潤滑剤の充填構造
CN108571567B (zh) 行星齿轮装置
JP5917362B2 (ja) 動力伝達装置
CN111350793A (zh) 齿轮装置
JP2002161947A (ja) 内接噛合遊星歯車構造の変速装置、及び該変速装置の外部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