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989B1 -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그 절단 방법 - Google Patents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그 절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989B1
KR100858989B1 KR1020070028328A KR20070028328A KR100858989B1 KR 100858989 B1 KR100858989 B1 KR 100858989B1 KR 1020070028328 A KR1020070028328 A KR 1020070028328A KR 20070028328 A KR20070028328 A KR 20070028328A KR 100858989 B1 KR100858989 B1 KR 100858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cutting
hook
band material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841A (ko
Inventor
랄프 클레너
베른드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9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6Cutting textile inserts to requir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26D1/1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4Cutting members therefor not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9/00Cutting apparatus combined with punching or perforating apparatus or with dissimilar cut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밴드 재료, 특히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를 절단하는 절단기는 정지한 밴드 재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절단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절단 수단은 밴드 가장자리 쪽의 절단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절단날(48)을 구비한 둥근 나이프(6); 및 이 나이프의 하류에 위치하여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밴드 재료(2)를 관통 절단하는 후크 나이프(18) 또는 활 모양의 절단날(63)과 후크 모양의 절단날(64)을 가진 하나의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28328
절단기, 밴드, 나이프, 가열 장치

Description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그 절단 방법{A CUTTING DEVICE FOR CUTTING BAND MATERIAL AND A METHOD FOR CUT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의 방향으로 취한 절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이중 절단 나이프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절단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이중 절단 나이프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절단기
3: 절단 수단
4: 테이블
5: 테이블 섹션
6, 7, 18: 나이프
17: 리프팅 장치
27: 로킹 장치
35, 36: 컨베이어
39, 40: 파스너
41, 42: 승강 장치
44, 45: 액츄에이터
67, 68: 지지판
본 발명은 밴드 재료, 특히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를 절단하는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절단기는 정지 상태의 밴드 재료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절단 수단을 포함한다.
타이어를 제조할 때,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 재료들은 삽입물로서 직물 내지 강철 필라멘트를 필라멘트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고 접속한 상태에서 다시 스플라이스(splice) 처리되어야만 한다. 절단 과정 후에 필요한 스플라이스는 서로 결합될 밴드 가장자리가 서로 맞접촉하는, 즉 중첩하지 않는 맞대기 스플라이스로서 실시되어야 하고, 이러한 맞대기 스플라이스가 높은 강도를 가져야만 하는 경우, 양쪽 절단 가장자리에서 필라멘트에 대해 나란하게 재료를 미리 절단할 때 어떠한 직물 내지 강철 필라멘트도 노출되지 않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렇지 않는 경우, 스플라이싱될 고무가 바로 스플라이스 시임의 영역에 너무 적게 존재하므로 스플라이스 결합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스플라이스 결합의 강도는 스플라이스에 존재하는 고무를 통한 접착에 전적으로 의존하 기 때문이며, 이러한 고무는 맞대기 스플라이스 시에 절단 가장자리에서 결합되어 인장 강도를 발생시킨다. 노출된 필라멘트의 경우, 고무는 단지 노출된 필라멘트와 접착될 수 있는데, 이것은 충분하지 못한 강도에 이르고, 최악의 경우 스플라이스가 풀릴 수 있다.
그와 같은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를 절단하기 위해, 다양한 나이프, 즉 한편으로는 후크(hook) 나이프와 다른 한편으로는 원형 나이프가 이용된다. 후크 모양의 절단날을 갖춘 후크 나이프는 측방에서 밴드 재료로 안내된다. 그러한 후크 나이프를 가진 절단부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가열되는 경우 향후 달성 가능한 스플라이스 강도가 가장 높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후크 나이프를 이용하여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것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후크 나이프는 전방으로 자신의 하측 나이프 팁과 함께 상측에서 밴드 재료 속으로 들어가는데, 이것은 필라멘트 근처에 삽입되는 경우 고무가 이러한 필라멘트에 의해 스크래칭되고, 따라서 필라멘트의 영역에서 노출되며, 국부적으로 스플라이스 강도를 약화시키는 일을 종종 발생시킨다. 또한 선택적으로 후크 나이프를 필라멘트가 종결되어 있는 측방에서 밴드 재료 속으로 안내할 수도 있는데, 이것도 나이프가 직접 필라멘트 단부 속으로 안내되어 교착되거나, 필라멘트가 분리되는 결과에 종종 이른다.
대개 원형인 원형 나이프의 경우, 상측에서 밴드 재료 속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어떠한 문제점도 발생시키지 않는데, 이는 원형 나이프가 통상적으로 쉽게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오랫동안 안내되는 경우 필라멘트 사이의 자신의 경로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료가 원형 나이프에 의해 관통 절단되는 경우, 후크 나이 프 절단부와 비교할 때 달성 가능한 스플라이스 강도가 감소된다. 이것은 대체로 원형 나이프가 통상적으로 회전 상태로 지지되는 반면에, 후크 나이프는 밴드 재료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에 고정되어 있다는 점에 확실한 근거를 두고 있다. 이 경우 후크 나이프를 이용한 절단의 경우 양측으로 절단된 고무의 얼룩효과에 이른다. 이러한 효과는 공전 원형 나이프를 이용한 절단의 경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이것은 아마도 약한 강도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된 밴드 가장자리의 맞대기 스플라이싱 시에 스플라이스 강도에 대한 손상 없이 밴드 재료, 특히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절단기의 경우, 절단 수단이 밴드 가장자리 쪽의 절단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둥근 절단날을 구비한 나이프와, 이 나이프의 하류에 위치하여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밴드 재료를 관통 절단하는 후크 나이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는 상이한 목적을 수행하는 2종류의 상이한 나이프 타입의 조합을 제공한다. 한편 둥근, 바람직하게는 활 모양의 절단날을 가지고 있지만 원형의 원형 나이프로서 실시될 수 있는 제1 나이프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1 나이프는 절단부를 밴드 가장자리에 생성시키며, 따라서 밴드 재료를 수 밀리미터의 범위(예컨대, 최대 50 mm까지)의 짧은 크기만큼 가장자리에서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둥근 절단날을 가진 나이프는 상측에서 밴드 재료 상으로 이동하고, 상측에서 내부로 삽입되고, 절단부를 생성하기 위해 이 절단부가 수직 방향의 삽입 과정에 의해 미리 생성되지 않은 경우 필요에 따라 밴드 재료로부터 짧은 크기로 당겨진다. 이 절단부는 상측에서 삽입되는 둥근 나이프가 사용되는 동안 최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가장자리 양측에 충분한 고무 재료가 절단부 영역에서도 최적의 스플라이스를 실현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제2 나이프, 즉 후크 나이프는 밴드를 실제로 관통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나이프는 측방으로부터 형성 완료된 절단부 속으로 안내된다. 둥근 나이프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 나이프는 실제로 형성 완료된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이 절단부까지 이동하지 않고 밴드와, 필요에 따라 직접 필라멘트 단부와 만나도록 보장된다. 후크 나이프는 계속해서 밴드 재료에 의해 당겨지며, 이때 이 나이프에 의해 관통되는 절단부의 영역에서는 유사하게 충분한 고무가 절단된 양쪽 밴드 가장자리에서 전술한 얼룩 효과 때문에 잔존한다. 또한 이러한 절단부 영역에서 최적의 스플라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전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다양한 나이프 타입의 직렬 연결에 기초하며, 따라서 2개의 개별 절단부의 실현은 최적의 밴드 절단부를 달성하며, 이 밴드 절단부는 매우 높은 스플라이스 강도를 가진 맞대기 스플라이스 결합을 전체 스플라이스 길이에 걸쳐 가능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2개의 개별 나이프를 이용하기 위해 이중 절단 나이프를 사용하며, 이 이중 절단 나이프는 자신의 하측 가장자리에 원형 나이프의 기능을 수행하는 둥근 절단날을 구비한다. 이의 상부에서 이중 절단 나이프는 후크 나 이프의 기능을 수행하는 후크 모양의 절단날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합 나이프를 이용하면, 제1 단계로 둥근 절단날에 의해 절단부가 생성되며, 이후 적절한 위치 조정 후에 후크 모양의 절단날에 의해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밴드 재료가 관통 절단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과 결합된 장점들이 단지 하나의 나이프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둥근 나이프와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는 개별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해당 리프팅 모터 또는 전기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가 제공된다. 원형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는 상측으로부터 밴드 재료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만 하는 반면에, 별도로 제공된 후크 나이프의 수직 방향 가동성은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후크 나이프는 나이프의 일차적이고 고도의 정렬을 수행하고, 초기 위치로의 복귀 시에 상부 위치로 이동할 가능성은 이러한 수직 방향 가동성이 절단될 밴드 재료가 정지하는 지지 테이블처럼 상황에 따라 실시됨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궁형 또는 원형 나이프이든지 간에 상관없는 둥근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는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수평 방향 축선을 따라 적합하게, 경우에 따라서는 스프링 요소를 통해 중앙에서 센터링된 상태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변위 가능한 지지, 바람직하게는 중앙 센터링을 위해 2개의 측방 스프링 요소의 복원에 대해 발생된 지지는 원형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가 자신의 둥근 절단날과 함께 밴드 재료로의 삽입 시에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둥근 나이프는 이러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며(또한 활발한 회전 구동부도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과 측방 당김 후에 경우에 따라 회전 각도에 의해 단지 제한된 회전각 운동 또는 선회 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전 또는 선회 운동은 상대적으로 작은 절단부의 매우 짧은 길이(바람직하게는 최대 25 mm까지의 수 밀리미터의 범위)에만 적용된다. 이중 절단 나이프는 특정의 제한된 각도로 선회 가능하며, 따라서 자신의 둥근 절단날과 함께 절단부를 실시하기 위해 삽입 후에 밴드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으며, 추가의 선회 운동은 필요하지 않다.
후크 나이프 또는, 경우에 따라 회전 축선에 따라 일어나는 전술한 축방향 변위 가능성에 대한 변형 형태로서의 이중 절단 나이프는 수직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고/하거나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수평 방향 축선을 따라 선형으로 변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의 지지 가능성은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의 임의의 가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그 결과 이러한 나이프가 밴드 재료 내지 절단선에 인접한 필라멘트로부터 어느 정도 안내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를 위한 잠금 해제 가능한 로킹 장치가 초기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이러한 로킹 장치는 예컨대 후크 나이프, 이중 절단 나이프, 또는 나이프 홀더에 측방으로 맞물리는 2개의 가동 클램핑 턱의 형태로 실시되며, 이들 클램핑 턱은 전기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제어되어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 장치를 통해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가 초기 위치에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별도의 후크 나이프는 축방향 변위 가능한 지지 시에 유사하게 중앙에 센터링되는 것이 바람 직한 둥근 나이프와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다. 로킹 장치는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절단부 속으로 안내될 때까지 오랫동안 후크 나이프를 고정시킨다. 이 후에 로킹 장치는 해제되고, 후크 나이프는 자유롭게 된다. 이중 절단 나이프는 후크 모양의 절단날이 절단부 속으로 안내될 때까지 오랫동안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킹 장치는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의 선회 지지뿐만 아니라 선형 지지를 수행하며, 다시 말해서 로킹 장치는 선회 각도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초기 위치뿐만 아니라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선형 변위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초기 위치로 후크 나이프를 이동시킨다.
2개의 개별 나이프로 실시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단지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짧은 수평 방향 운동과 관련하여 밴드 재료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될 수 있는 둥근 나이프를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로 배치하고 단지 후크 나이프만을 둥근 나이프에서 먼저 이동시킬 가능성이 기본적으로 존재하더라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둥근 나이프와 후크 나이프를 일반적인 로킹 장치를 통해 절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둥근 나이프와 후크 나이프로 구성된 전체 절단 수단은 해당하는 개별 수직 방향 구동부, 로킹 장치 등과 함께 이동되며, 이를 위해 나머지 선형 이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후크 나이프와 둥근 나이프가 현수되어 있는 중심 지지대가 제공되며, 선형 가이드에서 안내되고 예컨대 순환 벨트 또는 톱니막대 구동부 또는 나사막대 구동부의 형태의 적합한 구동 수단을 통해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경우에 따라 후크 나이프 및/또는 둥근 나 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의 가열은 적합하게는 최적의 절단부를 위한 것이며, 뜨거운 후크 나이프 내지 뜨거운 이중 절단 나이프의 후크 모양 절단날이 절단 영역에서 밴드의 고무를 쉽게 녹이고, 그 결과로 훨씬 개선된 얼룩 효과를 가져오고, 이에 따라 절단 영역에서 충분한 고무층 두께의 형성에 이르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형 나이프의 가열은 기본적으로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가열 장치는, 특히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는 절단 방향으로 나이프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는 함께 이동하여 각각의 나이프가 전체 가열 시간 동안에 연속적으로 가열된다. 이 경우, 가열 장치는 둥근 나이프,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의 나이프 홀더의 내부 또는 측부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가열 장치는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의 로킹 장치의 내부 또는 측부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동행 가열 장치에 대한 변형 형태에서, 가열 장치를 고정 상태로 배치하고, 둥근 나이프,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를 밴드 재료에 맞물리지 못한 초기 위치에서 가열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나이프는 바로 절단되지 않는 경우에만 가열될 뿐이며, 그 결과 절단하는 동안 최소한도로 어느 정도 냉각된다. 그러나 초기 위치로 안내되는 경우, 각각의 나이프는 주어진 온도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즉각 다시 가열된다.
가열 장치 자체는 전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서 저항 히터, 즉 전기적인 가열수단, 복사 히터, 또는 히터 팬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다른 실시 형태는 절단기가 밴드 재료를 절단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고정 및 인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 장치는 한편으로 밴드 재료를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개별 절단부를 실시하는 동안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이 장치는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밴드 재료를 인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절단부의 도입 후에 밴드 장력으로 인해 절단부가 어느 정도 당겨지도록 야기하며, 따라서 밴드 가장자리로의 외측을 향해 수 밀리미터로 개방된다. 그 결과 후크 나이프가 절단부 내로 더 쉽게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는 밴드 굽힘뿐만 아니라 밴드 인장을 수행하는 조합형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장치는 밴드 재료 상에 위치하는 2개의 파스너의 형태로 실시되며, 이들 파스너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절단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하나는 밴드를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안정화시킨다. 그러나 양쪽 파스너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이러한 이동은 공통 구동부 또는 개별 구동부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밴드를 고정하기 위한 개별 장치와 밴드를 인장시키기 위한 개별 장치가 제공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형태는 절단될 밴드 재료를 지지하는 테이블을 제공하며, 이 테이블은 둥근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를 자신의 둥근 절단날을 이용하여 절단부의 도입 시에 대향 지지하고,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의 후크 모양 절단날을 이용하여 절단하기 위해 하강할 수 있는 고도 조 정 가능한 테이블 섹션을 구비한다. 이러한 테이블 섹션은 전체 테이블 길이에 걸쳐 절단 방향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하며, 예컨대 30 mm - 70 mm, 바람직하게는 50 mm의 너비를 가지며, 절단부가 도입되는 경우에 상측 대향 지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 테이블 섹션은 둥근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에 대해 지지하며, 이때 이러한 나이프는 밴드 속으로 삽입되거나 밴드를 테이블 섹션 상에 가압한다. 절단부가 도입되는 경우와, 자신의 하측 단부(이중 절단 나이프의 경우 하측의 둥근 절단날)에 의해 밴드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의 후크 모양 절단날이 측방으로부터 안내되는 경우, 테이블은 절단부에서 하강하며, 그 결과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는 테이블과 충돌하지 않는다. 그러나 절단 가장자리 영역에서 테이블면의 융기부에 길이 방향의 틈새가 제공되며, 이 틈새에는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가 동작하며, 이때 이러한 나이프가 테이블을 통해 당겨진다.
절단기 자체 외에도 본 발명은 밴드 재료, 특히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를 절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제1 절단 과정에서는 둥근 절단날을 구비하여 밴드 재료의 상측으로부터 이동하는 나이프에 의해 밴드 가장자리 쪽에 절단부가 생성되며, 제2 절단 과정에서는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로서 실시되는 나이프의 후크 모양 절단날이 상기 밴드 재료의 인장의 결과로 개방되는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상기 밴드 재료를 관통 절단하면서 상기 밴드 재료에 의해 당겨진다.
둥근 나이프와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는 각각의 절단부의 실시 를 위해 초기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로, 그리고 각각의 절단부의 실시 후에는 다시 초기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절단부는 밴드 가장자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 mm - 50 mm, 특히 2 mm - 25 mm의 길이로 측정되며, 인장의 결과로 벌어진 절단부가 생긴다. 최종 관통 절단을 위해 후크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는 자신의 후크 모양 절단날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느린 속도로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밴드 재료를 통해 당겨진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나이프는 경우에 따라서는 둥근 나이프 내지 이중 절단 나이프도 가열된다.
비록 절단부가 직접 둥근 나이프의 삽입 후에 장력에 따라 개방되도록 밴드 재료를 절단부를 마련하기 전에 미리 인장시키는 가능성이 존재하더라도, 밴드 재료를 먼저 절단부의 생성 후에 팽창에 의해 수 밀리미터만큼 인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직물 또는 코드 밴드 재료(2)를 절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1)를 보여주며, 여기에서 절단기는 절단 수단(3)과 밴드 재료가 위에 놓이는 테이블(4)을 포함하며, 이 테이블에는 명료성을 위해 후술할 선회 가능한 테이블 섹션(5)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절단 수단은 원형 나이프(7)로서 도시되어 있는 제1 원형 나이프(6)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형 나이프(7)는 나이프 홀더(8)에 배치되며, 회전 축선(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러한 회전 축선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측방으로 작용하는 한 쌍의 인장 스프링의 복원력에 반발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축선 방향 가동성이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발생한다.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양쪽 인장 스프링은 원형 나이프(7)를 축선의 중심에 센터링시킨다. 원형 나이프(7)는 양방향 화살표(10)로 표시한 바와 같이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9)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리프팅 장치(9) 자체는 절단 수단 전체가 선형 가이드(12)를 통해 양방향 화살표(13)의 방향으로 가이드(14)에서 이동할 수 있는 지지대(11)에 배치된다. 이 외에도 도시된 예에서는 선형 가이드(12)와 결합되는 벨트 구동부(16)를 통해 절단 수단(3)의 운동을 유발하는 구동 모터(1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1)에는 제2 절단 수단, 즉 후크 나이프(18)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2 리프팅 장치(17)가 마련되어 있다. 이 리프팅 장치(17), 즉 여기에서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 또는 전기 구동 장치를 통해 후크 나이프(18)는 양방향 화살표(19)의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리프팅 장치(19)의 고정 피스톤(20)이 여기에서는 C 형상의 지지대(21)와 결합되며, 이 지지대는 선형 가이드(22)를 통해 실질적으로 L 형상의 지지대(11)의 수직 방향 다리(leg)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C 형상의 지지대(21)의 하부 수평 방향 다리에는 나이프 지지대(23)가 선형 가이드(24) 속에 수용된다. 나이프 지지대(23)에는 다른 나이프 지지대(25)가 배치되며, 여기에서 나이프 지지대(25)는 나이프 지지대(23)를 상대적으로 확실하게 위치 조정하기 위해 수직 방향 축선(26)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즉, 제2 나이프 지지대(25)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후크 나이프는 회전 축선(26)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제2 나이프 지지대(25)는 회전 축선(26) 결합을 통해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가이드(24)를 통해 재차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나이프 지지대(23)에 배치되기 때문에, 후크 나이프(18)는 선형 가이드의 방향으로, 즉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선형 가이드(24), 제1 나이프 지지대(23)뿐만 아니라 나이프 홀더라고 불릴 수 있는 제2 나이프 지지대(25)는 도 3에서 확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는 지지대(21)에 대한 리프팅 장치(17)의 결합도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도 3은 로킹 장치(27)를 상세하게 보여주며, 이 로킹 장치는 선형 가이드를 통해 양방향 화살표(28)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양방향 화살표(29)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축선(26)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후크 나이프(18)를 잠그는 역할을 한다. 이 로킹 장치(27)는 공압식, 유압식 또는 전기식으로 제어 가능한 센터링 액츄에이터(32)를 통해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클램핑 또는 잠금 위치로부터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클램핑 또는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클램핑 턱(jaw)(30, 31)을 포함한다. 양쪽 클램핑 턱(30, 31)이 양쪽 나이프 지지대(23, 25)에 확실하게 접촉하고 있는 클램핑 위치에서, 양쪽 클램핑 턱은 후크 나이프가 원형 나이프(7)에 대해 바로 정렬되어 있는 중심의 중점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후크 나이프(18)의 양방향 화살표(28, 29)의 방향으로의 가동성이 저지된다. 양쪽 클램핑 턱(30, 31)이 센터링 액츄에이터(32)를 통해 외측을 향해 개방된 위치로 선회 축선(33)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우, 선형 가이드(24)와 회전 축선(26)은 분리되며, 다시 말해서 후크 나이프(18)가 변위 및 회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1)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후크 나이프(18)가 원형 나이프의 후방에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위치에서는 원형 나이프(7)만이 관찰될 수 있다. 절단될 밴드가 상세하게 도시하지 아니한 공급 장치가 화살표(34)로 도시한 바와 같이 놓이는 테이블(4)의 상측에는 절단된 스트립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2개의 컨베이어(35, 36)가 설치된다. 이들 컨베이어 사이에는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되었던 테이블 섹션(5)이 위치하며, 이 테이블 섹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승 위치로부터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하강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테이블 섹션(5)은 일종의 평행사변형 로드(37)를 통해 선회 지지되며, 변위를 위해 해당 액츄에이터(38)가 제공된다.
또한 테이블(4)은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이중 기능을 가진 2개의 파스너(39, 40)가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유압식, 공압식, 또는 전기식으로 제어되는 해당 승강 장치(41, 42)가 어떤 역할을 하든 이들 파스너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승 위치에서는 이들 승강 장치는 밴드 재료(2)에 맞물리지 않으며, 하강 위치에서는 이들 승강 장치는 밴드 재료를 가압한다. 이 밴드 재료는 이들 파스너에 할당되어 밴드 재료가 안내되는 지지판(67, 68) 각각에 고정되며, 그 결과 절단하는 동안에 미끄러지지 않는다. 지지판(67, 68)에는 각각의 컨베이어(35, 36)까지 밴드 재료의 완만한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완만하게 경사진 섹션(69, 70)이 제공된다. 지지판(67, 68)에 올려진 밴드 재료는 컨베이어 평면에 대해 쉽게 상승된다. 요청된 밴드는 먼저 컨베이어(35)를 통해 가령 공기에 지지된 상태로 추가 이동되는 지지판(68)으로 운반된다. 게다가 지지판(68)에는 예컨대 복수의 통기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통기공을 통해 밴드를 지지하는 공기 쿠션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쿠션은 연결될 지지판(67)을 통해 밴드를 운반하도록 해당 통기공을 구비한 테이블 섹션(5)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사하게 해당 통기공을 통해 지지 공기 쿠션이 생성된다. 계속해서 밴드는 다음 컨베이어(36)로부터 넘겨진다. 테이블 섹션(5)의 영역에서 공기 쿠션을 통한 지지 대신에, 지지판(68)으로부터 지지판(67)으로의 인도를 위한 인도 장치가 예컨대 집게 또는 클램핑 실린더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파스너(39, 40)는 그 지지판(67, 68)과 함께 선형 가이드(43)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여기에서는 유압식, 전기식 또는 공압식으로 제어 가능한 해당 액츄에이터(44, 45)를 통해 화살표(46, 47)에 의해 표시된 양쪽 방향으로 서로 운반되거나 다시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밴드 재료(2)가 먼저 양쪽 파스너(39, 40)를 통해 지지판(67, 68)에 대해 가압되고 이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 지지판(67, 68)과 함께 양쪽 파스너(39, 40)의 이격에 의해 밴드 재료를 인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결과 원형 나이프(7)를 통해 도입된 절단부가 밴드 장력에 의해 벌어지고, 이러한 절단 개구를 후크 나이프(18)의 통과 시에 장력에 따라 재차 개방시킨다.
밴드 재료(2)는 다음과 같이 절단된다.
우선, 밴드 재료(2)가 절단기(1)로 운반되고 나서 위치 조정된다. 계속해서 2개의 파스너(39, 40)가 액츄에이터(44, 45) 각각을 통해 제어되면서 출발하고, 밴드 재료를 지지판(67, 68)에 대해 가압 고정시킨다.
기본적으로 2개의 파스너(39, 40)는 지지판(67, 68)과 함께 화살표(46, 47)로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수 밀리미터만큼 이동해서 밴드 재료를 인장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가능성은 실행되지 않고 절단부가 생성된 후에 비로소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원형 나이프(7)는 밴드 재료(2)의 상측의 밴드 가장자리(48) 바로 근처에 위치 조정되고, 이어서 리프팅 장치(9)를 통해 하강되며, 그 결과 원형 나이프(7)는 자신의 절단날(49)과 함께 상측으로부터 밴드 재료(2)로 안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 나이프(7)는 회전 축선(D) 상에 축방향으로 쉽게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자신의 가동성으로 인해 독립적으로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2)의 인접한 2개의 필라멘트 사이에서 자신의 경로를 찾는다. 상승한 테이블 섹션(5)을 통해 대향 지지되는 원형 나이프(7)가 하강하고, 밴드 재료(2)가 수직 이동에 의해서만 절단되는 경우, 통상적인 절단 수단 구동부(17)를 통해 측방으로(도 1에서 우측을 향해) 이동하며, 그 결과 밴드 재료는 가장자리를 따라 절단된다. 절단부가 생성되도록 원형 나이프(7)는 리프팅 장치(9)를 통해 다시 상승한다.
그 후에 테이블 섹션(5)은 도 1에 도시된 하강 위치로 이동하며, 다시 말해서 밴드 재료는 이 영역에서 노출되고 더 이상 지지되지 않는다. 테이블 섹션(5)은 예컨대 폭이 50 mm이며, 다시 말해서 밴드 재료는 약간만 노출된다.
절단부가 생성된 후에, 2개의 파스너(39, 40)는 자신의 지지판(67, 68)과 함께 (이미 발생하지 않는다면) 화살표(46, 47)의 방향으로 어느 정도 서로에 대해 이동하고, 밴드 재료(2)를 노출된 영역에서 인장시키며, 그 결과 생성된 절단부는 벌어진다. 이제 후크 나이프(18)는 리프팅 장치(17)를 통해 제어되면서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하강 위치로 이동하며, 이 위치에서는 후크 나이프가 자신의 후크 모양의 절단날(50)과 함께 밴드면에 위치한다. 이때 후크 나이프(18)는 로킹 장치(27)를 통해 확실하게 고정되며, 따라서 측면으로 이동하거나 선회할 수 없다. 이제 중심 구동부(15)를 통해 전체적으로 절단 수단(3), 원형 나이프(7) 및 후크 나이프(18)가 절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나는데, 그 이유는 우선 후크 나이프가 인장된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기 때문이다. 후크 나이프가 절단부 속에 위치함과 동시에, 로킹 장치(27)가 개방되며, 다시 말해서, 2개의 클램핑 턱(30, 31)이 도 3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선회한다. 그 결과 후크 나이프(18)는 2개의 자유도로 가동될 수 있다. 이제 구동부(15)를 통해 절단 수단이 절단 방향으로 확실하게 높아진 속도로 이동한다. 후크 나이프가 밴드 재료, 즉 인접하게 위치한 필라멘트 사이의 고무를 관통 절단한다. 로킹 수단(27)이 개방되었기 때문에 후크 나이프(18)가 쉽게 변위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은 쉽게 기울어지거나 요동하게 되는 필라멘트 가이드에서 약간의 부정확성을 보상할 수 있다. 절단 수단(3)의 운동은 후크 나이프(18)가 충분하게 밴드 재료를 관통 절단할 때까지 오랫동안 일어난다. 그때 후크 나이프(18)가 리프팅 장치(17)를 통해 상승된 초기 위치로 다시 이동하고, 전체 절단 수단은 중심 구동부(15)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출발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이와 동시에 테이블 섹션(5)은 상승 위치로 다시 이동하며, 파스너(39, 40)는 자신의 지지판(67, 68)과 함께 서로에 대해 좁게 위치한 출발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이때 절단된 밴드 섹션은 컨베이어(36)를 통해 운반되고, 후술한 밴드 재료는 컨베이어(35)를 통해 공급된다.
선택적으로 다양한 절차가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시간적으로 전후로 설명되어 있을지라도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클램핑 턱(30, 31) 내에 또는 그 상에 2개의 가열 장치(51, 52)가 합체되어 있으며, 이들 가열 장치는 나이프 지지대(25)를 통해 후크 나이프(18)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가열 장치는 임의의 가열 장치가 될 수 있으며(도 3은 단지 개략도이다.), 전기적인 저항 히터, 히터 팬, 또는 복사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가열 장치는 나이프와 함께 이동하며, 나이프를 일정하게 가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후크 나이프(18)를 복귀된 초기 위치에서만 가열시키는 고정식 가열 장치(53)가 설치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될 수 있는데, 이 고정식 가열 장치는 도 1에 단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결국, 경사지게 연장하는 절단부가 생성되어야만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중심 요소들이 수직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체 절단 수단은 구동부뿐만 아니라, 지지판과 구동부를 포함한 파스너와 함께 수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테이블에 대해 선회하며, 이때 테이블은 전혀 하강할 수 없는 테이블 섹션을 구비하거나, 필요에 따라 밴드 재료에 대해 선회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54)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주며, 여기에서 이중 절단 나이프(56)로서 실시되는 하나의 나이프만을 포함하는 절단 수단(55)이 제공된다. 이러한 이중 절단 나이프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되며, 양쪽 절단부를 실시하는 역할, 즉 한편으로는 절단부를 생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충분한 밴드 통과 절단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해당 리프팅 장치(57)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리프팅 장치(57)는 선형 가이드(59)를 통해 지지대(60) 상에서 변위 가능한 지지대(58)에 배치되며, 이를 위해 중심 구동부(61)가 선형 가이드(59)와 예컨대 벨트(62)를 통해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별도의 후크 나이프를 위해 이용되는 모든 장치 부품이 생략되며, 오히려 이 절단기는 실질적으로 더 적은 구성요소로 실현된다.
도 5는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확대 개략도로 보여준다. 이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자신의 하측에 둥근 절단날(63)을 구비하며, 이 절단날은 절단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이러한 목적으로 리프팅 장치(57)가 상측으로부터 밴드 재료 상에 가압된다. 또한 후크 모양의 절단날(64)이 제공되며, 이 절단날은 도 1의 후크 나이프(18)의 기능을 가지고, 관통 절단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회전 축선(D)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지만, 스토퍼(65)로 인해 이동의 제한을 받는다. 이중 절단 나이프(56)가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둥근 절단날(63)이 밴드 재료를 가압 절단한다. 이중 절단 나이프(56)가 구동부(61)를 통해 측방으로, 도 4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회전 축선(D)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둥근 절단날(63)도 측방으로 구름운동하고 밴드 가장자리까지 관통 절단한다. 이중 절단 나이프(56)가 부하 해제되는 경우, 이중 절단 나이프는 선회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5)를 향해 다시 선회하면서, 도 5에 도시된 출발 위치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절단부는 후크 모양의 절단날(64)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여기에서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테이블 섹션(5)이 하강하는 동안 후크 모양의 절단날(64)이 절단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그 후에 스토퍼(65)에 대향 지지되고 구동부(61)를 통해 구동되는 이중 절단 나이프(56)의 후크 모양의 절단날(64)이 이동하며, 절단부 속에서 밴드 재료를 통해 후퇴하고 당겨진다.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아니한 파스너를 통해 밴드 재료가 서두에 언급한 방식으로 인장되며, 절단부가 장력에 따라 쉽게 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회전 축선(D)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따른 원형 나이프(7)의 경우와 유사하게 둥근 절단날(63)이 삽입될 때 양쪽 필라멘트 사이의 자신의 경로를 독립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회전 축선(D)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필요한 경우 2개의 복귀 스프링 사이에 지지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나이프 홀더(66)를 도 1의 선형 가이드(24)와 유사하게 선형 가이드를 통해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중 절단 나이프(56)가 수용되는 나이프 홀더(66)를 수직 방향 축선(V)을 중심으로 이동 제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결과 임의의 변위성이 이중 절단 나이프(56)에서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제공되며, 이것은 이동 제한된 회전 축선(26)을 통해 도 1의 후크 나이프(18)에서 제공되는 것과 유사하다. 수직방향 축선(V)은 반드시 회전 축선(D)에 대해 수직 방향일 필요는 없고, 필요한 경우 연장된 나이프 홀더(66)의 용도에 따라 가능하다면 절단 방향으로 제공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아니한 적당한 로킹 장치를 통해 요구에 따라 회전 축선(D)을 따라 또는 수직방향 축선(V)을 중심으로 실현되는 이중 절단 나이프(56)의 운동을 저지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 장치는 예컨대 리프팅 장치(57)의 피스톤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경우에 따라 로킹 장치(27)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적합한 클램핑 턱의 형태로, 공압식, 유압식 또는 전기식으로 제어되는 적합한 클램핑 턱의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 클램핑 턱은 한편으로는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다른 해당 클램핑 섹션을 통해 직접 중간 위치로 회전 축선(D) 상에 클램핑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처럼 나이프 홀더(66)의 회전 운동을 클램핑 홀더를 통해 동일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이들 클램핑 턱은 나이프 홀더(66)와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적당한 방식으로 측방으로부터 파지하고 고정시키며, 그 결과 모든 가동성이 전술한 자유도만큼 저지된다. 또한 클램핑 방향이 회전 축선을 따르고 수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행하는 운동이 예컨대 나이프 홀더(56)의 회전을 방해하고 저지하기 위해 별도의 클램핑 부품을 통해 개별적으로 저지될 수 있는 반면에, 선회 운동은 둥근 절단날(63)의 삽입 중에 회전 축선(D)에서 개별 축방향 이동 만큼 자유롭게 된다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4에서, 초기 위치에서 가열을 가능하게 하는 개별 가열 장치(53)가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위해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가열 장치는 비록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직접 절단 수단(55)에, 바람직하게는 나이프 홀더(66)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도 당연하다. 이러한 임의의 가열 장치는 이중 절단 나이프(56)와 함께 이동되고,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연속적으로 가열시킨다.
지금까지 이러한 구성요소는 도 4 및 도 4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1)와 관련한 도 1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용된다. 특히 테이블(4)은 테이블 섹션(5)과 소속 파스너(39, 4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이들 파스너는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밴드 섹션을 인장시키기 위한 지지판(67, 68)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도 1 및 도 3에서 해당 실시 형태가 언급된다. 절단기(1)에 대한 절단기(54)의 핵심 차이는 단지 나이프, 즉 이중 절단 나이프(56)의 사용이며, 이 나이프는 양쪽 절단 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절단기(54)는 분명히 전체 구성이 단순화되어 있으며, 이는 단지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수직방향 구동부와 밴드 재료를 관통 절단하는 수평 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부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결국 절단기(1, 54) 각각의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하지 아니한, 각각의 절단기의 모든 요소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가 제공되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절단기에 따르면, 절단된 밴드 가장자리의 맞대기 스플라 이싱 시에 스플라이스 강도에 대한 손상 없이 밴드 재료, 특히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를 절단할 수 있다.

Claims (27)

  1. 정지한 밴드 재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절단 수단을 구비하여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밴드 가장자리 쪽의 절단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절단날(48)을 구비한 둥근 나이프(6); 및
    상기 둥근 나이프(6)의 하류에 위치하여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밴드 재료(2)를 관통 절단하는 후크 나이프(18), 또는 활 모양의 절단날(63)과 후크 모양의 절단날(64)을 가진 하나의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나이프(6)는 활모양의 절단날(48)을 구비하거나 원형 나이프(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나이프(6)는 상기 후크 나이프(18)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나이프(6)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수평 방향 축선(D)을 따라, 필요한 경우를 스프링 요소를 통해 중앙에 센터링된 상태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나이프(6)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상기 축선(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나이프(18)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수직 방향 축선(26, V)을 중심으로 선회하거나,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수평 방향 축선(24)을 따라 선형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나이프(18)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위한 잠금 해제 가능한 로킹 장치(27)는 초기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27)는 측방으로 상기 후크 나이프(18),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 또는 나이프 홀더(25, 66)에 맞물려 이동하는 2개의 클램핑 턱(30, 31)의 형태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나이프(6)와 상기 후크 나이프(18)는 공통의 구동 장치(15)를 통해 절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나이프(18)와 상기 둥근 나이프(6)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51, 52, 53)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51, 52)는 나이프(6, 18, 56)와 함께 절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51, 52)는 상기 둥근 나이프(6), 상기 후크 나이프(18)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의 나이프 홀더(8, 25, 66)의 내부 또는 측부에, 또는 상기 후크 나이프(18)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의 로킹 장치(27)의 내부 또는 측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53)는 위치 변동 없이 배치되고, 상기 후크 나이프(18), 상기 둥근 나이프(6),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56)는 상기 밴드 재료(2)에 맞물리지 아니한 초기 위치에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51, 52, 53)는 저항 히터, 복사 히터 또는 히터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재료(2)를 인장시키는 장치(39, 40)는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39, 40)는 상기 밴드 재료(2) 상에 위치될 수 있는 2개의 파스너이며, 상기 2개의 파스너 중에서 상기 밴드 재료(2)를 인장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는 절단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파스너(39, 40)는 공통의 구동부 또는 개별 구동부(44, 45)에 의해 절단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단될 밴드 재료를 지지하는 테이블(4)이 제공되며, 상기 테이블은 고도 조정 가능한 테이블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테이블 섹션은 상기 둥근 나이프(6)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를 상기 절단부의 도입 시에 대향 지지하고, 상기 후크 나이프(18) 또는 상기 후크 모양 절단날(64)을 이용하여 절단하기 위해 하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19.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 방법에 있어서,
    제1 절단 과정에서는 절단날을 구비하여 밴드 재료의 상측으로부터 이동하는 둥근 나이프에 의해 밴드 가장자리 쪽에 절단부가 생성되며, 제2 절단 과정에서는 후크 나이프 또는 이중 절단 나이프로서 실시되는 나이프의 후크 모양 절단날이 상기 밴드 재료의 인장의 결과로 개방되는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상기 밴드 재료를 관통 절단하면서 상기 밴드 재료에 의해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나이프, 상기 후크 나이프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는 각각의 절단부의 실시를 위해 초기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로, 그리고 각각의 절단부의 실시 후에는 다시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2 - 50 mm의 길이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나이프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는 자신의 후크 모양 절단날과 함께 느린 속도로 절단부 속으로 안내되고,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밴드 재료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나이프, 상기 둥근 나이프 또는 상기 이중 절단 나이프는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4.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재료는 상기 절단부를 생성한 후에야 비로소 팽창에 의해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51, 52, 53)는 저항 히터, 복사 히터 또는 히터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재료는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재료는 직물 또는 강철 코드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KR1020070028328A 2006-03-22 2007-03-22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그 절단 방법 KR100858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3609.8A DE102006013609B4 (de) 2006-03-22 2006-03-22 Schneid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neiden von Bandmaterial, insbesondere von Textil- oder Stahlcordbändern
DE102006013609.8-26 2006-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841A KR20070095841A (ko) 2007-10-01
KR100858989B1 true KR100858989B1 (ko) 2008-09-18

Family

ID=3794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328A KR100858989B1 (ko) 2006-03-22 2007-03-22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그 절단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839822B8 (ko)
JP (1) JP4708378B2 (ko)
KR (1) KR100858989B1 (ko)
CN (1) CN101041240B (ko)
AT (1) ATE435099T1 (ko)
DE (2) DE102006013609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599B1 (ko) * 2009-09-14 2011-07-05 성신하이텍(주) 히터의 양단 자동 길이조정 절단장치
KR101370563B1 (ko) 2011-12-29 2014-03-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유동형 타이어 반제품 절단 장치
KR101448566B1 (ko) 2012-04-12 2014-10-08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7453B2 (ja) * 2011-10-20 2016-04-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撚り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材料切断方法
JP5924015B2 (ja) * 2012-02-10 2016-05-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チール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材の切断装置
CN102963755B (zh) * 2012-10-29 2015-02-04 南京理工大学常熟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切膜装置
DE202013104649U1 (de) * 2013-10-15 2013-11-08 Karl Eugen Fischer Gmbh Slitter zum Schneiden von Cord
DE202013104651U1 (de) * 2013-10-15 2013-11-08 Karl Eugen Fischer Gmbh Slitter zum Schneiden von Cordband
KR101725403B1 (ko) * 2015-04-15 2017-04-10 박정훈 필터 절삭 가공장치
CN105082241A (zh) * 2015-08-26 2015-11-25 东莞市拓荒牛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热刀切割装置
CN105252564B (zh) * 2015-09-07 2017-09-01 卓达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裁割机及其控制方法
CN105798961A (zh) * 2016-05-09 2016-07-27 成都羿博智能设备有限公司 用于流水作业的切割机
CN106001755B (zh) * 2016-06-13 2018-07-13 晋吉 一种电梯生产用金属板自动化切割装置
CN106370490B (zh) * 2016-08-29 2019-08-23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试件初始裂纹复制装置及方法
CN106737905B (zh) * 2016-12-17 2018-09-04 安徽益草堂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医用中药材切片装置
CN108790231B (zh) * 2017-05-03 2020-10-09 卡尔欧根菲舍尔有限公司 切割连续带、特别是钢丝帘线带或织物帘线带的切割设备
CN107443443A (zh) * 2017-09-05 2017-12-08 刘远堂 一种自动剪胶装置
CN108109780B (zh) * 2017-12-20 2020-02-18 上海迅选智能科技有限公司 高效的解束切割废旧电缆线堆方法
CN108154977B (zh) * 2017-12-20 2019-07-26 上海迅选智能科技有限公司 废旧电线电缆堆自动切割装置
CN108179620A (zh) * 2018-03-08 2018-06-19 珂卡芙鞋业有限公司 裁条机用的裁刀
DE102018120501A1 (de) * 2018-08-22 2020-02-27 Karl Eugen Fischer Gmbh Schneideinrichtung zum Schneiden von Bandmaterial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neideinrichtung
CN111230979B (zh) * 2019-04-08 2024-01-02 青岛海科佳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米粉切断机
CN110142220A (zh) * 2019-05-05 2019-08-20 天津大良晟驰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纸板切割机
CN110154122B (zh) * 2019-05-24 2024-05-17 江天云 一种医疗过滤器切膜线
CN112318570A (zh) * 2019-08-05 2021-02-05 厦门积远超声技术有限公司 一种热切机
CN110605755A (zh) * 2019-10-24 2019-12-24 永发印务(四川)有限公司 包装盒丝带贴装用自动切丝带装置
CN115161988A (zh) * 2022-07-27 2022-10-11 浙江超仕达特纺有限公司 扁平丝开槽切割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2964A (en) 1955-05-10 1956-04-24 Levin David Cloth cutting table and machine
US4210042A (en) 1977-11-25 1980-07-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parting ply stock between side-by-side cords or wires
EP0768046A1 (en) 1995-10-09 1997-04-16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Cutting machine
DE19853498A1 (de) 1997-11-19 1999-07-01 Bernd Kempken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schneiden von Grund- und Musterelementen für einen Bodenbelag
EP0988942A1 (fr) * 1998-09-23 2000-03-29 E 3 C Procédé et machine de coupe en continu de profilés en matière plastique extrudé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046A (en) * 1983-05-09 1986-02-25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Pivot mounted cutting knife
JPS60139440A (ja) * 1983-12-28 1985-07-2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コ−ド入りタイヤ材料の切断装置
JPS61164797A (ja) * 1985-01-16 1986-07-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ド入生ゴムシ−トの切断装置
JPH03277494A (ja) * 1990-03-23 1991-12-09 Bridgestone Corp 帯状部材の切断装置
JP3003713B2 (ja) * 1991-03-14 2000-01-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コード入り強化ゴムシートの切断装置
JP3402394B2 (ja) * 1993-12-27 2003-05-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スチール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の切断装置
JP2002520204A (ja) * 1998-07-17 2002-07-09 ザ・グッドイヤー・タイヤ・アンド・ラバー・カンパニー 高温ナイフ切断装置
DE10042197B4 (de) * 2000-08-28 2005-04-07 Schuler Held Lasertechnik Gmbh & Co. Kg Laser-Streckzieh-Bearbeitungseinrichtung für Blechteile und Verfahren
JP2002113688A (ja) * 2000-10-11 2002-04-16 Bridgestone Corp 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WO2003035379A1 (en) * 2001-10-25 2003-05-01 Pirelli Pneumatici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 ribbon of rubber-coated fabric
JP4162887B2 (ja) * 2001-12-13 2008-10-08 横浜ゴム株式会社 ワイヤー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材料の切断方法及びその切断に用いる切断刃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2964A (en) 1955-05-10 1956-04-24 Levin David Cloth cutting table and machine
US4210042A (en) 1977-11-25 1980-07-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parting ply stock between side-by-side cords or wires
EP0768046A1 (en) 1995-10-09 1997-04-16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Cutting machine
DE19853498A1 (de) 1997-11-19 1999-07-01 Bernd Kempken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schneiden von Grund- und Musterelementen für einen Bodenbelag
EP0988942A1 (fr) * 1998-09-23 2000-03-29 E 3 C Procédé et machine de coupe en continu de profilés en matière plastique extrudé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599B1 (ko) * 2009-09-14 2011-07-05 성신하이텍(주) 히터의 양단 자동 길이조정 절단장치
KR101370563B1 (ko) 2011-12-29 2014-03-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유동형 타이어 반제품 절단 장치
KR101448566B1 (ko) 2012-04-12 2014-10-08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13609A1 (de) 2007-10-18
JP2007253319A (ja) 2007-10-04
CN101041240B (zh) 2010-09-15
DE102006013609B4 (de) 2014-03-27
DE502007000956D1 (de) 2009-08-13
CN101041240A (zh) 2007-09-26
EP1839822A1 (de) 2007-10-03
KR20070095841A (ko) 2007-10-01
EP1839822B1 (de) 2009-07-01
JP4708378B2 (ja) 2011-06-22
EP1839822B8 (de) 2009-09-02
ATE435099T1 (de)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89B1 (ko)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그 절단 방법
KR100995355B1 (ko) 스트립 재료, 특히 섬유 또는 강철 로프 스트립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
US3641855A (en) Device for cutting cord webs of pneumatic tires
KR102265328B1 (ko) 플라스틱 재료 부분의 1축 또는 2축 연신 장치
EP1674252A1 (en) A method for cutting elastomeric materials and a segment made by the method
CZ2002987A3 (en) Feeding device for cord strips
EP2941348A1 (en) Welding apparatus for conveyor belts and method
KR101634038B1 (ko) 연질 원단시트 절단장치
NO157031B (no) Anordning ved ringlaser-gyroskop, spesielt bŸyeutlŸseranordning.
MXPA02002177A (es) Aparato y metodo para enrollar material de hoja comprimible.
EP1910236B1 (fr) Installation de prise automatique de fils
EP10105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ynthetic resin films
KR101448566B1 (ko)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
CN212070559U (zh) 用于切割带材料的切割装置
CZ16194U1 (cs) Zarízení pro odstrihávání a spojování pásových ústrizku lepivého pásu
EP4268599A1 (en) Meat stuffing machine
KR101851733B1 (ko) 원단 자동 절단장치
EP1944274A1 (en) Method and Machine for cutting laminated glass
JP2006524140A (ja) 切断機内にログを一時的に保持する装置
EP0386017B1 (fr) Procede d&#39;entrainement de fibres dans une coupeuse de fibres et coupeus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4169794B2 (ja) コーナー形成装置を有した細片装着手工具
US69785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remnant material from a bobbin
KR20010045101A (ko) 고무밴드 절단장치
KR20230120328A (ko) 프리 히터를 구비하는 종이 빨대 제조시스템
CN110856874A (zh) 用于切割带材料的切割装置和用于驱动切割装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