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566B1 -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 - Google Patents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566B1
KR101448566B1 KR1020130025189A KR20130025189A KR101448566B1 KR 101448566 B1 KR101448566 B1 KR 101448566B1 KR 1020130025189 A KR1020130025189 A KR 1020130025189A KR 20130025189 A KR20130025189 A KR 20130025189A KR 101448566 B1 KR101448566 B1 KR 101448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edge trimming
cutting
band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012A (ko
Inventor
베른트 호프만
랄프 클레너
Original Assignee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1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03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9/00Cutting apparatus combined with punching or perforating apparatus or with dis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6Cutting textile inserts to required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Tyre Mould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서로 평행한 강철 또는 직물 와이어들이 삽입되는 탄성적인 매트릭스로 형성된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로서,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절단 접촉 상태에 놓이지 않고 상기 매트릭스(22)를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2개의 롤 커터(5, 6) 및 상기 롤 커터들의 하류에 배치되고 절단 작업을 마무리하는 커터(11)를 포함하는 모서리 트리밍 장치.

Description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EDGE TRIMMING DEVICE}
본 발명은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cord band)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는 주로 타이어 산업에서 생산할 타이어의 골조나 벨트를 제조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밴드들은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으로 형성된 탄성, 때때로 약간의 점착성이 있는 매트릭스로 형성되고, 서로 평행한 강철 또는 직물 와이어(wire)가 상기 매트릭스에 삽입된다. 이러한 밴드들은 캘린더 공정(calender process)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캘린더링 장치로 생산한 밴드들의 모서리가 항상 정확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어지는 공정에서 횡방향을 가로질러 절단될 물질이, 모서리를 사전에 절단하는 작업, 즉, "트리밍"시키는 작업 없이 서로 모서리에서 접합(splicing)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와이어들이 코드 밴드 물질의 외측면에 노출되어, 후속하는 접합 공정이 요구하는 강도를 가질 수 없게 되는데, 왜냐하면 높은 강도의 접합 강도를 위해서는 2개의 마모될 밴드의 모서리 내지 상응하는 외측 와이어들이, 접합되어야 할 밴드의 모서리에 충분한 정도의 탄성을 가진 물질, 즉 고무 등으로써 도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캘린더 공정 이후 너무 많은 양의 매트릭스 물질이 와이어들 상에서 밴드 외측면, 즉 모서리에 존재하게 된다. 이는, 후속하는 접합 공정 이후, 접합된 구성요소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와이어들 사이의 와이어 간격이 너무 커지게 한다. 이에 따라, 이렇게 제조된 제품, 즉 골조 또는 벨트는 균일하지 않은 와이어 간격을 갖게 되고, 이는 추후에 제조될 타이어의 강도 및 기계적 특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 흠이 없는 밴드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른바 모서리 트리밍 공정이 상응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이러한 모서리 트리밍 장치들은 캘린더링 장치 자체에서 또는 후속하는 제조 공정에 통합된 코드 밴드 절단기계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모서리 트리밍과 관련하여, “불량” 모서리가 발생할 경우 가장자리 영역들이 절단될 수 있는데, 이때 이러한 잘라진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또는 철사가 포함된다. 다시 말해서, 매트릭스에 삽입된 2개의 와이어들 사이를 따라 절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단 작업을 통해서 기하학적으로 흠이 없는 모서리가 만들어지고, 절단 후에는 외측의 와이어들이 원하는 두께로 매트릭스 물질에 도포되어 모서리들이 흠 없이 접합될 수 있다.
공지의 모서리 트리밍 장치는 가장자리 부분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2개의 와이어 사이에서 절단을 수행하는 커터를 구비한다. 커터로는 보통 직선형 커터를 포함하여 밴드를 대략 수직 위치에서 절단하는 단순한 커터가 사용되거나, 또는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롤 커터들로 구성되는 한 쌍의 롤 커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롤 커터들은 절단 접촉 상태에 있고 공동으로 작동하여 밴드를 절단한다.
그러나 물질의 총 두께가 3 mm 이상이고, 그 가운데서도 13 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비교적 두꺼운 강철이나 직물 코드 밴드들이 사용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즉, 이러한 물질은 두께가 약 2-3 mm 인 일반적인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보다 몇 배 더 두꺼운 것이다. 이렇게 두꺼운 밴드들의 모서리 트리밍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왜냐하면 직선의 날을 가진 일반적인 커터를 사용할 경우 매트릭스 물질의 두께로 인해서 매우 높은 절단력이 적용되고, 이는 생산 안정적인 적용을 어렵게 만들어 종종 후속 공정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절단력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롤 커터를 사용하여 트리밍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접합이 요구하는 강도가 상기 롤 커터들에 의해서 모서리에 항상 제공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두께가 3 mm 이상인 두꺼운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들의 모서리 트리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입부에서 언급한 종류의 장치는,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절단 접촉 상태에 놓이지 않으며, 매트릭스를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부분적으로 자르는 2개의 롤 커터 및 상기 2개의 롤 커터의 하류에 배치되고 절단 작업을 마무리하는 커터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롤 커터와 직선의 날을 가진 커터를 결합하여 각각의 커터들을 사용하여 부분적인 절단만을 실시했을 때, 한편으로는 매우 우수한 모서리 트리밍이 수행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결과 매우 우수한 접합 결과를 얻도록 하는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는 놀라운 점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2개의 롤 커터를 포함하는 롤 커터 쌍을 포함한다. 이 커터들은 서로에 대해서 절단 접촉 상태에 있지 않은데, 다시 말해서, 이 커터들은 물질을 완전히 자르는 것이 아니라 단지 물질을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밴드가 상기 롤 커터 쌍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상기 물질은 단지 상부 및 하부측에서 부분적으로 잘라지는데, 이때 절단 깊이는 상기 2개의 롤 커터의 배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밴드의 두께가 예를 들어 8 mm일 경우, 각각의 롤 커터에 의해서 대략 2 mm 또는 3 mm 정도의 절단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롤 커터들의 하류에는 절단을 마무리하는 직선의 날을 가진 커터가 배치된다. 이 후속하는 커터는 물질을 최종적으로 분리시킨다. 이때에는 상기한 예의 경우 예를 들어 단지 4 mm 또는 2 mm 정도인 나머지 두께 부분만 자르면 되는데, 즉, 상기 전체 두께에 비하여 확실히 적은 정도이다. 실질적으로 훨씬 적은 물질을 절단하면 되므로, 이에 따라 들어가는 절단력은 훨씬 줄어들며, 상기 절단 작업 역시 생산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지의 해결방법과는 달리 상기 롤 커터들은 서로에 대하여 절단 접촉 상태에 있지 않기 때문에 단독으로 절단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롤 커터들의 과제는, 코드 밴드 물질을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부분적으로 약간 절단함과 동시에 후속하여 배치된 직선의 날을 가진 커터의 위치를 상기 코드 밴드 물질의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다. 그러면, 최종적인 절단 작업은 상기 후속 배치된 커터에 의해서 수행되며, 이 커터는 미리 부분적으로 절단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훨씬 적은 양의 물질을 절단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트리밍된 모서리들은 한편으로는 매우 우수한 접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하학적인 비율을 가진다. 이는 모서리 측의 와이어들이 충분한 정도의 매트릭스 층으로 도포되기 때문이다. 실험을 통해서, 이러한 종류의 모서리들이 우수하게 접합될 수 있고, 접합 시 요구되는 높은 접합 강도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절단 작업 자체가 대략 두 가지 단계, 즉, 일단 상부 및 하부에서 실질적인 물질의 두께가 잘라진 이후 두 번째 절단 작업에서 최종적인 절단이 직선의 날을 가진 커터에 의해, 그러나 조절 가능한 절단력으로써 수행되기 때문에, 절단 작업이 생산 안정적으로 구성되고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가 가열 가능한 커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두 번째 절단은 "가열 절단(hot cut)"으로서, 접합 강도의 개선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 열 절단은 밴드들이 상기와 같이 두꺼운 경우에도 다른 수단 없이도 실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롤 커터에 의한 사전 절단 작업의 결과, 상기 가열 커터(heat cutter)가 단지 적은 두께의 물질만 잘라내면 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는 V자 형태의 날을 포함하는 고리형날 커터(hook type cutter)일 수 있으며, 또는 직선형 또는 둥근 형태의 날을 가지는 커터, 또는 고정 상태의 절단요소로서 절삭 와이어(cutting wire)를 포함하는 와이어 커터(wire cutter)일 수도 있다. 상기한 모든 커터들 역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롤 커터 및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나의 홀더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프레임에 배치되는 하나의 홀더에 공동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적인 홀더 배치의 경우 절단 라인이 결정되는데, 약간 슬라이딩 가능한 홀더 배치를 가능하게 하여, 밴드 물질의 폭이 변동되더라도 상기 커터들이 매립된 와이어들을 더 쉽게 따라갈 수 있으므로, 즉, 이에 따라 밀리미터 범위 정도의 약간의 와이어의 변위(displacement)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홀더는 밴드 내지 와이어들의 종방향에 수직인, 상응하는 수평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며 물론 상기 축 상에서 매우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정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터가 절단 각도 내에서 위치를 약간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이는 때때로 물질에 따라 접합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위치 조정 방법은,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가, 밴드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수평축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고 정지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다시 말해,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 -상기 홀더 자체도 마찬가지- 는 밴드 내지 와이어의 종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수평축을 중심으로 이동가능하고 고정될 수 있다. 밴드의 모서리에 고무가 다소 남아 있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때때로 필요할 수도 있는 배치인,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밴드가 2개의 롤 커터의 절단 라인에 대하여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배치가 이에 따라 가능하다. 그러나 기본적인 구조는,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가 롤 커터들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동일한 평면에서 절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가 적어도 3 mm, 특히 4 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를, 특히 상기에서 설명한 종류의 장치를 사용하여 트리밍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배치되면서 서로에 대하여 절단 접촉 상태에는 있지 않은 2개의 롤 커터가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코드 밴드의 매트릭스를 부분적으로 절단하고, 그 후, 후속하여 배치되는 커터가 나머지 밴드 매트릭스를 마저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롤 커터 쌍에 의해서, 평행한 강철 또는 직물 와이어들이 매립되는 탄성의 밴드 물질이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부분적으로만 잘라지는데, 최종 절단 깊이는, 상기 롤 커터들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연후에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롤 커터들은 적절하게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홀더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후속하여,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홀더에 위치하고, 하류에 배치되는, 고리형날 커터 등의 형태를 가진 커터에 의해서, 아직 남아 있는 밴드 매트릭스, 즉, 아직 완전히 절단되지 않은 밴드 물질이 최종적으로 절단된다. 즉,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가 최종적으로 상기 롤 커터에 의한 2개의 절단 작업에 이어서 전체적인 절단을 마무리 짓는다. 이때 차가운 상태의, 하류 배치되는 커터가 사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가열 장치에 의해서 원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뜨거운 상태의 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종 절단 단계는 가열 절단(hot cut)이다. 커터의 온도 조절은 해당 커터에 의해서 잘라진 물질의 영역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물질 영역에도 적용되는데, 왜냐하면, 이전에 롤 커터에 의해서 잘라지는 밴드 매트릭스가 최종적으로 바로 이웃한 상태에서 또는 가열된, 상기 후속 배치되는 커터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접합 강도 측면에서 바람직한 가열 공정, 즉 온도의 증가가 상기 물질 영역에서도 발생하므로 잘라진 전체 밴드 모서리가 말하자면 상기 가열 커터에 의해서 "가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장점, 특징 및 세부사항은 하기에 상술하는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트리밍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각각의 절단 단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절단 단계의 개략도로서, 물질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비교적 두꺼운, 특히 적어도 3, 바람직하게는 4 mm 내지 최대 13 mm 의 두께를 가지는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를 트리밍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캘린더링 장치 또는 코드밴드 절단 기계 등 기계 장치의 프레임(3)에 장착되는 홀더(2)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도 1에 도시된 2개의 수평축(4)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비되어, 뒤에서 다시 설명하듯이, 자동으로 경로에 평행하며 절단 대상인 밴드 물질에 삽입된 강철 또는 직물 와이어들을 자동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하여 그에 따라 자체적으로 측면으로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4)에는 자체적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드라이브에 의해서 구동되는 2개의 롤 커터(5, 6)가 각각 회전축(7, 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2개의 이중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듯이,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롤 커터들은 서로에 대하여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롤 커터(5, 6)는 날(9, 10)을 포함한다. 도 1 및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롤 커터(5, 6)의 각각의 날들(9, 10)은 서로에 대하여 절단 접촉 상태에 있지 않은데, 즉, 이들은 가공 대상인 밴드를 완전히 자르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롤 커터들은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물질을 부분적으로 절단하기만 하는 역할을 한다.
최종적인 절단 작업은,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11), 여기서는 고리형날 커터(12)로 구현되고 갈고리 형태의 날(13)을 포함하는 커터에 의해서 수행된다. 상기 커터(11)는 가열가능하며, 가열 장치(14)가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커터는 상기 가열 장치(14)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장착된다. 둥근 화살표가 표시하듯이, 상기 커터는 한편으로는 종축(1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갈고리 형태의 날(13)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커터(11)의 각도를 절단 대상인 각 밴드에 대하여 내지 회전하는 롤 커터(5, 6)의 날들(9, 10)에 대하여 조정하게 된다. 이는 다루어지는 물질에 따라 필요할 수 있다. 필요한 회전 위치에서 물론 상기 커터(11)는 정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십자 기호가 나타내듯이, 상기 가열 장치(14) 및 이와 함께 상기 커터(11) 역시, 수평으로 진행하는 축(상기 축(4)에 대하여 평행한 축)을 따라서 수평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터(11)는 상기 롤 커터(5, 6)의 날(9, 10)에 대하여 정렬된 상태에서 측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터(11)가 상기 날들(9, 10)과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하거나, 즉, 상기 커터의 갈고리 형태의 날(13)이 상기 날들(9, 10)과 동일한 평면에서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절단 대상인 물질의 특성상 위치를 변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커터는 일직선이 아니 도록 위치 조정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터의 위치를 단지 축(16)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정지시키기만 하면 된다.
도 2는 상기 2개의 롤 커터(5, 6) 및 후속 배치되는 커터(11)의 세부 형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2개의 롤 커터는 각각 원통형 부분들(17, 18 및 19, 20)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들 사이에서 각각의 날들(9, 10)이 회전한다. 상기 2개의 원통형 부분들(17, 18 내지 19, 20)은 상기 롤 커터(5, 6) 사이에 위치하는, 절단 대상인 코드 밴드 물질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터(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리형날 커터로 구현되는데, 여기서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것은 고리형의 날(13)이며, 이는 상기 2개의 날(9, 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절단 평면에 일직선으로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관련하여 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거나 회전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장치를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롤 커터의 구성 및 회전하는 날들(9, 10) 사이의 간격을 더욱 뚜렷하게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원리 내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은, 절단 대상인, 고무 등의 탄성 물질로 형성되어 밴드 매트릭스(22)를 형성하는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21) 및 상기 매트릭스에 완전히 매립되고 밴드 종축을 따라 평행하게 진행하는 다수의 강철 또는 직물 와이어들(23)이다 (도 5 참조). 상기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는 캘린더링 장치에서 제조된다. 이때,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했듯이, 상기 밴드 모서리(24)에 상기 매트릭스(22)를 구성하는 탄성 물질이 균일한 경로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최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강철 또는 직물 와이어(23a)는 상기 매트릭스(22)에 균일하지 않게 측 방향으로 매립되며, 심지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를 이용하여 상기 모서리를 가공, 즉 "트리밍(trim)"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상류에 연결되는 컨베이어 장치, 예를 들어 컨베이어 밴드(25, 도 1 참조)에 의해서, 상기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21)가 상기 장치(1)의 영역에서 운반되는데, 상기 밴드로서 길이가 매우 긴 밴드가 사용되므로, 상기 밴드는 상기 2개의 롤 커터(9, 10) 사이를 지나가며, 두 롤 커터는 회전하는 날들(9, 10)을 이용하여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상기 물질, 즉 상기 매트릭스(22)를 부분적으로 절단한다(도 4 참조). 그러나, 상기 날들(9, 10)은 서로에 대하여 절단 접촉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상기 후속하여 배치되는 커터(11) 쪽으로 연장되어 표시된 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되지 않은 물질의 두께(d)가 남게 된다. 상기 물질이 상기 물질 두께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날들(9, 10)에 의해서 절단되는 것이다. 상류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장치에 대하여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커터들을 통과하는 밴드를 당기기 위한 목적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밴드(21)는 계속해서 상기 커터(11)의 날(13) 쪽으로 이동되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상기 커터는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11)에서 물질의 나머지 두께(d)가 마저 완전히 절단된다. 잘라진 밴드 부분(24)은 당겨진다(도 4 및 5 참조).
코드 밴드 및 직물 밴드(21)의 상면을 도시하고 롤 커터(5, 6) 및 후속하는 커터(11)의 위치가 각각의 선으로 표시된 도 5에서 특히 볼 수 있듯이, 잘라진 코드 밴드(21)의 모서리(25)는 직선이고, 현재 모서리의 근방에 위치하는 강철 또는 직물 와이어(23b)는 대칭적으로 내지 균일하게 상기 매트릭스 물질(2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즉, 매우 높은 강도의 접합에 바람직한 모서리가 제공된다.
도면에서 보이듯이, 상기 롤 커터(5, 6) 및 커터(11)의 절단 평면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하여 일직선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커터(5, 6)에 대하여 상기 커터(11)의 위치가 약간 이동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지 상기 커터들은 2개의 이웃한 와이어들(23a, 23b)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와이어들은 때로는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고 약간 물결 형태여도 무방하므로, 이에 따라 물질의 폭이 변동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개의 와이어들 사이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가 각각의 커터들에 나란하게 상기 축들(4)을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커터들이 자체적으로 상기 와이어들(23a, 23b) 사이에서 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터(11)가 고리형날 커터(12)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 직선형이나 약간 둥근 형태의 날을 가지는 단순한 커터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와이어 커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지 가열 가능한 커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의 롤 커터(5, 6)의 절단 작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위치 조정 작업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위치 조정은 절단 대상인 밴드(21)의 전체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상기 롤 커터(5, 6)가 각각 전체 두께의 3분의 1의 깊이를 부분적으로 절단하고, 나머지 3분의 2, 즉 물질 두께(d)는 후속 배치된 커터(11)에 의해서 절단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한가지 예이며, 상기 부분적인 절단의 구체적인 절단 깊이 및 이에 따른 나머지 물질의 두께(d)는 임의로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절단 대상인 물질의 유형에 따라서도 물론 정해질 수 있다.

Claims (9)

  1. 서로 평행한 강철 또는 직물 와이어들이 삽입되는 탄성적인 매트릭스로 형성된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cord band)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절단 접촉 상태에 놓이지 않으며 상기 매트릭스(22)를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2개의 롤 커터(5, 6); 및
    상기 롤 커터들의 하류에 배치되고 절단 작업을 마무리하는 커터(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트리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11)는 가열 가능한 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트리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11)는 고리형날 커터(12), 직선형 또는 둥근 형태의 날을 구비하는 커터, 또는 와이어 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트리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커터(5, 6) 및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11)에 대하여 공통의 홀더(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트리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는 프레임(3)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홀더(2)는 적어도 하나의 축(4)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프레임(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트리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11)는 종축(1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정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트리밍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에 배치되는 커터(11)는 밴드(2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수평축(16)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정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트리밍 장치.
  8. 3 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를,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를 사용하여 트리밍하는 모서리 트리밍 방법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 놓이지 않는 2개의 롤 커터(5, 6)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밴드(21)의 매트릭스(22)를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후속하여 배치되는 커터(11)를 이용하여 나머지 밴드 매트릭스(22)를 마저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서리 트리밍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배치되는 커터(11)는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트리밍 방법.
KR1020130025189A 2012-04-12 2013-03-08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 KR101448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7198.1 2012-04-12
DE102012007198A DE102012007198B3 (de) 2012-04-12 2012-04-12 Vorrichtung zur Kantentrimmung der Kanten eines Stahl- oder Textilcordba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012A KR20130116012A (ko) 2013-10-22
KR101448566B1 true KR101448566B1 (ko) 2014-10-08

Family

ID=4760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189A KR101448566B1 (ko) 2012-04-12 2013-03-08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50092B1 (ko)
JP (1) JP5555351B2 (ko)
KR (1) KR101448566B1 (ko)
CN (1) CN103372988B (ko)
DE (1) DE102012007198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465A (ja) * 2017-02-28 2018-09-13 甲南設計工業株式会社 樹脂シートのサイドトリミング装置
CN112809800A (zh) * 2021-03-04 2021-05-18 湖州师范学院 一种半自动化的高效率豆角切丝机
DE102022105867A1 (de) 2022-03-14 2023-09-14 Körber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neiden einer Elektrodenbah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7995A (ja) * 1988-03-28 1989-10-03 Nippon Denso Co Ltd 熱交換器
JPH1094994A (ja) * 1996-09-24 1998-04-14 Kirin Mach Kk プラスチックバンド細断装置
JP2007253319A (ja) 2006-03-22 2007-10-04 Karl Eugen Fischer Gmbh バンド材料、特に繊維コードバンドまたはスチールコードバンドの切断のための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9049A (en) * 1947-11-08 1952-09-02 Western Electric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litting articles
SU439117A1 (ru) * 1970-08-03 1989-05-3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Ши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пособ раскро
US4426901A (en) * 1981-11-16 1984-01-24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Crush cutter
CA1236000A (en) * 1984-11-23 1988-05-03 Norman W. Waring Slitter apparatus
US4784030A (en) * 1984-11-23 1988-11-15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Slitter apparatus
JP2662795B2 (ja) * 1988-04-26 1997-10-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シートのトリミング装置
JPH03277494A (ja) * 1990-03-23 1991-12-09 Bridgestone Corp 帯状部材の切断装置
JP3402394B2 (ja) * 1993-12-27 2003-05-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スチール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の切断装置
DE4411937C1 (de) * 1994-04-07 1995-11-02 Fischer Maschf Karl E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Einlagen enthaltenden Bandmaterialien
CN1163175A (zh) * 1996-02-28 1997-10-29 曼内斯曼股份公司 薄板和带材的剪边机
DE202010005010U1 (de) * 2010-04-14 2010-07-15 DIENES WERKE FüR MASCHINENTEILE GMBH & CO. KG Für das Längsteilen von schneidkritischem Material eingerichtete Längsschneid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7995A (ja) * 1988-03-28 1989-10-03 Nippon Denso Co Ltd 熱交換器
JPH1094994A (ja) * 1996-09-24 1998-04-14 Kirin Mach Kk プラスチックバンド細断装置
JP2007253319A (ja) 2006-03-22 2007-10-04 Karl Eugen Fischer Gmbh バンド材料、特に繊維コードバンドまたはスチールコードバンドの切断のための切断装置
KR100858989B1 (ko) 2006-03-22 2008-09-18 카를 오이겐 피셔 게엠베하 밴드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 및 그 절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5351B2 (ja) 2014-07-23
KR20130116012A (ko) 2013-10-22
DE102012007198B3 (de) 2013-04-11
CN103372988B (zh) 2016-12-07
EP2650092B1 (de) 2014-02-26
CN103372988A (zh) 2013-10-30
JP2013220527A (ja) 2013-10-28
EP2650092A1 (de)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10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astic deactivation in a laminate
KR101448566B1 (ko) 강철 또는 직물 코드 밴드의 모서리용 모서리 트리밍 장치 및 모서리 트리밍 방법
EP16426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elastomeric materials
US79136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 ribbon of rubber-coated fabric
US11951703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EP3144130B1 (en) Method for joining a carcass ply and continuous material ply
EP3144132B1 (en) Automatic device for the transverse cut of reinforced rubber coated webs
CN107921600A (zh) 用于板状元件、特别是瓷砖和板、天然石材、玻璃或类似物的研磨机
US87396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mming material from a web
JP6938387B2 (ja) ベルト形成装置及びベルトの少なくとも一部分を製造する方法
EP3482843A1 (en) Apparatus for cutting material and system for cutting material
US20150336346A1 (en) Tire carcass ply joi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90240860A1 (en) Laminated-Veneer-Lumber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T201800000927A1 (it) Dispositivo e metodo di applicazione di uno spezzone di film di materiale ad un contenitore
CN105437294A (zh) 用于制造夹层安全玻璃的装置、刀具机构及切除薄膜条的方法
US79554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groove near an intended edge part of a conveyor belt, which groove is intended to be filled with a filler having sealing properties
JP2018538153A (ja) コンベアベルトの少なくとも1つの縁部を切断加工するための切断装置
KR101914437B1 (ko) 압연코드지의 접촉식 사이드 트리밍 커터장치
KR101629196B1 (ko) 타이어용 반제품 압연물 시트의 접합장치
CN103707210B (zh) 切割装置、研磨垫的制造方法以及研磨垫
KR101674026B1 (ko) 교과서 준비주머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7183672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CN105234972B (zh) 修边装置及其修边方法
JP2012097397A (ja) 一軸布又は多軸布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20500115A (ja) フィルム内に収集ストリップを敷設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