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000B1 -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 - Google Patents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000B1
KR100841000B1 KR1020020031661A KR20020031661A KR100841000B1 KR 100841000 B1 KR100841000 B1 KR 100841000B1 KR 1020020031661 A KR1020020031661 A KR 1020020031661A KR 20020031661 A KR20020031661 A KR 20020031661A KR 100841000 B1 KR100841000 B1 KR 10084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lat cable
flame
adhesive resin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598A (ko
Inventor
요소미야다카토시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2Flame-retardant; Preventing of inflamm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83Dielectric layers
    • H05K2201/0195Dielectric or adhesive lay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e.g. in a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6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n organic polymeric bonding layer, e.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열성 기재 필름(1)의 한 쪽 면에 접착성 향상층(2),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접착성 수지 20∼40중량%와, 최소한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계의 난연화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충전재 성분 80∼6O중량%로 이루어지는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을 순차로 적층하여 플랫케이블용 피복재(10)를 구성하고, 또, 그 피복재(10)를, 평행하게 배열한 복수 개의 도체(4∼4)의 양측에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이 접하도록 중첩시키고 가열 가압하여 일체화시켜 플랫케이블(10O)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도체와의 열접착성, 자기융착성, 도체 매몰성 외에, 난연성, 내열성, 내슬라이드성 등이 우수한 동시에, 환경에 대한 적성도 우수한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이 제공된다.
플랫케이블, 피복제, 난연화제, 열접착성 수지, 충전재,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Description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 {FLAT CABLE COVERING AND FLAT CABLE U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열성 기재 필름, (2): 접착성 향상층, (3):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 (4): 도체, (10):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100): 플랫케이블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양측에서 끼워 넣어 매몰(埋沒)하도록 열접착하여 피복하는 테이프형의 피복재로서, 도체와의 열접착성, 자기융착성(自己融着性), 도체의 매몰 적성, 난연성, 내열성, 내블록킹성 등이 우수한 동시에, 폐기처리 등 경우의 환경에 대한 적성에도 우수한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 퍼스널 컴퓨터, 액정표시장치, 게임기, 휴대전화, 프린터, 복사기 등의 전자ㆍ전기기기ㆍ자동차 등의 각종 제품에서는 플랫케이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플랫케이블은 일반적으로 기재(基材) 필름, 프라이머 코트층(표면접착성 향상층) 또는 접착제층, 열접착성 수지층을 순차 적층하여 테이프형의 열접착성 피복재를 구성하고, 그 열접착성 수지층의 면끼리 대향시켜 중첩하고, 또한 양자간에 다수 개의 도체를 협지시키고 가열 압착하여 일체화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플랫케이블로서 예를 들면,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기재 필름의 한 쪽 면에, 열접착성 수지층으로서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을 건식 라미네이션법 등으로 적층하여 열접착성 피복재를 제조하고, 그 열접착성 피복재를 열접착성 수지층으로서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면을 대향시켜 중첩하고, 그 사이에 다수 개의 도체를 끼워 넣은 후, 가열 롤 등에 의해 가열 가압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을 용융하여 다수 개의 도체를 그 속에 매몰하는 동시에,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필름끼리를 열융착시켜 제조하는 폴리염화비닐로 만든 플랫케이블이 알려져 있다.
이와는 달리,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기재 필름의 한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층을 사이에 두고,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한 열접착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열접착성 피복재를 제조하고, 그 열접착성 피복재를 사용하여 그 열접착성 수지층면을 대향시켜 중첩하고, 그 사이에 다수 개의 도체를 끼워 넣은 후, 가열 롤 등에 의해 가열 가압하여, 열접착성 수지층을 용융하여 다수 개의 도체를 그 속에 매몰하는 동시에, 열접착성 수지층을 서로 열융착시켜 제조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만든 플랫케이블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폴리염화비닐로 만든 플랫케이블에서는, 난연성이 우수한 점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열접착성 수지층으로서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필름은 도체와의 접착성이 부족하고, 특히 고온 환경 하에서는 도체와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여 층간 박리 등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염화비닐로 만든 플랫케이블에서는, 도체와의 접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내굴곡성(耐屈曲性)도 부족하여, 예를 들면, 굽힘 테스트나 슬라이드 테스트 등에서 도체가 단시간에 절단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고, 또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후의 폐기처리에 있어서 환경 파괴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만든 플랫케이블에서는, 기재 필름에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하고, 또한 열접착성 수지층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난연성이 없고, 그 때문에 열접착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중에 대량의 난연화제를 첨가하여 난연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근래 플랫케이블에서는, 난연화제로서 상기와 같은 할로겐계 난연화제나 유기 또는 무기의 인계(燐系) 화합물의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 성분을 사용하면, 플랫케이블의 사용중, 또는 사용 후의 폐기처리 등에 있어서, 대기오염이나 하천의 수질오염 등의 환경 문제를 발생하는 우려가 있으므로, 할로겐계 난연 화제나 인계 화합물의 난연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난연화제의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플랫케이블용 피복재에 있어서, 도체(금속)와의 열접착성, 자기융착성, 도체 매몰성(bury property) 외에, 난연성, 내열성, 내블록킹성, 내슬라이드성(내굴곡성) 등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서의 여러 가지 성능이 우수한 동시에 구성 재료 중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나 인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환경에 대한 적성이 우수한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는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즉,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은, 최소한 내열성 기재 필름의 한 쪽 면에, 접착성 향상층, 열접착성 수지에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함유시켜 만들어지는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한 구성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서, 열접착성 수지가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이며, 난연화제가 최소한 수화(水和)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계 난연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에서는 필요한 여러 가지 성능을 구비하고, 또한 환경에 대한 적성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 그 재료 구성으로부터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인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제외하고 구성한 것이며, 열접착성 수지로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가 아니라,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사용하는 동시에, 난연화제에 관해서도, 염소계나 브롬계 등 할로겐계 화합물 및 인계 화합물의 난연화제를 배제하고, 최소한 수화 금속화합물과 산화안티몬과 질소계 화합물의 혼합계인 난연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피복재에 필요한 열접착성과 유효한 난연성 등의 성능을 부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내열성 기재 필름이 내열성, 절연성, 가요성, 내굴곡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접착성 향상층에 의해 내열성 기재 필름과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이 견고하게 접착되며, 또,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에 의해 도체와의 열접착성, 자기융착성, 도체 매몰성 외에, 난연성, 내블록킹성, 내슬라이드성 등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서 필요한 여러 가지 성능이 부여되는 동시에, 환경에 대한 적성도 우수한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에서의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의 함유량이 60∼80중량%이며, 또한, 상기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중, 수화 금속화합물의 함유량이 30∼45중량%, 산화안티몬의 함유량이 10∼30중량%, 질소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2∼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기재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 중, 난연화제로는 최소한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질소계 화합물을 사용하지만, 그 밖에도 할로겐 원소 및 인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면, 상기 이외의 난연화제, 또는 블록킹 방지제 등 무기 또는 유기 충전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에서의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의 함유량은, 수지층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6O∼8O중량%가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이 60중량% 미만인 경우는 난연성이 부족하고, 80중량%을 넘는 경우는 열접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상기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 중,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질소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각각 수지층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수화 금속화합물: 30∼45중량%, 산화안티몬: 10∼30중량% 및 질소계 화합물: 2∼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화 금속화합물은 난연화 효과는 크지만,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열접착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45중량%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안티몬은 단독으로는 난연화 효과가 크지 않지만 난연조제로서의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30중량%까지의 범위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계 화합물은 난연화 효과는 크지만 비용이 높기 때문에, 10중량%까지의 범위로 하여 상기 수화 금속화합물과 병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난연화제로는, 최소한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질소계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난연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질소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각각의 지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난연화제의 입자 직경은 난연화 효과 및 가공적성의 점에서 모두 0.01∼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의 작 용 효과에 더하여, 플랫케이블용 피복재에 난연성 이외의 여러 가지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양호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3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난연화제의 수화 금속화합물이 수산화알루미늄이고, 산화안티몬이 이산화안티몬이며, 질소계 화합물이 황산멜라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난연화제로서의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질소계 화합물 중에서도 수화 금속화합물로서는 수산화알루미늄이, 산화안티몬으로는 (3)산화안티몬이, 또 질소계 화합물로서는 황산멜라민이, 각각 소량의 함유량으로 보다 높은 난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발명의 작용 효과에 더하여, 플랫케이블용 피복재의 난연성을 한층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4항에 기재한 발명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도체의 양측에 그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하고, 외측으로부터 가열 가압하여 도체를 매몰하도록 열접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의 우수한 성능 및 환경에 대한 적성이 플랫케이블에 부여되기 때문에, 플랫케이블로서 필요한 내슬라이드성(내굴곡성), 내열성, 난연성, 절연성 등의 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환경에 대한 적성도 우수한 플랫케이 블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플랫케이블용 피복재(10)는 내열성 기재 필름(1)의 한 쪽 면에, 접착성 향상층(2),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을 순차로 적층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내열성 기재 필름(1)는 내열성, 굴곡성이 우수한 동시에, 기계적 강도, 치수안정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나일론12, 나일론6, 나일론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의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에테르 등의 무연신 또는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상기 성능과 함께 제막의 용이성, 경제성에도 뛰어나므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기재 필름(1)의 두께는 통상 5∼200㎛인 것이 사용된다. 또, 내열성 기재 필름(1)의 접착성 향상층(2),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을 설치하는 측의 표면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등의 접착 강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접착성 향상층(2)은 내열성 기재 필름(1)에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을 도포 등에 의해 적층할 때, 그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리 내열성 기재 필름(1)의 적층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접착성 향상제의 도포액을 내열성 기재 필름(1) 상에 도포, 건조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성 향상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민, 유기 티탄화합물, 폴리올레핀계 화합물, 폴리부타디엔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폴리에스테르우레탄 화합물, 폴리에테르우레탄 화합물 등의 가운데, 내열성 기재 필름(1)과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과의 접착 적합성이나 작업성을 감안하여 선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접착부의 내열성이 좋고, 도포, 용제 건조 후 30∼40℃의 저온에서의 경화가 가능한 폴리올을 주제(主劑)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 하는 2액 경화형의 접착성 향상제를 이용하는 것이 플랫케이블의 내열성,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성 향상제의 주제에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과, 아디프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2염기산 성분으로부터 합성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그것들의 변성물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그것들의 변성물이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롤프로판 등의 저분자 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접착성 향상제의 경화제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이소시아네이트페닐), 메탄-트리스(이소시아네이트페닐)티오포스페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트리메틸롤프로판에 부가한 우레탄프레폴리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뷰렛,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변성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향상제의 접착강도, 내열접착성, 반응속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조제로서, 티탄 커플링제, 실란 커플링제, 또는 무기 충전재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착성 향상제는 톨루엔, 초산에틸, 메틸에틸케톤,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용제를 적절히 가하여 도포액을 만들고, 롤코트법, 리버스 롤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그라비아 리버스코트법 등의 도포 수단으로 내열성 기재 필름(1)에 도포, 건조하여 접착성 향상층(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성 향상층(2)의 두께는 얇은 것이 좋고, 0.1∼5㎛ 정도가 적당하다.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은 열접착성 수지에 난연화제, 기타 충전재 등을 함유시킨 수지 조성물의 층으로 형성되고, 그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열접착성 수지의 용액에 난연화제, 기타 충전재 등을 첨가하여 도포액을 만들고, 이것을 상기 접착성 향상층(2) 상에, 공지된 코팅 수단을 이용하여 도포, 건조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의 막 두께가 두꺼운 경우는 여러번으로 나누어 코팅할 수도 있다.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에 사용하는 열접착성 수지는 난연화제를 고착시키는 것과 동시에, 도체와의 열접착성, 자기융착성, 도체 매몰성 등을 가지고, 또한 내블록킹성 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테레프탈산이나 아디프산 등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의 포화 2염기산과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등의 2가 알콜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유리전이점이 -50℃∼80℃이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가소제 등을 적절히 첨가하여 열접착성 수지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열접착성 수지에 함유시키는 난연화제로는, 할로겐 원소 및 인을 포함하지 않는 난연화제를 사용하는 것이며, 최소한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화 금속화합물,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등의 산화안티몬, 그리고, 황산멜라민 이외의 멜라민 화합물, 요소(尿素), 트리아진,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아니딘화합물 등의 질소계 화합물인 3종류의 난연화제는 조합하여 이용하는데, 그 밖에도 예를 들면, 실리카, 붕산, 붕산아연, 붕산안티몬, 몰리브덴산안티몬, 산화몰리브덴, 칼슘ㆍ알루미늄실리케이트, 지르코늄화합물, 주석화합물, 도소나이트, 알루민산칼슘 수화물, 주석산아연, 산화구리, 금속구리 가루, 탄산칼슘, 메타붕산바륨 등의 금속 분말이나 무기화합물, 기타 실리콘계 폴리머, 페로센, 푸마르산, 말레산 등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에서의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의 함유량은, 수지층 전체를 기준으로, 60∼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유량이 60중량% 미만인 경우는 난연성이 부족하고, 80중량%를 넘는 경우는 열접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 중, 수화 금속화합물의 함유량은 수지층 전체를 기준으로(이하, 동일함), 30∼45중량%, 산화안티몬의 함유량은 10∼30중량%, 질소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2∼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화 금속화합물은 난연화 효과는 크지만,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열접착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45중량%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안티몬은 단독으로는 난연화 효과가 크지 않지만 난연조제로서의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30중량%까지의 범위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계 화합물은 난연화 효과는 크지만 비용이 높기 때문에, 10중량%까지의 범위로 하여 상기 수화 금속화합물과 병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난연화제로는, 최소한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질소계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난연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 수화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질소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각각의 지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난연화제의 입자 직경은 난연화 효과 및 가공적성의 관점에서, 어느 것이나 0.01∼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의 두께는, 피복하는 도체(금속 케이블)의 두께, 용도,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지만, 금속 케이블과의 접착강도 를 유지하며, 굴곡에 추종할 수 있도록 선택되고, 통상은 금속 케이블 두께의 0.1∼2배의 범위로서, 예를 들면 20∼100㎛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10)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즉, 도 2에 나타낸 플랫케이블(100)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도체(금속 케이블)(4∼4)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도 1에 나타낸 내열성 기재 필름(1), 접착성 향상층(2),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이 차례로 적층된 구성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10, 10)를 그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 3)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하고, 외측으로부터 가열 롤 등에 의해 가열 가압하여,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 3)을 용융하고, 복수 개의 도체(4∼4)를 그 속에 매몰하는 동시에,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 3)을 서로 열융착시켜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이며, 또한 이렇게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플랫케이블용 피복재의 제조)
내열성 기재 필름(1)으로서, 두께 25㎛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한 쪽 면 코로나방전 처리)를 이용하여, 그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열경화 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1㎛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여 접착성 향상층(프라이머층)(2)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위에 하기 조성의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용 도포액을 바코트 방법으로, 건조 시의 두께가 35㎛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여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3)을 형성하고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를 제조했다.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용 도포액의 조성)
(1)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유리전이점 12℃) 30중량부
(2) 난연화제ㆍ수산화알루미늄(평균입경 1㎛) 35중량부
(3) 난연화제ㆍ삼산화안티몬(평균입경 0.5㎛) 24중량부
(4) 난연화제ㆍ황산멜라민 10중량부
(5) 기타 충전재ㆍ실리카 1중량부
(5) 용제(톨루엔/메틸에틸케톤 중량비 10/8) 150중량부
(플랫케이블의 제조)
실시예 1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를, 그것의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도체(금속 케이블)로서, 폭 1.0mm, 두께 0.05mm인 표면에 주석도금이 실시된 구리 케이블을 1mm의 간격을 두고 15개 삽입하여, 3m/min의 표면속도로 회전하는 2개의 가열 고무 롤 사이를 통과시켜 가열 압착하고, 양측의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을 용융하여, 도체를 그 속에 매몰하도록 하여 열접착시켜 일체화시킨 후, 칠드롤(chilled roll)과 고무롤 사이에서 압착, 냉각하여 실시예 1의 플랫케이블을 제조했다.
또한, 상기 가열 고무 롤의 롤 온도는 180℃로 했다.
이상과 같이 제조한 실시예 1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 피복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플랫케이블에 관해,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의 도체(금속)에 대한 열접착성, 도체 매몰성을 시험 또는 조사한 바, 모두 양호하였다.
또, 플랫케이블을 통전상태에서 반복하여 굴곡시키고, 단선될 때까지의 슬라이드 회수를 측정하는 내슬라이드성 시험의 결과도 양호하였다.
또한, 플랫케이블의 난연성에 관해서도, UL 규격 VW-1의 난연성 시험에 합격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플랫케이블의 환경에 대한 적성에 관해서도, 그 구성 재료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인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안전한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케이블의 도체(금속 케이블)를 양측에서 끼워 넣어 매몰하도록 열접착하여 피복하는 테이프형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서, 도체(금속)과의 열접착성, 자기융착성, 도체의 매몰 적성, 내열성, 난연성, 그리고, 내굴곡성(내슬라이드성) 등,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서 필요한 여러 가지 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그 구성 재료 중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나 인화합물을 함유하지 않고, 사용중, 또는 사용 후의 폐기처리 등에 있어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등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적고, 환경에 대한 적성도 우수한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상기 성능 및 환경에 대한 적성이 우수한 플랫케 이블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4)

  1. 최소한 내열성 기재 필름의 한 쪽 면에, 접착성 향상층, 열접착성 수지에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함유시켜 만들어지는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을 순차로 적층한 구성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로서,
    상기 열접착성 수지가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이며, 상기 난연화제가 최소한 수화(水和) 금속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계의 난연화제이며,
    상기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에서의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의 함유량이 60∼80중량%이며, 또한, 상기 난연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재 중, 수화 금속화합물의 함유량이 30∼45중량%, 산화안티몬의 함유량이 10∼3O중량%, 질소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2∼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화제의 수화 금속화합물이 수산화알루미늄이며, 산화안티몬이 삼산화안티몬이며, 질소계 화합물이 황산멜라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4. 제1항의 플랫케이블용 피복재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도체의 양측에, 그 난연성 열접착성 수지층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외측으로부터 가열 가압하여 도체를 매몰(埋沒)하도록 열접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KR1020020031661A 2001-06-08 2002-06-05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 KR100841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3926 2001-06-08
JP2001173926A JP4876335B2 (ja) 2001-06-08 2001-06-08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598A KR20020093598A (ko) 2002-12-16
KR100841000B1 true KR100841000B1 (ko) 2008-06-24

Family

ID=1901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661A KR100841000B1 (ko) 2001-06-08 2002-06-05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5827B2 (ko)
JP (1) JP4876335B2 (ko)
KR (1) KR100841000B1 (ko)
CN (1) CN1224059C (ko)
TW (1) TWI2693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6136B2 (ja) * 2001-06-08 2013-07-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EP1630203B1 (en) * 2003-05-26 2012-09-12 Polyplastics Co.,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JP4614304B2 (ja) * 2003-06-11 2011-0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3675471B1 (ja) * 2004-07-16 2005-07-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617098C (fr) 2005-07-29 2016-10-18 Prysmian Energie Cables Et Systemes France Cable de securite resistant au feu, sensiblement plat
EP1754732B1 (de) * 2005-08-12 2009-04-15 Sika Technology AG Primerzusammensetzung
GB0600878D0 (en) * 2006-01-17 2006-02-22 Beru F1 Systems Ltd Multiple wires array
KR101327725B1 (ko) * 2006-07-19 2013-11-11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US20080287579A1 (en) * 2007-05-17 2008-11-20 Fuji Xerox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
US7804028B2 (en) * 2007-12-14 2010-09-28 P-Two Industries Inc. Flexible flat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90166082A1 (en) * 2007-12-27 2009-07-02 Da-Yu Liu Anti-electromagnetic-interference signal transmission flat cable
CN101494096B (zh) * 2008-01-25 2011-01-26 莱尔德电子材料(深圳)有限公司 屏蔽扁平柔性线缆
KR100866503B1 (ko) 2008-07-22 2008-11-03 (주)에이치제이 연성평면케이블의 제조방법
KR100894443B1 (ko) * 2008-09-26 2009-04-22 새한미디어주식회사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US8669483B2 (en) * 2009-03-30 2014-03-11 Panasonic Corporation Flexible cable and transmission system
DE102009047329A1 (de) * 2009-12-01 2011-06-09 Robert Bosch Gmbh Flexible Leiterplatte sowie elektrische Vorrichtung
DE102010014532A1 (de) * 2010-04-10 2011-10-13 Woertz Ag Brand-Funktionserhaltkabel und Installationssatz für eine elektrische Installation mit Funktionserhalt im Brandfall
WO2012060818A1 (en) * 2010-11-02 2012-05-1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igh-speed card cable
KR20120061531A (ko) * 2010-12-03 2012-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금속 패턴 형성 방법 및 장치
JP5664525B2 (ja) * 2011-04-07 2015-02-0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6029262B2 (ja) * 2011-04-26 2016-11-24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体
JP5644716B2 (ja) * 2011-08-17 2014-12-2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20130111743A1 (en) * 2011-11-07 2013-05-09 Chien-Han Ho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coaxial cable
US9376596B2 (en) * 2012-03-09 2016-06-28 Hitachi Metals, Ltd. Adhesive film and flat cable using the same
US8855653B2 (en) 2012-07-18 2014-10-07 Alcatel Luc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affic redistribution in wireless networks
KR101947223B1 (ko) * 2015-07-28 2019-04-22 주식회사 두산 절연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KR101827060B1 (ko) * 2015-11-27 2018-03-22 주식회사 두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0008304B2 (en) * 2016-07-25 2018-06-26 Hee Jun Yoon Flexible flat cable
JP2018190646A (ja) * 2017-05-10 2018-11-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導電線及び導電線の製造方法
US10515740B2 (en) * 2017-07-11 2019-1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me-retardant flat electrical cable
TWM577197U (zh) * 2018-11-21 2019-04-21 貿聯國際股份有限公司 軟性排線結構
CN109830707B (zh) * 2019-02-22 2020-01-17 鸿基创能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提高粘接性能的方法和膜电极及膜电极的制备方法
TWM621431U (zh) * 2021-07-26 2021-12-21 英豪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扁平電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8918A (ja) * 1991-11-06 1993-05-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ツトケーブル
KR20000028814A (ko) * 1998-10-06 2000-05-25 구리다 히데유키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JP2000279722A (ja) * 1999-03-26 2000-10-10 Nitta Ind Corp ガス除去用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2050A (ja) * 1986-01-23 1987-07-2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5314824A (ja) * 1992-05-06 1993-11-26 Hitachi Cable Ltd 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3297942B2 (ja) * 1992-12-09 2002-07-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ケーブル被覆材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6274225B1 (en) * 1996-10-05 2001-08-14 Nitto Denko Corporation Circuit member and circuit board
US6207735B1 (en) * 1997-12-08 2001-03-27 Tosch Corporation Flame retardant and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KR100875410B1 (ko) * 1998-05-19 2008-12-23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제 및 그 접착제를 사용한 회로재
US6764765B2 (en) * 1998-05-19 2004-07-20 Sony Chemicals Corporation Fire-retardant adhesive, fire-retardant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and flat cable
JP3054866B1 (ja) * 1998-12-14 2000-06-19 キョーワ株式会社 建設工事現場に展張するメッシュシート用難燃剤とこれを用いた建設工事現場に展張する防炎メッシュシート
JP2001011418A (ja) * 1999-06-28 2001-01-16 Sony Chem Corp 難燃性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る難燃性接着フィルム
JP4626003B2 (ja) * 2000-01-18 2011-0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8918A (ja) * 1991-11-06 1993-05-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ツトケーブル
KR20000028814A (ko) * 1998-10-06 2000-05-25 구리다 히데유키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JP2000279722A (ja) * 1999-03-26 2000-10-10 Nitta Ind Corp ガス除去用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95266A1 (en) 2002-12-26
CN1391236A (zh) 2003-01-15
JP4876335B2 (ja) 2012-02-15
CN1224059C (zh) 2005-10-19
TWI269315B (en) 2006-12-21
KR20020093598A (ko) 2002-12-16
JP2002367443A (ja) 2002-12-20
US6635827B2 (en) 200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000B1 (ko) 플랫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이용한 플랫케이블
KR101817814B1 (ko) 플랫 케이블용 피복재 및 그것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JP461430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4514546B2 (ja) 難燃フィルム、接着性難燃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52361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4287008B2 (ja) ヒ−トシ−ル性テ−プ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フラットケ−ブル
JP505567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3883650B2 (ja) フラットケ−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ブル
JP5205323B2 (ja) 非ハロゲン系難燃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487632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積層体
JP467777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472498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0191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積層体
JP3642895B2 (ja) フラットケ−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ブル
JP490463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402826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1222920A (ja) ヒ−トシ−ル性テ−プ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フラットケ−ブル
JP469898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KR100642284B1 (ko) 비할로겐계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JP2001222919A (ja) ヒ−トシ−ル性テ−プ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フラットケ−ブル
JP2004359836A (ja) 難燃性接着混和物
JP2001222918A (ja) ヒ−トシ−ル性テ−プ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フラットケ−ブル
JP2001329238A (ja) 難燃性接着層付き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6120432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4359835A (ja) 難燃性接着混和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