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443B1 -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 Google Patents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443B1
KR100894443B1 KR1020080094784A KR20080094784A KR100894443B1 KR 100894443 B1 KR100894443 B1 KR 100894443B1 KR 1020080094784 A KR1020080094784 A KR 1020080094784A KR 20080094784 A KR20080094784 A KR 20080094784A KR 100894443 B1 KR100894443 B1 KR 10089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lame retardant
film
retarda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재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새한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미디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한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heat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필름은 기재필름 위에 형성되는, a)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및 b) 50 내지 70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늄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케이블은 할로겐계, 안티몬계 및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아, 국제환경규제 정책에 만족하며, 우수한 난연성과 접착성을 나타내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어, 유연성 평판 케이블(FFC), 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부품을 대체할 수 있다.
플랫케이블, 난연성, 접착성, 수산화 알루미늄

Description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FLAME RETARDANT ADHESIVE FILM AND FLAT CAB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전자기기(컴퓨터, PDP, LCD모니터, OA기기 등)의 배선 등에 사용되는 유연성 플랫 케이블용 난연성 접착필름과 플랫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연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할로겐계, 안티몬계 및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는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두되고 있는 국제적인 친환경 정책과 관련하여,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재료와 부품에 대한 유해물질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경규제 정책을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비할로겐, 비안티몬계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일본특허공보 특개2004-16851호는 비할로겐 및 비인계의 난연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플랫케이블용 절연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삼산화 안티몬을 적용하여, 난연성을 확보하고 있고, 이것은 국제적인 환경규제에 위배되는 것으로 상용화에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공보 특개2004-146286호는 할로겐 난연제, 인계 난연제, 안티몬계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제조된 비할로겐 접착층과 비할로겐 난연성 비접착층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의 양 면에 각각 코팅하여, 난연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절연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PET필름의 한 면에 경화성을 가지는 난연성 비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경화공정, 그 후 비할로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각각 수행해야 하므로 가공비용이 높아지고, 생산성 또한 낮아 결과적으로 가격이 비싼 제품이 공급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단점이 있어, 유연성이 중요한 플랫케이블의 특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공보 특개2005-335100호는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안티몬계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수산화 마그네슘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난연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절연테이프를 염가에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수산화 마그네슘이 투입되게 되면, 난연성 접착액의 장시간 보관시 점도 상승으로 인한 공정불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플랫케이블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나동 도체접착력이 극히 낮아져, 플랫케이블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나동 도체접착력이 낮아지는 이유는 수산화 마그네슘의 입자 모양이 플레이트 모양을 하고 있어, 난연성 접착액의 내부에서 적층이 되는 형태로 존재하고 나동 도선의 표면이 매끄러워, 도체접착력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특허공보 특개2006-43974호는 비할로겐, 비인, 비안티몬계로 구성된 경 화형 난연층을 PET필름의 양면에 먼저 형성하고, PET필름 양면에 경화형 난연층이 형성된 필름의 한면에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여, 난연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절연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PET필름 양면 경화층 형성의 작업공정이 추가되고, 경화공정, 그 후 난연성 접착층이 형성되므로, 가공비용이 높아지고, 생산성 또한 낮아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 접착층에 수산화 마그네슘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나동 도체접착력의 저하가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할로겐, 인, 및 안티몬을 함유하는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고 난연성과 접착성이 우수하고, 롤권을 행해도 블로킹이 생기지 않은 플랫 케이블용 난연성 접착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내열 플랫 케이블용 난연성 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직선상의 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부품 FPC를 대체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필름 위에 형성되는, a)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및 b) 50 내지 70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늄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난연성 접착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한쌍의 난연성 접착필름, 및 상기 난연성 접착필름의 마주하는 접착층 사이에 삽입된 도체를 포함하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플랫케이블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케이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연성 접착필름은 기재필름 위에 형성되는, a)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및 b) 50 내지 70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 늄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난연성 접착층은 연소 시, 난연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난연제의 사용비율에 따라, 탄화막의 뭉침과 불꽃 떨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저분자량으로 구성된 액상 및 고상 인계 난연제의 경우, 난연성이 부족하고, 점착특성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의 요인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인화합물계의 경우, 고습한 환경에서의 수분영향과 입자의 크기가 크고, 성질이 단단하여, 분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계의 경우, 가격이 고가이며, 접착력이 낮아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구현예에 따른 난연제 접착층의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난연제의 중량부가 50미만으로 첨가되면 제품의 권롤 형성시 블로킹이 증가하고,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체접착력이 저하 하여 상기와 같은 범위로 난연성 접착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난연성 접착층의 멜라민계 난연제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폴리인산 멜라민, 멜라민 브레이트 및 황산멜라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탄화막 뭉침으로 인한 불꽃 떨어짐 억제에 장점이 있어,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난연제 접착층의 난연제의 종류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비율 역시 난연성 접착층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제의 혼합 중량비가 25:75 내지 80:20의 비율로 혼합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꽃 자기 소화시 발생되는 수분 함량 및 이로 인한 난연성을 고려하면, 수산화알루미늄 난연제의 중량비가 25이상이고, 멜라민계 난연제의 혼합 적용량에 따른 불꽃 자기 소화 시 불똥이 발생염려를 고려하여 중량비를 80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난연성 접착층의 수산화 알루미늄은 실란커플링제 혹은 고급지방산류으로 표면 처리된 것이 적용될 수 있는데, 실란커플링제 혹은 고급지방산류(스테아린산)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표면처리를 통해,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과 유연성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류로는 스테이린산, 라우린산, 파르미틴산, 또는 베헤닌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수산화 알루미늄의 입자는 0.3 내지 4.0㎛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크기가 0.3㎛ 이하이면, 미세한 입자의 영향으로 난연성 접착액 제조에 곤란한 부분이 발생하고, 4.0㎛ 이상이면, 입자의 크기로 인해 접착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난연제를 포함한 난연성 접착층의 경우, 난연제에 접착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자기 소화성이 있고, 우수한 접착특성을 나타내기는 바인더를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의 예로는 2가 알코올과 이염기산의 탈수 축합반응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 및 비스페놀A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 트리메티롤프로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2가 알코올, 및 2) 테레프탈산, 디페닐카르본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및 이소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이염기 산으로부터 공중합된 열가소성 포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접착성과 도막 형성성 측면을 고려하면, 난연성 접착층의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는 5,000 내지 9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00 내지 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플랫케이블 제조 시 열융착에 의한 접착을 고려하여, -3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7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필름은 또다른 구현예에 따라, 난연성 접착층에 상기 폴레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2 내지 12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고내열(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부품 사용제품) 제품의 경우, 난연성 접착층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추가로 투입함으로써, 분자간 가교결합이 형성되어 높은 내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계 경화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투입량은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으며, 2 중량부 미만이면, 분자 내 충분한 가교결합이 형성되지 않아 내열특성이 저하되며, 경화제의 함량이 12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분자 내 가교결합이 정교하지 못하여, 접착제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접착필름은 기재필름과 접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개재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가교제, 가교촉진제,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가 가교화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층은 포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에 가교제와 가교촉진제를 혼합하여, 기재필름과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예를 들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촉진제의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아지리딘 유도체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분자량 23,000 및 유리전이온도 -17℃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난연성 접착필름의 난연성 접착층은 접착층의 성능을 손상시키기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착색제, 점착방지제,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및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지는 첨가제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들의 구성은 한정이 없으며, 난연제 접착층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선택하여 첨가될 수 있다. 착색제의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나머지 첨가제의 경우, 첨가제 비율이 0.3%이하로 첨가되면, 첨가의 효과가 미비하며, 3%초과로 포함되면 블로킹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이산화 티탄(착색제), 건식 실리카 (점착방지제), 아미노계 실란커플링제(커플링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대전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착색제, 점착방지제,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및 대전방지제로 알려진 화합물을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한쌍의 난연성 접착필름, 및 상기 난연성 접착필름의 마주하는 접착층 사이에 삽입된 도체를 포함하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플랫케이블이 제공된다. 난연성 접착필름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다.
플랫케이블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두 개의 난연성 접착필름의 난연성 접착층을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게 한 후, 사용 용도에 따라 여러 가닥의 도체를 양 접착필름의 일정 간격 사이에 평행으로 배열한 후, 상기 접착필름을 적층하고, 가열가압이 가능한 열 라미네이트 롤을 통과시키는 방법이다. 이로써 유연성 플랫 케이블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도체의 가닥 수와 플랫케이블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0 내지 45mm의 폭을 가지는 플랫케이블을 기준으로 할 때, 0.3 내지 0.65mm폭을 가지는 도체 가닥 30 내지 80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재필름의 종류로는 난연성 기재필름 및 절연성 기재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은 난연성 기재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성 기재필름이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페닐렌슐파이드(PPS), 및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필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난연성 기재필름은 난연성 폴리이미드(PI) 수지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접착필름을 도 1에 나타냈으며,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의 일예를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냈다. 도 2을 참고하여 구체적 으로 설명하면, 기재필름(21, 23)위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필름을 접착층을 마주보게 하고, 도체(25)를 삽입, 라미네이팅한 유연성 플랫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한쌍의 난연성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랫케이블중, 상기 한쌍의 난연성 접착필름에 포함된 한쌍의 기재필름의 재질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기재필름은 난연성 기재필름이다. 도 2에는 한쌍의 난연성 접착필름에 모두 절연성 기재필름을 사용한 구체예이고, 도 3은 하나의 기재필름은 난연성 필름이고, 다른 하나는 절연성 필름인 구체예이고, 도 4는 한쌍의 난연성 접착필름에 모두 난연성 기재필름을 사용한 구체예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기재필름이 난연성 기재필름인 일예의 플랫케이블에서, 절연성 기재필름을 포함하는 접착성 난연필름(이하, ‘난연성 절연접착필름’이라 함)과 난연성 기재필름을 포함하는 접착성 난연필름(이하,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이라 함)을 포함하는 플랫케이블과,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 및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을 포함하는 플랫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플랫케이블의 여러 가지 구현예에 따라, 하기와 같은 네 가지 실시 형태의 플랫케이블에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첫째, 난연성 접착층을 적용한 난연성 절연접착필름과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으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절연필름으로 구성된 난연성 절연접착필름과 보조 난연성 기재필름으로 구성된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으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의 경우, 케이블의 폭에 상관없이 UL1581에서 명시하는 VW-1의 난연성 규격을 확실히 만족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며, 도체접착력 또한 우수하여, 나동 도체를 사용하여, 금도금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도 도체접착력의 저하가 없는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둘째, 난연성 접착층을 적용한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 2개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케이블의 경우, 기재필름으로 PI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부품을 대처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낸다. 기존 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부품의 경우, 동박에칭 과정과 커버레이필름의 압착공정, 경화공정, 타발공정을 거쳐 제작되게 되며, 이러한 공정상의 비용과 타발공정으로 인한 필름의 손실이 적지 않게 발생하는 것이 단점으로 존재한다. 이에 반해 상기 기재된 내용과 같은 형태로 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를 제작하게 되면, 에칭공정이 필요없고, 타발작업이 없어, 필름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이 우수한 기존 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부품과 동등한 특성의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셋째,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난연성 접착층 내에 추가로 포함하는 고내열 난연성 절연접착필름과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난연성 접착층 내에 추가로 포함하는 고내열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으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을 제공한다. 고내열 난연성 접착층이 필요한 이유는 플랫케이블이 일반적으로 커넥터 삽입이나 체결형태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크게 필요치 않으나, 여러 가지 회로기판(FCB, FPCB) 등에 고온 가열가압 압착형태로 부착이 되거나, 솔더링 형태로 부착이 될 때, 가공조건의 온도가 150℃이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고온조건에서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접착제 특성이 요구되게 된다. 이에 상기의 고내열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필름으로 플랫케이블을 구성하게 되면, 기존 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부품과 동일한 특성의 제품을 구성할 수 있다.
넷째,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난연성 접착층 내에 추가로 포함하는 고내열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과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난연성 접착층 내에 추가로 포함하는 고내열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으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유연성인쇄회로(FPC) 형태의 케이블부품 대체용도로 적용을 할 수 있으며, 유연성과 내마모특성을 더 필요로 하는 부위에 사용될 수 있는 플랫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할로겐, 비안티몬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과 이를 적용한 난연성 절연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은 난연성과 접착성이 우수하고, 국제적인 환경규제에 만족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기존 브롬계 난연제와 삼산화 안티몬이 적용된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MEK)/톨루엔(Toluene)(1/4w/w) 혼합용매 240 중량부에 가하고, 용해하여 바인더 수지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적용수지는 분자량 24,000, 유리전이온도 8℃인 포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와 분자량 18,000, 유리전이온도 65℃인 포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바인더 수지 혼합용액에 수산화 알류미늄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난연제 혼합물을 62 중량부를 투입하고, 고속교반기, 고속분산기를 사용하여 각 난연제를 균일분산시켜 비할로겐, 비안티몬계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난연제 혼합물의 혼합비율은 50:50으로 하였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에는 기본특성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산화티탄 10중량부와 건식실리카 2.5중량부, 실란커플링제 1중량부를 첨가하였다.
2. 난연성 접착필름의 제조
2-1. 프라이머층의 프라이머액 준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7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MEK)/톨루엔(Toluene)(1/4w/w)혼합용매 100 중량부에 혼합하고, 용해하여 프라이머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액에는 기본특성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0.5중랑부와 아지리딘유도체(경화촉진제) 0.8중량부를 배합하였다.
2-2. 난연성 절연접착필름의 제조
1) 12um 두께 PET 기재의 난연성 절연접착필름(A1)의 제조
12um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상기 제조된 프라이머 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1um 이하의 두께로 코팅시킨 후, 분사(Die Nozzle coating)코팅 방식으로 상기 1)의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코팅건조하여, 25um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2) 25um 두께 PET 기재의 난연성 절연접착필름(A2)의 제조
25um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상기 제조된 프라이머 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1um 이하의 두께로 코팅시킨 후, 분사(Die Nozzle coating)코팅 방식으로 [실시예1] 1)의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코팅건조하여, 35um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2-3.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의 제조
1) 12.5um 두께 PI 기재의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B1)의 제조
12.5um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상기 제조된 프라이머 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1um이하의 두께로 코팅시킨 후, 분사(Die Nozzle coating)코팅 방식으로 [실시예1] 1)의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코팅건조하여, 18um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2) 25um 두께 PI 기재의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B2)의 제조
25um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상기 제조된 프라이머 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1um이하의 두께로 코팅시킨 후, 분사(Die Nozzle coating)코팅 방식으로 [실시예1] 1)의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코팅 건조하여, 35um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표 1]
필름종류 A1 A2 B1 B2
수산화알루미늄 50 50 50 50
멜라민시아누레이트 50 50 50 50
난연제혼합물 62 62 62 62
기재 PET12 PET25 PI 12.5 PI 25
접착층 두께 ADH25 ADH35 ADH18 ADH35
3. 플랫케이블의 제조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 과같이 각각의 접착필름 2장의 접착층이 서로 마주보게 한 후 그 사이에 폭 0.32mm, 두께 28um인 나동 평각도체선 여러 가닥을 평행으로 놓고, 170℃로 가열된 2개의 롤(Roll)에 통과시켜 양 필름 사이에 도체가 삽입되어있는 플랫케이블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을 폭 30.4mm, 도체 가닥 수 70가닥이 되도록 절단하여, 플랫케이블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플랫케이블은 전해도금 방식의 금도금을 실시하여, 나동 도체 표면에 금도금이 되도록 실시하여, 최종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표 2] 플랫 케이블 필름 구성
케이블 I) II) III) IV)
필름1 A1 A2 B1 B2
필름2 B1 B2 B1 B2
3.1 구성 필름 (A1/B1)인 플랫케이블 제조; 케이블 I)
A1) 의 난연성 절연접착필름과 B1)의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을 접착층이 서로 마주보게 한 후 그 사이에 폭 0.32mm, 두께 28um인 나동 평각도체선 여러 가닥을 평행으로 놓고, 170℃로 가열된 2개의 롤(Roll)에 통과시켜 양 필름 사이에 도체가 삽입되어있는 플랫케이블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을 폭 30.4mm, 도체 가닥 수 70가닥이 되도록 절단하여, 플랫케이블을 제조하였다.
3.2 구성 필름 (A2/B2)인 플랫케이블 제조; 케이블 II)
구성 필름을 각각 A2)의 난연성 절연접착필름과 B2)의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I) 플랫 케이블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3.3 구성 필름 (B1/B1)인 플랫케이블 제조; 케이블 III)
B1)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 2장의 접착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I) 플랫 케이블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3.4 구성 필름(B2/B2)인 플랫케이블 제조; 케이블 IV)
B2)의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 2 접착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I) 플랫 케이블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을 전해도금 방식의 금도금을 실시하여, 나동 도체 위에 금도금이 되도록 실시하여, 최종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나동도체는 폭 0.32mm x 두께 0.028mm(28um)이었다.
상기 제조된 플렛케이블에 대해서, 하기 물성측정방법에 따라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4, 5 및 6에 나타냈다.
[플랫케이블의 물성 측정]
1. 도체접착력
필름과 도체와의 접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성 필름(31, 33)의 한쪽 면(31)에만 도체(32)을 부착시킨 필름-도체 접착성 플랫케이블(30)을 도 5와 같은 형태로 준비하였다.
도 5와 같이 제작된 플랫케이블에서 5개의 도체접착력을 인장시험기(Shimadzu社 Trapezium Lite기기)를 사용하여, 90˚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 중 최소값과 최대값을 제외한 3개 값의 평균을 도체접착력으로 표시하였다. 도체접착력은 금도금 전과 금도금 후의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도체접착력의 특성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30gf이상 ◎ 25gf이상 ○
20gf이상 △ 20gf미만 Ⅹ
2. 블로킹 특성
상기 난연성 접착필름을 가로 5cm, 세로 20cm로 잘라 6개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6개의 샘플은 2장씩 접착제 면과 필름면이 맞닿도록 포개어 3개의 샘플 로 만들었다. 만들어진 3개의 샘플 사이에 이형필름을 각각 끼운 후 블로킹 샘플 보관 치구에 샘플을 넣고 5kg/cm 하중이 가해지는 가로 5cm, 세로 20cm로 제작된 추를 샘플 위에 놓은 후 60℃ 오븐에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인장시험기(Shimadzu社 Trapezium Lite기기)로 180˚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블로킹 값이 100gf 이하이면 ○로 표기하고, 그렇지 않으면, Ⅹ로 표기하였다.
3. 난연성 - UL1581
난연성 테스트는 UL1581, Section 1080(VW-1)의 난연성 평가 방법에 준거하여 각각의 난연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플랫케이블에 불꽃을 가한 후, 5초 이내에 불꽃이 소화되고, 불똥이 없는 경우 ○로 표기하였으며, 불똥이 발생하나 아래의 솜을 태우지 않은 경우 △로 표기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Ⅹ로 표기하였다.
4. 내열성 테스트 - 가열가압 압착, 솔더링 - ACF장비 / Soldering장비
내열성 테스트는 실시예 1에서 제작된 플랫케이블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방성 전도필름 부착시 사용되는 가열가압 압착기를 사용하여, 오픈된 도체면에 가열가압공정을 실시한 후 플랫케이블의 변화 유무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솔더링 장비에 플랫케이블을 적용하여, 솔더링 후 플랫케이블의 변화 유무를 관찰하였다. 내열성 테스트 후 플랫케이블에 변화가 없는 경우 ○로 표기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Ⅹ로 표기하였다.
사용하는 기기는 유니테크에프로(Uniteck EAPRO社 Uni-slide Plus)사 기기를 사용하였고, 가열가압 압착기의 압착공정 조건은 190℃ x 65MPa x 10sec이며, 솔더링 장비의 공정조건은 240℃ x 8sec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
1. 고내열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량부 대비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8 중량부로 투입 혼합하여, 고내열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고내열 난연성 접착필름의 제조
1) 12um 두께 PET 기재의 고내열 난연성 절연접착필름(A1)의 제조
12um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상기 [실시예1]의 2-1에서 준비된 프라이머 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1um 이하의 두께로 코팅시킨 후, 분사(Die Nozzle coating)코팅 방식으로 [실시예2] 1의 고내열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코팅건조하여, 25um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2) 25um 두께 PET 기재의 고내열 난연성 절연접착필름(A2)의 제조
25um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상기 [실시예1]의 2-1에서 제조된 프라이머 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1um 이하의 두께로 코팅시킨 후, 분사(Die Nozzle coating)코팅 방식으로 [실시예2]의 1의 고내열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코팅 건조하여, 35um의 두께를 가지는 고내열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2-2. 고내열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의 제조
1) 12.5 um 두께의 PI 기재의 고내열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B1)의 제조
12.5um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상기 [실시예1]의 2-1에서 제조된 프라이머 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1um 이하의 두께로 코팅시킨 후, 분사(Die Nozzle coating)코팅 방식으로 [실시예2]의 1의 고내열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코팅건조하여, 18um의 두께를 가지는 고내열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2) 25 um 두께의 PI 기재의 고내열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B2)의 제조
25um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상기 [실시예1]의 2-1에서 제조된 프라이머 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1um 이하의 두께로 코팅시킨 후, 분사(Die Nozzle coating)코팅 방식으로 [실시예2]의 1의 고내열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코팅건조하여, 35um의 두께를 가지는 고내열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3. 플랫케이블의 제조
본 실시예 중 상기 2 에서 제조한 고내열 난연성 접착필름과, 보조 난연성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표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필름구성으로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표 3]
필름종류 A1 A2 B1 B2
수산화알루미늄 50 50 50 50
멜라민시아누레이트 50 50 50 50
난연제혼합물 62 62 62 62
ISO 경화제 8 8 8 8
기재 PET12 PET25 PI 12.5 PI 25
접착층 두께 ADH25 ADH35 ADH18 ADH35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을 80℃ x 24hrs 경화공정을 실시한 후 나동 도체위에 금도금을 하여 최종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나동도체는 폭 0.32mm x 두께 0.028mm(28um)이었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난연성 및 내열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하기 표 4, 5 및 6에 나타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 난연제 적용량을 50 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혼합비율을 25:75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 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난연제 적용량을 50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혼합비율을 80:2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 난연제 적용량을 70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혼합비율을 25:75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난연제 적용량을 70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혼합비율을 80:2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 난연제 적용량을 45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혼합비율을 50:5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1.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난연제 적용량을 80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혼합비율을 50:5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 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난연제 적용량을 62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를 50:5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난연제 적용량을 62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징크브레이트를 50:5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난연제 적용량을 62중량부로 하고, 수산화 알루미늄과 주석산아연을 50:5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에서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난연제 적용량을 62중량부로 하고,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와 유기인계(Triphenyl phosphate) 난연제를 50:5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조”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7]
실시예 1의 “1. 난연성 접착층의 접착제 조성물의 준비”에서 혼합난연제 적용량을 62중량부로 하고,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와 유기인계(Polyphosphate) 난연제를 50:50으로 적용하였다. 플랫케이블의 경우, 실시예 1의 “3. 플랫케이블의 제 조” I)과 II) 형태의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플랫케이블의 도체접착력, 불로킹 특성, 및 난연성 테스트를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평가결과]
A1): PET 12um + ADH 25um 구성된 난연성 절연접착필름
A2): PET 25um + ADH 35um 구성된 난연성 절연접착필름
B1): PI 12.5um + ADH 18um 구성된 보조난연성 접착필름
B2): PI 25um + ADH 35um 구성된 보조난연성 접착필름
[표 4] 필름 블로킹 특성
필름구성 A1 A2 B1 B2
실시예 1 47 51 43 49
실시예 2 12 14  14  15 
실시예 3 64 67 61 67
실시예 4 65 68 63 67
실시예 5 34 37 35 41
실시예 6 36 37 36 39
비교예1 128 131 125 129
비교예2 29 32 26 28
비교예3 44 48 46 47
비교예4 39 42 38 40
비교예5 37 39 37 40
비교예6 388 388 387 387
비교예7 362 398 365 391
[표 5] 플랫 케이블의 접착력 및 난연성 결과
실시예 플랫케이블 도체 접착력 난연성
금도금전 금도금 후
실시예1 I) 38 35
II) 43 41
III) 41 40
VI) 46 44
실시예2 I) 37 36
II) 45 43
III) 44 42
IV) 46 45
실시예3 I) 41 38
II) 46 41
실시예4 I) 41 37
II) 45 42
실시예5 I) 25 23
II) 29 26
실시예6 I) 26 23
II) 29 27
비교예1 I) 43 41
II) 48 46
비교예2 I) 17 15
II) 19 17
비교예3 I) 10 9
II) 13 11
비교예4 I) 19 17
II) 21 19
비교예5 I) 18 16
II) 20 18
비교예6 I) 45 43
II) 43 40
비교예7 I) 43 40
II) 46 44
절연필름이 적용된 난연성 절연접착필름과 보조난연성 기재필름이 적용된 보조난연성 접착필름으로 구성된 플랫케이블의 경우, 수산화 알루미늄과 멜라민시아누레이트를 실시예 1~6와 같이 혼합적용했을 때, 양호한 난연성과 도체접착력, 블로킹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2에서와 같이 혼합적용된 난연제의 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여 적용하면, 도체접착력에 약영향을 미치게 되고, 40 중량부 미만으로 적용하면, 난연성 부족과 블로킹의 증가로 악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과 같이 난연제 적용시 수산화마그네슘을 적용하게 되면, 나동 도체접착력의 급격히 저 하되어 악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수산화 마그네슘 입자가 판상의 형태로 모양을 이루고 있고, 나동 도체의 표면이 매끄러워 접착 계면에서의 접착특성이 좋지 못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비교예 4~5에서와 같이 아연계 난연제를 혼합적용하게 되면, 난연성이 부족해지고, 도체접착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아연계 난연제 입자가 강직한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비교예6~7의 유기인계 난연제가 적용된 경우, 분자량이 낮은 인계 난연제 특성 때문에 나동도체접착력이 상승하나, 블로킹 값 또한 동반상승되어, 제품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표 6] 가열가압 공정과 솔더링 공정 적용결과
실시예 실시예1 실시예 2
플랫케이블 I) II) III) IV) I) II) III) IV)
가열가압 공정
솔더링 공정
실시예 2의 I)~IV)은 경화제가 적용된 플랫케이블로서, 경화공정을 실시한 후 가열가압 압착공정과 솔더링 공정 적용시 플랫케이블에 변화가 없는 만족스러운 특성을 나타내었고, 유연성 인쇄회로 케이블(FPC)을 대체 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할로겐계 난연성 접착필름이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할로겐계 난연성 접착필름이 적용된 플랫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필름-도체 접착력 평가를 위한 플랫케이블이 사시도
<도면 부호 설명>
10 : 난연성 접착필름 11 : 기재필름
12 : 난연성 접착층
20 : 플랫케이블 21 : 제 1 기재필름
22 : 난연성 접착층 23 : 제 2 기재필름
24 : 프라이머층 25 : 도체
30 : 플랫케이블 31, 33 : 접착성 필름
32 : 도체

Claims (14)

  1. 기재필름 위에 형성되는, a)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및 b)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난연제를 5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가 수산화알루미늄 난연제 및 멜라민계 난연제를 25:75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난연성 접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접착층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난연제를 50 내지 62 중량부로 포함하는 난연성 접착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계 난연제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폴리인산멜라민, 멜라민 브레이트, 및 황산멜라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난연성 접착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 알루미늄의 입자는 0.3~4.0um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인 난연성 접착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 5,000 내지 9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120℃인 난연성 접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접착층은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2 내지 12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난연성 접착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계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난연성 접착필름.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개재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가교제, 가교촉진제,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가 가교화된 것인, 난연성 접착필름.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절연성 기재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인 난연성 접착필름.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난연성 기재필름으로서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인 난연성 접착필름.
  11.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따라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한쌍의 난연성 접착필름, 및 상기 난연성 접착필름의 마주하는 접착층 사이에 삽입된 도체를 포함하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플랫케이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난연성 접착필름에 포함된 기재필름의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인 비할로겐계 난연성 플랫케이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난연성 접착필름에 포함된 기재필름의 하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인 절연성 기재필름이고, 기재필름의 다른 하나는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PEI)의 난연성 기재필름인 비할로겐계 난연성 플랫케이블.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접착필름과 도체 사이의 도체접착력이 25 gf 이상인 비할로겐계 난연성 플랫케이블.
KR1020080094784A 2008-09-26 2008-09-26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KR10089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784A KR100894443B1 (ko) 2008-09-26 2008-09-26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784A KR100894443B1 (ko) 2008-09-26 2008-09-26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443B1 true KR100894443B1 (ko) 2009-04-22

Family

ID=4075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784A KR100894443B1 (ko) 2008-09-26 2008-09-26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4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74A1 (ko) * 2015-07-28 2017-02-02 주식회사 두산 절연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WO2017090868A1 (ko) * 2015-11-27 2017-06-01 주식회사 두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220410A1 (en) * 2016-06-22 2017-12-28 Pki Supply A/S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for imparting flame retardancy to a wood fiber-based material selected from plywood, chipboard, hdf, ldf, and mdf building panels or osb building panels
KR20180071045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두산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직접 접속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9993B1 (ko) * 2017-09-01 2018-07-18 주식회사 두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97737A (ko) 2018-02-13 2019-08-21 윤희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443A (ja) * 2001-06-08 2002-1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6043974A (ja) * 2004-08-03 2006-02-16 Riken Technos Corp 難燃フィルム、接着性難燃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443A (ja) * 2001-06-08 2002-1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6043974A (ja) * 2004-08-03 2006-02-16 Riken Technos Corp 難燃フィルム、接着性難燃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74A1 (ko) * 2015-07-28 2017-02-02 주식회사 두산 절연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KR20170013706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두산 절연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US10074458B2 (en) 2015-07-28 2018-09-11 Doosan Corporation Insulation film and flexible flat cable
KR101947223B1 (ko) * 2015-07-28 2019-04-22 주식회사 두산 절연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WO2017090868A1 (ko) * 2015-11-27 2017-06-01 주식회사 두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7060B1 (ko) * 2015-11-27 2018-03-22 주식회사 두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220410A1 (en) * 2016-06-22 2017-12-28 Pki Supply A/S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for imparting flame retardancy to a wood fiber-based material selected from plywood, chipboard, hdf, ldf, and mdf building panels or osb building panels
KR20180071045A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두산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직접 접속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1157B1 (ko) * 2016-12-19 2019-10-01 주식회사 두산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직접 접속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9993B1 (ko) * 2017-09-01 2018-07-18 주식회사 두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97737A (ko) 2018-02-13 2019-08-21 윤희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25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100894443B1 (ko)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US8975522B2 (en) Adhesive film and flat cable using same
US20130043058A1 (en) Adhesive film and flat cable
KR102262075B1 (ko) 접착제가 부착된 동박, 동장 적층판, 및 배선 기판
US9368254B2 (en) Adhesive resin composition,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and flat cable
JP5578446B2 (ja) 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991157B1 (ko)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직접 접속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접속된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4156233B2 (ja) 電磁波シールド材、及び電磁波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976501B1 (ko) 절연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JP4514546B2 (ja) 難燃フィルム、接着性難燃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KR20090078051A (ko) 할로겐프리 커버레이 필름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구비하는 커버레이 필름
JP2003258480A (ja) 難燃性電磁波シールド材
JP5205323B2 (ja) 非ハロゲン系難燃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20170110219A1 (en) Reinforcing tape for flat cable and flat cable
JP4667740B2 (ja) プリント配線板
JP6428028B2 (ja) 接着剤組成物、絶縁フィルム、絶縁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KR100642284B1 (ko) 비할로겐계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JP5258035B2 (ja) 非ハロゲン系難燃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3003144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接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ノンハロゲン難燃性接着シート
KR102376969B1 (ko) 온도 변화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필름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JP2004311573A (ja) プリント配線板
KR20170062323A (ko)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359836A (ja) 難燃性接着混和物
JP2004130691A (ja) 難燃性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