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867B1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Google Patents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867B1
KR100838867B1 KR1020030009014A KR20030009014A KR100838867B1 KR 100838867 B1 KR100838867 B1 KR 100838867B1 KR 1020030009014 A KR1020030009014 A KR 1020030009014A KR 20030009014 A KR20030009014 A KR 20030009014A KR 100838867 B1 KR100838867 B1 KR 10083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
polyester
shrinkage
shrinkable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460A (ko
Inventor
마사또시 하시모또
노리미 다보따
히로시 나가노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373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857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152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87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0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4953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3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 B29C63/4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423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specially applied to the mass-production of externally coated articles, e.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9Heat 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6Foam or porous material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88Of about the same composition as, and adjacent to, the void-contain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10T428/249992Linear or thermo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5Next to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용 병 등의 본체부에 장착하는 표시용 라벨 (환상 라벨을 의미함, 이하 동일)로 사용했을 때, 수축 마무리성이 바람직하고, 인쇄 가공을 행하지 않아도 광선 차단성을 갖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으로서,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40 % 이하, 헤이즈가 90 % 이상이고, 95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50 % 이상, 95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라벨, 수축 마무리성, 광선 차단성, 투과율, 헤이즈, 수축 방향, 온탕 수축률

Description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Heat-shrinkable Polyester-based Film}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용 병 등의 본체부에 장착하는 표시용 라벨 (환상 라벨을 의미함, 이하 동일)로 사용했을 때, 수축 마무리성이 바람직하고, 인쇄 가공을 행하지 않아도 광선 차단성을 갖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병의 내용물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수축 라벨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종래에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제 수축 필름이 사용되어 왔지만, 다른 소재에 의해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수축 필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구체적인 광선 차단성에 대한 요구 품질은 내용물에 따라 상이하지만, 내용물이 식품ㆍ음료 등인 경우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인 360 내지 400 nm의 파장에서 변질이나 착색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파장 영역, 특히 380 내지 400 nm에서의 광선 차단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라벨로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을 포함하는 열수축성 필름이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일본 특허 공개 (평)11-188817호 공보 등), 폴리염화비닐에 있어서는 최근 폐기시 소각할 때 염소계 가스가 발생하는 것이 문제가 되었고, 또 한 폴리스티렌에 있어서는 인쇄가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서는 상기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실용적인 필름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또한, 패트병에 있어서는, 내용물 보호를 위해 수지에 염료나 안료를 첨가한 착색병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착색된 병은 회수하여 재사용할 때 전체 회수물에 널리 착색되어 재이용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그 대체안이 검토되어 왔다.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서 무착색병을 이용하여 열수축성 착색 라벨을 병 전체에 장착함으로써, 병을 착색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방법이 검토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병에 장착하는 착색 라벨로서 열수축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라벨 내측에 무늬를 인쇄한 후 백색 인쇄를 행하였는데, 인쇄 잉크의 두께가 통상 3 ㎛ 정도로 자외선을 차단하기에는 불충분하였다. 또한, 백색 인쇄를 2회 실시함으로써 자외선을 차단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지만, 품질적인 요인(잉크층의 두께에 따른 수축 특성의 변화 등) 외에 라벨 제조 공정의 번잡함, 납기의 장기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수축 마무리성이 바람직하고, 병의 본체부 등에 장착하는 표시용 라벨로 사용했을 때 단부에 왜곡이 없으며, 또한 인쇄 가공을 행하지 않아도 광선 차단성을 갖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으로서,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40 % 이하, 헤이즈가 90 % 이상이고, 95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50 % 이상, 95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다.
여기서, 95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란 시료를 95 ℃의 온탕 중에 10초간 침지하고, 그 후 25 ℃의 수중에 10초 침지한 후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말하며, 최대 수축 방향이란 각각의 주수축 방향과 그 직교 방향의 95 ℃에서의 온탕 수축률 중 큰 수축률을 나타내는 수축 방향을 말한다.
온탕 수축률=((수축 전의 길이-수축 후의 길이)/수축 전의 길이)×100(%)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수축 마무리성이 바람직하고, 병 등의 본체부에 장착하는 표시용 라벨로 사용했을 때 단부에 왜곡이 없으며, 또한 인쇄 가공을 행하지 않아도 광선 차단성을 갖는다.
또한, 이 경우 9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수축 응력의 최대치를 15 MPa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65 % 이상,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2 % 이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란 시료를 80 ℃의 온탕 중에 10초간 침지하고, 그 후 25 ℃의 수중에 10초 침지한 후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말하며, 최대 수축 방향이란 각각의 주수축 방향과 그 직교 방향의 80 ℃에서의 온탕 수축률 중 큰 수축률을 나타내는 수축 방향을 말한다.
<수학식 1>
온탕 수축률=((수축 전의 길이-수축 후의 길이)/수축 전의 길이)×100(%)
또한, 이 경우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도를 30 ℃, 습도 85 % RH 분위기하에서 28일간 유지한 후, 5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용매 접착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불활성 미립자 및 비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공동 함유층을 1층 이상 갖는 다층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불활성 미립자를 산화티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비상용성 수지를 폴리스티렌계 수지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40 % 이하, 헤이즈가 90 % 이상이고, 95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50 % 이상, 95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10 % 이하이며, 그에 따라 상기 목표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불활성 미립자 및 비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나타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의 배합비는 양자 합계량에 대하여 통상 폴리에스테르가 50 내지 99 중량% 정도, 특히 70 내지 97 중량%이고,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가 1 내지 50 중량% 정도, 특히 3 내지 30 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1,4-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이량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아젤라산, 옥살산, 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옥시벤조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등의 다가 카르복실산을 필요에 따라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이량체디올,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1,5-펜탄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등의 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스페놀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등을 필요에 따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열수축 특성면에서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2종 이상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조합하거나, 이들과 다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극한 점도는 0.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6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극한 점도가 0.50 미만이면 결정성이 높아져 충분한 수축률을 얻을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에스테르는 통상법에 의해 용융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디카르 복실산과 글리콜을 직접 반응시켜 얻어진 올리고머를 중축합하는, 이른바 직접 중합법, 디카르복실산의 디메틸에스테르체와 글리콜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킨 후 중축합하는, 이른바 에스테르 교환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임의의 제조법을 적용할 수있다. 또한, 그 밖의 중합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도는 고유 점도로서 0.3 내지 1.3 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에는 착색이나 겔 발생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산화안티몬, 산화게르마늄, 티탄 화합물 등의 중합 촉매 외에 아세트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의 Mg염, 아세트산칼슘, 염화칼슘 등의 Ca염, 아세트산망간, 염화망간 등의 Mn염, 염화아연, 아세트산아연 등의 Zn염, 염화코발트, 아세트산코발트 등의 Co염을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각각 금속 이온으로서 300 ppm 이하, 인산 또는 인산트리메틸에스테르, 인산트리에틸에스테르 등의 인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인(P) 환산으로 200 ppm 이하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면 고융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분획과 저융점 연질 중합체 분획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블럭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블럭 공중합체의 고융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분획으로서는, 주로 에스테르 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과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위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으며, 1종 이상의 방향족핵을 갖는 기를 주요 반복 단위로 하고, 또한 분자 말단에 주로 수산기를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 고융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분획은 통상 융점이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 며, 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에스테르 단위; 에틸렌옥시벤조에이트, p-페닐렌비스옥시에톡시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에스테르에테르 단위; 주로 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그 외에 테트라메틸렌이소프탈레이트 또는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 또는 에틸렌아디페이트, 테트라메틸렌세바케이트 또는 에틸렌세바케이트,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테트라메틸렌-p-옥시벤조에이트 또는 에틸렌-p-옥시벤조에이트 등의 공중합 성분을 갖는 공중합 에스테르 단위 또는 공중합 에스테르에테르 단위 등이다. 또한, 공중합의 경우에는 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가 60 몰%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블럭 공중합체의 저융점 연질 중합체 분획은 통상 융점이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은 4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8000으로서, 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테르글리콜류 및 폴리락톤류를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글리콜류로서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1,2-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락톤류로서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난토락톤, 폴리카프릴로락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ε-카프로락톤 등의 폴리락톤을 저융점 연질 중합체 분획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고융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분획와 저융점 연질 중합체 분획의 공중합비는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융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분획의 비율이 증대되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단단해져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다. 저융점 연질 중합체 분획의 비율이 증대되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연질화되고, 저온 특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 저온 특성 등의 균형을 고려하면서 양자의 공중합비를 선정할 수 있다. 표준적인 배합비로서는 중량비로 고융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분획와 저융점 연질 중합체 분획이 97/3 내지 5/95, 보다 일반적으로는 95/5 내지 30/70 정도의 범위이다.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40 % 이하, 헤이즈가 90 % 이상이 되어 필름에 광선 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무기 미립자 또는 유기 미립자 등의 불활성 미립자를 필름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미립자를 0.1 중량%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광선 차단성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며, 한편 20 중량%를 초과하면 필름 강도가 저하되어 막형성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불활성 미립자는 폴리에스테르 중합 전에 첨가할 수도 있지만, 통상은 폴리에스테르 중합 후에 첨가한다. 불활성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카올린, 점토, 탄산칼슘, 산화규소, 테레프탈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인산칼슘, 카본 블랙 등의 공지된 불활성 무기 미립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 막형성시 불용성인 고융점 유기 화합물 미립자, 가교 중합체 미립자 및 폴리에스테르 합성시 사용하는 금속 화합물 촉매,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제조시 중합체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함유시키는 데 바람직한 불활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통상 0.001 내지 3.5 ㎛의 범위이다. 여기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콜터 카운터법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한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내부에 미세한 공동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발포재 등을 혼합하여 압출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중에 비상용성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하여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공동을 얻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함유시키는 데 바람직한 비상용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성인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비상용성 열가소성 수지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전체 광선 투과율을 40 % 이하, 헤이즈를 90 % 이상으로 하기 위해 필름에 공동을 형성하는 데에는, 공동 형성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폴리메틸펜텐,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용성 수지로서의 폴리스티렌계 수지로서는, 폴리스티렌 구조를 기 본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어택틱 폴리스티렌,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소택틱 폴리스티렌 등의 단독 중합체 외에, 그 밖의 성분을 그래프트 또는 블럭 공중합한 개질 수지, 예를 들면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나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등, 또한 이들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에테르와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 수지를 혼합 조정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각 수지의 칩을 혼합하여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하여 압출할 수도 있고, 미리 혼련기에 의해 두 수지를 혼련한 것을 압출기로 더 용융 압출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의 중합 공정에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첨가하고, 교반 분산하여 얻어진 칩을 용융 압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이지만, 불활성 미립자 및 비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공동 함유층을 1층 이상 갖는 다층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내부에 다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공동 함유층으로 구성되는 단층 필름 외에, 내부에 다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공동 함유층 중 적어도 한쪽면에 상기 공동 함유층보다 공동이 적거나 또는 공동을 함유하지 않는 필름층을 설치한 다층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다층 필름의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른 원료를 A, B 각각 다른 압출기에 투입, 용융하여 T-다이 앞 또는 다이 내부에서 용융 상태로 접합시켜 냉각 롤상에서 밀착 고화시킨 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원료로서 공동이 적거나 또는 공동을 함유하지 않는 필름층에는, 비상용성 수지가 공동 함유층으로의 배합량보다 적게 배합되거나, 또는 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층은 공동이 적거나 또는 공동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거칠음이 적어진다. 공동이 적거나 또는 공동을 함유하지 않는 필름층이 표면에 위치함으로써 인쇄물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공동 함유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전체적으로 공동 함유율이 낮기 때문에 필름에 탄력이 있고, 라벨로 사용했을 때 장착성이 우수한 필름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내부에 다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공동 함유층을 중간층으로 하고, 양표층에 공동이 적거나 또는 공동을 함유하지 않는 필름층을 설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함유시키는 데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성인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공동을 발현시키는 데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용융 압출시에 연기가 발생하여 공정을 더렵혀 조업성 악화를 야기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공동 함유층을 중간층으로 함으로써 용융 압출시에 다이 립에 접촉하여 발연한다는 문제가 해소되어 장시간의 안정 생산이 가능해진다. 특히, 공동을 발현시키는 데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연이 문제시되기 때문에, 공동 함유층을 중간층으로 하는 것이 장려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 착색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JIS-K-7136에 준하여 측정된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40 %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40 %를 초과하면, 라벨로서 장착시 내용물이 들여다 보이거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어 내용물이 열화되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3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JIS K 7136에 준하여 측정된 필름의 헤이즈가 90 %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상기 헤이즈가 90 % 미만이면, 내용물이 들여다 보이거나, 광선을 차단할 수 없어 내용물이 열화되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헤이즈는 95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주수축 방향으로 95 ℃ㆍ10초에서의 온탕 수축률은 50 % 이상이며, 5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축률이 50 % 미만에서는 병의 가는 부분에서 라벨의 수축 부족이 발생한다. 한편, 80 %를 초과하면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수축 터널 통과 중에 라벨이 튀어오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주수축 방향이란 수축률이 큰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주수축 방향으로 직각 방향의 수축률은 0 내지 10 %이다. 수축률이 0 % 미만에서 신장하는 방향이 되면 수축시 생긴 라벨의 가로 주름이 없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한편 10 %를 초과하면 라벨의 세로 수축이 커져 사용하는 필름량이 많아져 경제적으로 문제가 되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9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수축 응력의 최대치 가 15 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 MPa이다.
수축 응력의 최대치가 15 MPa를 초과하면 수축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용기에 밀착된 무늬가 왜곡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11 MPa 미만에서는 용기의 가는 부분까지 수축하는 힘이 없기 때문에 수축 불량이 발생하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은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6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65 내지 95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을 병의 라벨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을 환상 라벨의 주 (周)방향에 맞추어 라벨로 사용하지만,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65 % 미만이면 패트병 등의 통형 용기의 가는 입구 부분에서 환상 라벨의 수축 부족이 발생한다. 한편,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95 %를 초과하면,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통형 용기에 미수축 라벨을 장착하여 수축 터널을 통과시키는 사이 크게 수축되어 라벨이 튀어오르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축 공정의 관리를 신중히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은 2 % 이하이며, 0 내지 2 %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1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환상 라벨의 주방향과 직각인 방향, 다시 말해서 환상 라벨의 폭 방향에 맞추어 온탕 수축률이 0 % 미만(수축률이 마이너스)이면 필름이 신장하게 되며, 허용할 수 있는 것은 약 -2 % 정도까지로 그 이상 커지면 최대 수축 방향으로 수축할 때 생긴 라벨의 가로 주름이 없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편,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2 %를 초과하면 라벨의 세로 수축이 커져 사용하는 필름량이 많아져 경제적으로 문제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은 처리 온도 30 ℃, 처리 습도 85 % RH에서의 분위기하에서 28일간 유지한 후,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도가 5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파단 신도가 5 % 미만인 경우에는 인쇄 가공시의 필름 장력으로 끊어짐이 발생하고, 생산성이 나빠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조 직후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도도 5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50 내지 90 ℃ 정도,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0℃의 범위이다. 유리 전이 온도(Tg)가 이 범위 내에 있으면, 저온 수축성은 충분하고 또한 자연 수축이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가 없으며, 라벨의 마무리가 양호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벤젠, 톨루엔, 크실렌, 트리메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페놀 등의 페놀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푸란류, 1,3-디옥솔란 등의 옥솔란류 등의 유기 용매에 의한 용매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기 용매에 의한 용매 접착성으로서는, 1,3-디옥솔란에 의한 용매 접착성으로 전형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1,3-디옥솔란을 사용하는 것은 안전성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름을 앞뒷면 접착한 필름의 용매 접착 강도는 4 N/1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4 N/15 mm 미만에서는 라벨을 용기에 수축시킬 때 접합부가 박리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용매 접착 강도가 4 N/15 mm 이상인 경우에는 박리 저항력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용매 접착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에 그 유리 전이 온도(Tg)를 저하시키는 성분을 공중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의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공동 함유층을 포함하는 단일층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한 층 구성은 내부에 다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공동 함유층(이하, 간단히 "B층"이라고 함)의 적어도 한쪽면에 상기 공동 함유층보다도 공동이 적거나 또는 공동을 함유하지 않는 필름층(이하, 간단히 "A층"이라고 함)을 설치한 다층 필름, 즉 A층/B층 또는 A층/B층/A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이다. A층/B층을 포함하는 2층체인 경우, A층과 B층의 두께비는 A층/B층=50/50 내지 2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두께비가 50 % 미만에서는 광선 차단성이 부족하여 내용물이 들여다 보이거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어 내용물이 열화되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A층/B층/A층을 포함하는 3층체인 경우, A층과 B층의 두께비는 A층/B층/A층= 25/50/25 내지 10/8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두께비가 50 % 미만에서는 광선 차단성이 부족하여 내용물이 들여다 보이거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어 내용물이 열화되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 필름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열수축 특성을 쉽게 얻기 위해서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며, 또한 불활성 미립자 및 비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미립자 및 비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며 유리 전이 온도(Tg)가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통상의 호퍼 건조기, 퍼들 건조기, 진공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200 내지 320 ℃의 온도로 용융하여 압출한다. 압출시에는 T 다이법, 튜블러법 등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단층 외에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조성의 2층, 3층으로 공압출할 수 있다.
용융 압출 후, 급냉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데, T 다이법의 경우에는 급냉시 이른바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함으로써 두께 불균일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필름이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을 충족하도록, 얻어진 미연신 필름은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된다. 연신 방법으로서는 롤법으로 세로 1축만 연신하거나, 텐터법으로 가로 1축만 연신하는 방법 외에 공지된 2축 연신시 세로 또는 가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강하게 연신하고, 다른쪽은 최대한 작게 연신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재연신할 수도 있다.
상기 연신에 있어서, 주수축 방향으로는 적어도 2.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5배 이상 연신하고, 필요에 따라 주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고, 이어서 열처리하여 본 발명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열처리는 통상 긴장하에서 실시되는데, 동시에 20 % 이하의 이완 또는 폭을 내서 행할 수도 있다. 열처리 방법으로서는 가열 롤에 접촉시키는 방법이나 텐터 내에서 클립에 파지하여 행하는 방법 등의 기존 방법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연신 공정 중, 연신 전 또는 연신 후에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여 필름의 인쇄층 및(또는) 접착제층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신 공정 중, 연신 전 또는 연신 후에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도포를 행하여 필름의 접착성, 이형성, 대전 방지성, 미끄럼성, 차광성 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얻어지는 필름을 공동 함유 필름으로 하는 경우, 또는 공동 함유층을 1층 이상 갖는 다층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65 % 이상, 8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2 % 이하라는 본 발명 필름의 수축 특성을 충족하는 필름을 쉽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불활성 미립자 및 비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공동 함유층을 필름 구성 성분의 1층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특히 상기 수축 특성을 만족하는 필름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공동 함유 필름으로 하는 경우, 또는 공동 함유층을 1층 이상 갖는 다층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2 % 이하라는 낮은 값을 쉽게 얻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연신 방향의 수축은 연신 전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여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은 공동이 완충재가 되어 수축을 저해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 니지만,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의 범위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전체 광선 투과율
닛본 덴쇼꾸 고교사 제조의 NDH-2000T를 이용하여 JIS-K-713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온탕 수축률
시료를 주수축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에 따라 10 cm×10 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80 ℃±0.5 ℃ 또는 95 ℃±0.5 ℃의 온탕 중에 무하중 상태에서 10초간 침지하여 열수축시킨 후, 25 ℃±0.5 ℃의 수중에 10초간 침지하고, 그 후 시료의 세로(주수축) 방향 및 가로(직교)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에 따라 시료의 세로(주수축) 방향 및 가로(직교) 방향에 대하여 각각 구하였다.
<수학식 1>
온탕 수축률=((수축 전의 길이-수축 후의 길이)/수축 전의 길이)×100(%)
시료의 주수축 방향 및 그 직교 방향 중, 가장 수축률이 큰 방향을 최대 수축 방향으로 하고,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80 ℃ 또는 95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로 하였다.
(3) 파단 신도
주수축 방향에 있어서 15mm 폭의 필름을 도요 볼드윈사 제조의 텐실론(형식: STM-T-50BP)으로 체크간 거리 50 mm, 인장 속도 200 mm/분으로 측정하였다.
(4) 수축 마무리성
후지 아스텍 인크(Fuji Astec Inc)사 제조의 스팀 터널(형식: SH-1500-L)을 사용하고, 통과 시간 2.5초, 영역 온도 80 ℃로 500 mL의 각형 패트병(높이 210 mm, 바닥부의 장경 60 mm: 요시노 고교사 제조로 산토리사의 오룡차에 사용되고 있는 병)을 사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측정수=20).
평가는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기준은 하기와 같았다.
주름, 튀어오름, 수축 부족 모두 발생하지 않음: ○
주름, 튀어오름, 또는 수축 부족이 발생함: ×
(5) 용매 접착성
필름을 폭 230 mm로 슬릿하고, 이어서 센터 밀봉 장치를 사용하여 1,3-디옥솔란으로 길이 방향으로 앞뒷면 접착하면서 연속하여 튜브를 제조하고, 접은 상태에서 권취하였다. 이어서, 이 튜브형체를 가공시의 접합 가공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폭 15 mm로 절단하여 환상의 샘플을 제조하고, 환상의 샘플을 절개하여 도요 세끼사 제조의 텐실론(형식: UTL-4 L)을 이용하여 체크간을 20 mm로 하여 인장하고, 용매 접착 부분이 박리되었을 때의 용매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치가 4 N/15 mm 이상이면 박리 저항력 있음 "○"으로 하고, 4 N/15 mm 미만이면 박리 저항력없음 "×"로서 나타내었다.
(6) 유리 전이 온도(Tg)
세이꼬 덴시 고교사 제조의 DSC(형식: DSC220)를 이용하여 미연신 필름 10 mg을 -40 ℃에서 120 ℃까지 승온 속도 20 ℃/분으로 승온하여 얻어진 흡열 곡선으로부터 구하였다. 흡열 곡선의 변곡점 전후에 접선을 긋고, 그 교점을 유리 전이 온도(Tg)로 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에 사용한 폴리에스테르는 이하와 같다.
폴리에스테르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IV: 0.75)
폴리에스테르 b: 테레프탈산 100 몰%, 에틸렌 글리콜 70 몰%, 네오펜틸글리콜 30 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IV :0.72)
폴리에스테르 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70 중량%와 ε-카프로락톤 3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환원 점도(ηsp/c) 1.30)
폴리에스테르 d: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IV: 1.20)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 30 중량%, 폴리에스테르 b 65 중량%, 폴리에스테르 c 5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B층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b 65 중량%, 폴리에스테르 c 5 중량%와 결정성 폴리스티렌 수지(G797N 닛본 폴리스티렌(주) 제조) 10 중량% 및 이산화티탄(TA-300 후지 티탄 제조) 10 중량%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에 투입, 혼합, 용융한 것을 피드 블럭으로 접합하고, 280 ℃에서 T 다이로부터 연신한 후의 A/B/A의 두께비가 12.5 ㎛/25 ㎛/12.5 ㎛가 되도록 적층하면서 용융 압출하고, 냉각 롤로 급냉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텐터로 필름 온도 70 ℃에서 가로 방향으로 4.0배 연신하 여 두께 50 ㎛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스티렌 및 이산화티탄의 배합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50 ㎛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04940183-pat00001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에서 얻어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모두 양호한 광선 차단성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광선 차단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이 비교예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품질이 떨어지고 실용성이 낮은 것이었다.
<실시예 7>
내부에 다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공동 함유층(B층)의 양면에 상기 공동 함유층보다도 공동이 적거나 또는 공동을 함유하지 않는 필름층(A층)을 설치한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 30 중량%, 폴리에스테르 b 67 중량%, 폴리에스테르 c 3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B층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b 65 중량%, 폴리에스테르 c 5 중량%와 결정성 폴리스티렌 수지(G797N 닛본 폴리스티렌사 제조) 10 중량% 및 이산화티탄(TA-300 후지 티탄사 제조) 10 중량%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에 투입, 혼합, 용융한 것을 피드 블럭으로 접합하고, 280 ℃에서 T 다이로부터 연신한 후의 A층/B층/A층의 두께비가 10 ㎛/20 ㎛/10 ㎛가 되도록 적층하면서 용융 압출하고, 냉각 롤로 급냉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텐터로 필름 온도 70 ℃에서 가로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두께 40 ㎛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내지 9 및 비교예 2 내지 3>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및 이산화티탄의 배합비, 막형성 조건을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40 ㎛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04940183-pat00002
표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5에서 얻어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모두 패트병의 풀 라벨용으로 바람직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또한 양호한 광선 차단성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5에서 얻어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광선 차단성을 갖기는 했지만 용매 접착성이 떨어졌고, 비교예 6 내지 7에서 얻어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광선 차단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이 비교예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품질이 떨어지고 실용성이 낮은 것이었다.
<실시예 10>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 30 중량%, 폴리에스테르 b 67 중량%, 폴리에스테르 c 3 중량%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B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a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b 67 중량%, 폴리에스테르 c 3 중량%와 결정성 폴리스티렌 수지(G797N 닛본 폴리스티렌(주) 제조) 10 중량% 및 이산화티탄(TA-300 후지 티탄 제조) 10 중량%를 각각 별개의 압출기에 투입, 혼합, 용융한 것을 피드 블럭으로 접합하고, 280 ℃에서 T 다이로부터 연신한 후의 A/B/A의 두께비가 5 ㎛/20 ㎛/5 ㎛가 되도록 적층하면서 용융 압출하고, 냉각 롤로 급냉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텐터로 필름 온도 70 ℃에서 가로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두께 30 ㎛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4 내지 5>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및 이산화티탄의 배합비, 막형성 조건을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30 ㎛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내지 12 및 비교예 4 내지 5에서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04940183-pat00003
표 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0 내지 12에서 얻어진 열수축성 폴 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모두 패트병의 풀 라벨용으로 바람직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또한 양호한 광선 차단성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4 내지 5에서 얻어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광선 차단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이 비교예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품질이 떨어지고, 실용성이 낮은 것이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품질 및 실용성이 높으며, 특히 열화되기 쉬운 내용물의 포장 수축 라벨용으로서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수축 마무리성이 바람직하고, 병 등의 본체부에 장착하는 표시용 라벨로 사용했을 때 단부에 왜곡이 없으며, 또한 인쇄 가공을 행하지 않아도 광선 차단성을 갖는다.

Claims (8)

  1.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40 % 이하, 헤이즈가 90 % 이상이고, 95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50 % 이상, 95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10 % 이하이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공동 함유층을 1층 이상 갖는 다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90 ℃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수축 응력의 최대치가 15 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80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65 % 이상, 80 ℃ㆍ10초에서의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2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단 신도가 30 ℃, 습도 85 % RH 분위기하에서 28일간 유지한 후, 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매 접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활성 미립자 및 비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공동 함유층을 1층 이상 갖는 다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불활성 미립자가 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비상용성 수지가 폴리스티렌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20030009014A 2002-02-14 2003-02-13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838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7314A JP4585735B2 (ja) 2002-02-14 2002-02-14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JP-P-2002-00037314 2002-02-14
JPJP-P-2002-00115249 2002-04-17
JP2002115249A JP4908717B2 (ja) 2002-04-17 2002-04-17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2280868A JP4284953B2 (ja) 2002-09-26 2002-09-26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JP-P-2002-00280868 2002-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460A KR20030068460A (ko) 2003-08-21
KR100838867B1 true KR100838867B1 (ko) 2008-06-16

Family

ID=2773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014A KR100838867B1 (ko) 2002-02-14 2003-02-13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03812B2 (ko)
EP (1) EP1340785B1 (ko)
KR (1) KR100838867B1 (ko)
CN (1) CN100400269C (ko)
AT (1) ATE340211T1 (ko)
DE (1) DE6030842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808A (ko) * 2016-03-31 2018-12-05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공동 함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7511B2 (ja) * 2001-04-26 2006-04-1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US7807255B2 (en) * 2003-04-24 2010-10-05 Fuji Seal International, Inc. Heat-shrinkable milky film, shrink label and container with label
US20050119359A1 (en) * 2003-12-02 2005-06-02 Shelby Marcus D. Void-containing polyester shrink film
US20070004813A1 (en) * 2004-09-16 2007-01-04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void-containing articles
US20060121219A1 (en) * 2004-12-07 2006-06-08 Eastman Chemical Co. Void-containing polyester shrink film with improved density retention
JP4882919B2 (ja) * 2006-08-30 2012-02-22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
FR2911130B1 (fr) * 2007-01-05 2009-11-27 Saint Gobain Procede de depot de couche mince et produit obtenu
JP4560740B2 (ja) * 2007-09-25 2010-10-13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包装体
KR101190348B1 (ko) * 2007-12-11 2012-10-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4809419B2 (ja) * 2007-12-13 2011-11-0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91876B1 (ko) * 2008-02-27 2015-02-09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백색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백색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라벨, 및 포장체
US20090227735A1 (en) * 2008-03-07 2009-09-10 Eastman Chemical Company Miscible polyester blends and shrinkable films prepared therefrom
CN102015849A (zh) * 2008-05-16 2011-04-13 Skc株式会社 热收缩性聚酯薄膜
KR100987065B1 (ko) * 2008-06-11 2010-10-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00224525A1 (en) * 2009-03-06 2010-09-09 Medela Holding Ag Storage Device for Infant Feed
KR100981129B1 (ko) * 2010-03-09 2010-09-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터계 필름
KR101268217B1 (ko) * 2010-03-31 2013-06-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단층 필름
CN102822251B (zh) * 2010-03-31 2015-08-26 可隆工业株式会社 热收缩聚酯类膜和热收缩聚酯类标签
EP2766186B1 (en) * 2011-10-14 2017-06-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Shrink film for label
BR112014009083A2 (pt) 2012-01-11 2017-05-09 Avery Dennison Corp película retrátil de multicamada com núcleo de poliolefina
US8778077B2 (en) * 2012-02-29 2014-07-15 Skc Inc. Solvent for heat-shrinkable polyester-based labels
US10329393B2 (en) 2012-12-12 2019-06-25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sters plasticized with polymeric plasticizer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KR101305663B1 (ko) * 2013-03-26 2013-09-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6531650B2 (ja) * 2014-09-09 2019-06-19 東洋紡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ラベル、包装体、および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ラベルの製造方法
KR102500307B1 (ko) * 2015-08-19 2023-02-14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WO2018035345A1 (en) 2016-08-18 2018-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Oriented films and shrink films comprising polyesters which comprise tetramethyl cyclobutanediol and ethylene glycol
JP7130621B2 (ja) 2016-08-18 2022-09-0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触媒系による、テトラメチルシクロブタンジオール及びエチレングリコールを含むポリエステル組成物
WO2018035337A1 (en) 2016-08-18 2018-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tetramethylcyclobutandiol and ethylene glycol, with improved catalyst system
JP2021501238A (ja) 2017-10-30 2021-01-14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低密度の空隙含有フィルム
US10543656B2 (en) 2018-01-11 2020-01-28 Eastman Chemical Company Tough shrinkable films
CN111655450A (zh) * 2018-01-31 2020-09-11 东洋纺株式会社 热收缩性聚酯系薄膜卷
EP3863832A1 (en) 2018-10-08 2021-08-18 Eastman Chemical Company Crystallizable shrinkable films and thermoformable sheets made from resin blends
US20210394468A1 (en) 2018-10-08 2021-12-23 Eastman Chemical Company Crystallizable shrinkable films and thermoformable sheets made from reactor grade resins
JP2022552207A (ja) 2019-10-08 2022-12-1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再資源化含量を有する結晶化可能な反応器級樹脂のための触媒システム
KR20220079915A (ko) 2019-10-08 2022-06-14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 결정화가능한 반응기 등급 수지를 위한 촉매 시스템
JP2022553090A (ja) 2019-10-25 2022-12-21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再資源化物を有する反応器級樹脂から製造される結晶化可能な収縮性フィルムならびに熱成形性フィルムおよびシート
JP2023520584A (ja) 2020-04-06 2023-05-17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樹脂ブレンド製の結晶化可能な収縮性フィルムおよび熱成形性シート
JP2023544827A (ja) 2020-10-08 2023-10-2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833128B (zh) * 2020-11-19 2024-02-21 美商朋瑟美國公司 聚酯系熱收縮膜
CN113561588A (zh) * 2021-07-22 2021-10-29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热收缩标签用的高阻光高韧多层聚酯膜及制备方法和应用
TW202315906A (zh) 2021-10-08 2023-04-16 美商伊士曼化學公司 具有減少收縮之可收縮聚酯膜
WO2023091544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091539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091542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091540A1 (en) 2021-11-22 2023-05-25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able copolyesters articles with living hinges
WO2023178221A1 (en) 2022-03-18 2023-09-21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ayer crystallizable shrinkable film and sheet
WO2023196829A1 (en) 2022-04-06 2023-10-12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ayer shrinkable polyester films with improved toughnes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133A (ja) * 1992-06-16 1994-06-14 Toyobo Co Ltd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5565545A (en) * 1994-09-15 1996-10-15 Zimm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adjusting the haze of ethyleneterephthalate polymers
JPH09277479A (ja) * 1996-04-17 1997-10-28 Toray Ind Inc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感熱記録用受容シート
JPH09278916A (ja) * 1996-04-11 1997-10-28 Toray Ind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感熱記録用受容シート
KR20010098502A (ko) * 2000-04-11 2001-11-08 시바타 미노루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EP1264680A1 (en) * 2001-06-05 2002-12-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8935A (ja) 1988-04-09 1989-10-16 Diafoil Co Ltd ポリエステル系収縮フィルム
US4927112A (en) * 1988-02-09 1990-05-22 Doulbe-E Inc. Blowout preventer
US5422175A (en) * 1992-06-01 1995-06-0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Void-containing composite film of polyester type
JP3314814B2 (ja) * 1992-06-02 2002-08-19 東洋紡績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性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732478A (ja) 1993-07-23 1995-02-03 Toyobo Co Ltd つや消し調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3584988B2 (ja) * 1993-08-04 2004-11-04 東洋紡績株式会社 白色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ポリスチレン系フィルム
JP3509079B2 (ja) 1993-08-09 2004-03-22 東洋紡績株式会社 空洞含有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954821B2 (ja) 1993-11-10 1999-09-27 帝人株式会社 磁気カード用制電易接着フィルム
JP3396962B2 (ja) 1994-08-23 2003-04-14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複合フィルム
US5925208A (en) * 1995-09-13 1999-07-20 Northstar Print Group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rinted in-mold labeled molded containers
JPH1135718A (ja) 1997-07-17 1999-02-09 Toyobo Co Ltd 抗菌性白色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抗菌性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062751B2 (ja) 1997-08-05 2008-03-19 東洋紡績株式会社 抗菌性熱収縮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熱収縮包装材および結束材
JPH11188817A (ja) 1997-12-26 1999-07-13 Fuji Seal Inc ポリスチレン系熱収縮ラベル
DE69910905T2 (de) * 1998-06-22 2004-07-1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 Biaxial-orientierte Polyesterfolie
JP2000169602A (ja) 1998-12-07 2000-06-20 Toyobo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0190440A (ja) 1998-12-28 2000-07-11 Mitsubishi Rayon Co Ltd 多層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497872B1 (ko) * 1999-01-28 2005-06-29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2000301646A (ja) * 1999-04-22 2000-10-31 Toray Ind Inc 包装材料および袋状物
EP1072632B1 (en) * 1999-07-27 2004-10-06 SKC Co., Ltd.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939470B2 (ja) 1999-09-29 2007-07-04 三菱樹脂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イルム
JP2001151908A (ja) 1999-11-30 2001-06-05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294681A (ja) 2000-04-11 2001-10-23 Toyobo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710102B2 (ja) 2000-05-15 2011-06-2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649710B2 (ja) * 2000-07-28 2011-03-16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熱収縮性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とそれを装着した容器
JP4304243B2 (ja) * 2000-08-02 2009-07-29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2067210A (ja) 2000-08-31 2002-03-05 Toyobo Co Ltd 積層熱収縮性フィルム及びボトル用ラベル
JP2002194114A (ja) 2000-12-25 2002-07-10 Toyobo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イルム
JP2003034729A (ja) 2001-07-24 2003-02-07 Toyobo Co Ltd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4899B2 (ja) 2001-09-04 2009-06-24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ラベル、及び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133A (ja) * 1992-06-16 1994-06-14 Toyobo Co Ltd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5565545A (en) * 1994-09-15 1996-10-15 Zimm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adjusting the haze of ethyleneterephthalate polymers
JPH09278916A (ja) * 1996-04-11 1997-10-28 Toray Ind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感熱記録用受容シート
JPH09277479A (ja) * 1996-04-17 1997-10-28 Toray Ind Inc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感熱記録用受容シート
KR20010098502A (ko) * 2000-04-11 2001-11-08 시바타 미노루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EP1264680A1 (en) * 2001-06-05 2002-12-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808A (ko) * 2016-03-31 2018-12-05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공동 함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2197840B1 (ko) * 2016-03-31 2021-01-04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공동 함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0785B1 (en) 2006-09-20
ATE340211T1 (de) 2006-10-15
CN100400269C (zh) 2008-07-09
DE60308428T2 (de) 2007-09-13
DE60308428D1 (de) 2006-11-02
KR20030068460A (ko) 2003-08-21
US20030165671A1 (en) 2003-09-04
CN1438109A (zh) 2003-08-27
EP1340785A2 (en) 2003-09-03
US7303812B2 (en) 2007-12-04
EP1340785A3 (en) 200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67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5625912B2 (ja) 空洞含有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68461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라벨
JP2004181863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18699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열수축성 라벨
EP3815895B1 (en) Heat-shrinkable multi-layered film
JP4585735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6063134A (ja) 熱収縮包装用フィルム
JP2001323082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284953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6328271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JP2005068392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788720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555911B2 (ja) 多層構造体
JP4636067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3034729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40716A (ja) 熱収縮包装用フィルムおよびラベル
JP2005206730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908717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867985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6297708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JP2908051B2 (ja) 微細空隙を含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5161671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ラベル
JP2006265464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JP2006062681A (ja) 熱収縮包装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