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195B1 -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195B1
KR100819195B1 KR1020060025144A KR20060025144A KR100819195B1 KR 100819195 B1 KR100819195 B1 KR 100819195B1 KR 1020060025144 A KR1020060025144 A KR 1020060025144A KR 20060025144 A KR20060025144 A KR 20060025144A KR 100819195 B1 KR100819195 B1 KR 10081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rinted
wiring pattern
cover layer
wiring board
printed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279A (ko
Inventor
켄 사카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3Fixing them on the sha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72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consisting of thin flexible metallic tape with or without a film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커버층 필름을 배선 패턴의 표면에 점착하는 경우에 단부로부터의 박리나 기포의 발생 등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절연성 베이스 필름 표면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 패턴의 표면에 상기 배선 패턴의 단자 부분이 노출되도록 절연성 커버층 필름을 점착함으로써 상기 배선 패턴이 보호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으로서, 상기 커버층 필름으로 보호되는 부분의 일부에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상기 배선 패턴과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의 더미 패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커버층 필름을 가접착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커버층 필름을 본압착할 때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2…베이스 필름
4…배선 패턴
6…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8…필름 접착제층
9…절연성 수지 필름 기재
10…커버층 필름
10a…단부
12…기포
20…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
22…베이스 필름
24…배선 패턴
26…단자 부분
28…스프로켓 홀
30…디바이스 홀
32…커버층 필름(절연성 수지 보호 필름)
40…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42…커버층 필름(절연성 수지 보호 필름)
50…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
50a…더미 금속선
60…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
62…더미 금속선
64…더미 경사 그룹
66…더미 연결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프린터 등을 구동시키는 데 적합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적 회로(IC) 등의 전자부품을 전자장치에 실장하기 위하여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TAB(Tape Automated Bonding) 테이프, COF(Chip on Film) 테이프, BGA(Ball Grid Array) 테이프, CSP(Chip Size Package) 테이프,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테이프} 혹은 시트상의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은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절연 필름에 동박 등의 도전성 금속층을 형성하고, 이 도전성 금속층 표면에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이 감광성 수지를 원하는 패턴으로 노광현상하여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한 후, 이 형성된 패턴을 마스킹재로 하여 도전성 금속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배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배선 패턴이 형성된 후에는 커버층 필름을 점착하여 상기의 배선 패턴을 보호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82650호 공보 참조).
이와 같은 커버층 필름을 배선 패턴의 표면에 점착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 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 베이스 필름(2)의 표면에 배선 패턴(4)이 형성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6)을 준비한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6)의 상부에 접착제 부착 커버층 필름(10)을 점착하기 위해서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절단된 접착제 부착 커버층 필름(10)이 준비된다. 이 커버층 필름(10)은 절연성 수지 필름 기재(9)와 필름 접착제층(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커버층 필름(10)의 필름 접착제층(8)측을 배선 패턴(4)에 대향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먼저 커버층 필름(10)의 상방측으로부터 소정의 금형으로 가볍게 가열압착함으로써 배선 패턴(4)의 표면에 커버층 필름(10)을 가접착한다.
그리고 커버층 필름(10)의 가접착을 행한 후, 이번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가열상태로 한 후 금형으로 커버층 필름(10)의 본압착을 행한다. 즉, 커버층 필름(10)의 상방측으로부터 두 번째의 가압을 행함으로써 하면의 필름 접착제층(8)이 베이스 필름(2)의 배선 패턴(4) 사이로 들어가 커버층 필름(10)을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커버층 필름(10)을 가접착 상태로 한 후 본압착을 행하는 경우에는 특히 커버층 필름(10)의 네 모서리부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층 필름(10)의 단부(10a) 부근에 배선 패턴(4)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접착을 행할 때 커버층 필름(10)의 단부(10a)가 부분적으로 들뜨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단부(10a)의 들뜸이 발생하면 가접착한 커버층 필름(10)이 박리되거나 혹은 접착면에 요철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두 번째의 본압착을 행한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접착제층(8) 내부에 기포(12)를 발생시켜 제품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에 착안하여 커버층 필름을 배선 패턴의 표면에 점착하는 경우에 단부로부터의 박리나 기포의 발생 등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은,
절연성 베이스 필름 표면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 패턴의 표면에 상기 배선 패턴의 단자 부분이 노출되도록 절연성 커버층 필름을 점착함으로써 상기 배선 패턴이 보호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으로서,
상기 커버층 필름으로 보호되는 부분의 일부에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상기 배선 패턴과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의 더미 패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은,
절연성 베이스 필름 표면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 패턴의 표면에 상기 배선 패턴의 단자 부분이 노출되도록 절연성 커버층 필름을 점착함으로써 상기 배선 패턴을 보호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커버층 필름으로 보호되는 부분의 일부에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상기 배선 패턴과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의 더미 패턴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층 필름의 형상을 직사각형상 혹은 간략화된 다른 기하학형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커버층 필름의 하면에는 배선 패턴 혹은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가접착 시 단부, 특히 네 모서리부가 들뜨는 일이 없다. 따라서, 기포의 발생이나 단부의 박리를 가급적 없앨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은 주위에 형성된 배선 패턴의 피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접착의 정도도 주위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균일한 접착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은,
상기 커버층 필름이,
상기 절연성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커버층 필름이,
상기 절연성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수지가 채용되면 비용적 혹은 관리상 바람직함과 함께 온도 변화 등에 따른 영향, 예를 들어, 휨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자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배선 패턴이라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을 제외한 더미 패턴(더미 배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20)은 절연성 베이스 필름(22), 이 표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24), 이 배선 패턴(24)에 단자 부분(26)이 노출되도록 배치된 커버층 필름(절연성 수지 보호 필름)(32)으로 이루어진다.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20)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본 발명의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 이외의 더미 패턴(더미 배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절연성 베이스 필름(22)으로서는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이미드아미드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불소수지 필름 및 액정 폴리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즉, 이들 베이스 필름(22)은 에칭 시에 사용되는 에칭액 혹은 세정 시에 사용되는 알칼리 용액 등에 침식되지 않을 정도로 내산·내알칼리성을 가지고, 또한 전자부품을 실장할 때 등의 가열에 의해 크게 열변형하지 않을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베이스 필름(22)으로서는 폴리이미드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절연성 베이스 필름(22)은 통상적으로는 5㎛~150㎛, 바람직하게는 5㎛~125㎛, 특히 바람직하게는 25㎛~75㎛의 평균 두께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절연성 베이스 필름(22)에 펀칭에 의해 스프로켓 홀(28), 디바이스 홀(30), 절곡 슬릿(미도시), 위치 맞춤용 홀(미도시) 등의 필요한 투과공이 천공되어 있다.
배선 패턴(24) 및 본 발명의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에 사용되는 도전성 금속으로서는 동, 동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전성 금속은 베이스 필름(22)의 표면에, 예를 들어, 증착법 혹은 도금법 등에 의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 속층을 점착함으로써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도전성 금속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는 2㎛~70㎛, 바람직하게는 5㎛~45㎛ 범위 내이다.
상기와 같은 도전성 금속층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절연성 베이스 필름(22)의 표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3층 테이프의 도전성 금속층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층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폴리이미드 수지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는 5㎛~50㎛, 바람직하게는 10㎛~40㎛ 범위 내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접착제층은 2층 테이프에는 없다.
배선 패턴(24) 및 본 발명의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은 절연성 베이스 필름(22)의 표면에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도전성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도전성 금속층의 표면에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감광성 수지층을 노광·현상함으로써 원하는 패턴으로 형성하여 이 패턴을 마스킹재로 하여 도전성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배선 패턴(24) 및 본 발명의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배선 패턴(24)의 표면에는 단자 부분(26)이 노출되고 그 외의 부분이 피복되도록 절연성 커버층 필름(32)이 점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배선 패턴(24)은 디바이스 홀(30)에 대하여 필름 연장 방향의 양측에 다수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나, 필름의 폭 방향과 도 1에 있어서의 좌측 하면부에는 통상적인 단자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필름의 폭 방향의 공백 부분에는 직선상 금속선(50a, 50b)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이 형성되고, 도 1에 있어서의 좌측 하면부에는 4개 분의 단자 해당 부분이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60)으로 되어 있다. 한편, 4개 분의 단자 해당 부분 중, 1개의 금속선(62)은 긴 선으로 구성되고 다른 3개의 선은 도중에서 분단됨으로써 베이스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배치된 경사 그룹(64)과 대략 E자상의 연결체(66)로 분기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층 필름(32)의 형상은 디바이스 홀(30)과 배선 패턴(24)의 단자 부분(26)을 제외한 직사각형 도넛 형상(외형이 사각형이고 그 내부에 직사각형의 빈 공간이 형성된 형상)이다.
따라서, 가령 상기한 바와 같은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이 커버층 필름(32)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라도 그 하면에 도전성 금속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백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이 공백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부분이라도 거의 동일한 접착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전체적인 균형이 잡혀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2개의 금속선(50a, 50b)과 4개의 금속선에 의해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이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금속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이들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은 어디까지나 모의적인 것으로 전기적으로는 어느 곳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 상에도 커버층 필름(32)이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은 실 제의 배선 패턴(24)의 도전성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 및 동일 배선 피치, 나아가서는 동일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이면 점착 시 친화력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커버층 필름(32)은 도 4에 나타낸 커버층 필름(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수지 필름 기재(9)와 그 일측면에 형성된 필름 접착제층(8)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커버층 필름(32)을 미리 준비함과 함께 베이스 필름(22)에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을 형성해 둔다. 이리하여 커버층 필름(32)과 배선 패턴(24)을 가접착한 후 본압착하면 종래 발생하던 기포의 발생이나 커버층 필름(32)의 들뜸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배선 패턴(24)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특히 네 모서리부)에는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가접착 시 접착면에 요철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본압착 시 기포를 포함하는 비율이 40~50%나 되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와 같이, 배선 패턴(24)이 존재하지 않는 범위에 미리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본압착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기포의 발생률이 0%~1%가 되어 기포의 발생을 거의 완전히 없애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40)을 나타낸 것으로 도 1과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40)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대략 직사각형 상의 1개로 연결된 커버층 필름(32) 대신 6각형상으로 좌우로 분리된 2개의 커버층 필름(42, 42)이 사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커버층 필름(42, 42)이 이와 같이 직사각형상이 아닌 분리된 형상인 경우에는 물론 도 1에 나타낸 금속선(50a, 50a) 등으로 이루어지는 더미 패턴(50)은 불필요하므로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60)만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 모두 커버층 필름(32, 42)은 테이프 폭 방향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간략화된 다른 기하학형상으로서 좌우대칭일 필요는 없다. 또한, 커버층 필름의 형상은 4각형상~8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은 상술한 FPD장치 외에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커버층 필름(32)의 절연성 수지 필름 기재(9)를 형성하는 내열성 보호 수지로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 및 아라미드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열성 보호 수지로 형성되는 절연성 수지 필름 기재(9)의 두께는 평균 두께로 통상적으로 1㎛ 이상, 바람직하게는 3㎛~75㎛, 특히 바람직하게는 4㎛~50㎛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절연성 수지 필름 기재(9)에 도포되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접착제층(8)을 형성하는 수지의 예로서는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전구체(폴리아미드산),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사용하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접착제는 경화 온도가 80℃~200 ℃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30℃~180℃ 범위 내이며, 실온에서는 표면에 점착성이 발현되기 어렵고 가열하여 접착할 때 접착력이 발현되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열경화성 접착제는 열경화한 후의 경화체가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경화성 접착제의 경화체가 탄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접착성 성분인 열경화성 수지에 엘라스토머를 배합하거나 열경화성 수지를 엘라스토머 성분으로 변성시켜 열경화성 수지 경화체 자체가 탄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 필름 접착제층(8)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배선 패턴(24)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22)의 표면에 배치된 도전성 금속층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이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는 10㎛~50㎛, 바람직하게는 20㎛~50㎛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필름 접착제층(8)의 두께를 설정함으로써 커버층 필름(32)을 천공하여 배선 패턴(24)의 표면에 점착할 경우, 인접하는 배선 패턴과의 틈을 접착제로 전부 메우는 것이 가능하여 점착된 커버층 필름과의 사이에 불필요한 공극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커버층 필름(32)의 두께(절연성 수지 필름 기재(9)+필름 접착제층(8)의 합계)는 통상적으로 15㎛~125㎛, 바람직하게는 15㎛~75㎛ 범위 내이다. 이 커버층 필름(32)은 미리 권출 릴에 권회되고 이 권출 릴로부터 베이스 필름(22)의 배선 패턴(24)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이 커버층 필름(32)의 필름 접착제층(8) 측이 배선 패턴(24)의 형성면과 대면하도록 권출되며, 천공 커버층 필름의 형상을 가지는 펀치와 펀치 홀을 가지는 천공 프레스 장치로 커 버층 필름(32)을 천공한다. 이와 같은 펀치로 천공된 커버층 필름(32)의 필름편을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커버층 보호막 형성 예정부에 배치하고 60℃~120℃ 정도로 가열하여 0.2MPa~2MPa, 바람직하게는 0.4MPa~0.8MPa 정도의 압력으로 가접착한 후 필름 접착제층(8)의 종류에 따라 100℃~200℃ 바람직하게는 130℃~180℃ 정도로 가열하고 0.3MPa~5MPa, 바람직하게는 0.6MPa~1.0Pa 정도의 압력으로 본압착한다.
본 압착을 행하는 금형에는 실리콘계 수지나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이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배선 패턴(24)의 표면이 가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천공된 커버층 필름(32)은 권취 릴로 귄취되어 회수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20)은 커버층 필름(32)의 하면에 배선 패턴(24) 혹은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포의 발생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상기와 같은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홀(30)에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나아가 수지봉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위의 상황에 따라 크기, 형상 등이 결정된다.
가장 중요한 점은, 커버층 필름의 프레스 천공 형상이 복잡해지지 않고 배선 패턴(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이에 따른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께 50㎛의 폴리이미드 필름(상품명: 유피렉스 S(UPILEX S), 우베흥산 주식회사 제품)에 두께 12㎛의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평균 두께 35㎛의 전해 동박을 가압하면서 가열하여 적층하였다.
이어서, 이 전해동박의 표면에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고 또한 노광현상하여 원하는 에칭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공백 부분에도 투영적으로 보아 전체가 직사각형상이 되도록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들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을 에칭처리하고 패턴을 마스킹재로 하여 전해동박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동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 및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을 형성하였다.
한편, 두께 12㎛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에 두께 35㎛의 페놀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커버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커버층 필름의 접착제층을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의 배선 패턴 형성면과 대면하도록 배치하고, 펀치와 펀치 홀을 가지는 천공 프레스 장치로 천공하여 100℃로 가열하면서 0.5MPa의 압력으로 배선 패턴의 소정 위치에 압착하였다.
이로써, 도 1의 베이스 필름에 대하여 커버층 필름을 가접착하여 1만 피스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커버층 필름의 모서리부는 모두 평탄하며 박리나 들뜸 등의 요철은 없었다.
이어서, 커버층 필름이 가접착된 베이스 필름에 대하여 본압착을 행하는데 이 경우 실리콘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실리콘 패드)를 본압착을 행하는 금형의 표면에 추가로 마련하였다.
본 압착에서는 170℃로 가열하고 0.7MPa에서 15초간 압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접착된 1만 피스의 필름 캐리어의 커버층 필름과 배선 패턴 혹은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의 접착면에는 기포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커버층 필름의 네 모서리부에 주목하여 커버층 필름의 접착 상황을 확인한 결과 모든 모서리부가 적절히 접착되어 있고 박리나 들뜸 등의 요철이 발견되지 않으며 평탄하였다.
[비교예]
상기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원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로서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도 1에서 박리 방지용 더미 패턴(50, 60)이 형성된 영역)은 그대로 두고 여기에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았다. 따라서, 커버층 필름은 배선 패턴이 형성된 영역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펀치로 천공된 직사각형 프레임상의 필름편을 배선 패턴의 상면에 가접착을 행 한 후 본압착하였다. 가접착이나 본 압착의 온도 조건이나 압력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이다.
이와 같이 하여 가접착된 커버층 필름과 배선 패턴의 접착면에는 들뜸이 발생한 것이 약 절반에 가까우며, 특히 네 모서리부에 주목해서 보면 다른 부분에서는 들뜸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네 모서리 중 배선 패턴이 부근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커버층 필름의 모서리부에만 들뜸이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본압착된 샘플이 기포를 포함하는 비율은 46%였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따르면, 커버층 필름의 하면에 배선 패턴 혹은 더미 패턴이 항상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대략 균일한 접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한 가접착 및 본압착을 행할 수 있어 들뜸이나 박리 혹은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절연성 베이스 필름 표면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 패턴의 표면에 상기 배선 패턴의 단자 부분이 노출되도록 절연성 커버층 필름을 점착함으로써 상기 배선 패턴이 보호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으로서,
    상기 커버층 필름으로 보호되는 부분의 일부에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상기 배선 패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의 더미 패턴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 부분을 제외한 배선 패턴과 상기 더미 패턴의 전부가 상기 커버층 필름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 필름이,
    상기 절연성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자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절연성 베이스 필름 표면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 패턴의 표면에 상기 배선 패턴의 단자 부분이 노출되도록 절연성 커버층 필름을 점착함으로써 상기 배선 패턴을 보호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커버층 필름으로 보호되는 부분의 일부에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상기 배선 패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의 더미 패턴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부분을 제외한 배선 패턴과 상기 더미 패턴의 전부가 상기 커버층 필름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 필름이,
    상기 절연성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기재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이 상기 배선 패턴과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이 상기 배선 패턴과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
KR1020060025144A 2005-03-22 2006-03-20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KR100819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1582 2005-03-22
JP2005081582A JP2006269496A (ja) 2005-03-22 2005-03-22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基板、および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79A KR20060102279A (ko) 2006-09-27
KR100819195B1 true KR100819195B1 (ko) 2008-04-07

Family

ID=3701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144A KR100819195B1 (ko) 2005-03-22 2006-03-20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13684A1 (ko)
JP (1) JP2006269496A (ko)
KR (1) KR100819195B1 (ko)
CN (1) CN1838859A (ko)
TW (1) TWI3155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5460B2 (ja) * 2004-12-16 2010-06-2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4326014B2 (ja) * 2006-12-15 2009-09-02 株式会社伸光製作所 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8227179A (ja) 2007-03-13 2008-09-25 Toshiba Mach Co Ltd プリント基板
KR100862870B1 (ko) * 2007-05-10 2008-10-09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394499B (zh) * 2008-05-12 2013-04-21 Au Optronics Corp 可撓性電路板
JP5376653B2 (ja) * 2009-06-09 2013-12-25 株式会社フジクラ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1189B2 (ja) * 2009-07-10 2012-10-1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子回路装置
JP5325684B2 (ja) * 2009-07-15 2013-10-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1457939B1 (ko) * 2009-11-02 2014-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탭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102281705A (zh) * 2011-05-31 2011-12-14 昆山元崧电子科技有限公司 Fpc电镀制程底部结构
US9035872B2 (en) * 2012-06-08 2015-05-19 Apple Inc.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etween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US9326576B2 (en) 2012-08-08 2016-05-03 Apple Inc.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3402303A (zh) * 2013-07-23 2013-11-20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线路板及其制作方法
US9474345B2 (en) 2013-08-13 2016-10-25 Apple Inc. Magnetic related features of a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4319240B (zh) 2014-10-27 2017-06-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基板贴附方法
JP6014792B1 (ja) * 2015-06-24 2016-10-25 株式会社メイコー 立体配線基板の製造方法、立体配線基板、立体配線基板用基材
WO2017038849A1 (ja) * 2015-09-04 2017-03-09 国立研究開発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コネクタ基板、センサーシステム及びウェアラブルなセンサーシステム
KR20210064212A (ko) * 2018-09-25 2021-06-02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접합체, 압력 센서 및 질량 유량 제어 장치
CN114466508B (zh) * 2022-02-17 2023-08-04 北京宽叶智能科技有限公司 可拉伸电路结构及生产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4512A (ja) * 1995-08-25 1997-03-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1284747A (ja) 2000-04-04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板
KR20020029648A (ko) * 2000-10-13 2002-04-19 마찌다 가쯔히꼬 칩 온 필름용 테이프와 이것을 이용하는 반도체
KR20030017392A (ko) * 2001-08-22 2003-03-03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장착용 기판
JP2003282650A (ja) 2002-03-27 2003-10-0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保護テープ
KR20050006298A (ko) * 2002-06-26 2005-01-15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Cof필름 캐리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8327B2 (ja) * 1991-02-15 1997-11-1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085788A3 (en) * 1999-09-14 2003-01-02 Seiko Epson Corporation Composite flexible wiring boar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173322B2 (en) * 2002-03-13 2007-02-0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COF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wiring board
JP3889700B2 (ja) * 2002-03-13 2007-03-0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Cof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
JP4485460B2 (ja) * 2004-12-16 2010-06-2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4512A (ja) * 1995-08-25 1997-03-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1284747A (ja) 2000-04-04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板
KR20020029648A (ko) * 2000-10-13 2002-04-19 마찌다 가쯔히꼬 칩 온 필름용 테이프와 이것을 이용하는 반도체
KR20030017392A (ko) * 2001-08-22 2003-03-03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장착용 기판
JP2003282650A (ja) 2002-03-27 2003-10-0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保護テープ
KR20050006298A (ko) * 2002-06-26 2005-01-15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Cof필름 캐리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8859A (zh) 2006-09-27
TWI315553B (en) 2009-10-01
US20060213684A1 (en) 2006-09-28
TW200642019A (en) 2006-12-01
KR20060102279A (ko) 2006-09-27
JP2006269496A (ja)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195B1 (ko)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US7281328B2 (en) Method of fabricating rigid-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995558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igid-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2916915B2 (ja) 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KR100776466B1 (ko)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WO2009110376A1 (ja) リードフレーム基板、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リードフレーム基板の製造方法
KR20090033004A (ko) 배선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4784456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3775329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保護テープ
JP4133756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接続方法
JP3555502B2 (ja) Cof用tabテープキャリアの製造方法
JP2006228902A (ja) 補強板付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5243899A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2927B2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3833084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
JP3444787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および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
JP482199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026636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335971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への電子部品の実装方法
CN112492777B (zh) 电路板及其制作方法
JP4080681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9978A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1061969A1 (ja) 部分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3269A (ja) プリント配線基板、半導体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329754A (ja) テープキャリア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