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708B1 -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708B1
KR100816708B1 KR1020060072838A KR20060072838A KR100816708B1 KR 100816708 B1 KR100816708 B1 KR 100816708B1 KR 1020060072838 A KR1020060072838 A KR 1020060072838A KR 20060072838 A KR20060072838 A KR 20060072838A KR 100816708 B1 KR100816708 B1 KR 100816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stination terminal
image data
output destination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321A (ko
Inventor
히데아키 스기모토
사토시 오코치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5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25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scan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原稿)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에 출력하는 푸시 스캔(push scan) 모드로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可否)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하는 화상 판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상 판독 장치, 푸시 스캔 모드, 네트워크 스캐너, 판단부, 화상 판독부

Description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REA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스캐너)를 배치하여 구성된 네트워크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출력처 설정 화면의 화면 레이아웃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어부(14)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인증 처리의 실패를 전달하는 통지 화면의 화면 레이아웃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스캐너(10)에서의 원고의 판독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스캐너(10)에서의 원고의 판독 동작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캐너 11 : 급지 트레이
11a : 자동 급지 피더(Feeder) 12 : 화상 판독부
13 : 판독 버퍼 14 : 제어부
15 : 표시부 16 : 조작부
17 : 통신부 20 : 컴퓨터
21 : 기억부 30 : 네트워크 장치
40 : 네트워크 51 : 출력 가부 판단부
51a : 인증 처리부 51b : 패스(path) 확인부
52 : 화상 판독 제어부 53 : 이상 통지 처리부
54 : 전송 제어부
본 발명은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에 출력하는 푸시 스캔 모드로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한 경우에는, 원고 판독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한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기업, 관공처), 학교 등에서는 스캐너(화상 판독 장치) 등을 복수의 유저에 공용하여 이용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스캐너는 네트워크 스캐너 등으로 불리며,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원고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그런데, 이 종류의 네트워크 스캐너에서 원고의 판독을 행할 경우, 그 동작 모드에는 풀 스캔 모드와, 푸시 스캔 모드가 있으며, 풀 스캔 모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스캐너를 제어하여 원고의 판독을 행하게 되지만, 푸시 스캔 모드에서는 스캐너 상의 조작 패널로부터 스캐너를 조작하여 원고의 판독을 행하게 된다.
즉, 풀 스캔 모드에서는 컴퓨터측에서의 제어에 의해 스캐너가 동작하는 것에 대하여, 푸시 스캔 모드에서는 스캐너 본체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이 후자에 해당하는 푸시 스캔 모드로 원고의 판독을 행할 경우에는, 판독한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예를 들면,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등)를 미리 등록해 놓을 필요가 있고, 스캐너는 이 등록된 출력처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출력처가 컴퓨터이면, 해당 컴퓨터상의 기억 장치에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출력되어 보존되게 되지만, 출력처가 프린터이면, 프린터에서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인쇄가 행해진다. 또한,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내부에 구비한 스캐너이면, 출력처를 자(自)장치 내의 기억 장치로 해도 좋지만, 보통, 네트워크 스캐너에서는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나 프린터 등을 출력처로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 이 푸시 스캔 모드 시의 스캐너의 제어에 관한 기술로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11-127298호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11-127298호에서는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가 되는 컴퓨터 등을 네트워크상에서 검색하고, 그 상대편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시에, 거기에서 선택된 상대편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에 대해서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11-127298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특별한 서버 기능이 없어도 판독한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가 되는 컴퓨터나 프린터를 검색할 수 있지만, 실제로 그 출력처 단말에 대하여 문제없이 화상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을 것인가는 정해지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11-127298호의 기술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고 있을 뿐이므로, 그 출력처가 되는 단말에 실제로 로그인해서 화상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가까지는 체크되지 않고 있다.
종래, 스캐너에서는 판독한 화상 데이터 모두를 축적하고, 인증하고,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순서로 처리를 행하고 있었고, 이는 전송처의 컴퓨터측의 상황에 의존하지 않고 판독을 완료할 수 있는 이점은 있지만, 한편으로, 부정한 로그인 네임/패스워드, 및 컴퓨터의 다운 등의 이유로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그 이상(異常)이 통지되는 것이 원고의 판독 처리 완료 후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상이 발생했는데도 불구하고, 잡(job)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으로 유저가 착각하기 쉬워 오해를 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자동 급지 피더(ADF: Auto Documennt Feeder)를 갖는 스캐너에서 전송처의 사정에 상관없이 연속하여 스캔한 경우에는, 자동 급지 피더가 동작함으로써 유저가 원고의 판독 동작을 시각적으로 파악해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오해를 더한층 하게 되어버리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푸시 스캔 모드에 의해 원고를 판독할 때,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한 경우에, 그 이상을 유저에 확실하게 파악시키도록 한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에 출력하는 푸시 스캔 모드로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하는 화상 판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에 출력하는 푸시 스캔 모드로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를 판단하여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를 배치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를 스캐너(10)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원고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는 스캐너(10)와, 스캐너(10)에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보존하는 컴퓨터(20)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이 스캐너(10)와 컴퓨터(20)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또한, 이 네트워크(40)상에는 프린터나, 팩스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각종 네트워크 장치(30)가 적절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컴퓨터(20)의 내부에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 기억부(21)가 설치되고, 이 기억부(21)에는 주로 스캐너(10)에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축적된다. 즉, 이 컴퓨터(20)는 스캐너(10)에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스토리지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스캐너(10)는 플래튼 글라스(platen glass) 위에 탑재 배치, 또는 플래튼 글라스 위에 반송되는 원고로부터 스캔 동작에 의해 도형이나 사진 또는 문자 등을 판독하여, 디지털 데이터(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스캐너(10)는 컴퓨터측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풀 스캔 모드와 스캐너 본체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푸시 스캔 모드를 갖고,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원고의 판독을 실행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스캐너(10)는 푸시 스캔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원고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에는 컴퓨터(20)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의 설정은, 예를 들면 스캐너(10) 본체에 설치된 조작 패널(표시부(15), 조작부(16))로부터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를 이용하여 출력처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는 스캐너(10)의 초기 설정으로서 이 도 2에 나타낸 출력처 설정 화면상에서 출력처 정보를 입력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처 단말의 IP 어드레스와, 그 보존 패스(path)를 입력하고 또한, 이 출력처 단말에 로그인할 때의 로그인 네임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그리고 설정의 완료를 의미하는 엔터 버튼(미도시)을 누름으로써 설정 내용이 반영되어, 설정이 종료하게 된다.
스캐너(10)에서는, 원고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기 전에, 이 출력처 설정 화면에서 설정된 출력처 단말(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20))에 액세스하여 미리 설정된 로그인 네임과 패스워드를 이용해서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인증 처리에 의해 로그인이 정상으로 행해지면, 미리 설정된 보존 패스가 해당 단말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존재할 경우에는 원고의 판독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컴퓨터(20)의 소정의 폴더 등에 출력된다.
여기에서, 스캐너(10)의 기능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캐너(10)는 그 구성으로서, 스캔 대상의 원고가 세팅되는 급지 트레이(11)와, 조명 램프, 렌즈,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으로 구성되고 급지 트레이(11)에 세팅된 원고에 대하여 스캔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라인 단위로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12)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판독 버퍼(13)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 각종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으로 구성되고 스캐너(10)를 통괄 제어하는 제어부(14)와,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용 디바이스인 표시부(15) 와, 터치 패널이나 조작 버튼 등의 입력용 디바이스인 조작부(16)와, 네트워크 카드 등으로 구성되고 스캐너(10)와 타 장치(컴퓨터(20) 등)와의 통신 제어를 FTP(File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이나 SMB(Server Message Block)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통신부(1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급지 트레이(11)에는 자동 급지 피더(11a)가 설치되어 복수 매의 원고가 세팅된 경우에도, 이 자동 급지 피더(11a)가 그 원고를 1장씩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 글라스 위를 경유하여 도시하지 않은 배지(排紙) 트레이로 반송한다.
화상 판독부(12)는 자동 급지 피더(11a)에 의해 플래튼 글라스 위에 반송되는 원고에 대하여 스캔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급지 트레이(11)에 세팅된 원고를 연속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을 이용하여 제어부(14)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4)는 각종 처리 기능부로서, 출력 가부 판단부(51), 화상 판독 제어부(52), 이상 통지 처리부(53), 전송 제어부(5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출력 가부 판단부(51)는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고, 인증 처리부(51a)와, 패스 확인부(51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인증 처리부(51a)는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로그인 네임,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고, 출력처 단말에 로그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패스 확인부(51b)는 미리 설정된 보존 패스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증 처리부(51a)에서 로그인한 출력처 단말 내에, 보존 패스에 설정된 영역(예를 들면, 드라이브, 폴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패스 확인부(51b)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보존 패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보존 패스에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이 보존 패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확인에 더하여, 또한 해당 보존 패스에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허가되어 있는지 여부의 (액세스권) 판단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출력 가부 판단부(51)에서는 이 인증 처리부(51a)에 의한 인증 결과와, 패스 확인부(51b)에 의한 보존 패스의 확인 결과에 의거하여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화상 판독 제어부(52)는 자동 급지 피더(11a) 및 화상 판독부(12)의 동작 제어를 행하여 원고의 판독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전송 제어부(54)는 이 원고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통신부(17) 및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에 전송(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화상 판독 제어부(52)에서는 출력 가부 판단부(51)에 있어서,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원고의 판독 처리의 동작 제어를 개시한다. 이는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 것이 판명되기 시작하여 원고의 판독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출력이 불 가한 경우에는 원고의 판독 동작이 개시되지 않음(중지됨)으로써 유저가 이상을 알기 쉽게 되고,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한 경우의 이상을 유저에게 확실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이상 통지 처리부(53)는 표시부(15)에 이상의 취지를 표시하고, 유저에게 이상을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때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알람 등을 명동(鳴動)시켜도 좋다. 이 이상 통지 처리부(53)에서는 특히, 출력 가부 판단부(51)에서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이상의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예를 들면, 인증 처리가 실패한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팝업(popup)을 기동시켜, 인증이 실패한 취지와, 인증 실패에 의해 원고의 판독(판독 잡)을 중지한 취지를 표시한다. 이상이 제어부(14)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각 기능 블록의 설명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스캐너(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원고의 판독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출력처 단말(컴퓨터(20))에의 출력이 정상으로 행해지는 경우(정상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에 의해 스캔 대상의 원고가 세팅되어 시작 버튼이 눌러지면(스텝 S101), 스캐너(10)는 우선, 출력처 단말이 되는 컴퓨터(20)에 인증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2).
그리고, 인증이 정상으로 행해져 컴퓨터(20)에의 로그인이 성공하면, 다음으로 보존 패스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미리 설정된 보존 패스가 존재하 는지 여부 판단을 행한다(스텝 S103).
다음으로, 보존 패스가 존재하여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판독 잡이 개시되어 원고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판독이 행해진다(스텝 S104). 그리고 이 판독이 완료된 후, 컴퓨터(20)에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고(스텝 S105), 컴퓨터(20)에서는 이를 보존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은 원고의 판독 동작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자동 급지 피더(11a)를 사용하여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에 의해 복수 매의 원고가 급지 트레이(11)에 세팅되어(스텝 S201), 화상 편집 파라미터의 설정이 행해지고(스텝 S202), 시작 버튼이 눌러지면(스텝 S203), 이 처리는 개시된다.
이 처리가 개시되면, 스캐너(10)는 출력 가부 판단부(51)에서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처리에서는 우선, 인증 처리부(51a)에서 출력처 단말에의 인증이 행해진다(스텝 S204).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등록된 로그인 네임과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출력처 단말에의 로그인을 시도한다.
여기에서, 인증 정보가 부정 또는 컴퓨터가 다운되어 있던 등의 이유에 의해 인증 처리가 실패한 경우에는(스텝 S205에서 NO), 판독 잡의 실행을 중지하는 동시에(스텝 S209), 이상 통지 처리부(53)에 의해 이상의 취지를 표시부(15)에 표시하는 등 하여 유저에게 이상을 통지하고(스텝 S210), 이 처리를 종료하는 한편, 인증 처리가 정상으로 행해져 출력처 단말에의 로그인이 성공한 경우에는(스텝 S205에서 YES), 다음으로 패스 확인부(51b)에서 보존 패스가 유효한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등록된 보존 패스에 액세스하여 해당 보존 패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보존 패스가 유효한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게 된다.
이 결과, 보존처의 폴더 등이 존재하지 않고 보존 패스가 무효라고 판단된 경우에는(스텝 S206에서 NO), 판독 잡의 실행을 중지하는 동시에(스텝 S209), 이상 통지 처리부(53)에 의해 이상의 취지를 표시부(15)에 표시하는 등 하여 유저에게 이상을 통지하고(스텝 S210), 이 처리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보존처의 폴더 등이 존재하고, 보존처 패스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스텝 S206에서 YES), 이를 받은 화상 판독 제어부(52)가 자동 급지 피더(11a) 및 화상 판독부(12)의 동작 제어를 개시하여 원고의 판독이 개시된다(스텝 S207).
그리고 원고의 판독이 종료하면, 전송 제어부(54)는 이 원고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통신부(17) 및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로 전송하고(스텝 S208), 이 전송이 종료한 후, 이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푸시 스캔 모드에 의해 원고를 판독할 때,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의해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원고의 판독 동작이 중지함으로써 유저가 이상을 알기 쉽게 되고,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한 경우의 이상을 유저에게 확실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인증 등의 실패에 의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이상이 전해지는 것이 원고의 판독 처리 완료 후였기 때문에, 잡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으로 유저가 착각하기 쉬워 오해를 했었지만, 이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에 출력하는 푸시 스캔 모드로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하는 화상 판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 로그인하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에 의한 인증 처리가 정상으로 행해진 경우에, 해당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처 단말에 액세스하여 미리 설정된 보존 패스에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스 확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스 확인부에 의해 상기 보존 패스에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원고의 판독 개시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처 단말에 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이상의 취지를 통지하는 이상 통지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은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한 출력처 단말에 출력하는 푸시 스캔 모드로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를 판단하여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 후에, 원고의 판독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 판단 처리와, 원고의 판독 동작을 병행하여 행하여, 출력 불가라고 판단된 시점에서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이상을 유저에게 확실하게 파악시킨다고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스루풋(throughput)의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출력처 단말(컴퓨터(20))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만, 네트워크상의 단말에의 인증 처리를 일괄 관리하는 인증 서버가 설치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 인증 서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출력처 단말이 컴퓨터(20)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일반적인 네트워크 스캐너의 출력처 단말이 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치이면 특히 무엇이든지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증 및 보존 패스의 확인 처리를 행함으로써 출력처 단말에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어느 한쪽의 처리만을 실행하여 출력 가부의 판단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는 출력처가 되는 단말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를 스캐너(10)에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화상 판독 기능을 갖는 복사기, 복합기 등의 화상 판독 장치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스캔 동작에 의해 정보(예를 들면, 문서, 사진, 도면 등)를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판독 장치전반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출력처 단말에의 출력이 불가함에도 불구하고 원고의 판독 동작이 완료함으로써 잡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으로 유저에게 오해를 하게 했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 사항은 도면과 명세서를 위해 제공되었다. 이는 본 발명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명백하게 많은 개량, 변형이 그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과 실재 출원의 원리를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변형예나 실시예로서 다른 기술 분야가 특별히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과 그 동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명세서, 청구 범위,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하는, 2005. 11. 25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5-340564호의 전체 명세서는 본원에 참고로 반영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푸시 스캔 모드에 의해 원고를 판독할 때,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인 경우에, 그 이상을 유저에 확실하게 파악시키도록 한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원고(原稿)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에 출력하는 푸시 스캔(push scan) 모드로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可否)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하는 화상 판독부
    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처 단말에 액세스하여,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 로그인하는 인증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증 처리부에 의한 인증 처리가 정상으로 행해진 경우에,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인증 처리부에서 로그인한 상기 출력처 단말에 액세스하여, 미리 설정된 보존 패스에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스 확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스 확인부에 의해 상기 보존 패스에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원고의 판독 개시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원고의 판독 개시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가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이상(異常)의 취지를 통지하는 이상 통지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0. 원고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력처 단말에 출력하는 푸시 스캔 모드로 원고의 판독 처리를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처 단말에 액세스하여,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처 단말에 로그인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인증 처리가 정상으로 행해진 경우에,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출력처 단말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화상 판독부에 의한 원고의 판독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60072838A 2005-11-25 2006-08-02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16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0564 2005-11-25
JP2005340564A JP2007150567A (ja) 2005-11-25 2005-11-25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21A KR20070055321A (ko) 2007-05-30
KR100816708B1 true KR100816708B1 (ko) 2008-03-27

Family

ID=3808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838A KR100816708B1 (ko) 2005-11-25 2006-08-02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00241B2 (ko)
JP (1) JP2007150567A (ko)
KR (1) KR100816708B1 (ko)
CN (1) CN10054220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4433B2 (ja) * 2008-11-18 201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5365911B2 (ja) * 2009-03-19 2013-12-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システム
JP4962586B2 (ja) 2009-03-30 2012-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プログラム
JP5377039B2 (ja) * 2009-04-08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98134B2 (ja) * 2009-11-25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648050B (zh) * 2013-12-23 2017-01-11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在智能电视中连接远程存储设备的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111A (ja) * 1997-10-09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ナシステム
US6115739A (en) 1995-07-25 2000-09-05 Fujitsu Limited Image scanner adapted for direct connection to client/server type network
JP2004120003A (ja) * 2002-09-20 2004-04-15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9364A (ja) * 1987-10-13 1989-04-18 Minolta Camera Co Ltd 複合複写システム
JPH0619847A (ja) * 1992-07-01 1994-01-28 Nec Corp パス確認方式
JP2938715B2 (ja) * 1993-06-04 1999-08-25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5513126A (en) * 1993-10-04 1996-04-30 Xerox Corporation Network having selectively accessible recipient prioritized communication channel profiles
JPH08139900A (ja) * 1994-11-14 1996-05-31 Canon Inc 画像通信装置
US6069706A (en) * 1995-07-31 2000-05-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tilizing the same
JPH1070629A (ja) * 1996-08-27 1998-03-10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086360B2 (ja) * 1997-04-24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システム
JPH11146109A (ja) * 1997-09-04 1999-05-28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
JP3675624B2 (ja) * 1997-10-20 2005-07-27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ナ
US6469797B2 (en) * 1998-04-06 2002-10-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00092121A (ja) * 1998-09-10 2000-03-31 Brother Ind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034451B2 (ja) * 1998-12-07 2008-01-16 株式会社東芝 文書入力システム、及び文書入力方法
US6167462A (en) * 1998-12-11 2000-12-26 Hewlett-Packard Company Remote scanning through a computer system network
JP3814096B2 (ja) * 1999-04-06 2006-08-23 株式会社リコー プッシュ型サー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または画像読取装置が接続されたコンピュータをプッシュ型サーバ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525842B2 (ja) * 2000-02-01 2004-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ナ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454767B2 (ja) * 2000-03-13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3492332B2 (ja) * 2000-06-13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掲示板機能を有する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2359718A (ja) * 2001-03-02 2002-12-1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4165796B2 (ja) * 2001-08-15 2008-10-15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クライアント、データダウンロード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30048303A1 (en) * 2001-08-31 2003-03-13 Mesa Christopher A. Destination direction for push scanning to at least one of multiple destinations
JP4235411B2 (ja) * 2001-09-11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登録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261783B2 (ja) * 2001-09-11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登録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3740472B2 (ja) * 2002-03-12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印刷ジョブ制御システム、印刷データ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3348278A (ja) * 2002-05-24 2003-12-05 Canon Inc 画像入力方法及び画像入力装置
JP4016747B2 (ja) * 2002-07-08 2007-12-0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4104671A (ja) * 2002-09-12 2004-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4172760A (ja) * 2002-11-18 2004-06-17 Murata Mach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4019942B2 (ja) * 2003-01-06 2007-1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データ送信システム、画像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39187B2 (ja) * 2003-02-10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4128477B2 (ja) * 2003-03-28 2008-07-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U2003903369A0 (en) * 2003-07-02 2003-07-17 Canon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 peripheral for initiating a workflow process and providing status feedback of the same
JP3757968B2 (ja) * 2003-09-18 2006-03-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スキャナ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JP2005167357A (ja) * 2003-11-28 2005-06-23 Murata Mach Ltd 画像読取装置
JP2005192022A (ja) * 2003-12-26 2005-07-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3829847B2 (ja) * 2004-01-08 2006-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キャンデータ送信装置及びスキャンデータ送信システム
JP3829849B2 (ja) * 2004-01-20 2006-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キャンデータ送信装置及びスキャンデータ送信システム
JP4247138B2 (ja) * 2004-02-25 2009-04-02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複合機
JP2005300605A (ja) * 2004-04-06 2005-10-2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579835B1 (ko) * 2004-04-16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구동 제어방법
US7557941B2 (en) * 2004-05-27 2009-07-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Use of variant and base keys with three or more entities
US20050286080A1 (en) * 2004-06-29 200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document
JP2006065806A (ja) * 2004-08-30 2006-03-09 Canon Inc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717396B2 (ja) * 2004-08-30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並びに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
JP3952064B2 (ja) * 2005-04-13 2007-08-0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60256392A1 (en) * 2005-05-13 2006-11-16 Microsoft Corporation Scanning systems and methods
JP2006339904A (ja) * 2005-05-31 2006-12-14 Brother Ind Ltd 画像読取システム、画像読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5739A (en) 1995-07-25 2000-09-05 Fujitsu Limited Image scanner adapted for direct connection to client/server type network
JPH11120111A (ja) * 1997-10-09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ナシステム
JP2004120003A (ja) * 2002-09-20 2004-04-15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21A (ko) 2007-05-30
JP2007150567A (ja) 2007-06-14
US20070121148A1 (en) 2007-05-31
CN1972351A (zh) 2007-05-30
US8300241B2 (en) 2012-10-30
CN100542202C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228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soci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737271B2 (ja) 画像読取装置
US20070061150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US1007559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file server function,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KR100816708B1 (ko) 화상 판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639761B2 (en) Data processing system suit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mong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connected to network,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product
US108198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10581932B (zh) 数据发送装置及其控制方法
JP597103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連携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US20220263969A1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135480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3095950B (zh) 操作装置、操作方法以及图像形成装置
JP2009027370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処理装置、画像読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04796A (ja) 画像形成装置、ログ記録方法
JP4935871B2 (ja) 原稿画像データ化方法、原稿画像データ化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028372A (ja) 画像処理装置
US88731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mage forming system
JP5097647B2 (ja) 電子機器
US118437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structs fax apparatus on a chat service channel to transmit image data to a destination,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US10999469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55975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12902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185695A (ja) 画像読取装置
JP2010055286A (ja) 電子機器及びエラー管理システム
KR20050017262A (ko) 팩시밀리 장치의 문서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