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179B1 - PDE 2 억제제로서 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 Google Patents

PDE 2 억제제로서 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179B1
KR100816179B1 KR1020067011800A KR20067011800A KR100816179B1 KR 100816179 B1 KR100816179 B1 KR 100816179B1 KR 1020067011800 A KR1020067011800 A KR 1020067011800A KR 20067011800 A KR20067011800 A KR 20067011800A KR 100816179 B1 KR100816179 B1 KR 10081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phenyl
benzyl
methyl
ace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776A (ko
Inventor
토마스 아써 베이어
로버트 제임스 챔버스
켈빈 람
메이 리
앤드류 이안 모렐
데이비드 듀안 톰슨
Original Assignee
화이자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자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화이자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0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6Antiarrhyth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ndocrin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및 이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약학 조성물; 이의 조합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6041885028-pct00084
상기 식에서,
n, X 및 Y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PDE 2 억제제로서 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PYRIDO[2,3-D]PYRIMIDINE-2,4-DIAMINES AS PDE 2 INHIBITORS}
본 발명은 PDE 2 억제제로서 유용한 특정의 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이의 약학 제제; 이의 조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포스포다이에스터라제(PDE)계 효소는 가수분해적 조절을 통하여 2차 메신저 cAMP 또는 cGMP의 세포내 수준을 조절한다. 포스포다이에스터라제 유형 II(PDE 2)는 cGMP에 대한 낮은 친화도 촉매성 도메인 및 특정한 알로스테릭(allosteric) 도메인을 갖는다. 낮은 친화도 촉매성 부위는 cAMP에 비해 cGMP에 대해 보다 낮은 겉보기 KM을 사용하여 cAMP 및 cGMP 모두를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그러나, cGMP가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될 때 촉매성 부위는 cAMP에 대해 높은 친화도를 나타내는 형태 변화를 겪게 된다. PDE 2는 두뇌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이지만, 많은 기타 조직에서도 발견되기도 하므로, 광범위한 다수의 기능 및 잠재적 치료학적 유용성을 갖는다(문헌[J. A. Beavo, et. al., Rev. Physio. Biochem. Pharm., 135, 67 (1999)]). PDE 2 기능 및 치료적 효능의 예는 신경발달, 학습 및 기억(문헌[W. C. G. van Staveren, et. al., Brain Res., 888, 275 (2001)] 및 문헌[J. O'Donnell, et. al., J. Pharm. Exp. Ther., 302, 249 (2002)]; 프로락틴 및 알도스테론 분비(문헌[M. O. Velardez, et. al., Eur. J. Endo., 143, 279 (2000)] 및 문헌[N. Gallo-Payet, et. al., Endo., 140, 3594 (1999)]); 뼈세포 분화, 성장 및 뼈 흡수(문헌[C. Allardt-Lamberg, et. al., Biochem. Pharm., 59, 1133 (2000)] 및 문헌[S. Wakabayashi, et. al., J. Bone. Miner. Res., 17, 249 (2002)]); 면역학적 반응(문헌[M. D. Houslay, et. al., Cell. Signal., 8, 97 (1996)]); 혈관 신생(문헌[T. Keravis, et. al., J. Vasc. Res., 37, 235 (2000)]); 염증성 세포 수송(문헌[S. L. Wolda, et. al., J. Histochem. Cytochem., 47, 895 (1999)]); 심장 수축(문헌[R. Fischmeister, et. al., J. Clin. Invest., 99, 2710 (1997)], 문헌[P. Donzeau-Gouge, et. al., J. Physio., 533, 329 (2001), 및 문헌[D. J. Paterson, et. al., Card. Res., 52, 446 (2001) ]); 혈소판 응집(문헌[R. J. Haslam, et. al., Biochem. J., 323, 371 (1997)]); 여성 성적흥분 장애(FSAD)(웨이만(C. P. Wayman) 등의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1 097 7707호 및 제1 0977 06호); 및 저산소폐혈관수축(문헌[J. Haynes, et. al., J. Pharm. Exp. Ther., 276, 752 (1996)])에서 볼 수 있다. EHNA(에리트로-9-(2-하이드록시-3-노닐)아데닌)인 유력한 아데노신 데아미나제 억제제가 PDE 2를 선택적으로 억제한다고 보고되었으나, PDE 2계 치료제로서의 EHNA의 용도는 PDE 2를 억제하는데 있어서의 낮은 효능 및 아데노신 데아미나제를 억제하는데 있어서의 높은 효능으로 인해 제한된다(문헌[R. Fischmeister, et. al., Mol. Pharm., 48, 121 (1995)]).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I의 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유도체가 PDE 2를 억제하고, 이에 따라 cAMP 또는 cGMP 세포내 신호 경로를 통해 매개되는 약리학적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미국 특허 제5,547,954호 및 제5,710,157호는 특정의 2,4-다이아미노-5,6-이치환된- 및 5,6,7-삼치환된-5-데아자프테리딘, 이의 조성,물 및 농작물에서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이의 용도를 개시하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및 이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약학 조성물; 이의 조합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1
상기 식에서,
n, X 및 Y는 하기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또는 이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수소 또는 메톡시이되, R1 및 R2가 둘다 수소이거나 둘다 메톡시는 아니고;
n은 1, 2, 3 또는 4이고;
X는 결합이거나, O, S, C=O, -N(R)-(여기서, R은 수소 또는 -(C1-C3)알킬임), -C(OH)- 또는 -S02이고;
Y는 벤족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퓨라자닐, 벤조퓨라닐, 벤조티아다이아졸릴, 벤즈아이속사졸릴, 벤즈아이소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피리딜, 아이사티닐, 옥신돌릴, 인다졸릴, 인돌릴, 페닐, 티에닐 또는 퓨라닐이고; Y는 1 내지 3개의 할로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톡시, -C(=O)CH3, 시아노, -C(CH3)20H, -CH(CH3)OH, -CH(CF3)OH, -C(C=O)CF3, -SO2NH2, -C(=O)OCH3, -CH2COOH,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3
, 티아졸릴 또는 옥사다이아졸릴로 독립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아군은 X가 결합이고; Y가 벤조퓨라자닐, 티에닐, 피리딜 또는 페닐(여기서, 페닐은 1 또는 2개의 할로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톡시, -C(=O)CH3, 시아노, -C(CH3)20H, -CH(CH3)OH, -CH(CF3)OH, -C(C=O)CF3, -SO2NH2, -C(=O)OCH3, -CH2COOH, 티아졸릴 또는 옥사다이아졸릴로 독립적으로 치환됨)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아군은 X가 결합이고; n이 2 또는 3이고; Y가 티에닐, 피리딜 또는 페닐(여기서, 페닐은 1 또는 2개의 메톡시, 할로겐, -C(CH3)20H, -CH(CH3)OH 또는 -C(C=O)CF3으로 독립적으로 치환됨)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환형 기는 한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또다른 기와 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결합 배열이 특정되지 않을 경우, 이는 모든 배열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리딜"이라는 용어는 2-, 3- 또는 4-피리딜을 포함하며, "티에닐"이란 용어는 2- 또는 3-티에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중간체는 IUPAC(International Union for Pure and Applied Chemistry) 또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Columbus, OH) 명명 체계에 따라 명명화될 수 있다.
다양한 탄화수소 함유 잔기의 탄소원자 함량은 잔기에서 탄소원자의 최소 및 최대수를 아래첨자로 기재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 즉 아래첨자 "-(Ca-Cb)알킬"은 정수 "a" 내지 "b"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잔기를 의미한다.
"알킬"이란 용어는 직쇄 또는 분지쇄 1가의 탄소원자 쇄를 의미한다. 알킬 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이란 용어는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의미한다.
"전구약물"이란 용어는 투여후 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과정을 통해(예를 들어 생리학적 pH에 이르렀을 경우 또는 효소 활성을 통해) 생체내에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 전구체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전구약물의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는 문헌[T. Higuchi and W. Stella,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Vol. 14 of the ACS Symposium Series, and in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ed. Edward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 논의되어 있다.
"포유동물"이란 용어는 예를 들어 개, 고양이, 소, 양, 말 및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포유동물은 성별에 상관없이 인간을 포함한다.
"염"이란 용어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무기 및 유기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은 그 자체로서 화합물의 마지막 단리 및 정제동안 제조되거나,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을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산 또는 염기와 각각 반응시키고 형성된 염을 단리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인 염은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니트레이트, 아세테이트, 옥살레이트, 베실레이트, 팔미티에이트, 스테아레이트, 라우레이트, 보레이트, 벤조에이트, 락테이트, 포스페이트, 토실레이트, 시트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나프틸레이트, 메실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락토바이오네이트 및 라우릴설포네이트 염 등을 포함한다. 염은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뿐만 아니라 비독성 암모늄, 4급 암모늄을 기재로 하는 양이온, 및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메틸아민, 다이메틸아민, 트라이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에틸아민 등을 비롯한 아민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는 예를 들어, 문헌[Berge, et al., J. Pharm. Sci., 66, 1-19 (1977)]을 참조한다.
"치환된"이란 용어는 분자내 수소원자가 상이한 원자 또는 분자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소원자를 대체하는 원자 또는 분자를 "치환기"로서 표시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 효과량"이란 용어는 기재된 생리학적 조건을 치료할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하다", "치료" 및 "치료하는"이란 용어는 예방적인(예를 들어 예방학적) 및 완화적인(예를 들어 치료 또는 치유적) 치료 또는 예방적이거나 완화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작용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비대칭성 또는 키랄 중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이한 입체이성질체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전구약물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미 혼합물을 비롯한 이들의 혼합물의 모든 입체입성질체 형태는 본 발명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기하학적 및 위치학적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이 이중 결합을 유입할 경우, 모든 시스- 및 트란스- 형태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은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방법, 예컨대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분별 결정화에 의해 이들의 물리적 화학적 상이성을 근거로 하여 이들의 개별적인 부분입체이성질체로 분리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적합한 선택적으로 활성 화합물(예를 들어, 알콜)과의 반응에 의해 거울상이성질체 혼합물을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 전환시키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리하고, 개별적인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상응하는 순수 거울상이성질체로 전환(예를 들어, 가수분해)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전구약물은 비용매화 형태 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예컨대 물, 에탄올 등과의 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용매화 및 비용매화 형태 모두를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전구약물은 평형상태의 호변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모든 이러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나, 사실상 하나 이상의 원자는 통상 천연에서 발견되는 원자량 또는 질량수와 상이한 원자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대체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 유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로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불소 및 염소, 예컨대 2H, 3H, 13C, 14C, 15N, 18O, 17O, 31P, 32P, 35S, 18F 및 36Cl 각각을 들 수 있다. 전술된 동위원소 및/또는 다른 원자의 다른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및 이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특정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 예컨대 3H 및 14C로 표지된 화합물)은 화합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산 분석에 유용하다. 삼중수소(즉, 3H) 및 탄소-14(즉, 14C) 동위원소는 이들의 제조 용이성 및 검색가능성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중 동위원소, 예컨대 이중수소(즉, 2H)를 사용하는 치환은 보다큰 대사 안정성(예를 들어, 증가된 생체내 반감기 또는 감소된 투여량 요구)으로부터 특정한 치료적 이점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몇몇 경우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기 반응식 및/또는 실시예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비동위원소 표지된 시약에 대해 동위원소 표지된 시약을 치환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 효과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전구약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전구약물, 또는 이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PDE 2-매개 증상, 질환 또는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가능한 바람직한 증상, 질환 또는 증후군은 골다공증, 폐 고혈압, 여성 성적흥분 장애, 손상된 기억 및 인지, 혈소판 응집, 혈관 신생, 치매, 암, 부정맥, 혈전증, 뼈 골절 및/또는 결손, 지연 또는 비치유된 골절, 척수 융합, 뼈 내증식, 두개안면 재건 또는 저산소증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증상은 뼈 골절 및/또는 결손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PDE 2 억제양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전구약물, 또는 이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전구약물, 또는 이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PDE 2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하루에 약 0.001 내지 약 200mg의 투여량으로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약 70kg의 체중을 갖는 정상적인 성인 남성에 있어서, 체중 1kg당 약 0.01 내지 약 100mg의 투여량이 전형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투여량 범위는 치료될 환자의 연령 및 체중, 투여경로, 투여될 특정한 화합물 등에 따라 일부 변화가 요구될 수 있다. 특정한 포유동물 대상에 대한 투여량 범위 및 적합한 투약은 본원의 기술내용의 이점을 갖는 당분야 숙련가의 재량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PDE 2 억제제, EP2 선택적 작용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골다공증, 폐 고혈압, 여성 성적흥분 장애, 손상된 기억 및 인지, 혈소판 응집, 혈관 신생, 치매, 암, 부정맥, 혈전증, 뼈 골절 및/또는 결손, 지연 또는 비치유된 골절, 척수 융합, 뼈 내증식, 두개안면 재건 또는 저산소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증상은 뼈 골절 및/또는 결손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 효과량의 PDE 2 억제제 또는 이의 전구약물, 또는 이들 억제제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뼈 골절 및/또는 결손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비롯한 임의의 PDE 2 억제제는 본원의 방법 및 조합에 사용될 수 있다. 공지된 PDE 2 억제제의 예로는 EHNA, 6-(3,4-다이메톡시-벤질)-1-[(1-하이드록시-에틸)-4-페닐-부틸]-3-메틸-1,5-다이하이드로-피라졸로[3,4-d]피리미딘-4-온(BAY-60-7550; 미국 특허 제6,174,884호), 및 9-(1-아세틸-4-페닐-부틸)-2-(3,4-다이메톡시-벤질)-1,9-다이하이드로푸린-6-온(미국 특허 제5,861,396호)을 포함한다. PDE 2 억제제의 추가의 예는 미국 특허 제5,861,396호; 제5,401,774호; 제6,458,796호; 및 제6,555,547호; 및 PCT 국제 출원 공개 제98/32755호에 개시되어 있다.
임의의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는 본 발명의 조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지정된 미국 특허 제6,498,172호에 개시된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의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부류는 하기 화학식 AA의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4
상기 식에서,
G, A, B, K, Q 및 Z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화학식 AA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및 이 화합물 및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3-(((피리딘-3-설포닐)-(4-피리미딘-5-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5-페닐-퓨란-2-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미딘-2-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피라진-2-일-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사이클로헥실-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2-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3-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4-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5-(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3-(((2,3-다이하이드로-벤조[1,4]다이옥신-6-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및
(3-((벤조퓨란-2-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벤젠설포닐-(4-부틸-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부틸-벤질)-(1-메틸-1H-이미다졸-4-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및
(3-(((4-다이메틸아미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다이메틸아미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및
(3-(((4-t-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트란스-(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AA의 화합물은 (3-(((4-t-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이의 전구약물 또는 이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염은 나트륨 염이다.
본 발명의 조합 양태에서 유용한 또다른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부류의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는 통상적으로 지정된 미국 특허 제6,288,120호에 개시된 하기 화학식 BB의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5
상기 식에서,
A, B, K, M, Q 및 Z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화학식 BB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및 이 화합물 및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7-[(2'-하이드록시메틸-바이페닐-4-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3-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일)-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2'-클로로-바이페닐-4-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1-하이드록시-헥실)-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부틸-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5-(l-하이드록시-헥실)-티오펜-2-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3-{[(4-부틸-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7-{[3-(3-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3-(3,5-다이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5-(3-{[3-(3-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7-{[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5-(3-{[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N-[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N-[6-(1H-테트라졸-5-일)-헥실]-메탄설폰아마이드;
트란스-(4-{[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부톡시)-아세트산;
트란스-N-[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N-[6-(1H-테트라졸일-5-일)-헥실]-메탄설폰아마이드;
트란스-5-(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트란스-[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BB의 화합물은 7-[(4-부틸-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 헵탄산, 이의 전구약물, 또는 이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염은 단일나트륨 염이다.
본 발명의 조합 양태에서 유용한 다른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는 미국 특허 제6,531,485호; 제6,376,533호; 제6,124,314호; 제5,877,211호; 제5,716,835호; 제5,698,598호; 및 제5,462,968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87961호; 문헌[N. Duckworth, et al., Journal of Endocrinology, 172 (2), 263-269 (2002)]; 문헌[K. Tani, et al., Synlett, 2, 239-242 (2002)]; 문헌[K. Tani,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0 (4), 1107-1114 (2002)]; 문헌[K. Tani,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0 (4), 1093-1106 (2002)]; 미첼렛(J. Michelet) 등의 유럽 특허 제1 175 891 A1호; 문헌[K. Tani,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1 (15), 2025-2028 (2001)]; 문헌[J. Y. Crider,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58 (1), 35-46 (2000)]; 문헌[J. Y. Crider, et al., Journal of Ocula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7 (1), 35-46 (2001)]; 문헌[D. F. Woodward, et al., Journal of Ocula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1 (3), 447-54 (1995)]; 문헌[A. T. Nials, et al., Cardiovascular Drug Reviews, 11 (2), 165-79 (1993)]; 및 문헌[D. F. Woodward, et al., Prostaglandins, 46 (4), 371-83 (1993)]에 개시된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작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합 양태에서,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는 하루에 약 0.001 내 지 약 200mg의 투여량으로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약 70kg의 체중을 갖는 정상적인 성인 남성에 있어서, 체중 1kg당 약 0.01 내지 약 50mg의 투여량이 전형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투여량 범위는 치료될 환자의 연령 및 체중, 투여경로, 투여될 특정한 화합물 등에 따라 일부 변화가 요구될 수 있다. 특정한 포유동물 대상에 대한 투여량 범위 및 적합한 투약은 본원의 기술내용의 이점을 갖는 당분야 숙련가의 재량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비경구 주사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멸균 수용액 또는 비수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및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액화되는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적합한 수성 및 비수성 담체, 부형제, 희석제의 예로는 물, 에탄올, 폴리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등),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식물성유(예컨대 올리브유) 및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터,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를 들 수 있다. 적당한 유동성이 예를 들어, 렉틴과 같은 코팅제의 사용에 의해, 분산액의 경우에는 요구되는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보조제, 예컨대 보존제, 습윤제, 유화제 및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미생물 오염 방지는 다양한 항박테리아제 및 항진균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등장제, 예를 들어, 당, 염화나트륨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주사가능한 약학적 조성물의 지연된 흡수는 지연된 흡수가 가능한 약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의 사용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투약 형태는 캡슐, 정제, 분말 및 과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체 투약 형태에서, 활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활성의 일반적인 약학적 부형제(또는 담체), 예컨대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인산이칼슘 또는 (a) 충진제 또는 증량제(예를 들어, 전분, 락토즈, 슈크로즈, 만니톨 및 실릭산); (b) 바인더(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바이닐피롤리돈, 슈크로즈 및 아카시아); (c) 습윤제(예를 들어, 글리세롤); (d) 붕해제(예를 들어, 아가-아가,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한 착체 규산염 및 탄산나트륨); (e) 용액 지연제(예를 들어, 파라핀); (f) 흡수 촉진제(예를 들어, 4급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예를 들어, 세틸 알콜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수제(예를 들어,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및/또는 (i) 윤활제(예를 들어, 활석,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와 혼합된다. 캡슐 및 정제의 경우, 투약 형태는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유형의 고체 조성물은 락토즈, 또는 우유당,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부형제를 사용하는 연질 또는 경질 충진 젤라틴 캡슐의 충진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고체 투약 형태, 예컨대 정제, 당의정, 캡슐 및 과립은 코팅제 및 쉘, 예컨대 장 코팅제 및 기타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것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활성 화합물이 지연, 지속 또는 조절된 방식으로 방출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엠베딩(embedding) 조성물의 예로는 중합성 물질 및 왁스이다. 활성 화합물은 또한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술된 부형제를 포함하는 미세캡슐 형태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투약 형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화액,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연금약액을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에 더하여, 액체 투약 형태는 당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활성 희석제, 예컨대 물 또는 기타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를 들어 에틸 알콜, 아이소프로필 알콜,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오일, 구체적으로,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배유, 올리브유, 카스터유, 참깨종유,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터 또는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 희석제 이외에, 약학 조성물은 보조제, 예컨대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제, 감미제, 방향제 및 향신제를 포함할 수 있다.
현탁액은 활성 화합물에 더하여 현탁제, 예를 들어, 에톡실화 아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터,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아가 및 트라가칸트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직장 또는 질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활성 화합물을 적합한 비염증성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상온에서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인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약용 왁스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좌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장 또는 질 강에서 용해되어 활성 성분을 방출한다.
국소 투여를 위한 투약 형태는 연고, 분말, 분무제 및 흡입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제는 멸균 조건하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및 임의의 보존제, 완충액 또는 요구될 수 있는 추진제와 혼합된다.
뼈 골절의 치료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비롯한 PDE 2 억제제 뿐만 아니라 PDE 2 억제제 및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의 조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조성물은 생분해성 고체 또는 겔 저장소, 매트릭스 또는 임플란트를 형성함으로써 주사 국소 부위에서 서방출성을 제공하는 주사가능한 유동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투여 시스템의 예로는 서방출성 생분해성 중합체계 전달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104031 A1호 참조.
이러한 중합체계 전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유기용매 중 유동성 생분해성 열가소성 중합체 용액 또는 분산액에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되는 치료적으로 유용한 약제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주사시 유기 용매는 주사 부위로부터 확산되어 중합체가 침전 또는 겔화되도록 하여 서방출 저장소에서 약제를 감싼다. 약제는 중합성 매트릭스로부터 및 중합성 매트릭스의 부식으로부터 확산에 의해 후속적으로 방출된다. 매트릭스는 가수분해에 의해 천천히 부식되고 마침내는 투여 부위로부터 사라진다. 중합체의 분자량 및 농도는 약제의 생체내 방출 뿐만 아니라 매트릭스의 분해율을 조절할 수 있다.
중합체계 전달 시스템은 활성제의 서방출이 요구되는 환자에서 최소 또는 감소된 급방출로 연장된 기간동안 생체내에서 활성제의 서방출성을 제공한다. 대량 급방출하는 약제는 국소적 효과로 인하여 불량한 국소적 내성(예를 들어 염증)을 유발하며, 효능을 얻을 수 있는 약제의 양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투여 방법은 초기 급방출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하며 단일 국소 주사시 연장된 기간동안 효과적인 수준으로 약제를 전달한다.
중합성 시스템은 유동성 조성물과 겔화 매질을 접촉시켜 조성물을 고체, 미세다공성 중합성 매트릭스 또는 겔 중합성 매트릭스로 응고 또는 겔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유동성 조성물은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적합한 용매와 혼합으로 함유한다. 매트릭스의 주요부를 형성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물 및 체액에서 실질적으로 불용성, 바람직하게 필수적으로 완전히 불용성이다. 매트릭스 주요부의 불용성은 약제의 조절된 방출에 대한 단일 부위로서 작용할 수 있다.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또한 동물, 예를 들어 포유동물의 체내에서 생적합성 및 생분해성 및/또는 생침식성이다. 생분해는 환자에게서 중합성 매트릭스의 대사 및 배출을 가능하게 하여 외과적 제거가 필요없도록 한다. 유동성 조성물 및 중합체 시스템은 생적합성이므로, 채내 중합체 시스템의 삽입 공정 및 존재는 임플란트 부위에서 조직 염증 또는 괴사를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동성 조성물로서 체내 조직에 직접 투여된다.
조절된 방출 시스템의 고체 매트릭스로 도입을 위한 적합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세포내 작용 및/또는 체액의 작용에 의해 약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분해성인 고체 이다. 적합한 열가소성 중합체의 예로는 다이올 및 다이카복실산의 폴리에스터 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폴리에스터, 예컨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및 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중합체는 공중합체,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PLGH로 약칭됨)을 포함하며, 이는 가수분해시 락트산 및 글리콜산을 생산한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급방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의 추가적 첨가에 의해 PEG 말단캡핑된 PLGH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최소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물질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합체는 우수한 생적합성을 나타내므로 부분적으로 중합체 시스템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이 설사 조직 염증, 염증, 괴사 또는 독성을 일으킨다해도 거의 없다. 물의 존재하에서 중합체는 각각 락트산 및 글리콜산을 생산하며, 이는 쉽게 대사된다. 폴리락타이드는 또한 유발되는 중합성 분해를 증가시키기 위해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또한 중합성 시스템으로부터 시약의 방출률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투여 부위의 부위에서 약제의 국소적 지체를 유발하므로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유기 용매에서 열가소성 중합체의 가용성 또는 혼화성은 결정성, 친화성, 수소 결합의 용량 및 중합체의 분자량과 같은 인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용매에서 중합체의 분자량 및 농도는 목적 혼화성 뿐만 아니라 도입된 약제에 대한 목적 방출률을 달성하도록 조절된다.
열가소성 중합체, 용매 및 약제의 유동성 조성물은 안정한 유동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유기 용매 중 약제의 균질한 용액이 생성된다. 열가소성 중 합체는 유기 용매에서 실질적으로 가용성이다. 체내에 유동성 조성물을 주입할 때 용매는 없어지고 중합체는 고화 또는 겔화되어 고체 또는 겔 중합성 매트릭스내 약제를 갖는 중합성 시스템을 형성한다.
특정한 바람직한 중합체에 있어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뼈 성장 촉진 화합물의 효과적인 서방출을 위해 약 0.2 내지 약 0.4 고유점도(I.V. 데시리터/g)의 범위로 조절된다. 도입된 약제의 전형적인 방출률은 약 0.2의 I.V.(약 8,000 내지 약 16,000 분자량) 또는 약 0.3의 I.V.(약 23,000 내지 약 45,000 분자량)에서 일어나지만, 조성물의 특정 성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최고의 시스템에 있어서, 약제의 효과적인 서방출을 위하여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0.2I.V.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DL-락타이드) 또는 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중합체 시스템에 있어서, 목적 분자량 범위는 약 0.2 내지 약 0.4I.V.이며, 약 0.2I.V.이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분자량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특히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하기의 것들을 포함한다: 약 0.2dl/g의 고유점도를 가지며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비율이 1:1인 PLGH 공중합체(베링거 잉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으로부터 코폴리머 RESOMER(등록상표) RG 502 H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약 12,000 분자량); 약 0.3dl/g의 고유점도를 가지며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비율이 1:1인 PLGH 공중합체(베링거 잉겔하임으로부터 코폴리머 RESOMER(등록상표) RG 503 H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약 37,000 분자량); 약 0.4dl/g의 고유점도를 가지며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비율이 1:1 인 PLGH 공중합체(베링거 잉겔하임으로부터 코폴리머 RESOMER(등록상표) RG 504 H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약 47,000 분자량); 및 약 0.79dl/g의 고유점도를 가지며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비율이 1:1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말단 캡핑된 PLGH 공중합체(베링거 잉겔하임으로부터 공중합체 PLG-PEG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약 52,000 분자량).
열가소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는 바람직하게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생적합성이고, 그 자체로서 체액에서 소진되어 물 중에서 높은 가용성으로부터 불용성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이 주사 및 임플란트 부위에서 설사 조직 염증 또는 괴사를 일으킨다해도 비교적 거의 유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용매는 최소 이상의 값의 물 가용도를 갖는다. 유기 용매가 수불용성이거나 물에서 최소로 용해될 경우, 용매는 유동성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천천히 분산된다. 결과물은 이의 수명 과정동안 잔류 용매의 다양한 양을 함유할 수 있는 임플란트일 것이다. 바람직하게, 유기 용매는 높은 물 가용성으로 조절되어 체액에서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쉽게 분산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용매는 고체 임플란트를 빨리 형성하도록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쉽게 분산된다. 용매의 분산과 동시에 열가소성 중합체의 고체 중합성 시스템으로의 응고 또는 겔화가 일어난다.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중합체가 응고됨으로써 용매 분산은 중합체 시스템내에 공극 형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결과로서, 열가소성 중합체, 용매 및 약제를 함유하는 유동성 조성물은 공극성 고체 중합체 시스템을 형성할 것이다. 따라서, 용매가 약간 수용성이거나 또는 수불용성일 때, 용매 분산은 고체 공극성 임플란트의 형성을 유발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용매가 임플란트에 남을 경우, 공극이 거의 없거나 존재하지 않는 겔 임플란트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전술된 기준을 충족시키는 액체 유기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NMP)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 유동성 조성물에 대한 용매는 중합체 및 용매의 적합성 및 적합한 가용도를 위해 선택된다. 저분자량 열가소성 중합체는 정상적으로 용매에서 고분자량 중합체보다 쉽게 용해될 것이다. 그 결과, 다양한 용매에 용해된 열가소성 중합체의 농도는 중합체 유형 및 이의 분자량에 따라 상이하다. 결과적으로, 고분자량 열가소성 중합체는 초저분자량 열가소성 중합체보다 빨리 응고, 겔화 또는 고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고분자량 중합체는 저분자량 물질보다 높은 용액 점도를 수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한 주사 효능에 있어서, 유리한 방출률 이외에 용매 중 중합체의 분자량 및 농도가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
유동성 조성물로부터 중합체 시스템의 형성시 약제는 중합성 매트릭스로 도입된다. 중합성 시스템을 형성하는 유동성 조성물의 도입 후, 약제는 확산 및 분해 기작에 의해 매트릭스로부터 인접 조직 또는 체액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기작의 조작은 또한 조절된 비율에서 약제의 주변으로의 방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성 매트릭스는 약제의 효과적이고/거나 실질적인 양이 매트릭스로부터 방출된 후 분해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로부터 약제의 방출은 예를 들어, 기타 인자 중 물 중 약제의 가용도, 매트릭스내 뼈 성장 촉진 화합물의 분포도 또는 중합체 매트릭스의 크기, 형태, 다공도, 가용도 및 생분해도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매트릭스로부터 약제의 방출은 중합체 분자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본래 비율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절되어 목적 기간 및 방출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약제의 바람직한 투약 형태는 투여전 NMP에서 PLGH의 용액으로 재용해되는 동결건조형을 포함한다. 제 1의 주사기(주사기 A)에서 동결건조된 화합물 및 제 2의 주사기(주사기 B)에서 NMP 중 PLGH 용액으로 이루어진 투약 형태는 A/B 재용해 시스템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주사기의 내용물은 부위 또는 근접 부위에 투여 전달되기 바로직전에 함께 혼합된다. 재용해 후, 내용물은 전달을 위해 눈금이 새겨진 투약 주사기로 옮겨진다. 투여된 투약 형태는 용액일 수 있고, 목적 농도, 예를 들어 5 및 50mgA/ml(mgA/ml는 약제의 나트륨 염 형태의 유리산 등량을 의미함)의 농도에서 NMP 중 PLGH를 갖는 화합물의 분산을 초래한다. 투약 형태는 국소적 투여를 위한 비경구(예를 들어, 피하, 근육내 또는 수질내) 서방성 주사이다. 서방출성 중합체 매트릭스(적소 주사) 중 이러한 화합물은 부위 또는 근접 부위에 투여되도록 고안되고 정맥내 투여는 의도하지 않는다. 투약 형태에 대한 적합한 저장 수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주사기 시스템(A/B)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화합물의 나트륨 염 형태를 사용한다. 단일상 제형, 바람직하게 화합물의 유리산 형태를 갖는 단일상 제형이 바람직한 택일적 제형이다. 약제 및 중합체 안정성을 기준으로 하여, 약제의 멸균 여과 및 중합체 용액의 조사가 안정한 멸균 산물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투약 형태는 하나의 파우치에서 약제의 동결건조 형태 및 다른 파우치에서 중합체 용액으로 충진된 주사기를 함유하는 별개의 알루미늄 파우치로서 제조되고 수송될 수 있다. 뼈 성장 촉진 화합물의 동결건조를 위한 전달 용기, 시스템 및 방법은 PCT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01/733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투여 방법은 특정 부위에 주사를 통한 국소적 투여 또는 부위의 카테터에 의한 전달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는 2001년 11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335,156호에서 찾을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모든 미국 특허에서의 교시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원에서 참고로서 인용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전구약물, 및 이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에 개시된 예시적인 합성 경로에 따라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공지된 기타 통상적인 유기 제조방법 또는 본원의 개시내용에 비추어 명료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원의 반응식에 개시된 방법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일 뿐 어떠한 방법으로도 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6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1에서, 삼치환된 아민 염기, 예컨대 트라이에틸아민(TEA) 또는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또는 방향족 염기, 예컨대 피리딘의 존재하에 2,4-다이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IV)을 적합하게 치환된 벤질아민(V)과 반응시킨다. 이 반응은 전형적으로 약 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극성 알콜성 용매, 예컨대 메탄올(MeOH), 에탄올(EtOH) 또는 아이소프로판올(IPA) 중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이 반응은 약 실온에서 에탄올 중 DIPEA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이어서, 단계 2에서, 생성된 축합 산물(VI)을 삼치환된 아민 염기, 예컨대 TEA 또는 DIPEA 또는 방향족 염기, 예컨대 피리딘의 존재하에서 적절하게 치환된 아민(VII)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약 60 내지 약 250℃의 승온에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예컨대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N-메틸피롤리딘온 또는 설폴란 중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반응은 약 90 내지 약 120℃에서 DMAO 중 DIPEA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반응식 1을 중간체(IV)를 단리시키고, 이어서 아민(VII)과 반응시키는, 구분되는 두단계 공정으로서 도시하였지만, 단일 단계에서 그 자체로서 제조되고 아민(VII)과 반응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공정에서, 비양성자성 용매, 바람직하게 DMSO가 사용된다. 이러한 반응은 또한 약 90 내지 약 120℃의 온도에서 DMSO 중 DIPEA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예비 실험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사용되는 모든 시약은 상업적으로 입수하였다. 달 리 지적되지 않는 한, 하기 실험적인 약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AcOH - 아세트산
dec - 분해
DMAP -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EtOAc - 에틸 아세테이트
LAH -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MS - 질량 분광계
NMR - 핵자기 공명
THF - 테트라하이드로퓨란
p-TsOH - p-톨루엔설폰산
제조예 1: (2-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4-일)-(3,5-다이메톡시-벤질)-아민
실온에서 30ml의 EtOH 중 2,4-다이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1.3g, 6.7mmol) 및 3,5-다이메톡시벤질아민(1.1g, 6.7mmol)의 교반된 용액에 TEA(4ml, 28.7mmol)를 첨가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차가운 EtOH로 세척하고 이어서 헥산으로 세척하여 1.8g의 표제 화합물(82%)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7
제조예 2: (2-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4-일)-(3,5-다이메톡시-벤질)-아민
적합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예 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8
제조예 3: 2-(4-아미노메틸-페닐)-프로판-2-올
0℃에서 30ml의 THF 중 4-(1-하이드록시-1-메틸-에틸)-벤조니트릴(2.0g, 12.4mmol)의 교반된 용액에 THF(26ml, 26.1mmol) 중 1.0N LAH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항온시키고, 이어서 20분동안 환류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5ml MeOH를 적가하여 급냉시켰다. 혼합물을 300ml 클로로포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1x80ml)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상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1.9g의 표제 화합물(95%)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09
제조예 4: 3-(4-아세틸-페닐)-프로피오니트릴
30ml의 DMSO 중 4-(2-브로모에틸)아세토페논(2.0g, 8.8mmol) 및 KCN(0.6g, 8.8mmol)의 혼합물을 75℃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건조 및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40%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0.8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0
제조예 5: 3-[4-(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피오니트릴
-40℃에서 10ml의 THF로 추가로 희석된, THF(3.3ml, 9.8mmol) 중 3M 메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의 교반된 용액에 10ml의 THF 중 3-(4-아세틸-페닐)-프로피오니트릴(0.7g, 3.9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밤새 천천히 항온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수성 AcOH를 적가하여 급냉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건조 및 농축하여 0.8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1
제조예 6: 2-[4-(3-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0℃에서 20ml의 THF로 추가로 희석된, THF 중 1M LAH의 교반 용액에 10ml THF 중 3-[4-(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피오니트릴(0.8g, 4.0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항온시키고 4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MeOH를 천천히 적가하여 급냉시켰다.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희석시키고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시키고, 이어서 농축된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건조 및 농축하여 0.5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2
제조예 7: 3-[4-(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1-프로피오니트릴
100ml 톨루엔 중 3-(4-아세틸-페닐)프로피오니트릴(2.2g, 13mmol), 에틸렌 글리콜(2.8ml, 51mmol), 및 촉매량의 p-TsOH(약 200mg)의 혼합물을 딘-스탁(Dean-Stark) 트랩을 통해 18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5% 이탄산나트륨 용액, 물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건조(MgS04) 및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EtOAc/헥산 용액으로 용출하여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2.5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3
제조예 8: 3-[4-(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프로필아민
30ml THF 중 3-[4-(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프로피오니트릴(2.4g, 11mmol)의 교반된 용액에 THF 중 1M LAH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항온시키고 1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MeOH를 천천히 적가하여 급냉시켰다.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물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MgS04상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2.4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4
제조예 9: 2,2,2-트라이플루오로-1-(4-요오도-페닐)-에탄올
20ml THF 중 4-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2.0g, 8.6mmol)의 교반된 용액에 THF(19ml, 9.5mmol) 중 0.5M 트라이메틸(트라이플루오로메틸)실란 용액을 적가하고, 이어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112mg, 0.4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0.1N 염산에 붓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번갈아 세척하고 건조(MgS04) 및 농축시켜 2.6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5
제조예 10: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
실온에서 20ml THF 중 2,2,2-트라이플루오로-1-(4-요오도-페닐)-에탄올(2.6g, 8.5mmol), N-프로파길프탈이미드(1.6g, 8.5mmol), 다이클로로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298mg, 0.43mmol) 및 요오드화구리(I)(82mg, 0.43mmol)의 교반된 현탁액에 5ml TEA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증기하에서 간단하게 탈산소화시킨 다음, 6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MgS04상 건조하고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EtOAc로 재용해시켜 2.2g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6
제조예 11: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
실온에서 파르 기구에서 150ml EtOH 및 150ml THF 중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2.2g, 6.1mmol) 및 10% Pd/C(220mg)의 혼합물을 2시간동안 50psi 수소하에서 흔들었다. 추가의 220mg의 10% Pd/C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의 2시간동안 50psi 수소하에서 흔들었다. 이어서, 추가의 220mg의 10% Pd/C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0psi 수소하에서 밤새 흔들었다.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8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7
제조예 12: 1-[4-(3-아미노-프로필)-페닐]-2,2,2-트라이플루오로-에탄올
실온에서 50ml MeOH 중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1.8g, 5.0mmol)의 교반 현탁액에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0.46ml, 15.0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동안 교 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오일을 클로로포름으로 재용해시키고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1.0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8
제조예 13: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폰산 벤조[l,2,5]옥사다이아졸-5-일 에스터
-78℃에서 40ml의 다이클로로메탄 중 5-하이드록시벤조퓨라잔(1.8g, 13.0mmol), TEA(2.4ml, 33.0mmol) 및 DMAP(79mg, 7.0mmol)의 교반 용액에 10 ml의 다이클로로메탄 중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2.8ml, 17.0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3시간에 걸쳐 천천히 항온시키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건조하고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1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19
제조예 14: 2-(벤조[1,2,5]옥사다이아졸-5-일-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예 10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0
제조예 15: 2-(3-벤조[1,2,5]옥사다이아졸-5-일-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예 1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1
제조예 16: 3-벤조[1,2,5]옥사다이아졸-5-일-프로필아민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예 12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2
제조예 17: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폰산 벤조티아졸-6-일 에스터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예 13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3
제조예 18: 2-(3-벤조티아졸-6-일-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
2,2,2-트라이플루오로-1-(4-요오도-페닐)-에탄올에 대해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폰산 벤조티아졸-6-일 에스터(제조예 17)를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0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4
제조예 19: 2-(3-벤조티아졸-6-일-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10)에 대해 2-(3-벤조티아졸-6-일-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18)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5
제조예 20: 3-벤조티아졸-6-일-프로필아민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에 대해 2-(3-벤조티아졸-6-일-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19)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2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6
제조예 21: 2-(3-요오도-페닐)-2-메틸-[1,3]다이옥솔란
50ml의 톨루엔 중 3-요오도아세토페논(3.0g, 12mmol), 에틸렌 글리콜(2.7ml, 48mmol), 및 p-톨루엔설폰산(30mg)의 혼합물을 딘-스탁 트랩하에서 18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5% 중탄산나트륨 용액,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MgS04상 건조하고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EtOAc/헥산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1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7
제조예 22: 2-{3-[3-(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
2,2,2-트라이플루오로-1-(4-요오도-페닐)-에탄올에 대해 2-(3-요오도-페닐)-2-메틸-[1,3]다이옥솔란(제조예 21)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0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8
제조예 23: 2-{3-[3-(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10)에 대해 2-{3-[3-(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22)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29
제조예 24: 3-[3-(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l-프로필아민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에 대해 2-{3-[3-(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23)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2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0
제조예 25: 2-(3-요오도-페닐)-프로판-2-올
0℃에서 100ml의 THF 중 메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65mmol)의 교반 용액에 3-요오도아세토페논(4.0g, 16.3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항온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키고 추가의 등량의 메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항온시키고 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결정성 AcOH로 산화시킨 다음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5%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농축시켰다.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방치시 고화되는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1
제조예 26: 2-{3-[3-(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
2,2,2-트라이플루오로-1-(4-요오도-페닐)-에탄올에 대해 2-(3-요오도-페닐)-프로판-2-올(제조예 25)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0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2
제조예 27: 2-{3-[3-(1-하이드록시-메틸-에틸)-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10)에 대해 2-{3-[3-(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26)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3
제조예 28: 2-[3-(3-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에 대해 2-{3-[3-(1-하이드록시-메틸-에틸)-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27)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2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4
제조예 29: 4-[3-(1,3-다이옥소-1,3-다이하이드로-아이소인돌-2-일)-프로프-1-인일]-벤조니트릴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예 10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5
제조예 30: 4-[3-(1,3-다이옥소-1,3-다이하이드로-아이소인돌-2-일)-프로필]-벤조 니트릴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프-2-인일}-아이소인돌-1,3-다이온(제조예 10)에 대해 4-[3-(1,3-다이옥소-1,3-다이하이드로-아이소인돌-2-일)-프로프-1-인일]-벤조니트릴(제조예 29)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6
제조예 31: 4-(3-아미노-프로필)-벤조니트릴
2-{3-[4-(2,2,2-트라이플루오로-1-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에 대해 4-[3-(1,3-다이옥소-1,3-다이하이드로-아이소인돌-2-일)-프로필]-벤조니트릴(제조예 30)을 치환함으로써 제조예 12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7
제조예 32: 2-클로로-3,4-다이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옥심
30ml의 MeOH 및 15ml의 물 중 2-클로로-3,4-다이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1.5g, 7.5mmol),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650mg, 9.4mmol) 및 아세트산나트륨(1.5g, 18.8mmol)의 혼합물을 65℃에서 18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MgS04상 건조 및 농축시켜 1.7g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8
제조예 33: 2-클로로-3,4-다이메톡시-벤질아민
0℃에서 40ml의 THF 중 제조예 32의 산물(1.7g, 7.8mmol)의 교반 용액에 THF(17ml, 17mmol) 중 1M LAH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항온시킨 다음, 2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MeOH를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물을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클로로로름으로 추출하였다. 생성된 유화액을 규조토로 여과시키고 여과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MgS04) 및 농축시켜 1.1g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39
제조예 34: 3-에톡시-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옥심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예 32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0
제조예 35: 3-에톡시-4-메톡시-벤질아민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예 33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1
제조예 36: 2-(3-피리딘-4-일-프로필)-아이소인돌-1,3-다이온
0℃에서 50ml의 THF 중 4-피리딘프로판올(2.0g, 14.5mmol), 프탈이미드(2.1g, 14.5mmol) 및 트라이페닐포스핀(4.9g, 15.2mmol)의 교반 용액에 다이에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2.5ml, 16.0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항온시킨 다음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1N 염산으로 희석하고 다이에틸 에터로 세척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6N 수산화나트륨으로 염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1N 수산화나트륨 및 물로 세척하고 MgS04상 건조 및 농축하여 1.8g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2
제조예 37: 3-피리딘-4-일-프로필아민
제조예 36의 표제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예 12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3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하기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피리딘-2-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1ml의 DMSO 중 제조예 1의 표제 화합물(174mg, 0.5mmol), 2-(2-아미노에틸)- 피리딘(386mg, 3.2mmol) 및 DIPEA(0.2ml, 1.1mmol)의 혼합물을 90℃에서 18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에 붓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04상 건조 및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EtOAc로 재용해시켜 83mg의 표제 화합물(4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4
하기 실시예 2 내지 5의 화합물을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피리딘-3-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5
실시예 3: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피리딘-4-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6
실시예 4: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피리딘-3-일메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7
실시예 5: N2-N4-비스-(3,5-다이메톡시-벤질)-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8
실시예 6: N4-(3,5-다이메톡시-벤질)-N2-[2-(4-메톡시-페닐)-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0.8ml의 DMSO 중 제조예 1의 표제 화합물(100mg, 0.5mmol), p-메톡시펜에틸아민(86㎕, 0.61mmol) 및 DIPEA(105㎕, 0.61mmol)의 혼합물을 90℃에서 18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용출액으로서 0.1% 수산화암모늄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의 단계적 구배를 사용하여 역상 예비 HPLC(시마주 코포레이션(Shimadzu Corp.); 일본 교토)상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조질 반응 화합물로부터 혼합물을 단리 및 정제하였다. 목적 산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농축한 다음, 잔류물을 IPA로부터 재결정하여 80mg의 표제 화합물(6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49
하기 실시예 7 내지 31의 화합물을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6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사용된 반응 및/정제 조건에 대한 특별한 언급은 배제하였다.
실시예 7: N4-(3,5-다이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 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0
실시예 8: N2-[2-(4-클로로-페닐)-에틸]-N4-(3,5-다이메톡시-벤질)-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1
실시예 9: N2-벤질-N4-(3,5-다이메톡시-벤질)-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2
실시예 10: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티오펜-2-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3
실시예 11: 2-(4-{[4-(3,5-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페닐)-프로판-2-올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4
실시예 12: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펜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 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5
실시예 13: N4-(3,5-다이메톡시-벤질)-N2-[2-(3,5-다이메톡시-페닐)-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6
실시예 14: N4-(3,4-다이메톡시-벤질)-N2-[2-(3-플루오로-페닐)-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7
실시예 15: N4-(3,4-다이메톡시-벤질)-N2-[2-(2-플루오로-페닐)-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8
실시예 16: N4-(3,4-다이메톡시-벤질)-N2-[2-(4-플루오로-페닐)-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59
실시예 17: N4-(3,4-다이메톡시-벤질)-N2-펜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 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0
실시예 18: N4-(3,4-다이메톡시-벤질)-N2-(4-페닐-부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1
실시예 19: N4-(3,4-다이메톡시-벤질)-N2-(2-페닐-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2
실시예 20: N4-(3,4-다이메톡시-벤질)-N2-(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3
실시예 21: 2-(4-{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조질 목적 산물을 함유하는 역상 예비 HPLC 분획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로부터 재결정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4
실시예 22: 2-(4-{3-[4-(3,5-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5
실시예 23: 1-(4-{[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페닐)-2,2,2-트라이플루오로-에탄올
조질 목적 산물을 함유하는 역상 예비 HPLC 분획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6
실시예 24: 1-(4-{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에탄온
조질 산물을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붓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30ml의 MeOH에 용해시키고 10ml의 1N의 염산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도안 교반하고 농축하고 5%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키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모으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실시예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역상 HPLC를 수행하여 조질 산물을 정제하였다. 목적 산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농축한 다음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로부터 재결정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7
실시예 25: 1-(4-{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2,2,2-트라이플루오로-에탄올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8
실시예 26: N2-3-(벤조[1,2,5]옥사다이아졸-5-일-프로필)-N4-(3,4-다이메톡시-벤질)-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2N 암모니아/다이클로로메탄 중 2.5% MeOH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산물을 단리하였다. EtOAc로 재용해시커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69
실시예 27: N2-3-(벤조티아졸-6-일-프로필)-N4-(3,4-다이메톡시-벤질)-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2N 암모니아/다이클로로메탄 중 2.5% MeOH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산물을 단리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0
실시예 28: N4-(3,4-다이메톡시-벤질)-N2-{3-[3-(2-메틸-[1,3]-다이옥솔란-2-일)-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1
실시예 29: 2-(3-{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2
실시예 30: 4-{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벤조니트릴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3
실시예 31: N4-(3,5-다이메톡시-벤질)-N2-(3-피리딘-4-일-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4
실시예 32 내지 35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화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사 용된 반응 및/정제 조건에 대한 특별한 언급은 배제하였다.
실온에서 3ml의 DMSO 중 2,4-다이클로로-피리도[2,3-d]피리미딘(0.75mmol) 및 DIPEA(1.5mmol)의 교반 용액에 반응식 1의 단계 1에서 화학식 V에 상응하는 0.75mmol의 아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반응식 1의 단계 2에서 화학식 VII에 상응하는 2.25mmol의 아민을 첨가하고, 추가의 DIPEA(2.25mmol)를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9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실시예 32: N4-(3,4-다이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용출액으로서 0.1% 수산화암모늄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의 단계적 구배를 사용하여 역상 예비 HPLC상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조질 반응 혼합물로부터 화합물을 단리 및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농축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5
실시예 33: N4-(3,5-다이메톡시-벤질)-N2-(3-페녹시-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용출액으로서 0.1% 수산화암모늄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의 단계적 구배를 사용하여 역상 예비 HPLC상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조질 반응 혼합물로부터 화합 물을 단리 및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농축한 다음, 잔류물을 IPA/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6
실시예 34: N4-(3-에톡시-4-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용출액으로서 0.1% 수산화암모늄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의 단계적 구배를 사용하여 역상 예비 HPLC상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조질 반응 혼합물로부터 화합물을 단리 및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농축한 다음,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7
실시예 35: 2-(4-{3-[4-(3-에톡시-4-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용출액으로서 0.1% 수산화암모늄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의 단계적 구배를 사용하여 역상 예비 HPLC상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조질 반응 혼합물로부터 화합물을 단리 및 정제하였다.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농축한 다음,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8
실시예 36: 1-(4-{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2,2,2-트라이플루오로-에탄온
실온에서 15ml의 다이클로로메탄 중 실시예 25의 표제 화합물(150mg, 0.28mmol)의 교반 용액에 1,1,1-트라이아세톡시-1,1-다이하이드로-1,2-벤즈요오독솔-3(1H)-온(180mg, 0.43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추가분의 1,1,1-트라이아세톡시-1,1-다이하이드로-1,2-벤즈요오독솔-3(1H)-온(180mg, 0.43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MgSO4상 건조한 다음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암모니아/다이클로로메탄 중 2N 5% MeOH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EtOAc로 재용해시켜 45mg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79
실시예 37: 1-(3-{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에탄온
10ml의 6N 염산을 함유하는 8ml의 THF 중 제조예 27의 표제 화합물(419mg, 0.81mmol)의 교반 용액을 실온에서 6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5%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농축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80
생물학적 방법론
PDE 2 효소 단리
다수의 공급자로부터 채취한 약 1.4L의 혈액을 사용하여 인간 혈소판으로부터 PDE 2 효소를 분리하였다. 혈소판을 약 75ml의 용균 완충액[20mM 트리스 pH 7.2, 5mM MgCl2, 250mM 슈크로즈, 1mM DTT, 1㎕/2ml 시그마 프로테아제 억제제 #8340;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미국 미조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 중에서 재현탁시키고 4℃에서 1분 3회 파열(3rounds of 1min bursts)로 초음파 용균시킨 다음, 4℃에서 밤새 100,000xg로 회전시켰다. 투명한 용균액을 25ml의 평균 부하 부피를 갖는 세 개의 일련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기의 AKTA 조사기 FPLC(암머삼 바이오사이언스(Amersham Biosciences; 미국 뉴저지주 피스카타웨이 소재)에 부하시켰다. 5ml의 HiTrap Q 음이온 교환 칼럼(암머삼 바이오사이언스)을 사용하였다. A 완충액[20mM 트리스 pH 7.2, 5mM MgCl2, 1㎕/2ml 시그마 프로테아제 억제제 #8340]을 B 완충액의 0%의 초기 농도에서 100%의 최종 농도로 20칼럼 부피를 통해 B 완충액[20mM 트리스 pH 7.2, 500mM NaCl, 5mM MgCl2, 1㎕/2ml 시그마 프로테아제 억제제 #8340]과 구배 혼합하였다. cGMP-가수분해 피크는 저염-125mM NaCl(PDE 5) 및 고염-325mM NaCl(PDE 2)에서 평균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두 개의 주요한 cGMP 활성 분획(PDE 5 및 PDE 2)을 개별적으로 단리하고 풀링(pooling)하였다. PDE 2-풀링된 전체 분획은 약 40ml였으며, 이를 200㎕/용기의 냉각용기에 분배하고 -80℃에서 저장하였다.
PDE 2 효소 결합 분석
암머삼 인터내셔날(Amersham International, 영국 리틀 찰폰트 소재)로부터 입수한 [3H]cAMP 섬광근접측정(SPA) 키트를 사용하여 재조합 또는 단리된 PDE 2 및 기타 PDE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SPA 측정을 96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PDE SPA 이트륨 실리케이트 비드(암머삼 바이오사이언스)는 환형 뉴클레오타이드 cGMP와 비교하여 선형 뉴클레오타이드 GMP에 우위적으로 결합하였다. 3H-cAMP를 반응물에 첨가하고 산물 3H-cAMP가 비드에 밀접하게 근접할 때 비드내 섬광을 여기시키고, 이를 팩카드(Packard) 섬광 계수기(퍼킨-엘머 라이프 사이언스(Perkin-Elmer Life Science; 미국 메사추세츠주 보스톤 소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된 효소 농도는 선형 범위이고 효소의 Km을 측정하였다(15μM). 최종 기질 농도는 1/3 미만의 Km(1μM)이었으며, IC50 값은 K1 값에 근접하였다. 화합물을 시험하기 전에 대조군으로서 기존 화합물을 사용하여 분석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시험 화합물의 존재시 수득된 PDE 촉매 활성 측정과 시험 화합물의 부재시 수득된 PDE 촉매 활성 측정을 비교하여 IC50 값을 측정하 였다.
방사성 기질 및 PDE 반응 산물을 RACK-BETA 1219 액체 섬광 계수기(LKB Wallac; FGG 프레이버그(Freiburg))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IC50 값(50% 억제 농도)을 피크 분획을 사용하여 1μM cAMP 또는 cGMP로 측정하였다. 데이터를 S자형 로지스틱 함수(sigmoidal logistic function)의 보조로서 4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맞추었다.
인간 혈소판으로부터 단리된 이미 준비된 PDE 2 및 효소의 억제를 위한 시험 화합물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EHNA에 대한 1.7μM의 IC50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9-(1-아세틸-4-페닐-부틸)-2-(3,4-다이메톡시-벤질)-1,9-다이하이드로푸린-6-온에 대해서는 3nM의 IC50 값이 측정되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PDE 2에 대해 1,000nM 미만의 IC50 값을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37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PDE 2 억제 활성의 범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41885028-pct00081
뼈 골절 및/또는 결손을 치료하거나 또는 뼈 내증식을 촉진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비롯한 PDE 2 억제제의 능력은 하기 프로토콜에 따라 입증될 수 있다.
래트 대퇴부의 횡골절 모델
3 내지 4월령의 수컷 스프라그-다울리 래트를 사용하였다. 동물을 100 및 10mg/kg 양의 케타마인 및 자일라진으로 각각 마취시켰다. 각 래트의 오른쪽 뒷다리부유를 절단하고 세정하였다. 1cm의 절개부를 배상부에 측면으로 놓고 대퇴부 관절구를 노출시켰다. 내부관절구 부분을 통해 척수관내에 커스너 와이어(Kirschner wire(직경 0.045인치))를 도입하여 내부를 안정화시켰다. 근육 절개부를 바이크릴(vicryl)로 밀봉하고 표피 절개부를 굽은 강철 클립으로 밀봉하였다. 핀이 꽂혀진 대퇴부의 중간-골본체를 하중에 의해 작동되는 삼점 밴딩 장치에 의해 골절화시켰다. 래트는 마취로부터 깬 후 완전한 중량을 가졌으며 제한된 활성을 나타내었다. 골절 부위에 경피 주사에 의해 외과 시술한 후 시험 화합물을 몇일동안 투여하였다. 처리 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분석을 위해 대퇴부를 수득하였다. 레디오그래피, 조직학적 및 바이오메카니칼 시험을 사용하여 골절 치유를 평가하였다(문헌[F. Bonnarens, et al.,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2, 97-101 (1994)].
래트 대퇴부의 횡골절 모델에서 프로토콜 및 결과 고찰
3월령 수컷 래트를 일반적인 마취하에서 오른쪽 대퇴부의 횡골절을 수행하였다. N4-(3,4-다이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딘-2,4-다이아민의 단일 투여량(5mg)을 골절 생성이 완전한 상태에서 골절 부위에 경피 주사하였다. 주사한 지 3주 후, 래트를 희생시키고 오른쪽 대퇴부를 수득하여 분석하였다. N4-(3,4-다이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딘-2,4-다이아민이 처리된 대퇴부에서 쇠약에 대한 힘 및 고정력(뼈 강도 지표)이 유효성분이 처리되지 않은 것에 비해 각각 19% 및 62%만큼 증가하였다.
래트의 골막 주사 모델
래트를 훔 후드에 위치한 실행 챔버에서 아이소퓨란(2 내지 3분)으로 마취시켰다. 각 래트의 오른쪽 뒷다리부유를 절단하고 세정하였다. 주사기에 부착된 25게이지 주사기를 국소 주사를 위해 시험 화합물의 제형으로 예비충진하였다. 제형을 14일동안 5 내지 15㎕의 부피로 대퇴부의 골막밑에 주사하였다. 투여 후 래트를 희생시키고 대퇴부를 수득한 다음, 레디오그래피 및 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DEXA)로 분척하였다.
래트의 골막 주사 모텔에서 프로토콜 및 결과 고찰
3월령 수컷 스프라그-다울리 래트의 오른쪽 대퇴부에 2주동안 1주에 5회로 부형제 또는 시험 화합물을 매일 투여하였다. 15일째 모든 래트를 희생시키고 분석을 위해 오른쪽 대퇴부를 수득하였다. 레디오그래피 및 DEXA를 사용하여 골막 뼈 도입을 분석하였다. 레디오그래피 결과, 시험 화합물로 처리된 모든 대퇴부의 주사 부위의 위치에서 새로운 뼈 형성이 관찰되었다. 시험 화합물로 처리된 래트의 대퇴부의 주사 영역(대퇴부의 작은 돌기 및 중간 줄기 사이의 대역)에서의 뼈 미네랄 함량(BMC)을 단지 부형제로 처리된 것과 비교하여 DEXA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모델에서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피리딘-4-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2-(3-{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및 N4-(3,4-다이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의 경우 각각 BMC가 34%, 49% 및 33%만큼 증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델에서 9-(1-아세틸-4-페닐-부틸)-2-(3,4-다이메톡시-벤질)-1,9-다이하이드로푸린-6-온의 경우 BMC가 20%만큼 증가하였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
    Figure 112007076794598-pct0008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수소 또는 메톡시이되, R1 및 R2가 둘다 수소이거나 둘다 메톡시는 아니고;
    n은 1, 2, 3 또는 4이고;
    X는 결합이거나, O, S, C=O, -N(R)-(여기서, R은 수소 또는 -(C1-C3)알킬임), -C(OH)- 또는 -S02이고;
    Y는 벤족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퓨라자닐, 벤조퓨라닐, 벤조티아다이아졸릴, 벤즈아이속사졸릴, 벤즈아이소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피리딜, 아이사티닐, 옥신돌릴, 인다졸릴, 인돌릴, 페닐, 티에닐 또는 퓨라닐이고; Y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1 내지 3개의 할로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톡시, -C(=O)CH3, 시아노, -C(CH3)20H, -CH(CH3)OH, -CH(CF3)OH, -C(C=O)CF3, -SO2NH2, -C(=O)OCH3, -CH2COOH,
    Figure 112007076794598-pct00083
    , 티아졸릴 또는 옥사다이아졸릴로 독립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X가 결합이고; Y가 벤조퓨라자닐, 티에닐, 피리딜 또는 페닐(여기서 페닐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1 또는 2개의 할로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톡시, -C(=O)CH3, 시아노, -C(CH3)20H, -CH(CH3)OH, -CH(CF3)OH, -C(C=O)CF3, -SO2NH2, -C(=O)OCH3, -CH2COOH, 티아졸릴 또는 옥사다이아졸릴로 독립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인 화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X가 결합이고; n이 2 또는 3이고; Y가 티에닐, 피리딜 또는 페닐(여기서 페닐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1 또는 2개의 메톡시, 할로겐, -C(CH3)20H, -CH(CF3)OH 또는 -C(C=O)CF3으로 독립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인 화합물.
  4.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N2,N4-비스-(3,5-다이메톡시-벤질)-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피리딘-4-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티오펜-2-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펜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N4-(3,5-다이메톡시-벤질)-N2-[2-(3,5-다이메톡시-페닐)-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2-(3-{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N4-(3,4-다이메톡시-벤질)-N2-[2-(4-플루오로-페닐)-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N4-(3,4-다이메톡시-벤질)-N2-펜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또는
    N4-(3,4-다이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5. 제 1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
    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뼈 골절 또는 결손, 지연 또는 비치유된 골절, 척수 융합, 뼈 내증식 또는 두개안면 재건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치료 효과량의 제 1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뼈 골절 또는 결손, 지연 또는 비치유된 골절, 척수 융합, 뼈 내증식 또는 두개안면 재건을 치료하는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뼈 골절 또는 결손을 치료하는 방법.
  9. 제 1 항의 화합물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PDE 2 억제제;
    (3-(((피리딘-3-설포닐)-(4-피리미딘-5-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5-페닐-퓨란-2-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미딘-2-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피라진-2-일-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사이클로헥실-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2-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3-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4-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5-(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3-(((2,3-다이하이드로-벤조[1,4]다이옥신-6-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벤조퓨란-2-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벤젠설포닐-(4-부틸-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부틸-벤질)-(1-메틸-1H-이미다졸-4-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다이메틸아미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다이메틸아미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4-t-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트란스-(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7-[(2'-하이드록시메틸-바이페닐-4-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3-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일)-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2'-클로로-바이페닐-4-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1-하이드록시-헥실)-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부틸-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5-(l-하이드록시-헥실)-티오펜-2-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3-{[(4-부틸-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7-{[3-(3-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3-(3,5-다이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5-(3-{[3-(3-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7-{[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5-(3-{[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N-[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N-[6-(1H-테트라졸-5-일)-헥실]-메탄설폰아마이드,
    트란스-(4-{[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부톡시)-아세트산,
    트란스-N-[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N-[6-(1H-테트라졸일-5-일)-헥실]-메탄설폰아마이드,
    트란스-5-(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및
    트란스-[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뼈 골절 또는 결손, 지연 또는 비치유된 골절, 척수 융합, 뼈 내증식 또는 두개안면 재건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PDE 2 억제제가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피리딘-4-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2-(3-{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또는 N4-(3,4-다이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조성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가 (3-(((4-t-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조성물.
  12. 제 6 항에 있어서,
    (3-(((피리딘-3-설포닐)-(4-피리미딘-5-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5-페닐-퓨란-2-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미딘-2-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피라진-2-일-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사이클로헥실-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2-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3-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피리딘-4-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5-(3-((피리딘-3-설포닐)-(4-티아졸-2-일-벤질)-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3-(((2,3-다이하이드로-벤조[1,4]다이옥신-6-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벤조퓨란-2-일메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벤젠설포닐-(4-부틸-벤질)-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부틸-벤질)-(1-메틸-1H-이미다졸-4-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다이메틸아미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4-다이메틸아미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3-(((4-t-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트란스-(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3-(((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7-[(2'-하이드록시메틸-바이페닐-4-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3-하이드록시메틸-티오펜-2-일)-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2'-클로로-바이페닐-4-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1-하이드록시-헥실)-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4-부틸-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5-(l-하이드록시-헥실)-티오펜-2-일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3-{[(4-부틸-벤질)-메탄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7-{[3-(3-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7-{[3-(3,5-다이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5-(3-{[3-(3-클로로-페닐)-프로필]-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7-{[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메탄설포닐-아미노}-헵탄산,
    5-(3-{[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N-[2-(3,5-다이클로로-펜옥시)-에틸]-N-[6-(1H-테트라졸-5-일)-헥실]-메탄설폰아마이드,
    트란스-(4-{[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부톡시)-아세트산,
    트란스-N-[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N-[6-(1H-테트라졸일-5-일)-헥실]-메탄설폰아마이드,
    트란스-5-(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필)-티오펜-2-카복실산 및
    트란스-[3-({[3-(3,5-다이클로로-페닐)-알릴]-메탄설포닐-아미노}-메틸)-페닐]-아세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효과량의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
    또는 제 1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상기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PDE 2 억제제가 N4-(3,5-다이메톡시-벤질)-N2-(2-피리딘-4-일-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2-(3-{3-[4-(3,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피리도[2,3-d]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2-올, 또는 N4-(3,4-다이메톡시-벤질)-N2-(3-페닐-프로필)-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EP2 선택적 수용체 작용제가 (3-(((4-t-부틸-벤질)-피리딘-3-설포닐)-아미노)-메틸)-펜옥시)-아세트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방법.
  15. 제 1 항의 화합물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치료 효과량의 PDE 2 억제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뼈 골절 또는 결손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067011800A 2003-12-16 2004-12-06 PDE 2 억제제로서 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KR100816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999403P 2003-12-16 2003-12-16
US60/529,994 2003-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776A KR20060105776A (ko) 2006-10-11
KR100816179B1 true KR100816179B1 (ko) 2008-03-28

Family

ID=3471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800A KR100816179B1 (ko) 2003-12-16 2004-12-06 PDE 2 억제제로서 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Country Status (39)

Country Link
US (1) US20070135457A1 (ko)
EP (1) EP1697356B1 (ko)
JP (1) JP4073944B2 (ko)
KR (1) KR100816179B1 (ko)
CN (1) CN100439366C (ko)
AP (1) AP2006003632A0 (ko)
AR (1) AR046766A1 (ko)
AT (1) ATE387446T1 (ko)
AU (1) AU2004303609A1 (ko)
BR (1) BRPI0417663A (ko)
CA (1) CA2549510A1 (ko)
CL (1) CL2008001920A1 (ko)
DE (1) DE602004012154T2 (ko)
DK (1) DK1697356T3 (ko)
EA (1) EA010424B1 (ko)
EC (1) ECSP066643A (ko)
ES (1) ES2299888T3 (ko)
GE (1) GEP20094720B (ko)
GT (1) GT200400268A (ko)
HN (1) HN2004000538A (ko)
HR (1) HRP20080142T3 (ko)
IL (1) IL175813A0 (ko)
IS (1) IS8474A (ko)
MA (1) MA28270A1 (ko)
MX (1) MXPA06006777A (ko)
NL (1) NL1027787C2 (ko)
NO (1) NO20063231L (ko)
PE (1) PE20050681A1 (ko)
PL (1) PL1697356T3 (ko)
PT (1) PT1697356E (ko)
RS (1) RS50575B (ko)
SI (1) SI1697356T1 (ko)
SV (1) SV2005001979A (ko)
TN (1) TNSN06186A1 (ko)
TW (1) TWI291961B (ko)
UA (1) UA83091C2 (ko)
UY (1) UY28671A1 (ko)
WO (1) WO2005061497A1 (ko)
ZA (1) ZA2006049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33035C (en) * 2005-12-15 2016-05-10 Rigel Pharmaceuticals, Inc. Kinase inhibitors and their uses
EP2070541A4 (en) * 2006-09-21 2011-04-13 Toshiki Oguro MEANS FOR PROMOTING REGENERATION OF HARD FABRIC
JP5472638B2 (ja) * 2008-03-18 2014-04-16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1−(置換フェニル)−1−置換シリルエーテル、アルコールまたはケトンの製造方法および中間体
US20120065165A1 (en) * 2008-10-31 2012-03-15 Argineti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endothelial disorders
US8680116B2 (en) 2009-07-22 2014-03-25 Merck Sharp & Dohme Corp. Quinolinone PDE2 inhibitors
US8440710B2 (en) 2009-10-15 2013-05-14 Hoffmann-La Roche Inc. HSL inhibitors useful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US9540379B2 (en) 2011-01-31 2017-01-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1,2,4)triazolo[4,3-A]quinoxal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hosphodiesterases
EP2699577A1 (en) 2011-04-20 2014-02-26 Glaxo Group Limited Tetrahydropyrazolo [1,5 -a]pyrimidine as anti -tuberculosis compounds
SG11201406552UA (en) 2012-04-25 2014-11-27 Takeda Pharmaceutical Nitrogenated heterocyclic compound
JP6205356B2 (ja) 2012-07-13 2017-09-2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複素環化合物
US20140045856A1 (en) 2012-07-31 2014-02-1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4-Methyl-2,3,5,9,9b-pentaaza-cyclopenta[a]naphthalenes
JP6280912B2 (ja) 2013-03-14 2018-02-14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複素環化合物
EP3018126A4 (en) 2013-07-03 2016-12-07 Takeda Pharmaceuticals Co HETEROCYCLIC COMPOUND
US10472376B2 (en) 2013-07-03 2019-11-12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Amide compound
JPWO2015012328A1 (ja) * 2013-07-24 2017-03-02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複素環化合物
WO2015096651A1 (en) 2013-12-23 2015-07-02 Merck Sharp & Dohme Corp. Pyrimidone carboxamide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WO2015106032A1 (en) 2014-01-08 2015-07-16 Intra-Cellular Therapies, Inc. Produ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P3174408B1 (en) * 2014-08-01 2018-12-05 Firmenich SA Solid dispersion of amide flavor compounds
BR112017012007B1 (pt) 2014-12-06 2022-11-01 Intra-Cellular Therapies, Inc Compostos orgânicos inibitórios de pde2,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compreendendo os ditos compostos e uso dos mesmos no tratamento de um distúrbio mediado por pde2
KR102562576B1 (ko) 2014-12-06 2023-08-01 인트라-셀룰라 써래피스, 인코퍼레이티드. 유기 화합물
WO2016145614A1 (en) 2015-03-17 2016-09-22 Merck Sharp & Dohme Corp. Triazolyl pyrimidinone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WO2016154081A1 (en) 2015-03-26 2016-09-29 Merck Sharp & Dohme Corp. Pyrazolyl pyrimidinone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US10195201B2 (en) 2015-05-05 2019-02-05 Merck Sharp & Dohme Corp. Heteroaryl-pyrimidinone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WO2016183741A1 (en) 2015-05-15 2016-11-24 Merck Sharp & Dohme Corp. Pyrimidinone amide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WO2016191935A1 (en) 2015-05-29 2016-12-08 Merck Sharp & Dohme Corp. 6-alkyl dihydropyrazolopyrimidinone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WO2016192083A1 (en) 2015-06-04 2016-12-08 Merck Sharp & Dohme Corp. Dihydropyrazolopyrimidinone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US10647727B2 (en) 2015-06-25 2020-05-12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pyrazolo/imidazolo bicyclic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WO2017000277A1 (en) * 2015-07-01 2017-01-05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triazolo bicycliccompounds as pde2 inhibitors
WO2017000276A1 (en) 2015-07-01 2017-01-05 Merck Sharp & Dohme Corp. Bicyclic heterocyclic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EP3156405A1 (en) 2015-10-13 2017-04-1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Spirocyclic ether derivatives of pyrazolo[1,5-a]pyrimidine-3-carboxamide
GB201700814D0 (en) 2017-01-17 2017-03-01 Liverpool School Tropical Medicine Compounds
US11419874B2 (en) 2017-11-23 2022-08-23 Oslo University Hospital Hf Treatment of tachycardia
CN109758458B (zh) * 2019-03-05 2021-02-23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抑制Crif1与PKA相互作用的化合物的应用
US11648254B2 (en) 2021-03-02 2023-05-16 Kumquat Biosciences Inc. Substituted pyrido[2,3-d]pyrimidines as inhibitors of Ras pathway signaling
US11912708B2 (en) 2022-04-20 2024-02-27 Kumquat Biosciences Inc. Macrocyclic heterocycles and uses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7954A (en) 1994-05-26 1996-08-20 Fmc Corporation 2,4-Diamino-5,6-disubstituted-and 5,6,7-trisubstituted-5-deazapteridines as insecticides
WO2002102315A2 (en) * 2001-06-19 2002-12-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QUINAZOLINE AND PYRIDO[2,3-d]PYRIMIDINE INHIBITORS OF PHOSPHODIESTERASE (PDE) 7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9344A (en) * 1953-01-02 1956-06-05 Burroughs Wellcome Co Pyrimidine compounds
US3021332A (en) * 1954-01-04 1962-02-13 Burroughs Wellcome Co Pyrido (2, 3-d) pyrimidine compounds and method of making
US2926166A (en) * 1954-01-04 1960-02-23 Burroughs Wellcome Co Pyrido (2, 3-d) pyrimidine compounds and method of making
US2924599A (en) * 1956-07-16 1960-02-09 Anchor Chemical Company Ltd Derivatives of 1:3:5-triazanaphthalene
US2937284A (en) * 1958-05-01 1960-05-17 Burroughs Wellcome Co 2, 4-diamino-5, 6-dialkylpyrido (2, 3-d) pyrimidines and method
US3288792A (en) * 1962-07-05 1966-11-29 Burroughs Wellcome Co Method of preparing 2, 4-diamino-6-alkylpyrido (2, 3-d) pyrimidines
DE3422824A1 (de) * 1984-06-20 1986-01-02 Celamerck Gmbh & Co Kg, 6507 Ingelheim Neue herbizid wirksame sulfonylharnstoffe
US6194166B1 (en) * 1993-05-24 2001-02-27 Takara Shuzo Co., Ltd. Gene regulating aureobasidin sensitivity
US6262059B1 (en) * 1995-06-07 2001-07-17 Cell Pathways, Inc. Method of treating a patient having precancerous lesions with quinazoline derivatives
US6184226B1 (en) * 1998-08-28 2001-02-06 Scios Inc. Quinazol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38 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7954A (en) 1994-05-26 1996-08-20 Fmc Corporation 2,4-Diamino-5,6-disubstituted-and 5,6,7-trisubstituted-5-deazapteridines as insecticides
WO2002102315A2 (en) * 2001-06-19 2002-12-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QUINAZOLINE AND PYRIDO[2,3-d]PYRIMIDINE INHIBITORS OF PHOSPHODIESTERASE (PDE) 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1697356T1 (sl) 2008-06-30
HRP20080142T3 (en) 2008-06-30
CA2549510A1 (en) 2005-07-07
AR046766A1 (es) 2005-12-21
RS50575B (sr) 2010-05-07
CN1894245A (zh) 2007-01-10
JP2007513996A (ja) 2007-05-31
DK1697356T3 (da) 2009-01-12
KR20060105776A (ko) 2006-10-11
WO2005061497A1 (en) 2005-07-07
MXPA06006777A (es) 2006-08-23
NL1027787C2 (nl) 2006-03-09
ECSP066643A (es) 2006-10-25
PL1697356T3 (pl) 2008-07-31
DE602004012154D1 (de) 2008-04-10
TNSN06186A1 (fr) 2007-11-15
US20070135457A1 (en) 2007-06-14
CN100439366C (zh) 2008-12-03
NL1027787A1 (nl) 2005-06-21
TW200522952A (en) 2005-07-16
TWI291961B (en) 2008-01-01
SV2005001979A (es) 2005-12-13
AP2006003632A0 (en) 2006-06-30
CL2008001920A1 (es) 2008-10-17
DE602004012154T2 (de) 2009-03-12
AU2004303609A1 (en) 2005-07-07
BRPI0417663A (pt) 2007-04-03
GEP20094720B (en) 2009-06-25
ATE387446T1 (de) 2008-03-15
GT200400268A (es) 2005-09-20
ES2299888T3 (es) 2008-06-01
NO20063231L (no) 2006-07-11
MA28270A1 (fr) 2006-11-01
UY28671A1 (es) 2005-07-29
IL175813A0 (en) 2006-10-05
EP1697356A1 (en) 2006-09-06
EP1697356B1 (en) 2008-02-27
EA200600973A1 (ru) 2006-10-27
IS8474A (is) 2006-05-18
JP4073944B2 (ja) 2008-04-09
HN2004000538A (es) 2008-02-21
PE20050681A1 (es) 2005-10-04
ZA200604970B (en) 2007-11-28
UA83091C2 (en) 2008-06-10
EA010424B1 (ru) 2008-08-29
PT1697356E (pt) 2008-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179B1 (ko) PDE 2 억제제로서 피리도[2,3-d]피리미딘-2,4-다이아민
CN102869666B (zh) 用于疾病治疗的组胺受体的杂环抑制剂
JP7076741B2 (ja) Bmpシグナル阻害化合物
JP6181862B2 (ja) ピラゾロピロリジン誘導体および疾患の処置におけるその使用
JP5102839B2 (ja) 有糸分裂進行を阻害するための化合物
CN100393714C (zh) 促旋酶抑制剂及其用途
JP6427599B2 (ja) 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置換エチニルヘテロ二環式化合物
WO2006038112A1 (en) Use of kinase inhibitors to promote neochondrogenesis
KR20170003563A (ko) 연골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화합물 및 조성물
CN102361872B (zh) 作为akt抑制剂的稠合嘧啶
EA020816B1 (ru) Ингибиторы вирусов flaviviridae
JP2005528443A (ja) Jakキナーゼおよびcdk2プロテインキナーゼのインヒビター
JP2005538992A (ja) キナーゼ阻害剤
WO2012054332A1 (en) Substituted hydroxamic acids and uses thereof
CN102414210A (zh) 作为β-分泌酶抑制剂的取代的咪唑并[1,2-a]吡啶衍生物、药物组合物和使用方法
JP2023511084A (ja) Pgdh阻害剤、およびその作製と使用の方法
JP7164203B2 (ja) ピロロ芳香族複素環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医薬用途
JP2005532370A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置換2,4−ジヒドロ−ピロロ(3,4−b)−キノリン−9−オン誘導体
JP2006528608A (ja) N−[3−(3−置換ピラゾロ[1,5−a]ピリミジン−7−イル)フェニル]−スルホンアミド、並びにそれに関連する組成物及び方法
JP2003519145A (ja) 痛みの処置のための化合物および方法
OA13337A (en) Pyrido[2,3-d]pyrimidine-2,4-diamines as PDE 2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