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198B1 -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 그의 제조방법 및 적층 안전유리에 사용될 필름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 그의 제조방법 및 적층 안전유리에 사용될 필름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198B1
KR100809198B1 KR1020037009083A KR20037009083A KR100809198B1 KR 100809198 B1 KR100809198 B1 KR 100809198B1 KR 1020037009083 A KR1020037009083 A KR 1020037009083A KR 20037009083 A KR20037009083 A KR 20037009083A KR 100809198 B1 KR100809198 B1 KR 10080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butyral
plasticizer
aliphatic
pvb
plasticiz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589A (ko
Inventor
파펜후스베른트
스테우에르마틴
Original Assignee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7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소화제로서 하나 이상의 알킬렌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디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제-함유 폴리비닐부티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특히 예를 들면 적층 안전 유리에서 중간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모든 유형의 몰딩 화합물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 그의 제조방법 및 적층 안전 유리에 사용될 필름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PLASTICIZER-CONTAINING POLYVINYLBUTYRAL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 USE THEREOF, ESPECIALLY FOR PRODUCING FILMS FOR USE IN LAMINATED SAFETY GLASSES}
본 발명은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 그의 제조방법, 및 특히 필름(예를 들면 적층 안전 유리에 중간층으로 사용됨)을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목적하는 몰딩 조성물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적층 안전 유리(laminated safety glass, LSG)를 위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비닐 부티랄(PVB)을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폴리비닐 부티랄을 가소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도 공지된 사실이다(적절한 가소제의 첨가없이는 그 유리전이온도가 너무 높다). 구체적으로 우선,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비가소화된 PVB를 처리하는데 공지된 압출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둘째로 상기 필름의 요구되는 침투 내성은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고는 달성될 수 없다.
PVB 필름을 제조하는데 적절한 가소제는 몇가지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중 요한 특성은 그 중에서도 PVB와의 양호한 상용성, 높은 투명성(무색, 탁하지 않음), 높은 비점 및 낮은 습윤 함량 및 높은 수준의 소수성이다.
PVB에 대한 공지된 가소제는 지방족 모노- 및 디카복실산과 일가 또는 다가 알콜 또는 올리고알킬렌 글리콜 에테르와의 에스테르, 및 또한 다양한 프탈레이트, 예를 들면 US-A-5,137,954에 개시된 것이다. 그러나, 디-, 트리- 또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과 지방족 모노카복실산과의 디에스테르 또는 디알킬 아디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가소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PVB와의 양호한 상용성 및 낮은 가격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고, 그의 사용이 예를 들면 DE-A-24 53 780 및 WO 97/24230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는 폴리비닐 알콜 함량(PVA 함량)이 19.5중량% 미만인 폴리비닐 부티랄하고만 양호한 상용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가소제로서 단점을 갖는다.
DE-A-28 20 780에는 예를 들면, PVB를 위한 특정 포스포릭 에스테르-함유 가소제 혼합물의 가능한 구성요소로서, US-A-2,956,978로부터 공지된 디- 및 트리알킬렌 글리콜의 디벤조에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퍼멜(pummel) 시험시 시험편의 해머와의 충격 배향을 나타낸다.
도 2는 0 내지 10의 표준 퍼멜 눈금에 대한 자유 필름 표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전단시험시 시험편을 홀더에 클램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VB를 가소화하고, PVB와의 매우 양호한 상용성,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폴리비닐 알콜 함량을 갖는 상대적으로 친수성인 폴리비닐 부티랄과 매우 양호한 상용성을 가질 수 있는 가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공지된 PVB용 가소제보다 가능한 한 저렴해야 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의해 알킬렌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특히 디-, 트리- 및/또는 테트라알킬렌 글리콜의 디벤조에이트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PVB를 가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된 화합물보다 PVB를 가소화하기 위한 가소제로서 요구되는 요건을 만족시키는데 있어서 현저하게 양호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소제로서 하나 이상의 알킬렌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디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가소제는 디-, 트리- 또는 테트라알킬렌 글리콜의 디벤조에이트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디알킬렌 글리콜의 디벤조에이트, 특히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이다.
그 제조의 결과로서, 디벤조에이트 가소제는 또한 상응하는 모노벤조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응하는 모노알킬렌 글리콜의 벤조익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가소제는 폴리비닐 부티랄과의 상당히 양호한 상용성 을 갖는다.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삼출현상의 최소화에서 증가된 상용성이 확인된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폴리비닐 부티랄에 존재하는 가소제가, 그 화학적 구조와 친수성 및 소수성 분자 분율의 비율(HLB 값으로서 공지됨, 친수성/친유성 균형)에 있어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비롯한 PVB 필름 제조에 공지된 알킬렌 글리콜 디에스테르와 필적하기 때문에 놀라운 것이다.
또한, 폴리비닐 부티랄과의 매우 양호한 상용성은 WO97/24230에서 개시된 폴리비닐 부티랄 19.5 내지 17.0중량%의 PVA 함량의 좁은 범위로 제한되지 않고, 현저하게 훨씬 친수성인 아세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 폴리비닐 부티랄의 폴리비닐 알킬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3중량%이다.
사용된 폴리비닐 부티랄의 몰 질량에 대해 어떠한 제약도 없다. 그러나, 50,000g/mol 이상의 몰 질량을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이 바람직하다.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 폴리비닐 부티랄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9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5중량부, 특히 25 내지 80중량부의 가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에 존재하는 가소제는 또한 공지된 가소제,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보다 비용면에서 현저 하게 유리하다. 이러한 장점은 그 제조에 벤조산을 사용하기 때문이고, 이러한 산은 비교적 장쇄 지방족 카복실산보다 상당히 저렴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가소제의 양호한 상용성 때문에 PVB에 높은 비율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유리전이온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은 본 발명의 디벤조에이트 가소제 이외의 다른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고,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가소제는 숙련인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가소화 화합물, 특히 일가 또는 다염기성 산, 일가- 또는 다가 알콜, 또는 알킬렌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다른 가소제의 예는 지방족 디올,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 폴리올과 지방족 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디에스테르, 특히 디-, 트리-, 또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과 지방족(C6-C10) 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및 지방족 또는 방향족(C2-C18) 디카복실산과 지방족(C4-C12) 알콜의 디에스테르, 예를 들면 프탈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헥실 아디페이트 및 상기 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가소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부가적인 가소제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0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은 또한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이형제, 안정화제, 염료 및/또는 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허출원은 또한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의 제조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디벤조에이트 가소제 및 적절하게는 부가적인 기타 가소제, 및 폴리비닐 부티랄을 혼합 및 균일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 및 균일화는 공정의 1단계 또는 2개의 인접한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적절하게는 기타 첨가제, 예를 들면 이형제, 안정화제, 염료 및/또는 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및 균일화는 숙련인들에게 공지되고 그 목적에 적절한 임의의 장치중에 발생할 수 있다. 적절한 장치의 예는 혼합기, 혼련기, 및 압출기로서, 이들은 또한 승온 및/또는 초대기압에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은 특히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목적하는 몰딩 조성물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원은 또한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몰딩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원은 특히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폴리비닐 부티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은 압출, 예를 들면 슬롯 다이를 사용하여, 또는 캐스팅에 의해 필름을 제공하도록 직접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다른 통상적인 접착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염료, 안료 및 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필름은 바람직하지 않은 삼출 현상을 최소 화한다. 비교적 낮은 가격과 함께, 이러한 성질은 상기 필름의 주 응용 분야, 즉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에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 안전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름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기술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가 사용되며, 단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고자 함은 아니다.
시험 방법:
파단시 인장응력:
파단시 인장응력의 측정 전에, 필름을 23℃ 및 50%의 상대습도에서 24시간 동안 콘디셔닝한다. 파단시 인장응력을 DIN 53455에 따라 인장 및 압축 강도 측정용 기계(제조원: Cadis GbR, 모델: BRP 201)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용융지수(MFR 190)
용융지수의 측정 전에, 필름을 24시간 동안 23℃ 및 50%의 상대습도에서 콘디셔닝한다. 상기 필름을 ISO 1133에 따라 2 mm 다이를 사용하여 2.16kg의 하중으로 190℃에서 용융지수 시험 장치(제조원: Gottfert, 모델: MP-D)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퍼멜(pummel):
퍼멜 시험을 위한 시험편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필름을 23℃/50% 상대습도에서 24시간 동안 콘디셔닝한다. 이들을 필름에서 유리 표면까지 F/Sn 배향을 갖는 2 mm 플로트 유리에 적층한다. 상기 유리를 코팅 전에 탈염수로 세척한다. 유리의 적층된 패널들을, 상기 복합체를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카렌더 롤을 사 용하여 적층 전 오븐에서 압축하고 상기 복합체를 12 바아의 압력 및 14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에서 압축하여 생성한다.
치수 10 ×30 ㎝의 시험편을 퍼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된 적층 안전 유리로부터 절단한다. 상기 시험편을 -18℃에서 4시간 동안 유지하고 45°로 경사진 지지체상에 놓고, 상기 유리가 분쇄될 때까지 자동 해머와 충돌시킨다. 상기 충격의 배향은 도 1에 나타낸다. 상기 결과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0 내지 10의 표준 퍼멜 눈금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전단 시험
상기 전단 시험을 위한 시험편은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 상기 필름을 24시간 동안 23℃/30% 상대 습도에서 콘디셔닝한다. 이들을 필름에서 유리 표면으로의 F/Sn 배향을 갖는 2mm 플로트 유리에 적층한다. 상기 유리를 코팅전에 탈염수로 세척한다. 유리의 적층된 패널들을, 상기 복합체를 4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카렌더 롤을 사용하여 적층 전 오븐에서 압축하고 상기 복합체를 12 바아의 압력 및 14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안에서 압축하여 생성한다.
치수 25.4 ×25.4 mm의 10개의 시험편을 상기 전단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생성된 적층 안전 유리로부터 절단하였다. 측정 전, 상기 시험편을 4시간 동안 23℃/50% 상대습도로 유지한다. 상기 시험편을 도 3에서와 같이 45°의 각으로 시험편 홀더에 클램핑한다.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연속적인 상승력을 시험편 안의 유리와 필름 사이의 전단력하에 이형이 발생할 때까지 시험편의 상위 절반에 인가한다. 전단하에 이형에 필요한 힘을 각 실시예에 대해 10개의 시험편에 걸쳐 측정하고 상기 시험편의 면적을 기준으로 표준화한다.
PVB의 폴리비닐 알콜 함량
PVB는 피리딘중 과량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아세틸화한다. 반응 후, 과량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물로 가수분해하고 생성된 아세트산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전위차 적정한다. PVOH 함량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소모량으로부터 계산한다.
PVB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PVB를 벤질 알콜/에탄올 혼합물중에 용해한다. 상기 아세틸 기를 과량의 알콜 수산화칼륨으로 비누화한다. 과량의 수산화칼륨 용액을 염화수소산으로 역적정한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유물을 염화수소산의 소모량으로부터 계산한다.
탁도, 황색 지수
광학 측정을 위한 시험편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상기 필름을 2 mm 플로트 유리(포맷: 10 ×30 cm)의 2개의 플레이트 사이에 놓는다. 상기 유리를 코팅 전에 탈염수로 세척한다. 적층 안전 유리의 패널을, 상기 복합체를 17 바아의 압력 및 150℃의 온도에서 1분 동안 유압 프레스에서 가압하여 제조한다.
상기 유리 복합체를 위한 광학 값을 칼라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한다(제조원: Hunter Associates, model: Lab Scan 5100). 상기 유리에 대한 값을 복합체의 제조 전에 측정하고 상기 복합체에 대해 측정된 값으로부터 감하고 상기 필름에 대해 측정된 값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에 대한 값은 0.76 mm의 필름 두께에 대해 표 준화한다.
가소제 상용성
가소화된 PVB 필름을 유압 프레스에서 170℃에서 0.76 mm의 두께까지 가압하고 연마한다. 상기 연마 압력으로부터 필름을 사용하여 1.5㎝ ×10 ㎝ 포맷으로 시험편을 스탬핑하고 이를 23℃에서 건조기중에 포화된 수성 구리 설페이트 용액상에서 저장한다. 가소제 상용성을 28일 후 평가한다. 비상용성이 존재하면 상기 가소제가 삼출하고 액체 필름 또는 액적을 상기 필름 표면상에 형성한다.
몰 질량(Mw)
사용된 폴리비닐 부티랄의 몰 질량을 RI 검출기를 사용하여 빙초산중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다. 상기 검출기를 PVB 검정 표준물질(그 절대값을 정적 광 산란에 의해 측정한다)로 검정한다.
혼합 및 압출
다양한 잔사성 PVOH 함량을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을 압출전 다양한 가소제와 혼합한다. 상기 혼합은 실험실 혼합기(제조원: Papenmeier, 모델: TGHKV20/KGU63; Brabender, 모델: 826801) 안에서 수행한다. 적절하게는 상기 혼합물의 제조 전에 UV 안정화제(예를 들면, Tinuvin(등록상표) P, 제조원: Ciba Specialty Chemicals) 및 소정량의 이형제를 상기 가소제중에 용해하거나 유화시킨다. 상기 PVB/가소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두께 0.8 mm의 편평한 필름을 압출한다. 실시예 1 내지 3, 6 및 7, 및 또한 비교실시예 1a-e, 2a-e 및 3a-e에서 압출 공정은 150℃의 융점에서 슬롯 다이가 장착된 단축 압출기(제조원 : Haake)중에 수행한다.
실시예 4 및 5 및 비교실시예 4 및 5에서 압출 공정은 200℃의 융점에서 용융 펌프 및 슬롯 다이가 장착된 공동회전하는 나사가 장착된 이축 압출기(제조원: Leistritz)중에서 수행한다.
실시예 1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22.0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0.2중량%, Mw = 104 300 g/mol) 290g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DPGDB) 21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1a
실시예 1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트리에틸렌 글리콜 비스-2-에틸부타노에이트(=3G6) 21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1b
실시예 1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트리에틸렌 글리콜 비스-n-헵타노에이트(=3G7) 21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1c
실시예 1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트리에틸렌 글리콜 비스-2-에틸헥사노이트(=3G8) 21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1d
실시예 1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비스-n-헵타노에 이트(=4G7) 21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1e
실시예 1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디헥실 아디페이트 (=DHA) 210g을 사용한다.
실시예 2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20.6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1.1중량%, Mw = 107 000 g/mol) 255g 및 DPGDB 245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2a
실시예 2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3G6 245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2b
실시예 2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3G7 245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2c
실시예 2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3G8 245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2d
실시예 2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4G7 245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2e
실시예 2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DHA 245g을 사용한다.
실시예 3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18.9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1.1중량%, Mw = 108 000 g/mol) 240g 및 DPGDB 26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3a
실시예 3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3G6 26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3b
실시예 3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3G7 26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3c
실시예 3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3G8 26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3d
실시예 3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4G7 260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3e
실시예 3에서와 같음. 단, DPGDB 대신 DHA 260g을 사용한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실시예 1a-e, 2a-e, 3a-e로부터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의 가소제로서 우수한 상용성을 확인한다(표 1 내지 3 참조).
실시예 4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20.6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1.1중량%, Mw = 107 000 g/mol) 2100g, DPGDB 900g, 및 Tinuvin(등록상표) P 4.5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4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20.6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1.1중량%, Mw = 107 000 g/mol) 2220g, 3G7 780g, 및 Tinuvin(등록상표) P 4.5g을 사용한다.
실시예 5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20.6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1.1중량%, Mw = 107 000 g/mol) 2100g, DPGDB 780g, Tinuvin(등록상표) P 4.5g 및 이형제로서 25% 농도의 칼륨 아세테이트의 수용액 6g을 사용한다.
비교실시예 5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20.6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1.1중량%, Mw = 107 000 g/mol) 2247g, DHA 753g, 및 Tinuvin(등록상표) P 4.5g 및 이형제로서 25% 농도의 칼륨 아세테이트의 수용액 6g을 사용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a 비교실시예 1b 비교실시예 1c 비교실시예 1d 비교실시예 1e
폴리비닐 알콜 함량 PVB[%] 22 22 22 22 22 22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PVB[%] 0.2 0.2 0.2 0.2 0.2 0.2
가소제 유형 DPGDB 3G6 3G7 3G8 4G7 DHA
가소제 함량[% 초기 중량] 42 42 42 42 42 42
가소제 상용성 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실시예 실시예 2 비교실시예 2a 비교실시예 2b 비교실시예 2c 비교실시예 2d 비교실시예 2e
폴리비닐 알콜 함량 PVB[%] 20.6 20.6 20.6 20.6 20.6 20.6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함량 PVB[%] 1.1 1.1 1.1 1.1 1.1 1.1
가소제 유형 DPGDB 3G6 3G7 3G8 4G7 DHA
가소제 함량[% 초기 중량] 49 49 49 49 49 49
가소제 상용성 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실시예 실시예 3 비교실시예 3a 비교실시예 3b 비교실시예 3c 비교실시예 3d 비교실시예 3e
폴리비닐 알콜 함량 PVB[%] 18.9 18.9 18.9 18.9 18.9 18.9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PVB[%] 1.1 1.1 1.1 1.1 1.1 1.1
가소제 유형 DPGDB 3G6 3G7 3G8 4G7 DHA
가소제 함량[% 초기 중량] 52 52 52 52 52 52
가소제 상용성 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비상용성

실시예 4 및 5 및 비교실시예 4 및 5로부터, 상기 필름의 필적할만한 레올로지 특성(MFR 190 값으로부터 알수 있음)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DPGDB를 사용할 때가 표준 가소제를 사용할 때보다 더 많은 가소제를 필요로 함을 확인한다. 놀랍게도, DPGDB를 사용할 때 더 높은 가소제 함량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필름의 높은 기계적 강도 및 표준 가소제보다 높은 접착력 값이다(표 4 참조)
실시예 실시예 4 비교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실시예 5
가소제 유형 DPGDB 3G7 DPGDB DHA
가소제 함량[% 초기 중량] 30 26 30 25.1
칼륨 아세테이트 함량[%] 0.05 0.05
Tinuvin P 함량[%] 0.15 0.15 0.15 0.15
파단시 종방향 인장 응력[N/mm2] 31.43 28.28 30.93 28.82
MFR 190[g/10분] 2.33 2.28 2.23 2.31
전단 시험 F/Sn[N/mm2] 28.29 16.94 22.58 13.05
탁도 0.03 0.05 0.09 0.02
황색 지수 0.66 0.84 0.98 0.82

실시예 6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20.5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1.1중량%, Mw = 104 000 g/mol) 350g, DHA 100g 및 DPGDB 50g을 사용한다.
실시예 7
PVB(폴리비닐 알콜 함량 = 20.5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 1.1중량%, Mw = 104 000 g/mol) 350g, 3G7 100 g 및 DPGDB 50g을 사용한다.
실시예 6 및 7로부터, DPGDB와 다른 가소제의 혼합물이 또한 적층 안전 유리를 위한 PVB 필름을 생성하는데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한다(표 5 참조)
실시예 실시예 6 실시예 5
폴리비닐 알콜 함량 PVB[%] 20.5 20.5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PVB[%] 1.1 1.1
가소제(WM) 혼합물 DHA/DPGDB (비율 2:1) 혼합물 3G7/DPGDB (비율 2:1)
기소화제 함량[% 초기 중량] 30 30
가소제 상용성 상용성 상용성
MFR190[g/10분] 3.55 3.1
퍼멜 F 8 8.5
탁도 0.06 0.07
황색 지수 0.3 0.39

Claims (11)

  1. 가소제로서 알킬렌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디벤조에이트를, 지방족 디올,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 폴리올과 지방족 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및 지방족 또는 방향족(C2-C18) 디카복실산과 지방족(C4-C12) 알콜의 디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가적인 가소제와의 혼합물 형태로 포함하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디-, 트리- 또는 테트라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디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부티랄.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디알킬렌 글리콜의 디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부티랄.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부티랄.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부티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알킬렌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디벤조에이트 5 내지 90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부티랄.
  6. 제 1 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가소제로서 디-, 트리- 또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과 지방족 (C6-C10) 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또는 디헥실 아디페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부티랄.
  7. 디벤조에이트 가소제; 지방족 디올,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 폴리올과 지방족 카복실산과 디에스테르, 지방족 또는 방향족(C2-C18) 디카복실산과 지방족(C4-C12) 알콜의 디에스테르, 및 상기 에스테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가적인 다른 가소제; 및 폴리비닐 부티랄을 혼합 및 균일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비닐 부티랄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몰딩 조성물.
  9. 삭제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필름.
  11. 제 10 항에 따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적층 안전 유리.
KR1020037009083A 2001-01-09 2001-12-22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 그의 제조방법 및 적층 안전유리에 사용될 필름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KR100809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0681A DE10100681B4 (de) 2001-01-09 2001-01-09 Weichmacherhaltige Polyvinylbutyra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Folien zum Einsatz in Verbundsicherheitsgläsern
DE10100681.0 2001-01-09
PCT/EP2001/015302 WO2002055595A1 (de) 2001-01-09 2001-12-22 Weichmacherhaltige polyvinylbutyra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folien zum einsatz in verbundsicherheitsgläs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589A KR20030072589A (ko) 2003-09-15
KR100809198B1 true KR100809198B1 (ko) 2008-02-29

Family

ID=767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083A KR100809198B1 (ko) 2001-01-09 2001-12-22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 그의 제조방법 및 적층 안전유리에 사용될 필름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84679B2 (ko)
EP (1) EP1355980A1 (ko)
JP (1) JP4658449B2 (ko)
KR (1) KR100809198B1 (ko)
CN (1) CN1206269C (ko)
BR (1) BR0116730A (ko)
CZ (1) CZ20031854A3 (ko)
DE (1) DE10100681B4 (ko)
HU (1) HUP0401037A3 (ko)
MX (1) MXPA03006124A (ko)
RU (1) RU2277107C9 (ko)
TW (1) TWI264450B (ko)
WO (1) WO200205559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50B1 (ko) * 2011-11-03 2013-08-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황변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8772A (ko) * 2013-06-10 2016-02-17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2종 이상의 수지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중간층
KR20170093222A (ko) * 2014-12-08 2017-08-14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조성물, 층 및 중간층을 위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배합물
KR20170093930A (ko) * 2014-12-08 2017-08-16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조성물, 층, 및 중간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12150T2 (de) 2003-08-01 2007-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Wässriges Flüssigwaschmittel enthaltend sichtbare Teilchen
DE10343385A1 (de) * 2003-09-19 2005-04-14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Polyvinylacetal-haltige Zusammensetzungen, Folien und Verbundgläse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4043907A1 (de) * 2004-09-10 2006-03-16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Weichmacherhaltige PVB-Folien mit Etherbindungen enthaltenden Carbonsäureestern als Co-Weichmacher
US7238427B2 (en) * 2004-11-02 2007-07-03 Solutia Incorporated Fire resistant polymer sheets
DE102004000053A1 (de) * 2004-11-23 2006-05-24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Verbundverglasungen mit hoher Energieaufnahme und hierfür geeignete Zwischenschichtfolien
ATE384759T1 (de) * 2005-09-13 2008-02-15 Kuraray Europe Gmbh Weichmacherhaltige pvb-folien mit etherbindungen enthaltenden carbonsäureestern als co-weichmacher
CN1810884B (zh) * 2006-02-20 2010-05-12 佛山市南海区黄歧顺隆化工塑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增塑剂
KR101044062B1 (ko) * 2008-05-21 2011-06-23 김덕규 해충방제용 수목 보호대
EP2153989B1 (de) * 2008-08-01 2021-09-29 Kuraray Europe GmbH Mehrschichtfolien aus weichmacherhaltigem Polyvinylacetal mit schalldämpfenden Eigenschaften
US8551621B2 (en) * 2008-09-30 2013-10-0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20130074931A1 (en) 2011-09-22 2013-03-28 Wenjie Chen Polymer interlayers comprising epoxidized vegetable oil
CN103171121B (zh) * 2011-12-26 2016-01-20 上海晶棠安全玻璃技术应用研究中心 一种太阳能光伏发电用pvb夹胶膜制造方法
CN103317783B (zh) * 2013-07-03 2015-07-08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 复合防火玻璃合片液、其制备方法及复合防火玻璃
US9180647B2 (en) * 2013-11-01 2015-11-10 Solutia Inc. High flow polymer interlayers for laminated glass
CN106660866B (zh) * 2014-09-30 2020-03-10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夹层玻璃和夹层玻璃用中间膜的制造方法
US10252500B2 (en) 2014-10-02 2019-04-09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 resisting defect formation
US9809010B2 (en) 2014-10-15 2017-11-07 Solutia Inc. Multilayer interlayer having sound damping properties over a broad temperature range
US9355631B2 (en) 2014-10-15 2016-05-31 Solutia Inc. Multilayer interlayer having sound damping properties over a broad temperature range
US9849654B2 (en) 2014-10-29 2017-12-26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comprising a compatibilizer
US9815976B2 (en) 2014-12-08 2017-11-14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573329B2 (en) 2014-12-08 2017-02-21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PL3230370T3 (pl) * 2014-12-08 2021-01-25 Solutia Inc. Kompozycje, warstwy i międzywarstwy żywicy poli(acetalu winylu) o ulepszonych właściwościach optycznych
US9758662B2 (en) 2014-12-08 2017-09-12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US9884957B2 (en) 2014-12-08 2018-02-06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522517B2 (en) 2014-12-08 2016-12-20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926431B2 (en) 2014-12-08 2018-03-2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US9809009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 having improved optical an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9975315B2 (en) * 2014-12-08 2018-05-22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09006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9586386B2 (en) 2014-12-08 2017-03-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10354636B2 (en) 2014-12-08 2019-07-16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WO2016094203A1 (en) * 2014-12-08 2016-06-16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20160159051A1 (en) 2014-12-08 2016-06-09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587086B2 (en) 2014-12-08 2017-03-07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09695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10005899B2 (en) 2014-12-08 2018-06-26 Solutia Inc. Blends of poly(vinyl acetal) resins for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EP3230061B1 (en) * 2014-12-08 2020-05-2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WO2016094204A1 (en) * 2014-12-08 2016-06-16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US9925746B2 (en) 2014-12-08 2018-03-2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724899B2 (en) 2014-12-08 2017-08-08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US9963583B2 (en) 2014-12-08 2018-05-08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586387B2 (en) 2014-12-08 2017-03-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40617B2 (en) 2014-12-08 2017-12-12 Solutia Inc. Blends of poly(vinyl acetal) resins for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669605B2 (en) 2014-12-08 2017-06-06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US10553193B2 (en) 2014-12-08 2020-02-04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WO2016159207A1 (ja) * 2015-03-31 2016-10-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0428167B2 (en) 2015-04-05 2019-10-01 Solutia Inc. Esterified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US20170015082A1 (en) * 2015-07-16 2017-01-19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having enhanced surface roughness
US20170361579A1 (en) * 2016-06-20 2017-12-21 Solutia Inc. Interlayers comprising optical film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10668790B2 (en) 2016-06-20 2020-06-02 Solutia Inc. Interlayers comprising optical film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10611906B2 (en) 2016-06-21 2020-04-0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737470B2 (en) 2016-06-21 2020-08-11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926516B2 (en) * 2016-06-21 2021-02-23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589495B2 (en) 2016-06-21 2020-03-1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668691B2 (en) 2016-06-21 2020-06-02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4230A1 (en) * 1995-12-29 1997-07-10 Monsanto Company Plasticized polyvinyl butyral and shee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6978A (en) * 1953-07-30 1960-10-18 Tennessee Products And Chemica Polyalkylene glycol dibenzoates, process of making same and resinous compositions plasticized therewith
US3539442A (en) * 1967-12-15 1970-11-10 Monsanto Co Laminated articles comprising polycarbonate sheet bonded to layer of plasticized polyvinyl acetal
US3558418A (en) * 1968-05-22 1971-01-26 Ncr Co Blocking-resistant plasticizer articles,compositions and processes
US3841955A (en) * 1972-12-07 1974-10-15 Monsanto Co Plasticized polyvinyl butyral interlayers
US4009136A (en) * 1974-06-05 1977-02-22 Rohm And Haas Company Multicolor coating compositions
DE2453780C3 (de) 1974-11-13 1980-01-03 Hoechst Ag, 6000 Frankfurt Polyvinylbutyralgemisch zum Herstellen von Zwischenfolien für Verbundgläser
DE2820780A1 (de) * 1978-05-12 1979-11-15 Dynamit Nobel Ag Weichmacherhaltige folien aus teilacetalisierten polyvinylalkoholen
JPS6112306A (ja) * 1984-06-25 1986-01-20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セラミツク・シ−ト用の流し込み成型用スラリ−生成方法
US4792464A (en) * 1987-06-01 1988-12-20 Martenson Irvin W 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US5032216A (en) * 1989-10-20 1991-07-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on-photographic method for patterning organic polymer films
US5137954A (en) * 1991-09-30 1992-08-11 Monsanto Company Polyvinyl butyral sheet
EP1104783A1 (de) * 1999-11-29 2001-06-06 Dunlop Tech GmbH Boden- oder Wandbela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4230A1 (en) * 1995-12-29 1997-07-10 Monsanto Company Plasticized polyvinyl butyral and sheet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A-24 53 780
US-A-2,956,978
US-A-5,137,954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50B1 (ko) * 2011-11-03 2013-08-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황변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8772A (ko) * 2013-06-10 2016-02-17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2종 이상의 수지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중간층
KR20160019927A (ko) * 2013-06-10 2016-02-22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중합체 중간층
KR102166194B1 (ko) * 2013-06-10 2020-10-15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중합체 중간층
KR102291359B1 (ko) 2013-06-10 2021-08-18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2종 이상의 수지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중간층
KR20170093222A (ko) * 2014-12-08 2017-08-14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조성물, 층 및 중간층을 위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배합물
KR20170093930A (ko) * 2014-12-08 2017-08-16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조성물, 층, 및 중간층
KR102530333B1 (ko) * 2014-12-08 2023-05-08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조성물, 층 및 중간층을 위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배합물
KR102552227B1 (ko) * 2014-12-08 2023-07-05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조성물, 층, 및 중간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3124654A (ru) 2005-01-10
DE10100681A1 (de) 2002-07-11
JP4658449B2 (ja) 2011-03-23
RU2277107C2 (ru) 2006-05-27
US6984679B2 (en) 2006-01-10
EP1355980A1 (de) 2003-10-29
HUP0401037A2 (hu) 2004-08-30
RU2277107C9 (ru) 2006-11-20
CN1206269C (zh) 2005-06-15
MXPA03006124A (es) 2005-02-14
WO2002055595B1 (de) 2003-06-26
WO2002055595A1 (de) 2002-07-18
TWI264450B (en) 2006-10-21
KR20030072589A (ko) 2003-09-15
US20040065229A1 (en) 2004-04-08
CZ20031854A3 (cs) 2004-05-12
HUP0401037A3 (en) 2005-03-29
CN1484671A (zh) 2004-03-24
JP2004522830A (ja) 2004-07-29
DE10100681B4 (de) 2005-11-24
BR0116730A (pt) 200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198B1 (ko) 가소화된 폴리비닐 부티랄, 그의 제조방법 및 적층 안전유리에 사용될 필름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KR100554212B1 (ko) 부분 아세틸화된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가소성시이트
US5137954A (en) Polyvinyl butyral sheet
EP1291333B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01835722B (zh) 夹层玻璃用中间膜以及夹层玻璃
EP0877665B1 (en) Plasticized polyvinyl butyral and sheet
US6835784B2 (en) High-molecular, cross-linked polyvinyl butyral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ir use
DE10343385A1 (de) Polyvinylacetal-haltige Zusammensetzungen, Folien und Verbundgläse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RU2325408C9 (ru) Пленка, пригодная в качестве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слоя в триплексах, содержащий ее триплекс и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или хранения накатанной без прокладки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 в рулон пленки
US5466751A (en) Plasticized polymer moldings made from modified polyvinyl butyrals
JPS60245660A (ja) 可塑剤含有の熱可塑性ポリビニルブチラール成形材料の対ガラス接着力を低下させる方法
KR102530333B1 (ko)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조성물, 층 및 중간층을 위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배합물
JPH062859B2 (ja) 可塑剤含有の熱可塑性ポリビニルブチラール成形材料の対ガラス接着力を低下させる方法
US6984690B2 (en) High-molecular-weight cross-linked polyvinyl butyrals, their use,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H0128775B2 (ko)
JPH10114553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H1013949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H10182195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