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205B1 -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디플렉터 부재, 쿨런트/필터 수단지지부재, 쿨런트 및 하우징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디플렉터 부재, 쿨런트/필터 수단지지부재, 쿨런트 및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205B1
KR100755205B1 KR1020027010885A KR20027010885A KR100755205B1 KR 100755205 B1 KR100755205 B1 KR 100755205B1 KR 1020027010885 A KR1020027010885 A KR 1020027010885A KR 20027010885 A KR20027010885 A KR 20027010885A KR 100755205 B1 KR100755205 B1 KR 10075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housing
gas
gas generato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339A (ko
Inventor
미야지가츠히토
이와이야스노리
야마자키마사유키
나카시마요시히로
하토모토아츠시
Original Assignee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447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331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447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331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1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399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886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75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369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5611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통형상부로서, 적어도 하우징의 둘레벽면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차폐가능하게 형성된 디플렉터 부재. 위치결정, 작동가스의 숏 패스의 방지, 완충 및 전열방지기능을 가지고, 하우징의 끝면측에 대향배치되는 고리형상부와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주에 맞닿는 벽부를 포함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철망을 적층한 통형상이 쿨런트/필터 수단. 점화기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함과 동시에, 전체의 높이를 억제한 가스발생기를 제조하는 점에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가스발생기용 하우징으로,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는 삽입되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접속부분을 구비하고, 이 접속부분은 개구부가 형성된 측의 단면보다도 하우징 중심측의 설치되는 가스발생기용 하우징. 이들 부재의 어느 것인가를 가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Figure 112002026878771-pct00001
에어백, 가스발생기, 점화기, 전화약, 쿨런트, 필터, 디퓨저 셸, 클로저 셸, 충격센서, 하우징.

Description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디플렉터 부재,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쿨런트 및 하우징{AIRBAG GAS GENERATOR, DEFLECTOR MEMBER, COOLANT/FILTER MEANS SUPPORT MEMBER, COOLANT, AND HOUSING}
본 발명은, 충격으로부터 승차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특히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긴 연소생성물을 제거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성부재, 구체적으로는, (1)디플렉터 부재, (2)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및 (3)숏 패스를 방지하는 하우징이다. 또, (4)철망에 의한 쿨런트이다. 또, (5)점화기 입구도 굽은 부분을 가지는 하우징이다.
더욱이, 이것을 사용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비롯하여 각종 차량에는, 이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했을 때에, 가스에 의해 급속하게 팽창된 에어백(자루체)으로 탑승자를 지지하여,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핸들이나 전면유리 등의 차량 내부의 딱딱한 부분에 격돌하여 부상하는 것 등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통상, 이 에어백장치는, 센서, 콘트롤 유닛, 및 패드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패드모듈은, 모듈케이스, 에어백, 및 가스발생기 등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핸들에 부착되어 있다.
이 중 가스발생기는, 충격에 의해 점화수단이 작동하면, 이것에 의해 가스발 생수단이 연소하여 고온·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발생한 가스가 가스배출구로부터 에어백(자루체)내에 분출함으로써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고, 핸들과 승차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 이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는 고온이고, 또 가스발생수단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 작동가스 속에 연소 부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 제공되어 있는 가스발생기에서는, 그 하우징 내에, 작동가스 속에 포함되는 연소생성물을,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정화하기 위한 필터 수단이나 쿨런트/필터 수단을 배열설치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 제공되고 있는 필터 수단이나 쿨런트/필터 수단은, 일반적으로 철망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동가스 속으로부터 고형의 연소생성물을 제거할 수는 있어도,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의 상태로 생성되는 연소생성물을 제거할 수는 없다. 게다가, 가스발생수단이 연소에 의해 알칼리성 미스트를 생기게 하는 경우에는, 이 알칼리성 미스트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테인리스강제의 필터 수단이나 쿨런트 수단 등과의 화학반응을 포함하는 이들의 에로젼(erosion)에 의해 고온열입자를 새롭게 발생시켜, 이것이 하우징 밖으로 방출될 우려도 있다.
또, 종래 제공되고 있는 가스발생기에서는, 그 하우징 내에, 작동가스 속에 포함되는 연소생성물을,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정화하고, 또 작동가스를 냉각하기 위해, 통형상으로 형성된 필터 수단이나 쿨런트/필터 수단이 배열설치되 어 있다.
또, 이 통형상의 필터 수단 등은,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를 가스배출구로부터 배출하기 전에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것이므로, 가스발생수단은, 이 통형상 필터 수단 등의 중공부내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필터 수단이나 쿨런트/필터 수단은,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한정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 가스발생수단이 연소함으로써 작동가스를 생기게 하는 가스발생기이면, 그 대부분에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필터 수단이나 쿨런트/필터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이 쿨런트/필터 수단은, 가스발생수단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점에서는 이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작동가스의 통과시에도 이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통상, 하우징 내의 상하 내면에서 끼워지지하는 등, 각종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가스발생기의 제조상 및 작동상에서의 쿨런트/필터 수단이 달성하는 역할을 고려하면, 단지 하우징내에 고정하는 것만으로는 아직 불충분하고, 더욱이 쿨런트/필터 수단의 작용에 기인하는 다양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즉,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안전성을 고려하면, 모든 작동가스가 이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이 쿨런트/필터 수단은, 가스발생기의 제조시에 가스발생수단을 충전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면, 그 배치장소는 항상 일정한 장소로 확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이,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가스발생제의 종류 등에 의해서는 하우징이 고온으로 되고, 이것에 접촉된 에어백은 손상을 받을 우려도 있으므로, 적어도 가스배출구측의 하우징에는, 이러한 가스발생기내에서 발생된 열이 전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쿨런트/필터 수단을 하우징 내에 고정할 시에도, 그 고정은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전과 같이, 단지 쿨런트/필터 수단을 하우징 내에 고정하는 것만으로는, 이들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쿨런트 수단을 통과한 작동가스는, 그 후 하우징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데, 쿨런트 수단의 효과적인 사용의 관점에서, 작동가스가 가스배출구 근방의 쿨런트 수단을 통과하는 사태를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가스발생기의 와곽용기는, 종래, 각종 금속을 사용하여, 주조·단조 또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데, 그 제조시에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한 다음, 보다 간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전의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쿨런트 수단과 하우징의 조합구조에 관해서는, 제조코스트, 제조공정 및 작동안전성 등의 관점에서 아직 개선의 여지를 갖고 있다.
즉, 이 쿨런트 수단은, 작동가스가 통과함으로써 압력을 받으므로, 그 고정은 확실하게 행해질 필요가 있고, 또 가스발생기의 제조시에는, 가스발생수단을 충전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면, 그 배치장소는 항상 일정한 장소에 확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안 전성을 고려하면, 모든 작동가스가 이 쿨런트 수단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조공정이나 제조코스트를 고려하면,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면서도, 더욱 간이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전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이러한 쿨런트 및/또는 필터로서, 주로 작동가스를 정화하는 쿨런트와 주로 작동가스를 냉각하는 필터를 동시에 사용하든지, 또는 적층 철망체를 압축형성하여 공극구조를 조밀하게 하고, 작동가스의 냉각과 정화를 함께 행하는 쿨런트/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 쿨런트와 필터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에는, 그것을 위한 수용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용기 전체도 필연적으로 커지지 않을 수 없고, 또 2개의 부품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제조공정· 및 제조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 또, 쿨런트/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것은 작동가스의 냉각기능과 정화기능을 겸비하므로, 그것을 위한 수용공간을 삭감할 수 있지만, 이 쿨런트/필터를 성형하기 위한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서, 작동가스의 냉각 및 정화를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쿨런트나 필터에 관해서는, 종래, 기능면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행해지고 있고, 제조 용이성이나 제조코스트의 관점에서는 아직 충분한 것이라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에서,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화수단은, 가스발생기의 작동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 이 점화기는, 하우징 밖에 배치된 컨트롤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컨트롤 유닛은, 충격을 감지한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령하여 충격의 정도를 판단하고,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 점화기의 배치시에는, 컨트롤 유닛으로부터의 작동신호를 수령하기 위해, 컨트롤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하우징으로부터 노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종래 제공되고 있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서는, 하우징에는, 이 점화기를 수용·고정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의 가장자리는, 하우징의 외측에 통형상으로 돌기하듯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에어백(자루체) 등과 함께 모듈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이 모듈케이스가, 운전석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조수석에서는 계기판 내에 배치되므로, 보다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운전석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가스발생기의 높이는, 그대로 핸들의 두께에 영향을 부여하므로, 하우징 전체의 축방향 길이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연소생성물을 제거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성부재, 구체적으로는, (1)디플렉터 부재, (2)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숏 패스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하우징 및 (4)적층한 철망에 의한 쿨런트이다. 또, (5)점화기 입구도 굽은 부분을 가지는 하우징이다. 더욱이, 이것을 사용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구성부재를 적어도 1개 사용하는 가스발생기와 에어백장치이고, 복수로 조합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l), (2) 또는 (3) 등에 의해 가스유로를 규제, 제어함으로써, 연소찌꺼기 등의 유출을 막고, 화염 등의 이상 연소가스의 영향을 피하고, 바람직한 가스유출을 얻는 방법이다.
이하 각각을 설명한다.
(1) 디플렉터 부재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고, 간이한 구조이면서도, 가스배출구로부터 방출되는 작동가스중에, 연소생성물을 극히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하기 위한 구성부재, 및 이것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디플렉터 부재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한 작동가스중에 잔존하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디플렉터 부재는,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 내에서 냉각 및/또는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구성부재로서, 통형상의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대향 배치가능한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통형상부는, 적어도, 이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둘레 벽면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차폐가능한 형상 및/또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디플렉터 부재는, 가스발생기내에 배치된 경우에,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이, 가스배출구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저지하고, 또 가스발생수단을 착화하기 위한 점화수단의 화염이, 가스배출구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형상 및/또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 디플렉터 부재는,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대향배치 가능한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에,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여 가스배출구를 향하는 작동가스를 충돌시키는 등에 의해, 그 속에 포함되는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의 연소생성물을 부착시켜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디플렉터 부재에 포함되는 통형상부는, 디플렉터 부재를 하우징 내에 배치한 경우에,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둘레 벽면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차폐가능한 형상 및/또는 구조, 또는 쿨런트/필터 수단에 대한 가스배출구의 수평 투영부분을 덮는 형상 및/또는 구조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통형상부를 이와 같은 형상(길이를 포함함)/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가스발생기내에 사용한 상태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한 작동가스는, 가스배출구에 도달하기 전에 통형상부에 부딪쳐, 그 흐름이 바뀐다.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한 작동가스가 디플렉터 부재의 통형상부에 부딪치면, 그 속에 포함되는 연소생성물이 통형상부에 부착되어, 또는 디플렉터 부재와의 충돌에 의해 하우징 내에 퇴적되어, 하우징 내에 유치된다. 이것에 의해, 가스배출구로부터의 고체물의 배출이 저지되고, 에어백이 손상을 받는 사태를 한층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디플렉터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통형상부와, 이 통형상부에 일체상으로 형성된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리형상부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이것을 하우징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그 통형상부가, 쿨런트/필터 수단이나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 작동가스의 유로로 되는 간극을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형상부의 내경은, 부분적으로, 그 디플렉터 부재가 사용되는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경보다도 크게 또한 하우징 벽부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통형상부의 상부내경을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중부 및 하부의 내경은, 상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또한 하우징벽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디플렉터 부재는, 통형상부에 작동가스를 충돌시켜서, 그 속에 포함되는 연소생성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디플렉터 부재는, 작동가스의 압력에 의해 절곡되지 않고, 또 가스배출구를 폐색하지 않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통형상부의 하단에, 선단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한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도 구체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가 하우징 내주면에 맞닿아서, 통형상부를 지지, 작동가스의 압력에 의한 팽출을 저지할 수 있다. 통형상부 하단에 플랜지형상의 지지부를 형성한 경우, 이 지지부에는, 작동가스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통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 기부로서는, 이 지지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든지, 또는 그 둘레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 둘레에 걸쳐, 톱니 형상이나 기어 형상으로 잘라냄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디플렉터 부재는, 더욱이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연소 부생성물, 즉, 유동체, 반유동체 또는 고체의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외에, 더욱이 점화수단이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긴 화염이, 가스배출구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염판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디플렉터 부재의 통형상부에,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는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를 설치한 경우, 이 고리형상부의 중앙개구의 내경을 규제하여, 그 내측 가장자리 끝면을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내통부재의 끝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이 디플렉터 부재의 배치시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통부재에 플랜지형상의 용접대를 형성하고, 이 용접대를 디퓨저 셸 내면에 용접한 경우, 고리형상부의 중앙개구의 내경은 당해 용접대의 외경에 맞추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통형상부를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통형상부와 고리형상부 사이의 곡부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또 가스발생기 작동시에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 끝면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소위 숏 패스를 저지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이 곡부에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동시에 밀착·맞닿게 함으로써도 행할 수 있다.
이 고리형상부를, 적어도, 그 두께방향으로 적당히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형성한 경우, 이 고리형상부의 탄성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형상부를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하든지, 또는 절곡하여 적당한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형상이나 구조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고리형상부를 적당한 단열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작동가스의 냉각에 의해 상승된 쿨런트/필터 수단의 열이, 디퓨저 셸에 전해지고, 에어백에 손상을 부여하는 사태를 한층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형상부중, 적어도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존재하는 부분을 수지 등의 단열부재로 형성하든지, 또는 절곡하는 등, 쿨런트/필터 수단과 디퓨저 셸 내면 사이에 단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고리형상부에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주면에 맞닿는 형상의 벽부를 형성하여, 이 벽부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이나,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 끝면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소위 숏 패스를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벽부와 통형상부 사이의 폭은,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부와 통형상부 사이의 폭을 이와 같이 조정하면, 양자간에 쿨런트/필터 수단을 끼워지지할 수 있고, 디플렉터 부재에 의한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 및 고정, 및 숏 패스 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통형상부,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 및/또는 고리형상부 에 형성되는 벽부로 형성되는 디플렉터 부재는, 단일부재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을, 프레스 성형하는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디플렉터 부재를 단일의 부재로 형성하면,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제조시에, 1의 부재를 형성 및 배치하면, 작동가스의 숏 패스 방지, 작동가스의 정화 및/또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지지를 겸비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디플렉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도 제공한다. 이 가스발생기에서는, 작동가스 속에 포함되는 연소생성물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 외주면과 하우징 둘레벽부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작동가스의 유로로 되는 공간부가 확보되고, 이 공간부에는,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여 가스배출구를 향하는 작동가스의 흐름을 전향하는 형상 및/또는 구조의 디플렉터 부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 외주면과 하우징 둘레벽부 내주면 사이에,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연소 부생성물, 즉, 유동체, 반유동체 또는 고체의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재를 배치한 가스 발생기, 및 점화수단이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긴 화염이, 가스배출구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염판을 배치한 가스발생기도 제공한다.
상기의 디플렉터 부재는, 더욱이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 외주면과 하우징 둘레벽부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작동가스의 유로로 되는 공간부를 확보하여 디플렉터 부재의 일부를 배치하고, 이 공간부에 존재하는 부분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여 가스배출구를 향하는 작동가스의 흐름을 전향하도록 형성·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플렉터 부재 내, 당해 공간부내에 존재하는 부분은, 쿨런트/필터 수단에도 하우징 내주면에도 접하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디플렉터 부재와 쿨런트/필터 수단 사이, 및 디플렉터 부재와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확보되고, 이 간극을 작동가스의 유로로 할 수 있다.
하우징 내의 중앙에, 플랜지부를 하우징 끝면에 접속한 내통부재를 배치한 경우, 이 내통부재의 플랜지부 외경과, 디플렉터 부재를 구성하는 고리형상부에 형성된 중앙개구의 내경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의 조합에 의해, 디플렉터 부재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통형상 하우징의 내주면과 대향배치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통형상부와, 이 통형상부 상단에 내향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된 고리형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플렉터 부재를, 쿨런트/필터 수단의 근방에 배치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서 는, 고리형상부를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게 하고, 통형상부로서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디플렉터 부재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 및/또는 지지를 행할 수 있다.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덮는다는 것은, 예를 들면 통형상으로 형성된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부분적, 즉 축방향 소정의 길이를 덮는다는 것의 의미이다. 또, 이 디플렉터 부재의 통형상부 상끝부를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에 맞닿게 함으로써,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는 일 없이 배출되는 소위 숏 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디플렉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발생기에서는, 이 디플렉터 부재로,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 및/또는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은, 예를 들면 디플렉터 부재를 내향 플랜지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통형상부의 플랜지측(즉 상끝측)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쿨런트/필터 수단을 지지함으로써,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시에도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가스발생기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발생기의 외각용기를 형성하는 하우징은, 둘레벽에 가스배출구를 형성한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과의 조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양 셸은 철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각종 강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또 개구부끼리를 각종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쿨런트/필터 수단은, 적어도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를 냉각하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쿨런트/필터 수단으로서는, 금속제 철망을 적층형상으로 감아 돌려서 형성한 것이나, 익스팬디드 메탈을 다층으로 감아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당연히, 금속제 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을 다층으로 감아서 형성된 것이면,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긴 연소생성물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점화수단은,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착화식 점화기만으로 구성하는 이외에, 더 필요에 따라서 이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착화·연소되고,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기 위한 열가스·미스트를 생기게 하는 전화약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연소에 의해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가스발생수단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나트륨아지드(아지화 나트륨) 등의 무기아지드에 근거하는 아지드계 가스발생수단이나, 무기아지드에 근거하지 않는 이른바 비아지드계 가스발생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는, 그 연소에 의해, 유동체나 반유동체의 연소생성물을 생기게 하는 가스발생수단이나, 연소에 의해 알칼리성 미스트를 생기게 하여 쿨런트/필터 수단을 에로젼화 하는 가스발생수단을 사용한 경우에, 한층 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디플렉터 부재는, 작동가스를 충돌시킴으로써, 그 속에 포함되는 연소생성물을 부착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작동은, 작동신호에 의해 점화수단이 작동하면, 점 화수단으로부터 생기는 화염이나 열미스트는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켜서,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시킨다. 통상, 이 작동가스 속에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긴 연소생성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시키는 사이에, 그 일부를 정화할 수도 있다. 그 때, 연소생성물이 유동체나 반유동체인 상태의 경우에는, 그 쿨런트/필터 수단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없는 것이 되는데, 이러한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한 연소생성물은, 디플렉터 부재에 충돌후 하우징 내에 퇴적되든지 또는 디플렉터 부재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와, 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을 수용하는 모듈케이스를 포함하여 에어백장치로 할 수 있다. 가스발생기는, 발생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되는 에어백(자루체)과 함께 모듈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패드모듈로서 제공된다. 이 가스발생기가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착화식 점화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 패드모듈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이 충격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가스발생기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과 함께 조합되어 에어백장치로 된다.
에어백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것에 기인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고, 하우징의 가스배출구로부터 연소가스를 배출한다. 이 연소가스는 에어백 내에 유입되고,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깨고 팽출하여, 차량속의 딱딱한 구조물과 승차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간이한 구조이면서도, 가스발생수단의 연소로부터, 하우징 내에서 발생되는 고체물의 배출을 억제하고, 또 점화수단의 연소에 의한 화염이 직접 배출되지 않는 가스발생기를 제공할 수 있다.
(2)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쿨런트/필터 수단에 기인하는 과제를 해결 가능하게 하면서도, 더욱 간이한 구조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 하기 위한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및 이것을 사용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구성부재는, 가스발생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①쿨런트/필터 수단을 배치할 때 및/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및/또는 ②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지 않는 숏 패스를 방지하고, 및/또는 ③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열이, 가스배출구측을 형성한 측의 하우징 끝면에 전도되는 것을 저지하고, 및/또는 ④탄성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을 확실하게 유지·고정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이다.
즉,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 내에서 냉각 및/또는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구성부재로서, 적어도 통형상 하우징 내의 어느 일방의 끝면측에 대향배치되는 고리형상부와,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주면에 맞닿는 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 터 수단 지지부재이다.
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벽부는, 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하우징 내에 배열설치한 상태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 내주면에 맞닿게 하고,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소위 숏 패스를 저지하거나,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하거나 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벽부는, 예를 들면, 고리형상부를 둘레방향에 걸쳐, 절단면「U」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고리형상부에 연직상으로 접속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절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벽부를 형성한 경우, 그 절곡된 부분의 외측이 고리형상부에 대하여 연직한 면을 가지고, 또 절곡한 부분의 내측은 고리형상부의 중심을 향해서 경사지는 것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부의 외측에 연직한 면을 형성함으로써, 당해 연직면이 확실하게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면에 접할 수 있다. 이 벽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스발생기를 조립하는 공정에서, 진동 등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가 어긋나고, 그 아래에 가스발생수단이 들어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을 거꾸로 하여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배치하고, 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에서 위치결정하여 통형상의 쿨런트/필터 수단을 배치한 경우, 쿨런트/필터 수단의 중공부 내에 충전된 가스발생수단은, 가스발생기 제조시에 진동 등으로 쿨런트/필터 수단이 요동되어, 그 아래에 들어가는 것이 걱정된다. 그러나, 벽부를 이와 같 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가스발생제는 벽부와 쿨런트/필터 수단 사이에 들어가지 않고, 따라서 쿨런트/필터 수단의 아래에 가스발생수단이 들어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의 일부를 구성하여 하우징의 끝면과 대향으로 배치되는 고리형상부에는, 그 둘레 가장자리에, 쿨런트/필터 수단측을 향해서 절곡하는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하우징 내에 배열설치한 상태에서, 절곡부를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에 맞닿도록 형성함으로써, 가스발생기 작동시에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소위 숏 패스를 저지하고, 또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절곡부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의 고리형상부를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게 하여 배치한 경우에,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곡부로부터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면을 따라서 뻗는 부분의 길이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를 폐색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절곡부와 벽부 사이의 거리를,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반경방향에서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양자간에 쿨런트/필터 수단을 끼워지지할 수 있고,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이나 고정 등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 고리형상부의 중심에 중앙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원형부의 내측 가장자리가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내통부재의 끝면에 맞닿도록, 이 중 앙개구의 내경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내통부재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가 위치결정되고, 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의 고리형상부는, 하우징 내에 배열설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는 부분이, 그 두께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리형상부를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하든지, 또는 절곡하여 적당한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형상이나 구조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만약 하우징 내에 배치된 통형상의 쿨런트/필터 수단이 축방향으로 신축하지 않는 것이라도, 이 쿨런트/필터 수단의 배치시에, 당해 부분이 완충부로 되고, 또 그 탄성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을 하우징 상하 내면사이에 끼워지지할 수 있다.
또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하우징 내에 배열설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는 부분이, 쿨런트/필터 수단으로부터 하우징으로의 전열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리형상부중, 적어도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존재하는 부분을 수지 등의 단열부재로 형성하든지, 또는 절곡하는 등, 쿨런트/필터 수단 디퓨저 셸 내면 사이에 단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동가스의 냉각에 의해 상승된 쿨런트/필터 수단의 열을, 하우징에 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에어백에 대해 손상을 부여하는 사태를 한층 더 회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끝면에 대향하는 고리형상부, 이 고리형상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곡부, 및/또는 고리형상부에 형성되는 벽부로 형성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단일부재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을, 프레스성형 하는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단일의 부재로 형성하면,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제조시에, 1의 부재를 형성 및 배치함으로써, 작동가스의 숏 패스 방지, 쿨런트/필터 수단으로부터 하우징으로의 열전도의 저지, 쿨런트/필터 수단의 완충, 및/또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지지의 효과를 누릴 수 있고, 그 제조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그 벽부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을 배치할 때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당해 벽부는, 적어도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를 지지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내주면에 맞닿는 통형상의 벽부를 고리형상부와 일체형성하고, 이 벽부에서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내주면을 포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는 소위 숏 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 벽부는, 필터 수단의 끝부내주면을, 그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 포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벽부는, 작동가스가, 벽부와 쿨런트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여,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을 통과하지 않도록,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의 고리형상부를, 세라믹스, 또는 세라믹 파이버 등과 같은 단열재료로 형성하든지, 또는, 단열용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가스배출구측을 형성한 측의 하우징 끝면에 전도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고리형상부를, 적어도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의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즉, 고리형상부의 두께방향)으로 신축자유롭게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든지, 또는 당해 방향으로 신축 자유로운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완충재로서, 그 탄성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을 확실하게 하우징 내에 유지·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에서, 적어도,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을 덮는 크기의 고리형상부와, 이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내주면을 덮는 크기의 내벽부를 일체형성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로 하면, ①쿨런트/필터 수단을 배치할 때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또한 ②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는 소위 숏 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 벽부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내면을, 그 둘레방향 전면에 걸쳐 덮도록 형성되고, 또한, 이 둘레벽면은,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내주면에 맞닿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내, 적어도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을 덮는 고리형상부를 단열부재로 형성하든지, 또는 공간을 확보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③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가스배출구측을 형성한 측의 하우징 끝면에 전도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또 이 고리형상부를, 적당한 탄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하든지, 또는 탄성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는 등, 그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축자유롭게 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④탄성에 의해 쿨런트/필터 수단을 확실하게 유지·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특히 쿨런트/필터 수단을 사용하는 화공식 가스발생기에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어, 제조 및 작동시에 매우 적합한 작용을 발휘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가 실현된다.
즉,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근방에는,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 끝면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고, 및/또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및/또는, 쿨런트/필터 수단으로부터 하우징으로의 전열을 저지하고, 및/또는, 탄성에 의해 하우징 상하 내면 사이에 쿨런트/필터 수단을 지지하는 단일부재로 형성된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이다.
이러한 가스발생기는, 예를 들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근방에, 상기 어느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그 고리형상부를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게 하고, 벽부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주면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쿨런트/필터 수단은,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에 의해 위치결정 및/또는 지지되어 있고,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압력에 의해서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 가스발생기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발생기의 외각용기를 형성하는 하우징은, 둘레벽에 가스배출구를 형성한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과의 조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양 셸은 철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각종 강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또 개구부끼리를 각종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쿨런트/필터 수단은, 종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가스를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금속제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쿨런트/필터 수단 이외에, 작동가스 속에 포함되는 연소생성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작동가스의 냉각기능도 달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 적층 철망체를 사용하여 복잡한 간극구조로 형성하고, 작동가스를 냉각함과 동시에, 이 작동가스 속의 연소잔사를 포집하는 쿨런트/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 본 발명에서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가, 그 두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형성된 경우에는, 이것이 완충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평직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을 사용하여 형성된 쿨런트/필터 수단과 같이 축방향으로 신축하기 어려운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쿨런트/필터 수단은, 통상,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스발생수단이 수용되는 개소의 외측에 배열설치된다. 이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에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팽출을 억제 저지하기 위해, 적층철망체, 다공원통체 또는 고리형상 벨 트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배치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에서는,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연소하여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으로서,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기아지드, 예를 들면 나트륨아지드(아지화 나트륨)에 근거하는 아지드계 가스발생제 이외에, 무기아지드에 근거하지 않는 비아지드계 가스발생제 등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특정한 가스발생수단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점화수단은, 작동신호 등에 기인하여 작동하고, 상기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착화식 점화기만으로 구성하는 이외에, 더욱 필요에 따라서 이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착화·연소하고,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기 위한 열가스·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전화약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이 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자루체)과 함께 모듈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에어백장치로 된다. 이 에어백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함으로써 연동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고, 하우징의 가스배출구로부터 작동가스를 배출한다. 이 작동가스는 에어백 내에 유입되고,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깨고 팽출하여, 차량속의 딱딱한 구조물과 승차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도시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에 의하면, 보다 간이한 구조이면서도, 필터 수단 끝면에서의 작동가스의 숏 패스를 방지하여, 모든 작동가스를 쿨런트/필터 수단으로 정화 및/또는 냉각할 수 있고, 에 어백에는 냉각된 깨끗한 작동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또,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기인하는 하우징의 온도상승을, 특히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측의 하우징 끝면에서 저감할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에 접촉함으로써 에어백의 손상을 한층 더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가스발생기의 제조시에도, 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쿨런트/필터 수단을 위치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스발생수단을 충전하는 공간을, 항상 일정한 장소에 확정할 수 있다. 또, 이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적어도 그 두께방향에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내면과 쿨런트/필터 수단 끝면 사이의 완충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탄성에 의해, 이 쿨런트 수단을 확실하게 하우징 내에 고정할 수 있다.
(3)숏 패스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하우징
본 발명은, 간이한 구조이면서도, 쿨런트 수단을 확실하게 지지·고정하고, 더욱 작동가스의 숏 패스를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 및 이것을 사용한 가스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하우징의 구조에 특징을 가지고 있고, 특히, 쿨런트 수단을 배치·고정하기 위한 조합구조에 특징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 내에서 냉각 및/또는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쿨런트 수단은, 그 끝부 외주 가장 자리가,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및/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및/또는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부에 밀착 및/또는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및/또는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段)부는,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및/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쿨런트 수단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끝부의 외주 가장자리를 밀착 및/또는 지지하여, 이 쿨런트 수단의 끝면과 이것에 접하는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통과(소위 숏 패스)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중, 하우징의 상끝부란,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천정면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고, 또 하끝부란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또, 가스발생기의 작동시란, 적어도,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가 쿨런트 수단을 통과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및/또는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부로의, 쿨런트 수단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가 밀착 및/또는 지지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전부터 행해지고 있어도 좋고, 가스발생기의 작동후(예를 들면 작동가스가 쿨런트 수단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행해져도 좋다.
쿨런트 수단은, 그 끝부 외주 가장자리를, 예를 들면 통형상 하우징의 끝부와 둘레벽부 사이에서의 절곡부의 내면에 밀착시켜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형상 하우징의 절곡부내면에 쿨런트 수단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를 밀착시킴으로써, 쿨런트 수단의 끝면과 이것에 접하는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통과 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은, 그 상끝측 및/또는 하끝측의 둘레벽부 내면이, 그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쿨런트 수단의 외측에 작동가스의 경로로 되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간극이 가스유로로 되어 기능하고, 쿨런트 수단의 전면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을,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의 개구끝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하는 경우, 적어도 어느 일방의 셸의 둘레벽부 내면을, 그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즉, 클로저 셸의 형성시에, 그 둘레벽부 내면이,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끝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서는, 역방향 원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외에, 일단 바닥면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확장되어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그것보다도 앞 부분을, 기립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단, 하우징의 제조용이성을 고려하면, 그 둘레벽부 내면을 역방향 원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절곡부를 보다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하우징 형상에 특징을 갖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즉, 가스발생기용 하우징으로서, 그 상끝측 및/또는 하끝측의 둘레벽부 내면이, 그 끝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도 제공한다.
하우징의 둘레벽부와, 하우징의 상끝부 및/또는 하끝부 사이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의 내면에 통형상의 쿨런트 수단의 외주 가장자리를 밀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스발생기 조립시에 쿨런트 수단의 위치결정이나, 가스발생기 조립후의 쿨런트 수단의 고정, 더욱이 가스발생기 작동시에 쿨런트 수단 끝면에서의 작동가스의 숏 패스를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은, 그 둘레벽부 내면과 상끝부 내면 및/또는 하끝부 내면과 이루는 각이, 90~15O도 정도의 내각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35도의 내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각도로 조정함으로써, 가스발생기 전체의 크기나 용적을 고려한 점에서, 최선의 간극폭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가스발생기 하우징은 극히 소형이고 또한 경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둘레벽부 내면과 상끝부 내면 및/또는 하끝부 내면과 이루는 각을 상기와 같이 조정하면,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소형화를 도모하면, 확실하게 가스유로로 되는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과 함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저 셸을 주조, 단조 또는 프레스가공 등에 의해 형성하고, 양 셸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양 셸의 접합은 각종 용접법, 예를 들면 전자빔 용접, 레이저 용접, 티그용접, 프로젝션 용접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은, 스테인리스 동판 등의 각종 강판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양 셸의 제조가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코스트의 저감도 달성된다. 또 양 셸의 절곡부를 극히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그 프레스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의 재료에 관해서는, 스테인리스강판이 바람직한데, 강판에 니켈도금을 시행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의 가스발생기에서는, 종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가스를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금속제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쿨런트 수단 이외에, 작동가스 속에 포함되는 연소생성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작동가스의 냉각기능도 달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적층철망체를 사용하여 복잡한 간극구조로 형성하고, 작동가스를 냉각함과 동시에, 이 작동가스 속의 연소잔사를 포집하는 쿨런트/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둘레벽부에 형성된 절곡부에서 쿨런트 수단을 지지·고정하는 것을 고려하여, 쿨런트 수단은,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서로 변형하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쿨런트 수단은, 적어도, 그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245O~19600N(250~2000kgf), 보다 바람직하게는 490O~14700N(5OO~1500kgf)로 형성되어 있는 등, 작동가스의 냉각 및/또는 정화시에, 그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팽출이 저지되는 강도로 형성된 쿨런트 수단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쿨런트 수단은, 예를 들면, 평직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쿨런트 수단의 외주에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팽출을 억제 저지하기 위해, 적층철망체, 다공원통체 또는 고리형상 벨트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배치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작동가스의 냉각 및/또는 정화시에, 그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하는 쿨런트 수단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쿨런트 수단의 경우, 이것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출된 쿨런트 수단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가,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및/또는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부에 밀착 및/또는 지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작동가스가 쿨런트 수단을 통과할 때에, 이 쿨런트 수단의 끝면과 이것에 접하는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의 작동가 스의 통과(소위 숏 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쿨런트 수단은, 가스발생기 작동 후에는, 그 끝부 외주 가장자리가, 하우징 내의 절곡부 또는 단부에 밀착 및/또는 지지되는, 또는 한층 더 밀착 및/또는 지지될 필요가 있고, 가스발생기 작동 개시전에는, 쿨런트 수단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와 하우징 내의 절곡부 또는 단부와의 밀착 및/또는 지지는 필수의 요건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연소하여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으로서는,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기아지드, 예를 들면 나트륨아지드(아지화 나트륨)에 근거하는 아지드계 가스발생제 이외에, 무기아지드에 근거하지 않는 비아지드계 가스발생제 등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특정한 가스발생수단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 점화수단은, 작동신호 등에 기인하여 작동하고, 상기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착화식 점화기만으로 구성되는 이외에, 더욱 필요하게 따라 이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착화·연소하고,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기 위한 열가스·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전화약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 내에는, 필요에 따라, 쿨런트 수단의 끝부 내주면을 포위하는 숏 패스 방지수단이나, 쿨런트 수단 끝면과 하우징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및/또는 단열부재, 또 쿨런트 수단의 외주면과 하우징 내벽면 사이에 확보되는 간극에 배치되고, 가스배출구를 차폐하는 디플렉터 부재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가공식 가스발생기에서 적합하게 사용되 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도 제공한다.
즉, 충격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통형상 하우징으로서, 이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및/또는 하끝부 내면에는,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및/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 수단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를 밀착 및/또는 지지하는 절곡부 또는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이다.
이 하우징을 실시할 때는, 상기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관하는 설명을 기초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이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자루체)과 함께 모듈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에어백장치로 된다. 이 에어백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것에 연동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고, 하우징의 가스배출구로부터 작동가스를 배출한다. 이 작동가스는 에어백 내에 유입되고,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깨고 팽출하여, 차량속의 딱딱한 구조물과 승차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이면서도, 쿨런트 수단이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한 압력을 받아도 이것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 가스발생기의 제조시에도, 쿨런트 수단을 항상 일정한 장소에 확정할 수 있고, 더욱이, 쿨런트 수단을 통과하지 않고 작동가스가 가스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소위 숏 패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이 실현된다.
이 하우징은 간이한 구조이므로, 그 제조는 용이하고 또한 제조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4)적층된 철망에 의한 쿨런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고, 가스발생기의 충분한 작동안전성을 확보한데다,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제조코스트를 삭감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및 이것을 사용한 가스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쿨런트/필터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서,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냉각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이것은 비교적 제조용이하고 또한 염가인 평직철망을, 통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제조용이하고 또한 제조코스트를 삭감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가 실현된다. 이 쿨런트/필터란, 작동가스의 정화 및 냉각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하는 것이고,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 및/또는 필터의 의미이다.
즉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냉각 및/또는 정화하기 위해 배치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철망을 적층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0℃에서 1OOO 리터/분의 유량으로 9.8~980Pa, 바람직하게는 98~980Pa 또는 9.8~98Pa의 압력손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압력손실은, 당해 쿨런트/필터를 가스발생기에 적용한 경우의 작용이나 기능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고 있다. 즉, 이 압력손실이 9.8Pa보다 작으면, 가스발생기에 사용된 경우에,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긴 작동가스 를 냉각·정화하는 기능(쿨런트/필터의 냉각·정화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게 되고, 또 압력손실이 980Pa보다 크면, 가스발생기에 사용된 경우에, 당해 작동가스의 통과에 지장을 초래했고, 그 결과, 가스발생기내(즉 하우징내)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쿨런트/필터의 작용이나 기능 등을 고려한 바, 더욱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압력손실을 상기와 같이 조정한 것이다.
이 쿨런트/필터의 압력손실은, 측정대상이 되는 쿨런트/필터의 내측으로부터 일정량의 공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즉, 통형상으로 형성된 쿨런트/필터의 양단 개구부중, 한쪽 끝부에는 공기를 보내는 관을 붙인 제 1 지지판을 부착하고, 또 일방의 한쪽 끝부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막는 제 2 지지판을 붙인다. 그리고 제 2 지지판에는 제 2 압력계를 부착한다. 원통형상의 쿨런트/필터의 한쪽 끝부에 고정된 제 1 지지판에 부착된 관으로부터 내부에 들어간 공기는, 전부 쿨런트/필터의 원통측면부로부터 외부로 흘러나오도록 한다. 이 때 일정량의 공기를 보내는 관은, 정확한 압력손실 측정을 위해, 단면적은 충분히 크고 내면이 평활한 것이어야 한다. 이 관은 일정량의 공기를 쿨런트/필터 내에 보내기 위한 제 1 유량계를 구비한다. 이 때 지지판과 쿨런트/필터의 끝부의 접촉면에는, 패킹 등의 실링수단을 시행하고, 지지판으로 쿨런트/필터를 강하게 끼워넣어, 접촉면으로부터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정량의 공기를 흐르게 하면, 통형상 쿨런트/필터 내에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그 측면부로부터 유출되어, 압력강하가 발견된다. 이것으로 쿨런트/필터의 통기저항을 정의할 수 있다. 즉 한쪽 끝부 의 제 2 지지판에 부착된 제 2 압력계가 나타낸 값을 그 쿨런트/필터의 압력손실값으로 한다.
이 쿨런트/필터는, 평직철망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통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평직철망이란, 2방향으로 뻗는 금속선재(이하「소선」이라고도 한다.)를 교차시켜서 조합시킨 것이고, 각종 선직경 및 공극밀도의 것이 제공되어 있다.
특히, 평직철망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경우, 당해 평직철망은, 각종 선직경 및 공극밀도의 것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선직경이나 부피밀도의 선택이 용이하고, 또 적층시킴으로써, 그 압력손실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상 및 생산코스트상에도 바람직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쿨런트/필터는, 0.1~3.5g/㎤의 부피밀도, 바람직하게는 1.0~3.5g/㎤, 또는 1.5~3.0g/㎤, 또는 2.0~3.0g/㎤의 부피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 부피밀도는, 2.4g/㎤보다 크게, 또는 3.5g/㎤보다도 작은 범위, 더욱 3.0g/㎤보다도 작은 범위에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쿨런트/필터는, 선직경 0.1~1.0mm의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는 철망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선직경 0.2~0.6mm의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는 철망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쿨런트/필터는, 상기의 선직경을 갖는 금속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이것을 가스발생기에 적용했을 때에, 작동가스에 의한 열손상을 받기 어려워지고, 또 작동가스의 충분한 냉각·정화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작동가스에 의한 열손상을 받기 어렵게 하는 것을 고려할 경우에는, 선직경이 0.3mm보다도 큰 금속선재, 나아가서는 선직경이 0.6mm보다도 큰 금속선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도, 상기 압력손실이나 부피밀도, 또는 1평방 인치당의 망목수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는, 2450~19600N(250~2000kgf)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900~14700N(500~1500kgf)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쿨런트/필터가 관련되는 인장강도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스발생기에 적용되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정화할 때에, 그 변형을 저지하고, 작동가스를 효과적으로 냉각·정화할 수 있다.
더욱이 쿨런트/필터의 제조시에는, 축방향으로 4900N(500kgf)의 힘을 가한 경우에서의 축방향의 압축대가, 압축전의 축방향 길이의 O.1~lO%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축대」란, 쿨런트/필터의 축방향으로 4900N(500kgf)의 힘을 가한 경우에, 그 축방향으로 축소되는 거리이고, 이것에 의해 축방향에서의 강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쿨런트/필터는, 1평방인치(645.16㎟)당의 망목수가 12~32인 철망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 망목수는 16~24인 철망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철망을 사용함으로써, 연소생성물의 포집 및 냉각효과를 확보하고 게다가, 열손상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이 1평방인치당의 망목수(메시의 수)를 많게 하면 연소생성물의 포집 및 냉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데, 열손상을 받기 쉬워지고, 또 메시의 수를 적게 하면, 이 반대로 되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부피밀도」 및「인장강도」는, 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쿨런트/필터를 평직철망으로 형성할 경우, 교차하는 2방향의 소선중, 어느 일방의 소선이 통형상 쿨런트/필터의 축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 소선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이 쿨런트/필터는, 축방향에 대한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타방의 소선을 통형상 쿨런트/필터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것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이 쿨런트/필터의 작동가스에 의한 변형방향(즉 반경방향)으로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제조시에도 각 소선끼리가 풀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제조하는 쿨런트/필터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평행으로 짜 가지 않으면 풀림의 원인이 되고, 성능상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쿨런트/필터를 이하와 같이 하여 성형할 수 있다.
즉, 스테인리스강 등, 각종 강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평직철망을, 원통체로 감아 돌려서 형성하고, 적어도 그 끝을 용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평직철망은, 예를 들면 선직경 0.1~1.Omm(바람직하게는 0.2~0.6mm)의 금속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서로 교차하는 선재끼리중, 어느 일방의 선재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감아서 형성할 수 있다. 철망의 감기회수 등에 관해서는, 0.1~3.5g/㎤(바람직하게는 1.0~3.5g/㎤, 또는 1.5~3.0g/㎤, 또는 2.0~3.0g/㎤)의 부피밀도를 가지고, 또 2O℃에서 1000 리터/분으로 9.8~980Pa(바람 직하게는 9.8~98Pa 또는 98~980Pa)의 압력손실을 가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2450~19600N(바람직하게는 490O~1470ON)로, 4900N의 힘으로 축방향으로 압축한 경우, 그 O.1~1O%(바람직하게는 1~0.5%)의 압축대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직의 철망을, 원통체에 감아 돌려서 형성할 때는,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 평직철망을 다층으로 감아 돌려서 형성하는 이외에, 통형상으로 감은 평직철망을 다층으로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철망재료의 스테인리스강은, SUS 304, SUS 31OS, SUS 316(JIS 규격기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SUS 304(18Cr-8Ni-0.O6C)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낸다.
본 쿨런트/필터의 외측 및 내측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둘레벽 전체에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보강용 링체를 걸어맞출 수 있는데, 이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 본 쿨런트/필터는, 필요에 따라서 상이한 선직경·부피밀도·압력손실·압축대 및/또는 인장강도를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철망체와 조합하여 이중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을 구성하는 요소는, 모두 충분한 특징을 가지고,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로 한 경우에,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도 제공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41)~(48)의 특징은, 임의로 조합시킬 수도 있다.
(41)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이 쿨런트/필터는, 철망을 적층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O℃에서 1OOO 리터/분의 유량으로 9.8~980Pa(바람직하게는 9.8~98Pa 또는 98~980Pa)의 압력손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2)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이 쿨런트/필터는, 0.1~3.5g/㎤(바람직하게는 1.0~3.5g/㎤, 또는 1.5~3.0g/㎤, 또는 2.0~3.0g/㎤)의 부피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3)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이 쿨런트/필터는, 선직경 0.1~1.0mm의 금속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4)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이 쿨런트/필터는, 그 축방향으로 4900N의 힘을 가한 경우에서의 압축대가, 이 쿨런트/필터를 압축하기 전의 축방향 길이의 0.1~10%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5)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이 쿨런트/필터는,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2450~19600N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6)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이 쿨런트/필터는, 철망을 사용하여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철망을 구성하는 서로 교차하는 선재 끼리중의 어느 일방을, 이 쿨런트/필터의 축방향을 따르게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7)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이 쿨런트/필터는, 1평방인치(645.16㎟)당의 망목수가 12~32인 철망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8)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이 쿨런트/필터는 철망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철망은 금속제 선재를 평직하여 형성된 평직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서, 작동가스의 냉각수단으로서 상기 쿨런트/필터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 된다.
즉, 가스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냉각하는 쿨런트/필터를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쿨런트/필터로서,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되는 쿨런트/필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이다.
이 가스발생기에서는,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부생성물로서, 용융상태의 미스트를 생성하는 가스발생수단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연료와 산화제를 함유하고, 산화제로서 염기성 질산구리를 사용한 가스발생제이다. 연료로서는 구아니딘 유도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연소에 의한 부생성물로서 용융상태의 미스트를 생기게 하는 가스발생수단이 사용된 경우, 이 하우징 내에서, 쿨런트/필터를 통과하여 가스배출구를 향하는 작동가스의 유로에는, 디플렉팅 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디플렉팅 판을 배치함으로써, 작동가스 속에 포함되어, 쿨런트/필터를 통과한 융융상태의 미스트는, 이 디플렉딩 판에 충돌 및/또는 부착되어, 작동가스 속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하우징 내에는, 작동가스의 유로를 전향하기 위한 고리형상의 디플 렉팅 판을 구비한 디플렉터 부재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디플렉터 부재는, 그 디플렉팅 판이 쿨런트/필터의 외측을 이간하여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이 디플렉터가, 적어도 가스배출구의 수평투영부분을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디플렉팅 판은, 하우징 내벽면과 쿨런트/필터 외주면 사이에, 작동가스의 유로로 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간극내에 존재하고, 또한 적어도 가스배출구의 수평투영부분에서, 하우징과 쿨런트/필터와 이간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이 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자루체)과 함께 모듈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에어백장치가 된다. 이 에어백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것에 연동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고, 하우징의 가스배출구로부터 작동가스를 배출한다. 이 작동가스는 에어백 내에 유입하고,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깨고 팽출하여, 차량속의 딱딱한 구조물과 승차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쿨런트/필터는, 비교적 제조용이하고 또한 염가의 평직철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조코스트를 억제한 쿨런트/필터가 실현된다. 또 이 쿨런트/필터의 제조시에는, 단지 이 철망을 감아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쿨런트/필터자체의 제조도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이 쿨런트/필터를 사용하여 형성된 가스발생기에서는, 그 전체용적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고, 또 디플렉팅 판과의 조합에 의해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고형미스트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가 실 현된다. 더욱이, 이러한 쿨런트/필터는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서도 변형하기 어려우므로, 쿨런트/필터 끝면에서의 소위 작동가스의 숏 패스를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5) 점화기 입구도 굽은 부분을 갖는 하우징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점화수단중에 포함되는 점화기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함과 동시에, 더욱 전체의 높이를 억제한 가스발생기를 제조하는 점에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가스발생기용 하우징, 및 전체높이를 억제한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점화기나 이 점화기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배치·고정하는 부분의 형상·구조에 특징을 갖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은, 충격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통형상 하우징으로서, 이 통형상 하우징은, 그 어느 하나의 끝면에,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를 삽입하고 고정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이 개구부는, 삽입되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접속부분을 구비하고, 이 접속부분은, 개구부가 형성된 측의 끝면보다도 하우징 중심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통형상 하우징의 어느 하나의 끝면에 설치되는 개구부는, 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통형상부를 갖추는 것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동일한 하우징의 높이라도, 그 내부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또, 하우징의 내측에 절곡된 통형상부의 선단이,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가스발생수단을 지지하는 언더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이 언더플레이트의 응력방향(즉, 가스발생제를 지지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통형상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이 개구부에 삽입되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는,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또 점화기는 그 근방에 이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착화·연소하고,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기 위한 열가스·미스트를 발생하게 하는 전화약을 수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점화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점화기는, 하우징 내에 배치·고정하기 위한 금속부분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금속부분은, 작동신호를 받아서 작동하는 부분과 수지재료 등에 의해 일체화하는 이외에, 금속부분을 코킹하여 양자를 일체화할 수 있다. 개구부에 직접 점화기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이 금속부분을, 개구부의 접속부분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또 점화기를 하우징 내에 배치하기 위한 점화기 지지부재를 설치한 경우에는, 점화기를 고정한 점화기 지지부재를, 개구부의 접속부분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 내에 내통부재를 배치하여, 그 내측에 점화수단 수용실을 구획형성한 가스발생기의 경우에는, 이 내통부재의 하단 개구에 점화기를 코킹하여 고정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당해 내통부재가 점화기 지지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이 내통부재를 개구부의 접속부분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점화기 지지부재나 점화기를 용접 등에 의해 개 구부의 접속부분에 고정하여 일체화 하면, 이들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 개구부속의, 점화기 지지부재나 점화기를 고정하는 접속부분을, 하우징의 개구부가 형성된 측의 끝면보다도 하우징 중심측에 설치함으로써, 하우징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을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으로 구체화 하는 것이고, 점화기 지지부재나 점화기를 고정하는 접속부분을, 하우징의 끝면보다도 중심측, 즉 하우징의 축방향 중심측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 하우징의 끝면에는, 그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철형상의 리브를 형성하는 것도 있는데, 그 때에는, 하우징속에서 가장 돌기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하우징의 중심측에 접속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충격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통형상 하우징으로서, 이 통형상 하우징은, 그 어느 하나의 끝면에, 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통형상부를 구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도 제공한다.
이 하우징에서도, 어느 하나의 끝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는, 하우징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끝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개구부에 형성되는 통형상부는, 이 점화기 또는 내통부재의 외주를 내접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의 어느 하나의 끝면에 설치되는 개구부가 구비하는 통형상부는, 하우징 축방향 길이의 lO~10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 통형상부는, 4~37mm의 축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길이로 통형상부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에 수용되는 점화기 지지부재나 점화기의 활기를 방지하여, 보다 확실하게 이들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통형상부의 길이를, 하우징 축방향 길이의 100%로 한 경우에는, 통형상부 자체가 내통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2부품 만, 즉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만으로, 하우징내를 2실로 구획한 소위 2통식 구조의 가스발생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하우징은, 더욱이 개구부가 설치된 측의 끝면에서, 이 개구부의 주위가, 개구부의 중심을 향해 하우징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의 입구부근에서 점화기 지지부재나 점화기를 용접한 경우에도, 이 용접부는 하우징의 끝면보다도 중심측, 즉 하우징의 축방향 중심측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구조상, 개구부의 주위를 경사지게 하여 형성함으로써, 이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과 함께 하우징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클로저 셸 측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셸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각종 금속광재를 프레스가공하여 형성하는 이외에, 주조 또는 단조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각종 방법에 의해 형성된 셸은, 대향형상으로 서로 마주보고 접합 일체화함으로써, 가스발생수단 등 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양 셸의 접합은 각종 용접법, 예를 들면 전자 빔 용접, 레이저 용접, 티그 용접, 프로젝션 용접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은, 스테인리스 동판 등의 각종 강판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양 셸의 제조가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코스트의 저감도 달성된다.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의 재료에 관해서는, 특히 스테인리스강판이 바람직한데, 강판에 니켈도금을 시행한 것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도 제공한다.
즉,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화수단과,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통형상 하우징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하우징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이다.
상기 점화수단은, 작동신호 등에 기인하여 작동하고, 상기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착화식 점화기만으로 구성하는 이외에, 더욱 필요하게 따라 이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착화·연소하고,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기 위한 열가스·미스트를 생기게 하는 전화약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 내에 내통부재가 배치되고, 이 내통부재 내에 점화수단 수용실이 구획되어 설치된 가스발생기에서는, 점화기를 포함하는 점화수단은 이 내통부재내에 수용·고정되고, 이 내통부재가 하우징의 어느 일방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즉 이 경우에는, 당해 내통부재가 점화기 지지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 된다. 또 금속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화기를 직접 개구부에 고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당해 금속부분이 개구부의 접속부분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일체화 되는 것이 된다.
이 가스발생기에서는, 적어도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용 하우징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하우징 이외의 그 밖의 구성, 예를 들면 가스발생수단의 조성이나 형상,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를 냉각 및/또는 정화하기 위한 쿨런트나 필터 등의 유무 등은 적당히 작동성능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소하여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무기아지드, 예를 들면 나트륨아지드(아지화 나트륨)에 근거하는 아지드계 가스발생제의 이외에, 무기아지드에 근거하지 않는 비아지드계 가스발생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 하우징 자체에 관해서도, 상기 어느 하나의 끝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근처 주변이외의 구조, 예를 들면 가스배출구의 크기나 수, 하우징 사이즈나 전체형상 등은 작동성능이나 수용스페이스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이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자루체)과 함께 모듈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에어백장치로 된다. 이 에어백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것에 연동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고, 하우징의 가스배출구로부터 작동가스를 배출한다. 이 작동가스는 에어백 내에 유입되어,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깨고 팽출하여, 차량속의 딱 딱한 구조물과 승차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이면서도, 점화수단 속에 포함되는 점화기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함과 동시에, 더욱이 전체높이를 억제한 가스발생기를 제조하는 점에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스발생기용 하우징, 및 전체높이를 억제한 가스발생기로 된다.
특히, 통형상 하우징의 어느 하나의 끝면에 형성되어, 점화기 등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는 경우, 이 통형상부 앞끝은 연소실내에서 가스발생수단을 지지하는 언더플레이트의 지지에 공헌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하우징은 그 전체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경 및 높이를 동일하게 한 가스발생기에서는, 한층 더 하우징 내의 내부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l) 및 (4)의 실시형태에서의 디플렉터 부재 등을 사용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개략도이다.
도 2는 (1)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디플렉터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2)에서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중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2)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에어백용 가스 발생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2)의 다른 태양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4)의 쿨런트/필터중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 (3) 및 (5)의 실시형태에서의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사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1) 내지 (5)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백장치의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또는 101: 디퓨저 셸
2 또는 102: 클로저 셸
3 또는 103: 하우징
4 :내통부재
5: 또는 107: 쿨런트/필터
6 또는 104: 점화기
7 또는 105: 전화약
8 또는 106: 가스발생제
ll: 가스배출구
12: 지지부
13: 통기부
16: 고리형상부
17: 벽부
18: 디플렉터 부재
19: 통형상부
21: 팽출부
23: 중앙개구
50: (디퓨저 셸 측)원형부
51: (디퓨저 셸 측)경사부
52: (디퓨저 셸 측)둘레벽부
54: (클로저 셸 측)원형부
55: (클로저 셸 측)둘레벽부
56: (클로저 셸 측)절곡부
57: (디퓨저 셸 측)절곡부
150: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151: 고리형상부
152: 벽부
154: 절곡부
321: 스테인리스강제 소선
321a,321b: 소선
200: 가스발생기
201: 충격센서
201: 반도체식 가속도센서
203: 모튤케이스
204: 에어백
207: 스티어링 휠
이하에 도면에 따라서 각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성능을 구비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실시 가능하다.
실시형태 1-(1) 디플렉터 부재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서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11)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1)과, 이 디퓨저 셸(1)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2)로 하우징(3)을 형성하고, 이 내에, 전기식 점화기(6)와 전화약(7)으로 구성된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즉, 가스발생제(8))을 포함하여 수용하고, 더욱 가스발생제(8)가 수용되는 연소실(9)과 하우징(3) 사이에는, 가스발생제(8)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를 냉각하는 쿨런트/필터 수단(즉, 쿨런트(5))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상부(19)를 갖는 디플렉터 부재(18)는, 이 쿨런트(5)의 디퓨저 셸(1)측 끝부에 배치되어 있다.
점화수단은, 하우징(3) 내의 상부 내면에 용접되는 플랜지부(24)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내통부재(4) 내에 확보된 점화수단 수용실(10)에 수용되어 있고, 이 점화수단이 수용된 공간은, 내통부재(4)의 둘레벽에 형성된 복수의 전화구멍(14)을 통해서, 당해 원통부재의 외측에 설치된 연소실(9)과 연통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소실(9) 내에 수용되는 가스발생수단으로서, 연소에 의해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의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8)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발생제(8)라도 사용가능한 것은, 후술의 디플렉터 부재(18)를 사용함으로써, 그 연소에 의해 생긴 연소생성물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스발생제(8)로서는, 예를 들면, 연료와 산화제를 함유하여 형성된 가스발생제(8)로서, 산화제로서 염기성 질산구리가 사용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연소실(9)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쿨런트(5)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철망제 쿨런트(5)로서, 축방향으로의 신축이 적은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디플렉터 부재(18)를 배치함으로써, 그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쿨런트(5)로서는, 익스팬디드 메탈이나 평직철망을 통형상으로 감아 돌려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디플렉터 부재(18)는, 쿨런트(5)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덮는 통형상부(19)와, 이 통형상부(19)의 상끝부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상 으로 절곡하여 쿨런트(5)의 끝면에 당접하는 고리형상부(16)와, 이 고리형상부(16)에 일체형성되어 쿨런트(5)의 내주면에 맞닿는 벽부(17)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통형상부(19)는, 하우징(3) 둘레벽에 형성된 가스배출구(11)를, 하우징(3)의 내측으로부터 덮는 형상 및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19)는, 쿨런트(5)의 디퓨저 셸(1)측 끝면으로부터, 가스배출구(11)의 형성개소를 포함하고, 그것보다도 아래(즉, 클로저 셸(2)측)까지 연신하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형상부(19)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팽출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팽출부(21)에 의해, 그 대부분이 하우징(3)의 내주면이나 쿨런트(5)에 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쿨런트(5)를 통과한 작동가스는,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의 내면에 부딪치고, 그 후, 통형상부(19) 외주면과 하우징(3)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여, 가스배출구(11)로부터 배출된다. 또, 이 통형상부(19)는, 내부공간에 점화수단을 수용한 내통부재(4)의 전화구멍(14)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화염이, 쿨런트(5)를 통과하여, 그대로 가스배출구(19)가, 가스배출구(11) 및 전화구멍(14)의 배치개소 보다도 하방으로 연신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단, 이 통형상부(19)가 너무나도 지나치게 길면,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가스의 압력을 받아서 팽출 또는 변형되어, 가스배출구(11)를 폐색하는 것도 걱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부(19)를 충분한 길이로 형성한 경우에도, 작동가스의 압력에 의한 팽출을 저지하기 때문에, 그 개구측 끝부(즉 클로저 셸(2)측 개구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형상으로 절곡되는 지지부(l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12)는, 그 선단이 하우징(3) 내주면에 맞닿으므로써, 작동가스의 압력에 의한 통형상부(19)의 팽출을 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지지부(12)에는, 도 2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디플렉터 부재의 평면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둘레방향에 소정간격마다 반경방향 내측에 절결한 통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쿨런트(5)를 통과한 작동가스는, 이 통기부(13)를 통과하여 가스배출구(11)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 선단에 지지부(12)를 형성한 경우에는, 지지부(12)의 선단은 하우징(3) 내벽면에 맞닿는 것으로 되는데, 적어도 통형상부(19)의 축을 따르는 둘레벽은, 하우징(3)의 내주면이나 쿨런트(5)에 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작동가스의 유로가 확보되는 것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디플렉터 부재(18)는, 상기 통형상부(19)와 일체형상으로 형성된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16)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리형상부(16)에는, 쿨런트(5)의 상부(디퓨저 셸(1)측)내주면을 덮는 벽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쿨런트(5)의 디퓨저 셸측 끝부는, 내주면-끝면-외주면이 일체로 포위되어, 쿨런트(5) 끝면과 하우징(3) 내주면 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숏 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통형상부(19)를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하여, 클로저 셸(2)측(하단 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팽출부(21)를 형성함과 동시에, 디퓨저 셸(1)측(즉, 고리형상부(16)측)을 쿨런트(5)의 외경에 맞추어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 통형상부(19)의 쿨런트(5)의 외경에 맞춘 부분과, 상기 고리형상부(16)의 벽부(17) 사이에서 쿨런트(5)를 끼워지지하여, 그 위치결정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플렉터 부재(18)로 끼워지지된 쿨런트(5)는,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서도 위치가 어긋나는 일 없이, 소정의 배치장소에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이 고리형상부(16) 중, 쿨런트(5) 끝면에 맞닿는 부분, 즉, 쿨런트(5) 끝면과 하우징(3) 내면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은, 쿨런트(5)와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 완충부로 되어 있다. 즉, 이 부분은 쿨런트(5)의 축방향에 신축 자유로운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쿨런트(5) 수단의 배치시에, 당해 부분이 완충부로 되고, 또 그 탄성에 의해 쿨런트(5)를 하우징(3) 상하내면 사이에 끼워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쿨런트(5) 끝면에 상당하는 부분을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함으로써 탄성을 확보하고 있는데,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그 이외의 형상이라도 지장없고, 또 수지 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7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부(16)중, 쿨런트(5) 끝면에 맞닿는 부분을 판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도 7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는, 도 2 에 도시한 디플렉터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 디플렉터 부재(18)의 고리형상부(16)중, 이 쿨런트(5) 끝면에 상당하는 부분은 적당한 단열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작동가스의 냉각에 의해 상승된 쿨런트(5)의 열을 디퓨저 셸(1)에 전하는 것을 저지하고, 에어백에 대해 손상을 부여하는 사태를 한층 더 확실하게 회 피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단열작용은, 예를 들면, 도면(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절곡시켜서 형성하고, 쿨런트(5)와 하우징(3) 사이에 단열용 공간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서도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고리형상부(1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개구(23)의 끝면을, 하우징(3) 내에 배치된 내통부재(4)의 플랜지부(24)에 맞닿게 하고 있다. 따라서, 디플렉터 부재(18)는 하우징(3) 내에서의 위치결정이 행해지고, 이 디플렉터 부재(18)에 의해 쿨런트(5)의 위치결정이 행해지는 것이 된다. 즉, 하우징(3) 내에 배치되는 내통부재(4)의 플랜지부 외경과, 디플렉터 부재(18)를 구성하는 고리형상부(16)에 형성된 중앙개구의 내경을 맞춤으로써, 가스발생기의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에서는, 작동신호를 수령하여 작동된 점화기(6)에 의해, 전화약(7)이 착화되어 연소하고, 그 화염은 내통부재(4)의 전화구멍(14)을 통과하여, 가스발생제(8)의 수용공간내로 방출된다. 이 전화약(7)의 화염은, 가스발생제(8)를 착화·연소시키는 것이 되는데, 그 일부가 직접 쿨런트(5)를 통과한 경우더라도,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부딪혀서, 그대로 가스배출구(11)로부터 분출되는 사태를 저지할 수 있다. 전화약(7)의 화염에 의해 착화된 가스발생제(8)로부터 발생되는 작동가스는, 쿨런트(5)를 통과하여, 쿨런트(5) 외주면과 하우징(3)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간극(20) 내에 도달한다. 쿨런트(5)를 통과한 작동가스 속에는, 가스발생제(8)의 종류에 따라서,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의 연소생성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이것은 이 간극(20) 내에 배치된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충돌·부착되어, 작동가스 속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된다. 또, 쿨런트(5)의 에로젼 등에 의해 발생된 것도, 이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부착되어 작동가스 속에서 제거된다.
이것에 의해, 작동가스 속의 연소생성물 등은 확실하게 제거되고, 가스배출구(11)로부터 배출되는 작동가스는 보다 청정한 것으로 된다.
도 1 중, 가스배출구(11) 및 전화구멍(14)은, 각각 실링 테이프(15)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가스발생제(8)는, 언더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어, 연소실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디플렉터 부재(18)로서 기재한 부재는, 동일한 구조에 의해 미스트 포집부재, 또는 방염판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실시형태 2-(2)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에서의 사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는, 가스발생기의 하우징 내에 있어서, 그 가스배출구(111)가 형성되는 측, 즉 디퓨저 셸(101) 끝부 내면과 대향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리형상부(151)와, 이 고리형상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곡부(154)와, 배열설치시에 쿨런트/필터 수단(쿨런트(107))의 끝부 내주면에 맞닿는 벽부(152)를, 스테인리스강 등의 각종 강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벽부(152)는, 고리형상부(151)를, 쿨런트(107)의 끝부 내주면을 소정의 폭으로 둘레 방향 전면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절곡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154)와 벽부(152) 사이의 거리 는, 쿨런트(107)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의 일부를 구성하는 벽부(152)는, 그 외주면이 쿨런트(107)의 내주면에 맞닿으므로써, 이 쿨런트(107)를 배치할 때의 위치결정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더욱이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가, 쿨런트(107)의 끝면을 통과하는 소위 숏 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고리형상부(151)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곡부(154)도, 쿨런트(107)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에 맞닿아서, 이 쿨런트(107)를 배치할 때의 위치결정, 및 작동가스의 숏 패스 방지를 행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의 일부를 구성하고, 가스배출구가 형성되는 측의 끝면(즉 디퓨저 셸(101)의 천장내면)과 대향형상으로 배치되는 고리형상부(151)는, 그 내의 쿨런트(107)의 끝면(128)에 대향하는 부분이 반경방향 외측의 하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는, 그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축 자유롭게 되는 탄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고리형상부(151)를 형성함으로써, 쿨런트(107)의 끝면(128)과 하우징 상부 내면(129) 사이에는 공간부(153)가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 공간부(153)는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축열된 쿨런트(107)의 열이,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디퓨저 셸(101)의 끝면에 전해지는 것을 저지하는 단열공간(153)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상부를 반경방향 외측의 하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하지 않고, 적당히 탄성을 가지고, 또한 단열성을 갖는 부재 등을 사용하여 형성한 경우라도 대략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2)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도 4는, 상기 실시형태 2에 도시하는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즉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약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는, 디퓨저 셸(101)과 클로저 셸(10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3) 내를, 내통부재(113)에 의해 점화수단 수용실(123)과, 가스발생제 연소실(122)의 2실로 구획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점화수단 수용실(123) 내에는, 충격에 의해 작동하여 가스발생제(106)를 착화·연소시키는 점화수단으로서, 점화기(104) 및 전화약(105)이 수용되어 있고, 연소실(122) 내에는, 상기 점화수단 에 의해 착화·연소되어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제(106)와, 이 가스발생제(106)를 지지하고, 그 이동을 저지하는 대략 원반형상의 언더 플레이트(118)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디퓨저 셸(101)의 둘레벽부(110)에는, 복수개의 가스배출구(111)가,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열설치되어 있고, 이 가스배출구(111)는, 실 테이프(125)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클로저 셸(102)은, 그 중앙구멍(112)에 내통부재(113)를 끼워맞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디퓨저 셸(101)과 클로저셸(102)은, 하우징(103)의 축방향 중앙 횡단면상의 위치 주변에서, 각각의 플랜지부(115, 116)를 중첩하여, 양자를 레이저용접으로 접합하여 하우징(103)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가스발생제(106)의 착화·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정화·냉각하기 위해 하우징(101) 내에 배열설치되는 쿨런트(107)(쿨런트/필터 수단)는, 이 가스발 생제(106)를 둘러싸고 배열설치되어, 내통부재(113)의 주위에 고리형상의 방, 즉 가스발생제의 연소실(122)을 구획형성한다. 이 쿨런트(107)는, 스테인리스강제 평편한 철망을 반경방향으로 겹치고,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쿨런트(107)는, 그 축방향으로 신축하기 어려운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하는 쿨런트(107)에서는, 그 디퓨저 셸(101)측 끝면(128)에 배치되는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 만큼, 축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3)의 외주벽과 쿨런트(107) 사이에 간극(109)이 형성되고, 이 간극(109)은, 가스유로로서 기능한다.
쿨런트(107)의 축방향 끝부와 디퓨저 셸(101)의 상부 내면(129) 사이에는, 상기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의 고리형상부(151)가 개재되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내주면에 대향 배치되는 고리형상부(151)는, 쿨런트(107)의 끝면이 맞닿는 범위를, 반경방향 외측의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하는 것으로서 형성시키고 있고, 이 고리형상부(151)에는 쿨런트(107)의 상부(즉 디퓨저 셸측) 내주면을 덮는 통형상의 벽부(15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형상부(151)가 쿨런트(107)와 디퓨저 셸(101) 사이에 끼워지지됨으로써, 양자간에 공간부(153)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153)는, 쿨런트로부터 디퓨저 셸로의 열전도를 저지하기 위한 단열용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동시에, 이 고리형상부(151)는, 그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신축자유롭게 되고, 그 탄성에 의해 쿨런트(107)를 하우징의 상하끝면으로 끼워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고리형상부에 관해서는, 도 5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같이, 기울어지 게 하지 않고 쿨런트(107)의 끝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이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는, 그 벽부(152)와 절곡부(15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가스발생제(106)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가, 이 쿨런트(107)의 끝면을 통과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모든 작동가스는 쿨런트(107)를 통과하는 것이 되고, 가스배출구로부터는, 적당히 냉각되고 또한 연소에 의해 생긴 연소생성물이 제거된 작동가스가 배출되는 것이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벽부(152)는 고리형상부(151)를 대략「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부(152)는, 그 외측(즉, 쿨런트(107)에 접하는 측)이 고리형상부에 대하여 연직한 면을 가지고, 또한 절곡 한 부분의 내측(즉 내통부재(113)측)은 고리형상부의 중심을 향해서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벽부(152)를 형성함으로써, 가스발생기의 조립시에, 연소실(122)내에 수용된 가스발생제(106)가, 쿨런트(107)의 끝면에 들어가는 사태를 없앨 수 있다.
또, 고리형상부(151)는, 그 중앙에, 내통부재(113)의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된 끝면에 맞닿는 크기의 개구부(즉, 중앙개구(155))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디퓨저 셸(101)에 내통부재(113)를 고정하면, 이 중앙개구(155)에 의해 위치결정하여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를 배치할 수 있고, 이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로 쿨런트(107)를 위치결정 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가스발생기를 조립할 수 있다.
쿨런트(107)의 내주에는, 가스발생제(106)의 연소에 의한 화염으로부터 이 쿨런트(107)를 보호하고, 또 가스발생제(106)와 이 쿨런트(107)의 직접접촉을 방지하는 대략 다공원통형상의 퍼포레이티드 바스켓(도시하지 않음)을 배열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1)중, 내통부재(113)의 외측에 구획형성되는 가스발생제의 연소실(122) 내에 배열설치되는 대략 원반형상의 언더 플레이트(118)는, 가스발생제(106)에 맞닿는 원형부(119)와, 내통부재(113)의 외주벽을 끼워넣는 중앙구멍(120)을 가지고, 이 원형부(119)로 가스발생제(106)를 지지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고, 가스발생제(106)가 진동에 의해 부숴져, 표면적이 변화할 우려를 없애고 있다. 내통부재(113)의 점화기(104)를 수용하는 측의 끝부에는, 코킹부(121)를 형성하고, 이 코킹부(121)로 점화기(104)를 고정하고 있다. 또 내통부재(113)의 둘레벽에는, 복수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전화구멍(126)을 가지고 있고, 이 전화구멍(126)은, 실 테이프(127)에 의해 막혀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는, 충격에 의해 작동된 점화기(104)에 의해 전화약(105)이 착화 연소되고, 그 화염은 내통부재(113)의 전화구멍(126)을 폐색하는 실 테이프(127)를 파괴하고, 연소실(122) 내에 흘러들어간다. 연소실(122) 내의 가스발생제(106)는, 전화약(105)의 화염에 의해 착화되어 연소하고, 작동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작동가스는, 쿨런트(107)를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 간극(109)을 통과하여, 가스배출구(111)를 폐색하는 실 테이프(125)를 깨고, 이 가스배출구(111)로부터 배출된다.
이 가스발생기에서는, 제조시에,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 의 벽부(152)와 절곡부(154)에 의해 쿨런트(107)를 위치결정할 수 있고, 또 고리형상부(151)의 탄성에 의해 확실하게 쿨런트(107)를 고정할 수 있다. 또 그 작동시에는, 이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의 벽부(152)와 절곡부(154)로 작동가스의 숏 패스를 억제 저지하고 있으므로, 모든 작동가스가 쿨런트(107)에 의해 정화 및/또는 냉각된다. 그리고 쿨런트 수단 지지부재(150)의 고리형상부(151)는 쿨런트(107)에 축적된 열이 디퓨저 셸에 전도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으므로,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디퓨저 셸(101)이 고온으로 되어, 에어백 등에 손상을 부여할 우려를 한층 더 없앨 수 있다.
실시형태 4-(3) 숏 패스를 방지하는 하우징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의 가스발생기용 하우징을 사용하여 형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개략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11)를 갖는 하우징(3) 내에, 전기식 점화기(6)와 전화약(7)으로 구성된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즉, 가스발생제(8))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더욱 가스발생제(8)가 수용되는 연소실(9)과 하우징(3)의 둘레벽부 사이에는, 가스발생제(8)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를 냉각하는 쿨런트/필터 수단(즉, 쿨런트(5))를 배열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쿨런트(5)의 디퓨저 셸(1)측 끝부에는, 통형상부(19)를 갖는 디플렉터 부재(18)를 배치하고 있다.
점화수단은 점화수단 수용실(1O)에 수용되어 있고, 이 점화수단 수용실(1O) 은, 하우징(3) 내의 상끝부 내면에 용접되는 플랜지부(24)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내통부재(4) 내에 확보되어 있다. 이 점화수단 수용실(1O)은, 내통부재(4)의 둘레벽에 형성된 복수의 전화구멍(14)을 통해서, 당해 원통 부재의 외측에 설치된 연소실(9)과 연통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하우징(3)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대략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1)과, 이 디퓨저 셸(1)을 폐색하는 대략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2)로 형성되어 있다. 양 셸은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디퓨저 셸(1)은, 하우징의 천정면(즉 상끝부)을 형성하는 제 1의 원형부(50)와, 이 원형부(50)를 둘러싸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1)와, 이 경사부로부터 원형부에 대해 연직으로 강하하여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가스배출구(11)를 구비하는 둘레벽부(52)와, 이 둘레벽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부(53)를 갖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한편 클로저 셸(2)은, 하우징의 바닥면(즉 하끝부)을 형성하고, 중앙에 점화수단 수용구멍을 설치한 제 2의 원형부(54)와, 이 제 2의 원형부(54)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절곡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경사지는 둘레벽부(55)와, 이 둘레벽부의 선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58)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양 셸은, 셸 끼리를 접합하여 일체화 하고 있다.
이 하우징(3)에서는, 디퓨저 셸(1)의 경사부(51)에 의해, 제 1의 원형부(50) 보다도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둘레벽부(52)를 향해서, 클로저 셸(2)의 둘레벽부(55)가 경사져 있고, 클로저 셸(2)의 제 2의 원형부(54)와 둘레벽부(55)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56)는, 그 내각(θ)이, 90~135도로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는, 제 1 및 제 2의 원형부(5O, 54)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5)는, 디퓨저 셸(1)에서 제 1의 원형부(5O)와 경사부(51)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57)로, 그 상끝면 외주가 디플렉터 부재(18)를 통해서 지지되고, 또 클로저 셸(2)에서 제 2의 원형부(54)와 둘레벽부(55)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56)로, 쿨런트(5)의 하끝면 외주가 직접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쿨런트(5)의 상하끝면의 외주를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절곡부(56, 57)로 지지함으로써, 쿨런트(5)의 배치시에는, 이 쿨런트가 절곡부에 의해 위치결정되고, 또 지지되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도, 이 쿨런트(5)는 절곡부에 압접·지지되고 그 이동이 저지됨과 동시에, 쿨런트(5)의 상끝부는 디플렉터 부재(18)에 의해 포위되어, 디퓨저 셸(1)의 절곡부(57)에 밀착되고, 또 이 쿨런트(5)의 하끝부 외주 가장자리는, 직접 클로저 셸(2)의 절곡부(56)에 밀착하고, 하우징 내면과 쿨런트(5) 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통과(즉 숏 패스)를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하우징의 형성시에는, 디퓨저 셸의 제 1의 원형부(50)와, 클로저 셸의 제 2의 원형부(54)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리브형상 보강체 및/또는 보강 단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5)는, 작동가스의 통과시에도, 그 압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하지 않는 것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것은, 만 일 쿨런트(5)가 가스발생수단의 통과에 의해 팽출된 경우에는, 쿨런트(5)와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확보되는 간극(20)이 폐색되고, 사실상 가스유로로서 기능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쿨런트(5)는,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12054N(1230kgf)로 형성되어 있다.
디플렉터 부재(18)는, 가스발생제(8)로서, 연소에 의해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의 연소생성물을 생기게 하는 것을 사용한 경우에 유용하다. 즉,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생긴 연소생성물을, 이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부착, 또는 충돌후 낙하하게 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디플렉터 부재(18) 중, 쿨런트(5)의 끝면에 맞닿는 고리형상부(16)는, 적당한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소실(9)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쿨런트(5)로서, 축방향으로의 신축이 적은 철망제 쿨런트(5)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디플렉터 부재(18)는, 쿨런트(5)의 내주면에 맞닿는 벽부(17)를 고리형상부(16)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쿨런트(5)의 위치결정 및 고정, 및 작동가스가 쿨런트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소위 숏 패스를 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에서는, 작동신호를 수령하여 작동된 점화기(6)에 의해, 전화약(7)이 착화되어 연소하고, 그 화염은 내통부재(4)의 전화구멍(l4)을 통과하여, 가스발생제(8)의 수용공간내로 방출된다. 이 전화약(7)의 화염은, 가스발생제(8)를 착화·연소시키는 것이 되지만, 그 일부가 직접 쿨런트(5)를 통과한 경우더라도,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부딪히고, 그대로 가스배출구(11)로부터 분출하는 사태를 저지할 수 있다. 전화약(7)의 화염 에 의해 착화된 가스발생제(8)로부터 발생하는 작동가스는, 쿨런트(5)를 통과하여, 쿨런트(5) 외주면과 하우징(3)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간극(20) 내에 도달한다. 쿨런트(5)를 통과 한 작동가스 속에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의 연소생성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간극(20) 내에 배치된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충돌·부착하여, 작동가스 속에서 제거되는 것이 된다.
도 7중, 가스배출구(11) 및 전화구멍(14)은, 각각 실 테이프(l5)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가스발생제(8)는, 언더 플레이트(22)에 의해 지지되고, 연소실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디플렉터 부재(18)로서 기재한 부재는, 동일한 구조에 의해 미스트 포집부재, 또는 방염판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실시형태 5-(4) 적층된 철망에 의한 쿨런트
『쿨런트/필터』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5)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직경 약 0.4mm의 스테인리스강제 소선(321)을 평직한 철망을 통형상으로 감아서, 둘레방향으로 12층 적층시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평방인치(645.16㎟)당의 망목수가 20인 철망이 사용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쿨런트/필터(5)는, 평직된 2방향으로 뻗는 소선(321a, 321b)끼리는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의 일방향으로 뻗는 소선(321a)은, 통형상으로 형성된 쿨런트/필터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또 타방의 소선(321b)은, 쿨런트/필터(5)의 둘레방향을 따르도록 감겨져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선끼리(321a, 321b)를 직교하여 조합시킨 평직철망이 사용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선직경 0.4mm이고, 1평방인치당의 망목수가 20인 평직철망을 사용하여, 4900N의 힘으로 축방향으로 압축한 경우, 그 축방향의 압축대가, 압축전의 약 5% 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축방향 길이가 약 31mm인 통형상 쿨런트/필터로서, 그 압축대는 1~1.5mm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쿨런트/필터는,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12054N(1230kgf)이고, 그리고 2.66g/㎤의 부피밀도를 가지고, 더욱 20℃에서의 유량 100O 리터/분에서 294~441Pa(30~45 mmH2O)의 압력손실을 갖는 것으로 형성된다.
쿨런트/필터(5)를 이와 같이 하여 형성하면,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제조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즉, 비교적 제조용이하고 염가의 평직철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조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고, 또 단지 감아 돌려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쿨런트/필터 자체의 제조도 용이해진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쿨런트/필터와 같이, 교차하는 소선(321)내에서, 어느 일방의 소선(321a)을, 쿨런트/필터(5)의 축방향을 따르게 함으로써, 각소선(321a, 321b)이 지주로 되어, 그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의 신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쿨런트/필터(5)를 하우징 내에 배치하고, 작동가스를 정화시킨경우더라도, 이 쿨런트/필터(5)는 반경방향으로 팽출되지 않아, 변형하기 어려운 것이 되고, 쿨런트/필터(5) 끝면과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숏 패스를 억제 저지할 수 있다. 즉, 작동가스의 통과시에, 의도하지 않은 쿨런트/필터(5)의 절곡을 저지하고, 쿨런트/필터(5)의 끝면과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6-(4) 적층한 철망에 의한 쿨런트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도 1에, 본 발명의 쿨런트/필터(5)의 일예를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이 가스발생기는, 대략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1)과 대략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과, 이 하우징(3) 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통부재(4)와, 그리고 이 중앙통부재(4)를 둘러싸고 배열설치되는 본 쿨런트/필터(5)를 포함하고 있다.
디퓨저 셸(1)은, 스테인리스강판을 프레스에 의해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그 둘레벽에는 가스배출구(11)가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등간격으로 배열설치 되어 있다. 클로저 셸(2)은, 스테인리스강판을 프레스에 의해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개구구멍을 가지고, 그 구멍 가장자리는 축방향 외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부(12)를 형성하고 있고, 이 절곡부의 내주면에 의해 중앙구멍(13)을 형성하고 있다.
중앙 통부재(4)는, 스테인리스강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한 끝이 중앙구멍(13)의 내측에 수용되고, 타단측에 형성된 외향 플랜지는 디퓨저 셸(1)의 내면에 용접되어 있다. 중앙 통부재(4)는 또, 그 내측에, 점화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점화수단 수용실(1O)을 형성하고, 둘레벽의 타단측에 일렬의 관통구멍(14)열을 갖고 있다. 점화수단은,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점화기(6)와, 이 점화기(6)에 의해 착화되는 전화약(7)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점화기(6)는 점화수단 수용실(1O) 내에 배치되고, 중앙 통부재(4)의 한 끝을 코킹 하여 고정되어 있다. 관통구멍(14)열은 알루미늄 테이프(15)에 의해 막혀 있다.
쿨런트/필터(5)는, 상기, 평직철망을 다층으로 감아돌려서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고, 중앙 통부재(4)를 둘러싸고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쿨런트/필터(5)는 또, 중앙 통부재(4)의 주위, 즉 중앙 통부재(4)의 주위와 쿨런트/필터(5)의 내면 사이에 고리형상의 방, 즉 연소실(9)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연소실(9) 내에, 가스발생수단으로서, 단일구멍 원통형상의 가스발생제(8)가 충전되고, 고리형상의 언더 플레이트(22)로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가스발생제(8)로서, 연료와 산화제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산화제로서 염기성 질산구리를 사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발생제(8)를 사용하면, 연소시에, 염기성 질산구리에 기인하여 융융상태의 구리의 미스트를 발생하는데, 구리의 융점(1053℃)은 높으므로, 1000℃정도까지 냉각하면 용이하게 고형미스트로서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가스발생기 외부로의 미스트의 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쿨런트/필터(5)는, 고리형상부재(18)에 의해 위치결정되고 또한 그 이동이 저지된다. 이 고리형상부재(18)는, 스테인리스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디퓨저 셸(1)의 내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고리형상부(16)와, 이 고리형상부(16)로부터 통형상으로 절곡하여 쿨런트/필터(5)의 끝부내면에 맞닿는 벽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 통부재(4)의 외향 플랜지를 둘러싸고 배치되어 있다. 고리형상부(16) 내에서, 쿨런트/필터(5) 끝면에 맞닿는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적당한 탄성을 갖는 것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할지, 또는 끝면 대략「S」자 형상 등, 적어도 쿨런트/필터(5)의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쿨런트/필터(5)는, 2방향으로 뻗는 소선중 어느 하나가 쿨런트/필터(5)의 축방향을 따르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방향으로의 탄성이 없고, 이것에 기인하는 하우징(3) 내로의 배치시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또, 이 고리형상부재(18)에는 벽부(17)를 형성하여 쿨런트/필터(5)의 끝부 내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가스발생제(8)의 연소에 의한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5) 끝면을 통과하는 소위 숏 패스를 저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스발생제(8)로서, 산화제로서 염기성 질산구리를 사용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연소에 의해 융해상태의 구리의 미스트를 발생한다. 그래서, 이 구리의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고리형상부재(18)에는, 고리형상부 외측을 축방향으로 통형상으로 절곡하여, 쿨런트/필터(5)를 부분적으로 덮는 디플렉팅 판(19)이 배치되어 있다. 이 디플렉팅 판(19)은, 적어도 하우징(3)에 형성된 가스배출구(11)를 쿨런트/필터(5)에 수평으로 투영한 부분을 포함하여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쿨런트/필터(5) 외주면과 하우징(3) 내벽면 사이에서, 양자간에 소정의 간극(20)을 확보하여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가스발생제(8)의 연소에 의해 생긴 구리 미스트는, 쿨런트/필터(5)를 통과하는 사이에 냉각되고, 이 디플렉팅 판(19)에 부딪쳐 부착 또는 충돌하여 제거된다. 쿨런트/필터(5)의 외주면과 하우징(3)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2O)은, 작동가스의 유로로서도 기능한다.
하우징(3) 내에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디퓨저 셸(1)의 가스배출구(1l)는 알루미늄 테이프(15)에 의해 막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발생기에서, 충격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감지하면, 그 신호가 점화기(6)에 보내져 점화기(6)가 작동하고, 이것에 의해 전화약(7)이 착화하여 고온의 화염을 생성한다. 이 화염은 알루미늄 테이프(15)의 벽을 깨고 관통구멍(14)열로부터 분출하여, 쿨런트/필터(5)에 의해 구획형성된 연소실(9) 내에 들어간다. 연소실(9)에 들어간 화염은, 관통구멍(14) 부근의 가스발생제(8)를 점화함과 동시에, 고리형상부재(18)의 벽부에 의해 진로가 구부러져 연소실(9) 하부의 가스발생제(8)를 점화한다. 이것에 의해 가스발생제(8)가 연소하여 고온·고압의 가스를 생성한다. 이 연소가스(즉, 작동가스)는, 쿨런트/필터(5)를 통과하고 그 사이에, 쿨런트/필터(5)로서의 냉각기능에 의해 냉각되고, 또 필터로서의 포집기능에 의해 연소잔사가 포집되고, 냉각·정화된 연소가스(즉, 작동가스)는, 가스유로(간극(20))를 통과하고, 가스배출구(11)를 거쳐서 에어백(도시하지 않음)내에 유입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하고, 승차자와 견고한 구조물 사이에 쿠션을 형성하여 충격으로부터 승차자를 보호한다.
실시형태 7-(5)점화기 입구도 구부러진 하우징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의 가스발생기용 하우징을 사용하여 형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개략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11)를 갖는 하우징(3) 내에, 전기식 점화기(6)와 전화약(7)으로 구성된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즉, 가스발생제(8))을 포함하여 수용하고, 더욱 가스발생제(8)가 수용되는 연소실(9)과 하우징(3)의 둘레벽부사이에는, 가스발생제(8)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작동가스를 냉각하는 쿨런트/필터 수단(즉, 쿨런트(5))을 배열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쿨런트(5)의 디퓨저 셸(1)측 끝부에는, 통형상부(19)를 갖는 디플렉터 부재(18)를 배치하고 있다.
점화수단은 점화수단 수용실(1O)에 수용되어 있고, 이 점화수단 수용실(1O)은, 하우징(3) 내의 상끝부 내면에 용접되는 플랜지부(24)를 갖춘 원통형상의 내통부재(4) 내에 확보되어 있다. 이 점화수단 수용실(1O)은, 내통부재(4)의 둘레벽에 형성된 복수의 전화구멍(14)을 통해서, 당해 원통 부재의 외측에 설치된 연소실(9)과 연통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내통부재(4)는, 그 하끝측에 점화수단을 구성하는 점화기(6)를 수용하여 끝부를 코킹하고, 내통부재(4) 내에 점화기(6)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끝부를 코킹하여 점화기(6)를 고정한 내통부재(4)는, 후술하는 클로저 셸(2)의 개구부(60) 내에 수용되어, 점화기(6)를 고정한 상태에서 하우징(3)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내통부재(4)가 점화기 지지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하우징(3)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대략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1)과, 이 디퓨저 셸(1)을 폐색하는 대략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2)로 형성되어 있다. 양 셸은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디퓨저 셸(1)은, 하우징의 천정면(즉 상끝부)을 형성하는 제 1의 원형부(50)와, 이 원형부(50)를 둘러싸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1)와, 이 경사부로부터 원형부에 대하여 연직하게 강하하여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가스배출구(11)를 구비하는 둘레벽부(52)와, 이 둘레벽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부(53)를 갖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한편 클로저 셸(2)은, 하우징의 바닥면(즉, 하끝부)을 형성하고, 중앙에 점화수단 수용구멍을 설치한 제 2의 원형부(54)와, 이 제 2의 원형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측으로 절곡된 통형상부(61)를 구비하는 개구부(60)와, 이 제 2의 원형부(54)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굴곡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경사지는 둘레벽부(55)와, 이 둘레벽부의 선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58)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양 셸은, 셸끼리를 접합·일체화하여,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외각용기가 되는 하우징(3)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은, 클로저 셸 측의 끝면에 형성된 개구부(60)에 상기 내통부재(4)가 삽입되어 있고, 당해 개구부(60)에 삽입된 내통부재(4)는, 개구부의 입구부근에서 용접·고정되어 있다. 개구부중, 이 내통부재(4)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있는 접속부분(62)은, 하우징의 바닥면, 즉 클로저 셸의 바닥면보다도 하우징의 중심측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60)의 주위를, 그 중심을 향해 하우징의 내측에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개구부의 접속부분(62)을 하우징의 바닥면보다도 하우징의 중심측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개구부(60)는, 내통부재를 삽입·고정하므로, 그 외경 및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60)는, 하우징(3)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통형상부(6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내통부재(4)를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통형상부(61)는 하우징(3)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당해 통형상부(61)만이 하우징(3)의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은 없고, 그 만큼, 하우징(3) 자체의 전체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가스발생기 전체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역으로, 이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를, 통형상부(61)를 하우징(3)의 외측으로 절곡된 가스발생기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 경우에는, 동일한 높이 및 외경이더라도, 하우징의 내부용적을 충분히 크게할 수 있다.
또, 통형상부(61)를 하우징(3)의 내측으로 절곡하고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발생수단을 지지하는 대략 고리형상의 언더플레이트(22)를 내통부재(4)의 외측에서 끼워서 연소실(9) 내에 배치한 경우에도, 이 언더플레이트(22)는, 그 내통부재(4)를 내측에서 끼우는 부분이, 통형상부(61)의 선단에 맞닿으므로, 통형상부(6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는, 특히 운전석 측에 배치하는데 매우 적합한 가스발생기이고, 그 전체의 높이(즉 축방향 길이)는 대개 35mm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스발생기에서는, 개구부(60)에 설치되는 통형상부(61)는, 하우징의 축방향 길이의 약 17%로서, 축방향 길이가 약 6mm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3)에서는, 디퓨저 셸(1)의 경사부(51)에 의해, 제 1의 원형부(50)보다도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둘레벽부(52)를 향해서, 클로저 셸(2)의 둘레벽부(55)가 경사져 있고, 클로저 셸(2)의 제 2의 원형부(54)와 둘레벽부(55)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56)는, 그 내각(θ)이, 90~135도로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의 원형부(5O, 54)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5)는, 디퓨저 셸(1)에서 제 1의 원형부(5O)와 경사부(51)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57)로, 그 상끝면 외주가 디플렉터 부재(18)를 통해서 지지되고, 또 클로저 셸(2)에서 제 2의 원형부(54)와 둘레벽부(55)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56)로, 쿨런트(5)의 하끝면 외주가 직접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쿨런트(5)의 상하끝면의 외주를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절곡부(56, 57)로 지지함으로써, 쿨런트(5)의 배치시에는, 이 쿨런트가 절곡부에 의해 위치결정되고, 또 지지되는 것이 된다. 더욱이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도, 이 쿨런트(5)는 절곡부에 압접·지지되어 그 이동이 저지됨과 동시에, 쿨런트(5)의 상끝부는 디플렉터 부재(18)에 의해 포위되어, 디퓨저 셸(1)의 절곡부(57)에 밀착하고, 또 이 쿨런트(5)의 하끝부 외주 가장자리는, 직접 클로저 셸(2)의 절곡부(56)에 밀착하고, 하우징 내면과 쿨런트(5) 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통과(즉 숏 패스)를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하우징의 형성시에는, 디퓨저 셸의 제 1의 원형부(50)와, 클로저 셸의 제 2의 원형부(54)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 리브형상 보강체 및/또는 보강 단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5)는, 작동가스의 통과시에도, 그 압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하지 않는 것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것은, 만일 쿨런트(5)가 가스발생수단의 통과에 의해 팽출한 경우에는, 쿨런트(5)와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확보되는 간극(20)이 폐색되고, 사실상 가스유로로서 기능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쿨런트(5)는,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12054N(1230kgf)로 형성되어 있다.
디플렉터 부재(18)는, 가스발생제(8)로서, 연소에 의해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의 연소생성물을 생기게 하는 것을 사용한 경우에 유용하다. 즉,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생긴 연소생성물을, 이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부착, 또는 충돌후 낙하시키므로써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디플렉터 부재(18)중, 쿨런트(5)의 끝면에 맞닿는 고리형상부(16)는, 적당한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소실(9)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쿨런트(5)로서, 축방향으로의 신축이 적은 철망제 쿨런트(5)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디플렉터 부재(18)는, 쿨런트(5)의 내주면에 맞닿는 벽부(17)를 고리형상부(16)에 일체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쿨런트(5)의 위치결정 및 고정, 및 작동가스가 쿨런트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소위 숏 패스를 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에서는, 작동신호를 수령하여 작동된 점화기(6)에 의해, 전화약(7)이 착화되어 연소하고, 그 화염은 내통부재(4)의 전화구멍(14)를 통과하여, 가스발생제(8)의 수용공간내에 방출된다. 이 전화약(7)의 화염은, 가스발생제(8)를 착화·연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되는데, 그 일부가 직접 쿨런트(5)를 통과한 경우이더라도,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부딪쳐, 그대로 가스배출구(11)로부터 분출되는 사태를 저지할 수 있다. 전화약(7)의 화염에 의해 착화된 가스발생제(8)로부터 발생되는 작동가스는, 쿨런트(5)를 통과하여, 쿨런트(5) 외주면과 하우징(3)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간극(2O) 내에 도달한다. 쿨런트(5)를 통과한 작동가스 속에 유동체 또는 반유동체의 연소생성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간극(20) 내에 배치된 디플렉터 부재(18)의 통형상부(19)에 충돌·부착되어, 작동가스 속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된다.
도 7중, 가스배출구(1l) 및 전화구멍(14)은, 각각 실 테이프(15)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가스발생제(8)는, 언더 플레이트(22)에 의해 지지되어, 연소실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플렉터 부재(18)로서 기재된 부재는, 동일한 구조에 의해 미스트 포집부재, 또는 방염판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에어백장치
상기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이 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자루체)과 함께 모듈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에어백장치가 된다.
이 에어백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것에 연동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고, 하우징의 가스배출구로부터 연소가스를 배출한다. 이 연소가스는 에어백 내에 유입되고,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깨고 팽출하여, 차량속의 딱딱한 구조물과 승차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도 8에, 전기착화식 점화수단을 사용한 가스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의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에어백장치는, 가스발생기(200)와, 충격센서(201)와, 컨트롤 유닛(202)과, 모듈케이스(203)와, 그리고 에어백(204)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스발생기(200) 는, 도 1, 4, 5 및 7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설명한 가스발생기가 사용되고 있고, 그 작동성능은, 가스발생기 작동초기의 단계에서, 승차자에 대하여 가능한 한 충격을 부여하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다.
충격센서(201)는, 예를 들면 반도체식 가속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반도체식 가속도센서는, 가속도가 더해지면 휘되록 된 실리콘 기판의 빔 상에 4개의 반도체 왜곡게이지가 형성되고, 이들 반도체 왜곡게이지는 브리지접속 되어 있다. 가속도가 더해지면 빔이 휘어서, 표면에 왜곡이 발생한다. 이 왜곡에 의해 반도체 왜곡게이지의 저항이 변화하고, 그 저항변화를 가속도에 비례한 전압신호로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202)은, 점화판정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점화판정회로에 상기 반도체식 가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센서(201)로부터의 충격신호가 있는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컨트롤 유닛(202)은 연산을 개시하고, 연산된 결과가 어떤 값을 초과했을 때, 가스발생기(200)의 점화기(6 또는 104)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모듈케이스(203)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고, 모듈커버(205)를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듈케이스(203) 내에 에어백(204) 및 가스발생기(200)가 수용되어 패드모듈로서 구성된다. 이 패드모듈은, 자동차의 운전석측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통상 스티어링 휠(207)에 부착되고 있다.
에어백(204)은, 나일론(예를 들면 나일론 66),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형성되고, 그 자루입구(206)가 가스발생기의 가스배출구를 둘러싸고, 접은 상태에 서 가스발생기의 고리형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자동차의 충돌시에 충격을 반도체식 가속도센서(201)가 감지하면, 그 신호가 컨트롤 유닛(202)에 보내지고, 센서로부터의 충격신호가 어떤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컨트롤 유닛(202)은 연산을 개시한다. 연산된 결과가 어떤 값을 초과했을 때 가스발생기(200)의 점화기(6)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점화기(6 또는 104)가 작동하여 가스발생제를 점화하고 가스발생제는 연소하여 가스를 생성한다. 이 가스는 에어백(204) 내에 분출되고,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205)를 깨고 팽출하여, 핸들(207)과 승차자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쿨런트/필터 수단의 작용에 기인하는 다양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안전성을 고려하여, 모든 작동가스가 이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고, 또 이 쿨런트/필터 수단은, 가스발생기의 제조시에 가스발생수단을 충전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그 배치장소는 항상 일정한 장소로 확정되어 있다. 더욱이,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가스발생제의 종류 등에 의해서는 하우징이 고온으로 되고, 이것에 접촉된 에어백은 손상을 받을 우려도 있으므로, 적어도 가스배출구측의 하우징에는, 이러한 가스발생기내에서 발생된 열이 전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쿨런트/필터 수단을 하우징 내에 고정할 시에도, 그 고정은 확실하게 행해진다.
한편, 쿨런트 수단을 통과한 작동가스는, 그 후 하우징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데, 쿨런트 수단의 효과적인 사용의 관점에서, 작동가스가 가스배 출구 근방의 쿨런트 수단을 통과하는 사태를 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조공정이나 제조코스트를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면서도, 더욱 간이한 구조이다.

Claims (95)

  1.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내에서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구성부재로서,
    통형상의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대향배치 가능한 형상을 갖고, 적어도, 이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둘레벽면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차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디플렉터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둘레벽면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으로서 형성된 통형상부와, 이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형성된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가스배출구로부터 수평으로 투영된 쿨런트/필터 수단의 부분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서, 이 통형상부와 쿨런트/필터 수단 사이, 및 이 통형상부와 하우징 내면 사이에, 작동가스의 유로를 확보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그 상부 내경이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부 및 하부의 내경은, 상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적어도 어느 일방의 축방향 끝부에, 선단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우징 내주면에 맞닿아서 통형상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작동가스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이 가스배출구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가스발생수단을 착화하기 위한 점화수단의 화염 및 가스발생수단의 연소된 화염이, 가스배출구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형성된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를 갖추고 있고, 이 고리형상부의 중앙개구는, 그 내측 가장자리 끝면을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내통부재의 끝면에 맞닿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형성된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부는 이 고리형상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통형상부와 고리형상부 사이의 굴곡부는, 쿨런트/필터 수단을 위치결정 하거나, 가스발생기 작동시에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 끝면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형성된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리형상부에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주면에 맞닿는 형상의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쿨런트/필터 수단을 위치결정 하고, 가스발생기 작동시에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 끝면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벽부와 통형상부 사이의 폭이, 가스발생기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두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단일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17.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정화 또는 냉각, 또는 정화 및 냉각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 외주면과 하우징 둘레벽부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작동가스의 유로가 되는 공간부가 확보되고, 이 공간부에는,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여 가스배출구를 향하는 작동가스의 흐름을 전향하는 디플렉터 부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더욱,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 외주면과 하우징 둘레벽부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작동가스의 유로가 되는 공간부가 확보되어 있고,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그 일부가 이 공간부에 배치되어,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여 가스배출구를 향하는 작동가스의 흐름을 전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상기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 외주면과 하우징 둘레벽부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내 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에도 하우징 내주면에도 접하지 않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1.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정화 또는 냉각, 또는 정화 및 냉각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 외주면과 하우징 둘레벽부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작동가스의 유로가 되는 공간부가 확보되고, 이 공간부에는, 작동가스 속에 포함되는 연소 부생성물을 포집 또는 제거하는 미스트 포집부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2.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정화 또는 냉각, 또는 정화 및 냉각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 외주면과 하우징 둘레벽부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작동가스의 유로가 되는 공간부가 확보되고, 이 공간부에는, 방염판이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3.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더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정화 또는 냉각, 또는 정화 및 냉각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근방에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디플렉터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고리형상부를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게 하고, 통형상부로 쿨런트/필터 수단의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5. 제 17 항, 제 18 항,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은, 상기 디플렉터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 및 지지되어 있고, 가스발생수단의 연소 압력에 의해서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6.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 내에서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구성부재로서,
    적어도 통형상 하우징 내의 어느 일방의 끝면측에 대향배치되는 고리형상부와,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주면에 맞닿는 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하우징 내에 배열설치된 상태에서, 그 벽부가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 내주면에 맞닿고, 가스발생기 작동시에,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숏 패스를 저지하고,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쿨런트/필터 수단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와 벽부 사이의 거리는,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필터 수단의 반경방향에서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하우징 내에 배열설치된 상태에서, 그 절곡부가,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에 맞닿아서, 가스발생기 작동시에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을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숏 패스를 저지하고,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1.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고리형상부를 둘레방향에 걸쳐, 절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부를 절단면「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벽부는, 그 절곡된 부분의 외측이 고리형상부에 대하여 연직한 면을 가지고 있고, 또한 절곡된 부분의 내측은 고리형상부의 중심을 향해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3.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부는, 그 중심에 중앙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중앙개구의 내측 가장자리는, 가스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내통부재의 끝면에 맞닿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4.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하우징내에 배열설치했을 때에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는 부분 이, 그 두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5.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하우징 내에 배열설치했을 때에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는 부분 이, 쿨런트/필터 수단으로부터 하우징으로의 전열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6.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단일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
  37.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정화 또는 냉각, 또는 정화 및 냉각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근방에는, 작동가스가 쿨런트/필터 수단 끝면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고, 쿨런트/필터 수단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쿨런트/필터 수단으로부터 하우징으로의 전열을 저지하고, 탄성에 의해 하우징 상하 내면 사이에 쿨런트/필터 수단을 지지하는 단일부재로 형성된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38.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점화수단과, 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정화 또는 냉각, 또는 정화 및 냉각하는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통형상 쿨런트/필터 수단의 근방에는,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기재된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그 고리형상부를 쿨런트/필터 수단의 끝면에 맞닿게 하고, 벽부에서 쿨런트/필터 수단의 내주면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은, 상기 쿨런트/필터 수단 지지부재에 의해 위치결정 및 지지되어 있고, 가스발생수단의 연소 압력에 의해서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1.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 내에서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쿨런트 수단은, 그 끝부 외주 가장자리가,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부에 밀착 또는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부는,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쿨런트 수단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와 밀착 또는 지지하여, 이 쿨런트 수단의 끝면과 이것에 접하는 하우징 내면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 수단은, 그 끝부 외주 가장자리가,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통형상 하우징의 끝부와 둘레벽부 사이에서의 절곡부의 내면에 밀착 또는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4.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그 상끝측 또는 하끝측, 또는 상끝측 및 하끝측의 둘레벽부 내면이, 그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하여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5.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의 개구끝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어느 일방의 셸은, 그 둘레벽부 내면이,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하여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6.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의 개구끝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되어 있고, 이 클로저 셸은, 그 둘레벽부 내면이,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끝을 향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7.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의 개구끝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되어 있고, 이 클로저 셸의 둘레벽부 내면은, 역방향 원뿔 사다리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8.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그 둘레벽부 내면;과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의 내면;과 이루는 각이, 90~150도의 내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9.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쿨런트 수단의 외주면과 통형상 하우징 둘레벽부 내면 사이에는, 상기 작동가스의 유로가 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0.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의 쿨런트 수단은, 작동가스의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시에, 그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팽출이 저지되는 강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1.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쿨런트 수단은, 적어도, 그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2450~196OON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2.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의 쿨런트 수단은, 작동가스의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시에, 그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출된 쿨런트 수단은, 그 끝부 외주 가장자리가,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부에 밀착 또는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3.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 내에서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하우징은, 그 상끝측 또는 하끝측, 또는 상끝측 및 하끝측의 둘레벽부 내면이,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의 개구끝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어느 일방의 셸은, 그 둘레벽부 내면이,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하여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5. 제 53 항 또는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그 둘레벽부 내면;과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과 이루는 각이, 90~15O도의 내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6. 충격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통형상 하우징으로,
    이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에는,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쿨런트 수단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를 밀착 또는 지지하는 절곡부 또는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에 형성되는 절곡부 또는 단부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쿨런트 수단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를 밀착 또는 지지하고, 쿨런트 수단의 끝면과 이것에 맞닿는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의 연소가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58. 제 56 항 또는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그 상끝측 또는 하끝측, 또는 상끝측 및 하끝측의 둘레벽부 내면이, 그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59. 제 56 항 또는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은, 그 상끝부와 둘레벽부 사이의 절곡부의 내면 및 하끝부와 둘레벽부 사이의 절곡부의 내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가, 이 하우징 내에 배치된 쿨런트 수단의 끝면과 이것에 접하는 하우징 내면 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60. 제 56 항 또는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의 개구끝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되어 있고, 이 클로저 셸은, 그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끝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61. 제 56 항 또는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의 개구끝을 폐색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되어 있고, 이 클로저 셸의 둘레벽부 내면은, 역방향 원뿔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62. 제 56 항 또는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둘레벽부 내면;과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과 이루는 각이, 90~150도의 내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63.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하기 위해 배치되는 쿨런트/필터로서,
    철망을 적층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0℃에서 100O 리터/분의 유량으로 9.8~980Pa의 압력손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는, 20℃에서 1OOO리터/분의 유량에서 98~980Pa의 압력손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65.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는, 0.1~3.5g/㎤의 부피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66. 제 63 항 또는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는, l.O ~3.5g/㎤의 부피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67.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는, l.5~3.Og/㎤의 부피밀도를 갖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68.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를 형성하는 철망은, 선직경 0.1~1.0mm의 금속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69.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는, 그 축방향으로 49OON의 힘을 가한 경우에서의 압축대가, 이 쿨런트·필터를 압축하기 전의 축방향 길이의 0.l~10%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필터.
  70.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는, 반경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2450~19600N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71.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는, 철망을 구성하는 서로 교차하는 선재끼리 내의 어느 일방을, 이 쿨런트/필터의 축방향을 따르게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72.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필터는, 1 평방 인치(645.16㎟) 당의 망목수가 12~32인 철망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73.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은, 금속제 선재를 평직하여 형성된 평직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쿨런트/필터.
  74. 가스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생기게 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냉각하는 쿨런트/필터를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쿨런트/필터가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기재된 쿨런트/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수단은, 연료와 산화제를 함유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산화제는 염기성 질산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76.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수단은, (a)구아니딘 유도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 및 (b)염기성 질산구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77.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작동가스의 유로를 전향하기 위한 고리형상의 디플렉팅 판을 구비한 디플렉터 부재가 수용되어 있고, 이 디플렉터 부재는, 그 디플렉팅 판이 쿨런트/필터의 외측을 이격하여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 디플렉팅 판은, 적어도 가스배출구의 수평투영부분을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78.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쿨런트/필터사이에는 작동가스의 유로가 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플렉터 부재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디플렉팅 판은, 이 간극내에 존재하고, 또한 적어도 가스배출구의 수평투영부분에서, 하우징과 쿨런트/필터와는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79. 충격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통형상 하우징으로서,
    이 통형상 하우징은, 그 어느 끝면에,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를 삽입하고 고정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이 개구부는, 삽입되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접속부분을 구비하고,
    이 접속부분은, 개구부가 형성된 측의 끝면보다도 하우징 중심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
  80. 제 79 항에 있어서, 이 통형상 하우징의 어느 끝면에 설치되는 개구부는, 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81. 충격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통형상 하우징으로서,
    이 통형상 하우징은, 그 어느 끝면에, 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통형상부를 구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
  82. 제 80 항 또는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가 수용된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개구부에 형성되는 통형상부는, 이 점화기 또는 점화기 지지부재의 외주를 내접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83. 제 80 항 또는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통형상부는, 하우징 축방향 길이의 10~100%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84. 제 80 항 또는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통형상부는, 4~37mm의 축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85. 제 79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어느 한 끝면에 설치되는 개구부의 주위가, 이 개구부의 중심을 향해서 하우징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86. 제 79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스배출구를 갖는 덮개있는 통체형상의 디퓨저 셸과, 이 디퓨저 셸과 함께 하우징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있는 통체형상의 클로저 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는, 이 클로저 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87.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화수단과,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상기 통형상 하우징으로서, 제 79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이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88.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와,
    상기 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을 수용하는 모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용 가스발생기가 제 17 항, 제 18 항, 제 21 항, 제 22 항, 제 37 항, 제 41 항, 제 42 항, 제 53 항 또는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의 가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89.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와,
    상기 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을 수용하는 모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용 가스발생기가 제 74 항에 기재된 에어백의 가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90.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와,
    상기 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을 수용하는 모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용 가스발생기가 제 87 항에 기재된 에어백의 가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91.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내에서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필터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사용되는 구성부재로서,
    통형상의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대향배치 가능한 형상을 갖고, 적어도, 이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둘레벽면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차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이, 가스배출구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디플렉터 부재.
  92.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부재는, 가스발생기 하우징의 둘레벽면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으로서 형성된 통형상부와, 이 쿨런트/필터 수단의 어느 일방의 끝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형성된 내향 플랜지형상의 고리형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93. 제 91 항 또는 제 9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가스배출구로부터 수평으로 투영된 쿨런트/필터 수단의 부분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터 부재.
  94. 가스배출구를 갖는 통형상 하우징 내에, 에어백을 팽창하게 하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이 작동가스를 하우징 내에서 냉각 또는 정화, 또는 냉각 및 정화하는 통형상의 쿨런트 수단을 포함하고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이 쿨런트 수단은, 그 끝부 외주 가장자리가,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부에 밀착 또는 지지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 하우징의 상끝부 내면 또는 하끝부 내면, 또는 상끝부 내면 및 하끝부 내면에 형성된 절곡부 또는 단부는,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쿨런트 수단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끝부 외주 가장자리와 밀착 또는 지지하여, 이 쿨런트 수단의 끝면과 이것에 접하는 하우징 내면사이에서의 작동가스의 통과를 방지하고,
    상기 통형상 쿨런트 수단의 외주면과 통형상 하우징 둘레벽부 내면 사이에는, 상기 작동가스의 유로가 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95.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 수단은, 그 끝부 외주 가장자리가,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통형상 하우징의 끝부와 둘레벽부 사이에서의 절곡부의 내면에 밀착 또는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KR1020027010885A 2000-02-22 2001-02-21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디플렉터 부재, 쿨런트/필터 수단지지부재, 쿨런트 및 하우징 KR100755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4766A JP2001233166A (ja) 2000-02-22 2000-02-22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デフレクター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JP-P-2000-00044766 2000-02-22
JP2000044767A JP2001233167A (ja) 2000-02-22 2000-02-22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クーラント/フィルター手段支持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JP-P-2000-00044767 2000-02-22
JP2000051994 2000-02-28
JPJP-P-2000-00051994 2000-02-28
JP2000051993A JP2001239913A (ja) 2000-02-28 2000-02-28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JP-P-2000-00051993 2000-02-28
JPJP-P-2000-00188655 2000-06-23
JP2000188655A JP4627581B2 (ja) 2000-06-23 2000-06-23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ハウジ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1036937A JP2001315611A (ja) 2000-02-28 2001-02-14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クーラント/フィルター
JPJP-P-2001-00036937 2001-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339A KR20020081339A (ko) 2002-10-26
KR100755205B1 true KR100755205B1 (ko) 2007-09-04

Family

ID=2755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885A KR100755205B1 (ko) 2000-02-22 2001-02-21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디플렉터 부재, 쿨런트/필터 수단지지부재, 쿨런트 및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6926304B2 (ko)
EP (1) EP1258401B1 (ko)
KR (1) KR100755205B1 (ko)
CN (1) CN1419504A (ko)
AU (1) AU2001234104A1 (ko)
WO (1) WO2001062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2010A1 (fr) * 2001-11-15 2003-05-22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Générateur de gaz
US7516983B2 (en) * 2002-02-06 2009-04-14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Gas generator
US7155353B2 (en) * 2002-04-25 2006-12-2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for determining charging capacitance of capacitor
US20040155444A1 (en) * 2002-12-09 2004-08-12 Naoki Matsuda Gas generator for air bag
JP4994574B2 (ja) * 2004-01-07 2012-08-08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用フィルタ
JP4532124B2 (ja) * 2004-01-07 2010-08-2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ガス発生器用フィルタ
JP4370177B2 (ja) * 2004-01-29 2009-11-25 中央発條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用濾過部材及びインフレータ用濾過部材の製造方法
WO2005075050A1 (ja) * 2004-02-10 2005-08-18 Chuo Hatsujo Kabushiki Kaisha 濾過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7648163B2 (en) * 2004-08-10 2010-01-1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4896389B2 (ja) * 2004-11-02 2012-03-1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展開制御装置
US7448649B2 (en) * 2004-11-17 2008-11-1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JP4970813B2 (ja) * 2006-03-22 2012-07-11 株式会社ダイセル 車両の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4878206B2 (ja) * 2006-04-28 2012-02-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インフレータ
WO2007148542A1 (ja) 2006-06-20 2007-12-27 Autoliv Nichiyu Co., Ltd. リテーナ及びインフレータ
DE102006060410A1 (de) * 2006-06-30 2008-01-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Kantenemittierender Halbleiterlaserchip
US9700825B2 (en) * 2006-09-21 2017-07-11 Acs Industries, Inc. Expanded metal filters
US10717032B2 (en) 2006-09-21 2020-07-21 Acs Industries, Inc. Expanded metal filters
JP4926659B2 (ja) * 2006-11-07 2012-05-09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5389451B2 (ja) * 2007-01-12 2014-01-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4953998B2 (ja) * 2007-09-18 2012-06-13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US20090176892A1 (en) * 2008-01-09 2009-07-09 Pharmain Corporation Soluble Hydrophobic Core Carrier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667367B2 (ja) * 2009-03-06 2015-02-12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ク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ガス発生器
US9505076B2 (en) * 2012-01-25 2016-11-29 Illinois Tool Works Inc. Auxiliary shielding gas filter for a welding apparatus
EP2830913B1 (en) * 2012-03-27 2017-02-15 Daicel Corporation Gas generator
JP6031250B2 (ja) * 2012-04-23 2016-11-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8684405B2 (en) 2012-05-17 2014-04-01 Arc Automotive Inc. Grain retainer construction for air bag inflator
JP5956308B2 (ja) * 2012-11-02 2016-07-27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のガス発生器
DE102013003792B4 (de) * 2013-03-05 2017-03-2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modul
CN103737160A (zh) * 2014-01-29 2014-04-23 蚌埠金威滤清器有限公司 氩弧焊环型焊缝定位冷却器
DE102014018007A1 (de) * 2014-12-05 2016-06-09 Trw Airbag Systems Gmbh Brennkammer mit einer Öffnungsvorrichtung für einen Druckgasbehälter eines Hybridgasgenerators, Hybridgasgenerator,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m Ausströmen eines Fluids aus einem Gasgenerator
US9673287B2 (en) * 2014-12-15 2017-06-06 Infineon Technologies Americas Corp. Reliable and robust electrical contact
JP6563825B2 (ja) 2015-02-09 2019-08-2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946097B2 (ja) * 2017-07-21 2021-10-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10625765B2 (en) * 2018-09-20 2020-04-21 Darlene Love Reflective steering wheel cover and method
CN109353304B (zh) * 2018-11-06 2024-04-23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气体发生器和充气式安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441A (ja) * 1993-03-03 1994-09-13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用クーラント
JPH07215163A (ja) * 1994-01-27 1995-08-1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0016226A (ja) * 1998-06-26 2000-01-18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4210A (ja) * 1989-12-04 1991-07-29 Nippon Koki Kk エアバック展開用ガス発生装置のガス濾過フィルタ
JPH042542A (ja) * 1990-04-19 1992-01-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エアバッグガス発生器用フイルター
JPH0487859A (ja) * 1990-07-31 1992-03-19 Nippon Koki Kk エアバック展開用ガス発生装置
US5087070A (en) * 1990-12-18 1992-02-11 Trw Inc. Method of assembling an inflator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JP2959593B2 (ja) 1991-07-15 1999-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アバック用インフレータの製造方法
AU665157B2 (en) * 1994-03-14 1995-12-14 Morton International, Inc. An inflator for a motor vehicle passenger-side airbag module
JP2938755B2 (ja) * 1994-04-18 1999-08-25 日本ラインツ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用フィルター
JPH07285413A (ja) 1994-04-18 1995-10-31 Nippon Reinz Co Ltd エアバッグシステムのインフレータ用フィルター
US5466420B1 (en) * 1994-07-26 1998-10-06 Morton Int Inc Air bag inflator
JPH0976869A (ja) 1995-09-18 1997-03-25 Nippon Reinz Co Ltd インフレータ用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
JPH09207705A (ja) 1995-11-28 1997-08-12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その組立方法
JP3218200B2 (ja) * 1996-04-08 2001-10-1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クーラント
US6234521B1 (en) * 1996-04-08 2001-05-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DE19618040A1 (de) * 1996-05-04 1997-11-06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ehäuse für einen Rundgasgenerator
JP3784161B2 (ja) 1998-01-12 2006-06-07 日本ラインツ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用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6032979C1 (en) * 1998-02-18 2001-10-16 Autoliv Asp Inc Adaptive output inflator
JPH11244629A (ja) 1998-02-26 1999-09-14 Nippon Reinz Co Ltd インフレータ用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US6315322B1 (en) * 1999-03-05 2001-11-13 Trw Inc. Air bag inflator
US6364353B2 (en) * 1999-06-07 2002-04-02 Trw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441A (ja) * 1993-03-03 1994-09-13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用クーラント
JPH07215163A (ja) * 1994-01-27 1995-08-1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0016226A (ja) * 1998-06-26 2000-01-18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51978A1 (en) 2006-07-13
US7441803B2 (en) 2008-10-28
US20050184497A1 (en) 2005-08-25
US6926304B2 (en) 2005-08-09
US20030010247A1 (en) 2003-01-16
EP1258401A1 (en) 2002-11-20
AU2001234104A1 (en) 2001-09-03
EP1258401B1 (en) 2017-10-11
KR20020081339A (ko) 2002-10-26
CN1419504A (zh) 2003-05-21
EP1258401A4 (en) 2006-01-04
WO2001062558A1 (en) 200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205B1 (ko)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디플렉터 부재, 쿨런트/필터 수단지지부재, 쿨런트 및 하우징
EP0332325B1 (en) Light weight vehicle restraint bag inflator
US6695345B2 (en)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US5951041A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system
CN1110420C (zh) 空气囊气体发生器
JPH05213147A (ja)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及びフィルタ組立体を組み立てる方法
CN1207997A (zh) 气囊气体发生器和气囊系统
JPH0584413A (ja) ガス濾過装置用のフイルターカートリツジ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US6129381A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system
KR19980086826A (ko)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에어백 시스템
JP2000198409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そのク―ラント
JPH10315897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クーラント/フィルタ
JPH1095302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H1159315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クッション部材
US6189925B1 (en) Gas generator
EP1127753A1 (en) Air bag gas generator and coolant therefor
US6007098A (en) Low cost pyrotechnic inflator
JPH0667711B2 (ja) エアバック展開用ガス発生装置
US6840977B1 (en) Coolant for air-bag gas gener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TW548216B (en) A gas generator for air bag, deflector, supporting element for a coolant/filtering layer device, coolant and housing
JP2001233167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クーラント/フィルター手段支持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WO1996035595A1 (fr) Generateur de gaz pour coussin gonflable de securite
JP2001239913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7137105A (ja)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JP2001206188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